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24513A1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24513A1
WO2018124513A1 PCT/KR2017/014092 KR2017014092W WO2018124513A1 WO 2018124513 A1 WO2018124513 A1 WO 2018124513A1 KR 2017014092 W KR2017014092 W KR 2017014092W WO 2018124513 A1 WO2018124513 A1 WO 201812451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rush
rotating rod
blade
clean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409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상규
심인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AU2017389095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17389095B2/en
Priority to CN201790001216.7U priority patent/CN210842854U/zh
Priority to EP17888511.7A priority patent/EP3563741B1/en
Publication of WO201812451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245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8Combinations or arrangements of several tools, e.g. edg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00Brush bodies and bristles moulded as a uni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01Cylindrical or annular brush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01Cylindrical or annular brush bodies
    • A46B13/005Cylindrical or annular brush bodies made up of a series of longitudinal strips or seg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6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removing nail dust, hai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8Nozzles combined with a different cleaning side, e.g. duplex nozzles or dual purpos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8Refurbishing floor engaging tools, e.g. cleaning of beating brush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for removing dust on the bottom surface by using suction flow.
  • the cleaner includes a vacuum cleaner configured to rotate a fan by a driving motor and generate suction flow to suck in dust.
  • a robot cleaner which is configured to autonomously run in a predetermined space and suck dust on the floor or mop the floor is also manufactured.
  • a user's manipulation or autonomous vacuum cleaner includes a brush assembly to effectively suck dust from the bottom surface.
  • the brush assembly is rotated by a separate drive motor or the like, or made to rotate by rolling friction with the bottom surface.
  • the brush assembly is provided with a brush composed of a plurality of bristle (bristl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ng body, the brush sweeps the dust of the bottom surface to the suction port side to induce the suction of dust.
  • 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structure having a bl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hair or the like penetrates into the brush assembly and is not easily removed.
  • the conventional structure is close to the structure which is easy to remove the hair which has already penetrated the brush. That is, there was a limit in preventing or limiting the hair pinching itself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 Patent Document 1 KR10-2011-0125942 A (2011.11.22.)
  • a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body; And a suction unit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to suck air containing dust and having a brush assembly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wherein the brush assembly comprises: a rotating rod configured to rotate in one direction; A brush portion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rod; And a blade which is erected adjacent to the rear of the brush in one direction and contacts the brush when rotating in the one direction so as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being wound around the brush.
  • the brush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bristle, each of which is dispos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along a predetermined path from one end of the rotating rod to the other end, wherein the blade 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it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predetermined path.
  • the blade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 particular,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maller elastic modulus than the brush portion.
  • the brush portion and the blade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from each other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 the brush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that stands adjacent to the rear of the blade in the one direction, and supports the blade when rotating in the one direction.
  • 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bristle (bristle) dispos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ry rod, respectively.
  • the support member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n particular,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arger elastic modulus than the blade.
  • the brush unit, the blade and the support member may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to the same height.
  • a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body; And a suction unit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to suck air containing dust and having a brush assembly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wherein the brush assembly comprises: a rotating rod configured to rotate in one direction; A plurality of covers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to form a brush slit; And a brush unit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brush slit from an end of the rotating rod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rod.
  • the brush unit the bas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brush slit and form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And a brush unit mounted to the base unit and having a plurality of bristles dispos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along the brush slit.
  • the brush unit may further include a blade which is erected adjacent to the rear of the brush part in the one direction and is in contact with the brush part when rotating in the one direction.
  • the brush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that stands adjacent to the rear of the blade in the one direction and supports the blade when the blade is rotated in the one direction.
  • the support member may extend so as to cover the end portion of the rotating rod side of the blade and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rush portion.
  • the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er body; And a suction unit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to suck in dust and having a brush assembly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 the brush assembly comprises: a rotating rod configured to rotate in one direction; A plurality of covers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to form a brush slit; And a brush unit inserted into the brush slit from an end of the rotary rod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ry rod, wherein the cover includes a hook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rotary rod, and the rotary rod is hooked. It includes a hook receiv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to be accommodated.
  • the brush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n end cover which is fastened to an end of the rotating rod to support the brush uni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 the brush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in elastically supported inside the rotating rod and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end cover.
  • the brush slit is formed to be bent at least once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rotating rod to the other end, the brush unit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be bent and inserted into the brush slit.
  • the brush assembly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lade which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brush part, so that foreign matter such as hair is caught by the blade and prevented from penetrating and remaining inside the brush part.
  • the blade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 particular, by being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maller modulus of elasticity than the brush portion, the operation of the brush portion to sweep the bottom surface elastically may not be prevented.
  • the support member is made of bristle in the same manner as the brush part, and thus can be easily manufactured without additional members or processes.
  • the hair can be prevented from penetrating and remaining even if the rotating rod is rotated in both directions.
  • the brush assembly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n assembly of a rotating rod, a cover, and a brush unit, so that a plurality of brush units can be easily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 the brush unit having the base portion and the brush portion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cost of densely forming the hair spacing of the brush portions.
  • the brush part and the support member are integrally formed and formed to cover the blades, the brush part and the blade and the support member having a compact bridging interval can be more easily manufactured.
  • the brush assembly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by the rotation rod and the cover is hooked with each other, the assembly of the additional components can be easily made.
  • the brush assembly can be tightly sealed and coupled.
  • the brush assembly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in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and the connection pin is mounted to be caught by the end cover, so that the detachable structure of the brush assembly can be easily added.
  • the brush un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brush un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urved path formed by the plurality of covers, and the brush unit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region A shown in FIG. 1.
  •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region A shown in FIG. 1.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ush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A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gion B shown in FIG. 3.
  • 4B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of region C shown in FIG. 3.
  • Figure 5a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hair wound on the brush assembly having no blade.
  • Figure 5b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hair is wound around the brush assembly having a blade spaced apart from the brush portion.
  • Figure 5c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that the hair is sucked when the brush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components of the brush assembly shown in FIG. 3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of the brush unit shown in Figure 6 shown in the direction coupled to the rotating rod.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rush units illustrated in FIG. 6 are separately manufactur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gion A shown in FIG. 1 and 2
  • the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body 110 and a suction unit 120.
  • the cleaner body 1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robot cleaner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leaning a floor while driving a certain area by itself. At this time, cleaning the floor includes inhal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present on the floor or mopping the floor.
  • the cleaner body 110 may include a wheel unit 111 for driving and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wheel unit 111.
  • the cleaner body 110 may include a battery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and the battery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for example, a bottom portion of the cleaner body 110.
  • the suction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110 and serves to suck air including dus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uction unit 120 may be dispos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cleaner body 110. One side from which the suction unit 120 protrudes may be the front side F on which the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ravels. In addition, the suction unit 120 may have a form protruding i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s shown in FIG.
