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98889A1 - 한쪽 눈에 착용하는 노안 개선용 콘택트렌즈 - Google Patents

한쪽 눈에 착용하는 노안 개선용 콘택트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98889A1
WO2019198889A1 PCT/KR2018/011212 KR2018011212W WO2019198889A1 WO 2019198889 A1 WO2019198889 A1 WO 2019198889A1 KR 2018011212 W KR2018011212 W KR 2018011212W WO 2019198889 A1 WO2019198889 A1 WO 201919888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enter
region
eye
contact lens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121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창선
마기중
Original Assignee
(주)고려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려아이텍 filed Critical (주)고려아이텍
Priority to EP18914711.9A priority Critical patent/EP3779569A4/en
Priority to CN201880091707.4A priority patent/CN111971612A/zh
Priority to US17/046,740 priority patent/US20210165246A1/en
Publication of WO201919888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9888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4Annular configuration, e.g. pupil tune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le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ct lens for improving presbyopia that can be worn on one eye to improve the presbyopia.
  • the refractive power of the eye must change, and the length of the cornea and the front and rear eyes cannot change, so the eye is close to the object by improving the refractive power of the lens, the lens. It is called regulation.
  • presbyopia presbyopia is known to be caused by causes such as ciliary or deformity of the lens and hypertrophy of the lens, which are muscles that control the refractive power of the lens at both ends of the lens.
  • causes such as ciliary or deformity of the lens and hypertrophy of the lens, which are muscles that control the refractive power of the lens at both ends of the lens.
  • the lens or lens has excellent elasticity, and when you look at an object at a very close distance, the lens contracts and the lens becomes thicker, which increases the refractive power, so you can see clearly. Since the refractive power of the lens does not improve, the distance is well visible and the nearby image is blurred.
  • optical correction and surgical correction are proposed.
  •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resbyopia has not been completed yet, but research on presbyopia that maintains near vision to some extent, including optical correction and surgical correction, is being conducted.
  • optical correction methods are bi- or multifocal contact lenses.
  • the center is formed with a high refractive power or asymmetrical design.
  • a lens with a high refractive power in the center has a strong refractive power near the center and a weaker power toward the surroundings.
  • the asymmetric design uses diffraction optics to focus light at different distances. The focus distribution for near or distant objects depends on the diffraction design.
  • the use of the contact lens as described above is reduced vision and contrast sensitivity.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presbyopia contact lens which can improve the presbyopia by increasing the depth of focus of the image formed on the retina by selectively blocking light entering the eye. have.
  • the center of the body to form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of 1.5 ⁇ 1.8mm, the center transmission area for transmitting the light entering the eye, the center transmission area is wrapped around, the inside of the center transmission area has a ring shape of a certain width
  • the center blocking area for blocking the light entering the eye, and determines the size and shape of the center blocking area, and wraps around the center blocking area, and has a ring shape with a certain width and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blocking area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ntact lens for improving presbyopia that includes an outer permeable region for transmitting light and an outer blocking region for enclosing the outer permeable region to block light entering the eyes.
  • the contact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entering the eye is selectively blocked by the center transmission area and the center blocking area, the depth of focus of the image formed on the retina is increased, and the light may be generated by the center blocking area.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eliminate the lack of and the formation of donut-shaped images through the outer permeation zone and the outer shielding zone. As a result, the center permeation zone, the center blocking zone, the outer permeation zone, and the outer shielding zone are organically acted. By helping them to clearly identify the problem, they can solve problems that may be caused by presbyopia.
  •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mounted on the eyeball,
  •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graph of pupil size measurement results according to the change in illuminance.
  •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by narrowing the path through which light enters by forming an area for concentrating and transmitting light entering the eye at the center of the contact lens, thus eliminating a part of various images made at various positions of the retina.
  • a central transmission area that transmits light entering the eye by forming a circle shape having a diameter of 1.5 to 1.8 mm from the center of the body, and surrounds the central transmission area, and has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 the center blocking area for determining the shape and blocking the light entering the eyes, the center blocking area is wrapped around the center blocking area, and has a certain width and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blocking area to transmit light between the center blocking area.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ntact lens for presbyopia improvement that includes an outer permeable region and an outer shielding region that surrounds the outer transparent region to block light entering the eye.
  •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eye
  •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 graph showing pupil size measurements according to changes in illuminance.
  • the human eye 100 includes the lens 104, which is an intraocular lens located on the cornea and the posterior surface of the cornea, and the retina in contact with the interior of the posterior surface of the eye 100 (not shown in the figure). ).
