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39167A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39167A1
WO2017039167A1 PCT/KR2016/008736 KR2016008736W WO2017039167A1 WO 2017039167 A1 WO2017039167 A1 WO 2017039167A1 KR 2016008736 W KR2016008736 W KR 2016008736W WO 2017039167 A1 WO2017039167 A1 WO 20170391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etwork
transmission power
uplink
base st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873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영범
곽용준
여정호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680050883.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925969B/zh
Priority to US15/757,304 priority patent/US10219225B2/en
Priority to EP16842133.7A priority patent/EP3346771B1/en
Publication of WO20170391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39167A1/ko
Priority to US16/232,897 priority patent/US10313980B2/en
Priority to US16/408,220 priority patent/US1069447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user or data type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6Deriving transmission power values from anothe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where the output power of a terminal is based on a path parameter calculated in said termina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of a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operating by combining heterogeneous systems.
  • a 5G communication system or a pre-5G communication system is called a system after a 4G network (Beyond 4G Network) or a system after an LTE system (Post LTE).
  • 5G communication systems are being considered for implementation in the ultra-high frequency (mmWave) band (eg, such as the 60 Gigabit (60 GHz) band).
  • mmWave ultra-high frequency
  • FD-MIMO massive array multiple input / output
  • FD-MIMO massive array multiple input / output
  • Array antenna, analog beam-forming, and large scale antenna techniques are discussed.
  • 5G communication systems have advanced small cells, advanced small cells,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ultra-dense network (ultra-dense network) ,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wireless backhaul, moving network, cooperative communication, Coordinated Multi-Points (CoMP), and interference cancellation
  • cloud RAN cloud radio access network
  • ultra-dense network ultra-dense network
  • D2D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 wireless backhaul moving network
  • cooperative communication Coordinated Multi-Points (CoMP), and interference cancellation
  •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FQAM
  • SWSC Slide Window Superposition Coding
  • ACM Advanced Coding Modulation
  • FBMC Fan Bank Multi Carrier
  • NOMA 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s moved away from the initial voice-oriented services, for example, 3GPP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Long Term Evolution (LTE) or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LTE Provides high-speed, high-quality packet data services such a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LTE (ATE-Advanced or E-UTRA Evolution), 3GPP2 High Rate Packet Data (HRPD), UMB (Ultra Mobile Broadband), and IEEE 802.16e Has developed into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HSPA High Speed Packet Access
  • LTE Long Term Evolution
  • E-UTRA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 LTE Provides high-speed, high-quality packet data services such a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LTE (ATE-Advanced or E-UTRA Evolution), 3GPP2 High Rate Packet Data (HRPD), UMB (Ultra Mobile Broadband), and IEEE 802.16e Has developed into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LTE ATE-Advanced or E
  • the LTE-A is an evolution of the LTE system, and include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carrier aggregation (CA) technology, a higher ord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Higher oreder MIMO) technology, and an existing LTE function. .
  • CA carrier aggregation
  • Higher oreder MIMO higher ord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 LTE-A and LTE will be used interchangeably.
  • the LTE and LTE-A systems employ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cheme in downlink, and 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SC-FDMA in the uplink. Access) method is adopted.
  •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UL refers to a radio link through which a terminal transmits data or a control signal to a base station
  • DL downlink
  • data or control information of each user is classified by assigning and operating such that time-frequency resources for carrying data or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user do not overlap each other, that is, orthogonality is established. do.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ic structure of a time-frequency resource region, which is a radio resource region in which data or control channels of LTE and LTE-A systems are transmitted.
  •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time domain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frequency domain.
  • the minimum transmission unit in the time domain is an OFDM symbol for downlink and an SC-FDMA symbol for uplink, where N symb (102) symbols are gathered to form one slot 106 and two slots are gathered to one. Constitutes a subframe 105 of. The length of the slot is 0.5ms and the length of the subframe is 1.0ms.
  • the radio frame 114 is a time domain unit consisting of 10 subframes.
  • the minimum transmission unit in the frequency domain is a subcarrier of 15 kHz, and the bandwidth of the entire system transmission bandwidth is composed of a total of N BW 104 subcarriers.
  • the basic unit of resource in the time-frequency domain may be represented by an OFDM symbol or a SC-FDMA symbol index and a subcarrier index as a resource element 112 (RE).
  • the resource block 108 (RB or Physical Resource Block; PRB) is divided into N symb (102) contiguous OFDM symbols or SC-FDMA symbols in the time domain and N RB (110) contiguous sub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Is defined.
  • one RB 108 is composed of N symb x N RB REs 112.
  • data is mapped in units of RBs, and the base station performs scheduling in units of RB-pairs configuring one subframe for a predetermined UE.
  • N BW and N RB are proportional to the bandwidth of the system transmission band.
  • the data rate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RBs scheduled for the UE.
  • the LTE and LTE-A systems define and operate six transmission bandwidths. In the case of an FDD system in which downlink and uplink are divided into frequencies, the downlink transmission bandwidth and the uplink transmission bandwidth may be different.
  • the channel bandwidth represents an RF bandwidth corresponding to the system transmission bandwidth.
  • Table 1 shows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system transmission bandwidth and the channel bandwidth defined in the LTE and LTE-A system.
  • LTE and LTE-A systems with a 10 MHz channel bandwidth consists of 50 RBs in transmission bandwidth.
  • the LTE-A system may support wider bandwidth than the LTE system for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 the LTE terminals should also be able to access the LTE-A system and receive services.
  • the LTE-A system divides the entire system band into a component carrier (CC) of a bandwidth that can be transmitted or received by the LTE terminal, and may combine several component carriers to service the terminal.
  • CC component carrier
  • the LTE-A system may support high-speed data transmission of the LTE-A system by utiliz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 of the existing LTE system for each component carrier.
  • the LTE-A system supports up to five carrier combinations through a carrier aggregation (CA) technology that combines LTE carriers, thus providing broadband services up to 100 MHz (20 MHz x 5) bandwidth. Can be.
  • CA carrier aggregation
  • the 5G system aims at high-speed data service of several Gbps by utilizing the ultra-wide bandwidth of 100 MHz or more compared to the existing LTE and LTE-A.
  • the frequency bands included in the hundreds of MHz to several GHz used in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ultra-wide frequency of 100 MHz or more as described above. Considered as frequency.
  • the radio wave of the ultra-high frequency band as described above is called a millimeter wave (mmWave) with a wavelength of several mm.
  • mmWave millimeter wave
  • the pathloss of the radio wave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frequency band, thereby reducing the cover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a beamforming technique that uses a plurality of antennas to concentrate the radiant energy of radio waves to a predetermined target point and increases the reach of the radio waves is important.
  • the beamforming technique may be applied to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respectively.
  • the beamforming technique has an effect of reducing interference in a region outside the beamforming direction.
  • accurate measurement and feedback methods of the transmit and receive beams are required.
  • TTI short TTI
  • LTE and LTE-A are basic units for performing scheduling.
  • the TTI of the existing LTE and LTE-A systems is 1ms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one subframe. For example, with a short TTI for satisfying the requirement for the ultra low delay service of the 5G system, 0.5 ms, 0.2 ms, 0.1 ms, etc., which are shorter than the existing LTE and LTE-A systems, are possible.
  • a method of defining a method of distributing uplink signal transmission power by the terminal may be defined. Necessity arose.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plink power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and a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operating a system applying a new radio access technology, a heterogeneous system and LTE / LTE-A system in combin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 a terminal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 units of a first network and a second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units of a first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 a controller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a second network, and a controller to control uplink transmission power for at least one of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wherein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is performed by the first network. And according to the TTI length of each of the second networks.
  • the base station to generate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nd information about the priority, and to transmit the information about the priority to the terminal through the higher layer signaling (higher layer signal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the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and another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 units of a first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and the other base station transmits a second transmission.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units of a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and the information on the priority is determined by the terminal in the at least one unit of the first TTI and the second TTI.
  •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of a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new radio access technology, which is a heterogeneous system, and an LTE / LTE-A system are operated. It improves system efficiency by managing and reducing the generation of uplink interference signal.
  • 1 is a view showing a basic structure of a time-frequency domain in which data or a control channel is transmitted in an LTE system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grated system configuration combining a base station to which a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and an LTE / LTE-A base station;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ransmit powers when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by a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 FI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method for the terminal to adjust the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method for the terminal to adjust the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7 is a view showing another method for the terminal to adjust the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by a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djusting a transmission power by a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by a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by a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by a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 FIG. 13 is a view showing a terminal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se station is a subject performing resource allocation of the terminal, and may be at least one of an eNode B, a Node B, a base station (BS), a wireless access unit, a base station controller, or a node on a network.
  • the terminal may include a user equipment (UE), a mobile station (MS), a cellular phone, a smart phone, a computer, or a multimedia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communication function.
  • UE user equipment
  • MS mobile station
  • DL downlink
  • UL uplink
  • the following describe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n LTE or LTE-A system as an example,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other communication systems having a similar technical background or channel form.
  •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other communication systems through some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judgme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grated system configuration combining a base station in charge of the new radio access technology and an LTE / LTE-A base station.
  • relatively small coverages 204, 206, and 208 of small base stations 203, 205, and 207 may be disposed within the coverage 202 of the macro base station 201.
  • the macro base station 201 is capable of transmitting signals with a relatively higher transmission power than the small base stations 203, 205, and 207, so that the coverage 202 of the macro base station 201 has a small base station 203, 205, 207.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coverages 204, 206, and 208.
  • the macro base station represents an LTE / LTE-A system operating in a relatively low frequency band
  • the small base stations 203, 205, and 207 represent a system employing a novel radio access technology operating in the relatively high frequency band. Indicates.
  • the macro base station 201 and the small base stations 203, 205, and 20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re may be a certain amount of backhaul delay depending on the connection state. Therefore, it may not be desirable to exchange information that is sensitive to transmission delays between the macro base station 201 and the small base stations 203, 205, and 207.
  • FIG. 2 illustrates carrier combining between the macro base station 201 and the small base stations 203, 205, and 207,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pplicable for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both carrier combinations between macro base stations and macro base stations located at different locations, or carrier combinations between small base stations and small base stations located at different locations. In addition, the number of carriers combined is not limited.
  • the macro base station 201 may use a frequency f1 for downlink signal transmission, and the small base stations 203, 205, and 207 may use a frequency f2 for downlink signal transmission.
  • the macro base station 201 may transmit data or control information to the predetermined terminal 209 through the frequency f1, and the small base stations 203, 205, and 207 may transmit data or control information through the frequency f2.
