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08013A1 -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08013A1
WO2019108013A1 PCT/KR2018/015080 KR2018015080W WO2019108013A1 WO 2019108013 A1 WO2019108013 A1 WO 2019108013A1 KR 2018015080 W KR2018015080 W KR 2018015080W WO 2019108013 A1 WO2019108013 A1 WO 201910801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rum
laundry
amount
dry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508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일만
김세태
정덕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5138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90065151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910801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080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06F2103/46Current or voltage of the motor driving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6Remaining operation time; Remaining operational cycles

Definitions

  • a dryer includes: a drum for receiving laundry; A motor connected to the drum through a drive belt to rotate the drum; A blowing fan for circulating air passing through the drum by driving the motor; A dri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by operating the motor to operate or stop the motor by applying operation power to the motor; A current sensing unit for measuring a current of the motor in operation; And controlling the drive controller to rotate the drum in an operation pattern including an acceleration section in which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increases and a maintenance section in which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is maintained, and the acceleration section is set longer than the maintenance section And a control unit for sensing the amount of laundry from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ing unit while the drum rotates and controlling the dry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laundry.
  • the controller senses the amount of the laundry, and controls the driving controller to perform a drying operation by changing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drum so that the laundry is dried.
  • the controller changes the rotational speed or the drying time of the drum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drying of the laundry detected during the drying operation.
  • FIG. 1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the movement of laundry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tor includes a drive shaft to which the drum is connected, and a drive pulley to which the drive belt 164 wound on the drum 30 is caught.
  • the drum 30 can be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 An idle pulley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drive belt.
  • the drive belt can wrap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30 while being caught by the drive pulley and the idle pulley.
  • the circulating flow path 66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the circulating flow path 66 guid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fan to the heat pump module and guid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eat pump module to the drum through the heater.
  • the circulation flow path 66 is also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drum to guide the heated air into the drum 30.
  • the control section can control not only the degree of drying but also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dryer 1.
  •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a memory for storing data in a form readable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 the control unit may be composed of one processor or a plurality of processors.
  • the operation unit 170 includes input means such as at least one button, a switch and a touch pad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17.
  • the operation unit 170 inputs operation settings including a power input, an operation mode, and a type of laundry. When the type of laundry is selected and the power key is input, the operation unit 170 inputs data on the operation setting to the control unit.
  • the door sensing unit 131 senses whether the door 20 is open or closed.
  • the door sensing unit 131 senses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door and inputs a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before perform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Further, the door sensor 131 detects whether or not the laundry is pinched.
  •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a series of processes of drying laundry to be supplied to the drum.
  • the control unit 110 divides the currents Iq1 and Iq2 measured through the current sensing unit 135 according to the intervals during one operation pattern in which the drum rotates at three intervals of an acceleration period, And accumulates them.
  • the control unit 110 calculates the average of the current values of the acceleration period D1 and the current period of the maintenance period D2 to determine the amount of laundry.
  • the drum 30 repeats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when detecting the amount of laundry (bulk amount), and the controller 110 repeats the rotation of the drum 30 in response to the current value sensed by the current sensing unit 135 To detect the amount of laundry.
  • the linearity is large due to a large difference in the measured value depending on the amount of laundry, and the range of the measured values for the same amount of laundry is small.
  • the drying time or the rotation speed during the drying oper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laundry, so that the drying time or the energy usage is saved, so that the laundry is efficiently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조기 내에 투입되는 세탁물에 대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세탁물의 양을 판단하여 세탁물의 양에 따라 건조시간을 설정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드럼 내의 세탁물에 작용하는 힘을 추출하여 세탁물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세탁물의 양에 대한 오차를 최소화하여 정확도가 향상되고 건조시간을 개선하고, 회전 방향을 변경하도록 하여 세탁물의 엉킴으로 인한 세탁물의 양에 대한 오차를 최소화하고, 회전방향의 조정을 통해 세탁물의 양 판단 후 건조동작이 시작되도록 하며, 세탁물의 양과 세탁물의 종류를 모두 고려하여 건조시간을 설정하여,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세탁물이 과건조되거나 덜 건조되는 문제를 해소하여 세탁물을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의류용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 탈수 및/또는 건조 등의 여러 작용을 통해 세탁물을 처리하는 장치로, 세탁기, 탈수기, 건조기를 통칭한다. 건조기는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젖은 세탁물이 투입된 드럼 내부로 열풍을 송풍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건조기는 의류를 건조시킨 후 드럼으로부터 토출된 습한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건조기는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배기 또는 응축과정에서 버려지는 열에너지를 공기의 가열에 이용하여 에너지 소모를 절감하고 있다.
이러한 건조기는, 열풍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세탁물의 양보다는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건조 시간을 설정하여 일정시간 동안 세탁물을 건조시키도록 구성된다.
열에 약한 세탁물과 열에 강한 세탁물을 구분하여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열에 약한 세탁물은 열에 의한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짧은 시간 동안 건조되도록 하고, 열에 강한 세탁물의 경우 비교적 장시간 건조하여 완전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종래기술 JP2017-108870 에는 세탁물의 양보다는 온도를 바탕으로 건조시간을 변경하는 등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건조기는 설정된 회전속도로 드럼이 일정하게 회전하는 것으로,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하였을 때, 동일한 종류의 세탁물이라고 하더라도 투입되는 세탁물의 양에 따라 세탁물의 건조상태에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도가 증가하면 건조속도를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세탁물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온도를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건조시간의 증가는, 초기 설정된 시간에 건조가 완료되지 않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불편을 증가시키게 된다.
US 등록특허, US 1414624에는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건조시간을 재설정하여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가 건조시간을 오인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여 잔여시간을 정확히 산출하여 표시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잔여시간의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개시한 것으로, 단순히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을 뿐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측정되는 값을 이용한 세탁물의 양 판단 및 세탁물의 양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KR 1505189는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해당 발명은 정확한 포량감지를 목적으로, 모터를 가속시키고, 등속으로 유지하는 구간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속구간과 등속구간에서의 전류값을 이용하여 세탁물의 양을 산출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세탁기에 적용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건조기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세탁물의 양에 따라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방식은 종래의 세탁기에서도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세탁기와 달리 건조기는 젖은 상태의 세탁물이 투입되므로, 건조상태의 무게와 젖은 상태의 무게에 차이가 있고, 건조기는 건조 동작 중에 회전속도의 변화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세탁물의 마찰, 낙하 등을 이용한 이물질 제거가 목적인 세탁기와, 건조가 목적인 건조기와는 구동방식이 상이하므로 세탁기의 방식을 적용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젖은 상태의 세탁물은 건조된 상태의 세탁물보다 무거우므로 초기 구동에 많은 전류가 필요하고, 초기 세탁물의 위치 및 모터 구동에 의한 세탁물의 이동으로 인하여 측정되는 세탁물의 양이 상이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조기는 세탁기와 달리 원심력에 의해 젖은 세탁물의 수분을 배출하는 방식이 아니라 열풍과 드럼의 회전에 의해 의류를 건조시키는 것으로,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세탁물이 드럼에 부착되어 건조되지 않고, 또한,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또한 드럼 내에서의 의류의 이동이 적어, 세탁물의 일부만이 건조되는 문제점이 있다.
젖은 상태의 세탁물은 건조된 세탁물에 비하여 쉽게 드럼의 벽면에 부착되므로,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세탁기와는 달리, 세탁물을 상부로 견인하여 낙하시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있어서, 세탁물이 드럼의 벽면에 부착되는 경우 건조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세탁기와는 달리, 젖은 상태의 세탁물을 용이하게 견인하여 낙하시킬 수 있는 드럼의 회전을 고려해야하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건조기의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방식, 드럼을 회전시키는 속도와 시간에 따라 감지되는 의류의 양에 편차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모터와 드럼의 연결, 그에 따른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방식에 따라 각각 상이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해결할 방안이 함께 모색될 필요가 있다.
