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96113A1 - 클로저 장치 - Google Patents

클로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96113A1
WO2017196113A1 PCT/KR2017/004921 KR2017004921W WO2017196113A1 WO 2017196113 A1 WO2017196113 A1 WO 2017196113A1 KR 2017004921 W KR2017004921 W KR 2017004921W WO 2017196113 A1 WO2017196113 A1 WO 201719611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amping
closure
flow path
sliding member
work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492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용준
Original Assignee
퍼스트클로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5788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4565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5787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4565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5787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45641B1/ko
Application filed by 퍼스트클로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퍼스트클로저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780027701.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072654B/zh
Priority to EP17796413.7A priority patent/EP3456908A4/en
Priority to US16/098,490 priority patent/US20190145141A1/en
Publication of WO201719611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961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0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in which a torsion spring rotates a member around an axi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pis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2Special devices controlling the circulation of the liquid, e.g. valv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luid brakes of the rotary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62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ype of motion
    • E05Y2201/264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ype of motion linear
    • E05Y2201/499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의한 도어에 설치되는 클로저는 댐핑 장치와 댐핑 챔버 및 토션 장치와의 결합을 통하여 단계적으로 도어에 가해지는 댐핑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수명이 긴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부에 용이하게 조립됨으로써 작동유체의 유로 형성이 용이하도록 하고, 비교적 고도의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도록 하며, 이로 인해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작동유체의 정확한 단속과 댐핑 작용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며, 작동유체의 저항을 정확하게 제어하고, 이러한 작동유체의 저항을 구간별로 손쉽게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로저 장치
본 발명은 클로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클로저의 댐핑장치, 댐핑챔버 및 토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로저(closer)는 도어 등에 설치되는데, 도어를 회전시켜서 개방시킨 후 도어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도어가 스스로 회전하여 닫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클로저는 작동유체에 의해 댐핑력을 발생시키는 댐핑장치와, 스프링에 의해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토션장치를 포함한다.
클로저의 댐핑장치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24938호의 "로터리타입 댐퍼"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작동유체가 채워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측부에 도달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작동유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하우징핀; 및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되,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자세가 가변됨으로써 상기 샤프트의 측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액시스핀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실제로 제작시, 하우징핀과 액시스핀의 동작 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작동유체의 저항을 정확하게 제어하는데 한계를 가지며, 이로 인해 작동유체의 정확한 단속이 힘들 뿐만 아니라, 댐핑 작용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클로저의 토션장치로는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03510호의 "토션부를 구비한 도어힌지"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도어 및 도어 프레임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어 도어를 개방한 후 자동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도어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힌지는 토션 스프링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도어가 개방된 후 자동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부는, 일 단부에는 토션 스프링과 결합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 단부에는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머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 단부 사이에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 측에 형성된 홈을 구비하는 토션 축,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공 내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형상의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중공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가이드 랙, 일 단부는 돌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가이드 랙에 형성된 홈에 안착되고, 타 단부는 상기 토션 축의 몸톰부에 형성된 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토션 축을 원주방향으로 구속하고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내부에 구멍이 형성된 가이드 랙 키 및 상기 가이드 랙 키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지는 고정 핀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랙 고정부, 상기 가이드 랙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랙의 상하 이동시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 푸쉬 스프링, 상기 푸쉬 스프링, 가이드 랙, 토션 축이 안착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며, 내부에 축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랙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토션 하우징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스프링의 탄성력 축적과 이를 이용한 복원 동작에 대한 신뢰성과 구조적인 내구성에 대한 고려가 없으며, 실제 제작에서의 어려움 해소 및 제조 비용 절감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종래의 하우징핀과 액시스핀 등의 복잡한 구성을 사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고도의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도록 하고, 이로 인해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유체의 정확한 단속과 댐핑 작용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작동유체의 저항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부에 용이하게 조립됨으로써 작동유체의 유로 형성이 용이하도록 하고, 비교적 고도의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도록 하며, 이로 인해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작동유체의 정확한 단속과 댐핑 작용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며, 작동유체의 저항을 정확하게 제어하고, 이러한 작동유체의 저항을 구간별로 손쉽게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의 탄성력 축적과 이를 이용한 복원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 구조적으로 내구성 증진에 기여하며, 제작의 어려움 해소 및 제조 비용의 절감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한 클로저는 댐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 장치는: 양단이 제 1 및 제 2 밀폐부로 밀폐되며, 상기 제 1 밀폐부에 길이 방향 중심부와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형성한 댐핑하우징부; 상기 제 2 밀폐부를 관통하여 상기 댐핑하우징부의 내측에 삽입되고, 작동유체의 압력을 받도록 헤드가 마련되는 피스톤; 및 상기 헤드에 의해 내측 공간이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 측 각각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공간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의 작동유체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댐핑챔버;를 포함하는, 클로저를 제공한다.