  • a base station adopting a new radio access technology capable of supporting ultra-wideband in a high frequency band provides an ultra-high speed data service and an ultra-low delay service, and simultaneously adopts LTE / LTE-A technology in a relatively low frequency band.
  • the base station to be applied may support the mobility of a stable terminal.
  •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209 that connects to the macro base station 201 and the small base stations 203, 205, and 207 to perform communication is referred to as dual connectivity (DC).
  • the configuration illustrated in FIG. 2 may be similarly applied to uplink carrier coupling as well as downlink carrier coupling.
  • the terminal 209 may transmit data or control information to the macro base station 201 through the frequency f1 'for uplink signal transmission.
  • the terminal 209 may transmit data or control information to the small base stations 203, 205, and 207 through a frequency f 2 ′ for uplink signal transmission.
  • the f1 ' may correspond to the f1
  • the f2' may correspond to the f2.
  • the uplink signal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may be performed at different times or simultaneously with the macro base station and the small base station. In any case, due to the physical constraints of the power amplifier elements of the terminal and the propagation restrictions on the terminal transmission power, the sum of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s of the terminal at any moment should be kept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 the main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of the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operating in combination with heterogeneous systems. Specifically, in a communication system operating a system applying a new radio access technology (New RAT) and an LTE / LTE-A system, a total sum of transmission powers of uplink signals to be transmitted by an arbitrary terminal is allowed to the terminal. If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value is exceeded, the terminal follows the following transmission power method.
  • New RAT new radio access technology
  • LTE / LTE-A LTE / LTE-A
  • Method 2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power control command during uplink transmission interval
  • Method 3 A method of operating the time unit of the terminal power control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beam sweeping, which changes the direction of beamforming according to time, is applied
  • the present invention assumes a main scenario of an integrated system combining a base station in charge of a new radio access technology and an LTE / LTE-A base station, but also a scenario in which a general TTI and a short TTI are applied together in an LTE / LTE-A system.
  • the mai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ly applicable.
  • All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a case where a first system uses a first TTI, a second system uses a second TTI, and the first TTI is longer than the second TTI.
  • an LTE / LTE-A system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system using the first TTI, and an example of a system using the second TTI shorter than the first TTI will be described. The system will be described.
  •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Method 1 of the transmission power method for the uplink signal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described above.
  • FIG. 3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terminal transmits an uplink signal to an LTE / LTE-A base station during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period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an uplink signal to a base station to which a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the transmission power of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passage of time
  •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magnitude of the transmission power.
  • 3 shows that the subframe i 301 of the LTE / LTE-A system overlaps the subframes k 302 to k + 9 304 of the new radio access system, and starts with the start of the subframe i 301.
  • An example of coinciding start points of subframe k 302 is shown.
  • the TTI 1ms of the LTE / LTE-A system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subframe i 301
  • the short TTI of the new radio access system corresponds to each of the subframes k 302 to k + 9 304. Corresponds to the subframe length.
  • the maximum transmit power value allowed for the UE is P CMAX 305 and is uplinked to the LTE / LTE-A system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command of the LTE / LTE-A base station at the start of the subframe i 301.
  • the link transmission power is P 2 307 and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to the new radio access system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command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at the beginning of the subframe k 302 is P 1 (306). ).
  • the terminal applies the transmit power valu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command of the base station at the start of each subframe to the uplink signal transmission, and in the same subframe to calculate the receiver complexity and to prevent degradation of reception performance. Keep the transmission power constant.
  • the subframe k 302 to the subframe k + 3 303 are upgraded to the new radio access system calculated according to a power control command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at the beginning of every subframe.
  • Link transmission power indicates P 1 306. Accordingly, P 1 + P 2 exceeds P CMAX by P 3 308 during the period of subframe k 302 to subframe k + 3 303 (309).
  • the terminal reduces the transmit power of the uplink signal having a lower priority and maintains the transmit power of the uplink signal having a higher priority according to a predefined priority, and thus the sum of the uplink transmit power is increased. Do not exceed P CMAX .
  • the terminal since the lengths of the respective TTIs of the heterogeneous systems are different, and the start time of transmitting the uplink signals in each system is the same, the total uplink transmission power exceeds the maximum uplink transmission power, and thus the terminal has a preset priorit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of any one system according to the ranking.
  • FIG. 4 illustrates an embodiment (priority A) in which high priority is applied to an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an LTE / LTE-A base station.
  • the power control operation as shown in FIG. 4 may be applied. Accordingly, the transmit power of the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the LTE / LTE-A base station is maintained as much as the calculated P 2 407 during the subframe i 401.
  • the transmit power of an uplink signal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to apply a new radio technology the sub-frame k (402) from the sub-frame k + 3 (403) the calculated P 1 (406) during the period P 3 (408 Is transmitted with a reduced transmit power (P 1 -P 3 ) by.
  • FIG. 5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high priority is applied to an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a base station to which a new radio technology is applied (priority B). If the high-speed data service or the ultra-low delay service of the system applying the new radio technology is important, the power control operation as shown in FIG. 5 may be applied.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new radio technology is applied is maintained as much as the calculated P 1 506 for the period k 502 to subframe k + 3 503. On the contrary, the transmit power of the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the LTE / LTE-A base station is reduced by P 3 508 from P 2 507 calculated above during subframe i 501 (P 2 -P). 3 ) is sent.
  •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priority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base station is in accordance with an indication signaled by the base station, a case where the terminal is preset, or a case where the terminal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service type used by the terminal.
  • an LTE / LTE-A base station or a base station to which a new radio technology is applied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priority to a terminal through higher layer signaling.
  • the UE determines whether to apply a high priority to an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an LTE / LTE-A base station or to apply a high priority to an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a base station applying a new radio technology.
  • the terminal may apply a high priority to the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the LTE / LTE-A base station according to a preset priority or a service type to be used, or to the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applying the new radio technology. You can also decide whether to apply high priority.
  • the terminal may apply a high priority to a base station to which a new radio technology with a short TTI is applied.
  • the start time of the subframe i (301) and the start time of the subframe k (302) that the uplink signal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is made does not match May occur. Since the terminal is limited in predicting the operation after the current time in advance, high priority is appli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occurring at the current time. (Priority C)
  • FIG.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n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an LTE / LTE-A base station occurs earlier than an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a base station to which a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and according to the 'priority C', the LTE / LTE-A base station In this example, high priority is applied to an uplink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RS.
  • the sub-starting up the terminal to transmit a link signal at the time of the frame i (601) is a P 2 (607) has only an uplink signal, computed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command of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the LTE / LTE-A base station Does not exceed the maximum transmit power value P CMAX 605 allowed for the terminal, the terminal transmits the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the LTE / LTE-A base station at the transmit power of P 2 (607). Thereafter, an uplink signal to be transmitted at a transmission power of P 1 606 is generated to a base station to which a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at the start of subframe k 602.
  • the transmission power available to the terminal at the time of subframe k is P CMAX ⁇ P 2 (or P 1 -P 3 ). Therefore, the terminal transmits an uplink signal with a transmission power of P CMAX -P 2 with respect to an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a base station to which the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subframe k + 3 603 is applied to the subframe k + 3 603 to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is P according to the base station power control command. 1 , which is calculated as 606, the state in which the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of the terminal is insufficient continues from subframe k 602 to subframe k + 3 603. Accordingly, the UE transmits an uplink signal with a transmission power of P CMAX -P 2 to an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a base station to which a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from subframe k 602 to subframe k + 3 603. send.
  • FIG. 7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n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a base station to which a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occurs earlier than an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an LTE / LTE-A base station, and according to the 'priority C', a new radio access technology.
  • the uplink signal to b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at the start of the subframe k 702 is only an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and P 1 706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command of the base station. Since the maximum transmit power value P CMAX 705 allowed for the terminal does not exceed, the terminal transmits an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at the transmit power of P 1 706.
  • an uplink signal to be transmitted with the transmit power of P 2 707 is generated to the LTE / LTE-A base station at the start of subframe i 701.
  • the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already occupies the transmission power of P 1 706, the transmission power available to the terminal during subframe i 701 is P CMAX ⁇ .
  • P 1 (or P 2 -P 3 ) the terminal transmits an uplink signal with a transmission power of P CMAX -P 1 during subframe i 701 that requires insufficient transmission power for the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the LTE / LTE-A base station. send.
  • the LTE / LTE-A base station After the subframe k + 6 703, when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decreases according to a power control command of the base station, the LTE / LTE-A base station The transmission power of P 2 707 calculated as necessary at the start of the subframe i 701 is available for the uplink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AP.
  • the LTE / LTE-A base station determines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units of subframe i 701. Therefore, since the terminal is already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power by adjusting the transmission power P CMAX -P 1 at the beginning of the subframe i 701, the same subframe i (in order to reduce the receiver complexity and the reception performance deterioration). In 701, no additional transmission power change is performed.
  • step 801 the UE receives a combination of an LTE / LTE-A system and a system to which a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from a base station. Accordingly, the terminal prepares for operation of the integrated system.
  • the LTE / LTE-A base station or a base station to which the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is notified to the terminal through signaling.
  • the base station may send the signaling to the terminal supporting the combination of the LTE / LTE-A system and the system applying the new radio access technology.
  • the terminal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combination of the LTE / LTE-A system and the system to which the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as a heterogeneous system is only an embodiment, and may include all embodiments configured to be configured to combine the systems applying different TTIs. Can be.
  • step 802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ransmission intervals of signals to be transmitted to each base station overlap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base station scheduling (condition 1). If not overlapping, the terminal transmits an uplink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power calculation rule in step 806.
  • step 803 the terminal is allowed to total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uplink signal to be transmitted to each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command of the base st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maximum transmit power value is exceeded (condition 2). If not exceeding, the terminal performs the procedure of step 806.
  • the UE determines whether transmission start time points of the uplink signals to be transmitted to each base station are identical in step 804. Judge (condition 3). If the transmission start time coincides, the terminal transmits an uplink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iority in step 805. In this case, the priority may be the above-mentioned priority A or priority B.
  • the terminal maintain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uplink signal for the LTE / LTE-A system and the uplink signal for the system to which the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 the transmit power is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transmit power value of the uplink signal for the LTE / LTE-A system from the maximum transmit power value allowed for the UE, and may transmit an uplink signal for each system.
  • the terminal gives a high priority to the uplink signal transmitted first in step 807 and transmits (priority C).
