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83159A1 -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방법 및 그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83159A1
WO2019083159A1 PCT/KR2018/010530 KR2018010530W WO2019083159A1 WO 2019083159 A1 WO2019083159 A1 WO 2019083159A1 KR 2018010530 W KR2018010530 W KR 2018010530W WO 2019083159 A1 WO2019083159 A1 WO 201908315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s
content distribution
distribution apparatu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05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문상
신명석
이현주
김지영
강태식
고인구
장광순
이형미
이가영
장현철
방수현
우성호
Original Assignee
디자인정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자인정글(주) filed Critical 디자인정글(주)
Publication of WO201908315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8315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Abstract

저작권이 있는 콘텐츠를 유통하는 콘텐츠 유통 장치, 콘텐츠 유통 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실시간 번역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전용 번역 장치 및 웹 크롤링을 통하여 콘텐츠를 분석하여 저작권 침해 콘텐츠를 추적하며, 또한 디지털 포렌식 마킹 기술을 이용하여 저작권 침해 콘텐츠를 추적하는 저작권 보호 장치를 포함하는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방법 및 그 시스템
본 발명은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국내 및 글로벌 디자이너의 창작물을 제공하는 콘텐츠 유통, 실시간 다국어 번역 및 창작물의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자인 창작물의 디지털화와 함께 웹을 비롯한 모바일기기를 통한 온라인 유통이 가능해지면서,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 및 재가공이 쉬워짐에 따라 디자인 창작물의 불법 복제로 인한 저작권 침해, 보호, 관리 문제가 사회 문제로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 현재의 컴퓨터 및 온라인 시스템에서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복제 및 재배포가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콘텐츠를 복제 및 재배포 하는 것이 매우 쉽고, 또한 유통되는 콘텐츠가 별도의 배포 경로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불법 배포자들의 익명성을 제공해주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이미지 데이터 등의 콘텐츠 제공 업체들은 콘텐츠의 불법 복제 및 부정 이용을 막기 위해 DRM 등 다양한 저작권 보호 기술을 사용하는 등 적극적인 콘텐츠 보호 활동을 하고 있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콘텐츠들이 불법으로 오남용 및 유통되고 있어 정상적으로 유통되는 많은 콘텐츠들이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콘텐츠 제공 업체가 아닌, 1인 디자이너, 스타트업 또는 프리랜서 등은 창작물(사진, 포트폴리오, 포스터, 폰트 등의 이미지로 구성된 데이터) 보호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구축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콘텐츠의 유통을 확산시킬 수 있는 콘텐츠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콘텐츠 유통 포털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통 플랫폼 서비스를 개발하여 국내 및 글로벌 디자이너의 저작물인 창작물을 유통시키며,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여 글로벌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게 하며, 저작권 보호 기술을 통하여 창작물을 적극 보호함과 동시에 온라인 상에서 간편하게 저작물에 대한 검증 및 추적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자인 창작물 유통시장을 보다 공정하고 선순환될 수 있는 구조적 생태계 마련하기 위함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콘텐츠에 관한 정보와 콘텐츠를 유통하는 콘텐츠 유통 장치, 콘텐츠 유통 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번역하기 위한 콘텐츠 전용 번역 장치 및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위한 저작권 보호 장치를 포함하는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기업들과 달리 Content Provider, 유통사업자를 위한 콘텐츠 스토어, 콘텐츠 포털 서비스를 구축하고 글로벌 다국어 서비스를 연동하는 시스템 개발하여 글로벌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하여 국내 Content Provider, 디자이너들이 글로벌 진출하는데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자인 창작물의 불법 유통 방지로 인한 피해액의 절감 효과와 디자인 트렌드 변화를 한눈에 파악하고, 이미지 등의 온라인 상에서 유통되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의 추적 및 보호 기술 분야에서의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종적으로 차세대 서비스 산업을 위한 분쟁 사전 방지 및 창조적 문화 사회를 구현하고, 차세대 서비스 사업을 시장 선점하여 창조적 콘텐츠 공급자들의 위한 창작물 유통시장 선순환 생태계 구축할 수가 있다.
