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106851A1 -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106851A1
WO2024106851A1 PCT/KR2023/017991 KR2023017991W WO2024106851A1 WO 2024106851 A1 WO2024106851 A1 WO 2024106851A1 KR 2023017991 W KR2023017991 W KR 2023017991W WO 2024106851 A1 WO2024106851 A1 WO 20241068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nozzle
water
electrostatic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799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정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빌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빌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빌바이오
Publication of WO20241068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106851A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은, 흡입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정전분무를 통해 분사된 액적을 통해 제거하고, 오염물질이 제거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전방에 형성된 흡입홀과 연통되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외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케이스부의 전방에 형성되되, 상기 흡입홀의 상부측에 배치된 배출홀과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의 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배출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정전분무를 발생시키는 정전분무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정전분무에 이용되는 물을 공급하며, 상기 정전분무에 의해 발생된 연무가 낙하되어 수집되고, 수집된 물이 상기 정전분무에 공급되는 순환 경로를 제공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본 발명은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흡입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정전분무를 통해 분사된 액적을 통해 제거하고, 오염물질이 제거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먼지 등에 의한 대기 환경 오염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대기 환경에 대한 관심은 전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대기 환경 오염에 대응하기 위하여 실내에서는 공기 청정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산업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헤파필터 방식 공기청정 시스템이다.
그런데 이러한 필터 방식 공기청정 시스템은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 소음, 에너지 손실, 2차 유해물질 발생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잦은 필터 교체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소음이나 에너지 손실 없이 친환경적으로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정전분무를 통해 분사된 액적을 통해 제거하고, 오염물질이 제거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은, 흡입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정전분무를 통해 분사된 액적을 통해 제거하고, 오염물질이 제거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전방에 형성된 흡입홀과 연통되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외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케이스부의 전방에 형성되되, 상기 흡입홀의 상부측에 배치된 배출홀과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의 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배출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정전분무를 발생시키는 정전분무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정전분무에 이용되는 물을 공급하며, 상기 정전분무에 의해 발생된 연무가 낙하되어 수집되고, 수집된 물이 상기 정전분무에 공급되는 순환 경로를 제공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부를 통해 상기 하부공간으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정전분무부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공간을 통해 상기 배출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의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수조부, 상기 정전분무부에 연결되고, 물이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정전분무배관 및 상기 수조부와 상기 정전분무배관 사이에 형성된 채, 상기 수조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정전분무배관으로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정전분무부는, 인가된 전원으로 일정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발생부, 상기 정전분무배관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연무 형태의 미세액적으로 분사하는 분무노즐부 및 상기 분무노즐부를 포위한 채, 상기 하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상부공간으로의 공기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분무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발생부는, 상기 분무노즐부를 통해 분사되는 액적이 전기적 성질을 띠도록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의 상기 분무노즐부는, 상기 정전분무배관과 연결되는 메인노즐부 및 상기 메인노즐부로부터 분기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분기노즐봉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노즐부는, 일측은 개구되어 상기 정전분무배관과 연통되고, 타측은 폐쇄되어 수용된 물이 상기 복수의 분기노즐봉으로 분사되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분기노즐봉은, 상기 메인노즐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분사 내경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노즐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수압 상승에 따른 분사력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분기노즐봉은, 제1 내경으로 형성된 제1 노즐봉, 상기 제1 내경보다 작은 제2 내경으로 형성된 제2 노즐봉, 상기 제2 내경보다 작은 제3 내경으로 형성된 제3 노즐봉 및 상기 제3 내경보다 작은 제4 내경으로 형성된 제4 