  • the order of steps 803, 803, and 804 may be reversed.
  •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ethod 2 of the transmission power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the uplink signal of the terminal described above.
  • FIG. 9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a terminal receives a power control command from a base station when adjusting a transmission power of an uplink transmission signal due to a limitation of a maximum transmission power value allowed for the terminal.
  • FIG. 9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subframe i 901 of an LTE / LTE-A system overlaps from subframe k 902 to k + 9 903 of a new radio access system.
  • the maximum transmit power value allowed for the UE is P CMAX 905 and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command of the LTE / LTE-A base station at the start of the subframe i 901.
  • the uplink transmit power to the system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command of the base station applying the new radio access technology at the beginning of P 2 907 and subframe k 902. P 1 (906). Since the calculated P 1 + P 2 exceeds P CMAX by P 3 (908), the UE reduces the transmit power of the uplink signal having a lower priority so that the sum of the uplink transmit powers does not exceed the P CMAX . do.
  • the terminal applies a high priority to an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the LTE / LTE-A base station according to 'priority A'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ly, the terminal transmit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the LTE / LTE-A base station by P 2 as calculated above, and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the new radio access system is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Transmit by decreasing P 1 to P 3 (P 1 -P 3 ).
  • the terminal Since the terminal performs a power control operation by receiving a power control command from the base station every subframe, if the terminal transmits power from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for the subframes k 902 to k + 9 903. If the terminal continuously receives a TPC command (Tmit command) indicating 'increase', the UE transmits a predetermined amount of transmission power from P 1 calculated at the start of the subframe k (902). Will continue to increase. However, since the uplink signal transmitted by the UE to the LTE / LTE-A base station occupies P 2 transmission power during the subframe i 901, a new radio access in which the transmission interval overlaps with the subframe i 901. From subframes k 902 to k + 9 903 of the system, the transmit power available for the uplink signal actually transmitted to the new radio access system is limited to P CMAX -P 2 .
  • the uplink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LTE / LTE-A base station with priority as the transmission power as much as P 2 during the subframe i 901, the increase of the transmission power from the base station applying the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increased. Even if the TPC command indicating 'is continuously received, the UE is forced to transmit an uplink signal with a transmit power of P CMAX -P 2 to the new radio access system.
  •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of the UE in subframe k + 10 904 may be determined as in Equation 1 below.
  • the terminal may calculate a pathloss from a difference between a transmission power of a reference signal (RS) signaled by the base station and a terminal reception signal level of the reference signal (RS). have.
  • RS reference signal
  • a power control state function calculated according to a power control command of a base station for subframe n, and has the following relationship. .
  •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the power control command is difficult to know the transmission power constraint of the terminal from the subframe k (902) to k + 9 (903).
  • the base station may be incorrectly determined to be due to the strength that the non-suitable transmission power P 1 (906) determines the level of the uplink signal level of P 1 -P 3 reason of the reception signal in which a radio channel environment is not good .
  • the base station may continue to command 'increase' as a power control command for the terminal.
  • the terminal makes the power control command for the subframe k (902) to k + 9 (903) exceeds the maximum available transmit power (P CMAX -P 2 ) of the terminal, the It may not be reflected in the power control state function.
  • the terminal calculates the final uplink transmission power of the terminal by reflecting the power control command in the power control state function. Accordingly, in the example of FIG. 9,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of the UE of the subframe k + 10 904 is determined as P A 910. If this is generalized to Equation 2, it is expressed as Equation 2.
  •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determining, by the terminal, uplink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the procedure of FIG. 10 may correspond to an operation after step 805 or 807 of FIG. 8.
  • step 1001 the UE temporarily applies a power control command (TPC) for an arbitrary subframe to update the power control state function.
  • TPC power control command
  • the terminal updates the power control state function by temporarily applying a power control command for the current subframe n.
  • step 1002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of the terminal is calculated by reflecting the updated power control state function,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aximum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of the terminal is exceeded.
  • step 1003 when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of the terminal calculated based on the updated power control state function exceeds the maximum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in step 1003, the terminal temporarily updates the power control state function temporarily updated in step 1001. Cancel and calculate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of the terminal by maintaining the existing power control state function.
  • step 1004 the terminal determines the power control state function temporarily updated in step 1001 as the actual power control state function value. Accordingly,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of the terminal is calculated.
  •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ethod 3 of the transmission power method in the uplink signal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described above.
  • a terminal applies beam sweeping to an uplink signal transmitted to a base station to which a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 a beamforming that increases the reach of the radio wave by concentrating the radiated energy of the radio wave to a predetermined target point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 Beamforming technology is an important issue.
  • the beamforming technique requires optimal beam direction determination and feedback between the transceivers.
  • the beam sweeping is difficult to know the optimal beam direction because the feedback on the beam forming is limited, the beamforming signal is optimally received by feedback on each beam direction by sequentially changing the beam direction. It is a technique to determine the beam direction.
  • the beam sweeping may be used for initial access stage of the terminal or for transmitting a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for channel state feedback.
  • the terminal sequentially transmits a beamformed signal for each beam direction to the base station during the beam sweeping period (BSP).
  • BSP beam sweeping period
  • 11 illustrates a method of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by a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1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subframe i 1101 of the LTE / LTE-A system overlaps subframe k 1103 and k + 1 1104 of the new radio access system.
  • the maximum transmit power value allowed for the UE is P CMAX 1102, and the uplink to the LTE / LTE-A system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command of the LTE / LTE-A base st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subframe i 1101 is performed.
  • the link transmission power is calculated by the power control command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s applied at the beginning of P 2 1112, subframe k 1103.
  •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to the new radio access system is subframe k (the X indicates that the P (1106 reduced by at P Z (1108) does not exceed the P 2 P Y (1107)) - 1103) a maximum allowable transmission power value is allowed to the mobile station at the time P CMAX.
  • the beam sweeping interval 1109 is from the subframe k 1103 to the subframe k + 2 1105, and the terminal is beamformed while changing the beam direction during the beam sweeping interval. Sequentially transmits to the base station.
  • the maximum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of the terminal is P CMAX .
  • the UE can guarantee the transmission power of P Z 1108 to be applied in the subframe k 103, which is the start point of the beam sweeping interval.
  • the receiving side that determines the optimal beamforming direction by compar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s of the beamforming signals received from each beam direction, when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eamforming signal changes during the beam sweeping period, the transmit power
  • the misinterpretation of this as a change in the channel state can be an obstacle in determining the optimal beamforming direction.
  • the terminal may constantly maintain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eamforming signal to P X 1106 during the beam sweeping period 1109.
  • Figure 12 shows a procedure for the terminal to adjust the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ocedure of FIG. 12 may correspond to an operation after step 805 or 807 of FIG. 8.
  • the UE may determine whether beam sweeping is applied to an uplink transmission signal to be transmitted. If the beam sweeping is not appli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UE performs power control in units of subframe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in step 1103.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control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units of a conventional TTI.
  • the UE when beam sweeping is applied, the UE performs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in units of beam sweeping cycles in step 1102.
  • FIG. 13 shows a terminal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device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shown and described.
  • the terminal 1300 includes a uplink transmitter 1310 and an uplink for an LTE / LTE-A base station including an uplink transmit processing block 1311, a multiplexer 1312, and a transmit RF block 1313.
  • a transmitter 1320 and a controller 1330 for a new radio access base station including a signal processing block 1321, a multiplexer 1322, and a transmission RF block 1323.
  • the controller 1330 controls the respective building blocks of the transmitters 1310 and 1320 for controlling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of the terminal from schedul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base station.
  • the controller 1330 determines whether the transmission intervals of the uplink signals that the terminal 1300 intends to transmit to each base station overlap, and the maximum allowable transmission power of the terminal is the sum of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s of the terminal 1300. Is exceeded, whether the start point of the transmission of the uplink signal to be transmitted to each base station by the terminal 1300 coincides with each other, and whether or not beam sweeping is applied to the uplink transmission signal of the terminal 1300. Perform transmission power control.
  • the uplink transmission processing blocks 1311 and 1321 in the transmitters 1310 and 1320 for each base station perform a process such as channel coding and modulation to generate a signal to be transmitted.
  • Signals generated in the uplink transmission processing blocks 1311 and 1321 are multiplexed with other uplink signals by the multiplexers 1312 and 1322, and then signal-processed in the transmit RF blocks 1313 and 1323, respectively. Is sent to.
  • the terminal 1300 may include a transceiver and a controller.
  • the transceiver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 first network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 units of a first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and a second network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 units of a second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 TTI second transmission time interval
  • the controller is a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1300 as a whole.
  • the controller may control uplink transmission power for at least one of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 the uplink transmit power control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TTI length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networks.
  •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according to the priority. It can be controlled to reduce the transmission power for.
  •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uplink transmission for the network in which uplink transmission is started in time among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as a high priority.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ransceiver to receive the information on the priority by higher layer signaling of the base station of the first network.
  • the controller transmits an uplink signal to the first network first, and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transmitted to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exceeds a maximum transmission power.
  •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to the second network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power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second network.
  •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to the second network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command exceeds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transmitted to the second network while transmitting the uplink signal to the first network.
  • Determine an uplink transmission power to the second network without reflecting the power control command and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to the second network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command transmits an uplink signal to the first network.
  •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to the second network may be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power control command.
  • the controller may perform a beam sweeping period on the second TTI in a unit of the uplink transmit power control for the second network when performing beam sweeping on the second network. It can be characterized by changing to.
  • control unit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transmitted to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exceeds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the first network is prioritized or the uplink transmission to the first network in time
  • the transmission power for the second network is reduced so as not to exceed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and the transmission power for the second network is not changed while performing the beam sweeping to the second network. It may be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so as not to.
  • the first TTI may be 1 ms, and the second TTI may be less than 1 ms.
  •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device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shown and described.
  • the base station apparatus 1400 is an LTE / LTE-A receiving unit 1410 and an uplink receiving processing block 1421 including an uplink receiving processing block 1411, a demultiplexer 1412, and a receiving RF block 1413.
  • a new radio access receiving unit 1420 and a control unit 1430 are composed of a neutralizer 1422 and a receiving RF block 1423.
  • the control unit 1430 controls the base station reception operation in the uplink signal of the terminal,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configuration blocks of the base station reception units 1410 and 1420.
  • Each receiver 1410 and 1420 demultiplexes a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distributes the received signal to each uplink reception processing block.
  • the uplink reception processing blocks 1411 and 1421 perform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on uplink signals of the terminal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or data transmitted by the terminal.
