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272B1 - 클로저의 댐핑챔버 및 이를 가지는 댐핑장치 - Google Patents

클로저의 댐핑챔버 및 이를 가지는 댐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272B1
KR102052272B1 KR1020180090820A KR20180090820A KR102052272B1 KR 102052272 B1 KR102052272 B1 KR 102052272B1 KR 1020180090820 A KR1020180090820 A KR 1020180090820A KR 20180090820 A KR20180090820 A KR 20180090820A KR 102052272 B1 KR102052272 B1 KR 102052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flow path
head
hole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준
Original Assignee
조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준 filed Critical 조용준
Priority to KR1020180090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15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anted-coil tors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9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gas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luid brakes of the rotary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핑장치의 댐핑하우징부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내측공간에 작동유체가 채워지고, 상기 댐핑장치의 피스톤의 헤드가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헤드에 의해 제 1 및 제 2 공간으로 분할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측부에 상기 제 2 공간을 외측과 연결시킴과 아울러 일방향제어부의 볼이 외측에서 차단을 위해 안착되는 볼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측부에 상기 제 1 공간을 외측과 연결시키는 통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상기 볼안착홀과 상기 통과홀을 연결시키도록 연결홈이 형성되는 메인유로; 및 상기 볼을 상기 볼안착홀에 안착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편이 장착되도록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장착홈;을 포함하도록 한 클로저의 댐핑챔버 및 이를 가지는 댐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부에 용이하게 조립됨으로써 작동유체의 유로 형성이 용이하도록 하고, 비교적 고도의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도록 하며, 이로 인해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작동유체의 정확한 단속과 댐핑 작용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작동유체의 저항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작동유체의 저항을 구간별로 손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힌지에의 조립성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클로저의 댐핑챔버 및 이를 가지는 댐핑장치{Damping chamber of closer and damping apparatus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클로저의 댐핑챔버 및 이를 가지는 댐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성이 뛰어나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작동유체의 유로 형성이 용이하도록 하고, 작동유체의 저항을 정확하게 제어하며, 이러한 작동유체 저항의 제어가 구간별로 손쉽게 수행되도록 하고, 댐핑 동작의 신뢰성이 우수하도록 하는 클로저의 댐핑챔버 및 이를 가지는 댐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로저(closer)는 도어 등에 설치되는데, 도어를 회전시켜서 개방시킨 후 도어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도어가 스스로 회전하여 닫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클로저는 작동유체에 의해 댐핑력을 발생시키는 댐핑장치와, 스프링에 의해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토션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클로저의 댐핑장치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24938호의 "로터리타입 댐퍼"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작동유체가 채워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측부에 도달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작동유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하우징핀; 및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되,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자세가 가변됨으로써 상기 샤프트의 측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액시스핀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실제로 제작시, 하우징핀과 액시스핀의 동작 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작동유체의 저항을 정확하게 제어하는데 한계를 가지며, 이로 인해 작동유체의 정확한 단속이 힘들 뿐만 아니라, 댐핑 작용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실제로 제작시, 하우징핀과 액시스핀을 비롯하여 구성부재의 가공에 있어서, 오히려 고도의 정밀도를 요구하게 됨으로써 제작의 어려움과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고, 작동유체의 기밀유지를 위한 간편한 조립구조가 제시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를 구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부에 용이하게 조립됨으로써 작동유체의 유로 형성이 용이하도록 하고, 비교적 고도의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도록 하며, 이로 인해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작동유체의 정확한 단속과 댐핑 작용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며, 작동유체의 저항을 정확하게 제어하고, 이러한 작동유체의 저항을 구간별로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힌지에의 조립성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클로저의 댐핑장치에 설치되는 댐핑챔버로서, 상기 댐핑장치의 댐핑하우징부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내측공간에 작동유체가 채워지고, 상기 댐핑장치의 피스톤의 헤드가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헤드에 의해 제 1 및 제 2 공간으로 분할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측부에 상기 제 2 공간을 외측과 연결시킴과 아울러 일방향제어부의 볼이 외측에서 차단을 위해 안착되는 볼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측부에 상기 제 1 공간을 외측과 연결시키는 통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상기 볼안착홀과 상기 통과홀을 연결시키도록 연결홈이 형성되는 메인유로; 및 상기 볼을 상기 볼안착홀에 안착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편이 장착되도록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장착홈;을 포함하는, 클로저의 댐핑챔버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홈은, 상기 볼안착홀에 연결되어 상기 통과홀을 향하도록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볼안착홀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는 동작유로; 및 상기 동작유로와 상기 통과홀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연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홈은, 상기 볼안착홀에 교차하도록 상기 몸체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서 상기 볼안착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도어의 닫힘 초기 속도를 조절하는 제 1 조절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헤드를 바이패스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 2 조절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측에 작동유체가 채워지고, 