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82238A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82238A1
WO2019182238A1 PCT/KR2019/000433 KR2019000433W WO2019182238A1 WO 2019182238 A1 WO2019182238 A1 WO 2019182238A1 KR 2019000433 W KR2019000433 W KR 2019000433W WO 2019182238 A1 WO2019182238 A1 WO 201918223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ensor
upper plate
vibration
cooking vessel
heat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04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오두용
김양경
김의성
문현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918223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822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2Induction heating
    • H05B2206/022Special supports for th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appliance capable of varying a position of a heating module for heating a cooking vessel.
  • the cooking appliance may refer to products for cooking food using electricity or other energy (eg, gas) at home or indoors.
  • electricity e.g, gas
  • a cooker using gas as a heat source includes a gas range, a gas oven or a gas oven range, and a cooker using electricity as a heat source includes an induction range, an electric range using a radiant heater, and a microwave oven.
  • a cooking appliance that combines an induction range using electricity and a gas oven using gas.
  • the induction range is a cooking device using induction heating (IH).
  • IH induction heating
  • Induction heating may refer to a technique that allows an induced current to flow without directly contacting an object to be heated. That is, induction heating may refer to a technology in which a 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a coil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to generate heat in the cooking vessel disposed in the magnetic field space.
  • the cooking vessel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o which the magnet is attached (for example, a metal to which the magnet is attached).
  •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907-0127097 discloses a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
  • a coil for heating the cooking vessel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 user ha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cooking vessel must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il.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heating the cooking vessel, even if the cooking vessel at any position on the cooking applianc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accurately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disposed on the cooking apparatu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moving the heating module to the low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based on the recognized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stably supplying a current to the heating module, even if the heating module provided in the cooking appliance moves, without interruption or disconnection of the current supply.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is possible to precise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placed on the top plate of the cooking applia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moving the heating module to the low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 the cooking apparatus includes a top plate supporting the cooking vessel; A heating module formed to be movable in a space provided below the upper plate and having a coil; A vibration sensor provided on the top plate to detect vibration of the top plat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module and the vibration sensor,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on the top plate based on the signal from the vibration sensor.
  • the heating module can be automatically moved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oking vessel.
  • the vibration sensor may b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Therefore, the vibration sensor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shock, and the appear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made beautiful.
  • the vibration sens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plate.
  •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on the top plate based on the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Therefore, the accuracy of the determination of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can be improved.
  •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may b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a space provided below the upper plate. Therefore, interference between the heating module and the vibration sensor can be prevented, and malfunction and damage of the vibration sensor due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heating module can be prevented.
  •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may include first to fourth vibration senso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Therefore,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cooking vessel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 control unit by using a comparison valu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vibration sensor and the second vibration sens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the first of the cooking vessel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One coordinate can be judged. Therefore, the first coordinate of the cooking vessel may be automatically determined.
  • the third vibration sensor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p plate, and may b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vibration sensor and the second vibration sensor and the top plate, respectively.
  •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first coordinate by further using a comparison value of the output voltages of the third vibration sensor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Therefore, the first coordinate of the cooking vessel can be determined more accurately.
  • the control unit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adjust a second coordinate of the cooking vessel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by using a comparison value of output voltages of the first vibration sensor and the third vibration sensor which face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You can judge. Therefore, the second coordinate of the cooking vessel may be automatically determined.
  • the second vibration sensor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and may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vibration sensor and the third vibration sensor and the upper plate, respectively.
  •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second coordinate by further using a comparison value of the output voltages of the second vibration sensor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Therefore, the second coordinate of the cooking vessel can be determined more accurately.
  •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the first vibration sensor and the second vibration sensor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third vibration sensor and a fourth vibration sensor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refore, the position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of the cooking vessel can be automatically determined.
  • the controller determines a first coordinate of the cooking vessel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by using a comparison value of output voltages of the first vibration sensor and the second vibration sensor, and determines the third vibration sensor and the The second coordinate of the cooking vessel based o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determined using the comparison valu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fourth vibration sensor. Therefore, the first coordinate and the second coordinate of the cooking vessel can be determined relatively accurately.
  • the first to fourth vibration sensors may be disposed such that an intersection point of the first virtual lin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virtual lin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is at the center of a space provided below the upper plate. This is to accurate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using the difference in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ooking vessel and the vibration sensor.
  • the space provided below the upper plate may include first to fourth spaces partition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heating module may include first to fourth heating module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to fourth spaces.
  • the heating module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space can be automatically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ooking vessel is disposed at any position on the cooking applia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capable of heating the cooking vessel.
  •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heating module provided in the cooking appliance mov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stably supplying the current to the heating module, without interruption or disconnection of the current supply.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heating module provided in the cooking appliance of FIG.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rail and the coil provided in the heating module.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main components.
  •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 sensor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cooking vessel.
  •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ing an arrangement of a sensor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cooking vessel placed on a top plate.
  •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ing an arrangement of a sensor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cooking vessel placed on a top plate.
  • FIG. 1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heating module provided in the cooking apparatus of FIG.
  • FIG. 1 schematically show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a top plate on which a cooking vessel is placed is removed
  • FIG. 2 schematically shows a side cross section of the heating module.
  • the X axis may represent a length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Y axis may represent a width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cooking appliance 10 may be formed in an induction range in which the cooking vessel is heated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a current applied to the coil.
  • the cooking apparatus 10 may include a heating module 200 disposed below the upper plate 100, and rails 310 and 320 disposed below the heating module 200.
  • the upper plate 10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material of glass, marble, ceramic, and wood.
  • the cooking vessel 15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late 100. That is, the cooking vessel 150 may be supported by the top plate 100.
  • the cooking vessel 15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heated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heating module 200.
  • the cooking vessel 15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o which a magnet is attached (for example, a metal to which the magnet is attached).
  • the heating module 200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S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100.
  • the heating module 20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space (S).
  • the heating module 20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oking apparatus in the space (S).
  • the heating module 200 may be provided with a coil 210.
  • the coil 2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including copper.
  • the coil 21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copper wire is wound in a circle a plurality of times. That is, the coil 21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copper wires are wound a plurality of times at different radii. In other words, the coil 210 may be formed in a form wound several times to gradually increase the radius of the copper wire.
  • a magnetic field may be generated.
  • the current may be an alternating current.
  • the cooking vessel 150 disposed above the coil 210 may be heated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oil 210.
  • the heating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n inverter 270 disposed below the coil 210.
  • the inverter 270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urrent supplied to the heating module 200 into a high frequency current. That is,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inverter 270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inverter 270 may convert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into a high frequency current and supply it to the coil 210.
  • the inverter 270 is provided in the heating module 200, and when the heating module 200 moves, the inverter 270 may also move together.
  • the inverter 27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C to be described later.