특히 풀리 타입의 구동방식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벨트와 드럼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풀리 타입이란, 모터가 동작하면, 연결되는 벨트가 유동하면서, 밸트의 유동에 의해 밸트와 접지된 드럼이 회전하는 방식이다. 모터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밸트와 드럼사이에 슬립(미끄러짐)이 발생함에 따라, 드럼이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건조기에 수용된 세탁물의 양이 증가하면, 증가하는 무게만큼, 회전을 위해 더 큰 동력이 필요하나, 밸트에 의해 견인되는 방식에 있어서 그 부하 또한 크게 증가하여 슬립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건조기 내에 투입되는 세탁물에 대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세탁물의 양을 판단하고, 세탁물의 양에 대응하여 건조동작을 제어하는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는 가속구간, 속도가 유지되는 유지구간을 포함하는 동작패턴에 따라 드럼이 회전하도록 하여 젖은 세탁물을 이동하여 낙하하도록 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 구동벨트를 통해 상기 드럼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드럼을 통과하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 상기 모터로 동작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모터가 동작 또는 정지하도록 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동작중인 상기 모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 및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는 가속구간과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유지되는 유지구간을 포함하는 동작패턴으로 상기 드럼이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 제어부를 제어하고, 상기 가속구간을 유지구간보다 길게 설정하여,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전류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전류값으로 부터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여 상기 세탁물의 양에 따라 건조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고,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구간과 상기 유지구간의 길이가 일정 비율을 형성하도록 상기 동작패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의 양 감지 시, 상기 가속구간의 길이가 상기 유지구간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된 상기 동작패턴에 따라 상기 드럼이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삭이 가속구간과 상기 유지구간의 길이를 5:3의 비율로 하여 상기 동작패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을 변경하면서 상기 동작패턴이 반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은 상기 동작패턴으로 1회 동작하는 동안, 5회 내지 6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상기 동작패턴에 따라 제 1 방향으로 회전한 후, 상기 제 1 방향과 상이한 제 2 방향으로 상기 동작패턴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 후,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건조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구동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세탁물이 건조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지구간 후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감소하는 정지구간을 더포함하는 상기 동작패턴을 설정하여 상기 드럼의 동작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동작 시, 상기 동작패턴에 따라 상기 드럼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동작 중, 감지되는 상기 세탁물의 건조도에 대응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 또는 건조시간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구간에서, 500rpm/s 내지 1500rpm/s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가속기울기로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지구간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36rpm 내지 63rpm 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은, 드럼 내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단계,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는 가속구간, 회전속도가 유지되는 유지구간, 상기 드럼이 정지하는 정지구간으로 구성된 동작패턴에 따라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단계, 상기 동작패턴으로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패턴에 따라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것을 설정횟수 반복하는 단계, 상기 전류값으로부터 세탁물의 양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세탁물의 양에 대응하여 설정된 건조시간 동안 건조동작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패턴이 1회 수행된 후,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드럼이 반시계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드럼이 시계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은, 건조기 내에 투입되는 세탁물에 대하여,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드럼 내의 세탁물에 작용하는 힘을 추출하여 세탁물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세탁물의 양에 대한 오차를 최소화하여 정확도가 향상되고 건조시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는 가속구간, 유지되는 유지구간을 포함하는 동작패턴에 따라 드럼이 회전함으로써, 세탁물의 이동하여 낙하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가속구간과 유지구간에서 측정되는 반복적으로 전류를 산출하여 세탁물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속도가 상승하는 가속구간을 유지구간보다 길게 설정하여 모터의 구동력이 드럼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모터와 드럼을 연결하는 벨트와 드럼 간의 미끄러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젖은 상태의 세탁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작패턴에 따라 드럼이 회전함으로써 산출되는 세탁물의 양에 대한 정확도가 상승하고, 건조 성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세탁물의 양 판단 시, 회전 방향을 변경하도록 하여 세탁물의 엉킴으로 인한 세탁물의 양에 대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세탁물의 양이 산출되면, 즉시 건조동작이 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산출되는 세탁물의 양과 세탁물의 종류를 모두 고려하여 건조시간을 설정하여,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세탁물이 과건조되거나 덜 건조되는 문제를 해소하여 세탁물을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조효율은 향상시키고 설정된 시간 내에 건조가 완료됨에 따라 자용자의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하여 편의성이 향상되고,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건조기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건조기의 공기순환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된 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건조기의 공기순환과 냉매순환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된 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서, 드럼으로부터 회수되는 공기의 통로 및 이물질을 포집하는 구조가 도시된 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럭도이다.
도 7 는 본 발명의 건조기의 히트펌프의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럭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드럼 및 송풍팬 구동을 위한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동작 패턴이 도시된 도이다.
도 10 은 도 9의 동작 패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동작 패턴에 따라 감지되는 전류파형이 도시된 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회전속도에 따른 세탁물의 움직임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13은 도 9의 동작 패턴에 따라 드럼 내 세탁물의 움직임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세탁물의 양에 따른 감지 특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세탁물의 양 감지 결과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세탁물의 양에 따른 제어방법이 도시된 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제어부 및 그 외 각 부의 구성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건조기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 은 도 1 의 건조기의 공기순환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된 도이다.
본 발명의 건조기(1)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1)는 캐비닛(10),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세탁물(포)이 수용되어 회전되는 드럼(30)과,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60)와, 상기 드럼(30)에서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고,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모듈(50, 52, 53, 54, 58)과, 드럼(3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64)과, 드럼(30)으로부터 순환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덕트(68), 드럼(30)으로 투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69),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순환유로(66)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은 건조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드럼(30)과 그 밖의 구성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캐비닛(1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캐비닛(10)은 전면에 도어(20)가 배치되고, 도어(20)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캐비닛(10) 내부를 개폐한다.
캐비닛(10)은 프론트커버(11), 탑플레이트(16), 사이드커버(12, 13), 리어커버(15) 및 베이스(14)를 포함한다.
프론트커버(11)에는 투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투입구를 여닫는 도어(20)가 구비된다. 투입구는 드럼(30)과 연통된다.
도어(20)는 프론트커버(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어 글래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글래스(22)는 사용자가 드럼(30)의 내측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부재로 이루어지며, 드럼(30)의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이다.
프론트커버(11)의 상부에는 컨트롤 패널(17)이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7)에는 건조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LCD, LED 패널 등), 사용자로부터 건조기에 대한 작동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예를 들어, 버튼, 다이얼, 터치 스크린 등), 동작상태에 대한 음성안내, 효과음 또는 경고음이 출력되는 스피커(미도시)가 포함된다.
드럼(30)은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드럼(30)의 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송풍팬(64) 및 히트펌프모듈은 드럼(30)의 하측에 배치된다.
드럼(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면과 배면이 개방되며 전면은 투입구와 연통된다. 또한, 드럼(30)은 배면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유입구는 공기 순환을 위한 순환유로와 연결된다.
드럼(30)은 내부에 리프터(31)가 설치되고, 리프터(31)는 회전되면서 내부에 세탁물을 들어올린 후, 자유 낙하시킨다. 드럼은 캐비넷에 구비되는 서포터(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
구동부(60)는 캐비닛(10)의 베이스(14)에 고정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모터는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며, 또한, 송풍팬(64)과 연결되어 송풍팬을 회전시킨다. 모터는 양축모터로 각각의 구동축에 드럼(30)과 송풍팬(64)이 연결된다.
모터는 드럼이 연결되는 구동축에, 드럼(30)에 감긴 구동벨트(164)가 걸리는 구동풀리를 포함한다. 모터의 회전에 의해 드럼(3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동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아이들 풀리(idle pulley, 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벨트는 구동풀리와 아이들 풀리에 걸린 상태로 드럼(3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모터의 회전 시 구동풀리에 의해 구동벨트가 이송되고, 구동벨트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드럼(3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송풍팬(64)은 구동부(60)의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송풍팬(64)의 회전에 의해, 드럼(30) 내의 공기가 흡입덕트(68) 내로 유입된다. 흡입덕트(68)는 순환유로(66)에 포함될 수 있다.
송풍팬(64)의 회전 시,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흡입덕트(68)로 안내되어 송풍팬(64)으로 공급된다. 흡입덕트(68)는 전방 서포터의 전면에 결합되며, 송풍팬(64)의 흡입구와 연통되어 있다. 송풍팬(64)은 드럼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순환유로(66)를 통해 히트펌프모듈을 거쳐 다시 드럼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공기를 순환시킨다.
드럼(30)은 정회전 시, 배면 측에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고, 전면 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또한, 드럼은, 역회전 시 전면 측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배면 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순환유로(66)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순환유로(66)는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히트펌프모듈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고, 또한, 히트펌프모듈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히터를 통해 드럼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순환유로(66)는 드럼의 배면측에도 구비되어 가열된 공기가 드럼(30)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드럼(30)을 경유하는 순환유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순환유로(66)는 드럼과 연결되어 공기 순환을 위한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순환유로는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기덕트(미도시) 및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덕트(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19)는 투입구에 설치되어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어 흡입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lint)를 채집한다.
히트펌프모듈은 냉매를 순환 시켜 히트펌프 사이클로 작동시킨다.
드럼의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물은 드럼으로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에 의해 건조된다. 드럼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건조과정에서 세탁물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함습하여 순환유로로 유입되고, 히트펌프모듈을 통해 가열된 후 다시 드럼으로 공급된다.
히트펌프모듈은 압축기(50), 응축기(52), 증발기(53), 팽창밸브를 포함한다.
히트펌프모듈은 압축기(50), 응축기(52), 증발기(53)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냉매의 순환을 통해, 응축기와 증발기에서의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 공기가 드럼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히트펌프모듈은 냉매 이외의 다른 매체를 통해 열교환할 수 있다.
증발기(53)는 드럼(30)으로부터 송풍팬(64)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켜 배출된 공기의 열량을 회수한다. 또한, 증발기(53)는 유입된 공기에 함습된 수분을 응축시킨다.
응축기(52)는 증발기(53)를 통화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여, 가열된 공기를 드럼으로 토출한다. 증발기를 통관한 저온 저습의 공기는 응축기로 유입되어 냉매와 열교환 함으로써 고온 저습의 상태로 드럼으로 공급된다.
