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88460A2 - 화분 - Google Patents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88460A2
WO2019088460A2 PCT/KR2018/011663 KR2018011663W WO2019088460A2 WO 2019088460 A2 WO2019088460 A2 WO 2019088460A2 KR 2018011663 W KR2018011663 W KR 2018011663W WO 2019088460 A2 WO2019088460 A2 WO 2019088460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lanting space
cooling
penetrating portion
water suppl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166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9088460A3 (ko
Inventor
김재순
한승원
정나라
김경미
정순진
장혜숙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CN201880083618.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055534A/zh
Priority to US16/761,242 priority patent/US11559007B2/en
Priority to JP2020544719A priority patent/JP2021503297A/ja
Priority to EP18872795.2A priority patent/EP3704933A4/en
Publication of WO2019088460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88460A2/ko
Publication of WO2019088460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88460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Definitions

  • Korean Patent No. 10-1388951 discloses an irrigation system that supplies water to plants using moisture in the air.
  • the irrigation system disclosed in the above publication is a large-sized system in which water is captured in the atmosphere, a configuration in which collected water is stored, and a configuration in which stored water is supplied to plants, There was a limit to apply to individual pollen.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len capabl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lanted growth and purifying the surrounding air, as well as solving the irrigation water on a self-sufficiency basis.
  • the pollen includes a main body for providing a planting space with an open upper portion and a perforation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through a through portion; An auxiliary water supply module installed in the penetration part to condense water in the air to generate water; And a water supply hol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enetration portion to guide the water generated through the self-supply watering module to the planting space of the penetration portion bottom portion.
  • the bottom of the planting space may be provided with a bottom portion of the penetrating portion higher than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penetrating portion.
  • the bottom of the planting spac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penetra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n arch shape.
  • the self-powered watering module comprises: a thermoelectric element; A cooling member provided in a cooling sec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 heat dissipating member provided in a heat dissipating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cooling fan for cooling the heat dissipation member.
  • the cooling member includes: a cooling plate portion; And a plurality of cooling fin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cooling plate portion, wherein the water main water supply module can be installed in the penetration portion such that the cooling fin portion is located above the water supply hole.
  • cooling water is circulated between the planting spac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enetrating portion and the penetrating portion so that the cooling water is directed to the bottom of the penetrating portion and the air blown by the cooling fan flow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enetrating portion And may be installed in the penetrating portion to be guided to the planting space.
  • the planting space comprises: an upper planting space above the penetrating portion; A pair of lateral cooking spac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enetrating portion; And a lower planting space below the penetrating portion.
  • the bottom of the upper planting space above the penetrating portion may have a central portion higher than both sides.
  • the bottom of the upper planting space above the penetrat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an arch shape.
  • the pollen may further include a wick extending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to the planting space with one end thereof being in contact with the cooling member.
  • the polle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lf-contained watering module for solving irrigation water at a self-sufficiency, so that irrigation water can be solved at will, and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self-supply irrigation can be simplified.
  • the polle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nables the air blown through the self-watering module to blow air into the planting space, thereby promoting the respiration of the plant roots and circulating the air around the planting space through the planting spac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lanted plant growth and to purify the surrounding ai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a pollen po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lf-powered watering module of a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llen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elf-supporting watering module is assembled to a main body.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wer pot of Fig.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fter cutting along the cutting line A-A in Fig.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ollen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oll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shows the pollen operation state.
  • the pollen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0 in which a plant is placed for the purpose of planting, a plant 10 for supplying water to the soil in which the plant 2 is planted, And an auxiliary water supply module (20) integral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 the body 10 provides a planting space 13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opened through an opening and a central portion is passed throug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rough the through portion 12.
  • the main body 10 includes a front plate 14 and a rear plate 15, a pair of side plates 16 covering both sides between the front plate 14 and the back plate 15, And a bottom plate 17 covering the bottom portion between the back plates 15, and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barrel shape having an open top.
  • the penetrating portion 12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center portion of the front plate 14 and the rear plate 15. For this purpose, a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plate 14 and the rear plate 15, The peripheries of the holes can be connected through a plurality of shielding plates 12a, 12b and 12c. Therefore, the penetrating portion 12 can form a space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1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ile being partitioned from the planting space 13 through the covering plates 12a, 12b, and 12c.
  • the planting space 13 includes an upper planting space 13a on the upper part of the through part 12, a pair of side planting spaces 13b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part 12, Quot; C '< / RTI >
  • the root 2a of the plant 2 planted in the planting space 13 grows evenly throughout the planting space 13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planting space 13 provided in the '
  • the cover plate 12a forming the bottom of the upper planting space 13a above the penetrating portion 12 may be formed in an arch shape.
