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56667A1 -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및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및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56667A1
WO2018056667A1 PCT/KR2017/010240 KR2017010240W WO2018056667A1 WO 2018056667 A1 WO2018056667 A1 WO 2018056667A1 KR 2017010240 W KR2017010240 W KR 2017010240W WO 2018056667 A1 WO2018056667 A1 WO 20180566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mon layer
solar cell
organic
electrode
metal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02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용남
박상준
김세용
김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1879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33074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19502222A priority Critical patent/JP6763560B2/ja
Priority to US16/320,994 priority patent/US20190180946A1/en
Priority to CN201780049866.3A priority patent/CN109643761B9/zh
Publication of WO20180566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566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4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a p-i-n structure, e.g. having a perovskite absorber between p-type and n-type charge transport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Definitions

  •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n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and an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 the solar cell refers to a battery that generates current-voltage using a photovoltaic effect of absorbing light energy from sunlight and generating electrons and holes.
  • Organic-inorganic composite perovskite materials have recently been spotlighted as light absorbing materials for organic-inorganic composite solar cells because of their high absorption coefficient and easy synthesis through solution process.
  •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n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and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excellent in stability and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 a first common layer provided on the first electrode
  • a light absorption layer including a compound having a perovskite structure provided on the first common layer;
  • a second common layer provided on the light absorption layer
  • a third common layer provided on the second common layer
  • a second electrode provided on the third common layer
  • the first common layer includes a first metal oxide nanoparticles
  • the second common layer includes a second metal oxide nanoparticles
  • the third common layer provides an organic-inorganic composite solar cell including a fullerene derivative.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first electrode
  • the first common layer includes a first metal oxide nanoparticles
  • the second common layer includes a second metal oxide nanoparticles
  • the third common layer provides an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a fullerene derivative.
  •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light resistance.
  •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an effect of stacking two common layers on the light absorbing layer without damaging the light absorbing layer.
  • the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absorb a wide light spectrum, thereby reducing optical energy loss and increasing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 FIG. 1 illustrates a structure of an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ure 2 show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 of the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cross-section prepar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ure 3 (a) shows the change in the short-circuit current (J sc ) with time of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solar cell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 2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ure 3 (b) shows the change in the open voltage (V oc ) with time of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solar cell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 2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ure 3 (c) shows the efficiency (PCE) change value over time of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solar cell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 2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ure 3 (d) shows the charge rate (FF) change value over time of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solar cell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 2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An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includes a first electrode
  • a first common layer provided on the first electrode
  • a light absorption layer including a compound having a perovskite structure provided on the first common layer;
  • a second common layer provided on the light absorption layer
  • a third common layer provided on the second common layer
  • a second electrode provided on the third common layer
  • the first common layer includes a first metal oxide nanoparticles
  • the second common layer includes a second metal oxide nanoparticles
  • the third common layer includes a fullerene derivative.
  • 1 illustrates a structure of an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1 illustrates a first electrode 102 on a substrate 101, a first common layer 103 on a first electrode 102, and light on the first common layer 103.
  • An absorbing layer 104 is provided, a second common layer 105 is provided on the light absorbing layer 104, a third common layer 106 is provided on the second common layer 105, and a third common layer.
  • An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electrode 107 is provided on the 106 is illustrated.
  •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laminated structure of FIG. 1, and further members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light absorbing layer includes a compound having a perovskite structure represented by Formula 1 or Formula 2.
  • a 'and 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A' and A '' are C n H 2n + 1 NH 3 + , NH 4 + , HC (NH 2 ) 2 + , Cs + , NF 4 + , It is a monovalent cation selected from NCl 4 + , PF 4 + , PCl 4 + , CH 3 PH 3 + , CH 3 AsH 3 + , CH 3 SbH 3 + , PH 4 + , AsH 4 + and SbH 4 + ,
  • M and M ' is 2 + Cu, Ni + 2, Co + 2, Fe + 2, Mn + 2, Cr + 2, Pd + 2, Cd + 2, 2 + Ge, Sn + 2, Bi 2+, respectively, and Pb + 2 and Yb 2 + 2-valent metal ion selected from,
  • n is an integer from 1 to 9
  • the compound of the perovskite structure of the light absorption layer may include a single cation.
  • a single cation means using one kind of monovalent cation. That is, in the formula (1) means that only one type of monovalent cation is selected as A.
  • a in Formula 1 may be C n H 2n + 1 NH 3 + , and n may be an integer of 1 to 9.
  • the compound of the perovskite structure of the light absorption layer may include a complex cation.