응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증발기를 통과하여 압축기로 회수되고, 압축기(50)는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로 토출하고, 팽창밸브는 응축기(52)에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기에서 팽창시킨다.
응축기(52) 및 증발기(53)는 열교환기이다.
드럼(30)에서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53)의 냉매보다 온도가 높으므로,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공기의 열량이 냉매와 열교환되어 응축되어 냉각된다. 그에 따라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에 의해 제습되고 냉각된다. 공기가 응축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는 별도의 응축수하우징(미도시)에 수집되어 배수될 수 있다.
또한, 히트펌프모듈은 보조 열교환기(54)와 냉각팬(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열교환기(54)는 응축기(52)와 분리되는 분리형 콘덴싱 모듈에 의해 구성된다. 보조 열교환기와 냉각팬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서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보조 열교환기(54)는 냉매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응축기에서 팽창밸브로 연장되는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냉각시킨다.
냉각팬은 캐비넷 외부 공기 또는 내부공기를 보조 열교환기로 송풍하여 보조 열교환기를 냉각시킨다.
도 4 는 도 1 의 건조기의 공기순환과 냉매순환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된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30)으로 공급된 공기는 세탁물을 가열하고, 세탁물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함습하여 토출된다.
공기는 송풍팬(64)에 의해 순환된다.
공기는, 송풍팬에 의해 드럼을 통과해 증발기(53)로 유입되고, 증발기에서 응축되어 저온저습의 상태로 응축기(52)로 유입된다. 공기는 응축기(52)의 냉매와 열교환되어 가열된 후 드럼(30)으로 다시 유입된다. 공기는, 순환유로 상에 설치된 히터(69)를 통해 추가 가열될 수 있다.
히트펌프모듈과 히터(69)는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동작 될 수 있고, 또한 동시에 동작 가능하다.
공기는 드럼(30), 증발기(53), 응축기(52)의 순서로 이동한다.
냉매는 압축기(50)에 의해 고온고압의 상태로 응축기(52)로 토출되고, 응축기에서 공기와 열교환 된 후, 증발기(53)로 유입되어 증발된다.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는 팽창밸브(59)가 설치된다. 팽찰밸브는 저온고압의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증발기로 전달한다.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53)에서 증발되고, 저온저압의 상태로 압축기(50)로 유입된 후, 고온고압의 상태로 응축기(52)로 토출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서, 드럼으로부터 회수되는 공기의 통로 및 이물질을 포집하는 구조가 도시된 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의 드럼방향의 내측에, 프론트패널과 드럼이 연결되는 드럼의 전면부에, 필터어셈블리(19)가 설치된다.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필터어셈블리(19)를 통과하여 송풍팬을 통해 순환유로를 따라 증발기로 유입된다.
드럼을 통관한 공기는, 송풍팬(64)에 의해 드럼(30)으로부터 증발기(53)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드럼의 필터어셈블리(19)를 통과하면서 세탁물로부터 분리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가 제거된다.
필터어셈블리(19)는 전방 서포터에 고정되는 필터 케이스(182)와, 필터 케이스(182)에 착탈되는 린트 필터(183)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182)는 린트 필터(183)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수용공간 내로 린트 필터(18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에는 필터 삽입구가 형성된다. 린트 필터(183)는 상기 필터 삽입구를 통해 수용공간 내로 삽입되거나,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드럼의 전면에는 드럼 내 세탁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세탁물감지부의 전극(18)을 포함한다. 세탁물감지부는 두개의 전극 센서로 구성된다. 두개의 전극 센서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양극과 음극을 포함하며, 드럼을 향해 노출되어 설치된다.
전극 센서는, 드럼이 회전에 의해 세탁물이 유동하는 동안 세탁물과 접촉됨에 따라, 세탁물의 상태, 특히 세탁물의 함습정도를 감지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전극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세탁물의 함습정도에 따라 세탁물의 건조상태를 판단한다.
세탁물이 전극 센서에 접촉되면,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양극이 도통됨에 따라 폐쇄회로가 형성되고, 세탁물의 수분 정도에 따라 회로에 흐르는 전류값이 가변되므로, 전류값을 바탕으로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할 수 있다. 세탁물은 전극에 대하여 저항으로 작용하고, 세탁물의 수분 함량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므로, 회로에 흐르는 전류 또한 가변된다.
제어부는, 건조도를 구할 뿐만 아니라, 건조기(1)를 구성하는 각종 전장품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또한,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조작부(170), 출력부(175), 통신부(190), 구동부(160), 전원부(150), 히트펌프모듈(120), 펌프(185), 히터(69), 센서부(130), 메모리(140), 건조기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조작부(170)는 컨트롤 패널(17)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스위치,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조작부(170)는 전원입력, 동작모드, 세탁물의 종류 설정을 포함한, 운전설정을 입력한다. 조작부(170)는 세탁물의 종류가 선택되고, 전원키가 입력되면, 운전설정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로 입력한다.
출력부(175)는 조작부(170)에 의해 입력된 운전설정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건조기의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음성안내, 소정의 효과음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버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는 건조기의 운전설정 및 동작제어를 위한 메뉴화면을 포함할 수 있고, 운전설정 또는 동작상태에 대하여 문자, 숫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된 안내 메시지 또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는 건조기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력되는 운전설정 데이터, 동작모드에 대한 데이터, 건조기의 에러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140)에는 건조기 동작 중 감지 또는 측정되는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저장기기 일 수 있다.
통신부(19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90)는 건물 또는 소정 거리 내에서 형성되는 네트워크, 예를 들어 홈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또한 인터넷 등의 외부의 서버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기능이 구비된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90)는 건조기의 동작상태 또는 건조진행상태를 전송하고, 건조기에 대한 명령을 수신한다. 통신부(190)는 지그비,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뿐 아니라, 와이파이, 와이브로 등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전원부(150)는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변환하여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는 과전류를 차단하고,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소정 크기의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센서부(13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건조기의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고, 모터의 회전속도,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센서부(130)는 도어감지부(131), 세탁물감지부(132), 온도감지부(133), 습도감지부(134), 전류감지부(135)를 포함한다. 센서부(130)는 히트펌프모듈(120)의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온도센서, 구동부의 모터 또는 드럼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감지부(133)는 드럼 내부의 온도, 및 히트펌프모듈(120)의 냉매 온도 또는 열교환기의 온도, 히터(69)의 온도, 제어회로 내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온도감지부는 센서가 복수개 구비되어, 각각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한다.
습도감지부(134)는 드럼의 내부 습도, 또는 순환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한다.
세탁물감지부(132)는 드럼 내에 수용된 세탁물과 접촉하여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의 정도를 감지한다. 세탁물감지부는 습도감지부에 포함될 수 있고, 또한, 습도감지부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전류감지부(135)는 구동부(160)의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감지된 전류값을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도어감지부(131)는 도어(2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 도어감지부(131)는 설정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전,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입력한다. 또한, 도어감지부(131)는 세탁물의 끼임 여부를 감지한다.
히터(69)는 드럼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도록 가열한다.
히터구동부(미도시)는 히터(69)로 동작전원을 공급하여, 히터가 동작 또는 동작정지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히터의 가열온도를 제어한다. 히터구동부는 히터(69)가 단독으로 동작하는 경우와, 히트펌프모듈(120)과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에 대하여, 각각 상이하게 히터를 제어할 수 있다.
펌프(185)는 펌프구동부(미도시)에 의해 동작하여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펌프(185)는 드럼으로부터 회수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기에서 응축되어 응축수 하우징에 수용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구동부(160)는 모터가 회전동작하도록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모터는 드럼(30)과 연결되어 드럼이 회전동작하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모터는 송풍팬(64)과 연결되어 송풍팬을 회전시킨다.
드럼과 송풍팬이 하나의 모터에 연결됨에 따라, 구동부(160)는 모터 제어를 통해 드럼과 송풍팬을 동시에 제어한다. 드럼은 모터와 구동벨트를 통해 연결되며, 풀리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드럼의 1회전에 대한 모터의 회전수가 소정 비율을 갖게 된다. 모터의 회전속도는 드럼의 회전속도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드럼이 1회전하는 동안 모터는 40 내지 60 회전하도록 구동풀리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팬은 모터의 구동축과의 연결구조에 따라 모터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송풍팬(64)은 건조기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제어한다. 송풍팬(64)은 가열된 공기가 드럼(30)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수분을 포함한 공기를 드럼으로부터 흡입하여 히트펌프모듈(120)로 유입되도록 한다.
히트펌프모듈(120)은 압축기(50) 및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순환되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고 공기를 가열한다.
