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840B1 -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 및 이동형 기지국의 인명 구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 및 이동형 기지국의 인명 구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840B1
KR102500840B1 KR1020180069171A KR20180069171A KR102500840B1 KR 102500840 B1 KR102500840 B1 KR 102500840B1 KR 1020180069171 A KR1020180069171 A KR 1020180069171A KR 20180069171 A KR20180069171 A KR 20180069171A KR 102500840 B1 KR102500840 B1 KR 102500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obile communic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2089A (ko
Inventor
박평수
조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069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840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05Moving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 및 이동형 기지국의 인명 구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은, 이동통신단말 및 지상 통제소와 무선통신하는 통신부; 재난지역으로 이동하는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체;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대응하여 조난자가 존재하는 재난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추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 및 이동형 기지국의 인명 구조 방법{MOBILE BASE STATION FOR LIFESAVING AND LIFESAVING METHOD IN THE MOBILE BAS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형 기지국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재난지역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이동형 기지국 및 그 이동형 기지국의 인명 구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진, 홍수, 산사태 등과 같은 자연적 재해 또는 가스 폭발, 고층건물의 붕괴 등과 같은 인위적 재해는 대규모로 광범위한 지역에 나타나며 예상하지 못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재해는 통제 불가능한 정도의 규모로 생명과 재산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재해 발생시 조난자가 발생한 경우 조난자를 찾기 위해 넓은 지역에 많은 인력을 투입하여 수색을 실시한다. 이는 조난자를 찾는데 시간이 많이 걸릴뿐만 아니라 인력이 투입되기 어려운 지역의 경우 수색 자체가 어려운 경우도 있어 조난자 수색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조난자 수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수색 작업이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한 이유는 조난자의 대략적인 위치도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난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재해 발생시 전력 및 정보통신망이 파괴될 경우 조난자의 이동통신단말과 통신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여전히 조난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9909호, " 드론을 이용한 적조 예찰 및 추적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재해 발생시 재난지역의 공중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조난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조난자를 구조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기지국 및 그 이동형 기지국의 인명 구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은, 이동통신단말 및 지상 통제소와 무선통신하는 통신부; 재난지역으로 이동하는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체;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대응하여 조난자가 존재하는 재난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추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대해 멀티 접속을 허용하여 재난지역에서 전송되는 모든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대해 초기 접속 절차 또는 상기 초기 접속 절차의 가입자 인증 단계를 생략하여 멀티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지상 통제소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 모듈이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를 상기 지상 통제소로 전송하는 라우터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우터 모듈은, 상기 지상 통제소로부터 무선자원을 할당받아 상기 기지국 모듈을 통해 재난지역에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가 기준치 이상인 재난지역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는 채널정보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가 존재하는 재난지역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를 수집하는 이동형 기지국; 및 상기 이동형 기지국 및 지상 기지국과 무선통신하는 지상 통제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기지국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대해 멀티 접속을 허용하여 재난지역에서 전송되는 모든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지상 통제소로 전송하고 상기 지상 통제소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기초하여 조난자 인원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기지국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대해 초기 접속 절차 또는 상기 초기 접속 절차의 가입자 인증 단계를 생략하여 멀티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지상 통제소는, 상기 지상 기지국을 통해 코어망에 접속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조난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기지국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가 기준치 이상인 재난지역의 위치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위치정보를 상기 지상 통제소로 전송하고 상기 지상 통제소는, 상기 측정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조난자 구조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는 채널정보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기지국은, 상기 지상 통제소로부터 무선자원을 할당받아 재난지역에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상 기지국 등이 파괴된 재난지역에서 이동형 기지국을 통해 조난자의 위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한 인명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형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의 통신부의 구성을 자세하게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의 기지국 모듈의 멀티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초기 접속 절차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의 지상 통제소가 타사 이동통신망의 MME와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LTE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의 인명 구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과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러면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 및 이동형 기지국의 인명 구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형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의 통신부의 구성을 자세하게 설명하는 블럭도이고, 도 4는 도 3의 기지국 모듈의 멀티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초기 접속 절차에 관한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1의 지상 통제소가 타사 이동통신망의 MME와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LTE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를 참고하면,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은 이동형 기지국(100), 지상 통제소(200) 그리고 지상 기지국(300)을 포함한다.