  • the inverter 27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C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 the heating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magnetic field blocking member 250 disposed between the coil 210 and the inverter 270. That is, the coil 210, the magnetic field blocking member 250, and the inverter 270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from above.
  • the magnetic field blocking member 250 may be formed to block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oil 210 from traveling to the inverter 270.
  • the magnetic field blocking member 250 may be formed of an aluminum plate. Malfunctions and breakage of the inverter 270 may be prevented by the magnetic field blocking member 250.
  • the heating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ferrite core 230 disposed between the coil 210 and the inverter 270.
  • the ferrite core 2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il 210 and the magnetic field blocking member 250.
  • the path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coil 210 by the ferrite core 230 may be concentrated to the cooking vessel 150 disposed above the coil 210. That is, the ferrite core 230 may concentrate the path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coil 210 to the upper side of the coil 210.
  •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affecting the cooking vessel may be amplified by the ferrite core 230.
  • the rails 310 and 320 may be form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heating module 200.
  • the rails 310 and 320 may be disposed below the heating module 200. That is, the rails 310 and 320 may be disposed below the heating module 200 in the space S provided below the upper plate 100.
  • the rails 310 and 32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 the heating module 200 may receive a current through the rails 310 and 320. Therefore, even if the heating module 200 moves in the space S, occurrence of an electrical short circuit between the rails 310 and 320 and the heating module 200 can be prevented.
  • the rails 310 and 320 may include a first rail 310 disposed above the heating module 2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ing module 200.
  • the first rail 31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ie, the Y-axis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10.
  • the heating module 200 may mov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rail 310 on the first rail 310. When the heating module 200 moves on the first rail 310,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rail 310 and the heating module 200 may be maintained.
  • the heating module 200 may receive current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the first rail 310.
  • the first rail 310 may be provided in a pair to supply an alternating current to the heating module 200. That is, the pair of first rails 310 may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200 in parallel to each other.
  • the heating module 200 may be provided with a contact terminal 280 maintained in contact with the first rail 310.
  • the contact terminals 280 may also be provided in pairs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first rails 310.
  • An alternating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heating module 200 to the coil 210 through the pair of first rails 310 and the pair of contact terminals 280.
  • the pair of first rails 310 and the pair of contact terminals 280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pair of first contact regions 315.
  • the pair of first contact regions 315 may be changed in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eating module 200 on the first rail 310.
  • One end of the contact terminal 280 may be connected to the inverter 270.
  • the other end (ie, the free end) of the contact terminal 280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rail 310. Accordingly, current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may be applied to the coil 210 via the first rail 310, the contact terminal 280, and the inverter 270 sequentially.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rail and the coil provided in the heating module.
  • the pair of first rails 3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in parallel.
  • the area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rail 310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lower end, and the contact terminal 280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first rail 310. This is to prevent shorts that may occur between the first rail 310 and the contact terminal 280.
  • the first rail 310 and the inverter 27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contact terminal 280.
  • the free end 289 of the contact terminal 280 may contact an upper end of the first rail 310.
  • the contact terminal 280 may include a bent portion 281 so that the free end 289 elastically contacts the upper end of the first rail 310.
  • the bent portion 281 is formed on the first rail 310, so that the free end of the first rail 310 may elastically contact the upper end of the first rail 310.
  • the bent portion 281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other end than one end of the contact terminal 280. In other words, the bent portion 281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ree end 289 of the contact terminal 280.
  • the free end of the contact terminal 280 is pressed downward on the first rail 310 toward the first rail 310, so that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first rail 310 and the contact terminal 280 is reduced Can be increased.
  • the rails 310 and 3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ail 320 orthogonal to the first rail 310.
  • the second rail 3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ail 310.
  • the first rail 310 may move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second rail 320 while maintaining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second rail 320. That is, the second rail 32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X-axis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10 to a predetermined length.
  • the first rail 310 may be formed to be movable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econd rail 320 on the second rail 320. In this case, even if the first rail 310 moves on the second rail 320,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rail 310 and the second rail 320 may be maintained.
  • a pair of second rails 32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first rails 310.
  • the pair of first rails 310 and the pair of second rails 320 may contact each other in the pair of second contact regions 325.
  • the position of the pair of second contact regions 325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rail 310 on the second rail 320.
  • the current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one of the first rail 310 and the second rail 320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other. That is, since the first rail 310 and the second rail 3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degree of freedom of electrical connection through an external power source may be increased.
  • first rail 310 may mov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econd rail 320 on the second rail 320, an external power sour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ail 320, and the first rail 310 may be moved.
  • the rail 310 may be preferably supplied with current through the second rail 320.
  • first rail 310 may be movable, and the second rail 320 may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the second rail 320 may be disposed at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space S.
  • an external power source When an external power source is direct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vable first rail 310, an electrical short circuit or disconnection may occur between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first rail 31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n external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fixed second rail 320 and the first rail 310 receives a current through the second rail 320.
  •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second rail 320, and the current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second rail 320, the first rail 310, the contact terminal 280, and the It may be applied to the coil 210 via the inverter 270 sequentially.
  • the cooking appliance 1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moving means 410, 420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heating module 200.
  • the moving means 410 and 420 may be formed by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wheels, a motor, a gear, and a hydraulic cylinder. Since various moving means have already been disclose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moving mean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moving means (410, 420) is the first moving means 410 for moving the heating module 200 on the first rail 310 and the second rail 310 on the second rail (320) It may include a second moving means 420 for moving the.
  • the first moving means 410 may be formed to provide power for moving the heating module 200 on the first rail 310.
  • the second moving means 420 may be formed to provide power for moving the second rail 310 on the second rail 320.
  • the first moving means 410 may be provided in the heating module 200 or spaced apart from the heating module 200.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hen the heating module 200 moves, the first moving means 410 may be provided in the heating module 200.
  • the second moving means 420 is also preferably disposed at a position capable of minimizing interference when the heating module 200 is moved.
  • the second moving means 42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ail 320.
  • both of the second rail 320 and the second moving means 420 may be disposed at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oking apparatus 10.
  • the second moving means 420 may be disposed to be more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cooking apparatus 200 in width direction than the second rail 320. Therefore, interference between the second moving means 420 and the heating module 200 can be prevented.
  • the heating module 20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upport bracket 290.
  • the first support bracket 290 may have a length greater than the width.
  • the first support bracket 29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upport bracket 390 on which the first rail 310 is disposed.
  • the second support bracket 290 may extend in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rail 310.
  • the second support bracket 390 may be formed to have a greater width than its length.
  • the first support bracket 290 may move relative to the second support bracket 390 by the first moving means 410. That is, the first support bracket 290 may be mov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bracket 390 by the first moving means 410. For example, the first support bracket 290 may be slidably moved on the second support bracket 390 by the first moving means 410.
