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46308A1 - 조립식 싱크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싱크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46308A1
WO2017146308A1 PCT/KR2016/005957 KR2016005957W WO2017146308A1 WO 2017146308 A1 WO2017146308 A1 WO 2017146308A1 KR 2016005957 W KR2016005957 W KR 2016005957W WO 2017146308 A1 WO2017146308 A1 WO 201714630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ink
top plate
plate
hole
epoxy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59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우상
Original Assignee
(주)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일 filed Critical (주)천일
Publication of WO201714630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4630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ast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Definitions

  • the upper side of the sink manufactured by the above method has a problem of occupying a relatively large space because the top plate and the sink ball are stored or transported in an integrated state by welding, and the sink having a long width and length is approximately 3m in length.
  • the sink having a long width and length is approximately 3m in length.
  • it is not easy to carry the top plate in which the sink ball is integrat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ll of the manufactured top plate and the sink ball should be discarded when a welding defect occurs in welding the top plate and the sink ball to each other.
  • Patent Document 2 KR10-0500317 B1
  •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waste of resources, because even if any one of the top plate or sink ball and the back plate can be replaced or discarded only the components separately.
  • the diaphragm B spaced apart from the extension part 12 and the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11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0 manufactured above, between the extension part 12 and the diaphragm B.
  • FIG. In the space to be formed, a plurality of fixing brackets 30 are radially disposed around the through-hole 1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ixing bracket arrangement step S11).
  • the stepped portion 41A is further formed on the flange portion 41.
  • the stepped portion 41A is fixedly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hrough-hole 11 of the top plate 10. Afterwards, the stepped portion 41A is positioned below the portion where the extension portion 12 and the flange portion 41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 more inwardly. Due to the structure, the portion 12 and the flange portion 4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water does not easily enter, and water leaks outward through the portion where the top plate 10 and the sink ball 40 are coupled to each other. It doesn't work.
  • the sink ball 40 manufactured in the sink ball manufacturing step (S20)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10 manufactured in the upper plate manufacturing step (S10) described above, and then silicone, plastic is placed on the flange portion 41 of the sink ball 40.
  • a sealing material such as a resin sealing material or an adhesive is applied, and the flange portion 41 of the sink ball 4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poxy resin portion 2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10.
  • the pressing plate 50 has an epox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41 by fastening and fixing the pressing plate 50 having an inverted “a” cross-sectional shape to the fixing bracket 30 by using fastening members such as screws and bolts. It installs so that it may pressurize toward the resin part 20, and the sink ball 40 is firmly assembled to the top board 10 by this.
  •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waste of resources, because even if any one of the top plate or sink ball and the back plate can be replaced or discarded only the components separat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싱크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면서 일정 크기의 관통공(11)이 형성되는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의 상기 관통공(11)의 저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일정 두께의 에폭시 수지부(20)와; 상기 에폭시 수지부(20)에 의해 상기 관통공(1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래킷(30)과; 상기 에폭시 수지부(20)와 면 접촉되는 플랜지부(41)가 상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면서 상면이 개방된 일정 깊이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싱크볼(40) 및; 상기 고정브래킷(30)에 각각 설치 고정되면서 상기 플랜지부(41)의 저면을 가압하여 상기 싱크볼(40)을 상기 상판(10)에 고정시키는 가압판(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조되는 상판과 싱크볼 및 후면판을 따로 분리하여 보관 및 운송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쉽게 조립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일부 구성에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구성만을 따로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싱크대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조립식 싱크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싱크대의 상부 쪽의 상판과 싱크볼 및 백 패널(이하 '후면판'이라 한다.)을 각각 분리하여 제조한 다음, 이들을 쉽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싱크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조되는 싱크대의 상부 쪽은 크게 상판과 싱크볼 및 후면판으로 구분되는데, 상판과 후면판은 일반적으로 대략 "ㄴ"자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일체로 제작되면서, 상판의 가운데 부분에는 싱크볼이 위치되는 일정 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제조된다.
