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88634A1 -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 및 그림 채팅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 및 그림 채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88634A1
WO2017188634A1 PCT/KR2017/004000 KR2017004000W WO2017188634A1 WO 2017188634 A1 WO2017188634 A1 WO 2017188634A1 KR 2017004000 W KR2017004000 W KR 2017004000W WO 2017188634 A1 WO2017188634 A1 WO 20171886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icture
user
user terminal
cha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400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박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현 filed Critical 박재현
Priority to EP17789819.4A priority Critical patent/EP3435600B1/en
Priority to US15/558,202 priority patent/US10498677B2/en
Priority to CN201780001006.2A priority patent/CN107710694B/zh
Priority to JP2019509447A priority patent/JP6712359B2/ja
Publication of WO20171886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886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3Drawing of straight lines or cur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6Handling conversation history, e.g. grouping of messages in sessions or thr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rn-based picture chat application and a picture chat method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turn-type picture chat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hat can be communicated while a plurality of users to complete the picture jointly; It's about the picture chat method.
  • chat applications mainly input text through a text input module provided by a user terminal, and include a function of selecting and displaying predetermined static or dynamic images.
  • Such conventional chat applications have a problem in that the contents that can be input are limited and the degree of freedom is reduced because the user's emotion is transmitted using a predetermined image.
  • the above patent discloses a technique of having a picture input field area on a touch screen and transmitting the image or text inputted to the user terminal of the chat counterpart. At this time, the image may be synthesiz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turn-based picture chat application and a picture chat method that is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that is very easy to collaborate or exchange ideas by a plurality of chat participants to complete the picture jointly In providing.
  •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picture can be confirmed over time, so that the other party can accurately understand the intention to communicate through the picture, sharing the feelings and treatment of the mind through the pictur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urn-based picture chat application and a picture chat method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rn-based picture chat application and a picture chat method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that can easily search for and find a previously completed picture.
  • the picture chat metho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when the first user draws a picture through a picture input window displayed on a portion of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time when the picture starts drawing Inserting a plurality of stage data that can be stored in the chronological order of the picture is completed, the location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letion of the picture, and b) transmitting the stored picture to the user terminal of the second user who is a chat participant And c) displaying the received picture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of the second user; and d) displaying a process of drawing the pictur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econd user in chronological order. And displaying a picture at a position at which the stage data is inserted, according to a selection of a second user.
  • the second user may further include adding another picture to the pictur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of the second user to complete the picture.
  • the second user may search the position where the stage data is inserted and edit the picture at a specific stage.
  • a text index may be added to the completed data of the picture to be searchable, and the text index may be text input by the first user or the second user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picture.
  • the turn-type picture chat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hat application that is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o chat with a plurality of users, the picture input window on a portion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o provide a picture, which is stored in the picture storage module as data in chronological order so that you can check the process of drawing the picture input to the picture input window, the picture input for inserting and storing the stage data to check the degree of completion of the picture
  • the module may include a picture reproducing module capable of reproducing the picture in a time sequence and mov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tage data is inserted to check the picture of the stage.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dex insertion module for adding a text index to picture data stored in the picture storage module to search for a picture stored by text input.
  • the index insertion module may extract a word that matches a pre-stored word from the text input by the users and use it as the text index.
  • the picture edit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picture editing module.
  • the picture editing module may delete a specific part of the picture of the selected stage, receive a picture again, modify it, resize a part of the picture, change the color, or combine it with another picture to form a picture. .
  • the turn-based picture chat application and the picture chat method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raw a plurality of chat participants drawing the turn method to communicate their intentions to the other party,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sharing ideas or communicating. It works.
  •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picture over time, so that the other party can accurately understand the intention to communicate through the pictu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hare the feelings and treatment of the mind through the picture. .
  • the present invention by setting the text input in the process of drawing chat as a keyword that can search the completed pictu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used to search for the previously completed picture.
  • FIG. 1 is a flowchart of a picture cha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urn type picture chat application stored in a user terminal of a second user.
  • FIG. 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picture chat application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and 5 are screens of an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a picture chat application is executed in a user terminal.
  • FIG. 7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mpleting a picture using a turn-based picture chat application.
  •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 FIG. 1 is a flowchart of a picture cha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icture chat method using the picture chat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s terminal step (S11) to start a picture chat in a turn method, and the first user participating in the chat Check whether it is time to draw a picture (S12), if the second user who is the other party waits to draw a picture (S13), and if the first user draws a picture as a result of step S12, the picture chat application; Receiving a picture in the picture input window of the step (S14), and after completing the drawing to confirm whether to send the picture, if the drawing is not completed, returning to the step S14 (S15) and the step of S15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drawing is completed, receiving the confirmation of whether to transmit the completed picture as an animation (S16) and transmitting the pictur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tep S16 (S17). Or the picture is a step of transmitting (S18) the animation including the drawn process.
