KR20110131856A -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 접착 구조 - Google Patents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 접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856A
KR20110131856A KR1020100051513A KR20100051513A KR20110131856A KR 20110131856 A KR20110131856 A KR 20110131856A KR 1020100051513 A KR1020100051513 A KR 1020100051513A KR 20100051513 A KR20100051513 A KR 20100051513A KR 20110131856 A KR20110131856 A KR 20110131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vessel
body portion
heating element
coupling protrus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Priority to KR1020100051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1856A/ko
Priority to PCT/KR2011/002208 priority patent/WO2011152612A2/ko
Publication of KR2011013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0Funnel-like inserts; Grooved plates to be placed on the bottom of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4Sources of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27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for wok pans and wok pans supports for induction cook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밑면에 피가열요소를 부착하여 구성한 유도가열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조리용기의 외관을 이룸은 물론 그 하면에 다수개의 결합돌기(14)가 배치된 몸체부(10); 및 상기 몸체부(10)의 하면에 맞대어지면서 상기 결합돌기(14)와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32)이 형성된 피가열요소(30)로 이루어진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 접착 구조로서; 상기 몸체부(10)의 외표면에 상기 결합돌기(14)의 주변을 따라 오목하게 걸림홈(16)이 형성되고, 상기 피가열요소(30)의 외표면에 상기 관통공(32)을 주변을 따라 상기 걸림홈(16)으로 끼워지는 수용홈(34)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4)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2)을 경유하는 돌출부(h)를 압착하여 상기 수용홈(34)내에 수납시킴으로써,
상기 조리용기의 돌출부와 상기 주변물품과의 간섭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용상 불편함이 없어지고 마찰손상이 방지됨은 물론 상기 피가열요소에 눌러붙은 이물질의 제거에 따른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 접착 구조{Structure of fixing the magnetic plate foe induction cooking pot}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밑면에 피가열요소를 부착하여 구성한 유도가열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밑면을 평평한 상태로 유지하여 테이블을 포함한 주변물품과의 간섭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의 접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가열 조리용기(이하, 조리용기라 통칭함)는 가열코일에 고주파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발생하는 고주파자력선에 의하여 조리용기에 와전류를 발생시켜서 음식물을 가열하는 조리기로서, 이 조리용기의 밑면에 피가열요소를 부가적으로 부착하여 와류전류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의 밑면에 용사방식에 의해 상기 피가열요소를 부착하는 방법은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어, 상기 조리용기의 밑면 전체에 대략 원반형상의 금속판재형태인 피가열요소를 맞댄 상태에서 리벳팅 방식으로 부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예컨대, 상기 조리용기(등록번호:10-889722호)에 의하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조리용기의 외관을 이룸은 물론 그 하면에 다수개의 결합돌기(14)가 일정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구성된 몸체부(10), 및 상기 몸체부(10)의 하부면에 맞대어져 결합되면서 그 내주면에 상기 결합돌기(14)와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 각각의 관통공(32)이 형성된 피가열요소(3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14)의 선단부에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관통공(32)을 경유하는 돌출부(h)를 구성한 다음, 상기 관통공(32)에 상기 결합돌기(14)를 삽입하고 압착하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돌출부(h)가 상기 관통공(32)의 외표면을 따라 볼록부(a)가 형성되어 이탈을 방지된다.
그런데, 상기 조리용기(100)는 상기 돌출부(h)의 압착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볼록부(a)가 상기 관통공(32)의 외표면을 따라 돌출된 상태이므로 테이블을 포함한 주변물품과의 간섭으로 인해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함은 물론 심하게는 상기 주변물품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100)의 사용과정에서 예컨대, 상기 피가열요소(30)의 외표면에 기름때와 같은 이물질이 눌러 붙은 경우 상기 볼록부(a)와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이물질의 제거작업이 실질적으로 어려워 작업하중 및 공정이 지연됨은 물론 위생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밑면을 평평한 상태로 유지하여 테이블을 포함한 주변물품과의 간섭을 사전에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의 접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외관을 이룸은 물론 그 하면에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배치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맞대어지면서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피가열요소로 이루어진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 접착 구조로서; 상기 몸체부의 외표면에 상기 결합돌기의 주변을 따라 오목하게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가열요소의 외표면에 상기 관통공을 주변을 따라 상기 걸림홈으로 끼워지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경유하는 돌출부를 압착하여 상기 수용홈내에 수납시키는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이 평평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상기 돌출부와 주변물품의 간섭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용상 불편함이 없어질 뿐만 아니라 주변물품과의 마찰로 인한 손상이 방지되어 수명이 연장된다.
