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46387A1 -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46387A1
WO2017146387A1 PCT/KR2017/000979 KR2017000979W WO2017146387A1 WO 2017146387 A1 WO2017146387 A1 WO 2017146387A1 KR 2017000979 W KR2017000979 W KR 2017000979W WO 2017146387 A1 WO2017146387 A1 WO 201714638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battery pack
modu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097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태혁
권유나
김성곤
노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790000237.7U priority Critical patent/CN207818682U/zh
Publication of WO201714638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4638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and a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a battery pack.
  • the secondary battery having high application characteristics and high electrical density such as energy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oduct group is not only a portable device but also an electric vehicle (EV) or a hybrid vehicle (HEV) driven by an electric driving source. It is applied universally.
  • the secondary batter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energy source for improving eco-friendliness and energy efficiency in that it does not generate any by-products due to energy use as well as a primary advantage of drastically reducing the use of fossil fuels.
  • Types of secondary batteries currently widely used include lithium ion batteries, lithium polymer batteries,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ogen batteries, nickel zinc batteries, and the like.
  • the operating voltage of such a unit secondary battery cell that is, a unit battery cell is about 2.5V to 4.2V. Therefore, when a higher output voltage is required, a battery pack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series. In addition, the battery pack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parallel according to the charge / discharge capacity required for the battery pack. Therefore, the number of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required output voltage or charge / discharge capacity.
  • the battery pack is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series / parallel, the battery 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battery cell is configured first, and the battery pack is added by adding other components using the at least one battery module. How to configure it is common.
  • the pack case is mounted on a structure such as a vehicle,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ccommodated in the pack case and are stacked on both sides of each battery module to secure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nd then the pack cas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module fixing bracket fixed to.
  • the pack case is fastened to the structure mounting fastening members when mounted on a structure such as a car.
  • the through fastening position of the structure mounting fastening memb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a structure such as an automobile.
  • the module fixing brackets mount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battery modules are provided with at least twice the number of the battery modules, and is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 to improve the fixing force.
  • each module fixing bracket is screwed to the pack case through at least two screw members for stable pack case fixing.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ack and a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which can avoid interference with the fastening member for mounting the structure and improve the manufacturing process efficiency when mounted on a structure such as an automobile.
  • a battery pack the pack case forming the appearance;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ccommodated in the pack case and stacked on each other; And a module fixing unit supporting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nd integrally fixing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in the pack case.
  • the module fixing unit is provided in a pair, and the pair of module fixing units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pack case to fix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in a stack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Can be mounted.
  • Each of the pair of module fixing units may include: a module support beam which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stacking direction and supports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nd at least one coupling bracket provided on the module support beam and fixed to the pack case.
  • the module support beam may have a length at least equal to a total lengt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long the stacking direction.
  • Both ends of the module support beam may be fixed to the pack case.
  • Fastening holes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module support beam to fasten the screw member for screwing the pack case.
  • the at least one coupling bracket may include a beam connector coupled to the module support beam; And a fastening fixing part that is bent from the beam connection part and screwed to the pack case.
  • the beam connection may be coupled to the module support beam by spot welding.
  • the fastening fixing part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screw member for screwing.
  • the pack case may include a bracket seating part on which the fastening fixing part is seated so as to support the fastening fixing part.
  • the coupling bracket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coupling bracket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stacking direction.
  • At least one structure mounting fastening member penetrates the pack case to be mounted on a structure such as an automobile, and the at least one structure mounting fastening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at least one adjacent two coupling brackets. hav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obile, comprising: at least on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s an automobile.
  • a battery pack and a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that can avoid interference with the fastening member for mounting the structure when mounting to a structure such as a vehicle and improve the manufacturing process efficienc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pack of FIG. 1 except for the case cover.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pack of FIG. 1 except for the case cover.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dule fixing unit of the battery pack of FIG.
  •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 FIG. 5 is a plan view of the battery pack of FIG. 2.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excluding the case cover of the battery pack of Figure 1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dule fixing unit of the battery pack of Figure 2
  •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 FIG. 5 is a plan view of the battery pack of FIG. 2.