  • a composite cation means using two or more types of monovalent cations. That is, in Formula 2, A 'and A''mean that the monovalent cations different from each other are selected.
  • a ′ of Formula 2 may be C n H 2n + 1 NH 3 +
  • a ′′ may be HC (NH 2 ) 2 +
  • n may be an integer of 1 to 9.
  • the M and M ' may be Pb + 2.
  • the first common layer includes first metal oxide nanoparticles
  • the second common layer includes second metal oxide nanoparticles
  • the first metal oxide nanoparticles and the second metal oxide nanoparticles each include at least one of Ni oxide, Cu oxide, Zn oxide, Ti oxide, and Sn oxide, and the first The metal oxide nanoparticles and the second metal oxide nanoparticl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first metal oxide nanoparticle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Ni oxide and Cu oxide
  • the second metal oxide nanoparticle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Zn oxide, Ti oxide, and Sn oxide.
  • the first common layer, the second common layer, and the third common layer mean an electron transport layer or a hole transport layer, respectively.
  • the first common layer may be a hole transport layer
  • the second common layer may be a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 the second common layer may be a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 the first common layer may be an electron transport layer
  • the second common layer may be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 the third common layer may be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 the third common layer may include a fullerene derivative.
  • the third common layer is an electron transport layer.
  •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mmon layer may be 3 nm to 150 nm.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mmon layer means a width between a surface of the first common layer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and a surface of the first common layer in contact with the light absorption layer.
  •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mmon layer may be 3 nm to 150 nm.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mmon layer means a width between the surface where the second common layer is in contact with the light absorption layer and the surface where the second common layer is in contact with the third common layer.
  • the thickness of the third common layer may be 3nm to 150nm.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hickness of the third common layer means a width between the surface where the third common layer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mmon layer and the surface where the third common layer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 the thickness of the light absorption layer may be 100nm to 1000nm.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first electrode
  • the first common layer includes a first metal oxide nanoparticles
  • the second common layer includes a second metal oxide nanoparticles
  • the third common layer provides an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a fullerene derivative.
  • the forming of the first common layer includes coating a first solution including a first metal oxide nanoparticle and a first dispersant on the first electrode.
  • the forming of the second common layer includes coating a second solution including second metal oxide nanoparticles and a second dispersant on the light absorption layer.
  • the first solution and the second solution each include a nonpolar solvent.
  • the first solution and the second solution may be chlorobenzene, dichlorobenzene, xylene (xylen), benzene, hexane, diethyl ether and toluen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metal oxide nanoparticles are dispersed in a polar solvent such as an aqueous or alcohol-based compound, but a compound having a perovskite structure applied to the light absorbing layer of the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is vulnerable to the polar solvent, thus absorbing the light absorbing layer. There was a difficulty in applying the metal oxide nanoparticles onto the phase.
  • a polar solvent such as an aqueous or alcohol-based compound
  • the dispersant may mean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ersant and the second dispersant.
  • the metal oxide nanoparticles may mean at least one of the first metal oxide nanoparticles and the second metal oxide nanoparticles.
  • the dispersing agent 4-vinylpyridine (4-vinylpridine), a-methylstyrene (a-methylstyrene), butyl acrylate (butyl acrylate), polyeth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Mixtures thereof or polymers thereof.
  • the first solution includes more than 0 wt% and less than or equal to 10 wt% of the first dispersant with respect to the metal nanoparticles.
  • the dispersant satisfies the above range, there is little increase in the internal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device, thereby obtaining a high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 the second solution includes more than 0 wt% and less than or equal to 10 wt% of the second dispersant with respect to the metal nanoparticles.
  • the dispersant satisfies the above range, there is little increase in the internal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device, thereby obtaining a high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 the light absorbing layer may be formed by spin coating, slit coating, dip coating, inkjet printing, gravure printing, spray coating, doctor blade, bar coating, brush painting, or thermal deposition.
  • a fullerene derivative means a compound containing fullerene and in which some of the atoms of the fullerene are replaced by another atom or atomic group.
  • fullerene derivativ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CBM ([6,6] -phenyl-C 61 -butyric acid methyl ester), ICBA (indene-C 60 bisadduct), and ICMA (indene-C 60 monoadduct).
  • forming the third common layer includes coating a third solution including a fullerene derivative on the second common layer.
  • the fullerene derivative in the third solution may include 0.1 wt% to 5 wt%.
  • the third solution may be chlorobenze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tep of coating the first solution, the second solution and the third solution may be any method used in the art.
  • it may be spin coating, dip coating or spray coat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may further include a substrate.
  • the substrate may be provided under the first electrode.
