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10906A1 -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10906A1
WO2018110906A1 PCT/KR2017/014362 KR2017014362W WO2018110906A1 WO 2018110906 A1 WO2018110906 A1 WO 2018110906A1 KR 2017014362 W KR2017014362 W KR 2017014362W WO 2018110906 A1 WO2018110906 A1 WO 201811090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sheet
rolled steel
hot rolled
surface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436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득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CN201780075815.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0050085A/zh
Priority to JP2019531414A priority patent/JP2020509173A/ja
Priority to US16/468,114 priority patent/US20200071800A1/en
Priority to EP17880634.5A priority patent/EP3556895A4/en
Publication of WO201811090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1090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02Hardening articles or materials formed by forging or rolling, with no further heating beyond that required for the 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4Dispersions; Precipi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9Pearlit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rolled steel sheet suitable for construction, tools, automobile parts,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 carbon hot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High-carbon hot-rolled steel sheets which can be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construction, tools, and automobile parts, are pickled and cold rolled by secondary customers, and then formed into parts for heat treatment and purpose by end customers.
  • cracks may occur during processing as described above, or cracks may easily occur during product use.
  • Patent Document 1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6-0018805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carbon hot-rolled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by optimizing the alloy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conditions to minimize grain boundary oxidation of the high-carbon hot-rolled steel sheet.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eight%, C: 0.3-1.3%, Si: 0.01-0.5%, Mn: 0.3-2.0%, Al: 0.1% or less (excluding 0%), Cr: 5.0% or less (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 2.0% or less, Sb: 0.005 to 0.1%, V: 0.5% or less, Cu: 0.5% or less, and Ni: 2.0% or less). It provides a high-carbon hot-rolled steel sheet comprising a balance Fe and other unavoidable impurities, the HI valu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relation 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0, and satisfies the following relation 2.
  • each component represents a weight content.
  •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eply studied how to minimize grain boundary oxidation in providing a high carbon hot rolled steel shee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grain boundary oxidation on the surface of the hot-rolled steel sheet can be minimized by closely controlling the alloy composition of the hot-rolled steel sheet and optimizing the winding condition in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thus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 High-carbon hot-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urface qualit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 0.3 ⁇ 1.3%, Si: 0.01 ⁇ 0.5%, Mn: 0.3 ⁇ 2.0%, Al: 0.1% or less, Cr: 5.0% or less (0 Is excluded).
  • Carbon (C) is the most effective element for securing strength.
  • the content of C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content of C to 0.3 to 1.3%. More advantageously, it can be controlled to 0.35 to 1.25%.
  • Silicon (Si) is an effective element for the deoxidation effect, and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t least 0.01%. However, if the content is more than 0.5%, the possibility of causing grain boundary oxidation on the surface of the hot rolled steel sheet is not preferable.
  • the content of Si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content of Si to 0.01 to 0.5%. More advantageously it can be controlled to 0.1 ⁇ 0.4%.
  • Manganese (Mn) together with C is an element effective for securing strength. If the Mn content is less than 0.3%, FeS may be formed to cause grain boundary brittleness at high temperatures, whereas if it exceeds 2.0%, hot rolled steel may be inferior due to central segregation and inclusion formation and grain boundary oxidation. .
  • the content of Mn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content of Mn to 0.3 to 2.0%. More advantageously, it can be controlled to 0.4 to 1.5%.
  • Aluminum (Al) is an element added for the deoxidation effect as well as the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effect. If the content of Al exceeds 0.1%, it may cause not only slab cracks during playing, but also grain boundary oxidation in the final product.
  • Chromium (Cr) is an element added to increase the hardenability of steel, and has an effect of suppressing iron rust generation by forming a passivation film in the atmosphere. However, if the Cr content exceeds 5.0%, there is a risk of causing edge cracks of the hot rolled sheet during cooling, which is not preferable.
  • the content of Cr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content of Cr to 5.0% or less, and 0% is excluded. More advantageously it can be controlled to 3.5% or less.
  • Hot rolled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alloy compositio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 Molybdenum (Mo) is an effective element for improving the hardenability of the steel, and may be added to impart thermal stability of the precipitation hardening element. However, if Mo is an expensive element and its content exceeds 2.0%, there is a fear that the manufacturing cost will be greatly increased.
  • Antimony (Sb) is a useful element for inhibiting grain boundary oxidation by concentrating at grain boundaries at high temperatures.
  • Sb Antimony
  • elements having higher oxygen affinity than Fe such as Cr, Mn, Al, Si, etc.
  • it is an element that effectively inhibits grain boundary oxidation.