  • the battery pack 10 may be provided in an automobile as a fuel source of the automobile.
  • the battery pack 10 may be provided in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vehicle, a plug-in hybrid vehicle, and various other vehicles in which other battery packs 10 may be used as a fuel source.
  • the battery pack 10 may be provided in other devices, devices, and facilities, such as an energy storage system using a battery cell as a secondary battery, in addition to the vehicle.
  • the battery pack 10 may include a battery module 100, a pack case 200, and a module fixing unit 300.
  • the battery module 100 may be formed of a stack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may be provided as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Since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s well know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 the battery module 100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stacked on each other.
  •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may be stack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X-axis direction) of the battery pack 1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pack case 200 forms an appearance of the battery pack 10 and may be mounted on a structure of the vehicle. To this end, the pack case 200 may be mounted on a structure such as an automobile through at least one structure mounting fastening member (V).
  • the structure mounting fastening member (V)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order to ensure coupling stability, it may be fastened through the pack case 200.
  • the pack case 200 may include a case cover 210 and a case tray 250.
  • the case cover 210 may cover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 the plurality of structure mounting fastening members V passing through the case tray 25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enetrated through the case cover 210.
  • the case tray 250 may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and may be seated on a structure such as an automobile.
  • the case tray 250 may be coupled to the case cover 210 to package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 the case tray 250 may include a base tray 260 and a module guide tray 270.
  • the base tray 260 may form a bottom of the battery pack 10 and may be mounted on a structure of the vehicle.
  • the base tray 260 may be coupled to the case tray 250 through a bolting member or the like for packaging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 the base tray 260 may have a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262 and a bracket seating portion 265.
  • the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262 may be provided along an edge of the base tray 260, and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fastening members V for mounting a plurality of structures.
  • the plurality of structure mounting fastening members V may be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s 262.
  • the bracket mounting part 265 may be formed as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supports the fastening fixing part 380 of the coupling bracket 350 to be described later, and prevents the flow of the fastening fixing part 380 seated. Can be.
  • the bracket mounting part 265 corresponds to the fastening fixing part 380 so that the fastening fixing part 380 can be fitted in a vertic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stack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It may have a width.
  • the bracket mounting part 265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fixing parts 380 to be described later.
  • the plurality of fastening fixing parts 38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s 262 in the stack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 the module guide tray 270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tray 260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for mounting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 the module fixing unit 300 is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in the pack case 200, and supports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in the pack case 200. Can be fixed integrally.
  • the module fixing unit 300 may fix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integrally without fixing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individually.
  • the module fixing unit 300 may fix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in a stack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 the module fixing unit 300 may be provided as a pair to fix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 the pair of module fixing units 300 may include one side (+ Y-axis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in a stack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Y axis direction) may be mounted in the pack case 200 to be fixed respectively.
  • the pair of module fixing units 300 may each include a module support beam 310 and a coupling bracket 350.
  • the module support beam 31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stack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may support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Specifically, the pair of module support beams 310 may support one side (+ Y axis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 ⁇ Y axis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respectively.
  • the module support beam 310 is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is at least equal to the total lengt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along the stack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thus the plurality of module support beams 310 in the stack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All sides of the two battery modules 100 may be integrally supported.
  • Fastening holes 315 through which the screw member B is fastened may be formed at both ends 311 and 313 of the module support beam 310.
  • the screw member B may be screwed to the pack case 200, specifically, the module guide tray 270 of the case tray 250 after being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315. Accordingly, the module support beam 310 may be stably fixed between the module guide tray 270.
  • the coupling bracket 350 since the module support beams 310 support both side surfaces (Y-axis direction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the coupling bracket 3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in the stack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force of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100 may be sufficiently secured even withou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each battery module 100.
  • the coupling bracket 350 is provided on the module support beam 310 and through the screw member B on the pack case 200, specifically, the base tray 260 of the case tray 250. It can be screwed and fixed.
  • the coupling bracket 35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order to secure a fixing forc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coupling brackets 350 may be provided to be provided in pairs for each battery module 100 to stably fix each battery module 100 to the base tray 260. Can be.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five battery modules 100 may be provided, and ten coupling brackets 350 may be provided.