  • the cornea is the first focal forming element of the eye 100 and the lens 104 is the second focal forming element of the eye 100.
  • the retina contains mainly receptor cells that are responsible for vision. When a signal is received in a high-sensitivity area known as the macula, it is transmitted to the visual center of the brain through the optic nerve.
  • a presbyopia phenomenon such as a part of the light that is incident on the cornea through various paths may not be accurately focused on the surface of the retina, and the object may be blurred. This will occur.
  • the contact lens 10 includes a center transmissive region 12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center blocking region 14 formed at an outer side thereof.
  • the body is formed to be entirely transparent, and the center blocking region 14 is formed to be opaque, and the center blocking region 14 is formed to surround the center transmitting region 12. That is, the center blocking area 14 is form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central transmission area 12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center blocking area 14 is formed opaque by coloring the contact lens 10 body and enters the eye. It blocks the light. Since the inside of the center blocking region 14 is formed as the center transmission region 12, the shape and size of the center transmission region 12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center blocking region 14.
  • the center blocking region 14 may block light incident through a path out of focus on the retina. This increases the depth of focus of light on the retina.
  • the center transmissive region 12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size at the center of the contact lens 10 to transmit light entering the eye.
  • the central transmission region 12 reduces the size of the pupil, thereby reducing the light incident on the cornea at various angles and allowing light to be incident only in a consistent direction.
  • light incident on the cornea at various positions creates an image of the object at various points of the retina.
  • the angle of light incident on the central transmission region 12 is reduced, the pinhole effect is affected. As a result, the path through which light is incident is narrowed, and thus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is reduced. This results in the loss of some of the various images created at various points in the retina, increasing the depth of focus.
  • the size of the central transmission region 12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general pupil as described above, but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opening region 102 formed in front of the lens 104 to reduce the size of the pupil. The size is determined in the range.
  • the central transmission region 12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of 1.5 to 1.8 mm.
  • the size of pupils of adults over 30 years old is approximately 2-5 mm in an environment of illumination of 3500 lux, which is a bright sunlight environment, and an illumination intensity of 500 lux, which is a level of illumination in a general room.
  • 3500 lux which is a bright sunlight environment
  • 500 lux which is a level of illumination in a general room.
  • No. 4 p401 ⁇ p406, "A Study on Pupil Size by Age and Illumination of Koreans"). Therefore, when the center transmissive region 12 is more than 2 mm, the pinhole effect is reduced because the edge is sometimes out of the pupil when there is a slight change in position while the contact lens 10 is worn.
  • the center of the pupil and the center of the central transmission region 12 may not coincide.
  • the diameter of the central transmission region 12 should be such that the pinhole effect should be implemented without difficulty even when the contact trench 10 is worn while the diameter of the center transmission region 12 is not more than 2 mm. It is preferable.
  • the shape of the center transmission region 12 as described above may be achieved by forming the inside of the center blocking region 14 in a circular shape.
  • the inside of the center blocking region 14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 the center blocking region 14 is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opening region 102 formed in front of the lens 104. This effectively blocks light incident on an out of focus path.
  • the center blocking region 14 may have a width of 0.6 to 0.8 mm. The width of the center blocking region 14 as described above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opening region 102 formed in front of the lens 104 so that the outer permeable region 16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smoothly exhibited.
  • an outer permeable region 16 and an outer shielding region 18 are sequentially formed outside the central blocking region 14.
  • the outer blocking region 18 surrounds the center blocking region 14 an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center blocking region 14 so that the outer permeable region between the outer blocking region 18 and the center blocking region 14 is formed. (16) is naturally formed.
  • the outer permeable region 16 serves to increase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eye 100.
  •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to the eye 100 is reduced, resulting in darkening of the field of view.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entral blocking area 14, the aforementioned phenomenon is caused. Donuts may occur.
  • the outer blocking region 18 serves to block the transmission of light so that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to the outer transparent region 16 is not excessive.
  • the shape of the outer permeable region 16 is determined by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center blocking region 14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outer blocking region 18. Preferably it is formed to form a circular ring shape of a constant width, the width of the outer permeable region 16 in this configuration is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center blocking region (14). When the width of the outer permeable region 16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center blocking region 14, the function of the center blocking region 14 is not properly implemented by light, and thus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 the width of the outer permeable region 16 is 0.4 to 0.55 mm, and if it is out of the range, the donut phenomenon is not properly reduced, so that it is formed in the above range.
  •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permeable region 16 as described above is achieved by forming the circular blocking shape in which the center blocking region 14 forms a circular ring shape and the outer blocking region 18 also has a predetermined width. Can be.