  • Each of the receivers 1410 and 1420 applies an output result of the uplink reception processing block to the controller 1430 to support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430.
  • the base station 1400 may include a transceiver and a controller.
  • the transceiver is a compone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 the controller is a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base station 1400 as a whole.
  •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the information on the priority and control the information on the priority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rough higher layer signaling.
  • the terminal may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and another base station.
  •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units of a first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and the other base station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units of a second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 the information about the priority may be information for allowing the terminal to control uplink transmission power according to the priority in at least one unit of the first TTI and the second TT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시스템을 결합하여 운영하는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하는 시스템과 LTE/LTE-A 시스템을 결합하여 운영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해, 전력제어 명령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방법과, 빔스위핑 적용여부에 따라 전력제어 단위를 다르게 운용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단말의 전송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상향링크 간섭 신호의 발생을 낮춰서 시스템 효율을 높인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셀룰러(cellular)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이기종 시스템을 결합하여 운영하는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예를 들어, 3GPP의 HSPA (High Speed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혹은 E-UTRA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LTE-A (LTE-Advanced 혹은 E-UTRA Evolution), 3GPP2의 HRPD (High Rate Packet Data), UMB (Ultra Mobile Broadband), 및 IEEE의 802.16e 등의 통신 표준과 같이 고속, 고품질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해 왔다. 상기 LTE-A 는 LTE 의 진화된 시스템으로서, 기존 LTE 기능에 반송파 결합 (Carrier Aggregation; CA) 기술, 고차 다중입출력 안테나 (Higher ord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Higher oreder MIMO) 기술 등의 추가적인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별도 언급이 없는 한 LTE-A 와 LTE 를 혼용해서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LTE 및 LTE-A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 (Downlink)에서는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상향링크 (Uplink)에서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상향링크(UL: uplink)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데이터 혹은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하고, 하향링크(DL: downlink)는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 혹은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한다. 상기와 같은 다중 접속 방식은, 통상 각 사용자 별로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를 실어 보낼 시간-주파수 자원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즉 직교성 (Orthogonality)이 성립하도록, 할당 및 운용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를 구분한다.
도 1은 LTE 및 LTE-A 시스템의 데이터 혹은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무선자원영역인 시간-주파수 자원 영역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가로축은 시간영역을, 세로축은 주파수영역을 나타낸다. 시간영역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하향링크의 경우 OFDM 심벌, 상향링크의 경우 SC-FDMA 심벌로서, Nsymb(102)개의 심벌이 모여 하나의 슬롯(106)을 구성하고, 2개의 슬롯이 모여 하나의 서브프레임(105)을 구성한다. 상기 슬롯의 길이는 0.5ms 이고,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0ms 이다. 그리고 라디오 프레임(114)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시간영역 단위이다. 주파수영역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15kHz 단위의 서브캐리어로서, 전체 시스템 전송 대역 (Transmission bandwidth)의 대역폭은 총 NBW(104)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된다.
시간-주파수 영역에서 자원의 기본 단위는 리소스 엘리먼트(112, Resource Element; RE)로서 OFDM 심벌 혹은 SC-FDMA 심벌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인덱스로 나타낼 수 있다. 리소스 블록(108, Resource Block; RB 혹은 Physical Resource Block; PRB)은 시간영역에서 Nsymb(102)개의 연속된 OFDM 심벌 혹은 SC-FDMA 심벌과 주파수 영역에서 NRB(110)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로 정의된다. 따라서, 하나의 RB(108)는 NsymbxNRB개의 RE(112)로 구성된다. LTE 및 LTE-A 시스템에서 데이터는 RB 단위로 매핑되고, 기지국은 소정의 단말에 대해 한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RB-pair 단위로 스케쥴링을 수행한다. SC-FDMA 심벌개수 혹은 OFDM 심벌개수 Nsymb은 심벌간 간섭 방지를 위해 심벌마다 추가되는 순환 프리픽스(CP; Cyclic Prefix)의 길이에 따라 정해지는데, 예를 들어 일반형 CP가 적용되면 Nsymb=7,확장형 CP가 적용되면 Nsymb=6이 된다. NBW및 NRB는 시스템 전송 대역의 대역폭에 비례한다. 단말에게 스케쥴링되는 RB 개수에 비례하여 데이터 레이트가 증가하게된다. LTE 및 LTE-A 시스템은 6개의 전송 대역폭을 정의하여 운영한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를 주파수로 구분하여 운영하는 FDD 시스템의 경우,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과 상향링크 전송 대역폭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채널 대역폭은 시스템 전송 대역폭에 대응되는 RF 대역폭을 나타낸다. 표 1은 LTE 및 LTE-A 시스템에 정의된 시스템 전송 대역폭과 채널 대역폭 (Channel bandwidth)의 대응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0MHz 채널 대역폭을 갖는 LTE 및 LTE-A 시스템은 전송 대역폭이 50개의 RB로 구성된다.
표 1
Channel bandwidth BWChannel [MHz] 1.4 3 5 10 15 20
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 NRB 6 15 25 50 75 100
LTE-A 시스템은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LTE 시스템보다 더 넓은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LTE-A 시스템이 기존 LTE 단말들에 대한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유지하기 위해, LTE 단말들도 LTE-A 시스템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LTE-A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 대역을 LTE 단말이 송신 혹은 수신할 수 있는 대역폭의 구성 반송파 (component carrier; CC) 로 나누고, 몇 개의 구성 반송파들을 결합하여 단말을 서비스할 수 있다. LTE-A 시스템은 각 구성 반송파별로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함으로써, 각 구성 반송파 별로 기존 LTE 시스템의 송수신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LTE-A 시스템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LTE-A 시스템은 LTE 반송파들을 결합하는 반송파 결합(Carrier Aggregation; CA) 기술을 통하여, 최대 5개의 반송파결합을 지원하며 따라서 최대 100 MHz (20MHz x 5) 대역폭에 이르는 광대역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LTE/LTE-A 이후의 차세대 통신 시스템인 5G (5thGeneration)시스템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5G 시스템은 기존 LTE 및 LTE-A 대비 대역폭 100MHz 이상의 초광대역을 활용해서 수 Gbps 에 이르는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목표로한다. 기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수백 MHz 에서 수 GHz 에 포함되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와 같은 100MHz 이상의 초광대역 주파수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5G 시스템의 동작 주파수 대역은 수 GHz 혹은 수십 GHz 의 초고주파 대역을 후보 주파수로 고려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초고주파 대역의 전파는 파장이 수 mm 수준으로 밀리미터웨이브 (mmWave) 라고 부르기도한다. 그러나 초고주파 대역에서는 주파수 대역에 비례해서 전파의 경로 손실 (pathloss)이 증가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커버리지는 작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커버리지 감소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해서 전파의 방사 에너지를 소정의 목적 지점으로 집중시켜 전파의 도달 거리를 증가 시키는 빔포밍 (beamforming) 기술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상기 빔포밍 기술은 송신단 및 수신단에 각각 적용할 수 있다. 빔포밍 기술은 커버리지 증가 효과 이외에도, 빔포밍 방향이외 영역에서 간섭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빔포밍 기술이 적절히 동작하기 위해서는 송/수신 빔의 정확한 측정 및 피드백 방법이 필요하다.
5G 시스템의 또다른 요구사항으로, 송수신단 사이 전송지연이 약 1ms 내외인 초저지연 (ultral low latency)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전송지연을 줄이기 위한 한가지 방안으로 LTE 및 LTE-A 대비 짧은 TTI (short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기반의 프레임 구조 설계가 필요하다. TTI 는 스케쥴링을 수행하는 기본 단위로, 기존 LTE 및 LTE-A 시스템의 TTI 는 한 서브프레임의 길이에 해당하는 1ms 이다. 예를 들어, 상기 5G 시스템의 초저지연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짧은 TTI 로, 기존 LTE 및 LTE-A 시스템보다 짧은 0.5ms, 0.2ms, 0.1ms 등이 가능하다.
따라서, LTE/LTE-A 시스템 및 5G 시스템을 결합하여 운영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TTI가 서로 상이한 경우,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 전송 전력을 분배하는 방법을 정의할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이 이기종 시스템인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하는 시스템과 LTE /LTE-A 시스템을 결합하여 운영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상기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제1 전송 시점 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전송 시점 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해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전송전력 제어는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각각의 TTI 길이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를 통해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 및 다른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은 제1 전송 시점 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다른 기지국은 제2 전송 시점 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TTI 및 상기 제2 TTI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로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제어하도록 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기종 시스템인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하는 시스템과 LTE/LTE-A 시스템을 결합하여 운영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에 의해, 단말은 전송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상향링크 간섭 신호의 발생을 낮춰서 시스템 효율을 높인다.
도 1은 LTE 시스템에서 데이터 혹은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시간-주파수영역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과 LTE/LTE-A 기지국을 결합한 통합 시스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 시의 전송 전력의 상호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 1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제 1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 1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 1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전송전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제 2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전송전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제 3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송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수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eNode B, Node B, BS (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경로이고, 상향링크는(Uplink; UL)는 단말이 기국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경로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LTE 혹은 LTE-A 시스템을 일례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채널형태를 갖는 여타의 통신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자의 판단으로써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5G 시스템의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 및 초저지연 서비스 등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면서 기존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대한 이동성을 안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초고주파 대역에서 동작하는 빔포핑 기술과 짧은 TTI 를 적용하는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 (New Radio Access Technology; New RAT)과 상대적으로 저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LTE/LTE-A 시스템과의 결합을 통한 통합 시스템의 구성이 이 필요하다. 이 경우, 상기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은 5G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고, LTE/LTE-A 시스템은 단말의 이동성을 안정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상기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담당하는 기지국과 LTE/LTE-A 기지국을 결합한 통합 시스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매크로 기지국(201)의 커버리지(202) 내에 상대적으로 적은 커버리지(204, 206, 208)의 소형 기지국(203, 205, 207)이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매크로 기지국(201)은 소형 기지국(203, 205, 207)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송전력으로 신호전송이 가능하여, 매크로 기지국(201)의 커버리지(202)가 소형 기지국(203, 205, 207)의 커버리지(204, 206, 208) 보다 상대적으로 큰 특징이 있다. 도 2의 예에서 매크로 기지국은 상대적으로 저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LTE/LTE-A 시스템을 나타내고, 소형 기지국(203, 205, 207)은 상기 상대적으로 고주파 대역에서 동작하는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매크로 기지국(201)과 소형기지국(203, 205, 207)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 상태에 따라 일정 정도의 백홀 딜레이(backhaul delay)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매크로 기지국(201)과 소형기지국(203, 205, 207) 사이에 전송 지연에 민감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2의 예는 매크로 기지국(201)과 소형 기지국(203, 205, 207) 사이의 반송파 결합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지리적으로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한 기지국들 사이의 반송파 결합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예컨데,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한 매크로 기지국과 매크로 기지국 사이의 반송파 결합, 혹은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한 소형 기지국과 소형 기지국 사이의 반송파 결합 등에도 모두 적용 가능하다. 또한 결합되는 반송파의 개수에도 제한 받지 않는다.