  • Sb in an amount of 0.005% or more in order to sufficiently obtain the above-described effect, but if the content exceeds 0.1%,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causes grain boundary embrittlement.
  • the content of the Sb is preferably controlled to 0.005 to 0.1%.
  • V Vanadium
  • Copper (Cu) is an element added for increasing strength and improving corrosion resistance. However, when the content of Cu exceeds 0.5%,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may cause grain boundary embrittlement at high temperature.
  • the content of the Cu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content of the Cu at 0.5% or less.
  • Nickel (Ni) is also an element added to increase strength and improve corrosion resistance, and when added together with Cu, prevents high temperature grain embrittlement by Cu. However, if the content exceeds 2.0%, there is a problem of degrading the descaling property of the scale at a high temperature by making the interface uneven.
  • the remaining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ron (Fe).
  • impurities which are not intended from the raw material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ay be inevitably mixed, and thus cannot be excluded. Since these impurities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ll of them are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P, S and N are preferably controlled as follows.
  • Phosphorus (P) is an element that is inevitably added during the steel manufacturing process, and may cause brittleness due to segregation, so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content thereof as low as possible.
  • the P content can be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scrap metal during molten iron production,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content of P to a maximum of 0.03%, more preferably to control the 0.02% or less.
  • S Sulfur
  • S is an element inevitably added during the steel manufacturing process, and may form inclusions or form FeS sulfide having a low melting point, causing grain boundary brittleness during hot rolling.
  • the content of S is controlled as low as possible, and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content to a maximum of 0.02%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ntent of S is increased by addition of scrap metal or the like during welding production. More preferably, it is controlled to 0.01% or less.
  • Nitrogen (N) ha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solid solution, but if the content is excessive, there is a concern that the employment element causes yield stretching and inferior the surface quality. In addition, there is a risk of depositing nitride to impair workability.
  • each component represents a weight content.
  • the component relation between Mo, Sb, and Cr satisfies the relational expression 2.
  • the hot rolled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satisfies the alloy composition and the component relationship preferably includes a ferrite and pearlite composite structure as a microstructure.
  • the ferrite may include 2 to 70% of an area fraction, and may be made of residual pearlite. At this time, if the ferrite fraction is less than 2%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contains less elements such as Cr for securing the curing ability.
  • the hot-rolled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satisfies the alloy composition, the component relationship and the microstructure configuration has an excellent grain boundary oxidation inhibiting effect with an area fraction of oxide present within a thickness of 10 ⁇ m of 5% or less.
  • the grain boundary oxidation thickness can be obtained to be 2 micrometers or less by forming into a.
  • the high-carbon hot-rolled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of [reinforcing steel slab-hot rolling-cooling and winding], and the conditions for each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 the reheating process is a process for homogenizing slabs, and if the temperature at that time is less than 1100 ° C., there is a fear that the rolling load during hot rolling, which is a subsequent process, is rapidly increased. On the other hand, if the temperature exceeds 1300 ° C, the surface temperature during the subsequent hot rolling of the hot rolling is high, causing a high temperature oxidation scale to grow thickly on the surface, causing surface defects during rolling, or when the coil is unwound, the scale is removed from the surface. There is a risk of falling defects.
  • the hot rolling may be made of rough rolling and finishing rolling.
  • the finishing rolling is preferably carried out in the temperature range of the entry temperature 900 ⁇ 1100 °C, exit temperature 800 ⁇ 950 °C.
  • exit temperature is less than 800 °C there is a fear that the rolling load is greatly increas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oth edges of the steel plate severe temperature drop (edge) there is a fear that the material is uneven in the width direction because the cornerstone ferrite phase is generated.
  • exit temperature exceeds 950 ° C, the structure of the steel sheet becomes coarse, and the scale becomes thick, which may lower the surface quality.
  • the cooling may be performed at a cooling rate of 30 to 60 ° C / s on average by water cooling in a run-out table (ROT).
  • ROT run-out table
  • the winding is preferably carried out in the temperature range of 500 ⁇ 710 °C, if the temperature is less than 500 °C during the windin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hape defect may occur, whereas if the temperature exceeds 710 °C may be inferior surface quality due to scale peeling This is undesirable because it exists.
  • the steel slab having the alloy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is reheated at a temperature range of 1100 ⁇ 1300 °C, and then hot rolled to prepare a hot rolled steel sheet.
  • the finish rolling at the time of hot rolling was perform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exit temperature 800-950 degreeC. Thereafter, cooling was carried out at a winding temperature shown in Table 2 below.