  • the outer cutoff region 18 may be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only in the inner circumference.
  • the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shielding region 18 is formed to be 3 to 4 times wider than the outer permeable region 16 in the range formed smaller than the overall diameter of the contact lens 10, which is the outer While concentrating the light to the transmission region 16 is configured to effectively block unnecessary light.
  •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shielding region 18 can be realized as if a pattern is formed on the contact lens 10 by forming a shape other than a circular shape, for example, a waveform, as necessary. .
  • the appearance of the contact lens 10 can be variously formed, thereby improving aesthetic value.
  • the contact len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used to wear on one eye.
  • the contact lens 10 is excessively moved in an unexpected situation, only one eye may be obscured since only one eye may block the view of both eyes.
  • the contact len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depth of focus of the image formed on the retina by selectively blocking light entering the eye through the center transmission region 12 and the center blocking region 14.
  • the central transmission area 12, the central blocking area 14, the outer transmission area 16, and the outer blocking area 18 work very organically to help the object to be clearly identified. The result can help improve presbyopia.
  • the effect of improving presbyopia by the contact len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through a comparative experiment of the embodiment and the comparative example.
  • a center transmission region 12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t the center of the contact lens 10 body, and a center blocking region 14, an outer transmission region 16, and an outer blocking region 18 are formed in the center transmission region 12. And formed into a ring shape arranged on a concentric circle.
  • the diameter of the central transmission region 10 was 1.66 mm
  • the width of the central barrier region 14 was 0.71 mm
  • the width of the outer transmission region 16 was 0.48 mm
  • the width of the exterior barrier region was 2.13 mm.
  • the diameter of the central transmission region 10 was formed to be 1.3 mm.
  • the diameter of the central transmission region 10 was formed to be 2.0 mm.
  • the width of the center blocking region 12 was formed to be 0.4 mm.
  • the width of the center blocking region 12 was formed to be 1 mm.
  • the width of the outer permeable region 16 was 0.2 mm.
  • the diameter of the outer permeable region 16 was formed to be 0.65 mm.
  • the contact lense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6 were selected by wearing 20 male and female presbyopia patients in their 40s to 70s.
  • the experiment method was measured by reading the pictures and texts expressed in the chart erected 40cm in the room with 500lux of illuminance while wearing contact lens on one eye.
  • the results were measured by dividing into five steps and giving an averag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donut phenomenon occurred.
  • Example 1 According to the above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resbyopia is improved because the donut phenomenon does not occur while the sharpness is improve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to Comparative Example 6 Even if the sharpness decrease (Comparative Examples 1, 4, 5, 6) and the donut phenomenon do not occur, the sharpness does not reach Example 1 because the amount of light is not appropriat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Example 1 has the best effect of presbyopia impr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 중심에 일정 면적을 점유하게 형성되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투과시키는 중심투과영역(12), 상기 중심투과영역(12)을 감싸되, 일정 폭을 이루고, 내부가 상기 중심투과영역(12)의 크기와 형상을 결정하며,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 중심차단영역(14), 상기 중심차단영역(14)을 감싸되, 일정 폭을 이루고, 중심차단영역(14)과 일정 간격을 이루어 중심차단영역(14)과의 사이에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투과시키는 외곽투과영역(16)을 형성하며,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 외곽차단영역(18)을 포함하는 노안 개선용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쪽 눈에 착용하는 노안 개선용 콘택트렌즈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쪽 눈에 착용하여 노안을 개선할 수 있는 노안 개선용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눈은 먼 곳을 보다가 가까운 사물을 보려면 눈의 굴절력이 변해야 하며, 각막과 안구 전후의 길이는 변화할 수 없으므로 안구 내 렌즈 즉, 수정체의 굴절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가까운 사물을 보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조절이라고 한다.
