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91856A1 - 지페노사이드 75의 항당뇨 효과 - Google Patents

지페노사이드 75의 항당뇨 효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91856A1
WO2017191856A1 PCT/KR2016/004720 KR2016004720W WO2017191856A1 WO 2017191856 A1 WO2017191856 A1 WO 2017191856A1 KR 2016004720 W KR2016004720 W KR 2016004720W WO 2017191856 A1 WO2017191856 A1 WO 201719185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resent
diabetes
composition
zipenoside
insul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472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선창
박찬배
이순장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Priority to JP2017514686A priority Critical patent/JP6445686B2/ja
Priority to CA2961465A priority patent/CA2961465C/en
Priority to PCT/KR2016/004720 priority patent/WO2017191856A1/ko
Priority to EP16843285.4A priority patent/EP3257514A4/en
Priority to CN201680002795.7A priority patent/CN107580496B/zh
Priority to US15/511,635 priority patent/US20180228823A1/en
Publication of WO201719185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918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6Heterocyclic compounds
    • A23K20/121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including zipenoside 75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zipenoside 75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to an individual other than a human; It relates to a fee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diabetes mellitus comprising a salt acceptable.
  • Diabetes one of the threats to human health, is a chronic metabolic disease that causes vascular disorders and dysfunctions such as nerves, kidneys, and retinas over time, resulting in loss of life. Diabetes is divided into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type 1 diabetes) and insulin-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type 2 diabetes), depending on the mechanism that occurs largely.
  • type 1 diabetes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 type 2 diabetes insulin-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is known to be caused by the inability to consume blood glucose because the pancreatic beta cells are selectively damaged or destroyed to produce insulin in the body.Severe hyperglycemia and ketoacidosis, multiplication, following, urination, weight loss and It is a feeling of fatigue.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in young children and teenagers, the treatment is insulin.
  • Insulin 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ccounts for over 90% of diabetics and occurs mainly in adults. No clear cause has been identified, except for decreased insulin secretion of pancreatic beta cells or increased insulin resistance in tissues such as liver, muscle, and fat due to genetic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bnormal diet, stress, exercise, obesity, and aging. Is believed to be caused by a complex relationship.
  • the insulin-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is generally resistant to insulin, and the hyperglycemic state is usually maintained due to insulin insufficiency. Chronic hyperglycemia causes damage to pancreatic beta cells and causes cell death. Therefore, effective glycemic control is required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and the action of normal insulin is very important at the center.
  • drugs based on metformin can effectively inhibit abnormal AMP synthesis by activating AMPK (AMP activated kinase),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glucose metabolism in the gluconeogenesis pathway.
  • AMPK AMP activated kinase
  • Patent application No. 2011-0020469 has been studie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abetes in recent years, such as the invention for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comprising ginsenosides Rg2 and Rg3.
  • Ginseng contains various kinds of Ginsenoside and Gypenoside, such as Panaxadiol (PD), Panaxatriol (PT), and Oleanane. It is. Depending on the kind of functions, such as immune function enhancement, central excitatory action, adrenal cortical stimulating hormone secretion, platelet aggregation inhibition, etc.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even ginsenosides of the same system is difficult to predict the same effect.
  • PD Panaxadiol
  • PT Panaxatriol
  • Oleanane Oleanane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including Zipenoside 75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which comprises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an individual except a huma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diabetes, including Zipenoside 75 or a food acceptable salt thereof.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diabetes, including Zipenoside 75 or a food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present inventors have diligently researched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and confirmed that fenenoside 75 enhances insulin secretion of insulin secreting cells and has an effect of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by activating mitochondrial function of insulin secreting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 composition containing zipenoside 7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promoting insulin secretion and increasing the activity of mitochondria to prevent and treat diabetes.
  • Figure 1 shows the results of ELIS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amount of insulin secreted by administration of zipinoside 75.
  • Figure 2 shows the results of the luciferase activity measurement method for the amount of intracellular ATP increased by administration of zipenoside 75.
