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09376A1 -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09376A1
WO2020009376A1 PCT/KR2019/007861 KR2019007861W WO2020009376A1 WO 2020009376 A1 WO2020009376 A1 WO 2020009376A1 KR 2019007861 W KR2019007861 W KR 2019007861W WO 2020009376 A1 WO2020009376 A1 WO 202000937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unit
water particle
particle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786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노호양
Original Assignee
노호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호양 filed Critical 노호양
Publication of WO202000937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093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5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active carb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7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removing rad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removing tobacco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ier that can purify by removing harmful substances in the indoor and outdoor air.
  • the conventional smoking booth has a limitation in enhancing the purification effect inside the booth for smokers because it is a simple configuration in which an air purifier or purifier is installed,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purifying effect inside the booth, the air purifier or purifier is operated at a high load. There was a problem to be done.
  • the air contaminated with tobacco smoke inside the smoker's booth leaks to the outside through the door that is opened when the smoker enters and contaminates the air around the smoker's booth, causing indirect smoking to non-smokers located near the smoker's booth. Had a problem with letting.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ying apparatus capable of removing harmful substances in indoor and outdoor air by purifying external air by spraying water through a nozzl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and to collect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by injecting the fine particles of water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to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Water particles that collect foreign substances are moved together according to the flow of air, and the water particles are collected by one or mor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s installed on the air and the paths of water particles, and the air collected by the water particle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purifying apparatus capable of removing very small levels of fine dust as well as harmful substances such as tobacco smoke in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an air purifier (1000) for purifying the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e inlet port 110 through which the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a flow path forming part 100 in which a discharge port 120 through which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formed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flows;
  • a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installed on the flow path and spraying fine water particles to collect the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to the external air;
  • a water particle collecting part (300) installed on the flow path and collecting water particles and harmful air from the external air and collecting the water particles;
  • the air purifier 10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ir flow forming unit 500 for forming a flow of the external air so that 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20.
  •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and the water particle collection unit 300 may be sequentially installed along the air flow direction.
  •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may include one or more nozzles 210 installed to spray fine water particles into the flow path.
  •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torage unit 400 which stores the water particles collected by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and then agglomerated and dropped downward.
  •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transport unit 600 for transport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400 to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may include a metal mesh member 310 formed by entangled metal yarns.
  • the metal mesh member 310 may be made of SUS material.
  •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unit 700 for removing residual harmful substances remaining in 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 the filter unit 700 may include an oil vapor filter unit 710 for removing oil vapor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 the filter unit 700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carbon fiber filter unit 720, an activated carbon filter unit 730, and a hepa filter unit 740 which are sequentially installed along a flow path at a rear end of the oil vapor filter unit 710. It can be included as.
  •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 the plurality of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s 300 may be sequentially installed along the flow path.
  •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s 300.
  • the plurality of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s 300 may be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 plane.
  • the metal mesh member 310 may be photocatalyst coated.
  • the filter unit 700 may be photocatalyst coated.
  •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flows, and collects harmful substances such a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by injecting fine water particles into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and foreign substances
  • the water particles collected are moved together according to the flow of air, at least some of the water particles are collected and removed by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air and the water particle moving path, and the water particles are collected and remov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o remove the water-soluble radioactive material such as radon present in the air by purifying the external air by spraying the fine sieve through the nozzle.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A to 3C are front, plan and side views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air purifier of FIG. 4.
  • FIG.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air purifier of FIG. 3.
  • FIG. 7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flows, and injects foreign substances through water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by injecting micronized water particles through the injection nozzles into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raps and collects and removes at least some of the water particles by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installed on one or more paths of air, and discharges the air from which the water particles have been removed to the outside, thereby passing through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that can remove extremely small levels of fine dust as well as pollutants such as cigarette smoke.
  • the water particles collected by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are removed from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by falling downward by its own weight due to the aggregation phenomenon of the water particles.
  • the SUS wires may be configured by a so-called demister entangled.
  • the water droplets formed by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by dropping the water droplets formed by the large water droplets are formed by passing through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portion and the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fine dust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are combined, the fine water particles
  •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portion by dropping the water droplets formed by the large water droplets
  • the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fine dust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are combined, the fine water particles
  •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urifying the external air by spraying water through the nozzle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removed together with a water-soluble radioactive material such as radon present in the outside air.
  • the air purifier 1000 is an air purifier 1000 that removes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external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to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 a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installed on the flow path and spraying fine water particles to collect the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into the outside air;
  • a water particle collecting part 300 installed on the flow path and collecting water particles which collect harmful substances from external air; It may include an air flow forming unit 500 to form a flow of the external air so that 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20.
  • the flow path forming unit 10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flow path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by forming an inlet 110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and a discharge port 120 through which pur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formed.
  • the flow path forming unit 100 may be configured as a housing in which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20 are formed.
  • a flow path may be formed by various structures therein such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110 reaches the outlet 120.
  •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variety of configurations, such as one or more frames and one or more panel portion to form an inner space by connecting the frame.
  • the flow path formed by the flow path forming unit 100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according to the design and design, and as shown in FIGS. 3A and 4 to form a relatively long flow path in a limited internal space.
  • the air may be repeatedly raised and lowered by the one or more partition members 111 to form a relatively long length of the flow path.
  • the inlet 110 is an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flow path.
  • the inlet 110 may be an opening formed in the flow path forming unit 100, and may function as a passage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according to the device design. It may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100).
  • the outlet 120 is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110 is purged through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0 and is discharged.
  • the outlet 1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according to the device design, and the flow path forming unit ( 100 may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 the flow path,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20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flow path may be configured along a variety of paths, but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and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In the section tha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move the outside air along the movement (flow) direction (lower direction, gravity direction) of the water particles injected from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 the flow path forming unit 100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members 101, 102, 103, and 104 or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is installed on the flow path of the external air, and can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configurations to inject the finer water particles to the outside air to collect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By spraying the micronized water particles into the external air flowing along the flow path by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may be mixed with the water particles to be collected in the micronized water particles.
  •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may inject the finer water particles toward various directions, but to spray the water particles toward the lower direction (gravity direction)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rayed water particles fall It is preferred to be installed.
  •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may include one or more nozzles 210 installed to inject the micronized water particles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gravity direction).
  • the nozzle 210 is configured to spray water granulated enough to remove foreign matters such as fine dust contained in external air, and any configuration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spray water particles.
  • the nozzle 210 is a spray nozzle for injecting water supplied by a water supply device (not shown), and may be configured as a nozzle tube having various inner diameters according to a design, and preferably, In order to effectively mix the micronized water particles, it may be configured with a nozzle tub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0.05 mm to 0.2 mm, preferably an inner diameter of 0.1 mm. Through this, water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10 ⁇ m or less may be injected.
  •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nozzles 210 coupl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nozzle nozzles are formed in one member, or a plurality of nozzles 210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including a plurality of members each installed.
  •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zzles 210 are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annular li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may be supplied with water by various methods.
  •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may be supplied with water by various water supply devices, such as a water pipe, a water transport unit 6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is installed on the flow path, and the water particles and the external air that collects harmful substances from the external air pass through and collects the water particles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is installed between the flow path-shaped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and the discharge port 120, the water particles and the external air collecting harmful substances can pass in the same direction.