그리고 싱크볼은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상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그 상단은 외측 방향을 플랜지가 형성되도록 제조된다.
그런 다음, 상판의 관통공 저면에 싱크볼의 플랜지 부분을 밀착시켜 용접되고, 상판의 상면 부분은 그라인딩 등의 후가공을 통해 용접된 부분을 매끄럽게 제조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싱크대의 상부 쪽은 상판과 싱크볼이 용접으로 일체된 상태로 보관 또는 운반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폭과 길이가 긴 싱크대는 그 길이가 대략 3m이상이 되는데 이러한 싱크대의 경우에는 싱크볼이 일체로된 상판을 운반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판과 싱크볼을 서로 용접하는 용접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제조된 상판과 싱크볼을 모두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싱크대의 상부쪽은 상판과 싱크볼이 용접으로 일체된 상태로 상판과 싱크볼을 서로 용접하고 연마하는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제조된 상판 및 싱크볼을 모두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상판과 싱크볼이 일체형이다 보니 부피가 커서 보관하는데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싱크볼과 일체로된 상판을 운반하거나 설치하는 동안에도 작업자의 부주의로 찍힘, 찌그러짐등의 하자발생 위험이 높고 상판 또는 싱크볼 중 어느 한쪽에 결함이 발생하면 일체로된 상판과 싱크볼을 모두 폐기하거나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시공이 끝난 이후에도 소비자가 사용하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인해 상판과 싱크볼 어느 한쪽에만 하자가 발생해도 일체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스테인리스 재질로 상판과 싱크볼이 제조되는 싱크대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상판과 싱크볼을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도 부분 교체가 가능한 조립식 싱크대 및 그 제조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JP2003-136387 A
(특허문헌 2) KR10-0500317 B1
(특허문헌 3) KR10-1167268 B1
(특허문헌 4) KR10-2002-0062054 A
(특허문헌 5) KR10-2000-0030508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테인리스 재질의 싱크대 상판과 싱크볼을 서로 용접하여 일체로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판과 싱크볼을 서로 분리 조립이 가능하며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부분 교체가 가능한 조립식 싱크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싱크대가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면서 상하면을 관통하여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단부를 따라 단면 형상이 "ㄱ"자 형상이 되도록 하향 돌출되는 연장부가 형성된 상판과; 상판의 관통공의 저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일정 두께의 에폭시 수지부와; 에폭시 수지부에 의해 관통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래킷과; 에폭시 수지부와 면 접촉되는 플랜지부가 상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면서 상면이 개방된 일정 깊이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싱크볼과; 고정브래킷에 각각 설치 고정되면서 플랜지부의 저면을 가압하여 싱크볼을 상판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가압판 및; 상판의 일측 상면을 따라 설치되면서 상판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하향 길이를 가지는 지지판이 형성되는 후면판으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플랜지부의 상면에 실리콘 재질의 실링재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에폭시 수지부의 저면과 밀착되면서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싱크볼의 플랜지부에 단차부가 형성되며, 단차부는 관통공의 내주면 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조립식 싱크대 제조방법은 원재료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상하면을 관통하여 일정 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단부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연장부가 형성된 상판을 제조하는 상판 제조단계와; 원재료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관통공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면서 상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가지고, 상단 부분은 외측으로 일정 폭 연장 돌출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싱크볼을 제조하는 싱크볼 제조단계와; 원재료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상판의 상면 일측을 따라 설치되면서 상판의 측면을 따라 하향 돌출되는 지지판이 형성되는 후면판을 제조하는 후면판 제조단계로 이루어지고, 상판 제조단계에는 상판의 저면에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격판(B)을 설치한 다음, 관통공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고정브래킷을 배치하는 고정브래킷 배치단계 및; 연장부와 격판(B)에 의해 구획되면서 복수 개의 고정브래킷이 배치된 공간상에 일정량의 에폭시 수지를 충전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에폭시 수지부를 형성하는 에폭시 수지부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상판이 제조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싱크대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상판과 싱크볼 및 후면판을 각각 따로 제조한 다음, 이들을 