양단에 밀폐를 위하여 제 1 및 제 2 밀폐부가 마련되는 댐핑하우징부; 상기 제 2 밀폐부를 관통하여 상기 댐핑하우징부의 내측에 삽입되고, 작동유체의 압력을 받도록 헤드가 마련되는 피스톤; 상기 헤드가 내측에 삽입되는 몸체가 상기 댐핑하우징부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헤드에 의해 상기 몸체의 내측 공간이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 측 각각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공간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을 연결시키는 메인유로가 형성됨으로써 댐핑을 위한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의 작동유체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장착홈이 형성되는 댐핑챔버; 및 상기 메인유로에 외측에서 안착되는 볼에 의해 상기 메인유로를 차단시키도록 하고, 상기 볼을 상기 메인유로에 안착시키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편이 상기 장착홈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피스톤이 운동시 작동유체가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를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일방향제어부;를 포함하는, 클로저의 댐핑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댐핑하우징부는, 힌지장치 중 어느 하나의 힌지에 나사 체결되도록 제 1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로부터 끝단이 돌출되어 노브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은, 양단이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가 피스톤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에서 상기 헤드의 양측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고정편이 각각 끼워짐으로써 상기 헤드가 상기 고정편에 의해 이동이 억제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헤드를 바이패스하도록 상기 헤드의 양측을 연결시키는 바이패스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밀폐부로부터 노출되는 일단에 나사 결합되는 댐핑조절볼트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유로의 개방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메인유로는, 상기 몸체의 측부에 상기 제 2 공간을 외측과 연결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볼이 외측에서 차단을 위해 안착되는 볼안착홀; 상기 몸체의 측부에 상기 제 1 공간을 외측과 연결시키는 형성되는 통과홀; 상기 볼안착홀에 연결되어 상기 통과홀을 향하도록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볼안착홀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는 동작유로; 및 상기 동작유로와 상기 통과홀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연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챔버는,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서 상기 볼안착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도어의 닫힘 초기 속도를 조절하는 제 1 조절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챔버는,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헤드를 바이패스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 2 조절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로저의 댐핑챔버 및 이를 가지는 댐핑장치에 의하면, 하우징부에 용이하게 조립됨으로써 작동유체의 유로 형성이 용이하도록 하고, 비교적 고도의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도록 하며, 이로 인해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작동유체의 정확한 단속과 댐핑 작용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작동유체의 저항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작동유체의 저항을 구간별로 손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힌지에의 조립성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를 가진 힌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의 댐핑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클로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의 댐핑챔버와 피스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의 댐핑챔버와 일방향제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의 댐핑챔버와 일방향제어부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의 토션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가 45도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가 90도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를 가진 힌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의 댐핑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클로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의 댐핑챔버는 댐핑장치(100)에 포함되는데, 이러한 댐핑장치(100)는 클로저(10)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댐핑하우징부(110), 피스톤(120), 댐핑챔버(130) 및 일방향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댐핑챔버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10)의 댐핑챔버(130)에 해당하므로, 그 설명을 클로저(10)의 댐핑챔버(130)의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의 댐핑장치(100)는 토션장치(20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데, 토션장치(200)는 도어의 개방력에 의해 탄성에너지가 축적되고, 도어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시 축적된 탄성에너지를 도어에 제공하며, 클로저의 댐핑장치(100)는 토션장치(200)를 통해 댐핑력을 제공함으로써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의 댐핑장치(100)는 예컨대 토션장치(200)와 함께, 힌지장치(300)에서 서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일렬로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하우징(311,321) 내에 설치된다. 클로저의 댐핑장치(100)는 제 1 및 제 2 하우징(311,321)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제 1 하우징(31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고, 토션장치(200)는 토션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하우징(311,321)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장치(300)는 후술하기로 한다.
댐핑하우징부(110)는 내측에 작동유체, 예컨대 오일이 채워지고, 양단에 밀폐를 위하여 제 1 및 제 2 밀폐부(111,112)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밀폐부(111)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댐핑하우징부(110)의 일단에 일체를 이루도록 마련되거나, 다른 예로서 댐핑하우징부(110)와는 별개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피스톤(120)이 관통하기 위하여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밀폐부(112)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댐핑하우징부(110)의 타단 내측에 형성되는 암나사부(115)에 나사 결합으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거나, 다른 예로서 댐핑하우징부(110)에 일체를 이루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피스톤(120)이 관통하기 위하여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들과의 결합부위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오링 등과 같은 실링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오링 등의 실링부재는 이 밖에도 클로저(10)에서 기밀을 요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댐핑하우징부(110)는 힌지장치(300)의 제 1 하우징(311)에 끼워져서 걸리도록 걸림턱(113)이 형성될 수 있다.