상기 클로저는 상기 댐핑 장치와 결합되는 토션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션장치는: 상기 댐핑장치의 피스톤이 함께 왕복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피스톤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끼워져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 장치의 댐핑하우징부의 연결유로는 상기 제 1 밀폐부에 상기 피스톤을 향하는 측의 중심부와 가장자리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댐핑챔버는 상기 헤드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상기 댐핑하우징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공간이 상기 연결유로의 중심부에 연결되고, 끝단에 의해 차단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가장자리 측과 상기 제 2 공간을 연결시키는 메인유로가 형성됨으로써 댐핑을 위한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의 작동유체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댐핑 장치는 상기 피스톤에 마련되고, 상기 피스톤이 운동시 작동유체가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를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일방향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하우징부는, 상기 제 1 밀폐부에 상기 연결유로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댐핑조절볼트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 1 공간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밀폐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 1 연결유로; 상기 제 1 연결유로로부터 상기 제 1 밀폐부의 가장자리까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연결유로; 및 상기 제 2 연결유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밀폐부에서 상기 댐핑챔버가 접하는 측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 3 연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유로는, 상기 제 2 공간을 외측과 연결시키도록 상기 댐핑챔버의 측부에 형성되는 연결홀; 및 상기 연결홀과 상기 연결유로의 가장자리 측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댐핑챔버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유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챔버는, 내주면에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헤드를 바이패스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를 이동하도록 조절유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방향제어부는, 상기 피스톤에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제어유로; 및 상기 제어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으로의 일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 챔버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측부에 상기 제 2 공간을 외측과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연결홀과, 상기 연결홀을 상기 제 1 공간 측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유로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왕복 운동하는 상기 헤드로부터 격리되는 작동유체의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양단이 개방되는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로홈은,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서 상기 연결홀로부터 끝단까지 연장되도록 면깎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유로는, 상기 유로홈이 상기 댐핑하우징부의 일단을 차단하는 제 1 밀폐부에 상기 제 1 공간과 가장자리 측에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연결유로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유로와 함께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댐핑챔버는,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헤드를 바이패스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를 이동하도록 내측면에 조절유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핑챔버는, 상기 조절유로가 다수로 형성되되, 각각이 상기 헤드의 왕복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일부 겹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션장치는: 힌지장치 중 어느 하나의 힌지에 고정되는 토션하우징부; 상기 토션하우징부 내에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토션하우징부 내에 회전이 억제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힌지장치 중 다른 하나의 힌지에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서로 끼워지는 부분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왕복 이동 방향에 경사지도록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결합되는 가이드홈이 상기 왕복 이동 방향에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과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직선운동을 상호간에 변환시키는 회전운동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개방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시 상기 스프링에 의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복귀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상대적인 회전으로 상기 도어가 닫힐 수 있다.
상기 토션하우징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내측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위하여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일단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홈에 상기 스프링을 지지함과 아울러 회전량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볼트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외주면에 회전이 억제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위한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션하우징부와 상기 회전부재 각각은, 상기 힌지장치의 하우징 각각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돌기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운동변환부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회전부재의 끼움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이 상기 가이드돌기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재에서 상기 끼움부가 끼워지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걸림으로써 상기 도어가 외력을 인가받기 전까지 닫히는 것을 멈추도록 끝단을 따라 멈춤돌기가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클로저의 댐핑장치로서, 상기 댐핑 장치는: 양단이 제 1 및 제 2 밀폐부로 밀폐되며, 상기 제 1 밀폐부에 길이 방향 중심부와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형성한 댐핑하우징부; 상기 제 2 밀폐부를 관통하여 상기 댐핑하우징부의 내측에 삽입되고, 작동유체의 압력을 받도록 헤드가 마련되는 피스톤; 및 상기 헤드에 의해 내측 공간이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 측 각각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공간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의 작동유체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댐핑챔버;를 포함하는, 댐핑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댐핑챔버는 상기 댐핑하우징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공간이 상기 연결유로의 중심부에 연결되고, 끝단에 의해 차단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가장자리 측과 상기 제 2 공간을 연결시키는 메인유로가 형성됨으로써 댐핑을 위한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의 작동유체 이동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한 도어에 설치되는 클로저는 댐핑 장치와 댐핑 챔버 및 토션 장치와의 결합을 통하여 단계적으로 도어에 가해지는 댐핑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수명이 긴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 의한 클로저의 댐핑장치는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작동유체의 정확한 단속과 댐핑 작용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작동유체의 