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42054A1 - 드론의 영상 위치 타임머신 다중 중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의 영상 위치 타임머신 다중 중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42054A1
WO2021242054A1 PCT/KR2021/006700 KR2021006700W WO2021242054A1 WO 2021242054 A1 WO2021242054 A1 WO 2021242054A1 KR 2021006700 W KR2021006700 W KR 2021006700W WO 2021242054 A1 WO2021242054 A1 WO 202124205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rone
information
location
imag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670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영우
Original Assignee
김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우 filed Critical 김영우
Publication of WO202124205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4205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02Airborne stations
    • H04B7/18504Aircraft used as relay or high altitude atmospheric plat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relay system that delivers images shot through a drone to viewers in each field so that they can easily understand the situation at the site. of each viewer, you can immediately return it to suit their desired purpose and repeat it in detail, as well as allow each viewer to easily check the location and distance of the drone, the location of the pilot, and the location and distance of other viewers in the vicinity, and effectively check the overall situation. It is about the video location time machine multi-relay system of the drone that made it possible to cope.
  • a drone is a generic ter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can fly and be controlled without a pilot by induction of radio waves.
  • a real-time video streaming service is possible only if communication between the drone and the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system and people are possible in order to deliver the image captured by the drone to a large number of people,
  • the video also had a problem in that the unedited, raw, unedited video of the video filmed by the drone is different from the information that people in various fields want to check (interpret) according to their position.
  • the recorded video was filmed with a drone in flight continuously, from the viewer's point of view, it is not a fixed image but a moving image, so it is difficult to control it by reflecting their own requirements, and it is not only inconvenient to see, but also geographically absolute.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it was not easy to grasp the whole situation because the location was not recognized.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easily share the situation of the field by delivering the images captured by the drone to people in various fiel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viewers).
  • the present invention delivers the image captured by the drone to viewers in various fields to share the situation of the site, for the purpose desired by viewers in each field (eg, medical personnel, etc. to find and rescue the wounded, fire brigade)
  • the members want to be able to repeatedly check and handle the video captured by the drone through the real-time time machine function in accordance with the fire situation check and suppression, the police control the surrounding situation, etc.).
  • the present invention easily identifies the location of a drone that changes every moment, the location of a large number of viewers, and the distance to the drone, and quickly shares information in a cluttered situation in the field to effectively inject an agent and prevent an agent accident. to deal with it more effectivel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one configured to be able to fly remotely but equipped with a camera capable of photographing surrounding conditions, a drone controller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flight and movement of the drone, and an app for a drone controller connected to the drone controller
  • the remote controller terminal receives the video information of the scene filmed through the flying drone and transmits it to the designated acquisition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enter's acquisition system that converts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by each remote controller terminal into a database; , a transmission system that processes and transmits the video information converted into a database by the acquisition system to the controller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transmits the service to the viewer terminal that has requested the service, and one or more drones from the transmission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viewer app is activat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viewer terminal that receives and plays the video information.
  • viewers in various fields receive images taken through drones by the acquisition system and transmission system to check the accident scene in advance without missing images in real-time situations.
  •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ystem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drone, a drone controller, and a manipulato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 4 to 4B are views of a viewer's screen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drone monitoring screen of the center and an example of a shooting area according to altitude.
  • FIG. 6 is an exemplary view and a screen configuration diagram of image information extracted when a suspicious area is set.
  • the best for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one configured to be able to fly remotely and equipped with a camera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 situation; a drone controller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flight and movement of the drone; a manipulator terminal that secures video information of a scene photographed through a flying drone when it is connected to the drone controller and is activated and transmits it to a designated acquisition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 acquisition system that collects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drone through each manipulator terminal and converts it into a database; a transmission system for processing the image information converted into a database by the acquisition system and transmitting it to a viewer terminal requesting a service; When the viewer app is activated, a viewer terminal that receives and reproduces video information shot through one or more drones in real time from a transmission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 the acquisition system collects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ilot along with the location of the drone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terminal, and collects personal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ewer terminal,
  • the transmission system processes the image information that refl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along with the map of the region in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the drone secured through the acquisition system and transmits it to each viewer terminal, thereby facilitating the location and distance with each drone. It is characterized by a system that provides services that can be understood.
  • the view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real-time transmission of video information of the scene photographed through a drone and provides time machine information to feed back the databased video to a desired point in time for retransmission, and to receive the fed back video service.
  • FIG. 1 schematically shows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shows a drone, a control terminal, and a drone manipu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3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shows an image captured by a drone displayed through a viewer terminal
  •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one 10, a drone manipulator 20, a manipulator terminal 30, an acquisition system 40 and a transmission system 50 of the center, and a viewer terminal 60. It is composed so that viewers in each field (eg, rescue workers, firefighters, police, etc.) can receive and share the video filmed through the drone in real time, so that each viewer can more easily meet the desired purpose of the scene. made it possible to understand
  • the drone 10 is an aircraft capable of flying and controlling by induction of radio waves without a pilot, and in particular, is configured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 situation through a camera.
  • the camera installs a movable shaft that can rotate freely up, down, left, and right at the bottom of the drone, but the center of gravity is located below the drone, and at the same time, the gyro sensor, etc. It is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photographed with .
  • the drone 10 includes a variety of sensors along with a GPS and a gyro sensor to secure flight information and surrounding state information (eg, temperature, wind, humidity, direction, wind speed, etc.)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when shooting the surrounding situation. Yes, temperature sensor, direction sensor, humidity sensor), etc. are provided.
