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43178A1 -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43178A1
WO2019143178A1 PCT/KR2019/000760 KR2019000760W WO2019143178A1 WO 2019143178 A1 WO2019143178 A1 WO 2019143178A1 KR 2019000760 W KR2019000760 W KR 2019000760W WO 2019143178 A1 WO2019143178 A1 WO 201914317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ins
connector
pin
fasten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076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정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19568140A priority Critical patent/JP6904513B2/ja
Priority to US16/626,058 priority patent/US11527852B2/en
Priority to CN201980002642.6A priority patent/CN110692168B/zh
Priority to EP19741910.4A priority patent/EP3629427A4/en
Publication of WO201914317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431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bases or cases for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miniaturize a size by separately separating each first pin of a connector mounted on a board to form a plurality of small connector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ble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prevent an error that connectors are incorrectly inserted into each other, as well as simplifying the process by forming an insertion connector through tightening and assembling of the respective second pins.
  • a separate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capable of preventing errors in which the connectors are erroneously inserted not only to simplify the process but also to prevent the connectors from being erroneously inserted into each other, And have come to develop a manufacturing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capable of miniaturizing a size by individually separating each first pin of a connector mounted on a boar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ble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at can not only simplify the process but also prevent the erroneous insertion of the connectors into each other by mistake.
  • a separate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includes a connector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pins and respective second pins to be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pins, As shown in FIG.
  • the plurality of first pins may each be assigned a key code.
  • the connector includes a connector body portion, and each of the second pins can be fastened and assembled to the connector body portion.
  • the connector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for fastening and assembling the respective second pins, and the second pins are fastened and assembled to the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The creepage and clearance for each second pin can be adjusted.
  • each of the second pins may be made of one pin.
  • the plurality of first pins may each be made of one or more pins.
  • the plurality of first pins may be formed as male pins inserted by the respective second pins or male pins for insertion into the respective second pins.
  • each of the second pins may be formed as an arm pin inserted by the plurality of first pins or a male pin for insertion into the plurality of first pins.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parate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includes the steps of mounting a plurality of first pins on a board, integrally forming a connector through fastening assembly of each second pin, And engaging the plurality of first pins through the connector including the second pin.
  • the step of integrally forming the connector through the fastening assembly of the respective second pin may include the step of fastening the respective second pin to the connector body portion through the connector body portion have.
  • the step of integrally forming the connector through the fastening assembly of each second pin may include arranging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for fastening and assembling the respective second pins on the connector body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And adjusting the creepage distances and intervals of the respective second pins as the respective second pins are fastened and assembled to the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 fastening with the plurality of first pins through a connector comprising the respective second pins may comprise fabricating each second pin with one fin.
  • the mounting of the plurality of first pins on the board comprises:
  • the plurality of first pins may be fabricated from at least one pin.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a conventional female connector 1.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eparate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nd fastening a separate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a conventional female connector 1.
  • the first pins 1a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one integrated housing.
  • each first pin 1a is protruded from the inner side and the voltage value to be conducted corresponds to the low voltage, it is not necessary to secure a wide pin interval.
  • the connector has been required to have a high voltage gradually.
  • the high voltage can not be operated through the conventional female connector 1
  •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pin spacing must be ensured while enlarging the overall size of the conventional female connector 1.
  • a separable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100 capable of ensuring pin spacing without enlarging the overall size of the low voltage connector 1 will be described.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eparate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tachable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10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ins 110 and a male connector 120 mounted on a board .
  • the plurality of first pins 110 may refer to a small connector having a similar function to the conventional female connector 1 shown in Fig. 1, which may refer to a kind of female connector made of one or more pins, respectively .
  • a key code is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ins 110, so that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second pin 120a of the connector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signated key code.
  • the connector 120 includes a male pin 120a and a connector body 120b which are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first pins 110 and each second pin 120a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body 120a, (120b), the connector (120) is formed as one integral body.
  • the connector 120 may be, for example, a male connecto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plurality of first pins 110 and the connector 120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by changing the roles of the arms and the male.
  • a separate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100 includes a female pin to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pins are inserted by the respective second pins or a female pin to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second pins. (male) pin shape.
  • Each of the second pins may be formed as an arm pin inserted by the plurality of first pins or a male pin for insertion into the plurality of first pins.
  •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not shown) for fastening and assembling the respective second pins 120a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onnector body portion 120b.
  • the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As the pin 120a is fastened and assembled, the creepage and clearance for each second pin 120a can be adjusted.