  • FIG 3 shows the results of Tetramethylrhodamine methyl ester (TMRM) staining and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FACS) analysis for mitochondrial membrane voltage increased by administration of Zipenoside 75.
  • TMRM Tetramethylrhodamine methyl ester
  • FACS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comprising Zipenoside 75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zipenoside 75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ferably zipenoside 75 having a structure of formula (1).
  • the zipenoside 75 may be chemically synthesized or separated from a natural material.
  • an extract of a natural product or a fraction thereof may be used. It may be an all-inclusive concept.
  • the term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means a formulation that does not impair the biological activ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ministered phenenoside 75.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may include all salts of acidic or basic groups which may be present in the compound of zipenoside 75, unless otherwise indicated.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may include sodium, calcium, and potassium salts of the hydroxy group, and othe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of the amino group include hardbromide, sulfate, hydrogen sulfate, phosphate, and hydrogen.
  • prevention means any action that inhibits or delays diabetes by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to a subject.
  • treatment refers to any action by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to a subject to improve or benefit from diabete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effect of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by the ac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henenoside 75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here is no toxicity causes side effects even when applied to the human body Safe without thi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used as a single agent, and may be prepared and used as a complex preparation, further including a drug known to have a recognized diabetes treatment effect, and formulated u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or excipient. It may be prepared in unit dose form or incorporated into a multi-dose container.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oral formulations, external preparations,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etc.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 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mineral oil,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using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commonly used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surfactants.
  •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commonly used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surfactants.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which may comprise one or more excipients,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or gelatin, or the like. You can mix.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talc and the like can also be used.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and syrups, and may include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in addition to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have.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formulations, external preparations and the like.
  • non-aqueous solvent and suspending ag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harmaceutically effectiv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formulation method, mode of administration, time of administration and / or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the reaction to be achieved by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type and extent of the subject type, age, weight, general state of health, condition and extent of the disease, sex, diet, excretion, and components of the drug or other composition used concurrently or simultaneously with the subject. And various simila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ar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dily determine and prescribe a dosage effective for the desired treatm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phenenoside 75.
  • the term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 / 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generally in an amount of 0.001 to 1000 mg / kg, preferably 0.05 The amount of to 200 mg / kg, more preferably 0.1 to 100 mg / kg may be administered once to several times daily.
  • the specific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for a particular patient is determined by the specific composition, including the type and extent of the reaction to be achieved, whether or not other agents are used in some cases, the age, weight, general health of the patient, It is desirable to apply differently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and simila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including sex and diet,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and rate of composition, duration of treatment, drugs used with or co-specific with the specific composition.
  • the content of the extract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100%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individual therapeutic agents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single or multiple administrations. In consideration of all the above factors,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an amount that can achieve the maximum effect in a minimum amount without causing side effects, and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mode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way, and any route of administration and administration as long as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an reach the desired site of interest. You can follow the way.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by oral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and preferably by parenteral administration.
  •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 transdermal administration subcutaneous administra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urther compri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the term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may refer to a carrier or diluent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biological activity and properties of the compound to be injected without stimulating the organism.
  • the kind of the carrier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carrier can be used as long as it is a conventionally used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in the art.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carrier include saline, sterile water, Ringer's solution, buffered saline, albumin injection solution, dextrose solution, maltodextrin solution, glycerol, ethanol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 the carrier may include a non-naturally occuring carrier.
  • ком ⁇ онентs such as antioxidants, buffers and / or bacteriostatic agents may be added and used, and diluents, dispersants, surfactants, binders, lubricants, and the like may be additionally added to provide a solution such as an aqueous solution, a suspension, an emulsion, or the like. It may be formulated into a use formulation, pills, capsules, granules or tablets.
  • a diabetes that is a prophylactic or therapeutic subject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at is insulin-independent diabetes.
  • insulin-independent diabet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referred to as type 2 diabetes, and the insulin is secreted, but the amount is not enough, or the body does not utilize the insulin secreted effectively occurs.
