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216959A1 -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차광층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차광층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216959A1
WO2018216959A1 PCT/KR2018/005683 KR2018005683W WO2018216959A1 WO 2018216959 A1 WO2018216959 A1 WO 2018216959A1 KR 2018005683 W KR2018005683 W KR 2018005683W WO 2018216959 A1 WO2018216959 A1 WO 201821695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ayer
layer
pressure sensor
substrate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568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혁재
김세엽
이원우
김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딥
Publication of WO201821695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21695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using an array of force sens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7Position sensing using the local deformation of sensor ce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은 빛을 발광하는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하면에 직접 형성되어 상기 터치 센서 패널에 대한 터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센서 및 상기 빛으로부터 상기 압력 센서를 차폐하기 위한 차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차광층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입력 장치에 포함되는 압력 센서를 빛으로부터 차폐하여 외부에 보이지 않도록 하는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팅 시스템의 조작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입력 장치들이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버튼(button), 키(key), 조이스틱(joystick) 및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력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의 쉽고 간편한 조작으로 인해 컴퓨팅 시스템의 조작 시 터치 스크린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은, 터치-감응 표면(touch-sensitive surface)을 구비한 투명한 패널일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touch sensor panel)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표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 부착되어 터치-감응 표면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보이는 면을 덮을 수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터치 스크린을 단순히 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컴퓨팅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컴퓨팅 시스템은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및 터치 위치를 인식하고 이러한 터치를 해석함으로써 이에 따라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에 따른 터치 위치 뿐 아니라 터치의 압력 크기를 검출할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야기되고 있다.
그리고, 터치 입력 장치에 터치의 압력 크기를 검출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 입력 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종류 및 센서의 재질에 따라, 압력 센서가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이 OLED인 경우, 유기물층에서 빛이 발광하므로, 유기물층보다 하부에 압력 센서가 형성되고, 이러한 압력 센서가 불투명한 물질로 구성되는 경우, 압력 센서가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광층을 터치 입력 장치에 배치하여 압력 센서가 빛으로부터 차폐되어 외부에 보이지 않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빛을 발광하는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하면에 직접 형성되어 상기 터치 입력 장치에 대한 터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센서 및 상기 빛으로부터 상기 압력 센서를 차폐하기 위한 차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은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및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부를 향한 상기 제2기판층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압력 센서가 형성된 상기 제2기판층의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시키는, 차광층 배치 단계, 상기 차광층 및 상기 압력 센서가 형성된 상기 제2기판층을 반전시키는, 차광층 및 제2기판층 반전 단계, 반전된 상기 제2기판층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형성 단계 및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의 상부에 상기 제1기판층을 형성하는, 제1기판층 형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은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및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2기판층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형성 단계,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의 상부에 제1기판층을 형성하는, 제1기판층 형성 단계;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을 포함하는 패널을 반전시키는, 패널 반전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제2기판층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 및 상부를 향한 상기 압력 센서가 형성된 상기 제2기판층의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시키는, 차광층 배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은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및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차광층,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부를 향한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시키는, 차광층 배치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차광층의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 상기 압력 센서가 형성된 상기 차광층 및 상기 제2기판층을 반전시키는, 차광층 및 제2기판층 반전 단계; 반전된 상기 제2기판층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형성 단계; 및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의 상부에 제1기판층을 형성하는, 제1기판층 형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은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및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2기판층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형성 단계;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의 상부에 제1기판층을 형성하는, 제1기판층 형성 단계;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을 포함하는 패널을 반전시키는, 패널 반전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시키는, 차광층 배치 단계; 및 상부를 향한 상기 차광층의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은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압력 센서가 형성된 상기 제3기판층의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시키는, 차광층 배치 단계; 상기 차광층 및 상기 제3기판층을 반전시키는, 차광층 및 제3기판층 반전 단계; 및 반전된 상기 제3기판층의 상부에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으로 구성된 패널을 배치시키는 패널 배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은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2기판층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형성 단계;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의 상부에 제1기판층을 형성하는, 제1기판층 형성 단계;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을 포함하는 패널을 반전시키는, 패널 반전 단계; 반전된 상기 제2기판층의 하부에 상기 제3기판층을 배치시키는 제3기판층 배치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 및 상부를 향한 상기 압력 센서가 형성된 상기 제3기판층의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시키는, 차광층 배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은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시키는, 차광층 배치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차광층의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 상기 압력 센서가 형성된 상기 차광층 및 상기 제3기판층을 반전시키는, 차광층 및 제3기판층 반전 단계; 및 반전된 상기 제3기판층의 상부에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으로 구성된 패널을 배치시키는 패널 배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은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2기판층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형성 단계;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의 상부에 제1기판층을 형성하는, 제1기판층 형성 단계;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을 포함하는 패널을 반전시키는, 패널 반전 단계; 반전된 상기 제2기판층의 하부에 상기 제3기판층을 배치시키는 제3기판층 배치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시키는, 차광층 배치 단계; 및 상부를 향한 상기 차광층의 하면에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은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 상기 압력 센서가 형성된 상기 제3기판층을 반전시키는, 제3기판층 반전 단계; 및 반전된 상기 제3기판층의 상부에 상기 차광층,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으로 구성된 패널을 배치시키는 패널 배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은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 상기 압력 센서가 형성된 제3기판층을 반전시키는, 제3기판층 반전 단계, 반전된 상기 제3기판층의 상부에 차광층을 배치시키는 차광층 배치 단계 및 상기 차광층의 상부에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으로 구성된 패널을 배치시키는 패널 배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은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부를 향한 상기 제2기판층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형성 단계;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의 상부에 제1기판층을 형성하는, 제1기판층 형성 단계;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반전시키는, 디스플레이 패널 반전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시키는, 차광층 배치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차광층 하부에 상기 제3기판층을 배치시키는, 제3기판층 배치 단계; 및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의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은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 하면에 상기 차광층을 형성하는 차광층 형성 단계; 상기 차광층이 형성된 상기 제3기판층을 반전시키는, 제3기판층 반전 단계; 및 반전된 상기 제3기판층의 상부에 상기 압력 센서,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으로 구성된 패널을 배치시키는 패널 배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은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하는 차광층 배치 단계; 상기 차광층이 배치된 상기 제3기판층을 반전시키는, 제3기판층 반전 단계;
반전된 상기 제3기판층의 상면에 압력 센서를 형성시키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 및 상기 압력 센서 상면에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으로 구성된 패널을 배치시키는 패널 배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은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부를 향한 상기 제2기판층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형성 단계;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의 상부에 제1기판층을 형성하는, 제1기판층 형성 단계;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반전시키는, 디스플레이 패널 반전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제2기판층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시키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압력 센서 하부에 상기 제3기판층을 배치시키는, 제3기판층 배치 단계; 및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의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하는, 차광층 배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광층을 터치 입력 장치에 배치하여 압력 센서가 빛으로부터 차폐되어 외부에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포함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및 이의 동작을 위한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서 터치 위치, 터치 압력 및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블록을 예시한다.
도3a 내지 도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4a 내지 도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압력 센서가 형성되는 예를 예시한다.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접 형성된 압력 센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a 내지 도6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와 차광층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터치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7a 내지 도7d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면에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제 1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롤 타입 인쇄 방식을 이용하여 제2기판층에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는 시트 타입 인쇄 방식을 이용하여 제2기판층에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은 리버스 오프셋 인쇄 방식을 이용하여 제2기판층에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1은 잉크젯 인쇄법을 이용하여 제2기판층에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2는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하여 제2기판층에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3은 플렉소 인쇄법을 이용하여 제2기판층에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4는 전사 인쇄법을 이용하여 제2기판층에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5a 내지 도15d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면에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제 2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a 내지 도16d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포함되는 전극의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가 스트레인 게이지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100) 및 압력 검출 모듈(400)을 예시하나 임의의 방식으로 터치 위치 및/또는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는 터치 센서 패널(100) 및 압력 검출 모듈(400)이 적용될 수 있다.
도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포함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10) 및 이의 동작을 위한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1a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10)는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 및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10)의 동작을 위해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12), 및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으로부터 터치 표면에 대한 터치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감지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10)는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할 수 있다. 도1a에서는 터치 센서(10)의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이 직교 어레이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이 대각선, 동심원 및 3차원 랜덤 배열 등을 비롯한 임의의 수의 차원 및 이의 응용 배열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n 및 m은 양의 정수로서 서로 같거나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각각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구동전극(TX)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을 포함하고 수신전극(RX)은 제1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할 수 있다.
도16a 및 도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10)에서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서로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후술하게 될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 중 어느 하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상면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후술하게될 커버의 하면에 형성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 (RX1 내지 RXm)은 투명 전도성 물질(예를 들면, 산화주석(SnO2) 및 산화인듐(In2O3) 등으로 이루어지는 ITO(Indium Tin Oxide) 또는 ATO(Antimony Tin Oxi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은 다른 투명 전도성 물질 또는 불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은 은잉크(silver ink), 구리(copper), 은나노(nano silver) 및 탄소 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는 메탈 메쉬(metal mesh)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2)는 구동신호를 구동전극(TX1 내지 TXn)에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신호는 제1구동전극(TX1)부터 제n구동전극(TXn)까지 순차적으로 한번에 하나의 구동전극에 대해서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신호의 인가는 재차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구동전극에 구동신호가 동시에 인가될 수도 있다.
감지부(11)는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통해 구동신호가 인가된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수신전극(RX1 내지 RXm) 사이에 생성된 정전용량(Cm: 14)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신호는 구동전극(TX)에 인가된 구동신호가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사이에 생성된 정전용량(Cm: 14)에 의해 커플링된 신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구동전극(TX1)부터 제n구동전극(TXn)까지 인가된 구동신호를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통해 감지하는 과정은 터치 센서(10)를 스캔(scan)한다고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1)는 각각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과 스위치를 통해 연결된 수신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해당 수신전극(RX)의 신호를 감지하는 시간구간에 온(on)되어서 수신전극(RX)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기에서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수신기는 증폭기(미도시) 및 증폭기의 부(-)입력단과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 즉 궤환 경로에 결합된 궤환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증폭기의 정(+)입력단은 그라운드(ground)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는 궤환 캐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리셋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셋 스위치는 수신기에 의해 수행되는 전류에서 전압으로의 변환을 리셋할 수 있다. 증폭기의 부입력단은 해당 수신전극(RX)과 연결되어 정전용량(Cm: 14)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류 신호를 수신한 후 적분하여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감지부(11)는 수신기를 통해 적분된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미도시: 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후, 디지털 데이터는 프로세서(미도시)에 입력되어 터치 센서(10)에 대한 터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감지부(11)는 수신기와 더불어, ADC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구동부(12)와 감지부(11)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는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구동부(12)에 전달하여 구동신호가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구동전극(TX)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감지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감지부(11)에 전달하여 감지부(11)가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수신전극(RX)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1a에서 구동부(12) 및 감지부(11)는 터치 센서(10)에 대한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터치 검출 장치(미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제어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터치 센서(10)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에서 후술하게될 터치 센서 제어기(1100)에 해당하는 터치 센싱 IC(touch sensing Integrated Circuit) 상에 집적되어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10)에 포함된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은 예컨대 전도성 트레이스(conductive trace) 및/또는 회로 기판상에 인쇄된 전도성 패턴(conductive pattern)등을 통해서 터치 센싱 IC에 포함된 구동부(12) 및 감지부(11)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센싱 IC는 전도성 패턴이 인쇄된 회로 기판, 도6a 내지 6f에서 예컨대 터치 회로 기판(이하 터치PCB로 지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싱 IC는 터치 입력 장치의 작동을 위한 메인보드 상에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의 교차 지점마다 소정 값의 정전용량(Cm)이 생성되며, 손가락과 같은 객체가 터치 센서(10)에 근접하는 경우 이러한 정전용량의 값이 변경될 수 있다. 도1a에서 상기 정전용량은 상호 정전용량(Cm, mutual capacitance)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특성을 감지부(11)에서 감지하여 터치 센서(10)에 대한 터치 여부 및/또는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축과 제2축으로 이루어진 2차원 평면으로 이루어진 터치 센서(10)의 표면에 대한 터치의 여부 및/또는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 센서(10)에 대한 터치가 일어날 때 구동신호가 인가된 구동전극(TX)을 검출함으로써 터치의 제2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터치 센서(10)에 대한 터치 시 수신전극(RX)을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로부터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터치의 제1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위에서는 구동 전극(TX)과 수신 전극(RX)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10)의 동작 방식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1b와 같이, 자기 정전용량(self - capacitance)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포함되는 또다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10) 및 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1b에 도시된 터치 센서(10)에는 복수의 터치 전극(30)이 구비된다. 복수의 터치 전극(30)은 도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3)에 의해 생성된 구동제어신호는 구동부(12)에 전달되고, 구동부(12)는 구동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터치 전극(30)에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또한, 제어부(13)에 의해 생성된 감지제어신호는 감지부(11)에 전달되고, 감지부(11)는 감지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터치 전극(30)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감지신호는 터치 전극(30)에 형성된 자기 정전용량 변화량에 대한 신호일 수 있다.
