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2706A -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2706A
KR20070062706A KR1020050122412A KR20050122412A KR20070062706A KR 20070062706 A KR20070062706 A KR 20070062706A KR 1020050122412 A KR1020050122412 A KR 1020050122412A KR 20050122412 A KR20050122412 A KR 20050122412A KR 20070062706 A KR20070062706 A KR 20070062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rm
translation
rights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흔
정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캡
Priority to KR1020050122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2706A/ko
Publication of KR20070062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3Content authoring using a description language, e.g.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 Group [MHE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서로 다른 DRM 시스템이 적용된 디바이스들 간에 사용자가 콘텐츠를 자유롭게 복사/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을 확대시킬 수 있는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본 발명의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은 제1 및 제2 단말간의 콘텐츠 복사/이동을 매개하는 원격지 클라이언트인 번역 에이전트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번역 에이전트는 제1 단말에 저장되어 있고 제1 권리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제1 콘텐츠를 이와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는 제2 콘텐츠로 번역하는 것을 매개하며, 생성된 제2 콘텐츠를 제2 단말에 제공한다. 권리 발급 지원 수단은 번역 에이전트로부터 제2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한 제2 권리 발급 요청을 받아들이고 외부의 권리발급 시스템에 전달하여 제2 권리 발급을 하도록 요청함으로써, 상기 제2 권리 발급을 중재한다. 콘텐츠 발급 수단은 번역 에이전트로부터 제1 콘텐츠에 상응한 제2 콘텐츠의 제공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 제2 콘텐츠를 상기 번역 에이전트에 제공한다. 프로파일 관리 수단은 권리 발급 지원 수단 및 콘텐츠 발급 수단과 번역 에이전트의 동작 규칙을 테이블 형태로 등록, 삭제, 갱신하는 관리 작업을 수행한다.
DRM, 디지털저작권, 디지털 저작권, 호환, 상호운영, 호환이용

Description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DRM Interoperability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uitable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일 실시예의 기능적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번역 에이전트의 일 실시예의 기능적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서로 다른 DRM 시스템이 적용된 디바이스들간에 콘텐츠를 복사/이동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 번역 에이전트에서의 콘텐츠 번역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디바이스들간에 콘텐츠를 복사/이동하는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7은 디바이스들간에 콘텐츠를 복사/이동하는 과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8은 디바이스들간에 콘텐츠를 복사/이동하는 과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 여주는 흐름도.
본 발명은 디지털저작권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디지털저작권관리 시스템간의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한 호환성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이 활성화됨에 따라, 콘텐츠의 불법적인 복제와 유통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거래 당사자들이 적법하게 콘텐츠를 이용하고 수익을 확보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유통 환경마련을 위하여, 다양한 디지털저작권관리(Digital Right Management: DRM) 시스템이 제안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DRM이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보호, 관리 및 유통 체계로서 신뢰성있는 라이센스, 안전한 저작권과 인증, 신뢰성 있는 환경과 인프라를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저작권 관리를 위한 넓은 의미의 기술, 절차, 처리, 프로그램으로서 정의된다.
그런데,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환경이 PC 뿐만 아니라 PDA, 태블릿PC, e북 디바이스, 모바일폰, MP3 플레이어, PMP 등 다양한 기종의 하드웨어 플랫폼으로 확대되고 있는 한편으로 콘텐츠 판매업자 및 판매경로(즉, 서비스)와, 이러한 판매업자에게 DRM 서비스 패키지를 제공하는 DRM 서비스업체가 시장에서 다수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각 사용자의 디바이스별로 그리고 서비스 별로 각기 다른 DRM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예컨대 MS DRM에 의해 보호되는 콘텐츠는 MS DRM을 적용한 디바이스에서만 사용이 가능할 뿐이고 OMA DRM 등 여타의 DRM 시스템이 적용된 디바이스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그 역도 마찬가지로 성립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디바이스 또는 가입한 서비스에 따라 사용(즉 재생 또는 소비)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가 한정됨에 따라, 콘텐츠 제공자는 패키징을 통하여 하나의 콘텐츠를 다양한 포맷으로 제공해야만 하게 되고, 사용자는 자신이 구입한 콘텐츠를 자신이 소유하는 다른 디바이스에서 사용할 수 없고 만약 디바이스를 교체하는 경우 이전 디바이스에서 사용하던 포맷의 콘텐츠를 새로운 디바이스에서 사용할 수 없을 수도 있게 되어, 편의성이 극히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기 다른 DRM 간의 상호운영(Interoperability) 기능을 제공하여, 서로 다른 DRM 시스템이 적용된 디바이스들 간에 사용자가 콘텐츠를 자유롭게 복사/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을 확대시킬 수 있는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과 연동하여 디바이스간의 콘텐츠 복사/이동을 매개할 수 있는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발명의 개요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은 제1 및 제2 단말간의 콘텐츠 복사 또는 이동을 매개하는 원격지 클라이언트인 번역 에이전트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번역 에이전트는 제1 포맷으로 제1 단말에 저장되어 있고 제1 권리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제1 콘텐츠를 이와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고 제2 포맷으로 되어 있는 제2 콘텐츠로 번역하는 것을 매개하며, 상기 번역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콘텐츠를 제2 단말에 제공한다.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은 권리 발급 지원 수단, 콘텐츠 발급 수단, 및 프로파일 관리 수단을 구비한다. 권리 발급 지원 수단은 상기 번역 에이전트로부터 제2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한 제2 권리 발급 요청을 받아들이고 외부의 권리발급 시스템에 전달하여 제2 권리 발급을 하도록 요청함으로써, 상기 제2 권리 발급을 중재한다. 콘텐츠 발급 수단은 번역 에이전트로부터 제1 콘텐츠에 상응한 제2 콘텐츠의 제공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 제2 콘텐츠를 상기 번역 에이전트에 제공한다. 프로파일 관리 수단은 권리 발급 지원 수단 및 콘텐츠 발급 수단과 번역 에이전트의 동작 규칙을 테이블 형태로 등록, 삭제, 갱신하는 관리 작업을 수행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호운영 시스템과 상기 외부 권리발급 시스템은 직접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양자간의 데이터 전달을 매개하고 프로토콜을 번역하는 서버 매개 모듈을 통해서 접속된다. 이에 따라, 권리 발급 지원 수단은 상기 서버 매개 모듈을 통해서 외부 권리발급 시스템에 제2 권리 발급을 요청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부 권리발급 시스템에 의해 발급된 제2 권리가 외부 권리발급 시스템으로부터 직접 또는 상기 서버 매개 모듈을 경유하여 권리 발급 지원 수단에 제공되어, 권리 발급 지원 수단이 상기 제2 권리를 번역 에이전트에 제공하게 된다. 그렇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 권리가 외부 권리발급 시스템으로부터 직접 제2 단말에 전송될 수도 있다.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은 콘텐츠 저장 수단과, 콘텐츠 검색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콘텐츠 저장 수단은 상호운영 시스템이 이전에 다루었던 콘텐츠들을 임시로 캐싱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고, 상당기간 보관하는 저장고(repository)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콘텐츠 검색 수단은 콘텐츠 발급 수단으로부터 제2 콘텐츠 검색 요구를 받아들이고, 상기 콘텐츠 저장 수단에 제2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한다.
여기서, 콘텐츠 검색 수단이, 상기 콘텐츠 저장 수단을 검색하는 것과 아울러, 외부 시스템에 제2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할 수도 있다. 콘텐츠 검색 수단은 상기 콘텐츠 저장 수단에 제2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콘텐츠를 콘텐츠 발급 수단에 제공하고, 상기 외부 시스템에 제2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상기 외부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콘텐츠 발급 수단에 제공한다.
제2 콘텐츠가 상기 콘텐츠 저장 수단에서 발견된 경우에는, 콘텐츠 발급 수단이 소정의 방식으로 패키징된 형태로 제2 콘텐츠를 번역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호운영 시스템 내에 콘텐츠 저장 수단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고 콘텐츠 검색 수단이 외부시스템만을 대상으로 제2 콘텐츠를 검색할 수도 있다.