  • the shape of the bottom of the upper planting space 13a is not limited to the arch shape.
  • the bottom of the upper planting space 13a at the upper part of the penetrating portion 12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guide the root 2a of the plant 2 planted in the upper planting space 13a to the bottom of both side planting spaces 13b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a range where the central portion is higher than both sides.
  • the self-watering module 20 is for generating water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air.
  • the self-watering module 20 can form a body with the main body 10 in a state where it is installed in the penetration portion 12 to facilitate communication of the atmosphere.
  • the water supply water supply module 20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21, a cooling member 22 provided in the cooling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 a heat radiation member 23 provided in the heat radiation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 And a cooling fan (24) for cooling the heat dissipating member (23).
  •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 is a device in which two different metals are combined or an N type semiconductor and a P type semiconductor are bonded to each other. The reaction takes place.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 in which an endothermic reaction occurs forms a cooling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 in which an exothermic reaction occurs can form a heat dissipation part.
  • the cooling member 22 and the heat dissipating member 23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aluminum and attached to the cooling portion and the heat dissipating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 respectively.
  • the water supply irrigation module 20 can be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thermoelectric elements 21, the cooling members 22 and the heat radiating members 23 and the cooling fans 24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cooling fan 24 may include a fan case 24a and a blowing fan 24b provided inside the fan case 24a.
  • a power cable (not shown) or a battery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 and the cooling fan 24 to apply power.
  • the cooling member 22 may include a cooling plate portion 22a contact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 and a plurality of cooling fin portions 22b protruding from the cooling plate portion 22a.
  • the heat dissipating member 23 may include a heat dissipating plate portion 23a attach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21 and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ng fin portions 23b protruding from the heat dissipating plate portion 23a.
  • the cooling member 22 is cooled by the heat absorbing portion where the endothermic reaction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heat radiating member 23 is cooled by the cooling fan 24 So that water can be formed as condensed water in the atmosphere is condensed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member 22.
  • the water condensed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member 22 drops down to its bottom due to its own weight in a flocculated state and the water supply hole 12d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penetration portion 12 so that the water can be guided to the lower planting space 13c. .
  • the water supply hole 12d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cover plate 12c to one side of the cover plate 12c forming the bottom of the penetration portion 12.
  • the soil 3 filled in the planting space 13 from the upper part of the planting space 13 is mainly filled with the lateral planting space 13b and the upper planting space 13a rather than the lower planting space 13c.
  • the bottom plate 17 forming the bottom of the lower planting space 13c at the bottom of the penetrating portion 12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13c so that the water supplied to the lower planting space 13c can be guided to the lateral planting spaces 13b on both sides,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formed in an arch shape.
  • the shape of the bottom of the lower planting space 13c is not limited to the arch shape.
  • the bottom portion of the penetrating portion 12 is provided in the planting space 12a in such a range that the bottom portion of the penetrating portion 12 is higher than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penetrating portion 12 so that the water guided to the lower planting space 13c can be guided to the bottom of the side facing planting space 13b on both sides 13) can be variously modified.
  • the water guided to the lower planting space 13c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12d is guided to the bottom of the lateral planting space 13b on both sides by the bottom of the lower planting space 13c provided in the form of an arch, 3 and the water supplied into the lateral planting space 13b can be transferred to the upper planting space 13a by the capillary phenomenon of the soil 3.
  • the utility watering module 20 can be installed in the penetrating portion 12 so that the cooling member 22 and the cooling fan 24 are directed to both directions in which the penetrating portion 12 is opened.
  • the water supply water supply module 20 i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hole 12d so that the water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member 22 can be easily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hole 12d. 12).
  • a supporting portion 18 for supporting the self-supply watering module 2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hole 12d in the covering plate 12c forming the bottom of the penetrating portion 12,
  • the cooling fins 22b of the cooling members 22 may be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water supply holes 12d in a state where both sides of the bottoms are supported through the support portions 18.
  • the submersible water supply module 20 in this state can be fixed to the penetration portion 12 through a fastening means such as a fixing bolt or an adhesive or the like.
  • the cooling fin 22b may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cooling plate 22a and may be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oling member 22 and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oling plate 22a have.
  • the water agglomerated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fin portion 22b can be dropped into the water supply hole 12d and fed to the planting space 13 while being guided along the surface of the cooling fin portion 22b as it is, do.
  • the pollen 1 thus constructed is filled with the soil 3 in the planting space 13 and driven by the watering water module 20 in a state where the plant 2 is planted,
  • the cooling member 22 is cooled by the heat absorbing portion in which the endothermic reaction is performed while the cooling fan 24 is driven.
  • the heat dissipating member 23 is cooled by the cooling fan 24 and releases heat, so that water is condensed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member 22 and water is formed.