도 1은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통합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유통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퍼픽셀을 적용한 이미지의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스무딩을 적용한 이미지의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요영역 추출 기술을 적용한 이미지의 예이다.
도 5는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통합 시스템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콘텐츠 유통 장치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저작권 보호 장치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 및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통신부, 상기 콘텐츠 및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콘텐츠 및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 및 구매자가 상기 표시된 콘텐츠를 구매하여 결제한 경우, 상기 콘텐츠를 상기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구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콘텐츠 유통 장치; 상기 콘텐츠 유통 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자연어 기반으로 실시간 번역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전용 번역 장치; 및 콘텐츠에 대하여 병렬 웹 크롤링을 통하여 콘텐츠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웹 크롤링부, 상기 획득한 콘텐츠에 구매자 정보를 삽입하여 구매자를 추적하는 디지털 포렌식 마킹부, 상기 수집된 콘텐츠를 변환하여 콘텐츠 분석부, 상기 분석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유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 콘텐츠와 비교하는 콘텐츠 검색부 및 상기 콘텐츠 유통 장치에 저장된 콘텐츠를 소정의 포맷 형태의 소정의 해상도로 리사이징하는 콘텐츠 리사이징부를 포함하는 저작권 보호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유통 장치의 상기 저장부는 상기 콘텐츠만을 분산하여 저장하는 별도의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웹 크롤링부는 병렬 웹 크롤링을 제어하는 제어부, SEED URL을 수집하는 수집 서버 및 상기 웹 크롤링을 통하여 수집한 콘텐츠를 저장하는 복수의 분배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수집된 콘텐츠 파일의 해상도가 높은 경우 데이터량이 과다하여 연산량이 늘어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집된 콘텐츠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데이터량을 줄이는 슈퍼픽셀 기술을 적용하고, 상기 수집된 콘텐츠가 로우-레벨 노이즈를 가지는 경우, 플로우 스무딩 기술을 적용하여 방향노이즈를 간단하게 제거하고, 상기 수집된 콘텐츠가 해상도가 큰 콘텐츠인 경우 주요영역 추출(Object detection)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통합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유통 방법은 콘텐츠 유통 장치가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 및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유통 장치가 상기 콘텐츠 및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유통 장치가 상기 콘텐츠 및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구매자가 상기 표시된 콘텐츠를 구매하여 결제한 경우, 상기 콘텐츠 유통 장치가 상기 콘텐츠를 상기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콘텐츠 전용 번역 장치가 콘텐츠 유통 통합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자연어 기반으로 실시간 번역하여 제공하는 단계; 저작권 보호 장치가 콘텐츠에 대하여 병렬 웹 크롤링을 통하여 콘텐츠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작권 보호 장치가 상기 획득한 콘텐츠에 구매자 정보를 삽입하여 구매자를 추적하는 단계; 상기 저작권 보호 장치가 상기 획득한 콘텐츠를 변환하여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저작권 보호 장치가 상기 분석된 콘텐츠를 콘텐츠 유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 보호 장치가 상기 콘텐츠 유통 장치에 저장된 콘텐츠를 소정의 포맷 형태의 소정의 해상도로 리사이징하여 표시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통합 시스템은 콘텐츠 유통과 관련된 콘텐츠 유통 장치, 실시간 번역을 수행하는 콘텐츠 전용 번역 장치 및 저작권 보호를 위한 저작권 보호 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은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통합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유통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110에서, 콘텐츠 유통 장치는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 및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콘텐츠는 저작권을 가지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의미한다. 콘텐츠 제공자는 저작권자, 콘텐츠 유통업자일 수 있다.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저작권자, 콘텐츠 제목 및 콘텐츠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콘텐츠 유통에 대한 가격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 후, 콘텐츠 유통 장치는 콘텐츠 제목 또는 콘텐츠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가 있다. 또는 콘텐츠 제공자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도 있다.
콘텐츠 유통 장치는 콘텐츠를 생성, 보관, 관리하는 일련의 작업과 과정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인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로 구현된다.