  • the fraction (area fraction) of oxide pres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10 ⁇ m was observed from the surface of each of the prepared hot-rolled steel sheets, and the grain boundary oxidation thickness was measured.
  • the fraction of oxide and the thickness of grain boundary oxide were measured by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cross section was measured, the fraction of oxide was measured through photo and image analysis of the oxide, and the grain thickness of the grain boundary was measured.
  • each hot-rolled steel sheet was visually observed to confirm non-uniformity and the lik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scale peeling was evaluated for defect occurrence.
  • the shape of the steel sheet was judged as a failure when the high and low difference of the edge wave (wave) is 10mm or more.
  • the invention examples 1 to 9 satisfying the composition (relationships 1 and 2)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alloy composition has a grain boundary oxidation depth of less than 2 ⁇ m, the shape It is confirmed that this is good and that no scale defect occurs.
  • Figure 1 shows a photograph observing the cross section of Comparative Example 6 (a) and Inventive Example 7 (b).
  • Comparative Example 6 it can be seen that oxides such as Cr, Mn, Si, and Al are formed in the grain boundaries and the base material, but in the case of Inventive Example 7, it is confirmed that little oxide is formed in the grain boundaries or the bas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공구, 자동차 부품 등에 적합한 열연강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건축, 공구, 자동차 부품 등에 적합한 열연강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 공구, 자동차 부품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고탄소 열연강판은 2차 고객사에서 산세 및 냉간압연을 거친 후 최종 고객사에서 열처리 및 목적에 맞게 부품으로 성형된다.
그런데, 고탄소 열연강판의 표면에 입계산화가 존재하게 되면 위와 같은 가공시 크랙(crack)이 발생하거나, 제품 사용 중에 크랙 발생이 쉬운 문제가 있다.
이에, 고탄소강 제품에서는 입계산화를 최소화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열연 상태에서 Fe 보다 산소와 친화도가 높은 Cr, Mn, Al, Si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면 입계산화가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열연 상태에서 입계산화가 발달하게 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해 2차 고객사에서 추가 공정이 요구되며, 이는 결국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주된 원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추가 공정으로 입계산화를 전부 제거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열연 상태에서 입계산화가 최소화되도록 강판을 제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높은 켄칭(qhenching)성을 부여하기 위해 보론(B)을 필수로 포함한 강종의 경우 C, Mn, Cr 등과 같은 경화능 향상 원소들의 함량을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산소와 친화도가 높은 원소들이 줄어들어 입계산화를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는 있다 (특허문헌 1). 하지만, B 첨가만으로는 입계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18805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합금조성 및 제조조건을 최적화하여 고탄소 열연강판의 입계산화를 최소화함으로써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 및 이것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로, C: 0.3~1.3%, Si: 0.01~0.5%, Mn: 0.3~2.0%, Al: 0.1% 이하(0%는 제외), Cr: 5.0% 이하(0%는 제외)를 포함하고, Mo: 2.0% 이하, Sb: 0.005~0.1%, V: 0.5% 이하, Cu: 0.5% 이하 및 Ni: 2.0% 이하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며,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로 표현되는 HI 값이 0 이상이면서,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을 제공한다..
[관계식 1]
(HI) = -5.69 + (4.43×C) + (3.71×Mn) - (4.5×Si) + (1.77×Ni) + (6.18×Cr) + (12.0×Mo) - (43.6×Cu) + (48.1×V) ≥ 0
[관계식 2]
Mo + (10×Sb) - (0.1×Cr) ≥ 0.14
(관계식 1 및 2에서 각 성분은 중량 함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술한 합금조성 및 관계식 1과 2를 만족하는 강 슬라브를 1100~1300℃의 온도범위에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강 슬라브를 조압연 및 사상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열연강판을 냉각한 후 500~710℃의 온도범위에서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계산화가 최소화된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2차 고객사에서 추가 공정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며, 최종 제품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교예 6(a)과 발명예 7(b)의 단면을 관찰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자는 고탄소 열연강판을 제공함에 있어서, 입계산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깊이 연구하였다. 그 결과, 위 열연강판의 합금조성을 면밀하게 제어하는 동시에, 제조조건 중 권취 조건을 최적화함으로써 열연강판 표면에서의 입계산화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은 C: 0.3~1.3%, Si: 0.01~0.5%, Mn: 0.3~2.0%, Al: 0.1% 이하, Cr: 5.0% 이하(0은 제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0.3~1.3%
탄소(C)는 강도 확보를 위해 가장 효과적인 원소이다. 본 발명에서 우수한 경도를 얻기 위하여 0.3% 이상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함량이 1.3%를 초과하게 되면 열간압연시 너무 경하여 공정상에 결함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C의 함량을 0.3~1.3%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유리하게는 0.35~1.25%로 제어할 수 있다.