  • the plurality of coupling brackets 35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stack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brackets 350 may be provided so as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plurality of structure mounting fastening members (V).
  • the plurality of structure mounting fastening members V may be disposed between at least one adjacent two coupling brackets 350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plurality of coupling brackets 350. .
  • the plurality of coupling brackets 350 may each include a beam connecting part 360 and a fastening fixing part 380.
  • the beam connector 360 may be coupled to the module support beam 310.
  • the beam connector 360 may be coupled to the module support beam 310 by spot welding instead of a separate bolting member.
  •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beam connection unit 360 may be coupled to the module support beam 310 in a detachable structure.
  • the beam connection part 360 is coupled to the module support beam 310 through the spot welding, etc., the module support beam at a position that can avoid the interference with the fastening members (V) for mounting the structure ( 310 may be combined.
  • the fastening fixing part 380 may be formed to be bent approximately perpendicularly from the beam connecting part 360.
  • the fastening fixing part 380 may be seated on the bracket seating part 265.
  • a fastening hole 385 may be formed in the fastening fixing part 380.
  • the fastening hole 385 may be provided at one location in the fastening fixing part 380, and may pass through a screw member B that is screwed to the base tray 260.
  • the number of screw couplings may be reduced, and thus the number of screw members B may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time of the battery pack 10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 the battery pack 10 may avoid interference with the fastening member V for mounting the structure when mounted on a structure such as an automobile, and may significantly improve the manufacturing 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외관을 형성하는 팩 케이스, 팩 케이스 내에 수용되며, 상호 적층되는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 및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을 지지하며, 팩 케이스 내에서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을 통합적으로 고정시키는 모듈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본 발명은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6년 02월 22일 자로 출원된 한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20694호에 대한 우선권주장출원으로서,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된다.
제품 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HEV, Hybrid Electric Vehicle)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이차전지의 종류에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단위 이차전지 셀, 즉, 단위 배터리 셀의 작동 전압은 약 2.5V ~ 4.2V이다. 따라서, 이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이 요구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배터리 팩에 요구되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 셀을 병렬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의 개수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모듈을 먼저 구성하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기타 구성요소를 추가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종래 배터리 팩은, 자동차 등의 구조물에 장착되는 팩 케이스, 팩 케이스 내에 수용되며 상호 적층되는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 및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을 고정하기 위해 각각의 배터리 모듈의 양측면 하측에 장착된 후 팩 케이스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모듈 고정 브라켓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팩 케이스에는 자동차 등의 구조물에 장착 시,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들이 관통 체결된다. 그리고,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의 관통 체결 위치는 자동차 등의 구조물의 구조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배터리 모듈들의 양측면 하측에 각각 장착되는 모듈 고정 브라켓들은 배터리 모듈들의 개수의 적어도 두 배 이상으로 구비되며, 고정력 향상을 위해 배터리 모듈의 적층 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모듈 고정 브라켓은 안정적인 팩 케이스 고정을 위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스크류 부재를 통해 팩 케이스에 스크류 체결된다.