도 2를 참고하면, 매크로 기지국(201)은 하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주파수 f1을 사용하고, 소형 기지국(203, 205, 207)은 하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주파수 f2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단말(209)에게 매크로 기지국(201)은 주파수 f1을 통해 데이터 혹은 제어 정보 전송을 하고, 소형 기지국(203, 205, 207)은 주파수 f2를 통해 데이터 혹은 제어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반송파 결합을 통해, 고주파 대역에서 초광대역 지원이 가능한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은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 및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와 함께 상대적으로 저주파 대역에서 LTE/LTE-A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은 안정적인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은 환경에서 매크로 기지국(201)과 소형 기지국(203, 205, 207)에 접속해서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209) 동작을 이중 연결(DC: Dual Connectivity)이라고 한다.
한편, 도 2에 예시된 구성은 하향링크 반송파 결합뿐만 아니라,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예컨데, 단말(209)은 매크로 기지국(201)에게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주파수 f1'을 통해 데이터 혹은 제어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209)은 소형 기지국(203, 205, 207)에게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주파수 f2'을 통해 데이터 혹은 제어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다. 상기 f1'은 상기 f1과 대응되고, 상기 f2'은 상기 f2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은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기지국으로 각각 서로 다른 시점에 이뤄질 수도 있고, 또는 동시에 이뤄질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든, 단말의 파워 앰프 소자의 물리적인 제약과 단말 송출 전력에 대한 전파 규제로 인해, 임의의 순간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총합은 소정의 임계값 이내로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기종 시스템을 결합하여 운영하는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 (New RAT)을 적용하는 시스템과 LTE/LTE-A 시스템을 결합하여 운영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임의의 순간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전력의 총합이 단말에게 허용된 최대 전송 전력값을 초과하는 경우, 단말은 다음의 전송 전력 방법을 따른다.
1) 방법 1: 상향링크 전송 신호의 우선순위를 적용하는 방법
2) 방법 2: 상향링크 전송 구간동안 전력제어 명령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방법
3) 방법 3: 시간에 따라 빔포밍의 방향을 바꿔주는 빔스위핑 (beam sweeping)의 적용 여부에 따라, 단말 전력 제어의 시간 단위를 다르게 운용하는 방법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단말의 전송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상향링크 간섭 신호의 발생을 낮춰서 시스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담당하는 기지국과 LTE/LTE-A 기지국을 결합한 통합 시스템을 주요 시나리오로 가정하지만, LTE/LTE-A 시스템 내에서 일반 TTI 와 짧은 TTI 를 함께 적용하는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주요 동작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모든 실시 예는, 제1 시스템은 제1 TTI를 이용하고 제2 시스템은 제2 TTI를 이용하며, 상기 제1 TTI는 상기 제2 TTI보다 긴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상기 제1 TTI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예시로써, LTE/LTE-A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상기 제1 TTI보다 짧은 상기 제2 TTI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예시로써,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하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 예>
제 1 실시 예는 상술한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전송 시 전송 전력 방법 중, 방법 1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단말이 소정의 전송 구간동안 LTE/LTE-A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면서 동시에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호간의 전송 전력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가로축은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전송전력의 크기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3은 LTE/LTE-A 시스템의 서브프레임 i (301)가 신규 라디오 억세스 시스템의 서브프레임 k (302) 부터 k+9 (304) 까지 겹치고, 상기 서브프레임 i (301) 의 시작시점과 서브프레임 k (302)의 시작시점이 일치하는 예를 나타낸다. LTE/LTE-A 시스템의 TTI = 1ms 는 상기 서브프레임 i (301)의 길이에 해당하고, 신규 라디오 억세스 시스템의 짧은 TTI 는 상기 서브프레임 k (302) 부터 k+9 (304)까지의 각각의 서브프레임 길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단말에게 허용된 최대 전송 전력값은 PCMAX (305)이고, 서브프레임 i (301) 의 시작시점에서 LTE/LTE-A 기지국의 전력 제어 명령에 따라 계산한 LTE/LTE-A 시스템으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P2 (307), 서브프레임 k (302) 의 시작시점에서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한 기지국의 전력 제어 명령에 따라 계산한 신규 라디오 억세스 시스템으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P1 (306) 인 것을 나타낸다.
단말은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시작시점에 기지국의 전력 제어 명령에 따라 계산한 전송 전력값을 상향링크 신호 전송에 적용하고, 동일 서브프레임 내에서는 수신기 복잡도 감소와 수신 성능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계산한 전송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도 3의 예에서는 서브프레임 k (302) 부터 서브프레임 k+3 (303) 까지 매 서브프레임의 시작시점에서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한 기지국의 전력 제어 명령에 따라 계산한 신규 라디오 억세스 시스템으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P1 (306) 인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서브프레임 k (302) 부터 서브프레임 k+3 (303)의 구간 동안 P1 + P2 가 PCMAX 보다 P3 (308)만큼 초과한다 (309).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단말은 미리 정의된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전력은 그대로 유지한채, 우선순위가 낮은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전력을 감소시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총합이 상기 PCMAX 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면, 이종 시스템의 각 TTI의 길이가 상이하고, 각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시작 시점이 동일하면서, 전체 상향링크 전송전력이 최대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초과하므로, 단말은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어느 하나의 시스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단말이 어느 하나의 시스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LTE/LTE-A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신호에 높은 우선순위를 적용한 실시 예(우선순위 A)를 나타낸다. LTE/LTE-A 시스템의 단말 이동성을 중요시 하는 경우, 도 4 와 같은 전력 제어 동작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LTE/LTE-A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전력은 서브프레임 i (401) 동안 상기 계산한 P2 (407)만큼 그대로 유지된다. 이에 반해, 신규 라디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전력은 서브프레임 k (402) 부터 서브프레임 k+3 (403) 구간 동안 상기 계산한 P1 (406) 에서 P3 (408) 만큼 감소된 전송전력 (P1 - P3) 으로 전송된다.
도 5는 신규 라디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신호에 높은 우선순위를 적용한 실시 예(우선순위 B)를 나타낸다. 신규 라디오 기술을 적용하는 시스템의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 혹은 초저지연 서비스를 중요시 하는 경우, 도 5 와 같은 전력 제어 동작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규 라디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전력은 k (502) 부터 서브프레임 k+3 (503) 구간 동안 상기 계산한 P1 (506)만큼 그대로 유지된다. 이에 반해, LTE/LTE-A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전력은 서브프레임 i (501) 동안 상기 계산한 P2 (507) 에서 P3 (508) 만큼 감소된 전송전력 (P2 - P3) 으로 전송된다.
상기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은 기지국이 시그널링한 지시에 따르는 경우, 단말이 이용하는 서비스 타입에 따라 기설정된 경우 및 기결정된 경우 등이 있다.
예를 들면, LTE/LTE-A 기지국 또는 신규 라디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단말로 상기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LTE/LTE-A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신호에 높은 우선순위를 적용할지 신규 라디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신호에 높은 우선순위를 적용지의 여부를
또는, 단말은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또는 이용하는 서비스 타입에 따라, LTE/LTE-A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신호에 높은 우선순위를 적용할지 신규 라디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신호에 높은 우선순위를 적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또는 초저지연이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단말은 TTI가 짧은 신규 라디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에 높은 우선순위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 3의 경우와 다르게,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이 이뤄지는 상기 서브프레임 i (301) 의 시작시점과 서브프레임 k (302)의 시작시점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단말은 현재 시점 이후의 동작에 대해서 미리 예측하는데 제약이 있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 발생하는 신호전송에 높은 우선순위를 적용한다. (우선순위 C)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기지국들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의 시작 시점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LTE/LTE-A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가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보다 먼저 발생한 경우로, 상기 '우선순위 C'에 따라 LTE/LTE-A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에 높은 우선순위를 적용한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i (601)의 시작시점에 단말이 전송할 상향링크 신호는 LTE/LTE-A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 밖에 없고, 기지국의 전력제어 명령에 따라 계산한 P2 (607) 가 단말에게 허용된 최대 전송 전력값 PCMAX (605) 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단말은 LTE/LTE-A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를 P2 (607) 의 전송전력으로 전송한다. 이후 서브프레임 k (602) 의 시작시점에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한 기지국으로 P1 (606) 의 전송전력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상향링크 신호가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LTE/LTE-A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가 이미 P2 (607) 만큼의 전송 전력을 점유한 상태로, 서브프레임 k (602) 의 시점에 단말이 사용 가능한 전송전력은 PCMAX - P2 (혹은 P1 - P3 )가 된다. 따라서 단말은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에 대해, PCMAX - P2 만큼의 전송 전력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도 6의 예에서는, 상기 서브프레임 k (602) 이후부터 서브프레임 k+3 (603) 까지 매 서브프레임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한 기지국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의 전송전력이 기지국 전력제어 명령에 따라 P1 (606) 으로 계산되어, 단말의 가용 전송전력이 부족한 상태가 서브프레임 k (602) 부터 서브프레임 k+3 (603)까지 지속된다. 따라서 단말은 서브프레임 k (602) 이후부터 서브프레임 k+3 (603) 까지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에 대해, PCMAX - P2 만큼의 전송 전력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도 7은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가 LTE/LTE-A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보다 먼저 발생한 경우로, 상기 '우선순위 C'에 따라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에 높은 우선순위를 적용한 예를 나타낸다.
즉, 서브프레임 k (702)의 시작시점에 단말이 전송할 상향링크 신호는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 밖에 없고, 기지국의 전력제어 명령에 따라 계산한 P1 (706) 이 단말에게 허용된 최대 전송 전력값 PCMAX (705) 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단말은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를 P1 (706) 의 전송전력으로 전송한다.