  • Insulin-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ccounts for 90-95% of all diabetes mellitus, and usually occurs after the age of 40, but the age of onset has recently decreased, and is also found in young children. Symptoms of insulin-independent diabetes include severe thirst, frequent urination, fatigue, and increased hunger.
  •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comprising administer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comprising the phenenoside 75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an individual except a huma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mammals As used herein, the term “individual” refers to all animals, including mammals, including humans, mice, livestock, and the like.
  • the dosag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mode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by oral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diabetes including Zipenoside 75 or a food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zipenoside 75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ferably zipenoside 75 having a structure of formula (1).
  • Zipenoside 75 or a food acceptable salt thereof contained in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the form of an animal or plant, extracts thereof, fractions thereof or processed products comprising Zipenoside 75.
  • the composition may also include a food acceptable additive.
  • food supplem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component that can be added to food supplements,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being added to prepare a health functional food of each formulation.
  • food additives include flavors such a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and natural flavors, colorants and fillers,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 pH regulato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on agent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o the kind of food addi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examples.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ealth functional food.
  • a health functional food refers to a food prepared and processed in the form of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and pills using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having useful functions for the human body.
  • 'functional' means to obtain a useful effect for health purposes such as nutrient control or physiological action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the preparation can be prepared by adding raw materials and ingredients commonly added in the art.
  • the formulation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can also be prepar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 formulation is recogniz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of formulation, unlike the general medicine has the advantage that there is no side effect that can occur when taking a long-term use of the drug as a raw material, and excellent port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Dietary supplements can be taken as a supplement to promote diabetes prevention or improvement.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and may include all foods in a general sense, and may be mixed with terms known in the art such as functional foods.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 phenenoside 75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mixing known additives with other appropriate auxiliary ingredients that may be contained in the food according to the choic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 Examples of foods that can be added include meat, sausages, breads, chocolates,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beverages, teas, drink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and the like, it can be prepared by adding juice, tea, jelly and juice prepared with the zipenoside 7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ain component.
  • the content of the extract contained in the food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included in 0.01 to 100%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8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 a fee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diabetes including Zipenoside 75 or a food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zipenoside 75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ferably zipenoside 75 having a structure of formula (1).
  • the fee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eed composition such as poultry, fish, crustaceans, such as vertebrates such as cattle, pigs, chickens, ducks,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implemented.
  • the fee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blending ratio in the feed composition. For example, even a feed having a high protein content does not have a problem using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ent of the extract contained in the feed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included in 0.01 to 100%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8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feed composition.
  • the fee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rn, grains, bran, grains, corn husks, such as corn husks, soybean meal, perilla jelly, etc., lumps, sweet potatoes, potatoes, etc.
  • Fibers such as algae, grasses and wild vegetables, and fermented products thereof, ginseng and inositol, pharmaceutical by-products such as corn oil, soybean oil, tallow, pork and fish oils, starches such as grain starch, protein meals such as fish meal and crab meal, Minerals such as bone meal, fish bone meal, shell bone, salts such as mineral salts and sun salts, phosphates, calcium salts and the like.
  • Fee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degradation of feed quality, emulsifiers such as guar gum, rosin, gelatin, casein, sodium alginate, sodium caseinate, sucrose fatty acid ester, sorbitan fatty acid ester, citric acid, lactic acid Acidifying agents such as and the like, anticoagulants such as white carbon, and the like, antioxidants such as ethoxylated, butylhydroxytoluene, and the like.
  • emulsifiers such as guar gum, rosin, gelatin, casein, sodium alginate, sodium caseinate, sucrose fatty acid ester, sorbitan fatty acid ester, citric acid, lactic acid Acidifying agents such as and the like, anticoagulants such as white carbon, and the like, antioxidants such as ethoxylated, butylhydroxytoluene, and the like.
  • the fee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mino acid agent, vitamins, enzymes such as glycolytic enzymes, probiotics such as Lactobacillus ruteri, yeasts such as brewer's yeast, and the like.
  • the fee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s formulation is not limited and is a feed composition that is generally used.
  • the fee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iquid, powder, granule, granule, pellet, or granular.
