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39765A1 - 집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집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39765A1
WO2018139765A1 PCT/KR2017/015231 KR2017015231W WO2018139765A1 WO 2018139765 A1 WO2018139765 A1 WO 2018139765A1 KR 2017015231 W KR2017015231 W KR 2017015231W WO 2018139765 A1 WO2018139765 A1 WO 201813976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dust
air
uni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523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용미
노태균
이상훈
조한욱
최상화
한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813976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3976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50Means for discharging electrostatic potent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Definitions

  • the dust collecting part may be a roller or a belt.
  • the second discharge part may be disposed on the dust collecting part to charge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part.
  • the dust accommodating part may include a suction memb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purifier equipped with a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A to 6C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
  • a control panel (not shown)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air purifier 1 may be controlled by operating the control panel.
  • the lower fram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frame 110 and may include a dust accommodating part 131 for accommodating the dust particles 2 falling in the gravity direction from the main frame.
  • the dust receiver 131 is mounted to the lower frame 130 to be slidable.
  • the dust accommodating part 131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rollers 140, 141, 142, and 143 and the cleaning part 190, and opens toward the lower end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and the cleaning part. 14) is formed.
  • the air outlet 40 may be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outlets 40a and 40b by the bar 112.
  • the bar 1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112a, 112b, 112c, and 112d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rollers 140, 141, 142, and 143.
  • the center of gravity in the direction can be distributed.
  • the plurality of bars 112a, 112b, 112c, and 112d may be equipped with a 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filter (not shown) covering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40a and 40b.
  • 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dust collection unit can be maximized.
  • the main frame 110 may include a first frame 111a and a second frame 111b.
  • first frame 111a and the second frame 111b are merely illustrated as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drawing so as to be easily distinguished, and are integrally formed.
  •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is rotatab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11a and 111b.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11a and 111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11a and 111b and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flow path 20 is formed.
  • the flow path 20 extends from the air inlet 30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particles enters, to the air outlet 40 through which air separated from the dust particles is discharged.
  • the first discharge part 150 is disposed in the first frame portion 111c proximate the air inlet 30.
  • the first discharge unit 150 When the high voltage is applied, the first discharge unit 150 is configured to generate a corona discharge while a current flows due to a potential difference formed in the first discharge unit 150.
  • a magnetic field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discharge unit 150 and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and the dust particles 2 passing through the space where the magnetic field is formed are ionized by the magnetic field and have a specific polarity. .
  • the first discharge unit 150 may be composed of a wire, a saw tooth or a plate-shaped electrode, electrode plates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and a power supply to form a magnetic field through corona discharge.
  • the first discharge unit 150 is not limited to the electrodes, and if the dust particles 2 contained in the air can be ionized to have a specific polarity, various types of electrodes using a friction ionization method may be used. Can be made.
  • first discharge unit 150 may be coated with a dielectric to induce an effective corona discharge phenomenon.
  • the first static charge unit 17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111d of the first discharge unit 150.
  • the first static charge part 170 is opened so that one surface thereof faces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and is configured to remove specific electric charges formed on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passing in front of the first static charge part 170.
  • the first static charge part 170 is located between the air inlet 30 and the second discharge part 160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flow path 20, and is preferably formed on the first frame 111a.
  • the first static charge unit 170 is generally configured to be able to emit a laser to remove a specific charge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11a and 111b is rotatably disposed about the rotation shaft 140c.
  •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is composed of a dust collecting roller body 140a and a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 the rotating shaft 140c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and the second discharge part 160 is disposed on the rotating shaft 140c. That is, the second discharge part 160 is form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roller body 140a.
  • the dust collecting roller body 140a is preferably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 the metal constituting the dust collecting roller body 140a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luminum or stainless steel (SUS).
  • the second discharge unit 160 is configured to supply electricity, and is composed of an electrode having a wire, tooth, or flat plate shape.
  • the second static charge part 180 and the cleaning part 190 are formed in the second frame 111b.
  • the cleaning un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figuration.
  • the clean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contact cleaning unit capable of removing dust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without contacting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in addition to the contact type in contact with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ch as the blade 190. It is possible.
  • the non-contact clean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spray air or emit ultrasonic waves in the form of an air jet. It is also possible to remove ozone or a laser to remove dust adhering to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 the cleaning unit 190 exemplifies that the contact cleaning unit is composed of a blade.
  • the blade 190 is attached to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to prevent the dust particles 2 rotating with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from rotating with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and the dust particles 2 have the dust collecting roller. Away from surface 140b.
  • the blade 190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contacts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and the other end is embedded in the second frame 111b.
  • the blade 19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and at the same time parallel to the tang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b or at a constant angle with the tangential surface in order to remove dust attached to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It may be embedded in the second frame (111b) to have.
  • the blade 190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blade 19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other than rubber as long as it forms a sufficient friction force on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to remove the dust particles 2 from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 the second static charge unit 18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frame 111b.
  • the second static charge part 180 is opened so that one surface thereof faces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and is configured to remove electric charges on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passing in front of the second static charge part 180.
  •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has a charge opposite to the dust particles 2 charged in the first discharge unit 150 by the second discharge unit 160.
  • the second static eliminating unit 180 removes electric charges existing on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past the cleaning unit 190.
  • the dust particles 2 passing through the air inlet 30 are prevented from being pushed out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by the repulsive force.
  • the second static charge part 180 is preferably located between the air inlet 30 and the second discharge part 160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flow path 20 and positioned on the second frame 111b.
  • the second static charge part 180 is generally configured to be able to emit a laser to remove the charge on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collects the fine dust particles 2 contained in the air by using electrostatic force.
  • the dust particles 2 included in the air are also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30.
  • the dust particles 2 move along the flow path 20 along with the air toward the air outlet 40.
  • the dust particles 2 in the air pass through the first discharge unit 150. At this time,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discharge unit 150 to generate corona discharge.
  • a magnetic field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facing the first discharge part 150, and the dust particles 2 passing through the space are ionized to a first polarity, which is an anode or a cathode.
  • a first polarity which is an anode or a cathode.
  • the dust particles 2 are ionized to the anod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 the dust particles 2 ionized to the anode by the first discharge part 150 continue to move toward the air outlet 40 along the flow path 20.
  • the first static charge unit 170 radiates a laser onto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to prevent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from being charged to the anode by the first discharge unit 150.
  •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can be charged in addition to the dust particles 2. This is because the charges emitted from the first discharge part 150 may sufficiently affect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 the dust particles 2 may be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111a by the repulsive force and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flow path 20.
  • a first static charge unit 17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discharge unit 150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160, and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proximate the first discharge unit 150. Remove the positive charge in the
  • the laser emitted from the first static charge unit 170 may remove the positive charge of the dust particles 2 charged by the first discharge unit 150, the laser emitted from the first static charge unit 170 may be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spinning roll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 the second discharge unit 160 disposed on the rotating shaft 140c is supplied with electricity to emit a second polarity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discharge unit 150, that is, a negative charge, and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40c. Rotate clockwise with the axis of rotation.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is also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the rotation shaft 140c, and is charged to the cathode as a whole by the second discharge unit 160.
  • the dust particles 2 passing through the first static charge unit 170 and charged to the anode are attracted to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charged to the cathode by electrostatic attraction, and the dust particles 2 are collected on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by the electrostatic force. Attached to 140b.
  • the dust particles 2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static eliminator 170 are attached to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to rotate clockwise along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and the dust particles 2 are removed. Will exit through the air outlet (40).
  • the dust particles 2 attached to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continue to rotate together with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and proceed to the place where the blade 190 is located.
  • the dust particles 2 are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by the blade 190 in frictional contact with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 the dust particles 2 that are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fall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to the dust containing portion 131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130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It is collected.
  • the dust particles 2 are not scattered upward in the upper direction as they are strongly attached to the adsorption member 333. Therefore, when the adsorption member 333 is installed in the dust accommodating part 131, the dust collecting effect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may be maximized.
  • the dust accommodating portion 131 may be withdrawn from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and then the inside of the dust accommodating portion 131 may be cleaned or the dust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removed.
  •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dust particles (2) by replacing the adsorption member 333 mounted inside the (131).
  • Cathode charge is removed from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passing through the blade 190 by the second static eliminator 180. This is because, when the dust particles included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inlet 30 have the same polarity as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the air inlet is caused by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dust particles 2 and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30) To prevent being pushed back outside
  •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uses a method of charging dust of different poles to the rotating dust collecting roller 140 and the dust particles 2 and collecting dust using electrostatic attraction. Excellent dust collection performance for fine dust particles that are not filtered using.