  •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the micronized water particles mixed with harmful substances may be collected into water particles (water droplets) having a large size by passing through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and aggregated in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 the harmful particles in 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may be coupled to the water particles collected in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and the water particles combined with the harmful substances may fall downward by their own weight. Can be.
  • the water particle spraying unit 200 and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are sequentially installed along the air flow direction so that the water particles collected in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fall down naturally with harmful substances. desirable.
  •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if water particles can be collected.
  • the metal yarns 310 are formed of entangled metal yarns 310. can do.
  • the metal mesh member 31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metal yarns are irregularly entangled to form a layer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thickness of the metal yarn and the layer thickness may be variously set.
  • the metal mesh member 310 may be installed in multiple layers in consideration of the collecting effect of the collected water particles, or layers having different diameters of metal yarns may be installed in multiple layers.
  • the metal mesh member 310 when installed in a multi-layer may be provided with a reinforcing frame of the mesh structur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between the layer and the layer.
  •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the metal mesh member 31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frame 320 for fixing the metal mesh member 310 for stable installation.
  • the fixed frame 320 is a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the installation of the metal mesh member 320 by stably supporting the metal mesh member 320, consisting of the reinforcement frame described above, or to support the metal mesh member 320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s a structure.
  • the metal mesh member 310 and the fixing frame 320 may be made of SUS material for semi-permanent use.
  • the metal mesh member 310 may be formed by a so-called demister in which wires having a very small diameter of SUS material are entangled.
  •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and the water particle spraying unit 200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in which air is installed at a single point on a flow path, but the collection of harmful substances by water particles and the collecting bar collecting unit By the principle of removing the water particles by the installation structure and the installation form is possible in various embodiments.
  • At least one of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and the water particle spraying unit 20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t a plurality of points in terms of maximizing the effect of removing harmful substances on the air flow path.
  •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torage unit 400 which stores the water particles collected by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and then agglomerated and dropped downward.
  • the water storage unit 400 may be installed to be replaced for the removal of water after us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 the water storage unit 400 is a space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air purifier 1000, the water droplets aggregated through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may be stored by falling by its own weight.
  •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transport unit 600 for transport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400 to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 the water transport unit 600 is configured to circulate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unit 400 up to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is possible in various configurations.
  • the water transport unit 600, the pump 610 to circulate water between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and the water storage unit 400 and the water is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in the water storage unit 400 It may be composed of a pipe portion 620 for moving up to 200.
  • the water storage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410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to separat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water storage unit 400.
  • the harmful substances (402, sludge, submerged fine dust, etc.) heavier than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is submerged, the water after a certain time flows It may be configured to be stack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unit 400.
  • a sludge discharge unit 420 that can remove the harmful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 Hazardous substances may be configured to sink to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portion 410.
  • the water passed to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410 may be transported to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through the water transport unit 600 described above.
  • the water storage unit 400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unit 430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water level of the stored water or to automatically replenish or replace the water,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430
  • the solenoid valve 440 for controlling the supply or discharge of wate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 the air flow forming unit 500 is configured to form a flow of external air so that 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0,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a fan (fan) is possible.
  • the air flow forming unit 500 if it can form a flow of external air from the inlet 110 to the outlet 120,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nd can be installed in various locations. 1 to 2 illustrate the case where the air flow forming unit 500 is installed at the outlet 120, bu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fine water particles injected from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may be circulated in the air purifier 1000 through the water storage unit 400, and passes through the water particle collection unit 300
  • One external air may be agglomerated and discharged back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20 passing the water droplets falling into the water storage unit 400.
  • odor particles deodorant
  • oil vapor fine dust (ultrafine dust)
  • harmful substances tobacco smoke
  • radioactive substances such as water-soluble radon
  •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unit 700 for removing residual harmful substances remaining in 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 the filter unit 700 is installed on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flows, and is preferably install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water particles falling through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 the filter unit 700 as shown in Figure 2, the second housing is configured independently of the first housing 101,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and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is installed It may be installed at 103.
  • the filter unit 700 may include an oil vapor filter unit 710 for removing oil vapor contained in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 the oil vapor filter unit 710 may be configured to remove not only oil vapor (oil component) included in external air, but also fine dust (ultrafine dust) or odor particles.
  • the oil vapor filter unit 710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except that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does not collect the water particles.
  • the oil vapor filter unit 710 may include a metal mesh member in which metal yarns are intertwined, and a fixing frame fixing the metal mesh memb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External air passes through the oil vapor filter unit 710, and an oil component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is caught by the oil vapor filter unit 710 and removed.
  • the filter part 700 further includes a carbon fiber filter part 720, an activated carbon filter part 730, and a hepa filter part 740 which are sequentially installed along the flow path at the rear end of the oil vapor filter part 710. It may include.
  • the carbon fiber filter unit 720 and the activated carbon filter unit 730 have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 the HEPA filter 740 as a HEPA filter, can finally filter the fine dust (ultrafine dust) and harmful substances (nicotine, tar, etc.) remaining in the outside air.
  • the air purifying apparatus 1000 is purified through the oil vapor filter unit 710, the carbon fiber filter unit 720, the activated carbon filter unit 730, and the hepa filter unit 740 sequentially.
  • the ai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 purifier 1000 through the outlet 120.
  • the air purifier 1000 needs to replace only the HEPA filter unit 740, and the HEPA filter unit 740 may also be used semi-permanently unless it is exposed to cigarette smoke such as nicotine or tar. hav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rifier (4) in the device FRAME (1), so that the smoker injects the smoke directly into the device when the smoker smokes so that the smoke emitted by the smoker is quickly purified without spreading around; Personal mobile smoking to remove harmful bacteria, such as smoke, nicotine, tar emitted during smoking to prevent the health of smokers and non-smokers by removing the odor in the smoke and harmful bacteria such as nicotine, tar when smoking In the apparatus,
  • the purification device (4) is installed in the replacement bucket (8) is connected to the water spray after the exhaust mechanism (7) and the WATER PUMP (15) is connected through the pipe; It is connected to the purification device (4) is installed through the smoking intake port (2) and the purified air exhaust port 13 through the installation of the suction exhaust fan (14); The smoke discharged to the purified air exhaust port 13 by extending the smoke introduced through the smoking inlet port 2 through the suction exhaust fan 14 installed connected to the purifier 4 is an exhaust vent of the smoking frame 1 16) are connected and installed; A suction exhaust fan 14 for installing the smoke emitted by the smoker into the purifier 4 is installed in the device FRAME 1; A water pump (15) for circulating water in the replacement bucket (8) is installed; It is connected to the purification device 4, the suction exhaust fan 14 is installed to be circulated through the purified air exhaust port 13;
  • the exhaust vent 16 of the smoking inlet 2 passes through the purified air vent 13 of the purifier 4 and extends to the exhaust vent 16 of the smoking frame 1 and is sucked into the side of the purifier 4.