그러나, 종래 배터리 팩에서는, 이러한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들의 팩 케이스 관통 체결시, 구조물의 구조에 따라 팩 케이스 관통 후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가 팩 케이스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모듈 고정 브라켓과 간섭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배터리 팩에서는, 배터리 모듈의 적층 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어 각각의 배터리 모듈에 별개로 장착되는 복수 개의 모듈 고정 브라켓들 및 각각의 모듈 고정 브라켓의 고정을 위한 복수 개의 스크류 부재들로 인해,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자동차 등의 구조물에 장착 시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하며 제조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등의 구조물에 장착 시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하며 제조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터리 팩으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팩 케이스; 상기 팩 케이스 내에 수용되며, 상호 적층되는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을 지지하며, 상기 팩 케이스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을 통합적으로 고정시키는 모듈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상기 모듈 고정 유닛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모듈 고정 유닛들은, 각각,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의 적층 방향에서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의 일측 및 타측을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팩 케이스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모듈 고정 유닛들은, 각각, 상기 적층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의 측면을 지지하는 모듈 지지 빔; 및 상기 모듈 지지 빔에 구비되며, 상기 팩 케이스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지지 빔은, 상기 적층 방향에 따른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의 총 길이와 적어도 같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모듈 지지 빔의 양단은, 상기 팩 케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지지 빔의 양단에는, 상기 팩 케이스와의 스크류 결합을 위한 스크류 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브라켓은, 상기 모듈 지지 빔에 결합되는 빔 연결부; 및 상기 빔 연결부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팩 케이스와 스크류 결합되는 체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 연결부는, 상기 모듈 지지 빔에 스폿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고정부에는, 상기 스크류 결합을 위한 스크류 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팩 케이스에는, 상기 체결 고정부를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체결 고정부가 안착되는 브라켓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브라켓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결합 브라켓들은, 상기 적층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팩 케이스에는, 자동차 등의 구조물에 장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가 관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두 개의 결합 브라켓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자동차로서,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자동차 등의 구조물에 장착 시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하며 제조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의 케이스 커버를 제외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터리 팩의 모듈 고정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배터리 팩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의 케이스 커버를 제외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배터리 팩의 모듈 고정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의 배터리 팩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 팩(10)은, 자동차의 연료원으로써, 자동차에 구비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배터리 팩(10)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기타 배터리 팩(10)을 연료원으로써 이용할 수 있는 기타 다른 방식의 다양한 자동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팩(10)은 상기 자동차 이외에도 이차 전지로서의 배터리 셀을 이용하는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등 기타 다른 장치나 기구 및 설비 등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배터리 팩(10)은, 배터리 모듈(100), 팩 케이스(200) 및 모듈 고정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100)은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의 적층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은, 각각,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상기 배터리 모듈(100)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호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은 상기 배터리 팩(10)의 전후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적층될 수 있고,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팩 케이스(200)는 상기 배터리 팩(1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자동차 등의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팩 케이스(200)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V)를 통해 상기 자동차 등의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V)는 결합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팩 케이스(200)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팩 케이스(200)는, 케이스 커버(210) 및 케이스 트레이(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210)는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을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 커버(210)에는 후술하는 케이스 트레이(250)를 관통한 상기 복수 개의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V)들이 관통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트레이(250)는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을 수용하며, 상기 자동차 등의 구조물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트레이(250)는 상기 케이스 커버(210)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을 패키징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 트레이(250)는, 베이스 트레이(260) 및 모듈 가이드 트레이(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트레이(260)는 상기 배터리 팩(10)의 저부를 형성하며, 상기 자동차 등의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트레이(260)는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의 패키징을 위해 상기 케이스 트레이(250)와 볼팅 부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트레이(260)에는 체결부재 관통홀(262) 및 브라켓 안착부(2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 관통홀(262)은 상기 베이스 트레이(260)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V)들의 개수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체결부재 관통홀들(262)에는 상기 복수 개의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들(V)이 관통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안착부(265)는 소정 깊이를 갖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하는 결합 브라켓(350)의 체결 고정부(380)를 지지하며, 안착된 상기 체결 고정부(38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브라켓 안착부(265)는 상기 적층 방향(X축 방향)의 수직 방향(Y축 방향)에서 상기 체결 고정부(380)가 끼워질 수 있게 상기 체결 고정부(380)에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안착부(265)는 후술하는 복수 개의 체결 고정부들(380)의 개수에 대응되게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체결 고정부들(380)은 상기 적층 방향(X축 방향)에서 상기 복수 개의 