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39077A1 -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39077A1
WO2017039077A1 PCT/KR2015/013837 KR2015013837W WO2017039077A1 WO 2017039077 A1 WO2017039077 A1 WO 2017039077A1 KR 2015013837 W KR2015013837 W KR 2015013837W WO 2017039077 A1 WO2017039077 A1 WO 201703907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aster
drone
site
base station
mobi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383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석문칠
김진규
최철웅
Original Assignee
(주)티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엘씨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티엘씨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WO201703907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390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64U10/14Flying platforms with four distinct rotor axes, e.g. quadcopt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for disaster using a dro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quickly establish a communication network by approaching a disast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using a drone to a disaster site having an extremely poor communication environment.
  • the field personnel can increase the field response capability, and quickly deploy disaster mobile base stations using drones to disaster sites that are difficult for field personnel to immediately enter. It is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grasp the situation of the field in real time and its operation method.
  • Natural disasters occur in a very wide area on a large scale, especially when unforeseen natural disasters cause life and property damage on an uncontrolled scale.
  • communication technology can quickly collect on-site information on the affected area, and enable early response and on-site control of disaster sites, resulting in human and property damage. Provide a fundamental means to minimize
  • the communication network In a disaster site where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extremely poor or almost incapable of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should be connected or restored first and foremost to ensure that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disaster site and the control agency is continued and based on this, It must be done quickly and accurately to minimize the human and material damages at the disaster site.
  • a mobile base station device by discharging a mobile base station device using a drone in a disaster site having a poor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configur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collects the site information of the disaster site in real time, and controls the disaster site and A mobile base station device using a drone that enables timely response to the development of a disaster situation and also enable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 mobile base station device using the drone in an area wher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poor as well as a disaster site. And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ble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voice, video or dangerous status between field personnel or between the field agent and the field commander, reducing the occurrence rate of accidents at the disaster site by securing the safety of the field personnel It aims to provide the field personnel with the device and the method of operation that can maximize the field response of the disaster site by increasing the psychological stability.
  • the drone refers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is a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ground without a person flying on the aircraft, and was mainly used for military purposes such as reconnaissance, surveillance, or anti-submarine attack in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but it is getting smaller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refore, it is used in various private sectors.
  • Korean Patent No. 1363066 Relates to a crime zone surveillance system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a drone such as a quadcopter or a multicopter to fly a crime scene in a crime zone.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crime zone monitoring system that can monitor the situation of a crime zone in real time by photographing a corresponding area in real time through a camera provided.
  • the prior art is partially similar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it can collect information of a specific region through an unmanned aerial vehicle equipped with a camera, 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aster-promoting mobile base station using a drone in a disaster scene where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extremely poor.
  •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disaster site can be provided quickly so that the field personnel and the command or disaster control agencies dispatched to the disaster site can be communicated in real time. It does not describe or suggest technical features that can be identified in real time.
  • Korean Patent No. 1184760 (2012.09.20.) Relates to an emergency disaster situ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nd provides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and location on a mobile for emergency response and evacuation in a disaster situation room.
  • the technology to guide the way to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and prompt business processing by transmitting the data is implemented.
  • the prior art is implemented on the premise that a communication system is maintained at a disaster site, and when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disaster site is not restored, there is a limit that the mobile terminal in the field cannot receive the information and location of the disaster site. have.
  •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a disaster site that collapses or extremely poor communication system so that communication is impossible, by enabling real-time communication with the field personnel dispatched to the disaster site and each disaster control agency or comm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time efficiency of the entire disaster response process and to enable timely respons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ever-changing disaster situation.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0037509 (2003.05.14.) Relates to a communication integrated system for setting an optimal communication path according to a user's communication means information and a call method using the sam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 communication integrated system technology is implemented to set the most optimal communication path through a user accessible communication means.
  • the prior art is partially similar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the user can access the communication network by setting an optimal communication path to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aster movement using a drone in a disaster site having an extremely poor communication environm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aster movement using a drone in a disaster site having an extremely poor communication environment.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dispatching a mobile base station device for disaster using drone to extremely poor disaster site, and set the optimal communication path through the quadruple communication network for the disaster site
  • By providing a communication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exchange information between the disaster site and the control authority or the command center, thereby improving the field response of the field personnel dispatched to the disaster site, and minimizing human damage and property damag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base station operation optimized for the disaster site by remotely controlling the drone through a mobile base station device including a wireless terminal function provided in the drone.
  • the modem for disaster site communication to provide a smooth communication environment at the disaster site, LTE network, TVWS network, disaster network, Or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quadruple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selecting and providing at least one of a wireless modem for connecting to any one of the satellite networks, the LTE network, the TVWS network, the disaster network, and the satellite network.
  • the selection may be performed in real time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bandwidth, power consump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RSSI, TSSI,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the LTE, TVWS, disaster, and satellite networks.
  • the drone base station apparatus using the drone includes a GPS receiver capable of tracking the coordinates of the disaster site and the command unit, and collects site information on the way to the disaster site or the disaster site through the wireless mod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it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provided by the wealth.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evice controller.
  • the disaster site communication mod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aster mobile base station device using the drone through the user terminal in the disaster site.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rone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position or attitude of the drone such that a condition including signal strength, bandwidth, power consump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is changed in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for the RSSI, TSSI, or a combination thereof. It is characterized by.
  • a mobile base station for disasters using a drone among the disaster site communication modem and LTE network, TVWS network, disaster network, or satellite network to provide a smooth communication environment at the disaster site Connecting a wireless modem for connection with any one of the above, and providing a quadruple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selecting and providing at least one of the LTE network, the TVWS network, the disaster network, and the satellite network.
  • the method of operation of the d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tracking the coordinates of the disaster site and the command unit with a GPS receiver and collects the site information on the way to the disaster site or disaster site through the wireless modem to the command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providing a sit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roviding step of providing a guide to a disaster site according to the collected and provided site information, and a device control step of controlling the device for collecting the site information and the device for providing the guide. It is done.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a user terminal of the disaster site via a disaster communication modem of the disast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using the drone, and operating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base station device for disasters using a dro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through a mobile base station device using a drone at a disaster site having an extremely poor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reby controlling site personnel and disaster control. By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agencies or command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prompt disaster response, thereby minimizing human and property damage.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isast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using a dron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and information exchange using the same through a d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in which a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using a drone is adjusted by a field agent dispatched to a disaster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by the field personnel dispatched to the disaster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isast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using a dron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vices for relaying existing communication networks are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to relay a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fixed base station so that the user can access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his or her own communication terminal.
  • the existing network relay device Since the existing network relay device is fixedly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its mobility is extremely limited, and in order for a user to seamlessly access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relay device, it must be in the range covered by the relay device or a new relay device can be separately installed. There is a limit to installation.
  • the drone is a general term for a plane or a helicopter-shaped drone that can fly and steer by induction of radio waves without a pilot.
  • the drones were mainly manufactured for military purposes mainly in reconnaissance and information gathering at the initial stages of development, but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the drones have been added to the drones to replace fire, earthquake or In addition to collecting information on disaster places such as building collapses, they play various roles in daily life such as delivery of goods or food.
  • drones deployed at disaster sites reduce the lives of people by delivering relief items to disaster sites, or collect information on disaster sites through on-board cameras, providing a means to carry out disaster scenes on behalf of people.
  • disaster sites reduce the lives of people by delivering relief items to disaster sites, or collect information on disaster sites through on-board cameras, providing a means to carry out disaster scenes on behalf of people.