Si: 0.01~0.5%
실리콘(Si)은 탈산 효과에 유효한 원소로서, 이를 위해서는 0.01% 이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그 함량이 0.5%를 초과하게 되면 열연강판 표면에 입계산화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Si의 함량을 0.01~0.5%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유리하게는 0.1~0.4%로 제어할 수 있다.
Mn: 0.3~2.0%
망간(Mn)은 상기 C와 함께 강도 확보에 유효한 원소이다. 이러한 Mn의 함량이 0.3% 미만이면 FeS가 형성되어 고온에서 입계 취성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며, 반면 2.0%를 초과하게 되면 중심 편석, 개재물 형성과 더불어 입계 산화를 일으켜 열연강판 품질이 열위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Mn의 함량을 0.3~2.0%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유리하게는 0.4~1.5%로 제어할 수 있다.
Al: 0.1% 이하(0%는 제외)
알루미늄(Al)은 탈산 효과뿐만 아니라 고용 강화 효과를 위해 첨가하는 원소이다. 이러한 Al의 함량이 과다하여 0.1%를 초과하게 되면 연주시 슬라브(slab) 크랙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최종 제품에서 입계산화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Al의 함량을 0.1%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는 제외한다.
Cr: 5.0% 이하(0%는 제외)
크롬(Cr)은 강의 경화능을 높이기 위해 첨가하는 원소이며, 대기 중에서 부동태 피막을 형성하여 철의 녹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상기 Cr의 함량이 5.0%를 초과하게 되면 냉각 중 열연판의 에지(edge) 크랙을 유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Cr의 함량을 5.0%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는 제외한다. 보다 유리하게는 3.5% 이하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연강판은 상술한 합금조성 이외에 물성 향상의 목적에서 다음과 같은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o, Sb, V, Cu 및 Ni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 2.0% 이하
몰리브덴(Mo)은 강의 경화능을 향상시키는데 유효한 원소이며, 석출강화 원소의 열적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하기도 한다. 다만, 상기 Mo은 고가의 원소로 그 함량이 2.0%를 초과하게 되면 제조원가를 크게 상승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Mo의 첨가시 그 함량을 2.0%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b: 0.005~0.1%
안티몬(Sb)은 고온에서 입계에 농화되어 입계산화를 억제하는데에 유용한 원소이다. 특히 Cr, Mn, Al, Si 등과 같은 Fe보다 산소 친화도가 높은 원소들이 다량으로 함유된 경우, 효과적으로 입계산화를 억제하는 원소이다.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0.005% 이상으로 Sb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함량이 0.1%를 초과하게 되면 오히려 입계 취화의 원인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Sb의 첨가시 그 함량을 0.005~0.1%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V: 0.5% 이하
바나듐(V)은 강도 향상을 위해 첨가하는 원소이다. 다만, 상기 V은 고가의 원소로 그 함량이 0.5%를 초과하게 되면 제조원가를 크게 상승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V의 첨가시 그 함량을 0.5%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u: 0.5% 이하
구리(Cu)는 강도 증가 및 내식성 향상을 위해 첨가하는 원소이다. 다만, 이러한 Cu의 함량이 0.5%를 초과하게 되면 고온에서 입계 취화를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Cu의 첨가시 그 함량을 0.5%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i: 2.0% 이하
니켈(Ni) 역시 강도 증가 및 내식성 향상을 위해 첨가하는 원소로서, 상기 Cu와 함께 첨가시 상기 Cu에 의한 고온 입계 취화를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다만, 그 함량이 2.0%를 초과하게 되면 계면을 불균일하게 하여 고온에서 스케일의 디스케일(discaling)성을 열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Ni의 첨가시 그 함량을 2.0%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으나, P, S 및 N에 대해서는 하기와 같이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 0.03% 이하
인(P)은 강 제조과정 중에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원소로서, 편석에 의해 취성을 유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그 함량을 가능한 낮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용선 제조시 고철 등의 첨가로 P 함량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상기 P의 함량을 최대 0.03%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 0.02% 이하
황(S)은 강 제조과정 중에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원소로서, 개재물을 형성하거나 융점이 낮은 FeS 황화물을 형성하여 열간압연 중 입계 취성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S의 함량을 가능한 낮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접 제조시 고철 등의 첨가로 상기 S의 함량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그 함량을 최대 0.02%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 0.01% 이하(0%는 제외)
질소(N)는 고용 강화 효과가 있으나, 그 함량이 과다하면 고용원소가 항복점 연신을 일으켜 표면품질을 열위하게 할 우려가 있다. 또한, 질화물을 석출시켜 가공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N의 함량을 0.01%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는 제외한다.