  • Each of the above steps is performed by a function module provided by the picture chat application stored in the user terminal.
  • the operation step of the picture chat application stored in the user terminal of the first user to draw and send a picture is as follows. .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urn type picture chat application stored in a user terminal of a second user.
  • a step (S21) of executing a picture chat application a step of checking whether a picture sent by the first user is received (S22), and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22, the first user who is the chat counterpart shows a picture. If not, the step (S23) of waiting or entering text and chatting, and if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2 is received, it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of the second user, and the display state of the picture is returned to the previous specific point in time.
  • FIG. 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picture chat application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icture chat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text input module 31 which provides a key input unit for the user to input text, and a text display module 32 which displays the conversation contents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 a picture input module 33 for receiving a picture drawn by the user by providing a picture input window in a part of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and a playback module for playing a picture drawn by the user or a picture received from another chat participant ( 35), an index insertion module 36 for inserting text input through the text input module 31 into the completed picture data while the picture is input through the picture input module 33, and the index;
  • FIGS. 4 and 5 are screens of an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a picture chat application is executed in a user terminal.
  •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executes a picture chat application installed in their respective user terminals, and inputs text through the text input module 31 to have a conversation while the first user displays a part of the user terminal.
  • the input module 33 receives the process from the start of the picture to completion, and stores it in the picture storage module 34, and comple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user or the second user The picture is transmit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41.
  • the user terminal may be a smart phone or a smart pad.
  • any device having a display and capable of communication may be used regardless of the form of the device.
  •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may draw a picture in a turn manner and transmit the picture to the terminal of the counterpart.
  • step S12 When the first user who has been identified in the drawing step S12 draws a picture through the picture input window 42, it is input through the picture input module 33 as in step S14 and stored in the picture storage module 34.
  • the completed picture stored in the picture storage module 34 stores the drawing process in chronological order, and the play, pause, stop, back, and forward functions can be used using the picture playback module 35. .
  • step S16 When transmitting the picture stored in the picture storage module 34, as shown in step S16 it is selected whether to send a still picture or an animation.
  • the animation includes data that can display the drawing process in chronological order, and the still picture refers to simple image data in which data on the drawing process is omitted.
  • the user starts to draw a fishbowl picture, and the process is stored in a time order. After the fishbowl picture is completed, the fish starts to draw a fish picture under the fishbowl to complete the fish picture. Use to add a picture of a fish to a completed fishbowl picture to complete a picture of fish in a fishbowl.
  • the picture reproducing module 35 displaying the completed picture may display the play, pause, stop, back, and forward buttons together to display a process of drawing a picture.
  •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picture can be confirmed in chronological order as in step S25.
  • stage data may be inserted into the picture data according to the completeness of the picture in the process of drawing a picture.
  • the stage data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executing a general drawing or a document writing tool's execution (DO) or undo (UNDO) command.
  • DO document writing tool's execution
  • DO undo
  • the previous state is not stored in the virtual memory but is directly stored in the drawing data. It is done.
  • a first stage STAGE1 of starting to draw a fishbowl, a second stage of completion of a fishbowl picture, STAGE2, and a third drawing of a fish beneath the fishbowl picture Save the information of each step (STAGE3), the fourth step of completing the fish picture (STAGE4), and the fifth step (STAGE5) of combining the fishbowl picture and the fish picture to complete the picture containing the fish in the fishbowl.
  • the second user who has received the picture into the fish tank in the fifth stage (STAGE5) state can select the back button to check the picture state of the first stage (STAGE1) to the fourth stage (STAGE4), From the first stage (STAGE1) to the fifth stage (STAGE5) can be continuously played to check the process of drawing the picture.
  • the second user may modify a part of the received picture.
  • the second user may display the picture in one of the first steps STAGE1 to the fifth step STAGE5, and then add or modify the picture. .
  • step 4 For example, if you do not like the fish picture, display the picture status of step 4 (STAGE4), then delete the drawn fish picture, edit the new fish picture, and then go to the new step 5-1 (STAGE5-1). You can complete the picture.
  • first step (STAGE1) to the fifth step (STAGE5) is simply an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o move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rough the insertion of data that can distinguish each step, the number of steps Can be applied unlimitedly.
  • a first user draws a fishbowl and transmits it
  • a second user draws and transmits a fish
  • a first user draws a fish and transmits it.