  • each of the second pins 120a is made of one pin, the process of the connector 120 can be simplified, and each of the second pins 120a can be assembled to the connector body portion 120b
  • the number of the first pins 110 can be increased by correspondingly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second pins 120a.
  • the creepage may refer to the total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s and the terminals provided inside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fins 110, May mean a distance including both the diameter and the size of the housing (or outer shape).
  • the term "clearance” may refer to a linear distance between a terminal and a terminal provided inside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ins 110.
  • the linear distance refers to a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s of each of the first pins 110 Or external shape), which means only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 the separate high-voltage connector assembly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or mounted on a boar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iniaturized small connectors, and a connector to be inserted is assemb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not only a process simplification but also an error that the connectors are inserted incorrectly.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nd fastening a separate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lurality of first pins are each made of one or more pins and mounted on a board (S501).
  • the connector is integrally formed through the fastening assembly of the respective second pins, wherein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for fastening and assembling the respective second pin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ody portion of the connector, The creepage distances and intervals of the respective second pins are adjusted as the respective second pins are fastened and assembled to the respective coupling grooves (S502).
  • the connector is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first pins through the respective second pins fastened and assembled to the connector body (S50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드 위에 실장된 커넥터의 각각의 제1 핀을 개별적으로 분리시켜 다수의 소형 커넥터를 형성함으로써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고, 또한 개별 분리된 각각의 제2 핀의 체결 조립을 통해 삽입용 커넥터를 형성함으로써 공정 단순화는 물론 커넥터끼리 서로 잘못 삽입되는 오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본 출원은 2018년 01월 19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8-0006972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드 위에 실장된 커넥터의 각각의 제1 핀을 개별적으로 분리시켜 다수의 소형 커넥터를 형성함으로써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고, 또한 개별 분리된 각각의 제2 핀의 체결 조립을 통해 삽입용 커넥터를 형성함으로써 공정 단순화는 물론 커넥터끼리 서로 잘못 삽입되는 오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저전압(Low Voltage) 커넥터의 경우,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및 전기자동차 등 배터리와 관련된 전기 분야에서 배터리 용량 증대가 이루어짐에 따라 관리 장치에서는 점차 큰 전압을 요구하게 된다.
하지만, 현재 저전압 커넥터는 고전압 환경에서 동작될 수 없으며, 이를 위해서는 제2 핀(male pin) 간의 사이 간격이 일정 거리 이상 반드시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저전압 커넥터의 크기가 증가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커넥터 크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커넥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fool proof를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며, 설사 다수의 커넥터를 이용하더라도 커넥터의 제2 핀 및 제1 핀을 잘못 삽입하는 실수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종래의 저전압 커넥터에서 요구되는 고전압 요구사항에 따른 한계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드 위에 실장된 커넥터의 각각의 제1 핀을 개별적으로 분리시켜 다수의 소형 커넥터를 형성함으로써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고, 또한 개별 분리된 각각의 제2 핀의 체결 조립을 통해 삽입용 커넥터를 형성함으로써 공정 단순화는 물론 커넥터끼리 서로 잘못 삽입되는 오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보드 위에 실장된 커넥터의 각각의 제1 핀을 개별적으로 분리시켜 다수의 소형 커넥터를 형성함으로써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고, 또한 개별 분리된 각각의 제2 핀의 체결 조립을 통해 삽입용 커넥터를 형성함으로써 공정 단순화는 물론 커넥터끼리 서로 잘못 삽입되는 오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는 다수 개의 제1 핀 및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과 체결되는 각각의 제2 핀을 포함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각각의 제2 핀의 체결 조립을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은 각각 키 코드(key code)가 부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제2 핀이 상기 커넥터 몸체부에 체결 조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 몸체부에는 상기 각각의 제2 핀이 체결 조립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다수 개의 체결홈에 상기 각각의 제2 핀이 체결 조립됨에 따라 상기 각각의 제2 핀에 대한 연면거리 (creepage) 및 간격(clearance)이 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제2 핀은 1개의 핀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은 각각 1개 이상의 핀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은 상기 각각의 제2 핀에 의해 삽입되는 암(female) 핀 또는 상기 각각의 