쉽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제품을 보관하거나 운송하는 동안에는 상판과 싱크볼 및 후면판이 서로 조립되지 않은 반제품 상태로 적재하거나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싱크대의 상판을 쉽게 운반할 수 있으면서도 보관시에는 적재 공간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판 또는 싱크볼 및 후면판 중에서 어느 일측에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구성품만을 따로 교체하거나 폐기할 수 있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싱크대의 제조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싱크대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판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판의 저면에 브래킷을 고정설치되는 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싱크볼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판 저면에 설치된 브래킷을 이용하여 싱크볼이 고정 설치되는 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후면판이 상판의 일측단을 따라 설치되는 예를 보인 측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싱크대가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면서 상하면을 관통하여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단부를 따라 단면 형상이 "ㄱ"자 형상이 되도록 하향 돌출되는 연장부가 형성된 상판과; 상판의 관통공의 저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일정 두께의 에폭시 수지부와; 에폭시 수지부에 의해 관통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래킷과; 에폭시 수지부와 면 접촉되는 플랜지부가 상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면서 상면이 개방된 일정 깊이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싱크볼과; 고정브래킷에 각각 설치 고정되면서 플랜지부의 저면을 가압하여 싱크볼을 상판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가압판 및; 상판의 일측 상면을 따라 설치되면서 상판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하향 길이를 가지는 지지판이 형성되는 후면판으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플랜지부의 상면에 실리콘 재질의 실링재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에폭시 수지부의 저면과 밀착되면서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싱크볼의 플랜지부에 단차부가 형성되며, 단차부는 관통공의 내주면 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조립식 싱크대 제조방법은 원재료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상하면을 관통하여 일정 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단부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연장부가 형성된 상판을 제조하는 상판 제조단계와; 원재료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관통공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면서 상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가지고, 상단 부분은 외측으로 일정 폭 연장 돌출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싱크볼을 제조하는 싱크볼 제조단계와; 원재료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상판의 상면 일측을 따라 설치되면서 상판의 측면을 따라 하향 돌출되는 지지판이 형성되는 후면판을 제조하는 후면판 제조단계로 이루어지고, 상판 제조단계에는 상판의 저면에 관통공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격판(B)을 설치한 다음, 관통공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고정브래킷을 배치하는 고정브래킷 배치단계 및; 연장부와 격판(B)에 의해 구획되면서 복수 개의 고정브래킷이 배치된 공간상에 일정량의 에폭시 수지를 충전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에폭시 수지부를 형성하는 에폭시 수지부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상판이 제조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첨부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판과 싱크볼을 서로 분리 조립이 가능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부분 교체가 가능한 조립식 싱크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판 제조단계(S10), 싱크볼 제조단계(S20) 및 후면판 제조단계(S30)로 이루어지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제조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상판 제조단계(S10)
이 단계는 본 발명의 싱크대 상판(10)을 제조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싱크대의 상부 폭과 길이에 맞추어 스테인리스 판의 원재료를 프레스(절단, 절곡)가공 등에 의해 성형 가공하여 상판(10)이 제조된다.
이때 상판(10)은 외측 단이 하향 돌출되도록 성형되어 그 저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게 되고, 가운데 부분에는 상하면이 관통되는 일정 크기의 관통공(11)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11)의 단부와 연장되면서 상판(10)의 저면으로 하향 돌출되는 연장부(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위에서 제조된 상판(10)의 저면에는 관통공(11)의 둘레를 따라 연장부(12)와 일정 간격 이격된 격판(B)이 설치되고, 연장부(12)와 격판(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상에는 관통공(1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고정브래킷(30)이 적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고정브래킷 배치단계(S11)).