이때, 감지부(11)가 감지한 감지신호에 의하여, 터치 센서(10)에 대한 터치 여부 및/또는 터치 위치가 검출된다. 예컨대, 터치 전극(30)의 좌표를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터치 센서(10)의 표면에 대한 객체의 터치의 여부 및/또는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편의상 구동부(12)와 감지부(11)가 별개의 블록으로 나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터치 전극(3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터치 전극(30)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동작을 하나의 구동 및 감지부에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터치 센서(10)로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10)는 전술한 방법 이외의 표면 정전용량 방식, 프로젝티드(projected)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SAW: surface acoustic wave), 적외선(infrared) 방식, 광학적 이미징 방식(optical imaging), 분산 신호 방식(dispersive signal technology) 및 음성 펄스 인식(acoustic pulse recognition) 방식 등 임의의 터치 센싱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서 터치 위치, 터치 압력 및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블록을 예시한다. 디스플레이 기능 및 터치 위치 검출에 더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제어 블록은 전술한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 제어기(1100),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기(1200) 및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센서 제어기(1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1200)는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작동을 위한 메인보드(main board) 상의 중앙 처리 유닛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 등으로부터 입력을 받아 디스플레이 패널(200A)에 원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회로는 디스플레이 회로 기판(이하 디스플레이PCB로 지칭)에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회로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어 IC, 그래픽 제어 IC(graphic controller IC) 및 기타 디스플레이 패널(200A) 작동에 필요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감지부를 통해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센서 제어기(1300)는 터치 센서 제어기(1100)의 구성과 유사하게 구성되어 터치 센서 제어기(1100)와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 센서 제어기(1300)가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감지부로가 감지한 감지 신호에 의하여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압력 센서 제어기(1300)는 터치 센서 제어기(1100)가 실장된 터치PCB에 실장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제어기(1200)가 실장된 디스플레이PCB에 실장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서 제어기(1100), 디스플레이 제어기(1200) 및 압력 센서 제어기(1300)는 서로 다른 구성요소로서 터치 입력 장치(10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센서 제어기(1100), 디스플레이 제어기(1200) 및 압력 센서 제어기(1300)는 각각 서로 다른 칩(chip)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터치 입력 장치(1000)의 프로세서(1500)는 터치 센서 제어기(1100), 디스플레이 제어기(1200) 및 압력 센서 제어기(1300)에 대한 호스트(host) 프로세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셀폰(cell phone), PDA(Personal Data Assistant),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랫 PC(tablet Personal Computer), MP3 플레이어, 노트북(notebook)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 및/또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입력 장치(1000)를 얇고(slim) 경량(light weight)으로 제작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별개로 구성되는 터치 센서 제어기(1100), 디스플레이 제어기(1200) 및 압력 센서 제어기(1300)가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구성으로 통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프로세서(1500)에 이들 각각의 제어기가 통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00A)에 터치 센서(10) 및/또는 압력 감지부가 통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10)가 디스플레이 패널(200A)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 패널(200A)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화면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터치 표면에 터치를 수행하여 입력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3a를 참조하여, LCD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LCD 패널인 디스플레이 패널(200A), 디스플레이 패널(200A) 상부에 배치되는 제1편광층(271) 및 디스플레이 패널(200A) 하부에 배치되는 제2편광층(27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CD 패널인 디스플레이 패널(200A)은 액정 셀(liquid crystal cell)을 포함하는 액정층(250), 액정층(25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기판층(261) 및 액정층(25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2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기판층(261)은 컬러필터 글라스(color filter glass)일 수 있고, 제2기판층(262)은 TFT 글라스(TFT glass)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기판층(261) 및 제2기판층(262)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과 같은 벤딩(bending) 가능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3a에서 제2기판층(262)은, 데이터 라인(data line), 게이트 라인(gate line), TFT, 공통 전극(Vcom: common electrode) 및 픽셀 전극(pixel electrode)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전기적 구성요소들은, 제어된 전기장을 생성하여 액정층(250)에 위치한 액정들을 배향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3b를 참조하여, OLED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OLED 패널인 디스플레이 패널(200A), 디스플레이 패널(200A) 상부에 배치되는 제1편광층(28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LED 패널인 디스플레이 패널(200A)은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유기물층(280), 유기물층(28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기판층(281) 및 유기물층(280)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28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기판층(281)은 인캡 글라스(Encapsulation glass)일 수 있고, 제2기판층(283)은 TFT 글라스(TFT glass)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기판층(281) 및 제2기판층(283)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과 같은 벤딩(bending) 가능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3d 내지 도3f에 도시된 OLED 패널의 경우,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제1전원라인(ELVDD), 제2전원라인(ELVSS)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구동에 사용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패널은 형광 또는 인광 유기물 박막에 전류를 흘리면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층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발광층을 구성하는 유기물질이 빛의 색깔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OLED는 유리나 플라스틱 위에 유기물을 배치해 전기를 흘리면, 유기물이 광을 발산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즉, 유기물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정공과 전자를 주입하여 발광층에 재결합시키면 에너지가 높은 상태인 여기자(excitation)를 형성하고, 여기자가 에너지가 낮은 상태로 떨어지면서 에너지가 방출되어 특정한 파장의 빛이 생성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때, 발광층의 유기물에 따라 빛의 색깔이 달라진다.
OLED는 픽셀 매트릭스를 구성하고 있는 픽셀의 동작특성에 따라 라인 구동 방식의 PM-OLED(Pass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개별 구동 방식의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가 존재한다. 양자 모두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매우 얇게 구현할 수 있고, 각도에 따라 명암비가 일정하고, 온도에 따른 색 재현성이 좋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미구동 픽셀은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매우 경제적이다.
동작 면에서 PM-OLED는 높은 전류로 스캐닝 시간(scanning time) 동안만 발광을 하고, AM-OLED는 낮은 전류로 프레임 시간(frame time)동안 계속 발광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AM-OLED는 PM-OLED에 비해서 해상도가 좋고, 대면적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이 유리하며, 전력 소모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내장하여 각 소자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정교한 화면을 구현하기 쉽다.
또한, 유기물층(280)은 HIL(Hole Injection Layer, 정공주입층), HTL(Hole Transfer Layer, 정공수송층), EIL(Emission Material Layer, 전자주입층), ETL(Electron Transfer Layer, 전자수송층), EML(Electron Injection Layer,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층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HIL은 정공을 주입시키며, CuPc 등의 물질을 이용한다. HTL은 주입된 정공을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고, 주로, 정공의 이동성(hole mobility)이 좋은 물질을 이용한다. HTL은 아릴라민(arylamine), TP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EIL과 ETL은 전자의 주입과 수송을 위한 층이며, 주입된 전자와 정공은 EML에서 결합되어 발광한다. EML은 발광되는 색을 표현하는 소재로서, 유기물의 수명을 결정하는 호스트(host)와 색감과 효율을 결정하는 불순물(dopant)로 구성된다. 이는, OLED 패널에 포함되는 유기물층(280)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한 것일 뿐, 본 발명은 유기물층(280)의 층구조나 소재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물층(280)은 애노드(Anode)(미도시)와 캐소드(Cathode)(미도시) 사이에 삽입되며, TFT가 온(On) 상태가 되면, 구동 전류가 애노드에 인가되어 정공이 주입되고 캐소드에는 전자가 주입되어, 유기물층(280)으로 정공과 전자가 이동하여 빛을 발산한다.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LCD 패널 또는 OLED 패널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변형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 및 디스플레이 패널(200A)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LCD 패널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제2편광층(272) 하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 backlight unit)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LCD패널의 작동을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제어 IC, 그래픽 제어 IC 및 기타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 및 디스플레이 패널(200A)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LCD 패널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제2편광층(272) 하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 backlight unit)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LCD패널의 작동을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제어 IC, 그래픽 제어 IC 및 기타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1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센서(10)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00) 상부에는 터치 센서 패널이 배치될 수 있고, 터치 센서(10)가 터치 센서 패널에 포함될 수 있다. 터치 입력 장치(1000)에 대한 터치 표면은 터치 센서 패널의 표면일 수 있다.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센서(10)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터치 센서(10)가 디스플레이 패널(200A)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센서(10)가 제1기판층(261,28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터치 입력 장치(1000)에 대한 터치 표면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외면으로서 도3a 및 도3b에서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 될 수 있다.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센서(10)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서(10) 중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터치 센서(10) 중 적어도 나머지 일부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센서(10)를 구성하는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나머지 전극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센서(10)를 구성하는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은 제1기판층(261,281)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나머지 전극은 제1기판층(261,281) 하면 또는 제2기판층(262,283)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센서(10)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터치 센서(10)가 디스플레이 패널(200A)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센서(10)가 제1기판층(261,281)의 하면 또는 제2기판층(262,283)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A) 내부에 터치 센서(10)가 배치되는 경우, 터치 센서 동작을 위한 전극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으나, 디스플레이 패널(200A) 내부에 위치하는 다양한 구성 및/또는 전극이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센서(10)로 이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LCD 패널인 경우, 터치 센서(10)에 포함되는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데이터 라인(data line), 게이트 라인(gate line), TFT, 공통 전극(Vcom: common electrode) 및 픽셀 전극(pixel electr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OLED 패널인 경우, 터치 센서(10)에 포함되는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데이터 라인(data line), 게이트 라인(gate line), 제1전원라인(ELVDD) 및 제2전원라인(ELVS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센서(10)는 도1a에서 설명된 구동전극 및 수신전극으로 동작하여 구동전극 및 수신전극 사이의 상호정전용량에 따라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10)는 도1b에서 설명된 단일 전극(30)으로 동작하여 단일 전극(30) 각각의 자기정전용량에 따라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센서(10)에 포함되는 전극이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구동에 사용되는 전극일 경우, 제1 시간구간에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구동하고, 제1 시간구간과 다른 제2 시간구간에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서 터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전극 및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전극과는 다른, 별도의 센서를 배치하여 압력 감지부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의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가 형성된 커버층(100)과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사이가 OCA(Optically Clear Adhesive)와 같은 접착제로 라미네이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센서의 터치 표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 색상 선명도, 시인성 및 빛 투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4a 내지 도4e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서 압력 센서가 형성되는 예를 예시한다.