  • At least one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device is mounted in each drone and put into a disaster site, and a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quickly provided to the disaster site, and the field personnel dispatched to the disaster site and disaster control
  • a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quickly provided to the disaster site, and the field personnel dispatched to the disaster site and disaster contro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n emergency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using the drone in an area wher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poor as well as a disaster sit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nified communication module that can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at the disaster site, to enable continu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video, dangerous state or a combination thereof between field agents or between the field agent and the field commander field personnel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duce the incidence of accidents at the disaster site by securing safety and to provide on-site personnel with a psychological stability to maximize the adaptability of the site.
  •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for disaster may be mounted on a drone and controlled remotely, dispatched to an area where a large-scale disaster has occurred, and collect information on a site in real time to provide a command unit 200. Or transmit to each disaster control agency (not shown).
  • the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device 100 using the drone provide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the field personnel dispatched to the disaster site whe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disaster site is collapsed or extremely poor, and the command unit 200 or the disaster control Provide the best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the institution.
  •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provided to the field agent may be LTE, communication using a disaster frequency, Bluetooth, WiFi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field agent is a communication terminal or a communication supported by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500 provided by the field agent Through the environmental module, the site information of the disaster site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or directly to the command unit 200 or the disaster control agency.
  • the emergency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is the image or photo of the disaster site through the fiel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eld personnel and the camera installed in the disast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 the data may be col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command unit 200 or the disaster control authority through the set communication network, the fixed base station 300, and the switching center 400.
  • the site information of the disaster site transmitted by the field agent may be composed of audio data, image data, textual data,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field agent, status information of the field agent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fixed base station 300 commands the site information on the disaster site received from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for disasters using the drone or a terminal of the field agent or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500 through the exchange station 400.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unit 200 or disaster control agency, the exchange station 400 is the site of the disaster site received from the fixed base station 300 to the command unit 200 and the disaster control agency connected to the universal Internet network Information can be sent.
  • the command unit 200 communicates in real time with the field agent and the disast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established by the disast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and in a field situation. Obtain accurate and specific site information for.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dentify the damage situation in the disaster area and take corrective measures for the disaster site.
  •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provided by the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enables the inter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and unit 200 and the disaster control agency and the on-site command control to the field personnel.
  •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provided by the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enables the inter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and unit 200 and the disaster control agency and the on-site command control to the field personnel.
  • command unit 200 is a field agent or disaster through the site information, evacuation route, or disaster response process of the disaster site through the voice output device (speaker) mounted on the mobile base station device 100 for disasters using the drone You can give it to people in the field.
  • command unit 200 may transmit a site information or a disaster task to be performed by the field agent to the terminal or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500 provided by the field agent for a field situation that changes from time to time.
  • th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by the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is a quadruple network
  • the quadruple network is composed of LTE network, disaster network, satellite network, TVWS network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d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selects an optimal communication path in real time from the quadruple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continuous and reliable communication environment.
  • the TVWS TV White Space, TVWS
  • TVWS TV White Space, TVWS
  • the TVWS network is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enables communication using an empty frequency channel without using a local area of TV broadcasting bands. It is mainly used to transmit disaster image of underground or building, or to transmit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water quality or electric power.
  • the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to select the optimal communication network determines the signal strength for RSSI, TSSI, or a combination thereof received from the quadrup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ignal strength is the best. You can choose a strong network.
  • the optimal communication network to be provided to the disaster site can be preferentially selected from the quadruple communication networks in consideration of bandwidth or power consumption. .
  • the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transmits the field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camera installed in the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to the command unit 100 in real time.
  •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is transmitted to the command unit 200. Based on this, the command unit 200 may remotely control the drone mobile base station 100.
  •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for disasters using the drone is conventionally used whenever the quadrupled communication network is selected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ite information through the quadrupled communication network. Converts the communication frequency to the communication frequency of the selected communication network in real time.
  • the command unit 200 may instruct the field personnel dispatched to the disaster site to adjust the d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more precisely and flexibly.
  • the mobile station apparatus for disaster using the drone through the adjustment device of the disast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previously provided at the disaster site, or through the terminal provided by the field personnel. 100 can be adjusted.
  • the drone is adjusted through a driver or an application program required for adjusting the disast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installed in the terminal.
  • the driver or application program may be pre-installed in the terminal, or may be downloaded and installed directly from the command unit 200 directly to the terminal at the corresponding site.
  • the field personnel dispatched to the disaster site is provided with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500, through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provided by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500 and steadily communicate with other field agents or the field command post installed in the disaster site can do.
  • the unified communication module 500 controls the infrared camera or visible light camera, a biometric sensor, a microphone, a speaker, a GPS transmission / reception, a Bluetooth interface, a communication modem or a combination thereof provided by the field agent, and the unified communication module (
  •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provided by 50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including audio, video, biometric data, location information, emergency transmission data,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field agent communicates in real time with the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through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500 to transmit the enumerated data to the command unit 200 or the disaster control agency. Can be.
  • the command unit 200 or the disaster control agency accurately grasps the damage situation of the disaster occurrence area and the state of the field agent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data, and performs command control to the field agen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ield response of field personnel so that they can carry out work in the disaster site quickly and continuously. This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human and property damage that may occur at the disaster site.
  •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5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for disasters using the drone include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providing unit 120 that provides a quadrupled communication environment at a disaster site, and an optimal communication among the quadrupled communication environments.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0 for selecting an environment, a guide providing unit 131 for guiding site information on the disaster site or information on the disaster progress status, and a sit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32 collecting field information of the disaster site ),
  • a device control unit 133 for controlling a visible light camera, an infrared camera, a speaker, various sensors, and other devices included in the disaster-providing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and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for disasters using the drone.
  • a drone control unit 134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GPS receiver 150, a memory 140, and a device unit 160 for calcula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for disasters using the drone. It is configured to hereinafter.
  •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providing unit 120 is a disaster site communication modem 121 for providing a smooth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the terminal or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500 possessed by the field personnel dispatched to the disaster site or the disaster site, th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ireless modem for connecting to any one of the quadrupl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disaster site communication modem 121.
  • the disaster site communication modem 121 and the wireless modem 122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Ethernet, so that not only the field personnel dispatched to the disaster site, but also other people remaining in the disaster site to access the Internet network It serves as a base station.
  •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provided to the disaster site through the disaster site communication modem 121 may be composed of LTE, Bluetooth, communication environment using the disaster frequency, WiFi,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disaster site or the integration
  •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may access the Internet network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providing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 the wireless modem 122 is connected to the quadruple communication network, the quadruple communication network is composed of LTE network, disaster network, satellite network and TVWS network.
  • the quadruple communication network is to provide a continuous and continuous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an emergency disaster scene.
  •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aster site and the command unit 200 is continuously maintained by enabling communication through another communication network immediately. To provide real-time control of the disaster.
  • the wireless modem 122 may further include a frequency converter 123 for converting the communication frequency of the quadruple communication network in real time.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0 converts the existing communication frequency to the communication frequency of the selected communication network.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0 determines at least one of the quadrupled communication networks in real time to provide an optimal communication environment.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e strength of a signal for RSSI, TSSI, or a combination thereof of the LTE network, the disaster network, the satellite network, and the TVWS network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modem 122,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sign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munication environment by selecting the strongest communication network.
  • the method for selectively providing a quadrup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RSSI, the TSSI, or a combination thereof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gnal for the RSSI, the TSSI, or a combination thereof is provided.
  • the optimal network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ength, bandwidth, power consump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frequency conversion unit 123 to convert from the existing communication frequency to the communication frequency of the selected communication network to convert to the communication frequency of the selected communication network.
  • the disaster-providing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uses a communication network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order to provide a stable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case the one communication network becomes unavailable or the quality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becomes poor.
  • the satellite network is the most resistant to disasters, so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communication line irrespective of geographical obstacles and has a great advantage in long distance communication, while communication failure may occur depending on weather conditions, and the round trip to the satellite Delays in data transmission may occur over time.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0 selects another communication network optimized for the disaster site in real time to provide the best communication environment.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movement of data or various signals, such as a control command or field information transmitted or received to the disaster-promoting mobile base station 100 using the drone.