둘째,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이 평평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상기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에 이물질이 눌러 붙더라도 손쉽게 제거가 가능하여 이물질의 제거에 따른 편리성이 향상되고 작업하중이 줄어든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조리용기를 도시한 하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조리용기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 도 4 및 도 5를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다.
조리용기의 외관을 이룸은 물론 그 하면에 다수개의 결합돌기(14)가 배치된 몸체부(10); 및 상기 몸체부(10)의 하면에 맞대어지면서 상기 결합돌기(14)와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32)이 형성된 피가열요소(30)로 이루어진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 접착 구조로서;
상기 몸체부(10)의 외표면에 상기 결합돌기(14)의 주변을 따라 오목하게 걸림홈(16)이 형성되고, 상기 피가열요소(30)의 외표면에 상기 관통공(32)을 주변을 따라 상기 걸림홈(16)으로 끼워지는 수용홈(34)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4)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2)을 경유하는 돌출부(h)를 압착하여 상기 수용홈(34)내에 수납시키는 구성이다.
먼저, 본 발명의 조리용기(100)는 상기 몸체부(10)의 하부면에 상기 피가열요소(30)를 결합하여 구성한 유도가열 조리용기로서,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된 결합돌기(14)와 상기 피가열요소(30)에 형성된 관통공(32)의 결합구조를 변경하여 용기바닥면을 평평한 상태로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몸체부(10)는, 상기 조리용기(100)의 외관을 이루면서 음식물을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음식물을 수용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하부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테두리부(18), 상기 테두리부(18)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돌기(14), 및 상기 공간부의 하부면에 상기 결합돌기(14)의 주변을 따라 오목하게 걸림홈(16)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18)는 상기 몸체부(10)의 하부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몸체부(10)의 하부면에 별도의 부재를 부착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14)는 상기 테두리부(18)의 내측으로 형성된 홈에 매립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몸체부(1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몸체부(10)의 소재로는 스틸을 포함하여 열원에 견딜 정도라면 소재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걸림홈(16)의 형상으로는 상기 피가열요소(30)와의 결합력을 극대화하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피가열요소(30)는, 상기 조리용기(100)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와류전류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상기 테두리부(18)내의 상기 몸체부(10)의 하면에 맞대어지는 밀착체(36)와, 상기 밀착체(36)에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돌기(14)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관통공(32), 및 상기 관통공(32)을 주변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6)으로 끼워지는 수용홈(3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밀착체(36)는 상기 몸체부(10)의 하부면에 맞대어져 이탈을 방지하도록 가능한 판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32)은 상기 결합돌기(14)가 손쉽게 끼워지도록 상기 결합돌기(14)와 대응하는 위치 및 간격을 갖도록 형성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수용홈(34)은 상기 걸림홈(16)에 암수형합식으로 결합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피가열요소(30)의 수용홈(34)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예컨대 상기 피가열요소(30)의 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관통공(32)의 주변을 절곡하여 상기 수용홈(34)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조리용기(100)를 제조하려는 경우, 일단 상기 몸체부(10)에 돌출돌기(14)를 결합하거나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피가열요소(30)에 상기 관통공(32)을 형성하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이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성형과정에서 상기 돌출돌기(14)의 주변에 상기 걸림홈(16)을 더 형성하고, 상기 피가열요소(30)의 성형과정에서 상기 관통공(320의 주변에 수용홈(34)을 더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몸체부(10)의 하면에 피가열요소(30)를 맞대면, 상기 몸체부(10)의 결합돌기(14)가 상기 관통공(32)을 경유하므로, 상기 관통공(32)의 상부측으로 돌출부(h)가 돌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0)에 피가열요소(30)를 맞대는 경우, 상기 몸체부(10)의 걸림홈(16)에 상기 피가열요소(30)의 수용홈(34)이 암수형합식으로 결합되므로 어느 정도 견고함을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피가열요소(30)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상기 결합돌기(14)의 돌출부(h)를 압착하면, 도 4의 b에서와 같이, 상기 돌출부(h)가 압축되면서 상기 수용홈(34)내로 수압되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14)의 돌출부(h)가 상기 피가열요소(30)의 수용홈(34)내로 수납되므로, 상기 피가열요소(30)의 평면을 기준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주변물품과의 간섭이 원천봉쇄되는 것이다.
