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83103A1 -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83103A1
WO2019083103A1 PCT/KR2018/003772 KR2018003772W WO2019083103A1 WO 2019083103 A1 WO2019083103 A1 WO 2019083103A1 KR 2018003772 W KR2018003772 W KR 2018003772W WO 2019083103 A1 WO2019083103 A1 WO 201908310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ntropy alloy
phase
fcc
high entropy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377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병주
이성학
손석수
김형섭
김동근
조용희
최원미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3905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90009229A/ko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EP18814482.8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93483A4/en
Priority to US16/310,545 priority patent/US11313018B2/en
Priority to JP2018566357A priority patent/JP2021500469A/ja
Publication of WO201908310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831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0/00Alloys containing less than 50% by weight of each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Abstract

본 발명은 극저온에서의 변형시에 상변태가 발생하여 종래에 비해 향상된 기계적 특성을 얻을 수 있는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엔트로피 합금은, Co: 10 ~ 35 at%, Cr: 3 ~ 15 at%, V: 3 ~ 15 at%, Fe: 35 ~ 48 at%, Ni: 0 ~ 25 at% 미만을 포함하고, 상온에서 주로 FCC 상으로 이루어지고, 극저온(-196℃)에서 FCC 상의 적어도 일부가 BCC 상으로 변하는 소성유기변태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극저온에서의 변형시에 상변태가 발생하여 종래에 비해 향상된 기계적 특성을 얻을 수 있는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엔트로피 합금(high-entropy alloy, HEA)은 일반적인 합금인 철강, 알루미늄 합금, 타이타늄 합금 등과 같이 합금을 구성하는 주 원소 없이 다섯 가지 이상의 구성 원소를 비슷한 비율로 합금화하여 얻어지는 다원소 합금으로서, 합금 내의 혼합 엔트로피가 높아 금속간화합물 또는 중간상이 형성되지 않고 면심입방격자(face-centered cubic, FCC) 또는 체심입방격자(body-centered cubic, BCC)와 같은 단상(single phase) 조직을 갖는 금속 소재이다.
특히, Co-Cr-Fe-Mn-Ni 계열의 고엔트로피 합금의 경우, 우수한 극저온 물성, 높은 파괴인성과 내식성을 가지기 때문에 극한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고엔트로피 합금을 설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는 합금을 구성하는 원소들의 조성 비율이다.
상기 고엔트로피 합금의 조성 비율로, 전형적인 고엔트로피 합금은 최소 다섯 가지 이상의 주요 합금 원소들로 구성하고 있어야 하며, 각각의 합금 구성 원소의 조성 비율은 5~35 at%로 정의되며, 주요 합금 구성 원소 외에 다른 원소를 첨가할 경우, 그 첨가량은 5 at% 미만이여야 한다.
하지만, 최근 Fe50Mn50Co10Cr10 고엔트로피 합금이 소개되는 등 고엔트로피 합금의 정의 역시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기존의 Co-Cr-Fe-Mn-Ni 계열의 고엔트로피 합금의 경우 극저온에서 다량의 변형쌍정 발생을 통해 우수한 극저온 물성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로 FCC 상으로 이루어지고 종래 보고된 FCC 단상의 고엔트로피 합금보다 극저온(-196℃)에서 더 향상된 기계적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Co: 10 ~ 35 at%, Cr: 3 ~ 15 at%, V: 3 ~ 15 at%, Fe: 35 ~ 48 at%, Ni: 0 ~ 25 at% 미만을 포함하고, 상온에서 주로 FCC 상으로 이루어지고, 극저온(-196℃)에서 FCC 상의 적어도 일부가 BCC 상으로 변하는 소성유기변태가 발생하는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Co: 10 ~ 35 at%, Cr: 3 ~ 15 at%, V: 3 ~ 15 at%, Fe: 35 ~ 48 at%, Ni: 0 ~ 25 at% 미만을 포함하는 고엔트로피 합금의 조직을 균질화하기 위한 가열 및 냉각을 포함하는 균질화 처리 단계와, 상기 균질화 처리된 고엔트로피 합금을 소정 두께의 판재로 압연하는 단계와, 상기 압연된 고엔트로피 합금을 FCC 단상 영역까지 가열한 후 FCC 상이 유지될 수 있는 냉각속도로 냉각시키는 어닐링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엔트로피 합금은, 기존의 5원계 고엔트로피 합금과 같이, Co, Cr, Fe 및 V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Ni를 포함하는 4원계 내지 5원계 조성으로 단상의 FCC 조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엔트로피 합금은 Co-Cr-Fe-Mn-Ni 계열의 고엔트로피 합금과 달리, 극저온(-196℃)에서 변태유기소성을 일으켜 종래의 단상의 고엔트로피 합금보다 극저온(-196℃)에서 우수한 인장 강도, 연성 및 파괴 특성을 갖는다.