  • the substrate may be a substrate excellent in transparency, surface smoothness, ease of handling and waterproof.
  • a glass substrate, a thin film glass substrate, or a plastic substrate may be used.
  • the plastic substrate may include a film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ether ether ketone, and polyimide in the form of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Can be.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 polyether ether ketone polyimide in the form of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 the substrate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ubstrate commonly used in an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may be used.
  • the first electrode may be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 cathode.
  • the first electrode may be a cath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n anode.
  • the first electrode may be a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may absorb light through the first electrode.
  • the first electrode When the first electrode is a transparent electrode, the first electrode is conductive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or fluorine-doped tin oxide (FTO). It may be an oxide. Further, the first electrode may be a translucent electrode. When the first electrode is a translucent electrode, the first electrode may be made of a translucent metal such as silver (Ag), gold (Au), magnesium (Mg), or an alloy thereof. When the translucent metal is used as the first electrode,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solar cell may have a microcavity structure.
  • ITO indium tin oxide
  • IZO indium zinc oxide
  • FTO fluorine-doped tin oxide
  • the first electrode may be a translucent electrode.
  • the first electrode When the first electrode is a translucent electrode, the first electrode may be made of a translucent metal such as silver (Ag), gold (Au), magnesium (Mg), or an alloy thereof.
  • the translucent metal is used as the first electrode, the organic
  • the electrode when the electrode is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layer, the electrode i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elate (PEN), polypropylene in addition to glass and quartz plate , PP), polyimide (PI), polycarbonate (PC), polystyrene (PS), polyoxyethylene (POM), AS resin (acrylonitrile styrene copolymer), ABS resi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Doped conductive materials may be used on flexible and transparent materials such as plastics including copolymers, triacetyl cellulose (TAC), polyarylate (PAR), and the like.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N polyethylene naphthelate
  • PP polyimide
  • PC polycarbonate
  • PS polystyrene
  • POM polyoxyethylene
  • AS resin acrylonitrile styrene copolymer
  • ABS resi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 ITO indium tin oxide
  • FTO fluorine doped tin oxide
  • AZO aluminum doped zinc oxide
  • IZO indium zinc oxide
  • ZnO-Ga 2 O 3 ZnO-Al 2 O 3 and antimony tin oxide (ATO)
  • ATO antimony tin oxide
  •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 metal electrode.
  • the metal electrode may be silver (Ag), aluminum (Al), platinum (Pt), tungsten (W), copper (Cu), molybdenum (Mo), gold (Au), nickel (Ni), palladium (Pd). ),
  • Magnesium (Mg), chromium (Cr), calcium (Ca) and samarium (Sm) may include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may have a nip structure.
  •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 metal electrode, an oxide / metal composite electrode, or a carbon electrode.
  • the second metal is gold (Au), silver (Ag), aluminum (Al), MoO 3 / Au, MoO 3 / Ag MoO 3 / Al, V 2 O 5 / Au, V 2 O 5 / Ag, V 2 O 5 / Al, WO 3 / Au, WO 3 / Ag or WO 3 / Al.
  • the n-i-p structure refers to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electrode,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 light absorption layer,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are sequentially stacked.
  • the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may have a p-i-n structure.
  •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 metal electrode.
  • the p-i-n structure refers to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electrode,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 absorption layer, a first electron transport layer, a second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are sequentially stacked.
  •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or a film form using sputtering, E-Beam, thermal deposition, spin coating, screen printing, inkjet printing, doctor blade or gravure printing method It can be formed by coating with.
  • the hole transport layer may be introduced through a method such as spin coating, dip coating, inkjet printing, gravure printing, spray coating, doctor blade, bar coating, gravure coating, brush painting, thermal deposition, and the like.
  • a solution containing 2 wt% of titanium dioxide (TiO 2 ) in an isopropyl alcohol (IPA) solvent was spin coated and heated at 150 ° C.
  • a light absorption layer including perovskite (FA x MA 1 - x PBI y Br 3 -y , 0 ⁇ x ⁇ 1, 0 ⁇ y ⁇ 3) was formed, and 7 wt% of Spiro-OMeTAD (2, A solution containing 2 ′, 7,7′-tetrakis (N, N-di-p-methoxyphenylamine) -9,9′-spirobifluorene) was spin coated and Ag was vacuum deposited.
  • a second solution containing 4.5 wt% zinc oxide (ZnO) and a dispersant of 8 wt% relative to the zinc oxide nanoparticles was spin coated, and heated at 100 ° C., followed by vacuum deposition of Ag.