  • a fish picture drawn by the second user and the first user himself or herself may be put into a fishbowl drawn by the first user to complete a picture in which the fish is in the fishbowl.
  • the function of the picture editing module 37 may enlarge or reduce a picture drawn by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and may provide various editing functions such as changing a color, deleting or copying a part of the picture.
  • FIG. 7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mpleting a picture using a turn-based picture chat application.
  • a first user draws a fishbowl using a picture input module 33
  • a second user draws a fish picture using a picture input module 33
  • the first user enlarges the finished fishbowl picture using the picture editing module 37 so that the fish pictures can be placed therein, reduces the fish pictures to a suitable size, and then Combine the pictures with the fish pictures to complete the joint picture.
  •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lete one picture by using a picture drawn by each of the chat participants.
  • the second user may add another picture to the picture drawn by the first user.
  • a first user draws a beach with a wavy sea and sends it to a second user.
  • a second user draws a coastal cliff on the picture of the beach and sends it back to the first user.
  •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one picture to be completed by a turn-based collaboration, so that the other person draws a picture while the other person draws a picture, so that the other person can draw a picture and concentrate.
  • the index insertion module 36 extracts a specific word from the input text.
  • the index insertion module 36 stores various preset words, and finds a word matching the stored word in the text input during the picture chat process and uses the word as an index of the picture data currently being worked on.
  • the index insertion module 36 Extracts the words 'fish tank' and 'fish' and inserts one of them into the image data currently being worked and stores them in the image storage module 34.
  • the text display module 32 may display a user to select a word to be used as an index among 'fish bowl' or 'fish', and automatically extracts and uses the word with the highest frequency among the input texts during the drawing operation as an index. Can be.
  • the picture data into which the index data, which is text, is inserted is stored in the picture storage module 34, and then the user does not check each picture to find a specific picture among the pictures stored in the picture storage module 34. You can quickly find the picture you want by searching.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potential for industrial use 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multi-party chat application using a smar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 및 그림 채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제1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일부에 표시되는 그림 입력창을 통해 그림을 그리면, 상기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때부터 그림이 완성되는 과정을 시간순으로 저장하되, 그림의 완성 정도에 따라 위치를 구분할 수 있는 다수의 스테이지 데이터를 삽입하는 단계와, b) 상기 저장된 그림을 채팅 참여자인 제2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제2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전송받은 그림을 표시하는 단계와, d) 제2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그림을 그림이 그려지는 과정을 시간순으로 표시하거나, 제2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 데이터가 삽입된 위치에서의 그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 및 그림 채팅 방법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 및 그림 채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공동으로 그림을 완성하면서 대화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 및 그림 채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 기능이 장착된 스마트 기기들이 많이 보급됨에 따라 이를 이용한 다양한 채팅 어플리케이션들이 출시되어 있다.
대부분의 채팅 어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하는 문자 입력 모듈을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주를 이루고, 정해진 정적 또는 동적 이미지들을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채팅 어플리케이션들은 이미 정해진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등을 전달하기 때문에 입력할 수 있는 내용이 제한적이며, 자유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손글씨를 직접 입력하고, 이를 채팅 상대방에 전달할 수 있는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 일방이 직접 쓴 글씨나, 그린 그림을 다른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을 뿐이다.
이처럼 사용자의 손 글씨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채팅을 하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97819호(통신단말기간의 그림판 채팅 장치, 2016년 2월 19일 등록)가 있다.
위의 등록특허에는 터치스크린에 그림 입력 필드 영역을 두고, 입력된 그림 또는 글씨를 이미지화하여 채팅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때의 이미지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그러나 위의 등록특허의 기재내용으로는 다수의 채팅 참여자들이 공동으로 그림을 그리면서 채팅을 할 수 없으며, 그림을 그리는 과정을 알 수 없기 때문에 그림을 통해 전달하려는 의사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위의 등록특허는 그림을 그려 채팅 상대방에서 보낼 수는 있지만, 이후에 특정한 그림을 검색해서 찾을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전에 채팅에 사용한 그림을 검색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다수의 채팅 참여자가 공동으로 그림을 완성하여 공동작업이나 아이디어의 교환이 매우 용이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 및 그림 채팅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그림이 완성되는 과정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확인할 수 있어, 상대방이 그림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의사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감정의 공유와 그림을 통한 마음의 치료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 및 그림 채팅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이전에 완성된 그림을 용이하게 검색하여 찾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 및 그림 채팅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그림 채팅 방법은, a) 제1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일부에 표시되는 그림 입력창을 통해 그림을 그리면, 상기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때부터 그림이 완성되는 과정을 시간순으로 저장하되, 그림의 완성 정도에 따라 위치를 구분할 수 있는 다수의 스테이지 데이터를 삽입하는 단계와, b) 상기 저장된 그림을 채팅 참여자인 제2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제2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전송받은 그림을 표시하는 단계와, d) 제2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그림을 그림이 그려지는 과정을 시간순으로 표시하거나, 제2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 데이터가 삽입된 위치에서의 그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그림에 제2사용자가 다른 그림을 추가하여 그림을 완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표시되는 그림과는 별도의 그림을 그려 제1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1사용자가 상기 a) 단계에서 그린 그림과, 제2사용자가 그려서 전송한 그림을 편집하여 하나의 그림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사용자는 스테이지 데이터가 삽입된 위치를 탐색하여, 특정한 스테이지에서 상기 그림을 편집할 수 있다.
