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204425A1 -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 Google Patents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204425A1
WO2016204425A1 PCT/KR2016/005730 KR2016005730W WO2016204425A1 WO 2016204425 A1 WO2016204425 A1 WO 2016204425A1 KR 2016005730 W KR2016005730 W KR 2016005730W WO 2016204425 A1 WO2016204425 A1 WO 201620442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lifting
opening
toilet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57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원식
Original Assignee
동양프론테크(주)
동양세라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프론테크(주), 동양세라텍(주) filed Critical 동양프론테크(주)
Priority to CN201680035133.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750294A/zh
Priority to US15/737,291 priority patent/US20180135283A1/en
Publication of WO201620442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20442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03D5/09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the flushing element, e.g. siphon bell, being actuated through a cable, chain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nal housing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of the direct-type toilet to be installed universally in the direct-type toilet with a variety of capacities so as to minimize the amount of the wash water to wash the toilet quantitatively. It relates to a water flushing device of a direct-type toilet.
  • the toilet provided in the toilet uses a siphon method in which a water tank contain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oilet bowl, and the toilet is washed using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by lever operation after the toilet. .
  • Such a siphon method is most commonly used because of the advantages of the flow path structure of the toilet bowl is simple and easy to use.
  • the siphon type common toilet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large amount of water is wasted because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tank must be discharged in order to obtain a strong discharge power due to the siphon effect when washing the toilet.
  • the siphon discharge power i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stored water. The problem of not washing at once can occur.
  • the pipe structure of the common siphon type toilet is composed of a waste outlet and the pipe between the toilet main body having a “ ⁇ ” shape,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iphon effect, while the toilet is washed.
  • Disclosed direct type toilet is a method in which the pipe between the toilet body and the waste outlet is made in a straight line downward, and directly opens and closes the waste outlet through lever operation to ensure strong cleaning power with minimal water.
  • the size of the conventional direct-type toilet bowl is integrally form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oilet bowl body, that is, the capacity of the water to be stored varies. It is inconvenient to use,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saving effect peculiar to the direct-type toilet bowl is halved if the water tank is manufactured to have a capacity similar to that of a general siphon toilet.
  • the water used for washing is not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so as to maximize the strong cleaning power and the water saving effect of the toile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ushing device for a direct-type toilet which is stored in a separate inner housing of a small capacity mounted inside the tank.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in general, regardless of the specifications (size, water tank capacity, etc.) of the existing toilet directly installed, direct type that can manage the wash water more hygienic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flushing device for a toilet.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tributed at a low price 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by simplifying the parts and coupling structure of the water lowering device, to provide a water lowering device of the direct-type toilet bowl that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by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produ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flushing device of a direct-type toilet bowl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use of water by automatically draining only the sewage to the waste outlet, without having to discharge the wash water every time the waste water is not stool in the toilet. It aims to do it.
  • the water lowering device of the direct-type toilet bowl having a drain connected to the water tank, the rim side pipe connecting the drain and the toilet body, a pipe connecting the toilet body and the waste discharge port and a hoistway connecting the waste discharge port and the drain port,
  • An inner housing mounted in the water tank, the storage having a washing water stored therein and a discharge part coupled to the drain and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o the rim side pipe;
  • a lifting unit including an opening /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ste discharge port by being raised or lowered on the hoistway according to pulling of a water lowering wire or lowering of the washing water level of the storage unit;
  • a support lever for locking the lifter to support the lifter when the lifter is lifted, and a support lever for limiting the lifter, and an upper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lever and releases the locker of the support lever when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is lowered to release the locker;
  • a control unit including a buoy;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 An inner body having a sewage discharge hol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lower opening of the outer tube so as to have a spaced portion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 Washing water is drawn up in the separation part and closes between the discharge passage and the dirt discharge port to prevent backflow of odor
  • the washing water filled in the discharge path and the spaced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discharged through the waste water discharge hole, and the sewage without the water flushing operation of the direct-type toilet bowl, the sewage portion and the waste water discharge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through the waste outlet.