  • the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130.
  • the sensing unit 13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ront side F of the cleaner body 110 in which the suction unit 120 is located.
  • the suction unit 12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feature may be detected so that the suction unit 120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F of the clea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ollide with an obstacle or the like. .
  • the dust container 1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10.
  • the dust container 140 may be located at the rear side R, which is the other side of the cleaner body 110,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ear side R of the cleaner body 110.
  • the dust container cover 150 may be made to cover the dust container 140.
  • the air including the dust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unit 120 passes through the intake passage 112 inside the cleaner body 110, and the dust container 140. Can be introduced into. Dust is separated from the air through the filter or cyclone of the dust container 140, and is collected in the dust container 140. The separated dust is discharged from the dust container 140,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through the exhaust flow path inside the cleaner body 110.
  • the suction unit 120 of the cleaner 100 includes a brush assembly 121 to effectively suck foreign substances and dust from the bottom surface.
  • the brush assembly 121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which becomes a space to be cleaned, and serves to smoothly introduce foreign substances into the suction unit 120.
  • the brush assembly 121 is housed inside the suction unit 120, and in particular, may be detachably housed so as to be managed in a clean state by a user.
  • the brush assembly 121 may be rotated by rolling friction with the bottom surface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in the case of a general vacuum cleaner, and may be automatically rotated by a separate driving motor in the case of a robot cleaner.
  • the brush assembly 121 will be described based on an example of the robot cleaner shown in FIGS. 1 and 2.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ush assembly 1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A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gion B shown in FIG. 3
  • FIG. 4B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of the region C shown in FIG. 3.
  • FIGS. 3, 4A and 4B an embodiment in which foreign matter such as hair is not stuck in the brush assembly 121 will be described.
  • Brush assembly 121 includes a rotating rod 121a, a brush portion 121b and a blade 121c.
  • Rotating rod (121a) is a component that serves to support and rotate the brush portion 121b to be described later.
  • the rotating rod 121a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suction unit 120 so that the user manages the brush assembly 121 in a clean state.
  • Rotating rod (121a) may be made of a cylindrical extending in both the left and right on the basis of the front (F) to move the cleaner.
  • the rotating rod 121a may be supported such that both left and right ends thereof are rotatable to the suction unit 120.
  • the brush part 121b sweeps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on the bottom surface, and serves to help foreign matters be sucked into the cleaner.
  • the brush part 121b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121a,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bristles 121bb dispos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121a.
  • the brush part 121b may be formed to exten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together with the rotating rod 121a.
  • the brush part 121b is disposed along a predetermined path in which a plurality of spirals are connec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121a. Can be.
  • the blade 121c is a component for preventing the thin and long foreign matter such as hair caught in the brush portion 121b.
  • the blade 121c may be erected adjacent to the rear R ′ of the brush part 121b on the rotating rod 121a when the rotating rod 121a is viewed in the front direction F ′.
  • the blade 121c may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121a and stand, and may extend to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rotating rod 121a along a predetermined path of the brush part 121b.
  • the blade 121c is disposed close to the brush portion 121b as shown in FIG. 4B.
  • the brush unit 121b may be dispos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blade 121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brush portion 121b when at least the rotating rod 121a is rotated. Specifically, as the brush portion 121b having an elastic force is pressed by the bottom surface at the front side F ′ in the rotational direction, contact with the blade 121c of the rear side R ′ may be made.
  • the effects of the hair being pinched by the blade 121c and the like may be prevented or extremely limited.
  • the blade 121c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imilarly to the brush part 121b,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thin film of rubber material.
  • the blade 121c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maller elastic modulus than the brush portion 121b. As a result, the blade 121c can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without disturbing the brush portion 121b elastically writing the bottom surface.
  • the brush part 121b and the blade 121c may have the same height h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121a. That is, the brush part 121b and the blade 121c may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121a at the same height.
  • the hair 121bb of the upper end of the brush portion 121b having a height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blade 121c is provided.
  • the hair can penetrate and remain in between.
  • the blade 121c protrudes higher than the brush portion 121b, the blade 121c may hit the bottom surface of the brush assembly 121 to generate noise and damage. Therefore, when the blade 121c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brush portion 121b, hair penetration prevention may be more effectively performed.
  • the brush assembly 121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121d, and the support member 121d serves to support the blade 121c.
  • the support member 121d is erected adjacent to the rear R ′ of the blade 121c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121a and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blade 121c when the brush assembly 121 is rotated.
  • the support member 121d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hairs 121bb dispos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121a, similarly to the brush part 121b. That is, the blade 121c may be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hairs 121bb disposed in succession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rotating rod 121a.
  • the brush 121 When the support member 121d is reinforced at the rear of the blade 121c, the brush 121 may be pressed against the bottom surface when the brush assembly 121 is rotated so that the blade 121c may be laid down and the height thereof may be limited. Therefore, the brush part 121b may be limited. ) May be less likely to penetrate the hair.
  • the support member 121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hairs 121bb in the same manner as the brush part 121b,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ddition of a separate member or process can be minimized.
  • the support member 121d may have a larger elastic modulus than the blade 121c similarly to the brush portion 121b, and thus may sufficiently support the blade 121c from the rear side.
  • the support member 121d disposed behind the blade 121c may play a supporting role even if its height is not necessarily the same as that of the blade 121c.
  • the support member 121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hairs 121bb in the same manner as the brush portion 121b, and as shown in FIG. 4B, the height h is the same as the brush portion 121b and the blade 121c.
  • the rotating rod (121a) is rotated in any of the front (F ') or rear (R') it can be limited or prevented that the hair penetrates into the brush assembly 121. That is, the support member 121d and the brush portion 121b respectively perform a brush and a support function. This may be particularly effective when the brush assembly 121 is frictionally rubbed alternately from the bottom to the front (F) and the rear (R) by the user's manipulation in a general vacuum cleaner.
  • FIG. 5A to 5C are conceptual views for comparing the effects of the brush assembly 1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A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hair is wound around a brush assembly 21 having no blade.
  • the robot cleaner which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blade does not exist, the hair continuously penetrates into the brush part 21b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21a to wind up the brush assembly 21.
  • FIG. 5B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hair is wound on a brush assembly 21 having a blade 21c spaced apart from the brush portion 21b. Even if the blade 21c is mounted on the rotating rod 21a, the rotating rod 21a has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so that the hair can still penetrate the upper portion of the brush portion 21b. In this case, although the removal of the hair may be rather easy after the cleaner is operated,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hair from being wound during the cleaner operation.