콘텐츠 유통 장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 및 카테고리 정보를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로 생성할 수도 있다. 또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콘텐츠 유통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단계 120에서, 콘텐츠 유통 장치는 콘텐츠를 저장한다. 콘텐츠 유통 장치는 콘텐츠를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서비스를 이용하여 분산된 서버에 저장한다. 콘텐츠 유통 장치는 CDN 서비스를 통하여 콘텐츠를 임시 저장 서버에 저장해 두었다가 요청이 있을 때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콘텐츠를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30에서, 콘텐츠 유통 장치는 콘텐츠 및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콘텐츠 유통 장치는 카테고리에 따라 콘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검색 결과에 따라 콘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유통 장치는 콘텐츠 유통에 따른 트렌드를 분석하여 분석된 트렌드에 따라 콘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이용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된 이용 패턴에 따라 콘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 140에서, 콘텐츠 유통 장치는 구매자가 표시된 콘텐츠를 구매하여 결제한 경우, 상기 콘텐츠를 상기 구매자에게 제공한다.
콘텐츠 유통 장치는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구매자가 콘텐츠를 구매하는 경우, 결제, 판매 및 정산 기능을 수행한다.
단계 150에서, 콘텐츠 전용 번역 장치는 콘텐츠 유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자연어 기반으로 실시간 번역하여 제공한다. 번역은 다국어 번역을 의미한다.
콘텐츠 전용 번역 장치는 시소러스(Thesauru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에 기초하여 실시간 번역을 수행한다. 데이터 검색을 위한 키워드(색인어)간의 관계, 즉 동의어, 하위어(그 색인어에 속하는 용어), 관련어 등의 관계를 나타낸 사전을 시소러스라고 한다. 시소러스를 사용해서 검색하는 것을 포괄검색이라고 하며, 그것은 사용하는 키워드에 관계하는 기사를 될 수 있는 대로 많이 꺼내기 위해서 또는 이용자가 사용하는 키워드와 데이터 베이스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키워드와의 벗어남을 조정하여 검색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행해진다.
콘텐츠 전용 번역 장치는 콘텐츠 또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에서 사용되는 단어를 자동분석하고,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다량의 데이터 속에서 핵심적인 내용 기능 요약하는 빅데이터 반영 방법을 사용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단계 160에서, 저작권 보호 장치는 콘텐츠에 대하여 병렬 웹 크롤링을 통하여 콘텐츠를 획득하고 저장한다. 웹 크롤링(web crawling)는 웹 페이지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하며, 데이터의 최신 상태 유지를 위해 웹 크롤링한다. 웹 크롤러는 대개 시드(seeds)라고 불리는 URL 리스트에서부터 시작하는데, 페이지의 모든 하이퍼링크를 인식하여 URL 리스트를 갱신한다. 갱신된 URL 리스트는 재귀적으로 다시 방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한된 시간 내에 많은 수의 콘텐츠를 수집하기 위해 다수의 머신을 사용하는 병렬 웹 크롤링 기술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작권 보호 장치는 시드 URL을 수집하는 수집 서버와 이미지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분배 서버로 분배하여 구성한다. 이 경우,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를 재다운로드하는 문제가 없어지며, 과거 다운받은 이미지가 유효한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 DRM 기술과 워터마킹 기술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DRM 기술의 경우에는 불법 캡쳐 방식으로 불법 복제 방지 기술의 회피가 가능하며, 워터마킹 기술은 저작권 정보만 저장할 수 있어, 불법 복제를 거쳐간 수많은 구매자 중에서 콘텐츠 불법 사용자의 추적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단계 170에서, 저작권 보호 장치는 획득한 콘텐츠에 구매자 정보를 삽입하여 구매자 추적에 이용한다. 즉, 저작권 보호 장치는 디지털 포렌식 마킹 기술을 이용한다. 디지털 포렌식 마킹 기술은 콘텐츠에 저작권자의 정보뿐만 아니라 구매자의 정보까지 포함시켜 소유권 증명, 데이터 인증, 비밀메시지, 위변조 방지 및 불법 구매자의 추적 등에 이용된다.
