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55962A1 - 유도 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유도 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55962A1
WO2018155962A1 PCT/KR2018/002282 KR2018002282W WO2018155962A1 WO 2018155962 A1 WO2018155962 A1 WO 2018155962A1 KR 2018002282 W KR2018002282 W KR 2018002282W WO 2018155962 A1 WO2018155962 A1 WO 201815596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il
heating coil
heating
pow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228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오두용
박병욱
옥승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7367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66353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488,73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10136880A1/en
Publication of WO201815596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559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uction heating cooker having a triple heating coil having the same center and operating from different power sources.
  • an induction heating cooker causes a high frequency current to flow to a working coil or a heating coil, and when a strong magnetic force generated therethrough flows through the cooking vessel, an eddy current flows to heat the container itself. It is an electric cooking apparatus that performs a cooking function by.
  • the cooking vessel which is a magnetic material, generates heat by induction heating, and at this time, the premature vessel itself is heated and cooked by the generated heat. do.
  •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duction heating cooker.
  • FIG. 1 is a diagram shown in US published patent US 2005 / 0109770A1.
  • the conventional induction heating cooker includes first and second power modules 1 and 3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heating coil 5 and the second heating coil 9, respectively.
  • the heating zone of the cooking vessel 21, such as a pan also includes first and second heating zones 13, 15.
  • the first heating coil 5 disposed in the first heating region 13 is controlled by the first power module 1 and the second heating coil 9 disposed in the second heating region 15. Is controlled by the second power module 3.
  • the first and second power modules 1 and 3 can heat the cooking vessel 21 quickly by simultaneously supplying respective maximum powers to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coils 5 and 9.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power modules 1 and 3 may increase the total power provided to the cooking vessel 21 by providing maximum power to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coils 5 and 9, respectively.
  • one heating coil can not output more than 3.7kW in the power supply environment of the phase current limit, therefore, there was a structural limitation that the maximum output is limited to 7.2kW for dual heating coils using two heating coils .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uction heating cooker that provides a maximum power of 10 kW or more, comprising a triple heating coil composed of three coils having the same cent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ach coil being three phase Or by operating with different power sources in a single phase, to provide an induction heating cooker with increased maximum pow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uction heating cooker having an increased maximum output by including a triple heating coil composed of three coils which are supplied with three powers of three or single phase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the size of the container of the heating coil,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tainer, by including a triple heating coil consisting of three coils capable of operating only the coil located below the container, automatically It is to provide an induction heating cooker to operate only the heating coil located in.
  • the first to third heating coils operated by different power sources, the first to third coil driving circuit for controlling the first to third heating coil, respectively, and th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to third coil driving circuits to operate the first to third heating coils at the same frequency.
  • the first to third heating coils and the first to third heating coils respectively operated by the first to third AC power supply unit different from each other Including a coil drive circuit, the first to third AC power supply unit has a different phase, or all have the same phase.
  • the first to third heating coils operated by different first to third AC power supply unit operated by different first to third AC power supply unit
  • the first to the third to control the first to third heating coil respectively
  • the measured data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to third coil driving circuits are operated.
  •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maximum power of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to 10 kW or more by using a triple heating coil composed of three coils having the same cent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is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to cook by providing the maximum power possible in a typical home environment, and meet the needs of consumers who want greater firepower.
  •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riple heating coil composed of three coils that are supplied with different power in three or single phases.
  •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in all different power environment in different countries, thereby improving the versatility of the product.
  • each coil included in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operates at the same operating frequency to remove noise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coils when operating at different frequencies, and improves the output deviation of the plurality of coils according to the phase deviation. can do.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ietness of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to improve the output and the stability of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the size of the container of the heating coil, it is possible to operate only the coil located below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tainer. Through this, the unnecessary coil can be operated to maximize energy efficiency, and the user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only without the user's separate operation,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duction heating cooker.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of Figure 2 heats the cooking vessel.
  •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triple heating coil included in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of FIG.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riple heating coil included in an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of Figure 2 heats the cooking vessel.
  •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induction heating cooker includes a main body housing 1100, a cooking plate 1200, a user interface unit 1300, and a driving circuit 1400.
  • the AC power supply unit 210 may receive an external AC power supply 700 and convert it into a three-phase AC power supply.
  • the AC power supply unit 210 includes a first AC power supply unit 211 for generating AC power in R phase, a second AC power supply unit 212 for generating AC power in S phase, and a third AC power supply unit for generating AC power in T phase ( 213).
  • the first AC power supply unit 211 to the third AC power supply unit 213 may not use more than a specific electric power. For example, one phase can generate up to 16A of current, 3.6kW of power.
  • the induction cooker can generate a power source having a power of about 10.8 kW.
  • the rectifier 260 may generate a DC power by rectifying the three-phase AC power generated by the AC power supply 210.
  • the rectifier 260 may reduce the change in the generated DC power source and maintain it uniformly. That is, the rectifier 260 may include a rectifier circuit RC for converting AC power into DC power and a smoothing circuit SC for uniformly maintaining the converted DC power.
  • the rectifier circuit RC may have a form in which four diodes of a full bridge form are disposed, and the smoothing circuit SC may have a form in which capacitors are connected in parallel at two stages.
  • the power supply unit 200 shown in FIG. 4 is just one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wer supply unit 200 may be used by omitting the rectifying unit 260.
  • the coil driving circuit 310 may include first to third coil driving circuits 311, 312, and 313 to control three separate heating coils included in the triple heating coil.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detection unit 400 detects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00.
  • the detector 400 detects an input current supplied from the AC power supply 210 to the rectifier 260 and a drive current supplied from the coil driver 300 to the heating coil L. It may include.