콘텐츠 검색 수단이 제2 콘텐츠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에는, 콘텐츠 발급 수단이 외부의 기존 디지털저작권 시스템에 제2 콘텐츠를 요청하고 받아들여, 번역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존 디지털저작권 시스템이 상기 외부 권리발급 시스템과 동일한 시스템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은 상기 제1 및 제2 단말과 상기 번역 에이전트의 성능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성능 정보를 조회하는 쿼리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제공하는 성능정보 저장 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한편,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제1 포맷으로 제1 단말에 저장되어 있고 제1 권리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제1 콘텐츠를 이와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고 제2 포맷으로 되어 있는 제2 콘텐츠로 번역하는 것을 매개한다. 그리고,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상기 제2 콘텐츠를 제2 단말에 제공하여 저장 및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a) 제1 콘텐츠 정보와 함께 제1 권리가 소정의 범용권리기술언어로 기술된 범용권리기술 인스턴스를 제1 단말로부터 받아들이는 기능과; (b) 상기 제1 콘텐츠 정보를 제2 콘텐츠로 번역하는 기능과; (c) 상기 범용권리기술 인스턴스를 소정의 외부 서버 시스템에 전송하여, 상기 외부 서버 시스템이 상기 제2 권리를 생성하도록 하는 기능과; (d)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제2 단말에 제공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는 외부 서버 시스템이 생성한 제2 권리를 상기 외부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받아들이고, 상기 (d)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는, 상기 제2 콘텐츠와 함께 상기 제2 권리를 제2 단말에 제공하게 된다. 그렇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2 권리가 상기 제2 단말로 직접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b)기능은 (b1) 제1 콘텐츠 정보를 소정의 범용콘텐츠기술포맷에 의한 범용콘텐츠기술 인스턴스로 번역하는 기능과; (b2) 상기 범용콘텐츠기술 인스턴스를 제2 콘텐츠로 번역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콘텐츠 정보 각각은 소정의 헤더 데이터와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콘텐츠 정보에서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의 포맷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b)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제1 콘텐츠 정보의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제2 콘텐츠의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로 그대로 복사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은 번역 에이전트(30)와 번역 서버 시스템(5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은 제1 단말(10)에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가 제2 단말(20)에 복사 또는 이동되는 과정에서 콘텐츠(content)와 아울러 라이센스 내지 권리(right)를 변환 내지 번역(translation)시켜줌으로써, 제1 단말(10)에서 적법하게 제1 포맷으로 저장되어 재생가능한 디지털 콘텐츠가 제2 단말(20)에 이동 또는 복사된 후 제2 포맷으로 적법하게 저장되어 재생될 수 있도록 해준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1 단말(10) 및 제2 단말(20)은 물리적인 실제 디바이스보다는 논리적, 기능적인 요소 관점에서의 존재를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며, 특히 번역 에이전트(30)와의 관계에서는 더욱 그러한 의미로 사용된다. 물론, 이와 같은 단말(10, 20) 각각은 물리적으로는 PC, PDA, 태블릿PC, e북 디바이스, 모바일폰, MP3 플레이어, PMP, 또는 여타의 디지털 저작물 재생 능력이 있는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10) 및 제2 단말(20)은 소유자가 동일할 수도 있지만, 일정 범위 내에서 또는 무제한의 범위로 소유자가 상이할 수도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단말(10)에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가 제2 단말(20)에 이동 또는 복사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겠지만, 역방향의 프로세스 역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번역 에이전트(30)와 번역 서버 시스템(50)은 과금을 전제로 디지털 콘텐츠의 이동 내지 복사를 지원하지만,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과금 프로세스나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흐 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번역 에이전트(30)는 사용자의 PC나 모바일폰과 같은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특히 이 프로그램은 번역 서버 시스템(50)으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고 자동 패치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가 있다. 번역 에이전트(30)가 설치되는 디바이스는 복사/이동되는 콘텐츠를 내보내기(export)하는 제1 단말(10) 또는 가져오기(import)하는 제2 단말(20) 중 어느 하나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번역 에이전트(30)는 번역 서버 시스템(50)과 연동하여 디바이스간의 콘텐츠 복사/이동을 매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의 복사/이동 과정에서 콘텐츠(content)의 번역은 번역 에이전트(30)가 직접 수행하고, 권리(right)의 번역은 번역 서버 시스템(50)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번역 에이전트(30) 및 번역 서버 시스템(50)의 요구에 따라 별도의 DRM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렇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텐츠(content)의 번역 역시 번역 서버 시스템(50) 또는 별도의 DRM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의 기능과 정보 변환을 위한 규칙 및 정보 표현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번역 규칙
도 1의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은 디지털저작권의 상호운영 지원을 위해 콘텐츠(content) 번역 및 권리(right) 번역과 같은 여러 형태의 번역 (translation) 서비스를 제공한다. 번역 서비스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이루어지는데, 이처럼 미리 정해진 규칙을 이하의 설명에서는 프로파일(Profile)이라 칭한다. 도 1의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번역 서버 시스템(30)에 의해 생성, 관리되는 프로파일에는 4 가지 즉, 콘텐츠 번역 프로파일, 사용규칙 번역 프로파일, ID 번역 프로파일, DRM 정보 번역 프로파일이 있다. 번역 서버 시스템(30)은 이와 같은 프로파일을 실제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브시스템들에 전달함에 있어 프로파일 기술자(Profile Descriptor)를 사용하는데, 이 프로파일 표시자는 프로파일을을 명세한 XML 파일로서, 프로파일 기재 테이블(Profile Description Table)에서 생성된 하나의 인스턴스(Instance)라고 할 수 있다.
데이터 모델
도 1의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은 기존의 다양한 DRM 시스템의 권리(Right) 정보 내지 사용규칙을 일반적으로 기술하기 위한 모델링 언어로서 범용권리기술언어(GRDL: General Rights Description Language)를 사용하며, 이와 같은 범용권리기술언어(GRDL)를 통해 명세된 Instance를 이하 범용권리기술자(GRD: General Rights Descriptor)라 한다. 범용권리기술자(GRD)는 디지털 콘텐츠를 내보내기하는 제1 단말(10)에서 기존 DRM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생성된다. 제1 단말(10)은 내보내기하려는 권리(Right)에서 정보를 추출하여 범용권리기술자(GRD)를 생성하여, 번역 에이전트(30)에 전달한다. 번역 에이전트(30)는 수신된 범용권리기술자(GRD)를 번역 서버 시스템(50)에 전달하고, 번역 서버 시스템(50)은 직접 범 용권리기술자(GRD)를 제2 단말(20)의 DRM 시스템에 의한 권리(Right)로 번역하거나 외부 시스템에 요청하여 이러변 번역이 이루어지도록한다. 제2 단말(20)의 DRM 시스템에 맞게 생성된 권리(Right)는 번역 에이전트(30)를 통해 제2 단말(20)에 전송되어 설치된다.
위와 같이 범용권리기술언어(GRDL)를 사용하는 경우 각 DRM 시스템에 의한 권리를 나머지 모든 DRM 시스템의 권리로 번역하는 기능을 별도로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즉,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이 처리하는 DRM 시스템이 n 가지라 할 때, 만일 각 DRM 시스템이 다른 모든 DRM 시스템의 권리로 번역하는 기능을 개별적으로 제공해야 한다면 전체적으로 번역 맵핑 기능 개수는 n(n-1)/2개 존재해야 하며, 나아가 새로운 DRM 시스템이 나타날 때마다 다수의 번역 맵핑 기능을 추가적으로 구현해야만 할 것이다. 그렇지만, 위와 같은 범용권리기술언어(GRDL)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보내는 DRM 시스템을 타겟 DRM 시스템 즉 가져오기(import)하는 DRM 시스템과 무관하게 오직 범용권리기술언어(GRDL)에 맞추어 기술하면 된다. 또한 어떤 DRM 시스템에서 내보내기되었는지 상관없이 범용권리기술자(GRD)에서 타겟 DRM 시스템의 System의 권리로 번역하기만 하면 되는 장점이 있다.
연동해야 할 DRM 시스템이 추가될 때 기존 범용권리기술언어(GRDL) 버전에서 표현할 수 없는 권리(Right) 항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권리(Right) 항목을 추가한 후 범용권리기술언어(GRDL) 버전을 증가시키게 된다. 범용권리기술언어(GRDL)은 XML 구조이기 때문에 새로운 권리(Right) 항목에 대한 추가가 다소 쉽다. 또한 범용권리기술언어(GRDL)의 버전이 증가하더라도 기존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상호운영 프로그램 모듈은 권리(Right)의 새로운 항목과 상관이 없기 때문에 단말의 변경은 불필요하며, 다만 새로운 DRM 시스템이 추가되었기 때문에 업데이트 가능한 번역 에이전트(30)에 해당 DRM 시스템의 플러그인(Plug-in)을 추가하게 된다.
한편, 도 1의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은 기존의 다양한 DRM 시스템의 DRM 콘텐츠(Content)를 일반적으로 기술하는 포맷으로서 범용콘텐츠기술포맷(GCDF: (General Content Description Format)을 사용한다. 범용콘텐츠기술포맷(GCDF)의 인스턴스를 이하 범용콘텐츠기술자(GCD: General Content Descriptor)라 한다. 내보내기하는 DRM 콘텐츠가 한번 범용콘텐츠기술포맷(GCDF)으로 표현되면, 어떠한 DRM 시스템으로도 가져오기를 할 수 있다.
DRM 콘텐츠를 내보내는 제1 단말(10)은 자신이 보유한 콘텐츠를 범용콘텐츠기술자(GCD)로 번역하지 않고서 그대로 번역 에이전트(30)에 전송한다. 번역 에이전트(30)는 수신된 콘텐츠를 내보내는 DRM 시스템용 플러그인 모듈을 통해 범용콘텐츠기술자(GCD)로 기술하게 된다. 내보내는 제1 단말(10)이 범용콘텐츠기술자(GCD)를 기술하지 않고 번역 에이전트(30)가 생성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단말(10)의 CPU 성능이 번역 에이전트(30)의 CPU 성능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서 단말(10)에서 복호화(즉, DRM 콘텐츠에서 원본 콘텐츠를 추출하는 것)와 암호화(원본 콘텐츠에서 GCD를 생성하는 것)를 수행하는 것이 연산속도 측면에서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범용콘텐츠기술자(GCD)는 번역 에이전트(30) 및 번역 서버 시스템(50)에 의해 타겟 DRM 시스템 즉 단말(20)에 적합한 시스템의 DRM 콘텐츠로 변형된다.
범용콘텐츠기술자(GCD)로 기술되는 정보는 크게 DRM 메타데이터와 암호화된 콘텐츠를 포함한다. DRM 메타데이터에는 DRM 시스템 식별 정보 및 버전 정보, 원본 콘텐츠 MIME 타입, 원본 콘텐츠 크기, 콘텐츠 식별자(URI 또는 Key ID 등), 암호화 방법, 권리(Right) 발급 URL, 공통 정보(타이틀, 저작자, 저작권자 등), 그리고 해당 DRM 시스템의 특유 정보가 포함된다. 암호화된 콘텐츠는 내보내기한 DRM 콘텐츠의 원본 콘텐츠를 범용콘텐츠기술포맷(GCDF)에서 정의한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한 것이다. 범용콘텐츠기술포맷(GCDF)은 가능한 DRM 콘텐츠의 암호화된 콘텐츠를 복호화하지 않고 그대로 복사, 이용하기 위해서 기존 DRM 시스템의 공개가능한 암호화 방식을 제한된 범위 내에서 지원한다. 암호화에는 권리(Right)에 포함된 암호화 키가 사용한다.
DRM 콘텐츠에서 범용콘텐츠기술자(GCD)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콘텐츠가 번역 에이전트(30) 내에서 임시적으로 평문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평문 상태에 있는 콘텐츠는 해킹 위험이 있기 때문에 연산과정 및 환경에서 탬퍼링 방지(Tamper-Resistant) 기술이 적용된다. 또한 DRM 콘텐츠의 암호화된 영역을 범용콘텐츠기술자(GCD)의 암호화된 콘텐츠로 그대로 복사할 수도 있다. 예컨대, MS DRM의 wma, wmv의 경우 암호화 알고리즘이 알려져 있지 않은 반면에, OMA DRM 콘텐츠 포맷의 경우 콘텐츠 전체를 AES_128_CBC, AES_128_CTR로 암호화하기 때문에 이 경우 범용콘텐츠기술자(GCD)로 암호화된 콘텐츠에서 이 AES_128_CBC, AES_128_CTR를 지원한다면 평문의 중간 상태 없이 그대로 암호화 콘텐츠를 복사 이용할 수 있다.