  • An operation lever connected to the water lowering wire to rotate when water is lowered;
  • An elevating rod that is raised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lever or lowered by the lowering of the upper buoy
  • a shielding member provided in the elevating rod and closing the first elevating hole of the control unit or the inlet hole of the discharge unit according to the elevating and elevating of the elevating rod;
  •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elevating rod to open and close the dirt discharge port according to the elevating and descending of the elevating rod.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eight member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acking member in a double injection method of the ring-shaped weight member for increasing the load.
  • the adjustment hol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at the bottom, and a support portion for raising the lifting rod under the force by the actuating lever, and is provided in the form protruded downward in the lower rear side by the control unit
  • a first lifting body including a stopper which is engaged or released;
  • a second lifting body provided on bo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thereof and inserted between the hook parts and inserted into the adjustment hole to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lifting body, and the lower lifting body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 the water flushing device of the direct type toilet provides a separate inner housing having a washing water storage unit inside the tank, and utilizes the water stored in the inner housing as the washing water, thereby the capacity of the tank integrated with the direct type toilet. Regardles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inimize the amount of wash water used quantitatively.
  • the water flushing device of the direct-type toilet bowl prevents water from flowing back into the inner housing or lowers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while lowering the water, and improves productivity through a simple structure design, and is installed in the past.
  • the direct-type toilet which can be installed and used universally, by ensuring the operational stability of the product, it has the effect of excellent versatility and utility.
  • the water flushing device of the direct type toilet when the waste water is not stool to the direct type toilet, the waste water is automatically discharged without the need to use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operation of lowering the water, the water unique to the direct toilet type toile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ximize the savings.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water flushing device of the toilet directl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water flushing device of the toilet directl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flushing device of the toilet directl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5a to 5f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flushing device of the toilet directl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control unit 210 support lever
  • control body 230 buoy support
  •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particular, the tens and ones digits, or the tens, ones and digits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each member of the figures The member referred to by the reference numeral may be regarded as a member conforming to these standards.
  • a toilet main body 30 in which a user views a toilet is provided at the front, and a water tank 33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oilet main body 30.
  • the drain 32 of the 33 and the washing water drainage holes (not shown) of the toilet body 30 are connected to the rim side pipe 34, and a waste discharge port 31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toilet body 30 and the toilet.
  • the waste discharge port 31 is connected to a discharge path 35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and is provided with a hoistway 36 vertically communicated between the waste discharge hole 31 and the drain hole 32.
  • the elevating unit 100 disposed on the hoistway 36 is move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switch 37 provided at 33, the waste outlet 31 is opened and closed to discharge the waste to the toilet body 30.
  • the wash water flows i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lowering device 10 is installed in the direct type toilet bowl of the above structure,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inner housing (H), the lifting unit 100, the control unit ( 200).
  • the inner housing (H) is mounted and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33), and the washing water storage unit (S) having an upper opening and the drain water (32) coupled to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S) It includes a discharge portion 300 to be drained to the rim side pipe (34).
  • the storage unit (S) of the inner housing (H)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means (not shown) of a known type that is installed in a general toilet, water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S) through the water supply means connected to the tap water It is stored and used as wash water for washing of stool.
  • the lifting unit 100 ascends or descends on the hoistway 36 according to the pulling of the water lowering wire 20 or the lowering of the washing water level of the storage unit S, thereby opening and closing the waste outlet 31.
  • the water lowering wire 20 is connected to an operation switch 37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33 of the toilet bowl, and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switch 37 after lowering the toilet, the water lowering wire ( 20) is pulled.
  • the lifting unit 100 discharges the toilet in the toilet 30 with the washing water by opening the waste discharge port (31).
  • the lifting unit 100 is lowered to close the waste outlet 31.
  • the lifting unit 100 having such a function may include a working lever 110, a lifting rod 120, a shielding member 130,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
  • the operation lever 110 is connected to the water lowering wire 20 and is hinged to the hinge hole 221 of the control body 220 to rotate when the water lowering wire 20 is pulled.
  • the lifting rod 120 is pushed up by the operation lever 110 to rise or fall by its own weight.
  • the elevating rod 120 is a lever lifting hole 122, the support 123, the stopper 124 is formed with a first lifting body (120A),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lifting body (120A) and It is fastened between the second lifting body 120B and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bodies 120A and 120B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to enable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second lifting body 120B and to the outer side surface.