  • the sensing unit 400 may measure the size of the container mounted on the heating coil L and transmit the measured size to the control unit 100.
  • the controller 100 may collectiv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based on the power of each heating coil sensed by the sensing unit 400, a user command of the user interface 120, and preset power data of the storage unit 450.
  • the driving controller 111 may control the coil driver 300 and the switching unit 800 to correspond to a control command of the main controller 110 and the main controller 110.
  • the controller 10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each operation to execute an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by the user.
  •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and signal flow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performs a function of processing data.
  •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200 to be transmitted to internal components of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 the controller 100 may determine the priority of the plurality of heating coils based on the plurality of driving currents sensed by the current sensing unit 410, and distribute the current to distribute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coil.
  • control unit 1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level input to the user interface 120 to the coil driver 300 to the size and frequency of the high-frequency power generated by the coil drive circuit of the coil driver 300. Can be adjusted.
  • the controller 100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included in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an input / output processor 160 for mediating data access between the controller 100, and a memory 140 for temporarily or non-temporarily storing programs and data. It may include.
  • the memory 140 may be implemented using RAM or ROM.
  • the storage unit 450 may include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ROM, a fast random access memory (RAM), a magnetic disk storage device, a flash memory device, or another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ROM, a fast random access memory (RAM), a magnetic disk storage device, a flash memory device, or another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the storage unit 450 may include a network attached storage device that is accessed through a network.
  • the communication unit 500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540 by wire or wirelessly to communicate with another external home appliance 580 or the server 550.
  • the communicator 500 may exchange data with the server 550 connected to the home server 550 or another home appliance 580 in the home.
  • the communication unit 500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standard of a home server.
  • the communication unit 500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540 by wire or wirelessly to exchange data with the server 550, the remote controller 570, the portable terminal 560, or another home appliance 580.
  • the communicator 50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hat communicate with other external home appliances 580.
  • the communicator 500 may includ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510,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520, and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530.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510 may be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 Local area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e wireless LAN, Wi-Fi, BluetoothTM, zigbeeTM, Wi-Fi Direct, WWD (ultra wideband), and infrared communication (IrDA). ), Bluetooth Low Energy (BLE) o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user interface 12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00 to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B generated by each heating coil L, as well as control commands such as power input and start / stop of operation from the user. You can receive an output level selection command.
  • the output level is a discrete division of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B generated by each heating coil L. Since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B corresponds to the strength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heating coil L, the output level may be a discrete division of the strength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heating coil L.
  • the output level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evels, for example, may be divided into level 0 to level 10. In this case, the higher the output level, i.e., the closer the output level is to level 10, the heating coil L can be set to produce a relatively large magnetic field B, whereby the cooking vessel Y can be made more quickly. Can be heated.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depending on the designer's choice, that the lower the output level, the heating coil L is set to produce a smaller magnetic field B.
  • Each level may be defined by dividing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current at equal intervals.
  • the difference in current between each level may be the same.
  • level 0 may be a current applied to 0A
  • a difference in current corresponding to each of levels 1 to 10 may be defined as 1.6A.
  • level 10 may be defined as 16A.
  • the curre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can be arbitrarily defined.
  • the curre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may not be the same. For example, some of the difference in current between levels may be greater than the difference in current between other level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nput unit 128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input means such as a physical button, a touch button, a touch pad, a knob, a jog shuttle, an operation stick, a trackball, and a track pad.
  • the display 129 may be implemented by employing,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the like. .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LED light emitting diode
  •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the user interface 120 may include a touch screen panel (TSP) in which the input unit 128 and the display 129 are integrally implemented.
  • TSP touch screen panel
  •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items as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omitted and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differences.
  • an induction heating cooker may include a heating coil L, a controller 100, a power supply unit 200, a first coil driving circuit 311, and a second coil driving circuit ( 312) a third coil drive circuit 313.
  • the heating coil L includes a first heating coil L1, a second heating coil L2, and a third heating coil L3.
  • the first heating coil L1 is disposed at the innermost side
  • the second heating coil L2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heating coil L1
  • the third heating coil L3 is disposed at the second heating coil ( It is arranged outside of L2). That is, the first heating coil L1 is the innermost, the second heating coil L2 is between the first heating coil L1 and the third heating coil L3, the third heating coil L3 is the outermost Can be placed in.
  • Each of the heating coils L1, L2, and L3 may have the same center point C, and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diameters.
  • Each heating coil L1, L2, L3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each heating coil (L1, L2, L3) may have a different number of coil turn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 Each of the heating coils L1, L2, L3 is controlled by respective coil drive circuits 311, 312, 313.
  • the first heating coil L1 is controlled by the first coil driving circuit 311
  • the second heating coil L2 is controlled by the second coil driving circuit 312, and the third heating coil.
  • L3 is controlled by the third coil drive circuit 313.
  • each of the heating coils L1, L2, and L3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00.
  • each of the coil driving circuits 311, 312, and 313 includes a switch unit, and the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is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00.
  • the sensing unit 400 may measure sizes of containers disposed on the first to third heating coils L1, L2, and L3.
  • the controller 100 may selectively operate only some of the first to third coil driving circuits 311, 312, and 313 by using the data measured by the detector 400.
  • the sensing unit 400 controls the sensing information. 100). Subsequently, the controller 100 may operate only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coils L1 and L2 disposed under the container, and the third heating coil L3 may be inoperativ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nsing the size of the container of the heating coil, by operating only the coil located below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nergy efficiency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necessary coil
  •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since the user can automatically operate only the necessary heating coil without any separate operation.
  •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items as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omitted and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differences.
  •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may include a heating coil L, a controller 100, first to third AC power units 211, 212, and 213 and first to third batteries.