  • INS-1 cells which are insulin secreting cells were cultured in a cell culture (37 °C, 5% CO 2 , RPMI medium, 10% FBS), Gifenoside 75, Ginsenoside F1, Ginsenoside Rg3, Ginsenoside Rb2, Ginsenoside Rb3 were treated with 10 ⁇ M each, and the amount of insulin secreted after 2 hours was measured using the ELISA method. .
  • Ginsenosides F1, Ginsenosides Rg3, Ginsenosides Rb2, Ginsenosides Rb3 was confirmed to have an effect of increasing insulin secretion of about 50%.
  • INS-1 cells which are insulin secreting cells were cultured in a cell culture (37 °C, 5% CO 2 , RPMI medium, 10% FBS)
  • the cells were treated with 10 ⁇ M of zipinoside 75, and the amounts of ATP and mitochondrial membrane voltage in the cells were measured after 2 hours of treatment.
  • INS-1 cells treated with Zipenoside 75 were pulverized by freeze-thaw and sonication to measure intracellular ATP levels, and the cell ground liquid was mixed with luciferase and luciferin to induce fluorescence.
  • luciferase activity and the resulting fluorescence depend on the amount of ATP
  • the amount of ATP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degree of fluorescence using a fluorometer.
  • INS-1 cells treated with Zipenoside 75 were stained with TMRM, and the staining degree of each cell was measured using a FACS instrument. The higher the mitochondrial membrane voltage, the higher the degree of staining by TM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docri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뇨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페노사이드 75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페노사이드 75의 항당뇨 효과
본 발명은 지페노사이드 75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페노사이드 75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 방법, 지페노사이드 75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지페노사이드 75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질환 중의 하나인 당뇨병은 만성 대사성 질환으로 오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혈관장애와 신경, 신장 및 망막 등의 기능 이상을 초래하고 이로 인해 생명까지 잃게 하는 질환이다. 당뇨병은 크게 발생하는 기전에 따라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제1형 당뇨병)과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제2형 당뇨병)으로 구분된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은 췌장 베타세포가 선택적으로 손상 또는 파괴되어 체내에서 인슐린을 생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혈중 포도당을 소비하지 못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심한 고혈당증과 케톤산증, 다갈, 다음, 다뇨, 체중감소 및 피로감을 나타낸다. 어린아이나 10대 청소년등에서 나타나는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으로 이의 치료방법은 인슐린의 투여이다.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은 당뇨병 환자의 90% 이상을 차지하며 주로 성인에게서 발생한다. 뚜렷한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으며 다만 유전적인 요인과 비정상적인 식생활, 스트레스, 운동, 비만, 노화 등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췌장 베타 세포의 인슐린 분비 저하 또는 간, 근육, 지방 등의 조직에서의 인슐린 저항성 증가가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유발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상기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은 일반적으로 인슐린에 대하여 저항성을 나타내며 인슐린의 작용부전으로 인하여 과혈당 상태가 지속되는 것이 보통이다. 만성적고혈당은 췌장 베타 세포에 손상을 일으켜 세포 사멸을 야기하므로 제2형 당뇨병의 치료를 위해서는 효과적인 혈당의 조절이 필요하며, 그 중심에는 정상적인 인슐린의 작용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노인들에게 나타나는 인슐린저항성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임상실험에서 신체조건이 비슷한 노인과 젊은이를 비교한 결과, 노인의 근육에서 포도당대사에 결함이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공명장치(nuclear magnetic resonance)분석에 따르면 노인의 근육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이 줄어있었다. 이 결과는 노인의 근육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이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제로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근육에서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인 ATP synthase β의 발현이 감소함이 발견되었다(J Biol Chem, 278: 10436-10442(2003). 결국 미토콘드리아의 활성화 역시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한 하나의 접근방안이 될 수 있다.