  • the water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cooling member 22 falls into the water supply hole 12d by its own weight while being guided to the bottom along the surface of the cooling fin portion 22b in a mutually coagulated state and supplied to the lower planting space 13c
  • the water supplied to the soil 3 is guided to the bottom of the lateral planting space 13b on the both sides by the bottom of the lower planting space 13c provided in the arch shape to form the side planting material 13a by the capillary phenomenon of the soil 3, It can be absorbed through the root 2a of the plant 2 while being transferred to the upper part of the space 13b and the upper planting space 13a.
  • the wick 100 may be used to allow the condensed water to be delivered to the cooling member 22 more quickly to the planting space 13.
  • the wick 100 is installed such that one end of the wick 100 is in contact with the cooling member 22 and the other end extends into the lower planting space 13c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12d and one end of the wick 100 is connected to the cooling fin 22b And the wick 100 can be extended to the bottom of the side facing planting space 13b.
  • the water formed on the cooling fin 22b of the cooling member 22 can be transferred to the planting space 13 through the wick 100 before falling due to its own weight.
  • the wick 100 may be replaced by various other media that can absorb and transmit moisture, such as soil. At this time, the water formed in the cooling fin 22b can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side planting space 13b through the medium do.
  • the solid arrows indicated on the side of the lower planting space 13c indicate the direction of water flow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s 12d and guided to the bottoms of the lateral planting spaces 13b on both sides.
  • the pollen 1 '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between the upper planting space 13a and the penetrating portion 12 above the penetrating portion 12,
  • the auxiliary watering module 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oling member 22 is directed toward the bottom of the through portion 12 and the air blown by the cooling fan 24 is guided to the upper planting space 13a at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portion 12 Can be installed in the part (12).
  • the cover plate 12a 'forming the bottom of the upper planting space 13a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esh having a plurality of fine holes so as to allow air to flow while blocking the soil 3.
  • water supply irrigation module 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as described above except for the posture in which the cooling member 22 is directed to the bottom and the cooling fan 24 is directed upward.
  • Reference numeral 19 denot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water supply module 20 installed on the penetration portion 12 so that the cooling member 22 faces the bottom.
  • the pollen 1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functions to transfer the water generated by condensing moisture in the air through the cooling member 22 to the planting space 13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12d, ) In a similar manner.
  • the air blown through the cooling fan 24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lanting space 12a through the fine holes at the bottom of the upper planting space 12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ing source module 20, Oxygen is supplied to the root 2a of the plant 2 planted in the plant 2 to promote the respiration of the root 2a so that the plant 2 can grow more smoothly.
  • the air circulating through the upper planting space 12a is formed by the blowing action of the cooling fan 24, so that the surrounding air can be purified by the pollen 1 '.
  • the air around the pollen 1 'passing through the planting space 13 a part of the pollutants in the air is adsorbed or absorbed by the soil 3 and is removed, and the other part is utilized as a nutrient source of microorganisms in the rhizosphere
  • the air around the pollen 1 'can be purified as the flow of the air circulating through the planting space 13 is 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self-supply watering module 20 .
  • the solid arrows indicated on the side of the lower planting space 13c indicate the direction of flow of the water which passes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12d and is guided to the bottom of the lateral planting spaces 13b on both sides,
  • the dotted arrows indicated indicate the direction of air flow through the upper planting space 13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화분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은 상부가 개방되고 중앙부가 관통부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식재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대기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생성하도록 상기 관통부에 설치되는 자급관수모듈; 및 상기 자급관수모듈을 통해 생성된 물을 상기 관통부 저부의 식재공간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관통부 바닥에 마련된 물공급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분
자급관수가 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생장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는 수분이다. 따라서 식물을 식재할 때는 관수설비를 미리 확보하여 식물의 생장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관수 작업에 따른 시간과 노동력을 줄이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중 하나로 대기 중의 수분을 포집하여 식물로 공급하는 방식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88951호는 공기 중의 수분을 이용하여 식물로 물을 공급하는 관수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관수시스템은 대기 중의 수분을 포집하는 구성과, 포집된 물을 저장하는 구성과, 저장된 물을 식물로 공급하는 구성 등이 식물재배기와 각각 별도로 마련된 대형 시스템으로써, 구조가 복잡하여 개별 화분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관수를 자급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자급 관수에 따른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관수를 자급적으로 해결함은 물론, 식재된 식물의 생장효율을 높이고 주변 공기의 정화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은 상부가 개방되고 중앙부가 관통부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식재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대기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생성하도록 상기 관통부에 설치되는 자급관수모듈; 및 상기 자급관수모듈을 통해 생성된 물을 상기 관통부 저부의 식재공간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관통부 바닥에 마련된 물공급홀;을 포함한다.