  • the first to third AC power supply units 211, 212, and 213 may provide power of different phases, respectively.
  • the first AC power supply 211 provides AC power in R phase
  • the second AC power supply 212 provides AC power in S phase
  • the third AC power supply 213 provides AC power in T phase. can do.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to third AC power supply units 211, 212, and 213 may provide single phase power supplies having the same phase, respectively.
  • all of the first to third AC power supply units 211, 212, and 213 may provide the same power.
  • the first to third AC power supply units 211, 212, and 213 may provide power of about 3.7 kW, respectively, where the phase voltage is 230 V, and thereby, the first to third heating coils L1. , L2, L3) can provide more than about 10 kW of powe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first to third AC power supply units 211, 212, and 213 may provide power of the same frequency. This may correspond to both three-phase power and single-phase power.
  •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first to third coil driving circuits 311, 312, and 313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wer provided to the first to third heating coils L1, L2, and L3.
  • the operating frequency and operating phase can be synchronized.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triple heating coil included in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of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riple heating coil included in an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items as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omitted and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differences.
  • Each heating coil may be supported by coil supports P1, P2, P3. Specifically, the first heating coil L1 is supported by the first coil support P1, the second heating coil L2 is supported by the second coil support P2, and the third heating coil L3. Silver may be supported by the third coil support P3.
  • Each of the coil supports P1, P2, and P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to have the same center.
  • each coil support P1, P2, P3
  • a magnetic member insertion portion H1 ⁇ H5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magnetic member.
  • the drawings show that the magnetic member insertion portions H1 to H5 ar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t equal intervals,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embodiments.
  • Both ends A and A 'of the first coil included in the first heating coil L1 are connected to the first AC power supply 211, and both ends B of the second coil included in the second heating coil L2. , B ')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C power supply unit 212, and both ends C and C ′ of the third coil included in the third heating coil L3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AC power supply unit 213.
  • the first heating coil L1 and the second heating coil L2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having the same height, and the third heating coil L3 may be formed of two layers.
  • the coil may be wound so that some or all of the first to third heating coils L1, L2, and L3 are stacked in a plurality of layers.
  •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riple heating coil composed of three coils which are supplied with different power in three or single phases.
  •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in all different power environment in different countries, thereby improving the versatility of the product.
  • each coil included in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operates at the same operating frequency, thereby eliminating noise generated by a plurality of coils operating at different frequencies, and improving output variations of the plurality of coils according to phase deviation. Can b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ietness of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to improve the output and the stability of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한 중심을 갖고 서로 다른 전원으로 동작하는 트리플 가열 코일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도 가열 조리기는, 제1 내지 제3 코일 구동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을 동일 주파수로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도 가열 조리기
본 발명은 유도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한 중심을 갖고 서로 다른 전원으로 동작하는 트리플 가열 코일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 가열 조리기는 워킹 코일(Working Coil) 또는 가열 코일에 고주파의 전류를 흐르게 하고,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력한 자력선이 조리용기를 통과할 때 와류전류(Eddy Current)가 흘러 용기 자체가 가열되는 방식에 의해서 조리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조리 장치이다.
이러한 유도 가열 조리기의 기본적인 가열 원리를 살펴보면 가열 코일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자성체인 조리 용기가 유도(Induction) 가열에 의해 열을 생성하고, 이때 생성된 열에 의하여 조기 용기 자체가 가열되어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미국 공개 특허(US 2005/0109770 A1)를 참조하면, 종래의 다중 코일 구조를 이용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유도 가열 장치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유도 가열 조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은 미국 공개 특허(US 2005/0109770A1)에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유도 가열 조리기는 제1 가열 코일(5)과 제2 가열 코일(9)에 각각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제1 및 제2 파워 모듈(1, 3)을 포함한다.
또한, 냄비와 같은 조리 용기(21)의 가열 영역은 제1 및 제2 가열 영역(13, 15)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가열 영역(13)에 배치된 제1 가열 코일(5)은 제1 파워 모듈(1)에 의해 제어되고, 제2 가열 영역(15)에 배치된 제2 가열 코일(9)은 제2 파워 모듈(3)에 의해 제어된다.