완성된 상기 그림의 데이터에 텍스트 인덱스를 추가하여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텍스트 인덱스는 그림이 완성되는 과정에서 제1사용자 또는 제2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다수의 사용자들과 채팅이 가능하도록 하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일부에 그림 입력창을 제공하여, 상기 그림 입력창에 입력되는 그림이 그려지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간순에 따른 데이터로 그림 저장모듈에 저장하되, 상기 그림의 완성도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스테이지 데이터를 삽입하여 저장하는 그림 입력모듈과, 상기 그림을 시간 순서에 따라 재생이 가능하며, 상기 스테이지 데이터가 삽입된 위치로 이동하여, 해당 스테이지의 그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림 재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림 저장모듈에 저장되는 그림 데이터에 텍스트 인덱스를 추가하여, 텍스트 입력에 의해 저장된 그림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인덱스 삽입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덱스 삽입모듈은,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들이 입력한 텍스트에서 기저장된 단어와 일치하는 단어를 추출하여 상기 텍스트 인덱스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그림 재생모듈을 통해 선택된 스테이지의 그림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그림을 편집할 수 있는 그림 편집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림 편집모듈은, 선택된 스테이지의 그림에서 특정 부분을 삭제하고, 다시 그림을 입력받아 수정하거나, 그림의 일부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색상을 변경하거나, 다른 그림과 합쳐 하나의 그림으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 및 그림 채팅 방법은 다수의 채팅 참여자들이 턴방식으로 그림을 그려 각자의 의사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어, 아이디어의 공유나 의사 전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림이 완성되는 과정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확인할 수 있어, 상대방이 그림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의사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감정의 공유와 그림을 통한 마음의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그림 그려 채팅을 하는 과정에서 입력되는 텍스트를 완성된 그림을 검색할 수 있는 키워드로 정하여, 이전에 완성한 그림을 쉽게 검색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림 채팅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제2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도이다.
도 4와 도 5는 각각 사용자 단말에서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의 디스플레이 일 실시예 화면이다.
도 6은 애니메이션 그림의 설명도이다.
도 7은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그림이 완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 부호의 설명 -
31:텍스트 입력모듈 32:텍스트 표시모듈
33:그림 입력모듈 34:그림 저장모듈
35:그림 재생모듈 36:인덱스 삽입모듈
37:그림 편집모듈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 및 그림 채팅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림 채팅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림 채팅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된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턴방식으로 그림 그리기 채팅을 시작하는 단계(S11)와, 채팅에 참여한 제1사용자가 그림을 그릴 차례인지 확인받고(S12), 상대방인 제2사용자가 그림을 그릴 차례이면 대기하는 단계(S13)와, 상기 S12단계의 확인결과 제1사용자가 그림을 그릴 차례이면 상기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그림 입력창에 그림을 입력받는 단계(S14)와, 그림 그리기를 완료하고 상대방에게 전송할 것인지 확인하여, 그림 그리기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S14단계로 귀환하는 단계(S15)와, 상기 S15단계의 판단결과 그림 그리기가 완료되었으면 완료된 그림을 애니메이션으로 전송할 것인지 확인받는 단계(S16)와, 상기 S16단계의 선택에 따라 그림으로 전송(S17)하거나 그림이 그려지는 과정을 포함하는 애니메이션으로 전송(S18)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단계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기능 모듈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그림을 그려 전송하는 제1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단계이며, 제1사용자와 그림 채팅을 하는 제2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동작단계는 다음과 같다.