현재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의 치료법으로는 식사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 등이 있다.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약물로는 설포닐우레아 계, 비구아나이드 계, 알파-글리코시데이스 억제제 계, 티아졸리디네디온 계, 메글리티나이드 계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뛰어난 혈당강하제가 생산,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의약품은 구토나 복통, 복부 팽만 같은 가벼운 증상(International Hepatology Comminications, 5: 289-296(1996))부터 저혈당, 간기능 저하(Diabetes Care 1995: 18(6): 817-824) 및 심하게는 사망(International Hepatology Comminications, 5: 289-296(1996))에 이르는 부작용을 가질 수도 있다. 나아가, 간질환, 위장관 장해, 신장질환, 임신 등의 상태에 있는 사람은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또한, 메트포민(Metformin)을 기반으로 한 의약품은 효과적인 약물의 스크리닝은 gluconeogenesis pathway 중 간에서 당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MPK(AMP activated kinase)를 강력하게 활성화하여 비정상적 당신생합성을 능동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현재 많은 제약회사들이 제조하여 판매 중이다. 그러나, 메트포민의 복용량 및 복용기간이 많고 길수록 비타민 B12 결핍증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안전한 의약품이라고 볼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고 약리활성이 뛰어난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 및 기능성 식품의 개발을 위해 예전부터 한방 및 민간요법 등으로 사용되던 천연물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출원 제2011-0020469호에서 진세노사이드 Rg2 및 Rg3를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발명이 출원되는 등 최근에도 당뇨병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인삼에는 파낙사디올(Panaxadiol, PD)계, 파낙사트리올(Panaxatriol, PT)계, 올레안(Oleanane)계 등 다양한 종류의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및 지페노사이드(Gypenoside)가 함유되어 있다. 그 종류에 따라 면역기능 증강, 중추 흥분 작용, 부신피질자극 호르몬분비 촉진, 혈소판응집 억제 등 기능이 서로 상이하므로, 동일한 계의 진세노사이드라도 동일한 효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지페노사이드 75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페노사이드 75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페노사이드 75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지페노사이드 75가 인슐린분비세포의 인슐린 분비를 증진시키며, 인슐린 분비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활성화함으로써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지페노사이드 75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을 증가시켜 당뇨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효능을 나타낸다.
도 1은, 지페노사이드 75 투여에 의해 분비된 인슐린의 양에 대한 ELISA 정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지페노사이드 75 투여에 의해 증가된 세포내 ATP의 양에 대한 루시퍼라제(Luciferase) 활성 측정 방법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지페노사이드 75 투여에 의해 증가된 미토콘드리아 막전압에 대한 TMRM(Tetramethylrhodamine methyl ester) 염색 및 FACS(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지페노사이드 75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지페노사이드 75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지페노사이드 75 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4720-appb-I000001
상기 지페노사이드 75는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천연 물질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지페노사이드 75를 천연 물질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페노사이드 75를 포함하는 한, 천연물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란 투여되는 지페노사이드 75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성들을 손상시키지 않는 제형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상기 지페노사이드 75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 기의 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학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는 하이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염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는 하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술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술포네이트(토실레이트)염 등을 들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당뇨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당뇨병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상기 지페노사이드 75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작용에 의하여 당뇨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독성이 없어 인체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을 유발함이 없이 안전하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단일제제로도 사용할 수 있고, 공인된 당뇨 치료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복합제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멸균 주사 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 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1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 제제, 외용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약학적 유효 투여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으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이시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지페노사이드 7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00 mg/kg의 양,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약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은 각각 독립적일 수 있으며, 그 방식에 있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목적하는 해당 부위에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도달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정맥 내 투여, 복강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경피 투여 또는 피하 투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 (non-naturally occuring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항산화제, 완충액 및/또는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희석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예방 또는 치료대상인 당뇨병은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이란 제2형 당뇨병이라고도 불리며, 인슐린이 분비되기는 하지만 그 양이 충분하지 않거나, 우리 몸이 분비되는 인슐린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은 전체 당뇨병의 90~95%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로 40대 이후에 많이 발생하나, 최근 발병 연령이 낮아지고 있으며, 어린아이들에게서도 발견되기도 한다.