상기 식재공간의 바닥은 상기 관통부 저부가 상기 관통부 저부 양측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 저부의 상기 식재공간의 바닥은 아치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급관수모듈은,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의 냉각부에 마련되는 냉각부재; 상기 열전소자의 방열부에 마련되는 방열부재; 및 상기 방열부재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재는, 냉각판부; 및 상기 냉각판부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냉각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급관수모듈은 상기 냉각핀부가 상기 물공급홀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관통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 상부의 식재공간과 상기 관통부 사이는 통기가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자급관수모듈은 상기 냉각부재가 상기 관통부 바닥을 향하고, 상기 냉각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관통부 상부의 상기 식재공간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관통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식재공간은, 상기 관통부 상부의 상부식재공간; 상기 관통부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측방식재공간; 및 상기 관통부 하부의 하부식재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 상부의 상부식재공간의 바닥은 중앙부가 양측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 상부의 상부식재공간의 바닥은 아치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화분은 일단이 상기 냉각부재에 접촉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물공급홀을 통해 상기 식재공간으로 연장된 심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은 관수를 자급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자급관수모듈이 본체에 일체로 마련되므로, 관수를 자급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자급 관수에 따른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은 자급관수모듈을 통해 송풍되는 공기를 식재공간으로 송풍 할 수 있게 되므로, 식물 뿌리의 호흡작용을 촉진시키고 화분 주변의 공기가 식재공간을 통과하며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관수를 자급적으로 해결함은 물론 식재된 식물의 생장효율을 높이고 주변 공기의 정화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자급관수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로, 본체에 자급관수모듈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화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를 절취선 A-A를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로, 화분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1)은 식물이 식재를 위해 토양이 담겨지는 본체(10)와, 식물(2)이 식재되는 토양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본체(10)에 일체로 설치되는 자급관수모듈(2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화분(1)은 관수를 자급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자급관수모듈(20)이 본체(10)에 일체로 마련되므로, 관수를 자급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자급 관수에 따른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체(10)는 상부가 개구를 통해 개방되고 중앙부가 관통부(12)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식재공간(13)을 제공한다.
본체(10)는 전면판(14) 및 후면판(15)과, 전면판(14)과 후면판(15) 사이의 양측을 덮는 한 쌍의 측면판(16)과, 전면판(14)과 후면판(15) 사이의 저부를 덮는 바닥판(17)을 포함하여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통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관통부(12)는 전면판(14)과 후면판(15)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전면판(14) 및 후면판(15)의 중앙에는 각각 구멍이 형성되고, 양쪽 구멍의 둘레는 복수의 가림판(12a,12b,12c)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부(12)는 가림판(12a,12b,12c)을 통해 식재공간(13)과 구획된 상태에서 본체(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식재공간(13)은 관통부(12) 상부의 상부식재공간(13a)과, 관통부(12)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측방식재공간(13b)과, 관통부(12) 하부의 하부식재공간(13c)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대략 'ㅁ'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ㅁ'자 형태로 마련되는 식재공간(13)의 형태를 감안했을 때, 식재공간(13)으로 식재되는 식물(2)의 뿌리(2a)가 식재공간(13) 전체에 걸쳐 고르게 자랄 수 있도록 관통부(12) 상부의 상부식재공간(13a)의 바닥을 형성하는 가림판(12a)은 아치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부식재공간(13a)의 바닥이 아치형태로 마련된 상태에서는 상부식재공간(13a)으로 식재된 식물(2)의 뿌리(2a)가 아치형의 상부식재공간(13a) 바닥에 의해 양측의 측방식재공간(13b)으로 나뉘어지면서 자라게 되므로, 'ㅁ'자 형태로 마련된 식재공간(13)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부식재공간(13a)의 바닥의 모양이 아치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식재공간(13a)으로 식재된 식물(2)의 뿌리(2a)를 양쪽의 측방식재공간(13b)의 저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관통부(12) 상부의 상부식재공간(13a)의 바닥은 중앙부가 양측보다 높게 마련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자급관수모듈(20)은 대기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대기의 소통이 원활하도록 관통부(12)에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10)와 한 몸을 이룰 수 있다.
자급관수모듈(20)은 열전소자(21)와, 열전소자(21)의 냉각부에 마련되는 냉각부재(22)와, 열전소자(21)의 방열부에 마련되는 방열부재(23)와, 방열부재(23)를 냉각시키는 냉각팬(24)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전소자(21)는 2종의 서로 다른 금속을 결합시키거나,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를 상호 접합시킨 소자로써, 이러한 열전소자(21)는 직류 전류 인가시 양 금속표면에 흡열반응과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특성을 가진다. 흡열반응이 발생하는 열전소자(21)의 일측면은 냉각부를 형성하고, 발열반응이 발생하는 열전소자(21)의 타측면은 방열부를 형성할 수 있다.