도 2는 제2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S21)와, 상기 제1사용자가 보낸 그림이 수신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22)와, 상기 S22단계의 판단결과 채팅 상대방인 제1사용자가 그림을 보내지 않았으면 대기하거나 텍스트를 입력하여 채팅하는 단계(S23)와, 상기 S22단계의 판단결과 그림이 수신되었으면 이를 제2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고, 해당 그림의 표시상태를 이전의 특정 시점으로 되돌려 확인할지를 입력받는 단계(S24)와, 상기 S24단계에서 이전 시점으로 되돌려 확인하는 경우 재생위치를 특정한 이전 시점으로 되돌려 표시하는 단계(S25)와, 상기 S24단계에서 현재 표시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면, 상대방이 보낸 그림을 원하는 시점으로 되돌려 그림을 다시 그릴 것인지 확인하는 단계(S26)와, 상기 S26단계의 확인결과 그림을 다시 그리는 것으로 확인되면 원하는 시간위치부터 그림이 완성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그림 입력창을 통해 그림을 입력받아 원래 수신된 그림을 편집하는 단계(S27)와, S26단계의 확인결과 그림을 다시 그리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채팅 상대방인 제1사용자에게 그림을 다시 전송할 것인지 확인하여, 전송하지 않으면 상기 S24단계로 귀환하는 단계(S28)와, 상기 S28단계의 확인결과 그림 전송이 선택되면 상대방에게 그림을 전송하고 S22단계로 귀환하는 단계(S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키입력부를 제공하는 텍스트 입력모듈(31)과, 대화 내용을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텍스트 표시모듈(32)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그림 입력창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그리는 그림을 입력받는 그림 입력모듈(33)과, 사용자가 그린 그림 또는 다른 채팅 참여자로부터 받은 그림을 재생하는 재생모듈(35)와, 상기 그림 입력모듈(33)을 통해 그림이 입력되는 동안 텍스트 입력모듈(31)을 통해 입력된 텍스트를 인덱스로 하여 완성된 그림 데이터에 삽입하는 인덱스 삽입모듈(36)과, 상기 인덱스가 삽입된 완성된 그림을 저장하는 그림 저장모듈(34)과, 그림을 편집할 수 있는 그림 편집모듈(37)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그림 채팅 방법과 그림 채팅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와 도 5는 각각 사용자 단말에서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의 디스플레이 일 실시예 화면이다.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가 각자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텍스트 입력모듈(31)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하여 대화를 하는 중에 제1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일부에 표시되는 그림 입력창(42)에 그림을 그리면, 입력모듈(33)은 그 그림의 시작부터 완성까지의 과정을 입력받아 그림 저장모듈(34)에 저장하고, 제1사용자 또는 제2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완성된 그림을 전송하여 표시창(41)에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가 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통신이 가능한 장치면 그 장치의 형태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는 각각 턴방식으로 그림을 그려 상대방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S12 단계에서 그림을 그릴 차례로 확인된 제1사용자가 그림 입력창(42)을 통해 그림을 그리면, 이는 S14단계와 같이 그림 입력모듈(33)을 통해 입력되어 그림 저장모듈(34)에 저장된다.
그림 저장모듈(34)에 저장된 완성된 그림은 그림이 그려지는 과정을 시간순으로 저장하는 것으로, 그림 재생모듈(35)을 이용하여 재생, 일시정지, 정지, 뒤로 가기, 앞으로 가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그림 저장모듈(34)에 저장된 그림을 전송할 때, S16단계와 같이 정지된 그림으로 보낼 것인지, 애니메이션으로 전송할 것인지 선택하게 된다.
상기 애니메이션은 그림이 그려지는 과정을 시간순으로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를 함께 포함하는 것이며, 정지된 그림은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 대한 데이터가 생략된 단순한 이미지 데이터를 뜻한다.
도 6은 상기 애니메이션 그림의 설명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어항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고, 그 과정은 시간 순서대로 저장되며, 어항 그림이 완성된 상태에서 어항 밑에 물고기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여 물고기 그림을 완성한 후, 그림 편집모듈(37)을 사용하여 완성된 어항 그림에 물고기 그림을 넣어 어항 속에 물고기가 있는 그림을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성된 그림을 표시하는 그림 재생모듈(35)은 재생, 일시정지, 정지, 뒤로 가기, 앞으로 가기 버튼을 함께 표시하여, 그림이 그려지는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즉, 그림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턴방식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그림 재생모듈(35)을 사용하여 S25단계와 같이 그림이 완성되는 과정을 시간 순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그림의 완성도에 따라 그림 데이터에는 스테이지 데이터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 데이터는 일반적인 그림 또는 문서 작성툴의 실행(DO), 실행취소(UNDO) 명령을 실행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전 상태가 가상메모리에 저장되지 않고, 직접 그림 데이터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테이지 데이터의 삽입과 관련한 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항을 그리기 시작하는 제1단계(STAGE1), 어항 그림의 완성 제2단계(STAGE2), 어항 그림 아래에 물고기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는 제3단계(STAGE3), 물고기 그림 완성 제4단계(STAGE4), 어항 그림과 물고기 그림을 합하여 어항 안에 물고기가 들어간 그림을 완성하는 제5단계(STAGE5) 각각의 정보를 저장한다.