  • Table 1 shows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ure 2 show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 of the cross-section of the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prepar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was.
  • Voc is the open voltage
  • Jsc is the short-circuit current
  • FF is the fill factor
  • PCE is th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 the open-circuit and short-circuit currents are the X- and Y-axis intercepts in the four quadrants of the voltage-current density curve, respectively. The higher these two values, the higher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 the fill factor is the area of the rectangle drawn inside the curve divided by the product of the short circuit current and the open voltage. By dividing these three values by the intensity of the emitted light, th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can be obtained, and higher values are preferable.
  • Figure 3 (a) shows the change in the short-circuit current (J sc ) with time of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solar cell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 2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ure 3 (b) shows the change in the open voltage (V oc ) with time of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solar cell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 2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ure 3 (c) shows the efficiency (PCE) change value over time of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solar cell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 2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ure 3 (d) shows the charge rate (FF) change value over time of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solar cell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 2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short-circuit current (J sc ), the open circuit voltage (V oc ), the efficiency (PCE) and the charge rate (FF) of Table 1 and 3 are 85 °C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solar cell prepared in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2 After storage for 2 hours in a vacuum oven, it was taken out and measured under 1SUN (100mW / cm 2 ), which is the reference light quantity of a solar simulat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구비된 제1 공통층; 상기 제1 공통층 상에 구비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흡수층; 상기 광흡수층 상에 구비된 제2 공통층; 상기 제2 공통층 상에 구비된 제3 공통층; 및 상기 제3 공통층 상에 구비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통층은 제1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공통층은 제2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공통층은 플러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및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제조방법
본 출원은 2016년 09월 23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6-0122344호 및 2017년 9월 15일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7-0118790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는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및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에너지의 고갈과 이의 사용에 의한 지구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태양에너지, 풍력, 수력과 같은 재생 가능하며, 청정한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중에서 태양 빛으로부터 직접 전기적 에너지를 변화시키는 태양전지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태양전지란 태양빛으로부터 광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자와 정공을 발생하는 광기전 효과를 이용하여 전류-전압을 생성하는 전지를 의미한다.
유-무기 복합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은 흡광 계수가 높고, 용액 공정을 통해 쉽게 합성이 가능한 특성 때문에 최근에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광흡수 물질로서 각광 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적용한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의 경우, 내열, 내광 특성 등의 신뢰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유기물 기반 공통층 대신, 금속 산화물 기반 공통층을 적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명세서는 안정성 및 에너지 변환 효율이 우수한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및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구비된 제1 공통층;
상기 제1 공통층 상에 구비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흡수층;
상기 광흡수층 상에 구비된 제2 공통층;
상기 제2 공통층 상에 구비된 제3 공통층; 및
상기 제3 공통층 상에 구비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통층은 제1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공통층은 제2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공통층은 플러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일 실시상태는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상에 제1 공통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공통층 상에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흡수층 상에 제2 공통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공통층 상에 제3 공통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공통층 상에 구비된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통층은 제1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공통층은 제2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공통층은 플러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는 내광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는 광흡수층의 손상 없이, 광흡수층 상에 2층의 공통층이 적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는 넓은 광스펙트럼을 흡수할 수 있어, 광 에너지 손실이 줄고, 에너지 변환 효율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상태에 따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의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단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의 시간에 따른 단락전류(Jsc) 변화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의 시간에 따른 개방전압(Voc) 변화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3(c)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의 시간에 따른 효율(PCE) 변화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3(d)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의 시간에 따른 충전율(FF) 변화 값을 나타낸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1: 기판