  • the exhaust fan 14 is installed to suck the smoker and the smoke sucked through the smoking inlet 2 is discharged to the water spray nozzle 6 surface and replaced by the water pump 15 connected to the purifier 4. Water is sprayed by pumping the water in the water container 8, and the fine dust, nicotine and tar of the smoke sucked through the smoking inlet 2 are diluted and neutralized and removed from the water. Discharging fine dust, nicotine and tar diluted water into the exhaust port 7 after the water spray is connected;
  • a first demister member 17 is formed in which a thin wire is irregularly entangled and filled, and the water vaporized and sprayed through the water spray nozzle 6 is fine in smoke. After diluting, neutralizing and removing dust, nicotine and tar, condensation is carried out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demister member 17 and falls in a drop shape.
  •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surface is removed while oil is squeezed onto the wire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demister member 9 which is composed of thin wires irregularly entangled and filled, and a carbon fiber filter 10 and an activated carbon filter 11.
  • the second demister member 9 which is composed of thin wires irregularly entangled and filled, and a carbon fiber filter 10 and an activated carbon filter 11.
  • the pumping amount and the injection amount of the water is adjustable to quickly remove the fine dust, nicotine, tar by installing a purifier (4) for the discharged purified smoke.
  • the smoking FRAME (1) is characterized in that by mounting the handle (5) to be movable and transported.
  • the suction inlet 2 of the smoking frame 1 is provided with a suction frame 3 for guiding the inflow direction of the smoke so that the smoke is quickly sucked into the purification device 4 and is not diffused around. It is don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rsonal portable smoking device for removing smoke, nicotine, tar, harmful bacteria discharged during smoking using the demister member,
  • a smoking inlet (2)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moking FRAME (1) for the smoker to immediately emit smoke and a purifying device (4) for connecting the smoking inlet (2) to purify the smoke;
  • Purifier 4 is installed by connecting the replacement bucket (8) and the water pump (15) through the pipe connecting the installation, respectively;
  • the smoke discharged to the purified air exhaust port 13 by extending the smoke introduced through the smoking inlet port 2 through the suction exhaust fan 14 installed connected to the purification device 4 is the exhaust vent port 16 of the smoking frame 1. )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 the purifier 4 is mounted on a separate smoking frame 1, including a handle 5, and is designed for easy movement and allows the smoker to smoke without inconvenience, and a comfortable room even during the smoking of the smoker. It includes a structure that can maintain the environment, is very clean, and is standalone so it can be easily stored.
  • a personal portable smoking device equipped with an intake exhaust ⁇ 14 inside the smoking inlet 2 on the outer side of the purifier 4 is installed.
  • the suction exhaust fan 14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spray nozzle 6 suction surface through the smoking inlet (2) of the purifier (4) and the smoke is replaced by the WATER PUMP (15) Pump the water in the water container (8) and spray water through the water spray nozzle (6) to dilute fine dust, nicotine and tar of the smoke inhaled, neutralize and remove the water, and then the bottom surface to which water is sprayed The fine dust, nicotine, tar is diluted with water to discharge.
  • the first demister member 17 is formed in the purifier (4) is composed of a thin wire is tangled irregularly, the gas is sprayed through the water spray nozzle (6), After diluting and neutralizing the fine dust, nicotine, and tar of the smoke, the condensation is carried out through the first demister member 17 to drop and discharge, and the discharged smoke is filtered through the primary water spray.
  • the thin wire is irregularly entangled and filled through the second demister member (9) consisting of oil is removed to the wire while being removed, the second demister member (9) and the carbon fiber filter (10),
  • the activated carbon filter 11 passes through the HEPA filter 12 sequentially and is discharged to the room through the exhaust vent 16 through the purified air exhaust port 13.
  • the second demister member 9 is a demister filter, various bacteria in the air, viruses and odors, oil in the fine dust Filter, carbon fiber filter 10, ACF activated carbon fiber 11 is activated carbon filter, odor filtering, hepa filter 12 is a HEPA filter, to completely remove the fine dust, nicotine, tar in the remaining smoke It is responsible for filtering.
  • the fine dust, nicotine, tar in the smoke emitted by the smoker will be completely filtered, the smoker can move the device freely in the non-smoker where there is no smoking activity.
  • the pumped amount of the water and the amount of injection can be adjusted to quickly remove the fine dust, nicotine, tar by installing a purifier (4) for the discharged purified smoke.
  • the smoking FRAME 1 is adjusted to be movable and transported by mounting the handle 5; It is done.
  • the smoking inlet 2 of the smoking frame 1 is a suction frame 3 for guiding the inflow direction of the smoke into the purification device 4 so that the smoke is quickly sucked into the purification device 4 and not spread to the surroundings. It is installed; It is done.
  • the air purifying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various ways, such as a mobile configuration, fixed to the indoor or outdoor ground, or wall-mounted.
  •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 the plurality of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s 300 may be sequentially installed along the flow path.
  • the plurality of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s 300 may be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 plane, as shown in FIG. 8.
  • the partition member 111 may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so that air repeats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while dividing the plurality of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s 300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 the air passing through on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may pass through the next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filtering effect may be maximized.
  • the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 20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 each of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is preferably install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water particles falling through the neighboring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 the plurality of water particle injection units 200 may be selectively operated.
  • the two non-particle injection parts 200 are operated, but not limited thereto. If only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water particle injection parts 200 is operated, the other water particle injection parts 200 may be operated. Can optionally be operated as needed.
  • the inlet 11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st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on the flow path in the flow path forming unit 100, the outlet 120 is close to the last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on the flow path. Can be formed in position.
  • the inlet 110 may be provided with an air inlet member 130 for the external air inlet.
  • the air inlet member 130 may be connected to a configuration (eg, contaminated air discharge pipe of the kitchen hood) to discharge the air that needs to be cleaned.
  •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0 moves along the flow path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and then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other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and then through the outlet 120.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two inlets 110 passes through the two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s 300 and finally passes through the filter unit 700 to be discharged to the outlet 120.
  • the embodiment in which three or mor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is sequentially installed is also possible.
  •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part 300 may be photocatalytically coated.
  • the filter part 700 may be photocatalytically coat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 embodiment in which the photocatalyst is coat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s 300 is also possible.
  • Photocatalysts are a type of catalyst in which catalysis takes place with light energy, such as TiO 2 (anatase), TiO 2 (rutile), ZnO, CDS, ZRO 2 , SNO 2 , V 2 O 2 . WO 3 and the like, perovskite-type composite metal oxide (SRTIO 3 ) and the like.
  • the photocatalyst coating added to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and the filter unit 70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as long as it is optically active, has no photocorrosion, and is biologically or chemically inert.
  • the photocatalyst coating When the photocatalyst coating is added to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and the filter unit 700,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and has an excellent sterilizing power due to higher oxidation power than chlorine (CL 2 ) or ozone (O 3 ).
  • the photocatalyst coating may be add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and the filter unit 700, and preferably, the purified air is added to the filter unit 700 through which the purified air is finally passed.
  • the filter unit 700 is not necessarily a configuration that is essentially added to the optional configuration, and the same as the water particle collecting unit 300 is composed of a metal mesh member tangled with a metal yarn ( ⁇ ⁇ ) (demister May be absent).