  • a GPS and a gyro sensor to secure flight information and surrounding state information (eg, temperature, wind, humidity, direction, wind speed, etc.)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when shooting the surrounding situation. Yes, temperature sensor, direction sensor, humidity sensor), etc. are provided.
  • the drone 10 is put into a plurality of accident sites or work sites so that viewers in each field who watch it in real time can take multiple shots at various angles from a distance or a short distance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the site in more detail.
  • the drone manipulator 20 is for a user (manipulator) to control the drone, and not only can remotel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drone through a pair of sticks and buttons, but also connects to the coordinator terminal by wire/wireless.
  • the drone manipulator receives the video information captured by the drone in real time and transmits it to the manipulator terminal connected by wire/wireless.
  •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not on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but also the flight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GPS or various sensors provided by the drone and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ler terminal.
  • the manipulator terminal 30 is to secure the video information of the scene photographed through the flying drone and transmit it to a designated acquisition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 this manipulator terminal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drones 10 and 30 or the drone manipulators 20 and 30 and can transmit image information secured to the acquisition system, but preferably may be a smartphone or tablet PC tha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drone controller with the drone controller app installed for universal use.
  • the manipulator terminal 30 includes a drone image information module 31 for secur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drone, and the center's acquisition system and transmission based on the pilot's basic information (eg, name, terminal number, affiliation, etc.) and an operator basic information module 34 for forming a channel with the system.
  • the pilot's basic information eg, name, terminal number, affiliation, etc.
  • an operator basic information module 34 for forming a channel with the system.
  • each module is a functional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nipulator terminal 30 includes a drone flight information module 32 for securing flight information including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flight time, tilt (posture), bearing, distance, altitude, speed, etc. of the drone, and GPS or inertia It includes a pilot/dron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33 for securing the position value of the drone or the pilot secured through a sensor, etc., and transmits the flight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to the acquisition system of the center to transmit the position of the drone and the position of the pilot.
  • it is a video that receives processed image information from the center in response and integrates the viewer's and pilot's position and the drone's position on the map of the area along with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drone on the screen. It is made by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tegrated display module 35 to express the.
  • the map is for easily checking the location and distance of the pilot and the drone and effectively coping with the overall situation,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formation such as a map is provided in the game so that the pilot can see it and easily control the drone.
  • information such as a map is provided in the game so that the pilot can see it and easily control the drone.
  • the map may be geographic information that can be serviced through public data, but may also be a structural diagram or passage of a specific building.
  • the center is a control center for smooth accident handling and operation by delivering the situation of the field to viewers in each field (eg, firefighters, paramedics, police, etc.) It may be composed of local governments, hospitals, etc., or a union of these.
  • this center is composed of an acquisition system 40 and a transmission system 50, and the acquisition system 40 collects basic information of the operator to confirm whether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and at the same time collects data to form a channel.
  • a module 42 and an image encoding module 41 for receiving and encod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drone after forming a channel for a legitimate user based on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operator are included.
  • the data collection module 42 of the acquisition system 40 collects not only image information but also location information and flight information of drones/pilots so that viewers can easily understand the situation in each field and make a database for the drone.
  • Basic information (affiliation, name, contact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viewers who watch this recorded video are also collected and made into a database.
  • the acquisition system 40 is made to include the image DB 43 and the information DB 46, and the image DB 43 and the information DB 46 are to be built through an external clou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might be
  • the image DB 43 is an image division storage module 44 that divides and stores based on the coordinator basic information so that a plurality of drones can identify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each drone while multi-photographed from a long distance and a short distance from multiple angles. And, it is made into a database according to the designated platform including the Meta information module 45 so that the map of the corresponding area can be reacted to the image taken by each drone.
  • the information DB 46 is a databas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 pilot collected through the acquisition system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ewers who requested the service, from the video taken by the viewer and the moderator / drone It supports to display the location of the drone, and also supports the viewer to easily grasp the movement path and location of the drone through the route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48 that converts the collected drone flight information into a database.
  • the information DB 46 returns the time machin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viewers in each field to the viewing point management module 49, which converts the time machin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viewers in real time, to the desired time point of each viewer when the drone transmits the video in real time. support to see
  • the transmission system 50 is for processing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drone and transmitting it in real time to the viewer terminal in each field,
  • the transmission system 50 includes a data processing module 42 that processes the image captured by the drone into an image reflecting the location of the pilot/drone and the location of the viewer who requested the service, along with the map of the region, and the processed image and a video stream module 51 for stream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 viewer terminal forming a channel.
  • the video stream module 51 of the transmission system 50 may transmit the processed video information or the viewer's location information and other information to the operator terminal in real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well as to the data processing module 52 .
  • the processed video with captioned announcements or on-site notices can be transmitted to the viewer's terminal.
  • the transmission system 50 receives time machine information from the viewer terminal through the acquisition system
  • the data processing module 52 retransmits the database image based on the time machin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t time, so that each viewer wants the purpose (eg, medical personnel search and rescue the injured, and firefighters check and suppress the fire situation) , police officers, etc.)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video captured by the drone can be checked again.
  • purpose e.g, medical personnel search and rescue the injured, and firefighters check and suppress the fire situation
  • the time machin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viewer terminal by calling the video taken based on the previous time based on the current time, the time the drone actually filmed the area, or the location of the drone in flight.