제1 및 제2 파워 모듈(1, 3)은 제1 및 제2 가열 코일(5, 9)에 각각의 최대 파워를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조리 용기(21)를 빠르게 가열시킬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파워 모듈(1, 3)은 제1 및 제2 가열 코일(5, 9)에 각각 최대 전력을 제공함으로써, 조리 용기(21)에 제공되는 전체 출력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유도 가열 조리기와 같이 하나의 조리 용기를 위한 가열 영역에 2개의 가열 코일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2개의 가열 코일을 이용해 출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동일한 위상을 갖는 전원을 각각 입력하여 복수의 파워 모듈을 동시에 구동시켜야 했다. 이 경우, 각각의 가열 코일은 동일한 상의 전원을 입력 받아야 하므로, 유럽과 같은 3상 환경에서는 고출력을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가열 코일은 상전류 제한이 되는 전원 환경에서 출력을 3.7kW 이상 낼 수 없고, 따라서, 2개의 가열 코일을 사용한 듀얼 가열 코일의 경우 최대 출력이 7.2kW 로 제한되는 구조적인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10kW 이상의 최대 출력을 제공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써, 중심이 동일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3개의 코일로 구성된 트리플 가열 코일을 포함하고, 각각의 코일은 3상 또는 단상의 서로 다른 전원으로 동작함으로써, 최대 출력이 증가된 유도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상 또는 단상의 서로 다른 전원을 공급받는 3개의 코일로 구성된 트리플 가열 코일을 포함함으로써, 최대 출력이 증가된 유도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열 코일의 용기의 크기를 감지하여, 용기의 크기에 따라, 용기 하부에 위치한 코일만을 동작시킬 수 있는 3개의 코일로 구성된 트리플 가열 코일을 포함함으로써, 자동으로 용기 하부에 위치한 가열 코일만을 동작시키는 유도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서로 다른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을 각각 제어하는 제1 내지 제3 코일 구동 회로,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 구동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을 동일 주파수로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서로 다른 제1 내지 제3 교류 전원부에 의해 동작하는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을 각각 제어하는 제1 내지 제3 코일 구동 회로를 포함하되, 제1 내지 제3 교류 전원부는 서로 다른 위상을 갖거나, 모두 동일한 위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서로 다른 제1 내지 제3 교류 전원부에 의해 동작하는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을 각각 제어하는 제1 내지 제3 코일 구동 회로, 상기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 구동 회로 상에 배치되는 용기의 크기를 측정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감지부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 구동 회로의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중심이 동일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3개의 코일로 구성된 트리플 가열 코일을 이용함으로써, 유도 가열 조리기의 최대 출력을 10kW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일반 가정 환경에서 가능한 최대 출력을 제공함으로써, 요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더 큰 화력을 원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3상 또는 단상의 서로 다른 전원을 공급받는 3개의 코일로 구성된 트리플 가열 코일을 이용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유도 가열 조리기는 나라 마다 다른 전원 환경에서 모두 동작할 수 있어 제품의 범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유도 가열 조리기에 포함된 각각의 코일은 서로 동일한 동작 주파수로 동작함으로써, 서로 다른 주파수로 동작할 때 복수의 코일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제거하고, 위상 편차에 따른 복수의 코일의 출력 편차를 개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도 가열 조리기의 정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도 가열 조리기의 출력 및 동작의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가열 코일의 용기의 크기를 감지하여, 용기의 크기에 따라 용기 하부에 위치한 코일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코일을 미동작시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필요한 가열 코일만을 동작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도 가열 조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유도 가열 조리기가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에 포함된 트리플 가열 코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X - X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에 포함된 트리플 가열 코일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유도 가열 조리기가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본체 하우징(1100), 조리판(12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0), 구동 회로(1400)를 포함한다.
본체 하우징(1100) 상에는 용기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조리판(1200)이 배치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0)의 상면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유도 가열 조리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0)가 배치되며, 유도 가열 조리기의 구동 회로(1400)는 본체 하우징(11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 하우징(1100)의 내부에는 조리판(1200) 하부에 설치되어 조리판(1200)에 열원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가열 코일(L)이 마련된다. 이 가열 코일(L)들은 조리판(1200)의 전면에 걸쳐 그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코일(L)은, 복수의 코일로 분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코일(L)은 트리플 가열 코일과, 듀얼 가열 코일, 싱글 가열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코일(L)은 복수의 코일을 사용하고, 복수의 코일은 각각 서로 다른 소스 전원을 인가받아, 높은 출력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장 높은 출력을 구현할 수 있는 트리플 가열 코일을 포함하는 가열 코일(L)에 대해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조리판(1200)은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세라믹 글라스(ceramic glass) 등의 강화 유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조리판(1200) 상에는 사용자가 조리 용기(Y)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마크가 형성될 수 있다.
조리판(1200)의 하부에는 가열 코일(L)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1400)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 회로(14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본체 하우징(1100)의 상부의 일측에는 가열 코일(L)들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0)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 복수의 조작 버튼으로 구성된 조작부와,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동작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나타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실시예로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용기를 조리판(1200)에 올려놓은 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0)에 포함된 조작 버튼을 눌러 용기 하부에 위치한 가열 코일(L)의 파워 레벨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파워 레벨에 상응하는 고주파 전원을 가열 코일(L)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열 코일(L)을 이용하여 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에는, 가열 코일 자체에서 열을 발생시켜 조리 용기에 열을 전도시키는 방식과, 가열 코일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자기장이 발생하여 자성체인 조리 용기가 자기장에 의해 유도(Induction) 가열되는 방식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조리 용기를 자기장에 의해 유도 가열시키는 방식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열 코일(L)에 전류가 공급되면, 가열 코일(L)의 내측을 통과하는 자기장(B)이 유도된다. 특히, 가열 코일(L)에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전류, 즉 교류 전류가 공급되면, 가열 코일(L)의 내측에는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자기장(B)이 유도된다. 이와 같이 가열 코일(L)에 의하여 생성된 자기장(B)은 조리 용기(Y)의 저면을 통과한다.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자기장(B)이 도체를 통과하면, 도체에는 자기장(B)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류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시간적으로 변환하는 자기장(B)에 의하여 전류가 유도되는 현상을 전자기 유도 현상이라 하며, 회전하는 전류를 와전류(eddy current)라 한다. 유도 가열을 이용한 조리 장치의 경우, 전자기 유동 현상과 와전류는 조리 용기(Y)의 저면에서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가열 코일(L)에 의하여 생성된 자기장(B)이 조리 용기(Y)의 저면을 통과하면, 조리 용기(Y)의 저면 내부에는 자기장(B)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와전류(EI)가 발생한다. 조리 용기(Y)는 와전류(EI)에 의하여 가열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기적 저항을 갖는 조리 용기(Y)에 와전류(EI)가 흐르면, 조리 용기(Y)를 구성하는 원자핵과 와전류(EI)에 의한 전자가 출동한다. 이와 같은 원자핵과 전자 사이의 출동에 의하여 열이 발생한다.