102: 제1 전극
103: 제1 공통층
104: 광흡수층
105: 제2 공통층
106: 제3 공통층
107: 제2 전극
이하 본 명세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하여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유-무기 복합태양전지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구비된 제1 공통층;
상기 제1 공통층 상에 구비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흡수층;
상기 광흡수층 상에 구비된 제2 공통층;
상기 제2 공통층 상에 구비된 제3 공통층; 및
상기 제3 공통층 상에 구비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통층은 제1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공통층은 제2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공통층은 플러렌 유도체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의 구조를 예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1은 기판(101) 상에 제1 전극(102)이 구비되고, 제1 전극(102) 상에 제1 공통층(103)이 구비되고, 제1 공통층(103) 상에 광흡수층(104)이 구비되고, 광흡수층(104) 상에 제2 공통층(105)이 구비되고, 제2 공통층(105) 상에 제3 공통층(106)이 구비되고, 제3 공통층(106) 상에 제2 전극(107)이 구비된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따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는 도 1의 적층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추가의 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1]
AMX3
[화학식 2]
A'yA''(1-y)M'X'ZX''(3-z)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에 있어서,
A' 및 A''은 서로 상이하고, A, A' 및 A''은 각각 CnH2n + 1NH3 +, NH4 +, HC(NH2)2 +, Cs+, NF4 +, NCl4 +, PF4 +, PCl4 +, CH3PH3 +, CH3AsH3 +, CH3SbH3 +, PH4 +, AsH4 + 및 SbH4 +에서 선택되는 1가의 양이온이며,
M 및 M'은 각각 Cu2 +, Ni2 +, Co2 +, Fe2 +, Mn2 +, Cr2 +, Pd2 +, Cd2 +, Ge2 +, Sn2 +, Bi2+, Pb2 + 및 Yb2 + 에서 선택되는 2가의 금속 이온이고,
X, X' 및 X''은 각각 할로겐 이온이며,
n은 1 내지 9의 정수이고,
0<y<1이며,
0<z<3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화합물은 단일 양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일 양이온이란, 한 종류의 1가 양이온을 사용한 것을 의미한다. 즉, 화학식 1에 있어서 A로 한 종류의 1가 양이온만 선택된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화학식 1의 A는 CnH2n + 1NH3 + 이고, n은 1 내지 9의 정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화합물은 복합 양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복합 양이온이란, 두 종류 이상의 1가 양이온을 사용한 것을 의미한다. 즉, 화학식 2에 있어서 A'및 A''으로 각각 서로 상이한 1가 양이온이 선택된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화학식 2의 A'은 CnH2n + 1NH3 +, A''은 HC(NH2)2 +이고, n은 1 내지 9의 정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M 및 M'은 Pb2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층은 제1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공통층은 제2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 및 상기 제2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는 각각 Ni 산화물, Cu 산화물, Zn 산화물, Ti 산화물 및 Sn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와 상기 제2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는 서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는 Ni 산화물 및 Cu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는 Zn 산화물, Ti 산화물 및 Sn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층, 제2 공통층, 제3 공통층은 각각 전자수송층 또는 정공수송층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층은 정공수송층이고, 상기 제2 공통층은 제1 전자수송층이며, 상기 제2 공통층은 제2 전자수송층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층은 전자수송층이고, 상기 제2 공통층은 제1 정공수송층이며, 상기 제3 공통층은 제2 정공수송층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3 공통층은 플러렌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공통층은 전자수송층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층의 두께는 3nm 내지 150nm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1 공통층의 두께는 제1 공통층이 제1 전극에 접하는 표면과, 제1 공통층이 광흡수층에 접하는 표면 사이의 너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공통층의 두께는 3nm 내지 150nm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2 공통층의 두께는 제2 공통층이 광흡수층에 접하는 표면과, 제2 공통층이 제3 공통층에 접하는 표면 사이의 너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3 공통층의 두께는 3nm 내지 150nm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3 공통층의 두께는 제3 공통층이 제2 공통층에 접하는 표면과, 제3 공통층이 제2 전극에 접하는 표면 사이의 너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의 두께는 100nm 내지 1000nm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일 실시상태는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상에 제1 공통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공통층 상에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흡수층 상에 제2 공통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공통층 상에 제3 공통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공통층 상에 구비된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통층은 제1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공통층은 제2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공통층은 플러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극 상에 제1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와 제1 분산제를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공통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광흡수층 상에 제2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와 제2 분산제를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은 각각 무극성 용매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은 각각 클로로벤젠, 다이클로로벤젠, 자일렌(xylen), 벤젠, 헥세인, 다이에틸이써 및 톨루엔 등이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는 수계, 알코올계 등 극성 용매에 분산이 되어 있는데,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의 광흡수층에 적용되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화합물의 경우 극성 용매에 취약하여, 광흡수층 상에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를 적용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서는 분산제를 포함함으로써,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흡수층 상부에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가 포함된 무극성 용매의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분산제는 제1 분산제 및 제2 분산제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는 제1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 및 제2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4-비닐피리딘(4-vinylpridine), a-메틸스타이렌(a-methylstyrene),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폴리에틸렌글라이콜(polyethylene glycol),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중합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액은 상기 제1 분산제를 상기 금속 나노 입자 대비 0wt% 초과, 10wt% 이하로 포함한다. 