저항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한 클로저의 댐핑 챔버는, 작동유체의 유로 형성이 용이하고, 작동유체의 저항을 정확하게 제어하며, 이러한 작동유체 저항의 제어가 구간별로 손쉽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한 토션 장치는,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스프링의 정확한 복원력과 토션 작용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클로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를 가진 힌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클로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의 댐핑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의 댐핑장치의 댐핑챔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의 댐핑장치의 댐핑하우징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의 토션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의 회전운동변환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의 토션하우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가 45도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가 90도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클로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를 가진 힌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저는 댐핑장치와 토션 장치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의 댐핑장치(100)는 클로저(10)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댐핑하우징부(110), 피스톤(120), 댐핑챔버(130) 및 일방향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의 댐핑장치(100)는 토션장치(20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데, 토션장치(200)는 도어의 개방력에 의해 탄성에너지가 축적되고, 도어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시 축적된 탄성에너지를 도어에 제공하며, 클로저의 댐핑장치(100)는 토션장치(200)를 통해 댐핑력을 제공함으로써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의 댐핑장치(100)는 예컨대 토션장치(200)와 함께, 힌지장치(300)에서 서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일렬로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하우징(311,321) 내에 설치된다. 클로저의 댐핑장치(100)는 제 1 및 제 2 하우징(311,321)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제 1 하우징(31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고, 토션장치(200)는 토션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하우징(311,321)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클로저의 토션장치(200)는 토션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하우징(311,321)에 각각 고정될 수 있고, 댐핑장치(100)는 제 1 및 제 2 하우징(311,321)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제 1 하우징(31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힌지장치(300)는 한 쌍의 힌지, 예컨대 제 1 및 제 2 힌지(310,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힌지(310)는 도어나 도어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스크루나 볼트 등으로 고정되기 위한 제 1 날개(312)가 제 1 하우징(311)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 힌지(320)는 도어나 도어 프레임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스크루나 볼트 등으로 고정되기 위한 제 2 날개(322)가 제 2 하우징(321)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311)은 본 실시례에서처럼 다수, 예컨대 2개로 이루어져서 제 2 하우징(321)의 양단에 위치하거나, 다른 예로서 다수, 예컨대 2개의 제 2 하우징(321)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댐핑하우징부(110)는 내측에 작동유체, 예컨대 오일이 채워지고, 양단에 밀폐를 위하여 제 1 및 제 2 밀폐부(111,112)가 마련되며, 제 1 밀폐부(111)에 피스톤(120)을 향하는 측의 중심부와 가장자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유로(113,114,115)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밀폐부(111)는 댐핑하우징부(110)의 일단 내측에 나사 결합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 2 밀폐부(112)는 댐핑하우징부(110)의 타단 내측에 나사 결합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데, 피스톤(120)이 관통하기 위하여 관통홀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밀폐부(112)는 다른 구성들과의 결합부위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오링 등과 같은 실링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오링 등의 실링부재는 이 밖에도 클로저(10)에서 기밀을 요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댐핑하우징부(110)는 제 1 밀폐부(111)에 연결유로(113,114,115)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댐핑조절볼트(116)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댐핑하우징부(110)는 제 1 하우징(311)에 끼워져서 걸리도록 걸림턱(117)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113,114,115)는 제 1 공간(131)에 연결되도록 제 1 밀폐부(111)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 1 연결유로(113)와, 제 1 연결유로(113)로부터 제 1 밀폐부(111)의 가장자리까지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연결유로(114)와, 제 2 연결유로(114)에 연결되도록 제 1 밀폐부(111)에서 댐핑챔버(130)가 접하는 측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 3 연결유로(1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연결유로(114)는 제 1 연결유로(113)로부터 다수, 예컨대 3개로 분기되어 제 3 연결유로(115)에 연결될 수 있다. 제 3 연결유로(115)는 제 1 밀폐부(111)의 끝단 모서리 부분에 가장자리를 따라 링 형상의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댐핑조절볼트(116)는 제 1 밀폐부(111)에 제 1 연결유로(113)와 일렬을 이루도록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조임과 풀림에 의해 제 1 및 제 2 연결유로(113,114)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동유체의 통과량 조절에 의해 댐핑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회전시 지그의 삽입을 위하여 일자홈이나 십자홈 또는 렌치홈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피스톤(120)은 제 2 밀폐부(112)를 관통하여 댐핑하우징부(110)의 내측에 삽입되고, 작동유체의 압력을 받도록 헤드(121)가 마련된다. 피스톤(120)은 로드의 끝단에 마련된 결합부(122)가 토션장치(200)의 슬라이딩부재(230)에 끼워져서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슬라이딩부재(230)와 함께 일체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의 댐핑챔버(130)는 몸체(137)와 메인유로(133,1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댐핑챔버(130)는 헤드(121)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댐핑하우징부(110)의 내측에 고정되고, 헤드(121)에 의해 내측 공간이 제 1 및 제 2 밀폐부(111,112) 측 각각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공간(131,132)으로 분할되며, 제 1 공간(131)이 연결유로(113,114,115)의 중심부, 예컨대 제 1 연결유로(113)에 연결되고, 끝단에 의해 차단되는 연결유로(113,114,115)의 가장자리 측, 예컨대 제 3 연결유로(115)와 제 2 공간(132)을 서로 연결시키는 메인유로(133,134)가 형성됨으로써, 댐핑을 위한 제 1 및 제 2 공간(131,132) 사이의 작동유체 이동통로를 제공한다.
몸체(137)는 댐핑장치(100)의 댐핑하우징부(110)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내측공간(138)에 작동유체가 채워지고, 댐핑장치(100)의 피스톤(120)의 헤드(121)가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헤드(121)에 의해 제 1 및 제 2 공간(131,132)으로 분할된다. 몸체(137)는 헤드(121)에 의해 내측공간(138)이 제 1 및 제 2 밀폐부(111,112) 측 각각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공간(131,132)으로 분할되며, 제 1 공간(131)이 연결유로(113,114,115)의 중심부, 예컨대 제 1 연결유로(113)에 연결된다.
몸체(137)는 예컨대 양단이 개방되는 원통형의 중공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댐핑하우징부(110) 내에서 제 1 및 제 2 밀폐부(111,112)에 의해 양단이 고정될 수 있다.