노즐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노즐부는, 상기 제1 노즐봉과 상기 제2 노즐봉이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3 노즐봉과 상기 제4 노즐봉이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제2 구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노즐봉과 상기 제2 노즐봉은, 상기 메인노즐부의 상부측에서 하부측을 향한 상기 제1 구간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번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3 노즐봉과 상기 제4 노즐봉은, 상기 제1 구간의 하부측의 상기 제2 구간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의 상기 제1 노즐봉은, 분사 내경이 0.66 내지 0.70mm이며, 상기 제2 노즐봉은, 분사 내경이 0.49 내지 0.53mm이며, 상기 제3 노즐봉은, 분사 내경이 0.30 내지 0.34mm이며, 상기 제4 노즐봉은, 분사 내경이 0.26 내지 0.29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의 상기 제1 노즐봉과 상기 제2 노즐봉은, 3번 교번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3 노즐봉과 상기 제4 노즐봉은, 2번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은, 사용자가 설정한 주기에 따라, 상기 흡입부 및 상기 전압발생부를 제어하는 모드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제어부는, 상기 흡입부를 통해 이동된 내기를 정화하는 정화모드와 상기 분무원통부의 내주면이 세척되도록 하는 세척모드를 구현하고,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세척모드가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의 상기 모드제어부는, 상기 정화모드인 경우, 상기 흡입부 구동, 상기 전압발생부 구동, 상기 분무노즐부 구동되도록 하며, 상기 세척모드인 경우, 상기 흡입부 구동 정지, 상기 전압발생부 구동 정지, 상기 분무노즐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의 상기 메인노즐부는, 상기 정전분무배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모드제어부는, 상기 세척모드인 경우, 상기 메인노즐부가 상기 정전분무배관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의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수조부에서 발생된 에어를 제거하는 에어퍼지탱크부, 상기 수조부에 수용된 물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살균하는 수중필터부, 외부로부터 상수를 급수받는 급수배관 및 상기 수조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조절측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위조절측정부에 측정된 상기 수조부의 수위에 따라 상기 급수배관을 제어하는 수위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위제어부는, 상기 수위조절측정부에 측정된 상기 수조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보다 낮은 경우, 상수가 상기 급수배관을 통해 상기 수조부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의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홀과 연통되며, 상기 상부공간과 연통되는 일정공간을 형성하는 배출공간부 및 상기 배출공간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공간 내의 내기가 필터링 된 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필터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필터부는, 내기 내의 수분을 제거하는 데미시터부, 상기 데미시터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내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부, 상기 자외선조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오존을 제거하는 카본 활성화부 및 상기 카본 활성화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내기에 방향물질을 공급하는 방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 제품(공기정화 시스템)으로 이산화탄소/미세먼지/총부유세균/총휘발성유기화합물을 동시에 저감 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집진용 필터가 없어 시스템의 압력손실이 낮으며, 소음발생이 적다.
또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산소의 산화로 인한 오존이 용존 되어 가스상 오존 발생량이 적다.
그리고, 기존 시스템 대비 헤파(혹은 미디엄)필터 교환, 약품 등의 유지보수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측면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전면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후면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의 분무노즐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의 배출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측면 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전면 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후면 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1, 이하 공기정화 시스템)은, 흡입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정전분무를 통해 분사된 액적을 통해 제거하고, 오염물질이 제거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1)이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 시스템(1)은, 케이스부(10), 흡입부(20), 배출부(30), 정전분무부(40) 및 물공급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전면에는 사용자가 후술할 설정사항들을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P)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20)는, 상기 케이스부(10)의 전방에 형성된 흡입홀과 연통되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외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흡입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30)는, 상기 케이스부(10)의 전방에 형성되되, 상기 흡입홀의 상부측에 배치된 배출홀과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의 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전분무부(40)는, 상기 수용공간 중 상부공간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정전분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정전분무부(40)는, 고하전이 걸려 있는 미세 액적이 주위의 미세먼지와 직/간접적 충돌하고, 상호 흡착됨으로써 높은 효율로 미세먼지를 포집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1~20 ㎛ 사이의 미세 액적은 표면에 수산화 이온(OH-)이 자발적으로 생성되며, 높은 전기장 세기로 인해 수산화 이온이 수산화 라디컬로 변함과 동시에 2개의 수산화 라디컬이 결합하여 과산화수소수가 생성된다.
