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31034A1 -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31034A1
WO2019231034A1 PCT/KR2018/006670 KR2018006670W WO2019231034A1 WO 2019231034 A1 WO2019231034 A1 WO 2019231034A1 KR 2018006670 W KR2018006670 W KR 2018006670W WO 2019231034 A1 WO2019231034 A1 WO 20192310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nd
fine dust
air
du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667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현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스타
Publication of WO20192310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310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5/00Transmission of mechanical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ver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7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nergy in pressurised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3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 F05B2260/403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as in toothed g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 여과조, 물 분사유닛, 정화조, 물 보충유닛을 포함하되 풍력구동유닛, 압축공기저장수단, 에어모터, 발전기, 축전지를 더 포함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하여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여과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풍력을 증폭시켜 축전량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리사이클유닛(recycle unit)을 더 포함함으로써 에어모터로 공급되면서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압축공기에 대하여 에어모터로부터 배출되어 리사이클유닛을 거치면서 증폭되어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의 바람이 유입되는 측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전을 위해 사용한 압축공기를 풍력구동을 위해 재사용함으로써 발전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
본 발명은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 여과조, 물 분사유닛, 정화조, 물 보충유닛을 포함하되 풍력구동유닛, 압축공기저장수단, 에어모터, 발전기, 축전지를 더 포함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하여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여과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풍력을 증폭시켜 축전량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리사이클유닛(recycle unit)을 더 포함함으로써 에어모터로 공급되면서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압축공기에 대하여 에어모터로부터 배출되어 리사이클유닛을 거치면서 증폭되어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의 바람이 유입되는 측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전을 위해 사용한 압축공기를 풍력구동을 위해 재사용함으로써 발전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면서 화석 연료를 태워 동력을 얻는 화력 발전을 이용한 에너지 사용량의 증가, 산업 폐기물 또는 일반 생활쓰레기 등의 소각 처리량의 증가 및 자동차의 증가로 인한 매연가스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기중의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 가스 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화석 연료, 산업 폐기물, 생활 쓰레기 등을 소각함에 따라 배출되는 배출 가스에는 인체에 유해한 다양한 종류의 유해 물질이 포함되어 대기로 미세먼지로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미세먼지로서 대기로 배출된 유해 물질들은 인체에 흡수된 후 축척이 되면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것은 물론, 자연 환경에도 나쁜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각종 조사 및 실험을 통해 입증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해 물질을 포함하는 미세 먼지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건물의 실내나 건물의 실외 등에 다양한 형태의 미세먼지 여과 및 제거를 위한 장치들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시된 건물의 실내나 건물의 실외 등에 다양한 형태의 미세먼지 여과 및 제거를 위한 장치들은 대부분 아주 고가이거나 전기를 계속 공급하여 구동시키기 때문에 운용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풍력 발전기는 바람이 지니고 있는 에너지를 우리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기 에너지로 바꿔주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불어오는 바람은 풍력 발전기의 날개를 회전시키며, 이때 생긴 날개의 회전력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풍력 발전기는 풍속이 세고 풍차가 클수록 더 많은 풍력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의 세기와 풍차의 크기가 클수록 그 발전량이 많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는 재생 불가능한 에너지원으로 점차 고갈되고 있으며,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문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대체 에너지원으로 무공해 풍력발전이 더욱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무공해로 발전이 가능한 풍력발전기의 하나로서, 육상 풍력 발전의 발달로 인하여 풍력 터빈이 대형화되었는데 이로 인해 부지가 넉넉하지 않은 국내에서는 설치장소의 한계가 드러나게 되었다.
또한, 육상의 풍력 발전기 설비는 설치비가 비싸므로 풍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설비 간의 넓은 이격 거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부지의 구입이나 임대비용이 많이 드는 국내에서는 육상 풍력 발전기설비 시 필요한 이격 거리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많이 따르고 있으며, 아울러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은 한정적이고 제한되어있다.
더욱이, 국내에서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은 주로 산간 오지의 산마루 지점이기 때문에 기초 공사가 어려울 뿐 아니라 평지에서부터 산간 오지까지 설치하는데 필요한 도구의 수송이 어렵다. 산간지역은 고도가 높고 경사가 가파르기 때문에 설치과정 역시 복잡하고 어렵다.
다시 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풍력발전장치는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에 설치되어야 하며, 이와 같이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은 주로 산간 오지의 산마루 지점으로 지역특성상 수송 및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바람이 비교적 적게 부는 지역에는 설치하여 사용할 수 없으며,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에 설치하더라도 기상변화에 따라 바람이 적게 부는 시기에는 축전량이 미소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바람이 비교적 적게 부는 지역에서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적은 바람만으로도 풍력을 증폭시켜 축전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여과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 풍력발전장치 기능을 겸하는 미세먼지 여과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다시 말하면, 현대사회에서의 원자력 발전으로 인한 핵으로부터의 공포감 핵폐기물을 영구히 보존하여 후손에게 과제로 남겨줄 조상보다는 자연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개발된 기술로 맑고 깨끗한 대한민국을 물려주는 것이 현재 우리가 해야할 소중한 유산이라 판단한다.