메인유로(133,134)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제 2 공간(132)을 외측과 연결시키도록 댐핑챔버(130)의 측부에 형성되는 연결홀(133)과, 연결홀(133)과 연결유로(113,114,115)의 가장자리 측, 예컨대 제 3 연결유로(115)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댐핑챔버(13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유로홈(13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유로(133,134)는 유로홈(134)이 댐핑하우징부(110)의 일단을 차단하는 제 1 밀폐부(111)에 제 1 공간(131)과 가장자리 측에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연결유로(113,114,115)에 연결됨으로써, 연결유로(113,114,115)와 함께 제 1 및 제 2 공간(131,132)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즉 메인유로(133,134)는 몸체(137)의 끝단에 의해 차단되는 연결유로(113,114,115)의 가장자리 측, 예컨대 제 3 연결유로(115)와 제 2 공간(132)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댐핑을 위한 제 1 및 제 2 공간(131,132) 사이의 작동유체 이동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유로홈(134)은 원통형인 몸체(137)의 외측면에서 연결홀(133)로부터 끝단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면깎기에 의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로 형성을 용이하도록 한다.
댐핑챔버(130)는 내주면에 작동유체가 헤드(121)를 바이패스함으로써 제 1 및 제 2 공간(131,132) 사이를 이동하도록, 조절유로(135,136)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조절유로(135,136)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다수, 예컨대 2개가 형성될 수 있고, 댐핑챔버(130) 내에서 피스톤(120)의 헤드(121)가 이동시, 헤드(121)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는 작동유체가 헤드(121)를 바이패스함으로써 제 1 공간(131)에서 제 2 공간(132)으로, 또는 그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조절유로(135,136)의 형성에 의해 댐핑챔버(130) 내의 헤드(121) 위치에 상응하는 도어의 개폐 영역에 대한 구간별 댐핑력 내지 구간별 닫히는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조절유로(135,136)는 헤드(121)의 두께보다 큰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도어의 닫히는 속도 조절이 필요한 구간에 해당하는 헤드(121)의 위치를 고려하여, 댐핑챔버(130) 내에서의 형성 위치 및 길이가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조절유로(135,136)는 일례로 일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거나, 다른 예로서 전부가 겹쳐지도록 형성되거나, 또 다른 예로서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단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댐핑 조절에 필요한 작동유체의 바이패스량을 고려하여 단면적이 정해질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방향제어부(140)는 피스톤(120)에 마련되고, 피스톤(120)이 운동시 작동유체가 제 1 및 제 2 공간(131,132) 사이를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데, 일례로 본 실시례에서처럼 도어가 개방시 댐핑력을 줄이는 방향, 예컨대 제 1 공간(131)으로부터 제 2 공간(132)으로 일방향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방향제어부(140)는 예컨대 피스톤(120)에 제 1 및 제 2 공간(131,132)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제어유로(141,142)와, 제어유로(141,142)에 설치되고, 제 1 공간(131)으로부터 제 2 공간(132)으로의 일방향 이동만을 허용하는 체크밸브(1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유로(141,142)는 피스톤(120)에서 헤드(121) 끝단 중심으로부터 내측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 1 제어유로(141)와, 제 1 제어유로(141)의 끝단으로부터 피스톤(120)의 측부까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제어유로(142)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120)이 어떠한 위치에 있더라도 제 1 제어유로(141)는 제 1 공간(131)에 연결되고, 제 2 제어유로(142)는 제 2 공간(132)에 연결된다. 체크밸브(143)는 제 1 제어유로(141) 내에 나사 결합 또는 억지 끼움 등에 의해 설치될 수 있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볼에 의해 작동유체의 이동방향을 제한됨으로서 제 1 제어유로(141)를 일방향으로 개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토션장치(200)는 토션하우징부(210), 스프링(220), 슬라이딩부재(230), 회전부재(240) 및 회전운동변환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토션하우징부(210)는 힌지장치(300) 중 어느 하나의 힌지, 예컨대 제 1 힌지(310)에 고정되며, 일단이 차단되고, 슬라이딩부재(230)가 내측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위하여,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211)이 다수로 형성될 수 있고, 일단 내주면에 나사홈(212)이 형성되며, 나사홈(212)에 스프링(220)을 지지함과 아울러 회전량에 따라 스프링(220)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볼트(213)가 나사 결합된다. 텐션조절볼트(213)는 회전에 의해 토션하우징부(210) 내의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스프링(220)의 압축량 내지 탄성력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며, 오링 등의 실링부재에 의해 토션하우징부(210)의 일단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고, 회전을 위하여 일자홈이나 십자홈 또는 렌치홈 등의 지그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토션하우징부(210)는 힌지장치(300)에서 제 1 날개(312)에 의해 스크루나 볼트 등으로 도어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 1 힌지(310)의 제 1 하우징(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하우징(311)의 내측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끼워짐으로써 제 1 하우징(311)에 일체를 이루도록 고정되기 위하여, 고정돌기(214)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제 1 하우징(311)에 삽입시 걸림으로써 설치 위치가 고정되도록 걸림턱(215)이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스프링(220)은 토션하우징부(210)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고, 본 실시례에서처럼 코일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단이 텐션조절볼트(213)에 지지되고, 타단이 슬라이딩부재(230)에 지지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230)는 스프링(220)에 탄성 지지되어 토션하우징부(210) 내에 회전이 억제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댐핑장치(100)의 피스톤(120)이 함께 왕복 이동하도록 결합된다. 슬라이딩부재(230)는 토션하우징부(210)로부터 회전이 억제된 상태에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홈(211) 각각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위한 슬라이딩돌기(231)가 외측면 둘레를 따라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230)는 피스톤(120)의 끝단에 마련된 결합부(122)가 끼워져서 일체를 이루도록 결합되기 위하여 결합홀(232)이 형성될 수 있고, 볼트나 스크루 등의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피스톤(120) 끝단의 결합부(122)가 고정될 수 있다.
