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26657A1 - 콤팩트 용기 - Google Patents

콤팩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26657A1
WO2017026657A1 PCT/KR2016/007241 KR2016007241W WO2017026657A1 WO 2017026657 A1 WO2017026657 A1 WO 2017026657A1 KR 2016007241 W KR2016007241 W KR 2016007241W WO 2017026657 A1 WO2017026657 A1 WO 201702665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ower case
case
rotation
contents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724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유섭
이재옥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US15/750,71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90000210A1/en
Priority to JP2018506130A priority patent/JP2018522670A/ja
Priority to CN201680046631.4A priority patent/CN107847033A/zh
Priority to EP16835298.7A priority patent/EP3335587A4/en
Publication of WO201702665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266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4Containers with two lids on one side; Containers with sever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1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openings in the lid, able to be opened or closed by displacing or rotating a cover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Definitions

  • the inner side of the lower case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contents storage unit to rotate together with the contents storage uni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lower case, the coupling groove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ntents storage unit It is characterized by.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act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and 8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a method of using a compact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insertion groove 120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610 of the support 600 is inserted is formed inside the lower case 100 to enable the support 600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lower case 100. Is formed, the insertion projection 6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0 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600 is prevented from moving upward in the inner case of the lower case 100 to prevent the departure prevention projections ( The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130 to which the 620 is coupled is formed.
  • the lower case 100 is provided with a first protrusion 140 to contact with the first rotation limit projection 230 of the intermediate case 200 in the rotation process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lower case 100, the As shown in FIG. 5, the first protrusion 140 preferably includes a pair of protrusions that protrude to face each other.
  • the support 60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case 100 and is formed in a ring shape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lower case 100,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600 as shown in FIG. Likewise, an insertion protrusion 6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0 of the lower case 100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lower case 100.
  • the upper case 500 and the sealing member 400 are sequentially rotated. After opening by rotating upward, as shown in FIG. 8, the contents impregnated in the contents absorbing member 700 may be buried using the contents applying member 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 저장부의 상단을 개폐하는 밀폐부재가 내용물 저장부와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부케이스를 회전시 내용물 저장부와 밀폐부재의 나사결합에 의해 내용물 저장부의 상단 개방부의 씰링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내용물 저장부의 내부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감압 과정에서 내용물의 누액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콤팩트 용기
본 발명은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내용물 저장부의 상단을 개폐하는 밀폐부재가 내용물 저장부와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부케이스를 회전시 내용물 저장부와 밀폐부재의 나사결합에 의해 내용물 저장부의 상단 개방부의 씰링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내용물 저장부의 내부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감압 과정에서 내용물의 누액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팩트 용기는 여성들이 휴대하면서 얼굴화장에 사용되는 색조화장품이나 백분을 수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콤팩트 용기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되고 있는데, 어떤 형상과도 무관하게 내용물 저장부에 색조화장품이나 백분의 내용물을 수납 보관하고 있으며, 사용시에는 용기본체의 전면부에 구비된 버튼을 가압하여 외부뚜껑을 용기본체에서 힌지 회동에 의해 열고 내부에 수용된 퍼프나 솔 등의 화장용구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묻혀 얼굴화장에 사용하는 것은 공통점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콤팩트 용기는 내캡을 통해 내용물 저장부의 상단부를 덮어 내부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데,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어느 정도 차단하는 것은 가능하나, 구조적인 한계로 인하여 완벽하게 내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용물 저장부의 내부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콤팩트 용기"가 등록특허 제10-1333044호(이하, '등록특허'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 저장부를 수용하며, 내용물 저장부를 승하강 시키도록 내측 하단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간케이스; 내용물이 저장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에 수용되되, 상기 가이드돌기를 따라 이동하는 회전돌기가 형성되는 내용물 저장부; 상기 중간케이스의 상부에 안착되며, 중간케이스의 회전시에 맞물리며 함께 회전하되, 상기 내용물 저장부의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상단을 개폐하도록 회전체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밀폐부재; 상기 중간케이스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사용자 가압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중간케이스를 함께 회전시키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록특허는 회전체의 회전시 회전체의 가이드홈에 삽입된 내용물 저장부의 승하강돌기에 의해 내용물 