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916B1 - 조난자 구조를 위한 공중 이동 기지국 및 공중 이동 기지국의 조난자 구조 방법 - Google Patents

조난자 구조를 위한 공중 이동 기지국 및 공중 이동 기지국의 조난자 구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916B1
KR102166916B1 KR1020190063743A KR20190063743A KR102166916B1 KR 102166916 B1 KR102166916 B1 KR 102166916B1 KR 1020190063743 A KR1020190063743 A KR 1020190063743A KR 20190063743 A KR20190063743 A KR 20190063743A KR 102166916 B1 KR102166916 B1 KR 102166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victim
base station
mobi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6994A (ko
Inventor
심정훈
권영대
장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90136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05Moving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조난자가 발생한 지역의 공중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조난자의 단말을 탐색하여 조난자를 구조하기 위한 공중 이동 기지국 및 그 공중 이동 기지국의 조난자 구조 방법이 개시된다. 일 측면에 따른 조난자 구조를 위한 공중 이동 기지국은, 상기 조난자의 단말과 통신하는 단말 통신부; 백홀과 통신하는 백홀 통신부; 및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을 추적하기 위한 추적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응답 신호에서 상기 단말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백홀 통신부를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적 신호에 적어도 둘 이상의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난자 구조를 위한 공중 이동 기지국 및 공중 이동 기지국의 조난자 구조 방법{AIR MOBILE BASE STATION FOR RESCUING THE VICTIM AND METHOD FOR RESCUING THE VICTIM IN THE AIR MOBILE BASE STATION}
본 발명은 공중 이동 기지국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산간이나 해양 조난자 발생시 조난자를 구조하기 위한 공중 이동 기지국 및 그 공중 이동 기지국의 조난자 구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진, 홍수, 산사태 등과 같은 자연적 재해 또는 가스 폭발, 고층건물의 붕괴 등과 같은 인위적 재해는 대규모로 광범위한 지역에 나타나며 예상하지 못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재해는 통제 불가능한 정도의 규모로 생명과 재산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재난 등 여러가지 사유로 조난자가 발생한 경우 조난자를 찾기 위해 넓은 지역에 많은 인력을 투입하여 수색을 실시한다. 이는 조난자를 찾는데 시간이 많이 걸릴뿐만 아니라 인력이 투입되기 어려운 지역의 경우 수색 자체가 어려운 경우도 있어 조난자 수색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조난자 수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수색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한 이유는 조난자의 대략적인 위치도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난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재해 발생시 전력 및 정보통신망이 파괴될 경우 조난자의 이동통신단말과 통신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여전히 조난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조난자가 발생한 지역의 공중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조난자의 단말을 탐색하여 조난자를 구조하기 위한 공중 이동 기지국 및 그 공중 이동 기지국의 조난자 구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조난자 구조를 위한 공중 이동 기지국은, 상기 조난자의 단말과 통신하는 단말 통신부; 백홀과 통신하는 백홀 통신부; 및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을 추적하기 위한 추적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응답 신호에서 상기 단말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백홀 통신부를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적 신호에 적어도 둘 이상의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정보를 저장부에 임시 저장한 후, 상기 백홀이 사용 가능하게 될 때 상기 임시 저장한 상기 단말의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공중 이동 기지국은,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된 지점의 상기 현재 위치의 정보를 상기 백홀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공중 이동 기지국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된 지점의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상기 현재 위치의 정보를 상기 백홀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공중 이동 기지국의 조난자 구조 방법은, 조난자의 단말을 추적하기 위한 추적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상기 추적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응답 신호에서 상기 단말의 정보를 추출하여 백홀을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는, 상기 추적 신호에 적어도 둘 이상의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상기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정보를 저장부에 임시 저장한 후, 상기 백홀이 사용 가능하게 될 때 상기 임시 저장한 상기 단말의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조난자 구조 방법은,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된 지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정보와 상기 현재 위치의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조난자 구조 방법은,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된 지점의 주변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상기 현재 위치의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난지역에서 조난자의 가입 통신사와 상관없이 조난자 단말의 신호를 확인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조난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조난자가 통신 서비스가 불가능한 음영지역에 있더라도 조난자의 위치 및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이동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이동 기지국이 통신 서비스 불가 지역으로 이동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이동 기지국의 조난자 구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이동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공중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무인 비행체 형태로 제작되며, 무선 통신 시스템이 붕괴된 재난지역으로 이동하여 해당 재난지역에서 조난자의 단말의 신호를 수집하여 관제 서버로 전송한다.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재난지역에서 조난자의 단말의 신호를 수집하고 신호가 수집되는 재난지역의 상공으로 가깝게 이동하여 조난자를 추적한다. 도 1를 참고하면,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단말 통신부(110), 백홀 통신부(120), 카메라(130), 추진체(140), 위치 측정부(150), 제어부(160) 및 저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조난자의 단말을 추적하기 위한 추적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한다. 단말 통신부(110)는 조난자의 단말을 추적하기 위한 추적 신호에 이동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식별번호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추적 신호에는 공중 이동 기지국(110)이 이동하는 해당 국가의 모든 이동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단말 통신부(110)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전송한다. 재난지역에 이동통신단말이 존재하면,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추적 신호에 자신이 가입된 이동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 식별번호(즉, HomePLMN)가 있으므로 해당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 통신부(110)는 이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응답 신호는 예를 들어, TAU(Tracking Area Update) 신호 등을 포함하고, 응답 신호에서 수집되는 단말 정보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전화번호 등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단말 통신부(110)는 수집되는 단말 정보를 저장부(170)에 저장한다.