  • the cleaning unit continuously removes the dust particles (2) attached to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when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operates to accumulate dust in the dust storage unit 131, which is a separate storage space, the dust collecting roller
  • the maintenance cycle for is very long.
  •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can use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for a long time, and the reduction rate of dust collection performance due to long-term use is lower than that of the dust collecting unit using a replaceable filter.
  •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onl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discharge unit and the flow path,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discharge unit and the flow path will be described.
  • FIGS. 4 and 5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of a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260 is located on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260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by the support portion 261.
  •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260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but may also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260 is not in contact with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 the second discharge part 260 is generally configured as an electrode of a non-contact wire type, and a dielectric may b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discharge part 260 to induce corona discharge from the second discharge part.
  • the second discharge part 260 When the second discharge part 260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the second discharge part 260 is generally composed of a charging roller to charge the dust by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do.
  • the second discharge unit 26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as any one of an electrode having a contact wire shape, a saw tooth shape, and a plate shape.
  • the second discharge unit is a charging roll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 the charging roller 260 is in contact with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by the support 261, and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drive for rotation.
  • the charging roller 260 may be configured to rot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by the rotation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 the charging roller 260 is preferably made of a conductive metal, and configured to supply electricity.
  • the charging roller 260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so that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roller 260 has a specific polarity.
  • the dust collecting roller body 140a is preferably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rather than a metal. This is to induce charging so that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has a specific polarity by the friction between the charging roller 260 and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is preferably coated with a dielectric on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in order to maximize the charging efficiency due to friction.
  • An expansion passage 21 having a wider width than that of the existing passage 20 is formed between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and the first frame 111a in the middle of the section from the air inlet 30 to the air outlet 40.
  • the support portion 261 and the charging roller 260 are disposed in the expansion passage 21.
  • the support 261 is disposed on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but is configured not to contact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in order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 the support part 261 is preferably composed of a non-conductor so that the dust particles 2 charged at a specific polarity do not adhere to the support part 261.
  • the flow path 20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flow path 21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art 150 and the first static charge part 170.
  • the opposite surface 261a of the surface where the support part 261 faces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is curved to prevent the flow path from being drastically changed, and the support part 261 and the charging roller 260 extend the flow path 21. Since most of the flow path 20 and the expansion flow path 21 are kept constant in width, the flow rate of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20 and the expansion flow path 21 is kept constant.
  • expansion flow path 21 is connected with the expansion flow path outlet 22.
  • the expansion channel outlet 22 is connected to the air outlet 40 so that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30 may be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40 through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 the width of the expansion flow path outlet 22 is maintained such that the flow rates of the flow path 20, the expansion flow path 21, and the expansion flow path outlet 22 that extend from the air inlet 30 to the air discharge port 40 are all kept constant.
  • Embodiments for the narrow dust collecting unit can be considered.
  • the width of the modified flow path outlet 23 gradually decreases as the dust flow path 21 becomes closer to the air outlet 40 from the expansion flow path 21.
  • the modified flow path outlet 23 maintains the same width as the first flow path 20 and is connected to the air outlet 40. Therefore, the flow rate of air passing through the deformation flow path outlet 23 is the same as the flow rate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20 and the expansion flow path 21.
  • the dust particles 2 included in the air are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30.
  • the dust particles 2 move with the air along the flow path 20 toward the air outlet 40.
  • a first static charge unit 17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discharge unit 150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160, and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proximate the first discharge unit 150. Remove the charge on the
  • the second discharge part 260 is applied with a voltage, and charges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in contact with the second discharge part 260 with a second polarity opposite to the first polarity, that is, a negative electrode.
  • the dust particles 2 attached to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continue to rotate with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and proceed to the place where the blade 190 is located.
  • the dust particle 2 can be prevented from scattering again to the upper direction of gravity direction by the adsorption member 333, the dust collection effect becomes high.
  • Cathode charge is removed from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past the blade 190 by the second static eliminator 180. This is to prevent dust particles 2 having the same polarity as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among the dust particles included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inlet 30 from being pushed back by repulsive force to increase dust collection efficiency.
  •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the sec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is charged, as compar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sumed when the entire dust collecting roller 140 is charge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over power.
  •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is charged is set, even if the first and second static eliminators 170 and 180 are not necessarily disposed, a sec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is not charged is generated and the dust particles 2 ) Is less likely to push back into the repulsive force,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is excellent.
  • the air purifier may include a first dust collecting unit 100 and additionally disposed second dust collecting units 100 and 101.
  • the first dust collecting unit 100 has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rollers 140, 141, 142, and 143, and a plurality of air inlets 30 and air outlets 40 corresponding to each dust collecting roller are formed.
  • the first and second dust collecting units 100 and 101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unit 101 may be disposed behind the first dust collecting unit 10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unit 100 may be disposed behi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unit 101.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air inlets 30 formed in the first dust collecting unit 100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rollers 140, 141, 142, and 143 to dust the air particles.
  • the third dust collecting unit 102 has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rollers 144, 145, and 146, and a plurality of inlets 31 and outlets 41 corresponding to each dust collecting roller are formed.
  • the third dust collecting unit 102 may be disposed behind the first dust collecting unit 10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unit 100 may be disposed behind the third dust collecting unit 102.
  • Ai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rollers 140, 141, 142, and 143 is discharged to the plurality of air outlets 40, and then flows into the plurality of inlets 32 formed in the third dust collecting unit 102.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inlets 32 is further damped by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rollers 144, 145, and 146 disposed in the third dust collecting unit 102 and discharged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42.
  • the dust collecting rollers included in the third dust collecting unit 102 may have high power consumption even though they have a relatively low power consumption. It can have air purifying ability of performance.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air inlets 30 formed in the first dust collecting unit 100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rollers 140, 141, 142, and 143 to dust the air particles.
  • Ai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rollers 140, 141, 142, and 143 is discharged to the plurality of air outlets 40, and then flows into the plurality of inlets 32 formed in the third dust collecting unit 102.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inlets 32 is secondly dedusted by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rollers 144, 145, and 146 disposed in the third dust collecting unit 102 and discharged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42.
  • the tertiary damped air is discharged to the plurality of discharge parts 41 without the presence of dust.
  •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e dust collecting roller 140.
  •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including the single dust collecting roller 140 may include a main frame 210, an upper frame 220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main frame, and a driving unit driving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 the lower frame 23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and includes a dust receiver 231.
  • the dust receiver 231 is mounted to be separated from the lower frame 230 by using the handle hole 232 formed under the dust receiver 231.
  •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is disposed inside the main frame 210, and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ain frame 21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onl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blower fan additionally attached to the shape and the outlet of the main frame, only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provid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simplified or omitted. Do it.
  • FIG. 8A and 8B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a dust collecting unit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ing unit shown along the line IX-IX of FIG. 8A.
  • the dust collecting unit 300 includes a main frame 310, an upper frame 320 including a driving unit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main frame and driving a dust collecting roller 140, and a lower end of the main frame. It is composed of a lower frame 330 connected to the dust containing portion 331.
  • the dust receiver 331 is mounted to be separated from the lower frame 330 by using the handle hole 332 formed under the dust receiver 331.
  • the main frame 3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 main frame 310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it is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space saving than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blowing fan 50 may be attached to the air outlet 40 formed in the main frame 310.
  • a plurality of blowing fans 50a, 50b, 50c, and 50d may be attached to each outlet.
  • the plurality of blowing fans 50a, 50b, 50c, and 50d suck the air so that the air flowing from the air inlet 30 moves toward the air outlet 40.
  • the main frame 31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frame 311a and a second frame 311b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frames 311a and 311b are integrally formed.
  • the first discharge part 15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frame part 311c adjacent to the air inlet 30, and the first static charge part 17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311d of the first frame part.
  • the cleaning unit 190 is disposed in the second frame 311b, and the second static eliminating unit 180 is generally disposed closer to the air inlet 30 than the cleaning unit 190.
  • the expansion flow path outlet 22 or the narrowed deformation flow path outlet 23 connected to the expansion flow path 21 may be used. Embodiments are shown.
  •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311a and 311b,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ain frame 21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description is omitted.
  • the cleaning unit may be composed of a brush, a blade, or a pipe screw to remove dust attached to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 FIG. 12 shows a pipe screw 290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cleaning part.
  • the pipe screw 290 has a plurality of threads 292 formed around the center rod 291.
  • the center rod 291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rotation shaft 140c of the dust collecting roller, and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in frame to allow rotation.
  • the thread 292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and can rotate around the center rod 291 to remove dust particles 2 attached to the dust collecting roller surface 140b.