  • the guide providing unit 131 is a disaster movement using the drone for evacuation route, the site information of the disaster site and information on the disaster response process that can be evacuated from the disaster site provided from the command unit 200 It may be provided through a speaker provided in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0, and the guide providing unit 131, the terminal in the disaster site, the evacuation route, site information, disaster response process or a combination thereof, image data, voice It may be provided as data, textual data,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field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2 collects the site information of the disaster site dispatched by the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 the site information is the terminal information carried by the field personnel dispatched to the disaster site or the site information of the disaster site transmitted from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500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field personnel, visible light provided in the drone mobile base station device 100 Site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camera or an infrared camera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for disaster using the corresponding drone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140.
  • the field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32 transmits the collected field information to the command unit 200 in real time or when the command unit 200 requests the wireless modem to the command unit 200. Transmit via 122.
  • the device control unit 133 controls a camera, an infrared camera, a speaker, various sensors, and the like provided in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for disasters using the drone. That is, the command unit 200 or the field agent controls the photographing direction, angle, zoom-in, zoom-out, or combination thereof, or the volume control or output direction of the speaker through the device controller 133. Can be controlled remotely.
  • the drone control unit 134, the command unit 200 provides a function to remotely control the disaster-providing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the mobile base station for disasters using the drone (
  • the level sensor, GPS, and gyro sensor provided at 100 can be used for more precise and flexible adjustment.
  • command unit 200 instructs the field personnel dispatched to the disaster site to operate the disast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to instruct adjustment of the disast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can do.
  • the field agent may adjust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for the disaster using the drone through a terminal provided in advance on the site or through a terminal provided by the field agent.
  • the disaster-providing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may be adjusted through an interface provided by the driver or application program.
  • the memory 140 is provided on the site information of the disaster sit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or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500 possessed by the field agent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field agent, the mobile base station 100 for disasters using the drone Saves the site information of the disaster site collected from the camera or the site information during the movement of the disaster mobile base station 100 using the drone to transfer the stored site information when there is a transmission command from the command unit 200. It can transmit, and also can store the coordinate information and other necessary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mobile base station device 100 for disasters using the drone.
  • the coordinate information may be coordinate information of a disaster site where a disaster has occurred and coordinate information of a command unit 200 or a disaster control agency to which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for disasters using the drone returns.
  • the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may be automatically operated by the coordinate information.
  • the GPS receiver 150 may track the coordinates of the disaster site and the command unit stored in the memory, and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for the disaster using the drone may operate automatically. In addition, the GPS receiver 150 calcul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environment setting and information exchange using the same through a d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aster occurrence area is set in the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Thereafter, the emergency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is dispatched to a corresponding region (S110).
  •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for disasters using the drone can automatically fly and move based on the set location information, and can also be remotely controlled or moved or dispatched from the command unit 200 or the disaster control agency. Can be moved by field personnel.
  •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for disasters using the drone selectively arrives at the disaster site and selectively provides a quadruple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a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ed by a field agent or provided at the site (S120).
  • a field agent or provided at the site S120.
  • the field agent dispatched to the disaster site by the disast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and the command unit 200 transmit and receive mutual information through the provided communication environment (S130).
  • the field agent receives an instruction on the business process from his organization, and reports the situation and the results of the business process (S140).
  • the command unit 200 may remotely control the disast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and provide the site information of the disaster site collected from the disast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Receive the transmission and accurately grasp the damage situation on the disaster site (S150).
  • the command unit 200 performs the evacuation route, the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disaster site, the disaster response process, and the work to be performed by the field agent so as to increase the field response power of the field agent. Or transmit through the speaker provided in the d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S160).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in which a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using a drone is adjusted by a field agent dispatched to a disaster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eld agent dispatched to the disaster site directly adjusts the disast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 Is much more efficient than adjusting.
  • the command unit 200 grants adjustment authority so that the field agent can directly adjust the disast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at the disaster site (S210).
  • the coordination authority may be able to adjust using a specific frequency between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for disasters using the drone and the field personnel who have received the coordination authority, which is another field agent for disaster movement using the drone. By not allowing the base station apparatus 100 to be adjusted, various field personnel simultaneously adjust the disaster-providing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a drone, thereby preventing problems that may occur.
  • the field agent who has been granted the coordination authority uses the driver or application program necessary for the coordination of the disaster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in the terminal possessing the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 the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o (S220).
  • the driver or application program may be installed in a terminal possessed by the field agent in advance or may be downloaded and installed directly from the command unit 200.
  • the driver or application program automatically connects to the disaster-providing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to provide an interface for the field personnel to adjust the disaster-providing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0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by the disaster site communication modem 121 to the drone control unit 134 (S230).
  • the drone controller 134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controls the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by the field personnel dispatched to the disaster 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nified communication module 500 receives field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devices provided to the field agent or mounted in the unified communication module 500 or outputs data to a plurality of devices.
  • Device interface unit 510 Bluetooth interface unit 520 for provid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on-site agents or between the field agent and the field command post, GPS receiver 530 for receiving the GP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eld agent,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control unit 54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500, memory 550 for sto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field information of the field agent, communic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And a modem 560.
  •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500 is provided to the field agent dispatched to the field, for example, may be provided to the helmet of the field agent.
  • the device interface unit 51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evices mounted on the field agent or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500 to receive field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devices or the command unit 200, a disaster. It is responsible for outputting data received from the local authorities or field command center.
  • the plurality of devices may include a speaker, a microphone, a biometric sensor, a camera,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data may include voice, video, biometric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field personnel, emergency transmission data,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device interface unit 510 may receive the enumerated site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transmit the received site information to another agent or the field command post dispatched to the disaster site through the Bluetooth interface unit 520.
  • the Bluetooth interface unit 520 provides communication between the field personnel dispatched to the disaster site or between the field agent and the field command post.
  • the Bluetooth interface unit 520 transmits the enumerated real-time field information collected from field agents to the field command center, so that the situation of the disaster site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at the site command center.
  • the Bluetooth interface unit 520 supports the voice call function between the field agent or between the field agent and the field command through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that may occur in a disaster site. do.
  • the GPS receiver 53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eld agent from the satellite.
  • the unified communication module control unit 540 controls the movement of data or various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unified communication module 500.
  • the memory 550 stores the field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device interface unit 510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ield agent.
  • the field response power of the site personnel can improve.
  • the communication modem 560 is connected to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whe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at the disaster site is extremely poor or not restored to provide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the field personnel. Communicate with the department 200 or the disaster control agency.
  • the communication modem 500 transmits the site information collected in real time through the device interface unit 510 to the command unit 200 or the disaster control authority.
  • the communication modem 500 receives the site information, evacuation route, instructions, action tips, or disaster response process of the disaster site from the command unit 200 or the disaster control agency to receive the device interface unit 510. Can be provided to the appropriate field personnel.
  •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500 support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urgent field information such as voice, video, on-site agent status, dangerous state, etc. between on-site personnel or between on-site personnel and on-site command posts. It has the effect of securing the safety of personnel and improving the field response.
  • urgent field information such as voice, video, on-site agent status, dangerous state, etc.
  •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500 may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for disaster, defense, industrial, aviation / space, marine exploration, helicopter pilot, athlete, or car racer.
  • the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using the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are dispatched to a disaster site through a quadruple communication environment selectively provided by the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using the drone.
  • Communicates in real time with field personnel and the mobile base station apparatus 100 for disasters using the drone obtains accurate and detailed field information on the situation of the disaster site, and accurately grasps the damage situation of the corresponding disaster occurrence area based on this. It has the effect of quickly taking measures to deal with disasters.