  • the viewer terminal 60 is a terminal that participates in the channel connection with the center through the viewer app and receives and plays one or more images shot by the drone in real time.
  • An easy-to-use smartphone or tablet PC is preferable.
  • the viewer terminal 60 transmits the registered viewer's basic information (eg, name, terminal number, affiliation, etc.) to the center when the viewer app is activated to identify whether the viewer is a valid viewer basic information module 61 and a drone live playback module 63 for receiving real-time transmission of video information shot by a drone from a transmission system and playing it on the screen 69 when the viewer terminal is confirmed to be legitimately used by the viewer basic information module.
  • the viewer terminal 60 is configured to be selectable through the viewer app, so that only one of the images captured by a plurality of drones can be viewed in real time, but as shown in FIG. 4 , a plurality of drones are photographed through the divided images You can even watch one video at the same time.
  • the viewer terminal 60 is processed from the transmission system together with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module 62 that secures the viewer's loc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ollection system when a channel that can exchange data with the center is formed through the viewer app.
  •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module 62 secures the viewer's loc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ollection system when a channel that can exchange data with the center is formed through the viewer app.
  • the viewer terminal 60 includes a time machin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64 that generates time machine information and returns the databased image to a desired point in time to receive retransmission when receiving and playing back the video information of the scene photographed through the drone in real time. can be done
  • the time machin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64 generates time machine information through the slide bar 66 or a timer or positioning method when receiving and viewing video information of the site in real time from the center through the viewer app, and viewers in each field (eg, police, firefighters, medical staff, etc.) can retransmit the databased images at the desired time point and check them repeatedly.
  • viewers in each field eg, police, firefighters, medical staff, etc.
  • the time machine information is a previous time (eg, -10 minutes) based on the current time through the slide bar 66 as shown in FIG. 4A or a real drone that can be set through the timer 67. It may be based on time (eg, 12:04), but preferabl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rone, a drone manipulator, a manipulator terminal, an acquisition system and transmission system of the center, and a viewer terminal, so that viewers in each field can easily grasp the accident situation in advance before being put into the field.
  • each viewer can check the desired content in detail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overall situation and effectively cope with the location of the drone and the location and distance of the user.
  • a translucent layer is created so that only the area where the drone has moved in flight can be easily checked, and the layer is overlaid on the map so that the map is viewed in a blurry manner.
  • the layer has the same scale as the map.
  • the photographing area is selected according to a trigonometric function through the altitude value and the angle of view of the camera. It can be calculated and erased as much as the calculated shooting area according to the altitude change, so that it can be identified in detail whether there is an unphotographed area according to the altitude change.
  • the degree of transparency is reduced by erasing. It might increase the level.
  • the center configures a specific area on the map to set a suspicious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t the same time, when setting the suspicious area, each based on the databased location information and flight information It is also possible to extract and match only the image information of drones shot in the area set as a suspicious area by route of each route, and view it on a separate view screen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view only the image of a specific area.
  • FIG. 7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manipulator terminal is mounted on the drone manipulator, and then the drone manipulator and the manipulator terminal are connected (S101).
  • the remote controller terminal consists of a communication module and is integrated with the drone or drone controller
  • the video information is secured when the camera is operated while the drone and the drone controller are connected so that they can fly, and a channel is formed to transmit it to the designated acquisition system.
  • the manipulator terminal secure not only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drone but als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pilot along with flight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acquisition system of the center, (S103)
  • the acquisition system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and flight information as well as image information of the drone after channel formation (S104) and converts it into a database (S106).
  • the acquisition system may secu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ewer terminal when the channel is formed with the viewer terminal requesting the service based on the viewer's bas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transmission system generates a processed image that reflects the location of the pilot/drone and the viewer along with the map of the region in the video information captured by the drone (S107), and then relays it to the connected viewer terminal in real time. .(S108)
  • the transmission system may transmit the processed image information or the viewer's location information or other information to the operator's terminal.
  • each viewer terminal and operator terminal reproduces the video shot or processed video shot by the drone in real time, so that the viewer can easily check the location and distance of the drone and the location and distance of the operator and effectively cope with the overall situation.
  • the viewer terminal transmits the time machine information to the acquisition system, and the acquisition system collects it (S201) and calls the databased image information based on the set time (S202), then the viewer terminal through the transmission system to retransmit to (S203)
  • the viewer terminal receives the video information again, and each viewer re-searches (confirms) an area under their jurisdiction or an area of interest to support each viewer to achieve the desired purpose (S20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각 분야의 요원들에게 전달하여 현장의 상황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공유 시스템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드론과, 드론 조종기와 조종기 단말과 입수시스템과 전송시스템과 시청자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드론을 통해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타임머신 기능을 통해 각각의 시청자들 별로 자신이 원하는 목적에 맞게 즉시 되돌려서 세밀하게 반복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시청자들이 드론의 위치와 조종자의 위치 및 거리 등을 용이하게 확인하고 전체 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한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 중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론의 영상 위치 타임머신 다중 중계 시스템.