즉, 유도 가열 조리기는 가열 코일(L)에 전류를 공급하고, 가열 코일(L)에 의하여 생성되는 자기장(B)을 이용하여 조리 용기(Y)를 가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가열 코일(L), 전원부(200), 코일 구동부(300), 감지부(400), 제어부(100), 저장부(450), 통신부(500) 및 유저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코일(L)은 조리 용기(Y)에 와전류가 흐르도록 자기장을 생성한다.
전원부(200)는 외부의 전원을 전달 받아 이를 직류 형태의 전원으로 변환한다.
전원부(200)는 외부의 교류 전원(700)로부터 단상 또는 3상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부(200)는 교류 전원부(210) 및 정류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교류 전원부(210)는 외부의 교류 전원(700)을 제공 받아 3상 교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교류 전원부(210)는 R상의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제 1 교류 전원부(211), S상의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제 2 교류 전원부(212), T상의 교류 전원을 생성하는 제 3 교류 전원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교류 전원부(211) 내지 제 3 교류 전원부(213)는 특정 전력 이상의 전력을 사용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하나의 상에서 최대 16A의 전류, 3.6kW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도 가열 조리기는 약 10.8kW의 전력을 갖는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정류부(260)는 교류 전원부(210)에서 생성된 3상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정류부(260)는 생성된 직류 전원의 변화를 줄여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정류부(26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RC) 및 변환된 직류 전원을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평활 회로(S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류 회로(RC)는 풀 브릿지 형태의 4개의 다이오드가 배치된 형태일 수 있고, 평활 회로(SC)는 2개의 단에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다만, 도 4에 나타난 전원부(200)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어서 전원부(200)는 정류부(260)가 생략되어 이용될 수 있다.
코일 구동부(300)는 유입되는 교류 또는 직류 전원을 고주파 전원으로 변환하여 가열 코일(L)에 공급하고, 복수 개의 가열 코일에 흐를 전류를 분배하여 가열 코일이 소비할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코일 구동부(300)는 코일 구동 회로(310) 및 전류 분배기(36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 구동 회로(310)는 트리플 가열 코일에 포함된 3개의 분리된 가열 코일을 각각 제어하는 제1 내지 제3 코일 구동 회로(311, 312, 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감지부(400)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동작을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400)는 교류 전원부(210)에서 정류부(260)로 공급되는 입력 전류와 코일 구동부(300)에서 가열 코일(L)로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400)는 가열 코일(L) 상에 올려진 용기의 크기를 측정하여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동작을 총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감지부(400)에서 감지한 각각의 가열 코일의 전력, 유저 인터페이스(120)의 사용자 명령 및 저장부(450)의 미리 설정된 전원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110) 및 메인 제어부(110)의 제어 명령에 대응되도록 코일 구동부(300) 및 스위칭부(800)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입력한 명령에 따라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 신호를 각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전반적인 동작 및 유도 가열 조리기의 내부 구성요소들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전원부(200)가 공급하는 전원을 유도 가열 조리기의 내부 구성요소들에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전류 감지부(410)에서 감지한 복수 개의 구동 전류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가열 코일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전류를 분배하여 가열 코일에 공급되는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유저 인터페이스(120)에 입력된 출력 레벨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코일 구동부(300)에 전달하여 코일 구동부(300)의 코일 구동 회로가 생성하는 고주파 전원의 크기 및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코일 구동 회로가 가열 코일에 공급하는 구동 전원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동작을 요구하는 버너에 포함된 가열 코일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고, 동작을 요구하지 않는 버너에 포함된 가열 코일에 구동 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감지부(400)에서 감지한 각각의 가열 코일에서 소비하는 전력을 비교하여 각 전원부의 부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판단된 각 전원부의 부하에 기초하여 스위칭부(800) 또는 코일 구동 회로를 조절하여 동작을 요구하는 버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중앙 처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중앙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실리콘 칩에 산술 논리 연산기, 레지스터, 프로그램 카운터, 명령 디코더나 제어 회로 등이 마련되어 있는 처리 장치이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는 코어(core)와 GPU를 포함하는 SoC(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GPU, 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유도 가열 조리기에 포함된 각종 구성과 제어부(100) 사이에서의 데이터 출입을 매개하는 입출력 프로세서(160) 및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RAM 또는 ROM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450)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450)는 가열 코일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조절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전원 데이터(460)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전원 데이터(460)는, 전류 감지부(410)에서 감지한 각각의 가열 코일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에 기초하여 각각의 가열 코일에 분배할 구동 전류를 결정하고, 유저 인터페이스(120)에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를 경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입력된 출력 레벨이 최대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다른 상의 전력을 제공받기 위한 스위칭 동작을 결정하는 데이터이다.
