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88434A1 -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88434A1
WO2019088434A1 PCT/KR2018/010097 KR2018010097W WO2019088434A1 WO 2019088434 A1 WO2019088434 A1 WO 2019088434A1 KR 2018010097 W KR2018010097 W KR 2018010097W WO 2019088434 A1 WO2019088434 A1 WO 20190884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uch
separator
separation membrane
anode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009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경민
오송택
최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18873745.6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54412A4/en
Priority to CN201880052134.4A priority patent/CN111033812B/zh
Priority to US16/637,127 priority patent/US11128015B2/en
Publication of WO20190884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884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14Arrangements for moving electrode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5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in response to gas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01M50/12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with two or more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ies can be recharged, and they are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recently due to their small size and high capacity.
  •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increase,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energy sources is rapidly increasing.
  • the secondary battery is classified into a coin type battery, a cylindrical type battery, a square type battery, and a pouch type batte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attery case.
  • An electrode assembly mounted in a battery case of a secondary battery is a chargeable and dischargeable power generation device having a stacked structure of an electrode and a separation membrane.
  • the electrode assembly is a jelly-roll type in which a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and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s and negative electrodes are sequentially laminat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Stacked and stacked unit cells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a stack / folding type in which the unit cells are wound in a long length separating film.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stopping overcharge when the secondary battery is overcharged.
  • a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n anode, a separator, and a cathode are alternately stacked and stacked, and a pouch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therein, and the separation membrane is dis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d a second separator covering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separator and having an end connected to the pouch, wherein the first separator includes a first separator formed with the anode and the second separator, The pouch expands and the second separator is moved to open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separator so that the anode and the cathode can be contacted through the through hole.
  • the separator is provided in such a manner that when the pouch is swollen and expanded due to the generation of gas during overchar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the anode and the cathode are short-circuited. .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tate before a pouch is expanded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tate after a pouch is expanded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gion A in Fig.
  •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hich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tate before a pouch is expanded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econdary battery 100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20 and an electrode assembly 120 in which an anode 121, separators 124 and 125, and a cathode 122 are alternately stacked and stacked, And a pouch 110 for accommodating the pouch 110 therein.
  • the separators 124 and 125 include a first separator 124 and a second separator 125 positioned between the anode 121 and the cathode 122.
  • FIG. 1 a secondary battery,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FIG. 1 a secondary battery
  • the electrode assembly 120 is a chargeable and dischargeable power generation element.
  • the electrode 123 and the separators 124 and 125 are assembled and alternately stacked.
  • the electrode 123 may be composed of a positive electrode 121 and a negative electrode 122.
  • the electrode assembly 12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anode 121 / the separators 124 and 125 / the cathode 122 are alternately stacked.
  • the separators 124 and 125 may be located between the anode 121 and the cathode 122, the outside of the anode 121, and the outside of the cathode 122.
  • the separators 124 and 125 ar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electrically isolate the anode 121 and the cathode 122 from each other.
  • the separation membranes 124 and 125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polyolefin-based resin film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having micropores.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tate after a pouch is expanded in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parators 124 and 125 may include a first separator 124 and a second separator 125 positioned between the anode 121 and the cathode 122.
  • the first separator 124 may have a through hole 124a penetrating the anode 121 and the cathode 122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node 121 and the cathode 122.
  •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25 may cover the through hole 124a of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124 and may have an end connected to the pouch 110.
  • the end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25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ouch 110.
  •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25 can be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25 is moved.
  • the first separator 124 is adhered and fixed to the facing anode 121 or the cathode 122 and the second separator 125 is connected to the first separator 124 and the facing anode 121 or the cathode 122 So as to be slidable without being adhered thereto.
  • One end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25 may be fixed to a portion of the pouch 110 positioned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node 121, the separation membranes 124 and 125 and the cathode 122 are stacked.
  • the distance a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25 measured in the steady state and the through hole 124a of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124 may be smaller than the pouch expansion width b when the internal gas is generated have. So that the through hole 124a can be exposed when the pouch expands.
  • the spacing distance a may be smaller than the allowable expansion width of the pouch 110. So that the safety of the battery can be securely secured within the allowable range.