그리고 연장부(12)와 격판(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상에 경화성 에폭시 수지를 충전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에폭시 수지에 의해 복수 개의 고정브래킷(30)이 상판(10)의 저면에 접착(부착) 고정된 에폭시 수지부(20)가 일정 두께로 형성된다(에폭시 수지부 형성단계(S12)). 고정브래킷(30)의 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에폭시 수지부(20)에 묻히게 되다.
(2) 싱크볼 제조단계(S20)
이 단계는 앞서 제조한 상판(10)의 관통공(11)에 위치되는 싱크볼(40)을 제조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판(10)과 같이 일정 폭과 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리스 판을 원재료로 하여 프레스 성형 등에 의해 상면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적정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싱크볼(40)이 제조되며, 성형 과정에서 싱크볼(40)의 상단 부분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되어 일정 폭의 플랜지부(41)가 함께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은 플랜지부(41)에 단차부(41A)가 더 형성되는데, 이러한 단차부(41A)는 싱크볼(40)이 상판(10)의 관통공(11)의 저면에 밀착되어 고정 설치되고 나면, 관통공(11)의 내주면에 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게 되면서 연장부(12)와 플랜지부(41)가 면 접촉하는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단차부(41A)가 아래쪽에 위치되게 되고, 이러한 구조에 의해 연장부(12)와 플랜지부(41)가 서로 면 접촉되는 부분으로 물 등이 쉽게 유입되지 못하게 되면서 상판(10)과 싱크볼(40)이 결합된 부분을 통해 물 등이 외측으로 누출되지 않는다.
(3) 후면판 제조단계(S30)
이 단계는 상판(10)의 상면 일측을 따라 설치되면서 싱크대를 사용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물 등이 싱크대와 벽면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면판(60)을 제조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원재료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후면(싱크대가 설치됐을 때, 벽면에 접하는 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바 형상으로 제조되면서 저면을 따라 지지판(61)이 하향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구조의 후면판(60)은 상판(10)의 일측면을 따라 후면판(60)을 설치할 때에 상판(10)과 벽면 사이의 공간으로 지지판(61)을 삽입시키면서 후면판(60)의 저면을 상판(10)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설치가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조립식 싱크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성들을 서로 조립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상판 제조단계(S10)에서 제조된 상판(10)의 저면에 싱크볼 제조단계(S20)에서 제조된 싱크볼(40)을 위치시킨 다음, 싱크볼(40)의 플랜지부(41)에 실리콘, 플라스틱 수지 재질의 실링재 등의 실링재 또는 접착제를 도포하고, 싱크볼(40)의 플랜지부(41)를 상판(10)의 저면에 형성된 에폭시 수지부(20)에 밀착시킨다.
그런 다음, 고정브래킷(30)에 역 "ㄱ"자 단면 형상을 가지는 가압판(50)을 나사 및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함으로써 가압판(50)이 플랜지부(41)의 저면을 에폭시 수지부(20)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설치하고, 이에 의해 상판(10)에 싱크볼(40)이 견고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상판(10)의 상면 일측을 따라 후면판(60)을 안착시키면서 후면판(60)의 지지판(61)을 상판(10)과 벽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함으로써 상판(10)에 후면판(60)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싱크대의 상판, 싱크볼 및 후면판을 각각 따로 제조한 다음, 필요에 따라 조립 설치하기 때문에 싱크대의 상판, 싱크볼 및 후면판을 각각 분리하여 운반하거나 보관할 수 있고, 더욱이 보관시에는 분리된 각각의 구성들이 더욱 밀착하여 적층할 수 있으므로 요구되는 적재공간도 크게 감소되며, 또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일부의 구성이 제조, 운반 및 설치하는 과정에서 손상되더라도 해당 구성만을 따로 교체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싱크대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상판과 싱크볼 및 후면판을 각각 따로 제조한 다음, 이들을 쉽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제품을 보관하거나 운송하는 동안에는 상판과 싱크볼 및 후면판이 서로 조립되지 않은 반제품 상태로 적재하거나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싱크대의 상판을 쉽게 운반할 수 있으면서도 보관시에는 적재 공간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판 또는 싱크볼 및 후면판 중에서 어느 일측에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구성품만을 따로 교체하거나 폐기할 수 있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Claims (5)