도4a 및 이하의 일부 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커버층(100)에 직접 라미네이션되어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제1편광층(271,282)이 디스플레이 패널(200A) 상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커버층(100)에 라미네이션 되어 부착될 수 있으며, LCD 패널이 디스플레이 패널(200A)인 경우, 제2편광층(272) 및 백라이트 유닛이 생략되어 도시된 것이다.
도4a 내지 도4e를 참조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로서 터치 센서가 형성된 커버층(100)이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200) 상에 접착제로 라미네이션되어 부착된 것을 예시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터치 센서(10)가 도3a 및 도3be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200)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4a 및 도4b에서 터치 센서(10)가 형성된 커버층(100)이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덮는 것이 도시되나, 터치 센서 (1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내부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유리와 같은 커버층(100)으로 덮인 터치 입력 장치(1000)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셀폰(cell phone), PDA(Personal Data Assistant),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랫 PC(tablet Personal Computer), MP3 플레이어, 노트북(notebook) 등과 같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기판(300)은, 예컨대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최외곽 기구인 하우징(320)과 함께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작동을 위한 회로기판 및/또는 배터리가 위치할 수 있는 실장공간 (310) 등을 감싸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작동을 위한 회로기판에는 메인보드(main board)로서 중앙 처리 유닛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 등이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기판(300)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작동을 위한 회로기판 및/또는 배터리가 분리되고, 디스플레이 모듈(200)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 및 회로기판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차단될 수 있다.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센서(10) 또는 커버층(100)이 디스플레이 모듈(200), 기판(300), 및 실장공간(310)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320)이 터치 센서(10)와 함께 디스플레이 모듈(200), 기판(300) 및 회로기판을 감싸도록, 하우징(32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터치 센서(10)를 통해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전극 및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전극과는 다른, 별도의 센서를 배치하여 압력 감지부로 사용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센서(1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압력 검출을 위한 구성을 총괄하여 압력 감지부로 지칭한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압력 감지부는 압력 센서(450,4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력 감지부는 예컨대, 에어갭(airgap)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층(4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4a 내지 도4d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서층(420)은 에어갭(air gap)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페이서층은 실시예에 따라 충격 흡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페이서층(420)은 실시예에 따라 유전 물질(dielectric material)로 채워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서층(420)은 압력의 인가에 따라 수축하고 압력의 해제시에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는 회복력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서층(420)은 탄성폼(elastic foam)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층이 디스플레이 모듈(200) 하부에 배치되므로, 투명한 물질이거나 불투명한 물질일 수 있다.
또한, 기준 전위층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 전위층은 디스플레이 모듈(200)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300)에 형성되거나 기판(300) 자체가 기준 전위층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전위층은 기판(300) 상부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커버(미도시)에 형성되거나, 커버 자체가 기준 전위층 역할을 할 수 있다. 터치 입력 장치(1000)에 압력 인가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휘어지고,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휘어짐에 따라 기준 전위층과 압력 센서(450,460)와의 거리가 변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전위층과 압력 센서(450,460) 사이에는 스페이서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기준 전위층이 배치된 기판(3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기준 전위층이 배치된 커버 사이에 스페이서층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전위층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 전위층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제1기판층(261,281)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제2기판층(262,283)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입력 장치(1000)에 압력 인가 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휘어지고,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휘어짐에 따라 기준 전위층과 압력 센서(450,460)와의 거리가 변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전위층과 압력 센서(450,460) 사이에는 스페이서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3b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1000)의 경우, 스페이서층이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상부 또는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서층은 에어갭(air gap)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페이서층은 실시예에 따라 충격 흡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페이서층은 실시예에 따라 유전 물질(dielectric material)로 채워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서층은 탄성폼(elastic foam)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탄성폼은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 눌리는 등 형태가 변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짐으로써 충격 흡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복원력을 가져 압력 검출에 대한 성능 균일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층이 디스플레이 패널(200A) 상부 또는 내부에 배치되므로, 투명한 물질일 수 있다. 이 때, 실시예에 따른 탄성폼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아크릴(Acryli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서층이 디스플레이 모듈(200)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스페이서층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 및/또는 백라이트 유닛의 제조시에 포함되는 에어갭(air gap)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A) 및/또는 백라이트 유닛이 하나의 에어갭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하나의 에어갭이 스페이서층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에어갭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복수개의 에어갭이 통합적으로 스페이서층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터치 센서(10)에 포함된 전극과 구분이 명확하도록,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450 및 460)를 압력 센서(450,460)로 지칭한다. 이때, 압력 센서(450,46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전면이 아닌 후면에 배치되므로 투명 물질뿐 아니라 불투명 물질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LCD 패널인 경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빛이 투과되어야 하므로, 압력 센서(450,460)는 ITO와 같은 투명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압력 센서(450,460)가 배치되는 스페이서층(420)을 유지하기 위해서 기판(300) 상부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를 갖는 프레임(3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330)은 접착 테이프(미도시)로 커버층(100)에 접착될 수 있다. 도4b에서 프레임(330)은 기판(300)의 모든 테두리(예컨대, 4각형의 4면)에 형성된 것이 도시되나, 프레임(330)은 기판(300)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예컨대, 4각형의 3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330)은 기판(300)의 상부면에 기판(3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레임(330)은 탄성이 없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커버층(10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0A)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커버층(100)과 함께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휘어질 수 있으므로 프레임(330)이 압력에 따라 형체의 변형이 없더라도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도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450,460)가 스페이서층(420) 내로서 디스플레이 패널(200A)하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압력 검출을 위한 압력 센서는 제1센서(450)와 제2센서(4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센서(450)와 제2센서(460) 중 어느 하나는 구동센서일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수신센서일 수 있다. 구동센서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수신센서를 통해 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변하는 전기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압이 인가되면, 제1센서(450)와 제2센서(460) 사이에 상호 정전용량이 생성될 수 있다.
도4d는 도4c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1000)에 압력이 인가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기판(300)의 상부면은 노이즈 차폐를 위해 그라운드(ground) 전위를 가질 수 있다. 객체(500)를 통해 커버층(100)의 표면에 압력을 인가하는 경우 커버층(100) 및 디스플레이 패널(200A)은 휘어지거나 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라운드 전위면과 압력 센서(450,460) 사이의 거리(d)가 d'로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거리(d)의 감소에 따라 기판(300)의 상부면으로 프린징 정전용량이 흡수되므로 제1센서(450)와 제2센서(46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감지신호에서 상호 정전용량의 감소량을 획득하여 터치 압력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도4d에서는 기판(300)의 상부면이 그라운드 전위, 즉 기준 전위층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기준 전위층이 디스플레이 모듈(2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객체(500)를 통해 커버층(100)의 표면에 압력을 인가하는 경우 커버층(100) 및 디스플레이 패널(200A)은 휘어지거나 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200) 내부에 배치된 기준 전위층과 압력 센서(450,460) 사이의 거리가 변하고, 이에 따라 수신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감지신호에서 정전용량 변화량을 획득하여 터치 압력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은 압력을 인가하는 터치에 따라 휘어지거나 눌릴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휘어지거나 눌릴 때 가장 큰 변형을 나타내는 위치는 상기 터치 위치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패널(200A)은 적어도 상기 터치 위치에서 휘어짐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위치가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테두리 및 가장자리 등에 근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휘어지거나 눌리는 정도가 가장 큰 위치는 터치 위치와 다를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패널(200A)은 적어도 상기 터치 위치에서 휘어짐 또는 눌림을 나타낼 수 있다.
제1센서(450)와 제2센서(460)는 동일한 층에 형성된 형태에 있어서, 도4c 및 도4d에 도시된 제1센서(450)와 제2센서(460) 각각은 도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꼴 형태의 복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센서(450)는 제1축 방향으로 서로 이어진 형태이고, 복수의 제2센서(460)는 제1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2축 방향으로 서로 이어진 형태이며, 제1센서(450) 및 제2센서(460)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복수의 마름모꼴 형태의 센서가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어 제1센서(450)와 제2센서(460)가 서로 절연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이 때, 도5에 도시된 제1센서(450)와 제2센서(460)는 도16b에 도시된 형태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터치 압력은 제1센서(450)와 제2센서(46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로부터 검출되는 것이 예시된다. 하지만, 압력 감지부는 제1센서(450)와 제2센서(460) 중 어느 하나의 압력 센서만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하나의 압력 센서와 그라운드층(기판(30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내부에 배치되는 기준 전위층) 사이의 정전용량, 즉 자기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이때, 구동신호는 상기 하나의 압력 센서에 인가되고, 압력 센서와 그라운드층 사이의 자기 정전용량 변화가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감지될 수 있다.
예컨대, 도4c에서 압력 센서는 제1센서(450)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기판(300)과 제1센서(450)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야기되는 제1센서(450)와 기판(300)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로부터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압력이 커짐에 따라 거리(d)가 감소하므로 기판(300)과 제1센서(450) 사이의 정전용량은 터치 압력이 증가할수록 커질 수 있다. 이때, 압력 센서는, 상호 정전용량 변화량 검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빗살 형태 또는 삼지창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하나의 판(예컨대, 사각판)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도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센서(45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4e는 압력 센서(450,460)가 스페이서층(420) 내로서 기판(300)의 상부면 및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한다. 이 때, 제1센서(45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하부면 상에 형성되고, 제2센서(460)는, 제2센서(460)가 제1절연층(470) 상에 형성되고 제2절연층(471)이 제2센서(460) 상에 형성되는, 센서시트의 형태로 기판(300)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객체(500)를 통해 커버층(100)의 표면에 압력을 인가하는 경우 커버층(100) 및 디스플레이 패널(200A)은 휘어지거나 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센서(450)와 제2센서(460) 사이의 거리(d)가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거리(d)의 감소에 따라 제1센서(450)와 제2센서(46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감지신호에서 상호 정전용량의 증가량을 획득하여 터치 압력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도4e에서 제1센서(450)와 제2센서(460)는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므로, 제1센서(450) 및 제2센서(460)는 빗살형상 또는 삼지창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제1센서(450) 및 제2센서(460) 중 어느 하나는 하나의 판(예컨대, 사각판)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다른 하나는 도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센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압력 센서(450,46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서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접 형성된 압력 센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5a는 LCD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에 형성된 압력 센서(450,460)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센서(450,460)가 제2기판층(262)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압력 센서(450,460)가 제2편광층(272)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터치 입력 장치(1000)에 압력이 인가되면, 상호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구동센서(450)에 구동신호가 인가되고, 압력 센서(450,460)와 이격된 기준 전위층(미도시)과 압력 센서(450,460)와의 거리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정전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센서(460)로부터 수신한다. 자기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압력 센서(450,460)에 구동신호가 인가되고, 압력 센서(450,460)와 이격된 기준 전위층(미도시)과 압력 센서(450,460)와의 거리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정전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압력 센서(450,460)로부터 수신한다.
다음으로, 도5b는 OLED 패널(특히, AM-OLED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하부면에 형성된 압력 센서(450,460)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압력 센서(450,460)가 제2기판층(283)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압력을 검출하는 방법은 도5a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다.