디지털 포렌식 마킹 기술은 보호를 받는 콘텐츠가 일반적인 변형에 강인하며, 일반적인 손상을 받은 경우에도 올바르게 인식될 수 있는, 즉, 원본 콘텐츠의 지각적 특성을 유지하는 압축, 포맷 등의 변화에 대해서 삽입된 코드값을 추출할 수 있는 강인성이 있다. 또한, 디지털 포렌식 마킹 기술은 콘텐츠에 삽입되는 모든 마크는 서로 구별되는 일관성이 있다.
저작권 보호 장치는 콘텐츠 정보에 관한 기록을 생성 및 관리하고 이미지 정보는 인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즉, 저작권 보호 장치는 포렌식 콘텐츠의 로그를 생성하고, 구매자 정보를 생성하여 계정 관리하고, 추적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저작권 보호 장치는 핑거프린트를 콘텐츠에 삽입할 수도 있다. 핑거프린트는 웹사이트 방문자를 쿠키 없이 추적하는 기술이다. 핑거프린트 기법이 웹사이트 고유 방문자를 식별하고 그 행동 정보를 수집하는 용도로 확산 추세다. 사실 방문자 식별 수단으로써 핑거프린트의 정확도는 '쿠키'보다 떨어진다. 다만 방문자가 추적을 꺼릴 때, 쿠키 방식은 운영체제(OS)나 브라우저 기능을 통해 삭제하거나 차단되기 쉽다. 반면 핑거프린트는 사용자가 임의로 피할 수 없다는 점에서 사이트 운영자에게 유용하다.
단계 180에서, 저작권 보호 장치는 획득된 콘텐츠를 변환하여 분석한다.
특히, 저작권 보호 장치는 콘텐츠(이미지) 파일의 해상도가 높은 경우 데이터량이 과다하여 연산량이 늘어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집된 콘텐츠(이미지)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데이터량을 줄이는 슈퍼픽셀(superpixels) 기술을 적용하고, 수집된 콘텐츠(이미지)가 로우-레벨(low level) 노이즈를 가지는 경우, 플로우 스무딩(Flow smoothing) 기술을 적용하여 방향노이즈를 간단하게 제거하고, 해상도가 큰 콘텐츠(이미지)의 경우 품질의 오판 가능성이 있어, 주요영역 추출(Object detection) 기술을 적용하여, 분석시 배경 등의 영향력을 감소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퍼픽셀을 적용한 이미지의 예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스무딩을 적용한 이미지의 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요영역 추출 기술을 적용한 이미지의 예이다. 도 4ㄹ를 참조하면, (a)는 원본 이미지이며, (b)는 주요영역 추출된 이미지 형태이며, (c)는 주요영역 추출된 영역을 크롭(crop)한 형태의 이미지이다. 그 후, 저작권 보호 장치는 소정의 주기로 수집된 콘텐츠를 변환하여 분석하고, 이에 대한 것을 저장한다.
단계 190에서, 저작권 보호 장치는 수집되어 분석된 콘텐츠를 콘텐츠 유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 콘텐츠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분석된 콘텐츠가 저작권 침해라고 판단되는 경우, 콘텐츠를 등록한 자에게 상기 사실을 통지한다.
단계 1100에서, 저작권 보호 장치는 콘텐츠 유통 장치에 저장된 콘텐츠를 소정의 포맷 형태(예를 들어, JPG 또는 PNG 파일)의 소정의 해상도로 리사이징하여 표시하고 저장한다.
이는 디지털 콘텐츠인 이미지 업로드 시 원본 이미지를 업로드하여 전시하는 경우 원본 이미지를 다양한 해상도로 리사이징이 필요하지만 수동적으로 변환되거나 대용량 업로드 시 수동적 업무로 인한 업무 지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5는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통합 시스템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콘텐츠 유통 장치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저작권 보호 장치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콘텐츠 유통 통합 시스템(500)은 콘텐츠 유통 장치(510), 콘텐츠 전용 번역 장치(520) 및 저작권 보호 장치(530)를 포함한다.