저장부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내용물 저장부가 회전하게 되면, 내용물 저장부의 하단에 형성된 회전돌기가 하부케이스의 가이드돌기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내용물 저장부가 상승하여 내용물 저장부의 상단부가 밀폐부재의 씰링부에 의해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등록특허는 내용물 저장부의 내부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조시간의 증가는 물론, 용기 자체의 단가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들어, 상기와 같은 콤팩트 용기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되거나, 액상의 내용물이 함침된 발포우레탄 폼을 수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밀폐구조에 따른 내부 기밀성 문제로 인하여 감압테스트 과정에서 내용물 저장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누액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밀폐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 저장부의 상단을 개폐하는 밀폐부재가 내용물 저장부와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부케이스를 회전시 내용물 저장부와 밀폐부재의 나사결합에 의해 내용물 저장부의 상단 개방부의 씰링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내용물 저장부의 내부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감압 과정에서 내용물의 누액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콤팩트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내용물 저장부를 하부케이스에 간단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내용물 저장부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므로, 리필이 용이함에 따른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콤팩트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 용기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간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되되, 액상의 내용물이 함침된 내용물 흡수부재가 저장되며, 그 상부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내용물 저장부; 상기 내용물 저장부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중간케이스에 힌지결합되되, 그 상부에는 내용물 도포부재가 수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수납홈이 형성되며, 그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밀폐부재; 및 상기 중간케이스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내용물 저장부의 제1나사산과 상기 밀폐부재의 제2나사산이 결합되며 내용물 저장부의 상단 개방부 폐쇄에 따른 씰링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되, 그 외주면에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방향 회동을 차단하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의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방향 회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용물 저장부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내용물 저장부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저장부의 외측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체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지지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체가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의 외측에는 상기 이탈방지홈에 삽입되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하부케이스 및 내용물 저장부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상,하로 위치하는 제1,2회전제한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1회전제한돌기와 맞닿으며 하부케이스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용물 저장부에는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2회전제한돌기와 맞닿으며 내용물 저장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 저장부의 상단을 개폐하는 밀폐부재가 내용물 저장부와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부케이스를 회전시 내용물 저장부와 밀폐부재의 나사결합에 의해 내용물 저장부의 상단 개방부의 씰링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내용물 저장부의 내부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감압 과정에서 내용물의 누액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내용물 저장부를 하부케이스에 간단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내용물 저장부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므로, 리필이 용이함에 따른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상부케이스의 개방 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하부케이스의 회전범위를 보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하부케이스와 지지체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사용방법을 보인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내용물 저장부의 리필과정을 보인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상부케이스의 개방 과정을 보인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하부케이스의 회전범위를 보인 설명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하부케이스와 지지체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는 하부케이스(100), 중간케이스(200), 내용물 저장부(300), 밀폐부재(400), 상부케이스(500), 지지체(600)가 포함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00)는 내용물 저장부(300)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그 내측에는 하부케이스(100)의 회전에 따라 내용물 저장부(300)가 함께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내용물 저장부(300)가 결합되는 결합돌기(1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에는 하부케이스(100)의 회전에 따라 지지체(600)가 함께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지지체(600)의 삽입돌기(610)가 삽입되는 삽입홈(120)이 형성되는데, 삽입돌기(610)가 삽입홈(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체(600)가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에는 지지체(600)의 이탈방지돌기(620)가 결합되는 이탈방지홈(13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100)에는 회전 과정에서 중간케이스(200)의 제1회전제한돌기(230)와 맞닿으며 하부케이스(100)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돌출부(1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돌출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케이스(20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그 상단에 밀폐부재(400) 및 상부케이스(500)가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힌지부(210)가 구비되며, 상부케이스(500)의 개폐돌기(520)가 관통되도록 관통홈(22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간케이스(200)의 내측에는 하부케이스(100) 및 내용물 저장부(30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1,2회전제한돌기(230,240)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제1,2회전제한돌기(230,240)는 상,하로 위치하여 각각 하부케이스(100) 및 내용물 저장부(30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데, 중간케이스(200)의 내측에서 대향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용물 저장부(30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에 결합되며, 액상의 내용물이 함침된 내용물 흡수부재(700)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그 외주면에 하부케이스(100)의 결합돌기(110)와 결합되는 결합홈(320)이 형성된다.