  • 5C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hair is sucked when the brush assembly 1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 the blade 121c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rush portion 121b to be in contact with the brush portion 121b when the brush assembly 121 is rotated.
  • the hair may not be penetrated into the respective brush parts 121b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121a, or may be separat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unit 120 even if the penetrates finely into the upper end part. Therefore, the hair may be prevented from being wound around the brush assembly 121 after cleaning.
  • the structure of the brush assembly made so that foreign matter such as hair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from penetrating and remaining.
  • the structure of the brush assembly as described above to facilitate manufacturing will be described by different embodiments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components of the brush assembly 220 shown in FIG. 3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rush assembly 2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ng rod 221, a cover 222, and a brush unit 223.
  • the rotating rod 22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relative to the front (F) to move the cleaner, it may be accommodated in the rotating unit to be rotatable.
  • the cover 222 is a component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221, and a plurality of covers are provided together to form the brush slit 224. As shown in FIG. 6, the plurality of covers 22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221, and the space between the respective covers 222 is the brush slit 224.
  • the cover 222 may have a shap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rotating rod 221 to the other end.
  • the plurality of covers 222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ccordingly, the brush slit 224 may be formed of a long narrow space connected from one end of the rotating rod 221 to the other end.
  • the brush slit 224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one spiral or a plurality of spirals are connec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221.
  • FIG. 7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of the brush unit 223 illustrated in FIG. 6 as view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ng rod 221 is inserted.
  • the brush unit 223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brush part 121b of the previous embodiment, and serves to induce suction into the cleaner by sweep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n the bottom surface.
  • the brush unit 223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brush slit 224 from the end of the rotating rod 221.
  • the brush unit 223 includes a base portion 223a and a brush portion 223b to have an insert-mounted structure.
  • the base portion 223a extends along the brush slit 224 and is form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cover 22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221.
  • the base portion 223a extends in the front direction F 'and the rear side R'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rod 221, respectively, and the front side F 'and the rear side R'. It is made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222 located in.
  •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221 may be formed extending in the length of the path of the brush slit 224.
  • the brush unit 223b may be mounted to the base unit 223a and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rotru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221 through the brush slit 224. That is, the brush part 223b may have a plurality of bristles 223bb faci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221, and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long the brush slit 224.
  • a plurality of covers 222 are mounted on the rotating rod 221, and the brush unit 223 is inserted from one 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221. Can be assembled in the order of mounting.
  • This coupling structure has the advantage that the plurality of brush units 223 can be easily formed, the brush unit 223 can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221 even in a spiral of complex shape.
  • the brush unit 223 consisting of the base portion 223a and the brush portion 223b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ccordingly, a plurality of hairs may be mounted on the flat base portion 223a at once without planting a plurality of hair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221. Thus, less time and money can be spent on mounting the spacing more densely and uniformly.
  • the brush unit 223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blade 223c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 the blade 223c may be formed at a rear side R ′ opposite to the front F ′ rotation direction so as to contact the brush unit 223b when the brush assembly 220 rotates.
  • the blade 223c may prevent hair or the like from penetrating into the brush part 223b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 the blade 223c is additionally provided, thereby providing an adhesive surface on which the brush portion 223b may be fixed on the base portion 223a. That is, the additional adhesive surface is provid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221 by the blade 223c, so that a uniform and uniform brush portion 223b may be firmly formed.
  • the brush unit 223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ing member 223d to serve to support the blade 223c, furthermore, the supporting member 223d and the brush portion 223b.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 the support member 223d and the brush portion 223b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support member 223d and the brush portion 223b are end portions of the base portion 223a of the blade 223c. It can be formed to continue to cover. As shown in FIG. 7, the plurality of hairs extending in a U shap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221 may surround the blade 223c, and the wrapped end may be pressed to be coupled to the base portion 223a, thereby providing a brush unit ( 223 may be formed at one time.
  • the brush assembly 220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plurality of covers 222, the assembly process of the rotating rod 221 and the cover 222 may be additionally required.
  • a hook coupling method may be applied.
  • the cover 222 may include a hook portion 222e, and the rotating rod 221 may include a hook receiving portion 221e.
  • the hook portion 222e may protrude toward the rotary rod 221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222, and a hook surface fac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222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hook portion 222e.
  • the hook accommodating part 221e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221 so that the hook part 222e is inserted, and the hook surface is caught so that the cover 222 is not detached.
  • the assembly of the brush assembly 220 may be conveniently performed without a separate screw or the like.
  • At least one end of the rotating rod 221 is provided with an end cover 225 may be securely sealed and coupled to the brush assembly 220.
  • the end cover 225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o cover an end portion of the rotating rod 221, and may cover and combine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covers 222 at once.
  • the end cover 225 may support the inserted brush unit 223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221 to prevent the brush unit 22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rush slit 224.
  • the brush assembly 22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in 226 as shown in 6.
  • the connecting pin 226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227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rotating rod 221 an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22f formed in the end cover 225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221. It may be made to protrude.
  • the connecting pin 226 may include a locking part 226g that is engag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cover 225, and may be positioned so as not to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222f by the elastic member 227. The connecting pin 226 is pushed into the end cover 225 when the brush assembly 220 is mounted on the suction unit, and is protruded again by an elastic force when the brush assembly 220 is inserted into the end cover 225. Can be achieved.
  • the plurality of covers 222 may each have a shape in which at least two spiral shapes are combin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rod 221.
  • the brush slit 224 may also be formed to extend in a shape that is deflected at least on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rod 221.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rush units 223 shown in FIG. 6 are separately manufactured.
  • the brush units 223 may be easily manufactured in a form extending in one direction in a separate manufacturing process.
  • the brush unit 223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brush slit 224 is easily inserted into the brush slit 224 even when the brush slit 224 is not formed in a straight line.
  • the brush unit 223 may be inserted into the brush slit 224 having a shape that is bent while being deformed. Accordingly, the brush unit 223 corresponding to various shapes does not need to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 brush unit 223 may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a process method capable of densely arranging the hair.
  • the brush assembly 220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various brush arrangements as well as the shape of the brush assembly 220 shown in FIG. 6.