이에 따라, 화력발전으로 인한 일산화탄소 배출도 하지 않으며 값비싼 석탄이나 LNG수입도 필요하지않은 친환경발전으로 안심하고 여유롭게 무한정 쓸 수 있으며, 미세먼지에 대한 문제도 함께 해결할 수 있도록 한 풍력발전장치 기능을 겸하는 미세먼지 여과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01517호 2017.11.20.등록.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03239호 2017.11.23.등록.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59898호 2018.05.14.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 여과조, 물 분사유닛, 정화조, 물 보충유닛을 포함하되 풍력구동유닛, 압축공기저장수단, 에어모터, 발전기, 축전지를 더 포함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하여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여과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풍력을 증폭시켜 축전량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 여과조, 물 분사유닛, 정화조, 물 보충유닛, 풍력구동유닛, 압축공기저장수단, 에어모터, 발전기, 축전지를 포함하되 리사이클유닛(recycle unit)을 더 포함함으로써 에어모터로 공급되면서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압축공기에 대하여 에어모터로부터 배출되어 리사이클유닛을 거치면서 증폭되어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의 바람이 유입되는 측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전을 위해 사용한 압축공기를 풍력구동을 위해 재사용함으로써 발전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는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되어 미세먼지를 여과시키면서 풍력을 이용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에 있어서, 일 측이 개방되어 일정길이 연장된 후 수직 하향 절곡되어 일정길이 연장되는 타 측 단부가 개방되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 측의 개방된 단부는 바람의 유입이 가속을 통해 유입되도록 외향 확장되게 개방형성되며, 일 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수직 하향 절곡되기 이전의 구간에 걸쳐 지그재그 타입으로 다수 번 절곡형성되면서 바닥이 타 측 단부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 개방된 상부에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의 개방된 타 측 단이 배치되며,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를 통해 미세먼지가 내포된 물이 유입되어 미세먼지가 침전되도록 물이 일정량 저수되는 여과조; 상기 여과조의 일 측 상부로부터 물 공급라인 일단이 연결되어 펌프를 통해 상기 여과조 내에 저수된 상층의 물을 펌핑 이동시키며, 상기 물 공급라인의 타단 부분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라인으로 연장된 분사라인의 단부가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의 일 측 단부로부터 수직 하향 절곡되기 전 구간에 대한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사라인 단부에 설치된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의 일 측 단부로부터 수직 하향 절곡되기 전 구간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물 분사유닛; 상기 여과조 하부로부터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물 분사유닛을 통해 분사되어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로 유입되는 미세먼지가 내포된 공기와 접촉하여 미세먼지가 내포되는 물이 상기 여과조로 유입된 후에 침전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물을 상기 배출관을 통해 유입시켜 정화처리하는 정화조; 상기 여과조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조의 수위가 일정수위로 유지되도록 물을 보충하며, 물탱크로부터 일정량의 물을 선택적으로 펌핑하여 물 보충라인을 통해 상기 여과조 측으로 공급하는 물 보충유닛; 상단에 구비된 회전날개가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의 일 측 단부로부터 수직 하향 절곡되기 전 구간에 대하여 내부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 내부에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풍력구동유닛; 상기 풍력구동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풍력구동유닛의 구동력에 의해 연동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압축시킨 후 압축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며, 저장된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발전을 위해 배출 안내되도록 하는 압축공기저장수단; 상기 압축공기저장수단에 의해 저장되어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며,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 안내되면서 회전구동되는 에어모터; 상기 에어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모터의 회전구동력이 전달되며, 전달되는 회전구동력을 통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및 상기 발전기의 일 측에 연결되며, 상기 발전기를 통해 발생되는 전기를 축전시키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의 개방된 일 측 단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측에 구비된 게이트가 상측에 구비된 개폐실린더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하면서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의 개방된 일 측 단부로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게이트 및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의 개방된 일 측 단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의 개방된 일 측 단부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풍량감지라인을 통해 유입된 풍량을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센서를 통해 감지하며, 감지된 풍량의 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풍량조절게이트의 게이트가 승강하면서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의 개방된 일 측 단부를 개폐하도록 작동시키는 풍량조절센서유닛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과조는 상기 물 분사유닛의 물 공급라인을 통해 펌핑되어 이동하는 물이 필터링처리되어 펌핑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물 분사유닛의 물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일정거리 떨어져 직립하여 필터유닛이 더 설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한편, 상기 압축공기저장수단은 상기 풍력구동유닛의 하부에 상단이 연동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며, 상기 풍력구동유닛의 구동력에 의해 연동 회전되면서 