이후 서브프레임 i (701) 의 시작시점에 LTE/LTE-A 기지국으로 P2 (707) 의 전송전력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상향링크 신호가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가 이미 P1 (706) 만큼의 전송 전력을 점유한 상태로, 서브프레임 i (701) 동안 단말이 사용 가능한 전송전력은 PCMAX - P1 (혹은 P2 - P3 )가 된다. 따라서 단말은 LTE/LTE-A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에 대해, 가용 전송전력이 부족해서 전송전력 조절이 필요한 서브프레임 i (701) 동안 PCMAX - P1 만큼의 전송 전력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도 7의 예에서, 서브프레임 k+6 (703) 이후부터는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의 전송 전력이 기지국의 전력제어 명령에 따라 감소한 경우, 상기 LTE/LTE-A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에 대해 서브프레임 i (701) 의 시작시점에 필요한 것으로 계산한 P2 (707) 만큼의 전송전력이 가용하게 된다.
하지만, LTE/LTE-A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i(701) 단위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한다. 따라서, 단말은 서브프레임 i(701) 의 시작시점에 이미 전송전력 PCMAX - P1 로 전송전력을 조절해서 전송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수신기 복잡도 감소와 수신성능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동일 서브프레임 i (701) 내에서는 추가적인 전송 전력의 변경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 8은 제 1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801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LTE/LTE-A 시스템과 신규 라디오 억세스기술을 적용한 시스템의 결합을 설정받는다. 이에 따라 단말은 상기 통합된 시스템에 대한 동작을 준비한다. 상기 설정은 LTE/LTE-A 기지국 혹은 신규 라디오 억세스기술을 적용한 기지국이 단말에게 시그널링을 통해 통지한다. 기지국은 LTE/LTE-A 시스템과 신규 라디오 억세스기술을 적용한 시스템의 결합을 지원하는 단말에게 상기 시그널링을 보낼 수 있다.
단말이 이종 시스템으로 LTE/LTE-A 시스템과 신규 라디오 억세스기술을 적용한 시스템의 결합을 설정받는 것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서로 다른 TTI를 적용하는 시스템의 결합을 설정받는 모든 실시 예를 포함할 수 있다.
802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 스케쥴링에 따라 상기 각각의 기지국으로 전송할 신호의 전송구간이 서로 겹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조건 1). 겹치지 않으면, 806 단계에서 단말은 소정의 전송전력 계산 규칙에 따라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802 단계의 판단 결과 각각의 기지국으로 전송할 신호의 전송구간이 서로 겹치면, 803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의 전력제어 명령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전력의 총합이 단말에게 허용된 최대 전송 전력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조건 2). 만약 초과하지 않으면, 단말은 상기 806 단계의 절차를 수행한다.
803 단계의 판단결과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전력의 총합이 단말에게 허용된 최대 전송 전력값을 초과하면, 804 단계에서 단말은 각각의 기지국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시작시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조건 3). 전송시작시점이 일치하면, 단말은 805 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상향링크 신호 전송을 한다. 이때 우선순위는 상술한 우선순위 A 혹은 우선순위 B 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LTE-A 시스템이 우선하는 경우, 단말은 상기 LTE/LTE-A 시스템에 대한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전력을 유지하고, 상기 신규 라디오 억세스기술을 적용한 시스템에 대한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전력은 단말에게 허용된 최대 전송 전력값에서 상기 LTE/LTE-A 시스템에 대한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전력값을 뺀 값으로, 각 시스템에 대해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804 단계의 판단 결과 전송 시작시점이 일치하지 않으면, 807 단계에서 단말은 먼저 전송되는 상향링크 신호에 대해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전송한다 (상기 우선순위 C). 도 8에 개시된 순서에서, 상기 803 단계, 803 단계, 804 단계의 순서는 서로 뒤바뀔 수 있다.
<제 2 실시 예>
제 2 실시 예는 상술한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전송 시 전송 전력 방법 중, 방법 2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9는 단말에게 허용된 최대 전송 전력값의 제약으로 인해 상향링크 전송 신호의 전송전력을 조절하는 경우,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전력제어 명령을 받는 상황을 나타낸다.
도 9는 LTE/LTE-A 시스템의 서브프레임 i (901)가 신규 라디오 억세스 시스템의 서브프레임 k (902) 부터 k+9 (903) 까지 겹치는 실시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단말에게 허용된 최대 전송 전력값은 PCMAX (905)이고, 서브프레임 i (901) 의 시작시점에서 LTE/LTE-A 기지국의 전력 제어 명령에 따라 따라 계산한 LTE/LTE-A 시스템으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P2 (907), 서브프레임 k (902) 의 시작시점에서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한 기지국의 전력 제어 명령에 따라 계산한 신규 라디오 억세스 시스템으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P1 (906) 인 것을 나타낸다. 상기 계산한 P1 + P2 가 PCMAX 를 P3 (908)만큼 초과하므로, 단말은 우선순위가 낮은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전력을 감소시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총합이 상기 PCMAX 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단말이 상기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한 '우선순위 A'에 따라, LTE/LTE-A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에 높은 우선순위를 적용한다. 따라서, 단말은 LTE/LTE-A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전력을 상기 계산한 대로 P2 만큼 적용해서 전송하고, 신규 라디오 억세스 시스템으로의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전력은 상기 계산한 P1 에서 P3 만큼 감소시켜 전송한다 (P1 - P3).
단말은 매 서브프레임마다 기지국으로부터 전력제어명령을 받아 전력제어 동작을 수행하므로, 만약 단말이 상기 서브프레임 k (902) 부터 k+9 (903) 에 대해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전력의 '증가'를 나타내는 전력제어명령 (TPC command; 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을 계속해서 수신하게 되면, 단말은 상기 서브프레임 k (902) 의 시작시점에 계산한 P1 부터 소정의 정해진 양만큼 전송전력을 계속 증가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서브프레임 i (901) 동안 단말이 LTE/LTE-A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가 P2 만큼의 전송전력을 점유하고 있으므로, 상기 서브프레임 i (901) 와 전송구간이 겹치는 신규 라디오 억세스 시스템의 서브프레임 k (902) 부터 k+9 (903) 까지 단말이 신규 라디오 억세스 시스템으로 실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에 가용한 전송 전력은 최대 PCMAX - P2 로 제약된다.
결과적으로, 우선순위가 있는 LTE/LTE-A 기지국으로 상기 서브프레임 i (901) 동안 P2 만큼의 전송전력으로 상향링크 신호가 전송되므로,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전력의 '증가'를 나타내는 TPC command가 계속해서 수신되어도, 단말은 신규 라디오 억세스 시스템으로 PCMAX - P2의 전송 전력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밖에 없다.
만약 서브프레임 i+1 (909) 시점에 단말이 더 이상 LTE/LTE-A 기지국으로 전송할 상향링크 신호가 없다면, 상기 서브프레임 i+1 (909) 과 전송구간이 겹치는 서브프레임 k+10 (904) 에서 단말이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하고자하는 상향링크 신호에 사용할수 있는 전송전력은 더 이상 상기 PCMAX - P2 로 제약되지 않고, 최대 상기 PCMAX 가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서브프레임 k+10 (904) 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16008736-appb-M000001
-
Figure PCTKR2016008736-appb-I000001
: n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
Figure PCTKR2016008736-appb-I000002
: 상향링크 간섭을 보상하기 위해 기지국이 설정하여 단말에게 시그널링한 값, 상향링크 전송 신호에 대해 스케쥴링 받은 전송 대역폭 혹은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를 단말의 전송 전력제어에 반영하기 위한 값 등을 포함한다.
-
Figure PCTKR2016008736-appb-I000003
: 기지국과 단말사이의 경로손실 (pathloss)로서, 단말은 기지국이 시그널링해준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 의 전송전력과 상기 기준 신호(RS) 의 단말 수신 신호레벨과의 차이로부터 pathloss 를 계산할 수 있다.
-
Figure PCTKR2016008736-appb-I000004
: 서브프레임 n 에 대해 기지국의 전력제어명령에 따라 계산하는 전력제어 상태함수로,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Figure PCTKR2016008736-appb-I000005
. 이 때,
Figure PCTKR2016008736-appb-I000006
는 n-K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전력제어명령으로, K 는 단말의 프로세싱 타임을 고려하여 정해지는 상수이다.
도 9 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 k+10 (904) 에서 단말이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하고자하는 상향링크 신호의 전력제어 상태함수 (f(n)) 를 계산할 때, 상기 단말이 PCMAX - P2 로 전송전력의 제한을 받는 서브프레임 k (902) 부터 k+9 (903) 까지의 전력제어명령을 모두 누적하여 반영할 경우, PB (911) 만큼의 과도한 전송전력 설정으로 인한 단말 전력 낭비 및 상향링크 간섭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제어명령을 전송한 기지국은 상기 서브프레임 k (902) 부터 k+9 (903) 까지 단말의 전송전력 제약 상황을 알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수신 신호의 세기가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적절한 전송전력으로 판단한 P1 (906) 수준이 아닌 P1-P3 수준인 이유가 무선 채널 환경이 좋지 않기 때문이라고 잘못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 대한 전력제어 명령으로 계속 '증가'를 명령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단말은 상기 서브프레임 k (902) 부터 k+9 (903) 에 대한 전력제어명령이 단말의 가용한 최대 전송전력 (PCMAX-P2)을 초과하도록 만들면, 상기 전력제어 상태함수에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전력제어명령이 단말의 가용한 최대 전송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경우, 상기 전력제어 명령을 상기 전력제어 상태함수에 반영하여 단말의 최종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계산한다. 이에 따라 도 9의 예에서 서브프레임 k+10 (904) 의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은 PA (910) 로 결정된다. 이를 수학식으로 일반화하여 표현하면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Figure PCTKR2016008736-appb-M000002
otherwise,
Figure PCTKR2016008736-appb-I000007
한편, 도 10은 제 2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의 절차는 상기 도 8의 805 단계 혹은 807 단계 이후의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1001 단계에서 단말은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전력제어명령(TPC)을 임시로 적용하여 전력제어 상태 함수를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면, 단말은 현재 서브프레임 n 에 대한 전력제어명령을 임시로 적용하여 상기 전력제어 상태 함수를 업데이트한다.
1002 단계에서 상기 업데이트된 전력제어 상태 함수를 반영하여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계산하고, 단말의 가용한 최대 전송전력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상기 업데이트된 전력제어 상태함수를 바탕으로 계산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이 가용한 최대 전송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1003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1001 단계에서 임시로 업데이트한 전력제어 상태함수를 취소하고, 기존 전력제어 상태 함수를 그대로 유지하여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계산한다.