OLED 패널의 경우, 유기물층(280)에서 빛이 발광하므로, 유기물층(280) 하부에 배치된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형성되는 압력 센서(450,460)는 불투명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0A) 하면에 형성된 압력 센서(450,460)의 패턴이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압력 센서(450,460)를 제2기판층(283) 하면에 직접 형성시키기 위하여, 제2기판층(283) 하면에 블랙 잉크와 같은 차광층을 배치한 후, 차광층 상에 압력 센서(450,46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도5b에서는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압력 센서(450,460)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2기판층(283)의 하부에 제3기판층이 배치되고, 제3기판층의 하면에 압력 센서(450,460)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플렉서블 OLED 패널일 경우, 제1기판층(281), 유기물층(280) 및 제2기판층(283)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매우 얇고 잘 휘어지기 때문에, 제2기판층(283)의 하부에 상대적으로 잘 휘어지지 않는 제3기판층(285)을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제3기판층(285)하부에 차광층을 배치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검은색으로 착색된 기판과 같이 차광 기능을 가진 기판을 제3기판층(285)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3기판이 차광 기능을 가진 경우, 별도의 차광층을 배치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200A) 하부에 형성된 압력 센서(450)의 패턴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5c는 OLED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 내에 형성된 압력 센서(450)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압력 센서(450)가 제2기판층(283)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압력을 검출하는 방법은 도5a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다.
또한, 도5c에서는 OLED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LCD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제2기판층(272) 상면에 압력 센서(450)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5a 내지 도5c에서는 압력 센서(450)가 제2기판층(272,283)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압력 센서(450)가 제1기판층(261,281)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특히 도5b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200A) 하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OLED 패널인 경우, 유기물층(280)에서 빛이 발광하므로, 유기물층(280) 하부에 배치된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형성되는 압력 센서(450)가 불투명한 물질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0A) 하면에 형성된 압력 센서(450)의 패턴이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압력 센서(450)의 패턴이 보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차광층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하, 도6a 내지 도6f에서는 이러한 차광층의 배치로 인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형태에 대해 도시하고, 도7a 내지 도7d에서는 제 1 공정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일 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도시하며, 도15a 내지 도15d에서는 제 2 공정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일 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도시하고, 관련 설명은 하기에서 상술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6a 내지 도6f의 차광층의 배치로 인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형태는 도7a 내지 도7d에 따른 제 1 공정에 의해 제작될 수도 있고, 도15a 내지 도15d에 따른 제 2 공정에 의해 제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기판층(283) 하부에 블랙 잉크와 같은 차광층(284)을 배치한 후, 차광층(284) 하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 센서(450)를 먼저 제2기판층(283) 하면에 직접 접촉하여 형성한 후, 압력 센서(450)가 형성된 제2기판층(283) 하부에 차광층(284)을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0A)은 제2기판층(283)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285)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제3기판층(285) 하부에 블랙 잉크와 같은 차광층(284)을 배치한 후, 차광층(284) 하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0A)은 제2기판층(283)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285)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압력 센서(450)를 먼저 제3기판층(285) 하면에 직접 접촉하여 형성한 후, 압력 센서(450)가 형성된 제3기판층(285) 하부에 차광층(284)을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0A)은 제2기판층(283)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285)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압력 센서(450)는 제3기판층(285)하면에 직접 접촉하여 형성하고, 차광층(284)은 제2기판층(283)과 제3기판층(285)의 사이에 배치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0A)은 제2기판층(283)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285)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차광층(284)은 제3기판층(285) 하부에 배치되고, 압력 센서(450)는 제2기판층(283)과 제3기판층(285)의 사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전술한 여섯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층은 검정색 잉크 뿐 아니라, 검정색 필름, 검정색 양면 접착 테이프(DAT: Double Adhesive Tape) 또는 터치 입력 장치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는 검정색의 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탄성 물질(또는 탄성폼)은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 눌리는 등 형태가 변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짐으로써 충격 흡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복원력을 가져 압력 검출에 대한 성능 균일성을 제공할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아크릴(Acryli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정색' 이란, 빛의 반사가 없는 완전한 검정 색상을 의미할 수 있으나, 소정의 임계치 범위 내에서 검정색과 명도 또는 채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검정 색상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의 경우, 100 퍼센트 완전한 검정 색상을 의미하고, 후자의 경우, 기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 범위 내(예를 들어, 30 퍼센트 범위) 에서 검정색과 명도 또는 채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검정 색상을 의미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이면, 압력 센서(450)가 약 70 퍼센트 정도의 검정색의 명도 또는 채도만 가지고 있어도, 빛으로부터 압력 센서(450)를 차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여기서 소정의 임계치 범위는 빛으로부터 압력 센서(450)를 차폐할 수 있을 정도의 범위일 수 있다.
한편, 도7a 내지 도7d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일 면에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제 1 공정을 나타낸다.
먼저,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판층(283)의 하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제2기판층(283)을 반전시키고, 상부를 향한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시킨다. 압력 센서(450)를 형성시키는 방법은 다양하며, 몇 가지 방법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첫 번째로,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에 의한 압력 센서 형성 방법이 있다. 먼저, 제2기판층(283)를 반전시킨다. 이때, 제2기판층(283)에 초순수(De-Ionized water)를 이용하여 표면에 묻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정 공정이 사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압력 센서(450)로 이용 가능한 증착물을, 물리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또는 화학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을 통해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증착시킨다. 상기 증착물은, Al,Mo,AlNd,MoTi,ITO 등의 금속일 수도 있고, 도핑된 단결정 실리콘 등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물질일 수도 있다. 그 다음, 스핀코팅(spin coating), 슬릿다이 코팅(slit die coating),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 DFR(dry film resist) 라미네이팅 등의 공정을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photo resist)를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코팅시킨다. 포토레지스트가 배치된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마스크(mask)상의 패턴을 자외선(UV)을 이용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노광시킨다. 이때, 이용되는 포토레지스트가 포지티브 포토레지스트(positive PR)라면 빛이 노출된 부분이 화학적인 분해로 인해 노광 후 현상액에 씻겨나가게 되며, 네거티브 포토레지스트(negative PR)라면 빛이 노출된 부분이 화학적으로 결합해 노광 후 빛이 노출되지 않은 부분이 현상액에 씻겨나가게 된다. 노광된 패턴을 현상액(developer)을 이용해 현상하고, 노광된 부위의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한다. 이때, 현상액으로 아황산나트륨, 탄산나트륨 등의 알칼리를 혼합한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 단계로, 염화물 혼합기체, 불산, 초산 등으로 압력 센서(450) 막의 패턴 부위를 녹여 회로를 형성한 뒤, 식각(etching) 공정을 통해, 패턴을 형성한 뒤, 제2기판층(283)의 표면에 잔류하는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다시 초순수를 이용하여 제2기판층(283) 표면에 존재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압력 센서(450)가 형성된다. 이 방법은, 패턴의 선이 깨끗하고, 미세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두 번째로, 에칭 레지스트(etching resist)를 이용한 압력 센서 형성 방법이 있다. 에칭 레지스트는 부분적으로 에칭을 방지할 목적으로 배치된 피막 또는 그 재료를 말하며, 유기물, 무기물, 금속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먼저, 제2기판층(283)에 대해 초순수를 이용해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이후, 압력 센서(450)로 이용 가능한 증착물을, 물리적 증착 또는 화학적 증착을 이용해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증착시킨다. 상기 증착물은, Al,Mo,AlNd,MoTi,ITO 등의 금속일 수도 있고, 도핑된 단결정 실리콘 등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물질일 수도 있다. 그리고,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 그라비아 코팅(gravure coating), 잉크젯 코팅(inkjet coating) 등을 이용하여 제2기판층(283) 위에 에칭 레지스트를 코팅한다. 에칭 레지스트가 코팅되면 건조 공정을 거쳐 식각 단계로 넘어간다. 즉, 염화물 혼합기체, 불산, 초산 등의 에칭액으로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증착된 압력 센서(450)의 패턴 부위를 녹여 회로를 형성시킨다. 이후, 제2기판층(283)의 표면에 잔류하고 있는 에칭 레지스트를 제거한다. 이 방법은, 고가의 노광기가 필요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압력 센서를 형성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에칭 페이스트(etching paste)를 이용한 압력 센서 형성 방법이 있다.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증착물이 증착되면,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 그라비아 코팅(gravure coating), 잉크젯 코팅(inkjet coating) 등을 이용하여 제2기판층(283) 위에 에칭 페이스트를 코팅한다. 이후, 에칭 페이스트의 식각률을 높이기 위해, 80∼120℃의 고온에서 약 5∼10분간 가열시킨다. 그 다음 세정공정을 거치면,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압력 센서(450)가 형성된다. 다만, 이와 달리, 가열 공정을 거친 뒤, 에칭 페이스트를 완전히 건조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해도 무방하다. 세 번째 방법은 공정이 단순하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건조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경우, 미세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압력 센서(450)가 형성되면, 압력 센서(450) 상에 절연층(insulator)(600)을 형성시킨다. 이는,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형성된 압력 센서(450)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절연층의 형성도 위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간략히 설명하면, 물리적 또는 화학적 증착 공정을 통해 압력 센서(450) 상에 절연체를 증착시키고, 포토레지스트를 코팅한 후 건조하여, 노광 공정을 거친 뒤 식각한다. 마지막으로, 잔류하는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는 포토레지스트 스트립 공정을 통해 압력 센서 패턴을 완성한다. 여기서, 절연체는 SiNx, SiOx 등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그 다음, 공정 중 압력 센서(450)의 패턴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층(610)을 형성하는데, 보호층(610)의 형성은 코팅이나 부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보호층(610)은, 낮은 경도를 가지는 TFT 등의 요소를 보호하기 위하여, 각 층을 보호할 수 있는 경도가 높은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다시 제2기판층(283)의 상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제2기판층(283)을 반전시킨다. 도7b는 보호층(610)을 형성한 후, 제2기판층(283)를 원위치로 반전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도7c의 과정에서는 제2기판층(283)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구성이 형성된다. 도7c에서는 OLED 패널을 상정하여 도시되었기 때문에, TFT 레이어(620)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TFT 레이어(620)에는, OLED 패널(특히, AM-OLED 패널)에 포함되는 기본적인 구성들이 포함된다. 즉, OLED 패널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 있는, 캐소드, 유기물층 및 애노드의 구성을 비롯하여, TFT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을 적층시키기 위한 각종 요소(예: OC(over coat), PAS(passivation), ILD(inter-layer dielectric), GI(gate insulator), LS(light shield) 등)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OLED 패널 형성 공정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LCD 패널이라면, 액정층을 포함한 각종 요소들이 도7c의 TFT 레이어(620)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7d와 같이 TFT 레이어(620) 위에 제1기판층(281)을 형성시키고, 도7b에서 형성시킨 보호층(610)을 화학적 혹은 물리적으로 제거하면, 하부면에 압력 센서(450)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제조된다.
위의 방법으로, LCD 패널 혹은 OLED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하부면에 압력 센서(450)가 형성되면, 터치 압력 검출이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1000)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할 수 있고, 제조 비용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하게 된다.
또한, 제2기판층(283)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전술한 방식 이외에 그라비어(Gravure) 인쇄 방식(또는 롤러 인쇄 방식)이 있다.
그라비어 인쇄 방식은 그라비어 오프셋(Gravure offset) 인쇄 방식과 리버스 오프셋(Reverse offset) 인쇄 방식을 포함하고,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방식은 롤 타입(Roll type) 인쇄 방식과 시트 타입(Sheet type) 인쇄 방식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방식인 롤 타입 인쇄 방식과 시트 타입 인쇄 방식, 및 리버스 오프셋 인쇄 방식을 차례로 설명한다.