  • the first separator 124 is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anode 121 and the second separator 125 is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eparator 124.
  • the cathode 122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separator 125, 122 may be stacked.
  • the pouch 110 may include an electrode assembly 120 and a receiving portion 111 for receiving the electrolyte therein.
  • the pouch 11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flexible material.
  • the pouch 11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for example, the center layer is made of an aluminum (Al) layer, and the resin layer made of synthetic resin may be formed on the both side layers.
  • Al aluminum
  • the pouch 110 may be a polypropylene (PP) layer, a nylon layer, an aluminum (Al) layer, and a PET (polyethylene) layer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inside, terephthalate (polyester) layer may be laminated in order.
  • PP polypropylene
  • nylon nylon
  • Al aluminum
  • PET polyethylene
  • the secondary battery 100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pouch 110 expands due to overcharge due to the generation of internal gas, the end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25 moves in the expansion direction of the pouch 110 The por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25 covering the through hole 124a of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124 moves and the through hole 124a can be opened.
  • the through hole 124a of the first separator 124 is opene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pouch 110 when the battery is overcharged so that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121 and 122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124a of the first separator 124 (124a) and a short circuit may occur. Therefore, the electric supply is interrupted due to the internal short, so that the overcharging can be stopped. Since such a shot is designed to be within the stable range of the pouch 110, ignition due to an internal short may not occur.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a region A in FIG.
  • the secondary battery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at the end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25 is connected to the pouch 110). ≪ / RTI >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riefly describe the contents overlapping one embodiment, and focus on the differences.
  • the secondary battery 200 includes the electrode assembly 120 and the electrode assembly 120 in which the anode 121, the separators 124 and 125 and the cathode 122 are alternately stacked and stacked, (Not shown).
  • the separators 124 and 125 include a first separator 124 and a second separator 125 positioned between the anode 121 and the cathode 122.
  • it further includes fixing means 230 for fixing the end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25 to the pouch 110.
  • the fixing means 230 can fix the end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25 to the pouch 110.
  • the pouch 110 and the fixing unit 230 can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 the fixing means 230 may be made of, for example, rivets.
  • the end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25 can be fixed to the pouch 110 through the fixing unit 230, The end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25 can be easily moved in the expansion direction of the pouch 110 without the end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25 being separated from the pouch 110 when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110 expands.
  • the end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25 moves in the expansion direction of the pouch 110 and covers the through hole 124a of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124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25 And the through hole 124a can be easily opened.
  • the through hole 124a of the first separator 124 is opene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pouch 110 when the battery is overcharged so that the anode 121 and the cathode 122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eparator 124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24a, and a short circuit may be generated to easily stop the overchar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이차전지는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교대로 결집되어 적층된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파우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된 제1 분리막 및 상기 제1 분리막의 관통홀을 덮고, 단부가 상기 파우치에 연결된 제2 분리막을 포함하여, 과충전으로 인한 내부 가스가 발생시 상기 파우치가 팽창하며 상기 제2 분리막을 이동시켜 상기 제1 분리막의 관통홀을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이 접촉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관련출원과의 상호인용
본 출원은 2017년 11월 01일자 한국특허출원 제10-2017-0144685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특허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일차 전지와는 달리 재충전이 가능하고, 또 소형 및 대용량화 가능성으로 인해 근래에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차 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코인형 전지,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및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이차 전지에서 전지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전극 조립체는 전극 및 분리막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이다.
또한, 전극 조립체는 활물질이 도포된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介在)하여 권취한 젤리 롤(Jelly-roll)형,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 및 스택형의 단위 셀들을 긴 길이의 분리 필름으로 권취한 스택/폴딩형으로 대략 분류할 수 있다.