  1.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면서 상하면을 관통하여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의 단부를 따라 "ㄱ"자 형상이 되도록 하향 돌출되는 연장부(12)가 형성된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의 상기 관통공(11)의 저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일정 두께의 에폭시 수지부(20)와;
    상기 에폭시 수지부(20)에 의해 상기 관통공(1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래킷(30)과;
    상기 에폭시 수지부(20)와 면 접촉되는 플랜지부(41)가 상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면서 상면이 개방된 일정 깊이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싱크볼(40)과;
    상기 고정브래킷(30)에 각각 설치 고정되면서 상기 플랜지부(41)의 저면을 가압하여 상기 싱크볼(40)을 상기 상판(10)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가압판(50) 및;
    상기 상판(10)의 일측 상면을 따라 설치되면서 상기 상판(10)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하향 길이를 가지는 지지판(61)이 형성되는 후면판(6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싱크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41)의 상면에는 플라스틱 수지 재질의 실링재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에폭시 수지부(20)의 저면과 밀착되면서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싱크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30) 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에폭시 수지부(20)에 묻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싱크대.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싱크볼(40)의 상기 플랜지부(41)에는 단차부(41A)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41A)는 상기 관통공(11)의 내주면 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싱크대.
  5. 일정 폭과 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리스 판을 원재료로 하여 싱크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상하면을 관통하여 일정 크기의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의 단부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연장부(12)가 형성된 상판(10)을 제조하는 상판 제조단계(S10)와;
    상기 원재료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상기 관통공(11)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면서 상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가지고, 상단 부분은 외측으로 일정 폭 연장 돌출되는 플랜지부(41)가 형성된 싱크볼(40)을 제조하는 싱크볼 제조단계(S20)와;
    상기 원재료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상기 상판(10)의 상면 일측을 따라 설치되면서 상판(10)의 측면을 따라 하향 돌출되는 지지판(61)이 형성되는 후면판(60)을 제조하는 후면판 제조단계(S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 제조단계(S10)에는 상기 상판(10)의 저면에 상기 관통공(11)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격판(B)을 설치한 다음, 상기 관통공(11)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고정브래킷(30)을 배치하는 고정브래킷 배치단계(S11) 및;
    상기 연장부(12)와 상기 격판(B)에 의해 구획되면서 복수 개의 상기 고정브래킷(30)이 배치된 공간상에 일정량의 에폭시 수지를 충전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에폭시 수지부(20)를 형성하는 에폭시 수지부 형성단계(S12)를 포함하여 상판(10)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싱크대의 제조방법.