  • It consists of an adjustment bolt (120C) is provided with a stepped 121.
  • the first lifting body 120A is provided with an adjustment hole 120a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a hook portion 120b is provided at a lower end thereof.
  • the second elevating body 120B is provided with screw portions 120c on bo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thereof and is inserted between the hook portions 120b and inserted into the adjustment holes 120a.
  • the adjustment bolt 120C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hook portion 120b to press the hook portion 120b to fix the second lifting body 120B, and to correspond to the screw portion 120c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second lifting body 120B exposed below the first lifting body 120A is adjusted by rotating the adjusting bolt 120C in both directions.
  • the lever through hole 122 of the first lifting body 120A is to allow the operation lever 110 to pass through the rotation,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ifting body 120A, the It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operating lever 14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it may be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height greater than the width.
  • the lifting rod receives the force by the operating lever 110 rotated through the lever through hole 122 Allow 120 to rise.
  • the support portion 123 may be used in any form as long as it can be easily received by the operating lever 110, but the user is lifted by the support portion 123 even if the user does not press the operation switch 37 a lot.
  • the rod 120 must be raised.
  • the stopper 124 of the first lifting body 120A is inclined downward at the bottom rear side of the lever through hole 122 to protrude and is engaged by the control unit 200 or the locking operation is released. .
  • the stopper 124 pushes up the support portion 210a (see FIG. 4) of the support lever 210 when the lifting rod 120 is raised to contact the support lever 210 of the controller 200.
  • the support portion 210a of the support lever 210 rotates upwar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reby stopping the stopper 124. ) Is supported at the bottom.
  • the shielding member 130 is fitted to the elevating rod 120 (more strictly, the first elevating body 120A), and the first elevating hole 223 of the control unit 200 according to the elevating elevating rod 120. Alternatively, the inlet hole 311 of the discharge part 300 is closed.
  • the elevating range of the shielding member 130 is between the first packing 120e of the elevating rod 120 provided below the stopper 124 and the stepped portion 121 of the adjusting bolt 120C, but the elevating portion 100 )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art 300 of the inner housing (H), the substantial lifting range of the shielding member 130 is between the first packing (120e) and the upper end of the outer cylinder 310 of the discharge part (300) do.
  • the shielding member 130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ower opening, and the side wall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311 between the outer cylinder 310 and the inner cylinder 340 of the discharge part 300, and the second packing ( 130a) is provided to close the first elevating hole 223 and the second elevating hole 331 according to the elevating.
  • the shielding member 130 is lowered by the first packing 120e, and the second packing is provided in the inlet hole 311 formed between the outer cylinder 310 and the inner cylinder 340. 130a is in close contact, the first packing 120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lifting hole 331 of the shielding member 130, and the discharge part 300 is closed.
  • the shielding member 130 is raised by the stepped portion 121, and the first packing 120e is the first lifting hole of the control body 220 by the pressing of the shielding member 130. It is in close contact with 223 and closed.
  • the shielding member 130 closes the discharge part 300, and the washing water is replenished and stored in the storage part S,
  • the first packing 120e closes the first elevating hole 223 by the shielding member 130, and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rt 300 is rim-side pipe 34.
  • the control unit 200 In addition to preventing the flow back to the control unit 200 and implements a complete sealing of the shielding member 130 and the lifting rod 120 can reduce the amount of washing water used in the process of washing in the toilet.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levating body 120B of the elevating rod 120 to open and close the waste outlet 31 in accordance with the elevating of the elevating rod 120.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When the user descends the operation switch 37 and the lifting rod 120 is raise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is raised to open the waste discharge port 31, and when the lifting rod 120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opening and closing is performed. The member 140 is also lowered to close the waste outlet 31.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and the second lifting member 120B are provided with hook portions 140a and 120f, respectively,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thereby securing the fluidity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thereby inclining the waste outlet 31.
  • the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is made to suit the shape.
  • the ring portions 140a and 120f are each formed to have a clear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luidity may be improved when the opening / closing member 140 moves up and down.