콘텐츠 유통 장치(510)는 저작권이 있는 콘텐츠를 수신하고, 가공하여 저장하고, 이를 전시하여 판매하는 콘텐츠 유통과 관련된 장치로서, 통신부(511), 제어부(512), 저장부(513), CDN 서버(514) 및 구매 인터페이스(515)를 포함한다.
콘텐츠 유통 장치(510)의 통신부(511)는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 및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콘텐츠는 저작권을 가지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의미한다. 콘텐츠 제공자는 저작권자, 콘텐츠 유통업자일 수 있다. 콘텐츠에 관한 정보는 저작권자, 콘텐츠 제목 및 콘텐츠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콘텐츠 유통에 대한 가격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 후, 콘텐츠 유통 장치(510)의 제어부(512)는 콘텐츠 제목 또는 콘텐츠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가 있다. 또는 콘텐츠 제공자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도 있다.
콘텐츠 유통 장치는 콘텐츠를 생성, 보관, 관리하는 일련의 작업과 과정을 수행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인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로 구현된다.
콘텐츠 유통 장치(510)의 제어부(512)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 및 카테고리 정보를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로 생성할 수도 있다. 또는 콘텐츠 유통 장치(510)의 제어부(512)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콘텐츠 유통 장치(510)의 저장부(513)에 저장할 수도 있다.
콘텐츠 유통 장치(510)의 제어부(512)는 콘텐츠를 콘텐츠 유통 장치(510)의 저장부(513)에 저장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콘텐츠 유통 장치(510)의 제어부(512)는 콘텐츠를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서비스를 이용하여 별도의 분산된 CDN 서버(514)에 저장한다. 콘텐츠 유통 장치(510)의 제어부(512)는 CDN 서비스를 통하여 콘텐츠를 임시 저장 서버인 CDN 서버(514)에 저장해 두었다가 요청이 있을 때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콘텐츠를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콘텐츠 유통 장치(510)의 제어부(512)는 콘텐츠 및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콘텐츠 유통 장치(510)의 제어부(512)는 카테고리에 따라 콘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검색 결과에 따라 콘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유통 장치(510)의 제어부(512)는 콘텐츠 유통에 따른 트렌드를 분석하여 분석된 트렌드에 따라 콘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이용 패턴에 따라 콘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
콘텐츠 유통 장치(510)의 구매 인터페이스(515)는 구매자가 표시된 콘텐츠를 구매하여 결제한 경우, 상기 콘텐츠를 상기 구매자에게 제공한다. 콘텐츠 유통 장치(510)의 구매 인터페이스(515)는 구매자가 콘텐츠를 구매하는 경우, 결제, 판매 및 정산 기능을 수행한다.
콘텐츠 전용 번역 장치(520)는 콘텐츠 유통 시스템(5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자연어 기반으로 다국어로 실시간 번역하여 제공하는 장치이다.
콘텐츠 전용 번역 장치(520)는 시소러스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구축하고, 이에 기초하여 실시간 번역을 수행한다. 데이터 검색을 위한 키워드(색인어)간의 관계, 즉 동의어, 하위어 등의 관련어 등의 관계를 나타낸 사전을 시소러스(Thesaurus)라고 한다. 시소러스를 사용해서 검색하는 것을 포괄검색이라고 하며, 그것은 사용하는 키워드에 관계하는 기사를 될 수 있는 대로 많이 꺼내기 위해서 또는 이용자가 사용하는 키워드와 데이터 베이스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키워드와의 벗어남을 조정하여 검색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행해진다.
콘텐츠 전용 번역 장치(520)는 콘텐츠 또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에서 사용되는 단어를 자동분석하고,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다량의 데이터 속에서 핵심적인 내용 기능 요약하는 빅데이터 반영 방법을 사용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저작권 보호 장치(530)는 웹 크롤링부(531), 디지털 포렌식 마킹부(532), 콘텐츠 분석부(533), 콘텐츠 검색부(534) 및 콘텐츠 리사이징부(535)를 포함한다.