저장부(450)는 롬(ROM),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450)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서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SDHC(Secure Digital High Capacity) 메모리 카드, mini SD 메모리 카드, mini SDHC 메모리 카드, TF(Trans Flach) 메모리 카드, micro SD 메모리 카드, micro SDHC 메모리 카드, 메모리 스틱, CF(Compact Flach), MMC(Multi-Media Card), MMC micro, XD(eXtreme Digital) 카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5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되는 네트워크 부착형(attached)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5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540)와 연결되어 외부 다른 가전기기(580)나 서버(55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500)는 홈 서버(550)를 통해 연결된 서버(550)나 가정 내의 다른 가전기기(58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500)는 홈 서버의 표준에 따라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500)는 네트워크(540)를 통해 원격 조정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다른 가전기기(58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500)는 서버(550)로부터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동작에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500)는 가정 내의 서버(550)나 리모컨(570)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56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5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540)와 연결되어 서버(550), 리모컨(570), 휴대용 단말(560) 또는 다른 가전기기(58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통신부(500)는 외부 다른 가전기기(580)와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500)는 근거리 통신 모듈(510), 유선 통신 모듈(520) 및 이동 통신 모듈(530)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510)은 소정 거리 이내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TM, 지그비(zigbee)TM,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통신 모듈(520)은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유선 통신 기술은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이더넷(ethernet) 케이블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 모듈(530)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55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20)는 본체(1100)의 전면에 마련되어 사용자로부터 전원의 입력, 동작의 개시/정지 등의 제어 명령뿐만 아니라, 각각의 가열 코일(L)이 생성하는 자기장(B)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출력 레벨 선택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출력 레벨은 각각의 가열 코일(L)이 생성하는 자기장(B)의 세기를 이산적으로(discretely) 구분한 것이다. 자기장(B)의 세기는 가열 코일(L)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상응하므로, 출력 레벨은 가열 코일(L)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이산적으로 구분한 것일 수 있다. 출력 레벨은 복수의 레벨로 구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레벨 0 내지 레벨 10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레벨이 높을수록, 즉 출력 레벨이 레벨 10에 가까울수록 가열 코일(L)이 상대적으로 큰 자기장(B)을 생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리 용기(Y)는 보다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다. 물론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출력 레벨이 낮을수록 가열 코일(L)이 더 작은 자기장(B)을 생성하도록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각각의 레벨은,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정의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레벨 사이의 전류의 차이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벨0은 인가되는 전류가 0A이고, 레벨 1 내지 레벨 10 각각에 대응하는 전류의 차이는 1.6A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벨 10은 16A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각 레벨 사이의 전류의 차이는 임의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각 레벨 사이의 전류의 차이는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레벨 사이의 전류의 차이 중 일부는, 다른 레벨 사이의 전류의 차이보다 더 클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저 인터페이스(12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부(128) 및 사용자에게 조리 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또는 입력 버튼을 인지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129)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8)는, 물리 버튼, 터치 버튼, 터치 패드, 노브, 조그 셔틀, 조작 스틱, 트랙볼 및 트랙 패드 등 다양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29)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을 채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120)는, 입력부(128) 및 디스플레이(129)가 일체형으로 구현된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트리플 가열 코일(L)에 고주파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내지 제3 코일 구동 회로(311, 312, 313)의 구조와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가열 코일(L), 제어부(100), 전원부(200), 제1 코일 구동 회로(311), 제2 코일 구동 회로(312), 제3 코일 구동 회로(31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가열 코일(L)은 제1 가열 코일(L1), 제2 가열 코일(L2), 제3 가열 코일(L3)을 포함한다. 이때, 제1 가열 코일(L1)은 가장 내측에 배치되고, 제2 가열 코일(L2)은 제1 가열 코일(L1)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3 가열 코일(L3)은 제2 가열 코일(L2)의 외측에 배치된다. 즉, 제1 가열 코일(L1)은 가장 내측에, 제2 가열 코일(L2)은 제1 가열 코일(L1)와 제3 가열 코일(L3) 사이에, 제3 가열 코일(L3)은 가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가열 코일(L1, L2, L3)은 모두 동일한 중심점(C)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가열 코일(L1, L2, L3)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가열 코일(L1, L2, L3)은 서로 다른 코일 턴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각각의 가열 코일(L1, L2, L3)들은 각각의 코일 구동 회로(311, 312, 313)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제1 가열 코일(L1)은 제1 코일 구동 회로(311)에 의해 제어되고, 제2 가열 코일(L2)은 제2 코일 구동 회로(312)에 의해 제어되며, 제3 가열 코일(L3)은 제3 코일 구동 회로(313)에 의해 제어된다.
각각의 가열 코일(L1, L2, L3)들은 제어부(10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코일 구동 회로(311, 312, 313)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제어부(1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치부의 동작이 제어된다.
각각의 코일 구동 회로(311, 312, 313)는 전원부(200)로부터 전원(Power Source)을 인가 받는다. 전원부(200)는 각각의 코일 구동 회로(311, 312, 313)에 서로 다른 위상의 전원을 제공하거나, 모두 동일한 위상의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200)는 3상 전원에 포함된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3개의 전원을 각각의 코일 구동 회로(311, 312, 313)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200)는 동일한 위상을 갖는 단상 전원을 각각의 코일 구동 회로(311, 312, 313)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00)는 각각의 코일 구동 회로(311, 312, 31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제1 내지 제3 코일 구동 회로(311, 312, 313) 중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전원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전원부(200) 및 제1 내지 제3 코일 구동 회로(311, 312, 313)를 제어하여,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L1, L2, L3)을 동일 주파수로 동작시킬 수 있다.
감지부(400)는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L1, L2, L3) 상에 배치되는 용기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감지부(400)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코일 구동 회로(311, 312, 313) 중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가 제1 및 제2 가열 코일(L1, L2)과 상에만 배치되고, 제3 가열 코일(L3)과는 오버랩되지 않는 경우, 감지부(400)는 이러한 감지 정보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용기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가열 코일(L1, L2)만을 동작시키고, 제3 가열 코일(L3)은 미동작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가열 코일의 용기의 크기를 감지하여, 용기의 크기에 따라, 용기 하부에 위치한 코일만을 동작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코일의 동작을 제어하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필요한 가열 코일만을 동작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가열 코일(L), 제어부(100), 제1 내지 제3 교류 전원부(211, 212, 213), 제1 내지 제3 코일 구동 회로(311, 312, 313)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교류 전원부(211, 212, 213)는 서로 다른 별개의 전원에 해당한다. 제1 교류 전원부(211)는 제1 코일 구동 회로(311)에 전원을 제공하고, 제2 교류 전원부(212)는 제2 코일 구동 회로(312)에 전원을 제공하며, 제3 교류 전원부(213)는 제3 코일 구동 회로(313)에 전원을 제공한다.