연동해야 할 DRM 시스템이 추가될 때 기존 범용콘텐츠기술포맷(GCDF) 버전에서 표현할 수 없는 DRM 메타데이터 항목 또는 암호화 형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추가 항목, 암호화 형태를 범용콘텐츠기술포맷(GCDF)에 추가하여 버전을 증가시키게 된다. DRM 콘텐츠를 범용콘텐츠기술자(GCD)로 번역하는 기능은 단말이 아닌 번역 에이전트(30)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범용콘텐츠기술포맷(GCDF)의 버전이 증가하더라도 기존 단말(10, 20)에 내장되어 있는 DRM 상호운영 모듈은 변경할 필요가 없게 된다.
권리(Right) 번역
위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제1 단말(10)에서 내보내기하는 DRM 시스템 권리(Right)는 범용권리기술자(GRD)로 명세되어 번역 에이전트(30)로 전달된다. 제1 단말(10)에 존재하는 범용권리기술자(GRD) 발생기가 처리할 수 있는 범용권리기술언어(GRDL) 버전은 해당 DRM 시스템의 권리를 충분히 표현할 수 있는 버전이다. 제1 단말(10)에 의해 생성된 범용권리기술자(GRD)는 기본적으로 번역 서버 시스템(50)으로 전달되어 타겟 DRM 시스템의 권리로 번역된다.
명세된 범용권리기술자(GRD)를 타겟 DRM 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는 권리 형태로 번역할 때, 내보내는 DRM 시스템의 권리 항목 중에 타겟 DRM 시스템에서 처리할 수 없는 항목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항목에 대해서 무시(Ignore)할 것인지, 권리 번역 작업 전체를 취소할 것인지, 특정 방식으로 처리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하는데, 이렇게 번역의 방향성은 권리 번역 프로파일에 설정된다. 예를 들어, MS DRM의 경우 AllowPlaylistBurn이라는 항목이 존재하는데 이 항목은 Windows Media File을 CD로 복사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항목이다. 이 항목을 범용권리기술자(GRD)에 표현되어 OMA DRM의 권리로 번역하고자 하는 경우(OMA DRM이 핸드폰, PDA 등에 포팅되어 있다고 가정함) 핸드폰이나 PDA에는 CD Recording 기능이 없기 때문에 위 AllowPlaylistBurn 항목을 무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범용권리기술자(GRD)에는 사용횟수 제한이 명시되어 있는데 타겟 DRM 시스템 내에서 사용 회수 제한 기능이 없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식적으로 권리 번역 자체를 허용하지 않겠지만 서비스에 따라 무제한 재생이 가능하게 허용해 줄 수도 있다. 이렇게 권리 번역에 대한 방향성은 권리 번역 프로파일에 명시된다.
XrML 구조를 이용하는 MS DRM의 라이선스와 ODRL 구조를 이용하는 OMA DRM의 권리 등 대부분의 권리는 다음과 같은 공통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 저작재산(Asset): 권리(Right)에 해당하는 DRM 콘텐츠 식별자가 기술된다.
- 퍼미션(Permission): DRM 콘텐츠에 대해서 허용가능한 작동(예컨대, 재생(Play), 보기(View), 내보내기(Export) 등)을 명시한다.
- 제약조건(Constraints 내지 Condition): 위 퍼미션에 명시된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만족해야 하는 제한조건(예컨대, 횟수, 시작일, 종료일)을 명시한다.
- 주체(Subject): 권리 발급 대상에 대한 식별자 또는 참조정보가 명세된다.
저작재산(Asset) 식별자 정보의 번역은 ID 번역 프로파일에 명시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ID 번역 프로파일에는 두 DRM 시스템간의 콘텐츠ID 번역 방식이 명세되어 있다. 콘텐츠ID 번역 방식은 번역 전후의 두 DRM 시스템의 콘텐츠ID가 일대일 맵핑된 정보를 제공한다. 퍼미션(Permission) 및 제약조건(Constraints)에 대한 번역의 방향성은 권리 번역 프로파일에 명시되어 있다.
주체(Subject)의 번역은 다른 정보의 번역에 비해 다소 복잡하다. 예를 들어 내보내기하는 DRM 시스템이 사용자의 식별번호를 DRM 시스템에서 발급한 인증서의 공개키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이 정보를 범용권리기술자(GRD)에 포함시키더라도 타겟 DRM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또는 단말기를 관리하는 내보내기하는 DRM 시스템과 연동되지 않기 때문에 이 정보를 사용할 수가 없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내보내기 제약조건을 만족한다면 같은 사용자의 단말기가 아니더라도 이동/복사를 허용해 주는 내보내기 개념을 제공하며, 따라서 타겟 DRM 시스템 측면에서는 내보내는 DRM 시스템에서 명시한 주체(Subject) 정보가 중요하지 않다. 번역 에이전트(30)가 번역 서버 시스템(50)으로 권리 번역을 요구할 때 제2 단말(20)의 주체(Subject)를 함께 제공하는데 이 정보는 제2 단말(20)에 대한 권리 발급시에 이용된다. 번역 서버 시스템(50) 측에서 DRM 시스템간의 주체(Subject) 정보 공유를 허용하게 함으로써 내보내는 제1 단말(10)에서의 주체와 제2 단말(20)에서의 주체의 연관관계를 설정하고, 이 연관 관계에 따라 권리 번역의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콘텐츠 번역
위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기존 DRM의 DRM 콘텐츠를 다른 DRM 시스템에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콘텐츠를 범용콘텐츠기술포맷(GCDF)에서 정의한 범용콘텐츠 기술자(GCD)로 기술하여야 한다. 생성된 범용콘텐츠기술자(GCD)는 타겟 DRM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DRM 콘텐츠 형태로 다시 변경된다.
내보내기하는 DRM 시스템의 DRM 콘텐츠를 범용콘텐츠기술자(GCD)로 기술하는 작업은 기본적으로 번역 에이전트(30)에 의해 수행된다. DRM 콘텐츠를 범용콘텐츠기술자(GCD)로 기술할 때 콘텐츠가 일시적으로 평문 상태로 존재하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차라리 번역 서버 시스템(50)으로 전송하여 번역 서버 시스템(50)이 타겟 DRM 시스템의 DRM 콘텐츠로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안전하겠지만, DRM 콘텐츠가 대부분 수 메가바이트(Megabytes)에서 수십 메가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므로 번역 서버 시스템(50)d로 전송하여 처리한 후 다시 다운로드받는 방식은 사용자에게 매우 느린 응답성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번역 에이전트(30)가 해당 DRM 시스템에 대해 마련된 플러그인(Plug-in)에 의해 복사/이동되는 DRM 콘텐츠를 범용콘텐츠기술자(GCD)로 번역한 후, 범용콘텐츠기술자(GCD)를 타겟 DRM의 콘텐츠 포맷으로 번역하게 된다. 그리고 번역 에이전트(30)에서의 해킹 방지를 위해, 번역 에이전트(30)에는 탬퍼링 방지(Tamper-Resistant) 기술이 적용된다. 만일 관리자가 번역 에이전트(30)에 의한 번역 과정에서의 보안이 매우 취약하여 번역 서버 시스템(50)에 전송하여 처리하는 방식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관리자는 아래에서 기술하는 번역정책에 이를 기술하고 시행할 수 있다.
콘텐츠 번역 과정에서, 타겟 단말(20)의 성능, 네트워크 특성, 사용자 선호 사항 등에 맞추어 콘텐츠 포맷을 변경하거나 콘텐츠 품질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 컨대, 내보내는 제1 단말(10)에 asf/wma/wmv와 같은 MS 미디어 포맷에 대한 보호 기술을 제공하는 DRM이 탑재되어 있고 제2 단말(20)에는 mp3에 대한 보호 기술을 제공하는 DRM이 탑재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번역 에이전트(30)는 예컨대 wma 포맷으로 되어 있는 콘텐츠를 번역함에 있어 먼저 범용콘텐츠기술자(GCD)에서 wma 포맷으로 되어 있는 원본 콘텐츠를 추출하여 mp3 포맷으로 번역한 후, 제2 단말(20)의 DRM 콘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재분배(Super-Distribution)
재분배 기술은 콘텐츠 파일 자체와 콘텐츠에 대한 권리 즉 라이선스를 독립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콘텐츠 자체는 어느 누구라도 접근,복제,전송이 가능하도록 하지만 정작 콘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권리를 별도로 획득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즉, 재분배는 '권리 없이 DRM 콘텐츠만 다른 DRM 시스템으로 전달하되 타겟 DRM 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는 DRM 콘텐츠로 변형하는 것'과 '변형된 DRM 콘텐츠에 대한 권리를 구매하도록 하는 것'의 두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분배의 개념을 도입하는 경우, 최종 사용자가 또 다른 콘텐츠 판매 채널로서 작동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RM 콘텐츠의 전송 방식에는 CD나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는 것, 직접 연결하는 것 등 여러 방식이 있는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재분배는 디바이스 예컨대 단말(10)이 처리할 수 없는 DRM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가 처리할 수 없는 DRM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디바이스는 콘텐츠 번역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번역 에이전트(30)를 통해 콘텐츠 번역을 할 수 있도록 디바이스 즉 단말은 먼저 사용자에게 번역 에이전트(30)에 연결해야 함을 알린다. 제1 단말(10)이 번역 에이전트(30)와 연결되면, 제1 단말(10)은 해당 DRM 콘텐츠를 번역 에이전트(30)로 전송한다. 번역 에이전트(30)에서 수신된 DRM 콘텐츠를 처리할 수 있는 플러그인은 DRM 콘텐츠에서 콘텐츠 식별자를 추출한다. 만일 DRM 콘텐츠를 전송한 제1 단말(10)에 해당 DRM 콘텐츠에 대한 권리가 있는 경우에는 번역 에이전트(30)가 제1 단말(10)로부터 DRM 콘텐츠에 대한 암호화 키를 전달받지만, 제1 단말(10)에 권리가 없는 경우에는 번역 에이전트(30)는 번역 서버 시스템(50)에 암호화 키를 요청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번역 서버 시스템(50)은 암호화 키를 안전한 방법으로 번역 에이전트(30)에 내려주게 된다. 암호화 키를 수신하면, 번역 에이전트(30)는 이를 이용하여 DRM 콘텐츠를 범용콘텐츠기술자(GCD)로 구성하고 범용콘텐츠기술자(GCD)를 타겟 DRM 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는 DRM 콘텐츠로 번역한다. 암호화 키는 콘텐츠 번역 후 곧바로 번역 에이전트(30)에서 삭제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암호화 키 전송으로 말미암아 발생할 수 있는 보안상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번역 서버 시스템(50)이 콘텐츠를 직접 번역하기 위해 콘텐츠를 제공할 것을 번역 에이전트(30)에 요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번역 에이전트(30)가 DRM 콘텐츠와 타겟 단말 정보를 번역 서버 시스템(50)에 전송한면, 번역 서버 시스템(50)은 번역된 DRM 콘텐츠를 번역 에이전트(30)에 다운로드하고 다시 번역 에이전트(30)는 이를 타겟 단말로 전달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번역 서버 시스템(50)에 해당 콘텐츠에 대해 타겟 DRM 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는 DRM 콘텐츠가 이미 존재한다면 이를 다운로드 해 줄 수도 있다.