  •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not only to robot cleaners, but also to brushes of various types of vacuum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어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고, 바닥면과 접촉되는 브러시 조립체를 구비하는 흡입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조립체는,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브러시부; 및 상기 브러시부에 이물질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브러시부의 후방에 인접하게 세워지고 상기 일 방향으로의 회전 시 상기 브러시부와 접촉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청소기 작동 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브러시부에 감기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
본 발명은 흡입 유동을 이용하여 바닥면의 먼지를 제거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구동모터에 의해 팬이 회전되고 흡입 유동이 발생되어 먼지를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진공청소기를 포함한다. 특히, 최근에는 로봇의 응용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일정 공간 내에서 자율 주행하며 바닥의 먼지를 흡입하거나 바닥을 걸레질하도록 이루어지는 로봇 청소기도 제작되고 있다.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자율적으로 작동되는 청소기는, 바닥면의 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입하기 위하여 브러시 조립체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브러시 조립체는 별도의 구동모터 등에 의해 회전되거나, 바닥면과 구름 마찰에 의해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브러시 조립체는 회전체의 외주에 복수 개의 모(bristle)로 구성되는 브러시를 구비하고, 브러시가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구 측으로 쓸어 먼지의 흡입을 유도한다.
브러시 조립체는 청소 대상이 되는 공간과 직접 접촉되고, 또한, 청소기 작동 후에도 이물질이 브러시에 잔류되는 경우가 많아 청결 관리가 중요하다. 특히, 머리카락 등이 브러시를 구성하는 모 사이에 끼어 감기게 되는 경우가 주로 문제가 된다.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브러시 조립체에 머리카락 등이 침투되어 쉽게 제거되지 않는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구조가 개시된 바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는 브러시에 이미 침투된 머리카락을 제거하는데 용이한 구조에 가까웠다. 즉, 청소기의 동작 중에 머리카락의 끼임 자체를 방지하거나 극히 제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아울러, 브러시 및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회전체로 이루어지는 브러시 조립체를 제작하는 공정에 있어 다양한 어려움이 있었다. 대표적으로, 특허문헌 1에서와같이 원형의 회전체에 수많은 모들을 직접 심는 방식은, 제작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모 사이에 공간을 조밀하게 구성하는데 한계가 있어 청소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방식으로는, 별도로 모를 조밀하게 심는 공정을 거쳐 제작된 브러시 부품을 회전체에 스크류 결합으로 장착하는 방식이 있었다. 그러나 브러시 및 블레이드가 다양하게 구성될수록 조립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브러시에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아울러, 그 제작 및 조립이 손쉽도록 이루어지는 브러시 조립체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KR10-2011-0125942 A (2011.11.22.)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브러시부에 머리카락을 포함한 이물질이 침투 및 잔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브러시 조립체를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다양한 형상 및 조밀한 배치를 갖는 브러시부가 손쉽게 제작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브러시 조립체를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브러시 조립체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손쉽게 조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첫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어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고, 바닥면과 접촉되는 브러시 조립체를 구비하는 흡입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조립체는,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브러시부; 및 상기 브러시부에 이물질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브러시부의 후방에 인접하게 세워지고 상기 일 방향으로의 회전 시 상기 브러시부와 접촉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회전봉의 일 단에서 타 단으로 기설정된 경로를 따라 상기 회전봉의 반경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모(bristl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에서 상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기설정된 경로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상기 브러시부보다 탄성 계수가 작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브러시부와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 조립체는,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블레이드의 후방에 인접하게 세워져, 상기 일 방향으로의 회전 시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는, 브러시부와 동일하게, 상기 회전봉의 반경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모(bristle)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부재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상기 블레이드보다 탄성 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브러시부, 블레이드 및 지지부재는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어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고, 바닥면과 접촉되는 브러시 조립체를 구비하는 흡입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조립체는,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봉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브러시 슬릿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커버; 및 상기 회전봉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봉의 단부로부터 상기 브러시 슬릿에 삽입 장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브러시 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브러시 유닛은, 상기 브러시 슬릿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커버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브러시 슬릿을 따라 상기 회전봉의 반경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모(bristle)를 구비하는 브러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브러시 유닛은,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브러시부의 후방에 인접하게 세워져, 상기 일 방향으로의 회전 시 상기 브러시부와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는 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유닛은,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블레이드의 후방에 인접하게 세워져, 상기 일 방향으로의 회전 시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회전봉 측 단부를 덮도록 연장되어 상기 브러시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어 먼지를 흡입하고, 바닥면과 접촉되는 브러시 조립체를 구비하는 흡입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조립체는,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봉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브러시 슬릿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커버; 및 상기 회전봉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봉의 단부로부터 상기 브러시 슬릿에 삽입 장착되는 브러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회전봉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후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봉은, 상기 후크부가 걸려 수용되도록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후크 수용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브러시 조립체는, 상기 브러시 유닛을 상기 회전봉의 축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회전봉의 단부에 체결되는 단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러시 조립체는, 상기 회전봉의 내측에 탄성 지지되고, 상기 단부 커버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러시 슬릿은 적어도 한 차례 굴절되는 형상으로 상기 회전봉의 일 단에서 타 단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 유닛은 상기 브러시 슬릿에 벤딩되어 삽입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해결 수단에 의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 번째,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는, 브러시부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블레이드가 구비함으로써,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블레이드에 걸려 브러시부 내부로 침투 및 잔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블레이드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특히, 브러시부보다 탄성 계수가 작은 재질 이루어짐으로써, 브러시부가 탄력적으로 바닥면을 쓸어나가는 동작이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브러시부와 블레이드가 동일한 높이를 가짐으로써, 회전 시 블레이드가 바닥면을 타격하는 소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브러시부에 머리카락이 끼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의 후방에 지지부재가 추가됨으로써, 블레이드가 휘어져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제한하여, 머리카락 끼임 방지가 더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지지부재는 브러시부와 동일하게 모(bristle)로 구성됨으로써, 별도로 부재나 공정이 추가되지 않고도 쉽게 제작될 수 있다.
브러시부, 블레이드 및 지지부재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지지부재가 브러시부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회전봉이 양 방향으로 회전되어도 머리카락이 침투 및 잔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두 번째,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는 회전봉, 커버 및 브러시 유닛의 조립으로 이루어져, 복수 개의 브러시 유닛이 다양한 형상으로 손쉽게 제작될 수 있다.
특히, 베이스부와 브러시부를 구비하는 브러시 유닛이 별도로 제작될 수 있어, 브러시부의 모 간격을 조밀하게 제작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브러시부 및 지지부재가 일체로 형성되고 블레이드를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조밀한 모 간격을 갖는 브러시부와 블레이드 및 지지부재가 더욱 손쉽게 제작될 수 있다.
세 번째,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는 회전봉과 커버가 서로 후크 결합을 이루어 조립됨으로써, 추가되는 구성요소의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삽입 장착되는 브러시 유닛을 지지하는 단부 커버가 구비됨으로써, 브러시 조립체의 밀폐 및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브러시 조립체는 탄성 지지되는 연결핀을 더 포함하고, 연결핀이 단부 커버에 걸리도록 장착되므로, 브러시 조립체의 착탈 구조가 손쉽게 추가될 수 있다.