백홀 통신부(120)는, 공중 이동 기지국(100)이 통신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되어 백홀의 신호가 감지되면, 백홀에서 지원하는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사용하여 백홀과 시그널링을 설정하고,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조난자의 정보를 백홀을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백홀은 무선 백홀로서 LTE 라우터, Wi-Fi, 위성 등이다. 여기서 조난자의 정보는, 위치 정보, 영상 정보, 단말 식별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110)는 이동통신단말을 추적하기 위해 해당 국가의 모든 이동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 식별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였지만, 백홀 통신부(120)는 백홀의 신호 감지시 해당 백홀에서 지원하는 네트워크 식별번호만을 사용하여 백홀과 시그널링을 설정한다.
카메라(13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공중 이동 기지국(100)의 주변을 촬영한다. 바람직하게 카메라(130)는 적외선 카메라, 가시광선 카메라, 360도 회전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30)는 틸팅 구조물에 고정되어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상하좌우 이동하여 촬영을 할 수 있다. 카메라(13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70)에 저장된다.
추진체(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공중 이동 기지국(100)을 이동시키는 추진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추진체(140)는, 프로펠러, 모터,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드론이나 무인 비행체의 추진 기술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추진체(140)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위치 측정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공중 이동 기지국(10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60)는 GPS 수신기 등을 포함하여 공중 이동 기지국(100)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여기서 위치는 위경도 및 고도 정보를 포함한다. 위치 측정부(150)에서 측정된 위치 정보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공중 이동 기지국(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단말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추적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여 조난자의 단말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부(170)에 저장하고, 백홀 통신부(120)를 제어하여 백홀에 접속하여 조난자의 정보를 관제 서버로 전송하며, 카메라(130)를 제어하여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70)에 저장한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추진체(140)를 제어하여 공중 이동 기지국(100)을 이동시키며, 위치 측정부(150)를 제어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저장부(170)에 저장한다. 제어부(16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저장부(17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조난자의 정보로서, 단말 정보, 영상 데이터 및 위치 정보를 저장부(170)에서 조회하여 백홀 통신부(120)를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한다. 조난자의 정보는 백홀을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이동 경로 정보에 따라 재난 지역을 이동하도록 추진체(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상기 단말 통신부(110)에서 수집된 단말 정보, 상기 카메라(13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 상기 위치 측정부(150)에서 측정된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70)는, 재난지역을 이동하기 위한 이동 경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이동 기지국이 통신 서비스 불가 지역으로 이동하는 예를 나타낸다. 재난 발생시 조난자의 단말이 접속 가능한 기지국이 파괴되어 조난자의 단말에서 송신되는 정보가 없어 조난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다. 공중 이동 기지국(100)는 해당 재난지역으로 이동한다(210).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조난자의 단말을 추적하기 위한 추적 신호에 해당 국가의 모든 이동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포함하여 전송한다(220). 여기서 네트워크 식별번호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전송한다. 재난지역에 이동통신단말이 존재하면,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추적 신호에 자신이 가입된 이동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 식별번호(즉, HomePLMN)가 있으므로 해당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이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230). 상기 응답 신호는 예를 들어, TAU(Tracking Area Update) 신호 등을 포함하고, 응답 신호에서 수집되는 단말 정보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전화번호 등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또한 카메라를 통해 주변을 촬영한 후, 현재 위치 정보와 촬영 영상 데이터 그리고 상기 응답 신호로부터 추출한 단말 정보를 임시 저장한다.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방향으로 고도를 낮추어 이동하며 계속하여 추적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응답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현재 위치 정보와 촬영 영상 데이터 그리고 단말 정보를 임시 저장한다.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백홀 접속이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하여, 상기 임시 저장하였던 위치 정보, 촬영 영상 데이터 및 단말 정보를 백홀을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한다(24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이동 기지국의 조난자 구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01에서,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재난지역으로 이동한다. 단계 S302에서,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조난자의 단말을 추적하기 위한 추적 신호에 해당 국가의 모든 이동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트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식별번호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전송한다.
단계 S303에서,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상기 추적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단계 S301 및 단계 S302를 다시 수행하여 조난자의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단계 S304에서,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조난자의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응답 신호에서 단말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부(170)에 저장한다. 또한 단계 S305에서,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저장부(170)에 저장한다. 현재 위치 정보는 위/경도, 고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S306에서,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카메라로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70)에 저장한다.
실시 형태에 따라,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응답 신호가 수신된 방향으로 고도를 낮추어 이동하여 단계 S302 내지 단계 S306을 반복 수행하여 단말 정보, 촬영 영상 데이터 및 위치 정보를 저장부(170)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307에서,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백홀이 사용 가능한지 확인한다. 백홀 사용이 가능한 경우, 단계 S309에서,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저장부(170)에 저장된 조난자 정보, 즉 단말 정보, 영상 데이터 및 위치 정보를 백홀을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한다. 백홀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단계 S308에서, 공중 이동 기지국(100)은 백홀 사용이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하고, 저장부(170)에 저장된 조난자 정보, 즉 단말 정보, 영상 데이터 및 위치 정보를 백홀을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한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공중 이동 기지국
110 : 단말 통신부
120 : 백홀 통신부
130 : 카메라
140 : 추진체
150 : 위치 측정부
160 : 제어부
170 : 저장부