재분배 가능한 DRM 콘텐츠에는 대부분 해당 콘텐츠에 대한 권리를 구입하기 위해 접근해야 할 URL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OMA DRM 콘텐츠 포맷에는 'RightIssuerURL'이라는 항목이 있고 MS DRM의 경우에는 'License Acquisition URL'이라는 항목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RightIssuerURL' 및 'License Acquisition URL'을 통용하여 사용한다. DRM 콘텐츠 번역시, 변형되는 DRM 콘텐츠의 권리 발급자 URL에는 번역 서버 시스템(50)의 해당 권리 발급자 프록시서버의 URL이 삽입된다.
차후 사용자의 단말에서 DRM 콘텐츠를 이용하고 할 때 권리 사용기간이 종료되었거나 권리 자체가 경우에는, 해당 DRM 고유의 권리 발급 절차가 시작된다. 권리 발급자 URL이 번역 서버 시스템(50)의 권리 발급자 프록시서버 URL이기 때문에 권리 발급자 프록시서버로 권리 발급 요청이 이루어진다. 권리 발급자 프록시서버는 요청된 콘텐츠를 서비스하고 있는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하여 어떠한 내용의 권리를 발급해야 하는지 등의 정보를 가지고 와서 이에 따라 권리를 생성, 발급하게 된다. 만일 해당 서비스 시스템에서 서비스하는 콘텐츠가 아닌 경우는 사용자 단말에 해당 콘텐츠에 대해 권리를 발급할 수 없음을 표시한다.
인증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번역 프로세스의 인증은 기본적으로 PKI 시스템 이 이용된다. 단말(10, 20)과, 번역 에이전트(30)와, 번역 서버 시스템(50)은 상호 인증을 위해 인증서 교환을 수행하며, 범용권리기술자(GRD), 범용콘텐츠기술자(GCD), 암호화 키 등의 정보를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인증서를 이용한 서명, 암호화를 수행한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시스템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단말(10, 20)
도 1에서, 단말(Terminal: 10, 20)은,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DRM 콘텐츠를 이용하거나 DRM 콘텐츠/권리를 내보내기(export)/가져오기(import)하는, 디바이스 내에 설치되어 있는 논리적 모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 유형을 '내보내기/가져오기가 가능한 디바이스(Export/Import-enable device)'와 '가져오기만 가능한 디바이스(Import-Only device)'로 구분한다. '내보내기/가져오기가 가능한 디바이스'는 자신이 보유한 DRM 콘텐츠를 다른 디바이스로 내보내기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다른 디바이스에 있는 DRM 콘텐츠를 가져오기할 수도 있는 디바이스로서, 본 발명에 의한 DRM 상호운영 기능 모듈이 탑재된 디바이스이다. 내보내기/가져오기는 단말 간에 직접 이루어 질 수 없으며, 번역 에이전트(30)를 통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에 탑재되는 상기 DRM 상호운영 기능 모듈은 업그레이드를 요하지 않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가져오기만 가능한 디바이스'는 DRM 상호운영 기능 모듈이 탑재되지 않은 디바이스로서, 내보내기는 불가능하고 오직 가져오기만 가능한 디바이스이다. 이 명세서에서 '단말'이라 함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내보내기/가져오기가 가능한 디바이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제1 단말(10)은 먼저 DRM 콘텐츠에 대해서 내보내기가 가능한지 판단하여 내보내기를 수행한다. 내보내기 허용 여부 판단 기준은 '권리 내에 내보내기 구문(Export Syntax/Semantic)이 존재하는 경우' 및 '권리 내에 내보내기 구문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중 어느 경우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권리 내에 내보내기 구문이 존재하는 경우'와 관련하여, 예컨대 MS DRM의 경우 AllowCopy, CopyCount, AllowTransferToNonSDMI, AllowTransferToSDMI, TransferCount와 같은 내보내기 관련 권리 항목들이 애초에 다른 DRM 시스템에 대한 내보내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를 다른 DRM 시스템으로 내보내기할 수 있다는 의미로 확장 해석하여 이용하며, OMA DRM의 경우 도메인(Domain) 개념과 내보내기(Export) 개념이 별도로 존재하는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OMA DRM의 도메인을 확장하여 다른 DRM 시스템의 영역까지 다루는 크로스도메인(Cross-Domain) 개념을 제공하지는 않으며 OMA DRM의 내보내기 개념에 대해서만 지원한다. 한편, 일부 DRM은 이동, 내보내기 또는 도메인 등에 대한 개념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처럼 '권리 내에 내보내기 구문이 존재하지 않은 DRM 시스템'에 대해서는 호환사용 정책(Policy)에서 내보내기 허용 여부를 명시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는, 내보내기 허용 여부가 DRM 시스템 기술 자체에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 서비스 측면에서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정책적으로 결정되며, 이에 따라 허용이 결정된 DRM 시스템에 대해서는 해 당 DRM으로 보호되는 모든 콘텐츠에 대해 내보내기 동작이 제어된다.
제1 단말(10)은 자신이 보유한 DRM 콘텐츠의 내보내기를 위해서 DRM 콘텐츠(이용하고 있는 DRM 시스템의 DRM 콘텐츠 포맷 그대로)와 범용권리기술자(GRD), DRM 정보를 번역 에이전트(30)로 전달한다. 범용권리기술자(GRD)는 제1 단말(10)이 내보내기할 권리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는데, 콘텐츠 식별자, 권리 발급 대상 정보(즉, 사용자 식별 정보), 퍼미션/제약조건, 암호화된 콘텐츠 암호화 키, 가져오기 가능한 DRM 시스템 식별자 정보, 복사/이동 여부 등이 포함된다.
제2 단말(20)의 가져오기는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DRM 시스템 고유의 DRM 콘텐츠/권리 전달 방식에 따라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OMA DRM의 경우 DRM 콘텐츠 다운로드 및 ROAP 트리거를 이용한 권리 설치 등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10, 20)의 일 실시예의 기능적 구성을 보여준다. 기존 DRM 시스템(12)은 권리 저장, DRM 콘텐츠 복호화 등 기존 DRM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을 통칭한 것이다. GRD 생성부(14)는 내보내기 대상 권리 정보를 추출하여 범용권리기술언어(GRDL)에 따라 범용권리기술자(GRD)를 생성한다. 내보내기 코어(16)는 기존 DRM 기능으로부터 DRM 콘텐츠 목록을 수집하거나, 특정 DRM 콘텐츠를 추출하여 범용권리기술자(GRD) 및 DRM 정보와 함께 번역 에이전트(30)에 제공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내보내기 코어(16)는 권리 정보와 DRM 콘텐츠를 얻기 위해 그리고 내보내기 후 권리 갱신을 위해 기존 DRM 시스템(12)과 연동하여 동작한다. 아울러, 내보내기 코어(16)는 DRM 콘텐츠/권리 번역시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의 위험에 대비하여 동작 과정에서 탬퍼링 방지 기술을 적용하는데, 이러한 탬퍼 링 방지 기술로는 Anti-disassembly, Anti-bugging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DRM 콘텐츠의 암호화된 영역을 범용콘텐츠기술자(GCD)의 암호화된 콘텐츠로 그대로 복사할 수도 있다. 통신 관리부(18)는 번역 에이전트(30)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단말(10, 20)은 물리적으로는 예컨대 모바일폰, MP3 플레이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경우 프로그램 모듈의 설치 및 업데이트가 용이하지 않음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말(10, 20)의 기능을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소한의 범위로 제한하고 주된 기능이 번역 에이전트(30)에 의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정책 변경 및 연동 DRM 추가로 인한 프로그램 수정이 적도록 하게 된다.
번역 에이전트(30)
도 1에서, 번역 에이전트(30)는 단말의 요청에 의해 DRM 콘텐츠/권리 번역을 수행하는 논리적 모듈이다. 이와 같은 번역 에이전트(30)는 예컨대 사용자의 PC 또는 그밖의 정보단말기에 Active-Installing 형태로 설치되며, 플러그인(Plug-in)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동해야 할 DRM 시스템이 추가되더라도 플러그인을 추가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함으로써 쉽게 업데이트할 수 있다.
번역 에이전트(30)는 제1 단말(10)로부터 DRM 콘텐츠, 범용권리기술자(GRD), DRM 정보를 전달받아 DRM 콘텐츠/권리 번역을 수행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범용권리기술자(GRD)는 제1 단말(10)에 있는 권리 정보를 범용권리기술언어(GRDL) 규격에 의해 기술한 정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DRM 콘텐츠의 번역은 기본적으로 번역 에이전트(30)에 의해 수행되지만, 번역 정책에 따라서 또는 번역 에이전트(30)에서 번역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번역 서버 시스템(50)에 전송하여 번역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반면, 권리 번역은 번역 에이전트(30)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기본적으로 번역 서버 시스템(50)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렇지만, 번역 정책에 따라서 번역 에이전트(30)가 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번역 에이전트(30)는 제1 단말(10)에서 전달된 DRM 콘텐츠를 범용콘텐츠기술자(GCD)로 변형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범용콘텐츠기술자(GCD)는 모든 DRM 콘텐츠를 표현할 수 있는 범용콘텐츠기술포맷(GCDF)에 따라 만들어진 인스턴스이다. 범용콘텐츠기술자(GCD)는 임의의 DRM 시스템의 DRM 콘텐츠로 재변형 가능하다. 번역 에이전트(30)는 범용콘텐츠기술자(GCD)를, 가져오기(Import)하는 DRM 시스템에서 사용가능한 DRM 콘텐츠 형태로, 변형한다.