한편, 상술한 합금조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열연강판은 성분들 간의 관계가 하기 관계식 1 및 2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1]
(HI) = -5.69 + (4.43×C) + (3.71×Mn) - (4.5×Si) + (1.77×Ni) + (6.18×Cr) + (12.0×Mo) - (43.6×Cu) + (48.1×V) ≥ 0
[관계식 2]
Mo + (10×Sb) - (0.1×Cr) ≥ 0.14
(관계식 1 및 2에서 각 성분은 중량 함량을 의미한다.)
즉, 관계식 1로 표현되는 HI 값이 0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 Mo, Sb 및 Cr 간의 성분관계가 관계식 2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HI 값이 0 미만이면 입계산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상기 HI 값이 0 이상이면 입계산화가 크게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HI 값이 0 이상인 경우에, 합금성분들(Mo, Sb, Cr) 간의 관계를 관계식 2를 제어함으로써 입계산화를 크게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합금조성 및 성분관계를 만족하는 본 발명의 열연강판은 미세조직으로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 복합조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페라이트는 면적분율 2~70%로 포함하고, 잔부 펄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페라이트 분율이 2% 미만이면 경화능 확보를 위한 Cr 등의 원소를 적게 함유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반면, 70%를 초과하게 되면 변태속도가 빠르거나 또는 Cr, Mo 등과 같은 경화능 강화 원소가 과도하게 첨가된 경우로서 변태속도가 지나치게 느려지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합금조성, 성분관계 및 미세조직 구성을 만족하는 본 발명의 열연강판은 표면으로부터 두께방향 10㎛ 이내에 존재하는 산화물의 면적분율이 5% 이하로 입계산화 억제효과가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즉, 강판 표면으로부터 두께방향 10㎛ 이내에 존재하는 산화물의 면적분율이 낮을수록 표면에 형성된 입계산화 두께(깊이)가 얇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해당 영역에서의 산화물을 면적분율 5% 이하로 형성함으로써 입계산화 두께를 2㎛ 이하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간략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고탄소 열연강판은 [강 슬라브 재가열 - 열간압연 - 냉각 및 권취]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으며, 각 공정별 조건에 대해서는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강 슬라브 재가열]
먼저, 상술한 합금조성 및 성분관계(관계식 1 및 2)를 만족하는 본 발명의 강 슬라브를 준비한 다음, 상기 강 슬라브를 1100~1300℃의 온도범위에서 재가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가열 공정은 슬라브 균질화를 위한 공정으로서, 그때의 온도가 1100℃ 미만이면 후속공정인 열간압연시 압연 하중이 급격히 증가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면, 그 온도가 1300℃를 초과하게 되면 후속하는 열간압연의 사상압연시 표면온도가 높아 고온 산화 스케일이 표면에 두껍게 성장하여 압연시 표면 결함을 유발하거나, 권취된 코일을 풀 때 스케일이 표면으로부터 떨어져나오는 결함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열간압연]
상기에 따라 재가열된 강 슬라브를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열간압연은 조압연 및 사상압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상압연은 입측온도 900~1100℃, 출측온도 800~950℃의 온도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측온도가 800℃ 미만이면 압연하중이 크게 증가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온도 하락이 심한 강판의 양 에지(edge)부의 경우 초석 페라이트 상이 생성되어 폭 방향으로 재질이 불균일해질 우려가 있다. 반면, 출측온도가 950℃를 초과하게 되면 강판의 조직이 조대화되고, 스케일이 두꺼워져 표면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냉각 및 권취]
상기에 따라 제조된 열연강판을 냉각한 후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은 일 예로 런 아웃 테이블(Run-Out Table, ROT)에서 수냉에 의해 평균 30~6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는 500~710℃의 온도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권취시 온도가 500℃ 미만이면 형상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반면 710℃를 초과하게 되면 스케일 박리로 인해 표면품질이 열위할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기존 고탄소 열연강판의 경우 위와 같은 온도범위에서 권취를 행하면 변태 발열에 의해 입계산화 발생이 용이해지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고탄소 열연강판에 함유되는 합금조성을 제어하면서, 그 성분들간의 관계가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경우에 Mo, Sb 및 Cr의 함량관계를 관계식 2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온도범위에서 권취시 변태 발열량이 크지 않으므로, 입계산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나타낸 합금조성을 가지는 강 슬라브를 1100~1300℃의 온도범위에서 재가열한 다음,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열간압연시 마무리 압연은 출측온도 800~950℃의 온도범위에서 행하였다. 이후, 냉각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낸 권취온도에서 권취를 행하였다.