상기 내용물 저장부(300)에 저장되는 내용물 흡수부재(700)는 액상의 내용물이 함침될 수 있는 퍼프, 스펀지, 폼(foam), 브러쉬 등 다양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용물의 흡수가 용이한 다공성 제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내용물 저장부(300)의 내측에는 내용물 흡수부재(700)를 고정시키도록 내용물 흡수부재(700)를 감싸는 고정관(800)이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관(800)의 상부에는 내용물 흡수부재(700)의 상단을 지지하여 내용물 흡수부재(700)가 내용물 저장부(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방향으로 고정턱(81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저장부(300)의 상부 외주면에는 밀폐부재(400)와 나사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1나사산(31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하부케이스(100)를 회전시 하부케이스(100)와 맞물려 있는 내용물 저장부(3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나사산(310)과 밀폐부재(400)의 제2나사산(430)이 나사결합되며 내용물 저장부(300)의 상단 개방부를 폐쇄하여 씰링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나사 결합을 통한 씰링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감압 과정에서 내용물 저장부(300)에 저장된 내용물의 누액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내용물 저장부(300)의 외주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00)의 회전에 따른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2회전제한돌기(240)와 맞닿으며 내용물 저장부(300)의 회전을 제한하는 한 쌍의 제2돌출부(330)가 구비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 저장부(300)에 저장된 내용물 흡수부재(700)에 함침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하게 되면, 내용물 흡수부재(700)를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경우, 밀폐부재(400)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내용물 저장부(300)를 하부케이스(100)로부터 탈리시킨 후, 액상의 내용물이 함침된 새로운 내용물 흡수부재(700')가 저장된 내용물 저장부(300)를 하부케이스(100)에 끼움결합함으로써, 간단하게 내용물 흡수부재(700')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 흡수부재(700')의 교체가 완료되면, 내용물 흡수부재(700')에 함침된 내용물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용물 저장부(300)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씰링지(S)를 제거한 후, 내용물 흡수부재(700')에 함침된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400)는 상기 내용물 저장부(300)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중간케이스(200)에 힌지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전면부에는 힌지결합에 따른 상하 회동시 조작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부(410)가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퍼프와 같은 내용물 도포부재(900)가 수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수납홈(42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400)의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내용물 저장부(300)의 제1나사산(310)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43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결합에 의해 내용물 저장부(300)의 상단 개방부를 폐쇄하여 씰링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감압 과정에서 내용물 저장부(300)에 저장된 내용물의 누액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케이스(500)는 상기 내용물 도포부재(900)를 감싸며 상기 중간케이스(200)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시에는 내용물 도포부재(900)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하방향으로 회동하여 폐쇄시에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용물 도포부재(900)를 보호함과 동시에 수납홈(42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데, 상기 상부케이스(500)의 내측에는 사용자가 화장시 화장부위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거울(51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500)의 전면부에는 상부케이스(500)의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돌기(520)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개폐돌기(5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600)의 걸림턱(630)에 지지된 상태로 위치하여 평상시에는 상부케이스(50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다가, 상부케이스(500)의 회전에 의해 걸림턱(630)으로부터 벗어나며 가이드홈(640)에 위치하게 될 경우, 상부케이스(500)가 개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지지체(600)는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체(600)의 외주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부케이스(100)의 삽입홈(12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6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체(600)의 외측에는 상기 지지체(600)가 하부케이스(100)로부터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부케이스(100)의 이탈방지홈(130)에 삽입되는 이탈방지돌기(62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체(6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케이스(500)의 개폐돌기(520)를 지지하여 상부케이스(500)의 상방향 회동을 차단하는 걸림턱(630)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턱(630)의 끝단에는 상기 상부케이스(500)의 상방향 회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640)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500)를 파지한 상태에서 하부케이스(10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하부케이스(100)와 맞물려 있는 내용물 저장부(300)가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내용물 저장부(300)의 제1나사산(310)과 밀폐부재(400)의 제2나사산(430)의 나사결합이 해체되며 밀폐부재(400)가 소폭 상승하게 된다.