한편, 이차 전지는 과충전으로 인한 발화 및 폭발의 위험성이 있어, 이를 방지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이차전지의 과충전 시 과충전을 중단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교대로 결집되어 적층된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파우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된 제1 분리막 및 상기 제1 분리막의 관통홀을 덮고, 단부가 상기 파우치에 연결된 제2 분리막을 포함하여, 과충전으로 인한 내부 가스가 발생시 상기 파우치가 팽창하며 상기 제2 분리막을 이동시켜 상기 제1 분리막의 관통홀을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이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차전지의 과충전 시 가스 발생으로 파우치가 부풀어 팽창되어 늘어날 때 양극과 음극의 단락이 발생되는 형태로 분리막을 구비시켜, 내부 쇼트로 인하여 전기 공급이 중단되어 과충전을 중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서 파우치가 팽창되기 전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서 파우치가 팽창된 후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서 파우치가 팽창되기 전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양극(121), 분리막(124,125) 및 음극(122)이 교대로 결집되어 적층된 전극 조립체(120) 및 전극 조립체(120)를 내부에 수용하는 파우치(110)를 포함한다. 또한, 분리막(124,125)은 양극(121) 및 음극(122)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분리막(124) 및 제2 분리막(125)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이차전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전극 조립체(120)는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전극(123)과 분리막(124,125)이 결집되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형성한다.
전극(123)은 양극(121) 및 음극(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극 조립체(120)는 양극(121)/분리막(124,125)/음극(122)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분리막(124,125)은 양극(121)과 음극(122) 사이와, 양극(121)의 외측 및 음극(122)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분리막(124,125)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져 양극(121)과 음극(122)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여기서, 분리막(124,125)은 예를 들어 미다공성을 가지는 폴리에칠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서 파우치가 팽창된 후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분리막(124,125)은 양극(121) 및 음극(122)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분리막(124) 및 제2 분리막(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리막(124)은 양극(121) 및 음극(122)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124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분리막(125)은 제1 분리막(124)의 관통홀(124a)을 덮고, 단부가 파우치(110)에 연결될 수 있따.
또한, 제2 분리막(125)은 단부가 상기 파우치(110)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내부 가스 발생으로 파우치(110)가 팽창 시 양극(121), 분리막(124,125) 및 음극(122)이 적층된 방향에 대해 측면방향으로 제2 분리막(125)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분리막(124)은 대면하는 양극(121) 또는 음극(122)에 접착되어 고정되고, 제2 분리막(125)은 제1 분리막(124) 및 대면하는 양극(121) 또는 음극(122)과 접착되지 않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분리막(125)의 일측 단부는 양극(121), 분리막(124,125) 및 음극(122)이 적층된 방향에 대해 측면방향에 위치된 파우치(110)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정상 상태에서 측정한 제2 분리막(125) 타측 단부와 제1 분리막(124)의 관통홀(124a) 사이의 이격 거리(a)는 내부 가스 발생 시의 파우치 팽창 폭(b)보다 작을 수 있다. 그에 따라 파우치 팽창 시 관통홀(124a)이 노출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격 거리(a)는 파우치(110)의 팽창 허용 폭 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지의 안전성이 허용 범위 내에서 확실히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양극(121)의 일면에 제1 분리막(124)이 적층되고, 제1 분리막(124)의 일면에 제2 분리막(125)이 적층되며, 제2 분리막(125)의 일면에 상기 음극(122)이 적층될 수 있다.