한편, 노화가 진행되면서 수정체가 딱딱해지고 탄력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조절력이 감소되어 근거리 작업이 장애를 받게 된다. 이른바 노안으로, 노안은 수정체의 양끝에서 수정체의 굴절력을 조절하는 근육인 모양체나 수정체의 탄력성 저하와 수정체의 비대와 같은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즉, 젊을 때에는 모양체나 수정체가 탄력이 뛰어나 아주 가까운 거리에 있는 물체를 볼 때 모양체가 수축하고 수정체가 두꺼워져 굴절력이 증가되어 또렷이 볼 수가 있지만, 노화가 진행되어 수정체가 탄력성이 떨어지고 비대해지면 가까운 것을 볼 때 수정체의 굴절력이 향상되지 않기 때문에 먼 거리는 잘 보이고 가까운 곳에 있는 상(像)이 흐리게 보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노안의 교정을 위해서는 광학적 교정법과 수술적 교정법이 제안되고 있다. 노안의 예방과 치료는 아직까지 완전한 것이 없으나 위와 같은 광학적 교정법과 수술적 교정법을 포함하여 어느 정도 근거리 시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노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광학적 교정법의 예로 이중이나 다 초점 콘택트렌즈가 있다. 중앙이 굴절력이 높거나 비대칭 디자인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중앙에 굴절력이 높은 렌즈는 중심 근처에 굴절력이 강하고 주위로 갈수록 더 약한 굴절력을 갖는 형태이다. 그리고 비대칭 디자인은 다른 거리에서 빛의 초점을 맞추는 회절광학을 이용한다. 근거리 물체나 원거리 물체에 대한 초점 분포는 회절 디자인에 따라 다르다.
또한, 모노비전(mono vision) 콘택트렌즈가 있는데, 모노비전에서 한 눈은 근용이고 다른 눈은 원용으로 교정된다. 이는 원용과 근용에서 모두 선명한 시력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우위안에 원용, 비우위안에 근용을 처방하여 2주간의 적응기간을 거쳐 적응이 되지 않은 경우는 반대로 처방하기도 한다. 적응기간 동안 노안은 모노비전을 잘 견디어 초점을 벗어난 상을 무시하는 것을 배우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콘택트렌즈 이용은 시력과 대비 감도가 저하되게 된다. 또한, 글레어, 복시, 달무리 현상 그리고 저하된 거리 감각이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들이 있으며 또한 눈에 피로와 두통도 나타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050525호(2010. 5. 13.)
(문헌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2098호(2017. 6. 14.)
[비특허문헌]
(문헌1) 대한안과학회지 2011년 제52권 제4호 p401~p406 "한국인의 연령 및 조도에 따른 동공크기에 대한 연구"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망막에 맺히는 상(像)의 초점심도를 높여 노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노안용 콘택트렌즈를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몸체 중심에서 1.5~1.8mm 지름으로 된 원 형상을 이루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투과시키는 중심투과영역, 상기 중심투과영역을 감싸되, 일정 폭을 이루는 링 형상으로 되어 내부가 상기 중심투과영역의 크기와 형상을 결정하며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 중심차단영역, 상기 중심차단영역을 감싸되, 일정 폭을 이루는 링 형상으로 되고 중심차단영역과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되어 중심차단영역과의 사이로 빛을 투과시키는 외곽투과영역 및 상기 외곽투과영역을 감싸게 형성되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 외곽차단영역을 포함하는 노안 개선용 콘택트렌즈를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렌즈에 의하면, 중심투과영역, 중심차단영역에 의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이 선택적으로 차단됨으로써 망막에 맺히는 상(像)의 초점심도가 높아지게 되고, 중심차단영역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빛의 부족 및 도넛 모양의 상이 맺히는 현상을 외곽투과영역, 외곽차단영역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는바, 결과적으로 중심투과영역, 중심차단영역, 외곽투과영역, 외곽차단영역이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물체를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노안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렌즈가 안구에 장착되는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렌즈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렌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조도 변화에 따른 동공크기 측정결과 그래프.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의 중심에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집중하여 투과시키는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빛이 입사되는 통로를 좁혀 입사되는 빛의 양을 줄이고, 그에 따라 망막의 여러 위치에 만들어지던 다양한 상의 일부가 사라지도록 하여 초점심도를 높임으로써 노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몸체 중심에서 1.5~1.8mm 지름으로 된 원 형상을 이루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투과시키는 중심투과영역, 상기 중심투과영역을 감싸되, 일정 폭을 이루는 링 형상으로 되어 내부가 상기 중심투과영역의 크기와 형상을 결정하며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 중심차단영역, 상기 중심차단영역을 감싸되, 일정 폭을 이루는 링 형상으로 되고 중심차단영역과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되어 중심차단영역과의 사이로 빛을 투과시키는 외곽투과영역 및 상기 외곽투과영역을 감싸게 형성되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 외곽차단영역을 포함하는 노안 개선용 콘택트렌즈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렌즈가 안구에 장착되는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렌즈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렌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조도 변화에 따른 동공크기 측정결과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눈(100)은 각막과 각막의 후위 표면에 위치한 안구 내 렌즈인 수정체(104), 그리고 눈(100)의 후위 표면의 내부에 접하는 망막(도면에 표현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각막은 눈(100)의 제1 초점 형성 요소이고, 수정체(104)는 눈(100)의 제2 초점형성 요소이다. 그리고 망막은 주로 시각을 담당하는 수용기 세포를 포함하는데, 황반으로 알려진 고감도 영역에 신호가 수신되면 시신경을 통해 뇌의 시각 중추로 전송된다.