나아가, 브러시 유닛이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복수 개의 커버가 형성하는 굴절된 경로에도 손쉽게 삽입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브러시 유닛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역 A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영역 B의 확대도.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영역 C의 단면 개념도.
도 5a는 블레이드를 구비하지 않는 브러시 조립체에 머리카락이 감기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5b는 브러시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브러시 조립체에 머리카락이 감기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조립체가 장착된 경우 머리카락이 흡입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브러시 조립체의 구성요소들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브러시 유닛을 회전봉에 결합되는 방향에서 보인 단면 개념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브러시 유닛들이 별도로 제작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서로 다른 실시예라고 하더라도,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역 A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는 청소기 본체(110)와 흡입 유닛(120)을 포함한다.
청소기 본체(110)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도 1에 보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는 일정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을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일 수 있다. 이때, 바닥을 청소하는 것에는 바닥면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이물을 흡입하거나 바닥을 걸레질하는 것이 포함된다.
로봇 청소기의 실시예에서, 청소기 본체(110)는 주행을 위한 휠 유닛(111)을 구비할 수 있고, 휠 유닛(11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110)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는 예를 들면 청소기 본체(110)의 저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흡입 유닛(120)은 청소기 본체(110)와 연결되며,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 및 2에 보인 것과 같이, 흡입 유닛(120)은 청소기 본체(1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흡입 유닛(120)이 돌출되는 일측은 본 발명의 청소기가 주행하는 앞쪽(F)이 될 수 있다. 아울러, 흡입 유닛(120)은 도 1에 보인 것과 같이 좌우 양측방으로 모두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는 센싱 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보인 것과 같이, 센싱 유닛(130)은 흡입 유닛(120)이 위치되는 청소기 본체(110)의 앞쪽(F)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입 유닛(120)의 상 측에 배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청소기(100)에서 가장 앞쪽(F)에 위치하는 흡입 유닛(120)이 장애물 등과 부딪히지 않도록 지형지물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청소기 본체(110)에는 먼지통(14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먼지통(140)은 청소기 본체(110)의 타측인 뒤쪽(R)에 위치될 수 있고, 청소기 본체(110)의 뒤쪽(R)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먼지통(140)이 청소기 본체(110)에 장착되었을 때, 먼지통 덮개(150)가 먼지통(140)을 덮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 유닛(120)과 먼지통(140)의 연결관계에 따라, 흡입 유닛(120)을 통하여 유입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청소기 본체(110) 내부의 흡기유로(112)를 거쳐, 먼지통(14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먼지는 먼지통(140)의 필터 내지는 사이클론을 거치면서 공기와 분리되며, 먼지통(140)에 집진된다. 분리된 먼지는 먼지통(140)에서 배출된 후 청소기 본체(110) 내부의 배기유로를 거쳐 최종적으로 배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는 로봇 청소기의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청소기(100)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의 흡입 유닛(120)에 구비되는 브러시 조립체(121)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의 흡입 유닛(120)은, 바닥면의 이물질 및 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입하기 위하여 브러시 조립체(121)를 구비한다. 브러시 조립체(121)는 청소 대상 공간이 되는 바닥면과 접촉되어, 이물질이 흡입 유닛(120)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보인 것과 같이, 브러시 조립체(121)는 흡입 유닛(120)의 내부에 수용되며, 특히, 사용자에 의해 청결한 상태로 관리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브러시 조립체(121)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바닥면과의 구름 마찰로 회전될 수 있고, 로봇 청소기의 경우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2에 일 예를 보인 로봇 청소기를 예를 바탕으로 브러시 조립체(121)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조립체(121)를 보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영역 B의 확대도이고,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영역 C의 단면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4A 및 4B를 참조하여,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브러시 조립체(121)에 끼어 잔류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조립체(121)는 회전봉(121a), 브러시부(121b) 및 블레이드(121c)를 포함한다.
회전봉(121a)은 후술하는 브러시부(121b)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회전봉(121a)은 사용자가 브러시 조립체(121)를 청결한 상태로 관리하도록 흡입 유닛(120)에 착탈 가능하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봉(121a)은 청소기가 이동되는 앞쪽(F)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회전봉(121a)은 좌우 양 단부가 흡입 유닛(1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브러시부(121b)는 바닥면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쓸어, 이물질이 청소기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돕는 기능을 한다. 브러시부(121b)는 회전봉(121a)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회전봉(121a)의 반경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다수 개의 모(bristle, 121b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러시부(121b)는 회전봉(121a)과 함께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특히, 도 3에 보인 것과 같이, 회전봉(121a)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나선이 연결된 기설정된 경로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블레이드(121c)는 브러시부(121b)에 머리카락과 같이 얇고 긴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블레이드(121c)는 회전봉(121a)이 회전되는 방향을 전방(F')으로 보았을 때, 회전봉(121a) 상에서 브러시부(121b)의 후방(R')에 인접하게 세워질 수 있다. 블레이드(121c)는 회전봉(121a)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세워지고, 브러시부(121b)의 기설정된 경로를 따라 회전봉(121a)의 좌우측 양단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블레이드(121c)는 도 4b에 보인 것과 같이 브러시부(121b)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 브러시부(121b)와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블레이드(121c)는, 적어도 회전봉(121a)이 회전될 때에는 브러시부(121b)와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브러시부(121b)가 회전 방향의 전방(F')에서 바닥면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후방(R')의 블레이드(121c)와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블레이드(121c)에 의해 머리카락 등이 끼이는 것이 방지되거나 극히 제한될 수 있는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머리카락 등 길고 얇은 이물질은, 일반적으로 다수 개의 모(121bb) 사이사이에 침투될 수 있으며, 침투된 이물질은 흡입 유닛(120)의 흡입력으로도 쉽게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a에 보인 것과 같이 블레이드(121c)가 대략 회전봉(121a)의 축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되면, 머리카락이 블레이드(121c)에 걸려 브러시부(121b)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모(121bb) 사이사이로 침투될 수 없게 된다. 특히, 도 4b에 보인 것과 같이 블레이드(121c)가 브러시부(121b)의 후방(R')에 밀착되거나 최대한 근접하도록 위치되면, 머리카락이 브러시부(121b)의 상단부에 끼이는 것도 최대한 방지될 수 있어 효과적이다.