  • the effect of the air purifying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ve major harmful gas test report (Report No .: CT17-105355), space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and Living Environment test performed on the air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ace This can be supported by a clean function report (report number: CT17-105356) and a collection efficiency report (CT17-1053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실내외의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정화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정화하는 공기정화장치(1000)로서, 상기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상기 외부공기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는 유로형성부(100)와;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미세화된 물입자를 상기 외부공기에 분사하는 물입자분사부(200)와;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공기로부터 유해물질을 포집한 물입자와 상기 외부공기가 통과되며 상기 물입자를 포집하는 물입자포집부(300)와; 상기 물입자포집부(300)를 통과한 외부공기가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외부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공기유동형성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1000)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공기정화장치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실내외의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정화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삶의 질 향상에 따른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우리나라의 성인남성 흡연율은 2010년 기준으로 39.6%로 감소추세에 있지만, OECD 국가 중에서는 가장 높은 흡연율을 보이고 있다. 한편,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정, 사무실, 음식점, 길거리 등에서 간접흡연의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수의 흡연자들도 간접흡연으로 타인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현재 공공장소에서의 흡연금지에 관한 법적/제도적 규제는 마련되어 있으나, 실질적인 관리/규제의 어려움과 흡연자의 낮은 인식수준으로 인하여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이 공공연하게 발생 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건물의 실내의 개인공간에서 비흡연자의 금연 요구로 인하여 흡연자에게는 흡연욕구를 해소하기 위한 많은 어려움이 있어 왔다.
또한 종래의 흡연부스 등은 공기청정기나 정화장치가 설치되는 단순한 구성이어서 흡연자용 부스 내부의 정화효과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부스내부의 정화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공기청정기나 정화장치를 고부하로 운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흡연자용 부스 내부의 담배연기로 오염된 공기가 흡연자의 출입시 개방되는 출입문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어 흡연자용 부스 주위 공기를 오염시킴에 따라 흡연자용 부스 주위에 위치한 비흡연자에게 간접흡연을 야기시키는 문제점도 함께 가지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초미세먼지나 방사성물질로 인한 실내외의 공기오염 문제가 건강 상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므로, 실내외 공기 중 담배연기나, 초미세먼지, 방사성물질 등의 유해물질을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외부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실내외의 공기 중의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분사노즐을 통하여 미세화된 물입자를 분사함으로써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포집하고, 이물질을 포집한 물입자가 공기의 흐름에 따라 함께 이동되며, 공기 및 물입자의 이동경로 상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물입자포집부에 의하여 물입자를 포집하고, 물입자가 포집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물입자포집부를 통과하는 외부공기 속의 담배연기와 같은 유해물질뿐만 아니라 아주 작은 크기의 미세먼지를 매우 높은 수준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외부에서 유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정화하는 공기정화장치(1000)로서, 상기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상기 외부공기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는 유로형성부(100)와;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미세화된 물입자를 상기 외부공기에 분사하는 물입자분사부(200)와;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공기로부터 유해물질을 포집한 물입자와 상기 외부공기가 통과되며 상기 물입자를 포집하는 물입자포집부(300)와; 상기 물입자포집부(300)를 통과한 외부공기가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외부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공기유동형성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1000)를 개시한다.
상기 물입자분사부(200) 및 상기 물입자포집부(300)는, 공기 유동방향을 따라 순차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입자분사부(200)는, 미세화된 물입자를 상기 유로에 분사되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노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장치(1000)는, 상기 물입자포집부(300)에 의해 포집된 후 응집되어 하측으로 낙하되는 물입자를 저장하는 물저장부(4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장치(1000)는, 상기 물저장부(400)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입자분사부(200)로 수송하는 물수송부(6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입자포집부(300)는, 금속사(金屬絲)가 뒤엉켜 형성된 금속망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망부재(310)는, SUS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장치(1000)는, 상기 물입자포집부(300)를 통과한 외부공기에 남은 잔여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7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700)는, 상기 물입자포집부(300)를 통과한 외부공기에 포함된 유증기를 제거하기 위한 유증기필터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700)는, 상기 유증기필터부(710)의 후단에 유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탄소섬유필터부(720), 활성탄필터부(730) 및 헤파필터부(740)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입자포집부(3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물입자포집부(300)들은, 상기 유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입자분사부(200)는, 상기 복수의 물입자포집부(300)들 마다 대응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물입자포집부(300)들은, 평면 상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금속망부재(310)는, 광촉매코팅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700)는, 광촉매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분사노즐을 통하여 미세화된 물입자를 분사함으로써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의 유해물질을 포집하고, 이물질을 포집한 물입자가 공기의 흐름에 따라 함께 이동되며, 공기 및 물입자의 이동경로 상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물입자포집부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의 물입자가 포집되어 제거되고, 물입자가 포집되어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물입자포집부를 통과하는 외부공기 중에 담배연기와 같은 오염물질 뿐만 아니라 아주 작은 크기의 미세먼지를 매우 높은 수준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을 통해 미세화된 물입잘를 분사하여 외부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공기 중에 존재하는 라돈과 같은 수용성 방사능물질을 함께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단면을 보여주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공기정화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공기정화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구성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분사노즐을 통하여 미세화된 물입자를 분사함으로써 공기에 포함된 물입자를 통하여 이물질을 포집하고, 공기의 이동경로 상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 물입자포집부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의 물입자를 포집하여 제거하고, 물입자가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물입자포집부를 통과하는 외부공기 속의 담배연기와 같은 오염물질 뿐만 아니라 아주 작은 크기의 미세먼지를 매우 높은 수준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물입자포집부에 의하여 포집된 물입자는, 물입자들의 응집현상에 의하여 자중에 의하여 하측으로 낙하함으로써 물입자포집부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물입자포집부의 실시예로서, SUS재질의 철사들이 뒤엉킨 소위 디미스터(demister)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미세한 물입자들이 물입자포집부를 통과하며 형성되는 큰 물방물과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포함한 유해물질이 결합되어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물입자포집부에 의해 형성되는 물방울이 외부 공기 속 유해물질과 결합된 상태로 공기정화장치 하측으로 제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외부 공기속의 미세먼지까지 높은 제거율로 제거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외부 공기를 정화하므로 외부 공기 중에 존재하는 라돈과 같은 수용성 방사능물질을 함께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100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유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정화장치(1000)로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외부공기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는 유로형성부(100)와; 유로 상에 설치되며, 외부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미세화된 물입자를 외부공기에 분사하는 물입자분사부(200)와; 유로 상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로부터 유해물질을 포집한 물입자를 포집하는 물입자포집부(300)와; 물입자포집부(300)를 통과한 외부공기가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도록 외부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공기유동형성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100)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외부공기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유로형성부(100)는, 유입구(110) 및 배출구(120)가 형성된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배출구(120)에 이르도록 내부에 다양한 구조에 의하여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프레임 및 프레임을 연결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판넬부 등으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유로형성부(1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는 설계 및 디자인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한정된 내부공간 내에서 상대적으로 긴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도 3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격벽부재(111)에 의하여 공기가 승강과 하강을 반복하도록 하여 공기가 흐르는 유로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0)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로서, 유로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유입구(110)는 유로형성부(100)에 형성되는 개구로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로 기능할 수 있으며, 장치 설계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유로형성부(10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20)는, 유입구(110)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공기정화장치(1000)를 통해 정화된 후 배출되는 개구로써, 장치 설계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유로형성부(10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유입구(110)와 배출구(120)가 연통되어 형성되며 공기가 흐르는 경로로 다양한 경로를 따라 구성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물입자분사부(200) 및 물입자포집부(300)를 통과하는 구간에서는 물입자분사부(200)에서 분사되는 물입자의 이동(유동)방향(하측방향, 중력방향)을 따라 외부공기가 이동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로형성부(100)는,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복수의 부재들(101, 102, 103, 104)이 결합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입자분사부(200)는, 외부공기가 흐르는 유로 상에 설치되며, 외부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미세화된 물입자를 외부공기 중으로 분사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물입자분사부(200)가 유로를 따라 흐르는 외부공기에 미세화된 물입자를 분사함으로써 외부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물입자와 혼합되어 미세화된 물입자에 포집될 수 있다.