댐핑하우징부(110)는 힌지장치(300) 중 어느 하나의 힌지, 예컨대 제 1 힌지(310)에 나사 체결되도록 제 1 수나사부(114)가 형성될 수 있고, 나사 체결을 위한 회전을 위해 파지하기 위하여, 힌지, 예컨대 제 1 힌지(310)로부터 끝단이 돌출되어 노브(116)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피스톤(120)은 제 2 밀폐부(112)를 관통하여 댐핑하우징부(110)의 내측에 삽입되고, 작동유체의 압력을 받도록 헤드(121)가 마련된다. 피스톤(120)은 예컨대 피스톤로드(127)의 끝단에 형성된 암나사인 결합부(122)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재(234)를 매개로 하여 토션장치(200)의 슬라이딩부재(230)에 결합 내지 고정됨으로써 슬라이딩부재(230)와 함께 일체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피스톤(120)은 예컨대 피스톤로드(127)가 헤드(121)의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양단이 제 1 및 제 2 밀폐부(111,1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헤드(121)의 형성 내지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피스톤로드(127)에서 헤드(121)의 양측에 형성되는 끼움홈(125)에 고정편(126)이 각각 끼워짐으로써 헤드(121)가 고정편(126)에 의해 이동이 억제되도록 고정될 수 있고, 헤드(121)를 바이패스하도록 헤드(121)의 양측을 연결시키는 바이패스유로(1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댐핑챔버(130)의 제 1 및 제 2 공간(131,132) 간에 압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제 1 밀폐부(111)로부터 노출되는 일단에 나사 결합되는 댐핑조절볼트(124)에 의해 바이패스유로(123)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댐핑조절볼트(124)는 조임과 풀림에 의해 바이패스유로(123)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동유체의 통과량 조절에 의해 댐핑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댐핑 스피드를 조절할 수 있고, 회전시 지그의 삽입을 위하여 일자홈이나 십자홈 또는 렌치홈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댐핑챔버(130)는 몸체(137), 메인유로(133) 및 장착홈(134)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37)는 피스톤(120)의 헤드(121)가 내측에 삽입되어 댐핑하우징부(110)의 내측에 고정됨으로써, 내측공간(138)에 작동유체가 채워지고, 헤드(121)에 의해 내측공간(138)이 제 1 및 제 2 밀폐부(111,112) 측 각각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공간(131,132)으로 분할되며, 제 1 및 제 2 공간(131,132)을 연결시키는 메인유로(133)가 형성됨으로써 댐핑을 위한 제 1 및 제 2 공간(131,132) 사이의 작동유체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몸체(137)의 외측면에 장착홈(134)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37)는 예컨대 양단이 개방되는 원통형의 중공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댐핑하우징부(110) 내에서 제 1 및 제 2 밀폐부(111,112)에 의해 양단이 고정될 수 있다.
몸체(137) 또는 피스톤(120) 등에는 도어 등이 열린 후 닫히고자 하는 경우 작동 유체의 과도한 압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 내지 구조로 작동유체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유로(133)는 몸체(137)의 측부에 제 2 공간(132)을 외측과 연결시킴과 아울러 일방향제어부(140)의 볼(141)이 외측에서 차단을 위해 안착되는 볼안착홀(133a)이 형성될 수 있고, 몸체(137)의 측부에 제 1 공간(131)을 외측과 연결시키는 통과홀(133d)이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37)의 외측면에 볼안착홀(133a)과 통과홀(133d)을 연결시키도록 연결홈(133b,133c)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홈(133b,133c)은 볼안착홀(133a)에 연결되어 통과홀(133d)을 향하도록 몸체(137)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볼안착홀(133a)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는 동작유로(133b)와, 동작유로(133b)와 통과홀(133d)을 연결시키도록 몸체(137)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연결유로(133c)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유로(133)는 다른 유로의 도움없이 자신만으로 왕복 운동하는 헤드(121)로부터 격리되는 작동유체의 제 1 및 제 2 공간(131,132) 간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장착홈(134)은 일방향제어부(140)의 볼(141)을 볼안착홀(133a)에 안착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편(142)이 장착되도록 몸체(137)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134)은 탄성편(142)이 볼(14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볼안착홀(133a)에 교차하도록 몸체(137)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댐핑챔버(130)는 몸체(137)의 내측면에서 볼안착홀(133a)에 연결되어, 도어의 닫힘 초기 속도를 조절하는 제 1 조절유로(135)가 형성될 수 있고, 작동유체가 헤드(121)를 바이패스함으로써 제 1 및 제 2 공간(131,132) 사이를 이동하도록, 내측면에 제 2 조절유로(136)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 1 조절유로(135)는 헤드(121)의 두께보다 큰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볼안착홀(133a)을 포함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볼안착홀(133a)에 연결되고, 초기 속도 조절 구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제 2 조절유로(136)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1개 또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댐핑챔버(130) 내에서 피스톤(120)의 헤드(121)가 이동시, 헤드(121)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는 작동유체가 헤드(121)를 바이패스함으로써 제 1 공간(131)에서 제 2 공간(132)으로, 또는 그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 2 조절유로(136)의 형성에 의해 댐핑챔버(130) 내의 헤드(121) 위치에 상응하는 도어의 개폐 영역에 대한 구간별 댐핑력 내지 구간별 닫히는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제 2 조절유로(136)는 헤드(121)의 두께보다 큰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도어의 닫히는 속도 조절이 필요한 구간에 해당하는 헤드(121)의 위치를 고려하여, 댐핑챔버(130) 내에서의 형성 위치 및 길이가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제 2 조절유로(136)는 다수개인 경우, 각각이 일례로 댐핑력 변화 구간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헤드(121)의 왕복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일부 겹쳐지도록 형성되거나, 다른 예로서 전부 겹쳐지도록 형성되거나, 또 다른 예로서 댐핑력 변화 구간이 단속적이 되도록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단일로 형성될 수 있고, 댐핑 조절에 필요한 작동유체의 바이패스량을 고려하여 단면적이 정해질 수 있다.