도 1은 45 at%의 철(Fe)과 10 at%의 크롬(Cr) 및 10 at%의 바나듐(V)을 고정하고, X at%의 코발트(Co)와 35-X at%의 니켈(Ni)의 조성에 있어서, 코발트(Co) 함량의 변화 시 합금의 몰 분율에 따른 상평형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45 at%의 철(Fe)과 10 at%의 크롬(Cr) 및 10 at%의 바나듐(V)을 고정하고, X at%의 코발트(Co)와 35-X at%의 니켈(Ni)의 조성에 있어서, 298K에서 코발트(Co) 함량의 변화 시, 열역학적 계산을 통해 BCC 상에 대한 FCC 상의 안정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10 at%의 크롬(Cr)과 10 at%의 바나듐(V) 및 30 at%의 코발트(Co)를 고정하고, X at%의 철(Fe)과 50-X at%의 니켈(Ni)의 조성에 있어서, 철(Fe) 함량의 변화 시, 합금의 몰 분율에 따른 상평형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10 at%의 크롬(Cr)과 10 at%의 바나듐(V) 및 30 at%의 코발트(Co)를 고정하고, X at%의 철(Fe)과 50-X at%의 니켈(Ni)의 조성에 있어서, 철(Fe) 함량의 변화 시, 298K에서 열역학적 계산을 통해 BCC 상에 대한 FCC 상의 안정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 3과 비교예에 따른 고엔트로피 합금의 제조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 3과 비교예에 따른 고엔트로피 합금의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 3과 비교예에 따른 고엔트로피 합금의 상온(RT) 및 극저온(LN2)에서의 인장 시험 과정에 FCC 상에서 BCC 상으로의 변태 분율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 3과 비교예에 따른 고엔트로피 합금의 상온(25℃) 인장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 3과 비교예에 따른 고엔트로피 합금의 극저온(-196℃) 인장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 3과 비교예에 따른 고엔트로피 합금과, 종래의 극저온 재료 및 기존의 고엔트로피 합금의 극저온 기계적 물성을 비교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고엔트로피 합금의 충격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엔트로피 합금과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45 at%의 철(Fe)과 10 at%의 크롬(Cr) 및 10 at%의 바나듐(V)을 고정하고, X at%의 코발트(Co)와 35-X at%의 니켈(Ni)의 조성에 있어서, 코발트(Co) 함량의 변화 시 합금의 몰 분율에 따른 상평형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45Fe-10Cr-10V(수치는 at%임)에 코발트(Co)와 니켈(Ni)을 대체할 때, 코발트(Co)가 감소함에 따라 FCC 단상 영역이 확장되는 것이 확인된다. 이는 45 at%의 Fe와 10 at%의 크롬(Cr)과 10 at%의 바나듐(V), 그리고 코발트(Co)와 니켈(Ni) 대체에 따라 35 at% 이하의 코발트(Co) 첨가시 900℃ 이상에서 안정적으로 주로 FCC 상으로 이루어진 미세조직을 갖는 고엔트로피 합금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45 at%의 철(Fe)과 10 at%의 크롬(Cr) 및 10 at%의 바나듐(V)을 고정하고, X at%의 코발트(Co)와 35-X at%의 니켈(Ni)의 조성에 있어서, 298K에서 코발트(Co) 함량의 변화 시, 열역학적 계산을 통해 BCC 상에 대한 FCC 상의 안정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45Fe-10Cr-10V(수치는 at%임)에 니켈(Ni)을 코발트(Co)로 대체하게 되면, 코발트(Co)의 몰비 증가함에 따라 BCC 상과 FCC 상 간의 깁스자유에너지 차이가 커지고, BCC 상의 안정성이 증가하는데, 이는 변형이 가해졌을 때, FCC 상에서 BCC 상으로의 변태가 발생하도록 하는 구동력으로 작용하여 변태가 일어나도록 함을 의미한다.