제조된 각각의 열연강판의 표면으로부터 두께방향 10㎛ 내에 존재하는 산화물의 분율(면적분율)을 관찰하였으며, 이와 함께 입계산화 두께를 측정하였다.
상기 산화물의 분율과 입계산화 두께는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으로 단면을 측정한 후, 산화물의 사진 및 이미지 분석을 통해 산화물의 분율을 측정하고, 입계산화 두께를 측정하였다.
또한, 각 열연강판의 형상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불균일 등을 확인하고, 스케일 박리 유무를 확인하여 결함 발생 유무에 대해 평가하였다.
이때, 강판의 형상은 에지부 웨이브(wave)의 고·저 차이가 10mm 이상일 때를 불량으로 판단하였다.
강종 합금조성 (중량%) 관계식1 관계식2
C Si Mn Al Cr 그 외 P S N
1 0.5 0.2 0.7 0.01 0.05 0 0.01 0.003 0.004 -1.5 -0.005
2 0.75 0.2 0.65 0.005 0.25 0 0.01 0.003 0.004 0.7 -0.025
3 0.75 0.2 0.65 0.005 0.25 Sb 0.01 0.01 0.003 0.004 0.7 0.075
4 0.75 0.2 0.65 0.005 0.25 Sb 0.02 0.01 0.003 0.004 0.7 0.175
5 1.22 0.2 0.4 0.005 0.55 0 0.01 0.003 0.004 3.7 -0.055
6 1.22 0.2 0.4 0.005 0.55 Sb 0.01 0.01 0.003 0.004 3.7 0.045
7 1.22 0.2 0.4 0.005 0.55 Sb 0.02 0.01 0.003 0.004 3.7 0.145
8 0.35 0.2 0.7 0.01 1.0 Mo 0.2 0.01 0.003 0.004 6.1 0.1
9 0.35 0.2 0.7 0.01 1.0 Mo 0.3 0.01 0.003 0.004 7.3 0.2
10 0.35 0.2 0.7 0.01 1.0 Sb 0.02Mo 0.2 0.01 0.003 0.004 6.1 0.3
11 0.52 0.25 0.9 0.01 1.1 V 0.105 0.01 0.003 0.004 10.7 -0.11
12 0.52 0.25 0.9 0.01 1.1 V 0.105Sb 0.03 0.01 0.003 0.004 10.7 0.19
13 0.52 0.25 0.9 0.01 1.1 V 0.105Sb 0.05 0.01 0.003 0.004 10.7 0.39
14 0.52 0.25 0.9 0.01 1.1 V 0.105Sb 0.02Mo 0.2 0.01 0.003 0.004 13.1 0.29
15 0.52 0.25 0.9 0.01 1.1 V 0.105Mo 0.3 0.01 0.003 0.004 14.3 0.19
16 0.52 0.25 0.9 0.01 1.1 V 0.105Mo 0.5 0.01 0.003 0.004 16.7 0.39
강종 권취온도(℃) 입계산화두께(㎛) 산화물 면적분율(%) 형상 스케일 결함 구분
1 600 1 이하 1 이하 양호 미발생 대조예
2 600 5 15.4 양호 미발생 비교예 1
3 600 3 8.6 양호 미발생 비교예 2
4 600 1 이하 1 이하 양호 미발생 발명예 1
5 600 7 17.5 양호 미발생 비교예 3
6 600 4 13.5 양호 미발생 비교예 4
7 600 2 1.8 양호 미발생 발명예 2
8 600 3 9.1 양호 미발생 비교예 5
9 600 1 이하 1 이하 양호 미발생 발명예 3
10 600 1 이하 1 이하 양호 미발생 발명예 4
11 600 15 19.8 양호 미발생 비교예 6
710 21 17.7 양호 발생 비교예 7
500 8 16.2 불량 미발생 비교예 8
12 600 2 2.3 양호 미발생 발명예 5
13 600 1 이하 1 이하 양호 미발생 발명예 6
14 600 1 이하 1 이하 양호 미발생 발명예 7
15 600 2 1.5 양호 미발생 발명예 8
16 600 1 이하 1 이하 양호 미발생 발명예 9
상기 표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금조성은 물론이고 성분관계(관계식 1 및 2)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바를 만족하는 발명예 1 내지 9는 입계산화 깊이가 모두 2㎛ 이내이면서, 형상이 양호하고 스케일 결함이 발생하지 아니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관계식 1로 표현되는 HI 값이 0 이상이지만, 관계식 2의 값이 본 발명을 만족하지 아니하는 비교예 1 내지 8에서는 입계산화 깊이가 모두 2㎛를 초과하였으며, 최대 21㎛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8에서는 상기 입계산화 깊이가 커질수록 표면으로부터 10㎛ 이내에 존재하는 산화물의 면적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관계식 2의 값이 본 발명을 벗어나는 강종 11에 있어서, 권취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비교예 8에서는 형상이 불량하였으며, 권취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교예 7에서는 스케일 두께가 두꺼워 권취 후 코일을 풀 때 스케일 박리가 발생하였다.