  • the second support bracket 390 may move relative to the second rail 320 by the second moving means 420. That is, the second support bracket 390 may be mov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econd rail 320 by the second moving means 420.
  • the second rail 320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S provided below the upper plate 100, and the second support bracket 390 is the second moving means 420. ) May be slidably moved on the second rail 320.
  • the first rail 310 and the second moving means 42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upport bracket 390.
  • the second rail 320 may be disposed to cross the second support bracket 39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at a low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bracket 390.
  • the movement means 410 and 420 may receive a current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rail 310 and the second rail 320.
  • the first moving means 410 and the second moving means 4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ail 310 or the second rail 320 to receive a current. Therefore, a wiring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first rail 310 and the second rail 320 can be simply implemented.
  • both the first moving means 410 and the second moving means 420 may receive a current through the first rail 310.
  • a first connecting line 41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moving means 410 and the contact terminal 280, and the first moving means 410 may be provided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line 411. Current can be supplied.
  • a second connecting line 42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moving means 420 and the first rail 310, and the second moving means 420 may be provid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line 421. Current can be supplied.
  • the second connection line 421 may be arranged to connect one end portion of the first rail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second moving means 420.
  • on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rail 310 may be an end relatively close to the second moving means 420 of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irst rail 310.
  • first connection line 411 and the second connection line 421 By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connection line 411 and the second connection line 421 as described above, interference with the heating module 200 can be prevented, and the first moving means 410 using the minimum length of the connection line.
  • the current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moving means 420.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main components.
  • the second rail 3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50. That is, the second rail 3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50.
  • the second rail 3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ail 310. Therefore, the current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50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rail 310 through the second rail 320.
  • the first rail 3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ing module 200, the first moving means 410, and the second moving means 420, respectively.
  • first rail 310 and the second moving means 420 may be directly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first rail 310 and the heating module 200 may also be directly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first rail 310 and the first moving means 4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ontact terminal 280 provided in the heating module 200.
  • the heating module 200, the first moving means 410 and the second moving means 42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C).
  • the heating module 200, the first moving means 410 and the second moving means 420 may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unit C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the heating module 200, the first moving means 410 and the second moving means 420 may b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unit C, respectively, the control unit ( C) may also have a communication module.
  • the heating module 200, the first moving means 410 and the second moving means 42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C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C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In comparison, interference between the heating module 200 and the communication line due to the movement of the heating module 200 may be prevented.
  • the current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50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moving means 420 and the heating module 200 via the second rail 320 and the first rail 310 sequentially. have.
  • the current supplied to the heating module 200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moving means 410 through the contact terminal 280 provided in the heating module 200.
  • the cooking appliance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provided in the upper plate 100.
  •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may include four vibration sensors (ie, first vibration sensor 510, second vibration sensor 520, third vibration sensor 530, and fourth vibration). Sensor 540).
  • the controller C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to control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 the controller C may receive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vibration and output a signal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 the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may mean output voltages of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 each of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intensity of the signal (the magnitude of the output voltage) increases as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increases.
  • the controller C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placed on the upper plate 100 based on the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heating module 200 may be mad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That is, the heating module 200 should be moved to be positioned below the cooking vess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before the movement of the heating module 200.
  •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 sensor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cooking vessel placed on a top plate.
  • the heating module 200 may be formed to be movable in the space S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100. At this time, in order to heat the cooking vessel 150 placed on the top plate 100, the heating module 200 needs to be disposed below the cooking vessel 150.
  • the heating module 200 In order to automatically move the heating module 200 to the low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150,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150 placed on the top plate 100. As described below, when the cooking vessel 150 is placed on the top plate 100,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150 may be determined by sensing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top plate 100.
  • the cooking appliance 10 may include a vibration sensor (510, 520, 530, 540) for detecting the vibration of the upper plate (100).
  • the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late 100.
  • the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upper plate 100.
  • the controller C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150 on the top plate 100 based on the signals from the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That is, the controller C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150 on the upper plate 100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that is, the magnitude of the output voltage). can do.
  •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150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C and the cooking vessel 150
  • the heating module 200 may be moved downward.
  • the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 the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may not b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100. That is, the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may include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op plate 100.
  • the controller C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150 on the upper plate 100 based on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 the controller C may receive a plurality of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and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150 through analysis of the plurality of signals. Therefore, the determination accuracy of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150 can be improved.
  •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circumference of the space S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100. That is,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0 between the circumference of the space S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plate 100.
  •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are first to fourth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 of the upper plate 100. It may include.
  • the center o of the upper plate 100 may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space S.
  •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may include a first vibration sensor 510, a second vibration sensor 520, a third vibration sensor 530, and a fourth vibration sensor 540. have.
  • the first to fourth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 of the upper plate 100.
  •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upper plate 100. That is, the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upper plate 100.
  • the top plate 100 may be formed in a quadrangle, and the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may be formed at two widthwise sides of the top plate 100. It may be disposed at each corner.
  • the control unit C is a cooking vessel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upper plate 100 based on signals (output voltages) from the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 the position of 150 may be determined. That is, the control unit C uses the comparison value of the signals from the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to cook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upper plate 100.
  • the first coordinate of the container 150 may be determined.
  • the first coordinate may mean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150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upper plate 100.
  • the first coordinate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 the first coordinate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is stored in advance in an unshown memor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C based on the experiment. It may be.
  • the first coordinate of the cooking vessel 150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upper plate 100 may be accurately and easily determined using a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upper plate (100). That is,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upper plate 100.
  • the top plate 100 may be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and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may have two widthwise other sides of the top plate 100. It may be disposed at each corner.
  •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100, respectively. Can be arranged. That is,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are each of the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100. It may be arranged to face.
  • the controller C is based on the signals (output voltage) from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150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top plate 100 may be determined.
  • control unit C further uses the comparison value of the signals from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upper plate 100.
  • the first coordinate of the cooking vessel 150 may be determined.
  • the controller C compares the output voltage comparison values from the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 the first coordinate can be determined using all the output voltage comparison values.
  • the controller C may compare the output voltages from the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with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 the first coordinat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average of the output voltage comparison value of.
  • the output voltage of the vibration sensor disposed relatively close to the cooking vessel 150 is greater than the output voltage of the vibration sensor disposed relatively far.
  • the first coordinate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is also based on an experiment in advance in an unshown memor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C. It may be stored.
  • the first coordinate of the cooking vessel 150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upper plate 100 may be accurately and easily determined using a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 the second coordinate may mean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150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upper plate 100.
  • the control unit C is a cooking vessel 150 by using a comparison valu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facing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upper plate 100, The second coordinate of may be determined.
  • the second coordinate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 the second coordinate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is stored in advance in an unshown memor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C based on the experiment. It may be.
  • control unit C is based on the signal (output voltage) from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the upper plate 100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150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can be determined.
  •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upper plate 100 to face each other.