  •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vating body (120B) of the elevating rod 120 and the outer tube 141 having a lower opening,
  • An inner body 142 having a sewage discharge hole 140b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lower opening so as to hav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141 and a spaced portion 140a, and communicating with the spaced portion 140a;
  •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body 142 is made to include a packing member 143 in contact with the dirt discharge port (31).
  • the center of the packing member 143 is provided with a hollow portion (unna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waste water discharge hole 140b.
  • cleaning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of and discharged from the toilet body 30.
  • the washing water of the water tank 33 is discharged and causes waste of the washing water.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the waste water is naturally discharged, even when a large amount of waste water is discarded, there is no need to perform a water flushing operation to open the waste outlet 31 whenever the waste water fills the toilet body 30, and thus Reduced use
  •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lower opening of the outer tube 141-the spaced apart portion 140a-the wastewater discharge hole 140b-the hollow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is " ⁇ " of the general toilet. &Quot; to form a trap structure, so that the wash water is fresh to the container body.
  • the washing water level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and the separation unit 140a are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through the special bending communication structur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is stopped and the washing water can be immersed in the container body at a certain level, thereby preventing the odor from flowing back.
  •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curved trap structure of the general toilet is adopt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of the special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ste water is discarded in the container body in this stat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is not made to rise. If not, the sewage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body by the principle of siphon by the level of water raised from the container body due to the introduced sewage with the washing water [the lower opening of the outer tube 141-spaced portion 140a-sewage discharge hole 140b )-Since it is a structure that is naturally discharged through the hollow part, after the input of the sewage is completed, if the water is finally discharged once, the discharge of the sewage is completed and the waste of the washing water can be prevented.
  • the present invention by implementing a curved trap structure similar to the general toilet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ste of the wash water because the sewage is naturally discharged without the water down.
  • the outer tube 141 and the inner body 142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 the packing member 143 is preferably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closes the waste outlet 31 so that the packing member 14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ste outlet 31 so as to be closed.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weight member 144 for increasing the load.
  • the weight member 144 may be made of a heavy weight lead or iron material, and to prevent problems such as rust due to contact with the wash water, the packing member (for example, a double injection method such as a ring-shaped weight member) 143) more preferably provided in the form of interpolation therein.
  • control unit 200 supports the elevating rod 120 when the elevating rod 120 is lifted by the water lowering wire 20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properly discharged, and the elevating rod 120 after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By lowering the water to the storage unit (S), to be stored.
  • the controller 200 includes a support lever 210, a control body 220, a buoy support 230, and an upper buoy 240.
  • the support rod 210 rotates downward by rotating the hinge hole 222 to the shaft while the contact portion 210a is pushed to the rear side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topper 124. Do not interfere with the rise of,
  • the contact portion 210a returns to the front side to rotate the hinge hole 222 upward in the shaft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stopper 124. By the locking operation, the lowering of the lifting rod 120 is prevented.
  • the lifting rod 120 is not buoyant, and thus is forced to be lowered by its own weight regardless of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rising state of the lifting rod 120 through the support lever 210. 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can be discharged as much as necessary.
  • the support lever 210 contacts with the stopper 124 of the lifting rod 120 and then rotates back downward.
  • the stopper 124 reaches the high position beyond the support lever 210, as the contact is released, the support lever 21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topper 124 as the support lever 210 rotates forward and upward. To operate.
  • the support lever 210 has a shape through which the lifting rod 120 can pass, and both ends of the contact portion 210a are hinged and fixed to the hinge hole 222 of the control body 220.
  • the front end is inserted into the slit groove 230a of the buoy support 230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contact portion 210a is positioned inside the part fixed to the control body 220.
  • the first lifting hole of the control body 220 is provided. Protrudes in the direction (223) to support the stopper 124 of the lifting rod 120 to support.
  • the support lever 210 is rotated downwar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124.
  • the shielding member 130 closes the inlet hole 31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closes the waste outlet 31 to block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Wash water is to be stored in the storage (S).
  • the control body 220 has a first lifting hole 223 is formed in the center, the hinge hole 221 is hinged to the operating lever 110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rear support of the first lifting hole 223, the support A hinge hole 222 to which the lever 210 is hinged is formed at a rear surface of the first lifting hole 223, and guides the lifting rod 120 to move up and down in the first lifting hole 223.