  • FIG. 13 and 14 disclose a heating blade 390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cleaning part.
  •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ing unit shown along the line XV-XV of FIG. 13, and
  •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heating blade 390 is applied.
  • the heating blade 39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390c for removing dust particles on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a second surface 390d connected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first surface 390d. And a third surface 390b 'covering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 the heating blade 390 has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upper portion 390b to the lower portion 390a and has an L-shaped cross section. Therefore, an empty space 390e is formed inside the heating blade 390.
  • the heating unit 391 is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390b of the heating blad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upper portion 390b of the heating blade, and may be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heating blade.
  • the heating unit 391 may be equipped with a hot wire coil therein, and heats the air existing inside the cleaning unit 390e.
  • the heating blade 390 has an opening 390a 'formed at the lower portion 390a to allow the dust particles 2 to be discharged.
  • one end 390c of the heating blade contacts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and the other end 390d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dust particles 2 are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by one end 390c of the heating blade.
  • the separated dust particles 2 stay in the empty space 390e of the heating blade.
  • the heating unit 391 disposed on the heating blade heats the upper portion 390b of the heating blade.
  • the heated air rises toward the third surface 390b 'above the heating blade along the arrow shown in FIG. However, since the third surface 390b 'is blocked, heated air is integrated at the top 390b of the heating blade.
  • the air density of the upper portion 390b of the heating blade to which the heated air is integrated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e density of the ai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ing blade 390a.
  • the air of the upper portion 390b of the heating blade flows to the lower portion 390a.
  • the dust particles 2 are moved to the dust receiver 331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pening 390a 'at the bottom of the heating blade, and accumulates in the dust receiver 331.
  • the dust particles 2 are attached to the adsorption member and are prevented from being scattered back to the upper portion 390b of the heating blade.
  • the dust particles 2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roller 140 may be reused in various directions. It can effectively prevent scattering.

Abstract

집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유닛은 일면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공기 유입구와 이격된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회전하는 집진부;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 입자가 제1 극성을 갖도록 이온화시키는 제1 방전부;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으로 상기 집진부를 대전시키는 제2 방전부; 및 상기 집진부 상에 부착된 먼지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집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본 발명은 집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정전기력을 이용한 전기 집진 방식의 집진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의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화석 연료의 과도한 사용이 심화되고 있고 자동차 또는 산업설비 등에서 배출가스가 다량 발생하고 있다. 또한, 도시 기반 시설의 확충 등으로 인하여 분진, 꽃가루, 타르, 미생물 등의 미세 부유물이 발생되고 있다. 이로 인한 대기 오염이 사회 문제로 대두된 지 오래이다.
미세 부유물의 영향으로 실외뿐 아니라, 주택 또는 사무실의 실내 공간에서 발생하는 공기 오염으로 인한 피해가 늘고 있다. 따라서 실내 공기 정화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실내용 공기정화장치의 시장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기를 순화시켜 주는 공기정화장치는 구비된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에 포함된 먼지 입자와 같은 미세부유물의 여과하고, 여과된 공기를 다시 배출한다.
종래의 공기정화장치는 송풍기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도록 강제함으로써, 공기에 포함된 미세 부유물을 여과하는 여과식 집진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여과식 집진방식의 경우, 공기와 함께 흐르는 먼지 입자는 공기의 확산에 의해 필터에 관성 충돌(Inertial Impaction)되거나 필터 하부로 중력 침강(Gravitational Settling)됨으로써 포집된다. 이 경우, 먼지 입자는 먼지 입자와 필터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기력(Electrostatic Forces)에 의해 필터에 부착된다.
그러나, 여과식 집진방식은 시간이 지날수록 필터에 부착되는 먼지 입자가 증가함에 따라 필터의 여과 효율이 저하되므로, 일정한 주기로 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새로운 필터를 지속적으로 구매해야 하므로 많은 유지 비용이 소요되었다.
또한, 종래의 공기정화장치는 미세한 먼지 입자 뿐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입자들이 필터에 관성 충돌함에 따라서 필터가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전된 미세입자를 정전기력으로 집진하고 집진된 미세입자를 제거하여 장시간 동안 고효율의 집진성능을 유지하는 집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전된 미세입자를 정전기력으로 집진함으로써 장기간 동안 고효율의 집진성능을 유지하고, 정비 주기가 긴 전기집진 방식의 집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면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공기 유입구와 이격된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회전하는 집진부;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 입자가 제1 극성을 갖도록 이온화시키는 제1 방전부;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으로 상기 집진부를 대전시키는 제2 방전부; 및 상기 집진부 상에 부착된 먼지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부;를 포함하는, 집진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집진부는 롤러 또는 벨트일 수 있다.
상기 제2 방전부는 상기 집진부의 회전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전부는 상기 집진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부의 표면을 대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방전부는 롤러일 수 있다.
상기 집진부의 표면에는 유전체가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까지의 구간 중 중간 부분에서 상기 집진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확장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전부는 상기 확장 유로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확장 유로와 상기 공기 배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변형 유로 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 유로 출구는, 상기 확장 유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까지 점진적으로 집진부와 이루는 폭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클리닝부는 브러쉬, 블레이드 또는 파이프 스크류일 수 있다.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집진부 상의 먼지 입자를 제거하는 제1 면; 상기 제1면과 연결되는 제2 면; 상기 제1 및 제2 면의 상단을 덮는 제3 면; 및 상기 클리닝부의 내측에 존재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부의 단면적은 상기 클리닝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줄어들 수 있다.
상기 클리닝부는 공기를 분사하거나 초음파를 방출할 수 있다.
상기 클리닝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먼지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 수용부는 흡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전부는 유전체가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제2 방전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제전부; 및 상기 클리닝부와 상기 공기 유입구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제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원통형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집진 롤러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 및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먼지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은, 복수의 공기 유입구 및 상기 공기 유입구와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공기 배출구; 상기 공기 유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의 먼지 입자를 제1 극성으로 이온화시키는 복수의 제1 방전부; 상기 집진 롤러를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으로 대전하는 복수의 제2 방전부; 및 상기 집진 롤러 상의 먼지 입자를 제거하는 복수의 클리닝부;를 포함하는 집진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 집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집진 유닛은, 일면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공기 유입구와 이격된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회전하는 복수의 집진 롤러; 상기 프레임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먼지 수용부; 상기 공기 유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의 먼지 입자를 제1 극성으로 이온화시키는 복수의 제1 방전부; 상기 집진 롤러를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으로 대전하는 복수의 제2 방전부; 및 상기 집진 롤러 상의 먼지 입자를 제거하는 복수의 클리닝부;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집진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추가 집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집진 유닛은, 일면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공기 유입구와 이격된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회전하는 복수의 집진 롤러; 상기 프레임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먼지 수용부; 상기 공기 유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의 먼지 입자를 제1 극성으로 이온화시키는 복수의 제1 방전부; 상기 집진 롤러를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으로 대전하는 복수의 제2 방전부; 및 상기 집진 롤러 상의 먼지 입자를 제거하는 복수의 클리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 유닛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와 상기 추가 집진 유닛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진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추가 집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집진 유닛은, 일면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공기 유입구와 이격된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회전하는 복수의 집진 롤러; 상기 프레임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먼지 수용부; 상기 공기 유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의 먼지 입자를 제1 극성으로 이온화시키는 복수의 제1 방전부; 상기 집진 롤러를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으로 대전하는 복수의 제2 방전부; 및 상기 집진 롤러 상의 먼지 입자를 제거하는 복수의 클리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집진 유닛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제2 집진 유닛에 형성된 유입구는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이 장착된 공기 정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의 전,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a에 도시된 Ⅲ-Ⅲ선을 따라 나타낸 집진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집진 유닛을 배열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의 전,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의 전,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a에 도시된 IX-IX 선을 따라 나타낸 집진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의 단면도이다. 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클리닝부를 구성하는 파이프 스크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클리닝부를 구성하는 히팅 블레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히팅 블레이드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XV-XV 선을 따라 나타낸 집진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히팅 블레이드가 적용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1, 제2등의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이 장착된 공기 정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의 전,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Ⅲ-Ⅲ선을 따라 나타낸 집진 유닛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은 공기정화장치에 적용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은 공기정화장치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공기냉난방장치나 제습장치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은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공기정화장치는 공기 정화기(1)인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100)이 장착된 공기 정화기(1)는 본체(10) 및 본체의 전면을 덮는 커버(10a)를 포함한다.
커버(10a)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기 구멍(1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10a)를 공기 정화기(1)로부터 분리하면, 본체(10)의 하부에 장착된 집진 유닛(100)이 노출된다.