또한, 미세 액적은 코로나 방전으로 생성된 오존을 바로 용존 시킴으로써, 실내 공기 내 세균,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산화반응을 통해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초미세먼지도 매우 작은 미세 액적의 브라운 운동에 의해 하전 되어 집진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전분무부(40)는, 오염물질을 별도의 필터 없이 물 만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CO2) /미세먼지/부유세균/VOC 등을 동시에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50)는, 상기 케이스부(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정전분무부(40)에 이용되는 물을 공급하며, 상기 정전분무부(40)에 의해 발생된 연무가 낙하되어 수집되고, 수집된 물이 상기 정전분무부(40)에 공급되는 순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50)는, 수조부(51), 정전분무배관(53), 공급펌프(5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조부(51)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후술할 분무노즐부(43)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무노즐부(43)에 의해 분사된 미세액적이 자중 또는 응집에 의해 낙하되면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정전분무배관(53)은, 상기 정전분무부(40)에 연결되고, 물이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전분무배관(53)은 상기 수조부(51)로부터, 상기 수조부(51)의 상부측에 위치한 상기 정전분무부(40)로의 물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수조부(51) 내의 물이 상기 공급펌프(55)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정전분무부(4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20)를 통해 상기 하부공간으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정전분무부(40)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공간을 통해 상기 배출부(3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정전분무부(40)는, 전압발생부(41), 분무노즐부(43) 및 분무원통부(45)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전분무부(40a, 40b)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전압발생부(41a, 41b), 분무노즐부(43a, 43b), 분무원통부가 2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압발생부(41)는, 인가된 전원으로 일정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발생부(41)는, 상기 분무노즐부(43)를 통해 분사되는 액적이 전기적 성질을 띠도록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분무노즐부(43)는, 상기 정전분무배관(53)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연무 형태의 미세 액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무노즐부(43)는, 상기 정전분무배관(53)과 연결되는 메인노즐부(431) 및 상기 메인노즐부(431)로부터 분기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분기노즐봉(43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인노즐부(431)는, 일측은 개구되어 상기 정전분무배관(53)과 연통되고, 타측은 폐쇄되어 수용된 물이 상기 복수의 분기노즐봉(433)으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인노즐부(431)는, 기립된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분기노즐봉(433)은 상기 메인노즐부(43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형성되어,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노즐부(431)는, 상기 정전분무배관(53)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관한 기술적 특징은, 이하 모드제어부(60)에서 구체적으로 다루기로 한다.
상기 복수의 분기노즐봉(433)은, 상기 메인노즐부(43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분사 내경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노즐부(431)의 길이방향으로의 수압 상승에 따른 분사력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노즐부(431)의 타측은 폐쇄되어 일측으로부터 유입된 물에 의한 압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며,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분기노즐봉(433) 중 상기 메인노즐부(431)의 하부측에 배치될수록 수압이 세져, 분사력이 커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분기노즐봉(433)의 분사 내경을 달리하여, 상기 메인노즐부(431)의 길이방향으로의 분사력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분기노즐봉(433) 중, 상기 메인노즐부(431)의 하부측에 배치될수록 분사 내경을 작게 하여, 상기 메인노즐부(431) 상의 물이 원활히 나가도록 함으로써, 압력 상승 효과를 낮추는 것이다.
만약, 복수의 분기노즐봉(433)이 동일한 분사 내경을 갖는 경우, 메인노즐부(431)의 하부측으로 갈수록 커지는 수압에 의해 하부측의 분기노즐봉(433)의 분사력이 상대적으로 커져, 분무원통부(45) 내에서 균일한 미세 액적 분포에 방해를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분기노즐봉(433)은 그 분사 내경을 작용 수압에 따라 상이하도록 함으로써, 분무원통부(45) 내의 균일한 미세 액적 분포를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분무원통부(45)는, 상기 분무노즐부(43)를 포위한 채, 상기 하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상부공간으로의 공기 유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분무원통부(45)는 하부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무노즐부(43)에 의해 분사된 미세 액적이 체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흡입된 공기가 배출구로 가기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공급펌프(55)는, 상기 수조부(51)와 상기 정전분무배관(53) 사이에 형성된 채, 상기 수조부(51)에 수용된 물을 상기 정전분무배관(53)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50)는, 에어퍼지탱크부(52), 수중필터부(54), 급수배관(56), 수위조절측정부(57) 및 수위제어부(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에어퍼지탱크부(52)는, 상기 수조부(51)에서 발생된 에어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수중필터부(54)는, 상기 수조부(51)에 수용된 물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살균할 수 있다.