  • the operation lever 110 may rotat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upport lever 210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upport lever 210, the lifting rod 120 may be raised or lower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trol body 220. have.
  • the first lifting hole 223 of the control body 220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224 to smoothly guide the lifting of the lifting rod 120, the lifting rod 120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224
  • the guide protrusion 125 may be formed to correspond.
  • the buoy support 230 has an upper end penetrated through the coupling groove 241 of the upper buoy 240 to be fitted into the case, and a lower end of the buoy support 230 is fitted to the front of the first lifting hole 223 of the control body 220 ( It is fitted to the 225, and provided with a slit groove (230a) is connected to the support lever 210 on the rear, the elevating according to the lifting or lowering of the rotation of the support lever 210 or the upper buoy (240).
  • the depth of the fitting hole 225 is formed so as not to be separated when the buoy support 230 is raised to the maximum height,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due to the detachment of the buoy support 230 to be discharged and wasted.
  • the upper buoy 240 coupled to the buoy support 230 is lowered along with the buoy support 230 as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storage S to lower the water level, thereby rotating the support lever 210 downward. , By stopping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stopper 124, the lifting unit 100 is lowered to close the waste outlet 31.
  • the upper buoy 240 is raised and lowered by buoyancy generated from the washing water of the storage unit (S), and is manufactured in an empty form so that the lowering is not hindered by the control body 220 or the lifting rod 120.
  • it is preferab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that can receive sufficient buoyancy by the wash water of the storage (S).
  • the buoy support 230 is formed i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oncave-convex shape
  • the upper buoy 240 is in the concave-convex shape of the buoy support 23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241 through which the buoy support 230 is passed.
  • a hook (not shown) that engages protrudes.
  • the upper buoy 240 is a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uoy support 230 through the engagement of the unevenness and the hook can freely adjust the amount of washing water discharged.
  • the buoy support 230 coupled with the upper buoy 240 is directly lowered even if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of the storage unit S is slightly lowered.
  • rotating the lever 210 to close the inlet hole 311 and the waste outlet 31 according to the lowering of the lifting unit 100 can reduce the amount of washing water
  • the upper buoy 240 may be continuously maintained by buoyancy while the washing water level is sufficiently low,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washing water.
  •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amount of washing water discharged according to the needs.
  • the amount of wash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lowe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opening time of the inlet hole 311, that is, the rising and holding time of the lifting unit 100, by free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pper buoy 240, This is to control the amount of washing water discharged by adjusting the opening time of the inlet hole (311).
  • a scale is more preferably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uoy support 230.
  • a bolt coupling may be further added to secure the upper buoy 240 and the buoy support 230.
  • the discharge part 30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S), the control body 220 of the control unit 200 is coupl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the washing water drained when the lifting unit 100 rises (rim side pipe ( 34) to be discharged.
  • the discharge part 300 is largely made, including the outer cylinder 310, the overflow tube 320, the inner cylinder 340.
  • the outer cylinder 310 and the inner cylinder 340 have a pipe shape with upper and lower openings
  • the outer cylinder 310 is mounted on the drain hole 32 of the water tank 33 and has a plurality of inflow holes 310a radially provided at an upper end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storage S, and the bottom of the inner housing H.
  • a plurality of rim side drainage holes 312 at the lower end exposed to the bottom is shown as a dotted line because the drainage hole 312 is not actually visible i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due to the inner cylinder 340) radially It is provided.
  • the inner cylinder 340 is coup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ide the outer cylinder 310 to form an inlet hole 311 communicating with the rim side drain hole 312 at the upper end between the outer cylinder 310 and the inner cylinder 340.
  • the inlet hole 311 formed such that the outer cylinder 310 and the inner cylinder 3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formed of wings 310b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310, and thus the inlet hole 310a and the inlet hole ( 311) -drain hole 312 has a structu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 the inlet hole 311 is opened, and the washing water of the storage unit S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311 through the inlet hole 310a.
  •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in this way is discharged to the rim side drain hole 312, is discharged to the toilet body 30 through the rim side pipe 34, washing of the toilet is made,
  • the outer cylinder 310 may be fixed to the bottom of the tank 33, the fixing method may be us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bolt coupling, rivet coupling, and the like.