냉각부재(22)와 방열부재(23)는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마련되어 열전소자(21)의 냉각부와 방열부에 각각 부착되고, 냉각팬(24)은 구동시 방열부재(23)를 냉각시키도록 방열부재(23)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자급관수모듈(20)은 열전소자(21)와, 냉각부재(22) 및 방열부재(23)와, 냉각팬(24)이 상호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한 몸을 이룰 수 있다.
냉각팬(24)은 팬케이스(24a)와, 팬케이스(24a)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24b)을 포함할 수 있다. 열전소자(21)와, 냉각팬(24)에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케이블(미도시)이나 배터리(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냉각부재(22)는 열전소자(21)에 접촉하는 냉각판부(22a)와, 냉각판부(22a)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냉각핀부(22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열부재(23)는 열전소자(21)에 부착되는 방열판부(23a)와, 방열판부(23a)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방열핀부(23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열전소자(21)와 냉각팬(24)이 구동하게 되면, 흡열반응이 이루어지는 흡열부에 의해 냉각부재(22)는 냉각되고, 이때 방열부재(23)는 냉각팬(24)에 의해 냉각되면서 열을 방출하며, 이에 따라 냉각부재(22) 표면에서는 대기중의 수분이 응축되면서 물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냉각부재(22) 표면에 응축된 물은 응집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저부로 낙하하고, 이러한 물이 하부식재공간(13c)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관통부(12) 바닥에는 물공급홀(12d)이 마련된다. 물공급홀(12d)은 관통부(12) 바닥을 형성하는 가림판(12c)의 일측에 가림판(12c)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ㅁ'자 형태의 식재공간(13)에서 식재공간 상부로부터 내부로 충진되는 토양(3)은 하부식재공간(13c)보다는 주로 측방식재공간(13b)과 상부식재공간(13a)으로 충진된다. 따라서 하부식재공간(13c)으로 공급된 물이 양측의 측방식재공간(13b)으로 안내되기 용이하도록 관통부(12) 저부의 하부식재공간(13c)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판(17)은 중앙부가 아치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식재공간(13c)의 바닥의 모양이 아치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식재공간(13c)으로 안내된 물을 양측에 있는 측방식재공간(13b)의 저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관통부(12) 저부가 관통부(12) 저부 양측보다 높게 마련되는 범위 내에서 식재공간(13)의 바닥 형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물공급홀(12d)을 통해 하부식재공간(13c)으로 안내된 물은 아치형태로 마련되는 하부식재공간(13c)의 바닥에 의해 양측의 측방식재공간(13b)의 저부로 안내되어 토양(3)에 흡수되고, 측방식재공간(13b)으로 공급된 물은 토양(3)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부식재공간(13a)까지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자급관수모듈(20)은 냉각부재(22)와 냉각팬(24)이 관통부(12) 개방된 양쪽 방향을 향하도록 관통부(12)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부재(22) 표면에 생성된 물이 물공급홀(12d)로 공급되기 용이하도록 자급관수모듈(20)은 냉각핀부(22b)가 물공급홀(12d)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관통부(12)에 설치될 수 있다.
관통부(12) 바닥을 형성하는 가림판(12c)에 있어서, 물공급홀(12d) 일측으로는 자급관수모듈(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8)가 마련되고, 자급관수모듈(20)은 저부 양측이 지지부(18)를 통해 지지된 상태에서 냉각부재(22)의 냉각핀부(22b)가 물공급홀(12d)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상태의 자급관수모듈(20)은 고정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나, 접착제 등을 통해 관통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냉각핀부(22b)는 냉각판부(22a)의 일면으로 돌출되되, 냉각부재(22)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복수개가 냉각판부(22a)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핀부(22b) 표면에 응집된 물은 그 자중에 의해 냉각핀부(22b) 표면을 따라 저부로 그대로 안내된 상태에서 물공급홀(12d)로 낙하되어 식재공간(13)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화분(1)은 식재공간(13)에 토양(3)을 충진하고, 식물(2)을 식재한 상태에서 자급관수모듈(20)을 구동시킴에 따라, 열전소자(21)와 냉각팬(24)이 구동되면서 흡열반응이 이루어지는 흡열부에 의해 냉각부재(22)가 냉각된다.
이때 방열부재(23)는 냉각팬(24)에 의해 냉각되면서 열을 방출하며, 이에 따라 냉각부재(22) 표면에서는 대기중의 수분이 응축되면서 물이 형성된다.