제어부(110)는 조작부(170)로부터 입력되는 운전설정을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통신부(19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며, 건조기의 운전설정 및 동작상태가 출력부(175)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는, 건조기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건조기와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미도시)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로 건조기의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조작부(170)로부터 입력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구동부(160)를 통해 드럼 및 송풍팬의 동작을 제어하고, 센서부(130)의 감지값에 따라 동작을 가변제어한다. 제어부(110)는 동작 중 히트펌프모듈(120)을 제어하여 순환되는 공기가 가열되도록 하고, 히터와 히트펌프모듈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거나, 또는 히터와 히트펌프모듈이 모두 동작하도록 하여 드럼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드럼에 투입되는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드럼 내에 투입되는 세탁물의 양(포량)을 감지하고, 세탁물의 양에 따라 건조시간을 설정한다. 제어부(110)는 모터 동작 시, 전류감지부(280)로부터 감지되는 전류값을 저장하고 분석하여 모터의 상태를 판단하고, 또한 드럼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양을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세탁물의 양(포량)을 감지하는 경우, 구동부(160)에 의해 모터가 회전 동작하면, 모터가 설정된 회전속도까지 도달하도록 한 후, 설정된 회전속도를 소정시간 유지한 후 정지하도록 제어명령을 구동부(160)로 인가한다. 제어부(110)는 모터가 설정된 회전속도까지 도달하는 가속구간, 회전속도가 유지되는 유지구간에 대하여 전류감지부(135)를 통해 감지되는 전류값을 분석하여 세탁물의 양을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세탁물의 양(포량)을 감지하는 경우, 드럼이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한 후,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다시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반복하도록 구동부(160)를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세탁물의 양(포량)을 감지하는 동안, 히트펌프모듈(120)이 동작정지하도록 하고, 세탁물의 양이 감지되면, 설정에 따라 히트펌프모듈이 동작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드럼이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모터의 회전속도를 설정한다. 제어부는 드럼 내의 세탁물이 드럼의 회전에 의해 드럼을 따라 이동하다가 낙하하도록 드럼의 회전속도를 설정한다. 모터에 의해 드럼이 회전하면, 드럼(30)의 회전과 함께 송풍팬(64)이 회전하여 공기가 순환유로를 통해 유동한다.
제어부(110)는 건조 동작 중, 센서부(130)의 복수의 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세탁물의 건조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세탁물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세탁물의 건조 상태에 따라 건조시간을 변경하거나 또는 드럼의 회전속도를 변경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건조 동작 중 이상이 발생한 경우 출력부(240)를 통해 에러를 출력하고, 발생된 이상에 따라 건조기가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 는 본 발명의 건조기의 히트펌프의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펌프모듈(120)은, 히트펌프제어부(121), 히트펌프구동부(122), 압축기(50), 밸브(59), 냉각팬(58), 압력센서(128), 온도센서(129), 응축기(52), 증발기(53)를 포함한다. 또한, 히트펌프모듈(120)은 보조 열교환기를 더 포함한다.
히트펌프제어부(121)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압축기(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히트펌프제어부(121)의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설정하고, 압력센서(128) 및 온도센서(129)에 의해 감지되는 데이터에 따라 압축기를 가변제어하고, 냉각팬(58)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히트펌프구동부(122)는 압축기(50), 밸브(59), 냉각팬(58)이 동작하도록 구동을 제어한다. 히트펌프구동부(122)는 각각 압축기 구동부, 밸브구동부, 팬구동부로 구분되어 개별 구비될 수 있다.
히트펌프구동부(122)는 히트펌프제어부(121)의 설정에 따라 압축기(50)가 동작하도록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히트펌프구동부(122)는 인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펌프구동부(122)는 냉매의 유동을 제어하는 밸브(59)의 개폐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히트펌프구동부(122)는 사방밸브를 제어하여 냉매의 유로를 변경하고, 응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에 대하여 밸브(59)의 개폐를 제어하여 냉매가 팽창되어 증발기(53)에서 증발되도록 한다.
히트펌프구동부(122)는 냉각팬(58)이 회전동작하도록 팬모터로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냉각팬(58)은 팬모터의 구동에 의해 일정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냉각팬(58)은 보조 열교환기(54)에 구비될 수 있다. 보조 열교환기(54)는 응축기(52)와 분리되는 분리형 콘덴싱 모듈에 의해 구성되며, 냉매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응축기에서 팽창밸브로 연결되는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냉각시킨다. 냉각팬(58)은 캐비넷 외부 공기 또는 내부공기를 보조 열교환기로 송풍하여 보조 열교환기를 냉각시킨다.
응축기(52) 및 증발기(53)의 냉매는 드럼을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한다. 응축기 및 증발기는 별도의 팬이 설치되지 않고, 송풍팬(64)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를 통해 열교환한다.
냉매는 압축기(50), 응축기(52), 증발기(53)의 순서로 유동하고, 공기는 드럼, 증발기, 응축기의 순서로 순환한다. 공기는 응축기에서 드럼으로 공급되기 전 히터(69)를 통과할 수 있다.
압축기(50)는 고온고압의 냉매를 토출하고, 응축기(52)는 냉매를 응축하여 토출한다. 이때 응축기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과정에서 열을 발산함에 따라 응축기를 통과하는 공기는 응축기로부터 발산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다.
응축기(52)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팽창밸브에 의해 증발기에서 증발한다. 증발기는 냉매의 기화 과정에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는 흡열반응이 발생하므로,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각되고 포함된 수분은 응축되어 응축수가 생성된다.
증발기(53)에서 냉각되어 함습된 수분이 응축수로 생성됨에 따라 공기는 제습되어 응축기로 공급된다. 응축기를 통과한 공기는 가열되어 드럼으로 공급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드럼 및 송풍팬 구동을 위한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60)는 구동제어부(161)와 모터(162)를 포함한다. 구동제어부(161)는 모터(162)로 동작전원을 인가하여 모터가 설정된 회전속도로 회전동작하도록 한다.
구동제어부(161)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모터가 동작 또는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설정된 회전속도로 동작하도록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구동제어부(161)는 제어명령에 따라 모터(162)의 회전방향, 회전각 및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모터(162)의 동작에 따라 연결된 드럼(30)과, 송풍팬(64)이 동작한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30)은 구동벨트(164)에 둘러 감겨지고, 모터(162)의 회전에 의해 구동벨트(164)가 이동함에 따라 구동벨트와 드럼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드럼이 구동벨트와 함께 회전한다.
송풍팬(64)은 모터(162)의 다른 축에 연결됨에 따라, 모터 회전 시, 송풍팬과 드럼이 함께 회전한다.
모터가 정회전 하는 경우, 드럼 또한 정회전한다. 모터가 정회전 하면, 송풍팬에 의해 드럼의 후면에서 드럼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드럼의 전면에 구비되는 순환유로 측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증발기와 응축기를 거쳐 다시 드럼으로 유입되어 순환된다.
한편, 모터(162)가 역회전하는 경우, 드럼(30)과 송풍팬(64) 또한 역회전한다. 송풍팬의 역회전에 의해 공기는 드럼의 전면으로 공급되고, 드럼의 후면으로 유입되어 응축기와 증발기를 통과한다. 송풍팬이 역회전하는 경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드럼으로 공급되므로 가열되지 않은 공기가 드럼으로 유입된다.
구동제어부(161)는 건조동작 중에는 모터가 정회전하여 드럼과 송풍팬이 정회전 하도록 하되, 세탁물의 엉킴을 방지하기 위해 건조 동작 도중 소정 횟수 역회전하도록 모터를 제어한다.
드럼(30)은 구동벨트(164)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모터가 급가속하여 회전하는 경우, 드럼과 구동벨트 사이에 슬립(slip) 현상이 발상하게 된다. 즉 모터가 회전하더라도, 구동벨트와 드럼 사이에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여, 드럼이 모터의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그에 따라 구동제어부(161)는 처음부터 목표하는 속도까지 즉시 가속하지 않고, 소정 시간 동안 가속하여 목표하는 회전속도에 도달하도록 모터(162)를 제어한다. 가속구간 동안, 모터의 회전속도를 가속하는 정도는 가속기울기로 설명한다.
제어부(110)는 벨트에 의해 모터의 구동력이 드럼에 전달되는 특징에 따라, 모터가 목표하는 회전속도에 도달하기까지의 가속하는 정도를 가속기울기로 설정하여, 슬립 현상 없이 드럼이 회전하도록 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동작 패턴이 도시된 도이고, 도 10 은 도 9의 동작 패턴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세탁물의 양을 판단하기 위해,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건조기의 동작을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구간과,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동작을 수행하는 건조구간으로 구분한다.
제어부(110)는 감지구간 동안, 동작패턴을 반복하여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다.
제어부(110)는 드럼이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한 후 정지하고, 소정시간 후에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반복하도록 구동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전류감지부(135)에 의해 각각 측정되는 전류값을 구간별로 저장하여 세탁물의 양을 판단한다.
이하, 드럼(30)이 어느 일방향으로 설정된 시간 동안 회전하는 것을 하나의 동작패턴으로 하여,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드럼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10)는 제 11시간(T11)동안 세탁물을 양을 감지한다. 감지구간은 제 11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세탁물의 양이 감지되면, 건조구간에서 건조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건조구간은 제 12 시간(T12)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건조기의 동작이 종료되기까지의 시간이다.
제어부(110)는 제 11 시간(T11) 동안 5회 내지 6회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다.