위와 같은 사람의 눈(100)에서는 각막을 통해 입사되는 빛이 수정체(104)를 통해 굴절되어 망막의 표면에 초점이 맞추어 짐으로써 사물을 인식하게 된다. 이때, 노안 등으로 인해 수정체(104)의 수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여러 경로를 통해 각막으로 입사된 빛 중 일부가 망막의 표면에 정확히 초점이 맞추어지지 않음으로써 사물이 흐리게 보이는 등의 노안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렌즈(10)는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심투과영역(12), 그 바깥쪽에 형성되는 중심차단영역(14)을 포함한다. 몸체는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심차단영역(14)은 불투명하게 형성되는데, 중심차단영역(14)은 상기 중심투과영역(12)을 감싸게 형성된다. 즉, 중심차단영역(14)이 중심투과영역(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폭을 이루면서 감싸게 형성되고, 중심차단영역(14)은 콘택트렌즈(10) 몸체가 착색됨으로써 불투명하게 형성되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중심차단영역(14)의 내부가 상기 중심투과영역(12)으로 형성되는 것인바, 따라서 중심차단영역(14)의 내부 형상에 따라 중심투과영역(12)의 형상과 크기가 결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콘택트렌즈(10)를 통해 각막을 통과하여 수정체(104)로 입사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중심차단영역(14)이 입사되는 빛 중 망막에 초점이 맞지 않는 경로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써 빛이 망막에 맺히는 초점심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중심투과영역(12)은 콘택트렌즈(10)의 중심에 미리 계산된 크기로 형성되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투과시킨다. 이와 같은 중심투과영역(12)은 동공 사이즈를 줄이는 기능을 수행하여 여러 각도에서 각막으로 입사되는 빛을 줄여주고, 일관된 방향으로만 빛이 입사되도록 한다. 즉, 다양한 위치에서 각막으로 입사되는 빛은 망막의 여러 지점에 사물의 상(像)을 만들게 되는데, 이때 중심투과영역(12)으로 빛이 입사되는 각도를 줄여주게 되면 핀홀효과(pinhole effect)에 의해 빛이 입사되는 통로가 좁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그로 인해 망막의 여러 지점에서 만들어지던 다양한 상의 일부가 사라지게 되는 결과가 되어 초점심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중심투과영역(12)은 크기가 작을수록 초점심도가 증가한다. 하지만, 크기가 너무 작은 경우 일반적인 성인의 동공 크기에 적당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약한 빛일 때 동공이 커짐으로써 시야에 도넛(doughnut) 모양의 형상이 보이는 도넛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중심투과영역(12)이 너무 크면 핀홀효과가 감소하여 초점심도의 조절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동공의 크기를 고려하여 중심투과영역(12)의 크기를 결정하되, 수정체(104) 전방에 형성되는 개구부 영역(10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동공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범위에서 그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중심투과영역(12)이 1.5∼1.8mm의 지름으로 되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규격에서 하한치의 경우 1.5mm에 이르지 못하게 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야에 도넛 모양의 형상이 발생하게 되어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유발하게 된다. 반면 상한치는 성인의 눈 구조를 감안한 것이다.