위의 제5단계(STAGE5) 상태인 어항 안에 물고기가 들어간 그림을 수신한 제2사용자는 뒤로 가기 버튼을 선택하여 제1단계(STAGE1) 내지 제4단계(STAGE4)의 그림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1단계(STAGE1)부터 제5단계(STAGE5)까지 연속으로 재생하여 그림이 그려지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사용자는 수신된 그림의 일부를 수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단계(STAGE1) 내지 제5단계(STAGE5) 중 하나의 상태로 그림을 표시한 후, 그림을 추가하거나 그림을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고기 그림이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에는 제4단계(STAGE4)의 그림 상태가 표시되도록 한 다음, 그려진 물고기 그림을 지우고 새로운 물고기 그림을 편집한 후 새로운 제5-1단계(STAGE5-1)의 그림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STAGE1) 내지 제5단계(STAGE5)의 구체적인 예는 단순히 예이며, 본 발명에서는 각 단계를 구분할 수 있는 데이터의 삽입을 통해 이후 해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단계의 수는 무제한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 5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제1사용자가 어항을 그려 전송하고, 제2사용자가 물고기를 그려 전송하고, 다시 제1사용자가 물고기를 그려 전송한 화면이며, 최종적으로 제1사용자는 그림 편집모듈(37)을 사용하여 제1사용자가 그린 어항에 제2사용자와 제1사용자 본인이 그린 물고기 그림들을 넣어 물고기가 어항 속에 있는 상태의 그림을 완성할 수 있다.
그림 편집모듈(37)의 기능은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가 그린 그림을 확대, 축소할 수 있으며, 색상을 변경하거나, 그림의 일부를 지우거나 복사하는 등 다양한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그림이 완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과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1사용자가 그림 입력모듈(33)을 사용하여 어항 그림을 그리고, 제2사용자가 그림 입력모듈(33)을 사용하여 물고기 그림을 그린 후, 다시 제1사용자가 물고기 그림을 그려 전송한 후, 제1사용자는 물고기 그림들이 안에 위치할 수 있도록 그림 편집모듈(37)을 사용하여 완성된 어항 그림을 확대하고, 물고기 그림들을 적당한 크기로 축소한 후, 어항 그림과 물고기 그림들을 합하여 공동 그림을 완성한다.
그림의 입력은 손이나 터치 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채팅 참여자들 각자가 그린 그림을 이용하여 하나의 그림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S27단계와 같이 제1사용자가 그린 그림에 제2사용자가 다른 그림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가 파도치는 바다가 보이는 바닷가를 그려 제2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제2사용자는 그 바닷가 그림에 해안 절벽을 그려 다시 제1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제1사용자는 해안 절벽이 있는 바닷가 그림에 갈매기를 그려 넣는 방식으로 하나의 그림을 완성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하나의 그림을 턴방식의 공동작업으로 완성할 수 있도록 하여, 상대방이 그림을 그리는 동안은 그림을 그릴 수 없기 때문에 상대방이 어떤 그림을 그려 올지 상상하며, 집중할 수 있다.
또한 그림이 완성되는 과정을 확인하여 상대방의 의사나 감정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감정의 공유와 치유가 가능하며, 채팅에 재미를 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동작업으로 그림을 완성해 가는 과정에서 제1사용자 또는 제2사용자가 텍스트 입력모듈(31)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하면 인덱스 삽입모듈(36)에서는 입력된 텍스트에서 특정한 단어를 추출한다.
상기 인덱스 삽입모듈(36)에는 미리 설정된 다양한 단어가 저장되어 있으며, 그림 채팅 과정에서 입력된 텍스트에서 저장된 단어와 일치하는 단어를 찾아 이를 현재 작업 중인 그림 데이터의 인덱스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위의 어항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제1사용자 또는 제2사용자가 텍스트 입력모듈(31)을 통해 '우리 어항 그림에 넣을 물고기 그릴까?'라는 텍스트를 입력한 경우, 인덱스 삽입모듈(36)은 '어항', '물고기'라는 단어를 추출하고 그 중 하나를 현재 작업 중인 그림 데이터에 삽입하여 그림 저장모듈(34)에 저장한다.