일방향제어부(140)는 메인유로(133)에 외측에서 안착되는 볼(141)에 의해 메인유로(133)를 차단시키도록 하고, 볼(141)을 메인유로(133)에 안착시키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편(142)이 장착홈(134)에 장착됨으로써, 피스톤(120)이 운동시 작동유체가 제 1 및 제 2 공간(131,132) 사이를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일방향제어부(140)는 일례로 본 실시례에서처럼 도어가 개방시 댐핑력을 줄이는 방향, 예컨대 제 2 공간(132)으로부터 제 1 공간(131)으로 일방향 이동하도록 하는데, 판스프링과 유사한 탄성편(142)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볼(141)에 의해 작동유체의 이동방향을 제한함으로써 메인유로(133)를 일방향으로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탄성편(142)은 볼(141)을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하기 위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작동유로(133b) 측에 안착되는 위치고정돌기(143)가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토션장치(200)는 토션하우징부(210), 스프링(220), 슬라이딩부재(230), 회전부재(240), 회전운동변환부(250) 및 하우징지지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션하우징부(210)는 힌지장치(300) 중 어느 하나의 힌지, 예컨대 제 1 힌지(310) 내에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양단이 개방되는 중공부재로 이루어지며, 슬라이딩부재(230)가 내측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위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이드(211)가 다수로 형성될 수 있고, 일단 내주면에 나사홈(212)이 형성되며, 나사홈(212)에 스프링(220)을 지지함과 아울러 회전량에 따라 스프링(220)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조절볼트(213)가 나사 결합된다. 슬라이딩가이드(211)는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홈이나 홀 또는 돌기이거나, 본 실시례에서처럼 내측면에 형성되는 다각형의 횡단면 형상일 수 있다. 텐션조절볼트(213)는 회전에 의해 토션하우징부(210) 내의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스프링(220)의 압축량 내지 탄성력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며, 오링 등의 실링부재에 의해 토션하우징부(210)의 일단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고, 회전을 위하여 일자홈이나 십자홈 또는 렌치홈 등의 지그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토션하우징부(210)는 힌지장치(300)에서 제 1 날개(312)에 의해 스크루나 볼트 등으로 도어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 1 힌지(310)의 제 1 하우징(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하우징(311)의 내측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끼워짐으로써 제 1 하우징(311)에 함께 회전하도록 고정되기 위하여, 고정돌기(214)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제 1 하우징(311)에 완전 삽입되는 중공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프링(220)은 토션하우징부(210) 내에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고, 본 실시례에서처럼 코일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단이 텐션조절볼트(213)에 지지되고, 타단이 슬라이딩부재(230)에 지지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230)는 스프링(220)에 탄성 지지되어 토션하우징부(210) 내에 회전이 억제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댐핑장치(100)의 피스톤(120)이 함께 왕복 이동하도록 결합된다. 슬라이딩부재(230)는 토션하우징부(210)로부터 회전이 억제된 상태에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가이드(211)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위한 슬라이딩결합부(231)가 외측면 둘레를 따라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결합부(231)는 슬라이딩가이드(211)의 구조에 따라 슬라이딩을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구조, 예컨대, 홈이나 돌기 또는 다면 구조 또는 부분 평면 구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230)는 피스톤(120)에 고정되기 위한 결합부재(234)를 가지는데, 예컨대, 삽입홀(232)에 삽입되는 후술하게 될 가이드돌기(251)가 삽입되도록 결합홀(235)이 형성되는 결합부재(234)가 가이드돌기(251)를 매개로 연결되고, 결합부재(234)가 끝단에 형성되는 나사결합부(236)에 의해 피스톤(120), 구체적으로는 