제어부(110)는 제 11시간(T11) 동안, 회전방향을 변경하면서 동작패턴이 반복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제 13 시간(T13) 동안 한번의 동작패턴이 수행되도록 하고, 제 13 시간(T13) 동안 1회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다. 제 13 시간(T13) 동안의 동작패턴에, 드럼은 5회 내지 6회 회전한다. 정회전과 역회전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동작 시간 및 감지시간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동작패턴은, 목표하는 회전속도까지 속도를 가속하는 가속구간, 회전속도가 유지되는 유지구간, 회전을 정지하는 정지구간으로 구성된다.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동안 수행되는 동작패턴에서, 회전속도(R1)는 목표 회전속도로써, 세탁물이 드럼의 회전에 의해 들려 낙하하는 정도의 속도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세탁물의 양 측정 시, 드럼의 회전속도(R1)는 39 rpm 내지 63 rpm 으로 설정될 수 있다. 드럼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모터의 회전속도는 2000rpm 내지 3200rpm에서 설정될 수 있으나, 풀리 비율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드럼(30)이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한 후, 정지하고 즉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반복하도록 구동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1번의 동작패턴에 따른 소요시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3시간(T13)으로 동일하나, 정지 후 즉시 회전하므로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시간은 제 11 시간(T11)보다 짧은 제 14시간(T11')이 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드럼(30)이 역회전, 정회전, 역회전, 정회전, 역회전하도록 하여 세탁물의 양 감지하고, 정회전을 유지하면서 건조동작(T12)이 수행되도록 구동부(160)를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세탁물의 양 감지 후, 설정된 건조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드럼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정회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역회전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세탁물의 양 감지 시, 정회전부터 시작하는 경우 6회 동안 세탁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30)은, 정회전, 역회전, 정회전, 역회전, 정회전, 및 역회전하고, 정회전하며 건조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드럼(30)이, 정회전부터 시작하여 5회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 후, 드럼이 일시 정지한 후 정회전으로 회전하며 건조동작을 수행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제어부(110)는 제 11 시간(T11) 또는 제 14 시간(T11') 동안 역회전과 정회전을 반복하여 5회 내지 6회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다. 경우에 따라 세탁물의 양 감지 시, 어느 일방향으로 5회 연속 후, 건조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고, 어느 일방향으로 2회 동작 후 방향을 변경하여 회전하고 다시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반복할 수도 있다. 세탁물의 양 감지시 드럼의 회전방향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제어부(110)는 가속구간, 유지구간, 정지구간으로 구성되는 동작패턴에 따라 드럼(30)이 동작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드럼(30)이 정회전 하는 경우 가열된 공기가 드럼에 공급됨에 따라, 건조동작 시 드럼은 정회전으로 동작한다. 드럼은 건조동작 중, 세탁물의 엉킴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 횟수 역회전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세탁물의 양 감지 시, 동작패턴에 따라 드럼이 회전동작하도록 구동부(160)로 제어명령을 인가한다.
제어부(110)는 세탁물의 양 감지 시 동작패턴에 대하여, 목표하는 회전속도(R1)까지 회전속도가 증가하는 가속구간(D1), 목표 회전속도를 유지하는 유지구간(D2)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유지구간 후, 감속하여 정지하는 정지구간(D3)을 더 포함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가속구간(D1), 유지구단(D2)에 대하여 가속구간(D1)의 길이를 유지구간보다 길게 설정한다. 또한, 정지구간(D3)는 유지구간(D2)보다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각 구간의 길이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속구간의 길이가 유지구간의 길이보다 긴 것은 드럼의 회전속도가 가속되는 시간이 유지되는 시간보다 긴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가속구간(D1)과, 유지구간(D2)의 길이는 5:3의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정지구간(D3)을 포함하는 경우, 가속구간(D1), 유지구간(D2), 정지구간(D3)의 비율은 5:3:2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번의 동작패턴에 소요되는 제 13 시간(T13)을 10초라고 가정할 때, 가속구간은 5초, 유지구간은 3초, 정지구간은 2초로 설정할 수 있다.
구간의 길이에 대한 비율은 가변 될 수 있으나, 모터과 드럼을 연결하는 구동풀리의 벨트에 의한, 슬립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슬립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의 구동토크(Torque)가 일정할 때,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마찰에 의한 토크는 감소하기에, 슬립(Slip)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립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애서 가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슬립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드럼의 회전속도가 급 가속되지 않아야 하므로, 설정된 가속기울기로 회전속도가 증가하도록 가속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속구간은 유지구간보다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속기울기는 가속도에 대한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가속구간에서의 가속기울기에 따라 목표 회전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가변될 수 있으나, 제어부(110)는 구간 별로 지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전류값을 산출하여 세탁물의 양을 판단한다.
드럼(30)이 제 13 시간(T13) 동안 가속, 유지, 정지하는 동작패턴을 수행할 때, 드럼은 5 내지 6회 회전한다. 한 번의 동작패턴 동안, 제어부는 전류감지부(135)에 의해 감지되는 전류값을 통해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다. 제어부는 드럼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가속구간, 유지구간, 정지구간을 구분하여, 감지되는 전류값을 통해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다.
제어부(110)는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경우, 전류감지부(135)로부터 감지되는 전류값을 소정 비율에 따라 가속구간(D1), 유지구간(D2), 정지구간(D3)으로 구분한다. 제어부(110)는 드럼이 정회전과 역회전으로 회전방향으로 변경하면서 동작패턴을 설정횟수 반복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드럼이 가속구간, 유지구간, 정지구간의 3개의 구간으로 회전동작하는 1번의 동작패턴 동안, 전류감지부(135)를 통해 측정되는 전류(lq1, lq2)를 구간에 따라 구분하여 누적하여 저장한다. 제어부(110)는 가속구간(D1)의 전류값의 평균과 유지구간(D2)의 전류값의 평균을 각각 산출하여 세탁물의 양을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동작패턴을 5회 내지 6회 반복하고, 정지시간을 포함하여 제 11 시간(T11) 동안, 또는 제 14시간(T11')동안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한번의 동작패턴이 소요되는 제 13 시간(T13)이 10초이고, 동작패턴이 5회 반복되는 경우,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시간은 약 50초 내지 60초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각 동작패턴에서 감지되는 전류값에 대하여 구간별로 평균을 산출하고, 가속구간에서 유지구간의 전류값을 뺀 값을 바탕으로 세탁물의 양을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가속구간의 전류값의 평균에서 유지구간의 전류값의 평균의 1/2을 뺀 값으로 세탁물의 양을 산출한다.
제어부(110)는 세탁물의 종류와 드럼과 구동벨트 간의 마찰력에 의한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유지구간의 전류값(평균)의 1/2을 감산한다.
가속구간에서 취합되는 전류값의 평균의 경우, 정지상태에서 목표 회전속도까지 도달하는데 소모되는 전류를 합산하여 평균을 산출한 것으로, 마찰에 의한 전류성분의 영향이 50% 작용하게 된다. 또한, 유지구간의 전류값의 평균의 경우, 구동벨트(164)와 드럼(30)의 마찰계수가 100% 작용하게 되므로, 마찰력에 의한 영향이 100%가 된다.
그에 따라 제어부(110)는 구동벨트(164)의 마찰력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가속구간의 전류값의 평균에서, 유지구간의 전류값의 평균을 감산하되, 가속구간에서의 마찰력의 영향을 50%인 반면, 유지구간의 마찰력의 영향은 100% 이므로, 유지구간의 전류값의 평균의 1/2을 뺀 값으로 마찰력의 성분을 제거한 세탁물의 양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은 도 9의 동작 패턴에 따라 감지되는 전류파형이 도시된 도이다.
도 1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의 양에 따라, 모터에서 측정되는 전류값은 상이하게 측정된다.
세탁물의 양이 소량인 경우,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구동 전류 외에는 전류값이 낮게 측정되고,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의 (a)보다 높은 전류값이 측정된다.
따라서 세탁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전류값을 바탕으로 세탁물의 양을 판단할 수 있다.
전류감지부(135)는 초기구동구간(A), 가속구간(B), 유지구간(C)으로 각각 구분하여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초기구동구간은 세탁물의 위치 또는 초기구동시 모터의 위치정렬로 인한 오차, 모터의 초기 구동에 따른 전류값의 오차가 크므로, 초기 구동구간(A)의 전류값은 제외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초기구동구간은 가속구간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드럼(30)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도록 가속하여 목표 회전속도까지 도달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드럼(30)이 회전하는 동안, 드럼(30) 내의 세탁물은 초기에는 드럼 내에서 회전하며 굴러가는 상태(텀블)가 되고,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드럼 내의 원심력에 의해 유동이 증가하게 된다. 드럼(30)의 회전속도가 목표 회전속도에 도달하면, 세탁물은 드럼의 회전에 의해 들어 올려졌다 낙하하는 상태가 된다.
제어부(110)는 세탁물이 드럼의 회전에 의해 들어 올려져 낙하하는 상태까지 가속한 후 회전속도가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건조기가 동작하여, 드럼이 회전하는 경우, 세탁물이 투입된 드럼에는, 다양한 힘이 작용한다. 드럼이 회전하는 경우, 드럼에는 모터토크, 관성토크, 마찰토크, 부하토크가 작용한다.
