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30635A1 - 노안용 콘택트렌즈 - Google Patents

노안용 콘택트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30635A1
WO2018030635A1 PCT/KR2017/006814 KR2017006814W WO2018030635A1 WO 2018030635 A1 WO2018030635 A1 WO 2018030635A1 KR 2017006814 W KR2017006814 W KR 2017006814W WO 2018030635 A1 WO2018030635 A1 WO 201803063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efractive index
far
contact lens
distanc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681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성준
이현승
이현정
Original Assignee
이성준
이현승
이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준, 이현승, 이현정 filed Critical 이성준
Priority to EP17839653.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499298A4/en
Priority to US16/302,048 priority patent/US11294202B2/en
Priority to JP2018560053A priority patent/JP7079936B2/ja
Priority to CA3024288A priority patent/CA3024288C/en
Priority to CN201780028424.0A priority patent/CN109154725B/zh
Publication of WO201803063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306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3Shape of the progressive surface
    • G02C7/066Shape, location or size of the viewing zon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7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wearer's param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2Simultaneou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5Sectorial configu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2Locally varying refractive index, gradient index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7Contact lens fitting; Contact lenses for orthokeratology; Contact lenses for specially shaped cornea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byopia contact lens,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both a far field and a near field of view in one contact lens while varying the size of the far field and near field of view of both eyes according to the predominant and the thirteen eyes.
  • Long-distance field and near-field area magnification of dominant eye and low-eye eye are continuously formed so that the middle distance area is partially overlapped, so that the short-range field of vision can be continuously provided at a long distance by the neural summary phenomena that selects the best visible image of both eye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byopia contact lens.
  • the human eye is roughly similar to the structure of a camera.
  • the cornea located at the very front of the eye and the inside of the sclera are irises that function as apertures to control the amount of light.
  • the lens acts as a lens to form an image
  • the retina acts as a film to form light through the cornea and lens
  • the ciliary body acts as a distance adjuster so that the image of an object is accurately formed on the retina by changing the thickness of the lens. have.
  • the lens having a similar function in the human eye is fixed in place by the ciliary body. In this state, the thickness is changed so that the image is clearly formed on the retina.
  • the lens consists of an elastic and convex lens shap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4 mm to adjust the degree of refraction of light coming through the pupil.
  • the lens is contracted and the lens is thickened.
  • the muscles of the ciliary body relax, the thickness of the lens becomes thinner, and the light refraction decreases. The object can be seen clearly.
  • the visual function provided by the human eye is a complex function, and it can be divided into four elements, which are divided into minimum visible, minimum resolvable, minimal legible, and minimal discrimination. .
  • the visibility may be referred to as the sensitivity of the retina, and the amount of light and the background play an important role rather than the size of the object. In other words, contrast plays a big role.
  • the separation force refers to the ability to recognize two points or lines separated by two is called resolution and general vision. This may be called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and minimum separatibility.
  • the threshold is 30 seconds to 1 minute in normal people.
  • the size of the macular vertebrae is 1.0-4.0 ⁇ m. If we want to recognize that the two objects are separate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hases in the retina should be at least 1.5 ⁇ m, which is about 20 seconds.
  • the minimum time of clinically measured normal person is 30 seconds ⁇ 1 minute. A typical method of measuring this is the Lantolt's rings. It was first recognized as the International Sight Table by the European International Conference in 1909.
  • the eye's vision can be determined at a distance of 5 mm, but it cannot identify a smaller mark. Is 1.0. At a distance of 5m, the distance of 1.5mm is the visual angle of 1 minute. Visual acuity is represented by the inverse of the minimum time. The visual acuity of an eye with a minimum time of 2 minutes at a distance of 5m is 0.5, and if it has a minimum time of 0.1 and 30 seconds for 10 minutes, it becomes 2.0.
  • the readability refers to the ability to recognize letters, numbers, or shapes. In addition to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the eye, psychological factors (intelligence, attention, experience, etc.) are involved.
  • the discernment may recognize what it is when a person sees an object or an alien but where is it, how does it move, and is the array normally placed? Is it upright? See if it is tilted. Examples include array vision, tilt vision, movement vision, and stereoscopic vision. It is thought that recognition is performed by different mechanisms such as separation ability, readability, etc. because the recognition itself is performed at a distance (about 20-30 seconds) within one cell.
  • the depth of focus increases, even if the refractive error is not completely corrected, the visual acuity increases. This is why myopia is frowning.
  • the pupil is too small (0.1-1 mm or less), light diffraction occurs and the retina's illumination decreases, reducing vision.
  • the pupil diameter of 2.5mm ⁇ 6mm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pupil diameter of 2.5mm ⁇ 6mm, but if it is larger than that, spherical aberration occurs and vision decreases.
  • the lens when the lens works properly due to healthy eyes, the lens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focus well when looking at objects near or far away.However, as the age gets older, the lens loses its elasticity due to aging of the lens. It is degraded, and thus, when looking at an object at a close distance, it is out of focus and blurry and hard to see.
  • presbyopia is corrected through eyeglasses, contact lenses, or surgery.
  • a multifocal lens progressive lens in which one lens has various degrees of power is used to target objects at near, intermediate, and long distances. While correction is relatively easy to see for everyone, contact lenses are somewhat difficult to correct.
  • the multifocal contact lens which is a presbyopia contact lens
  • side effects such as reduced contrast sensitivity, night vision impairment, and neuroadaptation may work compared to the single focus.
  •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resbyopia contact lens is 0 D (diopter) for both eyes and 2.0 to 3.0 D for the near eye, so there is an invisible medium-distance field of view.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diplopia and confusion.
  • a presbyopia-focused hard contact lens of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18236 (published on Oct. 31, 2011; hereafter referred to as 'Previous Document 1') was proposed.
  • the prior art document 1 relates to a presbyopia-focal hard contact lens having a lens center circle for viewing a long distanc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and a lens peripheral root part for forming a lens near the lens center for a near distance formed.
  • Prior art 1 has a disadvantage in that since both eyes have the same range of distance and near frequency, the intermediate region that is hardly visible between the far and near is difficult to recognize continuous images from far to near.
  • a presbyopia contact lens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78327 (registered Dec. 10, 2015; hereafter referred to as 'Previous Document 2') was presented.
  • the prior art document 2 consists of a lens body which is composed of a far-field portion having a far-field refractive power and a near-field having a near-field refractive power and is in contact with the cornea, and allows the lens body to simultaneously focus far and near focus at the time of departure from the center of the cornea.
  • the frequency range of the far section of the lens body is -10.0 ⁇ 4.0D
  • the frequency range of the near section is 1.0 ⁇ 4.0D
  • the surface of the lens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ores for the air permeation and nutrient supply as a whole
  • the pores of the size is 8 ⁇ 12 ⁇ m and relates to a contact lens formed 15,000 ⁇ 16,000 pieces.