번역 에이전트(30)는 단말(10, 20)과 달리 DRM 콘텐츠를 이용하는 기능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지 않고, 오직 단말(10, 20)을 위해 DRM 상호운영성 기능만을 제공한다. 다만, 예컨대 PC의 경우에는, 번역 에이전트(30)와 단말(10 또는 20)을 동시에 갖도록 하여 DRM 콘텐츠/권리 번역과 DRM 콘텐츠 사용이 동시에 가능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번역 에이전트(30)의 일 실시예의 기능적 구성을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는 단말(10, 20)과의 접속시 디바이스에 있는 DRM 콘텐츠 리스트 검색, DRM 콘텐츠 이동/복사 등의 명령을 수행하고, 에이전트 동작 상태 표시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에이전트 코어(34)는 번역 에이전트(30)가 제공하는 모든 기능의 명령자가 된다. 특히, 에이전트 코어(34)는 접속된 제1 단말(10)에 존재하는 내보내기 가능한 DRM 콘텐츠에 대한 목록작성(Enumeration) 및 발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에이전트 코어(34)는 DRM 콘텐츠/권리 번역시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의 위험에 대비하여 인증뿐만 아니라 구현 결과에 대한 탬퍼링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탬퍼링 방지 기술로는 Anti-disassembly, Anti-bugging 등을 들 수 있다. 에이전트 정책 관리부(36)는 번역 에이전트(30) 운영에 대한 정책을 번역 서버 시스템(50)으로부터 다운로드하고 이를 설치, 저장하며, 이 정책이 적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 관리부(38)는 DRM 콘텐츠/권리 번역을 위한 서버 시스템(50)으로의 요청 및 응답수신, 정책 다운로드, 플라그인 다운로드, 단말(10, 20)과의 통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플러그인 관리부(40)는 다수의 플러그인(42a~42n)의 설치 및 삭제, 플러그인(42a~42n)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인(42a~42n)은 제1 단말(10)에서 전달된 DRM 콘텐츠로부터 범용콘텐츠기술자(GCD)를 생성하는 플러그인을 포함하며, 그밖에 DRM 콘텐츠 패키징을 위한 플러그인, 번역 정책에서 허용하는 경우 범용콘텐츠기술자(GCD)를 타겟 DRM 시스템의 DRM 콘텐츠 포맷으로 재포맷팅(Reformatting)하는 플러그인, 정책이 허용하는 경우 범용권리기술자(GRD)에서 타겟 DRM 시스템의 권리 포맷으로 재포맷팅하는 플러그인, 단말과의 통신, 단말 연결 이벤트 및 단말에서의 DRM 콘텐츠 전달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해 번역 에이전트(30)를 활성화시키거나 기타 이벤트를 처리하는 이벤트 전달 플러그 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번역 서버 시스템(50)
번역 서버 시스템(50)은 번역 에이전트(30)의 요구에 응답하여, 권리 번역을 시행하고, 번역 정책에 따라서 또는 번역 에이전트(30)에서 번역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DRM 콘텐츠 번역도 수행한다. 권리 번역과 콘텐츠 번역은 비즈니스 요구 사항 등을 토대로 시스템 운영자의 사전에 정하는 정책을 토대로 운영되며, 특히, 각 DRM 시스템 개발사나 서비스 제공자들의 상호협약을 통해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수행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번역 서버 시스템(50)은, 논리적 관점에서 볼 때, 정책 관리 서버(52)와, 프로파일 관리 서버(54)와, 툴 관리 서버(56)와, 패치 관리 서버(58)와, 콘텐츠 검색 서버(60)와,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와,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와, 성능 정보 서버(66)와, 유지관리 서버(68)와, 인증서 관리 서버(70)를 구비한다. 아울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번역 서버 시스템(50)은 기존에 존재하는 각 DRM 서비스 시스템(Legacy System)과의 데이터 전달을 매개하고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각 DRM 서비스 시스템과 상호운영 시스템을 연결하는 일종의 고리 역할을 수행하는 DRM 서버 모듈(72a, 72b)을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와 같은 DRM 서버 모듈은 기존의 각 DRM 서비스 시스템(Legacy System)마다 별도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번역 서버 시스템(50)은 각각의 DRM 서버 모듈을 통하여 기존의 각 DRM 서비스 시스템(Legacy System)과 자 료를 주고받게 되는데, 일부 기능과 관련해서는 기존의 각 DRM 서비스 시스템(Legacy System)과 직접 접속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은 각 DRM 개발사 및 서비스 제공자간의 비즈니스 요구 사항이 실시간으로 적용된 정책을 토대로 통일적으로 운영된다. 서비스 제공자간의 비즈니스 이해 관계는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해 관계가 상호운영 시스템에 그대로 반영되는 것이 중요하다. 정책 관리 서버(52)는 상호운영 시스템의 기술이용 및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대한 정책을 관리하는 서브시스템이다.
정책 관리 서버(52)는 수집된 비즈니스 요구 사항을 입력받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입력받은 비즈니스 요구 사항은 정책 기술 테이블(Policy Description Table)에 저장된다. 정책 기술 테이블은 정책 기술자(Policy Descriptor)를 생성하기 위한 정책 항목들이 기술된 DB 테이블인데, 여기에서 상기 정책 기술자는 상호운영 시스템의 각 서브시스템에 정책 정보를 전달되기 위한 저장 형식이다. 상호운영 시스템의 각 서브시스템에 맞게 생성된 정책 기술자는 번역 서버 시스템(50)의 연동 기능을 통해 각 서브시스템에 전달된다. 정책 관리 서버(52)는 정책을 생성할 때, 바인딩 정보, 서명 정보를 정책 기술자에 함께 삽입하여 인증, 재생공격(Replay Attack) 등의 보안 공격에 대응한다.
또한, 정책 관리 서버(52)는 정책 기술자를 생성하기 위해 정책 항목을 시스템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기능을 제공한다. 정책 관리 서버(52)는 입력된 정책 항목이 정해진 정책 기술 규격에 맞는지 검토한 후, 정책 기술 테이블에 저장한다. 시스템 관리자는 정책 관리 서버(52)의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책 기술자 생성, 등록, 삭제, 변경, 내려 주기 등의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정책 관리 서버(52)는 패치 관리 서버(58)와 연동하여 최신의 정책 기술자를 상호운영 시스템의 각 서브시스템에 다운로드 해준다. 패치 관리 서버(58)와의 연동을 위해, 정책 관리 서버(52)는 패치 관리 서버(58)가 제공하는 프로토콜에 의해 정책 기술자를 패치 관리 서버(58)에 전달한다. 그밖에, 시스템 관리자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손쉽게 정책 관리 서버(52)를 관리할 수 있다.
위에서 간략히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의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이 제공하는 콘텐츠 번역 및 권리 번역과 같은 여러 형태의 번역(translation) 서비스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처럼 미리 정해진 규칙을 프로파일(Profile)이라 칭한다. 특히, 번역 서버 시스템(30)에 의해 생성, 관리되는 프로파일은 콘텐츠 번역 프로파일, 사용규칙 번역 프로파일, ID 번역 프로파일, DRM 정보 번역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프로파일 관리 서버(54)는 각 번역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브시스템에게 프로파일을 전달하기 위해 프로파일 기술자(Profile Descriptor)를 생성한다. 프로파일 기술자는 프로파일을 명세한 XML 파일로서, 프로파일 기술 테이블에서 생성된 하나의 인스턴스라고 할 수 있다. 프로파일 관리 서버(54)는 프로파일을 생성할 때, 바인딩 정보, 서명 정보를 프로파일 기술자에 함께 포함하여 인증, 재생공격 등의 보안 공격에 대응한다.
프로파일 기술자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파일 기술 테이블은 각 DRM 시스템 개발사나 서비스 제공자들의 상호협약을 통해 정의될 수 있다. 프로파일 기술 테이 블은 각 DRM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DRM 포맷을 위에서 예시한 4 가지 프로파일 타입에 따라 세부적으로 기술해 놓은 일종의 룰 테이블(Rule Table)이다. 상호운영 시스템 운영자는 새로운 DRM 시스템이 추가될 때마다 DRM 시스템의 특성을 분석하여 여타 DRM 시스템간의 번역/재포맷팅에 필요한 규칙들을 정리한 후 프로파일 기술 테이블을 생성한다. 프로파일 기술 테이블을 관리하기 위해, 프로파일 관리 서버(54)는 DRM 정보 등록/삭제/갱신, 프로파일 등록/삭제/갱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파일 관리 서버(54)는 패치 관리 서버(58)와 연동하여 최신의 프로파일 기술자를 번역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브시스템에 다운로드해준다. 패치 관리 서버(58)와의 연동을 위해, 프로파일 관리 서버(54)는 패치 관리 서버(58)가 제공하는 프로토콜에 의해 프로파일 기술자를 패치 관리 서버(58)에 전달한다. 그밖에, 시스템 관리자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손쉽게 프로파일 관리 서버(54)를 관리할 수 있다.
툴 관리 서버(56)는 상호운영 시스템의 클라이언트에서 필요한 응용프로그램, 라이브러리, 플러그인 등의 다양한 모듈들을 사전에 정해진 규격에 맞는지 검증하고 관리하는 서브시스템이다. 상호운영을 위한 각 툴(Tool)은,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플랫폼에 독립적이고 재사용성이 높으며 모듈화가 잘 되어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상호운영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운용되는 툴에는 암호화 모듈(Crypto Module), MAC 모듈, 해쉬(Hash) 모듈 등의 보안 툴과, 콘텐츠 번역 모듈, 콘텐츠 패키징 툴, 프로파일 분석기, 트랜스코더(Transcoder), 콘텐츠부호화/복호화기(Content Encoder/Decoder), 콘텐츠 재생기 등의 콘텐츠 취급 툴과, 권리 번역 모듈 등의 권리 취급 툴과, 프로파일 분석기, 패치 에이전트, 정책 에이전트, 키 관리기 등과 같은 관리 툴이 있다.