  •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are respectiv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first vibration sensor 510,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and the upper plate 100. It may be arranged to face apart.
  • the control unit C further uses the comparison value of the signals from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to prepare the cooking vessel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upper plate 100.
  • the second coordinate of 150 may be determined.
  • the controller C may compare the output voltages from the first vibration sensor 520 and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with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 the second coordinate can be determined using all the output voltage comparison values.
  • the controller C may compare the output voltages from the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with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 the second coordinat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average of the output voltage comparison value of.
  • the second coordinate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is also based on an experiment in advance in an unshown memor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C. It may be stored.
  • the first and second coordinates of the cooking vessel 150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upper plate (100). Can be judged accurately and easily.
  •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ing an arrangement of a sensor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cooking vessel placed on a top plate.
  •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embodiment of FIG. 5 will be omitted, and a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embodiment of FIG. 5.
  • the output voltage of the vibration sensor disposed relatively close to the cooking vessel is larger than the output voltage of the vibration sensor disposed relatively far,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first coordinate and the second coordinate based on the comparison value of the output voltage is performed in FIG. 5. It may be the same as the example.
  •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a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It may include.
  • the plurality of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include a third vibration sensor 530 and a fourth vibration sensor 540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can do.
  • the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upper plate 100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upper plate (100) It may be arranged to face.
  •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upper plate 100 at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upper plate (100). Can be.
  • first coordinates of the cooking vessel 150 based on the length direction L of the upper plate 100 by comparing output voltages from the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Can be determined.
  • a second coordinate of the cooking vessel 150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upper plate 100 is compared by comparing the output voltages from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Can be judged.
  • the controller C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of the cooking vessel 150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by using the comparison value of the output voltages of the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One coordinate can be judged.
  • control unit (C) by using the comparison valu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the third of the cooking vessel 150 based on the second direction Two coordinates can be judged.
  • the second coordinate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output voltage may be stored in advance in an unshown memor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C based on the experiment.
  •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virtual line L1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virtual line L2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 an intersection point of the first virtual line L1 and the second pseudo line L2 may have a center o of a space provided below the upper plate 100.
  • the center o of the space provided below the upper plate 100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100.
  • the first to the fourth vibration sensor so that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virtual line (L1) and the second pseudo-line (L2) is in the center (o) of the space provided below the upper plate 100 may be disposed respectively.
  • the accuracy of the determination of the first coordinate and the second coordinate using the output voltages of the first to fourth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may be improved.
  •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ing an arrangement of a sensor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cooking vessel placed on a top plate.
  •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embodiment of FIG. 5 will be omitted, and a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embodiment of FIG. 5.
  • a space provided below the upper plate 10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S1, S2, S3, and S4. That is, the space provided below the upper plat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paces S1, S2, S3, and S4 partition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100 may include first to fourth spaces S1, S2, S3, and S4 divided into separate spaces.
  • the heating module 200 may include first to fourth heating modules 201, 202, 203, and 204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to fourth spaces S1, S2, S3, and S4. have. That is, the first heating module 201 is movably disposed in the first space S1, the second heating module 202 is movably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S2, and the third space S3.
  • the third heating module 203 may be disposed to be movable, and the fourth heating module 204 may be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fourth space S4.
  • the first to fourth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 of the upper plate 100.
  • the control unit C is based on the signals (output voltages) from the first to fourth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and 540 and controls the cooking vessel 150 in the first to fourth spaces S1, S2, S3, and S4. ) Can determine the space in which is disposed.
  • control unit C is based on the signals (output voltage) from the first to fourth vibration sensors (510, 520, 530, 540), the position (that is, the first coordinate and the first coordinate) 2 coordinates) can be judged.
  • the controller C may be configured to compare the output voltages of the first vibration sensor 510 and the second vibration sensor 520 and the output voltages of the third vibration sensor 530 and the fourth vibration sensor 540.
  • the first coordinate and the second coordinate on which the cooking vessel 150 is placed may be determined using the comparison value of.
  • control unit C is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cooking vessel 150 is placed among the first to fourth spaces S1, S2, S3, and S4 based on the determined first and second coordinates.
  • the plate may be plated, and the heating module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space may be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150.
  • the position of the cooking vessel 150 is accurately determined, and the heating module disposed in the corresponding space Cooking vessel 150 can be moved to the lower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모듈이 조리용기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도록 2차원 공간에서 이동 가능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조리용기를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 하측에 마련된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코일을 구비하는 가열모듈; 상기 상판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및 상기 가열모듈과 상기 진동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판 상의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기기 상에 배치된 조리용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인식된 위치로 가열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모듈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가정이나 실내에서 전기 또는 기타 에너지(예를 들어, 가스)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제품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 중, 열원으로서 가스를 이용한 조리기기에는 가스 레인지, 가스 오븐 또는 가스 오븐 레인지 등이 있고, 열원으로서 전기를 이용한 조리기기에는 인덕션 레인지, 라디언트 히터를 이용한 전기 레인지, 전자 레인지 등이 있으며, 전기를 이용한 인덕션 레인지와 가스를 이용한 가스 오븐이 결합된 형태의 조리기기도 있다.