한편 판단 결과,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이 단말의 가용한 최대 전송전력을 초과하지 않으면, 1004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1001 단계에서 임시로 업데이트한 전력제어 상태함수를 실제 전력제어 상태함수 값으로 확정하고, 이에 따라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계산한다.
<제 3 실시 예>
제 3 실시 예는 상술한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전송 시 전송 전력 방법 중, 방법 3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실시 예는 단말이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에 대해 빔스위핑(beam sweeping)을 적용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고주파 대역에서 전송되는 전파의 높은 경로 손실 (pathloss)을 보상하기 위해,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해서 전파의 방사 에너지를 소정의 목적 지점으로 집중시켜 전파의 도달 거리를 증가시키는 빔포밍 (beamforming) 기술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상기 빔포밍 기술은 송수신기 사이에 최적의 빔 방향 판단 및 피드백이 필수적이다. 빔스위핑은 상기 빔 포밍에 대한 피드백이 제한되어 최적의 빔 방향을 알기 어려운 경우, 빔포밍된 신호를 순차적으로 빔 방향을 변경해서 다양한 방향으로 전송함로써, 각각의 빔 방향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 최적의 빔 방향을 판단하는 기술이다. 빔스위핑은 단말의 초기접속 단계 혹은 채널 상태 피드백 목적의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전송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단말은 빔스위핑 구간 (Beam Sweeping Period; BSP) 동안 각각의 빔 방향에 대해 빔포밍된 신호를 차례차례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제 3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1의 실시 예에서 LTE/LTE-A 시스템의 서브프레임 i (1101)가 신규 라디오 억세스 시스템의 서브프레임 k (1103) 와 k+1 (1104) 겹치는 예를 나타낸다. 단말에게 허용된 최대 전송 전력값은 PCMAX (1102)이고, 서브프레임 i (1101) 의 시작시점에서 LTE/LTE-A 기지국의 전력 제어 명령에 따라 따라 계산한 LTE/LTE-A 시스템으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P2 (1112), 서브프레임 k (1103) 의 시작시점에서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술을 적용한 기지국의 전력 제어 명령에 따라 계산한 신규 라디오 억세스 시스템으로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서브프레임 k (1103) 시점에 단말에게 허용된 최대 허용 전송전력 값 PCMAX - P2 를 초과하지 않도록 PZ (1108) 에서 PY (1107) 만큼 감소된 PX (1106) 인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빔스위핑 구간 (1109)는 서브프레임 k(1103) 부터 서브프레임 k+2 (1105) 까지로, 빔스위핑 구간 동안 단말은 빔 방향을 바꿔가며 빔포밍된 신호를 기지국으로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상기 빔스위핑 구간중, 서브프레임 i (1101)에서의 LTE/LTE-A 상향링크 신호 전송과 전송구간이 겹치지 않는 서브프레임 k+2 (1105) 에서는, 단말의 최대 가용 전송전력이 PCMAX 로서, 단말은 빔스위핑 구간 시작 시점인 서브프레임 k (103)에서 적용하고자했던 PZ (1108) 만큼의 전송전력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빔스위핑의 주요 목적이 최적의 빔포밍 방향을 수신측으로부터 피드백 받는다는 관점에서보면, 빔스위핑 구간내에서의 빔포밍 신호의 전송전력 변화는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면, 각각의 빔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빔포밍 신호의 수신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최적의 빔포밍 방향을 판단하는 수신측은 상기 빔스위핑 구간동안 빔포밍 신호의 전송전력이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전송전력의 변화를 채널 상태의 변화로 오해해서 최적의 빔포밍 방향을 판단하는데 장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빔스위핑 구간 (1109) 동안에는 빔포밍 신호의 전송전력을 PX (1106)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3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도 12의 절차는 상기 도 8의 805 단계 혹은 807 단계 이후의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먼저, 1201 단계에서 단말은 전송하고자 하는 상향링크 전송 신호에 대해 빔스위핑이 적용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 결과, 빔스위핑이 적용되지 않으면 1103 단계에서 단말은 기존 방법대로 서브프레임 단위로 전력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단말은 기존의 TTI 단위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빔스위핑이 적용되면, 1102 단계에서 단말은 빔스위핑 주기단위로 상향링크 전송 전력제어를 수행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송신 장치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과 직접적이 관련이 없는 장치는 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1300)은 상향링크 송신 프로세싱 블록(1311), 다중화기(1312), 송신 RF 블록(1313)으로 구성되는 LTE/LTE-A 기지국에 대한 송신부(1310)와 상향링크 신호 프로세싱 블록(1321), 다중화기(1322), 송신 RF 블록(1323)으로 구성되는 신규 라디오 억세스 기지국에 대한 송신부(1320)와 제어부(1330)로 구성된다. 제어부(1330)는 각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스케쥴링 정보 등 으로부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전력 제어를 위한 송신부(1310, 1320)의 각각의 구성 블록들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30)는 단말(1300)이 각각의 기지국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구간이 겹치는지 여부, 단말(1300)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의 총합이 단말의 최대 허용 전송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 단말(1300)이 각각의 기지국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 시작시점이 일치하는지 여부, 단말(1300)의 상향링크 전송 신호에 대해 빔스위핑이 적용되는지 여부 등에 따라 세부적인 전송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각각의 기지국별 송신부(1310, 1320)에서 상향링크 송신 프로세싱 블록(1311, 1321)은, 채널 코딩, 변조 등의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상향링크 송신 프로세싱 블록(1311, 1321)에서 생성된 신호는 다중화기(1312, 1322)에 의해 다른 상향링크 신호와 다중화된 다음, 송신 RF 블록(1313, 1323)에서 신호처리 된 후, 각각의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한편, 단말(1300)은 송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제1 전송 시점 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전송 시점 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단말(13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해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향링크 전송전력 제어는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각각의 TTI 길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전송전력이 최대 전송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중 시간적으로 상향링크 전송이 먼저 개시된 네트워크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을 높은 우선순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에 의해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전송전력이 최대 전송전력을 초과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를 우선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이 종료되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력 제어 명령을 바탕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제어 명령에 따른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이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한 상기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력 제어 명령을 반영하지 않고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전력 제어 명령에 따른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이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한 상기 상향링크 전송전력 이하인 경우, 상기 전력 제어 명령을 반영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해 빔스위핑(beam swwping)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상향링크 전송전력 제어의 단위를 상기 제2 TTI에서 빔 스위핑 주기(beam sweeping period)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전송전력이 최대 전송전력을 초과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우선순위에 있거나 시간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먼저 개시된 경우, 상기 최대 전송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전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상기 빔 스위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전력을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TTI는 1ms이고, 상기 제2 TTI는 1ms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과 직접적이 관련이 없는 장치는 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기지국 장치(1400)는 상향링크 수신 프로세싱 블록(1411), 역다중화기(1412), 수신 RF 블록(1413)으로 구성되는 LTE/LTE-A 수신부(1410)와 상향링크 수신 프로세싱 블록(1421), 역다중화기(1422), 수신 RF 블록(1423)으로 구성되는 신규 라디오 억세스 수신부(1420)와 제어부(1430)로 구성된다. 제어부(1430)는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시 기지국 수신 동작을 제어하고, 기지국 수신부(1410, 1420)의 각각의 구성블록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각각의 수신부(1410, 1420)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각각의 상향링크 수신 프로세싱 블록으로 배분한다. 상향링크 수신 프로세싱 블록(1411, 1421)은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대해 복조, 채널 디코딩 등의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단말이 전송한 제어정보 혹은 데이터를 획득한다. 각각의 수신부(1410, 1420)는 상향링크 수신 프로세싱 블록의 출력 결과를 제어부(1430)로 인가하여 제어부(1430)의 동작을 지원한다.