피스톤로드(127)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부재(230)는 회전운동변환부(250)의 가이드돌기(251)와 함께 결합부재(234)의 설치를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회전부재(240)는 슬라이딩부재(23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부재(230)에 끼워지고, 상기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억제된 상태에서 도어의 회전시 슬라이딩부재(2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힌지장치(300) 중 다른 하나의 힌지, 예컨대 제 2 힌지(320)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부재(240)는 도어의 회전시 슬라이딩부재(23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을 하게 되는데, 힌지장치(300)에서 도어와 도어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제 2 날개(322)에 의해 볼트나 스크루 등으로 고정되는 제 2 힌지(320)의 제 2 하우징(321)에 마련되는 고정홈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돌기(241)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재(240)와 댐핑장치(100)의 제 2 밀폐부(112) 사이에는 스러스트베어링(242)이 개재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와셔(미도시) 등이 단일 또는 다수로 스러스트베어링(242)과 함께 개재될 수 있는데, 스러스트베어링(242)은 결합부재(234)에 삽입되어 제 2 하우징(321)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240)의 상대적인 회전은, 힌지장치(300)의 제 1 힌지(310)가 도어측에 고정되고, 제 2 힌지(320)가 도어프레임측에 고정되는 경우와, 이와는 반대로 제 1 힌지(310)가 도어프레임측에 고정되고, 제 2 힌지(320)가 도어측에 고정되는 경우 모두를 고려한 것으로서, 일례로 회전부재(240)가 힌지장치(300)에 의해 도어측에 결합되고, 토션하우징부(210)가 힌지장치(300)에 의해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는 경우, 다른 예로서 회전부재(240)가 힌지장치(300)에 의해 도어프레임에 결합되고, 토션하우징부(210)가 힌지장치(300)에 의해 도어에 결합되는 경우, 2가지 모두를 고려할 때, 회전부재(240)가 토션하우징부(2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회전운동변환부(250)는 슬라이딩부재(230)와 회전부재(240)가 서로 끼워지는 부분 중 어느 하나에 가이드돌기(251)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가이드돌기(251)가 결합되는 가이드홈(252)이 상기의 왕복 이동 방향에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회전부재(240)의 회전운동과 슬라이딩부재(230)의 직선운동을 상호간에 변환시킨다.
가이드돌기(251)는 축부재로 이루어져서 슬라이딩부재(230)의 끼움부(233)에 형성되는 삽입홀(232)에 삽입되어 끼움부(233)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고, 양단 외주면에 회전링(25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자신과 가이드홈(252) 사이에 회전링(253)이 개재되어, 회전링(253)에 의해 가이드홈(252)을 따라 이동시 마찰력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동작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마찰로 인한 마모 내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홈(252)은 가이드돌기(251) 양단에 각각 대응하도록 회전부재(240)에서 끼움부(233)가 끼워지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링(253)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지지부재(260)는 힌지장치(300)에서 어느 하나의 힌지, 예컨대 제 1 힌지(310)에 나사 결합되어 토션하우징부(210)가 어느 하나의 힌지, 예컨대 제 1 힌지(310)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지지한다. 하우징지지부재(260)는 토션하우징부(210)의 끝단이 내측에 삽입되어, 토션하우징부(2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턱(215)에 끝단이 걸리고, 어느 하나의 힌지, 예컨대 제 1 힌지(310)에 나사 결합되기 위해 외주면에 제 2 수나사부(261)가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힌지, 예컨대 제 1 힌지(310)로부터 끝단이 돌출되어 노브(262)가 형성되고, 노브(262)의 일측에 어느 하나의 힌지, 예컨대 제 1 힌지(310)의 끝단에 걸리도록 걸림턱(26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힌지장치(300)는 한 쌍의 힌지, 예컨대 제 1 힌지(310)와 제 2 힌지(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힌지(310)는 한 쌍의 제 1 하우징(311)이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배열되도록 제 1 하우징(311) 각각의 측부에 제 1 날개(312)가 연결되고, 중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하우징(311)이 각각의 내주면에 댐핑장치(100)와 토션장치(200)가 각각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부(314)가 형성된다. 