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의 증상으로는 심한 갈증을 느끼거나, 소변을 자주보며, 피로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고, 공복감이 증가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지페노사이드 75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인간, 쥐, 가축,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비롯한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은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특별한 제한없이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지페노사이드 75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지페노사이드 75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지페노사이드 75 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4720-appb-I000002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함유된 지페노사이드 75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지페노사이드 75를 포함하는 동식물, 이의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의 가공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취할 수 있는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기능성 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지페노사이드 75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함유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지페노사이드 75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지페노사이드 75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지페노사이드 75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지페노사이드 75 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4720-appb-I000003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소, 돼지 등 척추동물, 닭, 오리 등 가금류, 어류, 갑각류 등의 사료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지페노사이드 75를 섭취할 수 있는 동물이라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사료 조성물 내 배합비에 관계없이 이용 가능하다. 예컨대, 단백질 함량이 높은 사료라도 본 발명을 이용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
이때, 상기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사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옥수수 등 곡물류, 밀기울, 곡쇄류, 옥수수피 등 강피류, 대두박, 들깨묵 등 박류, 고구마, 감자 등 근괴류, 제빵 부산물, 아미노산 발효 부산물 등 식품가공부산물류, 클로렐라, 미역 등 조류, 목초, 산야초 등 섬유질류 및 이의 발효물, 인삼박, 이노시톨박 등 제약부산물류, 옥수수유, 대두유, 우지, 돈지, 어유 등 유지류, 곡물류 전분 등 전분류, 어분, 게분 등 단백질류, 골분, 어골분, 패골 등 무기물류, 광염, 천일염 등 식염류, 인산염류, 칼슘염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사료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아검, 송진, 젤라팀, 카제인, 알긴산나트륨, 카제인나트륨 등과 같은 결착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과 같은 유화제, 구연산, 젖산 등과 같은 산미제, 화이트카본 등과 같은 항응고제, 에톡시킨,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등과 같은 항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아미노산제, 비타민제, 당분해효소 등 효소제, 락투바실러스 루테리 등 생균제, 맥주효모 등 효모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그 제형이 제한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료 조성물이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액상, 분말, 과립, 그래뉼, 펠릿, 또는 입상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지페노사이드 75의 인슐린 분비 증가 효과
지페노사이드 75의 인슐린 분비 증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페노사이드 75를 처리한 후 분비된 인슐린의 양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지페노사이드 75에 의한 인슐린 분비 증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슐린 분비세포인 INS-1 세포를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한 후(37℃, 5%CO2, RPMI배지, 10% FBS), 지페노사이드 75, 진세노사이드 F1, 진세노사이드 Rg3, 진세노사이드 Rb2, 진세노사이드 Rb3를 각각 10μM씩 세포에 처리하여, 2시간 처리 후 분비된 인슐린의 양을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지페노사이드 75를 처리한 경우, 대조군(DMSO)에 비하여 인슐린 분비량이 약 110%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페노사이드 75의 처리에 따른 인슐린 분비량의 증가 효과로 당뇨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 F1, 진세노사이드 Rg3, 진세노사이드 Rb2, 진세노사이드 Rb3는 약 50% 내외의 인슐린 분비량 증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지페노사이드 75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활성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이 저하된 경우, 인슐린 신호전달의 방해에 의해 당뇨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지페노사이드 75의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활성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페노사이드 75를 처리한 후 증가된 ATP의 양과 미토콘드리아 막전압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지페노사이드 75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활성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슐린 분비세포인 INS-1 세포를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한 후(37℃, 5%CO2, RPMI배지, 10% FBS), 지페노사이드 75 10μM를 세포에 처리하여, 2시간 처리 후 세포 내의 ATP 양과 미토콘드리아 막전압을 측정하였다. 우선 세포 내 ATP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지페노사이드 75가 처리된 INS-1 세포를 동결-해동 및 초음파 처리를 통하여 분쇄하였고, 세포 분쇄액을 루시퍼라제, 루시페린과 혼합하여 형광발색을 유도하였다. 루시퍼라제의 활성 및 이로 인한 형광발색은 ATP의 양에 의존하므로, 형광발색의 정도를 형광측정기로 측정하여 ATP의 양을 정하였다. 다음으로 미토콘드리아 막전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지페노사이드 75가 처리된 INS-1 세포를 TMRM으로 염색을 한 후 각 세포의 염색 정도를 FACS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미토콘드리아 막전압이 높을수록 TMRM에 의한 염색 정도가 높아진다.
