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43907A1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43907A1
WO2018043907A1 PCT/KR2017/007480 KR2017007480W WO2018043907A1 WO 2018043907 A1 WO2018043907 A1 WO 2018043907A1 KR 2017007480 W KR2017007480 W KR 2017007480W WO 2018043907 A1 WO2018043907 A1 WO 201804390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case
type secondary
pouch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748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진희준
문정오
이윤구
류상우
서성원
윤지수
최미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790000607.7U priority Critical patent/CN209344131U/zh
Publication of WO201804390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4390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6Flexibility or foldabi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Definitions

  • the electrode tab 4 extends from the electrode assembly 3.
  • the positive electrode tab extends from the positiv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extends from the negative plate.
  • the electrode tabs 4 extend from the respective positive electrode plates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케이스; 전극 조립체로부터 연장되는 전극탭; 및 전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 리드를 포함하며, 케이스에는, 스웰링 발생시 케이스의 부피가 증대될 수 있도록 가변길이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본 출원은 2016년 09월 05일자로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16-0113900호에 대한 우선권주장출원으로서,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파우치 내부에 가스 발생시에도 파우치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지는 외장재의 종류에 따라 캔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차전지(1)는 케이스(2), 전극 조립체(3), 전극탭(4) 및 전극 리드(5)를 포함한다. 케이스(2)는 후술할 전극 조립체(3), 전극탭(4) 및 전극 리드(5)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3)는 양극판, 음극판 및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3)는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양극판과 음극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3)는 대표적으로, 긴 시트형의 양극들과 음극들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한 구조의 젤리-롤(권취형) 전극 조립체,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적층형) 전극 조립체, 소정 단위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적층한 바이셀(Bi-cell) 또는 풀셀(Full cell)들을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 등을 들 수 있다. 전극탭(4)은 전극 조립체(3)로부터 연장된다. 예를 들어, 양극탭은 양극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음극탭은 음극판으로부터 연장된다. 여기서, 전극 조립체(3)가 다수의 양극판 및 다수의 음극판이 적층된 상태로 구성된 경우, 전극탭(4)은 각각의 양극판 및 음극판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때, 전극탭(4)은 케이스(2)의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고, 전극 리드(5)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전극 리드(5)는 양극판 또는 음극판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전극탭(4)들과 일부분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전극 리드(5)는 케이스(2)와의 절연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 테이프(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극 리드(5)는 전극탭(4)과 용접(W, 도 1 참조) 등의 방법으로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극 리드(5)와 전극탭(4)의 접합 방법은 일반 저항 용접, 초음파 용접, 레이저 용접, 리벳 등의 방법일 수 있다.
한편,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이차전지의 충전과 방전시 발생되는 가스로 인해 이차전지가 팽창 및 수축되는 스웰링(swelling) 현상이 반복하여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차전지에서 발생된 가스는 이차전지의 어떤 부분으로 이동할지 그 이동 방향성의 예측이 어려워 이차전지에 예기치 못한 손상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전지가 배치된 부분에 날카로운 장치 등이 근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경우, 이차전지에서 발생된 가스가 이동하여 상기 이차전지의 파우치가 날카로운 장치가 위치한 부분에서 팽창하여 날카로운 장치에 접촉되면, 이차전지의 파우치가 찢겨져 이차전지 내부의 전해액이 흘러나오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가스를 소정 영역에 모을 수 있으며, 주변 대상물과의 간섭이 방지되어 설계가 용이해질 수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의도하지 않은 부분에서의 파우치의 팽창이 방지되므로 파우치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케이스; 상기 전극 조립체로부터 연장되는 전극탭; 및 상기 전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 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스웰링 발생시 상기 케이스의 부피가 증대될 수 있도록 가변길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길이부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주름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름형상은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주름형상은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길이부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텔레스코프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텔레스코프 구조는, 제1 직경을 가지는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1 이동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직경의 제2 직경을 가지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이 제공될 수 있고, 전술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이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전술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자동차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변길이부를 