  • the presbyopia contact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resbyopia contact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byopia contact lens capable of minimizing the less visible area and minimizing the less visible area in both eyes.
  • the presbyopia contact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 a presbyopia contact lens having a far field having a far refractive index and a near field having a near refractive index partitioning a region comprising: a central region formed with a far refractive index to provide a viewing field; A finishing area formed in an annular shape along the edge; An optical region formed between the central region and the finishing region and having a refractive power to provide a field of view; The optical region divides the fa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nea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in a fan shape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transition portion that gently connects the difference in thicknesses of two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with a predetermined width at the boundary region of the far portion and the near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 the dominant eye forms a refractive index in the range of 210 degrees to the far portion and the symmetry of the near portion 150 degrees, and the non-dominant eye symmetry in the range of 150 degrees to the far portion and 210 degrees of the near portion.
  • the refractive index is provided, and the transition part can connect the thickness gently in the range of 3-7 degrees.
  • the thermal lattice may have a target refractive index of -0.5 diopters (D) at a remote site and a target refractive index of -2.25 diopters (D) at a near site.
  • the binocular is divided into predominant and ten eyes, and the contact ranges used for the divided eyes are formed differently, but by increasing the depth of focus, the intermediate area is partially overlapped to improve the visual acuity in the middle area. Because of the zone, the difference in refraction between the far and near areas is lowered, thereby improving the adaptability when using the patient.
  • the ratio between the predominant eye and the low ey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long-range and short-range areas of the contact lens. Therefore, the visual acuity can be easily seen by the neural summary phenomenon that selects and recognizes a good image from both eyes. Expanded range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atient adaptation by wearing.
  •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presbyopia contact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oundary surface deformable region of a far portion and a near portion in a presbyopia contact len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A and 3B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general short focal lens.
  • Figure 3c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visual acuity range for the example applied by the existing presbyopia contact lens method, such as a monofocal lens, a bifocal lens or a multifocal lens.
  • 4A and 4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and a range of vision of the presbyopia contact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 5A to 5D are plan views illustrating various angular modifications of presbyopia contact lenses of the present invention.
  • 6A is a binocular defocus graph showing improved vision performance at all distances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B and 6C are binocular defocus graphs when wearing conventional multifocal lenses and short focal lenses.
  •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presbyopia contact le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byopia contact len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to contact the cornea of the user, and the inner surface thereof is formed to coincide with the surface of the cornea of the user.
  • These contact lenses are circular with a total diameter of about 12.6 mm, and the inner surface is formed into a curved surface.
  • the contact lens 10 includes a central region 20, which is a central portion in which a pupil is located, a finish region 30 formed at an edge of the contact lens, and an optical region in which a refractive index is formed between the center region and the finish region. It is divided into 40.
  • the center area 20 is formed to have a long refractive index which is the main field of view by forming a diameter of 1.5 ⁇ 1.7mm, preferably to 1.6mm to maintain a constant size of the center area so that it is easy to adapt when replacing the lens do.
  • finishing area 30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on the edge of the contact lens, and formed in a width of about 1.3mm and aspheric surface treatment to improve the wearing comfort.
  • the optical region 40 corresponds to a portion excluding the central region with a diameter of about 10.0 mm.
  • the optical region 40 forms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so that both the remote portion 41 and the near portion 42, which can see the far place, are formed.
  • the remote portion 41 is connected to the central region 20 to be form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optical region, the short portion 42 is preferably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optical region.
  • a transition portion 43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remote portion 41 and the near portion 42 in the optical region 40 so as to smoothly connect the difference in thickness due to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 the distance 41, the short distance 42, and the transition part 43 may be di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vertically or horizontally, or horizontally, by horizontal lines. It is possible to do this, but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area partition in a fan shape by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 the far portion 41 which is the upper region
  • the near portion 42 which is the lower region
  • the transition portion 43 is formed at a fan-shaped center angle within and outside so as to smoothly connect the two refractive index differences.
  • the fan-shaped central angle of the remote portion 41 is increased or decreased, and the fan-shaped central angle of the near portion 42 is increased or decreased, which is symmetrical and upper and lower asymmetric. Regions can be formed. That is, in general, when using far vision mainly, increase the fan area of the far part to widen the range of providing far vision, and when using near vision mainly, increase the fan area of the near part to provide the near vision. You can make it wider.
  • the optical region 40 provides the remote portion 41 and the near portion 42 with a far refractive index or near refractive index in the range of 90 to 270 ° with a fan-shaped center angle, and the transition portion 43 between the far portion and the near portion. ) Allows the center of gravity to be formed in the range of 3 to 7 ° to minimize the incidence of side effects such as diplopia, halo and glare.
  • the visual acuity range of the lens is extended when the object is viewed from a long distance, and accordingly, when the remote unit of the lens is enlarged, the quality of vision for a wider range can be improved.
  • the near part 42 has a narrow visual acuity range, so there is no great visual inconvenience even if the angle of the near part of the lens is reduced. That is, the fan-shaped center angles of the far and near portions of the contact lens may be formed at various angles according to the range of the object.
  • the contact len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different distance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both eyes and the near portion refractive index.
  • the predominant eye the one that is more clearly seen when looking at the object
  • the other eye is divided into the thirteen eyes, and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far and near parts of the predominant and the thirteen eyes are different.
  • the dominant eye test open both eyes, put both hands in front of the face, make a triangle with your palm, and gradually put the target in the middle of it. When one eye is covered, the target with the triangle is dominant eye.
  • the dominant eye is set to 0 D (diopter) in the distant part and the near part is formed at -0.75 D;
  • the thermal eye may form a remote part at -0.50 D and a near part at -2.25 D to form a blend zone having a common refractive index between -0.50 D and -0.75 D in both eyes.
  • FIG. 3A is a view showing a general short-focal lens 50 for a long distance, and it can be seen that a short focal length for a long distance is formed.
  • FIG. 3B is a view showing a general short-focal lens 60 for a short distance and a focal point for a near distance. It can be seen that the distance is formed short.
  • the monovision method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using both of the short focal lenses is applied, as shown in FIG. 3C, since the focal depths of the far and near are short, the intermediate distance 70 between the far and near focal depths is Since a blur zone in which an image formed on the eyes is blurred due to lack of focus is formed, vision in both eyes is deteriorated.
  • the presbyopia contact len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rrange the far portion 41 and the near portion 42 up and down as shown in FIG. 4A, but to form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far portion and the near port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creasing the depth of field can improve vision at intermediate distances.
  • Increasing the depth of focus can provide continuous vision from far to near when providing both eyes at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 the depth of focus or the refractive index becomes the same at the intermediate distance 70 between the predominant eye and the thermal eye by the increased depth of focus.
  • a zone may be formed to improve mid-range vision.