한편, 본원에서는 상기 피가열요소(30)의 결합수단으로서 상기 걸림홈(16)과 수용홈(34)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도 상기 피가열요소(30)의 외표면에 상기 돌출부(h)를 수용하였다면 상기 수용홈(34)의 형상이나 위치에 상관없이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10 : 몸체부 14 ; 결합돌기
16 : 걸림홈 18 : 테두리부
30 : 피가열요소 32 : 관통공
34 : 수용홈 36 : 밀착체

Claims (2)

  1. 조리용기의 외관을 이룸은 물론 그 하면에 다수개의 결합돌기(14)가 배치된 몸체부(10); 및 상기 몸체부(10)의 하면에 맞대어지면서 상기 결합돌기(14)와 대응하는 위치를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32)이 형성된 피가열요소(30)로 이루어진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 접착 구조로서;
    상기 몸체부(10)의 외표면에 상기 결합돌기(14)의 주변을 따라 오목하게 걸림홈(16)이 형성되고, 상기 피가열요소(30)의 외표면에 상기 관통공(32)을 주변을 따라 상기 걸림홈(16)으로 끼워지는 수용홈(34)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4)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2)을 경유하는 돌출부(h)를 압착하여 상기 수용홈(34)내에 수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 접착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34)은,
    그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 접착 구조.
KR1020100051513A 2010-06-01 2010-06-01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 접착 구조 KR20110131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513A KR20110131856A (ko) 2010-06-01 2010-06-01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 접착 구조
PCT/KR2011/002208 WO2011152612A2 (ko) 2010-06-01 2011-03-31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 접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513A KR20110131856A (ko) 2010-06-01 2010-06-01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 접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856A true KR20110131856A (ko) 2011-12-07

Family

ID=45067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513A KR20110131856A (ko) 2010-06-01 2010-06-01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 접착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131856A (ko)
WO (1) WO201115261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9073A (zh) * 2018-06-01 2019-12-10 上海旭奈超贸易有限公司 一种快速加热及长时间保温的炊具的制作方法及其形成的炊具
KR102055529B1 (ko) * 2019-10-08 2019-12-13 (주)코메탈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 용기의 자기장 전달판 결합 구조 어셈블리와 그 결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255B1 (ko) * 2012-04-23 2012-07-16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도전판
FR3027783B1 (fr) * 2014-10-30 2016-11-11 Seb Sa Procede de realisation d'un recipient de cuisson muni d'un canal de reception d'un capteu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820B1 (ko) * 1999-07-20 2003-04-26 주식회사 남선홈웨어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JP2003265310A (ja) * 2002-03-15 2003-09-24 Noritake Co Ltd 電磁加熱用容器
KR20050113543A (ko) * 2004-05-29 2005-12-02 김양영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55448A (ko) * 2007-04-13 2007-05-30 정정숙 인덕션렌지용 조리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9073A (zh) * 2018-06-01 2019-12-10 上海旭奈超贸易有限公司 一种快速加热及长时间保温的炊具的制作方法及其形成的炊具
KR102055529B1 (ko) * 2019-10-08 2019-12-13 (주)코메탈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 용기의 자기장 전달판 결합 구조 어셈블리와 그 결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52612A3 (ko) 2012-01-26
WO2011152612A2 (ko)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1856A (ko)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피가열요소 접착 구조
KR101489800B1 (ko) 인덕션 렌인지용 일회용 조리용기
US20150114973A1 (en) Fusion rivet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70083941A (ko) 인덕션 렌지용 이중조리용기
USD936407S1 (en) Electric cooker
CN100500069C (zh) 用于将连接件紧固到烹调器皿手柄的装置
JP2009160372A (ja) インダクション容器
KR100986247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USD899175S1 (en) Cooking appliances and utensils
US20050204928A1 (en) Cooking utensil the covering of which comprise an ornamental piece and corresponding production method
KR20100029792A (ko) 전자렌지용 용기
JP3196620U (ja) 電磁調理器具
KR20160015556A (ko) 인덕션 조리기용 가열판
KR20090002403U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100799741B1 (ko)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KR101476340B1 (ko) 분리형 손잡이를 가진 조리기구
CN108402881B (zh) 一种带把手的搪瓷铁锅及电热锅
EP2910154A1 (en) Glass pan having an electromagnetically formed induction layer
KR200455062Y1 (ko) 조리 용기의 손잡이
KR20170092943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WO2016071858A1 (en) Cooking vessel for induction hobs and a method for making the cooking vessel
USD658001S1 (en) Cookware lid handle having contrasting embedded portion
KR200468150Y1 (ko) 프라이팬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라이팬 구조체
CN209404404U (zh) 烹饪器具
CN212995994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