구동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압축시킨 후, 압축된 압축공기를 저장을 위해 배출시키는 공기압축유닛과, 상기 공기압축유닛에 대하여 유입된 공기를 압축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압축유닛 일 측으로 오일을 공급하며, 상기 공기압축유닛으로부터 압축공기와 혼합되어 배출되는 오일이 다시 유입되는 오일탱크와, 상기 공기압축유닛으로부터 압축공기와 혼합되어 배출되는 오일을 압축공기와 분리하여 분리된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 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며, 분리된 압축공기는 저장을 위해 별도로 안내되도록 하는 유분리기 및 상기 유분리기를 통해 분리되어 안내되는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저장되며, 선택적으로 발전을 위해 배출 안내되도록 하는 에어탱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기압축유닛은 상기 풍력구동유닛의 하부에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연동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공기압축케이스의 일 측 상부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돌출된 상단에 상기 풍력구동유닛의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연동기어가 구비되는 연동축과, 상기 연동축의 상기 연동기어 하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기압축케이스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제1공기압축기어 및 상기 제1공기압축기어와 맞물려 상기 연동축과 대향되어 회전가능토록 축설되며, 상기 공기압축케이스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제2공기압축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공기압축유닛은 상기 풍력구동유닛의 구동기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로 상기 구동기어와 연동기어가 맞물려 구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는 일 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수직 하향 절곡되기 이전의 구간에 걸쳐 지그재그 타입으로 다수 번 절곡되는 각각의 절곡되는 절곡부분을 향하여 일정길이만큼 내부공간이 협소하게 형성되어 절곡부분 측으로 바람이 증속 안내되도록 하는 절곡 증속안내경사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풍력구동유닛은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의 일 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수직 하향 절곡되기 이전의 구간에 대한 일 측 단부의 내부, 각 절곡부분 내부에 상단에 구비된 회전날개가 회전가능토록 설치되게 다수의 세트로 설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풍력구동유닛은 상단이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의 하면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스 및 상단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향 일정길이 돌출되어 돌출된 상단부분에 상기 회전날개가 다수 개로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하단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하향 일정길이 돌출되어 돌출된 단부에 구동기어가 구비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모터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유입된 후, 유입된 압축공기에 대하여 재사용을 위해 압력을 증폭시켜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의 바람 유입 측으로 재유입 안내되도록 배출하는 리사이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사이클유닛은 상기 에어모터를 거친 압축공기의 재사용을 위해 압력을 증폭시켜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의 바람 유입 측으로 유입 안내될 수 있도록, 내부 구조가 상기 에어모터와 연결되는 측으로부터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가 연결되는 측을 향하여 협소해지는 테이퍼진 기어 구조로 제공되는 한편, 일 측이 리사이클 유입배관을 통해 상기 에어모터의 압축공기 배출 측과 연결되며, 타 측은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의 바람 유입 측으로 연장연결되어 단부가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의 바람 유입 측을 향하여 확장 개방형성되는 리사이클 배출배관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 여과조, 물 분사유닛, 정화조, 물 보충유닛을 포함하되 풍력구동유닛, 압축공기저장수단, 에어모터, 발전기, 축전지를 더 포함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하여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여과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풍력을 증폭시켜 축전량이 극대화될 수 있다.
둘째,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 여과조, 물 분사유닛, 정화조, 물 보충유닛, 풍력구동유닛, 압축공기저장수단, 에어모터, 발전기, 축전지를 포함하되 리사이클유닛(recycle unit)을 더 포함함으로써 에어모터로 공급되면서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압축공기에 대하여 에어모터로부터 배출되어 리사이클유닛을 거치면서 증폭되어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의 바람이 유입되는 측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전을 위해 사용한 압축공기를 풍력구동을 위해 재사용함으로써 발전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를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의 요부인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 부분을 평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의 요부인 풍력구동유닛 및 압축공기저장수단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상세구성도.
도 4는 도 3의 A-A선 평 단면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의 요부인 풍력구동유닛과 압축공기저장수단 중 하나인 다수의 공기압축유닛이 연동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낸 요부 평 단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를 나타낸 전체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의 요부인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 부분을 평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의 요부인 풍력구동유닛 및 압축공기저장수단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상세구성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평 단면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의 요부인 풍력구동유닛과 압축공기저장수단 중 하나인 다수의 공기압축유닛이 연동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낸 요부 평 단면예시도이다.