상기 급수배관(56)은, 외부로부터 상수를 급수 받을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수위조절측정부(57)는, 상기 수조부(51)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수위제어부(70)는, 상기 수위조절측정부(57)에 측정된 상기 수조부(51)의 수위에 따라 상기 급수배관(56)과 배수배관(58)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위제어부(70)는, 상기 수위조절측정부(57)에 측정된 상기 수조부(51)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보다 낮은 경우, 상수가 상기 급수배관(56)을 통해 상기 수조부(51)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제어부(70)는, 상기 수위조절측정부(57)에 측정된 상기 수조부(51)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수조부(51) 내의 물을 상기 배수배관(58)을 통해 상기 수조부(5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정화 시스템(1)은, 모드제어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제어부(60)는, 사용자가 설정한 주기에 따라, 상기 흡입부(20) 및 상기 전압발생부(4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드제어부(60)는, 상기 흡입부(20)를 통해 이동된 내기를 정화하는 정화모드와 상기 분무원통부(45)의 내주면이 세척되도록 하는 세척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정화모드는, 상기 흡입부(20)를 통해 외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흡입되도록 하고, 흡입된 공기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정화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 때, 외부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상기 정화모드는 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부(10)의 외측에 설치된 채,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제어부(60)는, 상기 오염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정화모드가 온/오프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드제어부(60)는, 상기 정화모드인 경우, 상기 흡입부(20) 구동, 상기 전압발생부(41) 구동, 상기 분무노즐부(43)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세척모드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분무원통부(45) 또는 상기 분무노즐부(43)의 세척을 위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모드제어부(60)는, 상기 세척모드인 경우, 상기 흡입부(20) 구동 정지, 상기 전압발생부(41) 구동 정지, 상기 분무노즐부(43)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드제어부(60)는, 상기 세척모드인 경우, 상기 분무노즐부(43)가 구동되어 미세 액적에 의해 상기 분무원통부(45) 또는 분무노즐부(43)가 세척되되, 상기 메인노즐부(431)가 상기 정전분무배관(53)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인노즐부(431)의 상기 정전분무배관(53)으로부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분무원통부(45)의 내측면은 다양한 형태의 물줄기에 의해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제어부(60)는, 상기 세척모드인 경우, 상기 정화모드일 때 보다 큰 수압으로 상기 분무노즐부(43)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펌프(55)에 의한 수압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의 분무노즐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분기노즐봉(433)은, 제1 내경으로 형성된 제1 노즐봉(433a), 상기 제1 내경보다 작은 제2 내경으로 형성된 제2 노즐봉(433b), 상기 제2 내경보다 작은 제3 내경으로 형성된 제3 노즐봉(433c) 및 상기 제3 내경보다 작은 제4 내경으로 형성된 제4 노즐봉(433d)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노즐부(431)는, 상기 제1 노즐봉(433a)과 상기 제2 노즐봉(433b)이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제1 구간(L1)과 상기 제3 노즐봉(433c)과 상기 제4 노즐봉(433d)이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제2 구간(L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노즐봉(433a)과 상기 제2 노즐봉(433b)은, 상기 메인노즐부(431)의 상부측에서 하부측을 향한 상기 제1 구간(L1)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노즐봉(433c)과 상기 제4 노즐봉(433d)은, 상기 제1 구간(L1)의 하부측의 상기 제2 구간(L2)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노즐봉은 상기 메인노즐부(431)의 하부측에 배치될수록 분사 내경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는데, 이 때 상기 제1 구간(L1)과 상기 제2 구간(L2)으로 구분된 채, 노즐봉이 교번적으로 형성될 때, 가장 분무 형태가 이상적이었다.
상기 제1 노즐봉(433a)은, 분사 내경이 0.66 내지 0.70mm이며, 바람직하게는 0.68mm일 수 있다.
상기 제2 노즐봉(433b)은, 분사 내경이 0.49 내지 0.53mm이며, 바람직하게는 0.51mm일 수 있다.
상기 제3 노즐봉(433c)은, 분사 내경이 0.30 내지 0.34mm이며, 바람직하게는 0.32mm일 수 있다.
상기 제4 노즐봉(433d)은, 분사 내경이 0.26 내지 0.29mm이며, 바람직하게는 0.28mm일 수 있다.