통해 케이스의 부피가 증대되는 것에 의해 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가스를 소정 영역에 모을 수 있으며, 주변 대상물과의 간섭이 방지되어 설계가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가 파우치의 소정 영역으로 이동되므로 의도하지 않은 부분에서의 파우치의 팽창이 방지되며, 이에 의해, 파우치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에서 가변길이부가 형성된 부분을 표시한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극탭과 전극 리드는, 양극탭과 양극 리드의 결합구조뿐만 아니라 음극탭과 음극 리드의 결합구조에서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에서 가변길이부가 형성된 부분을 표시한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0)는, 케이스(100)와, 전극 조립체(200)와, 전극탭(300)과, 전극 리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전극 조립체(200)와, 전극탭(300)과, 전극 리드(40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00)는 상부 파우치와 하부 파우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극 조립체(200)와, 전극탭(300)과, 전해액(미도시) 등이 수납된 후, 열융착 등의 방식으로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는 육면체 또는 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스(10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케이스(100)에는 스웰링 발생시 케이스(100)의 부피가 증대될 수 있도록 가변길이부(600a)가 형성될 수 있다. 파우치형 이차전지(10)는 충전과 방전시 내부에 가스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발생된 가스가 파우치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파우치를 팽창시킨다. 하지만, 가스의 이동 방향성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우므로 가스의 이동에 따른 파우치의 팽창 부분에서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0)는 파우치형 이차전지(10)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가스를 소정 영역에 모을 수 있도록 케이스(100)에 가변길이부(600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변길이부(600a)는 케이스(100)에 형성되는 주름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100)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전에는 케이스(100)가 수축되어 있으며, 케이스(100)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되는 경우 케이스(100)에 형성된 주름형상에 의해 케이스(100)가 팽창되면서 케이스(100)의 팽창된 부분을 향해 가스가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케이스(100)의 팽창 지점의 예측이 가능하며, 케이스(100)가 주변 대상물과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어 파우치형 이차전지(10)의 설계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주름형상은 케이스(100)의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개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주름형상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4(a)에서와 같이 주름형상이 케이스(100)에서 한 쌍의 장변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도 4(b)에서와 같이 케이스(100)에서 한 쌍의 단변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주름형상의 형성 부분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름형상은 케이스(100)의 다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200)는 양극판(210)과, 음극판(230)과, 분리막(2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극 조립체(200)는, 양극판(210)과 음극판(230) 사이에 분리막(220)이 개재되도록 양극판(210)과 음극판(230)과 분리막(2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양극판(210)과 음극판(230)이 서로 절연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200)는 실시형태에 따라 권취형,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등으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양극판(210)은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박판,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호일(foil)로 이루어진 양극 집전체와, 그 양면에 코팅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양극판(210)은 양극판(210)의 양측면에 양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양극 집전체 영역, 즉, 양극 무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양극판(210)은 양극 무지부의 일측단에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되는 양극탭이 접합될 수 있다. 다만, 양극탭의 재질이 알루미늄(Al)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극탭은 양극판(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양극판(210)은 전극 조립체(200)의 형태에 따라 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음극판(230)은 전도성 금속 박판, 예를 들면 구리(Cu) 호일로 이루어진 음극 집전체와, 그 양면에 코팅된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음극판(230)은 음극판(230)의 양측면에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 집전체 영역, 즉, 음극 무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음극판(230)은 음극 무지부의 일측단에 금속 재질, 이를테면 니켈(Ni) 재질로 형성되는 음극탭이 접합될 수 있다. 다만, 음극탭의 재질이 니켈(Ni)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극탭은 음극판(2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음극판(230) 역시, 양극판(210)과 마찬가지로 전극 조립체(200)의 형태에 따라 둘 이상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스택형 전극 조립체(200)의 경우, 다수 포함될 수 있다. 분리막(220)은 양극판(210)과 음극판(230) 사이에 위치하여 양극판(210)과 음극판(230)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며, 양극판(210)과 음극판(230) 사이에서 리튬 이온 등이 서로 통과할 수 있도록 다공성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막(220)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이들의 복합필름을 사용한 다공성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극탭(300)은 전극 조립체(20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전극탭(300)은 케이스(100)의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고, 전극 리드(40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전극탭(300)에는 전술한 양극탭과 음극탭이 포함될 수 있다.