  • the contact lenses worn on both eyes are formed with different refractive index ranges for the distance and near distances, but the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the distances and near distances is small.
  • the mixed zone, which is a part of the intermediate distance 70, is present, and the image formed on the eyes is the same through the mixed zone, thereby improving the intermediate distance vision.
  • the neural gate selects the phase that is better visible instantaneously to obtain the most effective single perception, so that it can be used in remote and near distances other than mixed zones.
  • the clear image can be obtained to improve the vision, it can provide a clear vision in all areas from far to near.
  • the far center 41 and the near portion 42 of both eyes are formed to have a fan-shaped center angle close to 180 °. It can form in the same ratio up and down.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ar portion 41 of the upper part is increased and the near part 42 of the lower part is reduced.
  • the upper far section 41 may be reduced and the lower short section 42 may be enlarged.
  • the far section of the dominant eye is formed at 210 degrees and the short section at 150 degrees.
  • the far portion is formed at 150 degrees and the near portion is formed at 210 degrees.
  • the far portion 41 may be enlarged in the case of the right eye in the right side.
  • the distant part of the predominant eye is formed at 270 degrees and the near part is formed at 90 degrees, and the remote part of the predominant eye is formed at 90 degrees near the part.
  • various angles may be provided between 180 degrees and 270 degrees to provide improved visual acuity.
  • the distant part of the predominant eye is formed at 240 degrees and the near part is formed at 120 degrees, and the remote part of the predominant eye is formed at 120 degrees.
  • the dominant eye has a refractive index symmetrically in the range of 210 degrees to the far portion and 150 degrees to the near portion.
  • the transition part uses the Example which connected the thickness gently in the range of 3-7 degrees (degrees).
  • both eyes have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in some sections.
  •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narrow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the far portion and the near portion within each contact lens so that the far focus portion and the near focus depth can be continuously arranged within each contact lens, thereby increasing the integrated focus depth.
  • a section in which the focal depths of both eyes are equal at a distance is formed, so that the function of binocular vision is restored and the visual acuity at the intermediate distance is improved.
  • the binocular nerve adaptation system selects and recognizes a clear image of two images introduced into both eyes to provide clear vision at a long distance and at a near distance. have.
  • 6A is a graph of defocusing binocular wearing a contact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in the same range as in FIG. 5B. As shown, it shows strong vision performance at long distances and balanced vision results at mid and near distances, showing that the focus is well formed at most distances, creating a balanced and natural vision.
  • 6B and 6C are bifocal defocus graphs wearing conventional multifocal presbyopia lenses and short focal presbyopia lenses. As shown, it can be seen that the visual acuity sharply drops in the middle distance regi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intermediate distance vision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to narrow the vision width in the overall area to allow the wearer to easily adapt.
  • Visual acuity was measured by vary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ntact lens.
  • Example 1 was divided into dominant eye and thermal eye, and the optical region of the contact lens wa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distances up and down in the range of 180 degrees to have a refractive index of Table 1 below.
  • both the right eye and the left eye had the same refractive index, and a multifocal contact lens having a far distance at the center and a near distance at the edge and a middl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and the edge was used to have the refractive index of Table 1 below.
  • both the right eye and the left eye had the same refractive index, and a multifocal contact lens having a long distance at the center and a short distance at the edge was used to have the refractive index of Table 1 below.
  • Comparative Example 3 was divided into dominant eyes and ten eyes, and the binocular contact lenses formed only with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of both eyes to have the refractive indices of Table 1 below.
  • the contact lens having the refractive index of Table 1 was used to target 20 presbyopia patients in the 50s, and then the near vision (Jaeger method), the intermediate distance (Decimal method), and the long-distance (Decimal method) were measured.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effect and the degree of adaptability are displayed by dividing the lowest and the highest into five stag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blur area is shown in Table 2 by the average value.
  • Example 1 also improved the intermediate distance visual acuity, received a high score in three-dimensional feeling and adaptability, there was no blurring region was provided to provide a clear image in the entire field of view.
  • Comparative Example 1 the intermediate distance visual acuity was improved, but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3, since there was a refractive index blank area provided in both eyes, it was found that the blur area appeared, blank areas were generated, and the three-dimensional feeling and adaptability Also found to be low.
  • the lens was worn for 20 patients with presbyopia in their fifties, and then the near vision (Jaeger method), intermediate distance (Decimal method) and far vision (Decimal method) were measured.
  • the three-dimensional effect and the degree of adaptability are divided into five levels, the lowest and the highest, and the average values are shown in Table 4.
  • Comparative Examples 5 and 6 in which the far-angle angle of the predominant eye and the near-angle angle of the predominant eye were increased than those of Example 2, showed that the intermediate visual acuity decreased, and the stereoscopic feeling and the adaptability were 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안용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콘택트렌즈에 원거리 시야영역과 근거리 시야영역을 모두 제공하되 우세안과 열세안에 따라 양안의 원거리 시야영역과 근거리 시야영역의 크기를 다르게 하면서 우세안과 열세안의 원거리 시야영역과 근거리 시야영역 렌즈배율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중간거리 영역이 일부 겹쳐지게 함으로써 양 안중 잘 보이는 상을 선택하는 신경요약현상에 의해 원거리에서 근거리 시야영역을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노안용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안용 콘택트렌즈
본 발명은 노안용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콘택트렌즈에 원거리 시야영역과 근거리 시야영역을 모두 제공하되 우세안과 열세안에 따라 양안의 원거리 시야영역과 근거리 시야영역의 크기를 다르게 하면서 우세안과 열세안의 원거리 시야영역과 근거리 시야영역 렌즈배율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중간거리 영역이 일부 겹쳐지게 함으로써 양 안중 잘 보이는 상을 선택하는 신경요약현상에 의해 원거리에서 근거리 시야영역을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노안용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눈은 카메라의 구조와 대략 유사하게 이루어져 있는데, 예컨대, 눈의 제일 앞부분에 위치하는 각막과 공막의 안쪽에는 빛의 양을 조절하도록 조리개 기능을 하는 홍채, 빛을 굴절시켜 망막에 상이 맺히도록 렌즈 기능을 하는 수정체, 각막과 수정체를 통해 들어온 빛이 상을 맺도록 필름 기능을 하는 망막, 수정체의 두께를 변화시켜 대상물의 상이 망막에 정확하게 맺히도록 거리 조절개 기능을 하는 모양체 등이 있다.
그런데, 카메라가 유리렌즈를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렌즈와 필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대상물의 상을 정확하게 맺히도록 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사람의 눈에서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수정체는 모양체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 상태에서 두께를 변화시켜 망막에 상이 뚜렷하게 맺히도록 되어 있다.