이때, 제1 내지 제3 교류 전원부(211, 212, 213)는 각각 서로 다른 위상의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교류 전원부(211)는 R상의 교류 전원을 제공하고, 제2 교류 전원부(212)는 S상의 교류 전원을 제공하며, 제3 교류 전원부(213)는 T상의 교류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내지 제3 교류 전원부(211, 212, 213)는 모두 동일한 위상을 갖는 단상 전원을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교류 전원부(211, 212, 213)는 모두 동일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교류 전원부(211, 212, 213)는 상전압이 230V인 곳에서 각각 약 3.7kW의 전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L1, L2, L3)은 약 10kW 이상의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내지 제3 교류 전원부(211, 212, 213)는 모두 동일한 주파수의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3상 전원 및 단상 전원 모두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동일한 주파수에 위상차가 발생하거나, 주파수 변이가 발생하는 경우, 유도 가열 조리기 동작 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100)는 제1 내지 제3 코일 구동 회로(311, 312, 313)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L1, L2, L3)에 제공되는 전원의 동작 주파수 및 동작 위상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도 가열 조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도 7의 유도 가열 조리기는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L1, L2, L3)에 제공하는 전원의 동작 주파수 및 동작 위상에 대한 동기화를 제1 코일 구동 회로(311)에서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코일 구동 회로(311)는 제2 코일 구동 회로(312) 및 제3 코일 구동 회로(313)에 동작 주파수 동기화를 위한 신호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L1, L2, L3)에 제공되는 전원의 동작 주파수 및 동작 위상은 동기화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스위칭을 담당하는 제1 코일 구동 회로(311)에서 동기화를 수행함으로써, 동기화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고, 제어부(100)가 처리하는 데이터 및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코일 구동 회로(311)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중심이 동일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3개의 코일로 구성된 가열 코일을 이용함으로써, 유도 가열 조리기의 최대 출력을 10kW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일반 가정 환경에서 가능한 최대 출력을 제공함으로써, 요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더 큰 화력을 원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에 포함된 트리플 가열 코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X - X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에 포함된 트리플 가열 코일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에 포함된 트리플 가열 코일(L)은 제1 가열 코일(L1), 제2 가열 코일(L2), 제3 가열 코일(L3)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가열 코일은 코일 지지부(P1, P2, P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열 코일(L1)은 제1 코일 지지부(P1)에 의해 지지되고, 제2 가열 코일(L2)은 제2 코일 지지부(P2)에 의해 지지되며, 제3 가열 코일(L3)은 제3 코일 지지부(P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각각의 코일 지지부(P1, P2, P3)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코일 지지부(P1, P2, P3)의 하부에는 자성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자성부재 삽입부(H1 ~ H5)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자성부재 삽입부(H1 ~ H5)가 등간격을 갖는 원형으로 배치된 것을 도시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한 실시예로서 변형하여 실시가 가능하다.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L1, L2, L3)은 서로 동일한 중심점을 갖고,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열 코일(L1)의 외경은 160mm이고, 제2 가열 코일(L2)의 외경은 250mm이고, 제3 가열 코일(L3)의 외경은 270~300mm 일 수 있다.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겠으나, 외경이 270mm인 경우, 제3 가열 코일(L3)의 코일은 단일층으로 적층되고, 외경이 300mm인 경우, 제3 가열 코일(L3)의 코일은 복수의 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L1, L2, L3)은 서로 다른 턴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열 코일(L1)에 포함된 제1 코일은 17턴, 제2 가열 코일(L2)에 포함된 제2 코일은 9턴, 제3 가열 코일(L3)에 포함된 제3 코일은 8턴의 턴수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가열 코일(L1)에 포함된 제1 코일의 양단(A, A')은 제1 교류 전원부(211)에 연결되고, 제2 가열 코일(L2)에 포함된 제2 코일의 양단(B, B')은 제2 교류 전원부(212)에 연결되고, 제3 가열 코일(L3)에 포함된 제3 코일의 양단(C, C')은 제3 교류 전원부(2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L1, L2, L3)은 모두 1층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L1, L2, L3)은 모두 동일한 높이로 코일이 감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L1, L2, L3)에 사용된 제1 내지 제3 코일은 모두 동일한 두께를 갖는 동일한 코일을 포함하며, 단일층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트리플 가열 코일(L)에 포함된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L1, L2, L3)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열 코일(L1) 및 제2 가열 코일(L2)은 동일한 높이의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3 가열 코일(L3)은 2개의 층으로 적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L1, L2, L3) 중 일부 또는 전체가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도록 코일이 감길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L1, L2, L3)은 모두 동일한 주파수로 동작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전원을 제공받거나, 동일한 위상을 갖는 단상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3상 또는 단상의 서로 다른 전원을 공급받는 3개의 코일로 구성된 트리플 가열 코일을 이용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유도 가열 조리기는 나라 마다 다른 전원 환경에서 모두 동작할 수 있어 제품의 범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유도 가열 조리기에 포함된 각각의 코일은 서로 동일한 동작 주파수로 동작함으로써, 서로 다른 주파수로 동작하는 복수의 코일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제거하고, 위상 편차에 따른 복수의 코일의 출력 편차를 개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도 가열 조리기의 정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도 가열 조리기의 출력 및 동작의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제1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제1 가열 코일;
    상기 제1 전원과 다른 제2 전원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제1 가열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가열 코일;
    상기 제1 및 제2 전원과 다른 제3 전원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제2 가열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3 가열 코일;
    상기 제1 가열 코일에 상기 제1 전원을 인가하는 제1 코일 구동 회로;
    상기 제2 가열 코일에 상기 제2 전원을 인가하는 제2 코일 구동 회로;