제 1 날개(312)에는 볼트나 스크루 등의 체결을 위하여 고정홀(313)이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힌지(310)는 제 1 하우징(311)에 대한 댐핑장치(100)의 토션장치(200) 각각의 나사 체결 또는 나사 체결 해제를 위한 파지를 위하여, 제 1 하우징(311)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댐퍼장치(100)의 노브(116)와 토션장치(200)의 노브(262)가 각각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 2 힌지(320)는 제 1 하우징(311) 사이에 제 2 하우징(321)이 일렬로 삽입됨으로써 제 2 하우징(321)이 댐핑장치(100)와 토션장치(200)가 내측에 장착되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제 2 하우징(321)의 측부에 제 2 날개(322)가 연결되며, 제 2 날개(322)가 도어나 도어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도록 한다. 제 2 날개(322)에는 볼트나 스크루 등의 체결을 위하여 고정홀(323)이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하우징(311,321)은 일렬로 배열됨으로써 서로 연결되는 내부공간에 하우징지지부재(260)를 제외하는 토션장치(200)와 상기 댐핑장치(100)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삽입 설치될 수 있고, 댐핑장치(100)의 댐핑하우징부(110)가 제 1 수나사부(114)에 의해 어느 하나의 제 1 하우징(310)의 암나사부(314)에 나사 결합될 수 있고, 하우징지지부재(260)가 다른 하나의 제 1 하우징(310)의 내측에 삽입되어 토션장치(200)의 토션하우징부(210)를 지지하면서 제 2 수나사부(261)에 의해 다른 하나의 제 1 하우징(310)의 암나사부(31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 결합에 의해 제 1 및 제 2 하우징(311,321) 내에서 댐핑장치(100)와 토션장치(2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311)은 하우징지지부재(260)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토션하우징부(210)의 외측에 삽입될 수 있고, 하우징지지부재(260)의 끝단이 토션하우징부(2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턱(215)에 끝단이 걸림으로써, 토션장치(200)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로저의 댐핑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서와 같이, 도어프레임에 도어의 설치를 매개하는 힌지장치(300)의 제 1 및 제 2 힌지(310,320; 도 1 및 도 2에 도시)가 도어의 닫힘에 의해, 서로 이루는 각도가 0도인 경우, 토션장치(200)의 스프링(220)으로부터 탄성력이 슬라이딩부재(230)에 제공되고, 슬라이딩부재(230)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회전운동변환부(250; 도 8에 도시)에 의해 회전부재(240)에 전달되어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회전운동변환부(250)의 가이드돌기(251)는 가이드홈(252)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도 9에서와 같이, 도어에 힘을 가하여 도어를 45도 정도로 열게 되면, 힌지장치(300)의 제 1 및 제 2 힌지(310,320)는 서로 45도의 각도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도어의 개방력에 의해, 제 2 힌지(320)의 제 2 하우징(321)에 고정된 회전부재(240)가 슬라이딩부재(2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부재(240)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변환부(250; 도 8에 도시)의 가이드돌기(251)가 가이드홈(25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딩부재(230)가 직선 운동을 시작하여 스프링(220)을 압축시키도록 하고, 이로 인해 스프링(220)에 탄성력이 보다 더 축적되기 시작한다.
이때, 슬라이딩부재(230)와 함께 댐핑장치(100)의 피스톤(120)이 이동하게 됨으로써 피스톤(120)에 의해 제 2 공간(132) 측으로 작동유체의 압축이 시작되고, 이때, 제 2 공간(132) 내의 작동유체는 일방향제어부(140)에 해당하는 체크밸브를 개방시키고서 메인유로(133)를 통과하여 제 1 공간(131)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어가 45도 개방인 상태의 피스톤(120) 위치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위치에 대하여 적은 이동을 보이는데, 이는 가이드돌기(251)와 가이드홈(252)의 정해진 기울기 내지 곡률에 따른 것이며, 필요에 따라 달리 설계될 수도 있다.
도 10에서와 같이, 도어의 계속적인 개방에 의해 90도로 개방됨으로써 제 1 및 제 2 힌지(310,320)가 90도를 이루게 되면, 앞서 설명한 45도 개방에서와 같은 스프링(220) 압축과 작동유체의 이동이 보다 크게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스프링(220)의 압축에 의한 탄성력이 슬라이딩부재(230) 및 회전부재(240)를 통해서 도어가 닫히려는 복귀력으로 제공된다.