연구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대 이상 성인 기준 동공의 크기는 밝은 햇빛 환경에 속하는 조도 3500lux, 일반적인 실내에서의 조명 밝기 수준인 조도 500lux 정도의 환경에서 대략 2~5mm(대한안과학회지 2011년 제52권 제4호 p401~p406 "한국인의 연령 및 조도에 따른 동공크기에 대한 연구")가 된다. 따라서 중심투과영역(12)이 2mm를 넘을 경우 콘택트렌즈(10)를 착용하 상태에서 조금의 위치 변화가 있을 경우 그 가장자리가 때에 따라 동공을 벗어나게 되므로 핀홀효과가 감소하게 된다. 특히나 사람의 눈 구조 특성상 동공이 눈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콘텍트렌즈(10)를 착용하게 되면 동공의 중심과 중심투과영역(12)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중심투과영역(12)의 지름은 2mm를 넘지 않으면서도 콘택트렌(10)를 착용하였을 때 일정정도 위치 변화에도 핀홀효과가 무리 없이 구현되도록 하여야 하는바, 지름이 1.8mm를 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중심투과여역(12)의 형상은 상기 중심차단영역(14)의 내부를 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중심차단영역(14)을 원형의 링 형상을 이루게 형성하여서 중심차단영역(14)의 내부를 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중심투과영역(12)을 원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중심투과영역(12)의 중심에서 가장자리까지 모든 지점에서 거리가 동일하게 되므로 입사되는 빛이 효과적으로 한 점으로 모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형상 및 크기로 중심투과영역(12)이 형성되는 경우 중심차단영역(14)은 수정체(104) 전방에 형성되는 개구부 영역(10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써 초점이 맞지 않는 경로로 입사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중심차단영역(14)은 그 폭이 0.6~0.8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중심차단영역(14)의 폭은 수정체(104) 전방에 형성되는 개구부 영역(10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면서도 후술하는 외곽투과영역(16)이 원활하게 기능이 발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중심차단영역(14) 외곽에 외곽투과영역(16)과 외곽차단영역(18)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곽차단영역(18)이 상기 중심차단영역(14)을 감싸되 중심차단영역(14)과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됨으로써 외곽차단영역(18)과 중심차단영역(14) 사이에 상기 외곽투과영역(16)이 자연스럽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 외곽투과영역(16)은 눈(100)으로 입사되는 빛의 양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중심차단영역(14)에서 빛이 완벽히 차단되는 경우 눈(100)으로 입사되는 빛이 양이 줄어 시야가 어두워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에 따라 중심차단영역(14)의 모양에 따라 앞서 언급한 도넛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외곽투과영역(16)을 형성함으로써 입사되는 빛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므로 도넛현상을 감소시키며 밝은 시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외곽차단영역(18)은 외곽투과영역(16)으로 입사되는 빛의 양이 과도하지 않도록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외곽투과영역(16)은 중심차단영역(14)의 바깥쪽 둘레 형상과 외곽차단영역(18)의 안쪽 둘레형상에 의해 그 형상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폭으로 된 원형의 링 형상을 이루게 형성하는 것인바, 이러한 구성에서 외곽투과영역(16)이 폭은 중심차단영역(14)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외곽투과영역(16)의 폭이 중심차단영역(14)의 폭보다 넓을 경우 빛에 의해 중심차단영역(14)의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외곽투과영역(16)의 폭이 0.4~0.55mm로 형성되는 것인바,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도넛현상의 감소가 제대로 이루어지 지지 않게 되므로 상기의 범위에서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외곽투과영역(16)의 구성은 상기 중심차단영역(14)이 원형의 링 형상을 이루고 외곽차단영역(18)도 일정 폭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링 형상을 이루어 동심원상에 형성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곽차단영역(18)은 안쪽 둘레 만이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한편, 외곽차단영역(18)의 바깥쪽 둘레의 지름은 콘택트렌즈(10)의 전체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범위에서 외곽투과영역(16)보다 3~4배 정도 폭을 넓게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외곽투과영역(16)으로 빛이 집중되도록 하면서도 불필요한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 구성에서 외곽차단영역(18)의 바깥쪽 둘레는 필요에 따라 원형 외에 다른 형상, 예를 들면 파형을 이루도록 하는 등의 방식으로 콘택트렌즈(10)에 마치 문양이 형성된 것과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콘택트렌즈(10)의 외관을 다양하게 형성하여 미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콘택트렌즈(10)는 한 쪽 눈에 착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양 쪽 눈에 착용하는 경우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콘택트렌즈(10)가 과도하게 움직일 경우 만에 하나라도 양 쪽 눈의 시야를 가리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한 쪽 눈에만 착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렌즈(10)는 중심투과영역(12)과 중심차단영역(14)을 통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망막에 맺히는 상의 초점심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데, 그러한 구성과 유기적으로 작용하는 외곽투과영역(16), 외곽차단영역(18)으로 중심차단영역(14)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빛의 부족 및 도넛 모양의 상이 맺히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중심투과영역(12), 중심차단영역(14), 외곽투과영역(16), 외곽차단영역(18)이 매우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물체를 선명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게 되고, 그 결과 노안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렌즈(10)에 의한 노안 개선 효과를 실시예와 비교예의 비교 실험을 통해 설명한다.