전극 리드(400)는 전극탭(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리드(400)의 일단은 전극탭(300)과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전극 리드(400)의 일단은 전극탭(300)과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용접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전극 리드(400)와 전극탭(300)은 금속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금속성 재질 사이의 결합은 이와 같은 용접 방식에 의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러한 전극탭(300)과 전극 리드(400)의 특정 결합 방식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극 리드(400)의 타단은 케이스(10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어 있어서, 외부부재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전극 단자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극 리드(400)의 타단에는 충전기나 부하 등이 연결됨으로써 이차전지는 충전 내지 방전될 수 있다. 전극 리드(400)는 케이스(100)와 접촉되는 부분에 실링 테이프(500)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 테이프(500)는 전극 리드(400)와 케이스(100)의 절연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전해액이 케이스(10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극탭(300)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단락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실링 테이프(500)는 절연성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아세틸렌, PTFE, 나일론,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탈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0)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10)의 케이스(100)에는 주름형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차전지의 충전 내지 방전에 의해 케이스(100)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되는 경우 케이스(100)의 주름형상 부분이 팽창되면서 가스의 이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가스를 소정 영역에 모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케이스(100)와 주변 대상물과의 간섭이 방지되므로 파우치형 이차전지(10)의 설계가 용이해질 수 있으며, 파우치의 팽창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가변길이부(600b)가 텔레스코프 구조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변길이부(600b)는 케이스(100)에 형성되는 텔레스코프 구조를 마련될 수 있다. 텔레스코프(telescope)는 망원경을 의미하며, 텔레스코프(telescope)구조는 상이한 직경을 가지는 부재 중 직경이 작은 부재가 직경이 큰 부재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구조를 의미한다. 텔레스코프 구조는 제1 이동부(610)와, 제2 이동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610)는 임의의 제1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이동부(620)는 제1 이동부(6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직경보다 크게 마련되는 제2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1 이동부(610)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2 이동부(62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가능하며, 이에 의해, 케이스(100) 내부에 가스가 발생된 경우 제1 이동부(610)와 제2 이동부(62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대이동하면서 케이스(100)가 팽창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동부(610)와 제2 이동부(620)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금속 또는 다양한 복합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가변길이부(600b)는 보다 많은 수의 이동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직경보다 크게 마련되는 제3 직경을 가지는 제3 이동부(630)가 구비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2 이동부(620)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제3 이동부(63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동부의 개수가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변길이부(600b)가 텔레스코프 구조를 가질 수 있다면 이동부의 개수는 보다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이동부(610)와 제2 이동부(620) 사이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가 개재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부재에 의해 소정 범위 이상의 가스가 이동시에만 제1 이동부(610)와 제2 이동부(620)가 상대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스가 제거된 경우에는 탄성회복력에 의해 제1 이동부(610)가 제2 이동부(620) 사이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케이스(100)가 수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미도시)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0)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미도시) 내에서 각각의 파우치형 이차전지(10)는 고정과 적층의 용이성을 위해 카트리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모듈(미도시) 내에서 복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10)는 버스바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파우치형 이차전지(10)의 전극 리드(400)가 버스바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복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10)들은 다양한 직렬 및 병렬 형태로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미도시)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미도시)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미도시)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팩(미도시)은, 이러한 배터리 모듈(미도시) 이외에, 이러한 배터리 모듈(미도시)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100), 배터리 모듈(미도시)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장치, 이를테면 BMS, 전류 센서, 퓨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미도시)는 전술한 배터리 모듈(미도시) 또는 배터리 팩(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팩(미도시)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미도시)은, 상기 자동차(미도시),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전기를 사용하도록 마련되는 소정의 자동차(미도시)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차전지와 관련된 산업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8)

  1.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케이스;
    상기 전극 조립체로부터 연장되는 전극탭; 및
    상기 전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 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스웰링 발생시 상기 케이스의 부피가 증대될 수 있도록 가변길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길이부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주름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형상은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주름형상은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길이부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텔레스코프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프 구조는,
    제1 직경을 가지는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1 이동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직경보다 큰 직경의 제2 직경을 가지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자동차.