도어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220)에 축적된 탄성력이 슬라이딩부재(230)를 직선 운동시켜서 복귀시키고, 회전운동변환부(250; 도 8에 도시)의 가이드돌기(251)가 가이드홈(252)을 따라 복귀함으로써 회전부재(240)를 제 2 힌지(320)의 제 2 하우징(321)과 함께 회전시켜서 도어가 닫히도록 한다. 이때, 슬라이딩부재(230)와 함께 피스톤(120)이 이동하여, 제 1 공간(132) 측으로 작동유체를 압축시킴으로써, 제 1 공간(131) 내의 작동유체는 바이패스유로(123)를 통과하여, 제 2 공간(132)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바이패스유로(123)를 통한 작동유체의 이동량은 댐핑조절볼트(124)에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힌지장치(300)에 의해 설치된 도어의 개방시, 회전부재(240)와 슬라이딩부재(230)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부재(230)가 이동하여 스프링(220)을 압축시키고, 도어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시 스프링(220)에 의한 슬라이딩부재(230)의 복귀에 의해 슬라이딩부재(230)와 회전부재(240)의 상대적인 회전으로 도어가 닫히도록 한다. 이때 슬라이딩부재(230)와 함께 이동하는 피스톤(120)의 이동에 의해 작동유체를 압축시키고, 이로 인해 댐핑장치(100)에서 작동유체가 제 1 및 제 2 공간(131,132)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댐핑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댐핑장치(100)의 댐핑력은 댐핑챔버(130)에 피스톤(120)의 헤드(121)를 바이패스하도록 마련된 제 1 및 제 2 조절유로(135,136)에 의해 구간별로 조절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구간별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로저의 댐핑챔버 및 이를 가지는 댐핑장치에 따르면, 하우징부에 용이하게 조립됨으로써 작동유체의 유로 형성이 용이하도록 하고, 비교적 고도의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도록 하며, 이로 인해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작동유체의 정확한 단속과 댐핑 작용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작동유체의 저항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작동유체의 저항을 구간별로 손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힌지에의 조립성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댐핑장치 110 : 댐핑하우징부
111 : 제 1 밀폐부 112 : 제 2 밀폐부
113 : 걸림턱 114 : 제 1 수나사부
115 : 암나사부 116 : 노브
120 : 피스톤 121 : 헤드
122 : 결합부 123 : 바이패스유로
124 : 댐핑조절볼트 125 : 끼움홈
126 : 고정편 127 : 피스톤로드
130 : 댐핑챔버 131 : 제 1 공간
132 : 제 2 공간 133 : 메인유로
133a : 볼안착홀 133b : 동작유로
133c : 연결유로 133d : 통과통홀
134 : 장착홈 135 : 제 1 조절유로
136 : 제 2 조절유로 137 : 몸체
138 : 내측공간 140 : 일방향제어부
141 : 볼 142 : 탄성편
143 : 위치고정돌기 200 : 토션장치
210 : 토션하우징부 211 : 슬라이딩가이드
212 : 나사홈 213 : 텐션조절볼트
213a : 장착홈 214 : 고정돌기
215 : 걸림턱 220 : 스프링
230 : 슬라이딩부재 231 : 슬라이딩결합부
232 : 삽입홀 233 : 끼움부
234 : 결합부재 235 : 결합홀
236 : 나사결합부 240 : 회전부재
241 : 고정돌기 242 : 스러스트베어링
250 : 회전운동변환부 251 : 가이드돌기
252 : 가이드홈 253 : 회전링
260 : 하우징지지부재 261 : 제 2 수나사부
262 : 노브 263 : 걸림턱
300 : 힌지 310 : 제 1 힌지
311 : 제 1 하우징 312 : 제 1 날개
313 : 고정홀 314 : 암나사부
320 : 제 2 힌지 321 : 제 2 하우징
322 : 제 2 날개 323 : 고정홀

Claims (11)

  1. 클로저의 댐핑장치에 설치되는 댐핑챔버로서,
    상기 댐핑장치의 댐핑하우징부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내측공간에 작동유체가 채워지고, 상기 댐핑장치의 피스톤의 헤드가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헤드에 의해 제 1 및 제 2 공간으로 분할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측부에 상기 제 2 공간을 외측과 연결시킴과 아울러 일방향제어부의 볼이 외측에서 차단을 위해 안착되는 볼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측부에 상기 제 1 공간을 외측과 연결시키는 통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상기 볼안착홀과 상기 통과홀을 연결시키도록 연결홈이 형성되는 메인유로; 및
    상기 볼을 상기 볼안착홀에 안착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편이 장착되도록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장착홈;
    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볼안착홀에 교차하도록 상기 몸체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클로저의 댐핑챔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홈은,
    상기 볼안착홀에 연결되어 상기 통과홀을 향하도록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볼안착홀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는 동작유로; 및
    상기 동작유로와 상기 통과홀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연결유로;
    를 포함하는, 클로저의 댐핑챔버.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서 상기 볼안착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도어의 닫힘 초기 속도를 조절하는 제 1 조절유로를 더 포함하는 클로저의 댐핑챔버.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헤드를 바이패스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 2 조절유로를 더 포함하는, 클로저의 댐핑챔버.