한편, 블레이드(121c)는 브러시부(121b)와 마찬가지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면 고무 재질의 얇은 막(fil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블레이드(121c)는 브러시부(121b)보다 탄성 계수가 작은 재질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블레이드(121c)는, 브러시부(121b)가 탄력적으로 바닥면을 쓰는 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보인 것과 같이, 회전봉(121a)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브러시부(121b)와 블레이드(121c)는 서로 동일한 높이(h)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브러시부(121b)와 블레이드(121c)는 회전봉(121a)의 외주면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21c)가 브러시부(121b)보다 낮은 높이를 갖게 되면, 블레이드(121c)가 브러시부(121b)의 후방에 밀착된다고 하더라도, 블레이드(121c) 높이 이상의 브러시부(121b) 상단부의 모(121bb) 사이사이에는 머리카락이 침투되어 잔류될 수 있다. 반대로 블레이드(121c)가 브러시부(121b)보다 높게 돌출되면, 브러시 조립체(121)의 회전 시 블레이드(121c)가 바닥면을 타격하여 소음 및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121c)가 브러시부(121b)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경우 머리카락 침투 방지가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보인 것과 같이 브러시 조립체(121)는 지지부재(121d)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지지부재(121d)는 블레이드(121c)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부재(121d)는, 회전봉(121a)의 회전 방향으로 블레이드(121c)의 후방(R')에 인접하게 세워지고, 브러시 조립체(121)의 회전 시 블레이드(121c)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지지부재(121d)는 브러시부(121b)와 동일하게, 회전봉(121a)의 반경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다수 개의 모(121b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블레이드(121c)는 회전봉(121a)의 좌우 양단으로 연이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모(121bb)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121c) 후방에 지지부재(121d)가 보강되면, 브러시 조립체(121)의 회전 시 바닥면에 가압되어 블레이드(121c)가 눕혀져 높이가 낮아지는 것이 제한될 수 있고, 따라서, 브러시부(121b)에 머리카락이 침투될 가능성이 더 낮아질 수 있다.
특히, 지지부재(121d)가 브러시부(121b)와 동일하게 복수 개의 모(121bb)로 구성되면, 별도의 부재나 공정의 추가가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121d)는 브러시부(121b)와 마찬가지로 블레이드(121c)보다 탄성 계수가 크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후방에서 블레이드(121c)를 지지하는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블레이드(121c)의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부재(121d)는, 그 높이가 블레이드(121c)와 반드시 동일하지 않아도 지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재(121d)가 브러시부(121b)와 동일하게 복수 개의 모(121bb)로 구성되고, 도 4b에 보인 것과 같이 그 높이(h)도 브러시부(121b) 및 블레이드(121c)와 동일하게 돌출 형성되는 실시예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회전봉(121a)이 전방(F') 또는 후방(R') 중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어도 머리카락이 브러시 조립체(121)에 침투되는 것이 제한 또는 방지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21d)와 브러시부(121b)가 각각 브러시 및 지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특히,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브러시 조립체(121)가 바닥면에서 앞쪽(F)과 뒤쪽(R)으로 번갈아가며 구름 마찰되는 경우 효과적일 수 있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조립체(121)에 의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5a는 블레이드를 구비하지 않는 브러시 조립체(21)에 머리카락이 감기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예가 되는 로봇 청소기에서 블레이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머리카락은 회전봉(21a)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브러시부(21b)에 연속적으로 침투되어 브러시 조립체(21)를 감아 들어가게 된다.
도 5b는 브러시부(21b)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블레이드(21c)를 구비하는 브러시 조립체(21)에 머리카락이 감기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블레이드(21c)가 회전봉(21a)에 장착되더라도, 회전봉(21a)은 일정 곡률 반경을 가지므로 머리카락이 브러시부(21b)의 상단부 일정 부분에는 여전히 침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청소기 작동 후 머리카락의 제거가 다소 용이할 수는 있어도, 청소기 작동 중 머리카락이 감기는 것이 방지되기는 어렵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조립체(121)가 장착된 경우 머리카락이 흡입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블레이드(121c)는 브러시 조립체(121)의 회전 시에는 브러시부(121b)와 접촉될 정도로 브러시부(121b)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머리카락은 회전봉(121a)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각각의 브러시부(121b)에 침투되지 않거나, 상단부에 미세하게 침투되더라도 흡입 유닛(120)의 흡입력에 의해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 후에 브러시 조립체(121)에 머리카락이 감겨 잔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침투 및 잔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브러시 조립체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브러시 조립체가 제작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조에 대해, 이해의 편의상 실시예를 달리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브러시 조립체(220)의 구성요소들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조립체(220)는, 회전봉(221), 커버(222) 및 브러시 유닛(223)을 포함한다.
회전봉(221)은 앞선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청소기가 이동되는 앞쪽(F)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유닛에 수용될 수 있다.
커버(222)는 회전봉(221)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구성요소로, 복수 개가 함께 구비되어 브러시 슬릿(224)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에 보인 것과 같이, 복수 개의 커버(222)는 회전봉(221)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데, 각각의 커버(222) 사이 공간이 브러시 슬릿(224)이 된다. 커버(222)는 대략 회전봉(221)의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커버(222)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 슬릿(224)은 회전봉(221)의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연결되는 길고 좁은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러시 슬릿(224)은 회전봉(221)의 외주면을 따라 하나의 나선 또는 복수 개의 나선이 연결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브러시 유닛(223)을 회전봉(221)에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인 단면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의 브러시 유닛(223)은 앞선 실시예의 브러시부(121b)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바닥면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쓸어 청소기 내부로 흡입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브러시 유닛(223)은, 회전봉(221)의 단부로부터 브러시 슬릿(224)에 삽입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삽입 장착되는 구조를 갖도록, 브러시 유닛(223)은 베이스부(223a)와 브러시부(223b)를 구비한다. 