회전부재(240)는 피스톤(120)의 외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부재(230)에 끼워져서 슬라이딩부재(23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억제된 상태에서 도어의 회전시 슬라이딩부재(2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힌지장치(300) 중 다른 하나의 힌지, 예컨대 제 2 힌지(320)에 고정된다. 회전부재(240)는 도어의 회전시 슬라이딩부재(23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을 하게 되는데, 힌지장치(300)에서 도어와 도어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제 2 날개(322)에 의해 볼트나 스크루 등으로 고정되는 제 2 힌지(320)의 제 2 하우징(321)에 마련되는 고정홈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돌기(241)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재(240)는 슬라이딩부재(230)의 내측에 끼워지기 위하여 끼움부(24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끼움부(242)는 반대로 슬라이딩부재(23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댐핑장치(100)의 제 2 밀폐부(112)와의 사이에 와셔(243)가 개재될 수 있는데, 이러한 와셔(243)는 피스톤(120)에 삽입되어 제 2 하우징(321)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240)의 상대적인 회전은, 힌지장치(300)의 제 1 힌지(310)가 도어측에 고정되고, 제 2 힌지(320)가 도어프레임측에 고정되는 경우와, 이와는 반대로 제 1 힌지(310)가 도어프레임측에 고정되고, 제 2 힌지(320)가 도어측에 고정되는 경우 모두를 고려한 것으로서, 일례로 회전부재(240)가 힌지장치(300)에 의해 도어측에 결합되고, 토션하우징부(210)가 힌지장치(300)에 의해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는 경우, 다른 예로서 회전부재(240)가 힌지장치(300)에 의해 도어프레임에 결합되고, 토션하우징부(210)가 힌지장치(300)에 의해 도어에 결합되는 경우, 2가지 모두를 고려할 때, 회전부재(240)가 토션하우징부(2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회전운동변환부(250)는 슬라이딩부재(230)와 회전부재(240)가 서로 끼워지는 부분 중 어느 하나에 상기의 왕복 이동 방향에 경사지도록 가이드돌기(251)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가이드돌기(251)가 결합되는 가이드홈(252)이 상기의 왕복 이동 방향에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회전부재(240)의 회전운동과 슬라이딩부재(230)의 직선운동을 상호간에 변환시킨다. 회전운동변환부(250)는 가이드돌기(251)가 회전부재(240)의 끼움부(242) 외주면을 따라 다수, 예컨대 2개로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홈(252)이 가이드돌기(251) 각각에 대응하도록 슬라이딩부재(230)에서 끼움부(242)가 끼워지는 부분에 다수, 예컨대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230)는 가이드홈(252)으로부터 이탈되는 가이드돌기(251)가 걸림으로써 도어가 외력을 인가받기 전까지 닫히는 것을 멈추도록 끝단을 따라 멈춤돌기(233)가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로저의 댐핑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와 같이, 도어프레임에 도어의 설치를 매개하는 힌지장치(300)의 제 1 및 제 2 힌지(310,320; 도 1 및 도 2에 도시)가 도어의 닫힘에 의해, 서로 이루는 각도가 0도인 경우, 토션장치(200)의 스프링(220)으로부터 탄성력이 슬라이딩부재(230)에 제공되고, 슬라이딩부재(230)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회전운동변환부(250; 도 7 및 도 8에 도시)에 의해 회전부재(240)에 전달되어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회전운동변환부(250)의 가이드돌기(251; 도 7 및 도 8에 도시)는 가이드홈(252; 도 7 및 도 8에 도시)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도 10에서와 같이, 도어에 힘을 가하여 도어를 45도 정도로 열게 되면, 힌지장치(300)의 제 1 및 제 2 힌지(310,320; 도 1 및 도 2에 도시)는 서로 45도의 각도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도어의 개방력에 의해, 제 2 힌지(320)의 제 2 하우징(321)에 고정된 회전부재(240)가 슬라이딩부재(2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부재(240)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변환부(250)의 가이드돌기(251; 도 7 및 도 8에 도시)가 가이드홈(252; 도 7 및 도 8에 도시)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딩부재(230)가 직선 운동을 시작하여 스프링(220)을 압축시키도록 하고, 이로 인해 스프링(220)에 탄성력이 보다 더 축적되기 시작한다.