본 발명은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각 분야의 시청자들에게 전달하여 현장의 상황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다중 중계 시스템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드론을 통해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타임머신 기능을 통해 각각의 시청자들 별로 자신이 원하는 목적에 맞게 즉시 되돌려서 세밀하게 반복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시청자들이 드론의 위치와 조종자의 위치, 주변의 다른 시청자의 위치 및 거리 등을 용이하게 확인하고 전체 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한 드론의 영상 위치 타임머신 다중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drone)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무인항공기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특히 기체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카메라 등을 통하여 주변 상황을 촬영하거나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 무인 정찰, 전투 지원 등 군사 용도로 활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물품 배달 등과 같은 상업인 용도로도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고,
특히 최근에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사고 현장이나 위험한 현장 등에 투입되어 구급요원이나 소방요원 혹은 경찰 등이 투입되기 전에 미리 주변상황을 확인할 수 있 있도록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서비스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장에는 한 사람의 구급요원이나 소방요원 등만 있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분야 별로 다양한 사람들(예, 구조요원, 소방요원, 경찰 등등)이 직/간접적으로 투입되기 때문에 다수의 사람들이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요구하게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다수의 사람들에 전달하기 위하여 크게 드론과 컨트롤 시스템간의 통신, 상기 시스템과 사람들과의 통신이 가능해야만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하고,
해당 영상 역시 드론을 통해 촬영한 영상이 편집되지 않은 날 것 그대로 인대다가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자신의 입장에 맞춰 확인하길 원하면서 확인(해석)하는 정보가 서로 다르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시청자 마다 보고 싶은 부분이 다른데 이를 모두 조종자에게 반영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는데 타임머신을 사용할 경우 전체를 훝는 방식으로 비행만 하여도 필요한 부분을 반복해서 확인할 수 있어 드론 운용 효율성이 높아 질수 있는 것이다.
즉, 시청자가 한 분야의 사람이 아니라 위급 상황시 이를 통제하기 위한 경찰들과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투입되는 소방요원 그리고 인명수색 및 구조를 목적하는 의료요원 등의 같이 직/간접적으로 투입되는 경우가 많은 대다가 각각 요원들이 집중적으로 확인하길 원하는 정보 역시 서로 다르고, 특히 모든 사람들이 비행 중인 드론의 시간에 맞춰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놓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더욱이 촬영된 영상은 계속해서 비행 중인 드론을 주체로 하여 촬영된 것이기 때문에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움직이는 영상이기 때문에 각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조종하기가 어렵고, 보기에도 불편할 뿐만 아니라 지리적인 절대 위치가 인식되지 않아 전체상황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었던 것이다.
즉, 드론의 위치가 계속해서 바뀌기 때문에 나와 위치 드론의 위치 그리고 그 거리가 어느 정도인지 쉽게 파악할 수 없어 답답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드론을 통한 촬영된 영상을 다양한 분야의 사람(이하 시청자들이라고 함)에게로 전달하여 현장의 상황을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다양한 분야의 시청자에게로 전달하여 해당 현장의 상황을 공유할 때에, 각각의 분야의 시청자들이 원하는 목적(예, 의료요원 등은 부상자 색출 및 구조, 소방대원들은 화재상황 확인 및 진압, 경찰들은 주변상황 통제 등등)에 맞춰 드론을 통해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 타임머신 기능을 통해 반복 확인하고 핸들링 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드론의 위치와 다수의 시청자 위치 및 드론과의 거리 등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현장의 어수선한 상황에서 빠르게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요원을 효과적으로 투입하고, 요원의 사고를 예방하는 것에 좀 더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원격 비행가능하게 구성하되 주변상황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는 드론과, 상기 드론의 비행 및 움직임을 원격 조종하기 위한 드론 조종기와, 상기 드론 조종기와 연결되어 드론 조종기용 앱이 활성화되었을 때에 비행 중인 드론을 통해 촬영된 현장의 영상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입수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조종기 단말과, 각각의 조종기 단말이 전송한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센터의 입수시스템과, 상기 입수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화한 영상정보를 가공하여 해당 조종기 단말로 전송하는 동시에 서비스를 요청한 시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시스템과, 시청자 앱이 활성화되었을 때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시스템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전송받아 재생하는 시청자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입수시스템 및 전송시스템에 의해 다양한 분야의 시청자(예, 구조요원, 소방요원, 경찰 등등)들이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실시간 상황에서 영상을 놓치는 상황 없이 사고현장을 미리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확인할 때에 각각의 시청자별로 타임머신 기능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목적에 맞춰 반복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계속해서 이동하는 드론의 위치에 맞춰 다수 시청자의 위치 및 드론과의 거리 등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좀 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드론과 드론조종기와 조종기 단말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4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시청자의 화면 구성도.
도 5은 센터의 드론 모니터링 화면 구성도 및 고도에 따른 촬영영역 예시도.