[실시예 1]
콘택트렌즈(10) 몸체의 중심에 중심투과영역(12)을 원형상으로 형성하고, 중심차단영역(14), 외곽투과영역(16), 외곽차단영역(18)을 상기 중심투과영역(12)과 동심원상에 배치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중심투과영역(10)의 지름은 1.66mm, 중심차단영역(14)의 폭은 0.71mm, 외곽투과영역(16)의 폭은 0.48mm, 외관차단영역의 폭은 2.13mm로 형성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에서 중심투과영역(10)의 지름을 1.3mm로 형성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에에서 중심투과영역(10)의 지름을 2.0mm로 형성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에서 중심차단영역(12)의 폭을 0.4mm로 형성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에서 중심차단영역(12)의 폭을 1mm로 형성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에서 외곽투과영역(16)의 폭을 0.2mm 로 형성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에서 외곽투과영역(16)의 지름을 0.65mm로 형성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1~6의 콘택트렌즈를 40대~70대 남여 노안환자 20명을 선정하여 착용한 결과를 측정하였다. 실험방법은 콘택트렌즈를 한 쪽 눈에 착용한 상태에서 조도 500lux 환경의 실내에서 40cm앞에 세워진 차트에 표현된 그림과 글자를 읽는 방식으로 실험(근거리시력 측정 기준)하여 측정한바, 선명도를 최하에서 최상까지 5단계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평균값을 내고, 도넛현상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선명도(1~5) 도넛현상유무
실시예 1 5 x
비교예 1 4 o
비교예 2 3 x
비교예 3 3 x
비교예 4 4 o
비교예 5 3 o
비교예 6 3 o
상기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은 선명도가 향상되면서 도넛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노안 개선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고,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의 경우 도넛현상의 발생에 따른 선명도 저하(비교예 1, 4, 5, 6) 및 도넛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빛의 양이 적절하지 않음에 따라 선명도가 실시예 1에 이르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이 노안 개선의 효과가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0 : 콘택트렌즈, 12 : 중심투과영역,
14 : 중심차단영역, 16 : 외곽투과영역,
18 : 외곽차단영역,
100 : 눈, 102 : 개구부,
104 : 수정체.

Claims (4)

  1. 몸체 중심에서 1.5~1.8mm 지름으로 된 원 형상을 이루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투과시키는 중심투과영역(12),
    상기 중심투과영역(12)을 감싸되, 일정 폭을 이루는 링 형상으로 되어 내부가 상기 중심투과영역(12)의 크기와 형상을 결정하며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 중심차단영역(14),
    상기 중심차단영역(14)을 감싸되, 일정 폭을 이루는 링 형상으로 되고 중심차단영역(14)과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되어 중심차단영역(14)과의 사이로 빛을 투과시키는 외곽투과영역(16) 및
    상기 외곽투과영역(16)을 감싸게 형성되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 외곽차단영역(18)을 포함하는 한쪽 눈에 착용하는 안 개선용 콘택트렌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차단영역(14)과 외곽투과영역(18)은 동심원상에 형성되는 한쪽 눈에 착용하는 노안 개선용 콘택트렌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투과영역(16)의 폭은 중심차단영역(14)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한쪽 눈에 착용하는 노안 개선용 콘택트렌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차단영역(14)의 폭은 0.6~0.8mm이고, 외곽투과영역(16)의 폭은 0.4~0.55mm인 한쪽 눈에 착용하는 노안 개선용 콘택트렌즈.