본체의 상면에는 컨트롤 패널(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으며, 컨트롤 패널을 조작하여 공기 정화기(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100)은 메인 프레임(110), 상부 프레임(120) 및 하부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10)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30) 및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40)가 형성된다. 공기 유입구(30)는 메인 프레임의 일면(110a)에 형성되며, 공기 배출구(40)는 공기 유입구(30)와 마주보도록 메인 프레임의 타면(110b)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공기 배출구(40)는 공기 유입구(30)의 반대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 배출구(40)는 메인 프레임의 일면(110a)을 제외한 메인 프레임의 나머지 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기 유입구(30)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메인 프레임(110) 내부에는 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집진부(14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집진부(140)는 롤러 또는 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집진부는 집진 롤러(140)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메인 프레임(110) 내부에는 복수의 집진 롤러(140, 141, 142, 143)가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며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때, 복수의 집진 롤러(140, 141, 142, 143)는 구동 계통의 일원화를 위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프레임(120)은 메인 프레임(110) 상단에 연결되며, 메인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집진 롤러(140, 141, 142, 143)들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미도시)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30)은 메인 프레임(110)의 하단에 연결되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중력 방향으로 낙하되는 먼지 입자(2)를 수용할 수 있는 먼지 수용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 수용부(131)는 하부 프레임(13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먼지 수용부(131)는 복수의 집진 롤러(140, 141, 142, 143)와 클리닝부(190)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집진 롤러와 클리닝부의 하단을 향해 개구(390a')(도 1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먼지 수용부(131)는 하부 프레임(13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사용자가 먼지 수용부(131)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을 집어 넣을 수 있는 손잡이 공간(132)이 먼지 수용부(131)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먼지 수용부(131)에는 흡착부재(333)(도 14 참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흡착부재(333)는 점성이 높은 오일을 함유하는 직물로 구성되거나 먼지 입자(2)와 정전기를 발생하는 직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착부재(333)는 점성이 높은 오일을 함유하는 직물일 경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중력 방향으로 낙하되는 먼지 입자(2)가 흡착부재(333)에 함유된 오일에 침강되어 중력 상부 방향으로 재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흡착부재(333)가 정전기를 발생하는 직물일 경우, 전위차에 의해 먼지 입자(2)와 직물 사이에 정전기를 발생시키고 인력에 의해 먼지 입자(2)가 직물에 부착되도록 하여 중력 상부 방향으로 재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공기 배출구(40)는 바(112)에 의해 제1 및 제2 배출구(40a, 40b)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112)는 복수의 집진 롤러(140, 141, 142, 143)에 대응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112a, 112b, 112c, 112d)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메인 프레임(110)에 종 방향으로 미치는 무게 중심을 분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바(112a, 112b, 112c, 112d)에는 제1 및 제2 배출구(40a, 40b)를 덮는 헤파(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필터(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집진 유닛의 집진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10)은 제1 프레임(111a)과 제2 프레임(111b)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프레임(111a)과 제2 프레임(111b)은 쉽게 구분되도록 도면에서 서로 분리된 것처럼 도시해 놓은 것일 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집진 롤러(140)는 제1 및 제2 프레임(111a, 111b)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집진 롤러(140)의 외주면과 제1, 제2 프레임(111a, 111b)의 내측면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됨에 따라, 제1, 제2 프레임(111a, 111b) 및 집진 롤러(140) 사이에 유로(20)가 형성된다.
유로(20)는 먼지 입자를 포함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30)로부터 먼지 입자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40)까지 이어진다.
제1 방전부(150)는 공기 유입구(30)와 근접한 제1 프레임 부분(111c)에 배치된다.
제1 방전부(150)는 고전압이 인가되면 제1 방전부(150) 내부에서 형성된 전위차에 의해 전류가 흐르면서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면 제1 방전부(150)와 집진 롤러(140) 사이 공간에는 자기장이 형성되며, 상기 자기장이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는 먼지 입자(2)는 자기장에 의해 이온화되어 특정 극성을 가진다.
따라서, 제1 방전부(150)는 코로나 방전을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해서 와이어, 톱니 또는 평판 형태의 전극, 상기 전극에 대응되는 전극 판들 및 전원 공급부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방전부(150)는 상기 전극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에 포함된 먼지 입자(2)가 특정 극성을 가지도록 이온화시킬 수 있다면, 마찰에 의한 이온화 방법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방전부(150)는 효과적인 코로나 방전 현상을 유도하기 위해 유전체가 코팅될 수도 있다.
제1 방전부(150)의 측부(111d)에 제1 제전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전부(170)는 일면이 집진 롤러(140)를 향하도록 개방되며, 제1 제전부(170) 앞을 지나가는 집진 롤러 표면(140b)에 형성된 특정 전하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제1 방전부(150)의 전하 방출에 의해 집진 롤러 표면(140b)이 먼지 입자(2)와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대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 제전부(170)는 상기 유로(20)의 진행 방향에서 공기 유입구(30)와 제2 방전부(160) 사이에 위치하고, 제1 프레임(111a)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전부(170)는 집진 롤러 표면(140b)의 특정 전하를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레이저를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프레임(111a, 111b) 사이에 위치하는 집진 롤러(140)는 회전축(140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집진 롤러(14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예시로 한다.
상기 집진 롤러(140)는 집진 롤러 몸체(140a) 및 집진 롤러 표면(140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집진 롤러(140)의 중심에 회전축(140c)이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140c) 상에 제2 방전부(160)가 배치된다. 즉, 제2 방전부(160)는 집진 롤러 몸체(140a) 내부에 형성된다.
이는 제2 방전부(160)가 집진 롤러 몸체(140a)를 직접 대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롤러 몸체(140a)는 전도성이 있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집진 롤러 몸체(140a)를 이루는 금속은 알루미늄 또는 SUS(Steel Use Stainless)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방전부(160)는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며, 와이어, 톱니, 또는 평판 형태의 전극으로 구성된다.
제2 프레임(111b)에는 제2 제전부(180) 및 클리닝부(190)가 형성된다.
하지만, 클리닝부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부는 상기 블레이드(190)와 같이 집진 롤러와 접촉하는 접촉식 외에 집진 롤러(140)에 접촉하지 않고 집진 롤러 표면(140b)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비접촉식 클리닝부도 가능하다.
상기 비접촉식 클리닝부는 에어젯(Air Jet)형태의 공기를 분사하거나 초음파를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오존이나 레이저를 방출하여 집진 롤러 표면(140b)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클리닝부(190)가 접촉식 클리닝부 중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로 한다.
블레이드(190)는 집진 롤러 표면(140b)에 부착되어 집진 롤러(140)와 같이 회전하는 먼지 입자(2)가 집진 롤러(140)와 같이 회전하는 것을 막으며, 먼지 입자(2)가 집진 롤러 표면(140b)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블레이드(190)는 일단이 집진 롤러 표면(140b)과 접촉하고, 타단은 제2 프레임(111b)에 매립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블레이드(190)는 집진 롤러(14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음과 동시에 집진 롤러(140)에 붙어있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서 집진 롤러(140b)의 접선면과 평행하거나 접선면과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제2 프레임(111b)에 매립될 수 있다.
블레이드(190)는 러버를 재질로 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블레이드(190)는 집진 롤러 표면(140b)에 충분한 마찰력을 형성하여 먼지 입자(2)를 집진 롤러 표면(140b)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면 러버 이외에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2 제전부(180)는 제2 프레임(111b)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제전부(180)는 일면이 집진 롤러(140)를 향하도록 개방되며, 제2 제전부(180) 앞을 지나가는 집진 롤러 표면(140b)의 전하를 없앨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집진 롤러 표면(140b)은 제2 방전부(160)에 의해 제1 방전부(150)에서 대전된 먼지 입자(2)와 반대되는 전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집진 롤러 표면(140b)이 클리닝부(190)를 지나서 계속 회전을 할 때, 제2 제전부(180)는 클리닝부(190)를 지난 집진 롤러 표면(140b)에 존재하는 전하를 제거하여, 공기 유입구(30)를 통과한 먼지 입자(2)가 척력에 의해 집진 롤러(140)로부터 밀려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2 제전부(180)는 상기 유로(20)의 진행 방향에서 공기 유입구(30)와 제2 방전부(160) 사이에 위치하고 제2 프레임(111b)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제전부(180)는 집진 롤러 표면(140b)의 전하를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레이저를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100)이 먼지 입자(2)를 집진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100)은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공기에 포함된 미세한 먼지 입자(2)를 집진한다.