이때 텍스트 표시모듈(32)은 사용자에게 '어항' 또는 '물고기' 중 인덱스로 사용할 단어를 선택하도록 표시할 수 있으며, 그림 작업 중 입력된 텍스트 중에서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단어를 인덱스로 자동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텍스트인 인덱스 데이터가 삽입된 그림 데이터는 그림 저장모듈(34)에 저장되며, 이후 사용자는 그림 저장모듈(34)에 저장된 그림들 중에서 특정한 그림을 찾기 위해 그림을 하나하나 확인하지 않고, 텍스트로 검색하여 원하는 그림을 빠르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저장된 그림들은 재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다자간의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으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Claims (10)

  1. a) 제1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일부에 표시되는 그림 입력창을 통해 그림을 그리면, 상기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때부터 그림이 완성되는 과정을 시간순으로 저장하되, 그림의 완성 정도에 따라 위치를 구분할 수 있는 다수의 스테이지 데이터를 삽입하는 단계;
    b) 상기 저장된 그림을 채팅 참여자인 제2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제2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전송받은 그림을 표시하는 단계; 및
    d) 제2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그림을 그림이 그려지는 과정을 시간순으로 표시하거나, 제2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 데이터가 삽입된 위치에서의 그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림 채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그림에 제2사용자가 다른 그림을 추가하여 그림을 완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림 채팅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표시되는 그림과는 별도의 그림을 그려 제1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1사용자가 상기 a) 단계에서 그린 그림과, 제2사용자가 그려서 전송한 그림을 편집하여 하나의 그림을 완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림 채팅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용자는 스테이지 데이터가 삽입된 위치를 탐색하여, 특정한 스테이지에서 상기 그림을 편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 채팅 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완성된 상기 그림의 데이터에 텍스트 인덱스를 추가하여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텍스트 인덱스는 그림이 완성되는 과정에서 제1사용자 또는 제2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 채팅 방법.
  6.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다수의 사용자들과 채팅이 가능하도록 하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일부에 그림 입력창을 제공하여, 상기 그림 입력창에 입력되는 그림이 그려지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간순에 따른 데이터로 그림 저장모듈에 저장하되, 상기 그림의 완성도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스테이지 데이터를 삽입하여 저장하는 그림 입력모듈과,
    상기 그림을 시간 순서에 따라 재생이 가능하며, 상기 스테이지 데이터가 삽입된 위치로 이동하여, 해당 스테이지의 그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림 재생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 저장모듈에 저장되는 그림 데이터에 텍스트 인덱스를 추가하여, 텍스트 입력에 의해 저장된 그림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인덱스 삽입모듈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삽입모듈은,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들이 입력한 텍스트에서 기저장된 단어와 일치하는 단어를 추출하여 상기 텍스트 인덱스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 재생모듈을 통해 선택된 스테이지의 그림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그림을 편집할 수 있는 그림 편집모듈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 편집모듈은,
    선택된 스테이지의 그림에서 특정 부분을 삭제하고, 다시 그림을 입력받아 수정하거나, 그림의 일부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색상을 변경하거나, 다른 그림과 합쳐 하나의 그림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
PCT/KR2017/004000 2016-04-27 2017-04-13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 및 그림 채팅 방법 WO2017188634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789819.4A EP3435600B1 (en) 2016-04-27 2017-04-13 A method for pictorial chatting and a user terminal storing a turn-based pictorial chatting application adapted to perform said method.
US15/558,202 US10498677B2 (en) 2016-04-27 2017-04-13 Turn-based pictorial chatting application and method for pictorial chatting installed in user terminal
CN201780001006.2A CN107710694B (zh) 2016-04-27 2017-04-13 回合方式图像聊天终端及图像聊天方法
JP2019509447A JP6712359B2 (ja) 2016-04-27 2017-04-13 ユーザ端末に設置されるターン方式絵チャットアプリケーション及び絵チャット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270A KR101857581B1 (ko) 2016-04-27 2016-04-27 턴방식 그림 채팅 방법 및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6-0051270 2016-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88634A1 true WO2017188634A1 (ko) 2017-11-02

Family

ID=60159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4000 WO2017188634A1 (ko) 2016-04-27 2017-04-13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 및 그림 채팅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98677B2 (ko)
EP (1) EP3435600B1 (ko)
JP (1) JP6712359B2 (ko)
KR (1) KR101857581B1 (ko)
CN (1) CN107710694B (ko)
WO (1) WO20171886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09144A1 (en) * 2021-12-24 2023-06-29 Toothlife Co., Ltd. System and method of sponsoring streamer through drawing pi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998B1 (ko) * 2020-03-24 2021-11-18 문지현 감정 학습 및 소통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동영상 추천 및 재생 방법
