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217578A1 - 차량용 제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217578A1
WO2017217578A1 PCT/KR2016/006896 KR2016006896W WO2017217578A1 WO 2017217578 A1 WO2017217578 A1 WO 2017217578A1 KR 2016006896 W KR2016006896 W KR 2016006896W WO 2017217578 A1 WO2017217578 A1 WO 201721757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output
instrument panel
panel display
vehic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68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상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721757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2175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06F3/1462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with means for detecting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 stored in the host and the images displayed on the remote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9Instrument input by detecting viewing direc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2Distributing information between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4Displaying the same information on different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4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user being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special location or mounting of sensors
    • B60W2422/5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special location or mounting of sensors on a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5Direction of ga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1Multimod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enabling the user to issue commands by simultaneous use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nature, e.g. voice plus gesture on digitiz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trol apparatus provided in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a vehicle is a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can move people or luggage using kinetic energy.
  •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vehicle is a car.
  •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sensors and devices, the function of the vehicle is diversified.
  • the functions of the vehicle can be divided into convenience functions for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and safety functions for the safety of the driver and / or the pedestrian.
  • the convenience function has development motivation related to driver comfort, such as giving infotainment (entertainment + entertainment) function to the vehicle, supporting partial autonomous driving function, or helping the driver's vision such as night vision or blind spot.
  • driver comfort such as giving infotainment (entertainment + entertainment) function to the vehicle, supporting partial autonomous driving function, or helping the driver's vision such as night vision or blind spot.
  • ACC active cruise control
  • S smart parking assist system
  • NV night vision
  • HUD head up display
  • AVM adaptive headlight system
  • AHS adaptive headlight system
  • Safety features are technologies that ensure driver safety and / or pedestrian safety, including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LDWS), lane keeping assist system (LKAS), and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EB).
  • LDW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 LKAS lane keeping assist system
  • AEB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 buttons for manipulating electrical equipment provided in a vehicle such as an audio or air conditioner were provided in a center fascia located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 seat.
  • the functions implemented in the vehicle are diversified, there is a need to operate various functions, and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buttons cannot control various functions.
  • the center fascia is provided with a display instead of buttons and a user interface for operating various functions through the display.
  • the instrument cluster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of a vehicle is also changed from an analog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a needle to a digital method using a displa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a variety of information to the driver using the plurality of displays provided in the vehicle, while allowing the vehicle to observe the front of the vehicle.
  • Still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ich enable the driver to provide information desired by the driver based on the driver's gaze.
  • Still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speed informa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information that a driver should receive in controlling an instrument panel display configured to display speed information of a vehicle.
  • the vehicle control device includes a vehicl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displays provided in a vehicle,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configured to display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sensor for tracking the eyes of a driver in a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such that the content being output from any one is output from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when the gaze is dir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is output from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when the gaze faces the one while the first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is output to the one. You can control the display.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of the instrument panel so that the second execution screen is output to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and adjust the size of the second execution screen based on the predetermined region. Can be.
  • the size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first execution screen may be different from the size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second execution screen.
  • the control unit may adjust the size of the speed information based on the size of the second execution screen when the second execution screen is output to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 the application is a navigation to guide the route using a map image
  • the scale applied to the first execution screen and the scale applied to the second execution screen may be different.
  • the controller may limit the output from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if the content output from any one does not satisfy a predetermined condition.
  • control unit at least one of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and any one of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tent that is output from any one does not meet a predetermined condition, the output from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Can be output to
  •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to select some content that the gaze is gazed from among a plurality of contents output from the one, and to output the selected partial content on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can do.
  • guide information for guiding the selected partial content may be output to the one.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to output the selected partial content on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 the content output from any one may include a main graphic object linked to a control function, and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b graphic corresponding to the main graphic object when the gaze faces the one.
  •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may be controlled to output an object to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and the main graphic object and the sub graphic object may be linked to the same control function.
  • the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unit provided in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rovide a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unit while the sub graphic object is displayed on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 the control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sub graphic object may be executed.
  • the controller may execute a control function link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b-graphic objects based on the user input.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such that the content disappears from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ontent is output from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can be controlled so as not to be supported.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such that the speed limit of the road where the vehicle is located is additionally output when the gaze gazes at the speed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to be output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and output in a list form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plurality of contents gazed at the gaze.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such that the first content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is output from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when the gaze faces the first display.
  •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may be controlled such that the first content disappears from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and the second content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is output. .
  • the information outputted from any one is output to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and the line of sight is displayed while the vehicle is stopped. In the case of facing one, the information output from any one may not be output to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ended to a vehicle including at least one vehicle control device described above. That is,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vehicle control apparatus described above.
  • the driver can receive information of interest through the instrument cluster display because the information being output from the specific display is duplicated and output on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just by the driver looking at the specific display. Because the information of interest is output to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the driver can check the information of interest with the front in sight, and the environment outside the windshield is prevented from disappearing from the driver's field of view while checking the information of interest.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apparatu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displays provided in a vehicle.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line of sight faces a display in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to 6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the control method of FIG.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performing different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content stared by a driver.
  • 8A and 8B are exemplary diagrams for describing the control method of FIG. 7.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line of sight is directed to an object rather than a display in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10A to 10D are exemplary diagrams for describing the control method of FIG. 9.
  • FIG. 1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contents gazed by a driver's gaze are output in a list format according to an order of gazing.
  • 12A and 12B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part of content being stared is copied and displayed on an instrument panel display.
  • FIG. 1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vehicle control apparatus when an instrument panel display is stared.
  • FIG. 1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 vehicle control apparatus when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 15A, 15B, 15C, and 15D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graphic objects are duplicated and displayed on an instrument panel display.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described herein is an apparatus for electronically controlling at least one component provided in the vehicle, and for example, may be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 In-vehicle control devices include mobile phones, smart phones, laptop computer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navigation, slate PCs, and tablet PCs.
  •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 PMP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 slate PCs slate PCs
  • tablet PCs tablet PCs.
  • a mobile terminal such as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as well as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 digital signage, and the like may appear.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 controller 180, and a power supply unit ( 190) and the like.
  •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to implementing a vehicular control device, such that the vehicular control device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components, between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and another vehicle control device, or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and the outside It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servers.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to one or more networks.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 audio input unit, or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 Touch keys, mechanical keys, and the like.
  • the voice data or the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control command of the user.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and user information.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n illumination sensor,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gravity.
  • Optical sensors e.g. cameras 121), microphones (see 122), battery gauges, environmental sensors (e.g.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use a combination of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 the output unit 150 is used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unit 152, a hap tip module 153, and an optical output unit 154. can do.
  • the display unit 151 forms a layer structure with o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uch sensor, thereby implementing a touch screen.
  •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user, and may also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user.
  • 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th to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 the interface unit 160 connects a device equipped with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an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 I / O audio input / output
  • I / O video input / output
  • earphone port an earphone port
  •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data for operating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and instruction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basic functions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for example, incoming / outgoing / outgoing function / message reception / outgoing function). have.
  •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and installed o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to be driven by the controller 180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 the controller 180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or process information or a function appropriate to a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which ar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A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which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o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or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have.
  •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vehicle related information.
  • the vehicle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vehicle control information for direct control of the vehicle or vehicle driving assistance information for driving guide to the driver.
  • the vehicle 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vehicle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a current state of a vehicle or vehicle driving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of the vehicle.
  •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 the displa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3D display and an electronic ink display.
  •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paced apart or integral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at senses a touch on the display unit 151 so as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by a touch method.
  •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display and a touch sensor, and the display and the touch sensor may be organically operat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 the touch sensor may sense the touch, and the controller 180 may generate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based on the touch sensor.
  • the controller 180 may detect a touch applied to the touch sensor even when the display is turned off and perform a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touch.
  • the content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letters or numbers or menu items that can be indicated or designated in various modes.
  • the display unit 151 may form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touch sensor.
  •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the user input unit 123 (see FIG. 1A).
  •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cluster so that the driver can check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or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while driving.
  • the cluster can be located on the dashboard. In this case, the driver can check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cluster while keeping the gaze in front of the vehicle.
  • the display unit 151 may be implemented as a head up display (HUD).
  • HUD head up display
  • information may be output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provided in the wind shield.
  •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projection module to output information through an image projected on the wind shield.