상기 제1 노즐봉(433a)과 상기 제2 노즐봉(433b)은, 3번 교번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3 노즐봉(433c)과 상기 제4 노즐봉(433d)은, 2번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의 배출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시스템(1)의 상기 배출부(30)는, 배출공간부(31) 및 배출필터부(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출공간부(31)는, 상기 배출홀과 연통되며, 상기 상부공간과 연통되는 일정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필터부(33)는, 상기 배출공간부(31)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공간 내의 내기가 필터링 된 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출필터부(33)는, 데미시터부(331), 자외선조사부(333), 카본 활성화부(335) 및 방향부(33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데미시터부(331)는, 내기 내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조사부(333)는, 상기 데미시터부(331)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내기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카본 활성화부(335)는, 상기 자외선조사부(333)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오존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방향부(337)는, 상기 카본 활성화부(335)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내기에 방향물질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Claims (11)

  1. 흡입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정전분무를 통해 분사된 액적을 통해 제거하고, 오염물질이 제거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전방에 형성된 흡입홀과 연통되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외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케이스부의 전방에 형성되되, 상기 흡입홀의 상부측에 배치된 배출홀과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의 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배출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정전분무를 발생시키는 정전분무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정전분무부에 이용되는 물을 공급하며, 상기 정전분무부에 의해 발생된 연무가 낙하되어 수집되고, 수집된 물이 상기 정전분무부에 공급되는 순환 경로를 제공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부를 통해 상기 하부공간으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정전분무부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공간을 통해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수조부,
    상기 정전분무부에 연결되고, 물이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정전분무배관 및
    상기 수조부와 상기 정전분무배관 사이에 형성된 채, 상기 수조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정전분무배관으로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정전분무부는,
    인가된 전원으로 일정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발생부,
    상기 정전분무배관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연무 형태의 미세액적으로 분사하는 분무노즐부 및
    상기 분무노즐부를 포위한 채, 상기 하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상부공간으로의 공기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분무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발생부는,
    상기 분무노즐부를 통해 분사되는 액적이 전기적 성질을 띠도록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노즐부는,
    상기 정전분무배관과 연결되는 메인노즐부 및
    상기 메인노즐부로부터 분기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분기노즐봉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노즐부는,
    일측은 개구되어 상기 정전분무배관과 연통되고, 타측은 폐쇄되어 수용된 물이 상기 복수의 분기노즐봉으로 분사되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분기노즐봉은,
    상기 메인노즐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분사 내경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노즐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수압 상승에 따른 분사력 변화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기노즐봉은,
    제1 내경으로 형성된 제1 노즐봉, 상기 제1 내경보다 작은 제2 내경으로 형성된 제2 노즐봉, 상기 제2 내경보다 작은 제3 내경으로 형성된 제3 노즐봉 및 상기 제3 내경보다 작은 제4 내경으로 형성된 제4 노즐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노즐부는,
    상기 제1 노즐봉과 상기 제2 노즐봉이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3 노즐봉과 상기 제4 노즐봉이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제2 구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노즐봉과 상기 제2 노즐봉은,
    상기 메인노즐부의 상부측에서 하부측을 향한 상기 제1 구간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번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3 노즐봉과 상기 제4 노즐봉은,
    상기 제1 구간의 하부측의 상기 제2 구간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봉은,
    분사 내경이 0.66 내지 0.70mm이며,
    상기 제2 노즐봉은,
    분사 내경이 0.49 내지 0.53mm이며,
    상기 제3 노즐봉은,
    분사 내경이 0.30 내지 0.34mm이며,
    상기 제4 노즐봉은,
    분사 내경이 0.26 내지 0.29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봉과 상기 제2 노즐봉은, 3번 교번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3 노즐봉과 상기 제4 노즐봉은, 2번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한 주기에 따라, 상기 흡입부 및 상기 전압발생부를 제어하는 모드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제어부는,
    상기 흡입부를 통해 이동된 내기를 정화하는 정화모드와 상기 분무원통부의 내주면이 세척되도록 하는 세척모드를 구현하고,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세척모드가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제어부는,