파우치(110)는 전극 조립체(120) 및 전해액을 수용하는 수용부(111)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파우치(110)는 예를 들어 플랙서블(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파우치(110)는 일례로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져, 중앙층이 알루미늄(Al) 층으로 이루어지고, 양면층에 각각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파우치(110)는 다른 예로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수용부(111)가 위치된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PP(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층, 나일론층, 알루미늄(Al)층 및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스테르)층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과충전으로 인하여 내부가스 발생으로 파우치(110)의 팽창 시, 제2 분리막(125)의 단부를 파우치(110)의 팽창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분리막(124)의 관통홀(124a)을 덮고 있던 제2 분리막(125)의 부분이 이동하며 관통홀(124a)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과충전 시 파우치(110)의 팽창으로 제1 분리막(124)의 관통홀(124a)이 개방되어 양측에 위치된 양극(121) 및 음극(122)이 제1 분리막(124)의 관통홀(124a)을 통해 접촉되며 단락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쇼트(Short)로 인하여 전기 공급이 중단되어 과충전이 중단될 수 있다. 이러한 쇼트는 파우치(110)에서 안정범위 내로 설계되어 있으므로 내부 쇼트로 인한 발화는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200)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와 비교할 때, 제2 분리막(125)의 단부를 파우치(11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30)을 포함하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히 기술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200)는 양극(121), 분리막(124,125) 및 음극(122)이 교대로 결집되어 적층된 전극 조립체(120) 및 전극 조립체(120)를 내부에 수용하는 파우치(110)를 포함한다. 또한, 분리막(124,125)은 양극(121) 및 음극(122)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분리막(124) 및 제2 분리막(125)을 포함한다. 아울러, 제2 분리막(125)의 단부를 파우치(11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30)을 더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고정수단(230)은 제2 분리막(125)의 단부를 파우치(1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고정수단(230)은 외면에 절연층(231)이 코팅되어 고정수단(230)을 통해 제2 분리막(125)의 단부를 파우치(110)에 고정 시 파우치(110)와 고정수단(230)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수단(230)은 예를 들어 리벳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200)는 고정수단(230)을 통해 제2 분리막(125)의 단부를 파우치(110)에 고정할 수 있어, 과충전으로 인한 파우치(110)의 팽창 시, 제2 분리막(125)의 단부가 파우치(110)에서 이탈되지 않고 제2 분리막(125)의 단부를 파우치(110)의 팽창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우치(110)의 팽창 시 제2 분리막(125)이 단부가 파우치(110)의 팽창방향으로 이동하며 제2 분리막(125)의 제1 분리막(124)의 관통홀(124a)을 덮고 있던 부분이 이동하며 관통홀(124a)을 개방시키기 용이할 수 있다. 결국, 과충전 시 파우치(110)의 팽창으로 제1 분리막(124)의 관통홀(124a)이 개방되어 양측에 위치된 양극(121) 및 음극(122)이 제1 분리막(124)의 관통홀(124a)을 통해 접촉되며 단락이 발생되어 과충전이 중단되기 용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8)

  1.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교대로 결집되어 적층된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파우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막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된 제1 분리막; 및
    상기 제1 분리막의 관통홀을 덮고, 단부가 상기 파우치에 연결된 제2 분리막을 포함하여,
    과충전으로 인한 내부 가스가 발생시 상기 파우치가 팽창하며 상기 제2 분리막을 이동시켜 상기 제1 분리막의 관통홀을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이 접촉되는 이차전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막의 단부가 상기 파우치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내부 가스 발생으로 상기 파우치가 팽창 시 상기 양극,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음극이 적층된 방향에 대해 측면방향으로 상기 제2 분리막이 이동되는 이차전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극의 일면에 상기 제1 분리막이 적층되고, 상기 제1 분리막의 일면에 상기 제2 분리막이 적층되며, 상기 제2 분리막의 일면에 상기 음극이 적층되는 이차전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막은 대면하는 상기 양극 또는 상기 음극에 접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 분리막은 상기 제1 분리막 및 대면하는 상기 양극 또는 상기 음극과 접착되지 않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차전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막의 일측 단부는 상기 양극,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음극이 적층된 방향에 대해 측면방향에 위치된 파우치 부분에 고정되고,
    정상 상태에서 측정한 상기 제2 분리막 타측 단부와 상기 제1 분리막의 관통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파우치의 팽창 허용 폭 보다 작은 이차전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막의 단부는 상기 파우치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이차전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리벳으로 이루어지는 이차전지.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외면에 절연층이 코팅된 이차전지.