검증된 툴들을 각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툴 관리 서버(56)에 등록되어야 한다. 툴 관리 서버(56)는 등록된 툴들에 대한 갱신, 삭제, 상태 보기와 같은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시스템 툴들은 클라이언트에서 요구하는 플러그인 형태의 툴에 대해 사전에 정해진 규격에 따라 제작된다. 툴 관리 서버(56)는 툴의 형태, 사이즈, 기능, 보안 등이 규격을 준수하는지 검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패치 관리 서버(58)는 번역 서버 시스템(50), DRM 서버 모듈(72a, 72b), 단말(10, 20), 번역 에이전트(30)에 대하여 통합적인 패치 관리를 담당하는 서브시스템이다. 패치 관리 서버(58)가 관리하는 패치 대상은 프로그램 모듈에서부터 프로파일 기술자, 정책 기술자와 같은 데이터까지 모두 포함된다. 즉, 도 1의 상호운영 시스템에서 패치되는 데이터는 응용프로그램, 모듈, 라이브러리, 툴 등을 포괄하는데, 상호운영 시스템이 그 특성상 보안상의 해킹 위험이 높다는 특징을 감안하여, 패치 관리 서버(58)는 이들 데이터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패치 관리 서버(58)는 상호운영 시스템의 각 서브시스템으로부터 패치의 존재 유무를 확인한 후, 필요한 패치를 검사하여 다운로드해야 할 패치들을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패치 관리 서버(58)는 각 서브시스템에게 패치를 안전하고 무결하게 전달하기 위해 보안 패치 다운로드 프로토콜(Secure Patch Download Protocol)을 정의하여 이용한다. 상기 보안 패치 다운로드 프로토콜은 HTTP 상에 서 동작하기 때문에 확장성이 뛰어나다. 패치 관리 서버(58)는 각 서버로부터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응용프로그램, 모듈, 라이브러리, 툴, 데이터와 같은 패치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패치 데이터를 등록, 갱신, 삭제하는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패치 관리 기능을 기반으로, 패치 관리 서버(58)는 패치 스케줄링, 최신 패치 유지 등을 처리할 수 있으며, 패치 데이터가 필요한 시스템이 발견되면 자동으로 해당 패치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단말(10, 20)에 대한 클라이언트 모듈의 경우 번역 에이전트(30)를 패치 프록시로 설정하여 패치를 수행하게 된다. 패치 현황은 유지관리 서버(68)와의 연동을 통해 쉽게 분석할 수 있다.
콘텐츠 검색 서버(60)는, 콘텐츠를 패키징하는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번역 에이전트(30)의 요청에 따라 DRM 콘텐츠를 찾아 전달해주는 서브시스템이다. 번역 에이전트(30)는 자체적으로 타겟 DRM 시스템에 맞게 콘텐츠 번역을 시도한다. 번역 에이전트(30)의 콘텐츠 번역 작업은 DRM 시스템 특성과 주어진 환경, 패키징 툴의 존재 유무, 콘텐츠 적합화(Adaptation) 성공 여부 등에 따라 실패 여부가 결정된다. 콘텐츠 번역/재포맷팅이 실패할 경우, 번역 에이전트(30)는 번역 서버 시스템(50)에 대해 타겟 DRM 시스템의 DRM 콘텐츠 포맷으로 패키징된 콘텐츠를 요청하게 된다. 콘텐츠 요청이 수신될 때마다 매번 콘텐츠를 패키징하여 전달하는 대신에, 콘텐츠 검색 서버(60)는 이미 동일 또는 유사하게 패키징된 콘텐츠를 찾아서 번역 에이전트(30)에 전달해주거나 해당 콘텐츠에 대한 URL 같은 위치 정보를 전달한다. 콘텐츠 검색 서버(60)는 시스템 정책에 의거하여 동작하며, 따라서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검색 결과, 검색 방식, 검색 처리는 시스템 정책의 영향을 받는다.
번역 에이전트(30)가 콘텐츠 검색 서버(60)에 전송하는 검색 요청에는 올바른 검색 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힌트 정보들을 담고 있을 수 있다.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콘텐츠 검색 서버(60)는 콘텐츠 검색에 실행하기에 앞서 올바른 검색을 위해 검색 쿼리의 분석 및 적합화 기능을 수행하는데, 여기서 검색 쿼리의 적합화란 동일한 콘텐츠라 판단되지 않더라도 유사도가 높은 콘텐츠를 발견하기 위해 쿼리를 확장시키는 것을 말한다. 검색을 완료한 후, 콘텐츠 검색 서버(60)는 콘텐츠 검색 응답(Content Discovery Response)을 검색를 요청했던 서브시스템에 전달한다.
콘텐츠를 검색함에 있어, 콘텐츠 검색 서버(60)는 상호운영 시스템을 통해 패키징된 콘텐츠를 1차 검색 대상으로 한다. 상호운영 시스템을 통해 패키징되지 않은 콘텐츠는 커스터마이징에 의해 검색대상 여부가 결정된다. 하지만, 검색 결과에 여러 차례 발견된 콘텐츠에 대해서는 검색 효율 및 사용자의 서비스 경험을 높이기 위해 DRM 콘텐츠 캐싱(Caching) 기능을 통해 캐싱하게 된다. 캐싱된 콘텐츠들은 검색 빈도나 캐싱 입력 시점 등의 형태에 따라 관리 여부가 결정된다. 캐싱되는 콘텐츠의 양은 콘텐츠 검색 서버(60)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달라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 검색 서버(60)는 패키징된 콘텐츠를 복호화하여 직접 콘텐츠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콘텐츠를 검색하는 대신에, 이미 패키징된 콘텐츠에 저장되어 있는 DRM 콘텐츠 메타 정보들에 기반하여 콘텐츠를 발견한다. 따라서, DRM 콘텐츠 포맷에 콘텐츠에 대한 메타 정보를 얼마나 정확하게 자세히 기술하였느냐에 따라 콘텐츠 검색의 정확성이 결정된다.
검색 결과를 요청한 시스템에게 넘겨주기 위한 콘텐츠 검색 응답은 두 가지 즉, 목표 콘텐츠 자체 및 목표 콘텐츠의 위치 정보(예컨대, URL)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검색 결과에 따라, 콘텐츠 검색 서버(60)에 이미 캐싱되어 있는 경우에는 콘텐츠를 바로 전달해 준다. 그렇지만, 타 시스템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URL을 전달해준다. 번역 에이전트(30)에게 URL이 전달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URL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시스템 관리자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손쉽게 콘텐츠 검색 서버(60)를 관리할 수 있다.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는 패키징된 콘텐츠들의 정보를 관리하고 DRM 콘텐츠의 번역 요청을 중재하는 서브시스템으로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는 콘텐츠 자체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패키징된 콘텐츠 정보를 관리한다. 이와 같은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의 기능은 커스터마이징 여부에 따라 기존 DRM 시스템에 흡수될 수도 있으며, 기존 DRM 시스템이 이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에만 상호운영 시스템 내에서 존재가 필요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는 기존 DRM의 콘텐츠 발급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해 커스터마이징된다.
번역 에이전트(30)는 자체적으로 콘텐츠 번역을 시도한 후 실패하면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에게 타겟 DRM 시스템의 형식에 맞게 재포맷팅된 콘텐츠를 젝공할 것을 요청하고,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는 이와 같은 번역 에이전트(30)의 콘텐츠 요청을 처리한다. 먼저,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는 요청받은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가 있는지 콘텐츠 검색 서버(60)를 통해 찾아본다. 만약 일치 하는 콘텐츠가 없다면,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는 DRM 서버 모듈(72a, 72b)을 통해 기존 DRM 시스템에 대해 콘텐츠 패키징을 요청하여, 콘텐츠 패키징에 필요한 원본 콘텐츠 역시 원본을 보유한 DRM 시스템을 통해서 직접 획득한다. 이와 같이 재포맷팅을 위한 콘텐츠 패키징을 기존 DRM 시스템에 요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는 DRM 서버 모듈(72a, 72b)에 연동되며, DRM 서버 모듈(72a, 72b)은 기존 DRM 시스템의 콘텐츠 패키징 요청 규격에 따라 기존 DRM 시스템에 콘텐츠를 패키징을 요청하게 된다.
만약 기존 DRM 시스템이 상호운영 시스템을 통해 요청받아 처리한 콘텐츠 패키징 결과를 관리하지 않는다면,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는 패키징된 콘텐츠에 대한 메타 정보를 관리한다. 콘텐츠 메타 정보는 콘텐츠 검색 서버(60)에 의해 사용되는데, 다만 암호화 키와 같이 권리 발급에 필요한 일부 정보는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에게 전달된다. 타겟 DRM 시스템으로 패키징된 콘텐츠나 위치 정보가 발견되면,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는 번역 에이전트(30)에게 응답한다. 시스템 관리자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손쉽게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를 관리할 수 있다.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는 도 1의 상호운영 시스템을 통해 패키징되어 배포된 DRM 콘텐츠에 대한 권리 발급 요청을 중재하고, 발급된 권리 정보의 관리를 담당하는 서브시스템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가 직접 권리를 발급하는 것은 아니며, 권리의 실질적인 발급은 기존 DRM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이처럼 권리 발급을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가 담당하지 않는 이유 는 DRM 권리 포맷이 DRM 콘텐츠 포맷에 비해 훨씬 복잡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권리 발급 시스템이 DRM 시스템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각 DRM 시스템은 권리 발급 범위를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콘텐츠와 단말로 한정하며, 관리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DRM 콘텐츠와 단말에 대한 발급 요청은 거절한다.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는 도 1의 상호운영 시스템에 의해 처리된 콘텐츠에 대한 권리 발급 요청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한다. 권리 발급이 필요한 경우, 번역 에이전트(30)는 먼저 권리의 번역(내지 재포맷팅)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권리의 구조나 보안 메커니즘이 간단해서 번역이 가능하다면, 번역 에이전트(30)가 권리의 번역(내지 재포맷팅)을 시도한다. 그렇지만, 권리 번역이 실패하면, 번역 에이전트(30)는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에 대해 권리를 타겟 DRM 시스템의 형식에 맞게 발급해줄 것을 요청한다.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는 번역 에이전트(30)가 발급 요청한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DRM 시스템에 대해 권리 발급을 요청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재포맷팅을 위한 권리 발급 요청을 타겟 DRM 시스템이 직접 요청하지 않고, DRM 서버 모듈(72a, 72b)을 통해 발급을 요청하게 된다. 이에 따라, DRM 서버 모듈(72a, 72b)은 기존 DRM 서비스 시스템의 발급 요청 규격에 따라 권리 발급을 요청하게 되며, 발급된 권리를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에 제공한다. 권리 발급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는 발급된 권리를 번역 에이전트(30)에 제공하여 발급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는 기존 DRM 서비스 시스템에게 권리 발급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고, DRM 서버 모듈 (72a, 72b)과의 연동에 필요한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시스템 관리자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손쉽게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를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의 기능은 커스터마이징 여부에 따라 기존 DRM 서비스 시스템에 흡수될 수도 있으며, 기존 DRM 서비스 시스템이 이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에만 상호운영 시스템 내에서의 존재가 필요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는 기존 DRM의 권리 발급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해 커스터마이징된다.