  •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transparent display.
  • the transparent display may be attached to the wind shield.
  • the transparent display may display a predetermined screen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transparency.
  • Transparent display in order to have transparency, transparent display is transparent thin film elecroluminescent (TFEL), transpar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LCD), transmissive transparent display, transparent light emitting diode (LED) displa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transparency of the transparent display can be adjusted.
  • At least some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in ord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o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a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displays provided in a vehicle.
  • the plurality of displays are installed at different locations and display different kinds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stalled locations. That is, the plurality of displays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installed positions.
  • the plurality of displays may include a dashboard display 210, a head up display (HUD, 220), a center information display (CID, 230), a center fascia display 240, a rearview mirror display 250, a side mirror display ( 260, a passenger seat display 270, and a steering wheel display 280.
  •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210 is a device for safely driving the vehicle by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to the driver. Located at the back of the steering wheel based on the driver's seat, a speedometer indicating the driving speed, a tripmeter indicating the mileage, a tachometer indicating the engine's rotation speed, a gas gauge, a water thermometer, the engine Thermometers, various warning lamps (warning lamp) is output through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210.
  • the head-up display 220 is a device for projecting a virtual image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and minimizes the need for the driver to move the eyes to another place such as the speed, fuel level, and road guidanc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be.
  • the display positioned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i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may be referred to as a center information display 230 and / or a center fascia display 240.
  • the center information display 230 and the center fascia display 240 When any one of the center information display 230 and the center fascia display 240 is provided in the vehicle, the one guides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or outputs a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A user interface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devices can be output.
  • the screen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may be displayed on any one of the above.
  • the center fascia display 240 is positioned under the center information display 230.
  • the center information display 230 outputs a map image
  • the center fascia display 240 outputs a user interface related to control of various devices provided in the vehicle. That is, the driver may check the route using the center information display 230 and input a control command related to temperature control, air volume control, audio, etc. in the vehicle using the center fascia display 240.
  • the rearview mirror display 250 is a display that performs the role of the rearview mirror.
  • the rearview mirror display 250 outputs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positioned to face the rear of the vehicle.
  •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ze naturally faces is forward,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ze faces is defined as rear.
  • the side mirror display 260 refers to a display serving as a side mirror.
  • the side mirror display 260 is similar to the rearview mirror display 250 in that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positioned to face the rear of the vehicle is output, but provides a different view than the rearview mirror display 250.
  • the side mirror display 260 outputs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located rearward from the side of the vehicle, at least a part of the side mirror display 260 may be included in the image output to the side mirror display 260.
  • the image output to the rearview mirror display 250 does not include the side of the vehicle.
  • the side of the vehicle refers to the surface provided with a door (door) in the vehicle.
  • the passenger seat display 270 is located in front of the passenger in the passenger seat.
  • the passenger seat display 270 is not for a driver but for a passenger in a passenger seat, and thus can output a video regardless of whether the vehicle is driven or not.
  • the steering wheel display 280 is located on the steering wheel and allows the driver to easily input a user input while controll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using the steering wheel. For example, when the volume adjustment function is executed, the volume up object and the volume down object are displayed on the steering wheel display 280, and the driver may adjust the volume using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steering wheel display 280.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line of sight faces a display in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S. 4 to 6 are exemplary views for describing the control method of FIG. 3.
  • the control unit tracks the eyes of the driver in the driver's seat (S310). Specifically, when the vehicle is turned on, the controller activates the driver's eye tracking, that is, eye tracking, and calculates the eye gaze position in real time.
  • Eye tracking is a technology that tracks the eyes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eyes, such as image analysis method, contact lens method, sensor attachment method.
  • the video analysis method detects eye movement through analysis of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and calculates a driver's gaze from the detected motion.
  • the contact lens method calculates the driver's gaze by using reflected light of a mirror-embedded contact lens or a magnetic field of a coil-embedded contact lens.
  • the sensor attachment method attaches a sensor around the driver's eyes to detect a change in the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eye's movement, and calculates the driver's gaze based on the detected change.
  • the vehicle and / or vehicle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sensor for tracking the driver's gaze i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 the sensor may track the driver's eyes and transmit the result to the controller, or the controller may track the eyes of the driver u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 the controller determines whi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provided in the vehicle is directed (S330).
  • the controller may detect a specific object that the driver is looking at based on the tracked driver's gaze.
  • the controller may extract a specific object that the driver is looking at by using a two-dimensional and / or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stored in the memory. For example, when the volume adjusting device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coordinates and the driver's gaze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driver is looking at the volume adjusting device.
  • the control unit may detect which object outside the vehicle is looking at.
  •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the gaze position of the driver using the coordinate system stored in the memory and search for which object is located at the calculated gaze position.
  • the controller detects an object located at a gaze position by using a sensor such as a camera, a radar, or a rider facing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information such as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detected object, the size, color, speed, and type of the object.
  • the controller may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displays provided in the vehicle based on the gaz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s on which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are output, any one of the displays facing the driver is selected.
  •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210 is controlled to output the content being output from any one (S350).
  • instrument panel display 210 is configured to display speed information of a vehicle.
  •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outputs various information that the driver must provide.
  • the operator panel must be located within the line of sight toward the windshield because the operator must look at the situation outside the windshield and check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Since both eyes of the person are spaced from side to side, the view of the person is wider from side to side than up and down,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210 is located below the windshield.
  • the kind of information that may be output from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210 is limited.
  • the driver may be provided with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head-up display 220 while watching the front, but the head-up display 220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output method of projecting a virtual image on the windshield.
  •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can be provided to the driver by the driver is limited.
  • the driver may be provided with other displays 230-280 using information that cannot be provided from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210 and / or the head up display 220. do.
  • the controller duplicates the content being output from the specific display 230-280 that the driver is looking at and outputs the duplicated content to the dashboard display 210.
  • the content that is being output from the specific display is duplicated and output from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210. If a particular display is stared for shorter than the reference time, the content that was being output from the particular display is not output from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210. This is to prevent unnecessary information from being copied to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210 and displayed to the driver.
  • the content is defined as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or its contents.
  • the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haracter, a sign, an image, and an image.
  • Replicating content includes reconstructing the content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content, as well as copying the original in the same size, or zooming in / out.
  • the content being output from the display that the driver is looking at is referred to as 'original content', and the content being copied and output to the dashboard display 210 is referred to as 'replica content'.
  • the original content and the replica content may have the same shape and shape, or may have different shapes and shapes. Even if the original content and the replica content have different shapes and shapes, the driver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e original content through the replica content.
  •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210 may be output the necessary information that must be output and the selection information that is selectively output.
  • the speed information for guiding the speed of the vehicle is included in essential information that must be output from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210.
  • the distance, instantaneous fuel economy and average fuel economy that can be driven based on the fuel flow rate may be included in the selection information that does not need to be output to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210.
  • Required information and optional inform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country i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and / or the country in which the vehicle is registered.
  • the output of the essential information is maintained, and the selection information may disappear from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210.
  • the selection information may be replaced with the replica content.
  • the controller when the driver's gaze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display while the first execution screen of the first application is output on the first display, the controller outputs the second execution screen of the first application on the dashboard display 210.
  •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210 may be controlled to be able to. That is, information of substantially the same contents provided from the same application may be output from the one display to the first execution screen and simultaneously output from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210 to the second execution screen. In this case,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210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second execution screen and the essential information.
  • the application is a concept including a widget, a home launcher, etc., and means any type of program that can be driven in a vehicle. Accordingly, the application may be configured by using an 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navigation, weather, camera in / outside the vehicle, video recording, radio, web browser, audio playback, video playback, message transmission, schedule management, application It can be a program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update.
  • 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 the dashboard display 410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420 and 4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vehicle.
  • the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420, and the rear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disposed to face the rear of the vehicle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430.
  • a sensor for tracking the driver's gaze is provided inside the vehicle, and the controller may track the driver's gaze using the sensor.
  • the driver Since the first execution screen 220 of the map application is output on the first display 420, the driver has no choice but to check the first display 420 to confirm his route.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410 to output the second execution screen of the map application.
  • the manner in which the replica content is output depends on whether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is a variable display fixed display.
  • the variable display refers to a display in which a region in which essential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a region in which selec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are variable
  • a fixed display is a display in which a size and a position of a region in which essential information is to be displayed are fixed.