    상기 정화모드인 경우, 상기 흡입부 구동, 상기 전압발생부 구동, 상기 분무노즐부 구동되도록 하며,
    상기 세척모드인 경우, 상기 흡입부 구동 정지, 상기 전압발생부 구동 정지, 상기 분무노즐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노즐부는,
    상기 정전분무배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모드제어부는,
    상기 세척모드인 경우, 상기 메인노즐부가 상기 정전분무배관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수조부에서 발생된 에어를 제거하는 에어퍼지탱크부,
    상기 수조부에 수용된 물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살균하는 수중필터부,
    외부로부터 상수를 급수받는 급수배관 및
    상기 수조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조절측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위조절측정부에 측정된 상기 수조부의 수위에 따라 상기 급수배관을 제어하는 수위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위제어부는,
    상기 수위조절측정부에 측정된 상기 수조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보다 낮은 경우, 상수가 상기 급수배관을 통해 상기 수조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홀과 연통되며, 상기 상부공간과 연통되는 일정공간을 형성하는 배출공간부 및
    상기 배출공간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공간 내의 내기가 필터링 된 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필터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필터부는,
    내기 내의 수분을 제거하는 데미시터부,
    상기 데미시터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내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부,
    상기 자외선조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오존을 제거하는 카본 활성화부 및
    상기 카본 활성화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내기에 방향물질을 공급하는 방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PCT/KR2023/017991 2022-11-14 2023-11-09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WO202410685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776A KR102532254B1 (ko) 2022-11-14 2022-11-14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KR10-2022-0151776 2022-1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06851A1 true WO2024106851A1 (ko) 2024-05-23

Family

ID=8654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7991 WO2024106851A1 (ko) 2022-11-14 2023-11-09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2254B1 (ko)
WO (1) WO20241068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254B1 (ko) * 2022-11-14 2023-05-17 주식회사 오빌바이오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030B1 (ko) * 2007-12-20 2008-06-24 박이동 공기세척정화장치
KR20110094809A (ko) * 2010-02-18 2011-08-24 한국기계연구원 다량의 산성가스를 포함하는 배출가스 처리장치
KR20210120741A (ko) * 2020-03-27 2021-10-07 박문수 공조용 공기청정장치
KR20210150696A (ko) * 2020-06-04 2021-12-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자기 및 정전분무 하이브리드 지하철 역사내 미세먼지 정화 장치
KR20220089011A (ko) * 2020-12-21 2022-06-28 이세라 지하철 공기질 통합관리(측정 내지 인공지능) 및 미세먼지(바이러스 내지 초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KR102532254B1 (ko) * 2022-11-14 2023-05-17 주식회사 오빌바이오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715B1 (ko) 2019-07-15 2021-08-03 한국과학기술원 물 정전 분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030B1 (ko) * 2007-12-20 2008-06-24 박이동 공기세척정화장치
KR20110094809A (ko) * 2010-02-18 2011-08-24 한국기계연구원 다량의 산성가스를 포함하는 배출가스 처리장치
KR20210120741A (ko) * 2020-03-27 2021-10-07 박문수 공조용 공기청정장치
KR20210150696A (ko) * 2020-06-04 2021-12-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자기 및 정전분무 하이브리드 지하철 역사내 미세먼지 정화 장치
KR20220089011A (ko) * 2020-12-21 2022-06-28 이세라 지하철 공기질 통합관리(측정 내지 인공지능) 및 미세먼지(바이러스 내지 초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KR102532254B1 (ko) * 2022-11-14 2023-05-17 주식회사 오빌바이오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254B1 (ko)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71682A1 (ko) 복합 살균 공기정화기
WO2019004629A1 (ko) 공기살균 및 미세먼지제거 기능을 겸비한 공기정화장치
WO2014163270A1 (ko) 축사의 대기처리장치
WO2024106851A1 (ko) 정전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WO2022019359A1 (ko) 미세먼지제거, 세균 및 바이러스 살균, 습도조절, 산소 및 음이온 발생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공기정화장치
WO2011062328A1 (ko) 공기청정기
WO2020184912A1 (ko) 타워형 공기정화장치 및 이의 공기정화 방법
CN1313791A (zh) 静电式空气净化器
CN106861389B (zh) 一种voc废气净化设备以及净化方法
KR102095316B1 (ko)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
WO2015137767A1 (ko) 공기 정화장치
KR102017653B1 (ko) 습식 및 건식 혼합 전기집진기
WO2012023665A1 (ko) 집진 시스템
CN102512924B (zh) 室内空气净化装置
KR102130634B1 (ko) 전기집진필터를 구비하는 환기장치
WO2020162674A1 (ko) 습식 공기청정장치
WO2023003228A1 (ko) 오존제거 기능을 포함하고 주변 공간을 살균정화하는 공간살균정화기
KR20120138500A (ko) 매립형 플라즈마 공기청정기
KR102214470B1 (ko) 분무노즐을 이용해 집진판의 세척이 가능한 공기정화장치
KR101086728B1 (ko) 4차 여과식 공기 여과 장치
CN202621302U (zh) 一种高压静电空气净化装置
WO2018021640A1 (ko) 미생물을 이용한 습식 스크러버 및 상기 스크러버를 이용한 유해공기 정화방법
KR20150042902A (ko)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CN208124469U (zh) 基于微粒的空气净化器
WO2020213908A1 (ko)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