제2 핀에 삽입하기 위한 수(male) 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제2 핀은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에 의해 삽입되는 암 핀 또는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에 삽입하기 위한 수 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제조 방법은 다수 개의 제1 핀이 보드 상에 실장되는 단계, 커넥터가 각각의 제2 핀의 체결 조립을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제2 핀을 포함하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과 체결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가 각각의 제2 핀의 체결 조립을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단계는, 커넥터 몸체부를 통해, 상기 각각의 제2 핀이 상기 커넥터 몸체부에 체결 조립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가 각각의 제2 핀의 체결 조립을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단계는, 상기 커넥터 몸체부에 상기 각각의 제2 핀이 체결 조립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단계 및 상기 다수 개의 체결홈에 상기 각각의 제2 핀이 체결 조립됨에 따라 상기 각각의 제2 핀에 대한 연면거리 및 간격이 조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제2 핀을 포함하는 커넥터를 통해,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과 체결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제2 핀은 1개의 핀으로 제작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이 보드 상에 실장되는 단계는,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은 각각 1개 이상의 핀으로 제작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보드 위에 실장된 커넥터의 각각의 제1 핀을 개별적으로 분리시켜 다수의 소형 커넥터를 형성함으로써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고, 또한 개별 분리된 각각의 제2 핀의 체결 조립을 통해 삽입용 커넥터를 형성함으로써 공정 단순화는 물론 커넥터끼리 서로 잘못 삽입되는 오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암커넥터(1)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제조 및 체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암커넥터(1)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종래의 암커넥터(1)의 경우, 도 1과 같이 하나의 일체형 하우징 내에 각각의 제1 핀(1a)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일체형 하우징의 특성 상, 소형화가 불가능한 구조이며, 불필요한 여분의 커넥터핀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종래의 암커넥터(1)는 내측면으로부터 각각의 제1 핀(1a)이 돌출 형성되되, 도통되는 전압값이 저전압에 해당하기 때문에 핀 간격이 넓게 확보될 필요성이 없었다.
하지만,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및 전기자동차 등 배터리와 관련된 전기 산업 분야에서의 배터리 용량 대형화에 맞추어 커넥터에 점차 고전압을 요구하게 되었는데, 종래의 암커넥터(1)를 통해서는 고전압을 동작할 수 없으며, 이를 위해서는 종래의 암커넥터(1)의 전체적인 크기를 확장시키면서 핀 간격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저전압 커넥터(1)의 전체적인 사이즈 확장 없이도 핀 간격을 확보할 수 있는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100)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크게 보드 위에 실장되는 다수 개의 제1 핀(female pin, 110) 및 커넥터(male connector, 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제1 핀(110)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암커넥터(1)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소형 커넥터를 의미할 수 있는데, 각각 1개 이상의 핀으로 제작되는 일종의 암커넥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제1 핀(110)에는 각각 키 코드(key code)가 부여됨에 따라, 후술되는 커넥터(120)의 제2 핀(120a)이 지정된 키 코드에 따라 삽입위치가 정해지게 된다.
커넥터(120)는 다수 개의 제1 핀(110)과 체결되는 각각의 제2 핀(male pin, 120a) 및 커넥터 몸체부(120b)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2 핀(120a)이 커넥터 몸체부(120b)에 체결 조립됨에 따라, 커넥터(120)는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커넥터(120)는 예컨데 수커넥터(male connector)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된 다수 개의 제1 핀(110) 및 커넥터(120)는 암과 수의 역할이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이 상기 각각의 제2 핀에 의해 삽입되는 암(female) 핀 또는 상기 각각의 제2 핀에 삽입하기 위한 수(male) 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제2 핀은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에 의해 삽입되는 암 핀 또는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에 삽입하기 위한 수 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몸체부(120b)에는 각각의 제2 핀(120a)이 체결 조립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홈(미도시)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다수 개의 체결홈에 각각의 제2 핀(120a)이 체결 조립됨에 따라, 각각의 제2 핀(120a)에 대한 연면거리(creepage) 및 간격(clearance)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제2 핀(120a)은 1개의 핀으로 제작됨에 따라, 커넥터(120)의 공정이 단순화 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2 핀(120a)은 커넥터 몸체부(120b)에 조립될 수 있기에 다수 개의 제1 핀(110)에 대해서도 제2 핀(120a)의 개수를 상응하게 늘림으로써 대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면거리(creepage)라 함은 다수 개의 제1 핀(110) 각각의 내측에 마련된 단자와 단자 간의 총 거리를 의미할 수 있는데, 이때 총 거리라 함은 제1 핀(110) 각각의 하우징(혹은 외형)의 직경, 크기를 모두 포함한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간격(clearance)라 함은 다수 개의 제1 핀(110) 각각의 내측에 마련된 단자와 단자 간의 직선 거리를 의미할 수 있는데, 이때 직선 거리라 함은 제1 핀(110) 각각의 하우징(혹은 외형)을 무시한, 오직 단자와 단자 간의 최단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보드 위에 실장되는 커넥터는 다수 개의 소형화된 소형 커넥터로 분리시키고, 삽입되는 커넥터는 다수 개의 제2 핀이 조립 체결 가능한 조립식으로 형성함으로써, 공정 단순화는 물론, 커넥터끼리 잘못 삽입되는 오류도 원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3을 통해 이러한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제조 및 체결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제조 및 체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먼저, 다수 개의 제1 핀은 각각 1개 이상의 핀으로 제작되어 보드 상에 실장된다(S501).