성능 정보 서버(66)는 단말(10, 20) 및 번역 에이전트(30)의 성능 내지 처리능력(capability)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이러한 정보에 대한 쿼리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제공한다. 단말(10, 20)의 성능정보의 예로는 각 포맷의 콘텐츠에 대한 재생능력을 들 수 있다.
유지관리 서버(68)는 상호운용 시스템의 운용 및 유지보수를 위해 시스템 진단, 통계 기능, 장애 관리 및 경보 표시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서브시스템이다. 유지관리 서버(68)는 각 서버들을 관리하는 기능을 주 목적으로 수행하며, 웹 기반의 GUI 화면을 통해 운영자에게 시스템 상태, 프로세스 상태 그리고 다양한 통계치를 제공하게 된다. 유지관리 서버(68)는 각 서버들에 설치되어 유지관리 서버(68)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 전달하는 유지관리 에이전트와, 운용자 클라이언트 PC에 설치되어 감시 및 관리해야 할 서브시스템의 상황을 웹 기반의 GUI 화면을 통해 운영자에게 알려주는 유지관리 클라이언트와, 상기 유지관리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시스템의 현상황을 조회하고 데이터베이스 쿼리를 수행하는 서버 데몬을 포함한 다. 결국, 유지관리 서버(68)는 서비스 관리, 서비스 관리, 프로세스 관리, 운용자 관리, 상태 관리, 장애 관리, 통계 관리, 환경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인증서 관리 서버(70)는 인증서 생성, 등록, 발급, 삭제, 저장과 같은 일련의 인증서 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서브시스템으로서, 일반 CA 시스템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상호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DRM 서버 모듈(72a, 72b)은 각 DRM 서비스 시스템과 상호운영 시스템을 연결하는 일종의 고리 역할을 수행한다. DRM 서버 모듈(72a, 72b)은 각 DRM 서비스 시스템의 콘텐츠 패키징, 권리 발급 요청에 대한 규격에 맞춰 커스터마이징되어, 상호운영 시스템 내부 프로토콜과 DRM 서비스 시스템의 프로토콜 간의 변환을 매개하게 된다. 이러한 DRM 서버 모듈(72a, 72b)으로 인하여, 각 DRM 서비스 시스템마다 상이한 인터페이스가 상호운영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고, 상호운영 시스템의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 및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가 각 DRM 서비스 시스템에 콘텐츠 패키징 또는 권리 발급 요청을 하고, 요청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DRM 서버 모듈(72a, 72b)은 각각의 각 DRM 서비스 시스템과 대응하도록, 각 DRM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별도의 DRM 서버 모듈이 마련된다. 그리고, DRM 서버 모듈(72a, 72b) 역시 상호운영 시스템의 정책에 근거하여 동작한다.
이와 같은 DRM 서버 모듈(72a, 72b)은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의 콘텐츠 패키징, 콘텐츠 정보 획득, 원본 콘텐츠 획득과 같은 요청을 각 DRM 서비스 시 스템 규격에 맞춰 변경시킨 후 해당 DRM 서비스 시스템에 전송하고, 그 결과를 상호운영 시스템에 맞춰 번역한 후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에 전달해준다. 또한, DRM 서버 모듈(72a, 72b)은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의 권리 발급, 권리 발급 내역 획득과 같은 요청을 각 DRM 서비스 시스템 규격에 맞춰 변경시킨 후 해당 DRM 서비스 시스템에 전송하고, 그 결과를 상호운영 시스템에 맞춰 번역한 후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에 전달해준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서로 다른 DRM 시스템이 적용된 디바이스들간에 콘텐츠를 복사/이동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사용자가 번역 에이전트(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복사 또는 이동 명령을 입력하면(제101단계), 제1 단말(10)은 내보내기(Export) 즉 복사 또는 이동해야 하는 콘텐츠의 권리 정보를 범용권리기술언어(GRDL)로 기술하여 범용권리기술자(GRD)를 생성한다(제102단계). 제1 단말(10)은 자신이 보유한 DRM 콘텐츠와 범용권리기술자(GRD) 및 DRM 정보를 번역 에이전트(30)로 전달한다(제103단계).
이어서, 번역 에이전트(30)는 제1 단말(10)로부터 수신한 DRM 콘텐츠를 범용콘텐츠기술자(GCD)로 기술한 후(제104단계), 제2 단말(20)의 DRM 시스템에 적합한 형태로 직접 번역한다(제108단계). 도 5는 번역 에이전트(30)에서의 콘텐츠 번역 방법을 보여준다. 먼저, 범용콘텐츠기술자(GCD)로 기술되는 정보 중에서 DRM 헤더 정보 즉, DRM 시스템 식별 정보 및 버전 정보, 원본 콘텐츠 MIME 타입, 원본 콘텐 츠 크기, 콘텐츠 식별자(URI 또는 Key ID 등), 암호화 방법, 권리(Right) 발급 URL, 공통 정보(타이틀, 저작자, 저작권자 등), 그리고 해당 DRM 시스템의 특유 정보는 메타 데이터로 되어 있는데, 이 메터 데이터는 직접 제2 단말(20)에 적용된 DRM 시스템에 적합한 헤더 데이터로 번역한다. 한편, 내보내기되는 콘텐츠에서 암호화되어 있던 원본 콘텐츠 데이터는 범용콘텐츠기술자(GCD)로 번역된 후 트랜스코딩되고 다시 제2 단말(20)에 적용된 DRM 시스템에 적합한 형태로 암호화된다. 이와 같이, 원본 콘텐츠 데이터는 범용콘텐츠기술자(GCD)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콘텐츠가 번역 에이전트(30) 내에서 임시적으로 평문 상태로 존재하게 되는데, 해킹 위험을 줄이기 위해 연산과정 및 환경에서 탬퍼링 방지 기술이 적용된다. 한편, 제1 단말(10)과 제2 단말(20)에 적용된 DRM 시스템 간에 암호화된 데이터가 상호호환되는 경우에는, DRM 콘텐츠의 암호화된 영역을 복호화하지 않고 그대로 복사할 수도 있다.
제109단계 내지 제112단계에서는 권리(Right)의 번역이 이루어진다. 먼저, 제109단계에서 번역 에이전트(30)는 범용권리기술자(GRD)를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에 전달하여 권리를 타겟 DRM 시스템의 형식에 맞게 발급해줄 것을 요청한다.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는 번역 에이전트(30)가 발급 요청한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DRM 서버 모듈(72b)을 통해 해당 DRM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권리 발급을 요청한다(제110단계). 이에 따라, 외부의 타겟 DRM 시스템은 기존 DRM 서비스 시스템의 발급 규격에 따라 권리 발급을 하고(제111단계), 외부의 타겟 DRM 시스템 또는 DRM 서버 모듈(72b)이 발급된 권리를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를 경유하여 번역 에이전트(30)에 제공한다(제112단계). 콘텐츠 및 권리의 번역이 완료되면, 번역 에이전트(30)는 번역된 DRM 콘텐츠와 권리를 제2 단말(20)에 제공하여 설치되도록 하고(제113단계),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단말(20)에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제114단계).
한편, 도 4의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부의 타겟 DRM 시스템 또는 DRM 서버 모듈(72b)이 생성된 권리를 제2 단말(20)에 직접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은 이와 같은 콘텐츠 복사/이동하는 과정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가 번역 에이전트(30)가 발급 요청한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DRM 서버 모듈(72b)을 통해 해당 DRM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권리 발급을 요청하면(제110단계), 외부의 타겟 DRM 시스템은 기존 DRM 서비스 시스템의 발급 규격에 따라 권리 발급을 한 후(제111단계), 발급된 권리를 제2 단말(20)에 직접 제공하고(제112a단계),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에 대해서는 권리가 발급되었다는 사실만을 통지함으로써 권리 발급 요청에 응답한다(제112b단계). 그리고,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는 권리 발급 응답 메시지를 번역 에이전트(30)에 제공한다. 도 6에 도시된 다른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서로 다른 DRM 시스템이 적용된 디바이스들간에 콘텐츠를 복사/이동하는 과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DRM 콘텐츠의 번역이 번역 서버 시스템(5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번역 정책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거나 번역 에이전트(30)에서 번역을 할 수 없는 경우 행해질 수 있다.
사용자가 번역 에이전트(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복사 또는 이동 명령을 입력하면(제201단계), 제1 단말(10)은 내보내기(Export) 즉 복사 또는 이동해야 하는 콘텐츠의 권리 정보를 범용권리기술언어(GRDL)로 기술하여 범용권리기술자(GRD)를 생성한다(제202단계). 제1 단말(10)은 자신이 보유한 DRM 콘텐츠와 범용권리기술자(GRD) 및 DRM 정보를 번역 에이전트(30)로 전달한다(제203단계). 이어서, 번역 에이전트(30)는 제1 단말(10)로부터 수신한 DRM 콘텐츠를 범용콘텐츠기술자(GCD)로 기술한다(제204단계).
DRM 콘텐츠의 번역이 번역 서버 시스템(50)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정책적으로 정해져 있거나 번역 에이전트(30)가 자체적인 콘텐츠 번역을 실패한 경우, 번역 에이전트(30)는 범용콘텐츠기술자(GCD)를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에 전달하여 타겟 DRM 시스템의 형식에 맞게 재포맷팅된 콘텐츠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게 된다(제205단계), 이 요청을 수신하면,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는, 먼저, 요청받은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가 있는지 콘텐츠 검색 서버(60)를 통해 찾아본다(제206단계). 만약 요청받은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가 캐싱되어 있다면, 이 콘텐츠에 해당하는 범용콘텐츠기술자(GCD)가 번역 에이전트(30)에 다운로드된다(제207단계). 제208단계에서, 번역 에이전트(30)는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로부터 수신한 범용콘텐츠기술자(GCD)를 제2 단말(20)의 DRM 시스템에 적합한 형태의 콘텐츠로 번역하게 된다
제205단계 내지 제208단계에서 콘텐츠 번역이 이루어지는 것과 별도로, 제 209단계 내지 제212b단계의 권리 번역 과정이 이루어진다. 제209단계 내지 제212b단계의 권리 번역 과정은 도 6에서의 제109단계 내지 제112b단계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콘텐츠 및 권리의 번역이 완료되면, 번역 에이전트(30)는 번역된 DRM 콘텐츠와 권리를 제2 단말(20)에 제공하여 설치되도록 하고(제213단계),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단말(20)에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제214단계).