이동형 기지국(100)은 공중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무인 비행체 형태로 제작되며, 무선 통신 시스템이 붕괴 된 재난지역으로 이동하여 해당 재난지역의 무선신호를 수집하여 지상 통제소(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지역이 광범위한 경우, 이동형 기지국(100)은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를 추적하고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가 존재하는 재난지역의 상공으로 이동하여 무선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이동형 기지국(100)은 통신부(110), 카메라(120), 추진체(130), 위치 측정부(140), 그리고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이동통신단말 및 지상 통제소(2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조난자의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지상 통제소(2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지상 통제소(200)로부터 무선자원을 할당받아 재난지역에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통신부(110)는 기지국 모듈(111) 그리고 라우터 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모듈(111)은,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대해 멀티 접속을 허용하여 재난지역에서 전송되는 모든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신호는, 이동통신단말의 국제 이동국 식별번호(IMS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채널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국제 이동국 식별번호(IMSI)는 이동국가코드(MCC), 이동네트워크코드(MNC), 이동가입자식별번호 및 국가이동가입자식별번호(MSIN)을 포함한다. 채널정보(CQI)는 이동통신단말이 자신이 위치한 장소에서 무선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 모듈(111)은, 재난지역에서 전송되는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대해 초기접속절차(Initial Attach Procedure)를 수행하지 않거나, 수행하더라도 가입자 인증(Authentication)을 수행하지 않는 멀티 접속을 허용하여 조난자가 가입한 이동통신사의 종류를 불문하고 모든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이동통신단말이 전원을 켜고 LTE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이동통신사는 초기 접속 절차(Initial Attach Procedure)를 수행한다. 즉, 이동통신사는 단말의 국제 이동국 식별번호(IMSI) 획득(UE ID Acquisition), 가입자 인증(Authentication), NAS 보안키 생성(NAS Security Setup), 위치 등록(Location Update), 망-무선자원 할당(EPS Session Establishment)을 수행하여 이동통신단말에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동통신사는 가입자 인증(Authentication) 과정에서, 접속한 이동통신단말이 당해 이동통신사 가입자에 해당하는지를 인증하고 인증되는 경우에 해당 이동통신단말의 망 접속을 허용하나, 기지국 모듈(111)은 가입자 인증(Authentication)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타사 이동통신사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에서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라우터 모듈(113)은, 지상 통제소(2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기지국 모듈(111)이 수신한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를 지상 통제소(200)로 전송할 수 있다. 라우터 모듈(113)은, 지상 통제소(200)로부터 무선자원을 할당받아 기지국 모듈(111)을 통해 재난지역에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120)는, 비행하거나 호버링 상태에 있는 동안 재난지역을 포함한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0)는, 적외선 카메라, 가시광선 카메라, 360도 회전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진체(130)는 제어부(150)의 제어로 재난지역으로 이동형 기지국(100)을 이동시키는 추진력을 제공하며, 예를 들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4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이동형 기지국(10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03)는 GPS 수신기 등을 포함하여 이동형 기지국(100)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위치 측정부(140)에서 측정된 위치 정보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 등의 저장 수단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측정부(140)는 이동통신단말의 채널정보(CQI) 신호가 기준치 이상인 재난지역의 위치정보를 측정하여 지상 통제소(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동형 기지국(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카메라(12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신호, 통신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 등을 종합하여 조난자가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재난지역으로 추진체(130)를 제어하여 이동형 기지국(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재난지역에서 수집한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를 지상 통제소(200)로 전송할 수 있다.