도8은 롤 타입 인쇄 방식을 이용하여 제2기판층(283)에 압력 센서(450)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을 참조하면, 그라비어 롤(Gravure Roll, 810)에 형성된 홈(815)에 주입 유닛(injection unit, 820)을 사용하여 압력 센서 형성 물질을 주입한다. 여기서, 블레이드(blade, 830)를 사용하여 홈(815) 안에 압력 센서 형성 물질이 채워지도록 한다. 여기서, 홈(815)의 형상은 반전된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인쇄될 압력 센서(450)의 형상과 대응되고, 블레이드(830)는 홈(815) 밖으로 넘치는 초과 분량의 압력 센서 형성 물질을 제거하는 것과 함께 홈(815) 안으로 압력 센서 형성 물질을 밀어넣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주입 유닛(820)과 블레이드(830)는 그라비어 롤(810) 주위에 고정 설치되고, 그라비어 롤(81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라비어 롤(810)을 회전시켜 그라비어 롤(810)의 홈(815)에 채워진 압력 센서 패턴(M)을 전사 롤(850)의 블랭킷(Blanket, 855)으로 전사시킨다. 전사 롤(850)의 회전 방향은 그라비어 롤(810)의 회전 방향과 반대이고, 블랭킷(855)은 소정의 점성을 갖는 수지, 특히, 실리콘계 수지일 수 있다.
전사 롤(850)을 회전시켜 전사 롤(850)의 블랭킷(855)에 전사된 압력 센서 패턴(M)을 제2기판층(283)으로 전사시킨다. 이로써, 반전된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압력 센서(4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8에 도시된 롤 타입 인쇄 방식은,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방식과 비교하여 양산성이 좋아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의 압력 센서나 메쉬(mesh) 형상의 압력 센서와 같은 심플한 형상의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데 유리한 이점이 있다.
도9는 시트 타입 인쇄 방식을 이용하여 제2기판층(283)에 압력 센서(450)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를 참조하면, 클리셰판(Cliche plate, 910)의 홈(915)에 압력 센서 형성 물질을 주입하여 홈(915)에 압력 센서 패턴(M)을 형성한다.
그리고, 클리셰판(910) 위로 블랭킷(blanket, 955)을 포함하는 전사 롤(950)을 회전시켜 블랭킷(955)에 압력 센서 패턴(M)을 전사한다. 여기서, 전사 롤(950)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만 하고, 클리셰판(910)이 전사 롤(950) 아래에서 이동할 수도 있고, 클리셰판(910)은 고정되고, 전사 롤(950)이 클리셰판(910) 위에서 회전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 있다. 홈(915)의 형상은 반전된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인쇄될 압력 센서(450)의 형상과 대응된다. 그리고, 블랭킷(955)은 소정의 점성을 갖는 수지, 특히, 실리콘계 수지일 수 있다.
전사 롤(950)의 블랭킷(955)에 압력 센서 패턴(M)이 전사되면, 전사 롤(950)을 제2기판층(283) 위에서 회전시켜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압력 센서 패턴(M)이 전사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반전된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압력 센서(45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사 롤(950)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만 하고, 제2기판층(283)이 전사 롤(950) 아래에서 이동할 수도 있고, 제2기판층(283)은 고정되고, 전사 롤(950)이 제2기판층(283) 위에서 회전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 있다.
이러한 도9에 도시된 시트 타입 인쇄 방식은, 도8 및 도10에 도시된 방식과 비교하여 인쇄 정밀도가 높고, 압력 센서 형성 물질(예, 잉크)의 소비량도 낮은 이점이 있다.
도10은 리버스 오프셋 인쇄 방식을 이용하여 제2기판층(283)에 압력 센서(450)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을 참조하면, 돌기(1015)를 포함하는 클리셰판(Cliche plate, 1010) 위로 블랭킷(blanket, 1055)을 포함하는 전사 롤(1050)을 회전시켜 블랭킷(1055)의 외면 전체에 코팅된 압력 센서 형성 물질층(L)으로부터 압력 센서 패턴(M) 가공한다. 블랭킷(1055)의 외면 전체에 코팅된 압력 센서 형성 물질층(L)에서 돌기(1015)와 접촉하는 부분은 돌기(1015)로 전사되고, 접촉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은 블랭킷(1055)에 그대로 남게 되므로, 블랭킷(1055)에는 돌기(1015)에 의해서 일 부분이 제거된 소정의 압력 센서 패턴(M)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사 롤(1050)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만 하고, 클리셰판(1010)이 전사 롤(1050) 아래에서 이동할 수도 있고, 클리셰판(1010)은 고정되고, 전사 롤(1050)이 클리셰판(1010) 위에서 회전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 있다. 돌기(1015)의 형상은 반전된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인쇄될 압력 센서(450)의 형상과 대응된다. 그리고, 블랭킷(1055)은 소정의 점성을 갖는 수지, 특히, 실리콘계 수지일 수 있다.
전사 롤(1050)의 블랭킷(1055)에 압력 센서 패턴(M)이 가공되면, 전사 롤(1050)을 제2기판층(283) 위에서 회전시켜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압력 센서 패턴(M)이 전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반전된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압력 센서(45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사 롤(1050)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만 하고, 제2기판층(283)이 전사 롤(1050) 아래에서 이동할 수도 있고, 제2기판층(283)은 고정되고, 전사 롤(1050)이 제2기판층(283) 위에서 회전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 있다.
이러한 도10에 도시된 리버스 오프셋 인쇄 방식은, 도8 내지 도9에 도시된 방식과 비교하여 대면적의 압력 센서를 형성 시 유리한 이점이 있다.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그라비어 인쇄 방식을 사용하면, 제2기판층(283)에 압력 센서(450) 직접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그라비어 인쇄 방식은 해상도(resolution)는 상술한 포토리소그래피, 에칭 레지스트, 에칭 페이스트 방식보다 다소 떨어지지만, 압력 센서의 형성 과정이 상술한 방식들보다 단순하고 양산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또한, 제2기판층(283)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잉크젯 인쇄법(Inkjet Printing)이 있다.
잉크젯 인쇄법은 압력 센서(450) 형성 물질인 액적(직경 30μm이하)을 토출시켜 제2기판층(283)에 압력 센서(450)를 패터닝하는 방법이다.
잉크젯 인쇄법은 비접촉식 방식으로 작은 체적에 복잡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적합하다. 잉크젯 인쇄법의 장점은 공정이 간단하고 설비 비용 및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고, 재료를 원하는 패턴 위치에 퇴적시켜서 원칙적으로 재료의 손실이 없어서 원료의 낭비가 없고, 환경적인 부하가 적다. 또한 포토 리소그래픽과 같이 현상 및 에칭 등의 공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화학적 영향으로 기판이나 재료의 특성이 열화되는 경우가 없을 뿐만 아니라 비접촉식 인쇄 방식이어서 접촉에 의한 디바이스 손상이 없으며 요철이 있는 기판으로의 패턴도 가능하다. 또한, 주문(on demand) 방식으로 인쇄할 경우, 패턴 형상을 컴퓨터로 직접 편집하고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잉크젯 인쇄법은 연속적으로 액적을 토출시키는 연속적인(continuous) 방식과 선택적으로 액적을 토출시키는 주문(on demand) 방식으로 나뉜다. 연속적인(continuous) 방식은 일반적으로 장치가 대형이고 인쇄 품위가 낮아 컬러화에 적절하지 않기 때문에, 주로 저해상도의 마킹에 사용된다. 고해상도의 패터닝 목적으로는 주문(on demand) 방식이 대상이 된다.
주문(On demand) 방식의 잉크젯 인쇄법으로는 압전(piezo) 방식과 버블젯 방식(thermal 방식)이 있다. 압전(Piezo) 방식은 잉크실을 압전소자(전압을 인가하면 변형하는 소자)로 바꿔 체적을 변화시켜, 잉크실 안의 잉크에 압1력을 주면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것이고, 버블젯 방식은 잉크에 열을 가해 순간적으로 기포를 발생시켜, 그 압1력으로 잉크가 토출되는 것이다. 버블젯 방식은 소형화 및 고밀도화하기 쉽고 헤드의 비용도 저렴하기 때문에 오피스용으로 가장 적합한 방식이다. 다만, 열이 가해지기 때문에 헤드의 내구수명이 짧고, 용매의 비등점의 영향이나 잉크 재료로의 열데미지를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 할 수 있는 잉크가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해 압전(piezo) 방식은 고밀도화와 헤드비용의 측면에서는 버블방식보다 떨어지지만, 잉크에 열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헤드의 수명 및 잉크의 플렉서블리티(flexibility)의 측면에서는 뛰어나 오피스용 이외의 상업 인쇄나 공업 인쇄, 디바이스 제작에는 더 적합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도11은 잉크젯 인쇄법을 이용하여 제2기판층(283)에 압력 센서(450)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1을 참조하면, 노즐(1110)을 통해 토출된 미세한 액적(1150)이 공중을 날아 제2기판층(283)의 표면에 부착되고, 용매가 건조되어 고형성분이 고착되는 것에 의해 압력 센서(450)가 형성된다.
액적(1150)의 크기는 수-수십 pl, 직경은 10μm 내외이다. 액적(1150)은 제2기판층(283)의 일 면에 충돌해 부착되어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다. 형성되는 패턴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는 액적(1150)의 크기와 습윤성이다. 제2기판층(283)에 떨어진 액적(1150)은 제2기판층(283) 위에서 2차원적으로 퍼져 최종적으로 액적(1150)보다 큰 사이즈의 압력 센서(450)가 되는데, 액적(1150)이 퍼지는 것은 제2기판층(283)에 충돌할 때의 운동에너지와 용매의 습윤성에 의존한다. 액적(1150)이 너무 미세한 경우에는 운동에너지의 영향은 매우 작아져 습윤성이 지배적이게 된다. 액적(1150)의 습윤성이 낮고 습윤각이 클수록 액적(1150)의 확대가 억제되어, 미세한 압력 센서(450)를 인쇄할 수 있다. 그러나 습윤각이 너무 크면 액적(1150)은 튕겨져 뭉쳐지게 되어, 압력 센서(450)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고해상도의 압력 센서(450)를 얻기 위해서는 적당한 습윤각을 얻을 수 있도록 용매의 선택이나 제2기판층(283) 표면 상태의 제어가 필요하다. 습윤각은 대략 30∼7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기판층(283)에 부착된 액적(1150)은 용매가 증발해서 압력 센서(450)가 고정되는데, 이 단계에서 액적(1150)의 크기가 미세하여 건조 속도가 빠르다.
또한, 제2기판층(283)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스크린 인쇄법(Screen Printing)이 있다.
도12는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하여 제2기판층(283)에 압력 센서(450)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크린 인쇄법은 잉크젯 프린팅과 마찬가지로 재료의 손실이 적은 공정이다.
도12를 참조하면, 강한 장력으로 당겨진 스크린(Screen, 1210) 위에 압력 센서 형성 물질인 페이스트(paste, 1230)를 올려 스퀴지(squeegee, 1250)를 내리 누르면서 이동시켜, 페이스트(1230)를 스크린(1210)의 메쉬(mesh)를 통해 제2기판층(283)의 표면으로 밀어내 전사하는 공정이다.
도12에서, 도면번호 1215는 스크린 프레임(screen frame)이고, 도면번호 1270은 플라스틱 에멀젼(plastic emulsion)이고, 도면번호 1280은 제2기판층(283)이 장착되는 네스트(Nest)이고, 도면번호 1290은 플루드 블레이드(flood blade)이다.