분산제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소자 내부 전기적 저항 상승이 적어져, 높은 광전변환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액은 상기 제2 분산제를 상기 금속 나노 입자 대비 0wt% 초과, 10wt% 이하로 포함한다. 분산제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소자 내부 전기적 저항 상승이 적어져, 높은 광전변환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스핀 코팅, 슬릿 코팅, 딥 코팅,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아 프린팅, 스프레이 코팅, 닥터 블레이드, 바 코팅, 브러쉬 페인팅 또는 열증착 방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플러렌 유도체는 플러렌을 포함하고, 플러렌의 원자 중 일부가 다른 원자 또는 원자단에 의하여 치환된 화합물을 의미한다. 플러렌 유도체의 예로는 PCBM([6,6]-phenyl-C61-butyric acid methyl ester), ICBA(indene-C60 bisadduct) 및 ICMA(indene-C60 monoadduct)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제3 공통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플러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제3 용액을 제2 공통층 상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3 용액 내 플러렌 유도체는 0.1wt% 내지 5wt%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3 용액은 클로로벤젠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액, 제2 용액 및 제3 용액을 코팅하는 단계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예컨대, 스핀 코팅, 딥 코팅 또는 스프레이 코팅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는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은 제1 전극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투명성, 표면평활성, 취급 용이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 기판, 박막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ht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및 폴리이미드(polyimide) 등의 필름이 단층 또는 복층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판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애노드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캐소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은 캐소드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애노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투명 전극이고, 상기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는 상기 제1 전극을 경유하여 빛을 흡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이 투명 전극인 경우, 상기 제1 전극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tin oxide, ITO), 인듐아연산화물(IZO) 또는 불소함유 산화주석(flourine-doped tin oxide, FTO)등과 같은 전도성 산화물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전극은 반투명전극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전극이 반투명 전극인 경우, 은(Ag), 금(Au), 마그네슘(Mg) 또는 이들의 합금 같은 반투명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투명 금속이 제1 전극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는 미세공동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투명 전도성 산화물층인 경우 상기 전극은 유리 및 석영판 이외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elate, PEN),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 POM), AS 수지 (acrylonitrile styrene copolymer), ABS 수지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및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등을 포함하는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하고 투명한 물질 위에 도전성을 갖는 물질이 도핑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화주석인듐(indium tin oxide, ITO), 플루오린이 도핑된 틴 옥사이드(fluorine doped tin oxide; FTO), 알루미늄이 도핑된 징크 옥사이드 (aluminium doped zinc oxide, AZO), IZO(indium zinc oxide), ZnO-Ga2O3, ZnO-Al2O3 및 ATO(antimony tin oxide) 등이 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ITO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금속 전극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 전극은 은(Ag), 알루미늄(Al), 백금(Pt), 텅스텐(W), 구리(Cu), 몰리브덴(Mo), 금(Au), 니켈(Ni), 팔라듐(Pd), 마그네슘(Mg), 크롬(Cr), 칼슘(Ca) 및 사마륨(S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가 n-i-p 구조일 수 있다. 본 명세서 따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가 n-i-p 구조인 경우, 상기 제2 전극은 금속 전극, 산화물/금속 복합체 전극 또는 탄소 전극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금속은 금(Au), 은(Ag), 알루미늄(Al), MoO3/Au, MoO3/Ag MoO3/Al, V2O5/Au, V2O5/Ag, V2O5/Al, WO3/Au, WO3/Ag 또는 WO3/Al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n-i-p 구조는 제1 전극, 전자수송층, 광흡수층, 제1 정공수송층, 제2 정공수송층 및 제2 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가 p-i-n 구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따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가 p-i-n 구조인 경우, 상기 제2 전극은 금속 전극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p-i-n 구조는 제1 전극, 정공수송층, 광흡수층, 제1 전자수송층, 제2 전자수송층 및 제2 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자수송층은 스퍼터링, E-Beam, 열증착, 스핀 코팅,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닥터 블레이드 또는 그라비아 프린팅법을 사용하여 제1 전극의 일면에 도포되거나 필름 형태로 코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정공수송층이 스핀 코팅, 딥 코팅, 잉크젯 프린팅, 그라비아 프린팅, 스프레이 코팅, 닥터 블레이드, 바 코팅, 그라비아 코팅, 브러쉬 페인팅, 열증착 등의 방법을 통해 도입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산화주석인듐(ITO)이 스퍼터링된 무알칼리 유리기판 상에 4.5wt%의 산화니켈(NiO) 및 산화니켈 나노 입자 대비 8wt%의 분산제가 자일렌(xylene)에 포함된 제1 용액을 스핀 코팅한 후 150℃에서 가열하였다. 그 후 페로브스카이트(FAxMA1 -xPBIyBr3-y, 0<x<1, 0<y<3)를 포함하는 광흡수층을 형성한 후 4.5wt%의 산화아연(ZnO) 및 산화아연 나노 입자 대비 8wt%의 분산제가 포함된 제2 용액을 스핀 코팅하고, 100℃에서 가열하였다. 추가로, PCBM((6,6)-phenyl-C-butyric acid-methyl ester)을 포함하는 용액을 스핀 코팅한 후 Ag를 진공증착하였다.