그 결과,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지페노사이드 75를 처리한 경우, 대조군(DMSO)에 비하여 세포 내 ATP 양이 약 50%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F1, 진세노사이드 Rg3, 진세노사이드 Rb2, 진세노사이드 Rb3는 약 40% 내외의 ATP양 증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지페노사이드 75를 처리한 경우, 대조군(DMSO)에 비하여 미토콘드리아 막전압이 약 40%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세노사이드 F1, 진세노사이드 Rg3, 진세노사이드 Rb2, 진세노사이드 Rb3는 약 20% 내외의 미토콘드리아 막전압 증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지페노사이드 75를 세포에 처리한 경우,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이 활성화되어 ATP 합성과 미토콘드리아 막전압이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결국, 지페노사이드 75의 처리에 따른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활성 효과로 당뇨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지페노사이드 75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페노사이드 75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4720-appb-I000004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은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 방법.
  6. 지페노사이드 75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페노사이드 75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4720-appb-I000005
  8. 지페노사이드 75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페노사이드 75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사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4720-appb-I000006
PCT/KR2016/004720 2016-05-04 2016-05-04 지페노사이드 75의 항당뇨 효과 WO2017191856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514686A JP6445686B2 (ja) 2016-05-04 2016-05-04 ジペノサイド75の抗糖尿病効果
CA2961465A CA2961465C (en) 2016-05-04 2016-05-04 Anti-diabetic effects of gypenoside 75
PCT/KR2016/004720 WO2017191856A1 (ko) 2016-05-04 2016-05-04 지페노사이드 75의 항당뇨 효과
EP16843285.4A EP3257514A4 (en) 2016-05-04 2016-05-04 Antidiabetic effect of gypenoside 75
CN201680002795.7A CN107580496B (zh) 2016-05-04 2016-05-04 绞股蓝皂苷75的抗糖尿效果
US15/511,635 US20180228823A1 (en) 2016-05-04 2016-05-04 Anti-diabetic effects of gypenoside 7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4720 WO2017191856A1 (ko) 2016-05-04 2016-05-04 지페노사이드 75의 항당뇨 효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91856A1 true WO2017191856A1 (ko) 2017-11-09

Family

ID=60190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4720 WO2017191856A1 (ko) 2016-05-04 2016-05-04 지페노사이드 75의 항당뇨 효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228823A1 (ko)
EP (1) EP3257514A4 (ko)
JP (1) JP6445686B2 (ko)
CN (1) CN107580496B (ko)
CA (1) CA2961465C (ko)
WO (1) WO20171918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379A (ko) * 2016-06-22 2018-01-03 재단법인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진세노사이드 f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2166253B1 (ko) * 2018-10-22 2020-10-16 재단법인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지페노사이드 75(Gypenoside LXXV)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CN113481274A (zh) * 2021-07-05 2021-10-08 东北师范大学 一种酶法制备人参皂苷f1的方法及其应用
CN117131349B (zh) * 2023-10-27 2023-12-22 平利县万福茶叶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鲜根清洗的绞股蓝加工方法和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931A (ko) * 2005-04-27 2008-01-08 주식회사 티지 바이오텍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치료
KR20110020469A (ko) 2009-08-24 2011-03-03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진세노사이드 Rg3 및 Rg2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고혈당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156108A (zh) * 2013-04-02 2013-06-19 曾晓飞 一种防治糖尿病高血压病症的强化食品
KR20130069430A (ko) * 2011-12-14 2013-06-26 (주)셀트리온 돌외의 지페노사이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2형 당뇨병,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660834B1 (ko) * 2015-04-28 2016-10-11 재단법인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지페노사이드 75의 항당뇨 효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5216A (ko) * 2015-07-01 2017-01-12 재단법인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미토콘드리아 활성 촉진제의 스크리닝 방법