특히, 상기 인덕션 레인지는 유도가열(IH, Induction Heating)을 이용하는 조리기기이다. 유도가열은 가열하려는 대상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유도 전류가 흐르게 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유도가열은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면 코일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이러한 자기장 공간 내에 배치된 조리용기에 열을 발생시키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리용기는 자석이 붙는 재질(예를 들어, 자석이 붙는 금속)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907-0127097호는 종래의 조리기기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조리기기는 조리용기의 가열을 위한 코일이 조리기기의 기설정된 위치에 구비되어, 사용자는 코일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리용기를 배치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리용기를 조리기기 상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더라도, 조리용기의 가열이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기기 상에 배치된 조리용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식된 조리용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열모듈을 조리용기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구비된 가열모듈이 움직이더라도, 전류를 공급의 중단이나 단선이 없이, 가열모듈에 안정적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리기기의 상판 상에 놓이는 조리용기의 위치를 정확히 인식하여, 조리용기의 하측으로 가열모듈을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용기를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 하측에 마련된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코일을 구비하는 가열모듈; 상기 상판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및 상기 가열모듈과 상기 진동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판 상의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판 상의 임의의 위치에 조리용기가 배치되더라도, 조리용기의 위치가 자동으로 판단되고, 가열모듈이 조리용기에 대응하는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진동센서는 상기 상판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센서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조리기기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상기 진동센서는 상기 상판의 둘레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진동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진동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판 상의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의 위치에 대한 판단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는 상기 상판 하측에 마련된 공간의 둘레 외측에서 상기 상판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모듈과 진동센서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고, 가열모듈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한 진동센서의 오작동 및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된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의 위치 좌표가 정확하게 판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진동센서 및 제2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의 제1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의 제1좌표가 자동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제3진동센서 및 제4진동센서는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제1진동센서 및 상기 제2진동센서와 상판의 폭방향으로 각각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진동센서 및 제4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더 이용하여 상기 제1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의 제1좌표가 보다 정확히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판의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진동센서 및 제3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의 제2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의 제2좌표가 자동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제2진동센서 및 제4진동센서는 상기 상판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제1진동센서 및 상기 제3진동센서와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진동센서 및 제4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더 이용하여 상기 제2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의 제2좌표가 보다 정확히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는,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진동센서와 제2진동센서; 및 상기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3진동센서와 제4진동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의 제1방향 및 제2방향을 기준으로 한 위치가 자동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진동센서와 상기 제2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방향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의 제1좌표를 판단하고, 상기 제3진동센서와 상기 제4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방향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의 제2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의 제1좌표 및 제2좌표가 비교적 정확하게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상선과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상선의 교차점이 상기 상판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의 중심에 있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조리용기와 진동센서 사이의 거리에 따른 출력전압의 차이를 이용하여, 조리용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 하측에 마련된 공간은 서로 구분되도록 구획된 제1 내지 제4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모듈은 상기 제1 내지 제4 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가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가 놓인 위치에 대응하는 제1좌표 및 제2좌표뿐만 아니라, 제1 내지 제4공간 중 조리용기에 대응하는 공간이 정확하게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응하는 공간에 구비된 가열모듈을 조리용기의 하측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용기를 조리기기 상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더라도, 조리용기의 가열이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기기 상에 배치된 조리용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식된 조리용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열모듈을 조리용기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기기에 구비된 가열모듈이 움직이더라도, 전류를 공급의 중단이나 단선이 없이, 가열모듈에 안정적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가열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레일과 가열모듈에 구비된 코일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도 6은 상판 상에 놓인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도 7은 상판 상에 놓인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가열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조리용기가 올려지는 상판이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2는 가열모듈의 측면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 X축은 조리기기의 길이방향을 나타내고 Y축은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 및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는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조리용기가 가열되는 인덕션 레인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10)는 상판(100)의 하측에 배치되는 가열모듈(200), 상기 가열모듈(200)의 하측에 배치되는 레일(310, 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100)은 유리, 대리석, 세라믹 및 나무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100) 위에는 조리용기(15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리용기(150)는 상기 상판(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리용기(150)는 상기 가열모듈(20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리용기(150)는 자석이 붙는 재질(예를 들어, 자석이 붙는 금속)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은 상기 상판(100)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은 상기 공간(S)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모듈(200)은 상기 공간(S)에서 조리기기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은 코일(2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일(210)은 구리를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일(210)은 구리선이 원형으로 복수회 감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일(210)은 구리선이 서로 다른 반경으로 복수회 감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코일(210)은 구리선의 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복수회 감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210)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류는 교류전류가 될 수 있다. 상기 코일(210)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상기 코일(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조리용기(150)가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은 상기 코일(2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버터(2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270)는 상기 가열모듈(200)에 공급되는 전류를 고주파 전류로 변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인버터(270)에 전류가 공급되고, 상기 인버터(27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고주파 전류로 변환하여 상기 코일(21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270)는 상기 가열모듈(200)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모듈(200)이 이동할 때, 상기 인버터(270)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270)는 후술할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버터(270)는 상기 제어부(C)에 의해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모듈(200)이 이동할 때, 상기 인버터(270)가 상기 코일(210)과 함께 이동하므로, 상기 가열모듈(200)이 움직이더라도 상기 인버터(270)와 상기 코일(210) 사이의 전기적 단락 또는 단선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은 상기 코일(210)과 상기 인버터(270)의 사이에 배치되는 자기장 차단부재(2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위에부터 상기 코일(210), 상기 자기장 차단부재(250) 및 상기 인버터(27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기장 차단부재(250)는 상기 코일(210)에서 발생된 자기장이 상기 인버터(270)로 진행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기장 차단부재(250)는 알루미늄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기장 차단부재(250)에 의해 상기 인버터(270)의 오작동 및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은 상기 코일(210)과 상기 인버터(270) 사이에 배치되는 페라이트 코어(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페라이트 코어(230)는 상기 코일(210)과 상기 자기장 차단부재(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230)에 의해 상기 코일(2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경로가 상기 코일(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조리용기(150)로 집중될 수 있다. 즉, 상기 페라이트 코어(230)는 상기 코일(2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경로를 코일(210)의 상측으로 집중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230)에 의해 조리용기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장의 세기가 증폭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310, 320)은 상기 가열모듈(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310, 320)은 상기 가열모듈(2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310, 320)은 전술한 상판(100) 하측에 마련된 공간(S)에서, 상기 가열모듈(2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류가 상기 레일(310, 320)에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일(310, 320)은 통전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모듈(200)은 상기 레일(310, 320)을 통해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모듈(200)이 상기 공간(S) 내에서 이동하더라도 상기 레일(310, 320)과 상기 가열모듈(200) 사이에 전기적 단락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레일(310, 320)은 상기 가열모듈(200)이 위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레일(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310)은 조리기기(10)의 폭방향(즉, Y축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은 상기 제1레일(310) 상에서 상기 제1레일(310)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이 상기 제1레일(310) 상에서 이동할 때,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가열모듈(2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모듈(200)이 상기 제1레일(310) 상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상기 가열모듈(200)은 상기 제1레일(310)을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레일(310)은 상기 가열모듈(200)에 교류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레일(310)이 서로 평행하게 조리기기(200)의 폭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모듈(200)에는 상기 제1레일(310)에 접한 상태로 유지되는 접촉단자(2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280) 역시 한 쌍의 제1레일(310)에 대응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레일(310) 및 한 쌍의 접촉단자(280)를 통해 코일(210)에 가열모듈(200)에 교류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한 쌍의 제1레일(310)과 한 쌍의 접촉단자(280)는 한 쌍의 