베이스부(223a)는 브러시 슬릿(224)을 따라 연장되고, 커버(222)와 회전봉(221)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도 7에 보인 것과 같이, 베이스부(223a)는 회전봉(221)의 회전 방향의 전방(F') 및 후방(R')으로 연장 형성되어, 각각, 전방(F') 및 후방(R')에 위치하는 커버(222)의 내주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회전봉(221)의 축방향으로는 브러시 슬릿(224)의 경로만큼의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부(223b)는 베이스부(223a)에 장착되고, 브러시 슬릿(224)을 통해 회전봉(221)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브러시부(223b)는 다수 개의 모(bristle, 223bb)가 각각 회전봉(221)의 반경 방향을 향하고, 브러시 슬릿(224)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조립체(220)는, 먼저, 회전봉(221)에 복수 개의 커버(222)가 장착되고, 브러시 유닛(223)이 회전봉(221)의 축방향으로 일 단부에서부터 삽입되어 장착되는 순서로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해 복수 개의 브러시 유닛(223)이 손쉽게 형성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브러시 유닛(223)이 복잡한 형상의 나선형으로도 회전봉(221)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223a)와 브러시부(223b)로 이루어지는 브러시 유닛(223)이 별도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봉(221)의 외주면에 다수 개의 모를 개별적으로 심지 않고, 평면형의 베이스부(223a)에 다수 개의 모가 한꺼번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모 간격을 보다 조밀하고 균일하게 장착시키는 데 시간과 비용이 덜 소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브러시 유닛(223)에는 앞선 실시예와 같이 블레이드(223c)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블레이드(223c)는 브러시 조립체(220)의 회전 시 브러시부(223b)와 접촉되도록, 전방(F')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인 후방(R')에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223c)에 의해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브러시부(223b)에 머리카락 등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223c)가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베이스부(223a) 상에 브러시부(223b)가 고정될 수 있는 접착면을 추가로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즉, 블레이드(223c)에 의해 회전봉(221)의 반경 방향으로 추가적인 접착면이 제공되어, 간격이 조밀하고 균일한 브러시부(223b)가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브러시 유닛(223)에는 지지부재(223d)가 더 구비되어 블레이드(223c)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나아가, 지지부재(223d)와 브러시부(223b)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223d)와 브러시부(223b)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재(223d)와 브러시부(223b)가 블레이드(223c)의 베이스부(223a) 측 단부를 덮도록 이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보인 것과 같이, 회전봉(221)의 반경 방향으로 U 자형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모가 블레이드(223c)를 감싸고, 감싸여진 단부가 가압되어 베이스부(223a)에 결합될 수 있어, 브러시 유닛(223)이 한꺼번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브러시 조립체(220)는 복수 개의 커버(222)가 추가됨으로써, 회전봉(221)과 커버(222)의 조립 공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이 조립 공정의 편의성을 위해, 후크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보인 것과 같이, 커버(222)는 후크부(222e)를 구비하고, 회전봉(221)은 후크 수용부(221e)를 구비할 수 있다. 후크부(222e)는 커버(222)의 내주면에서 회전봉(221)을 향하여 돌출 되고, 후크부(222e)의 단부에는 커버(222)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후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크 수용부(221e)는 후크부(222e)가 삽입되도록 회전봉(221)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후크면이 걸림되어 커버(222)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후크부(222e) 및 후크 수용부(221e)에 의해, 브러시 조립체(220)의 조립은 별도의 스크류 등 체결수단 없이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회전봉(221)의 적어도 일 단부에는 단부 커버(225)가 구비되어 브러시 조립체(220)의 밀폐 및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 보인 것과 같이, 단부 커버(225)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회전봉(221)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커버(222)의 단부를 한꺼번에 덮어 결합시킬 수 있다. 특히, 단부 커버(225)는 기 삽입된 브러시 유닛(223)을 회전봉(221)의 축방향으로 지지하여 브러시 유닛(223)이 브러시 슬릿(22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 조립체(220)에는 6에 보인 것과 같은 연결핀(226)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연결핀(226)은 회전봉(221)의 내측을 향하여는 탄성부재(227)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단부 커버(225)에 형성되는 관통홀(222f)을 통과하여 회전봉(221)의 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연결핀(226)은 단부 커버(225)의 내측면에 걸림되는 걸림부(226g)를 구비하여, 탄성부재(227)에 의해 완전히 관통홀(222f)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연결핀(226)은 브러시 조립체(220)를 흡입 유닛에 장착할 때에는 단부 커버(225)의 내측으로 눌렸다가, 흡입 유닛에 지지되는 정위치에 삽입되면 탄성력에 의해 다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커버(222)는 각각 회전봉(221)의 축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의 나선형 형상이 결합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커버(222)에 의해, 브러시 슬릿(224)도 회전봉(221)의 외주면에서 적어도 한 차례 굴절되는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브러시 유닛(223)들이 별도로 제작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에 보인 것과 같이, 브러시 유닛(223)들은 각각 별도의 제작 과정에서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형태로 손쉽게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브러시 유닛(223)은, 브러시 슬릿(224)이 직선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브러시 슬릿(224)에 쉽게 삽입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브러시 유닛(223)은 베이스부(223a) 및 브러시부(223b)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굴절되는 형상의 브러시 슬릿(224)에도 형상이 변형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상에 대응되는 브러시 유닛(223)이 별도로 제작될 필요가 없고, 조밀하게 모를 배치할 수 있는 공정 방식에 따라 브러시 유닛(223)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보인 브러시 조립체(220)의 형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브러시 배치를 갖는 형상으로 브러시 조립체(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진공청소기의 브러시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14)

  1.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어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고, 바닥면과 접촉되는 브러시 조립체를 구비하는 흡입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조립체는,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브러시부; 및
    상기 브러시부에 이물질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일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브러시부의 후방에 상기 브러시부와 인접하게 세워지고 상기 일 방향으로의 회전 시 상기 브러시부와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회전봉의 일 단에서 타 단으로 기설정된 경로를 따라 상기 회전봉의 반경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모(bristle)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에서 상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기설정된 경로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브러시부보다 탄성 계수가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 및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조립체는, 상기 일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블레이드의 후방에 상기 블레이드와 인접하게 세워져, 상기 일 방향으로의 회전 시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블레이드보다 탄성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회전봉의 반경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모(bristle)를 포함하는 청소기.