스크린(1210)은 미세한 압력 센서(450)를 위해 메쉬(mesh)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금속일 수 있다. 페이스트(1230)는 적당한 점도가 필요하므로 금속 분말이나 반도체 등의 기본 재료에 수지나 용제 등이 분산된 것일 수 있다. 스크린 인쇄법은 스크린(1210)과 제2기판층(283)사이에 수 mm의 간격을 유지하다가 스퀴지(1250)가 통과하는 순간에 스크린(1210)이 제2기판층(283)과 접촉하여 페이스트(1230)를 전사하는 방식으로 접촉형 인쇄방식이긴 하지만, 접촉을 통한 제2기판층(283)의 영향은 거의 없다.
스크린 인쇄법는 롤링, 토출, 판 분리, 레벨링 등 4가지 기본 과정을 거쳐 진행된다. 롤링이란, 스크린(1210) 위에서 페이스트(1230)가 이동하는 스퀴지(1250)에 의해 앞쪽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페이스트(1230)의 점도를 일정하게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여 균일한 박막을 얻는데 중요한 과정이다. 토출과정은 페이스트(1230)가 스퀴지(1250)에 밀려 스크린(1210)의 메쉬 사이를 통과해 제2기판층(283) 표면으로 밀려나오는 과정으로 토출의 힘은 스퀴지(1250)의 스크린(1210)과의 각도와 이동속도에 의존하여 스퀴지(1250) 각도가 작고 속도가 늦을 수록 토출력은 커지게 된다. 판 분리과정은 페이스트(1230)가 제2기판층(283) 표면에 도달 한 후 스크린(1210)이 제2기판층(283)에서 떨어지는 단계로서, 해상력과 연속 인쇄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스크린(1210)을 통과해 제2기판층(283)에 이른 페이스트(1230)는 스크린(1210)과 제2기판층(283)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확산되어 번지기 때문에 즉시 스크린(1210)에서 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스크린(1210)이 높은 장력으로 당겨져야 할 필요가 있다. 제2기판층(283) 위에 토출되어 판 분리된 페이스트(1230)는 유동성이 있어 압력 센서(450)가 변화할 가능성이 있어 메쉬의 자국이나 핀홀 등이 생기게 되는데, 시간이 경과하면서 용매의 증발 등에 의해 점도가 증가하면서 유동성을 잃게 되어 최종적으로 압력 센서(450)를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레벨링이라고 한다.
스크린 인쇄법에 의한 압력 센서(450)의 인쇄 조건은 다음의 4 가지에 의해 좌우된다. ① 안정적으로 판 분리하기 위한 클리어런스, ② 페이스트(1230)를 토출시키기 위한 스퀴지(1250)의 각도, ③ 페이스트(1230) 토출과 판 분리 속도에 영향을 주는 스퀴지(1250) 속도, ④ 스크린(1210) 위의 페이스트(1230)를 긁어내는 스퀴지(1250) 압1력 등이 그것이다.
인쇄되는 압력 센서(450)의 두께는 스크린(1210)의 메쉬 두께와 개구율의 곱인 토출량으로 결정되며, 압력 센서(450)의 정밀도는 메쉬의 세밀함에 의존한다. 판 분리를 빨리 하기 위해 스크린(1210)은 강한 장력으로 당겨질 필요가 있지만, 얇은 메쉬를 갖는 스크린(1210)을 이용하여 미세한 패터닝을 할 경우, 얇은 메쉬를 갖는 스크린(1210)이 견딜 수 있는 치수 안정성의 한계를 넘어갈 수 있지만, 대략 16μm의 와이어를 사용한 스크린(1210)을 이용하면 20μm 이하의 선폭을 갖는 압력 센서(450)의 패터닝도 가능하다.
또한, 제2기판층(283)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플렉소 인쇄법(Flexography)이 있다.
도13은 플렉소 인쇄법을 이용하여 제2기판층(283)에 압력 센서(450)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3을를 참조하면, 공급부(1310)으로부터 공급되는 압력 센서 형성 물질인, 잉크를 균일한 그레이팅(grating)을 갖는 아니록스 롤(Anilox roller, 1320) 위에 도포하고, 닥터 블레이드(미도시)를 이용하여 아니록스 롤(1320)의 표면에 균일하게 펼친다. 다음으로, 아니록스 롤(1320) 표면에 펼쳐진 잉크를 프린팅 실린더(1330)에 장착된 유연한(soft) 프린팅 기판(1340)에 양각된 패턴으로 전사한다. 그리고, 유연한 프린팅 기판(1340)에 전사된 잉크를 단단한(hard) 인쇄 롤(135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제2기판층(283) 표면에 프린팅하여 압력 센서(450) 형성한다.
도13에 도시된 플렉소 인쇄법은 제2기판층(283)에 인쇄되는 압력 센서(450)의 두께를 아니록스 롤(1320)의 기공 크기와 밀도에 의해 조절할 수 있어 균일한 박막의 형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패터닝된 압력 센서(450)의 형상을 바꾸면 도포되는 위치나 범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플렉서블 기판을 이용한 인쇄에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플렉소 인쇄법은 LCD의 배향막을 도포하는 수단으로 이용되는데, 플렉소 인쇄법을 통해 균일한 두께의 폴리이미드 배향막을 형성하고, 러빙(rubbing)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한편, 제2기판층(283)의 크기가 대형화됨으로 인해, 제 6세대(1500×1800) 이후의 제2기판층(283)에서는 인쇄 롤(1350)이 이동하는 형태로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제2기판층(283)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전사 인쇄법(Transfer Printing)이 있다. 전사 인쇄법은 레이저 전사(laser transfer) 인쇄법과 열 전사(thermal transfer) 인쇄법을 포함한다.
도14는 레이저 전사 인쇄법을 이용하여 제2기판층(283)에 압력 센서(450)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4를 참조하면, 공급부(1410)에 저장된 압력 센서 형성 물질인, 잉크가 펌프(1430)에 의해 잉크 스테이션(1440)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공급부(1410)에는 잉크의 점도(viscosity)와 온도(temperature)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1420)가 마련될 수 있다.
잉크 스테이션(1440)에 존재하는 잉크는 롤러(1450)에 의해 투명 순환 벨트(Transparent endless belt, 1460)의 일 면에 코팅된다. 여기서, 투명 순환 벨트(1460)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Guide roller, 1470)에 의해 회전한다.
투명 순환 벨트(1460)가 가이드 롤러(1470)에 의해 회전하는 동안에 레이저(1480)를 투명 순환 벨트(1460)에 가하여 잉크를 투명 순환 벨트(1460)으로부터 제2기판층(283)의 표면으로 전사한다. 레이저(1480)를 제어함으로서 레이저(1480)에 의해 발생된 열과 레이저의 압1력에 의하여 소정의 잉크가 제2기판층(283)으로 전사된다. 전사된 잉크가 압력 센서(450)가 된다. 그여기서, 제2기판층(283)은 핸들링 시스템(Handling system, 1490)에 의해 소정의 프린트 방향(print direction)으로 이송된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열 전사 인쇄법은, 도14에 도시된 레이저 전사법과 유사한 방법으로서, 잉크가 코팅된 투명 순환 벨트에 높은 온도의 열을 방출하는 방열 소자를 가하여 제2기판층(283)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을 갖는 압력 센서(450)를 형성하는 방법이다.
레이저 전사 인쇄법과 열 전사 인쇄법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법은, 제2기판층(283)으로 전사된 압력 센서(450)의 정밀도를 약 ±2.5μm 정도로 매우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에서는, 압력 센서(450)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제조 공정에 대해 설명했지만, 그 순서가 달라져도 무방하고, 그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이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7a 내지 도7d 및 도8 내지 도14의 공정에서는, 제 1 공정에 따른 제2기판층(283)을 먼저 반전시켜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한 후, 제2기판층(283)을 다시 원위치로 반전시킨 다음, TFT 레이어(620) 및 제1기판층(281)을 형성시키는 것을 산정하여 설명하였으나, 그 순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7a 내지 도7d에서 설명된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압력 센서(450)를 형성시킬 때, 증착물(압력 센서)이 실리콘 등인 경우에는 고온의 공정 조건이 필요하다. 이 경우, 제2기판층(283) 상면에 형성되는 TFT 레이어(620)에는 메탈층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TFT 레이어(620)을 형성한 이후에 압력 센서(450)을 형성하게 되면, 고온의 공정 환경에 의하여 TFT 레이어(620)에 포함된 메탈층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도7a 내지 도7d에 설명한 것과 같이, 먼저 제2기판층(283) 하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한 후, TFT 레이어(620)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압력 센서(450)의 조성물이 메탈인 경우에는 제 2 공정에 따라 TFT 레이어(620)를 형성한 후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FT 레이어(620) 형성 시 역시 마찬가지로 실리콘 증착 등의 고온의 공정 조건이 요구되기 때문에, 압력 센서(450)를 먼저 형성하게 되면 TFT 레이어(620) 형성 시 압력 센서(450)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먼저 TFT 레이어(620)를 형성한 수, 제2기판층(283) 하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 2 공정을 거친 도15a 내지 도15d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먼저 제2기판층(283) 상면에 TFT 레이어(620)을 형성시키고, 그 다음 TFT 레이어(620) 위에 제1기판층(281)을 형성시킨 다음, 제2기판층(283)의 하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제1기판층(281), TFT 레이어(620) 및 제2기판층(283)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반전시킨다. 그 다음, 상기에 기술한 방법으로 압력 센서(450)을 상부를 향한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형성시킬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상부에 제1편광층(282)까지 배치된 상태의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반전시켜 압력 센서(450)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 때, 도15a 내지 도15d는 증착 공정에 의하여 압력 센서(450)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7a 내지 도7d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도8 내지 도14에 도시된 다른 공정에 의하여 압력 센서(450)를 형성하는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8 내지 도 14에 도시된 다른 공정에 의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제2기판층(283), TFT 레이어(620) 및 제1기판층(281)을 모두 형성한 다음, 제2기판층(283)의 하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더불어, 에칭 레지스트, 에칭 페이스트 등의 압력 센서 형성 방법, 또는 도8 내지 도14에 도시된 압력 센서 형성 방법은 전술한 제2기판층(283)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하는 경우 뿐 아니라, 제3기판층(285)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6a 내지 도6f의 차광층의 배치로 인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형태는 도7a 내지 도7d에 따른 제 1 공정에 의해 제작될 수도 있고, 도15a 내지 도15d에 따른 제 2 공정에 의해 제작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에 따른 제 1 공정을 이용하여, 상부를 향한 제2기판층(283) 하부에 차광층(284)을 먼저 배치시키고, 그 다음, 상부를 향한 차광층(284)의 하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한 후, 압력 센서(450)가 형성된 차광층(284) 및 제2기판층(283)을 반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반전된 제2기판층(283)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280)을 형성한 후,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280)의 제1기판층(281)을 형성할 수 있다.
반면, 도6a에 도시한 압력 센서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 15에 따른 제 2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먼저, 2기판층(283)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280)을 형성하고,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280)의 상부에 제1기판층(281)을 형성한 후, 제2기판층(283),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280) 및 제1기판층(281)을 포함하는 패널을 반전시키고, 상부를 향한 제2기판층(283) 하부에 차광층(284)을 배치시킨 다음, 상부를 향한 차광층(284)의 하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에 따른 제 1 공정을 이용하여, 먼저, 상부를 향한 제2기판층(283) 하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하고, 상부를 향한 압력 센서(450)가 형성된 제2기판층(283)의 하부에 차광층(284)을 배치시킬 수 있다. 이후, 차광층(284) 및 압력 센서(450)가 형성된 제2기판층(283)을 반전시키고, 반전된 제2기판층(283)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280)을 형성하고,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280)의 상부에 제1기판층(281)을 형성할 수 있다.