공기 정화기의 본체(10) 내부에서 집진 유닛(100)의 후방에 배치된 송풍장치(미도시)가 공기를 흡입하면, 공기 정화기 주변의 공기가 집진 유닛의 공기 유입구(30)로 유입된다.
이때, 공기에 포함된 먼지 입자(2) 역시 공기 유입구(30)로 함께 유입된다. 그리고 먼지 입자(2)는 공기와 함께 유로(20)를 따라 따라 공기 배출구(40)쪽으로 이동한다.
공기 중의 먼지 입자(2)는 제1 방전부(150)를 지나게 되는데, 이 때, 제1 방전부(150)에는 고전압이 인가되어 코로나 방전이 일어난다.
제1 방전부(150)와 마주하는 집진 롤러 표면(140b) 사이 공간에는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 공간을 통과하는 먼지 입자(2)는 양극 또는 음극인 제1 극성으로 이온화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먼지 입자(2)가 양극으로 이온화되는 것을 예시로 한다.
제1 방전부(150)에 의해서 양극으로 이온화된 먼지 입자(2)는 유로(20)를 따라 계속 공기 배출구(4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제전부(170)는 집진 롤러 표면(140b)에 레이저를 방사하여 집진 롤러 표면(140b)이 제1 방전부(150)에 의해 양극으로 대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방전부(150)가 코로나 대전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면, 먼지 입자(2)외에도 집진 롤러 표면(140b)을 대전시킬 수 있다. 제1 방전부(150)에서 방출된 전하가 집진 롤러 표면(140b)에도 충분히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제1 방전부(150)에 의해 먼지 입자(2)와 집진 롤러(140)가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가지게 되면, 먼지 입자(2)와 집진 롤러(140) 사이에 척력이 발생한다.
이 경우, 먼지 입자(2)는 상기 척력에 의해 제1 프레임(111a) 방향으로 밀려나 유로(20)의 내벽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방전부(150)와 제2 방전부(160) 사이에 제1 제전부(170)가 배치되어, 제1 방전부(150)와 근접한 집진 롤러 표면(140b)에 있는 양전하를 제거한다.
이때, 제1 제전부(170)에서 방출되는 레이저가 제1 방전부(150)에 의해 대전된 먼지 입자(2)의 양전하까지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1 제전부(170)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는 집진 롤러(14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140c) 상에 배치된 제2 방전부(160)에는 제1 방전부(150)와 반대 극성을 띤 제2 극성, 즉 음전하를 방출할 수 있도록 전기가 공급되며, 회전축(140c)에 결합되어 회전축과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집진 롤러(140) 역시 회전축(140c)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 방전부(160)에 의해 전체적으로 음극으로 대전된다.
제1 제전부(170)를 지나고 양극으로 대전된 먼지 입자(2)는 정전기 인력에 의해 음극으로 대전된 집진 롤러 표면(140b)으로 끌려가게 되고, 먼지 입자(2)는 정전기력에 의해 집진 롤러 표면(140b)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1 제전부(170)를 지난 공기 중의 먼지 입자(2)는 집진 롤러 표면(140b)에 부착되어 집진 롤러(140)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먼지 입자(2)가 제거된 공기는 공기 배출구(40)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이 때, 공기 배출구(40)에 형성된 바(112a)에 헤파 필터가 설치된 경우, 집진 롤러 표면(140b)에 미처 부착되지 못한 미세한 먼지 입자는 헤파 필터에 의해 여과될 수 있다.
집진 롤러 표면(140b)에 부착된 먼지 입자(2)는 집진 롤러(140)와 함께 계속 회전하면서, 블레이드(190)가 있는 곳까지 진행하게 된다.
먼지 입자(2)는 집진 롤러 표면(140b)과 마찰 접촉하고 있는 블레이드(190)에 의해 집진 롤러 표면(140b)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집진 롤러 표면(140b)으로부터 떨어진 먼지 입자(2)는 집진 롤러(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력 방향으로 낙하하여, 집진 유닛(100)의 하부 프레임(130)에 설치된 먼지 수용부(131)로 수거된다.
먼지 수용부(131)에 흡착부재(333)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먼지 입자(2)는 흡착부재(333)에 강력하게 부착됨에 따라 상부 방향으로 재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먼지 수용부(131)에 흡착부재(333)를 설치할 경우 집진 유닛(100)의 집진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먼지 수용부(131)에 먼지 입자(2)가 일정 이상 적재된 경우, 먼지 수용부(131)를 집진 유닛(100)으로부터 인출한 뒤 먼지 수용부(131) 내부를 청소하거나 먼지 수용부(131) 내부에 장착된 흡착부재(333)를 교체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먼지 입자(2)를 제거할 수 있다.
블레이드(190)를 지나간 집진 롤러 표면(140b)은 제2 제전부(180)에 의해 음극 전하가 제거된다. 이는, 공기 유입구(3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입자가 집진 롤러 표면(140b)과 동일한 극성을 가질 경우, 먼지 입자(2)와 집진 롤러 표면(140b) 사이의 척력에 의해 공기 유입구(30) 외부로 다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100)은 회전하는 집진 롤러(140)와 먼지 입자(2)에 각각 다른 극의 전하를 대전시키고 정전기 인력을 이용하여 집진을 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되지 않는 미세한 먼지 입자에 대한 집진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클리닝부는 집진 유닛(100)이 작동할 때 지속적으로 집진 롤러(140)에 붙어있는 먼지 입자(2)를 제거하여 별도의 저장 공간인 먼지 수용부(131)에 먼지를 축적하므로, 집진 롤러에 대한 유지 보수 주기가 매우 길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100)은 집진 롤러(140)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교체형 필터를 사용하는 집진 유닛보다 장기간 사용에 따른 집진 성능의 저하율이 낮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은 제2 방전부 및 유로에 대한 구성만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나머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하게 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의 일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방전부(260)는 집진 롤러 표면(140b) 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 방전부(260)는 지지부(261)에 의해 집진 롤러 표면(140b)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제2 방전부(260)는 반드시 집진 롤러 표면(140b)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제2 방전부(260)가 집진 롤러 표면(140b)과 비접촉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방전부(260)는 일반적으로 비접촉식 와이어 형태의 전극으로 구성되며, 제2 방전부로부터 코로나 방전을 유도하기 위해 제2 방전부(260) 표면에는 유전체가 코팅될 수도 있다.
제2 방전부(260)가 집진 롤러 표면(140b)과 접촉하는 형태로 구성될 경우, 제2 방전부(260)는 집진 롤러 표면(140b)과 마찰하여 대전을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대전 롤러로 구성된다.
하지만, 제2 방전부(26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촉식 와이어 형태, 톱니 형태, 평판 형태의 전극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방전부는 대전 롤러인 것을 예시로 한다.
대전 롤러(260)는 지지부(261)에 의해 집진 롤러 표면(140b)과 접촉하며, 회전을 위한 별도의 구동부가 필요없다. 대전 롤러(260)는 집진 롤러(140)의 회전에 의해 집진 롤러(1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전 롤러(260)는 전도성을 가진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대전 롤러(260)는 집진 롤러(1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대전 롤러(260)와 접촉하는 집진 롤러 표면(140b)이 특정한 극성을 가지도록 대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집진 롤러 몸체(140a)는 금속보다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 롤러(260)와 집진 롤러 표면(140b)의 마찰에 의해 집진 롤러 표면(140b)이 특정 극성을 가지도록 대전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집진 롤러 몸체(140a)가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경우, 상기 집진 롤러 표면(140b)은 마찰에 의한 대전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집진 롤러 표면(140b)에 유전체가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유입구(30)로부터 공기 배출구(40)까지 구간 중 중간 부분에서 집진 롤러(140)와 제1 프레임(111a) 사이에 기존 유로(20)보다 폭이 넓은 확장 유로(21)가 형성된다.
지지부(261) 및 대전 롤러(260)는 확장 유로(21)에 배치된다.
지지부(261)는 집진 롤러 표면(140b) 상에 배치되지만, 집진 롤러(14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집진 롤러(140)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지지부(261)는 특정 극성으로 대전된 먼지 입자(2)가 지지부(261)에 부착되지 않도록 비전도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20)는 제1 방전부(150) 및 제1 제전부(170)를 지나서 확장 유로(21)와 연결된다.
지지부(261)가 집진 롤러(140)와 마주하는 면의 반대면(261a)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유로가 급격하게 변화되지 않도록 하며, 지지부(261) 및 대전 롤러(260)가 확장 유로(21)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유로(20)와 확장 유로(21)는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상기 유로(20)와 확장 유로(2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확장 유로(21)는 확장 유로 출구(22)와 연결된다.