지상 통제소(200)는, 이동형 기지국(100)에서 전송되는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포함된 국제 이동국 식별번호(IMSI), 위치정보 등을 분석하여 재난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상 통제소(200)는,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포함된 국제 이동국 식별번호(IMSI)에 기초하여 이동통신단말의 개수에 대응하는 재난규모(ex, 조난자 인원)를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지상 통제소(200)는, 지상 기지국(300)을 통해 LTE 코어망에 접속하여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포함된 국제 이동국 식별번호(IMSI)에 기초하여 조난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지상 통제소(200)는, 이동형 기지국(100)으로부터 전송된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가 기준치 이상인 재난지역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조난자 구조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고하면, 지상 통제소(200)는 지상 기지국(300)을 통해 LTE 코어망의 타사 이동통신사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20)에 접속하고, 이동통신단말의 식별번호(IMSI)에 기초하여 타사 이동통신사의 가입자인 조난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기지국(eNB)(10)은 이동형 기지국(100), 지상 통제소(200) 및 지상 기지국(300)의 기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기지국(100)은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를 지상 통제소(200)로 전송하고, 지상 통제소(200)는 지상 기지국(300)을 통해 LTE 코어망에 접속할 수 있다. 지상 통제소(200)는, 이동형 기지국(100)과 지상 기지국(300) 사이의 무선통신을 중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형 기지국(100)과 지상 기지국(300)이 인접하는 경우, 이동형 기지국(100)은 직접 지상 기지국(300)에 접속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지상 기지국(300)은, 이동형 기지국(100) 또는 지상 통제소(200)와 LTE 네트워크 간에 무선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상 기지국(300)은, 일정 위치에 고정된 LTE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기지국의 인명 구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이동형 기지국(100)은 무선 통신 시스템이 붕괴 된 재난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재난지역이 광범위한 경우, 이동형 기지국(100)은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를 추적하여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가 존재하는 재난지역의 상공으로 이동할 수 있다(S10).
다음으로, 이동형 기지국(100)은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대해 멀티 접속을 허용하여 재난지역에서 전송되는 모든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지상 통제소(200)로 전송할 수 있다(S20). 여기서, 무선신호는, 이동통신단말의 국제 이동국 식별번호(IMS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채널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국제 이동국 식별번호(IMSI)는 이동국가코드(MCC), 이동네트워크코드(MNC), 이동가입자식별번호 및 국가이동가입자식별번호(MSIN)을 포함한다. 채널정보(CQI)는 이동통신단말이 자신이 위치한 장소에서 무선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이동형 기지국(100)은 재난지역에서 전송되는 모든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대해 초기접속절차(Initial Attach Procedure)를 수행하지 않거나, 수행하더라도 가입자 인증(Authentication)을 수행하지 않는 멀티 접속을 허용하여 조난자가 가입한 이동통신사의 종류를 불문하고 모든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동형 기지국(100)은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가 기준치 이상인 재난지역의 위치정보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위치정보를 지상 통제소(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는 채널정보(CQI)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상 통제소(200)는 이동형 기지국(100)에서 전송되는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를 분석하여 재난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S30). 예를 들어, 지상 통제소(200)는, 이동형 기지국(100)에서 전송되는 이동통신단말의 개수에 기초하여 재난규모(ex, 조난자 인원)를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지상 통제소(200)는 지상 기지국(300)을 통해 LTE 코어망에 접속하여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조난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고하면, 지상 통제소(200)는 지상 기지국(300)을 통해 LTE 코어망의 타사 이동통신사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20)에 접속하고, 이동통신단말의 식별번호(IMSI)에 기초하여 타사 이동통신사의 가입자인 조난자 정보도 수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상 통제소(200)는 이동형 기지국(100)으로부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가 기준치 이상인 재난지역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조난자 구조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40).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이동형 기지국 110: 통신부
120: 카메라 130: 추진체
140: 추진체 150: 제어부
200: 지상 통제소 300: 지상 기지국

Claims (14)

  1.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 및 지상 통제소와 무선통신하고, 재난지역의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이동통신사의 망에 접속하도록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부;
    재난지역으로 이동하는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체;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조난자가 존재하는 재난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추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신호는, 채널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정보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한 장소에서 무선채널품질을 측정하여 상기 이동형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정보인, 이동형 기지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대해 멀티 접속을 허용하여 재난지역에서 전송되는 모든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형 기지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대해 초기 접속 절차 또는 상기 초기 접속 절차의 가입자 인증 단계를 생략하여 멀티 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이동형 기지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지상 통제소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 모듈이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를 상기 지상 통제소로 전송하는 라우터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이동형 기지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 모듈은,
    상기 지상 통제소로부터 무선자원을 할당받아 상기 기지국 모듈을 통해 재난지역에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형 기지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가 기준치 이상인 재난지역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기지국.