상기 물입자분사부(200)는 유로 상에 설치된다면 다양한 방향을 향해 미세화된 물입자를 분사할 수 있으나, 분사된 물입자가 낙하하는 방향인 하측방향(중력방향)을 향해 물입자를 분사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상기 물입자분사부(200)는, 미세화된 물입자가 하측방향(중력방향)을 향해 분사되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노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210)은, 외부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정도로 입자화된 물을 분사하는 구성으로서, 물입자를 분사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노즐(210)은, 물공급장치(미도시)에 의하여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로서, 설계에 따라 다양한 내경을 가지는 노즐관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유해물질과 미세화된 물입자의 혼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0.05 mm 내지 0.2mm의 내경, 바람직하게는 0.1mm의 내경의 노즐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10μm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물입자가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많은 양의 물입자 분사를 위하여 물입자분사부(200)는, 복수의 노즐(210)들이 서로 결합되어 구성되거나, 하나의 부재에 복수의 분사노즐공이 형성되거나, 복수의 노즐(210)들이 각각 설치된 복수의 부재를 포함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입자분사부(20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라인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노즐(210)들을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물입자분사부(20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물입자분사부(200)는, 수도관, 후술하는 물수송부(600) 등 다양한 물공급장치에 의하여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물입자포집부(300)는, 유로 상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로부터 유해물질을 포집한 물입자와 외부공기가 통과되며 물입자를 포집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물입자포집부(300)는, 유로상 물입자분사부(200)와 배출구(120) 사이에 설치되며 유해물질을 포집한 물입자와 외부공기가 서로 같은 방향으로 통과될 수 있다.
상기 물입자포집부(300)는, 유해물질과 혼합된 미세화된 물입자는 물입자포집부(300)를 지나며 물입자포집부(300)에 응집됨으로써 크기가 큰 물입자(물방울)로 포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입자포집부(300)에 포집된 물입자에 물입자포집부(300)를 통과하는 외부공기 속 유해물질이 결합될 수 있고, 유해물질과 결합된 물입자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물입자포집부(300)에 포집된 물입자가 유해물질과 함께 자연스럽게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물입자분사부(200) 및 물입자포집부(300)는, 공기 유동방향을 따라 순차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입자포집부(300)는, 물입자를 포집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나,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사(金屬絲)가 뒤엉켜 형성된 금속망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망부재(310)는, 금속사들이 불규칙적으로 뒤엉켜 미리 설정된 두께로 층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금속사의 두께 및 층의 두께가 다양하게 설정될 있다.
또한 상기 금속망부재(310)는, 포집된 물입자의 포집효과를 고려하여 복층으로 설치되거나, 금속사의 직경의 크기를 달리하는 층들이 복층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망부재(310)는, 복층으로 설치될 때 상면 및 하면, 층과 층사이에 매쉬구조의 보강프레임이 설치될 수 있다.한편 상기 물입자포집부(300)는, 금속망부재(310)의 안정적 설치를 위하여 금속망부재(310)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32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320)은, 금속망부재(3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금속망부재(320)의 설치를 보조하는 구성으로서, 앞서 설명한 보강프레임으로 구성되거나, 금속망부재(320)를 지지하는 구조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금속망부재(310) 및 고정프레임(320)는, 반영구적인 사용을 위하여 SUS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망부재(310)는, SUS재질의 직경이 매우 작은 철사들이 뒤엉킨 소위 디미스터(demister)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입자포집부(300) 및 물입자분사부(200)는, 공기가 흐르는 유로 상에 단일 지점에서 설치되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물입자에 의한 유해물질의 포집 및 물입바포집부에 의한 물입자의 제거 원리에 의하여 설치구조 및 설치형태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물입자포집부(300) 및 물입자분사부(200) 중 적어도 하나는, 공기가 흐르는 유로 상에 유해물질의 제거효과를 극대화하는 측면에서 복수의 지점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정화장치(1000)는, 물입자포집부(300)에 의해 포집된 후 응집되어 하측으로 낙하되는 물입자를 저장하는 물저장부(4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저장부(400)는, 일정 시간 이상의 사용후에 물의 제거 등을 위하여 교체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저장부(400)는, 공기정화장치(1000)의 하측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물입자포집부(300)를 통과하여 응집된 물방울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공기정화장치(1000)는, 물저장부(400)에 저장된 물을 물입자분사부(200)로 수송하는 물수송부(6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수송부(600)는, 물저장부(400)에 있는 물을 물입자분사부(200)까지 끌어올려 순환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한다.