한편, 관계식 1로 표현되는 HI 값이 0 미만인 대조예의 경우에는 입계산화 발생이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 6(a)과 발명예 7(b)의 단면을 관찰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비교예 6의 경우 입계 및 모재 내부에 Cr, Mn, Si, Al 등의 산화물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나, 발명예 7의 경우에는 입계 또는 모재에 산화물이 거의 생성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8)

  1. 중량%로, C: 0.3~1.3%, Si: 0.01~0.5%, Mn: 0.3~2.0%, Al: 0.1% 이하(0%는 제외), Cr: 5.0% 이하(0%는 제외)를 포함하고, Mo: 2.0% 이하, Sb: 0.005~0.1%, V: 0.5% 이하, Cu: 0.5% 이하 및 Ni: 2.0% 이하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며,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로 표현되는 HI 값이 0 이상이면서,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
    [관계식 1]
    (HI) = -5.69 + (4.43×C) + (3.71×Mn) - (4.5×Si) + (1.77×Ni) + (6.18×Cr) + (12.0×Mo) - (43.6×Cu) + (48.1×V) ≥ 0
    [관계식 2]
    Mo + (10×Sb) - (0.1×Cr) ≥ 0.14
    (관계식 1 및 2에서 각 성분은 중량 함량을 의미한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강판은 중량%로 P: 0.03% 이하, S: 0.02% 이하 및 N: 0.01% 이하를 포함하는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강판은 미세조직으로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 복합조직을 포함하는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강판은 표면으로부터 두께방향 10㎛ 이내에 존재하는 산화물의 면적분율이 5% 이하인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
  5. 중량%로, C: 0.3~1.3%, Si: 0.01~0.5%, Mn: 0.3~2.0%, Al: 0.1% 이하(0%는 제외), Cr: 5.0% 이하(0%는 제외)를 포함하고, Mo: 2.0% 이하, Sb: 0.005~0.1%, V: 0.5% 이하, Cu: 0.5% 이하 및 Ni: 2.0% 이하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며,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로 표현되는 HI 값이 0 이상이면서,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강 슬라브를 1100~1300℃의 온도범위에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강 슬라브를 조압연 및 사상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열연강판을 냉각한 후 500~710℃의 온도범위에서 권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관계식 1]
    (HI) = -5.69 + (4.43×C) + (3.71×Mn) - (4.5×Si) + (1.77×Ni) + (6.18×Cr) + (12.0×Mo) - (43.6×Cu) + (48.1×V) ≥ 0
    [관계식 2]
    Mo + (10×Sb) - (0.1×Cr) ≥ 0.14
    (관계식 1 및 2에서 각 성분은 중량 함량을 의미한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강 슬라브는 중량%로 P: 0.03% 이하, S: 0.02% 이하 및 N: 0.01% 이하를 포함하는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상압연은 입측온도 900~1100℃, 출측온도 800~950℃의 온도범위에서 행하는 것인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후 상기 열연강판의 표면으로부터 두께방향 10㎛ 이내에 존재하는 산화물의 면적분율이 5% 이하인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PCT/KR2017/014362 2016-12-14 2017-12-08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10906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75815.8A CN110050085A (zh) 2016-12-14 2017-12-08 表面质量优异的高碳热轧钢板及其制造方法
JP2019531414A JP2020509173A (ja) 2016-12-14 2017-12-08 表面品質に優れた高炭素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16/468,114 US20200071800A1 (en) 2016-12-14 2017-12-08 High-carbon hot-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17880634.5A EP3556895A4 (en) 2016-12-14 2017-12-08 HIGH HOT-ROLLED CARBON STEEL STRAP PROVIDING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370A KR101830551B1 (ko) 2016-12-14 2016-12-14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6-0170370 2016-1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0906A1 true WO2018110906A1 (ko) 2018-06-21

Family

ID=6139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4362 WO2018110906A1 (ko) 2016-12-14 2017-12-08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071800A1 (ko)
EP (1) EP3556895A4 (ko)
JP (1) JP2020509173A (ko)
KR (1) KR101830551B1 (ko)
CN (1) CN110050085A (ko)
WO (1) WO20181109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08798A4 (en) * 2020-02-18 2023-07-26 Posco HIGH CARBON STEEL SHEET HAVING GOOD SURFACE QUA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112126850B (zh) * 2020-08-24 2022-02-22 上海衍衡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蚀针布钢及制备方法
JP7334700B2 (ja) * 2020-09-28 2023-08-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719A (ko) * 2005-10-05 2008-01-29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극연질고탄소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8260023A (ja) * 2007-04-10 2008-10-30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金属複合材料の製造方法及び金属複合材料からなる部材