  7. 삭제
  8.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조난자가 존재하는 재난지역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를 수집하는 이동형 기지국; 및
    상기 이동형 기지국 및 지상 기지국과 무선통신하는 지상 통제소;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형 기지국은,
    상기 이동통신단말 및 상기 지상 통제소와 무선통신하고, 상기 재난지역의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이동통신사의 망에 접속하도록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무선신호는, 채널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정보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한 장소에서 무선채널품질을 측정하여 상기 이동형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정보인,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기지국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대해 멀티 접속을 허용하여 재난지역에서 전송되는 모든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지상 통제소로 전송하고
    상기 지상 통제소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기초하여 조난자 인원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기지국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대해 초기 접속 절차 또는 상기 초기 접속 절차의 가입자 인증 단계를 생략하여 멀티 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통제소는,
    상기 지상 기지국을 통해 코어망에 접속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에 대응하는 조난자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기지국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무선신호가 기준치 이상인 재난지역의 위치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위치정보를 상기 지상 통제소로 전송하고
    상기 지상 통제소는, 상기 측정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조난자 구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
  13. 삭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기지국은,
    상기 지상 통제소로부터 무선자원을 할당받아 재난지역에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형 기지국 시스템.
KR1020180069171A 2018-06-15 2018-06-15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 및 이동형 기지국의 인명 구조 방법 KR102500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171A KR102500840B1 (ko) 2018-06-15 2018-06-15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 및 이동형 기지국의 인명 구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171A KR102500840B1 (ko) 2018-06-15 2018-06-15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 및 이동형 기지국의 인명 구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089A KR20190142089A (ko) 2019-12-26
KR102500840B1 true KR102500840B1 (ko) 2023-02-15

Family

ID=6910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171A KR102500840B1 (ko) 2018-06-15 2018-06-15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 및 이동형 기지국의 인명 구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045B1 (ko) * 2020-11-26 2023-12-12 주식회사 인포씨즈시스템 단말의 위치 측정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566B1 (ko) * 2015-09-01 2018-05-15 주식회사 에이디이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281B1 (ko) * 2015-09-23 2017-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차량용 조난 신호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1859909B1 (ko) 2016-06-07 2018-05-21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적조 예찰 및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33024A (ko) * 2016-09-23 2018-04-02 김기봉 조난 사고 감지용 드론 시스템
KR102325827B1 (ko) * 2016-09-26 2021-11-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해상 조난자 위치 수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566B1 (ko) * 2015-09-01 2018-05-15 주식회사 에이디이 드론을 이용한 재난용 이동 기지국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089A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4763B2 (en) Tactical rescue wireless base station
JP7367823B2 (ja) User equipmentのための方法
JP7396444B2 (ja) User equipment及びUser equipmentのための方法
US101045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equipment identification in a network
JP7306540B2 (ja) 無線端末、マスターノード、及びこれらにより行われる方法
EP3709709B1 (en) Method and devi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handover and base station
US201700944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emergency situation
US20210315051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autonomous emergency assistance
KR102500840B1 (ko)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 및 이동형 기지국의 인명 구조 방법
KR102166916B1 (ko) 조난자 구조를 위한 공중 이동 기지국 및 공중 이동 기지국의 조난자 구조 방법
US11516767B2 (en) Network node, user equipment, and method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2024012157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first responder networks
JP2024507769A (ja) 第1対応者ネットワーク内での自動測位のための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
EP4178265A1 (en) Terminal device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111866872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EP3466033B1 (en) Location information protection
KR20190143046A (ko) 이동형 기지국
US20220371731A1 (en) Control apparatus, first mobile termina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16082493A1 (zh) 一种终端设备及其预警方法
KR102508506B1 (ko)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 및 이동형 기지국의 인명 구조 방법
CN117158003A (zh) 用于第一响应者网络的无线通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