  • variable display in which the essential information is displayed is variable, so that the size of the essential information can be adjusted.
  •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410a may output a speedometer 510 and a tachometer 520 corresponding to essential information, and a driving distance, instantaneous fuel economy and average fuel economy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530. have.
  • the type of essential information and selection informa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 the type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ssential inform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vehicle, the country in which the vehicle is driven, and the country in which the vehicle is registered.
  • the tachometer 520 may be included in the selection information instead of the essential information.
  • the controller displays the second execution screen 540 of the first application on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410a. Output to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size of the essential information based on the size of the second execution screen.
  • the second execution screen 540 is output to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410a.
  • the size of the essential information is The size of the second execution screen 540 may be reduced (510 ⁇ 510 ', 520 ⁇ 520').
  • the size of the essential information may be enlarged to match the size of the second execution screen 540.
  •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410b may be a fixed display in which an area where essential information is displayed is fixed so that the size of essential information cannot be changed.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410b so that the second execution screen is output to the preset area 610 of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410b, and at least one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second execution screen is set to the preset area 610.
  • the adjustment may be made based on the region 610. Referring to FIG. 6, since the preset area 610 is circular, the second execution screen is also adjusted to be circular and output.
  • the size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first execution screen and the size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second execution screen are different.
  • the object may be text, an image, a video, or the like.
  • the scale applied to the first execution screen and the scale applied to the second execution screen may be different. This is because the size of the first execution screen is different from the size of the second execution screen.
  • the original content may be duplicated as i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and the required information to be output, the duplicate content may b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content.
  • the driver may be provided with the replica content optimized for the driving environment through the dashboard display.
  • the original content is a map image (or a first execution screen of the map application)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vehicle
  • the content of the original content is changed as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s changed.
  • the replica content of the original content is also a map image (or a second execution screen of the map application).
  • the driver may check the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through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without moving the gaze on the first display.
  • the driver's gaze may face the second display 430 different from the first display 420.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such that the second execution screen disappears from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and duplicate content for the content being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is output.
  • the image captured from the camera disposed to face backward is displayed instead of the map image. It can be output to the instrument cluster display.
  • the driver can receive information of interest through the instrument cluster display because the information being output from the specific display is duplicated and output on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just by the driver looking at the specific display. Because the information of interest is output to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the driver can check the information of interest with the front in sight, and the environment outside the windshield is prevented from disappearing from the driver's field of view while checking the information of interest.
  • the controller ends the output of the replica content.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controls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such that the duplicate content disappears and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output again. If the driver does not look at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even though the replica content is output on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then he does not intend to use the replica content.
  • the information output on the dashboard display is limited by law so as not to interfere with driving. If the driver is looking at information that should not be used, certain restrictions are necessary.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performing different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content stared by a driver
  • FIGS. 8A and 8B are exemplary diagrams for describing the control method of FIG. 7.
  •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content output from the one display satisfies a preset condition (S710).
  • the preset condition refers to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nformation corresponds to information legally defined as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by the driver while the vehicle is traveling at a reference speed or higher.
  • the image should not be displayed in a position that the driver can see while driving through a device that receives or plays an image such as a broadcast.
  • the image may be displayed while the vehicle is in motion, such as a geographic guide image, a traffic information guide image, an image for guiding an emergency situation, or an image for helping to view left and right or front and rear.
  •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viewed by the driver corresponds to an image that can be displayed while the vehicle is in motion.
  • the preset condition may be stored in the factory memory by the manufacturer of the vehicle and / or the vehicle control device or upda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S730).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of the dashboard to output the duplicate content of the original content.
  • the controller may output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original content cannot be output from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to at least one of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and the one.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specific display.
  • the output of the image being output from the stop, and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may output a message to guide the legal restriction of the viewing of the video while driving.
  • the controller may limit the output of the replica content on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but may store the duplicate content in a memory.
  • the original content is a real-time broadcast image
  • the original content may be recorded for a predetermined time to generate duplicate content, and the generated duplicate content may be stored in a memory.
  • Replica content stored in memory is output via the instrument cluster display when the vehicle is stopped.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line of sight is directed toward an object rather than a display 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S. 10A to 10D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the control method of FIG. 9.
  • the controller detects an object to which the driver's eyes are directed (S910).
  • the controller may detect which object inside the vehicle is looking at the driver. Even when the driver's gaze faces the outside of the vehicle outside the windshield, the control unit may detect which object outside the vehicle is looking at.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to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arched object (S930).
  • the controller detects an object to which the gaze is directed using at least one sensor provided in the vehicle.
  • the objects include all kinds of objects that the driver may encounter while driving, such as vehicles, signs, buildings, signs, banners, and the like.
  • the controller may photograph the detected object by using a camera and output the photographed image or image to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as object information of the detected object.
  • the object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 speed of the detected object and a car number described in a license plate.
  • the controller may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o the server and include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in the object information output on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 the server may search for a vehicle model using the image and transmit the found vehicle model information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 the controller may receive weather inform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from the server and output the received weather information on the dashboard display.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to output one or more menus related to th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C, when the driver gazes at the volume adjusting device for a reference tim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of the instrument panel such that menus related to volume adjusting are output.
  •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user input unit, and the controller may execute a function related to the one or more menus based on a user input input to the user input unit.
  • the driver can adjust the volume using a user input unit provided in the steering wheel while holding the steering wheel with both hands.
  • the controller may output an image captured by the rear camera facing backward to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ar camera faces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input user input.
  • the driver gazes at the watch provided in the vehicle for the reference time time information is output on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and staring at the passenger seat window control button for the reference time, the height of the passenger window can be adjusted.
  • the menus can be output on the instrument cluster display.
  • obj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red object is displayed on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and the driver may execute a control function related to the stared object by using a user input unit provided at the steering wheel. . Accordingly, the driver's convenience is increased, and the driver can concentrate on driving.
  • FIG. 1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contents gazed by a driver's gaze are output in a list format according to an order of gazing.
  • the controller may output a plurality of copy contents in a list format according to the order of gaze of the driver's gaze.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py content is output while the second copy content is output, the first and second copy contents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in the order in which the first copy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reference point as a list.
  • the controller may selec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plica contents included in the list based on a user input, and enlarge and output the selected replica contents on the dashboard display. In this case, the remaining replica content disappears from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except the selected replica content.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such that the list including the replica contents is output again to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based on the user input.
  • the driver may select any one of the replica contents to be used from among the various replica contents generated by the user's gaze.
  • 12A and 12B are exemplary diagrams for describing an example in which a part of the content being stared is copied and displayed on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 the controller may select at least some content gaze of the driver gaze from among a plurality of contents output from the one. In this case, replica content for at least some of the selected content is output on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 three detachable contents 1212-1216 may be output to any one of the above.
  • the controller may selec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1212-1216 based on the driver's gaze.
  • guide information 1230 for guiding at least some of the selected content is output.
  • the driver may determine what content is selected through the guide information 1230.
  • the duplicate content output on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also changes (1222 ⁇ 1224).
  • the controller may output the replica content for at least one selected content only when a predetermined gaze movement is detected while the guide information is output so that the content to be used by the driver becomes clear.
  •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a movement of the preset gaze is detected. Can be.
  • FIG. 1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 vehicle control apparatus when an instrument panel display is stared.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such that the speed limit 1310 of the road where the vehicle is located is additionally output when the driver stares at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for a reference time.
  • FIG. 1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 vehicle control apparatus when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 the mobile terminal 1410 and the vehicle controller may be connected by wire / wireless.
  • the mobile terminal 1410 may transmit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may output the execution screen to at least one display 1430 provided in the vehicle.
  • the content of the mess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430 provided in the vehicle.
  • passengers other than the driver should not know the content of the message.
  • the controller may selectively display the contents of the message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1410 on the display 1430 provided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assenger. Specifically, if there are no passengers, the contents of the message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1430. If there are passengers, the contents of the message are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1430.
  • the notification signal is output to the mobile terminal 1410 in at least one of visual, auditory and tactile manners.
  • the controller may output the received message to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1420.
  • 15A, 15B, 15C, and 15D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graphic objects are duplicated and displayed on an instrument panel display.
  •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1510 such that the sub graphic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main graphic objects are output. To control.