JP2011012316A (ja) * 2009-07-02 2011-01-20 Nippon Steel Corp 打抜き性に優れた軟質高炭素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68842A (ja) * 2010-02-18 2011-09-01 Nippon Steel Corp 異方性が小さく焼入性に優れた高炭素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09925A (ko) * 2011-03-28 2012-10-09 한국기계연구원 알루미늄 기지 복합재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알루미늄 기지 복합재료
KR20160018805A (ko) 2013-07-09 2016-02-17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고탄소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4145A (ja) * 1989-01-20 1990-07-31 Sumitomo Metal Ind Ltd 高炭素薄鋼板
JPH0344422A (ja) * 1989-07-10 1991-02-26 Sumitomo Metal Ind Ltd 高炭素薄鋼板の製造方法
JP3604447B2 (ja) * 1995-03-20 2004-12-22 日新製鋼株式会社 酸化スケール密着性が高い熱処理用鋼板
JP4963479B2 (ja) * 2008-02-19 2012-06-27 日新製鋼株式会社 高炭素鋼板の製造方法
KR101318383B1 (ko) * 2011-06-01 2013-10-15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 강판 및 그 제조방법
EP3276030B1 (en) * 2015-03-23 2020-05-06 Nippon Steel Corporation Hot-roll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ld-rolled steel shee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719A (ko) * 2005-10-05 2008-01-29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극연질고탄소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8260023A (ja) * 2007-04-10 2008-10-30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金属複合材料の製造方法及び金属複合材料からなる部材
JP2011012316A (ja) * 2009-07-02 2011-01-20 Nippon Steel Corp 打抜き性に優れた軟質高炭素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68842A (ja) * 2010-02-18 2011-09-01 Nippon Steel Corp 異方性が小さく焼入性に優れた高炭素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09925A (ko) * 2011-03-28 2012-10-09 한국기계연구원 알루미늄 기지 복합재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알루미늄 기지 복합재료
KR20160018805A (ko) 2013-07-09 2016-02-17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고탄소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556895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09173A (ja) 2020-03-26
CN110050085A (zh) 2019-07-23
EP3556895A1 (en) 2019-10-23
EP3556895A4 (en) 2019-12-25
US20200071800A1 (en) 2020-03-05
KR101830551B1 (ko) 201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74605A1 (ko)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WO2017111510A1 (ko) 열간 가공성이 우수한 비자성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6104975A1 (ko) Pwht 후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8117501A1 (ko)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17676A1 (ko) 내마모성과 인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20067752A1 (ko) 구멍확장성이 높은 고강도 냉연강판,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WO2018117497A1 (ko) 길이방향 균일 연신율이 우수한 용접강관용 강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강관
WO2015099222A1 (ko) 용접성 및 버링성이 우수한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6105115A1 (ko) 표면품질, 도금밀착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8117450A1 (ko) 저온인성 및 후열처리 특성이 우수한 내sour 후판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8110906A1 (ko) 표면품질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30737A1 (ko) 취성균열전파 저항성이 우수한 극후물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2043984A2 (ko)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라인 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8117470A1 (ko) 저온역 버링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24765A1 (ko) 내충격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7111345A1 (ko) 저항복비형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21125858A2 (ko) 법랑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9124781A1 (ko) 상온내시효성 및 소부경화성이 우수한 아연계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1112488A1 (ko) 내구성이 우수한 후물 복합조직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8084685A1 (ko) 항복비가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0226301A1 (ko) 전단가공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3154254A1 (ko) 재질 균일성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93513A2 (ko) 성형성이 우수한 복합조직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086745A1 (ko) 전단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1125724A2 (ko) 내열성과 성형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8063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3141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8063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