US11256402B1 (en) * 2020-08-12 2022-02-22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broadcasting digital trails of visual media
US11605187B1 (en) * 2020-08-18 2023-03-14 Corel Corporation Drawing function identification in graphics applications
KR102558566B1 (ko) 2021-03-09 2023-07-24 (주)비케이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KR20230083092A (ko) 2021-12-02 2023-06-09 (주)비케이 화가와 사용자의 중요도에 따른 벡터 이미지의 재생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8527A1 (en) * 2002-12-18 2006-07-06 Blount Alan W Mobile graphics device and server
KR100770892B1 (ko) * 2005-03-05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KR20110115357A (ko) * 2010-04-15 2011-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애니메이션 메시지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30017100A (ko) * 2013-01-30 2013-02-19 추성애 스마트폰의 문자입력창에 손글씨 이미지를 입력하여 통신하는 방법
KR101597819B1 (ko) * 2015-02-10 2016-02-25 김대호 통신단말기간의 그림판 채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5249B2 (en) * 2002-07-25 2006-06-20 Microsoft Corp. System and method for image editing
US7302274B2 (en) * 2003-09-19 2007-11-2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real-time shared editing mobile video
US7774505B2 (en) * 2005-03-05 2010-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data in real-time
CN101286865B (zh) * 2008-05-14 2010-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音视频会议中实现电子白板的方法、装置及系统
US8334902B2 (en) * 2009-03-31 2012-12-18 Fuji Xerox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use of whiteboards
KR101588730B1 (ko) * 2009-04-21 201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한 대화 방법
US9640144B2 (en) * 2012-02-13 2017-05-02 Hitachi Maxell, Ltd. Projector, figure input/display apparatus, portable terminal, and program
US10338793B2 (en) * 2014-04-25 2019-07-02 Timothy Isaac FISHER Messaging with drawn graphic inpu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8527A1 (en) * 2002-12-18 2006-07-06 Blount Alan W Mobile graphics device and server
KR100770892B1 (ko) * 2005-03-05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KR20110115357A (ko) * 2010-04-15 2011-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애니메이션 메시지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30017100A (ko) * 2013-01-30 2013-02-19 추성애 스마트폰의 문자입력창에 손글씨 이미지를 입력하여 통신하는 방법
KR101597819B1 (ko) * 2015-02-10 2016-02-25 김대호 통신단말기간의 그림판 채팅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435600A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09144A1 (en) * 2021-12-24 2023-06-29 Toothlife Co., Ltd. System and method of sponsoring streamer through drawing pi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35600A1 (en) 2019-01-30
EP3435600B1 (en) 2021-07-28
CN107710694B (zh) 2021-07-02
KR101857581B1 (ko) 2018-05-14
JP6712359B2 (ja) 2020-06-17
JP2019515406A (ja) 2019-06-06
KR20170122401A (ko) 2017-11-06
US20180109479A1 (en) 2018-04-19
EP3435600A4 (en) 2019-09-25
US10498677B2 (en) 2019-12-03
CN107710694A (zh) 2018-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88634A1 (ko)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턴방식 그림 채팅 어플리케이션 및 그림 채팅 방법
WO2016036218A1 (ko) 캐릭터를 이용한 메시지 서비스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방법을 포함하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WO2012050251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095873A (zh) 照片共享方法、装置
WO2013182056A1 (zh) 视频通讯的方法及用于视频通讯的终端、服务器和系统
CN105045552A (zh) 多屏幕拼接显示方法及装置
CN105159578A (zh) 视频显示模式的切换方法和装置
US20170024087A1 (en) Integration of emotional artifacts into textual information exchange
CN107145270A (zh) 表情图标排序方法及装置
CN108595401A (zh) 批注同步系统、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2005136524A (ja) グループ/個別ミーティングシステム
WO2017175950A1 (ko) 사회적 네트워크 관리를 지원하는 서버 및 사용자 단말
CN105430194B (zh) 用于拨打电话的方法、装置及终端
JP2015041885A (ja) テレビ会議システム
WO2011059227A2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to external apparatus
JP3237339B2 (ja) 手書き入力会議システム
WO2022255850A1 (ko)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
JP5191395B2 (ja) モバイル・ホスト装置のためのレシービング・ステーション、および当該ステーションを使用するリソース共有の方法
US20220096915A1 (en) Educational system
WO2021187647A1 (ko) 가상 공간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따라 하는 아바타를 표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H07123389A (ja) 通信会議端末装置及び通信会議装置
CN106098066A (zh) 语音识别方法及装置
CN103955493A (zh) 信息的展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WO2017010732A1 (ko) 휴대단말의 화면에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 및 저장매체
WO2012030004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58202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7898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7898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8102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0944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898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