PCT/KR2018/010097 2017-11-01 2018-08-30 이차전지 WO2019088434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873745.6A EP3654412A4 (en) 2017-11-01 2018-08-30 SECONDARY BATTERY
CN201880052134.4A CN111033812B (zh) 2017-11-01 2018-08-30 二次电池
US16/637,127 US11128015B2 (en) 2017-11-01 2018-08-30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685 2017-11-01
KR1020170144685A KR102217449B1 (ko) 2017-11-01 2017-11-01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8434A1 true WO2019088434A1 (ko) 2019-05-09

Family

ID=66332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0097 WO2019088434A1 (ko) 2017-11-01 2018-08-30 이차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28015B2 (ko)
EP (1) EP3654412A4 (ko)
KR (1) KR102217449B1 (ko)
CN (1) CN111033812B (ko)
WO (1) WO20190884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178A (ko) * 2019-08-07 2021-0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부 단락 유도를 위한 전기화학소자 및 이를 이용한 안전성 평가방법
KR20210139082A (ko) *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3900B1 (en) * 1996-03-08 2001-02-06 Laboratoires Sorapec Alkaline storage battery with a negative zinc electrode
JP2013243070A (ja) * 2012-05-22 2013-12-05 Sanyo Electric Co Ltd 巻回電極体を備えた電池
KR101472168B1 (ko) * 2011-07-29 2014-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및 이를 이용한 중대형 전지팩
KR20150034600A (ko) * 2013-09-26 2015-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및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1746790B1 (ko) * 2013-07-31 2017-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휘어진 형상의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4456B2 (ja) 2005-08-19 2012-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KR101308195B1 (ko) 2006-04-27 2013-09-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리튬이차전지의 제조방법
JP2008041606A (ja) 2006-08-10 2008-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質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電解質電池
JP2009227923A (ja) 2008-03-25 2009-10-08 Kyoritsu Kagaku Sangyo Kk ネガパターンを有する物品を製造する方法
US9178204B2 (en) * 2009-12-07 2015-11-03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101528001B1 (ko) 2012-06-22 2015-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JP6169789B2 (ja) 2013-07-31 2017-07-2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曲がった形状の電極積層体及びそれを含む電池パック
US10290839B2 (en) * 2014-04-25 2019-05-14 Nec Energy Devices, Ltd. Secondary battery
US20170358829A1 (en) * 2014-10-21 2017-12-14 Nec Coporation Secondary battery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1755861B1 (ko) * 2015-10-16 2017-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3900B1 (en) * 1996-03-08 2001-02-06 Laboratoires Sorapec Alkaline storage battery with a negative zinc electrode
KR101472168B1 (ko) * 2011-07-29 2014-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및 이를 이용한 중대형 전지팩
JP2013243070A (ja) * 2012-05-22 2013-12-05 Sanyo Electric Co Ltd 巻回電極体を備えた電池
KR101746790B1 (ko) * 2013-07-31 2017-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휘어진 형상의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KR20150034600A (ko) * 2013-09-26 2015-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및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654412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54412A1 (en) 2020-05-20
EP3654412A4 (en) 2020-08-12
US11128015B2 (en) 2021-09-21
US20200168875A1 (en) 2020-05-28
KR102217449B1 (ko) 2021-02-22
CN111033812B (zh) 2022-07-08
KR20190049146A (ko) 2019-05-09
CN111033812A (zh) 2020-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08911A1 (ko) 가스배출수단이 구비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WO2019074193A1 (ko)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및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생산 방법
WO2019139323A1 (ko) 히든형 가스 포켓부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이를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19050152A1 (ko) 벤팅 가스를 이용하여 커넥터를 파단시키는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WO2018093038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3168980A1 (ko) 비정형 구조의 전지팩
WO2018230797A1 (ko)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WO2018088722A1 (ko)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8043907A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22080908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19098522A1 (ko) 미실링부를 갖는 파우치 타입 이차 전지
WO2013151233A1 (ko) 배터리셀
WO2020175773A1 (ko) 벤팅 장치
WO2013065942A1 (en)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WO2021054603A1 (ko) 이차전지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WO2019088434A1 (ko) 이차전지
WO2021033939A1 (ko) 이차 전지
KR20160144325A (ko) 전극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6039503A1 (ko) 과전류 차단수단이 구비된 이차전지
WO2018016774A1 (ko)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WO2017039352A1 (ko) 향상된 냉각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WO2019112191A1 (ko) 이차전지 모듈
WO2018012787A1 (ko) 이차전지
WO2022149941A1 (ko) 팽창완화 유닛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21096035A1 (ko) 이차 전지 및 실링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737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737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21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