Claims (13)

  1. 조난자 구조를 위한 공중 이동 기지국으로서,
    상기 조난자의 단말과 통신하는 단말 통신부;
    백홀과 통신하는 백홀 통신부; 및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을 추적하기 위한 추적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응답 신호에서 상기 단말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백홀 통신부를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적 신호에 적어도 둘 이상의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트하되,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의 정보를 저장부에 임시 저장한 후, 상기 백홀이 사용 가능하게 될 때 상기 임시 저장한 상기 단말의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공중 이동 기지국.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된 지점의 상기 현재 위치의 정보를 상기 백홀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이동 기지국.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된 지점의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상기 현재 위치의 정보를 상기 백홀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이동 기지국.
  7. 공중 이동 기지국의 조난자 구조 방법에 있어서,
    조난자의 단말을 추적하기 위한 추적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상기 추적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응답 신호에서 상기 단말의 정보를 추출하여 백홀을 통해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는,
    상기 추적 신호에 적어도 둘 이상의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트하되,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정보를 저장부에 임시 저장한 후, 상기 백홀이 사용 가능하게 될 때 상기 임시 저장한 상기 단말의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조난자 구조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된 지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정보와 상기 현재 위치의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자 구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된 지점의 주변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상기 현재 위치의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자 구조 방법.
  13. 제 7 항,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63743A 2018-05-30 2019-05-30 조난자 구조를 위한 공중 이동 기지국 및 공중 이동 기지국의 조난자 구조 방법 KR1021669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996 2018-05-30
KR20180061996 2018-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994A KR20190136994A (ko) 2019-12-10
KR102166916B1 true KR102166916B1 (ko) 2020-10-16

Family

ID=6900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743A KR102166916B1 (ko) 2018-05-30 2019-05-30 조난자 구조를 위한 공중 이동 기지국 및 공중 이동 기지국의 조난자 구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5427B2 (en) 2020-11-06 2023-10-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ltitude information of mobile base st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571B1 (ko) * 2022-01-06 2024-02-0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신호를 이용하여 실종자 탐색 및 측위가 가능한 드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2765A (ko) * 2007-12-28 2009-07-02 엘지노텔 주식회사 휴대용 기지국 시스템을 이용한 단말 위치 추적 장치 및 그방법과 그를 이용한 통화 처리 장치
KR102499881B1 (ko) * 2015-09-09 2023-02-15 주식회사 케이티 드론 기지국과 드론 기지국 관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5427B2 (en) 2020-11-06 2023-10-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ltitude information of mobile base st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994A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4763B2 (en) Tactical rescue wireless base station
EP3731056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flight path of unmanned aerial vehicle
CN107276661B (zh) 一种基于无人机群搜救的方法及系统
US7720458B2 (en) Rapidly deployable emergency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11500395B2 (en) Flight path control based on cell broadcast messages
KR101949709B1 (ko) 카메라와 이동통신 기지국 서비스가 가능한 vhf 및 uhf 무선백홀 기반의 드론을 이용한 실종자 수색 시스템
KR102166916B1 (ko) 조난자 구조를 위한 공중 이동 기지국 및 공중 이동 기지국의 조난자 구조 방법
US20170127245A1 (en) 4G Drone Link
US1137339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 moving platform to determine data associated with a target person or object
US20140213214A1 (en) Emergency number calling with personal communications devices
US11546955B2 (en) Sidelink-base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20150133073A1 (en) Emergency Catastrophic Communication System
Lemayian et al. First responder drones for critical situation management
Abrajano et al. Demonstrations of post-disaster resilient communications and decision-support platform with UAVs, ground teams and vehicles using delay-tolerant information networks on sub-GHz frequencies
KR101244986B1 (ko) 재난 정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2500840B1 (ko) 인명 구조를 위한 이동형 기지국 및 이동형 기지국의 인명 구조 방법
KR20180082974A (ko) 이동형 기지국 장치
EP429230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automatic positioning in first responder networks
KR102503849B1 (ko) 이동형 기지국 및 이동형 기지국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Vattapparamban People counting and occupancy monitoring using wifi probe requests and unmanned aerial vehicles
KR20190143046A (ko) 이동형 기지국
Malone III Wireless search and rescue: Concepts for improved capabilities
CN116546172A (zh) 图像生成方法、设备以及系统
Bandodkar et al. Smart network infrastructure to localise drones for supporting mission critical services
CN110475207B (zh) 空中侦察定位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