  6. 내측에 작동유체가 채워지고, 양단에 밀폐를 위하여 제 1 및 제 2 밀폐부가 마련되는 댐핑하우징부;
    상기 제 2 밀폐부를 관통하여 상기 댐핑하우징부의 내측에 삽입되고, 작동유체의 압력을 받도록 헤드가 마련되는 피스톤;
    상기 헤드가 내측에 삽입되는 몸체가 상기 댐핑하우징부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헤드에 의해 상기 몸체의 내측 공간이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 측 각각에 접하는 제 1 및 제 2 공간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을 연결시키는 메인유로가 형성됨으로써 댐핑을 위한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의 작동유체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장착홈이 형성되는 댐핑챔버; 및
    상기 메인유로에 외측에서 안착되는 볼에 의해 상기 메인유로를 차단시키도록 하고, 상기 볼을 상기 메인유로에 안착시키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편이 상기 장착홈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피스톤이 운동시 작동유체가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를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일방향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양단이 상기 제 1 및 제 2 밀폐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가 피스톤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에서 상기 헤드의 양측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고정편이 각각 끼워짐으로써 상기 헤드가 상기 고정편에 의해 이동이 억제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헤드를 바이패스하도록 상기 헤드의 양측을 연결시키는 바이패스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밀폐부로부터 노출되는 일단에 나사 결합되는 댐핑조절볼트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유로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는, 클로저의 댐핑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댐핑하우징부는,
    힌지장치 중 어느 하나의 힌지에 나사 체결되도록 제 1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로부터 끝단이 돌출되어 노브를 형성하도록 하는, 클로저의 댐핑장치.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로는,
    상기 몸체의 측부에 상기 제 2 공간을 외측과 연결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볼이 외측에서 차단을 위해 안착되는 볼안착홀;
    상기 몸체의 측부에 상기 제 1 공간을 외측과 연결시키는 형성되는 통과홀;
    상기 볼안착홀에 연결되어 상기 통과홀을 향하도록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볼안착홀로 갈수록 깊이가 증가하는 동작유로; 및
    상기 동작유로와 상기 통과홀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연결유로;
    를 포함하는, 클로저의 댐핑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댐핑챔버는,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서 상기 볼안착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도어의 닫힘 초기 속도를 조절하는 제 1 조절유로를 더 포함하는 클로저의 댐핑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댐핑챔버는,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헤드를 바이패스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 2 조절유로를 더 포함하는, 클로저의 댐핑장치.
KR1020180090820A 2018-08-03 2018-08-03 클로저의 댐핑챔버 및 이를 가지는 댐핑장치 KR102052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820A KR102052272B1 (ko) 2018-08-03 2018-08-03 클로저의 댐핑챔버 및 이를 가지는 댐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820A KR102052272B1 (ko) 2018-08-03 2018-08-03 클로저의 댐핑챔버 및 이를 가지는 댐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272B1 true KR102052272B1 (ko) 2019-12-04

Family

ID=69004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820A KR102052272B1 (ko) 2018-08-03 2018-08-03 클로저의 댐핑챔버 및 이를 가지는 댐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2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510A (ko) * 2002-04-04 2003-10-10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KR20120065594A (ko) * 2010-12-13 2012-06-21 주식회사 화이어텍리더스 화재진압용 노즐장치
KR20130012837A (ko) * 2011-07-26 2013-02-05 조선제 다기능 도어 닫음 장치
KR20180086097A (ko) * 2017-01-20 2018-07-30 퍼스트클로저 주식회사 클로저의 토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510A (ko) * 2002-04-04 2003-10-10 주식회사 에스엔드씨테크 방화형 자동닫힘 도어용 힌지
KR20120065594A (ko) * 2010-12-13 2012-06-21 주식회사 화이어텍리더스 화재진압용 노즐장치
KR20130012837A (ko) * 2011-07-26 2013-02-05 조선제 다기능 도어 닫음 장치
KR20180086097A (ko) * 2017-01-20 2018-07-30 퍼스트클로저 주식회사 클로저의 토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63471A1 (en) Pivot hinge apparatus for door
JP4708872B2 (ja) ドア閉め装置
JP6342948B2 (ja) トルクヒンジ
JP2004518837A (ja) ドア閉め装置
US20200240189A1 (en) A hydraulically damped actuator
CN109812163B (zh) 用于铰链或门关闭器的阻尼机构
US10352479B2 (en) Parallel cylinder type check valve
KR102052272B1 (ko) 클로저의 댐핑챔버 및 이를 가지는 댐핑장치
US20190145141A1 (en) Closer apparatus
KR20180086097A (ko) 클로저의 토션장치
KR101745641B1 (ko) 클로저의 토션장치
KR101887344B1 (ko) 클로저의 댐핑챔버 및 이를 가지는 댐핑장치
KR101641101B1 (ko) 로터리타입 댐퍼 및 이를 가지는 힌지 장치
KR101745653B1 (ko) 클로저의 댐핑장치
KR101896673B1 (ko) 클로저의 복동실린더 타입 댐핑장치
KR101926409B1 (ko) 클로저 및 이의 힌지 결합구조
KR101745650B1 (ko) 클로저의 댐핑챔버
KR101880348B1 (ko) 경첩 조립체
KR101935788B1 (ko) 클로저의 회전링 타입 토션장치
JP7080985B2 (ja) 弁開閉用電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弁開閉用電動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方法
RU2692749C1 (ru) Петля
WO2021170870A1 (en) A hydraulically damped hinge for hinging a closure member to a support
KR101896674B1 (ko) 댐핑장치와 토션장치의 자유도 허용 조인트 구조를 가지는 클로저
KR102075501B1 (ko) 유압 댐핑 기능을 가지는 도어 힌지장치
KR20200062541A (ko) 다단 슬라이딩 기능을 가지는 도어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