예로서, 상기 물수송부(600)는, 물입자분사부(200)와 물저장부(400) 사이에서 물이 순환하도록 하는 펌프(610) 및 물이 물저장부(400)에서 물입자분사부(200)까지 이동하기 위한 관부(6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저장부(400)는, 저면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물저장부(400)의 일측과 타측을 구분하는 칸막이부(4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칸막이부(410)로 구분된 물저장부(400)의 일측에는, 낙하한 물에 포함된 물보다 무거운 유해물질(402, 슬러지, 가라앉은 미세먼지 등)이 가라앉아 일정 시간이 흐른 뒤 물저장부(400)의 바닥면에 쌓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저장부(400)의 일측에는, 바닥면에 쌓인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슬러지배출부(42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유해물질이 가라앉은 물은 칸막이부(410)의 타측으로 넘어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칸막이부(410)의 타측으로 넘어간 물은 상술한 물수송부(600)를 통해 물입자분사부(200)로 수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저장부(400)에는, 저장된 물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거나 또는 물을 자동으로 보충하거나 교환하기 위한 센서부(430)가 설치될 수 있고, 센서부(430)의 신호를 수신하여 물보충이나 교환이 필요할 때 물의 공급이나 배출을 조절하는 전자밸브(440)를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형성부(500)는, 물입자포집부(300)를 통과한 외부공기가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도록 외부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팬(fan)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공기유동형성부(500)는, 유입구(110)로부터 배출구(120)로의 외부공기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의 경우 공기유동형성부(500)가 배출구(120) 측에 설치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물입자분사부(200)에서 분사되는 미세한 물입자는 물저장부(400)를 통해 공기정화장치(1000) 내에서 순환될 수 있으며, 물입자포집부(300)를 통과한 외부공기는 응집되어 물저장부(400)로 낙하하는 물방울을 지나 배출구(120)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외부공기에 포함되는 냄새입자(탈취), 유증기, 미세먼지(초미세먼지), 유해물질(담배연기) 등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또한 수용성인 라돈과 같은 방사능 물질도 물에 녹아 제거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공기정화장치(1000)가 물입자분사부(200)와 물입자포집부(300)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외부공기에 물입자에 의하여 포집될 수 없는 잔여 유해물질이 잔존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1000)는, 물입자포집부(300)를 통과한 외부공기에 남은 잔여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7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700)는, 물입자포집부(300)를 통과한 외부공기가 흐르는 유로 상에 설치되며, 물입자포집부(300)를 통해 응집되어 낙하하는 물입자와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필터부(7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입자분사부(200) 및 물입자포집부(300)가 설치되는 제1하우징(101)과 별도로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제2하우징(10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700)는, 물입자포집부(300)를 통과한 외부공기에 포함된 유증기를 제거하기 위한 유증기필터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증기필터부(710)는, 외부공기에 포함되는 유증기(기름성분)뿐만 아니라 미세먼지(초미세먼지)나 냄새입자도 함께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유증기필터부(710)는, 상술한 물입자포집부(300)와 달리 물입자를 포집하지 않는 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물입자포집부(30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증기필터부(710)는, 금속사(金屬絲)가 뒤엉켜 형성된 금속망부재와, 금속망부재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증기필터부(710)를 외부공기가 통과하며 외부공기에 포함된 기름성분이 유증기필터부(710)에 걸려져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700)는, 유증기필터부(710)의 후단에 유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탄소섬유필터부(720), 활성탄필터부(730) 및 헤파필터부(7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섬유필터부(720) 및 활성탄필터부(730)를 통해, 외부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0.3μm까지 필터링될 수 있고, 탄소섬유와 활성탄(ACF 활성탄)으로 미세한 냄새입자까지 정화될 수 있다.
상기 탄소섬유필터부(720) 및 활성탄필터부(730)는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헤파필터부(740)는, HEPA filter로서, 외부공기 중 남아있는 미세먼지(초미세먼지), 유해물질(니코틴, 타르 등)을 최종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1000)는, 이러한 유증기필터부(710), 탄소섬유필터부(720), 활성탄필터부(730), 및 헤파필터부(740)를 순차적으로 거쳐 정화된 공기를 배출구(120)를 통해 공기정화장치(100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1000)는, 헤파필터부(740)만을 교체하면 되고, 니코틴이나 타르 등의 담배연기에 노출되지 않는다면 헤파필터부(740) 또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1000)가 응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연시 배출되는 연기, 니코틴, 타르, 유해세균을 제거하는 개인용 이동식 흡연장치를 살펴보면,
본 발명은 장치FRAME(1)내에 정화장치(4)를 설치하여, 흡연자가 흡연 시 연기를 장치에 바로 주입하여 흡연자가 뿜어내는 연기가 주위로 확산되지 않고 빠르게 정화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시 연기 속 냄새와 니코틴, 타르와 같은 유해세균을 제거하여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건강을 예방할 수 있는 흡연시 배출되는 연기, 니코틴, 타르와 같은 유해세균을 제거하는 개인용 이동식 흡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화장치(4)는 교체용물통(8)이 물분사후배기구(7)와 연결설치되고 WATER PUMP(15)는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정화장치(4)에 연결되어 흡입배기휀(14)의 설치로 흡연 흡입구(2)와 정제공기배기구(13)가 관통되어 설치되며; 상기 정화장치(4)에 연결되어 설치된 흡입배기휀(14)이 흡연 흡입구(2)를 통해 유입된 연기를 연장하여 정제공기배기구(13)로 토출된 연기는 흡연 FRAME(1)의 배기통풍구(16)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흡연자가 뿜는 연기를 장치FRAME(1)내에 정화장치(4)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배기휀(14)이 설치가 설치되며; 상기 교체용물통(8)의 물의 순환을 위한 WATER PUMP(15)가 설치되고; 정화장치(4)에 연결되어 흡입배기휀(14)이 설치되어 정제공기배기구(13)를 통해 순환되게 설치되며;
상기 흡연 흡입구(2)의 배기통풍구(16)는 정화장치(4)의 정제공기배기구(13)에 관통되어 흡연 FRAME(1)의 배기통풍구(16)로 연장되며 정화장치(4) 측면에 흡입배기휀(14)이 설치되어 연기기를 흡입하고 흡연 흡입구(2)를 통해 흡입된 연기는 물분사노즐(6)면으로 토출되어 정화장치(4)에 연결되어 설치된 WATER PUMP(15)를 통해 교체용물통(8)의 물을 펌핑하여 물을 분사시켜, 흡연 흡입구(2)를 통해 흡입 된 연기의 미세먼지, 니코틴, 타르를 희석시키고 물에 중화하여 제거시킨 후, 물이 분사되는 하단면에 연결된 물분사후 배기구(7)에 미세먼지, 니코틴, 타르가 희석된 물을 토출시키고;
상기 정화장치(4) 내부에는 가느다란 철사가 불규칙적으로 엉켜지며 채워져 구성되는 제 1데미스터부재(17)가 설치되어, 물분사노즐(6)을 통해 기체화되어 분사되는 물이, 연기의 미세먼지, 니코틴, 타르를 희석시키고 중화하여 제거된 후, 제 1데미스터부재(17)를 거치면서 응축되어 방울형태로 낙하되도록 하며,
토출면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가느다란 철사가 불규칙적으로 엉켜지며 채워져 구성되는 제 2데미스터부재(9)를 거치면서 기름기가 철사에 뭍으면서 제거되고, 탄소섬유필터(10), 활성탄필터(11), 헤파필터(12)를 연속적으로 거치면서 미세먼지, 니코틴, 타르를 최종적으로 모이게 한 다음 헤파필터(12)만을 교체하여 소각함으로서 미세먼지, 니코틴 타르가 없는 깨끗한 공기를 배기통풍구(16)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된 정화된 연기를 정화장치(4)를 설치하여 미세먼지 및 니코틴, 타르를 신속하게 제거하도록, 물의 펌핑량과 분사량이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흡연 FRAME(1)은 손잡이(5)를 장착하여 이동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흡연 FRAME(1)의 흡연 흡입구(2)에는 연기가 정화장치(4)로 신속하게 흡입되고 주위로 확산되지 않도록, 연기의 유입방향을 가이드하는 흡입FRAME(3)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데미스터부재를 이용한 흡연시 배출되는 연기, 니코틴, 타르, 유해세균을 제거하는 개인용 이동식 흡연장치에 있어서,
이는 기존에 사용되는 흡연부스의 개념을 완전히 바꿔 독립적이면서 최소의 공간에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비흡연자의 불쾌감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흡연자의 흡연욕구를 충족시켜 흡연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여 흡연자의 건강증진에도 기여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흡연 FRAME(1)의 외관에 흡연자가 바로 연기를 뿜어 낼 수 있는 흡연 흡입구(2)가 설치되며 흡연 흡입구(2) 연결하여 연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장치(4)가 설치되며; 정화장치(4)는 교체용물통(8)과 WATER PUMP(15)가 설치가 각각을 연결하는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설치되고; 정화장치(4)에 연결 되어 설치된 흡입배기휀(14)이 흡연 흡입구(2)를 통해 유입된 연기를 연장하여 정제공기배기구(13)로 토출된 연기는 흡연 FRAME(1)의 배기통풍구(16)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정화장치(4)는 손잡이(5) 장착을 포함한 별도의 흡연 FRAME(1)에 장착되어 이동이 편리하게 고안되었고 흡연자가 불편함 없이 흡연을 할 수 있으며, 흡연자의 흡연 동안에도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매우 깔끔하며, 독립형이므로 보관이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흡연자가 뿜는 연기를 정화장치(4)내부로 흡입하고, 필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정화장치(4)의 외부 측면 흡연 흡입구(2) 내고 흡입배기휀(14)이 장착 된 개인용 이동식 흡연장치가 설치 되는 것이다.