이때, 하부케이스(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출부(140)가 제1회전제한돌기(230)와 맞닿는 시점까지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 저장부(300)의 제1나사산(310)과 밀폐부재(400)의 제2나사산(430)의 나사결합이 해체되면, 상부케이스(500)와 밀폐부재(400)를 차례대로 상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시킨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 도포부재(900)를 이용하여 내용물 흡수부재(700)에 함침된 내용물을 묻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내용물 도포부재(900)를 이용하여 내용물의 사용이 완료되면, 밀폐부재(400)를 하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수납홈(420)에 내용물 도포부재(900)를 수납시킨 다음, 상부케이스(500)를 하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부케이스(500)를 하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부케이스(500)를 파지한 후, 하부케이스(100)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하부케이스(100)와 맞물려 있는 내용물 저장부(300)가 함께 회전함에 따라 내용물 저장부(300)의 제1나사산(310)과 밀폐부재(400)의 제2나사산(430)의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며 밀폐부재(400)가 소폭 하강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밀폐부재(400)에 의해 내용물 저장부(300)의 상단 개방부 폐쇄에 따른 씰링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 저장부(300)와 밀폐부재(400)의 나사결합을 이용한 씰링 구조를 통해 내용물 저장부(300)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함으로써, 내용물의 누액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간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되되, 액상의 내용물이 함침된 내용물 흡수부재가 저장되며, 그 상부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내용물 저장부;
    상기 내용물 저장부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중간케이스에 힌지결합되되, 그 상부에는 내용물 도포부재가 수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수납홈이 형성되며, 그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밀폐부재; 및
    상기 중간케이스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내용물 저장부의 제1나사산과 상기 밀폐부재의 제2나사산이 결합되며 내용물 저장부의 상단 개방부 폐쇄에 따른 씰링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되, 그 외주면에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방향 회동을 차단하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의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방향 회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용물 저장부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내용물 저장부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저장부의 외측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용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체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지지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용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체가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의 외측에는 상기 이탈방지홈에 삽입되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하부케이스 및 내용물 저장부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상,하로 위치하는 제1,2회전제한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1회전제한돌기와 맞닿으며 하부케이스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용물 저장부에는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2회전제한돌기와 맞닿으며 내용물 저장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용기.