다음으로, 커넥터는 각각의 제2 핀의 체결 조립을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커넥터의 몸체부에 상기 각각의 제2 핀이 체결 조립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다수 개의 체결홈에 상기 각각의 제2 핀이 체결 조립됨에 따라 상기 각각의 제2 핀에 대한 연면거리 및 간격이 조정된다(S502).
다음으로,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몸체부에 체결 조립된 상기 각각의 제2 핀을 통해, 다수 개의 제1 핀과 체결된다(S503).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보드 상에 실장되는 다수 개의 제1 핀; 및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과 체결되는 각각의 제2 핀을 포함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각각의 제2 핀의 체결 조립을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은 각각 키 코드(key code);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제2 핀이 상기 커넥터 몸체부에 체결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몸체부에는,
    상기 각각의 제2 핀이 체결 조립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다수 개의 체결홈에 상기 각각의 제2 핀이 체결 조립됨에 따라 상기 각각의 제2 핀에 대한 연면거리(creepage) 및 간격(clearance)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2 핀은 1개의 핀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은 각각 1개 이상의 핀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은 상기 각각의 제2 핀에 의해 삽입되는 암(female) 핀 또는 상기 각각의 제2 핀에 삽입하기 위한 수(male) 핀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2 핀은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에 의해 삽입되는 암 핀 또는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에 삽입하기 위한 수 핀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9. 다수 개의 제1 핀이 보드 상에 실장되는 단계;
    커넥터가 각각의 제2 핀의 체결 조립을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제2 핀을 포함하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과 체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각각의 제2 핀의 체결 조립을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단계는,
    커넥터 몸체부를 통해, 상기 각각의 제2 핀이 상기 커넥터 몸체부에 체결 조립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각각의 제2 핀의 체결 조립을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단계는,
    상기 커넥터 몸체부에 상기 각각의 제2 핀이 체결 조립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단계; 및
    상기 다수 개의 체결홈에 상기 각각의 제2 핀이 체결 조립됨에 따라 상기 각각의 제2 핀에 대한 연면거리 및 간격이 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2 핀을 포함하는 커넥터를 통해,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과 체결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제2 핀은 1개의 핀으로 제작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제조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이 보드 상에 실장되는 단계는,
    상기 다수 개의 제1 핀은 각각 1개 이상의 핀으로 제작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제조 방법.
PCT/KR2019/000760 2018-01-19 2019-01-18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WO2019143178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568140A JP6904513B2 (ja) 2018-01-19 2019-01-18 分離型高電圧コネクタ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6/626,058 US11527852B2 (en) 2018-01-19 2019-01-18 Separable high-voltage connecto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201980002642.6A CN110692168B (zh) 2018-01-19 2019-01-18 可分离高压连接器组件及其制造方法
EP19741910.4A EP3629427A4 (en) 2018-01-19 2019-01-18 DETACHABLE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6972 2018-01-19
KR10-2018-0006972 2018-0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3178A1 true WO2019143178A1 (ko) 2019-07-25

Family

ID=6730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0760 WO2019143178A1 (ko) 2018-01-19 2019-01-18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27852B2 (ko)
EP (1) EP3629427A4 (ko)
JP (1) JP6904513B2 (ko)
KR (1) KR20190088903A (ko)
CN (1) CN110692168B (ko)
WO (1) WO201914317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6022A (ja) * 1993-09-30 199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ネクタ
KR960025637U (ko) * 1994-12-06 1996-07-22 간격조절이 용이한 콘넥터
JP2001297833A (ja) * 2000-04-13 2001-10-26 Nippon Tanshi Kk 基板用多極コネクタ
KR20040038479A (ko) * 2002-11-01 2004-05-08 (주)티에스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보드 어셈블리
JP2009252669A (ja) * 2008-04-10 2009-10-29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アース用コネクタ
KR20180006972A (ko) 2015-05-21 2018-01-1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비디오 모션 보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4188B2 (ja) 1998-11-30 2002-02-0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高電圧用コネクタ
KR100521656B1 (ko) 1998-12-10 200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커넥터
JP3838427B2 (ja) * 2002-03-18 2006-10-25 矢崎総業株式会社 ジョイント吸収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DE10333913A1 (de) * 2003-07-25 2005-02-24 Krone Gmbh Aderanschlussmodul für Leiterplatten