이때, 슬라이딩부재(230)와 함께 댐핑장치(100)의 피스톤(120)이 이동하게 됨으로써 피스톤(120)에 의해 제 2 공간(132) 측으로 작동유체의 압축이 시작되고, 이때, 제 2 공간(132) 내의 작동유체는 메인유로(133,135)와, 연결유로(113,114,115), 즉 연결홀(133)과 유로홈(134), 그리고 제 3 연결유로(115), 제 2 연결유로(114) 및 제 1 연결유로(11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 1 공간(131)으로 이동하고, 체크밸브(143)의 개방에 의해 제어유로(141,142) 즉, 제 1 제어유로(141) 및 제 2 제어유로(142)를 작동유체가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제 1 공간(131)에서 제 2 공간(132)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일방향 제어부(140)에 의해 도어가 비교적 용이하게 개방되도록 한다. 한편, 도어가 45도 개방인 상태의 피스톤(120) 위치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위치에 대하여 적은 이동을 보이는데, 이는 가이드돌기(251)와 가이드홈(252)의 정해진 기울기 내지 곡률에 따른 것이며, 필요에 따라 달리 설계될 수도 있다.
도 11에서와 같이, 도어의 계속적인 개방에 의해 90도로 개방됨으로써 제 1 및 제 2 힌지(310,320; 도 1 및 도 2에 도시)가 90도를 이루게 되면, 앞서 설명한 45도 개방에서와 같은 스프링(220) 압축과 작동유체의 이동이 보다 크게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스프링(220)의 압축에 의한 탄성력이 슬라이딩부재(230) 및 회전부재(240)를 통해서 도어가 닫히려는 복귀력으로 제공된다.
도어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220)에 축적된 탄성력이 슬라이딩부재(230)를 직선 운동시켜서 복귀시키고, 회전운동변환부(250)의 가이드돌기(251)가 가이드홈(252)을 따라 복귀함으로써 회전부재(240)를 회전시켜서 도어가 닫히도록 한다. 이때, 슬라이딩부재(230)와 함께 피스톤(120)이 이동하여, 제 1 공간(132) 측으로 작동유체를 압축시킴으로써, 제 1 공간(131) 내의 작동유체는 연결유로(113,114,115)와 메인유로(133,135), 즉 제 1 내지 제 3 연결유로(113,114,115), 그리고 유로홈(134) 및 연결홀(13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 2 공간(132)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체크밸브(143)는 차단됨으로써 제어유로(141,142)를 통한 작동유체의 이동을 차단하여, 댐핑력이 도어에 제대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힌지장치(300)에 의해 설치된 도어의 개방시, 회전부재(240)와 슬라이딩부재(230)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부재(230)가 이동하여 스프링(220)을 압축시키고, 도어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시 스프링(220)에 의한 슬라이딩부재(230)의 복귀에 의해 슬라이딩부재(230)와 회전부재(240)의 상대적인 회전으로 도어가 닫히도록 한다. 이때 슬라이딩부재(230)와 함께 이동하는 피스톤(120)의 이동에 의해 작동유체를 압축시키고, 이로 인해 댐핑장치(100)에서 작동유체가 제 1 및 제 2 공간(131,132) 사이를 유로(113,114,115,133,134,141,142) 전체 또는 일부를 통해 이동함으로써 댐핑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댐핑장치(100)의 댐핑력은 댐핑챔버(130)에 피스톤(120)의 헤드(121)를 바이패스하도록 마련된 조절유로(135,136)에 의해 구간별로 조절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구간별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댐핑장치
110 : 댐핑하우징부
111 : 제 1 밀폐부
112 : 제 2 밀폐부
113,114,115 : 연결유로
116 : 댐핑조절볼트
117 : 걸림턱
120 : 피스톤
121 : 헤드
122 : 결합부
130 : 댐핑챔버
131 : 제 1 공간
132 : 제 2 공간
133,134 : 메인유로
135.136 : 조절유로
137 : 몸체
138 : 내측공간
140 : 일방향제어부
141,142 : 제어유로
143 : 체크밸브
200 : 토션장치
210 : 토션하우징부
211 : 슬라이딩홈
212 : 나사홈
213 : 텐션조절볼트
214 : 고정돌기
215 : 걸림턱
220 : 스프링
230 : 슬라이딩부재
231 : 슬라이딩돌기
232 : 결합홀
233 : 멈춤돌기
240 : 회전부재
241 : 고정돌기
242 : 끼움부
243 : 와셔
250 : 회전운동변환부
251 : 가이드돌기
252 : 가이드홈
300 : 힌지
310 : 제 1 힌지
311 : 제 1 하우징
312 : 제 1 날개
320 : 제 2 힌지
321 : 제 2 하우징
322 : 제 2 날개

Claims (21)

  1. 클로저로서, 상기 클로저는 댐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 장치는:
    양단이 제 1 및 제 2 밀폐부로 밀폐되며, 상기 제 1 밀폐부에 길이 방향 중심부와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형성한 댐핑하우징부;
    상기 제 2 밀폐부를 관통하여 상기 댐핑하우징부의 내측에 삽입되고, 작동유체의 압력을 받도록 헤드가 마련되는 피스톤; 및
    상기 헤드에 의해 내측 공간이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 측 각각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공간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의 작동유체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댐핑챔버;를 포함하는, 클로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로저는 상기 댐핑 장치와 결합되는 토션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션장치는:
    상기 댐핑장치의 피스톤이 함께 왕복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피스톤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끼워져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클로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핑 장치의 댐핑하우징부의 연결유로는 상기 제 1 밀폐부에 상기 피스톤을 향하는 측의 중심부와 가장자리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댐핑챔버는 상기 헤드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상기 댐핑하우징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공간이 상기 연결유로의 중심부에 연결되고, 끝단에 의해 차단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가장자리 측과 상기 제 2 공간을 연결시키는 메인유로가 형성됨으로써 댐핑을 위한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의 작동유체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댐핑 장치는
    상기 피스톤에 마련되고, 상기 피스톤이 운동시 작동유체가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를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일방향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클로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댐핑하우징부는,
    상기 제 1 밀폐부에 상기 연결유로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댐핑조절볼트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나사 결합되는, 클로저.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 1 공간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밀폐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 1 연결유로;
    상기 제 1 연결유로로부터 상기 제 1 밀폐부의 가장자리까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연결유로; 및
    상기 제 2 연결유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 1 밀폐부에서 상기 댐핑챔버가 접하는 측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 3 연결유로;