    상기 제3 가열 코일에 상기 제3 전원을 인가하는 제3 코일 구동 회로;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 구동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을 동일 주파수로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은, 제1 위상을 갖는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은, 상기 제1 위상과 다른 제2 위상을 갖는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전원은, 상기 제1 및 제2 위상과 다른 제3 위상을 갖는 전원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전원은, 모두 동일한 위상을 갖는 단상 전원을 제공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은 모두 동일한 중심점을 갖고,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 코일은 제1 턴수로 감긴 제1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열 코일은 상기 제1 턴수와 다른 제2 턴수로 감긴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가열 코일은 상기 제1 및 제2 턴수와 다른 제3 턴수로 감긴 제3 코일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코일은, 상기 제1 또는 제2 코일과 동일한 두께를 갖고,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도록 배치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열 코일의 전체 높이는, 상기 제1 또는 제2 가열 코일의 전체 높이와 다르게 형성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 구동 회로 상에 배치되는 용기의 크기를 측정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 구동 회로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10. 제1 턴수로 감긴 제1 코일을 포함하는 제1 가열 코일;
    상기 제1 턴수와 다른 제2 턴수로 감긴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열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가열 코일;
    상기 제1 및 제2 턴수와 다른 제3 턴수로 감긴 제3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열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3 가열 코일;
    상기 제1 가열 코일에 제1 전원을 제공하는 제1 교류 전원부;
    상기 제2 가열 코일에 상기 제1 전원과 다른 제2 전원을 제공하는 제2 교류 전원부; 및
    상기 제3 가열 코일에 상기 제1 및 제2 전원과 다른 제3 전원을 제공하는 제3 교류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류 전원부는, 제1 위상을 갖는 제1 교류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제2 교류 전원부는, 상기 제1 위상과 다른 제2 위상을 갖는 제2 교류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제3 교류 전원부는, 상기 제1 및 제2 위상과 다른 제3 위상을 갖는 제3 교류 전원을 제공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교류 전원부는, 모두 동일한 위상을 갖는 단상 교류 전원을 제공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은, 모두 동일한 동작 주파수로 동작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가열 코일은 모두 동일한 중심점을 갖고,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코일은, 상기 제1 또는 제2 코일과 동일한 두께를 갖고,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도록 배치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코일은, 상기 제1 또는 제2 코일과 동일한 두께를 갖고, 단층으로 배치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 구동 회로 상에 배치되는 용기의 크기를 측정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코일 구동 회로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PCT/KR2018/002282 2017-02-24 2018-02-23 유도 가열 조리기 WO2018155962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88,731 US20210136880A1 (en) 2017-02-24 2018-02-23 Induction heating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632 2017-02-24
KR20170024632 2017-02-24
KR10-2017-0173671 2017-12-15
KR1020170173671A KR102266353B1 (ko) 2017-02-24 2017-12-15 유도 가열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5962A1 true WO2018155962A1 (ko) 2018-08-30

Family

ID=6325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2282 WO2018155962A1 (ko) 2017-02-24 2018-02-23 유도 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15596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9770A1 (en) * 2002-08-01 2005-05-26 Bsh Balay S.A. Induction hot plate comprising heating regions having a reconfigurable structure,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maximum power of said heating regions
JP2007305490A (ja) * 2006-05-12 2007-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コイルの製造方法及び電磁誘導加熱調理器の加熱コイル
JP2011243405A (ja) * 2010-05-18 2011-12-01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2013149419A (ja) * 2012-01-18 2013-08-01 Fuji Electric Co Ltd 誘導加熱装置
JP2014026748A (ja) * 2012-07-24 2014-02-06 Tetsuo Matsunaga 干渉影響抑制型誘導加熱コイ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9770A1 (en) * 2002-08-01 2005-05-26 Bsh Balay S.A. Induction hot plate comprising heating regions having a reconfigurable structure,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maximum power of said heating regions
JP2007305490A (ja) * 2006-05-12 2007-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コイルの製造方法及び電磁誘導加熱調理器の加熱コイル
JP2011243405A (ja) * 2010-05-18 2011-12-01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2013149419A (ja) * 2012-01-18 2013-08-01 Fuji Electric Co Ltd 誘導加熱装置
JP2014026748A (ja) * 2012-07-24 2014-02-06 Tetsuo Matsunaga 干渉影響抑制型誘導加熱コイ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6486B2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66353B1 (ko) 유도 가열 조리기
WO2016200011A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조
WO2017082475A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통신 프로토콜
WO2018199399A1 (ko) 유도 가열을 이용한 스마트 케틀
WO2017052282A1 (en) Container support
WO2020050592A1 (ko)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가변 통신 속도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82507B1 (ko) 제어 알고리즘 및 회로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US11445578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with improved function for distinguishing object
US11293644B2 (en) Heating cooker system, and cooking device
KR102372326B1 (ko) 조리 장치 및 조리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8155962A1 (ko) 유도 가열 조리기
WO2019177306A1 (ko)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향상된 통신 속도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7023008A1 (ko) 유도 가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12603A (ko) 와이어 하니스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WO2021107353A1 (ko)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레인지
WO2020213950A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providing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WO2019225935A1 (ko) 워킹 코일 연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EP3957133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providing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WO2021107354A1 (ko) 사용자의 개입 없이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레인지
WO2021101044A1 (ko) 사용자의 개입 없이 화력이 조절되는 전기 레인지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2225212A1 (ko) 무선전력전송장치, 무선전력전송장치의 제어 방법 및 무선전력시스템
WO2022097994A1 (ko) 무선 전력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0213948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providing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WO2020213947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providing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7575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7575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