도 6은 의심지역 설정시 추출되는 영상정보의 예시도 및 화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는 원격 비행가능하게 구성되고 주변상황을 촬영할 수 있게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는 드론; 상기 드론의 비행 및 움직임을 원격 조종하기 위한 드론 조종기; 상기 드론 조종기와 연결되어 활성화되었을 때에 비행 중인 드론을 통해 촬영된 현장의 영상정보를 확보하여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입수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조종기 단말; 각각의 조종기 단말을 통해 드론이 촬영한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입수시스템; 상기 입수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화한 영상정보를 가공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시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시스템; 시청자 앱이 활성화되었을 때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시스템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실시간 전송받아 재생하는 시청자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입수시스템과 전송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조종기 단말이 확보한 영상정보를 각각의 시청자단말이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할 때에,
입수시스템은 조종기 단말을 통해 드론의 위치와 함께 조종자의 개인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동시에 시청자 단말의 개인정보,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전송시스템은 입수시스템을 통해 확보한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에 해당 지역의 맵과 함께 위치정보를 반영한 영상정보를 가공하여 각각의 시청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각 드론과의 위치 및 거리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서비스 하는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시청자 단말은 드론을 통해 촬영된 현장의 영상정보를 실시간 전송받아 재생할 때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을 원하는 시점으로 피드백 시켜 재전송 받도록 하는 타임머신 정보를 생성하고 피드백된 영상을 서비스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실시 예에 따라 드론과 조정 단말기와 드론 조종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시청자 단말을 통해 보여지는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드론(10)과, 드론 조종기(20)와, 조종기 단말(30)과, 센터의 입수시스템(40) 및 전송시스템(50)과, 시청자 단말(6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각 분야의 시청자(예, 구조요원, 소방요원, 경찰 등등)들이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 전송받아 공유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시청자들이 원하는 목적에 맞춰 좀 더 손쉽게 현장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드론(10)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체로서, 특히 카메라를 통해 주변 상황을 촬영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더불어 카메라는 실시 예에 따라 드론의 하단에 상하좌우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이동축을 설치하되, 그 무게 중심이 드론 아래쪽에 위치되게 하고 동시에 자이로센서 등에 의해 지면과 수평한 상태에 놓여 지도록 컨트롤하여 주변 상황을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드론(10)은 주변상황을 촬영할 때에 위치정보를 토대로 비행정보와 주변의 상태정보(예, 온도, 바람, 습도, 방향, 풍속 등등) 등도 확보하기 위하여 GPS 및 자이로센서와 함께 다양한 센서(예, 온도센서, 방향센서, 습도센서)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론(10)은 사고 현장이나 작업 현장에 복수로 투입되어 원거리에서 혹은 근거리에서 다양한 각도로 멀티 촬영하고 이를 실시간 시청하는 각 분야의 시청자들이 좀 더 구체적으로 현장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드론 조종기(20)는 사용자(조종자)가 드론을 컨트롤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스틱 및 버튼 등을 통해 드론의 움직임을 원격 조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정자 단말과 유/무선으로 연결한다.
더불어 상기 드론 조종기는 상기 드론이 촬영한 영상정보를 실시간 전송받고 이를 유/무선으로 연결된 조종기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드론이 구비하고 있는 GPS나 각종 센서 등을 통해 드론의 위치정보 뿐만 아니라 비행정보도 같이 전송받아 조종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조종기 단말(30)은 비행 중인 드론을 통해 촬영된 현장의 영상정보를 확보하여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입수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조종기 단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10,30) 또는 드론 조종기(20,30)에 일체로 구비되어 입수시스템으로 확보된 영상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모듈일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범용성 있게 사용 가능하도록 드론 조종기용 앱이 설치되어 드론 조종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일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조종기 단말(30)은 드론이 촬영한 영상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드론 영상정보모듈(31)과, 조종자의 기본정보(예, 이름, 단말기 번호, 소속 등등)를 토대로 센터의 입수시스템 및 전송시스템과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조종자 기본정보모듈(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 모듈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기능적으로 결합된 것이다.
더불어 상기 조종기 단말(30)은 드론의 배터리 잔량, 비행시간, 기울기(자세), 방위, 거리, 고도, 속도 등을 포함하는 비행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드론 비행정보 모듈(32)과, GPS 또는 관성센서 등을 통해 확보된 드론 또는 조종자의 위치값을 확보하기 위한 조종자/드론 위치정보모듈(3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센터의 입수시스템으로 비행정보 및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드론의 위치 및 조종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이에 대응하여 센터로부터 가공된 영상정보를 전송받아 화면상에 드론의 영상정보와 함께 해당 지역의 맵 상에 시청자의 위치 및 조종자의 위치 그리고 드론의 위치 등을 통합한 영상을 표출토록 하는 위치정보 통합표출모듈(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맵은 조종자와 드론의 위치 및 거리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전체 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것이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게임 상에서 맵과 같은 정보를 제공하여 조종자가 이를 보고 용이하게 드론을 조종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이때 맵은 공공데이터를 통해 서비스받을 수 있는 지리정보일 수도 있지만 특정 건물의 구조도나 통로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센터는 현장의 상황을 각 분야의 시청자(예, 소방요원, 구급요원, 경찰 등등)에게 전달하여 원활한 사고 처리 및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컨트롤 센터로서, 실시 예에 따라 경찰청, 소방서, 구청, 지자체, 혹은 병원 등이거나 혹은 이들의 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센터는 입수시스템(40)과 전송시스템(50)으로 구성되고, 상기 입수시스템(40)은 조종자의 기본정보를 수집하여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하는 동시에 채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모듈(42)과, 조종자의 기본정보를 토대로 정당한 사용자라면 채널을 형성 후 드론이 촬영한 영상정보를 전송받아 인코딩하는 영상 인코딩모듈(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입수시스템(40)의 데이터 수집모듈(42)은 영상정보 뿐만 아니라 각 분야이 시청자들이 용이하게 현장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드론/조종자의 위치정보와 비행정보 등도 같이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뿐만 아니라 해당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기본정보(소속,이름,연락처)와 위치정보도 같이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즉, 상기 입수시스템(40)은 영상DB(43)와 정보DB(46)를 포함하야 이루어지고, 상기 영상DB(43)와 정보DB(46)은 실시 예에 따라 외부 클라우드 시스템을 통해 구축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영상DB(43)는 복수의 드론이 원거리와 근거리에서 다각도로 멀티 촬영하면서 각각의 드론별로 촬영한 영상정보를 식별할 수 있게 조정자 기본정보를 토대로 분할하여 저장하는 영상분할 저장모듈(44)과, 각각의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에 해당 지역의 맵을 반응시킬 수 있도록 Meta정보모듈(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 지정된 플렛폼에 맞춰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더불어 상기 정보DB(46)는 입수시스템을 통해 수집한 드론/조종자의 위치정보와 서비스를 요청한 시청자들의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위치정보 관리모듈(47)을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시청자와 조정자/드론의 위치를 표시하여 줄 수 있게 지원해 주고, 더불어 수집된 드론의 비행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경로정보 관리모듈(48)을 통해 드론의 이동경로 및 위치 등을 시청자들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지원한다.