한편, 기지국(1400)은 송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14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어부는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를 통해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 및 다른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제1 전송 시점 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다른 기지국은 제2 전송 시점 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TTI 및 상기 제2 TTI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로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제어하도록 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 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단말에 있어서,
    제1 전송 시점 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전송 시점 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해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전송전력 제어는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각각의 TTI 길이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전송전력이 최대 전송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중 시간적으로 상향링크 전송이 먼저 개시된 네트워크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을 높은 우선순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에 의해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전송전력이 최대 전송전력을 초과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를 우선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이 종료되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력 제어 명령을 바탕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제어 명령에 따른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이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한 상기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력 제어 명령을 반영하지 않고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전력 제어 명령에 따른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이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한 상기 상향링크 전송전력 이하인 경우, 상기 전력 제어 명령을 반영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해 빔스위핑(beam swwping)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상향링크 전송전력 제어의 단위를 상기 제2 TTI에서 빔 스위핑 주기(beam sweeping period)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전송전력이 최대 전송전력을 초과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우선순위에 있거나 시간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먼저 개시된 경우,
    상기 최대 전송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전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상기 빔 스위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전력을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TTI는 1ms이고, 상기 제2 TTI는 1ms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를 통해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 및 다른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은 제1 전송 시점 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다른 기지국은 제2 전송 시점 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TTI 및 상기 제2 TTI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로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제어하도록 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1. 단말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송 시점 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전송 시점 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전력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전송전력 제어는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각각의 TTI 길이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전송전력이 최대 전송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전력을 감소시키도록 결정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중 시간적으로 상향링크 전송이 먼저 개시된 네트워크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을 높은 우선순위로 결정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전송전력이 최대 전송전력을 초과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를 우선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이 종료되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력 제어 명령을 바탕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 명령에 따른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이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한 상기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력 제어 명령을 반영하지 않고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전력 제어 명령에 따른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이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한 상기 상향링크 전송전력 이하인 경우, 상기 전력 제어 명령을 반영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결정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해 빔스위핑(beam swwping)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상향링크 전송전력 제어의 단위를 상기 제2 TTI에서 빔 스위핑 주기(beam sweeping period)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전송전력이 최대 전송전력을 초과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우선순위에 있거나 시간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이 먼저 개시된 경우, 상기 최대 전송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전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상기 빔 스위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2 네트워크에 대한 전송전력을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기지국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를 통해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 및 다른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은 제1 전송 시점 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다른 기지국은 제2 전송 시점 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TTI 및 상기 제2 TTI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로 상기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전력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제어하도록 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CT/KR2016/008736 2015-09-04 2016-08-0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7039167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50883.4A CN107925969B (zh) 2015-09-04 2016-08-09 用于控制无线通信系统中上行链路传输功率的方法和装置
US15/757,304 US10219225B2 (en) 2015-09-04 2016-08-0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6842133.7A EP3346771B1 (en) 2015-09-04 2016-08-0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6/232,897 US10313980B2 (en) 2015-09-04 2018-12-2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6/408,220 US10694471B2 (en) 2015-09-04 2019-05-0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850A KR102340499B1 (ko) 2015-09-04 2015-09-0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15-0125850 2015-09-04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5/757,304 A-371-Of-International US10219225B2 (en) 2015-09-04 2016-08-0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6/232,897 Continuation US10313980B2 (en) 2015-09-04 2018-12-2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9167A1 true WO2017039167A1 (ko) 2017-03-09

Family

ID=58187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8736 WO2017039167A1 (ko) 2015-09-04 2016-08-0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0219225B2 (ko)
EP (1) EP3346771B1 (ko)
KR (1) KR102340499B1 (ko)
CN (1) CN107925969B (ko)
WO (1) WO2017039167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5435A1 (zh) * 2017-05-10 2018-11-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及相关设备
WO2018233695A1 (zh) * 2017-06-22 2018-12-27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及相关设备
WO2019216612A1 (ko) * 2018-05-11 2019-1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접속을 위한 단말의 상향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399346B2 (en) 2018-05-11 2022-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by terminal for dual conne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I776953B (zh) * 2017-09-14 2022-09-11 美商高通公司 跨越多個無線存取技術的行動性和功率控制技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45783B (zh) * 2016-07-22 2020-0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参考信号的传输方法和装置
US10985966B2 (en) * 2016-08-09 2021-04-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8027918A1 (zh) * 2016-08-12 2018-0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信道发送方法和装置
US11323966B2 (en) * 2016-10-28 2022-05-0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transmission techniques in low latenc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10832915B (zh) * 2017-05-04 2020-12-04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上行链路信号的方法和用于该方法的装置
CN110612754B (zh) 2017-05-12 2022-08-02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控制发送功率的方法及其设备
US10681652B2 (en) * 2017-11-28 2020-06-0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dual radio access technology (RAT) communication
US20190223114A1 (en) * 2018-01-17 2019-07-18 T-Mobile Usa, Inc. Rf power control for dual connectivity
US10568149B2 (en) * 2018-02-27 2020-02-1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5G radio management based on thermal, battery, or transmit power considerations
US11382048B2 (en) 2018-05-22 2022-07-05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solutions in dual connectivity
WO2020030974A2 (en) 2018-08-09 2020-02-13 Lenovo (Singapore) Pte.Ltd. Uplink transmission power allocation
US11622337B2 (en) 2018-10-05 2023-04-04 Apple Inc. Power allocation in new radio and long term evolution dual connectivity
US11444680B2 (en) * 2019-07-18 2022-09-13 Qualcomm Incorporated Beam switching in a high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KR20210016679A (ko) * 2019-08-05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337168B2 (en) * 2019-11-27 2022-05-17 Qualcomm Incorporated Protecting shared low noise amplifiers by limiting transmission power
WO2021164007A1 (en) * 2020-02-21 2021-08-2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rebalancing in a maximum permissible exposure event
CN111511005B (zh) * 2020-04-17 2022-11-2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上行功率分配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3267A2 (ko) * 2009-04-21 2010-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2020990A2 (ko) * 2010-08-10 2012-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3100541A1 (ko) * 2011-12-29 2013-07-04 주식회사 팬택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3191360A1 (ko) * 2012-06-20 2013-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2960B2 (en) * 2001-03-09 2006-01-03 Motorola, Inc. Protocol for self-organizing network using a logical spanning tree backbone
KR101055731B1 (ko) * 2004-08-11 2011-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 제어 방법
EP1734667B1 (en) * 2005-06-17 2011-08-10 Fujitsu Limited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US8027322B2 (en) * 2006-03-02 2011-09-27 Panasonic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mobile node and network node for notification about the proximity of a second wireless network via a first wireless network
KR101364926B1 (ko) * 2007-03-23 201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US8811335B2 (en) * 2007-04-20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adjustment of uplink transmission time
CN102197689B (zh) * 2008-08-27 2015-02-25 诺基亚通信公司 用于无线上行链路数据传输的多个功率控制参数组
EP2244515A1 (en) * 2009-04-23 2010-10-27 Panasonic Corporation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procedure for generating multiple uplink transport blocks
US9113491B2 (en) * 2009-07-22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ontrol and data transmission in a mixed single and multiple carrier network
US8681668B2 (en) * 2009-10-09 2014-03-25 Media Patents, S.L.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ulticast traffic in a data network
JP5620569B2 (ja) * 2010-04-01 2014-11-05 パナソニック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端末装置、電力制御方法及び集積回路
EP3267751B1 (en) * 2010-08-09 2022-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of harq control information from a user equipment for downlink carrier aggregation
WO2012150572A1 (en) * 2011-05-03 2012-11-08 Renesas Mobile Corporation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chanism
CN106100816B (zh) * 2011-11-25 2019-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载波聚合的方法、基站和用户设备
CN105916140B (zh) * 2011-12-27 2019-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间载波聚合的安全通讯方法及设备
US20140369324A1 (en) * 2012-01-20 2014-12-18 Zte Corporation Uplink signal sending method and user equipment
JP5940850B2 (ja) * 2012-03-19 2016-06-29 株式会社Nttドコモ 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CN106332198B (zh) * 2012-05-18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转发的方法、设备及通讯系统
CN104350790B (zh) * 2012-05-31 2019-04-16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设备到设备(d2d)交叉链路功率控制
JP5743965B2 (ja) * 2012-06-26 2015-07-01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KR101972950B1 (ko) 2012-07-19 2019-04-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빔포밍을 위한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JP6247293B2 (ja) * 2012-07-31 2017-12-13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2次セルを追加するための方法、装置、デバイス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9131498B2 (en) * 2012-09-12 2015-09-0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structure
KR101407094B1 (ko) * 2012-10-31 201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9848322B2 (en) * 2013-01-17 2017-12-19 Intel IP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bear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945538B (zh) * 2013-01-18 2017-11-03 华为终端有限公司 资源配置方法及装置
WO2014126435A1 (en) * 2013-02-15 2014-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and multiplexing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101632277B1 (ko) * 2013-03-29 2016-07-01 주식회사 케이티 복수의 기지국과 연결된 상황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KR102087663B1 (ko) * 2013-04-17 2020-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성형장치 및 방법
CN104683082B (zh) * 2013-12-03 2018-10-09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和在无线通信系统中进行无线通信的方法
DK3100535T3 (da) * 2014-01-29 2019-05-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Uplink-sendinger i trådløs kommunikation
WO2015139224A1 (en) * 2014-03-19 2015-09-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Publ) Uplink power sharing in dual connectivity
EP3609269A1 (en) * 2014-03-21 2020-02-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a transmission time interval
US9357510B2 (en) * 2014-03-31 2016-05-31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haring and power headroom reporting in dual connectivity scenarios
EP2930981B1 (en) * 2014-04-08 2018-02-2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Transmission power control of user equipment communicating with low power base station and high power base station
US9629094B2 (en) * 2014-08-05 2017-04-1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rioritizing transmissions in multiple connectivity wireless communications
US9967070B2 (en) * 2014-10-31 2018-05-08 Qualcomm Incorporated Pilot reconfiguration and retransmission in wireless networks
US9900843B2 (en) * 2015-01-12 2018-02-20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power control techniques for ultra low latency in LTE devices
US9749970B2 (en) * 2015-02-27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and power headroom for component carrier
CA3019371C (en) * 2016-03-30 2023-10-2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Reducing latency in physical channels in an lte network
US10542503B2 (en) * 2016-04-01 2020-01-2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plink transmissions with reduced latenc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3267A2 (ko) * 2009-04-21 2010-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2020990A2 (ko) * 2010-08-10 2012-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3100541A1 (ko) * 2011-12-29 2013-07-04 주식회사 팬택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3191360A1 (ko) * 2012-06-20 2013-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EDIATEK INC.: "Discussion on Longer TTI for PUSCH in CE Mode", R1-154710, 3GPP TSG-RAN WG1 MEETING #82, 15 August 2015 (2015-08-15), Beijing. China, XP050994359 *
See also references of EP3346771A4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5435A1 (zh) * 2017-05-10 2018-11-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及相关设备
CN109314934A (zh) * 2017-05-10 2019-02-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及相关设备
WO2018233695A1 (zh) * 2017-06-22 2018-12-27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及相关设备
US10819397B2 (en) 2017-06-22 2020-10-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TWI776953B (zh) * 2017-09-14 2022-09-11 美商高通公司 跨越多個無線存取技術的行動性和功率控制技術
WO2019216612A1 (ko) * 2018-05-11 2019-1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접속을 위한 단말의 상향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399346B2 (en) 2018-05-11 2022-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by terminal for dual conne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94471B2 (en) 2020-06-23
KR102340499B1 (ko) 2021-12-17
US10313980B2 (en) 2019-06-04
EP3346771A4 (en) 2018-09-05
CN107925969A (zh) 2018-04-17
US10219225B2 (en) 2019-02-26
EP3346771B1 (en) 2021-12-29
CN107925969B (zh) 2021-11-30
EP3346771A1 (en) 2018-07-11
US20190132803A1 (en) 2019-05-02
KR20170028792A (ko) 2017-03-14
US20190268855A1 (en) 2019-08-29
US20180279227A1 (en)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39167A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014563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8174494A1 (ko)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방법과 사용자기기, 및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방법 및 기지국
WO2014112850A1 (ko) Tdd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tdd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1040370A1 (ko) Nr v2x에서 sci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24203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자원을 센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7222257A1 (ko) 다중 전송 기법이 적용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091289A1 (ko) Nr v2x에서 사이드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820362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통신 장치
WO2020246843A1 (ko) Nr v2x에서 harq 피드백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2078285A (ja) 無線通信方法、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EP38509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of transmission resources for uplink channels of use for dual conne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2080843A1 (ko) Nr v2x에서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065665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21246541A1 (ko) 전 이중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122538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2122541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22035000A1 (ko) 전 이중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1225197A1 (ko) 전 이중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02225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of transmission resources for uplink channels of use for dual conne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2004903A1 (ko) 전 이중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1177578A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ue가 전 이중 통신과 관련된 자원을 할당 받는 방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006765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921661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접속을 위한 단말의 상향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1125365A1 (ko)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주행 그룹 간의 송신 자원을 고려한 송신 자원의 재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421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57304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42133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