반면, 도6b에 도시한 압력 센서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 15에 따른 제 2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먼저, 제2기판층(283)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형성하고,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280)의 상부에 제1기판층(281)을 형성한 후, 제2기판층(283),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280) 및 제1기판층(281)을 포함하는 패널을 반전시킬 수 있다. 이후, 상부를 향한 제2기판층(283) 하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한 후, 상부를 향한 압력 센서(450)가 형성된 제2기판층(283) 하부에 차광층(284)을 배치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는 제2기판층(283) 하부에 차광층(284)과 압력 센서(450)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제3기판층(285) 하부에 차광층(284)과 압력 센서(450)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에 따른 제 1 공정을 이용하여, 먼저 상부를 향한 제3기판층(285) 하부에 차광층(284)을 배치시키고, 상부를 향한 차광층(284)의 하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한 다음, 압력 센서(450)가 형성된 차광층(284) 및 제3기판층(285)을 반전시킬 수 있다. 이후, 반전된 제3기판층(285)의 상부에 제2기판층,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280) 및 제1기판층(281)으로 구성된 패널을 배치시킬 수 있다.
반면, 도6c에 도시한 압력 센서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 15에 따른 제 2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먼저, 제2기판층(283)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280)을 형성하고,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280)의 상부에 제1기판층을 형성한 다음, 제2기판층(283),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280) 및 제1기판층(281)을 포함하는 패널을 반전시킬 수 있다. 이후, 반전된 제2기판층(283)의 하부에 제3기판층(285)을 배치시키고, 상부를 향한 제3기판층(285) 하부에 차광층(284)을 배치시킨 다음, 상부를 향한 차광층(284)의 하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에 따른 제 1 공정을 이용하여, 먼저 상부를 향한 제3기판층(285) 하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하고, 상부를 향한 압력 센서(450)가 형성된 제3기판층(285)의 하부에 차광층(284)을 배치시킨 후, 차광층(284) 과 제3기판층(285)을 반전시킬 수 있다. 이후, 반전된 제3기판층(285)의 상부에 제2기판층(283),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280) 및 제1기판층(281)으로 구성된 패널을 배치시킬 수 있다.
반면, 도6d에 도시한 압력 센서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 15에 따른 제 2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제2기판층(283)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형성하고,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의 상부에 제1기판층(281)을 형성한 다음, 제2기판층(283),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280) 및 제1기판층(281)을 포함하는 패널을 반전시킬 수 있다. 이후, 반전된 제2기판층(283) 하부에 제3기판층(285)을 배치시키킨 다음,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285) 하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하고, 상부를 향한 압력 센서(450)가 형성된 제3기판층(285) 하부에 차광층(284)을 배치시킬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에 따른 제 1 공정을 이용하여, 먼저 상부를 향한 제3기판층(285) 하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하고, 압력 센서(450)가 형성된 제3기판층(285)을 반전시킨 후, 반전된 제3기판층(285)의 상부에 차광층(284), 제2기판층(283),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제1기판층(281)으로 구성된 패널을 배치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먼저 상부를 향한 제3기판층(285) 하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하고, 압력 센서(450)가 형성된 제3기판층(285)을 반전시킨 후, 반전된 제3기판층(285)의 상부에 차광층(284)을 배치시키고, 차광층(284)의 상부에 제2기판층(283),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281)으로 구성된 패널을 배치시킬 수도 있다.
반면, 도6e에 도시한 압력 센서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 15에 따른 제 2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먼저, 상부를 향한 제2기판층(283)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형성하고,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의 상부에 제1기판층(281)을 형성하며, 제2기판층(283),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제1기판층(281)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반전시킨 이후, 상부를 향한 제2기판층(283) 하부에 차광층(284)을 배치시키고, 상부를 향한 차광층(284) 하부에 제3기판층(285)을 배치시키며, 상부를 향한 제3기판층(285)의 하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에 따른 제 1 공정을 이용하여,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285) 하면에 차광층(284)을 형성하고, 차광층(284)이 형성된 제3기판층(285)을 반전시키 후, 반전된 제3기판층(285)의 상부에 압력 센서(450), 제2기판층(283),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제1기판층(281)으로 구성된 패널을 배치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먼저 상부를 향한 제3기판층(285) 하부에 차광층(284)을 배치하고, 차광층(284)이 배치된 제3기판층(285)을 반전시킨 후, 반전된 제3기판층(285)의 상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시킨 후, 압력 센서(450) 상면에 제2기판층(283),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제1기판층(281)으로 구성된 패널을 배치시킬 수 있다.
반면, 도6f에 도시한 압력 센서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 15에 따른 제 2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먼저, 상부를 향한 제2기판층(283)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형성하고,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의 상부에 제1기판층을 형성하며, 제2기판층(283),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제1기판층(281)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반전시킨 후, 상부를 향한 제2기판층(283) 하면에 압력 센서(450)를 형성시키고, 상부를 향한 압력 센서(450) 하부에 제3기판층을 배치시키며, 상부를 향한 제3기판층(285)의 하부에 차광층(284)을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사용되는 터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450)는 압력 전극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입력 장치에 대한 터치 압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지며, 휘어짐에 따른 압력 센서(450)의 전기적 특성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 센서(450)가 압력 전극인 경우, 터치 입력 장치는 압력 전극과 소정 거리 이격하여 형성된 기준전위층(예를 들어, 기판(300))을 포함하고, 압력 전극과 기준전위층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변하는 정전용량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반면, 압력 센서(450)가 도 17과 같은 스트레인 게이지인 경우, 터치 압력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값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사용되는 터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예시적인 압력 센서(450)의 평면도이다. 이 경우, 압력 센서(450)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일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스트레인 양에 비례하여 전기 저항이 달라지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금속 결합된 스트레인 게이지가 사용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에 사용될 수 있는 재료로는, 투명 물질로, 전도성 고분자(PEDOT: polyethyleneioxythiophene), ITO(indium tin oxide), ATO(Antimony tin oxide),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s), 그래핀(graphene), 산화갈륨아연(gallium zinc oxide), 인듐갈륨아연산화물(IGZO: indium gallium zinc oxide), 산화주석(SnO2), 산화인듐(In2O3), 산화아연(ZnO), 산화갈륨(Ga2O3), and 산화카드뮴(CdO), 기타 도핑된 금속 산화물, 압전 저항 소자(piezoresistive element), 압전 저항 반도체 물질(piezoresistive semiconductor materials), 압전 저항 금속 물질(piezoresistive metal material), 은 나노 와이어(silver nanowire), 백금 나노 와이어(platinum nanowire), 니켈 나노 와이어(nickel nanowire), 기타 금속 나노 와이어(metallic nanowire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불투명 물질로는, 은잉크(silver ink), 구리(copper), 은나노(nano silver), 탄소 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 콘스탄탄 합금(Constantan alloy), 카르마 합금(Karma alloys), 도핑된 다결정질 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도핑된 비결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도핑된 단결정 실리콘(single crystal silicon), 도핑된 기타 반도체 물질(semiconductor materia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광층을 터치 입력 장치에 배치하여 압력 센서가 빛으로부터 차폐되어 외부에 보이지 않을 수 있다.

Claims (43)

  1. 터치 입력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터치 입력 장치에 대한 터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를 빛으로부터 차폐하기 위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및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제2기판층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차광층은 상기 압력 센서가 형성된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터치 입력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층은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차광층 하면에 형성되는 터치 입력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제3기판층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차광층은 상기 압력 센서가 형성된 상기 제3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터치 입력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층은 상기 제3기판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차광층 하면에 형성되는 터치 입력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제3기판층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차광층은 상기 제2기판층과 상기 제3기판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입력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은 검정색 잉크, 검정색 필름, 검정색 양면 접착 테이프(DAT: Double Adhesive Tape) 또는 상기 터치 입력 장치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는 검정색의 탄성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검정색은 빛의 반사가 없는 제 1 검정 색상 및 소정의 임계치 범위 내에서 상기 검정색과 명도 또는 채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제 2 검정 색상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9.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판층은 상기 제1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보다 상대적으로 잘 휘어지지 않는 터치 입력 장치.
  10.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판층은 차광 기능을 가진 터치 입력 장치.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압력 전극으로 구성된 터치 입력 장치.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로 구성된 터치 입력 장치.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OLED 패널인 터치 입력 장치.