  •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provided by the disaster-prone mobile base station device 100 using the drone to enable the inter-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and and each disaster control agency and on-site personnel control,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s to lives and property caused by the disaster site by improving the disaster response ability of the field personnel and promptly performing the work in the disaster s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용 드론 이동 기지국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신이 불가능한 재난현장에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를 통해 통신환경을 제공하여, 재난현장에 파견된 현장요원과 재난을 통제하는 기관 간에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요원의 현장 대응력을 높이고, 재난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환경 상태가 극히 불량한 재난현장에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를 접근시켜, 통신 네트워크를 신속하게 구축하여 현장요원과 재난을 관리하는 기관 간에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요원의 현장 대응력을 높이고, 현장요원이 즉시 투입되기 어려운 재난현장에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을 신속하게 투입하여, 재난현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최근 급격한 산업발전은 석유나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에 의한 에너지 사용량을 급격히 증가시켰으며, 이로 인한 지구 온난화로 홍수, 가뭄, 폭염 또는 한파 등과 같은 자연재해가 속출하고 있다.
자연재해는 대규모로 아주 광범위한 지역에 나타나며, 특히 예상하지 못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자연재해는 통제 불가능할 정도의 큰 규모로 생명과 재산 피해를 발생시킨다.
또한 가스 폭발사고, 원자력 발전소의 방사능 누출, 고층건물의 붕괴 또는 지하철 화재 등과 같은 인위적인 재난 역시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현대 산업 발전에 따른 인구 밀도의 집중화로 인해 막대한 인적피해와 물적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자연적 재난이나 인위적 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통신기술은 피해 지역에 대한 현장정보를 빠르게 수집할 수 있도록 하며, 재난현장에 대한 초등 대응과 현장통제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근본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대규모로 발생하는 재난은 재난현장의 통신수단을 순식간에 붕괴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 재난현장의 정보를 빠르게 수집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각 재난 통제기관 간의 상호 통신 및 일사 분란한 현장 지휘 통제가 불가능해짐으로서, 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하지 못해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통신환경이 극히 불량하거나 거의 통신 불능 상태인 재난현장에서의 통신망은 최우선적으로 연결 또는 복구되어야하며, 재난현장과 통제기관 간의 정보교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기반으로 재난현장에 대한 통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재난현장의 인적피해와 물적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통신환경이 불량한 재난현장에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를 급파하여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난현장의 현장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재난현장에 대한 통제 및 재난 상황 전개에 대한 시의적절한 대처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재난현장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서비스가 열악한 지역에 상기 드론을 이용한 이동 기지국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이동 기지국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요원 간 또는 현장요원과 현장지휘부 간의 음성, 영상 또는 위험상태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안정성 있는 통합 통신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현장요원의 안전 확보를 통한 재난현장에서의 사고발생률을 줄이고, 현장요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높여 재난현장의 현장 대응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드론은 무인 비행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기체에 사람이 타지 않고 지상에서 원격조종하는 장치로써, 개발 초기에는 정찰, 감시 또는 대잠공격 등과 같은 군사적인 용도로 주로 쓰였으나 기술적인 발전으로 점점 소형화됨에 따라 다양한 민간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화산 분화구에 대한 촬영처럼 사람이 직접 가서 촬영하기 어려운 장소를 촬영하거나 인터넷 쇼핑몰의 무인 택배 서비스 등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363066호(2014.02.17.)는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우범지역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쿼드콥터나 멀티콥터와 같은 무인비행체를 이용하여 우범지역의 범죄현장을 비행하면서, 무인비행체에 구비한 카메라를 통해, 해당 지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우범지역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우범지역 감시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카메라를 구비한 무인비행체를 통해 특정지역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점에서는 본 발명과 일부분 유사하나, 반면에 본 발명은 통신환경이 극히 불량한 재난현장에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를 투입시켜, 재난현장의 통신환경을 신속하게 제공하여 재난현장에 출동한 현장요원과 지령부 또는 재난 통제기관과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요원의 현장 대응력을 높이고, 재난현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184760호(2012.09.20.)는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난 상황실에서 재난 또는 재해에 관한 응급관련 대응 및 대피용 모바일에 긴급 재난정보와 발생위치를 전송하여 재난 발생위치로의 길안내 및 신속한 업무처리를 유도하는 기술이 구현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재난현장에 통신 시스템이 유지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구현된 것으로, 재난현장의 통신 시스템이 복구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장에 있는 모바일 단말에서 재난현장의 정보와 위치를 수신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통신이 불가능할 정도로 통신 시스템이 붕괴되거나 극히 불량한 재난현장에 신속하게 통신환경을 제공하여, 재난현장에 파견된 현장요원과 각 재난 통제기관 또는 지령부와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재난 대응 프로세스 전반에 대한 시간적 업무효율을 증대시키고 시시각각 변화하는 재난 상황의 전개에 따라 시의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3-0037509호(2003.05.14.)는 사용자의 통신수단정보에 따라 최적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통신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그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통신수단을 통해 가장 최적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도록 하는 통신 통합 시스템 기술이 구현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최적의 통신경로를 설정하여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 본 발명과 일부분 유사하나, 반면에 본 발명은 통신환경이 극히 불량한 재난현장에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를 급파하여 4중화된 망을 통하여 최적화된 통신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재난현장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피해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 된 것으로서, 통신이 극히 불량한 재난현장에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를 급파하여 4중화된 통신망을 통하여 최적의 통신경로를 설정하여 재난현장에 대한 통신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재난현장과 통제기관 또는 지령부 간의 정보 교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재난현장에 파견된 현장요원의 현장 대응력을 향상시켜, 인명피해와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요원이 즉시 투입되기 어려운 재난현장에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를 신속하게 투입하여 재난현장의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드론에 구비된 무선 단말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 기지국 장치를 통해서 드론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난현장에 최적화된 기지국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는, 재난현장에 원활한 통신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현장 통신용 모뎀, 상기 재난현장 통신용 모뎀과 연결되어 LTE망, TVWS망, 재난망, 또는 위성망 중 어느 하나와 접속하기 위한 무선모뎀 및 상기 LTE망, TVWS망, 재난망 및 위성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4중화된 통신환경을 제공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은 상기 LTE망, TVWS망, 재난망 및 위성망에 대한 RSSI, TSSI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신호의 세기, 대역폭, 소비전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실시간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는, 재난현장과 지령부에 대한 좌표를 추적할 수 있는 GPS 수신기 및 상기 무선모뎀을 통해서 재난현장 또는 재난현장으로 이동하는 도중의 현장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지령부로 제공하는 현장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집하여 제공한 현장정보에 따라 재난현장에 안내를 제공하는 안내 제공부 및 상기 현장정보 수집부에서 현장정보를 수집하는 장치와 상기 안내 제공부에서 안내를 제공하는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난현장 통신용 모뎀은, 상기 재난현장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에서 상기 선택을 위한 RSSI, TSSI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신호의 세기, 대역폭, 소비전력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조건이 변경되도록 드론의 위치나 자세를 제어하는 드론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재난현장에 원활한 통신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현장 통신용 모뎀과 LTE망, TVWS망, 재난망, 또는 위성망 중 어느 하나와 접속하기 위한 무선모뎀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LTE망, TVWS망, 재난망 및 위성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4중화된 통신환경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론 이동 기지국 장치의 동작 방법은, GPS 수신기로 재난현장과 지령부에 대한 좌표를 추적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모뎀을 통해서 재난현장 또는 재난현장으로 이동하는 도중의 현장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지령부로 제공하는 현장정보 수집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집하여 제공한 현장정보에 따라 재난현장에 안내를 제공하는 안내 제공 단계 및 상기 현장정보를 수집하는 장치와 상기 안내를 제공하는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의 재난현장 통신용 모뎀을 통해서 상기 재난현장의 사용자 단말로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작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의 통신 제어부를 통해서 상기 선택을 위한 RSSI, TSSI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신호의 세기, 대역폭, 소비전력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조건이 변경되도록 드론의 위치나 자세가 제어되는 드론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신 환경이 극히 불량한 재난현장에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를 통해 신속하게 통신환경을 제공하여, 현장요원과 재난 통제기관 또는 지령부 간의 정보교환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재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여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를 통한 통신환경 설정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교환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가 재난현장에 파견된 현장요원에 의해 조정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현장에 파견된 현장요원이 구비하는 통합 통신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우선 기존의 통신망을 중계하는 장치들은, 특정지역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와 고정 기지국을 중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소지한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존의 통신망 중계 장치는 특정 지역에 고정적으로 설치됨으로써, 그 이동성이 극히 제한적이고 사용자가 중계 장치를 통해 통신망에 원활하게 접속하기 위해서는 상기 중계 장치가 커버링하는 범위에 속해 있어야하거나 별도로 새로운 중계 장치를 설치해야 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최근 정보기술의 발전과 함께 드론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상기 드론은 조종사 없이 무선 전파의 유도에 의해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무인 항공기를 총칭하는 말이다.