한편, 도 7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6의 실시예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외부의 타겟 DRM 시스템에 의한 권리 번역이 완료된 후, 외부의 타겟 DRM 시스템 또는 DRM 서버 모듈(72b)이 생성된 권리를 제2 단말(20)에 직접 제공하고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에 대해서는 권리가 발급되었다는 사실만을 통지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4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외부의 타겟 DRM 시스템 또는 타겟 DRM 서버 모듈(72b)이 발급된 권리를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에 제공하고, 다시 프록시 권리 발급 서버(64)가 이를 번역 에이전트(3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은 디바이스들간에 콘텐츠를 복사/이동하는 과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8에 있어서, 제201단계 내지 제2006단계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그런데, 제206단계에서 콘텐츠 검색 서버(60)가 번역 에이전트(30)가 요구한 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를 찾지 못한 경우,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는 DRM 서버 모듈(72b)을 통해 기존 DRM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콘텐츠 패키징을 요청하여, 콘텐츠 패키징에 필요한 원본 콘텐츠 역시 원본을 보유한 DRM 서비스 시스템을 통 해서 직접 획득한다(제206a단계). 그리고,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는 획득한 콘텐츠에 대한 범용콘텐츠기술자(GCD)를 번역 에이전트(30)에 제공하게 된다(제207단계).
제208단계 이후의 과정 역시 도 7에 있어서와 동일하다. 즉, 제208단계에서, 번역 에이전트(30)는 프록시 콘텐츠 발급 서버(62)로부터 수신한 범용콘텐츠기술자(GCD)를 제2 단말(20)의 DRM 시스템에 적합한 형태의 콘텐츠로 번역하게 된다. 제205단계 내지 제208단계에서 콘텐츠 번역이 이루어지는 것과 별도로, 제209단계 내지 제212b단계의 권리 번역 과정이 이루어진다. 콘텐츠 및 권리의 번역이 완료되면, 번역 에이전트(30)는 번역된 DRM 콘텐츠와 권리를 제2 단말(20)에 제공하여 설치되도록 하고(제213단계),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단말(20)에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제214단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이상에서는 제1 단말(10)과 제2 단말(20)이 상이한 경우를 중심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하였지만, 제1 단말(10)과 제2 단말(20)이 동일한 디바이스인 상태에서 상호이용 시스템이 콘텐츠의 형식만을 번역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동일한 형식의 콘텐츠를 제1 단말(10)로부터 제2 단말(20)로 복사 또는 이동하는 것을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번역 에이전트(30)는 PC에 적재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고 이러한 PC가 번역 서버 시스템(50)에 인터넷이나 그밖의 개방형 네트웍을 통해 접속되어 동 작할 수도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번역 에이전트(30)가 모바일폰이나 PDA와 같은 무선통신기기 내에서 적재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고 이러한 모바일폰이 무선망을 통해 번역 서버 시스템(50)에 접속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라 함은 번역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기록한 CD, USB 메모리, 또는 여타 휴대형 메모리 장치나, 하드디스크는 물론 이러한 메모리 장치가 부착된 PC를 포함함은 물론, 모바일폰이나 PDA와 같은 무선통신기기 내에 설치된 비휘발성 메모리나 무선통신기기에 탈부착이 가능한 외부 메모리 장치나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가 설치된 무선통신기기 자체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은 각기 다른 DRM 간의 호환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서로 다른 DRM 시스템이 적용된 디바이스들 간에 콘텐츠를 자유롭게 복사/이동해서 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각각의 DRM으로 보호되는 콘텐츠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디지털 콘텐츠와 각 디바이이스의 효용 및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 의 안전한 유통 채널을 확보하게 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을 확대시키게 되어, 콘텐츠를 판매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는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보호받으면서 시장 확대 및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DRM 시스템을 개발하는 시스템 사업자의 경우, DRM 기술 공개를 최소화하고 기존 DRM의 수정을 최소화하면서, DRM의 저변이 확대되고 수요가 증대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8)

  1. 제1 포맷으로 제1 단말에 저장되어 있고 제1 권리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제1 콘텐츠를, 이와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고 제2 포맷으로 되어 있는 제2 콘텐츠로 번역하는 것을 매개하여 상기 제2 콘텐츠를 제2 단말에 제공하는 번역 에이전트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될 수 있는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으로서,
    상기 번역 에이전트로부터 상기 제2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한 제2 권리 발급 요청을 받아들이고 외부의 권리발급 시스템에 전달하여, 상기 제2 권리 발급을 중재하는 권리 발급 지원 수단;
    상기 번역 에이전트로부터 상기 제1 콘텐츠에 상응한 상기 제2 콘텐츠의 제공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번역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콘텐츠 발급 수단; 및
    상기 권리 발급 지원 수단 및 상기 콘텐츠 발급 수단과 상기 번역 에이전트의 동작 규칙을 테이블 형태로 관리하기 위한 프로파일 관리 수단;
    을 구비하는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운영 시스템과 상기 외부 권리발급 시스템간의 데이터 전달을 매개하는 서버 매개 모듈;
    을 더 구비하며, 상기 권리 발급 지원 수단이 상기 서버 매개 모듈을 통해서 상기 외부 권리발급 시스템에 상기 제2 권리 발급을 요청하는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리 발급 지원 수단이 상기 외부 권리발급 시스템으로부터 직접 또는 상기 서버 매개 모듈을 경유하여 상기 제2 권리를 받아들이고, 이를 상기 번역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권리발급 시스템이 직접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제2 권리를 전송하는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콘텐츠 저장 수단; 및
    상기 콘텐츠 발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콘텐츠 검색 요구를 받아들이고, 상기 콘텐츠 저장 수단에 상기 제2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는 콘텐츠 검색 수단;
    을 더 구비하는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검색 수단이 상기 콘텐츠 저장 수단과 외부 시 스템에서 상기 제2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며, 상기 콘텐츠 저장 수단에 상기 제2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발급 수단에 제공하고, 상기 외부 시스템에 상기 제2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외부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상기 콘텐츠 발급 수단에 제공하는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7.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텐츠가 상기 콘텐츠 저장 수단에서 발견된 경우, 상기 콘텐츠 발급 수단이 소정의 방식으로 패키징된 형태로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번역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발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콘텐츠 검색 요구를 받아들이고, 외부 시스템에 상기 제2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여, 상기 제2 콘텐츠가 저장된 상기 외부 시스템을 발견한 경우 상기 외부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상기 콘텐츠 발급 수단에 제공하는 콘텐츠 검색 수단;
    을 더 구비하는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9. 제5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검색 수단이 상기 제2 콘텐츠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 상기 콘텐츠 발급 수단이 외부의 기존 디지털저작권 시스템에 상기 제2 콘텐츠를 요청하고 받아들여 상기 번역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디지털저작권 시스템이 상기 외부 권리발급 시스템과 동일한 시스템인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말과 상기 번역 에이전트의 성능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성능 정보를 조회하는 쿼리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제공하는 성능정보 저장 수단;
    을 더 구비하는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말이 물리적으로 동일한 장치인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맷과 상기 제2 포맷이 동일한 포맷인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14. 제1 포맷으로 제1 단말에 저장되어 있고 제1 권리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제1 콘텐츠를 이와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고 제2 포맷으로 되어 있는 제2 콘텐츠로 번역하는 것을 매개하고 상기 제2 콘텐츠를 제2 단말에 제공하는 번역 에이전트 프로그램으로서,
    (a) 상기 제1 콘텐츠 정보와 함께 상기 제1 권리가 소정의 범용권리기술언어로 기술된 범용권리기술 인스턴스를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받아들이는 기능;
    (b) 상기 제1 콘텐츠 정보를 상기 제2 콘텐츠로 번역하는 기능;
    (c) 상기 범용권리기술 인스턴스를 소정의 외부 서버 시스템에 전송하여, 상기 외부 서버 시스템이 상기 제2 권리를 생성하도록 하는 기능; 및
    (d)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제2 단말에 제공하는 기능;
    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기능이
    상기 제2 권리를 받아들이는 기능;
    을 더 구비하고,
    상기 (d)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텐츠와 함께 상기 제2 권리를 상기 제2 단말에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권리가 상기 제2 단말로 직접 제공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기능이
    (b1) 상기 제1 콘텐츠 정보를 소정의 범용콘텐츠기술포맷에 의한 범용콘텐츠기술 인스턴스로 번역하는 기능; 및
    (b2) 상기 범용콘텐츠기술 인스턴스를 상기 제2 콘텐츠로 번역하는 기능;
    을 구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8.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콘텐츠 정보 각각이 소정의 헤더 데이터와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b)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텐츠 정보의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제2 콘텐츠의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로 그대로 복사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50122412A 2005-12-13 2005-12-13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70062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412A KR20070062706A (ko) 2005-12-13 2005-12-13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412A KR20070062706A (ko) 2005-12-13 2005-12-13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706A true KR20070062706A (ko) 2007-06-18

Family

ID=38362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412A KR20070062706A (ko) 2005-12-13 2005-12-13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27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866B1 (ko) * 2017-10-27 2018-08-16 디자인정글(주)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866B1 (ko) * 2017-10-27 2018-08-16 디자인정글(주)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9083159A1 (ko) * 2017-10-27 2019-05-02 디자인정글(주) 저작권 보호를 통한 콘텐츠 유통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0230B2 (en) System for dynamically encrypting content for secure internet commerce and providing embedded fulfillment software
EP26281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drm module
KR101379861B1 (ko) Drm 제공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TWI413908B (zh) 用於授證應用程式之彈性授證架構
US7743427B2 (en) System for dynamically encrypting information for secure internet commerce and providing embedded fulfillment software
US200402053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US82915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ontent
US10068067B2 (en) File origin determination
US7356847B2 (en) System for dynamically encrypting content for secure internet commerce and providing embedded fulfillment software
US200500443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time management in digital rights management
KR101487175B1 (ko) 분리형 ro 관리를 위한 호스트 단말 및 저장 장치, 그의 분리형 ro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2010003103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sharing drm agents
US20070112679A1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100713844B1 (ko) 디알엠 컨버터
KR20080081631A (ko) 이동 단말에 탑재되는 디지털 권한 관리 장치 및 이를이용한 디지털 권한 관리 방법
US20120284797A1 (en) Drm service providing method, apparatus and drm service receiving method in user terminal
KR20070062706A (ko) 디지털저작권 상호운영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814064B1 (ko) Drm 컨텐츠 패키징 방법 및 시스템
EP2034420A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operating right
KR20140043077A (ko) 특정 컨텐츠에 대응하는 drm 기능을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659082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07172148A (ja) 画像の階層的な配信方法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