  • the main graphic object and the sub graphic object are associated with the same control function.
  • the controller executes a control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sub graphic object.
  • the controller may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sub graphic objects based on the user input, and perform a control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sub graphic object.
  • the control unit corresponds to the main graphic object included in the home screen page. At least one sub graphic object may be output on the dashboard display.
  • guide information 1530 for guiding any one selected sub graphic object may be output.
  • the user input unit may include up, down, left, and right buttons and a confirmation button. As the up, down, left, and right buttons are pressed, the selected sub graphic object is changed from one to the other, and the guide information 1530 is also moved.
  • the first execution screen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1520, and the second execution screen may be output to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1510.
  • the driver can execute a function associated with a graphic object displayed at an unreachable distance even when the steering wheel is held by both hands.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ashboard display such that the replica content disappears from the dashboard display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replica content is output from the dashboard display.
  • the selections that disappeared due to the duplicate content are again displayed on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This is because the priority of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py content.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ashboard display so that the content does not disappear from the dashboard display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do. As much as the driver frequently uses the copy content, the copy content is continuously displayed on the dashboard display.
  • the information output from any one is output to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and the gaze is directed to the one while the vehicle is stopped.
  • the information output from any one may not be output to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 the reason for displaying the duplicate contents on the dashboard display is to improve driver safety by outputting frequently used information on the dashboard display. That is, the replica content may be output on the dashboard display only when the vehicle is driving.
  •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s (HDDs), solid state disks (SSDs), silicon disk drives (SDDs), ROMs, RAMs, CD-ROMs, magnetic tapes,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This also includes implementations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the computer may include the controller 180 of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a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제어하는 차량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량용 제어장치는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계기판 디스플레이; 상기 차량의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의 시선을 추적하는 센서; 및 상기 시선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차량용 제어장치의 동작을 수행하는 차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제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용 제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사람이나 짐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교통 수단을 의미한다. 차량의 대표적인 예로, 자동차를 들 수 있다.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안전 및 편의를 위해, 차량에는 각종 센서와 장치가 구비되고 있으며, 차량의 기능이 다양화 되고 있다.
차량의 기능은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편의 기능, 그리고 운전자 및/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 기능으로 나뉠 수 있다.
먼저, 편의 기능은 차량에 인포테인먼트(information + entertainment) 기능을 부여하고, 부분적인 자율 주행 기능을 지원하거나, 야간 시야나 사각 지대와 같은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돕는 등의 운전자 편의와 관련된 개발 동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적응 순향 제어(active cruise control, ACC), 스마트주자시스템(smart parking assist system, SPAS), 나이트비전(night vision, NV),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D), 어라운드 뷰 모니터(around view monitor, AVM), 적응형 상향등 제어(adaptive headlight system, AHS) 기능 등이 있다.
안전 기능은 운전자의 안전 및/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기술로, 차선 이탈 경고 시스템(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LDWS),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lane keeping assist system, LKAS), 자동 긴급 제동(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EB) 기능 등이 있다.
이러한 차량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하여, 차량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들이 설치되고 있다.
일 예로, 기존에는 오디오나 에어컨 등 차량에 구비된 전장품을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위치하는 센터페시아에 구비되었다. 차량에서 구현되는 기능이 다양해 짐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조작할 필요가 발생하고, 버튼들로는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센터페시아에는 버튼들 대신 디스플레이가 설치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있다.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계기판 역시, 바늘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던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방식으로 변경되고 있다.
차량 내부에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이 구비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운전자에게 제공되는데, 이는 운전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전방을 주시해야 하는 운전자의 시선이 차량 내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향하게 됨에 따라, 전방 주시 태만에 의한 사고 발생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방을 주시하면서 다양한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면서도, 차량의 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운전자가 제공받기를 원하는 정보를 운전자의 시선에 근거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속도 정보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함에 있어서, 운전자가 제공받아야 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속도 정보의 표시를 다르게 제어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차량용 제어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차량용 제어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제어하는 차량용 제어장치로서,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계기판 디스플레이;상기 차량의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의 시선을 추적하는 센서; 및 상기 시선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에 애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화면이 출력되는 중에 상기 시선이 상기 어느 하나를 향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화면이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의 기설정된 영역에 상기 제2 실행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실행화면의 크기를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근거하여 조절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실행화면에 포함된 객체의 크기와 제2 실행화면에 포함된 객체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실행화면이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2 실행화면의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속도 정보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여 경로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이고, 상기 제1 실행화면에 적용된 축척과 상기 제2 실행화면에 적용된 축척은 다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것을 제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될 수 없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 및 상기 어느 하나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고 있는 복수의 콘텐츠들 중 상기 시선이 응시하고 있는 일부 콘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일부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시선이 상기 어느 하나를 향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에는 상기 선택된 일부 콘텐츠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내 정보가 출력되는 중에 기설정된 시선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선택된 일부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는 제어기능에 연계된 메인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선이 상기 어느 하나를 향하는 경우, 상기 메인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서브 그래픽 객체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 그래픽 객체 및 상기 서브 그래픽 객체는 동일한 제어기능에 연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제어장치는,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그래픽 객체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중에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서브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제어기능을 실행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그래픽 객체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 개 중 어느 하나에 연계된 제어기능을 실행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후 소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후 상기 소정시간 동안 상기 시선이 소정횟수만큼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응시하면, 상기 소정시간이 지나도 상기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지 않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선이 상기 속도 정보를 소정 시간 동안 응시하면, 상기 차량이 위치한 도로의 제한 속도가 추가로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되어 상기 시선이 응시한 복수의 콘텐츠들이 응시한 순서에 따라 리스트 형식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선이 제1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고 있는 제1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중에 상기 시선이 제2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경우,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제1 콘텐츠가 사라지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고 있는 제2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중에 상기 시선이 상기 어느 하나를 향하는 경우에는, 상기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고 있는 정보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고, 상기 차량이 정차하는 중에 상기 시선이 상기 어느 하나를 향하는 경우에는, 상기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고 있는 정보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차량용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으로 확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차량용 제어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특정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특정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고 있는 정보가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복제되어 출력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통해 관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관심 정보가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전방을 시야에 둔 상태에서 관심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관심 정보를 확인하는 동안 윈드실드 밖의 환경이 운전자의 시야에서 사라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차량에 구비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서 시선이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7은 운전자가 응시한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서 시선이 디스플레이가 아닌 물체를 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9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11은 운전자의 시선이 응시된 복수의 콘텐츠들이 응시된 순서에 따라 리스트 형식으로 출력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2a 및 도 12b는 응시되고 있는 콘텐츠의 일부가 복제되어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13은 계기판 디스플레이가 응시되는 경우에 차량용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4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경우에 차량용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5a, 도 15b, 15c 및 도 15d는 그래픽 객체가 복제되어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차량용 제어장치에는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로서, 일 예로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일 수 있다. 차량용 제어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와 같은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차량용 제어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차량용 제어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차량용 제어장치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차량용 제어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차량용 제어장치(100)와 다른 차량용 제어장치 사이, 또는 차량용 제어장치(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차량용 제어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차량용 제어장치(100) 내 정보, 차량용 제어장치(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차량용 제어장치(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용 제어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용 제어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차량용 제어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제어장치(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차량용 제어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차량용 제어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차량용 제어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차량용 제어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차량용 제어장치(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차량용 제어장치(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차량용 제어장치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차량용 제어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차량용 제어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차량용 제어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제어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차량용 제어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차량용 제어장치(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디스플레이부(151) 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차량용 제어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차량용 제어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련 정보는,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차량용 제어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제어장치(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와 터치센서를 구비하고, 디스플레이와 터치센서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하여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가 꺼져있는 상황에서도 터치센서에 인가되는 터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과 동시에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대시보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시선을 차량 전방에 유지한 채로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윈드 쉴드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투명 디스플레이는 윈드 쉴드에 부착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면서,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도를 가지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TFEL(Thin Film Elecroluminescent),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투과형 투명디스플레이,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제어장치(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차량용 제어장치(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제어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의 도면의 설명에서는 왼쪽 위에 그려진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또는 위에서 아래로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도 2는 차량에 구비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하여, 차량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들이 설치되고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며, 설치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정보를 표시한다. 즉,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은 설치된 위치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은, 계기판 디스플레이(210), 헤드 업 디스플레이(HUD, 220), 센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CID, 230),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240), 백미러 디스플레이(250), 사이드미러 디스플레이(260), 조수석 디스플레이(270), 스티어링 휠 디스플레이(2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계기판 디스플레이(210)는 차량의 주행 상태와 차량에 구비된 각 장치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차량을 안전하게 운행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운전석을 기준으로 스티어링 휠의 뒷 편에 위치하며, 주행속도를 알려주는 속도계, 주행거리를 알려주는 적산기록계(tripmeter), 엔진의 회전수를 알려주는 회전속도계(tachometer), 주유계, 수온계, 엔진 온도계, 각종 경고등(warning lamp)이 계기판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헤드 업 디스플레이(220)는 차량의 윈드실드에 가상 화상(virtual image)를 투영하는 장치이며, 차량의 속도, 연료 잔량, 길 안내 정보 등 운전자가 불필요하게 시선을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을 최소화 시켜주는 장치이다.