상기 드론은 개발 초기에 주로 적 기지에 투입되어 정찰 및 정보 수집을 주 임무로 하는 군사용으로 주로 제작되었으나, 최근 첨단기술의 발전과 함께 상기 드론에 최첨단 장치가 더해지면서 사람을 대신하여 화재, 지진 또는 건물 붕괴 등과 같은 재난 장소의 정보수집뿐만 아니라 물건이나 음식의 배달 등과 같이 일상에서도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재난현장에 투입되는 드론은 재난현장에 구호 물품을 전달하여 인명 피해를 줄이거나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재난현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사람을 대신하여 재난현장의 상황 파악을 수행하는 수단을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재난이 발생한 지역에 통신환경이 마비되거나 통신환경이 극히 불량한 경우에는 현장에 파견된 현장요원으로부터의 정확한 현장정보를 취득하지 못함으로써, 상기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수집되는 이미지만으로 재난현장에 대한 상황을 판단하여야하므로, 재난현장의 피해상황 및 재난의 진행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재난이 발생한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를 각각 드론에 탑재하여 해당 재난현장에 투입하고, 신속하게 해당 재난현장에 통신환경을 제공하여, 재난현장에 파견된 현장요원과 재난 통제기관 또는 지령부와의 정보교환을 끊임없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재난 대응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재난현장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서비스가 열악한 지역에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를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현장에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합 통신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현장요원 간 또는 현장요원과 현장지휘부 간에 음성, 영상, 위험상태 또는 이들의 조합을 꾸준히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요원의 안전 확보를 통한 재난현장에서의 사고발생률을 줄이고, 현장요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높여 재난현장의 현장 적응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는 드론에 탑재 되어 원격에서 조종할 수 있으며, 대규모의 재난이 발생한 지역에 급파되어 현장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지령부(200) 또는 각 재난 통제기관(미도시)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는 재난현장의 통신 환경이 붕괴되거나 극히 불량한 경우에는 해당 재난현장에 파견된 현장요원에게 통신환경을 제공하고, 상기 지령부(200) 또는 재난 통제기관으로 최적의 통신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현장요원에게 제공하는 통신환경은 LTE, 재난주파수를 이용한 통신, 블루투스, WiFi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상기 현장요원은 현장요원이 구비한 통신 단말기 또는 통합 통신 모듈(500)에서 지원하는 통신환경모듈을 통해 해당 재난현장의 현장정보를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직접 상기 지령부(200) 또는 상기 재난 통제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는 상기 현장요원이 전송한 재난현장의 현장정보와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해당 재난현장의 영상 또는 사진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설정한 통신망과 고정 기지국 (300)및 교환국(400)을 통해 지령부(200) 또는 재난 통제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장요원이 전송하는 재난현장의 현장정보는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 현장요원의 식별번호, 현장요원의 상태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기지국(300)은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 또는 현장요원의 단말기 또는 통합 통신 모듈(500)로부터 수신되는 재난현장에 대한 현장정보를 상기 교환국(400)을 통해 지령부(200) 또는 재난 통제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교환국(400)은 범용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 있는 지령부(200)와 재난 통제기관으로 상기 고정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재난현장의 현장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령부(200)는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에 의해 설정된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현장요원 및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와 실시간으로 통신하며, 현장상황에 대해 정확하고 구체적인 현장정보를 획득한다. 이를 기반으로 해당 재난 발생지역의 피해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해당 재난현장에 대한 정확한 조치수단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가 제공한 통신환경은 상기 지령부(200)와 재난 통제기관의 상호통신 및 현장요원으로의 일사분란 한 현장 지휘통제가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현장요원의 현장 대응력을 향상시켜 신속하게 재난현장에서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재난현장에서 발생하는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령부(200)는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에 장착된 음성출력장치(스피커)를 통해 해당 재난현장의 현장정보, 대피경로, 또는 재난 대응과정을 현장요원이나 재난현장에 있는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령부(200)는 상기 현장요원이 구비한 단말기 또는 통합 통신 모듈(500)로 시시각각 변화하는 현장상황에 대한 현장정보 또는 현장요원이 수행할 재난업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에 의해 연결되는 통신망은 4중화된 망으로서, 상기 4중화된 망은 LTE망, 재난망, 위성망, TVWS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드론 이동 기지국 장치(100)는 상기 4중화된 통신망 중에서 최적의 통신경로를 실시간으로 선택하여, 끊임없고 신뢰성 있는 통신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TVWS(TV White Space, TVWS)망은 TV방송대역 중 지역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비어있는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으로써, TVWS는 저주파수 대역으로 전파특성이 우수하여 도달거리가 길고 투과율이 좋아 지하 또는 건물 등의 재난 영상을 전송하거나 수질 또는 전력 등 환경정보를 전송하는데 주로 쓰인다.
또한 상기 최적의 통신망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는 상기 4중화된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RSSI, TSSI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고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한 통신망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SSI, TSSI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역폭 또는 소비 전력 등을 동시에 고려하여 상기 4중화된 통신망 중에서 해당 재난현장에 제공할 최적의 통신망을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수집되는 현장정보를 상기 지령부(1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또한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상기 지령부(200)로 전송한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지령부(200)는 상기 드론 이동 기지국(100)을 원격에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은, 상기 4중화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치정보 및 현장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4중화된 통신망이 선택될 때마다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통신 주파수를 상기 선택된 통신망의 통신 주파수로 실시간으로 변환한다.