즉, 수정체는 두께가 대략 4㎜ 정도의 탄력 있고 볼록한 렌즈형상으로 이루어져 동공을 통해 들어오는 빛이 굴절되는 정도를 조절하는데, 글자나 사물 등의 대상물이 근거리에 있을 때에는 모양체가 수축되어 수정체가 두꺼워지면서 빛의 굴절이 커지고, 대상물이 원거리에 있을 때에는 모양체의 근육이 이완되어 수정체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빛의 굴절이 작아지는 등 대상물에 대한 거리가 달라질 때마다 수정체는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면서 초점을 맞추어 대상물을 뚜렷하게 볼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인체의 눈이 제공하는 시기능은 복합적인 기능으로서 크게 4가지의 요소로서 가시력(minimum visible), 분리력(minimum resolvable), 가독력(minimium legible), 판별력(minimum discrimination) 등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상기 가시력은 망막의 예민도와 있다고도 말할 수 있는데 물체의 크기보다는 광량과 배경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대비(contrast)가 큰 역할을 한다.
상기 분리력은 떨어져 있는 두 점이나 선을 두 개로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데 해상력이라고 하고 일반적인 시력이다. 이는 최소분리시각(minimum angle of resolution), 분리최소역(minimum separatibility)이라고 불리울 수 있는데 정상인의 경우 역치(threshold)는 30초~1분이다. 망막의 시세포를 대상으로 계산해보면 황반의 추체의 크기는 1.0~4.0μm로서 두 개의 대상이 분리되었음을 인식하고자 한다면 두 개의 상이 망막에 맺히는 거리가 적어도 1.5μm이상 떨어져 있어야 하는데 이 거리는 약 20초의 시각을 갖는다. 그러나 빛의 회절 등에 의하여 광선의 무늬가 발생하므로 임상적으로 측정한 정상인의 최소시각은 30초~1분이다. 이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이 란톨트고리(Landolt's rings)이다. 이는 1909년에 열린 유럽국제학회에서 처음으로 국제시력표로 인정을 받았다. 직경이 7.5mm이고 폭이 1.5mm의 고리(ring)를 그리고 그 고리에 1.5mm의 간격을 두었을 때 5mm 거리에서 그 간격의 방향을 알아맞출 수는 있으나 이보다 작은 시표를 식별하지 못하는 눈의 시력을 1.0으로 한다. 5m거리에서 1.5mm의 간격은 1분의 시각(visual angle)dl 된다. 시력은 최소시각의 역수로 나타낸다. 5m 거리에서 최소시각이 2분이 되는 눈의 시력은 0.5, 10분이면 0.1, 30초의 최소시각을 갖고 있으면 2.0이 되는 식이다.
상기 가독력은 글자, 숫자 혹은 형태를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데 눈의 생리적 기능 이외에 심리적 요인(지능, 주의력, 경험 등)이 많이 관여한다.
상기 판별력은 사람이 대상이나 외계를 볼 때 그것이 무엇이냐를 인식하기도 하지만 어디에 있느냐, 움직이느냐, 배열이 정상적으로 놓여져 있느나? 똑바로 놓여져 있느냐? 기울어졌는가 등도 본다. 배열시력, 기울임시력, 움직임시력, 입체시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인식 자체가 한 세포내의 거리(약 20~30초)에서 이루어지므로 분리력, 가독력 등과는 다른 기전에 의하여 인식된다고 생각되어지고 있다.
또한, 동공의 작아질수록 수정체가 두꺼워지면서 초점심도(depth of focus)가 증가하여 굴절이상을 완전히 교정하지 않는다 하여도 시력이 증가한다. 근시들이 눈을 찡그리고 보는 것도 같은 이유이다. 그러나 동공이 너무 작아지면(0.1~1mm 이하) 빛의 회절이 생겨나고 망막의 조명도 감소함으로 오히려 시력이 감소한다. 동공의 지름이 2.5mm~6mm 사이에는 별로 차이가 없으나 그 이상으로 커지면 구면수차가 발생하여 시력이 저하된다.
아울러 눈이 건강하여 수정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근거리나 원거리에 있는 대상물을 볼 때 초점이 잘 맞도록 자동으로 조절되는 반면, 나이가 들어갈수록 수정체의 노화로 인해 탄력이 떨어지면서 수정체의 두께 조절력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근거리에 있는 대상물을 볼 때 초점이 잘 맞지 않아 흐릿하고 잘 보이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하여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또는 수술을 통해 노안의 교정이 이루어지는데, 안경의 경우 한 개의 렌즈에 여러 가지 도수가 들어있는 다중초점렌즈(누진렌즈)를 이용하여 근거리와 중간거리 및 원거리에 있는 대상물을 모두 볼 수 있도록 교정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지는 반면, 콘택트렌즈는 교정에 다소 어려움이 있는 편이다.
또한, 노안용 콘택트렌즈인 다중초점 콘택트렌즈는 오목렌즈와 볼록렌즈를 동심원으로 다수 원을 연속배열하는 형태가 있으나, 이는 동공크기 변화에 다소 민감한 영향이 발생될 수 있고 빛의 밝기가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렌즈 중심부와 시축이 불일치될 경우 빛의 번짐과 눈부심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광학적 성질로 인하여 단초점에 비해 대비감도의 감소와 야간 시력장애 및 신경적응 등의 부작용이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노안용 콘택트렌즈의 굴절률은 양안 모두 원거리는 0 D(diopter), 근거리는 2.0~3.0 D로 하기 때문에 잘 안보이는 중간거리 시야영역이 존재하고, 각각의 눈에 원거리와 근거리의 여러개의 이미지가 들어와서 복시, 혼란시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118236호(2011.10.31.공개; 이하 '선행문헌1' 이라 함)의 노안용 누진다초점 하드콘택트렌즈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1은 원거리를 보게 되는 렌즈중심원용부가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렌즈중심원용부의 주변으로 위치되어 근거리를 보게 되는 렌즈주변근용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노안용 누진다초점 하드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문헌1은 양안이 원거리와 근거리 도수 범위가 동일하기 때문에 원거리와 근거리 사이에서 잘 안보이는 중간영역이 위치하여 원거리로부터 근거리까지의 연속적인 상 인식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578327호(2015.12.10.등록;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의 노안용 콘택트렌즈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2는 원거리용 굴절력을 가지는 원거리부와 근거리용 굴절력을 가지는 근거리부로 구성되고 각막에 접하는 렌즈 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 본체가 각막 중심으로부터 이탈 시 원거리 및 근거리 초점을 동시에 맞출 수 있도록 동심원 형상으로 구획됨과 아울러 상하좌우로 구획되고 서로 인접하는 구획마다 원거리부와 근거리부가 교대로 반복 형성되되, 상기 렌즈 본체의 원거리부의 도수 범위는 -10.0~4.0D이고, 상기 근거리부의 도수 범위는 1.0~4.0D이며, 상기 렌즈 본체의 표면에는 전체적으로 공기 투과 및 영양분 공급을 위한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공은 크기가 8~12㎛임과 아울러 15,000~16,000개 형성된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문헌2도 양안이 원거리와 근거리의 도수를 동일 또는 유사한 범위로 형성되기 때문에 원거리와 근거리 사이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중간영역이 위치하여 원거리로부터 근거리까지의 연속적인 상 인식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원거리와 근거리 사이의 중간영역에서의 시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콘택트렌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의 노안용 콘택트렌즈는,
양안을 우세안과 열세안으로 구분하여 양안에 사용되는 콘택트렌즈의 굴절율 범위를 다르게 형성하되 일정범위만 중첩되도록 형성하여 원거리와 근거리 사이인 중간영역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초점심도를 증가시켜 노안으로 인하여 덜 보이는 구역을 최소화하고 양안시 덜보이는 구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노안용 콘택트렌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안용 콘택트렌즈는,