더불어 상기 정보DB(46)는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 전송할 때에 각 분야의 시청자들이 전송한 타임머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시청시점 관리모듈(49)을 통해 각각의 시청자가 자신이 원하는 시점으로 되돌려 다시 볼 수 있게 지원한다.
또한 전송시스템(50)은 드론이 촬영한 영상정보를 가공하여 각 분야의 시청자단말로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전송시스템(50)은 드론을 통해 촬영한 영상에 해당 지역의 맵과 함께 조종자/드론의 위치와 서비스를 요청한 시청자의 위치를 반영한 영상으로 가공하는 데이터 가공모듈(42)과, 가공된 영상정보를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시청자 단말로 스트리밍 전송하기 위한 영상 스트림모듈(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전송시스템(50)의 영상 스트림모듈(51)은 실시 예에 따라 가공된 영상정보 또는 시청자의 위치정보와 기타정보 등을 조종자단말로 실시간 전송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데이터 가공모듈(52)에 의해 공지사항이나 현장의 주의사항 등을 자막 처리한 가공된 영상을 시청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더불어 전송시스템(50)은 입수시스템을 통해 시청자 단말로부터 타임머신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데이터 가공모듈(52)은 타임머신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을 설정된 시간에 맞춰 재전송하여 줌으로써 각각의 시청자들이 원하는 목적(예, 의료요원 등은 부상자 색출 및 구조, 소방대원들은 화재상황 확인 및 진압, 경찰들은 주변상황 통제 등등)에 맞춰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다시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타임머신 정보는 현재의 시간을 기준으로 이전시간이거나 혹은 실제 드론이 해당 지역을 촬영한 시간이거나 혹은 비행 중인 드론의 위치를 기준으로 촬영된 영상을 호출하여 해당 시청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시청자 단말(60)은 시청자 앱을 통해 센터와의 채널 연결에 관여하여 드론이 촬영한 하나 이상의 영상을 실시간 전송받아 재생하는 단말로서, 대표적으로 시청자 앱 설치 및 통신망에 접속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청자 단말(60)은 시청자 앱이 활성화되었을 때에 등록된 시청자의 기본정보(예, 이름, 단말기 번호, 소속 등등)를 센터로 전송하여 정당한 시청자인지 식별되게 하기 위한 시청자 기본정보모듈(61)과, 상기 시청자 단말이 시청자 기본정보모듈에 의해 정당한 사용임이 확인되면 전송시스템으로부터 드론이 촬영한 영상정보를 실시간 전송받아 화면(69)상에 재생하기 위한 드론 라이브 재생모듈(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시청자 단말(60)은 시청자 앱을 통해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어 복수의 드론이 촬영한 영상 중 어느 하나만을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영상을 통해 다수의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동시 시청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시청자 단말(60)은 시청자 앱을 통해 센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채널을 형성하였을 때에 시청자의 위치를 확보하여 수집시스템으로 전송하는 GPS 위치정보모듈(62)과 함께, 상기 전송시스템으로부터 가공된 영상정보를 전송받아 드론이 촬영한 영상과 함께 맵(68) 상에 시청자의 위치(68b) 및 조종자의 위치(68c) 그리고 드론의 위치(68a) 등을 통합한 영상을 화면(69)상에 표출하여 주는 위치정보 통합표출모듈(65)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각각의 시청자들이 원하는 목적에 맞춰 자신과 드론 사이의 거리 및 위치 등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서포트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시청자 단말(60)은 드론을 통해 촬영된 현장의 영상정보를 실시간 전송받아 재생할 때에, 타임머신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을 원하는 시점으로 되돌려 재전송 받도록 하는 타임머신 정보생성모듈(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타임머신 정보생성모듈(64)은 시청자 앱을 통해 센터로부터 현장의 영상정보를 실시간 전송받아 시청할 때에 슬라이드바(66) 혹은 타이머 혹은 위치지정 방식을 통해 타임머신 정보를 생성하여 각 분야의 시청자들(예, 경찰, 소방관, 의료진 등등)이 원하는 시점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을 재 전송받아 반복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타임머신 정보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바(66)를 통해 현재의 시간을 기준으로 이전시간(예, -10분)이거나 혹은 타이머(67)를 통해 설정할 수 있는 실재 드론이 촬영한 시간(예, 12시 04분)을 기준으로 한 것일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드론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한 것일 수도 있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시간 설정할 필요없이 각각의 시청자가 관할하는 영역이나 관심지역만을 맵(68) 상에 지정하거나 혹은 특정 드론을 선택한 후 이동경로에 맞춰 특정 지역으로 드래그 하였을 때에, 해당 지점(68d)에서 드론이 촬영된 영상을 피드백 전송받아 용이하게 현장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드론과, 드론 조종기와, 조종기 단말과, 센터의 입수시스템 및 전송시스템과, 시청자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각 분야의 시청자들이 현장에 투입되기 전에 미리 사고 상황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고,