냉각부재(22) 표면에 생성된 물은 상호 응집된 상태로 냉각핀부(22b) 표면을 따라 저부로 안내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물공급홀(12d)로 낙하되어 하부식재공간(13c)으로 공급되고, 계속해서 아치형태로 마련된 하부식재공간(13c)의 바닥에 의해 양측의 측방식재공간(13b) 저부로 안내되어 토양(3)으로 공급된 물은 토양(3)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측방식재공간(13b) 상부와 상부식재공간(13a)까지 전달되면서 식물(2)의 뿌리(2a)를 통해 흡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는 심지(100)를 사용하여 냉각부재(22)에 응축된 물이 식재공간(13)으로 보다 신속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심지(100)는 일단이 냉각부재(22)에 접촉된 상태에서 타단이 물공급홀(12d)을 통해 하부식재공간(13c)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심지(100)의 일단은 냉각핀부(22b)에 끼워진 상태로 냉각부재(22)에 지지되고, 심지(100)는 측방식재공간(13b)의 저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부재(22)의 냉각핀부(22b)에 형성된 물은 자중에 의해 낙하하기 전에도 이러한 심지(100)를 통해 식재공간(13)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심지(100)는 토양과 같이 수분을 흡수하여 전달할 수 있는 다른 다양한 매개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때도 냉각핀부(22b)에 형성된 물은 매개물을 통해 직접 측방식재공간(13b)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6에서 하부식재공간(13c) 쪽에 표시된 실선화살표는 물공급홀(12d)을 통과하여 양측의 측방식재공간(13b) 저부로 안내되는 물의 흐름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일 변형 예를 도시한 도 7과 같이, 화분(1´)은 관통부(12) 상부의 상부식재공간(13a)과 관통부(12) 사이가 통기 가능하게 마련되고, 자급관수모듈(20)은 냉각부재(22)가 관통부(12) 바닥을 향하고, 냉각팬(24)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관통부(12) 상부의 상부식재공간(13a)으로 안내되도록 관통부(1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식재공간(13a)의 바닥을 형성하는 가림판(12a´)은 토양(3)은 차단하면서 공기의 유통은 허용하도록 다수의 미세구멍을 구비하는 메시(mesh)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자급관수모듈(20)은 냉각부재(22)가 저부를 향하고 냉각팬(24)이 상부를 향하도록 관통부(12)에 설치된 자세를 제외하고, 전술한 형태 그대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19은 냉각부재(22)가 저부를 향하도록 관통부(12)에 설치되는 자급관수모듈(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가리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화분(1´)은 냉각부재(22)를 통해 대기 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생성한 물을 물공급홀(12d)을 통해 식재공간(13)으로 전달하는 작용은 전술한 화분(1)과 거의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급관수모듈(20)의 작동과정에서 냉각팬(24)을 통해 송풍되는 공기가 상부식재공간(12) 바닥의 미세구멍을 통해 상부식재공간(12a)으로 전달되는데, 이러한 바람은 화분(1´)에 식재된 식물(2)의 뿌리(2a)에 산소를 공급하여 뿌리(2a)의 호흡을 촉진시킴으로써, 식물(2)의 생장이 더욱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또한 이때는 냉각팬(24)의 송풍작용에 의해 상부식재공간(12a)을 통과하면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됨에 따라 화분(1´)에 의해 그 주변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화분(1´) 주변의 공기가 식재공간(1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은 일부가 토양(3)에 흡착 또는 흡수되어 제거되고, 다른 일부가 근권부의 미생물의 영양원으로 활용되는 과정에서 제거될 수 있게 되므로, 자급관수모듈(20)의 작동에 의해 식재공간(13)을 통과하여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됨에 따라 화분(1´)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도 7에서 하부식재공간(13c) 쪽에 표시된 실선 화살표는 물공급홀(12d)을 통과하여 양측의 측방식재공간(13b) 저부로 안내되는 물의 흐름방향을 가리키고, 상부식재공간(13a) 쪽에 표시된 점선 화살표는 상부식재공간(13a)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방향을 가리킨다.