웹 크롤링부(531)의 제어부(5311)는 콘텐츠에 대하여 병렬 웹 크롤링을 통하여 콘텐츠를 획득하고 저장한다. 웹 크롤링(web crawling)는 웹 페이지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하며, 데이터의 최신 상태 유지를 위해 웹 크롤링한다. 웹 크롤러는 대개 시드(seeds)라고 불리는 URL 리스트에서부터 시작하는데, 페이지의 모든 하이퍼링크를 인식하여 URL 리스트를 갱신한다. 갱신된 URL 리스트는 재귀적으로 다시 방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한된 시간 내에 많은 수의 콘텐츠를 수집하기 위해 다수의 머신을 사용하는 병렬 웹 크롤링 기술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웹 크롤링부(531)는 시드 URL을 수집하는 수집 서버(5312)와 이미지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분배 서버(5313)로 분배하여 구성한다. 이 경우,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를 재다운로드하는 문제가 없어지며, 과거 다운받은 이미지가 유효한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 DRM 기술과 워터마킹 기술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DRM 기술의 경우에는 불법 캡쳐 방식으로 불법 복제 방지 기술의 회피가 가능하며, 워터마킹 기술은 저작권 정보만 저장할 수 있어, 불법 복제를 거쳐간 수많은 구매자 중에서 콘텐츠 불법 사용자의 추적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디지털 포렌식 마킹부(532)는 획득한 콘텐츠에 구매자 정보를 삽입하여 구매자를 추적한다. 즉, 디지털 포렌식 마킹부(532)는 디지털 포렌식 마킹 기술을 이용한다. 디지털 포렌식 마킹 기술은 콘텐츠에 저작권자의 정보뿐만 아니라 구매자의 정보까지 포함시켜 소유권 증명, 데이터 인증, 비밀메시지, 위변조 방지 및 불법 구매자의 추적 등에 이용된다.
디지털 포렌식 마킹 기술은 보호를 받는 콘텐츠가 일반적인 변형에 강인하며, 일반적인 손상을 받은 경우에도 올바르게 인식될 수 있는, 즉, 원본 콘텐츠의 지각적 특성을 유지하는 압축, 포맷 등의 변화에 대해서 삽입된 코드값을 추출할 수 있는 강인성이 있다. 또한, 디지털 포렌식 마킹 기술은 콘텐츠에 삽입되는 모든 마크는 서로 구별되는 일관성이 있다.
디지털 포렌식 마킹부(532)의 제어부(5321)는 콘텐츠 정보에 관한 기록을 생성 및 관리하고 이미지 정보는 인증 데이터베이스(5322)에 저장한다. 즉, 디지털 포렌식 장치는 포렌식 콘텐츠의 로그를 생성하고, 구매자 정보를 생성하여 계정 관리하고, 추적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디지털 포렌식 마킹부(532)는 핑거프린트를 콘텐츠에 삽입할 수도 있다. 핑거프린트는 웹사이트 방문자를 쿠키 없이 추적하는 기술이다. 핑거프린트 기법이 웹사이트 고유 방문자를 식별하고 그 행동 정보를 수집하는 용도로 확산 추세다. 사실 방문자 식별 수단으로써 핑거프린트의 정확도는 '쿠키'보다 떨어진다. 다만 방문자가 추적을 꺼릴 때, 쿠키 방식은 운영체제(OS)나 브라우저 기능을 통해 삭제하거나 차단되기 쉽다. 반면 핑거프린트는 사용자가 임의로 피할 수 없다는 점에서 사이트 운영자에게 유용하다.
콘텐츠 분석부(533)는 수집된 콘텐츠를 변환하여 분석한다.
특히, 콘텐츠 분석부(533)는 콘텐츠(이미지) 파일의 해상도가 높은 경우 데이터량이 과다하여 연산량이 늘어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집된 콘텐츠(이미지)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데이터량을 줄이는 슈퍼픽셀(superpixels) 기술을 적용할수 있다.
또는, 수집된 콘텐츠(이미지)가 로우-레벨(low level) 노이즈를 가지는 경우, 콘텐츠 분석부(533)는 플로우 스무딩(Flow smoothing) 기술을 적용하여 방향노이즈를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는, 해상도가 큰 콘텐츠(이미지)의 경우 품질의 오판 가능성이 있어, 콘텐츠 분석부(533)는 주요영역 추출(Object detection) 기술을 적용하여, 분석시 배경 등의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 도 3 및 도 4는 위의 콘텐츠(이미지) 분석의 각 기술을 적용한 이미지의 예이다.