확장 유로 출구(22)는 공기 배출구(40)와 연결되어 공기 유입구(3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집진 롤러(140)를 거쳐 공기 배출구(4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확장 유로 출구(22)는 확장 유로(21)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확장 유로 출구(22)에는 지지부(261)와 대전 롤러(260)가 배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유로(20) 및 확장 유로(21)보다 실질적으로 폭이 큰 유로가 형성된다.
이 경우, 확장 유로 출구(22)로 공기가 진입하게 될 경우, 공기의 유속이 느려질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입구(30)로부터 공기 배출구(40)로 이어지는 유로(20), 확장 유로(21), 확장 유로 출구(22)의 유속이 모두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확장 유로 출구(22)의 폭을 좁힌 집진 유닛에 대한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다.
도 5에는 확장 유로 출구(22)의 폭 넓이를 좁힌 변형 유로 출구(23)가 포함된 집진 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변형 유로 출구(23)는 확장 유로(21)에서 공기 배출구(40)쪽으로 가까워질수록 집진 롤러(140)와 이루는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진다.
따라서 변형 유로 출구(23)는 최초의 유로(20)와 동일한 폭을 유지하며 공기 배출구(4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변형 유로 출구(23)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은 유로(20) 및 확장 유로(21)를 통과하는 유속과 동일하다.
이하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이 먼지 입자(2)를 집진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공기 정화기의 본체(10) 내부에서 집진 유닛(100)의 후방에 배치된 송풍장치(미도시)가 공기를 흡입하면, 공기 정화기 주변의 공기가 집진 유닛의 공기 유입구(30)로 유입된다.
이때, 공기에 포함된 먼지 입자(2)는 공기 유입구(30)로 함께 유입된다. 그리고 먼지 입자(2)는 공기와 함께 유로(20)를 따라 공기 배출구(40)쪽으로 이동한다.
공기 중의 먼지 입자(2)가 제1 방전부(150)에 도달하게 되면, 제1 방전부에 의해 형성된 전기장을 통과하면서 양극 또는 음극인 제1 극성으로 이온화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먼지 입자(2)가 양극으로 대전되는 것을 예시로 한다.
제1 방전부(150)를 통과한 먼지 입자(2)는 확장 유로(21)로 진입하게 된다. 이 때, 제1 제전부(170)는 집진 롤러 표면(140b)에 레이저를 방사하여 집진 롤러 표면(140b)이 제1 방전부(150)에 의해 양극으로 대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방전부(150)가 전하를 방출하면, 먼지 입자(2)외 집진 롤러(140)도 대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방전부(150)에 의해 먼지 입자(2)와 집진 롤러(140)가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가지면, 먼지 입자(2)와 집진 롤러(140) 사이에 척력이 발생하고, 먼지 입자(2)는 척력에 의해 밀려나게 되어, 먼지 입자(2)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방전부(150)와 제2 방전부(160) 사이에 제1 제전부(170)가 배치되어, 제1 방전부(150)와 근접한 집진 롤러 표면(140b)에 있는 전하를 제거한다.
이 때, 제1 제전부(170)에서 방출되는 레이저가 제1 방전부(150)에 의해 양극으로 대전된 먼지 입자(2)의 전하까지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1 제전부(170)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는 집진 롤러(14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진 롤러(140)는 회전축(140c)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집진 롤러 표면(140b)과 접촉하고 있는 제2 방전부(260)는 집진 롤러(140)의 회전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2 방전부(260)는 전압이 인가되며, 제2 방전부(260)와 접촉하는 집진 롤러 표면(140b)을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 즉 음극으로 대전시킨다.
양극으로 대전된 먼지 입자(2)가 확장 유로(21)를 통과하여 확장 유로 출구(22)로 진입하게 되면, 음극으로 대전된 집진 롤러 표면(140b)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인력에 의해 먼지 입자(2)는 집진 롤러 표면(140b)으로 끌려가게 된다.
또한, 변형 유로 출구(23)를 포함하고 있는 집진 유닛의 경우, 상기 확장 유로(21)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40)까지 점진적으로 집진 롤러(140)와 이루는 폭이 감소하기 때문에 집진 롤러 표면(140b)으로 먼지 입자(2)가 바로 끌려가게 된다.
따라서, 공기 중의 먼지 입자(2)는 집진 롤러 표면(140b)에 모두 부착되고, 먼지 입자(2)가 제거된 공기는 공기 배출구(40)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이 때, 공기 배출구(40)에 형성된 바(112a)에 필터가 설치된 경우, 집진 롤러 표면(140b)에 미처 부착되지 못한 먼지 입자(2)는 상기 필터에 부착될 수 있다.
집진 롤러 표면(140b)에 부착된 먼지 입자(2)는 집진 롤러(140)와 계속 회전을 같이 하면서, 블레이드(190)가 있는 곳까지 진행하게 된다.
먼지 입자(2)는 집진 롤러 표면(140b)과 마찰 접촉하고 있는 블레이드(190)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막히게 된다. 하지만, 집진 롤러(140)는 계속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할 수 있으므로 먼지 입자(2)는 집진 롤러 표면(140b)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집진 롤러 표면(140b)으로부터 떨어진 먼지 입자(2)는 집진 롤러(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력 하부로 낙하하여, 집진 유닛(100)의 하부 프레임(130)에 설치된 먼지 수용부(131)에 집진된다.
먼지 수용부(131)에 흡착부재(333)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흡착부재(333)에 의해 먼지 입자(2)가 중력 방향 상부로 재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집진 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먼지 수용부(131)에 집적된 먼지 입자(2)는 먼지 수용부(131)를 집진 유닛(100)으로부터 인출한 뒤 먼지 수용부(131)내부를 세척하거나 장착된 흡착부재(333)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집진된 먼지 입자(2)를 제거할 수 있다.
블레이드(190)를 지나친 집진 롤러 표면(140b)은 제2 제전부(180)에 의해 음극 전하가 제거된다. 이는, 공기 유입구(3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입자 중 집진 롤러 표면(140b)과 동일한 극성을 가진 먼지 입자(2)가 척력에 의해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여 집진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에 비하여, 집진 롤러(140)가 대전되는 구간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집진 롤러(140) 전체를 대전할 때 소비되는 전력보다 전력 소모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집진 롤러(140)가 대전되는 구간이 설정되므로, 제1 및 제2 제전부(170, 180)를 반드시 배치하지 않더라도, 집진 롤러(140)가 대전되지 않는 구간이 발생하여 먼지 입자(2)를 척력으로 밀어낼 가능성이 줄어들게 되므로, 집진 효율이 우수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이 공기 정화기 내부에 복수로 장착될 때, 각 집진 유닛의 배열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복수의 집진 유닛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과 동일하므로 집진 유닛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줄이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집진 유닛을 배열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할 때, 공기 정화기는 제1 집진 유닛(100) 및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제2 집진 유닛(100, 1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집진 유닛(100)은 복수의 집진 롤러(140, 141, 142, 143)을 가지고 있으며, 각 집진 롤러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기 유입구(30) 및 공기 배출구(40)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집진 유닛(100, 101)은 상호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제1 집진 유닛(100)의 후방에 제2 집진 유닛(101)이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집진 유닛(100)이 제2 집진 유닛(101)의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집진 유닛(101)이 제1 집진 유닛(10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집진 유닛(10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유입구(30)로 유입된 공기는 복수의 집진 롤러(140, 141, 142, 143)를 거치면서 공기 중의 먼지 입자가 제진된다.
복수의 집진 롤러(140, 141, 142, 143)를 통과한 공기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40)로 배출되고, 다시 제2 집진 유닛(101)에 형성된 복수의 유입구(31)로 유입된다.
복수의 유입구(31)로 유입된 공기는 제2 집진 유닛(101)에 배치된 복수의 집진 롤러(140', 141', 142', 143')에 의해 추가적으로 제진되고, 복수의 배출부(41)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기에서는 공기가 순차적으로 제1 및 제2 집진 유닛(100, 101)을 통과하도록 하여 2번의 공기 정화 작업을 하므로, 제1 집진 유닛(100)에서 미쳐 집진되지 못한 먼지 입자를 제2 집진 유닛(101)에서 포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공기 정화기에 비하여, 매우 높은 성능의 공기 정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기는 제1 및 제3 집진 유닛(100, 102)을 포함한다.
제1 집진 유닛(100)은 복수의 집진 롤러(140, 141, 142, 143)을 가지고 있으며, 각 집진 롤러에 대응하는 복수의 공기 유입구(30) 및 공기 배출구(40)가 형성된다.