체결부재 관통홀들(26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 가이드 트레이(270)는 상기 베이스 트레이(260)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의 장착을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모듈 고정 유닛(300)은 상기 팩 케이스(200)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을 지지하기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팩 케이스(200)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을 통합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모듈 고정 유닛(300)은 개별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을 고정시키지 않고, 통합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모듈 고정 유닛(300)은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의 적층 방향(X축 방향)에서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의 측면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 고정 유닛(300)은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의 양측면을 고정시킬 수 있게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모듈 고정 유닛들(300)은,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의 적층 방향(X축 방향)에서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의 일측(+Y축 방향) 및 타측(-Y축 방향)을 각각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팩 케이스(200)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모듈 고정 유닛들(300)은, 각각, 모듈 지지 빔(310) 및 결합 브라켓(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지지 빔(310)은 상기 적층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모듈 지지 빔들(310)은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의 일측면(+Y축 방향) 및 타측면(-Y축 방향)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모듈 지지 빔(310)은 상기 적층 방향(X축 방향)에 따른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의 총 길이와 적어도 같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적층 방향(X축 방향)에서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의 측면 모두를 통합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지지 빔(310)의 양단(311, 313)에는 스크류 부재(B)가 관통 체결되는 체결홀(3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부재(B)는 상기 체결홀(315)에 관통 체결된 후 상기 팩 케이스(200),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 트레이(250)의 상기 모듈 가이드 트레이(270)에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듈 지지 빔(310)은 상기 모듈 가이드 트레이(27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듈 지지 빔들(310)이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의 양측면(Y축 방향)을 지지하기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결합 브라켓(350)이 상기 적층 방향(X축 방향)에서 각각의 배터리 모듈(100)의 양측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지 않아도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의 고정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브라켓(350)은 상기 모듈 지지 빔(310)에 구비되며, 상기 팩 케이스(200),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 트레이(250)의 상기 베이스 트레이(260)에 상기 스크류 부재(B)를 통해 스크류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결합 브라켓(350)은 고정력 확보를 위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결합 브라켓들(350)은 각각의 배터리 모듈(100)을 상기 베이스 트레이(26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각각의 배터리 모듈(100)마다 한 쌍씩 구비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예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배터리 모듈들(100)이 구비되는 바, 10개의 결합 브라켓들(35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결합 브라켓들(350)은 상기 적층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결합 브라켓들(350)의 이격 거리는 상기 복수 개의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들(V)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 개의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들(V)은 상기 복수 개의 결합 브라켓들(350)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두 개의 결합 브라켓들(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 개의 결합 브라켓들(350)은, 각각, 빔 연결부(360) 및 체결 고정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 연결부(360)는 상기 모듈 지지 빔(31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빔 연결부(360)는 별도의 볼팅 부재 대신에 상기 모듈 지지 빔(310)에 스폿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상기 빔 연결부(360)는 상기 모듈 지지 빔(310)에 분리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빔 연결부(360)는 상기 스폿 용접 등을 통한 상기 모듈 지지 빔(310)과의 결합 시, 상기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들(V)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위치에서 상기 모듈 지지 빔(3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듈 고정 유닛(310)의 제조 시 상기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들(V)과의 간섭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바, 상기 모듈 고정 유닛(310)의 장착 시 상기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들(V)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체결 고정부(380)는 상기 빔 연결부(360)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체결 고정부(380)는 상기 브라켓 안착부(265)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고정부(380)에는 체결홀(38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385)은 상기 체결 고정부(380)에 1개소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트레이(260)와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 부재(B)를 관통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체결 고정부(380)에서 한 번의 스크류 결합만을 수행하여 상기 체결 고정부(380)를 상기 베이스 트레이(260)와 결합시키는 바, 각각의 결합 브라켓에서 복수 개의 스크류 결합을 수행할 때보다 상기 배터리 팩(10)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크류 결합 횟수를 줄일 수 있는 바, 상기 스크류 부재들(B)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상기 배터리 팩(10)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킴과 아울러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팩(10)는 상기 자동차 등의 구조물에 장착 시 상기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V)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3)

  1. 외관을 형성하는 팩 케이스;
    상기 팩 케이스 내에 수용되며, 상호 적층되는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을 지지하며, 상기 팩 케이스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을 통합적으로 고정시키는 모듈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고정 유닛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모듈 고정 유닛들은, 각각,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의 적층 방향에서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의 일측 및 타측을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팩 케이스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모듈 고정 유닛들은, 각각,
    상기 적층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의 측면을 지지하는 모듈 지지 빔; 및
    상기 모듈 지지 빔에 구비되며, 상기 팩 케이스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지지 빔은,
    상기 적층 방향에 따른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들의 총 길이와 적어도 같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지지 빔의 양단은,