PCT/KR2017/007480 2016-09-05 2017-07-12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1804390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90000607.7U CN209344131U (zh) 2016-09-05 2017-07-12 袋型二次电池及包括其的电池模块、电池组和汽车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900 2016-09-05
KR1020160113900A KR102097084B1 (ko) 2016-09-05 2016-09-05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3907A1 true WO2018043907A1 (ko) 2018-03-08

Family

ID=6130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7480 WO2018043907A1 (ko) 2016-09-05 2017-07-12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97084B1 (ko)
CN (1) CN209344131U (ko)
WO (1) WO201804390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35180A1 (en) * 2019-10-31 2021-05-06 Sk Innovation Co., Ltd.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EP3982469A1 (de) * 2020-10-12 2022-04-13 Volkswagen Ag Batterieanordnung
DE102022106343A1 (de) 2022-03-18 2023-09-21 Audi Aktiengesellschaft Energiespeich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nergiespeicheranordn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225B1 (ko) * 2019-03-06 2022-03-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염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ess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30148001A (ko) * 2022-04-15 2023-10-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단선 방지 기능이 구비된 전극 탭을 포함하는 전지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240030103A (ko) * 2022-08-29 2024-03-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차전지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3883A (ko) * 2010-08-05 2012-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대형 전지팩
JP2013075692A (ja) * 2011-09-30 2013-04-25 Nisshin Steel Co Ltd 液体用容器
KR20130136817A (ko) * 2012-06-05 2013-12-13 주식회사 포스코 나트륨 유황 전지
KR101389207B1 (ko) * 2010-05-19 2014-04-24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쌍극형 2차 전지
KR101424003B1 (ko) * 2010-03-25 2014-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웰링 현상을 방지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327B1 (ko) 2013-11-29 201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JP6065294B2 (ja) * 2014-09-30 2017-01-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パウチ型電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003B1 (ko) * 2010-03-25 2014-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웰링 현상을 방지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389207B1 (ko) * 2010-05-19 2014-04-24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쌍극형 2차 전지
KR20120013883A (ko) * 2010-08-05 2012-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대형 전지팩
JP2013075692A (ja) * 2011-09-30 2013-04-25 Nisshin Steel Co Ltd 液体用容器
KR20130136817A (ko) * 2012-06-05 2013-12-13 주식회사 포스코 나트륨 유황 전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35180A1 (en) * 2019-10-31 2021-05-06 Sk Innovation Co., Ltd.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EP3982469A1 (de) * 2020-10-12 2022-04-13 Volkswagen Ag Batterieanordnung
DE102022106343A1 (de) 2022-03-18 2023-09-21 Audi Aktiengesellschaft Energiespeich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nergiespeicher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084B1 (ko) 2020-04-03
CN209344131U (zh) 2019-09-03
KR20180026946A (ko)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43907A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N107342391B (zh) 电极组件
JP5906354B2 (ja) 二次電池、それに適用される二次電池用部品及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WO2019050152A1 (ko) 벤팅 가스를 이용하여 커넥터를 파단시키는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WO2013187661A1 (ko) 단일 전극단자 결합부를 가진 전지 조합체
WO2012018200A2 (ko)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대형 전지팩
EP3676888B1 (en) Lead tab for a battery terminal
EP2317589A1 (en) Secondary battery
WO2018174370A1 (ko)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1037335A2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CN109792074B (zh) 二次电池
EP3073548A1 (en) Battery pack
US9240618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CN107710458B (zh) 电极引线和具有该电极引线的二次电池
KR101261243B1 (ko) 변형된 구조의 보호테이프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WO2019088434A1 (ko) 이차전지
KR20180081926A (ko) 실링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지셀용 전극조립체
KR101921730B1 (ko) 이차전지
KR20070096280A (ko)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90056170A (ko) 커버레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755073B1 (ko)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1621B1 (ko)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배터리 팩
WO2021006709A1 (ko) 과충전 방지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53987B1 (ko) 전지 셀
WO2020101208A1 (ko) 과충전 방지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468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468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