도 3은 10 at%의 크롬(Cr)과 10 at%의 바나듐(V) 및 30 at%의 코발트(Co)를 고정하고, X at%의 철(Fe)과 50-X at%의 니켈(Ni)의 조성에 있어서, 철(Fe) 함량의 변화 시, 합금의 몰 분율에 따른 상평형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Cr-10V-30Co(수치는 at%임)에 철(Fe)과 (Ni)을 대체할 때, 철(Fe)이 감소함에 따라 FCC 단상 영역이 넓어지는 것으로 확인되며, 철(Fe)의 함량은 48 at% 이하인 것이 FCC 단상을 유지하는데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도 4는 10 at%의 크롬(Cr)과 10 at%의 바나듐(V) 및 30 at%의 코발트(Co)를 고정하고, X at%의 철(Fe)과 50-X at%의 니켈(Ni)의 조성에 있어서, 철(Fe) 함량의 변화 시, 298K에서 열역학적 계산을 통해 BCC 상에 대한 FCC 상의 안정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예측되는 바와 같이, FCC 상에서 BCC 상으로의 변태에 필요한 구동력을 고려할 때, 철(Fe)의 함량은 35 at%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도 1 ~ 4에 나타난 결과를 통해, 상기 성분과 조성범위를 갖는 합금을 열처리함으로써, 주로 FCC 상으로 이루어지고 체심입방구조(BCC)의 깁스자유에너지가 면심입방구조(FCC)의 깁스자유에너지보다 작은 고엔트로피 합금을 얻을 수 있고, 이러한 합금은 극저온(-196℃) 환경에서 변형될 때 적어도 일부의 FCC 상이 BCC 상으로 변태하여 극저온에서의 기계적 특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엔트로피 합금은 상기와 같은 합금설계 원리에 따라 개발된 것으로, Co, Cr, Fe, V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Ni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주로 FCC 상으로 이루어지고, 극저온(-196℃)에서 소성 변형이 가해질 때 FCC 상에서 BCC 상으로의 변태유기소성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엔트로피 합금은, 바람직하게, Co: 10 ~ 35 at%, Cr: 3 ~ 15 at%, V: 3 ~ 15 at%, Fe: 35 ~ 48 at%, Ni: 0 ~ 25 at% 미만과, 나머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금을 구성하는 합금원소의 조성범위를 상기와 같이 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Co는 10 at% 미만이거나 35 at% 초과일 경우, 변태유기소성이 일어나지 않거나 FCC 상이 주가 되는 상을 얻지 못할 수 잇으므로, 10 ~ 35 at% 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Co 함량은 15 ~ 30 at% 이다.
상기 Cr는 3 at% 미만일 경우 내식성이 감소하고, 15 at%를 초과할 경우에는가격이 증가하므로, 3 ~ 15 at%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10 at%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Ni는 25 at% 이상일 경우 변태유기소성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25 at%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 at%일 경우 900℃에서의 열처리로 완전한 FCC 단상이 얻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900℃에서의 열처리로 FCC 단상 조직을 구현하고자 할 경우 2.5 ~ 20 at%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Fe는 35 at% 미만이거나 48 at% 초과일 경우, 변태유기소성이 얼어나지 않거나 FCC 상이 주가 되는 상을 얻지 못할 수 있으므로, 35 ~ 48 at% 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Fe 함량은 40 ~ 45 at%이다.