원거리 굴절률을 갖는 원거리부와, 근거리 굴절률을 갖는 근거리부가 영역을 구획하여 모두 형성된 노안용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원거리 굴절률로 형성되어 주시야를 제공하는 중심영역과; 가장자리를 따라 환형태로 형성된 마감영역과; 상기 중심영역과 마감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굴절력이 형성되어 시야영역을 제공하는 광학영역;으로 구획하여 구성되되; 상기 광학영역은, 일정각의 부채꼴형상으로 상부영역인 원거리부와 하부영역인 근거리부를 구획하고, 원거리부와 근거리부의 경계지역에는 일정폭으로 서로 다른 두 굴절률의 두께차이를 완만하게 연결시키는 이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학영역에서 우세안(dominant eye)은 원거리부 210도와 근거리부 150도의 범위에서 좌우대칭으로 굴절률을 형성하고, 열세안(non-dominant eye)은 원거리부 150도와 근거리부 210도 범위에서 좌우대칭으로 굴절률을 제공하고, 이행부는 3~7° 의 범위에서 두께를 완만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광학영역에서 렌즈착용시 굴절률은, 우세안은 원거리부위 목표굴절률은 정시(Emmetropia)이고, 근거리부위의 목표굴절률은 -0.75 디옵터(D)로 형성하고; 열세안은 원거리부위 목표굴절률은 -0.5 디옵터(D)이고 근거리부위의 목표굴절률은 -2.25 디옵터(D)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노안용 콘택트렌즈는,
양안을 우세안과 열세안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양안에 사용되는 콘택트렌즈의 도수 범위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되 초점심도의 증가로 중간영역을 일부 겹치게하여 중간영역에서의 시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중간영역인 혼합존에 의해 원거리영역과 근거리영역간의 굴절차이가 낮춰지게 되므로 환자 사용시 적응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콘택트렌즈에서의 원거리영역과 근거리영역 범위 설정시 우세안과 열세안에 따라 그 비율을 달리 형성함으로 양안 착용시 양안으로부터 입력된 상 중 잘보이는 상을 선택하여 인식하는 신경요약현상에 의해 잘보이는 시력범위가 확장되어 착용에 의한 환자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안용 콘택트렌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안용 콘택트렌즈에서 원거리부와 근거리부의 경계면 변형가능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
도 3a와 도 3b는 일반 단초점렌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c는 단초점렌즈, 이중초점렌즈 혹은 다초점렌즈와 같은 기존의 노안 콘택트렌즈 방식으로 적용한 예에 대한 시력범위를 도시한 개략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노안용 콘택트렌즈의 단면도 및 시력범위를 도시한 개략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노안용 콘택트렌즈의 다양한 각도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든 거리에서 향상된 시력 성능을 보여주는 양안 초점이탈그래프.
도 6b와 도 6c는 기존의 다초점렌즈와 단초점렌즈를 착용시 양안 초점이탈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안용 콘택트렌즈를 도시한 평면도.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안용 콘택트렌즈(10)는, 사용자의 각막에 접하도록 착용하는 것으로 내면은 사용자 각막 표면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콘택트렌즈는 총지름이 12.6mm 내외를 갖는 원형으로 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콘택트렌즈(10)는 동공이 위치하는 중앙부분인 중심영역(20)과, 콘택트렌즈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마감영역(30)과, 상기 중심영역과 마감영역 사이에 위치하여 굴절률이 형성되는 광학영역(40)으로 구분된다.
상기 중심영역(20)은 지름을 1.5~1.7mm로 형성하여 주 시야범위인 원거리 굴절률을 갖도록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1.6mm로 중심영역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여 렌즈교체시 적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감영역(30)은 콘택트렌즈의 가장자리에 환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1.3mm 내외의 폭으로 형성하고 비구면 처리를 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게 한다.
아울러 상기 광학영역(40)은 지름이 10.0mm 내외로 중심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해당한다. 이러한 광학영역(40)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형성하여 먼 곳을 볼 수 있는 원거리부(41)와, 가까운 곳을 볼 수 있는 근거리부(42)가 모두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원거리부(41)는 중심영역(20)과 연결되어 광학영역 중 상부영역에 형성되도록 하고, 근거리부(42)는 광학영역 중 하부영역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학영역(40)에서의 원거리부(41)와 근거리부(42) 사이에는 이행부(43)를 더 형성하여 서로 다른 굴절률에 의한 두께차이를 완만하게 연결시키도록 한다.
상기 광학영역 내에서 원거리부(41)와 근거리부(42) 및 이행부(43)의 구분은 수평라인을 중심으로 상하로 구분하거나 수직라인을 중심으로 좌우로 구분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영역을 구획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원중심을 기준으로 일정각도에 의해 부채꼴 모양으로 영역 구획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한 바와같이 상부영역인 원거리부(41)와 하부영역인 근거리부(42)를 수평선으로 상하 구획하여 서로 동일하게 180°와 유사한 각도로 형성하고, 원거리부와 근거리부 사이에는 5° 내외의 부채꼴 중심각도로 이행부(43)를 형성하여 두 굴절률 차이를 완만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한 바와같이 원거리부(41)의 부채꼴 중심각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고, 근거리부(42)의 부채꼴 중심각도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켜 좌우 대칭이면서 상하는 비대칭으로 원거리부와 근거리부의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원거리 시력을 주로 사용할 경우에는 원거리부의 부채꼴면적을 증가시켜 원거리 시력을 제공하는 범위를 넓히도록 하고, 근거리 시력을 주로 사용할 경우에는 근거리부의 부채꼴면적을 증가시켜 근거리 시력을 제공하는 범위를 넓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같이 광학영역(40)에서는 원거리부(41)와 근거리부(42)를 부채꼴 중심각으로 90~270° 사이의 범위에서 원거리 굴절률 또는 근거리 굴절률을 제공하고, 상기 원거리부와 근거리부 사이의 이행부(43)는 부채꼴중심각을 3~7°사이의 범위로 형성되도록 하여 복시나 달무리, 눈부심과 같은 부작용 발생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원거리부(41)를 확대시키는 것은 먼 거리의 사물을 볼 때에는 보는 시력범위가 확장됨으로 이에 맞추어 렌즈의 원거리부를 확대시키면 보다 넓은 범위에 대한 시력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근거리부(42)는 보는 시력범위가 좁기 때문에 렌즈의 근거리부 각도를 줄여도 큰 시각적인 불편함이 없다. 즉, 사물을 보는 범위에 따라 콘택트렌즈의 원거리부와 근거리부의 부채꼴 중심각을 다양한 각도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10)는 양안간 원거리부 굴절률과, 근거리부 굴절률을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양안 중 주로 사용되는 눈(사물을 보았을 때 더 또렷하게 보이는 눈)을 우세안으로 하고, 다른 눈을 열세안으로 구분하여, 우세안과 열세안에 대한 원거리부와 근거리부의 굴절률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다. 우세안 검사방법으로는 양쪽 눈을 뜨고 얼굴 정면에 양손을 갖다 놓고 손바닥으로 삼각형을 만들고 점점 원방의 목표물을 이 가운데 넣는다. 그리고 한쪽 눈씩을 가렸을 경우 그 삼각형에 목표물이 있는 쪽이 우세안(주시안)이다.