도 1 내지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는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되어 미세먼지를 여과시키면서 풍력을 이용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로서, 즉 미세먼지 여과의 기능과 함께 풍력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기능을 겸하는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는 크게 분류하면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 여과조(1200), 물 분사유닛(1300), 정화조(1400), 물 보충유닛(1500), 풍력구동유닛(200), 압축공기저장수단, 에어모터(700), 발전기(800) 및 축전지(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는 일 측이 개방되어 일정길이 연장된 후 수직 하향 절곡되어 일정길이 연장되는 타 측 단부가 개방되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 측의 개방된 단부는 바람의 유입이 가속을 통해 유입되도록 외향 확장되게 개방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는 특히, 일 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수직 하향 절곡되기 이전의 구간에 걸쳐 지그재그 타입으로 다수 번 절곡형성되면서 바닥이 타 측 단부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여과조(1200)는 개방된 상부에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개방된 타 측 단이 배치되며,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를 통해 미세먼지가 내포된 물이 유입되어 미세먼지가 침전되도록 물이 일정량 저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 분사유닛(1300)은 상기 여과조(1200)의 일 측 상부로부터 물 공급라인(1310) 일단이 연결되어 펌프(1320)를 통해 상기 여과조(1200) 내에 저수된 상층의 물을 펌핑 이동시키며, 상기 물 공급라인(1310)의 타단 부분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라인으로 연장된 분사라인(1313)의 단부가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일 측 단부로부터 수직 하향 절곡되기 전 구간에 대한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사라인(1313) 단부에 설치된 분사노즐(1330)을 통해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일 측 단부로부터 수직 하향 절곡되기 전 구간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사라인(1313)은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수직 하향 절곡되는 상단부분의 내측에도 하단이 배치되게 상기 물 공급라인(1310)으로부터 연장되어 연장되는 단부에 다수의 분사노즐(1330)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설치되는 분사노즐(1330)은 수직 하향 물이 분사되면서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일 측 단부를 통해 유입되어 이동하는 바람에 내포된 미세먼지를 추가로 적셔 수직하향 안내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화조(1400)는 상기 여과조(1200) 하부로부터 연결된 배출관(1210)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물 분사유닛(1300)을 통해 분사되어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로 유입되는 미세먼지가 내포된 공기와 접촉하여 미세먼지가 내포되는 물이 상기 여과조(1200)로 유입된 후에 침전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물을 상기 배출관(1210)을 통해 유입시켜 정화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 보충유닛(1500)은 상기 여과조(1200)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조(1200)의 수위가 일정수위로 유지되도록 물을 보충하며, 물탱크(1510)로부터 일정량의 물을 선택적으로 펌핑하여 물 보충라인(1520)을 통해 상기 여과조(1200) 측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물 보충유닛(1500)은 특히, 상기 물 보충라인(1520)의 상기 물탱크(1510)와 연결되는 측에는 펌핑을 위한 펌프(미부호)가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풍력구동유닛(200)은 상단에 구비된 회전날개(240)가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일 측 단부로부터 수직 하향 절곡되기 전 구간에 대하여 내부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 내부에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저장수단은 상기 풍력구동유닛(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풍력구동유닛(200)의 구동력에 의해 연동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압축시킨 후 압축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며, 저장된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발전을 위해 배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모터(700)는 상기 압축공기저장수단에 의해 저장되어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며,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 안내되면서 회전구동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에어모터(700)는 통상의 공기공급을 통해 회전구동되는 모터로 적용됨이 바람직한 것이며, 이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전기(800)는 상기 에어모터(700)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모터(700)의 회전구동력이 전달되며, 전달되는 회전구동력을 통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축전지(900)는 상기 발전기(800)의 일 측에 연결되며, 상기 발전기(800)를 통해 발생되는 전기를 축전시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는 특히, 풍량조절게이트(1600) 및 풍량조절센서유닛(17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풍량조절게이트(1600)는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개방된 일 측 단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측에 구비된 게이트(1610)가 상측에 구비된 개폐실린더(1620)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하면서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개방된 일 측 단부로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풍량조절센서유닛(1700)은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개방된 일 측 단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개방된 일 측 단부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풍량감지라인(1710)을 통해 유입된 풍량을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하는 센서(1720)를 통해 감지하며, 감지된 풍량의 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풍량조절게이트(1600)의 게이트(1610)가 승강하면서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개방된 일 측 단부를 개폐하도록 작동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풍량조절센서유닛(1700)은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하는 센서(1720)를 통해 상기 풍량조절게이트(1600)의 게이트(1610)가 승강하면서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개방된 일 측 단부를 개폐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에서, 상기 여과조(1200)는 상기 물 분사유닛(1300)의 