한편 상기 지령부(200)는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를 더욱 세밀하고 유연하게 운행하기 위해 상기 재난현장에 파견된 현장요원이 조정할 수 있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재난현장에 미리 구비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의 조정 장치를 통해서 조정을 하거나, 상기 현장요원이 구비한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를 통해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단말기에 설치된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의 조정에 필요한 드라이버 또는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드론을 조정하며, 상기 드라이버 또는 응용프로그램은 단말기에 미리 설치되어 있거나, 해당 현장에서 즉시 지령부(200)로부터 직접 단말기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난현장에 파견된 현장요원은, 상기 통합 통신 모듈(500)을 구비하여, 상기 통합 통신 모듈(500)이 제공하는 통신환경을 통해 다른 현장요원 또는 해당 재난현장에 설치된 현장지휘소와 꾸준히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통신 모듈(500)은, 상기 현장요원이 구비한 적외선 카메라 또는 가시광 카메라, 생체 센서, 마이크, 스피커, GPS 송수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통신 모뎀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제어하고, 상기 통합 통신 모듈(500)이 제공하는 통신환경을 통해 음성, 영상, 생체 데이터, 위치정보, 비상상황 송출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장요원은 상기 통합 통신 모듈(500)을 통해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와 실시간으로 통신하여, 상기 열거한 데이터를 상기 지령부(200) 또는 재난 통제기관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지령부(200) 또는 재난 통제기관은,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재난 발생지역의 피해 상황 및 현장요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상기 현장요원으로의 일사분란한 지휘통제를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현장요원의 현장 대응력을 향상시켜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재난현장에서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재난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통합 통신 모듈(500)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는 재난현장에 4중화된 통신환경을 제공하는 통신환경 제공부(120), 상기 4중화된 통신환경 중에서 최적의 통신환경을 선택하기 위한 통신 제어부(110), 상기 재난현장에 대한 현장정보 또는 재난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는 안내 제공부(131), 상기 재난현장의 현장정보를 수집하는 현장정보 수집부(132),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에 구비되는 가시광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스피커, 각종 센서 및 기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133),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를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드론 제어부(134),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GPS 수신기(150), 메모리(140) 및 장치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신환경 제공부(120)는, 재난현장에 구비되거나 재난현장에 파견된 현장요원이 소지한 단말기 또는 통합 통신 모듈(500)에 원활한 통신환경을 제공하는 재난현장 통신용 모뎀(121), 상기 재난현장 통신용 모뎀(121)과 연결되어 4중화된 통신망 중 어느 하나와 접속하기 위한 무선모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재난현장 통신용 모뎀(121)과 상기 무선모뎀(122)은, 서로 이더넷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재난현장에 파견된 현장요원뿐만 아니라 재난현장에 남아 있는 다른 사람들까지도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기지국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재난현장 통신용 모뎀(121)을 통해 재난현장에 제공되는 통신환경은 LTE, 블루투스, 재난주파수를 이용한 통신환경, WiFi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재난현장에 구비된 단말기 또는 상기 통합 통신 모듈(500)에서 상기 통신환경을 제공하는 통신모듈을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모뎀(122)은 4중화된 통신망과 접속되며, 상기 4중화된 통신망은 LTE망, 재난망, 위성망 및 TVWS망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4중화된 통신망은 급박하게 돌아가는 재난현장에서 끊임없이 지속적으로 통신환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즉, 4중화된 통신망 중에서 연결되어 있는 통신망이 이용 불가 상태가 되거나 통신망의 품질이 급격하게 나빠지면, 그 즉시 다른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하여 재난현장과 상기 지령부(200)간의 통신을 끊임없이 유지시켜, 재난에 대한 통제를 실시간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무선 모뎀(122)은, 상기 4중화된 통신망의 통신 주파수를 실시간으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1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110)에 의해 통신망이 선택되면, 기존의 통신 주파수를 상기 선택된 통신망의 통신 주파수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110)는 상기 4중화된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결정하여 최적의 통신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모뎀(122)을 통해서 접속되는 상기 LTE망, 재난망, 위성망 및 TVWS망의 RSSI, TSSI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결과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한 통신망을 선택하여, 통신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RSSI, TSSI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4중화된 통신망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서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RSSI, TSSI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신호의 세기, 대역폭, 소비전력 또는 이들의 조합을 고려하여 최적의 통신망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110)는, 기존의 통신 주파수로부터 상기 선택한 통신망의 통신 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주파수 변환부(123)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한 통신망의 통신 주파수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가 4중화된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가 하나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환경을 제공할 경우, 상기 하나의 통신망이 이용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통신망의 품질이 불량하게 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안정적인 통신환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위성망은 재난 상황에 대한 내성이 가장 커 지리적 장애에 무관하게 통신회선을 구성할 수 있으며 장거리 통신에 아주 큰 장점이 있는 반면에 기상 여건에 따라 통신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위성까지의 전파 왕복시간으로 인한 데이터 전송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 제어부(110)는 최상의 통신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해당 재난현장에 최적화된 다른 통신망을 실시간으로 선택한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110)는,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100)에 송신 또는 수신되는 제어명령, 현장정보와 같은 데이터 또는 각종 신호의 이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안내 제공부(131)는, 상기 지령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재난현장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대피경로, 재난현장의 현장정보 및 재난 대응과정에 대한 정보 등을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안내 제공부(131)는 재난현장에 있는 단말기에 상기 대피경로, 현장정보, 재난 대응과정 또는 이들의 조합을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장정보 수집부(132)는,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가 급파된 재난현장의 현장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현장정보는 재난현장에 파견된 현장요원이 소지한 단말기 또는 상기 통합 통신 모듈(500)로부터 전송되는 재난현장의 현장정보 및 현장요원의 상태정보, 상기 드론 이동 기지국 장치(100)에 구비된 가시광 카메라 또는 적외선 카메라로부터 수집되는 현장정보 및 상기 GPS 수신기로(140)부터 수신되는 해당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현장정보 수집부(132)는, 상기 수집되는 현장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지령부(200)로 전송하거나 상기 지령부(200)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지령부(200)로 상기 무선모뎀(122)을 통해 전송한다.
또한 상기 장치 제어부(133)는,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에 구비되는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스피커 또는 각종 센서 등을 제어한다. 즉, 상기 가시광 카메라 및 적외선 카메라의 촬영 방향, 각도, 줌인, 줌아웃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상기 스피커의 불륨 조절 또는 출력 방향 등을 상기 지령부(200) 또는 현장요원이 상기 장치 제어부(133)를 통해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 제어부(134)는, 상기 지령부(200)가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에 구비한 수평계 센서, GPS 및 자이로센서 등을 이용하여 더욱 세밀하고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령부(200)는 상기 재난현장에 파견된 현장요원에게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의 운행권한을 주어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의 조정을 지시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현장요원은 현장에 미리 구비한 조정 장치를 이용하거나 현장요원이 구비한 단말기를 통해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를 조정할 수 있으며, 단말기를 통해 조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의 조정에 필요한 드라이버 또는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상기 드라이버 또는 응용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40)는 상기 현장요원이 소지한 단말기 또는 통합 통신 모듈(500)로부터 전송되는 재난현장의 현장정보 및 현장요원의 상태정보,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100)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수집되는 재난현장의 현장정보 또는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100)이 이동하는 도중의 현장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지령부(200)의 전송명령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저장한 현장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의 운행에 대한 좌표정보 및 기타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표정보는 재난이 발생한 재난현장의 좌표정보와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가 귀환할 지령부(200) 또는 재난 통제기관의 좌표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는 상기 좌표정보에 의해 자동으로 운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GPS 수신기(150)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재난현장과 지령부에 대한 좌표를 추적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는 자동으로 운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GPS 수신기(150)는,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산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를 통한 통신환경 설정 및 이를 이용한 정보 교환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난 발생 신고가 상기 지령부(200) 또는 각 재난 통제기관으로 접수된 경우,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에 재난 발생 지역의 위치정보를 설정한 후,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를 해당 지역으로 급파한다(S110). 또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는 상기 설정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비행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지령부(200) 또는 상기 재난 통제기관에서 원격으로 조정하여 이동하거나 파견되는 현장요원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는 해당 재난현장에 도착하여 현장요원이 소지하거나 현장에 구비된 통신 단말기에게 4중화된 통신환경을 선택적으로 제공한다(S120). 한편 상기 4중화된 통신환경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이미 상술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에 의해 상기 재난현장에 파견된 현장요원과 상기 지령부(200)는 상기 제공된 통신환경을 통해서 상호 정보를 송수신한다(S130).
또한 상기 현장요원은 자신의 소속 기관으로부터 업무처리에 대한 지시를 받고, 현장의 상황과 업무처리에 대한 결과를 보고한다(S140).