그 후, 콘텐츠 분석부(533)는 소정의 주기로 수집된 콘텐츠를 변환하여 분석하고, 이에 대한 것을 저장한다.
콘텐츠 검색부(534)는 수집되어 분석된 콘텐츠를 콘텐츠 유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 콘텐츠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저작권 침해라고 판단되는 경우, 콘텐츠 검색부(534)는 콘텐츠를 등록한 자에게 상기 사실을 통지한다.
콘텐츠 리사이징부(535)는 콘텐츠 유통 장치에 저장된 콘텐츠를 소정의 포맷 형태(예를 들어, JPG 또는 PNG 파일)의 소정의 해상도로 리사이징하여 표시하고 저장한다.
이는 디지털 이미지 업로드 시 원본이미지를 업로드하여 전시하는 경우 원본이미지를 다양한 해상도로 리사이징이 필요하지만 수동적으로 변환되거나 대용량 업로드 시 수동적 업무로 인한 업무 지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통합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유통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 및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콘텐츠 및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콘텐츠 및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 및 구매자가 상기 표시된 콘텐츠를 구매하여 결제한 경우, 상기 콘텐츠를 상기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구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콘텐츠 유통 장치;
    상기 콘텐츠 유통 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자연어 기반으로 실시간 번역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전용 번역 장치; 및
    콘텐츠에 대하여 병렬 웹 크롤링을 통하여 콘텐츠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웹 크롤링부, 상기 획득한 콘텐츠에 구매자 정보를 삽입하여 구매자를 추적하는 디지털 포렌식 마킹부, 상기 수집된 콘텐츠를 변환하여 콘텐츠 분석부, 상기 분석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유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 콘텐츠와 비교하는 콘텐츠 검색부 및 상기 콘텐츠 유통 장치에 저장된 콘텐츠를 소정의 포맷 형태의 소정의 해상도로 리사이징하는 콘텐츠 리사이징부를 포함하는 저작권 보호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유통 장치의 상기 저장부는 상기 콘텐츠만을 분산하여 저장하는 별도의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크롤링부는 병렬 웹 크롤링을 제어하는 제어부, SEED URL을 수집하는 수집 서버 및 상기 웹 크롤링을 통하여 수집한 콘텐츠를 저장하는 복수의 분배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수집된 콘텐츠 파일의 해상도가 높은 경우 데이터량이 과다하여 연산량이 늘어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집된 콘텐츠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데이터량을 줄이는 슈퍼픽셀 기술을 적용하고, 상기 수집된 콘텐츠가 로우-레벨 노이즈를 가지는 경우, 플로우 스무딩 기술을 적용하여 방향노이즈를 간단하게 제거하고, 상기 수집된 콘텐츠가 해상도가 큰 콘텐츠인 경우 주요영역 추출(Object detection)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시스템.
  5. 콘텐츠 유통 장치가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 및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유통 장치가 상기 콘텐츠 및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유통 장치가 상기 콘텐츠 및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구매자가 상기 표시된 콘텐츠를 구매하여 결제한 경우, 상기 콘텐츠 유통 장치가 상기 콘텐츠를 상기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콘텐츠 전용 번역 장치가 콘텐츠 유통 통합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자연어 기반으로 실시간 번역하여 제공하는 단계;
    저작권 보호 장치가 콘텐츠에 대하여 병렬 웹 크롤링을 통하여 콘텐츠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작권 보호 장치가 상기 획득한 콘텐츠에 구매자 정보를 삽입하여 구매자를 추적하는 단계;
    상기 저작권 보호 장치가 상기 획득한 콘텐츠를 변환하여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저작권 보호 장치가 상기 분석된 콘텐츠를 콘텐츠 유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 보호 장치가 상기 콘텐츠 유통 장치에 저장된 콘텐츠를 소정의 포맷 형태의 소정의 해상도로 리사이징하여 표시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통합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유통 방법.