물 공급라인(1310)을 통해 펌핑되어 이동하는 물이 필터링처리되어 펌핑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여과조(1200)는 상기 물 분사유닛(1300)의 물 공급라인(1310)이 연결되는 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일정거리 떨어져 직립하여 필터유닛(1200a)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에서의 상기 압축공기저장수단은 크게 분류하면 공기압축유닛(300)과, 오일탱크(400)와, 유분리기(500) 및 에어탱크(60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공기압축유닛(300)은 상기 풍력구동유닛(200)의 하부에 상단이 연동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며, 상기 풍력구동유닛(200)의 구동력에 의해 연동 회전되면서 구동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압축시킨 후, 압축된 압축공기를 저장을 위해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기압축유닛(300)은 상기 풍력구동유닛(200)의 하부에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연동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공기압축유닛(300)은 연동축(330)과, 제1공기압축기어(370) 및 제2공기압축기어(3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동축(330)은 공기압축케이스(310)의 일 측 상부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돌출된 상단에 상기 풍력구동유닛(200)의 구동기어(250)와 맞물리는 연동기어(350)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제1공기압축기어(370)는 상기 연동축(330)의 상기 연동기어(350) 하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기압축케이스(310)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공기압축기어(390)는 상기 제1공기압축기어(370)와 맞물려 상기 연동축(330)과 대향되어 회전가능토록 축설되며, 상기 공기압축케이스(310)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공기압축유닛(300)은 상기 풍력구동유닛(200)의 구동기어(250)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로 상기 구동기어(250)와 연동기어(350)가 맞물려 구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공기압축유닛(300)은 상부 일 측에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라인(미부호)이 연결되어 상기 흡입라인(미부호) 상에 구비된 석션밸브(미부호)의 개방을 통해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공기압축유닛(300)은 상기 흡입라인(미부호)가 연결되는 측과 대향되는 상부 타 측에 상기 오일탱크(400)로부터 연장되는 주입라인(미부호)이 연결되어, 상기 주입라인(미부호) 상에 구비된 인젝션밸브(미부호)의 개방을 통해 공기압축케이스(310) 내부 측으로 공기의 압축을 위한 오일이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기압축유닛(300)과 함께 압축공기저장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오일탱크(400)는 상기 공기압축유닛(300)에 대하여 유입된 공기를 압축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압축유닛(300) 일 측으로 오일을 공급하며, 상기 공기압축유닛(300)으로부터 압축공기와 혼합되어 배출되는 오일이 다시 유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분리기(500)는 상기 공기압축유닛(300)으로부터 압축공기와 혼합되어 배출되는 오일을 압축공기와 분리하여 분리된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400) 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며, 분리된 압축공기는 저장을 위해 별도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탱크(600)는 상기 유분리기(500)를 통해 분리되어 안내되는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저장되며, 선택적으로 발전을 위해 배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에서,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는 일 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수직 하향 절곡되기 이전의 구간에 걸쳐 지그재그 타입으로 다수 번 절곡되는 각각의 절곡되는 절곡부분을 향하여 일정길이만큼 내부공간이 협소하게 형성되어 절곡부분 측으로 바람이 증속 안내되도록 하는 절곡 증속안내경사부(11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풍력구동유닛(200)은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일 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수직 하향 절곡되기 이전의 구간에 대한 일 측 단부의 내부, 각 절곡부분 내부에 상단에 구비된 회전날개(240)가 회전가능토록 설치되게 다수의 세트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이 풍력구동유닛(200)이 다수의 세트로 설치됨에 따라 풍력을 이용한 발전에 대한 발전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풍력구동유닛(200)은 케이스(210) 및 구동축(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10)는 상단이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하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230)은 상단이 상기 케이스(210)로부터 상향 일정길이 돌출되어 돌출된 상단부분에 상기 회전날개(240)가 다수 개로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210) 내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하단이 상기 케이스(210)로부터 하향 일정길이 돌출되어 돌출된 단부에 구동기어(250)가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는 상기 에어모터(700)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유입된 후, 유입된 압축공기에 대하여 재사용을 위해 압력을 증폭시켜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바람 유입 측으로 재유입 안내되도록 배출하는 리사이클유닛(10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사이클유닛(100a)은 상기 에어모터(700)를 거친 압축공기의 재사용을 위해 압력을 증폭시켜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바람 유입 측으로 유입 안내될 수 있도록, 내부 구조가 상기 에어모터(700)와 연결되는 측으로부터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가 연결되는 측을 향하여 협소해지는 테이퍼진 기어 구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사이클유닛(100a)은 일 측이 리사이클 유입배관(100a')을 통해 상기 에어모터(700)의 압축공기 배출 측과 연결되며, 타 측은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바람 유입 측으로 연장연결되어 단부가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바람 유입 측을 향하여 확장 개방형성되는 리사이클 배출배관(100a")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는 상기 에어탱크(600)로부터 상기 에어모터(700) 측으로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라인(미부호) 상에 에어필터(미도시), 레귤레이터(미도시) 및 루브리게이터(미도시)가 더 설치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에 의하면,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 여과조, 물 분사유닛, 정화조, 물 보충유닛을 포함하되 풍력구동유닛, 압축공기저장수단, 에어모터, 발전기, 축전지를 더 포함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하여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여과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풍력을 증폭시켜 축전량이 극대화될 수 있다.