차량의 대시보드 중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를 센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230) 및/또는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240)로 호칭할 수 있다.
센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230) 및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240) 중 어느 하나가 차량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거나 현재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이미지를 출력하거나, 차량에 구비된 각종 장치들의 제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차량과 이동 단말기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에는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차량에 센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230) 및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240)가 모두 구비되는 경우, 센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230)의 아래에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240)가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센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230)는 지도 이미지를 출력하고,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240)는 차량에 구비된 각종 장치들의 제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즉, 운전자는 센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230)를 이용하여 경로를 확인하고,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240)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의 온도 조절, 풍량 조절, 오디오 등과 관련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백미러 디스플레이(250)는 백미러의 역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이다. 구체적으로, 백미러 디스플레이(250)는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한 카메라가 포착한 영상을 출력한다.
여기서,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했을 때 자연스럽게 시선이 향하는 방향이 전방이고, 시선이 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이 후방이라고 정의한다.
사이드미러 디스플레이(260)는 사이드미러의 역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사이드미러 디스플레이(260)는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한 카메라가 포착한 영상을 출력하는 점에서 백미러 디스플레이(250)와 유사하나, 백미러 디스플레이(250)와는 다른 시야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사이드미러 디스플레이(260)는 차량의 측면에서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한 카메라가 포착한 영상을 출력하기 때문에, 상기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사이드미러 디스플레이(260)에 출력되는 영상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백미러 디스플레이(250)에 출력되는 영상에는 차량의 측면이 포함되지 않는다. 여기서, 차량의 측면은 차량에서 도어(door)가 구비된 면을 의미한다.
조수석 디스플레이(270)는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객의 전방에 위치한다. 조수석 디스플레이(270)는 운전자를 위한 것이 아니라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객을 위한 것이므로, 차량의 주행여부와 관계없이 동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 디스플레이(280)는 스티어링 휠에 위치하며,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면서도 사용자 입력을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볼륨 조절 기능이 실행되면, 스티어링 휠 디스플레이(280)에는 볼륨 업 객체와 볼륨 다운 객체가 표시되고,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 디스플레이(280)에 표시되는 객체들을 이용하여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에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이 구비됨에 따라, 운전자에게 편리한 기능과 유익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지만, 운전자는 차량의 전방에서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도로교통 상황에 정신을 집중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을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서 시선이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먼저, 제어부는 차량의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의 시선을 추적한다(S310).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운전자의 시선 추적, 즉 아이트래킹(eye tracking)을 활성화하고, 시선 위치를 실시간으로 산출한다.
아이트래킹은 눈동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시선을 추적하는 기술로서, 이미지 분석 방식, 콘택트 렌즈 방식, 센서 부착 방식 등이 있다.
비디오 분석 방식은 카메라에 포착된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눈동자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검출된 움직임으로부터 운전자의 시선을 산출한다. 콘택트 렌즈 방식은 거울 내장 콘택트 렌즈의 반사된 빛이나 코일 내장 콘택트 렌즈의 자기장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시선을 산출한다. 센서 부착 방식은 운전자의 눈 주위에 센서를 부착하여 눈의 움직임에 따른 전기장을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변화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시선을 산출한다.
차량 및/또는 차량용 제어장치는 차량의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의 시선을 추적하는 센서를 구비한다. 센서가 운전자의 시선을 추적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로 전송하거나, 제어부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상기 시선이 차량 내에 구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는지를 판단한다(S330).
제어부는 추적된 운전자의 시선에 근거하여 운전자가 바라보고 있는 특정 물체를 탐지할 수 있다.
운전자의 시선이 차량 내부를 향하는 경우, 운전자가 차량 내부의 어떤 물체를 바라보고 있는지 탐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2차원 및/또는 3차원 좌표계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바라보고 있는 특정 물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범위의 좌표 범위내에 볼륨 조절 장치가 위치하고, 운전자의 시선이 상기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면, 제어부는 운전자가 상기 볼륨 조절 장치를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운전자의 시선이 윈드실드 밖의 차량 외부를 향하는 경우에도, 제어부는 운전자가 차량 외부의 어떤 물체를 바라보고 있는지를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좌표계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시선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선 위치에 어떤 물체가 위치하는지를 탐색할 수 있다. 이경우, 제어부는 차량 외부를 향하는 카메라, 레이더, 라이더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시선 위치에 위치하는 물체를 탐지하고, 차량과 탐색된 물체 사이의 거리, 물체의 크기, 색상, 속도, 종류 등의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운전자의 시선이 차량 내부를 향하는 경우, 시선에 근거하여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정보들이 출력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운전자가 바라보고 있는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선택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계기판 디스플레이(210)를 제어한다(S350).
일반적으로, 계기판 디스플레이(210)는 차량의 속도 정보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계기판 디스플레이는 운전자가 제공받아야만 하는 각종 정보를 출력한다.
운전자는 윈드실드 밖의 상황을 주시하면서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해야하기 때문에, 계기판 디스플레이는 윈드실드를 향하는 시선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 사람의 두 눈은 좌우로 이격되어 있어 사람의 시야가 상하보다 좌우로 넓으므로, 계기판 디스플레이(210)는 윈드실드의 아래에 위치한다.
다만, 법률에 의한 제한 때문에, 계기판 디스플레이(210)에서 출력될 수 있는 정보의 종류는 제한적이다.
헤드 업 디스플레이(220)가 구비되면, 운전자는 전방을 주시하면서도 헤드 업 디스플레이(220)가 제공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나, 윈드실드에 가상 화상을 투영시키는 출력방식의 특성상 헤드 업 디스플레이(220)에 의하여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제한적이다.
운전자는 계기판 디스플레이(210) 및/또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220)에서 제공받을 수 없는 정보를 다른 디스플레이(230-280)를 이용하여 제공받게 되는데, 이 때문에 다른 디스플레이는 운전에 방해가 되는 위협요소가 된다.
이러한 위협요소가 제거되도록, 제어부는 운전자가 바라보고 있는 특정 디스플레이(230-280)에서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를 복제하여 계기판 디스플레이(210)에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전자가 기준시간보다 길게 특정 디스플레이를 응시하면, 특정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고 있던 콘텐츠가 복제되어 계기판 디스플레이(210)에서 출력된다. 기준시간보다 짧게 특정 디스플레이가 응시되면, 특정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고 있던 콘텐츠는 계기판 디스플레이(210)에서 출력되지 않는다. 운전자에게 불필요한 정보가 계기판 디스플레이(210)로 복제되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콘텐츠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그 내용물로 정의된다. 콘텐츠는 문자, 부호, 이미지,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를 복제한다는 것은 원본을 같은 크기로, 또는 확대/축소하여 복사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정보가 되도록 콘텐츠를 재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운전자가 바라보고 있는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를 '원본 콘텐츠'라고 호칭하고, 계기판 디스플레이(210)에 복제되어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를 '복제본 콘텐츠'라고 호칭한다.