KR101704676B1 (ko) * 2015-08-10 2017-02-09 재단법인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Gypenoside LXXV를 포함하는 자궁경부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931A (ko) * 2005-04-27 2008-01-08 주식회사 티지 바이오텍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치료
KR20110020469A (ko) 2009-08-24 2011-03-03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진세노사이드 Rg3 및 Rg2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고혈당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69430A (ko) * 2011-12-14 2013-06-26 (주)셀트리온 돌외의 지페노사이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2형 당뇨병,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N103156108A (zh) * 2013-04-02 2013-06-19 曾晓飞 一种防治糖尿病高血压病症的强化食品
KR101660834B1 (ko) * 2015-04-28 2016-10-11 재단법인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지페노사이드 75의 항당뇨 효과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IABETES CARE, vol. 18, no. 6, 1995, pages 817 - 824
HOU, J. -G. ET AL.: "Highly Selective Microbial Transformation of Major Ginsenoside Rb1 to Gypenoside LXXV by Esteya Vermicol a CNU120806",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vol. 113, no. 4, 2012, pages 807 - 814, XP055364642 *
INTERNATIONAL HEPATOLOGY COMMUNICATIONS, vol. 5, 1996, pages 289 - 296
J BIOL CHEM,, vol. 278, 2003, pages 10436 - 10442
RAZMOYSKI-NAUMOVSKI, V. ET AL.: "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Gynostemma Pentaphyllum", PHYTOCHEMISTRY REVIEWS, vol. 4, no. 2-3, 2005, pages 197 - 219, XP055421982 *
See also references of EP3257514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57514A1 (en) 2017-12-20
CA2961465A1 (en) 2017-11-04
JP2018516841A (ja) 2018-06-28
CA2961465C (en) 2019-01-29
JP6445686B2 (ja) 2018-12-26
CN107580496A (zh) 2018-01-12
US20180228823A1 (en) 2018-08-16
CN107580496B (zh) 2020-04-07
EP3257514A4 (en)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172B1 (ko) 뮤신이 없는 배지에서 배양한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00632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감퇴, 약화 및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식품첨가제
WO2017191856A1 (ko) 지페노사이드 75의 항당뇨 효과
US20140050805A1 (en) Composition, glucose metabolism-improving agent, and method for improving glucose metabolism
JP6157928B2 (ja) 肝臓への脂肪蓄積抑制剤
JP7379152B2 (ja) 筋線維化抑制用組成物
KR20200140749A (ko) 꾸지뽕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2017137296A (ja) アストロサイトのグルコース代謝活性化剤
KR101660834B1 (ko) 지페노사이드 75의 항당뇨 효과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6540B1 (ko) 구꼬아민 a 및 구꼬아민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격근 위축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14185088A (ja) 経口組成物、脂肪細胞分化抑制剤および飲食品
CN110636847B (zh) 用于预防及治疗肌肉疾病的组合物
KR20200044766A (ko)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 개선용 조성물 및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KR20190129244A (ko)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 개선용 조성물 및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CN110404029B (zh) 一种具有降血糖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0209674A1 (ko) 비글리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5177658B (zh) 一种用于降血糖的组合物
US20240041964A1 (en) Method for preparing gynostemma pentaphyllum leaf extract and gynostemma pentaphyllum leaf extract prepared thereby
US20220151987A1 (en) Muscle building agent
WO2014178554A1 (ko) 아르기나아제 억제제를 함유하는 비만 및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202131905A (zh) Tgr5活化用組成物
KR20240013823A (ko) 틸리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7130638A1 (ja) アストロサイトのグルコース代謝活性化剤
JP2020186223A (ja) 牛黄及び/又は鹿茸及び/又は胆汁酸を含有する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51468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11635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432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961465

Country of ref document: CA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432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