예컨대, 착용시 광학영역에서의 굴절률로서, 우세안은 원거리부를 정시인 0 D(diopter)로 하고, 근거리부를 -0.75 D로 형성하고; 열세안은 원거리부를 -0.50 D로 하고, 근거리부를 -2.25 D로 형성하여, 두 양안에서 -0.50 D ~ -0.75 D 사이인 공통된 굴절률을 갖는 혼합존(blend zone)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a는 일반 원거리용 단초점렌즈(50)를 나타낸 도면으로, 원거리에 대한 초점거리가 짧게 형성됨을 알 수 있으며, 도 3b는 일반 근거리용 단초점렌즈(60)를 나타낸 도면으로 근거리에 대한 초점거리가 짧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단초점렌즈를 이용하여 양안에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모노비젼 방식을 적용할 경우 도 3c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거리와 근거리의 초점심도가 짧기 때문에 원거리와 근거리 초점심도 사이의 중간거리(70)는 초점이 맞지 않아 눈에 맺히는 상이 흐리게 나타나는 흐림존(blur zone)이 형성됨으로 양안시 시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물론 하나의 렌즈에 원거리와 근거리 모두 형성하고, 중간에 이행부를 형성하여 급격한 굴절률 변화를 방지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 역시 이행부에서 원활한 시력을 제공하기 어렵고 중간거리 부분에서 양안에 동시에 이행부 구간이 형성됨으로 중간거리에서의 복시(이중상) 또는 달무리, 눈부심이 발생되어 초점에 따른 연속적인 시력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노안용 콘택트렌즈(10)는 도 4a를 참조한 바와같이 원거리부(41)와 근거리부(42)를 상하로 배치하되 원거리부와 근거리부의 굴절률을 일정범위 내로 형성되도록 하여 통합된 초점심도를 증가시켜 중간거리에서의 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초점심도를 증가시키면 양안을 서로 다른 굴절률로 제공시 원거리에서 근거리까지 연속적인 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4b를 참조한 바와같이 렌즈착용시 우세안과 열세안의 굴절률을 서로 다른 범위로 형성하게 되면, 증가된 초점심도에 의해 우세안과 열세안의 중간거리(70) 부분에서 초점심도 또는 굴절률이 동일해지는 혼합존(blend zone)이 형성되어 중간거리 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초점심도를 증가시킨 노안용 콘택트렌즈를 사용하여 양안에 착용되는 콘택트렌즈를 원거리용과 근거리용으로 서로 다른 굴절률 범위로 형성하되 원거리와 근거리의 도수차이를 작게 형성하기 때문에 양안에 이미지 크기기 동일해지는 중간거리(70) 부분인 혼합존이 존재하게 되고, 혼합존을 통해 눈에 맺힌 이미지가 동일하여 중간거리 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거리를 제외한 원거리와 근거리 부분에는 눈에 맺힌 상의 선명도에서 차이가 있지만 다중 상의 크기는 다르게 보이지 않아 출생시부터 가지고 있는 양안 신경 적응 시스템(innate binocular neural adaption system)에 의해 선명한 상만 선택하여 인지함으로 선명한 시력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양안 신경 적응 시스템인 두 눈을 통해 2개의 상이 나타났을 때 신경계의 관문(neural gate)이 가장 효과적인 단일지각을 얻기 위해 순간적으로 더 잘 보이는 상을 선택하게 됨으로 혼합존 이외의 원거리와 근거리에서도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어 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원거리에서부터 근거리까지 모든 영역에서의 선명한 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안의 원거리부와 근거리부를 서로 다른 굴절률로 형성할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안의 원거리부(41)와 근거리부(42)를 각각 부채꼴 중심각이 180°와 근접하게 형성하여 상하 동일한 비율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로 원거리 시력을 제공하는 좌측의 우세안의 경우에는 상부의 원거리부(41)의 부채꼴중심각을 증가시키고 하부의 근거리부(42)는 축소되도록 하고, 주로 근거리 시력을 제공하는 우측의 열세안인 경우에는 상부의 원거리부(41)를 축소시키고 하부의 근거리부(42)를 확대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우세안의 원거리부는 210도 근거리부는 150도로 형성하고, 열세안의 원거리부는 150도 근거리부는 210도로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도 5c를 참조한 바와같이 좌측의 우세안의 경우 원거리부(41)를 우측의 열세안의 경우 근거리부(42)를 최대로 확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우세안의 원거리부는 270도 근거리부는 90도로 형성하고, 열세안의 원거리부는 90도 근거리부는 270도로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도 5d와 같이 각도를 180도와 270도 사이에서 다양하게 제공되어 향상된 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우세안의 원거리부는 240도 근거리부는 120도로 형성하고, 열세안의 원거리부는 120도 근거리부는 240도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비율 중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5b에서와 같이 우세안은 원거리부 210도와 근거리부 150도의 범위에서 좌우 대칭으로 굴절률을 형성하고, 열세안은 원거리부 150도와 근거리부 210도 범위에서 좌우대칭으로 굴절률을 제공하고, 이행부는 3~7도(°) 의 범위에서 두께를 완만하게 연결시킨 실시예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양안에 착용되는 두 콘택트렌즈의 원거리부(41)와 근거리부(42)가 서로 비대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일부 구간에서는 양안이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각 콘택트렌즈 내에서의 원거리부와 근거리부의 도수차이를 좁게 형성하여 각 콘택트렌즈 내에서의 원거리부 초점심도와 근거리부 초점심도를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통합초점심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중간거리에서 양안의 초점심도가 동일해지는 구간이 형성되어 양안시의 기능이 회복되어 중간거리에서의 시력이 향상된다. 또한, 양안 중 어느 한쪽에서의 초점심도가 벗어나 흐린상이 제공될 경우 양안 신경 적응 시스템에 의해 양안으로 들어온 2개의 상 중 선명한 상을 선택하여 인지함으로 원거리 중간거리 및 근거리에서의 선명한 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a는 도 5b와 같은 범위로 제조된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양안시 초점이탈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원거리에서 강한 시력 성능을 보여주면서 중간거리와 근거리에서도 균형잡힌 시력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대부분의 거리에서 초점이 잘 형성되어 균형잡히고 자연스러운 시력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도 6b와 도 6c는 기존의 다초점 노안렌즈와 단초점 노안렌즈를 착용한 양안시 초점이탈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중간거리 영역에서 시력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방식보다 중간거리의 시력을 향상시켜 전체적인 영역에서의 시력 폭을 좁혀서 착용자가 용이하게 적응하게할 수 있다.