제3 집진 유닛(102)은 복수의 집진 롤러(144, 145, 146)을 가지고 있으며, 각 집진 롤러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입구(31) 및 배출구(41)가 형성된다.
제3 집진 유닛(102)은 제1 집진 유닛(100)에 비하여 집진 롤러, 유입구 및 배출구의 개수에만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제1 집진 유닛(100)의 후방에 제3 집진 유닛(102)이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집진 유닛(100)이 제3 집진 유닛(102)의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3 집진 유닛(102)이 제1 집진 유닛(10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집진 유닛(10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유입구(30)로 유입된 공기는 복수의 집진 롤러(140, 141, 142, 143)를 거치면서 공기 중의 먼지 입자가 제진된다.
복수의 집진 롤러(140, 141, 142, 143)를 통과한 공기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40)로 배출되고, 다시 제3 집진 유닛(102)에 형성된 복수의 유입구(32)로 유입된다.
복수의 유입구(32)로 유입된 공기는 제3 집진 유닛(102)에 배치된 복수의 집진 롤러(144, 145, 146)에 의해 추가적으로 제진되고, 복수의 배출부(42)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기에서는 공기가 순차적으로 제1 및 제3 집진 유닛(100, 102)을 통과하도록 하여 2번의 공기 정화 작업을 하므로, 제1 집진 유닛(100)에서 미쳐 집진되지 못한 먼지 입자를 제3 집진 유닛(102)에서 포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공기 정화기에 비하여, 매우 높은 성능의 공기 정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롤러는 제3 집진 유닛(102)이 포함하는 집진 롤러의 개수가 제1 집진 유닛(100) 포함하고 있는 집진 롤러 개수 보다 작으므로, 비교적 적은 전력 소모량을 가짐에도 높은 성능의 공기 정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기는 제1 내지 제3 집진 유닛(100, 101, 10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집진 유닛(100, 101)은 각각 상술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집진 유닛과 동일하며, 제3 집진 유닛(102)은 실질적으로 제1 유닛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하에서 제1 내지 제3 집진 유닛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기 내부에는 제1 및 제2 집진 유닛(100, 101)사이에 제3 집진 유닛(102)이 배치된다. 하지만, 제1 내지 제3 집진 유닛(100, 101, 102)의 배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구성이 가능하다.
다만, 공기 정화기로 유입되는 초기 공기량을 최대화 하기 위해서, 제3 집진 유닛(102)이 최전방에 배치되는 것보다 제1 및 제2 집진 유닛(100, 101)사이 또는 제1 및 제2 집진 유닛(100, 101)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제1 및 제2 집진 유닛(100, 101)사이에 제3 집진 유닛(102)이 배치된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집진 유닛(10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유입구(30)로 유입된 공기는 복수의 집진 롤러(140, 141, 142, 143)를 거치면서 공기 중의 먼지 입자가 제진된다.
복수의 집진 롤러(140, 141, 142, 143)를 통과한 공기는 복수의 공기 배출구(40)로 배출되고, 다시 제3 집진 유닛(102)에 형성된 복수의 유입구(32)로 유입된다.
복수의 유입구(32)로 유입된 공기는 제3 집진 유닛(102)에 배치된 복수의 집진 롤러(144, 145, 146)에 의해 2차 제진되고, 복수의 배출부(42)로 배출된다.
복수의 배출부(42)로 배출된 공기는 다시 제 2 집진 유닛(101)에 형성된 복수의 유입구(31)로 유입되고, 복수의 집진 롤러(140', 141', 142', 143')를 거치면서 3차 제진된다.
3차 제진된 공기는 먼지 입지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로 복수의 배출부(41)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기는 공기가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3 집진 유닛(100, 101, 102)을 통과하도록 하여 3번의 공기 정화 작업을 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기의 공기 정화 능력은 극대화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200)은 한 개의 집진 롤러(1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의 전, 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200)의 세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집진 유닛을 구성하는 집진 롤러, 유입구, 흡입구, 클리닝부, 제1 및 제2 방전부 및 제1 및 제2 제전부의 개수에만 차이가 있다.
단일한 집진 롤러(140)를 포함하는 집진 유닛(200)은 메인 프레임(210), 메인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고 집진 롤러(140)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220), 메인 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고 먼지 수용부(231)를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230)으로 구성된다.
먼지 수용부(231)는 먼지 수용부(231) 하부에 형성된 손잡이 구멍(232)을 이용하여 하부 프레임(230)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메인 프레임(210) 내부에는 집진 롤러(140)가 배치되며, 메인 프레임(210)의 내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8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은 메인 프레임의 형상 및 배출구에 추가로 부착되는 송풍팬에 대한 구성만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나머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하게 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300)의 전, 후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a의 IX-IX 선을 따라 나타낸 집진 유닛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300)은 메인 프레임(310), 메인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고 집진 롤러(140)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320), 메인 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고 먼지 수용부(331)를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330)으로 구성된다.
먼지 수용부(331)는 먼지 수용부(331) 하부에 형성된 손잡이 구멍(332)을 이용하여 하부 프레임(330)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310)은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집진 롤러(140)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10)이 원통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100)보다 공간 절약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
메인 프레임(310)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40)에는 송풍팬(50)이 부착될 수 있다.
특히 공기 배출구(40)가 복수 개로 집진 유닛(300)의 높이 방향 하부를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을 경우, 각 배출구에 복수의 송풍팬(50a, 50b, 50c, 50d)이 부착될 수 있다.
복수의 송풍팬(50a, 50b, 50c, 50d)은 공기를 빨아들여서 공기 유입구(3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공기 배출구(40)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한다.
메인 프레임(31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프레임(311a) 및 제2 프레임(311b)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및 제2 프레임(311a, 311b)은 일체로 형성된다.
공기 유입구(30)와 근접한 제1 프레임 부분(311c)에는 제1 방전부(150)가 배치되며, 제1 프레임 부분의 측면(311d)에는 제1 제전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프레임(311b)에 클리닝부(190)가 배치되며, 클리닝부(190)보다 공기 유입구(30)와 더 가까운 쪽에 제2 제전부(180)가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0 및 도 11에는 제2 방전부(260)가 집진 롤러 표면(140b)상에 배치될 경우, 확장 유로(21)에 연결되는 확장 유로 출구(22) 또는 좁아진 변형 유로 출구(23)에 대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프레임(311a, 311b) 사이에 집진 롤러(140)가 배치되며, 메인 프레임(210)의 내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부의 변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클리닝부는 집진 롤러(140)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브러쉬, 블레이드, 또는 파이프 스크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2에는 클리닝부의 또 다른 실시예인 파이프 스크류(29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 스크류(290)는 센터 로드(291)를 중심으로 복수의 나사산(292)이 형성되어 있다.
센터 로드(291)는 집진 롤러의 회전축(140c)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메인 프레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나사산(292)은 집진 롤러 표면(140b)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센터 로드(29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집진 롤러 표면(140b)에 부착된 먼지 입자(2)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클리닝부의 또 다른 실시예인 히팅 블레이드(390)를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5는 도 13의 XV-XV 선을 따라 나타낸 집진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16에는 상기 히팅 블레이드(390)가 적용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유닛의 단면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히팅 블레이드(390)는 집진 롤러(140) 상의 먼지 입자를 제거하는 제1 면(390c), 상기 제1면과 연결되는 제2 면(390d) 및, 상기 제1 및 제2 면의 상단을 덮는 제3 면(390b')으로 형성된다.
히팅 블레이드(390)는 상부(390b)에서 하부(390a)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고, L자형 단면을 가진다. 따라서, 히팅 블레이드(390)의 내부에는 빈 공간(390e)이 형성된다.
그리고, 히팅 블레이드의 상부(390b)에는 가열부(391)가 배치된다. 하지만, 반드시 히팅 블레이드의 상부(390b)에 배치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히팅 블레이드의 중부에 배치될 수 도 있다.
가열부(391)는 내부에 열선 코일이 장착될 수 있고, 상기 클리닝부의 내측(390e)에는 존재하는 공기를 가열한다.
또한, 히팅 블레이드(390)는 하부(390a)에는 먼지 입자(2)가 배출될 수 있도록 개구(390a')가 형성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히팅 블레이드의 일단(390c)은 집진 롤러(140)와 접촉하고, 타단(390d)은 집진 롤러(140)와 일정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집진 롤러(140)와 접촉하고 있는 히팅 블레이드의 일단(390c)에 의해 먼지 입자(2)가 집진 롤러 표면(140b)으로부터 분리된 뒤, 히팅 블레이드의 빈 공간(390e)에 먼지 입자(2)가 모여서, 중력 침강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히팅 블레이드(390)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먼지 입자(2)가 부착된 집진 롤러(1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먼지 입자(2)는 히팅 블레이드의 일단(390c)에 의해 집진 롤러(140)로부터 이탈된다.