상기 V는 3 at% 미만일 경우 고용강화 효과가 감소하고, 15 at%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격이 상승하므로, 3 ~ 15 at%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10 at%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불가피한 불순물은, 상기 합금원소 이외의 성분으로, 원료 또는 제조과정에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성분으로, 1 at%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a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at% 이하가 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은, 상온에서 주로 FCC 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FCC 상의 분율은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FCC 단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은, 극저온(-196℃)에서의 변형 과정에 변형 전 FCC 상의 적어도 일부가 BCC 상으로 변하는 상변태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FCC 상은 전부 BCC 상으로 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은, 바람직하게 상온(25℃)에서의 인장강도가 650MPa 이상이고, 연신율이 5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은, 바람직하게 극저온(-196℃)에서의 인장강도가 1100MPa 이상이고, 연신율이 65%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은, 상온(25℃)에서 충격 에너지와 극저온(-196℃)에서의 충격 에너지의 차이가 1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은 바람직하게 다음과 같은 (a) ~ (c)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a) Co: 10 ~ 35 at%, Cr: 3 ~ 15 at%, V: 3 ~ 15 at%, Fe: 35 ~ 48 at%, Ni: 0 ~ 25 at% 미만을 포함하는 고엔트로피 합금의 조직을 균질화하기 위한 가열 및 냉각을 포함하는 균질화 처리 단계;
(b) 상기 균질화 처리된 고엔트로피 합금을 소정 두께의 판재로 압연하는 단계; 및
(c) 상기 압연된 고엔트로피 합금을 FCC 단상 영역까지 가열한 후 FCC 상이 유지될 수 있는 냉각속도로 냉각시키는 어닐링 처리 단계;
상기 균질화 처리 단계에 있어서, 균질화 처리온도는 1000℃ 미만에서는 균질화 효과가 부족하고 1200℃ 초과에서는 열처리 비용이 과다해지므로, 1000 ~ 1200℃ 범위가 바람직하고, 균질화 처리시간은 6 시간 미만일 경우 균질화 효과가 부족하고 24 시간 초과일 경우 열처리 비용이 과다해지므로, 6 ~ 24 시간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어닐링 처리 단계에 있어서, 어닐링 처리온도는 800℃ 미만에서는 완전 재결정을 달성할 수 없고 1000℃ 초과에서는 결정립 조대화가 심해지므로, 800 ~ 1000℃ 범위가 바람직하고, 어닐링 처리시간은 3분 미만일 경우 완전 재결정을 달성할 수 없고 1 시간 초과일 경우 열처리 비용이 과다해지므로, 3분 ~ 1 시간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와 (c) 단계에서의 냉각은 바람직하게 수냉(water quenching)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나, 각 냉각처리 후에 요구되는 조직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고엔트로피 합금의 제조
먼저, 순도 99.9% 이상의 Co, Cr, Fe, Ni, V 금속을 준비하였다. 이와 같이 준비한 금속을 아래 표 1과 같은 혼합 비율이 되도록 칭량하였다.
구분 원료 혼합 비율 (at%)
Co Cr V Fe Ni
실시예1 35 10 10 45 0
실시예2 30 10 10 45 5
실시예3 20 10 10 45 15
비교예 10 10 10 45 25
이상과 같은 비율로 준비된 원료 금속을 도가니에 장입한 후, 진공유도용해 장비를 사용하여 용해하고, 주형을 사용하여 두께 8mm, 폭 35mm, 길이 100mm의 직육면체 형상의 합금 잉곳(ingot)을 주조하였다.주조된 두께 8mm의 잉곳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0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균질화 열처리를 실시한 후, 수냉(quenching)하였다.
균질화된 합금의 표면에 생성된 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표면 연마(grinding)을 하였으며, 연마된 잉곳의 두께는 7mm가 되었고, 두께 7mm에서 1.5mmm까지 냉간압연을 진행하였다.
또한, 냉간압연 각 합금 판재에 대해서는 90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FCC 상이 유지되도록 한 후, 수냉(quenching)하여 상온에서 FCC 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어닐링 (annealing) 처리를 실시하였다.