실험예1) 굴절률에 대한 시력 대비
콘택트렌즈의 굴절률을 다양하게 형성하여 시력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1은 우세안과 열세안으로 구분하였고, 콘택트렌즈의 광학영역을 180도 범위로 상하로 상부 원거리와 하부 근거리를 구분하였고 하기 표 1의 굴절률을 갖도록 하였다.
비교예1은 우안과 좌안 모두 동일한 굴절률을 갖게 하였으며, 중심의 원거리와 가장자리의 근거리와 중심과 가장자리 사이의 중간거리를 갖는 다촛점 콘택트렌즈로 하기 표1의 굴절률을 갖도록 하였다.
비교예2는 우안과 좌안 모두 동일한 굴절률을 갖게 하였으며, 중심의 원거리와 가장자리의 근거리를 갖는 다초점 콘택트렌즈로 하기 표1의 굴절률을 갖도록 하였다.
비교예3은 우세안과 열세안으로 구분하였고, 양안의 굴절률만 다르게 형성한 짝눈 콘택트렌즈로 하기 표1의 굴절률을 갖도록 하였다.
[표 1]
Figure PCTKR2017006814-appb-I000001
상기 표1의 굴절률을 갖는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50대 노안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렌즈를 착용한 다음 근거리시력(Jaeger 방식), 중간거리(Decimal 방식), 원거리 시력(Decimal 방식)을 측정하였고, 입체감과 적응도를 최하와 최상을 5단계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흐림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평균값에 의해 표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CTKR2017006814-appb-I000002
상기 표2에 나타난 바와같이 실시예1은 중간거리 시력도 향상됨을 알수 있으며, 입체감과 적응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고, 흐림영역이 존재하지 않아 전 시야영역에서 선명한 상이 제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교예1은 중간거리 시력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교예1 내지 3 모두에서는 양안에 제공되는 굴절률 공백영역이 있으므로 흐림영역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공백영역이 발생되었고, 입체감과 적응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험예2) 원거리와 근거리의 범위에 대한 시력 대비
콘택트렌즈의 광학영역에서 우세안과 열세안에 대한 원거리와 근거리의 형성각도를 표 3과 같이 설정하였다. 이때 각도는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하였고, 우세안과 열세안의 굴절률은 실시예1의 굴절률로 설정하였다. 실시예2는 도5b, 비교예4는 도 5a, 비교예5는 도 5c, 비교예6은 도 5d의 형태로 가공하였다.
[표 3]
Figure PCTKR2017006814-appb-I000003
상기 표3의 각도로 형성된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50대 노안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렌즈를 착용한 다음 근거리시력(Jaeger 방식), 중간거리(Decimal 방식), 원거리시력(Decimal 방식)을 측정하였고, 입체감과 적응도를 최하와 최상을 5단계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평균값에 의해 표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CTKR2017006814-appb-I000004
표4를 참조한 바와같이 원거리와 근거리를 동일한 각도로 양분한 비교예4의 경우 실시예2보다 근거리시력과 원거리시력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2보다 우세안의 원거리각도와 열세안의 근거리각도를 증가시킨 비교예5와 6은 중간거리 시력이 떨어지고 입체감과 적응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실시예2의 각도범위로 원거리와 근거리 굴절률을 형성할 때 가장 좋은 시력질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3)

  1. 원거리 굴절률을 갖는 원거리부와, 근거리 굴절률을 갖는 근거리부가 영역을 구획하여 모두 형성된 노안용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원거리 굴절률로 형성되어 주시야를 제공하는 중심영역과;
    가장자리를 따라 환형태로 형성된 마감영역과;
    상기 중심영역과 마감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굴절력이 형성되어 시야영역을 제공하는 광학영역;으로 구획하여 구성되되;
    상기 광학영역은, 일정각의 부채꼴형상으로 상부영역인 원거리부와 하부영역인 근거리부를 구획하고, 원거리부와 근거리부의 경계지역에는 일정폭으로 서로 다른 두 굴절률의 두께차이를 완만하게 연결시키는 이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안용 콘택트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영역에서 우세안(dominant eye)은 원거리부 210도와 근거리부 150도의 범위에서 좌우 대칭으로 굴절률을 형성하고, 열세안(non-dominant eye)은 원거리부 150도와 근거리부 210도 범위에서 좌우대칭으로 굴절률을 제공하고, 이행부는 3~7도의 범위에서 두께를 완만하게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안용 콘택트렌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영역에서 렌즈착용시 굴절률은, 우세안은 원거리부위 목표굴절률은 정시(Emmetropia)이고, 근거리부위의 목표굴절률은 -0.75 디옵터(D)로 형성하고; 열세안은 원거리부위 목표굴절률은 -0.5 디옵터(D)이고 근거리부위의 목표굴절률은 -2.25 디옵터(D)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노안용 콘택트렌즈.