PCT/KR2016/005957 2016-02-24 2016-06-07 조립식 싱크대 및 그 제조 방법 WO201714630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945 2016-02-24
KR1020160021945A KR20170099620A (ko) 2016-02-24 2016-02-24 조립식 싱크대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6308A1 true WO2017146308A1 (ko) 2017-08-31

Family

ID=59686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5957 WO2017146308A1 (ko) 2016-02-24 2016-06-07 조립식 싱크대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99620A (ko)
WO (1) WO201714630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111490A1 (it) * 2017-10-05 2019-04-05 Baido S P A Struttura di vasca per lavello e procedimento per la sua realizzazione
CN111395467A (zh) * 2020-04-02 2020-07-10 厦门金牌厨柜股份有限公司 石材台面加固方法及台下盆施工方法
CN114011942A (zh) * 2021-11-03 2022-02-08 浙江普森电器有限公司 一种集成水槽的槽体拉伸加工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217B1 (ko) * 2022-09-16 2023-03-31 주식회사 동서스텐 싱크대 상판 및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9473A (en) * 1988-12-20 1990-03-20 Kohler Co. Shock absorber assembly for a table or the like
KR19990027099U (ko) * 1997-12-23 1999-07-15 신용식 싱크대
KR200200816Y1 (ko) * 2000-05-24 2000-10-16 지용천 싱크볼과 상판의 경계부위 접합 어셈블리
KR200362318Y1 (ko) * 2004-06-14 2004-09-16 정인식 주방 싱크대의 싱크볼 고정구조
KR20100112225A (ko) * 2009-04-09 2010-10-19 주식회사 천일 싱크볼이 인서트된 상태에서 상판이 사출성형된 싱크대 및 싱크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9473A (en) * 1988-12-20 1990-03-20 Kohler Co. Shock absorber assembly for a table or the like
KR19990027099U (ko) * 1997-12-23 1999-07-15 신용식 싱크대
KR200200816Y1 (ko) * 2000-05-24 2000-10-16 지용천 싱크볼과 상판의 경계부위 접합 어셈블리
KR200362318Y1 (ko) * 2004-06-14 2004-09-16 정인식 주방 싱크대의 싱크볼 고정구조
KR20100112225A (ko) * 2009-04-09 2010-10-19 주식회사 천일 싱크볼이 인서트된 상태에서 상판이 사출성형된 싱크대 및 싱크대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111490A1 (it) * 2017-10-05 2019-04-05 Baido S P A Struttura di vasca per lavello e procedimento per la sua realizzazione
CN111395467A (zh) * 2020-04-02 2020-07-10 厦门金牌厨柜股份有限公司 石材台面加固方法及台下盆施工方法
CN114011942A (zh) * 2021-11-03 2022-02-08 浙江普森电器有限公司 一种集成水槽的槽体拉伸加工工艺
CN114011942B (zh) * 2021-11-03 2023-11-07 浙江普森电器有限公司 一种集成水槽的槽体拉伸加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620A (ko)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46308A1 (ko) 조립식 싱크대 및 그 제조 방법
WO2020009477A1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9143029A1 (ko) 리유즈, 리사이클 내지 리웍이 용이한 접착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15060528A1 (ko) 진동 특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및 이에 적용되는 프레임 카트리지 조립체
WO2013137526A1 (ko) 광학 필름 수납함 및 그 수납함의 운반 대차
WO2014142511A1 (ko) 부분적 교체가 가능한 팔레트
WO2012030061A2 (ko) 파이프 연결용 소켓
WO2019177342A1 (ko) 훅 구조가 적용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02349361B (zh) 用于连接多个印刷电路板与至少一个框架或者载体元件的方法和系统以及印刷电路板和框架或者载体元件
WO2011049302A2 (ko) 히트파이프형 방열장치의 제조방법
WO2019093671A1 (ko) 2차 전지 셀 모듈 및 그 조립 방법
WO2018155998A1 (ko) 3d 프린터의 레진 수조
KR100682073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led모듈 박스어셈블리
WO2018084352A1 (ko) 3d 프린터용 이형 수조
WO2014051382A1 (ko) 조립식 파레트
WO2017069309A1 (ko) 조립식 파레트
KR200486852Y1 (ko) 에폭시 몰딩 형상의 고정수단으로 결합성을 개선한 조립식 싱크대
WO2020050583A1 (ko) 차량용 적재 장치
CN217062389U (zh) 一种可拼接组装的静态隔板
US8278569B2 (en) Missing part checking structure
CN220448432U (zh) 电路板生产贴标装置
KR200421647Y1 (ko)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결합 구조
CN213594990U (zh) 一种新型背光胶框放置架
WO2022119244A1 (ko) 태양전지모듈 라미네이팅용 지그
CN210513537U (zh) 一种超压疲劳试验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9171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9171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