특히 타임머신 기능을 통해 각각의 시청자들이 목적에 맞춰 원하는 내용을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드론의 위치와 사용자의 위치 및 거리 등을 통해 용이하게 전체 상황을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에서는 실시 예에 따라 비행중인 드론의 이동했던 지역만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반투명한 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레이어를 맵 위로 오버레이시켜 흐릿하게 맵이 뷰잉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레이어가 비행중인 드론의 동선에 맞춰 촬영영역만큼 이레이져되면서 투명하게 맵이 뷰잉되게 함으로써 각각의 드론이 수색했던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의 영역을 동시에 식별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간단하게 예를 들어 설명하면 드론이 자신의 땅(맵)에 농약을 살포할 때에 농약을 살포한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을 즉시 식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이때의 레이어는 맵과 동일한 비율의 축척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의 고도 값을 추출한 후 상기 고도 값과 카메라의 화각을 통해 삼각함수에 따라 촬영영역을 연산하고 고도변화에 따라 연산된 촬영영역 만큼 이레이져 하면서 고도변화에 따라 미촬영한 지역이 있는지 없는지 자세히 식별되게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의 드론의 이동속도가 빨르거나 고도가 높아 주변을 고속촬영하게 될 때에는 이레이져되면서 투명화되는 정도를 낮추고, 반대로 드론의 이동속도가 느리게 혹은 저고도에서 주변을 정밀촬영하게 될 때에는 이레이져되면서 투명화되는 정도를 높일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에서는 실시 예에 따라 맵 상에 특정지역을 의심지역을 설정할 수 있게 구성하고, 동시에 의심지역 설정시 데이터베이스화된 위치정보 및 비행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경로별로 의심지역으로 설정된 영역에서 촬영한 드론의 영상정보만을 추출하여 정합하고 이를 별도의 뷰화면에 뷰잉시켜 관리자가 특정지역의 영상만을 손쉽게 볼 수 있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드론 조종기에 조종기 단말을 장착한 후 상기 드론 조종기와 조종기 단말을 연결한다(S101).
그리고 상기 조종기 단말에 설치된 조종기용 앱을 활성화시켜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확보하는 한편 이를 센터로 전송하는 채널을 형성한다.(S102)
이때 조종기 단말이 통신모듈일로 이루어져 드론 또는 드론 조정기와 일체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드론과 드론 조정기가 비행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카메라 동작 시에 그 영상정보를 확보하는 한편 지정된 입수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채널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조종기 단말은 드론이 촬영한 영상정보 뿐만 아니라 비행정보와 함께 드론/조종자의 위치정보 등도 같이 확보하여 센터의 입수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고,(S103)
상기 입수시스템은 조종자의 기본정보를 토대로 정당한 사용자임이 확인되면 채널 형성 후 드론의 영상정보 뿐만 아니라 위치정보와 비행정보 등을 수집하고(S104), 데이터베이스화한다.(S106)
이때 입수시스템은 실시 예에 따라 시청자의 기본정보를 토대로 서비스를 요청한 시청자 단말과 채널 형성하였을 때에 시청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보할 수도 있다.(S105)
그리고 전송시스템은 드론이 촬영한 영상정보에 해당 지역의 맵과 함께 조종자/드론의 위치 및 시청자의 위치 등을 반영한 가공된 영상을 생성한 후(S107), 이를 실시간으로 접속한 시청자 단말로 중계한다.(S108)
이때 전송시스템은 조종자 단말로 가공된 영상정보 또는 시청자의 위치정보 나 기타 정보 등을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시청자 단말과 조종자 단말은 드론이 촬영한 영상 혹은 가공된 영상을 실시간 재생함으로써 시청자들이 드론의 위치와 조종자의 위치 및 거리 등을 용이하게 확인하고 전체 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이다.(S109, S110)
그리고 각 분야의 시청자 들이 시청자 단말을 터치하여 슬라이드바 혹은 타이머 혹은 특정지점 선택시 타임머신 정보 생성하게 되면,(S200)
이를 시청자단말은 타임머신 정보를 입수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입수시스템은 이를 수집한 후(S201), 설정시간을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정보를 호출한 후(S202), 상기 전송시스템을 통해 시청자단말로 재정송하는 것이다.(S203)
그리고 상기 시청자단말은 영상정보를 재 전송받아, 각각의 시청자들이 자신이 관할하는 지역이나 관심 있는 지역을 재탐색(확인)하여 각각의 시청자들이 원하는 목적을 이룰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이다.(S204)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 및 균등이론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원격 비행가능하게 구성되고 주변상황을 촬영할 수 있게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는 드론;
    상기 드론의 비행 및 움직임을 원격 조종하기 위한 드론 조종기;
    상기 드론 조종기와 연결되어 활성화되었을 때에 비행 중인 드론을 통해 촬영된 현장의 영상정보를 확보하여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입수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조종기 단말;
    각각의 조종기 단말을 통해 드론이 촬영한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입수시스템;
    상기 입수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화한 영상정보를 가공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시청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시스템;
    시청자 앱이 활성화되었을 때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시스템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실시간 전송받아 재생하는 시청자단말;
    을 포함하여 구성된 드론의 영상 위치 타임머신 다중 중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시스템과 전송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조종기 단말이 확보한 영상정보를 시청자단말이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할 때에,
    상기 입수시스템은 조종기 단말을 통해 드론의 위치와 함께 조종자의 개인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동시에 시청자 단말의 개인정보,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전송시스템은 입수시스템을 통해 확보한 드론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에 해당 지역의 맵과 함께 위치정보를 반영한 영상정보를 가공하여 각각의 시청자 단말로 전송하여 드론과의 위치 및 거리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구성된 드론의 영상 위치 타임머신 다중 중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단말은 드론을 통해 촬영된 현장의 영상정보를 실시간 전송받아 재생할 때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영상을 원하는 시점으로 피드백 시켜 재전송 받도록 하는 타임머신 정보를 생성하고 피드백된 영상을 전송받아 표출하는 하는 드론의 영상 위치 타임머신 다중 중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단말의 타임머신 정보는 슬라이드바를 통해 현재의 시간을 기준으로 이전시간 정보이거나 혹은 타이머를 통해 설정한 실재 드론이 촬영한 시간으로 구성된 드론의 영상 위치 타임머신 다중 중계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단말의 타임머신 정보는 맵 상에 특정 지점의 위치를 지정하거나 드래그하게 되면 해당 지점에서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피드백 전송받도록 구성된 드론의 영상 위치 타임머신 다중 중계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단말은 전송시스템을 통해 드론이 촬영한 영상에 공지사항이나 현장의 주의사항이 자막 처리된 영상을 실시간 전송받도록 구성된 드론의 영상 위치 타임머신 다중 중계 시스템.