원본 콘텐츠와 복제본 콘텐츠는 동일한 형태와 모양을 가질 수 있고, 다른 형태와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원본 콘텐츠와 복제본 콘텐츠가 다른 형태와 모양을 가지더라도, 운전자는 복제본 콘텐츠를 통하여 원본 콘텐츠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한편, 계기판 디스플레이(210)에는 반드시 출력되어야 하는 필수정보와 출력 여부가 선택적인 선택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의 속도를 안내하는 속도정보는 계기판 디스플레이(210)에서 반드시 출력되어야 하는 필수정보에 포함된다. 이와 달리, 주유량을 기준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 순간연비 및 평균연비는 계기판 디스플레이(210)에 출력되지 않아도 되는 선택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필수정보와 선택정보는 차량이 주행중인 국가 및/또는 차량이 등록되는 국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른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던 원본 콘텐츠에 대한 복제본 콘텐츠가 계기판 디스플레이(210)에 출력되는 경우, 필수정보의 출력은 유지되고, 선택정보는 계기판 디스플레이(210)에서 사라질 수 있다. 이경우, 선택정보가 복제본 콘텐츠로 대체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디스플레이에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화면이 출력되는 중에 운전자의 시선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화면이 계기판 디스플레이(210)에서 출력되도록 계기판 디스플레이(2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정보가 제1 실행화면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고, 동시에 제2 실행화면으로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210)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경우, 계기판 디스플레이(210)에는 제2 실행화면과 필수정보가 함께 표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위젯(widget)이나 홈 런처 등을 포함한 개념으로서, 차량에서 구동 가능한 모든 형태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네비게이션, 날씨, 차량 내/외부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 라디오, 웹 브라우저, 오디오 재생, 동영상 재생, 메세지 송수신,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 내부에는 계기판 디스플레이(410),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420, 4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420)에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430)에는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후방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량 내부에 운전자의 시선을 추적하는 센서가 구비되며, 제어부는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다.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화면(220)이 제1 디스플레이(420)에 출력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자신의 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제1 디스플레이(420)를 확인할 수 밖에 없다.
운전자의 시선이 기준시간 동안 제1 디스플레이(420)를 향하는 경우, 제어부는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화면이 출력되도록 계기판 디스플레이(410)를 제어한다.
이때, 필수정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지 여부 서로 다른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기판 디스플레이가 가변형 디스플레인지 고정형 디스플레이인지에 따라 복제본 콘텐츠가 출력되는 방식은 달라진다. 여기서, 가변형 디스플레이는 필수정보가 표시되는 영역과 선택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이 가변적인 디스플레이를 의미하고, 고정형 디스플레이는 필수정보가 표시되어야 하는 영역의 크기 및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먼저, 필수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이 가변적이어서 필수정보의 크기가 조절 가능한 가변형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를 참조하면, 계기판 디스플레이(410a)에는 필수정보에 해당하는 속도계(510)와 회전속도계(520), 그리고 선택정보(530)에 해당하는 주행가능거리, 순간연비와 평균 연비가 출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이므로, 필수정보와 선택정보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수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종류는 차량에 따라, 차량이 주행 중인 국가에 따라, 차량이 등록되는 국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전기자동차인 경우, 회전속도계(520)는 필수정보가 아니라 선택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운전자가 제1 디스플레이(420)에서 출력되고 있는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화면(422)을 기준시간 동안 응시하면, 제어부는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화면(540)을 계기판 디스플레이(410a)에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는 상기 제2 실행화면의 크기에 근거하여 필수정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선택정보(530) 대신에 제2 실행화면(540)이 계기판 디스플레이(410a)에 출력되는데, 제2 실행화면(540)의 크기가 선택정보(530)의 크기보다 큰 경우, 필수정보의 크기가 제2 실행화면(540)의 크기에 맞추어 축소될 수 있다(510→510', 520→520'). 이와 달리, 제2 실행화면(540)의 크기가 선택정보(530)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필수정보의 크기가 제2 실행화면(540)의 크기에 맞추어 확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기판 디스플레이(410b)는 필수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이 고정적이어서 필수정보의 크기가 달라질 수 없는 고정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이경우, 제어부는 계기판 디스플레이(410b)의 기설정된 영역(610)에 상기 제2 실행화면이 출력되도록 계기판 디스플레이(410b)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실행화면의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기설정된 영역(610)에 근거하여 조절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설정된 영역(610)이 원형이므로, 제2 실행화면도 원형으로 조절되어 출력되게 된다.
한편,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화면이라도 제1 실행화면에 포함된 객체의 크기와 제2 실행화면에 포함된 객체의 크기는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객체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여 경로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인 경우, 상기 제1 실행화면에 적용된 축척과 상기 제2 실행화면에 적용된 축척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실행화면의 크기와 상기 제2 실행화면의 크기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원본 콘텐츠가 그대로 복제될 수도 있지만, 계기판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 출력해야하는 필수정보에 따라 복제본 콘텐츠에는 원본 콘텐츠와 다른 변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운전자는 운전환경에 최적화된 복제본 콘텐츠를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원본 콘텐츠가 차량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이미지(또는,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화면)인 경우, 차량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원본 콘텐츠의 내용이 달라진다. 이경우, 원본 콘텐츠에 대한 복제본 콘텐츠도 지도 이미지(또는,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화면)이게 되는데, 원본 콘텐츠의 내용이 달라짐에 따라 복제본 콘텐츠의 내용도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시선을 옮기지 않아도,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통해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화면이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중에, 운전자의 시선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420)와 다른 제2 디스플레이(430)를 향할 수 있다. 이경우, 제어부는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제2 실행화면이 사라지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복제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디스플레이(430)가 백미러 디스플레이(250)이고, 운전자가 기준시간 동안 백미러 디스플레이(250)를 응시하는 경우, 상기 지도 이미지 대신,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카메라로부터 포착된 영상이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수 있다.
운전자가 특정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특정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고 있는 정보가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복제되어 출력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통해 관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관심 정보가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전방을 시야에 둔 상태에서 관심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관심 정보를 확인하는 동안 윈드실드 밖의 환경이 운전자의 시야에서 사라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복제본 콘텐츠가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이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동안 운전자의 시선이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향하지 않으면, 제어부는 복제본 콘텐츠의 출력을 종료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는 복제본 콘텐츠가 사라지고 선택정보가 다시 출력되도록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복제본 콘텐츠가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었음에도 운전자가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바라보지 않는다면, 복제본 콘텐츠를 이용할 의사가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정보는 법률에 의하여 제한되게 된다. 운전자가 이용해서는 안되는 정보를 바라보고 있는 경우, 일정한 제한이 필요하다.
도 7은 운전자가 응시한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제어부는 운전자의 시선이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710).
여기서, 기설정된 조건은 차량이 기준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 중에 운전자가 이용할 수 있는 정보로서 법률적으로 정의된 정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한국의 경우, 차량이 움직이고 있는 중에는, 방송 등 영상물을 수신하거나 재생하는 장치를 통하여 운전자가 운전 중 볼 수 있는 위치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아야 한다. 다만, 상기 영상이 지리안내 영상, 교통정보안내 영상, 긴급한 상황을 안내하는 영상, 또는 좌우 또는 전후방을 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영상은 차량이 움직이고 있는 중에도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차량이 한국에 위치하는 경우 운전자가 바라보고 있는 영상이 차량이 움직이고 있는 중에도 표시될 수 있는 영상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기설정된 조건은 차량 및/또는 차량용 제어장치의 제조사가 공장 출고시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을 통해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판단 결과에 따라,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제어한다(S730).
운전자가 바라보고 있는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고 있는 원본 콘텐츠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제어부는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복제본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이와 달리, 원본 콘텐츠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복제본 콘텐츠가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것을 제한한다. 이경우, 제어부는, 상기 원본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될 수 없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 및 상기 어느 하나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영상이 출력되고 있는 특정 디스플레이를 운전자가 기준시간 동안 바라보고 있는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고 있는 영상의 출력을 중지하고, 계기판 디스플레이에는 주행 중 동영상 시청이 법적으로 제한되는 것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는 원본 콘텐츠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복제본 콘텐츠가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것을 제한하되, 상기 복제본 콘텐츠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원본 콘텐츠가 실시간 방송 영상인 경우, 소정시간 동안 원본 콘텐츠를 녹화하여 복제본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제본 콘텐츠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복제본 콘텐츠는 차량이 정지하는 경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한편, 운전자의 시선은 디스플레이가 아닌 물체를 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서 시선이 디스플레이가 아닌 물체를 향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9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제어부는 운전자의 시선이 향하고 있는 물체를 탐지한다(S910).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운전자의 시선이 차량 내부를 향하는 경우, 운전자가 차량 내부의 어떤 물체를 바라보고 있는지 탐지될 수 있다. 운전자의 시선이 윈드실드 밖의 차량 외부를 향하는 경우에도, 제어부는 운전자가 차량 외부의 어떤 물체를 바라보고 있는지를 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탐색된 물체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되도록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S930).