더욱이,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 여과조, 물 분사유닛, 정화조, 물 보충유닛, 풍력구동유닛, 압축공기저장수단, 에어모터, 발전기, 축전지를 포함하되 리사이클유닛(recycle unit)을 더 포함함으로써 에어모터로 공급되면서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압축공기에 대하여 에어모터로부터 배출되어 리사이클유닛을 거치면서 증폭되어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의 바람이 유입되는 측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전을 위해 사용한 압축공기를 풍력구동을 위해 재사용함으로써 발전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부호의 설명]
1100: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
1110: 절곡 증속안내경사부
1200: 여과조 1210: 배출관
1200a: 필터유닛 1300: 물 분사유닛
1310: 물 공급라인 1313: 분사라인
1320: 펌프 1330: 분사노즐
1400: 정화조 1500: 물 보충유닛
1510: 물탱크 1520: 물 보충라인
1600: 풍량조절게이트 1610: 게이트
1620: 개폐실린더 1700: 풍량조절센서유닛
1710: 풍량감지라인 1720: 센서
200: 풍력구동유닛 210: 케이스
230: 구동축 240: 회전날개
250: 구동기어 300: 공기압축유닛
310: 공기압축케이스 330: 연동축
350: 연동기어 370: 제1공기압축기어
390: 제2공기압축기어 400: 오일탱크
500: 유분리기 600: 에어탱크
700: 에어모터 800: 발전기
900: 축전지 100a: 리사이클유닛
100a': 리사이클 유입배관 100a": 리사이클 배출배관

Claims (10)

  1.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되어 미세먼지를 여과시키면서 풍력을 이용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에 있어서,
    일 측이 개방되어 일정길이 연장된 후 수직 하향 절곡되어 일정길이 연장되는 타 측 단부가 개방되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 측의 개방된 단부는 바람의 유입이 가속을 통해 유입되도록 외향 확장되게 개방형성되며, 일 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수직 하향 절곡되기 이전의 구간에 걸쳐 지그재그 타입으로 다수 번 절곡형성되면서 바닥이 타 측 단부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
    개방된 상부에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개방된 타 측 단이 배치되며,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를 통해 미세먼지가 내포된 물이 유입되어 미세먼지가 침전되도록 물이 일정량 저수되는 여과조(1200);
    상기 여과조(1200)의 일 측 상부로부터 물 공급라인(1310) 일단이 연결되어 펌프(1320)를 통해 상기 여과조(1200) 내에 저수된 상층의 물을 펌핑 이동시키며, 상기 물 공급라인(1310)의 타단 부분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의 라인으로 연장된 분사라인(1313)의 단부가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일 측 단부로부터 수직 하향 절곡되기 전 구간에 대한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사라인(1313) 단부에 설치된 분사노즐(1330)을 통해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일 측 단부로부터 수직 하향 절곡되기 전 구간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물 분사유닛(1300);
    상기 여과조(1200) 하부로부터 연결된 배출관(1210)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물 분사유닛(1300)을 통해 분사되어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로 유입되는 미세먼지가 내포된 공기와 접촉하여 미세먼지가 내포되는 물이 상기 여과조(1200)로 유입된 후에 침전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물을 상기 배출관(1210)을 통해 유입시켜 정화처리하는 정화조(1400);
    상기 여과조(1200)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조(1200)의 수위가 일정수위로 유지되도록 물을 보충하며, 물탱크(1510)로부터 일정량의 물을 선택적으로 펌핑하여 물 보충라인(1520)을 통해 상기 여과조(1200) 측으로 공급하는 물 보충유닛(1500);
    상단에 구비된 회전날개(240)가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일 측 단부로부터 수직 하향 절곡되기 전 구간에 대하여 내부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 내부에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풍력구동유닛(200);
    상기 풍력구동유닛(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풍력구동유닛(200)의 구동력에 의해 연동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압축시킨 후 압축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며, 저장된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발전을 위해 배출 안내되도록 하는 압축공기저장수단;
    상기 압축공기저장수단에 의해 저장되어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며,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 안내되면서 회전구동되는 에어모터(700);
    상기 에어모터(700)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모터(700)의 회전구동력이 전달되며, 전달되는 회전구동력을 통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800); 및