PCT/KR2021/006700 2020-05-28 2021-05-28 드론의 영상 위치 타임머신 다중 중계 시스템. WO202124205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629A KR102485362B1 (ko) 2020-05-28 2020-05-28 드론의 영상 위치 타임머신 다중 중계 시스템.
KR10-2020-0064629 2020-05-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2054A1 true WO2021242054A1 (ko) 2021-12-02

Family

ID=7874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6700 WO2021242054A1 (ko) 2020-05-28 2021-05-28 드론의 영상 위치 타임머신 다중 중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5362B1 (ko)
WO (1) WO20212420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951B1 (ko) * 2023-08-09 2024-02-21 (주)모빌리티원 이기종 드론/로봇 통합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990A (ko) * 2015-04-07 2016-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80093769A1 (en) * 2015-09-29 2018-04-05 Tyco Fire & Security Gmbh Search and Rescue UAV System and Method
US20190005419A1 (en) * 2016-02-05 2019-01-03 Fredrick T Howard Time Limited Image Sharing
KR101974190B1 (ko) * 2017-06-07 2019-04-30 김헌일 모바일 단말, 서비스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원격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35692A (ko) *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케이티 드론 관제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659B1 (ko) * 2014-12-29 2021-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990A (ko) * 2015-04-07 2016-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80093769A1 (en) * 2015-09-29 2018-04-05 Tyco Fire & Security Gmbh Search and Rescue UAV System and Method
US20190005419A1 (en) * 2016-02-05 2019-01-03 Fredrick T Howard Time Limited Image Sharing
KR101974190B1 (ko) * 2017-06-07 2019-04-30 김헌일 모바일 단말, 서비스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여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원격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35692A (ko) *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케이티 드론 관제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362B1 (ko) 2023-01-05
KR20210147418A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39077A1 (ko)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24011B1 (ko) 정찰 드론과 화재 진압 드론을 포함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US20140313411A1 (en) Portable real-time video signal capturing, transforming and relay system for transmitting high fedelity video imagery by wifi to portable video imaging devices
CN206481394U (zh) 广角视野视频会议促进系统
WO2016137146A1 (ko) 무인비행체가 탑재된 이동통신단말기
CN108241349A (zh) 消防无人机集群系统及消防方法
WO2016137055A1 (ko) 정보통신기술 기반 무인 경계 시스템
WO2018030880A2 (ko) 비행 및 촬영 통제장치를 구비한 무인 비행체
KR101840922B1 (ko) 드론을 이용한 가입자 서비스 방법
WO2016065513A1 (zh) 飞行器的位置提示方法及装置
KR101882452B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화재예방드론 시스템
US20170269590A1 (en) Controlled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the same
CN107359889A (zh) 基于物联网的消防人员定位系统
WO2021242054A1 (ko) 드론의 영상 위치 타임머신 다중 중계 시스템.
JP2012006743A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CN109388230A (zh) Ar消防应急指挥推演系统平台、ar消防头盔
WO2017107275A1 (zh) 一种多功能无人机及无人机控制系统
WO2021117933A1 (ko)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WO2019198868A1 (ko) 무인기와 무선단말기 간의 상호 인식 방법
WO2015053513A1 (ko) 위급 상황 판별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
CN207799435U (zh) 一种消防可视化智能应急指挥装置
GB2526575A (en) Communications system
WO2022045550A1 (ko) 실시간 원격지 영상 조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07788A (ko) 체감형 무인항공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8632526B (zh) 一种鸟类追踪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131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131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