  8.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어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고, 바닥면과 접촉되는 브러시 조립체를 구비하는 흡입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조립체는,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봉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브러시 슬릿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커버; 및
    상기 회전봉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봉의 단부로부터 상기 브러시 슬릿에 삽입 장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브러시 유닛을 포함하는 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유닛은,
    상기 브러시 슬릿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커버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브러시 슬릿을 따라 상기 회전봉의 반경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모(bristle)를 구비하는 브러시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유닛은, 상기 일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브러시부의 후방에 상기 브러시부와 인접하게 세워져, 상기 일 방향으로의 회전 시 상기 브러시부와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는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회전봉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후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봉은, 상기 후크부가 걸려 수용되도록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후크 수용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조립체는,
    상기 브러시 유닛을 상기 회전봉의 축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회전봉의 단부에 체결되는 단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커버는, 상기 회전봉의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브러시 조립체는, 상기 회전봉의 내측에 탄성 지지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연결핀을 더 포함하는 청소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슬릿은 적어도 한 차례 굴절되는 형상으로 상기 회전봉의 일 단에서 타 단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 유닛은 상기 브러시 슬릿에 벤딩되어 삽입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PCT/KR2017/014092 2016-12-30 2017-12-04 청소기 WO2018124513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7389095A AU2017389095B2 (en) 2016-12-30 2017-12-04 Vacuum cleaner
CN201790001216.7U CN210842854U (zh) 2016-12-30 2017-12-04 吸尘器
EP17888511.7A EP3563741B1 (en) 2016-12-30 2017-12-04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449 2016-12-30
KR1020160184449A KR101911295B1 (ko) 2016-12-30 2016-12-30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4513A1 true WO2018124513A1 (ko) 2018-07-05

Family

ID=6270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4092 WO2018124513A1 (ko) 2016-12-30 2017-12-04 청소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20180184865A1 (ko)
EP (1) EP3563741B1 (ko)
KR (1) KR101911295B1 (ko)
CN (1) CN210842854U (ko)
AU (1) AU2017389095B2 (ko)
TW (1) TWI653023B (ko)
WO (1) WO20181245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3690A (zh) * 2019-03-25 2019-07-30 陈玉标 一种用于商场清洁的佣人式扫地机器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629B1 (ko) * 2018-10-22 202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KR102204555B1 (ko) * 2019-08-30 2021-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지테이터를 구비하는 청소용 유닛
US20210244249A1 (en) * 2020-02-10 2021-08-12 Matician, Inc. Configuration of a cleaning head for an autonomous vacuum
TWI808792B (zh) * 2021-12-22 2023-07-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清掃裝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8467U (ja) * 1991-08-28 1993-12-03 禅兵 服部 掃除機用吸入ノズルの回転ロータ
JPH0759689A (ja) * 1993-08-30 1995-03-07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の吸込具
JP2003052584A (ja) * 2001-08-10 2003-02-25 Tsuchiya Tsco Co Ltd 電気掃除機用の回転ブラシ
JP2005013319A (ja) * 2003-06-24 2005-01-20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の吸込具
KR20110125942A (ko) 2010-05-14 2011-11-22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바닥 청소기용 회전브러시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KR101644887B1 (ko) * 2015-03-24 201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지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86129A (en) * 1929-11-18 1932-11-01 Hoover Co Suction cleaner agitator
GB389743A (en) * 1932-09-12 1933-03-23 Hoover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gitators for suction cleaners
US2754531A (en) * 1950-06-14 1956-07-17 Fuller Brush Co Rotary brush
FR1026269A (fr) * 1950-10-19 1953-04-27 Materiel De Voirie Balai-rouleau à regarnissage mécanique sans emploi d'ingrédient adhésif
US3225374A (en) * 1963-08-26 1965-12-28 Singer Co Beater-brush roller for vacuum cleaner
US3241172A (en) * 1964-03-12 1966-03-22 Pittsburgh Plate Glass Co Brush construction
DE2020976A1 (de) * 1969-05-08 1970-11-19 Robert Lardenois Haarbuerste und Maschine zu ihrer Herstellung
US7140062B1 (en) * 2003-10-23 2006-11-28 Fu Yu Chen Brush structure for vacuum cleaner
GB2443364B (en) * 2005-06-07 2008-07-23 Electrolux Home Care Prod Na Vacuum brushroll edge cleaner
EP2816434A3 (en) * 2005-12-02 2015-01-28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coverage robot
GB2470918A (en) * 2009-06-09 2010-12-15 Dyson Technology Ltd Agitating means for a cleaning head
CN102342797A (zh) * 2010-07-30 2012-02-0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吸尘器滚刷
JP5413353B2 (ja) 2010-10-15 2014-02-12 三洋電機株式会社 床用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KR101573742B1 (ko) 2010-10-25 201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
KR101248766B1 (ko) * 2011-12-06 2013-04-03 창명제어기술 (주) 좌우수 변환 사용이 용이한 어깨 관절 치료기
US20160047135A1 (en) * 2012-11-20 2016-02-18 Aqua Products, Inc. Brush assembly for self-propelled pool and tank cleaner
JP6178231B2 (ja) 2013-12-19 2017-08-0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および吸込具
US9756998B2 (en) * 2014-05-28 2017-09-12 Bissell Homecare, Inc. Brushroll for vacuum cleaner
KR102485720B1 (ko) * 2016-05-18 2023-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CA3036354C (en) * 2016-09-09 2023-01-03 Sharkninja Operating Llc Agitator with hair removal
US20210045519A1 (en) * 2018-07-04 2021-02-18 Kun-You Chen Hand tool assembl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8467U (ja) * 1991-08-28 1993-12-03 禅兵 服部 掃除機用吸入ノズルの回転ロータ
JPH0759689A (ja) * 1993-08-30 1995-03-07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の吸込具
JP2003052584A (ja) * 2001-08-10 2003-02-25 Tsuchiya Tsco Co Ltd 電気掃除機用の回転ブラシ
JP2005013319A (ja) * 2003-06-24 2005-01-20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の吸込具
KR20110125942A (ko) 2010-05-14 2011-11-22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바닥 청소기용 회전브러시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KR101644887B1 (ko) * 2015-03-24 201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지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3690A (zh) * 2019-03-25 2019-07-30 陈玉标 一种用于商场清洁的佣人式扫地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30153A1 (en) 2021-10-28
EP3563741A4 (en) 2021-01-27
US20180184865A1 (en) 2018-07-05
EP3563741B1 (en) 2023-09-27
TWI653023B (zh) 2019-03-11
KR101911295B1 (ko) 2018-10-24
KR20180079072A (ko) 2018-07-10
AU2017389095B2 (en) 2019-07-18
US20220257072A1 (en) 2022-08-18
CN210842854U (zh) 2020-06-26
AU2017389095A1 (en) 2018-12-06
TW201826992A (zh) 2018-08-01
EP3563741A1 (en)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24513A1 (ko) 청소기
WO2018012913A1 (ko) 로봇 청소기
WO2018038358A1 (ko) 청소기의 노즐
US8800103B2 (en) Upright type cleaner
US11185206B2 (en) Drum for cleaner and cleaner having the same
JP2011212444A (ja) ロボット掃除機
WO2020204368A1 (ko) 청소기 및 청소기의 브러시 드럼 제조방법
WO2019031720A1 (ko) 흡입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WO2014030843A1 (ko) 다단 포구 약실 청소 장치
JPH1133510A (ja) アップライト型掃除機
WO2022097911A1 (ko) 진공청소기
WO2016021827A1 (ko) 전동솔
WO2023136445A1 (ko) 진공 청소기
WO2022146111A1 (ko) 진공청소기
WO2024019271A1 (ko) 청소기
CN112741544A (zh) 吸尘器的地刷和吸尘器
WO2021225391A1 (ko)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WO2024080522A1 (ko) 진공 청소기
WO2021029654A1 (en) Vacuum cleaner
KR100572892B1 (ko) 청소기의 호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업라이트형진공청소기
WO2018135752A2 (ko) 청소기
WO2023146110A1 (ko)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
WO2023153581A1 (ko) 청소기
WO2023132457A1 (ko) 진공 청소기
CN219353773U (zh) 一种地刷组件及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885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389095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71204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885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