PCT/KR2017/006814 2016-08-12 2017-06-28 노안용 콘택트렌즈 WO2018030635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839653.7A EP3499298A4 (en) 2016-08-12 2017-06-28 CONTACT LENS FOR PRESBYTY
US16/302,048 US11294202B2 (en) 2016-08-12 2017-06-28 Contact lens for presbyopia
JP2018560053A JP7079936B2 (ja) 2016-08-12 2017-06-28 老眼用コンタクトレンズ
CA3024288A CA3024288C (en) 2016-08-12 2017-06-28 Contact lens for presbyopia
CN201780028424.0A CN109154725B (zh) 2016-08-12 2017-06-28 用于老花眼的隐形眼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029 2016-08-12
KR1020160103029A KR101870142B1 (ko) 2016-08-12 2016-08-12 노안용 콘택트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0635A1 true WO2018030635A1 (ko) 2018-02-15

Family

ID=6116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6814 WO2018030635A1 (ko) 2016-08-12 2017-06-28 노안용 콘택트렌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94202B2 (ko)
EP (1) EP3499298A4 (ko)
JP (1) JP7079936B2 (ko)
KR (1) KR101870142B1 (ko)
CN (1) CN109154725B (ko)
CA (1) CA3024288C (ko)
WO (1) WO20180306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142B1 (ko) 2016-08-12 2018-06-25 이성준 노안용 콘택트렌즈
CN111857336B (zh) * 2020-07-10 2022-03-25 歌尔科技有限公司 头戴式设备及其渲染方法、存储介质
CN114415394A (zh) * 2021-11-09 2022-04-29 阿尔玻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离焦功能的眼镜片及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12A (ja) * 1997-06-25 1999-01-29 Woehlk Contact Linsen Gmbh 多焦点コンタクトレンズ
KR20110042209A (ko) * 2008-08-04 2011-04-25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다초점 렌즈의 피팅 방법
KR20140054318A (ko) * 2011-08-26 2014-05-08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교대보기 노안용 콘택트 렌즈 쌍
KR20150005536A (ko) * 2012-03-14 2015-01-14 브리엔 홀덴 비전 인스티튜트 근시안용 렌즈
WO2015115901A1 (en) * 2014-01-31 2015-08-06 Ophtec B.V. Multifocal ophthalmic lens to be worn in or on the ey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4357A (en) * 1970-01-19 1972-08-15 George F Tsuetaki Fused bifocal contact lens unit
US4208362A (en) * 1975-04-21 1980-06-17 Bausch & Lomb Incorporated Shaped body of at least two polymerized materials and method to make same
US4302081A (en) * 1977-04-22 1981-11-24 Tsuetaki George F Fused bifocal contact lens
JPS6395415A (ja) * 1986-10-09 1988-04-26 Nobuko Takimoto 老眼用コンタクトレンズ
US5002382A (en) * 1989-12-07 1991-03-26 Leonard Seidner Multifocal corneal contact lenses
US5198844A (en) * 1991-07-10 1993-03-30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Segmented multifocal contact lens
NZ250359A (en) * 1992-12-09 1996-07-26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Multifocal ophthalmic lens pair
WO2000008516A1 (en) 1998-08-06 2000-02-17 Lett John B W Multifocal aspheric lens
US6179420B1 (en) * 1999-04-21 2001-01-30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US6871953B1 (en) * 2003-09-29 2005-03-29 Softfocal Company, Inc. Contact lens with transition
US7080906B2 (en) 2003-11-12 2006-07-25 Novartis Ag Translating bifocal wear modality
US7503652B2 (en) * 2006-06-29 2009-03-1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Translating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US20090033864A1 (en) * 2007-07-30 2009-02-05 Shone Thomas R Multifocal contact lenses and methods for improving vision and for producing multifocal contact lenses
NL2002540C2 (en) * 2009-02-17 2010-08-18 Oculentis B V Ophthalmic lens with optical sectors.
KR20110118236A (ko) 2010-04-23 2011-10-31 (주) 해피비전 노안용 누진다초점 하드콘택트렌즈
US8992012B2 (en) * 2011-06-23 2015-03-3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Lens systems for presbyopia
WO2013018379A1 (en) 2011-08-04 2013-02-07 Hoya Corporation Extended depth of focus intraocular lenses and associated methods
BR112015018118B1 (pt) * 2013-02-20 2022-11-29 Essilor International Método para fornecer um par de lentes oftálmicas progressivas a um usuário identificado
CN103777368B (zh) * 2014-01-16 2018-09-14 段亚东 一种宽视场近视周边离焦眼镜片
KR101578327B1 (ko) 2015-06-04 2015-12-16 구오섭 노안용 콘택트렌즈
KR101870142B1 (ko) 2016-08-12 2018-06-25 이성준 노안용 콘택트렌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012A (ja) * 1997-06-25 1999-01-29 Woehlk Contact Linsen Gmbh 多焦点コンタクトレンズ
KR20110042209A (ko) * 2008-08-04 2011-04-25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다초점 렌즈의 피팅 방법
KR20140054318A (ko) * 2011-08-26 2014-05-08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교대보기 노안용 콘택트 렌즈 쌍
KR20150005536A (ko) * 2012-03-14 2015-01-14 브리엔 홀덴 비전 인스티튜트 근시안용 렌즈
WO2015115901A1 (en) * 2014-01-31 2015-08-06 Ophtec B.V. Multifocal ophthalmic lens to be worn in or on the ey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24288A1 (en) 2018-02-15
JP7079936B2 (ja) 2022-06-03
EP3499298A1 (en) 2019-06-19
US20190171038A1 (en) 2019-06-06
US11294202B2 (en) 2022-04-05
JP2019525215A (ja) 2019-09-05
KR20180018085A (ko) 2018-02-21
EP3499298A4 (en) 2020-04-08
CN109154725B (zh) 2020-09-15
KR101870142B1 (ko) 2018-06-25
CN109154725A (zh) 2019-01-04
CA3024288C (en)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859B2 (en) Multi-focal optical lenses
US5760870A (en) Rotationally stabilized contact lens and methods of lens stabilization
IL118066A (en) Designs of concentric annular annular lens for astigmatism
US5151723A (en) Multifocal contact lens
JPH0744368U (ja) 複焦点コンタクトレンズ
WO2018030635A1 (ko) 노안용 콘택트렌즈
CN113412445A (zh) 用于治疗近视的光散射镜片和包括该光散射镜片的眼镜
CN104849875A (zh) 一种角膜接触镜
CN204575996U (zh) 一种角膜接触镜
US20160161763A1 (en) Presbyopia contact lens set
TWM595771U (zh) 一種無盲區三葉視控鏡片
KR101578327B1 (ko) 노안용 콘택트렌즈
JP2023552051A (ja) 近視の発症または進行を予防または遅らせるのに使用するための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それに関連する方法
US4728182A (en) Bi-focal contact lens
WO2019198889A1 (ko) 한쪽 눈에 착용하는 노안 개선용 콘택트렌즈
EP3470019A1 (en) Monofocal intraocular lens
AU2020331609B2 (en) Glasses for Retarding Myopia Progression
CN218213664U (zh) 一种镜片系统
CN115202073A (zh) 一种复合离焦双光镜片及眼镜
CN115236879A (zh) 一种镜片系统
Verezen Eccentric viewing spectacles including an introduction in low vision rehabilitation
CN118859554A (zh) 接触镜组合及其配镜方法
CN118642278A (zh) 一种基于对比度和光学螺旋的近视控制隐形眼镜
WO2007041904A1 (fr) Lentille a faible champ de vision
TWM526701U (zh) 一種核心變焦眼鏡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6005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3024288

Country of ref document: CA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3965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3965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