상기 흡입배기휀(14)는 흡연자가 뿜는 연기를 정화장치(4)의 흡연 흡입구(2)를 통해 물분사노즐(6)흡입면으로 유입하고 유입된 연기는 상기 WATER PUMP(15)를 통해 교체용물통(8)의 물을 펌핑하여 물분사노즐(6)을 통해 물을 분사시켜, 흡입 된 연기의 미세먼지, 니코틴, 타르를 희석시키고 물에 중화하여 제거시킨 후, 물이 분사되는 하단면으로 미세먼지, 니코틴, 타르가 희석된 물을 토출시킨다.
이때, 상기 정화장치(4) 내부에는 가느다란 철사가 불규칙적으로 엉켜져 채워지며 구성되는 제 1데미스터부재(17)가 설치되어, 물분사노즐(6)을 통해 기체화되어 분사되는 물이, 연기의 미세먼지, 니코틴, 타르를 희석시키고 중화하여 제거한 후, 제 1데미스터부재(17)를 거치면서 응축되어 방울형태로 낙하되며 토출되도록 하고, 1차 물분사를 통해 필터링된 후 토출된 연기는 가느다란 철사가 불규칙적으로 엉켜져 채워지며 구성되는 제 2데미스터부재(9)를 거치면서 기름기가 철사에 뭍으면서 제거되되, 이러한 제 2데미스터부재(9) 및 탄소섬유필터(10), 활성탄필터(11) 헤파필터(12)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정제공기배기구(13)를 거쳐 배기통풍구(16)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물분사노즐(6)을 통한 필터링은 연기속의 미세먼지, 니코틴, 타르를 필터링하고, 제 2데미스터부재(9)는 demister filter로서, 공기 속 각종 세균, 바이러스와 냄새, 미세먼지 속 기름기를 필터링시키고, 탄소섬유필터(10), ACF 활성탄 섬유(11)는 activated carbon filter로서, 냄새를 필터링시키고, 헤파필터(12)는 HEPA filter로서, 남아있는 연기속의 미세먼지와 니코틴, 타르를 완벽하게 필터링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다양한 필터를 거치면서, 흡연자가 뿜는 연기속에 있는 미세먼지, 니코틴, 타르를 완벽하게 필터링되는 것이며, 흡연자는 비흡연자가 있는 곳이든 없는 곳이든 자유롭게 장치를 이동하여 흡연활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토출된 정화된 연기를 정화장치(4)를 설치하여 미세먼지 및 니코틴, 타르를 신속하게 제거하도록, 물의 펌핑량과 분사량이 조절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흡연 FRAME(1)은 손잡이(5)를 장착하여 이동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조정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흡연 FRAME(1)의 흡연 흡입구(2)는 연기가 정화장치(4)로 신속하게 흡입되고 주위로 확산되지 않도록, 연기의 유입방향을 정화장치(4) 내로 가이드하는 흡입FRAME(3)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100)는, 이동식으로 구성되거나, 실내외 지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벽걸이형 등으로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물입자포집부(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물입자포집부(300)들은, 상기 유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물입자포집부(300)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격벽부재(111)는 복수의 물입자포집부(300)들 사이를 수평방향을 따라 구분하면서 공기가 승강과 하강을 반복하도록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나의 물입자포집부(300)를 통과한 공기는 이웃하는 다음 물입자포집부(300)를 다시 통과할 수 있고 필터링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입자분사부(200)는, 복수의 물입자포집부(300)들 마다 대응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입자포집부(300) 각각은 이웃하는 물입자포집부(300)를 통해 응집되어 낙하하는 물입자와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입자분사부(200)가 물입자포집부(300) 마다 대응되어 복수개로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물입자분사부(200)들은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도 8의 경우 2개의 불입자분사부(200) 모두 작동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물입자분사부(200)들 중 적어도 하나만 작동된다면 다른 물입자분사부(200)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구(110)는 유로형성부(100)내의 유로 상 첫번째 물입자포집부(300)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출구(120)는 유로 상 마지막 물입자포집부(300)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0)에는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공기유입부재(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부재(130)는, 정화가 필요한 공기를 배출하는 구성(예로서, 주방후드의 오염된 공기 배출관)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유로를 따라 이동하다가 첫번째 물입자포집부(300)를 통과하며, 이후 순차적으로 다른 물입자포집부(300)(들)를 통과한 후 배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8의 경우, 두 개의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두 개의 물입자포집부(300)를 통과한 뒤 최종적으로 필터부(700)를 통과해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세 개 이상의 물입자포집부(30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실시예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물입자포집부(300)(금속망부재(310) 및 상기 필터부(700) 중 적어도 하나는, 광촉매코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필터부(700)가 광촉매코팅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물입자포집부(300) 중 하나 이상에 대해 광촉매코팅되는 실시예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광촉매란 촉매의 한 종류로서 촉매작용이 빛에너지를 받아 일어나는 것으로, 예로서, TiO2(anatase), TiO2(rutile), ZnO, CDS, ZRO2, SNO2, V2O2. WO3 등과 페롭스카이트형 복합금속산화물(SRTIO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입자포집부(300) 및 필터부(700)에 부가되는 광촉매코팅은 광학적으로 활성이있으며 광부식이 없고, 생물학적으로나 화학적으로 비활성이라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물입자포집부(300) 및 필터부(700)에 광촉매코팅을 부가하는 경우,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염소(CL2)나 오존(O3)보다 산화력이 높아 살균력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상기 광촉매코팅은 복수의 물입자포집부(300) 및 필터부(700) 중 적어도 하나에 부가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정화된 공기가 마지막으로 통과되는 필터부(700)에 부가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필터부(700)는 선택적 구성으로 필수적으로 부가되는 구성이 아님은 물론이며, 상기 물입자포집부(300)와 동일하게 금속사(金屬絲)가 뒤엉켜 형성된 금속망부재로 구성(데미스터부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1000)의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를 대상으로 수행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5대유해가스 성적서(성적서번호 : CT17-105355), 공간청정기능 성적서(성적서번호 : CT17-105356), 및 집진효율 성적서(CT17-105357)를 통해 뒷받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4)

  1. 외부에서 유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정화장치(1000)로서,
    상기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상기 외부공기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는 유로형성부(100)와;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미세화된 물입자를 상기 외부공기에 분사하는 물입자분사부(200)와;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공기로부터 유해물질을 포집한 물입자와 상기 외부공기가 통과되며 상기 물입자를 포집하는 물입자포집부(300)와;
    상기 물입자포집부(300)를 통과한 외부공기가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외부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공기유동형성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10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입자분사부(200) 및 상기 물입자포집부(300)는, 공기 유동방향을 따라 순차로 설치되며,
    상기 물입자분사부(200)는, 상기 유로 상에 미세화된 물입자를 분사하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노즐(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1000).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물입자포집부(300)에 의해 포집된 후 응집되어 하측으로 낙하되는 물입자를 저장하는 물저장부(40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1000).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부(400)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입자분사부(200)로 수송하는 물수송부(60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1000).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입자포집부(300)는,
    금속사(金屬絲)가 뒤엉켜 형성된 금속망부재(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1000).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금속망부재(310)는, SUS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1000).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입자포집부(300)를 통과한 외부공기에 남은 잔여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70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1000).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700)는,
    상기 물입자포집부(300)를 통과한 외부공기에 포함된 유증기를 제거하기 위한 유증기필터부(7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1000).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700)는,
    상기 유증기필터부(710)의 후단에 유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탄소섬유필터부(720), 활성탄필터부(730) 및 헤파필터부(740)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1000).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물입자포집부(300)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물입자포집부(300)들은, 상기 유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1000).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물입자분사부(200)는, 상기 복수의 물입자포집부(300)들 마다 대응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1000).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물입자포집부(300)들은, 평면 상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1000),
  13.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망부재(310)는, 광촉매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1000).