PCT/KR2018/011212 2018-04-10 2018-09-21 한쪽 눈에 착용하는 노안 개선용 콘택트렌즈 WO2019198889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914711.9A EP3779569A4 (en) 2018-04-10 2018-09-21 ONE-EYE CONTACT LENS TO IMPROVE PRESBYOPIA
CN201880091707.4A CN111971612A (zh) 2018-04-10 2018-09-21 单眼佩戴的老花眼改善用隐形眼镜片
US17/046,740 US20210165246A1 (en) 2018-04-10 2018-09-21 Contact lens worn on one eye to improve presbyop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717 2018-04-10
KR20180041717 2018-04-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8889A1 true WO2019198889A1 (ko) 2019-10-17

Family

ID=6816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1212 WO2019198889A1 (ko) 2018-04-10 2018-09-21 한쪽 눈에 착용하는 노안 개선용 콘택트렌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165246A1 (ko)
EP (1) EP3779569A4 (ko)
KR (1) KR102123027B1 (ko)
CN (1) CN111971612A (ko)
WO (1) WO20191988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9800B (zh) * 2022-03-10 2023-07-07 江苏康耐特光学有限公司 一种眼镜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122A (ko) * 2006-06-29 2009-04-13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광 차단 환을 갖는 콘택트 렌즈
KR20100050525A (ko) 2007-07-30 2010-05-13 쿠퍼 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다초점 콘택트 렌즈 및 시력을 향상시키고 다초점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3168294U (ja) * 2011-01-07 2011-06-09 友健 森永 ピンホールコンタクトレンズ
KR101383496B1 (ko) * 2009-10-20 2014-04-08 가부시끼가이샤 유니버설 뷰 소프트 콘택트 렌즈
KR20140047475A (ko) * 2012-10-12 2014-04-22 하정훈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
KR20170002098U (ko) 2017-05-29 2017-06-14 (주)고려아이텍 노안을 위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0463A (en) * 1990-10-30 1992-11-03 Pilkington Visioncar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JPH1068912A (ja) * 1996-03-28 1998-03-10 Seiko Epson Corp コンタクトレンズ
US20010050750A1 (en) * 2000-06-08 2001-12-13 Breger Joseph L. Pinhole presbyopic contact lenses
ES2970433T3 (es) * 2009-08-13 2024-05-28 Acufocus Inc Método de fabricación de implantes intraoculares con máscara y lentes
US9063352B2 (en) * 2010-10-11 2015-06-2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elescopic contact lens
JP2013109102A (ja) * 2011-11-18 2013-06-06 Teruyuki Seto コンタクトレンズ
US9545303B2 (en) * 2011-12-02 2017-01-17 Acufocus, Inc. Ocular mask having selective spectral transmission
KR20160131782A (ko) * 2015-05-08 2016-11-16 (주)고려아이텍 노안을 위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및 형성방법
KR101578327B1 (ko) 2015-06-04 2015-12-16 구오섭 노안용 콘택트렌즈
TWI641892B (zh) * 2016-09-30 2018-11-21 星歐光學股份有限公司 隱形眼鏡及隱形眼鏡產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122A (ko) * 2006-06-29 2009-04-13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광 차단 환을 갖는 콘택트 렌즈
KR20100050525A (ko) 2007-07-30 2010-05-13 쿠퍼 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다초점 콘택트 렌즈 및 시력을 향상시키고 다초점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383496B1 (ko) * 2009-10-20 2014-04-08 가부시끼가이샤 유니버설 뷰 소프트 콘택트 렌즈
JP3168294U (ja) * 2011-01-07 2011-06-09 友健 森永 ピンホールコンタクトレンズ
KR20140047475A (ko) * 2012-10-12 2014-04-22 하정훈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
KR20170002098U (ko) 2017-05-29 2017-06-14 (주)고려아이텍 노안을 위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upil Magnitude in the Normal Korean Population According to Age and Illuminance",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vol. 52, no. 4, 2011, pages 401 - 406
See also references of EP3779569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79569A4 (en) 2022-01-19
CN111971612A (zh) 2020-11-20
US20210165246A1 (en) 2021-06-03
KR20190118487A (ko) 2019-10-18
EP3779569A1 (en) 2021-02-17
KR102123027B1 (ko)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5367A (en) Annular mask contact lenses
CA2777648C (en) Soft contact lens
WO2016182261A1 (ko) 노안을 위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 방법
AU634051B2 (en) Method and contact lenses for treating presbyopia
US5980040A (en) Pinhole lens and contact lens
US8079704B2 (en) Multifocal ophthalmic lens
JPH09502542A (ja) 環状マスクコンタクトレンズ
US5151723A (en) Multifocal contact lens
KR101390215B1 (ko) 노안을 위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및 형성방법
JP2015018179A (ja) コンタクトレンズ
WO2019198889A1 (ko) 한쪽 눈에 착용하는 노안 개선용 콘택트렌즈
CN104849875A (zh) 一种角膜接触镜
CN215067574U (zh) 一种基于透镜阵列的近视防控镜
CN204575996U (zh) 一种角膜接触镜
WO2018030635A1 (ko) 노안용 콘택트렌즈
WO2014058205A1 (ko) 대칭형 광량 보강부가 형성된 핀홀 콘택트렌즈
CN117289484A (zh) 一种雾沙多点离焦镜片及眼镜
WO2015108211A1 (ko) 노안을 위한 소프트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2098U (ko) 노안을 위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KR101069110B1 (ko) 조절성 인공 수정체
EP3470019A1 (en) Monofocal intraocular lens
CA3151874C (en) Glasses for retarding myopia progression
CN220289980U (zh) 一种遮瞳隐形眼镜
CN219245878U (zh) 一种雾沙多点离焦镜片及眼镜
JPH04329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147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9147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