제1접촉영역(315)에서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접촉영역(315)은 상기 제1레일(310) 상에서 상기 가열모듈(200)의 움직임에 따라서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280)의 일 단부는 상기 인버터(27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단자(280)의 타 단부(즉, 자유 단부)는 상기 제1레일(310)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류는 상기 제1레일(310), 상기 접촉단자(280) 및 상기 인버터(27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코일(210)에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레일과 가열모듈에 구비된 코일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3을 함께 참조하면, 한 쌍의 제1레일(310)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310)은 상단의 면적이 하단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으며, 상단에 상기 접촉단자(280)가 접촉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접촉단자(280)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쇼트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접촉단자(280)에 의해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인버터(27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단자(280)의 자유단부(289)가 상기 제1레일(310)의 상단에 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단자(280)는 상기 자유단부(289)가 상기 제1레일(310)의 상단에 탄성적으로 접하도록 하기 위한 절곡부(281)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레일(310)에 상기 절곡부(281)가 형성되어, 상기 제1레일(310)의 자유단부가 상기 제1레일(310)의 상단에 탄성적으로 접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281)는 상기 접촉단자(280)의 일 단부보다 타 단부에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절곡부(281)는 상기 접촉단자(280)의 자유단부(289)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단자(280)의 자유단부가 상기 제1레일(310) 상에서 상기 제1레일(310)을 향해 하방으로 눌려서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접촉단자(280) 사이의 접촉력이 증가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레일(310, 320)은 상기 제1레일(310)에 직교하는 제2레일(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320)은 상기 제1레일(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310)은 상기 제2레일(320)과 전기적 연결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2레일(320)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레일(320)은 기설정된 길이로 조리기기(10)의 길이방향(즉, X축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레일(310)은 상기 제2레일(320) 상에서 상기 제2레일(320)의 연장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레일(310)이 상기 제2레일(320) 상에서 이동하더라도,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제2레일(320)의 전기적 연결은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한 쌍의 제1레일(310)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제2레일(320)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레일(310)과 한 쌍의 제2레일(320)은 한 쌍의 제2접촉영역(325)에서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접촉영역(325)은 상기 제2레일(320) 상에서 상기 제1레일(310)의 움직임에 따라서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제1레일(310) 및 상기 제2레일(320) 중 하나에 전류가 인가되면, 다른 하나에도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제2레일(3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외부전원을 통한 전기적 연결의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제1레일(310)은 제2레일(320) 상에서 제2레일(3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외부 전원은 상기 제2레일(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레일(310)은 상기 제2레일(320)을 통해 전류를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레일(310)은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레일(320)은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레일(320)은 상기 공간(S) 내에서 폭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 가능한 제1레일(310)에 외부 전원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외부 전원과 제1레일(310) 사이에 전기적인 단락 또는 단선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된 제2레일(320)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제1레일(310)은 상기 제2레일(320)을 통해 전류를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외부 전원은 상기 제2레일(320)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류는 상기 제2레일(320), 상기 제1레일(310), 상기 접촉단자(280) 및 상기 인버터(27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코일(210)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10)는 상기 가열모듈(200)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이동수단(410, 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수단(410, 420)은 바퀴, 모터, 기어 및 유압 실린더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미 다양한 이동수단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동수단(410, 420)은 상기 제1레일(310) 상에서 상기 가열모듈(2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이동수단(410) 및 상기 제2레일(320) 상에서 상기 제2레일(310)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2이동수단(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수단(410)은 상기 제1레일(310) 상에서 상기 가열모듈(200)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상기 제2레일(320) 상에서 상기 제2레일(310)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이동수단(410)은 가열모듈(200)에 구비되거나 상기 가열모듈(200)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가열모듈(200)의 이동 시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이동수단(410)은 상기 가열모듈(20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수단(420) 역시, 가열모듈(200)의 이동 시에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상기 제2레일(32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레일(320) 및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모두 조리기기(10)의 폭방향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상기 제2레일(320)에 비해 조리기기(200)의 폭방향 일측으로 더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이동수단(420)과 상기 가열모듈(200)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모듈(200)은 제1지지브라켓(29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브라켓(290)은 폭보다 길이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브라켓(290)은 제1레일(310)이 배치되는 제2지지브라켓(39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브라켓(290)은 제1레일(31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브라켓(390)은 길이보다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브라켓(290)은 상기 제1이동수단(410)에 의해 상기 제2지지브라켓(390)에 대해 상대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지지브라켓(290)은 상기 제1이동수단(410)에 의해 상기 제2지지브라켓(39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지지브라켓(290)은 상기 제1이동수단(410)에 의해 상기 제2지지브라켓(39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브라켓(390)은 제2이동수단(420)에 의해 제2레일(320)에 대해 상대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지지브라켓(390)은 상기 제2이동수단(420)에 의해 상기 제2레일(320)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레일(320)은 전술한 상판(100) 하측에 마련된 공간(S)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브라켓(390)은 상기 제2이동수단(420)에 의해 상기 제2레일(32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브라켓(390)에 상기 제1레일(310) 및 상기 제2이동수단(42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레일(320)은 상기 제2지지브라켓(390)의 하측에서 상기 제2지지브라켓(390)을 길이방향(X축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410, 420)은 상기 제1레일(310) 및 제2레일(32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이동수단(410) 및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상기 제1레일(310) 또는 상기 제2레일(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레일(310) 및 상기 제2레일(32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 간단히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이동수단(410) 및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모두 제1레일(310)을 통해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이동수단(410)과 상기 접촉단자(280) 사이에 제1연결선(411)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이동수단(410)은 상기 제1연결선(411)을 통해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동수단(420)과 상기 제1레일(310) 사이에 제2연결선(421)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상기 제2연결선(421)을 통해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연결선(421)은 제1레일(310)의 길이방향 일 단부와 상기 제2이동수단(420)을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레일(310)의 길이방향 일 단부는 제1레일(310)의 길이방향 양 단부 중 상기 제2이동수단(420)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단부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연결선(411) 및 제2연결선(421)의 배치에 의해, 가열모듈(200)과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고, 최소한의 연결선의 길이를 이용하여 제1이동수단(410)과 제2이동수단(420)에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조리기기(10)에 구비되는 주요 구성들의 전기적 연결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레일(320)은 외부 전원(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레일(320)은 상기 외부 전원(50)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레일(320)은 제1레일(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원(50)으로부터의 전류는 상기 제2레일(320)을 통해 상기 제1레일(31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310)은 가열모듈(200), 제1이동수단(410) 및 제2이동수단(42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가열모듈(200) 역시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제1이동수단(410)은 상기 가열모듈(200)에 구비되는 접촉단자(28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 상기 제1이동수단(410) 및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모듈(200), 상기 제1이동수단(410) 및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제어부(C)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 상기 제1이동수단(410) 및 상기 제2이동수단(420)은 상기 제어부(C)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미도시)을 각각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C) 역시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 상기 제1이동수단(410) 및 상기 제2이동수단(420)이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므로, 통신선을 통해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에 비해 가열모듈(200)의 이동에 따른 가열모듈(200)과 통신선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외부 전원(50)으로부터의 전류는 제2레일(320) 및 제1레일(31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제2이동수단(420) 및 가열모듈(200)에 각각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가열모듈(200)에 공급되는 전류는 상기 가열모듈(200)에 구비되는 접촉단자(280)를 통해 제1이동수단(41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는 상판(10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는 4개의 진동센서들(즉, 제1진동센서(510), 제2진동센서(520), 제3진동센서(530) 및 제4진동센서(5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로부터의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는 진동을 감지하고, 진동의 크기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로부터의 신호는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의 출력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 각각은 진동의 크기가 클수록 신호의 세기(출력전압의 크기)가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판(100) 위에 놓인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모듈(200)의 위치 이동은 조리용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가열모듈(200)은 조리용기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위치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가열모듈(200)의 이동 이전에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상판 위에 놓인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상판 상에 놓인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모듈(200)은 상판(100)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S)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판(100) 위에 놓인 조리용기(150)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모듈(200)은 상기 조리용기(150)의 하측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즉, 사용자가 조리용기(150)를 상판(100) 위의 임의의 위치에 놓았을 때, 상기 가열모듈(200)이 상기 조리용기(150)의 하측으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되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200)가 조리용기(150)의 하측으로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100) 위에 놓인 상기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리용기(150)가 상판(100) 위에 놓일 때, 상기 상판(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감지를 통하여 조리용기(150)의 위치가 판단될 수 있다.