다음으로 상기 지령부(200)는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로부터 수집되는 재난현장의 현장정보를 전송받아 재난현장에 대한 피해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한다(S150).
다음으로 상기 지령부(200)는 현장요원의 현장 대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대피경로, 재난현장의 상황정보, 재난 대응과정 및 현장요원이 수행할 업무를 현장요원의 단말기 또는 통합 통신 모듈(500)로 전송하거나 상기 드론 이동 기지국 장치(10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제공한다(S16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가 재난현장에 파견된 현장요원에 의해 조정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를 원격으로 조정함에 있어, 상기 재난현장에 파견된 현장요원이 직접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를 조정하는 것이 상기 지령부(200)가 조정하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이다.
따라서 상기 지령부(200)는 현장요원이 직접 재난현장에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를 조정할 수 있도록 조정권한을 부여한다(S210).
상기 지령부(200)로부터 조정권한을 받은 현장요원만이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를 원격에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정권한은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와 상기 조정권한을 받은 현장요원 간에 특정 주파수를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현장요원이 해당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를 조정할 수 없도록 하여, 동시에 여러 현장요원이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를 조정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조정권한을 부여 받은 현장요원은 소지한 단말기에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의 조정에 필요한 드라이버 또는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기지국 장치(100)로 제어명령을 전송한다(S220).
한편 상기 드라이버 또는 응용프로그램은 미리 상기 현장요원이 소지한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거나 상기 지령부(200)로부터 직접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라이버 또는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상기 현장요원이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를 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통신 제어부(100)는 상기 재난현장 통신용 모뎀(121)에 수신되는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드론 제어부(134)로 전송한다(S230).
다음으로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한 상기 드론 제어부(134)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를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현장에 파견된 현장요원이 구비하는 통합 통신 모듈을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합 통신 모듈(500)은, 상기 현장요원에게 구비되거나 상기 통합 통신 모듈(500)에 장착되는 복수의 장치로부터 현장정보를 입력 받거나 복수의 장치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 인터페이스부(510), 현장요원 간 또는 현장요원과 현장지휘소 간의 블루투스 통신환경을 제공하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520), 현장요원의 위치정보인 GPS를 수신하는 GPS수신부(530), 상기 통합 통신 모듈(5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통합 통신 모듈 제어부(540), 현장요원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현장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550), 상기 드론을 이용한 이동 기지국 장치(100)와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 모뎀(5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합 통신 모듈(500)은, 현장에 파견된 현장요원에 구비되며, 예를 들어 현장요원의 헬멧에 구비되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 인터페이스부(510)는, 상기 현장요원 또는 상기 통합 통신 모듈(500)에 장착되는 복수의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장치로부터 수집되는 현장정보를 입력받거나 상기 지령부(200), 재난 통재 기관, 또는 현장지휘소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수의 장치는 스피커, 마이크, 생체 센서, 카메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는 음성, 영상, 현장요원의 생체 정보 및 위치 정보, 비상상황 송출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현장정보를 말한다.
또한 상기 장치 인터페이스부(510)는, 상기 복수의 장치들로부터 상기 열거한 현장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520)를 통해 해당 재난현장에 파견된 다른 요원 또는 상기 현장지휘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520)은, 재난 현장에 파견된 현장요원들 간 또는 현장요원과 현장지휘소간의 통신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520)는, 현장요원으로부터 수집되는 상기 열거한 실시간 현장정보를 상기 현장지휘소로 전송하여, 현장지휘소에서 해당 재난현장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520)는, 상기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상기 현장요원간 또는 현장요원과 현장지휘간의 음성 통화 기능을 지원하며, 이는 재난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급 상황에 대해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GPS 수신부(530)는, 위성으로부터 현장요원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통합 통신 모듈 제어부(540)는, 상기 통합 통신 모듈(500)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각종 신호의 이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550)는, 상기 장치 인터페이스부(51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현장정보와 해당 현장요원의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현장정보를 상기 현장지휘소 또는 지령부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해당 현장요원의 상황과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해당 현장요원의 안전을 확보하고, 해당 현장요원의 현장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뎀(560)은, 상기 재난현장에서의 통신환경이 극히 불량하거나 복구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드론을 이용한 이동 기지국 장치(100)와 연결되어 상기 현장요원에게 무선통신환경을 제공하여 상기 지령부(200) 또는 재난 통제 기관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신 모뎀(500)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번호를 포함하여, 상기 장치 인터페이스부(5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현장정보를 상기 지령부(200) 또는 재난 통제 기관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통신 모뎀(500)은, 상기 지령부(200) 또는 재난 통제 기관으로부터 재난현장의 현장정보, 대피경로, 지시 사항, 행동요령, 또는 재난 대응과정 등을 수신하여 상기 장치 인터페이스부(510)를 통해 해당 현장요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합 통신 모듈(500)은, 현장요원 간 또는 현장요원과 현장지휘소 간에 음성, 영상, 현장요원의 상태, 위험상태 등과 같은 긴박한 현장정보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현장요원의 안전 확보와 현장 대응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통합 통신 모듈(500)은, 재난용뿐만 아니라 국방용, 산업용, 항공/우주용, 해양탐사용, 헬기조종용, 운동선수용, 또는 카레이서용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인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공된 4중화된 통신환경을 통하여, 재난현장에 파견된 현장인원 및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와 실시간으로 통신하며, 재난현장의 상황에 대한 정확하고 구체적인 현장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재난발생 지역의 피해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재난현장에 대한 조치수단을 신속하게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100)가 제공한 통신환경은 상기 지령부와 각 재난 통제기관의 상호통신 및 현장요원으로의 일사분란 한 현장 지휘통제가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현장요원의 재난 대응력을 향상시켜 신속하게 재난현장에서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재난현장에서 발생하는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2)

  1. 재난현장에 원활한 통신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현장 통신용 모뎀;
    상기 재난현장 통신용 모뎀과 연결되어 LTE망, TVWS망, 재난망, 또는 위성망 중 어느 하나와 접속하기 위한 무선모뎀; 및
    상기 LTE망, TVWS망, 재난망 또는 위성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은 상기 LTE망, TVWS망, 재난망 또는 위성망에 대한 RSSI, TSSI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신호의 세기, 대역폭, 소비전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실시간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는,
    재난현장과 지령부에 대한 좌표를 추적할 수 있는 GPS 수신기; 및
    상기 무선모뎀을 통해서 재난현장 또는 재난현장으로 이동하는 도중의 현장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지령부로 제공하는 현장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여 제공한 현장정보에 따라 재난현장에 안내를 제공하는 안내 제공부; 및
    상기 현장정보 수집부에서 현장정보를 수집하는 장치와 상기 안내 제공부에서 안내를 제공하는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난현장 통신용 모뎀은,
    상기 재난현장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에서 상기 선택을 위한 RSSI, TSSI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신호의 세기, 대역폭, 소비전력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조건이 변경되도록 드론의 위치나 자세를 제어하는 드론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7.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재난현장에 원활한 통신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현장 통신용 모뎀과 LTE망, TVWS망, 재난망, 또는 위성망 중 어느 하나와 접속하기 위한 무선모뎀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LTE망, TVWS망, 재난망 또는 위성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선택은 상기 LTE망, TVWS망, 재난망 또는 위성망에 대한 RSSI, TSSI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신호의 세기, 대역폭, 소비전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실시간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의 동작 방법은,
    GPS 수신기로 재난현장과 지령부에 대한 좌표를 추적하는 단계;
    상기 무선모뎀을 통해서 재난현장 또는 재난현장으로 이동하는 도중의 현장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지령부로 제공하는 현장정보 수집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여 제공한 현장정보에 따라 재난현장에 안내를 제공하는 안내 제공 단계; 및
    상기 현장정보를 수집하는 장치와 상기 안내를 제공하는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의 재난현장 통신용 모뎀을 통해서 상기 재난현장의 사용자 단말로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작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의 동작 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의 통신 제어부를 통해서 상기 선택을 위한 RSSI, TSSI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신호의 세기, 대역폭, 소비전력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조건이 변경되도록 드론의 위치나 자세가 제어되는 드론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의 동작 방법.