    상기 팩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지지 빔의 양단에는,
    상기 팩 케이스와의 스크류 결합을 위한 스크류 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브라켓은,
    상기 모듈 지지 빔에 결합되는 빔 연결부; 및
    상기 빔 연결부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팩 케이스와 스크류 결합되는 체결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빔 연결부는,
    상기 모듈 지지 빔에 스폿 용접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고정부에는,
    상기 스크류 결합을 위한 스크류 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팩 케이스에는,
    상기 체결 고정부를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체결 고정부가 안착되는 브라켓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브라켓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결합 브라켓들은,
    상기 적층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팩 케이스에는,
    자동차 등의 구조물에 장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가 관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 장착용 체결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두 개의 결합 브라켓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3. 제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PCT/KR2017/000979 2016-02-22 2017-01-26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714638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90000237.7U CN207818682U (zh) 2016-02-22 2017-01-26 电池组及包括这种电池组的汽车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694A KR102022641B1 (ko) 2016-02-22 2016-02-22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6-0020694 2016-0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6387A1 true WO2017146387A1 (ko) 2017-08-31

Family

ID=5968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0979 WO2017146387A1 (ko) 2016-02-22 2017-01-26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22641B1 (ko)
CN (1) CN207818682U (ko)
WO (1) WO20171463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2230B2 (ja) * 2018-02-16 2021-1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
US11394074B2 (en) * 2019-12-10 2022-07-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y cross member configuration with structural nut channel
KR20210089935A (ko) 2020-01-09 2021-07-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플랜지 형태의 홀딩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 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102281771B1 (ko) * 2020-05-07 2021-07-26 에너테크인터내셔널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하우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3221A (ko) * 2009-12-23 2011-06-2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141057B1 (ko) * 2007-06-28 2012-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팩
KR20130122323A (ko) * 2012-04-30 2013-1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30143183A (ko) * 2012-06-21 2013-12-3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팩 시스템
KR20150015179A (ko) * 2013-07-31 2015-0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외부 장착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1363B2 (ja) * 2007-09-28 2013-02-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ケース
JP5013140B2 (ja) * 2009-12-10 2012-08-2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ケース
JP5447358B2 (ja) * 2010-12-16 2014-03-1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シール構造
JP6094740B2 (ja) * 2013-03-07 2017-03-1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装ケース
JP6020298B2 (ja) * 2013-03-29 2016-11-0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パック
JP5786974B2 (ja) * 2014-01-15 2015-09-3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ケース
KR101902445B1 (ko) * 2014-01-20 2018-09-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분 침투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JP6487461B2 (ja) * 2014-05-08 2019-03-2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ノイズ低減部材を含む電池パッ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057B1 (ko) * 2007-06-28 2012-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팩
KR20110073221A (ko) * 2009-12-23 2011-06-2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30122323A (ko) * 2012-04-30 2013-1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30143183A (ko) * 2012-06-21 2013-12-3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팩 시스템
KR20150015179A (ko) * 2013-07-31 2015-0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외부 장착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585A (ko) 2017-08-30
KR102022641B1 (ko) 2019-09-18
CN207818682U (zh)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24796A1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19083149A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17030290A1 (ko) 배터리 모듈,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7052050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4073808A1 (ko) 버스 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2057489A2 (ko) 내구성이 향상된 전지팩
WO2015152637A1 (ko) 텐션 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7146387A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8230819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7146384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20138870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20067665A1 (ko) 배터리 셀 조립체, 이러한 배터리 셀 조립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8199521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20075988A1 (ko) 공간 절약형 icb 조립체를 적용한 배터리 모듈
WO2021125897A1 (ko) 복수의 단위 모듈과 bms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서브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9172545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8052189A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21002619A2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1101075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0067659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22065961A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21177607A1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WO2021125476A1 (ko) 복수의 단위 모듈과 bms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서브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20009483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20138848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567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567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