    상기 발전기(800)의 일 측에 연결되며, 상기 발전기(800)를 통해 발생되는 전기를 축전시키는 축전지(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개방된 일 측 단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측에 구비된 게이트(1610)가 상측에 구비된 개폐실린더(1620)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하면서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개방된 일 측 단부로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게이트(1600) 및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개방된 일 측 단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개방된 일 측 단부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풍량감지라인(1710)을 통해 유입된 풍량을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센서(1720)를 통해 감지하며, 감지된 풍량의 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풍량조절게이트(1600)의 게이트(1610)가 승강하면서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개방된 일 측 단부를 개폐하도록 작동시키는 풍량조절센서유닛(1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1200)는 상기 물 분사유닛(1300)의 물 공급라인(1310)을 통해 펌핑되어 이동하는 물이 필터링처리되어 펌핑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물 분사유닛(1300)의 물 공급라인(1310)이 연결되는 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일정거리 떨어져 직립하여 필터유닛(1200a)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저장수단은,
    상기 풍력구동유닛(200)의 하부에 상단이 연동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며, 상기 풍력구동유닛(200)의 구동력에 의해 연동 회전되면서 구동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압축시킨 후, 압축된 압축공기를 저장을 위해 배출시키는 공기압축유닛(300)과,
    상기 공기압축유닛(300)에 대하여 유입된 공기를 압축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압축유닛(300) 일 측으로 오일을 공급하며, 상기 공기압축유닛(300)으로부터 압축공기와 혼합되어 배출되는 오일이 다시 유입되는 오일탱크(400)와,
    상기 공기압축유닛(300)으로부터 압축공기와 혼합되어 배출되는 오일을 압축공기와 분리하여 분리된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400) 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며, 분리된 압축공기는 저장을 위해 별도로 안내되도록 하는 유분리기(500) 및
    상기 유분리기(500)를 통해 분리되어 안내되는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저장되며, 선택적으로 발전을 위해 배출 안내되도록 하는 에어탱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축유닛(300)은 상기 풍력구동유닛(200)의 하부에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연동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공기압축케이스(310)의 일 측 상부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돌출된 상단에 상기 풍력구동유닛(200)의 구동기어(250)와 맞물리는 연동기어(350)가 구비되는 연동축(330)과,
    상기 연동축(330)의 상기 연동기어(350) 하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기압축케이스(310)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제1공기압축기어(370) 및
    상기 제1공기압축기어(370)와 맞물려 상기 연동축(330)과 대향되어 회전가능토록 축설되며, 상기 공기압축케이스(310)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제2공기압축기어(3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축유닛(300)은 상기 풍력구동유닛(200)의 구동기어(250)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수 개로 상기 구동기어(250)와 연동기어(350)가 맞물려 구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는 일 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수직 하향 절곡되기 이전의 구간에 걸쳐 지그재그 타입으로 다수 번 절곡되는 각각의 절곡되는 절곡부분을 향하여 일정길이만큼 내부공간이 협소하게 형성되어 절곡부분 측으로 바람이 증속 안내되도록 하는 절곡 증속안내경사부(1110)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풍력구동유닛(200)은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일 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수직 하향 절곡되기 이전의 구간에 대한 일 측 단부의 내부, 각 절곡부분 내부에 상단에 구비된 회전날개(240)가 회전가능토록 설치되게 다수의 세트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구동유닛(200)은 상단이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하면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스(210) 및
    상단이 상기 케이스(210)로부터 상향 일정길이 돌출되어 돌출된 상단부분에 상기 회전날개(240)가 다수 개로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210) 내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하단이 상기 케이스(210)로부터 하향 일정길이 돌출되어 돌출된 단부에 구동기어(250)가 구비되는 구동축(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모터(700)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유입된 후, 유입된 압축공기에 대하여 재사용을 위해 압력을 증폭시켜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바람 유입 측으로 재유입 안내되도록 배출하는 리사이클유닛(100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클유닛(100a)은 상기 에어모터(700)를 거친 압축공기의 재사용을 위해 압력을 증폭시켜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바람 유입 측으로 유입 안내될 수 있도록, 내부 구조가 상기 에어모터(700)와 연결되는 측으로부터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가 연결되는 측을 향하여 협소해지는 테이퍼진 기어 구조로 제공되는 한편,
    일 측이 리사이클 유입배관(100a')을 통해 상기 에어모터(700)의 압축공기 배출 측과 연결되며, 타 측은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바람 유입 측으로 연장연결되어 단부가 상기 미세먼지여과안내 겸 풍력증폭유출 덕트(1100)의 바람 유입 측을 향하여 확장 개방형성되는 리사이클 배출배관(100a")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