    를 포함하는, 클로저.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로는,
    상기 제 2 공간을 외측과 연결시키도록 상기 댐핑챔버의 측부에 형성되는 연결홀; 및
    상기 연결홀과 상기 연결유로의 가장자리 측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댐핑챔버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유로홈;
    을 포함하는, 클로저.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댐핑챔버는,
    내주면에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헤드를 바이패스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를 이동하도록 조절유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클로저.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제어부는,
    상기 피스톤에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제어유로; 및
    상기 제어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으로의 일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체크밸브;
    를 포함하는, 클로저.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댐핑 챔버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측부에 상기 제 2 공간을 외측과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연결홀과, 상기 연결홀을 상기 제 1 공간 측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유로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왕복 운동하는 상기 헤드로부터 격리되는 작동유체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메인유로;
    를 포함하는, 클로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양단이 개방되는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로홈은,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서 상기 연결홀로부터 끝단까지 연장되도록 면깎기에 의해 형성되는, 클로저.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로는,
    상기 유로홈이 상기 댐핑하우징부의 일단을 차단하는 제 1 밀폐부에 상기 제 1 공간과 가장자리 측에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연결유로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유로와 함께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을 서로 연결시키는, 클로저.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댐핑챔버는,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헤드를 바이패스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를 이동하도록 내측면에 조절유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클로저.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댐핑챔버는,
    상기 조절유로가 다수로 형성되되, 각각이 상기 헤드의 왕복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일부 겹쳐지도록 형성되는, 클로저.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토션장치는:
    힌지장치 중 어느 하나의 힌지에 고정되는 토션하우징부;
    상기 토션하우징부 내에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토션하우징부 내에 회전이 억제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힌지장치 중 다른 하나의 힌지에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서로 끼워지는 부분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왕복 이동 방향에 경사지도록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결합되는 가이드홈이 상기 왕복 이동 방향에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과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직선운동을 상호간에 변환시키는 회전운동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개방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상기 도어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시 상기 스프링에 의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복귀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상대적인 회전으로 상기 도어가 닫히도록 하는, 클로저.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토션하우징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내측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위하여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일단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홈에 상기 스프링을 지지함과 아울러 회전량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클로저.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외주면에 회전이 억제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위한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는, 클로저.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토션하우징부와 상기 회전부재 각각은,
    상기 힌지장치의 하우징 각각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돌기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각각 형성되는, 클로저.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변환부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회전부재의 끼움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이 상기 가이드돌기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재에서 상기 끼움부가 끼워지는 부분에 형성되는, 클로저.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걸림으로써 상기 도어가 외력을 인가받기 전까지 닫히는 것을 멈추도록 끝단을 따라 멈춤돌기가 다수로 형성되는, 클로저.
  20. 클로저의 댐핑장치로서, 상기 댐핑 장치는:
    양단이 제 1 및 제 2 밀폐부로 밀폐되며, 상기 제 1 밀폐부에 길이 방향 중심부와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형성한 댐핑하우징부;
    상기 제 2 밀폐부를 관통하여 상기 댐핑하우징부의 내측에 삽입되고, 작동유체의 압력을 받도록 헤드가 마련되는 피스톤; 및
    상기 헤드에 의해 내측 공간이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 측 각각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공간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의 작동유체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댐핑챔버;를 포함하는, 댐핑 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댐핑챔버는 상기 댐핑하우징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공간이 상기 연결유로의 중심부에 연결되고, 끝단에 의해 차단되는 상기 연결유로의 가장자리 측과 상기 제 2 공간을 연결시키는 메인유로가 형성됨으로써 댐핑을 위한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의 작동유체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댐핑 장치.