PCT/KR2018/010530 2017-10-27 2018-09-10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908315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394 2017-10-27
KR1020170141394A KR101888866B1 (ko) 2017-10-27 2017-10-27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3159A1 true WO2019083159A1 (ko) 2019-05-02

Family

ID=63443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0530 WO2019083159A1 (ko) 2017-10-27 2018-09-10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8866B1 (ko)
WO (1) WO20190831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929B1 (ko) 2018-10-24 2020-06-17 테크온미디어(주) P2p 기반의 콘텐츠 유통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시스템
KR102245915B1 (ko) * 2020-09-24 2021-04-29 윤혜영 블록체인 기반 저작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KR102425811B1 (ko) * 2021-05-06 2022-07-27 주식회사 우주하나소유 인공지능 기반 웹사이트 크롤링을 이용한 상품 판매 콘텐츠 게시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3880A (ja) * 2000-06-10 2004-02-05 マークエ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透かし技術を基盤とする著作物の提供および認証サービスシステムとその方法
KR20070004670A (ko) * 2004-02-06 2007-01-09 폴리플러스 배터리 컴퍼니 보호된 활성 금속 전극 및 비수성 중간층 구조물을 가진배터리 전지 구조
KR20070062706A (ko) * 2005-12-13 2007-06-18 주식회사 디지캡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00107325A (ko) * 2009-03-25 2010-10-05 주식회사 비티웍스 저작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98070A (ko) * 2012-02-27 2013-09-04 (주)티그레이프 디지털 콘텐츠 유통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963B1 (ko) * 2005-10-31 2007-11-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핑거프린팅 관리 시스템 및 핑거프린트 코드 전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3880A (ja) * 2000-06-10 2004-02-05 マークエ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透かし技術を基盤とする著作物の提供および認証サービスシステムとその方法
KR20070004670A (ko) * 2004-02-06 2007-01-09 폴리플러스 배터리 컴퍼니 보호된 활성 금속 전극 및 비수성 중간층 구조물을 가진배터리 전지 구조
KR20070062706A (ko) * 2005-12-13 2007-06-18 주식회사 디지캡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00107325A (ko) * 2009-03-25 2010-10-05 주식회사 비티웍스 저작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98070A (ko) * 2012-02-27 2013-09-04 (주)티그레이프 디지털 콘텐츠 유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866B1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7368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нечетких дубликатов видеоконтента
WO2018124495A1 (ko) 불법 콘텐츠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003059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edia content exchange
WO2019083159A1 (ko)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70174762A1 (en) Personal web page annotation system
KR102026956B1 (ko) 디지털 저작물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
WO2012108623A1 (ko)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 신규 이미지 및 이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090249491A1 (en) Contents Data, and Program,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Unauthorized Contents
JP2001155023A (ja) 電子出版システム
US201201735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book contents
US7917484B1 (en) Individualized digital tracers
KR100930077B1 (ko)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위한 워터마크 추적 시스템
Vaidya et al. DBpedia commons: structured multimedia metadata from the wikimedia commons
JP6951468B2 (ja) ウェブトゥーン不正コピー防止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2267164A1 (en) Marking of electronic documents in order to expose unauthorized publication
CN108153741A (zh) 基于多语言高效数据采集方法、计算机程序
WO2009134007A1 (ko) 컨텐츠간 유사도에 기초하여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5588A (ko)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호를 위한 콘텐츠 등록 및 빌링 시스템 및 방법
CN101517574B (zh) 互联网上使用访问/搜索应用自动搜索非法内容的系统和方法
JP3539146B2 (ja) 著作物の使用条件違反チェック方法及び装置、並びに、著作物の使用条件違反チェック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20170089331A (ko) 불법복제방지 및 전송 추적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US20130179370A1 (en) Reproducing copyrighted works with contents extraction
WO2021091003A1 (ko)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방법
KR20020032906A (ko) 인터넷상에서의 저작권 보호 및 침해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2011209886A (ja) アノテーション方法、アノテ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アノテ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717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717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