PCT/KR2015/013837 2015-09-01 2015-12-17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703907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751A KR101857566B1 (ko) 2015-09-01 2015-09-01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15-0123751 2015-09-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9077A1 true WO2017039077A1 (ko) 2017-03-09

Family

ID=58187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3837 WO2017039077A1 (ko) 2015-09-01 2015-12-17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7566B1 (ko)
WO (1) WO201703907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4338A1 (en) * 2017-04-21 2018-10-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measurement for aerial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20190066095A (ko) * 2017-12-04 2019-06-13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드론을 이용한 중계기 설치 및 로봇 위치 인식 시스템과 그 방법
CN111257507A (zh) * 2020-01-16 2020-06-09 清华大学合肥公共安全研究院 一种基于无人机的气体浓度检测及事故预警系统
CN112698668A (zh) * 2019-10-22 2021-04-23 中移(成都)信息通信科技有限公司 云台设备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292B1 (ko) 2017-04-11 2018-08-3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재난 구조 및 대응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949709B1 (ko) * 2017-05-08 2019-02-19 이노넷 주식회사 카메라와 이동통신 기지국 서비스가 가능한 vhf 및 uhf 무선백홀 기반의 드론을 이용한 실종자 수색 시스템
US11279481B2 (en) 2017-05-12 2022-03-22 Phirst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evaluating and determining a response to emergency situations using unmanned airborne vehicles
KR101944354B1 (ko) * 2017-06-23 2019-01-3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 대응 드론을 이용한 재난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CN108093389A (zh) * 2017-12-27 2018-05-29 成都科易未来光电技术有限公司 应急通信无人机系统及应急通信系统
KR102099005B1 (ko) 2018-05-16 2020-04-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중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와, 상기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중계 방법
KR102500840B1 (ko) * 2018-06-15 2023-02-15 주식회사 케이티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 및 이동형 기지국의 인명 구조 방법
KR102503849B1 (ko) * 2018-06-15 2023-02-23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형 기지국 및 이동형 기지국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42638A (ko) * 2018-10-16 2020-04-24 (주)에너캠프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무선통신을 활용한 구호 시스템
KR102119519B1 (ko) 2018-11-23 2020-06-0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복합 재난 상황 지원을 위한 쿼드콥터
WO2020116689A1 (ko) * 2018-12-07 2020-06-11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재난 대응 로봇 및 관제 장치와 그 초동 대응 방법
KR102236965B1 (ko) * 2020-05-22 2021-04-07 김성 드론을 이용한 원격 여행 지원장치
KR102391698B1 (ko) * 2021-02-22 2022-04-2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릴레이 장치로 동작하는 무인 이동체 및 무선 자원과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무인 이동체의 최적 위치 탐색 방법
KR102347560B1 (ko) * 2021-08-18 2022-01-06 (주)지오투정보기술 무선 신호 송출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416783B1 (ko) * 2022-04-05 2022-07-0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KR102463989B1 (ko) * 2022-05-06 2022-11-09 (주)일신이디아이 무선통신시스템용 데이터 송수신 무선중계 장비
KR102473045B1 (ko) 2022-06-21 2022-12-06 대한민국 무인이동체 장치를 활용한 재난상황 통신 네트워크 인프라 보완방법 및 시스템
KR102569499B1 (ko) 2022-06-21 2023-08-25 대한민국 분리형 모듈을 활용한 매몰자 탐색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03218A1 (en) * 2012-05-14 2013-11-14 Google Inc. Balloon Clumping to Provide Bandwidth Requested in Advance
KR20140066883A (ko) * 2012-11-23 2014-06-0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그비 중계 기능을 활용하는 복수의 이동체 운용 시스템
WO2014127366A2 (en) * 2013-02-17 2014-08-21 Parallel Wireless Inc. Methods of incorporating an ad hoc cellular network into a fixed cellular network
KR101536095B1 (ko) * 2015-01-14 2015-07-1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에이치알제주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지 생태 축산의 방목형 목장 운용 및 관리 시스템
WO2015123623A1 (en) * 2014-02-17 2015-08-20 Ubiqomm Broadband access system via drone/uav platform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2315A (ja) * 2005-10-20 2007-05-10 Hiroboo Kk 無人ヘリコプターを利用した防災情報収集・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防災情報ネットワー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03218A1 (en) * 2012-05-14 2013-11-14 Google Inc. Balloon Clumping to Provide Bandwidth Requested in Advance
KR20140066883A (ko) * 2012-11-23 2014-06-0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그비 중계 기능을 활용하는 복수의 이동체 운용 시스템
WO2014127366A2 (en) * 2013-02-17 2014-08-21 Parallel Wireless Inc. Methods of incorporating an ad hoc cellular network into a fixed cellular network
WO2015123623A1 (en) * 2014-02-17 2015-08-20 Ubiqomm Broadband access system via drone/uav platforms
KR101536095B1 (ko) * 2015-01-14 2015-07-1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에이치알제주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산지 생태 축산의 방목형 목장 운용 및 관리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4338A1 (en) * 2017-04-21 2018-10-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measurement for aerial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0856168B2 (en) 2017-04-21 2020-12-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measurement for aerial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20190066095A (ko) * 2017-12-04 2019-06-13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드론을 이용한 중계기 설치 및 로봇 위치 인식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041139B1 (ko) * 2017-12-04 2019-11-06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드론을 이용한 중계기 설치 및 로봇 위치 인식 시스템과 그 방법
CN112698668A (zh) * 2019-10-22 2021-04-23 中移(成都)信息通信科技有限公司 云台设备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257507A (zh) * 2020-01-16 2020-06-09 清华大学合肥公共安全研究院 一种基于无人机的气体浓度检测及事故预警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566B1 (ko) 2018-05-15
KR20170027368A (ko) 2017-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39077A1 (ko)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5119650B (zh) 基于无人飞行器的信号中继系统及其信号中继方法
US10454564B2 (en)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via a UAV
CN203278900U (zh) 空天地一体化北斗应急指挥系统
KR101074279B1 (ko) 와이맥스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비행체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US11272500B2 (en) Unified facility communications system with device location
KR101895811B1 (ko) 고성능 광역 감시 시스템
WO2018066744A1 (ko) 멀티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7114503A1 (en)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via a uav
JP2017131019A (ja) 送電設備の点検システム
KR20150068190A (ko) 감시 시스템
KR20170132923A (ko) 드론의 무인 임무 제어 시스템
WO2019124639A1 (ko) 무인 장치를 활용한 무선통신 중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18347B1 (ko) 드론의 열화상정보를 활용한 위험지역 자율비행 감시시스템
WO202025131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su 간의 신호 송수신 방법
KR20140120247A (ko) 통합 관제 시스템
WO2013039287A1 (ko) 이동통신중계 및 정보제공을 위한 이동통신중계기 일체형 모니터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1176330A (zh) 一种无人机的双操控方法
CN111612305A (zh) 一种安全生产调度监管系统平台
US20220335797A1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with drone support
WO2016098914A1 (ko) 선박의 음성 경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205945740U (zh) 一种基于无人机的野外指挥系统
CN207332942U (zh) 煤矿救灾无线通信装置
WO2021242054A1 (ko) 드론의 영상 위치 타임머신 다중 중계 시스템.
KR101903583B1 (ko) 재난현장용 헬기에 사용되는 통신 중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90313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5.07.2018)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90313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