도 4 및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는 상기 상판(100)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510, 520,530, 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상판(10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상기 상판(100)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4를 통해 설명된 제어부(C)는 상기 진동센서(510, 520,530, 54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판(100) 상의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진동센서(510, 520,530, 54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의 크기(즉, 출력전압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상판(100) 상의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판(100) 상의 임의의 위치에 상기 조리용기(150)를 올려놓기만 하면, 제어부(C)에 의해 조리용기(150)의 위치가 판단되고 조리용기(150) 하측으로 가열모듈(200)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상기 상판(1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상기 상판(100)의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진동센서(510, 520,530, 54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조리기기(10)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상기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상기 상판(100)의 둘레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진동센서(510, 520,530, 5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530, 54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판(100) 상의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C)는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530, 540)로부터 복수개의 신호를 전달받으며, 복수개의 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150)의 위치에 대한 판단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상기 상판(100)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S)의 둘레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상기 공간(S)의 둘레와 상판(100)의 둘레 사이에서 상기 상판(1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공간(S)에서 이동하는 상기 가열모듈(200)과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530, 540)의 간섭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가열모듈(200)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의한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530, 540)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상기 상판(100)의 중심(o)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된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510, 520,530, 5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100)의 중심(o)은 상기 공간(S)의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제1진동센서(510), 제2진동센서(520), 제3진동센서(530) 및 제4진동센서(5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510, 520,530, 540)는 상기 상판(100)의 중심(o)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2진동센서(520)는 상기 상판(100)의 길이방향(L)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2진동센서(520)는 상기 상판(100)의 길이방향(L)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100)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2진동센서(520)는 상기 상판(100))의 폭방향 일측의 2개의 코너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2진동센서(520)로부터의 신호(출력전압)에 기초하여, 상판(100)의 길이방향(L)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2진동센서(520)로부터의 신호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판(100)의 길이방향(L)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1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좌표는 상기 상판(100)의 길이방향(L)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0)의 길이방향(L)을 기준으로 조리용기(150)가 제1진동센서(510)에 비해 제2진동센서(510)에 가까이 놓이면, 제1진동센서(510)의 출력전압에 비해 제2진동센서(520)의 출력전압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진동센서(510)의 출력전압과 제2진동센서(520)의 출력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좌표가 판단될 수 있다.
제1진동센서(510)의 출력전압과 제2진동센서(520)의 출력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른 상기 제1좌표는 제어부(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에 실험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진동센서를 이용하여, 상판(100)의 길이방향(L)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1좌표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는 상기 상판(100)의 길이방향(L)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는 상기 상판(100)의 길이방향(L)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100)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는 상기 상판(100))의 폭방향 타측의 2개의 코너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는 상기 상판(10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2진동센서(520)로부터 각각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는 상기 상판(10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2진동센서(520)와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리용기(150)의 제1좌표의 판단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로부터의 신호(출력전압)에 기초하여, 상판(100)의 길이방향(L)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로부터의 신호의 비교값을 더 이용하여, 상판(100)의 길이방향(L)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1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2진동센서(520)로부터의 출력전압 비교값과,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의 출력전압 비교값을 모두 이용하여, 상기 제1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2진동센서(520)로부터의 출력전압 비교값과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의 출력전압 비교값의 평균에 기초하여, 상기 제1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조리용기(150)에 상대적으로 가까이 배치된 진동센서의 출력 전압이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된 진동센서의 출력 전압에 비해 큰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3진동센서(530)의 출력전압과 제4진동센서(540)의 출력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른 상기 제1좌표 역시, 제어부(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에 실험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진동센서를 이용하여, 상판(100)의 길이방향(L)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1좌표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될 수 있다.
한편, 보다 정확한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판(100)의 폭방향(W)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2좌표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제2좌표는 상기 상판(100)의 폭방향(W)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판(100)의 폭방향(W)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진동센서(510) 및 제3진동센서(530)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조리용기(150)의 상기 제2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0)의 폭방향(W)을 기준으로 조리용기(150)가 제1진동센서(510)에 비해 제3진동센서(510)에 가까이 놓이면, 제1진동센서(510)의 출력전압에 비해 제3진동센서(530)의 출력전압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진동센서(510)의 출력전압과 제3진동센서(530)의 출력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좌표가 판단될 수 있다.