PCT/KR2016/007241 2015-08-11 2016-07-05 콤팩트 용기 WO2017026657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50,711 US20190000210A1 (en) 2015-08-11 2016-07-05 Compact container
JP2018506130A JP2018522670A (ja) 2015-08-11 2016-07-05 コンパクト容器
CN201680046631.4A CN107847033A (zh) 2015-08-11 2016-07-05 粉盒容器
EP16835298.7A EP3335587A4 (en) 2015-08-11 2016-07-05 COMPACT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247A KR101711200B1 (ko) 2015-08-11 2015-08-11 콤팩트 용기
KR10-2015-0113247 2015-08-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26657A1 true WO2017026657A1 (ko) 2017-02-16

Family

ID=5798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7241 WO2017026657A1 (ko) 2015-08-11 2016-07-05 콤팩트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000210A1 (ko)
EP (1) EP3335587A4 (ko)
JP (1) JP2018522670A (ko)
KR (1) KR101711200B1 (ko)
CN (1) CN107847033A (ko)
WO (1) WO20170266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773B1 (ko) * 2019-01-28 2020-10-27 (주)톨리코리아 화장품 용기
US11006731B2 (en) * 2019-03-28 2021-05-18 Hcp Packaging Usa, Inc. Refillable cosmetic compact
USD893167S1 (en) * 2019-08-23 2020-08-18 Kathleen EDMUNDS Tampon component
KR102465121B1 (ko) * 2022-08-22 2022-11-10 주식회사 씨티케이 에코 화장품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4256B2 (ja) * 2002-04-16 2006-10-18 エム・エフ・ヴィ株式会社 容器
JP4688998B2 (ja) * 2000-03-15 2011-05-25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気密容器
KR20130048518A (ko) * 2011-11-02 2013-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기밀 화장품용기
KR20130083521A (ko) * 2012-01-13 2013-07-23 (주)연우 콤팩트 용기
KR20140012845A (ko) * 2012-07-23 2014-02-04 (주)유니팩 코리아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536758U (zh) * 2009-04-09 2010-08-04 殷昌(苏州)包装有限公司 具有磨粉功能的化妆用粉盒
KR101429089B1 (ko) * 2013-04-05 2014-08-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0477270Y1 (ko) * 2013-11-28 2015-05-26 금성티에스씨주식회사 화장용 콤팩트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8998B2 (ja) * 2000-03-15 2011-05-25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気密容器
JP3834256B2 (ja) * 2002-04-16 2006-10-18 エム・エフ・ヴィ株式会社 容器
KR20130048518A (ko) * 2011-11-02 2013-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기밀 화장품용기
KR20130083521A (ko) * 2012-01-13 2013-07-23 (주)연우 콤팩트 용기
KR20140012845A (ko) * 2012-07-23 2014-02-04 (주)유니팩 코리아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335587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5587A1 (en) 2018-06-20
JP2018522670A (ja) 2018-08-16
EP3335587A4 (en) 2019-04-17
CN107847033A (zh) 2018-03-27
KR20170019184A (ko) 2017-02-21
US20190000210A1 (en) 2019-01-03
KR101711200B1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26657A1 (ko) 콤팩트 용기
WO2013105746A1 (ko) 콤팩트 용기
WO2018093040A1 (ko) 회전 개폐형 화장품 용기
WO2014084479A1 (en) Compact type of airtight cosmetic container
WO2017131357A1 (ko) 콤팩트 용기
WO2015056902A1 (en) Compact type airtight cosmetic case
WO2015137708A1 (ko) 회전개폐식 튜브용기
WO2014129728A1 (ko) 밀폐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WO2015020391A1 (ko) 에어리스 콤팩트 용기
WO2016190463A1 (ko) 흡수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WO2017074046A1 (ko) 화장품 용기
WO2014112737A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WO2016047925A2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WO2017195991A1 (ko) 콤팩트 용기
KR101569090B1 (ko) 콤팩트 용기
WO2018034476A1 (ko) 구조가 단순하고 화장료 충전 공정이 개선된 콤팩트 용기
WO2014208887A1 (ko) 화장품 용기
WO2019231098A1 (ko) 화장품 용기
WO2013103209A1 (ko) 콤팩트 용기
WO2015182880A1 (ko) 액상 립스틱 용기
WO2010104304A2 (ko) 구간이동이 가능한 숄더부를 구비한 화장용기
WO2015199464A1 (ko) 금속 재질의 배출판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WO2016064124A1 (ko) 펌프 타입 콤팩트 용기
WO2017078303A1 (ko) 내용물 용기가 회전되어 잔량을 방지하는 콤팩트 용기
WO2016052858A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352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0613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35298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