PCT/KR2017/004921 2016-05-12 2017-05-12 클로저 장치 WO2017196113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27701.6A CN109072654B (zh) 2016-05-12 2017-05-12 闭门器装置
EP17796413.7A EP3456908A4 (en) 2016-05-12 2017-05-12 CLOSING
US16/098,490 US20190145141A1 (en) 2016-05-12 2017-05-12 Close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880A KR101745650B1 (ko) 2016-05-12 2016-05-12 클로저의 댐핑챔버
KR10-2016-0057872 2016-05-12
KR1020160057872A KR101745653B1 (ko) 2016-05-12 2016-05-12 클로저의 댐핑장치
KR1020160057874A KR101745641B1 (ko) 2016-05-12 2016-05-12 클로저의 토션장치
KR10-2016-0057874 2016-05-12
KR10-2016-0057880 2016-05-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96113A1 true WO2017196113A1 (ko) 2017-11-16

Family

ID=60267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4921 WO2017196113A1 (ko) 2016-05-12 2017-05-12 클로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145141A1 (ko)
EP (1) EP3456908A4 (ko)
CN (1) CN109072654B (ko)
WO (1) WO20171961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22441B (zh) * 2019-05-27 2021-03-21 陳旺松 組合式鉸鏈及液壓裝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1335B2 (en) * 2018-12-12 2021-06-22 Waterson Corp. Hinge
IT201900004791A1 (it) * 2019-03-29 2020-09-29 Colcom Group S P A Dispositivo a cerniera per ante in vetro o similari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431A (ja) * 2002-03-07 2003-10-02 Fu Luong Hi-Tech Co Ltd 自動閉扉蝶番
KR20070043283A (ko) * 2005-10-20 2007-04-25 전병수 유압식 도어 경첩
KR100761904B1 (ko) * 2006-08-08 2007-09-28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건자재용 도어의 자동복귀 힌지장치
KR20110103510A (ko) 2010-03-15 2011-09-21 주식회사 아이닥스 토션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KR20120124938A (ko) 2011-05-06 2012-11-14 주식회사 두임 로터리타입 댐퍼
JP5535580B2 (ja) * 2009-11-02 2014-07-02 株式会社陽洋 自動開閉扉蝶番
KR20150109622A (ko) * 2014-03-20 2015-10-02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도어 힌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96673A (en) * 1930-11-19 1933-08-10 Antoine Thuillier Improvements relating to door-closing devices
KR101113082B1 (ko) * 2008-12-22 2012-02-15 주식회사 이피텍 도어클로져용 댐퍼
IT1400022B1 (it) * 2010-05-11 2013-05-09 Ind Casearia Silvio Belladelli S R L Dispositivo chiudiporta
KR20120074445A (ko) * 2010-12-28 2012-07-06 정순자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CN102409915B (zh) * 2011-08-30 2013-11-06 陈杰辉 多功能可调节自闭式缓冲合页
BR112017007038A2 (pt) * 2014-10-06 2018-01-30 In & Tec Srl dispositivo de articulação para mover e / ou controlar rotativamente a abertura e/ou o fechamento de um elemento de fechamento (d)
CN204457211U (zh) * 2015-02-05 2015-07-08 韦希 液压缓冲合页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431A (ja) * 2002-03-07 2003-10-02 Fu Luong Hi-Tech Co Ltd 自動閉扉蝶番
KR20070043283A (ko) * 2005-10-20 2007-04-25 전병수 유압식 도어 경첩
KR100761904B1 (ko) * 2006-08-08 2007-09-28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건자재용 도어의 자동복귀 힌지장치
JP5535580B2 (ja) * 2009-11-02 2014-07-02 株式会社陽洋 自動開閉扉蝶番
KR20110103510A (ko) 2010-03-15 2011-09-21 주식회사 아이닥스 토션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KR20120124938A (ko) 2011-05-06 2012-11-14 주식회사 두임 로터리타입 댐퍼
KR20150109622A (ko) * 2014-03-20 2015-10-02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도어 힌지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456908A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22441B (zh) * 2019-05-27 2021-03-21 陳旺松 組合式鉸鏈及液壓裝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2654A (zh) 2018-12-21
CN109072654B (zh) 2020-12-11
EP3456908A1 (en) 2019-03-20
US20190145141A1 (en) 2019-05-16
EP3456908A4 (en)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96113A1 (ko) 클로저 장치
KR100862406B1 (ko) 나사 로드를 예압하기 위한 인장장치, 나사 로드를 예압하기 위한 인장 조립체 및 인장방법
SU1421251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сцеплени и расцеплени носител инструмента многоосного манипул тора
US7421761B2 (en) Door closer
KR100338120B1 (ko) 클램프장치
WO2013109005A1 (ko) 가변용량 압축기의 전자제어밸브
WO2014088274A1 (ko) 도어 폐쇄력을 부가하는 유닛을 구비한 도어 클로저
WO2015144034A1 (zh) 一种带自补偿的阻尼转轴机构
KR101715674B1 (ko) 개폐 척
WO2011025251A2 (ko) 자동 도어 클로우저 유닛
WO2019172592A1 (ko) 냉장고 도어용 댐핑 힌지 모듈
CN1813383A (zh) 电缆接头锁合装置
WO2015137567A1 (ko) 압력조절수단을 내장한 가구힌지용 가변형 완충댐퍼
WO2016064047A1 (ko) 도어 회전장치
WO2021075603A1 (ko) 밸브 개폐장치
KR20180086097A (ko) 클로저의 토션장치
KR101745641B1 (ko) 클로저의 토션장치
WO2010107168A1 (ko)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WO2021118018A1 (ko) 레귤레이터
KR101745653B1 (ko) 클로저의 댐핑장치
KR101896673B1 (ko) 클로저의 복동실린더 타입 댐핑장치
WO2016036153A1 (ko) 가구도어용 여닫이댐퍼의 위치조절장치
KR102052272B1 (ko) 클로저의 댐핑챔버 및 이를 가지는 댐핑장치
WO2015161797A1 (zh) 一种具有密封自补偿的阻尼转轴机构及马桶盖
KR101745650B1 (ko) 클로저의 댐핑챔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9641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79641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8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