비교예 1.
산화주석인듐(ITO)이 스퍼터링된 무알칼리 유리기판 상에 2wt%의 이산화티타늄(TiO2)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IPA)용매에 포함된 용액을 스핀 코팅한 후 150℃에서 가열하였다. 그 후 페로브스카이트(FAxMA1 - xPBIyBr3 -y, 0<x<1, 0<y<3)를 포함하는 광흡수층을 형성한 후 7wt%의 Spiro-OMeTAD(2,2′,7,7′-tetrakis(N,N-di-p-methoxyphenylamine)-9,9′-spirobifluorene)가 포함된 용액을 스핀 코팅하고, Ag를 진공증착하였다.
비교예 2.
산화주석인듐(ITO)이 스퍼터링된 무알칼리 유리기판 상에 4.5wt%의 산화니켈(NiO) 및 산화니켈 나노 입자 대비 8wt%의 분산제가 자일렌(xylene)에 포함된 제1 용액을 스핀 코팅한 후 150℃에서 가열하였다. 그 후 페로브스카이트(FAxMA1 -xPBIyBr3-y, 0<x<1, 0<y<3)를 포함하는 광흡수층을 형성한 후 PCBM을 포함하는 용액을 스핀 코팅하였다. 추가로, 4.5wt%의 산화아연(ZnO) 및 산화아연 나노 입자 대비 8wt%의 분산제가 포함된 제2 용액을 스핀 코팅하고, 100℃에서 가열한 후 Ag를 진공증착하였다.
표 1에는 본 명세서의 실시상태에 따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의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도 2에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단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PCE(%) Jsc(mA/cm2) Voc(V) FF(%)
실시예 4.4 10.43 1.01 42.0
비교예 1 0.0 0.96 0.01 0.2
비교예 2 1.3 3.0 0.7 59.0
표 1에서 Voc는 개방전압을, Jsc는 단락전류를, FF는 충전율(Fill factor)를, PCE는 에너지 변환 효율을 의미한다. 개방전압과 단락전류는 각각 전압-전류 밀도 곡선의 4사분면에서 X축과 Y축 절편이며, 이 두 값이 높을수록 태양전지의 효율은 바람직하게 높아진다. 또한 충전율(Fill factor)은 곡선 내부에 그릴 수 있는 직사각형의 넓이를 단락전류와 개방전압의 곱으로 나눈 값이다. 이 세 가지 값을 조사된 빛의 세기로 나누면 에너지 변환 효율을 구할 수 있으며, 높은 값일수록 바람직하다.
도 3(a)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의 시간에 따른 단락전류(Jsc) 변화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의 시간에 따른 개방전압(Voc) 변화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3(c)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의 시간에 따른 효율(PCE) 변화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3(d)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의 시간에 따른 충전율(FF) 변화 값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1 및 도 3의 단락전류(Jsc), 개방전압(Voc), 효율(PCE) 및 충전율(FF)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를 85℃ 진공 오븐에서 2시간 보관한 후 꺼내어 솔라시뮬레이터(solar simulator)의 기준 광량인 1SUN(100mW/cm2)하에서 측정하였다.