XRD 및 미세조직 분석 결과
도 6은 전술한 공정을 통해 제조한 실시예 1 ~ 3과 비교예에 따른 합금의 상온에서의 XRD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XRD 측정은 시편의 연마 시의 변형으로 인한 상변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포 600번, 800번, 1200번, 2000번 순서로 연마 후, 8% 과염소산(Perchloric acid)에서 전해 에칭을 수행한 후 진행하였다.
도 6에서 "0 Ni"는 실시예 1, "5 Ni"는 실시예 2, "15 Ni"는 실시예 3, "25 Ni"는 비교예에 따른 합금을 각각 지시하며, 도 6 이후의 도면에서도 동일하다.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에 따른 합금의 경우, XRD 분석 상으로 모두 FCC 단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비해, 실시예 1에 따른 합금의 경우, 대부분은 FCC 상으로 이루어지고 소량의 BCC 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 1의 상태도에서 예측되는 바와 일치하는데, 어닐링 온도를 900℃보다 더 높일 경우 실시예 2 ~ 3에 따른 합금과 동일하게 FCC 단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변태유기소성
도 7은 상온 및 극저온(-196℃) 인장 시험 후의 미세조직에서 BCC 상이 차지하는 분율을 실시예 1 ~ 3과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고엔트로피 합금의 Ni 함량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상온 인장시험에서도 약 24% 정도의 상변태가 이루어졌으나, 실시예 2는 0.8%, 실시예 3은 0.3%으로 극히 낮게 나타났고, 비교예는 0%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극저온(-196℃) 인장 시험의 경우, 실시예 1은 99%, 실시예 2는 95%, 실시예 3은 13%, 비교예는 0%로 각각 나타났으며, Ni의 함량이 적을수록 FCC 상에서 BCC 상으로의 상변태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장시험 결과
도 8 및 9와 아래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 3과 비교예 합금의 상온(25℃) 및 극저온(-196℃)에서의 인장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상온 극저온(-196℃)
항복강도(MPa) 인장강도(MPa) 연신율(%) 항복강도(MPa) 인장강도(MPa) 연신율(%)
실시예1 427 745 70.1 653 1623 65.0
실시예2 348 714 62.0 601 1291 81.7
실시예3 339 679 51.1 569 1142 82.3
비교예 339 684 47.0 468 996 69.4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 3에 따른 고엔트로피 합금의 상온 항복강도는 339 ~ 427MPa, 인장강도 679 ~ 745MPa, 연신율 51.1 ~ 70.1%로 나타났으며, 비교예는 항복강도 339MPa, 인장강도 684MPa, 연신율 47.0%로 실시예 1 ~ 3과 큰 차이가 없었다.
한편, 실시예 1 ~ 3에 따른 고엔트로피 합금의 극저온(-196℃)에서의 항복강도는 569 ~ 653MPa, 인장강도 1142 ~ 1623MPa, 연신율 65.0 ~ 82.3%로 나타난 것에 비해, 비교예는 항복강도 468MPa, 인장강도 996MPa, 연신율 69.4%로 실시예 1 ~ 3에 비해 기계적 특성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온에서 유사한 특성을 나타낸 실시예 3과 비교할 때 현저한 차이를 나타낸 것인데, 이러한 차이는 변태유기소성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고엔트로피 합금은 극저온에서의 인장강도가 1623MPa로 높고 연신율도 65.0%로 양호하여 높은 강도와 양호한 연신율을 나타내었고, 실시예 2 및 3의 경우, 극저온에서의 인장강도가 1142 ~ 1291MPa로 상당히 높으면서 연신율이 81.7 ~ 82.3%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어, 각각 인장강도와 연신율의 측면에서 매우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 3에 따른 고엔트로피 합금(도면상 별표로 표시된 값)과 기존에 보고된 다른 합금의 극저온 인장강도 및 연신율를 비교한 것이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 3에 따른 고엔트로피 합금의 인장강도와 연신율이 극히 높아 기존에 보고된 어떠한 종래 합금이나 고엔트로피 합금에 비해서도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충격시험 결과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고엔트로피 합금을 상온에서 극저온까지의 환경에서 샤피 충격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샤피 충격 시험에서는 두께 5mm의 서브 사이즈 시편을 사용하였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고엔트로피 합금은 상온 충격 에너지값과 극저온 충격 에너지값이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 일정한 값을 나타내어, 일반적으로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충격 에너지값이 감소하며 극저온에서 BCC 상이 존재할 경우 급격한 충격 에너지 하락을 보이는 기존의 재료에서 보기 어려운 특이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미래창조과학부가 지원하고 재단법인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한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과제번호: 40013581, 과제명: MULTI-PHYSICS FULL-SCALE 통합형 모델링 기반 극한환경)으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 결과이다.