  14.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700)는, 광촉매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1000).
PCT/KR2019/007861 2018-07-02 2019-06-28 공기정화장치 WO202000937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76645 2018-07-02
KR10-2018-0076645 2018-07-02
KR10-2018-0086785 2018-07-25
KR20180086785 2018-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09376A1 true WO2020009376A1 (ko) 2020-01-09

Family

ID=69059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7861 WO2020009376A1 (ko) 2018-07-02 2019-06-28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2512B1 (ko)
WO (1) WO202000937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9600A (zh) * 2021-05-25 2021-08-27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有限公司 尾气净化装置及防爆柴油机
CN113731076A (zh) * 2021-09-09 2021-12-03 北京城建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扬尘治理装置
CN115263025A (zh) * 2022-06-14 2022-11-01 江西欣盛泰实业有限公司 可移动式工程智能吸烟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907B1 (ko) * 2020-05-13 2023-12-28 (주)삼영메탈 공기정화장치
KR102663320B1 (ko) * 2023-07-13 2024-05-07 노호양 조리시스템 및 조리시스템에 사용되는 공기정화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6173A (ja) * 1999-04-14 2000-10-24 Denkosha Keisoku Kk 空気浄化方法
KR20060018557A (ko) * 2004-08-25 2006-03-02 이용호 세척수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및 그 공기조화 방법
KR20090085629A (ko) * 2006-11-01 2009-08-07 미사와 홈스 컴파니 리미티드 공기 정화장치
KR20110093307A (ko) * 2010-02-12 2011-08-18 주식회사 그린에어월드 주방용 후드와 그 작동방법
KR101545182B1 (ko) * 2014-06-25 2015-08-19 주식회사 반딧불 유기성폐기물 처리시설의 대기 오염물질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1677B2 (ja) * 2002-02-05 2008-01-30 アイシン機工株式会社 オイルミスト除去用空気調和機
KR100566330B1 (ko) * 2003-09-17 2006-04-04 주식회사 태멘시스템 습식 공기청정기
KR101791677B1 (ko) * 2016-09-12 2017-10-30 류이하 습식 공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6173A (ja) * 1999-04-14 2000-10-24 Denkosha Keisoku Kk 空気浄化方法
KR20060018557A (ko) * 2004-08-25 2006-03-02 이용호 세척수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및 그 공기조화 방법
KR20090085629A (ko) * 2006-11-01 2009-08-07 미사와 홈스 컴파니 리미티드 공기 정화장치
KR20110093307A (ko) * 2010-02-12 2011-08-18 주식회사 그린에어월드 주방용 후드와 그 작동방법
KR101545182B1 (ko) * 2014-06-25 2015-08-19 주식회사 반딧불 유기성폐기물 처리시설의 대기 오염물질 처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9600A (zh) * 2021-05-25 2021-08-27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有限公司 尾气净化装置及防爆柴油机
CN113731076A (zh) * 2021-09-09 2021-12-03 北京城建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扬尘治理装置
CN113731076B (zh) * 2021-09-09 2023-02-17 北京城建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扬尘治理装置
CN115263025A (zh) * 2022-06-14 2022-11-01 江西欣盛泰实业有限公司 可移动式工程智能吸烟亭
CN115263025B (zh) * 2022-06-14 2023-05-30 江西欣盛泰实业有限公司 可移动式工程智能吸烟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724A (ko) 2020-01-10
KR102642512B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09376A1 (ko) 공기정화장치
KR101898674B1 (ko) 데미스터 필터를 이용한 흡연시 배출되는 연기, 니코틴, 타르, 유해세균을 제거하는 개인용 이동식 흡연장치
WO2018048204A1 (ko) 습식 공기세척기
KR102032381B1 (ko) 광고 기능을 갖는 초미세먼지 제거장치
WO2009104411A1 (ja) 集塵装置
KR101752965B1 (ko)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방법 및 그 장치
WO2021096088A1 (ko) 흡연용 부스
JP4329657B2 (ja) ガス清浄装置
KR102033486B1 (ko) 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및 연기 배출 시스템
KR102214470B1 (ko) 분무노즐을 이용해 집진판의 세척이 가능한 공기정화장치
KR20040031624A (ko) 공기 청정 장치
KR102617907B1 (ko) 공기정화장치
DE102005011307B4 (de) Raucherfass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Tabakrauch
KR20150042902A (ko)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WO2018021640A1 (ko) 미생물을 이용한 습식 스크러버 및 상기 스크러버를 이용한 유해공기 정화방법
US20110283887A1 (en) Gas cleaner
WO2024106851A1 (ko)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KR101532936B1 (ko) 복합전기집진 구조를 갖는 인테리어형 클린흡연부스
JP2004347165A (ja) 空気清浄化装置
WO2020213908A1 (ko)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KR20220010670A (ko) 고체입자 운송을 위한 상차시스템
WO2019194333A1 (ko) 청정 공기 공급기,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
KR101573398B1 (ko) 하이브리드 환기구조를 갖는 흡연부스
KR200367963Y1 (ko) 공기청정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JP2018069196A (ja) 乾式集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297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297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