PCT/KR2018/006670 2018-05-29 2018-06-12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 WO201923103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780 2018-05-29
KR1020180060780A KR102074411B1 (ko) 2018-05-29 2018-05-29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1034A1 true WO2019231034A1 (ko) 2019-12-05

Family

ID=68697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6670 WO2019231034A1 (ko) 2018-05-29 2018-06-12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4411B1 (ko)
WO (1) WO201923103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2893A (zh) * 2020-08-20 2020-12-01 远景能源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机冷却系统
CN113446169A (zh) * 2021-08-05 2021-09-28 华能赫章风力发电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装置
CN113787899A (zh) * 2021-11-16 2021-12-14 浙江万泉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风能储蓄混合动力装置
CN114508387A (zh) * 2021-12-16 2022-05-17 严强 一种压缩气体管道发电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800B1 (ko) * 2020-09-04 2021-12-14 에바코스 창조환경기술(주) 나노 포그 노즐과 항균석을 이용한 공기 청정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0818A (ko) * 2014-08-07 2014-09-17 김송이 그린재료를 이용한 수질, 공기, 토양, 지반, 매립지 등의 정화 및 안정화에 관한 장치 및 방법
KR20150075990A (ko) * 2013-12-26 2015-07-06 사공호 시설풍과 자연풍을 이용한 복합 발전장치
KR101801517B1 (ko) * 2017-06-23 2017-11-27 박정길 미세먼지 포집기
KR20180027128A (ko) * 2016-09-06 2018-03-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볼텍스 튜브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KR101859898B1 (ko) * 2018-02-02 2018-05-18 최일호 미세먼지 저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4603Y2 (ja) * 1991-04-30 1998-06-18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100854165B1 (ko) * 2007-03-26 2008-08-26 송복헌 무동력 미세먼지 집진장치
KR101803239B1 (ko) 2017-06-23 2017-11-29 조석현 미세먼지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990A (ko) * 2013-12-26 2015-07-06 사공호 시설풍과 자연풍을 이용한 복합 발전장치
KR20140110818A (ko) * 2014-08-07 2014-09-17 김송이 그린재료를 이용한 수질, 공기, 토양, 지반, 매립지 등의 정화 및 안정화에 관한 장치 및 방법
KR20180027128A (ko) * 2016-09-06 2018-03-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볼텍스 튜브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KR101801517B1 (ko) * 2017-06-23 2017-11-27 박정길 미세먼지 포집기
KR101859898B1 (ko) * 2018-02-02 2018-05-18 최일호 미세먼지 저감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2893A (zh) * 2020-08-20 2020-12-01 远景能源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机冷却系统
CN113446169A (zh) * 2021-08-05 2021-09-28 华能赫章风力发电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装置
CN113446169B (zh) * 2021-08-05 2023-03-03 华能赫章风力发电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装置
CN113787899A (zh) * 2021-11-16 2021-12-14 浙江万泉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风能储蓄混合动力装置
CN114508387A (zh) * 2021-12-16 2022-05-17 严强 一种压缩气体管道发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590A (ko) 2019-12-09
KR102074411B1 (ko) 202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31034A1 (ko) 풍력발전 겸용 미세먼지 여과장치
WO2013125771A1 (ko) 폐기물 열분해시스템
CN107335307B (zh) 一种大气净化方法及其净化装置
CN106500187A (zh) 一种基于楼宇自然循环风的大气智能净化系统及其运行方法
CN206247243U (zh) 一种空气净化发电路灯
KR102655501B1 (ko)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공기 정화 능력을 갖는 공기 압축 에너지 저장 및 전력 공급 시스템
CN209188394U (zh) 道路空气净化系统
KR102105673B1 (ko) 풍력과 공압을 이용한 발전장치
CN206831754U (zh) 一种隧道用新风系统
CN215198826U (zh) 地下空间工程的抽出式系统除尘装置
CN210186814U (zh) 一种二氧化硫废气的净化处理装置
CN219399595U (zh) 一种新型湿法脱硫除尘器
CN211664930U (zh) 一种太阳能强制通风化粪池甲烷防爆装置
KR101509102B1 (ko) 폭발방지수단이 구비된 폐기물 열분해시스템
CN201170559Y (zh) 生活垃圾高温燃化装置
CN210289818U (zh) 一种用于轨道交通隧道的通风装置
CN216703905U (zh) 一种火电厂配煤掺烧用废气过滤装置
CN219804402U (zh) 一种含尘尾气处理系统
CN218542194U (zh) 用于隧道钻孔内的除尘装置
CN218653456U (zh) 脉冲除尘器
CN218221719U (zh) 一种市政道路施工用环保除尘装置
CN218709681U (zh) 一种基于风光互补的水体曝气装置
CN219492325U (zh) 一种井下加速水分蒸发和风力照明一体化装置
CN220397525U (zh) 一种集成式垃圾处理装置
CN218358467U (zh) 一种节能型隧道通风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203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6/04/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203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