Claims (9)

  1. 상부가 개방되고 중앙부가 관통부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식재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대기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생성하도록 상기 관통부에 설치되는 자급관수모듈; 및
    상기 자급관수모듈을 통해 생성된 물을 상기 관통부 저부의 식재공간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관통부 바닥에 마련된 물공급홀;을 포함하는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공간의 바닥은 상기 관통부 저부가 상기 관통부 저부 양측보다 높게 마련된 화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 저부의 상기 식재공간의 바닥은 아치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된 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급관수모듈은,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의 냉각부에 마련되는 냉각부재;
    상기 열전소자의 방열부에 마련되는 방열부재; 및
    상기 방열부재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화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재는,
    냉각판부; 및
    상기 냉각판부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냉각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급관수모듈은 상기 냉각핀부가 상기 물공급홀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관통부에 설치된 화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 상부의 식재공간과 상기 관통부 사이는 통기가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자급관수모듈은 상기 냉각부재가 상기 관통부 바닥을 향하고, 상기 냉각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관통부 상부의 상기 식재공간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관통부에 설치된 화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공간은,
    상기 관통부 상부의 상부식재공간;
    상기 관통부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측방식재공간; 및
    상기 관통부 하부의 하부식재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 상부의 상부식재공간의 바닥은 중앙부가 양측보다 높게 마련된 화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 상부의 상부식재공간의 바닥은 아치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된 화분.
  9. 제4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냉각부재에 접촉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물공급홀을 통해 상기 식재공간으로 연장된 심지를 더 포함하는 화분.
PCT/KR2018/011663 2017-11-03 2018-10-01 화분 WO2019088460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80083618.5A CN112055534A (zh) 2017-11-03 2018-10-01 花盆
US16/761,242 US11559007B2 (en) 2017-11-03 2018-10-01 Flowerpot
JP2020544719A JP2021503297A (ja) 2017-11-03 2018-10-01 植木鉢
EP18872795.2A EP3704933A4 (en) 2017-11-03 2018-10-01 PLANT 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835 2017-11-03
KR1020170145835A KR102069131B1 (ko) 2017-11-03 2017-11-03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8460A2 true WO2019088460A2 (ko) 2019-05-09
WO2019088460A3 WO2019088460A3 (ko) 2019-06-27

Family

ID=66332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1663 WO2019088460A2 (ko) 2017-11-03 2018-10-01 화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59007B2 (ko)
EP (1) EP3704933A4 (ko)
JP (1) JP2021503297A (ko)
KR (1) KR102069131B1 (ko)
CN (1) CN112055534A (ko)
WO (1) WO201908846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1387A (zh) * 2019-10-31 2020-02-11 安徽泓森高科林业股份有限公司 一种在石漠化地区使用的种植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406B1 (ko) * 2019-12-13 2022-04-15 대한민국 자급 관수형 화분용 응축수 공급장치 및 자급 관수형 화분
US20230270061A1 (en) * 2022-02-25 2023-08-31 Tercio International Limited Irrigating planter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951B1 (ko) 2011-06-24 2014-04-25 경기도 공중 수분을 이용한 식물 관수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3175A (en) * 1976-11-03 1980-01-15 Magee Bervin W Self-watering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JPS53117439U (ko) 1977-02-24 1978-09-19
US4207705A (en) * 1977-10-21 1980-06-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lant nourishment delivery device
JPS54120443U (ko) 1978-02-10 1979-08-23
JPS5615365U (ko) 1979-07-13 1981-02-09
JPS63160527A (ja) 1986-12-24 1988-07-04 株式会社デンソー 植物の栽培装置
US5180552A (en) * 1988-04-22 1993-01-19 Affiliated Innovation Management, Inc. Room air purification
US4975251A (en) * 1988-04-22 1990-12-04 Affiliated Innovation Management Inc. Room air purification
US5046282A (en) * 1989-04-21 1991-09-10 Dale Whitaker Automatic wick waterer for plants
US5277877A (en) * 1991-08-06 1994-01-11 Space Biospheres Ventures Room air purifier
US5433923A (en) * 1992-02-07 1995-07-18 Wolverton; Billy C. Indoor humidifier and air purifier