운전자의 시선이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 물체를 기준시간동안 응시하는 경우, 제어부는 차량 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시선이 향하는 물체를 탐지한다.
상기 물체는 차량, 표지판, 건물, 간판, 현수막 등과 같이 운전자가 주행중에 마주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물체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상기 탐지된 물체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나 영상을 상기 탐지된 물체의 물체 정보로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탐지된 물체가 차량인 경우, 상기 물체 정보는 탐지된 물체의 속도, 자동차 번호판에 기재된 자동차 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촬영된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물체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을 촬영한 이미지가 서버로 전송되면, 서버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종을 검색하고, 검색된 차종 정보를 차량용 제어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기준시간 동안 하늘을 바라보는 경우, 제어부는 서버로부터 현재 위치의 날씨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날씨정보를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운전자의 시선이 차량 내부에 구비된 어느 전장품을 향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어느 전장품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뉴들이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볼륨 조절 장치를 기준시간 동안 응시하는 경우, 제어부는 볼륨 조절과 관련된 메뉴들이 출력되도록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사용자 입력부가 구비되는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뉴들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운전자가 볼륨 조절 장치를 조절하려면 한 손은 스티어링 휠에서 떨어져야 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을 양손으로 쥔 상태에서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볼륨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백미러를 기준시간 동안 응시하는 경우, 제어부는 후방을 향하는 후방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을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후방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 구비된 시계를 기준시간 동안 응시하면, 시간정보가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고, 조수석의 창문 조절 버튼을 기준시간 동안 응시하면, 조수석 창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메뉴들이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수 있다.
이처럼, 운전자가 특정 물체를 응시하는 것만으로, 응시된 물체와 관련된 물체 정보가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응시된 물체와 관련된 제어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운전자는 운전에 보다 집중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운전자의 시선이 응시된 복수의 콘텐츠들이 응시된 순서에 따라 리스트 형식으로 출력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제어부는 운전자의 시선이 응시된 순서에 따라 복수의 복제본 콘텐츠들을 리스트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복제본 콘텐츠가 출력되다가 제2 복제본 콘텐츠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복제본 콘텐츠가 리스트처럼 기준점으로부터 응신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는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복제본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복제본 콘텐츠를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경우, 선택된 복제본 콘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복제본 콘텐츠는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복제본 콘텐츠들을 포함하는 리스트가 다시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운전자는 본인의 응시로 생성된 다양한 복제본 콘텐츠들 중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복제본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응시되고 있는 콘텐츠의 일부가 복제되어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제어부는, 운전자가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소정시간 동안 응시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고 있는 복수의 콘텐츠들 중 운전자의 시선이 응시하고 있는 적어도 일부의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경우, 선택된 적어도 일부 콘텐츠에 대한 복제본 콘텐츠가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2a를 참조하면, 상기 어느 하나에는 분리 가능한 3개의 콘텐츠들(1212-1216)이 출력될 수 있다. 이경우, 제어부는 운전자의 시선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1212-1216)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이 이루어지면, 선택된 적어도 일부의 콘텐츠를 안내하는 안내정보(1230)가 출력된다. 상기 안내정보(1230)를 통해 운전자는 어떤 콘텐츠가 선택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시선이 이동함에 따라,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복제본 콘텐츠도 달라지게 된다(1222→1224).
제어부는, 운전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명확해지도록, 상기 안내 정보가 출력되는 중에 기설정된 시선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에 한하여 선택된 적어도 일 콘텐츠에 대한 복제본 콘텐츠를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횟수만큼의 깜박거림이 감지되거나, 운전자의 시선이 안내정보(1230)가 출력되고 있는 디스플레이에서 계기판 디스플레이로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선의 움직임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3은 계기판 디스플레이가 응시되는 경우에 차량용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제어부는 운전자가 계기판 디플레이를 기준시간 동안 응시하면 차량이 위치한 도로의 제한 속도(1310)가 추가적으로 출력되도록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운전자의 시선에 따라 정보가 액티브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운전의 즐거움과 편의성이 증대되게 된다.
도 14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경우에 차량용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동 단말기(1410)와 차량용 제어장치는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410)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차량용 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차량용 제어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430)에 상기 실행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410)에 메시지(또는, 메일)가 수신되는 경우, 메시지의 내용이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1430)에 표시될 수 있다. 허나, 메시지의 내용은 사적인 것이므로, 운전자를 제외한 나머지 탑승객은 메시지의 내용을 알 수 없어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탑승객의 유무에 따라 이동 단말기(1410)에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을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1430)에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탑승객이 없으면 메시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1430)에 표시하고, 탑승객이 있으면 메시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1430)에 표시하지 않는다.
한편,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1410)에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알림신호가 출력된다. 운전자가 기준시간 동안 이동 단말기(1410)를 응시하는 경우, 제어부는 수신된 메시지를 계기판 디스플레이(142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5a, 도 15b, 도 15c 및 도 15d는 그래픽 객체가 복제되어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운전자의 손이 닿지 않는 디스플레이에 제어기능에 연계된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는 경우, 운전자가 운전을 수행하면서 상기 그래픽 객체를 터치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응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1520)에 제어기능에 연계된 메인 그래픽 객체들이 출력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메인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서브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도록 계기판 디스플레이(1510)를 제어한다.
상기 메인 그래픽 객체와 상기 서브 그래픽 객체는 동일한 제어기능에 연계된다.
상기 서브 그래픽 객체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중에 스티어링 휠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부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상기 서브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제어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서브 그래픽 객체가 복수 개인 경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 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브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제어기능을 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스크린 페이지가 디스플레이(1520)에 표시되는 중에 운전자가 상기 홈스크린 페이지를 기준시간 동안 응시하면, 제어부는 홈스크린 페이지에 포함된 메인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서브 그래픽 객체를 적어도 하나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서브 그래픽 객체가 복수 개인 경우, 선택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서브 그래픽 객체를 안내하는 안내정보(1530)가 출력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는 상하좌우 버튼과 확인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상하좌우 버튼이 가압됨에 따라 선택된 서브 그래픽 객체가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변경되고, 안내정보(1530) 역시 이동하게 된다.
이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 버튼이 가압되면, 해당 서브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제어기능이 실행된다.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행화면은 디스플레이(1520)에 출력되고, 제2 실행화면은 계기판 디스플레이(1510)에 출력될 수 있다.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을 양손으로 쥔 상태에서도 손이 닿지 않는 거리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복제본 콘텐츠가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후 소정시간이 지나면 복제본 콘텐츠가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도록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복제본 콘텐츠 때문에 사라졌던 선택정보가 다시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게 된다. 이는 선택정보의 우선순위가 복제본 콘텐츠의 우선순위 보다 높기 때문이다.