모터토크는 드럼에 연결된 모터를 회전동작시키기 위해 가해지는 힘이고, 관성토크는 회전 중, 가속 또는 감속하는 경우 기존의 운동상태(회전)를 유지하고자 하는 관성에 의해 방해받는 힘이며, 마찰토크는 드럼과 세탁물, 도어와 세탁물, 또는 세탁물 간의 마찰, 그리고 구동벨트와 드럼 사이의 마찰로 인해 회전을 방해하는 힘이고, 부하토크는 세탁물의 무게에 의해 회전을 방해하는 힘이다.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각도 θm인 상태에서, 세탁물에 작용하는 힘은 다음과 같다. 드럼이 정지 상태에서 각도 θm만큼 이동한 상태에서 작용하는 힘이다.
모터토크는 모터 동작 시 필요한 힘이므로, 관성토크, 마찰토크, 부하토크가 합산된 값으로 나타난다. 모터토크는 세탁물을 들어올리는 힘에 드럼의 반지름을 곱한 값이 된다. 관성토크는 회전동작 중 가속 또는 감속하는 경우, 드럼에 작용하는 관성 또는 세탁물의 분포에 따라 작용하는 관성의 힘으로 회전동작을 방해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이때, 관성토크는 질량과 드럼의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한다. 마찰토크는 세탁물과 터브, 세탁물과 도어 사이, 구동벨트와 드럼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므로, 회전속도에 비례한다. 마찰토크는 마찰계수와 회전속도의 곱으로 산출할 수 있다. 부하토크는 기동시 세탁물의 분포에 따라 작용하는 중력으로, 세탁물의 무게, 중력가속도, 드럼의 반지름, 각도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소정 각도(θm)에서, 세탁물에 작용하는 힘은 중력에 의한 힘이 작용하나, 드럼이 회전하고 있으므로 중력에 sin(θm)을 곱한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중력에 의한 힘은 중력가속도와 드럼의 반지름, 질량으로 결정된다.
드럼이 회전하는 중, 이와 같이 모터토크, 관성토크, 마찰토크, 부하토크가 동시에 작용하고, 이러한 힘의 성분은 모터의 전류값에 반영되므로, 제어부(110)는 모터 동작 중 전류감지부(135)를 통해 감지되는 전류값을 이용하여 세탁물의 양을 산출한다.
모터토크의 경우 무게에 의한 중력의 영향이 크고, 일정 무게 이상이 되는 경우 해상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세탁물의 양이 일정 크기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세탁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무게에 따른 변별력이 감소한다.
마찰토크는 세탁물과 도어의 마찰, 세탁물이 도어에 끼는 경우 그 값의 변화가 커지므로, 산포 (spread, dispersion)가 증가한다. 특히 세탁물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마찰토크의 산포가 크게 증가한다.
부하토크는 세탁물의 움직임으로 인해 그 값에 편차가 발생한다. 또한, 부하토크의 경우 세탁물의 무게가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세탁물의 움직임이 감소하므로, 오히려 부하토크가 감소하는 역전현상이 발생한다.
반면, 관성토크는 세탁물의 유동에 영향을 받기는 하나, 세탁물의 양(무게)에 대해 선형성을 나타내므로 세탁물의 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관성토크는 유지하고자 하는 힘이므로, 가속 또는 감속 시 작용하게 된다. 즉, 가속구간과 감속구간에는 관성토크가 작용하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경우 관성토크는 작용하지 않고, 중력에 의한, 모터토크, 마찰토크 그리고 부하토크가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관성토크에 대한 특성은 가속구간의 데이터에서 유지구간의 데이터를 제외시켜 산출할 수 있다. 관성은, 가속구간의 전류값과 감속구간의 전류값에서 유지구간의 전류값을 감산한 후, 시간당 속도변화량, 즉 가속도로 나눈 후, 역기전력을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기는 가속구간과 유지구간에 작용하는 힘을 분석하여 관성토크를 바탕으로 세탁물의 양을 판단하고, 또한 세탁물의 양에 따른 중력의 힘을 유지구간에서 산출할 수 있다. 유지구간의 경우 관성특성이 최소화되고, 가속구간과 감속구간에서는 관성이 크게 작용하므로, 각각 상이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포량감지값을 산출하여 상호 비교분석함으로써, 최종 세탁물의 양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건조기는 모터 회전동작 중에 전류값을 측정하여 세탁물의 양을 산출하므로, 기동 시 모터의 위치정렬로 인한 오차를 배제할 수 있고, 또한 유지구간을 통해 부하 상태의 변화, 즉 세탁물이 불규칙하게 유동하지 않고, 일정한 상태로 유동함에 따라, 부하의 변동으로 인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회전속도에 따른 세탁물의 움직임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세탁물(9)의 양 감지시, 정지상태에서 드럼(30)을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소정시간 가속하여 목표 회전속도에 도달하도록 하고, 목표 회전속도를 일정시간 유지한 후, 정지하도록 한다.
드럼의 회전을 시작되면, 저속에서 세탁물(9)은,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내에서 회전하며 굴러가는 상태가 되고, 회전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드럼에 의해 들어 올려져 유동이 증가하게 된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30)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세탁물(9)은 드럼의 원심력에 의해 들어 올려져 상승한 후, 낙하하게 된다.
또한, 드럼(30)의 회전속도가 더 증가하면,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9)은 드럼(30)에 부착되어 드럼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제어부(110)는 도 12의(b)와 같이, 세탁물(9)이 드럼(30)의 회전에 의해 드럼을 따라 이동하여, 드럼의 위쪽에서 낙하하는 정도의 회전속도를 목표 회전속도로 설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의 회전속도가 저속인 경우 세탁물의 유동이 적고, 속도가 상승하면,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이 드럼에 부착되어 드럼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건조를 위해서는 세탁물에 공기가 통하도록 해야하므로, 제어부(110)는 세탁물이 드럼과 함께 유동한 후 원심력보다 크게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정도의 회전속도를, 세탁물의 양 감지시의 목표 회전속도로 설정한다. 목표 회전속도는 건조동작의 기본 회전속도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드럼의 회전속도(목표 회전속도)는 39 rpm 내지 63 rpm 의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드럼은 세탁물의 양 측정 시, 57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모터에 51:1 비율의 풀리가 구비되는 경우, 모터의 회전속도는 2000rpm 내지 3200rpm 이다.
제어부(110)는 세탁물의 양에 따라 회전속도를 변경하여 설정한다. 제어부(110)는 세탁물의 양을 복수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모터의 회전속도가 변경됨에 따라 드럼의 회전속도 또한 변경된다. 단, 드럼의 구동벨트가 연결되는 모터의 풀리와 드럼의 크기, 지름 또는 둘레에 따라, 모터의 회전속도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감지되는 세탁물의 양에 대응하여 건조동작 시의 회전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세탁물의 양에 따라 건조동작 시, 기본 회전속도인 제 1 회전속도로 제어하고,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 무게에 의해 세탁물의 낙하 시점이 달라질 수 있고, 건조속도가 느려지므로, 회전속도를 제 1 회전속도보다 높은 제 2 회전속도로 설정할 수 있다. 제 2 회전속도는 제 1 회전속도 이상이고, 세탁물의 일부는 낙하하고 일부는 드럼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속도의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건조동작 중에 세탁물감지부(132)에 의해 측정되는 세탁물의 건조도를 바탕으로, 회전속도 또는 건조시간을 가변한다. 예를 들어, 초기 감지된 세탁물의 양이 극소량인 경우, 설정시간 이상 건조가 수행된 이후에, 건조도가 설정값을 만족하면, 회전속도를 제 1 회전속도보다 낮은 제 3 회전속도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설정시간 이상 건조가 수행된 이후에, 감지되는 세탁물의 건조도가 설정값 미만이면, 회전속도를 제 2 회전속도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세탁물의 양이 극소량부하 또는 소량부하인 경우 모터의 회전속도를 2900rpm 내지 3000rpm 로 설정하고, 중량부하 또는 다량부하인 경우 3000rpm 내지 3200rpm으로 설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소량부하와 중량부하는 일반부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의 양에 따라 모터의 회전속도를 각각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건조 동작 중, 세탁물의 양에 따라 회전속도 또는 건조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세탁물의 양이 극소량 부하인 경우 건조시간이 설정시간 이상 경과하면, 세탁물감지부(132)에 의해 감지되는 건조도에 따라 회전속도를 변경하여 2500rpm 내지 2600rpm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3은 도 9의 동작 패턴에 따라 드럼 내 세탁물의 움직임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의 양(포량) 감지 시, 드럼(30)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것을 반복하고, 제어부(110)는 전류감지부(135)에 의해 감지되는 전류값을 바탕으로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다.
제어부(110)는 드럼(30)이 기동하여 가속하고, 회전속도를 유지하고, 정지하는 동안, 가속구간과 유지구간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다.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1 동작패턴 수행 시, 도 13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내의 세탁물은 가속하는 동안 회전하며 굴러가는 상태가 된다.
회전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도 13의 (b)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내의 세탁물은 드럼에 의해 들어 올려져 낙하하게 된다.