US5782035A (en) * 1995-06-07 1998-07-21 Locke; Randal D. Multi-purpose automatic filling and leveling fluid basin with water transfer
RU2108709C1 (ru) 1997-03-24 1998-04-20 Тараторкин Владимир Васильевич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м увлажнением почвы (кижеван)
JP3071168B2 (ja) * 1997-12-24 2000-07-31 福岡丸本株式会社 高設栽培装置
JP2000209965A (ja) 1999-01-22 2000-08-02 Hitachi Chem Co Ltd 簡易自動ガ―デニング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簡易自動ガ―デニング装置
KR100316084B1 (ko) * 1999-05-20 2001-12-12 학 보 심 가습기능 및 온도 조절 기능을 구비한 화분
CN1125587C (zh) 2000-10-24 2003-10-29 张征宇 半导体凝水全自动浇花器
JP2003287316A (ja) * 2002-03-28 2003-10-10 Matsushita Refrig Co Ltd 水分供給装置
KR200350495Y1 (ko) * 2004-02-09 2004-05-17 반완규 물받침통이 내장된 화분
US6848483B1 (en) * 2004-03-24 2005-02-01 Louis D. Atkinson Liquid level maintaining device
KR200353522Y1 (ko) * 2004-03-30 2004-06-18 반완규 물받침통이 내장된 물받침대
KR100787227B1 (ko) 2006-03-15 2007-12-21 (주) 케이.아이.씨.에이 다방향 유체 유도팬과 이를 이용한 유체 순환방법 및 열교환방법
US8453381B2 (en) 2008-12-05 2013-06-04 Randy L. Porter Self-watering plant container and related methods
US8528252B2 (en) * 2009-08-13 2013-09-10 Arthur Francis Griebel Self watering plant system
US9161500B2 (en) 2009-10-20 2015-10-20 Jørn Hansen Self-watering system for a potted plant
JP2012100614A (ja) 2010-11-12 2012-05-31 Yaita Seisakusho:Kk 植木鉢用自動給水器
WO2012128550A2 (ko) 2011-03-21 2012-09-27 Kin In Ha 화분용 급수장치
CN202085530U (zh) 2011-05-23 2011-12-28 胡海明 一种空气取水自动供养植物的栽种容器
KR101398536B1 (ko) * 2012-05-09 2014-05-27 안영후 자동급수 화분
ITBS20120156A1 (it) * 2012-11-02 2014-05-03 Simone Costanzo Vaso per fiori e piante con sistema automatico di produzione ed irrigazione dell'acqua
US9578818B2 (en) * 2013-08-09 2017-02-28 Wesley Hooper Modular reservoir wick
KR20150021972A (ko) 2015-01-06 2015-03-03 김영하 기능성 대형화분
CN104956960A (zh) 2015-07-23 2015-10-07 杭州创辉农业科技有限公司 智能植物种植机
KR20170025051A (ko) * 2015-08-27 2017-03-08 김현우 화분 자동 급수 장치
KR200486572Y1 (ko) 2015-11-09 2018-06-12 대한민국 화분
CN107047103A (zh) 2016-11-23 2017-08-18 高诗白 一种设计有空气通道和储水空间的栽培植物的花盆
CN207443607U (zh) 2017-11-01 2018-06-05 河海大学 一种自动集水、吸水式种植盆
US11785904B2 (en) * 2018-01-03 2023-10-17 Earl B. Graffius Self-regulating watering insert for a plant contai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951B1 (ko) 2011-06-24 2014-04-25 경기도 공중 수분을 이용한 식물 관수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1387A (zh) * 2019-10-31 2020-02-11 安徽泓森高科林业股份有限公司 一种在石漠化地区使用的种植装置
CN110771387B (zh) * 2019-10-31 2023-09-19 安徽泓森高科林业股份有限公司 一种在石漠化地区使用的种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4933A2 (en) 2020-09-09
WO2019088460A3 (ko) 2019-06-27
JP2021503297A (ja) 2021-02-12
EP3704933A4 (en) 2021-08-25
KR20190050437A (ko) 2019-05-13
KR102069131B1 (ko) 2020-01-22
US11559007B2 (en) 2023-01-24
US20200352107A1 (en) 2020-11-12
CN112055534A (zh)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88460A2 (ko) 화분
WO2023008788A1 (ko) 모듈형 수경재배기
IL120050A (en) Hydroponic culture procedure and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ITPD940050A1 (it) Sistema di distribuzione di acqua di raffreddamento particolarmente per il recipiente di contenimento di un reattore nucleare.
CN112188831A (zh) 通风和照明装置
WO2019088461A1 (ko) 화분물받이
TW335355B (en) Distillation apparatus
WO2018117337A1 (ko) 태양전지용 냉각장치
WO2016003051A1 (ko)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
WO2016027972A1 (ko) 자연광 및 인공광을 이용하는 다층 식물재배 시스템
US20110253129A1 (en) Apparatus for Conditioning Space Under Solar Collectors and Arrays Thereof
EP3772897B1 (en) Growing space for vertical farming
MY118256A (en) Heat exchanger for air conditioners
CN112175831A (zh) 一种植物细胞培养物无菌干燥设备
CN212025367U (zh) 一种活体细胞培养箱
KR101179647B1 (ko)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생육장치
CN215011917U (zh) 一种大理石干挂植物墙
CN219288254U (zh) 一种具有保温功能的双盆体苗木种植容器
CN216601272U (zh) 一种能实现智能控温的蜂箱
CN212116578U (zh) 一种绿植补光栽培种植架
CN214801444U (zh) 一种组装漂浮式植物水培培育箱
CN213718942U (zh) 一种林业育苗育种箱
CN217884262U (zh) 一种可联调联控的智能温室控制设备
CN212115712U (zh) 一种带有保护装置的碳纤维加热管
CN214178658U (zh) 一种保温蜂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727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4471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727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