한편, 제어부는 복제본 콘텐츠가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후 소정시간 동안 운전자의 시선이 소정횟수 만큼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응시하면, 상기 소정시간이 지나도 상기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지 않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운전자가 복제본 콘텐츠를 자주 이용하는 만큼, 복제본 콘텐츠가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계속 출력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차량이 주행하는 중에 운전자의 시선이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경우에는, 상기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고 있는 정보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고, 상기 차량이 정차하는 중에 상기 시선이 상기 어느 하나를 향하는 경우에는, 상기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고 있는 정보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복제본 콘텐츠를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이유는 운전자가 자주 이용하는 정보를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즉, 차량이 주행 중일 때에만 복제본 콘텐츠가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제어하는 차량용 제어장치로서,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계기판 디스플레이;
    상기 차량의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의 시선을 추적하는 센서; 및
    상기 시선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에 애플리케이션의 제1 실행화면이 출력되는 중에 상기 시선이 상기 어느 하나를 향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화면이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의 기설정된 영역에 상기 제2 실행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실행화면의 크기를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근거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실행화면에 포함된 객체의 크기와 제2 실행화면에 포함된 객체의 크기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실행화면이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2 실행화면의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속도 정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여 경로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이고,
    상기 제1 실행화면에 적용된 축척과 상기 제2 실행화면에 적용된 축척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될 수 없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 및 상기 어느 하나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고 있는 복수의 콘텐츠들 중 상기 시선이 응시하고 있는 일부 콘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일부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이 상기 어느 하나를 향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에는 상기 선택된 일부 콘텐츠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내 정보가 출력되는 중에 기설정된 시선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선택된 일부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는 제어기능에 연계된 메인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선이 상기 어느 하나를 향하는 경우, 상기 메인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서브 그래픽 객체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 그래픽 객체 및 상기 서브 그래픽 객체는 동일한 제어기능에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그래픽 객체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중에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서브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제어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그래픽 객체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 개 중 어느 하나에 연계된 제어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후 소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된 후 상기 소정시간 동안 상기 시선이 소정횟수 만큼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응시하면, 상기 소정시간이 지나도 상기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지 않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선이 상기 속도 정보를 소정 시간 동안 응시하면, 상기 차량이 위치한 도로의 제한 속도가 추가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되어 상기 시선이 응시된 복수의 콘텐츠들이 응시된 순서에 따라 리스트 형식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선이 제1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고 있는 제1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콘텐츠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중에 상기 시선이 제2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경우,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제1 콘텐츠가 사라지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고 있는 제2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중에 상기 시선이 상기 어느 하나를 향하는 경우에는, 상기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고 있는 정보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고,
    상기 차량이 정차하는 중에 상기 시선이 상기 어느 하나를 향하는 경우에는, 상기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고 있는 정보가 상기 계기판 디스플레이에 출력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PCT/KR2016/006896 2016-06-15 2016-06-28 차량용 제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1721757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594 2016-06-15
KR1020160074594A KR20170141484A (ko) 2016-06-15 2016-06-15 차량용 제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17578A1 true WO2017217578A1 (ko) 2017-12-21

Family

ID=6065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6896 WO2017217578A1 (ko) 2016-06-15 2016-06-28 차량용 제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364148A1 (ko)
KR (1) KR20170141484A (ko)
WO (1) WO20172175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6495A1 (zh) * 2020-01-03 2021-07-08 恒大新能源汽车投资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车机显示界面的页面布局控制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6810B2 (en) * 2011-07-11 2021-04-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haring input and output devices in networked systems
FR3046587B1 (fr) * 2016-01-07 2018-02-16 Psa Automobiles Sa. Procede de pilotage d’un systeme automatise d’assistance a la conduite d’un vehicule automobile.
CN109562763B (zh) * 2016-08-09 2021-05-04 日产自动车株式会社 自动驾驶车辆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JP6510572B2 (ja) * 2017-01-31 2019-05-08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および車両用表示装置の表示方法
JP6665819B2 (ja) * 2017-03-17 2020-03-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表示装置
DE102017110407A1 (de) * 2017-05-12 2018-11-15 Nicolas Bissantz Fahrzeug
GB2563871B (en) * 2017-06-28 2019-12-11 Jaguar Land Rover Ltd Control system for enabling operation of a vehicle
US20190155560A1 (en) * 2017-11-23 2019-05-23 Mindtronic Ai Co.,Ltd. Multi-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TW201926050A (zh) * 2017-11-23 2019-07-01 英屬開曼群島商麥迪創科技股份有限公司 車輛多螢幕控制系統及車輛多螢幕控制方法
KR102479072B1 (ko) 2017-12-22 2022-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탑승자 단말 및 디스트랙션 확인을 통한 컨텐츠 표시 방법
CN108501809A (zh) 2018-03-26 2018-09-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视线追踪的车载显示控制装置、显示系统及显示方法
WO2019189403A1 (en) * 2018-03-28 2019-10-03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7125851B2 (ja) * 2018-04-06 2022-08-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7146466B2 (ja) * 2018-06-12 2022-10-04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
JP6731016B2 (ja) * 2018-06-12 2020-07-29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システム
US10528132B1 (en) 2018-07-09 2020-0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aze detection of occupants for vehicle displays
KR102634348B1 (ko) * 2018-08-23 2024-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EP3686042A1 (en) * 2019-01-23 2020-07-2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to an occupant of a vehicle
JP2020138553A (ja) * 2019-02-26 2020-09-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器の配置構造
FR3093963B1 (fr) * 2019-03-22 2021-02-12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info-divertissement pour un véhicule
US10852822B2 (en) * 2019-05-01 2020-12-01 Aptiv Technologies Limited Display method
KR102183133B1 (ko) * 2019-05-21 2020-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차량 제어 방법
CN112423190A (zh) * 2019-08-20 2021-02-26 苹果公司 用于头戴式设备的基于音频的反馈
JP7227106B2 (ja) * 2019-08-22 2023-02-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操作制御装置、操作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587975A (zh) * 2020-04-30 2021-11-02 伊姆西Ip控股有限责任公司 用于管理应用环境的方法、设备和计算机程序产品
KR20220000536A (ko) * 2020-06-26 2022-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주행 제어 장치 및 방법
JP7476845B2 (ja) 2021-04-27 2024-05-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255409A1 (ja) * 2021-06-02 2022-12-0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システム、車両用表示方法、及び車両用表示プログラム
KR102644877B1 (ko) * 2021-08-20 2024-03-08 주식회사 경신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30069742A1 (en) * 2021-08-27 2023-03-0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Gazed based generation and presentation of representations
US11889178B2 (en) * 2022-02-28 2024-01-30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automatic eye gaze tracking and camera adjustment
US11934574B2 (en) * 2022-07-15 2024-03-19 Ghost Autonomy Inc. Modifying vehicle display parameters using operator gaz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1260A (ja) * 2008-11-06 2010-05-20 Honda Motor Co Ltd 車速制御装置
KR20120007108A (ko) * 2010-07-14 2012-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시선 감지를 이용한 클러스터 및 클러스터 제어 방법
KR20120124256A (ko) * 2011-05-03 2012-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상태감지 모듈을 이용한 클러스터 컨텐츠 표시시스템 및 클러스터 컨텐츠 표시방법
JP2013020334A (ja) * 2011-07-08 2013-01-31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システム
KR20140058312A (ko) * 2012-11-06 2014-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72880B1 (en) * 2011-02-09 2019-05-22 Apple Inc. Gaze detection in a 3d mapping environment
FR2980856A1 (fr) * 2011-10-01 2013-04-05 Johnson Contr Automotive Elect Dispositif d'affich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9580081B2 (en) * 2014-01-24 2017-02-28 Tobii Ab Gaze driven interaction for a vehicle
GB2535544B (en) * 2015-02-23 2018-10-03 Jaguar Land Rover Ltd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1260A (ja) * 2008-11-06 2010-05-20 Honda Motor Co Ltd 車速制御装置
KR20120007108A (ko) * 2010-07-14 2012-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시선 감지를 이용한 클러스터 및 클러스터 제어 방법
KR20120124256A (ko) * 2011-05-03 2012-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상태감지 모듈을 이용한 클러스터 컨텐츠 표시시스템 및 클러스터 컨텐츠 표시방법
JP2013020334A (ja) * 2011-07-08 2013-01-31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システム
KR20140058312A (ko) * 2012-11-06 2014-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6495A1 (zh) * 2020-01-03 2021-07-08 恒大新能源汽车投资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车机显示界面的页面布局控制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484A (ko) 2017-12-26
US20170364148A1 (en)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217578A1 (ko) 차량용 제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17034287A1 (en) Pedestrial crash preven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18070717A1 (en) Method for providing a sight securing image to vehicle,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WO2021045488A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controlling passenger seat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passenger seat display
WO201809298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7018583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4035148A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vehicle therefor
WO2014189200A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WO2012133983A1 (ko) 차량에 장착되는 영상표시기기에서의 이미지 처리
WO2012133982A1 (ko)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WO2013133464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WO2017022879A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WO2016190505A1 (ko) 글래스타입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6010221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9124834A1 (ko) 주행 컨텍스트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6076474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18844A1 (ko) 자율 주행 차량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2036323A1 (ko)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85198A1 (ko)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14112659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electronic device
WO2016182090A1 (ko) 안경형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80053290A (ko) 차량용 제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20166749A1 (ko) 차량을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
WO2016035955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5108287A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9055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9055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