세탁물이 낙하하는 경우 드럼에 유동이 발생할 수는 있으나, 건조동작 시,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동작이므로, 제어부(110)는 세탁물 감지 시, 세탁물의 낙하 상태에서 세탁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세탁물의 양에 따른 감지 특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건조기(1)는 세탁물의 양 측정 시, 드럼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킨 후, 유지하고, 정지하는 동작패턴을 소정 횟수 반복한다. 건조기(1)는 드럼(30)이 목표 회전속도까지의 가속하는 가속구간, 유지구간, 정지구간으로 구분하여 전류값을 측정한다. 가속구간에서 속도가 증가하는 정도, 즉 가속기울기에 따라 측정되는 세탁물에 편차가 발생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의 양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제어부(110)는 세탁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가속기울기 별로 산출되는 값의 선형성과 해상도를 고려하여 세탁물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기울기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성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가속기울기가 증가하는 경우 드럼(30)과 구동벨트 간에 슬립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소정 가속기울기 이하로 드럼의 회전을 가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데 있어서 선형성은, 세탁물의 양에 따라 산출되는 값이 구분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세탁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산출되는 값이 비례하여 증가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kg의 세탁물에 대한 측정값과, 2kg의 세탁물에 대한 측정값의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나는 정도를 나타낸다.
선형성이 0.8 이상인 경우 세탁물의 양 구분이 가능해지므로, 세탁물의 양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선형성이 0.8 이상인 가속기울기로 드럼의 회전속도를 가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탁물의 양을 보다 명확하기 판단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선형성이 0.82 이상인 가속기울기로 드럼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도 16과 같이 세탁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산출되는 값이 구분이 가능한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성이 0.8 이상인 경우, 가속기울기는 약 300rpm/s 이상이다.
선형성이 0.82 이상인 경우, 가속기울기는 약 450rpm/s(P1) 이상이다.
도 14의(b)와 같이 가속기울기가 증가함에 따라 해상도가 가변된다. 해상도는 동일한 세탁물의 양(무게)에 대하여 측정되는 값의 편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후술하는 도 16과 같이 세탁물의 양 별로 측정되는 값의 범위이다. 동일한 세탁물의 양에 대하여 측정값의 범위가 넓은 경우 다른 구간과 중첩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세탁물의 양에 대한 구분이 어려워진다. 반면 동일한 세탁물의 양에 대하여 측정값의 범위가 좁은 경우(편차가 적은 경우) 각 구간별 세탁물의 양에 대한 구분이 용이하다.
따라서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데 있어서, 해상도는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상도가 1.5 이하인 경우, 드럼의 회전속도를 가속하기 위한, 가속기울기는 300rpm/s(P2) 내지 1700rpm/s(P3)이다.
선형성과 해상도를 모두 고려하는 경우, 세탁물의 양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가속구간의 가속기울기는, 300rpm/s(P2) 내지 1700rpm/s (P3)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성이 0.82 이상인 경우를 고려하면, 가속기울기는 500rpm/s 내지 1700rpm/s (P3)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속기울기가 증가하면 선형성은 향상되나, 해상도가 감소(수치는 증가한다)하게 되므로, 300rpm/s(P2) 내지 1700rpm/s(P3)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상도 그래프에 따르면, 가속기울기는 500rpm/s 내지 1000rpm/s, 그리고 1250rpm/s 내지 1500rpm/s에서 좋은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속기울기가 1000rpm/s 내지 1250rpm/s 인 경우에는, 모터의 공진 등에 의해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선형성과 해상도가 설정된 값을 만족하는 범위 내의 성능변화이므로, 가속기울기는 적용 가능하다. 가속기울기에 따른 선형성과 해상도는 드럼과 모터의 연결 구조, 모터의 특성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세탁물의 양 감지 결과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가속기울기에 따른 세탁물의 양을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면은 세탁물의 수분함유량 66.6%인 조건에서 동일한 세탁물을 바탕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기울기가 250rpm/s 인 경우 측정되는 세탁물의 양이고, 도 15의(b)는 가속기울기가 1750rpm/s 인 경우 측정되는 세탁물의 양이다.
도 15의 (a)와 같이, 가속기울기가 250rpm/s인 경우, 세탁물의 양에 따른 단계별 측정값의 격차가 적어 선형성이 낮고, 동일한 세탁물의 양에 대한 측정값의 범위가 넓어(편차가 큼) 해상도가 낮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1kg 이상 2kg 이하인 경우(92)와 , 5kg 이상인 경우(91)에서 각각의 무게별 측정값이 중복됨에 따라 세탁물의 양 구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기울기가 1750rpm/s인 경우, 소량에서의 선형성은 좋으나, 3Kg 이상(93)에서는 선형성과 해상도가 모두 낮게 나타난다.
도 16의 (a)는 가속기울기가 500rpm/s 인 경우의 세탁물의 양이고, 도 16의(b)는 가속기울기가 750rpm/s 인 경우이다. 또한, 도 17의 (a)는 가속기울기가 1000rpm/s 인 경우이고, 도 17의 (b)는 가속기울기가 1250rpm/s 인 경우의 세탁물의 양이고, 도 17의(c)는 가속기울기가 1500rpm/s 인 경우이다.
도 16의 (a), (b) 및 도 17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기울기가 500rpm/s, 750rpm/s, 1000rpm/s, 1250rpm/s, 그리고 1500rpm/s 인 경우, 선형성과 해상도가 각각 설정된 범위를 만족한다.
예를 들어 가속기울기가 750rpm/s의 경우 세탁물의 양에 따른 측정값의 격차가 커 선형성이 우수하고, 동일한 세탁물의 양에 대한 측정값의 범위가 좁아 해상도가 우수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세탁물의 양 측정 시, 가속구간에서의 가속기울기를 500 rpm/s 내지 1500rpm/s의 범위 내에서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10)는 750rpm/s의 가속기울기로 가속구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1)는 드럼(30)에 세탁물이 투입되고, 조작부(170)에 의해 건조운전에 따른 모드가 설정된다(S310). 예를 들어 세탁물의 종류, 특히 소재에 따라 실크, 면 등을 구분하여 모드가 설정된다.
제어부(110)는 구동부(160)를 제어하여 세탁물의 양(포량)을 감지한다(S320). 제어명령에 따라 구동부(160)가 드럼을 회전시키고, 드럼이 패턴에 따라 회전동작하면, 전류감지부(135)는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한다.
제어부(110)는 전류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전류값을 가속구간, 유지구간에 대하여 각각 구간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각 횟수, 즉 패턴별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세탁물의 양(포량)에 대응하여, 건조시간을 설정한다(S330). 설정된 건조시간은 출력부(175)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제어부(110)는 측정되는 세탁물의 양에 대하여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세탁물의 양을 결정하고 그에 따라 기 설정된 건조시간을 설정한다.
구동부(160)는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여 드럼을 회전시키고 송풍팬을 동작시킴으로써, 건조 동작을 수행한다(S340).
건조동작 시, 드럼은 세탁물이 드럼에 의해 들어 올려져 낙하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송풍팬(64)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는 히트펌프모듈(120)의 응축기(52) 또는 히터(69)에 의해 가열되어 드럼으로 공급되고, 세탁물로부터 증발된 수분은 공기에 포함되어 송풍팬에 의해 순환유로를 통해 증발기로 유입된다. 증발기에서는 냉매와 수분함량이 높은 공기가 상호 열교환 함에 따라 공기는 냉각되고,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된다. 제습된 공기는 응축기로 유입되고, 가열되어 다시 드럼으로 공급된다.
투입구의 내측 하단에 구비되는 세탁물감지부(132)는 두개의 전극(18)에 세탁물이 접촉되는 때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여 세탁물의 건조도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소정 신호를 입력한다(S350).
제어부는 세탁물의 건조도가 설정값 이상인지, 즉 세탁물의 수분 함량이 소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60).
건조시간이 설정시간 이상 경과한 시점에서, 건조도가 설정값 미만이면 제어부(110)는 운전설정을 변경하여(S370) 건조를 계속한다(S340). 제어부(110)는 건조시간을 추가하거나 또는 드럼의 회전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건조시간이 설정시간 이상 경과한 시점에서, 건조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제어부(110)는 현재 운전상태를 유지한다.
건조시간에 도달하면(S380), 제어부(110)는 건조 종료 알림을 출력부(175)를 통해 출력한다(S390).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종료 알림을 출력하고, 또한, 건조종료에 따른 알림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110)는 연결된 단말로 알림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세탁물의 양에 따른 제어방법이 도시된 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내의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다(S410).
제어부(110)는 세탁물의 양이 다량부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세탁물의 무게가 일정값 이상이면 다량부하, 이하이면 소량부하와, 중량부하로 구분하고 또한, 또한 세탁물의 양이 적은 경우 극소량부하를 별도로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소량부하 또는 극소량부하인 경우 제 1 회전속도로 건조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고(S430), 중량부하 또는 다량부하인 경우 제 1 회전속도보다 고속인 제 2 회전속도로 건조동작이 수행되도록(S400S440) 구동부(160)로 제어명령을 인가한다. 제 2 회전속도는, 일반부하를 기준으로, 세탁물이 들어 올려져 낙하는 속도이면서, 일부가 드럼의 따라 회전하고, 일부는 낙하는 상태까지의 회전속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일반부하를 기준으로 함은, 다량부하인 경우 세탁물의 양이 많으므로, 무게에 의해 동일한 회전속도에서도 세탁물의 낙하하게 된다.