이탈된 먼지 입자(2)는 히팅 블레이드의 빈 공간(390e)에 체류한다. 이때, 히팅 블레이드의 상부에 배치된 히팅부(391)는 히팅 블레이드의 상부(390b)를 가열한다.
가열된 공기는 도 14에 도시된 화살표를 따라 히팅 블레이드 상부의 제3면(390b')을 향해 상승한다. 하지만, 제3면(390b')이 막혀있으므로, 가열된 공기는 히팅 블레이드의 상부(390b)에 집적된다.
그리고 히팅 블레이드의 상부(390b)의 공기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히팅 블레이드 하부(390a)의 공기가 상부(390b)로 이동한다.
가열된 공기가 집적된 히팅 블레이드의 상부(390b)의 공기 밀도는 히팅 블레이드 하부(390a)의 공기의 밀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이러한 히팅 블레이드의 상부(390b)와 하부(390a)의 공기 밀도 차에 의해 히팅 블레이드의 상부(390b)의 공기는 하부(390a)로 흐르게 된다.
또한, 히팅 블레이드의 상부(390b)보다 하부(390a)의 단면적이 작아지면서, 히팅 블레이드의 상부(390b)로부터 하부(390a)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더욱 가속화 시킨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히팅 블레이드(390) 내부의 빈 공간(390e)에 체류하고 있는 먼지 입자(2) 또는 집진 롤러 표면(140b)에 존재하는 먼지 입자(2)는 중력 방향으로 원활하게 침강하게 된다.
먼지 입자(2)는 히팅 블레이드의 하부의 개구(390a')를 통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먼지 수용부(331)로 이동하게 되고, 먼지 수용부(331)에 축적되게 된다.
먼지 수용부 내부에 흡착부재(333)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먼지 입자(2)는 흡착 부재에 부착되어 히팅 블레이드의 상부(390b)로 재비산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팅 블레이드(390)는 내부에 빈 공간(390e)이 형성되고 제3면(390b')이 막혀있으므로, 집진 롤러(140)로부터 이탈된 먼지 입자(2)가 다양한 방향으로 재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된 실시예들을 조합하거나, 하기의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일면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공기 유입구와 이격된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회전하는 집진부;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 입자가 제1 극성을 갖도록 이온화시키는 제1 방전부;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으로 상기 집진부를 대전시키는 제2 방전부; 및
    상기 집진부 상에 부착된 먼지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부;를 포함하는, 집진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롤러 또는 벨트인, 집진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전부는 상기 집진부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는, 집진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전부는 상기 집진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부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집진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전부는 롤러인, 집진 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까지의 구간 중 중간 부분에서 상기 집진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확장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전부는 상기 확장 유로 내부에 배치되는, 집진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유로와 상기 공기 배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변형 유로 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 유로 출구는,
    상기 확장 유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까지 점진적으로 집진부와 이루는 폭이 감소하는, 집진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집진부 상의 먼지 입자를 제거하는 제1 면;
    상기 제1면과 연결되는 제2 면;
    상기 제1 및 제2 면의 상단을 덮는 제3 면; 및
    상기 클리닝부의 내측에 존재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부의 단면적은 상기 클리닝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줄어드는, 집진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먼지 수용부;를 포함하는, 집진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제2 방전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제전부; 및
    상기 클리닝부와 상기 공기 유입구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제전부;를 포함하는, 집진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원통형인, 집진 유닛.
  12. 복수의 집진 롤러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 및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먼지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은,
    복수의 공기 유입구 및 상기 공기 유입구와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공기 배출구;
    상기 공기 유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의 먼지 입자를 제1 극성으로 이온화시키는 복수의 제1 방전부;
    상기 집진 롤러를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으로 대전하는 복수의 제2 방전부; 및
    상기 집진 롤러 상의 먼지 입자를 제거하는 복수의 클리닝부;를 포함하는 집진 유닛.
  13.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 집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집진 유닛은,
    일면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공기 유입구와 이격된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회전하는 복수의 집진 롤러;
    상기 프레임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먼지 수용부;
    상기 공기 유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의 먼지 입자를 제1 극성으로 이온화시키는 복수의 제1 방전부;
    상기 집진 롤러를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으로 대전하는 복수의 제2 방전부; 및
    상기 집진 롤러 상의 먼지 입자를 제거하는 복수의 클리닝부;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추가 집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집진 유닛은,
    일면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공기 유입구와 이격된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회전하는 복수의 집진 롤러;
    상기 프레임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먼지 수용부;
    상기 공기 유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의 먼지 입자를 제1 극성으로 이온화시키는 복수의 제1 방전부;
    상기 집진 롤러를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으로 대전하는 복수의 제2 방전부; 및
    상기 집진 롤러 상의 먼지 입자를 제거하는 복수의 클리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 유닛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와 상기 추가 집진 유닛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공기정화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추가 집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집진 유닛은,
    일면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공기 유입구와 이격된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회전하는 복수의 집진 롤러;
    상기 프레임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먼지 수용부;
    상기 공기 유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의 먼지 입자를 제1 극성으로 이온화시키는 복수의 제1 방전부;
    상기 집진 롤러를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으로 대전하는 복수의 제2 방전부; 및
    상기 집진 롤러 상의 먼지 입자를 제거하는 복수의 클리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집진 유닛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제2 집진 유닛에 형성된 유입구는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공기정화장치.
PCT/KR2017/015231 2017-01-24 2017-12-21 집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WO201813976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935A KR20180086899A (ko) 2017-01-24 2017-01-24 집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KR10-2017-0010935 2017-0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9765A1 true WO2018139765A1 (ko) 2018-08-02

Family

ID=6297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5231 WO2018139765A1 (ko) 2017-01-24 2017-12-21 집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86899A (ko)
WO (1) WO20181397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862B1 (ko) 2017-12-08 2022-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벨트 타입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2442199B1 (ko) * 2020-11-13 2022-09-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로렌츠 힘을 활용한 공기 청정기
KR102381420B1 (ko) * 2020-11-18 2022-04-01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분진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마킹 시스템
KR102429331B1 (ko) * 2022-03-31 2022-08-04 (주)다모아테크 자연풍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688A (ko) * 1999-12-07 2001-07-02 조부펑 전기식 회전 집진장치
KR20090095169A (ko) * 2008-03-05 2009-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JP2014014732A (ja) * 2012-07-05 2014-01-30 Shibaura Institute Of Technology 静電選別装置
KR20140043643A (ko) * 2012-10-02 2014-04-10 한국기계연구원 전기장을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US20150343109A1 (en) * 2014-04-03 2015-12-03 Novaerus Patent Limited Coil Assembly for Plasma Gener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688A (ko) * 1999-12-07 2001-07-02 조부펑 전기식 회전 집진장치
KR20090095169A (ko) * 2008-03-05 2009-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JP2014014732A (ja) * 2012-07-05 2014-01-30 Shibaura Institute Of Technology 静電選別装置
KR20140043643A (ko) * 2012-10-02 2014-04-10 한국기계연구원 전기장을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US20150343109A1 (en) * 2014-04-03 2015-12-03 Novaerus Patent Limited Coil Assembly for Plasma Gen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899A (ko)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39765A1 (ko) 집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WO2017074145A2 (ko) 공기청정장치
WO2013137631A1 (en) Humidifier
WO2022005013A1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WO2016024691A1 (en) Vacuum cleaner
WO2018164396A1 (en) Electronic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ust collector
WO2017034198A1 (en) Robot cleaner
WO2017034199A1 (en) Robot cleaner
WO2015085864A1 (zh) 空气净化装置及方法
WO2021215680A1 (en) Filter device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9103544A1 (ko) 건조기
AU2020238236A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cleaner having the same
WO2022025548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177193A1 (en) Cleaner and dust separating device applying the same
WO2019146923A1 (ko) 청소기
WO2021015415A1 (ko) 진공 청소기
WO2018105819A1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WO2022114500A1 (ko) 로봇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8105951A1 (ko) 공기 청정 필터, 하이브리드 공기 청정 필터 및 공기 청정기
WO2021141232A1 (ko) 진공 청소기
WO2016017893A1 (ko) 청소기
WO2019168389A1 (ko) 가전 제품
WO2019045278A2 (ko)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WO2022015023A1 (ko) 로봇 청소기
WO2020111894A2 (ko) 플라즈마 살균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942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942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