Claims (12)

  1. Co: 10 ~ 35 at%, Cr: 3 ~ 15 at%, V: 3 ~ 15 at%, Fe: 35 ~ 48 at%, Ni: 0 ~ 25 at% 미만을 포함하고,
    상온에서 주로 FCC 상으로 이루어지고,
    극저온(-196℃)에서 FCC 상의 적어도 일부가 BCC 상으로 변하는 소성유기변태가 발생하는,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o 함량은 15 ~ 30 at%인,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r 함량은 5 ~ 10 at%인,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 함량은 5 ~ 10 at%인,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리피 합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i 함량은 2.5 ~ 20 at%인,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e 함량은 40 ~ 45 at%인,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엔트로피 합금은, 상온(25℃)에서의 인장강도가 650MPa 이상이고,
    연신율이 50% 이상인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엔트로피 합금은, 극저온(-196℃)에서의 인장강도가 1100MPa 이상이고,
    연신율이 65% 이상인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엔트로피 합금은, 상온(25℃)에서 충격 에너지와 극저온(-196℃)에서의 충격 에너지의 차이가 10% 이하인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
  10. Co: 10 ~ 35 at%, Cr: 3 ~ 15 at%, V: 3 ~ 15 at%, Fe: 35 ~ 48 at%, Ni: 0 ~ 25 at% 미만을 포함하는 고엔트로피 합금의 조직을 균질화하기 위한 가열 및 냉각을 포함하는 균질화 처리 단계와,
    상기 균질화 처리된 고엔트로피 합금을 소정 두께의 판재로 압연하는 단계와,
    상기 압연된 고엔트로피 합금을 FCC 단상 영역까지 가열한 후 FCC 상이 유지될 수 있는 냉각속도로 냉각시키는 어닐링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균질화 처리 단계는 1000 ~ 1200℃에서 6 ~ 24 시간 동안 수행하는,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 처리 단계는 800 ~ 1000℃에서 3분 ~ 1 시간 동안 수행하는,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의 제조방법.
PCT/KR2018/003772 2017-07-18 2018-03-30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083103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814482.8A EP3693483A4 (en) 2017-10-25 2018-03-30 TRANSFORMATION-INDUCED HIGH-PLASTICITY ENTROPY ALLOY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US16/310,545 US11313018B2 (en) 2017-07-18 2018-03-30 Transformation-induced plasticity high-entropy allo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18566357A JP2021500469A (ja) 2017-07-18 2018-03-30 変態誘起塑性高エントロピー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052A KR20190009229A (ko) 2017-07-18 2017-10-25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7-0139052 2017-10-25
KR10-2018-0006851 2018-01-19
KR1020180006851A KR102054735B1 (ko) 2017-07-18 2018-01-19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3103A1 true WO2019083103A1 (ko) 2019-05-02

Family

ID=66247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3772 WO2019083103A1 (ko) 2017-07-18 2018-03-30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693483A4 (ko)
WO (1) WO201908310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2014A (zh) * 2021-02-03 2021-06-15 湖南大学 一种基于退火硬化提高多组元合金强塑性的方法
CN113430343A (zh) * 2021-07-05 2021-09-24 陕西科技大学 一种新型纳米析出强化CoCrNi基高熵合金的处理方法
CN114657437A (zh) * 2022-04-06 2022-06-24 大连理工大学 一种具有优异热改性的Co-Cr-Fe-Ni-V-B共晶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31769A1 (en) * 2006-07-28 2008-02-07 Jien-Wei Yeh High-temperature resistant alloy with low contents of cobalt and nickel
JP2016023352A (ja) * 2014-07-23 2016-0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合金構造体
US20170233855A1 (en) * 2016-02-15 2017-08-17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High entropy alloy having twip/trip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70106016A (ko) * 2016-03-11 2017-09-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석출경화형 고 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0018A (ko) * 2016-03-21 2017-10-1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극저온용 고 엔트로피 합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8613A (en) * 1976-02-14 1977-08-18 Inoue K Spenodal dissolvic magnet alloy