Claims (10)

  1.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구비된 제1 공통층;
    상기 제1 공통층 상에 구비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흡수층;
    상기 광흡수층 상에 구비된 제2 공통층;
    상기 제2 공통층 상에 구비된 제3 공통층; 및
    상기 제3 공통층 상에 구비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통층은 제1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공통층은 제2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공통층은 플러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화학식 1]
    AMX3
    [화학식 2]
    A'yA''(1-y)M'X'ZX''(3-z)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에 있어서,
    A' 및 A''은 서로 상이하고, A, A' 및 A''은 각각 CnH2n + 1NH3 +, NH4 +, HC(NH2)2 +, Cs+, NF4 +, NCl4 +, PF4 +, PCl4 +, CH3PH3 +, CH3AsH3 +, CH3SbH3 +, PH4 +, AsH4 + 및 SbH4 +에서 선택되는 1가의 양이온이며,
    M 및 M'은 각각 Cu2 +, Ni2 +, Co2 +, Fe2 +, Mn2 +, Cr2 +, Pd2 +, Cd2 +, Ge2 +, Sn2 +, Bi2+, Pb2 + 및 Yb2 + 에서 선택되는 2가의 금속 이온이고,
    X, X' 및 X''은 각각 할로겐 이온이며,
    n은 1 내지 9의 정수이고,
    0<y<1이며,
    0<z<3이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 및 제2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는 각각 Ni 산화물, Cu 산화물, Zn 산화물, Ti 산화물 및 Sn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와 제2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는 서로 상이한 것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는 Ni 산화물 및 Cu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는 Zn 산화물, Ti 산화물 및 Sn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6.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상에 제1 공통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공통층 상에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흡수층 상에 제2 공통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공통층 상에 제3 공통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공통층 상에 구비된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통층은 제1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공통층은 제2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공통층은 플러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극 상에 제1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와 제1 분산제를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공통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광흡수층 상에 제2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와 제2 분산제를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액 및 제2 용액은 각각 무극성 용매를 포함하는 것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액은 상기 제1 분산제를 상기 금속 나노 입자 대비 0wt% 초과, 10wt% 이하로 포함하는 것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제조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액은 상기 제2 분산제를 상기 금속 나노 입자 대비 0wt% 초과, 10wt% 이하로 포함하는 것인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제조방법.
PCT/KR2017/010240 2016-09-23 2017-09-19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및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제조방법 WO2018056667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502222A JP6763560B2 (ja) 2016-09-23 2017-09-19 有機−無機複合太陽電池および有機−無機複合太陽電池の製造方法
US16/320,994 US20190180946A1 (en) 2016-09-23 2017-09-19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CN201780049866.3A CN109643761B9 (zh) 2016-09-23 2017-09-19 有机-无机杂化太阳能电池和用于制造有机-无机杂化太阳能电池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22344 2016-09-23
KR10-2016-0122344 2016-09-23
KR1020170118790A KR20180033074A (ko) 2016-09-23 2017-09-15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및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제조방법
KR10-2017-0118790 2017-09-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6667A1 true WO2018056667A1 (ko) 2018-03-29

Family

ID=6168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0240 WO2018056667A1 (ko) 2016-09-23 2017-09-19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및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05666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7045A (ko) * 2012-07-05 2014-01-16 한국화학연구원 나노구조 유-무기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KR20150011002A (ko) * 2012-05-18 2015-01-29 아이시스 이노베이션 리미티드 혼합 음이온을 갖는 유기금속 페로브스카이트를 갖는 광전자 장치
KR101497277B1 (ko) * 2014-06-17 2015-02-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52662B1 (ko) * 2014-04-16 2015-09-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용 정공주입/수송층 제조 방법
KR20150122598A (ko) * 2014-04-23 2015-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무기 하이브리드 태양 전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1002A (ko) * 2012-05-18 2015-01-29 아이시스 이노베이션 리미티드 혼합 음이온을 갖는 유기금속 페로브스카이트를 갖는 광전자 장치
KR20140007045A (ko) * 2012-07-05 2014-01-16 한국화학연구원 나노구조 유-무기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KR101552662B1 (ko) * 2014-04-16 2015-09-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용 정공주입/수송층 제조 방법
KR20150122598A (ko) * 2014-04-23 2015-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무기 하이브리드 태양 전지
KR101497277B1 (ko) * 2014-06-17 2015-02-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50320A1 (ko) 광투과도가 우수한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KR102295772B1 (ko)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및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제조방법
WO2018012825A1 (ko)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WO2014200312A1 (ko) 유기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105053A1 (ko)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모노리식 타입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1090300A2 (ko) 다양한 종류의 나노입자를 함유한 적층형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4200309A1 (ko) 유기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167225A1 (ko) 유기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310729A (ja) 有機薄膜太陽電池
WO2012132828A1 (ja) 有機光電変換素子の製造方法
WO2014171615A1 (ko)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167230A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215990A1 (ko)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탠덤 태양 전지
WO2019039779A1 (ko) 유기 태양전지
WO2017217727A1 (ko) 유기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0107261A2 (ko)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WO2015163658A1 (ko) 적층형 유기태양전지
WO2010110590A2 (ko)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WO2018016886A1 (ko)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용 적층체 제조방법 및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제조방법
WO2019039907A2 (ko) 유기전자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069546A1 (ko) 금속 산화물 전자수집층의 일함수 저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역구조 유기 태양전지 및 상기 역구조 유기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JP2006278582A (ja) 有機薄膜太陽電池
US20160268532A1 (en)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8056667A1 (ko)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및 유-무기 복합 태양전지 제조방법
WO2017155362A1 (ko) 유기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533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0222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533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