CN2731748Y (zh) 2004-09-09 2005-10-05 北京科力恒久电力技术有限责任公司 新型高压电缆可分离连接器
US7425154B2 (en) 2006-03-16 2008-09-16 Ultra Products, Inc. Break apart power connector
CN101378160A (zh) 2007-08-27 2009-03-04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可堆栈的组合式连接器及连接器组
KR101005106B1 (ko) 2008-07-25 2010-12-30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레일고정시스템
KR20110009902A (ko) 2009-07-23 2011-01-3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키코드 분리형 커넥터 장치
CN102004522A (zh) * 2009-08-31 2011-04-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主板
US8062075B2 (en) 2009-11-24 2011-11-22 Delta Electronics, Inc. Power connector having a signal detecting terminal on a separation member
US8441151B2 (en) 2009-11-24 2013-05-14 Delta Electronics, Inc. Power supply with arc flash protection mechanism and data-processing system employing same
JP5327547B2 (ja) 2010-01-22 2013-10-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TW201238153A (en) * 2011-03-04 2012-09-16 Hon Hai Prec Ind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4805422B1 (ja) 2011-06-13 2011-11-0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385500B2 (en) 2013-08-26 2016-07-05 FCI Asia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fins
CN203839613U (zh) * 2014-05-26 2014-09-1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
JP5941515B2 (ja) * 2014-10-15 2016-06-29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20160066182A (ko) 2014-12-02 2016-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KR101745130B1 (ko) 2015-09-03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터락 커넥터가 제거된 친환경 자동차용 고전압 커넥터
KR101704255B1 (ko) 2015-09-10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KR20170059852A (ko) 2015-11-23 2017-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101734249B1 (ko) 2015-12-15 2017-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6022A (ja) * 1993-09-30 199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ネクタ
KR960025637U (ko) * 1994-12-06 1996-07-22 간격조절이 용이한 콘넥터
JP2001297833A (ja) * 2000-04-13 2001-10-26 Nippon Tanshi Kk 基板用多極コネクタ
KR20040038479A (ko) * 2002-11-01 2004-05-08 (주)티에스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보드 어셈블리
JP2009252669A (ja) * 2008-04-10 2009-10-29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アース用コネクタ
KR20180006972A (ko) 2015-05-21 2018-01-1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비디오 모션 보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629427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23746A (ja) 2020-08-06
CN110692168A (zh) 2020-01-14
EP3629427A1 (en) 2020-04-01
US11527852B2 (en) 2022-12-13
US20200412059A1 (en) 2020-12-31
KR20190088903A (ko) 2019-07-29
JP6904513B2 (ja) 2021-07-14
CN110692168B (zh) 2022-01-04
EP3629427A4 (en)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3058B2 (en) Digital, small signal and RF microwave coaxial subminiature push-on differential pair system
KR101699576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20040157498A1 (en) Plastic housings for jack assemblies
JPH03176975A (ja) 電気コネクタ
US20080220652A1 (en) High voltage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O2020122404A1 (ko) 배터리 모듈용 fpcb 조립체,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EP2553773A1 (en) Digital, small signal and rf microwave coaxial subminiature push-on differential pair system
KR102616995B1 (ko) 자동차용 이더넷 커넥터, 및 이더넷 커넥터를 포함한 커넥터 어셈블리
EP3570382B1 (en) Fitting connector
EP13452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 Connector Cable Retention
US20100062631A1 (en) Cable Connector
US7753730B2 (en) Electrical contact holder assembly
US6390839B2 (en) Terminal assembly with discharge contacts and connector assembly thereof
WO2019143178A1 (ko) 분리형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WO2014077502A1 (ko) 접속모듈
US6575639B2 (en) Optical adapter
US20230062211A1 (en) Connectors and Connector Assembly
CN219267961U (zh) 连接器
CN220873887U (zh) 一种连接器
WO2022220585A1 (ko) 모터
CN219553992U (zh) 连接器壳体、母端连接器及电子设备组件
CN113471761B (zh) 插头连接器和插座连接器
WO2016032171A1 (ko) 전기 커넥터, 및 제 1 및 제 2 전지셀들의 제 1 및 제 2 전기 단자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법
WO2020138989A1 (ko) 모터
WO2019245221A1 (ko)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419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6814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7419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1224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