US20020159914A1 (en) * 2000-11-07 2002-10-31 Jien-Wei Yeh High-entropy multielement alloy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31769A1 (en) * 2006-07-28 2008-02-07 Jien-Wei Yeh High-temperature resistant alloy with low contents of cobalt and nickel
JP2016023352A (ja) * 2014-07-23 2016-0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合金構造体
US20170233855A1 (en) * 2016-02-15 2017-08-17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High entropy alloy having twip/trip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70106016A (ko) * 2016-03-11 2017-09-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석출경화형 고 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0018A (ko) * 2016-03-21 2017-10-1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극저온용 고 엔트로피 합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2014A (zh) * 2021-02-03 2021-06-15 湖南大学 一种基于退火硬化提高多组元合金强塑性的方法
CN113430343A (zh) * 2021-07-05 2021-09-24 陕西科技大学 一种新型纳米析出强化CoCrNi基高熵合金的处理方法
CN114657437A (zh) * 2022-04-06 2022-06-24 大连理工大学 一种具有优异热改性的Co-Cr-Fe-Ni-V-B共晶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4657437B (zh) * 2022-04-06 2022-08-12 大连理工大学 一种具有优异热改性的Co-Cr-Fe-Ni-V-B共晶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93483A1 (en) 2020-08-12
EP3693483A4 (en)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22283A1 (ko) 극저온 특성이 우수한 중엔트로피 합금
WO2020013524A1 (en) Lightweight medium-entropy alloys using spinodal decomposition
WO2020085697A1 (ko) 고강도 고인성 중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WO2019039743A1 (ko) V-cr-fe-ni계 고강도 고엔트로피 합금
WO2017164601A1 (ko) 극저온용 고 엔트로피 합금
WO2017164602A1 (ko) Cr-fe-mn-ni-v계 고 엔트로피 합금
EP1307601B1 (en) Aluminium-based alloy and method of fabrication of semiproducts thereof
WO2019083103A1 (ko)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809120B (zh) 一种低膨胀合金及其制备方法
WO2020080660A1 (ko) 중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WO2020209485A1 (ko) 굽힘가공성이 우수한 cu-co-si-fe-p계 구리합금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46593A (ko) 변태유기소성 고엔트로피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3022144A1 (en) Copper alloy material for continuous casting mold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CN113930642B (zh) 一种高强韧多组分精密高电阻合金及其制备方法
US6692585B2 (en) Ferritic Fe-Cr-Ni-Al alloy having exellent oxidation resistance and high strength and a plate made of the alloy
KR102179460B1 (ko) 고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WO2022050635A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WO2017111251A1 (ko) 내크립 특성 및 인장강도가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3172510A1 (ko) 극저온에서 기계적 성능이 우수한 Fe-Mn-C계 TWIP 강 및 그 제조 방법
EP0285952B1 (en) Superconductor cable
WO2020111879A1 (ko) 내식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열간성형용 알루미늄-철 합금 도금 강판, 열간 프레스 성형 부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WO2020085586A1 (ko) 융점 1,900℃ 이하 원소로 구성된 고강도 고연성 타이타늄 합금
WO2021125564A1 (ko) 클램프용 고강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21020683A1 (ko) 강도와 도전율이 우수한 동합금 판재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동합금 판재
WO2020085687A1 (ko) 클램프용 고강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6635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144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144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