제1진동센서(510)의 출력전압과 제3진동센서(530)의 출력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른 상기 제2좌표는 제어부(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에 실험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좌표의 판단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2진동센서(52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로부터의 신호(출력전압)에 기초하여, 상판(100)의 폭방향(W)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진동센서(520)와 상기 제4진동센서(540)는 상기 상판(100)의 폭방향(W)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진동센서(52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는 각각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3진동센서(530)와 상판(100)의 길이방향(L)으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2진동센서(52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로부터의 신호의 비교값을 더 이용하여, 상판(100)의 폭방향(W)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2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진동센서(520) 및 상기 제3진동센서(530)로부터의 출력전압 비교값과, 상기 제2진동센서(52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의 출력전압 비교값을 모두 이용하여, 상기 제2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3진동센서(530)로부터의 출력전압 비교값과 상기 제2진동센서(52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의 출력전압 비교값의 평균에 기초하여, 상기 제2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제2진동센서(520)의 출력전압과 제4진동센서(540)의 출력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른 상기 제2좌표 역시, 제어부(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에 실험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진동센서를 이용하여, 상판(100)의 길이방향(L) 및 폭방향(W)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1좌표 및 제2좌표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센서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상판 상에 놓인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이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5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도 5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특히, 조리용기에 상대적으로 가까이 배치되는 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이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되는 진동센서의 출력전압에 비해 크며, 출력전압의 비교값에 기초한 제1좌표 제2좌표의 판단은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서,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는 기설정된 제1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진동센서(510)와 제2진동센서(5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 530, 540)는 상기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3진동센서(530)와 제4진동센서(5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진동센서(510)와 제2진동센서(520)는 상판(100)의 폭방향(W) 중심에서 상기 상판(100)의 길이방향(L)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는 상판(100)의 길이방향(L) 중심에서 상기 상판(100)의 폭방향(W)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진동센서(510)와 상기 제2진동센서(520)로부터의 출력전압 비교를 통해 상기 상판(100)의 길이방향(L)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1좌표가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진동센서(530)와 상기 제4진동센서(540)로부터의 출력전압 비교를 통해 상판(100)의 폭방향(W)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2좌표가 판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진동센서(510)와 상기 제2진동센서(520)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방향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1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3진동센서(530)와 상기 제4진동센서(540)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방향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150)의 제2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진동센서(510)의 출력전압과 제2진동센서(520)의 출력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른 상기 제1좌표 및 기 제3진동센서(530)와 상기 제4진동센서(540)의 출력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른 상기 제2좌표는 제어부(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에 실험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진동센서(510) 및 상기 제2진동센서(520)는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상선(L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진동센서(530) 및 상기 제4진동센서(540)는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상선(L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가상선(L1)과 상기 제2가성선(L2)의 교차점은 상기 상판(100)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의 중심(o)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100)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의 중심(o)은 상판(100)의 중심과 같은 의미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가상선(L1)과 상기 제2가성선(L2)의 교차점이 상기 상판(100)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의 중심(o)에 있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510, 520, 530, 54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510, 520, 530, 540)의 출력전압을 이용한 상기 제1좌표 및 상기 제2좌표의 판단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센서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상판 상에 놓인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이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5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도 5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는 상판(100)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이 복수개의 공간(S1, S2, S3, S4)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상판(100)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은 서로 구분되도록 구획된 복수개의 공간(S1, S2, S3, S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판(100)의 하측에는 서로 별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제1 내지 제4공간(S1, S2, S3, S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가열모듈(200)은 상기 제1 내지 제4공간(S1, S2, S3, S4)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가열모듈(201, 202, 203, 20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공간(S1)에 제1가열모듈(201)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2공간(S2)에 제2가열모듈(202)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제3공간(S3)에 제3가열모듈(203)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제4공간(S4)에 제4가열모듈(204)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을 통해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510, 520,530, 540)가 상판(100)의 중심(o)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C)는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510, 520,530, 540)로부터의 신호(출력전압)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4 공간(S1, S2, S3, S4) 중 조리용기(150)가 배치된 공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510, 520,530, 540)로부터의 신호(출력전압)에 기초하여, 조리용기(150)가 배치된 위치(즉, 제1좌표 및 제2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C)는 제1진동센서(510)와 제2진동센서(520)의 출력전압의 비교값 및 제3진동센서(530)와 제4진동센서(540)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조리용기(150)가 놓인 제1좌표 및 제2좌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판단된 제1좌표 및 제2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공간(S1, S2, S3, S4) 중 조리용기(150)가 놓인 위치에 대응하는 공간을 판판할 수 있으며, 상기 대응하는 공간에 구비된 가열모듈을 조리용기(150)의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진동센서(510, 520,530, 540)로부터의 신호를 통해, 조리용기(150)가 배치되는 위치를 정확히 판단하고, 대응하는 공간에 배치된 가열모듈을 조리용기(150)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13)

  1. 조리용기를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 하측에 마련된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코일을 구비하는 가열모듈;
    상기 상판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및
    상기 가열모듈과 상기 진동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판 상의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센서는 상기 상판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센서는 상기 상판의 둘레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진동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진동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판 상의 조리용기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는 상기 상판 하측에 마련된 공간의 둘레 외측에서 상기 상판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된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진동센서 및 제2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의 제1좌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제3진동센서 및 제4진동센서는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제1진동센서 및 상기 제2진동센서와 상판의 폭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진동센서 및 제4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더 이용하여 상기 제1좌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판의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진동센서 및 제3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의 제2좌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제2진동센서 및 제4진동센서는 상기 상판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제1진동센서 및 상기 제3진동센서와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진동센서 및 제4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더 이용하여 상기 제2좌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진동센서는,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진동센서와 제2진동센서; 및
    상기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3진동센서와 제4진동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진동센서와 상기 제2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방향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의 제1좌표를 판단하고,
    상기 제3진동센서와 상기 제4진동센서의 출력전압의 비교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방향을 기준으로 한 조리용기의 제2좌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상선과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상선의 교차점이 상기 상판의 하측에 마련된 공간의 중심에 있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진동센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하측에 마련된 공간은 서로 구분되도록 구획된 제1 내지 제4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모듈은 상기 제1 내지 제4 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가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PCT/KR2019/000433 2018-03-23 2019-01-11 조리기기 WO201918223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777 2018-03-23
KR1020180033777A KR20190111530A (ko) 2018-03-23 2018-03-23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2238A1 true WO2019182238A1 (ko) 2019-09-26

Family

ID=67987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0433 WO2019182238A1 (ko) 2018-03-23 2019-01-11 조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11530A (ko)
WO (1) WO201918223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0516A (ja) * 2005-02-23 2006-09-07 Cleanup Corp システムキッチン
JP2007265904A (ja) * 2006-03-29 2007-10-11 Cleanup Corp システムキッチン及び誘電加熱ユニット
KR20100010249A (ko) * 2008-07-22 2010-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JP2010080187A (ja) * 2008-09-25 2010-04-08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6138397B2 (ja) * 2015-06-19 2017-05-31 株式会社aLab 座標検出装置及び座標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0516A (ja) * 2005-02-23 2006-09-07 Cleanup Corp システムキッチン
JP2007265904A (ja) * 2006-03-29 2007-10-11 Cleanup Corp システムキッチン及び誘電加熱ユニット
KR20100010249A (ko) * 2008-07-22 2010-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JP2010080187A (ja) * 2008-09-25 2010-04-08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6138397B2 (ja) * 2015-06-19 2017-05-31 株式会社aLab 座標検出装置及び座標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530A (ko)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01477A1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WO2021167161A1 (en) Induction heating type cooktop
WO2020046048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7034290A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WO202110750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oling fan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WO2020171420A1 (ko)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WO2015182938A1 (ko)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WO2019135492A1 (ko) 제어 알고리즘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WO2020171418A1 (ko)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WO2018199613A1 (en)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156371A1 (ko) 조리기기
WO2019182238A1 (ko) 조리기기
WO2021167163A1 (en) Induction heating type cooktop
WO2021029608A1 (ko) 블렌더
WO2019226019A1 (ko)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1071076A1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2145569A1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1167162A1 (en) Induction heating type cooktop
WO2021194173A1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WO2021206310A1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WO2021107353A1 (ko)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레인지
WO2019050254A1 (ko)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3132416A1 (en) Induction heating type cooktop
WO2023191173A1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WO2023003171A1 (ko)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710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710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