  14.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및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부를 향한 상기 제2기판층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압력 센서가 형성된 상기 제2기판층의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시키는, 차광층 배치 단계;
    상기 차광층 및 상기 압력 센서가 형성된 상기 제2기판층을 반전시키는, 차광층 및 제2기판층 반전 단계;
    반전된 상기 제2기판층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형성 단계; 및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의 상부에 상기 제1기판층을 형성하는, 제1기판층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15.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및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2기판층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형성 단계;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의 상부에 제1기판층을 형성하는, 제1기판층 형성 단계;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을 포함하는 패널을 반전시키는, 패널 반전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제2기판층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 및
    상부를 향한 상기 압력 센서가 형성된 상기 제2기판층의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시키는, 차광층 배치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16.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및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차광층,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부를 향한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시키는, 차광층 배치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차광층의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
    상기 압력 센서가 형성된 상기 차광층 및 상기 제2기판층을 반전시키는, 차광층 및 제2기판층 반전 단계;
    반전된 상기 제2기판층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형성 단계; 및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의 상부에 제1기판층을 형성하는, 제1기판층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17.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및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2기판층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형성 단계;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의 상부에 제1기판층을 형성하는, 제1기판층 형성 단계;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을 포함하는 패널을 반전시키는, 패널 반전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시키는, 차광층 배치 단계; 및
    상부를 향한 상기 차광층의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18.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압력 센서가 형성된 상기 제3기판층의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시키는, 차광층 배치 단계;
    상기 차광층 및 상기 제3기판층을 반전시키는, 차광층 및 제3기판층 반전 단계; 및
    반전된 상기 제3기판층의 상부에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으로 구성된 패널을 배치시키는 패널 배치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19.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2기판층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형성 단계;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의 상부에 제1기판층을 형성하는, 제1기판층 형성 단계;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을 포함하는 패널을 반전시키는, 패널 반전 단계;
    반전된 상기 제2기판층의 하부에 상기 제3기판층을 배치시키는 제3기판층 배치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 및
    상부를 향한 상기 압력 센서가 형성된 상기 제3기판층의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시키는, 차광층 배치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20.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시키는, 차광층 배치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차광층의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
    상기 압력 센서가 형성된 상기 차광층 및 상기 제3기판층을 반전시키는, 차광층 및 제3기판층 반전 단계; 및
    반전된 상기 제3기판층의 상부에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으로 구성된 패널을 배치시키는 패널 배치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21.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2기판층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형성 단계;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의 상부에 제1기판층을 형성하는, 제1기판층 형성 단계;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을 포함하는 패널을 반전시키는, 패널 반전 단계;
    반전된 상기 제2기판층의 하부에 상기 제3기판층을 배치시키는 제3기판층 배치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시키는, 차광층 배치 단계; 및
    상부를 향한 상기 차광층의 하면에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22.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
    상기 압력 센서가 형성된 상기 제3기판층을 반전시키는, 제3기판층 반전 단계; 및
    반전된 상기 제3기판층의 상부에 상기 차광층,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으로 구성된 패널을 배치시키는 패널 배치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23.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
    상기 압력 센서가 형성된 제3기판층을 반전시키는, 제3기판층 반전 단계;
    반전된 상기 제3기판층의 상부에 차광층을 배치시키는 차광층 배치 단계; 및
    상기 차광층의 상부에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으로 구성된 패널을 배치시키는 패널 배치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24.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부를 향한 상기 제2기판층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형성 단계;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의 상부에 제1기판층을 형성하는, 제1기판층 형성 단계;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반전시키는, 디스플레이 패널 반전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시키는, 차광층 배치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차광층 하부에 상기 제3기판층을 배치시키는, 제3기판층 배치 단계; 및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의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25. 제14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 형성 단계는,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에칭 레지스트(etching resist) 또는 에칭 페이스트(etching paste)를 이용한 식각 공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26. 제14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 형성 단계는,
    그라비어 인쇄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 형성 단계는,
    그라비어 롤에 형성된 홈에 압력 센서 형성 물질을 주입하여 압력 센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그라비어 롤을 회전시켜 상기 압력 센서 패턴을 회전하는 전사 롤의 블랭킷으로 전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사 롤을 회전시켜 상기 전사 롤의 블랭킷에 전사된 상기 압력 센서 패턴을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 형성 단계는,
    클리셰판에 형성된 홈에 압력 센서 형성 물질을 주입하여 상기 홈에 압력 센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클리셰판 위에서 전사 롤을 회전시켜 상기 전사 롤의 블랭킷에 상기 압력 센서 패턴을 전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사 롤을 회전시켜 상기 전사 롤의 블랭킷에 전사된 상기 압력 센서 패턴을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29.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 형성 단계는,
    돌기를 포함하는 클리셰판 위에서 전사 롤을 회전시켜 상기 전사 롤의 블랭킷의 외면 전체에 코팅된 압력 센서 형성 물질층으로부터 압력 센서 패턴을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전사 롤을 회전시켜 상기 전사 롤의 블랭킷에 가공된 상기 압력 센서 패턴을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30. 제14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 형성 단계는,
    잉크젯 인쇄법을 이용하여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 형성 단계는,
    액적을 노즐을 통해 토출시켜 상기 액적을 부착시키는 단계; 및
    부착된 상기 액적의 용매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32. 제14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 형성 단계는,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하여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 형성 단계는,
    소정의 장력으로 당겨진 스크린 위에 압력 센서 형성 물질인 페이스트를 올리고, 스퀴지를 내리 누르면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페이스트를 상기 스크린의 메쉬(mesh)를 통해 밀어내는 전사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는 스테인레스 금속인,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35. 제14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 형성 단계는,
    플렉소 인쇄법을 이용하여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 형성 단계는,
    공급부으로부터 공급되는 압력 센서 형성 물질인 잉크를 균일한 그레이팅(grating)을 갖는 아니록스 롤 위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아니록스 롤의 표면에 펼쳐진 잉크를 프린팅 실린더에 장착된 유연한 프린팅 기판에 양각된 패턴으로 전사하는 단계; 및
    상기 유연한 프린팅 기판에 전사된 잉크를 단단한 인쇄 롤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표면에 프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37. 제14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 형성 단계는,
    전사 인쇄법을 이용하여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 형성 단계는,
    공급부으로부터 공급되는 압력 센서 형성 물질인 잉크를 투명 순환 벨트에 코팅하는 단계; 및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투명 순환 벨트의 표면에 코팅된 잉크를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 형성 단계는,
    공급부으로부터 공급되는 압력 센서 형성 물질인 잉크를 투명 순환 벨트에 코팅하는 단계; 및
    발열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투명 순환 벨트의 표면에 코팅된 잉크를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4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층은 상기 제3기판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제2기판층과 상기 제3기판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입력 장치.
  41.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 하면에 상기 차광층을 형성하는 차광층 형성 단계;
    상기 차광층이 형성된 상기 제3기판층을 반전시키는, 제3기판층 반전 단계; 및
    반전된 상기 제3기판층의 상부에 상기 압력 센서,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으로 구성된 패널을 배치시키는 패널 배치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42.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하는 차광층 배치 단계;
    상기 차광층이 배치된 상기 제3기판층을 반전시키는, 제3기판층 반전 단계;
    반전된 상기 제3기판층의 상면에 압력 센서를 형성시키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 및
    상기 압력 센서 상면에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으로 구성된 패널을 배치시키는 패널 배치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43. 제1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2기판층, 상기 제1기판층과 상기 제2기판층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2기판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압력 센서,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상부를 향한 상기 제2기판층의 상면에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형성 단계;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의 상부에 제1기판층을 형성하는, 제1기판층 형성 단계;
    상기 제2기판층, 상기 액정층 또는 유기물층 및 상기 제1기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반전시키는, 디스플레이 패널 반전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제2기판층 하면에 상기 압력 센서를 형성시키는, 압력 센서 형성 단계;
    상부를 향한 상기 압력 센서 하부에 상기 제3기판층을 배치시키는, 제3기판층 배치 단계; 및
    상부를 향한 상기 제3기판층의 하부에 상기 차광층을 배치하는, 차광층 배치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PCT/KR2018/005683 2017-05-22 2018-05-17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차광층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WO201821695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030A KR101886683B1 (ko) 2017-05-22 2017-05-22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차광층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KR10-2017-0063030 2017-05-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16959A1 true WO2018216959A1 (ko) 2018-11-29

Family

ID=63251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5683 WO2018216959A1 (ko) 2017-05-22 2018-05-17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차광층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335883A1 (ko)
JP (2) JP6793145B2 (ko)
KR (1) KR101886683B1 (ko)
CN (1) CN108958527B (ko)
WO (1) WO20182169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5480B1 (en) 2016-05-10 2020-03-1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n input device having a haptic engine
CN107315505B (zh) * 2017-06-30 2020-10-0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触控显示装置及触控压力检测方法
US11054932B2 (en) 2017-09-06 2021-07-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sensor, force sensor, and haptic actuator in an integrated module
KR102632927B1 (ko) * 2018-04-25 2024-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936071B2 (en) 2018-08-30 2021-03-02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haptic rotatable input
US10966007B1 (en) 2018-09-25 2021-03-30 Apple Inc. Haptic output system
US11024135B1 (en) 2020-06-17 2021-06-01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haptic button assembl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626A (ko) * 2006-06-09 2009-03-18 애플 인크. 터치 스크린 액정 디스플레이
US20100053115A1 (en) * 2008-08-26 2010-03-04 Kang-Woo Kim Touch screen display
KR20160016584A (ko) * 2015-06-19 2016-02-15 주식회사 하이딥 스마트폰
KR101675254B1 (ko) * 2015-07-17 2016-11-23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20170046231A (ko) * 2015-10-20 2017-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339B1 (ko) * 2008-04-22 2010-04-29 주식회사 애트랩 접촉 및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과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 패널을 이용하는 접촉 및 접근 감지방법
KR100976527B1 (ko) * 2008-10-14 2010-08-17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광도전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기능이 내장된 액정표시장치
CN102834793A (zh) * 2010-03-29 2012-12-19 夏普株式会社 带触摸面板功能的显示装置
CN103907081A (zh) * 2011-10-27 2014-07-02 Lg伊诺特有限公司 触控面板
US9880653B2 (en) * 2012-04-30 2018-01-30 Corning Incorporated Pressure-sensing touch system utilizing total-internal reflection
EP2940516A4 (en) * 2012-12-27 2017-01-18 Toppan Printing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lor filter substrate, and color filter substrate production method
JP6119518B2 (ja) * 2013-02-12 2017-04-26 ソニー株式会社 センサ装置、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221154B1 (ko) * 2013-10-28 2021-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4391614B (zh) * 2013-12-02 2017-09-22 深圳市联合瑞泰科技有限公司 凹版微移印制作触摸屏传感器的方法
KR20170020725A (ko) * 2015-07-29 2017-02-24 주식회사 하이딥 압력 전극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압력 전극 형성 방법
CN104992627B (zh) * 2015-07-29 2018-11-06 敦泰电子有限公司 具有压力检测器的显示模块
CN107924647A (zh) * 2015-08-07 2018-04-17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显示装置
KR101727263B1 (ko) * 2015-09-09 2017-04-26 주식회사 하이딥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터치 압력 검출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
JP6589479B2 (ja) * 2015-09-11 2019-10-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示装置
CN205334426U (zh) * 2015-10-28 2016-06-22 敦泰电子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KR101666866B1 (ko) * 2015-12-29 2016-10-17 주식회사 하이딥 스마트폰
CN205427383U (zh) * 2016-02-22 2016-08-03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压力感应触控屏及电子设备
JP6176368B2 (ja) * 2016-06-23 2017-08-09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及び情報表示装置
US10296091B2 (en) * 2016-10-13 2019-05-21 Immersion Corporation Contextual pressure sensing haptic responses
CN108108045A (zh) * 2016-11-24 2018-06-01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触控基板、触控屏及其制造方法、显示设备
KR20180090922A (ko) * 2017-02-03 2018-08-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626A (ko) * 2006-06-09 2009-03-18 애플 인크. 터치 스크린 액정 디스플레이
US20100053115A1 (en) * 2008-08-26 2010-03-04 Kang-Woo Kim Touch screen display
KR20160016584A (ko) * 2015-06-19 2016-02-15 주식회사 하이딥 스마트폰
KR101675254B1 (ko) * 2015-07-17 2016-11-23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20170046231A (ko) * 2015-10-20 2017-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958527B (zh) 2021-12-07
KR101886683B1 (ko) 2018-08-09
JP7164891B2 (ja) 2022-11-02
JP6793145B2 (ja) 2020-12-02
JP2020194589A (ja) 2020-12-03
US20180335883A1 (en) 2018-11-22
CN108958527A (zh) 2018-12-07
JP2018198049A (ja)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38367A1 (ko) 스트레인 게이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스트레인 게이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WO2018216959A1 (ko) 차광층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차광층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제조 방법
WO2017160105A1 (ko) 터치 입력 장치
US1135397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input device and touch input device
WO2017074107A1 (ko) 압력 검출 정밀도 보정을 수행하는 압력 검출기 및 터치 입력 장치
WO2017039282A1 (ko) 압력 감도 조절이 가능한 압력 검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WO2017164505A1 (ko)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WO2018151481A1 (ko) 터치 입력 장치
WO2017018718A1 (ko) 압력 전극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압력 전극 형성 방법
KR102018680B1 (ko) 스트레인 게이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스트레인 게이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WO2018097460A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WO2018048105A1 (ko) 터치 입력 장치
WO2018004122A1 (ko) 터치 입력 장치
WO2017164582A1 (ko) 화면 캡처가 용이한 모바일 단말 및 화면 캡처 방법
WO2019245255A1 (ko) 터치입력장치의 공통모드노이즈 제거 방법 및 동일 방법으로 구현된 터치입력장치
WO2018131979A1 (ko) 터치 입력 장치
WO2017135544A1 (ko) 디스플레이 모듈에 압력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
WO2018212483A1 (ko) 스트레인 게이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WO2018101585A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WO2018139815A1 (ko) 복수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WO2018147656A1 (ko) 터치 압력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WO2019050257A1 (ko)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WO2018117581A1 (ko) 복수의 전기적 특성을 검출하는 압력 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WO2018093031A1 (ko) 터치 입력 장치에서의 전화 연결 방법
WO2018097459A1 (ko) 압력 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058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058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