구동부(160)는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설정된 회전속도로 드럼이 회전되도록 제어하면서, 송풍팬에 의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여 건조동작을 수행한다. 히트펌프모듈(120) 또는 히터(69)는 드럼(30)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세탁물 감지부는 드럼 내에서 유동하는 세탁물과 접촉하여 세탁물의 건조도를 감지한다(S460). 세탁물 감지부는 전극센서에 접촉되는 세탁물의 수분 함량에 따라 측정되는 전류값이 상이한 점을 이용하여 건조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입력한다.
제어부(110)는 건조동작이 설정시간 이상 수행된 후(S470), 측정된 건조도가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80).
설정시간에 도달하기 전에는 건조도가 설정값 미만이라도 건조동작을 유지한다.
제어부(110)는 설정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세탁물의 건조도가 설정값 미만이면, 드럼의 회전속도는 증가시킨다. 제어부는 드럼의 회전속도를 제 2 회전속도로 증가시킨다. 제어부(110)는 다량부하인 경우, 이미 제 2 회전속도로 동작하고 있으므로, 앞서 설명한 회전속도의 범위 내에서 일부 가속하여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건조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설정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세탁물의 건조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소량부하 이상 다량부하의 경우 현재의 설정을 유지하여 건조동작을 수행한다(S510).
한편, 제어부(110)는 설정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세탁물의 건조도가 설정값 이상이고, 세탁물의 양이 극소량부하인 경우 제어부(110)는 세탁물과 과건조 또는 에너지 절약을 위해, 드럼의 회전속도를 제 1 회전속도보다 저속인 제 3 회전속도로 변경한다(S500). 변경된 설정에 따라, 건조시간까지 건조동작을 수행한다(S510).
그에 따라 본 발명은, 드럼이 회전하는 중 회전동작하는 모터에 대하여 회전속도가 증가하는 가속구간과, 유지되는 유지구간에서의 전류를 측정하여 세탁물의 양을 판단함으로써, 마찰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관성특성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세탁물의 양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의 양이 따라 건조시간 또는 건조동작 중 회전속도를 변경함으로써 보다 건조시간 또는 에너지 사용을 절약하여 효율적으로 세탁물이 건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건조기 10: 캐비넷
30: 드럼 50: 압축기
52: 응축기 53: 증발기
60, 160: 구동부 64: 송풍팬
69: 히터
110: 제어부 120: 히트펌프모듈
132: 세탁물감지부 135: 전류감지부
161: 구동제어부

Claims (20)

  1.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
    구동벨트를 통해 상기 드럼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드럼을 통과하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
    상기 모터로 동작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모터가 동작 또는 정지하도록 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동작중인 상기 모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 및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는 가속구간과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유지되는 유지구간을 포함하는 동작패턴으로 상기 드럼이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 제어부를 제어하고, 상기 가속구간을 유지구간보다 길게 설정하여,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전류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전류값으로부터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여 상기 세탁물의 양에 따라 건조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동안, 상기 동작패턴이 설정 횟수 반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동작패턴으로 1회 동작하는 동안, 5회 내지 6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상기 동작패턴에 따라 제 1 방향으로 회전한 후, 상기 제 1 방향과 상이한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상기 동작패턴에 따라 반시계 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한 후, 시계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상기 동작패턴에 따라 시계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한 후, 반시계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의 양을 감지한 후, 시계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건조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의 양 감지 시, 상기 동작패턴에 대하여 상기 가속구간과 상기 유지구간의 길이를 소정 비율에 따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패턴에 대하여 상기 가속구간과 상기 유지구간의 길이를 5:3의 비율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지구간 이후,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감속하는 정지구간을 더 포함하는 상기 동작패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구간, 상기 유지구간, 상기 정지구간의 길이를 5:3:2의 비율로 하여 상기 동작패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패턴을 제 1 시간 동안 수행하고, 상기 동작패턴을 소정횟수 반복하여 제 2 시간 내에 상기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구간에서, 500rpm/s 내지 1500rpm/s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가속기울기로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지구간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36rpm 내지 63rpm 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5. 드럼 내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단계;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는 가속구간과 회전속도가 유지되는 유지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가속구간이 상기 유지구간보다 길게 설정된 동작패턴에 따라, 상기 드럼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을 제 2 방향으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드럼이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동작패턴에 따라 회전하는 단계;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드럼이 회전방향으로 변경하며 상기 동작패턴에 따라 회전하는 것을 설정횟수 반복하는 단계;
    상기 전류값으로부터 세탁물의 양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세탁물의 양에 대응하여 설정된 건조시간 동안 건조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이 반시계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드럼이 시계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건조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패턴을 1회 수행하는 동안, 상기 드럼이 5회 내지 6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구간 이후, 속도가 감소하는 정지구간을 더 포함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동작을 수행하는 중, 상기 동작패턴에 따라 상기 드럼을 회전하여 상기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세탁물의 건조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세탁물의 건조도에 따라 건조시간 또는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PCT/KR2018/015080 2017-12-01 2018-11-30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910801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64471 2017-12-01
KR10-2017-0164471 2017-12-01
KR10-2018-0151381 2018-11-29
KR1020180151381A KR20190065151A (ko) 2017-12-01 2018-11-29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8013A1 true WO2019108013A1 (ko) 2019-06-06

Family

ID=6457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5080 WO2019108013A1 (ko) 2017-12-01 2018-11-30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67304B2 (ko)
EP (1) EP3492650B1 (ko)
WO (1) WO20191080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69784A1 (en) * 2017-12-01 2019-06-06 Lg Electronics Inc. Dry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8005A1 (ko) * 2017-12-01 2019-06-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N112252000A (zh) * 2019-07-05 2021-01-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
KR20210027904A (ko) * 2019-09-03 2021-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789B1 (ko) * 2005-11-14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20100096387A (ko) * 2009-02-24 2010-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40045714A (ko) * 2012-10-09 201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19647A (ko) * 2013-08-14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1711827B1 (ko) * 2010-04-26 2017-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14624A (en) 1917-12-24 1922-05-02 Corbella Gaetano Valve-controlling mechanism
US6745495B1 (en) * 2003-06-27 2004-06-08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dryer apparatus and method
US7017280B2 (en) * 2003-06-27 2006-03-28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dryer apparatus and method
KR101064017B1 (ko) * 2003-11-03 2011-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US8256139B2 (en) * 2004-11-11 2012-09-04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Method of reducing a risk of fire in a laundry appliance and an appliance incorporating said method
US7525262B2 (en) * 2005-01-12 2009-04-28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clothes dryer
EP1700944B1 (en) * 2005-03-08 2013-10-2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disinfection method and household clothes drying machine with clothes disinfection cycle
JP2007108870A (ja) 2005-10-11 2007-04-26 Db Tech Corp 商品台帳システム、商品台帳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及び商品台帳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US8104191B2 (en) * 2008-07-31 2012-01-3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Laundry dryer providing moisture application during tumbling and reduced airflow
KR20120088034A (ko) * 2010-10-19 2012-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세탁장치 및 건조완료 판단방법
EP2733252A1 (en) * 2012-11-16 2014-05-2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Method of operating a heat pump laundry dryer and heat pump laundry dryer or heat pump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EP2789728B1 (en) * 2013-04-08 2017-06-28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ethod for controlling a motor of a laundry dryer
KR101615979B1 (ko) * 2013-08-14 2016-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39630A (ko) * 2013-10-02 2015-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장치와 이를 갖춘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9108013A1 (ko) * 2017-12-01 2019-06-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789B1 (ko) * 2005-11-14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20100096387A (ko) * 2009-02-24 2010-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711827B1 (ko) * 2010-04-26 2017-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45714A (ko) * 2012-10-09 201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19647A (ko) * 2013-08-14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7304B2 (en) * 2016-11-29 2020-09-08 Lg Electronics Inc. Dry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90169784A1 (en) * 2017-12-01 2019-06-06 Lg Electronics Inc. Dry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2650A1 (en) 2019-06-05
US10767304B2 (en) 2020-09-08
US20190169784A1 (en) 2019-06-06
EP3492650B1 (en)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08009A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9108005A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9108013A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217029A1 (ko) 세탁물 처리기기
WO2016204414A1 (ko) 건조기능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WO2018066973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0040452A1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111616A1 (ko)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01301A1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AU2018210637B2 (en)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1177656A1 (ko)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WO2021112390A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1137487A1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1241916A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669023A1 (en) Clothes dryer and method for performing sterilization course thereof
WO2020149582A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85252A1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1261777A1 (ko) 건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2055113A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1187875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0101349A1 (en) Clothes handling apparatus
WO2022119181A1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34910A1 (ko) 의류 처리 장치
WO2021177707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1060959A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841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841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