  • the packing 313 made of rubber or the like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cylinder 310 to prevent leakage of the washing water.
  • the inner cylinder 340 connected to the inner cylinder 310 forms an inlet hole 311 between the outer cylinder 310 and guides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passing through the inner space. .
  • Overflow pipe 320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housing (H), one side of the outer cylinder (310).
  • Overflow pipe 320 is used to adjust the amount of wash water stored in the storage (S), can be a general pipe shape and the height can be made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olume of the storage (S) of the inner housing (H). have.
  •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se 400 which covers and protects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lifting unit 100 and is fixed to the storage unit S of the inner housing H.
  • the case 400 may be in the form of a cylinder having an open bottom, and includes a wire hole 410 and a wash water induction hole 420.
  • the wire hole 410 is formed at the top of the case 400 and the water lowering wire 20 is passed through,
  • the washing water induction hole 420 is formed at the side of the case 400 to allow the washing water to flow therein.
  • the washing water induction hole 420 may be formed radially at least one for the sufficient inflow of the washing water, at least one of the washing water induction hole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buoy support 230, the user of the scale of the buoy support 230 It is preferable to check the naked eye so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buoy 240 can be adjusted.
  • 5a to 5f are side views showing the step-by-step operation of the flushing device of the toilet directl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ft unit 100 descends due to its own weight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member 140 closes the waste outlet 31.
  • the state is maintained, and the shielding member 130 is pressed toward the lower discharge part 300 by the first packing 120e, so that the second lifting hole of the shielding member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packing 120e. 331 is closed, and the inlet hole 311 of the discharge part 300 is closed due to the close contact of the second packing 130a.
  • the opening / closing member 140 is raised together, and the waste discharge port 31 is opened to discharge the dirt of the toilet body 30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of the toilet body 30.
  • the second lifting hole 331 of the shielding member 130 is opened, and the washing water of the storage part S introduced into the case 400 is first lifted by the control body 220.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hole 223 and the second lifting hole 331 of the shielding member 130 to the drain hole 32 via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cylinder 340.
  • the washing water of the storage unit S passes through the inlet hole 311 through the inlet hole 310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310 and is discharged to the rim side drain hole 312.
  • the toilet of the toilet body 30 is washed through the rim side pipe 34.
  • the support lever 210 rotates and rotates due to the inclined stopper 124 while the lifting rod 120 continues to rise.
  • the support lever 210 is lowered to the buoy support 230 and the upper buoy 240 connected to the buoy support 230,
  • the stopper 124 of the lifting rod 120 is position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support lever 210.
  • the buoy support 230 rises as the upper buoy 240 receives buoyancy, and the support lever 210 connected to the buoy support 230 rotates upward.
  • the support lever 210 rotated upward supports and stops the stopper 124 of the elevating rod 120 to block the lowering of the elevating rod 120 so that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is continuously maintained.
  • the first packing 120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lifting hole 223 of the control body 220 to close the first lifting hole 223.
  • the operating lever 110 rotates downward as the force applied to the water lowering wire 20 is removed.
  • the lifting rod 120 that cannot be maintained by the support lever 210 and the operation lever 110 starts to descend by its own weigh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rod 120 descends. do.
  • the shielding member 130 is maintained continuously up and down state of the lifting rod 120 by the buoyancy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o the rim side pipe 34 through the inlet hole 311, the storage unit (S) A sufficient amount of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rim side pipe 34.
  •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is also lowered to close the waste inlet.
  • the upper buoy 240 is raised by receiving buoyancy, and the buoy support 230 connected to the upper buoy 240 is also raised.
  • the support lever 210 connected to the buoy support 230 is rotated upward to recover the previous state. Then, when the user lowers the operation switch 37 to clean the toilet,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efficient cleaning by repeating the operation as shown in Figures 5a to 5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용량을 갖는 직입식 양변기에 범용적으로 설치하여 용변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수의 사용량을 정량으로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직입식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세척수가 별도 저장되는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본 발명은 다양한 용량을 갖는 직입식 양변기에 범용적으로 설치하여 용변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수의 사용량을 정량으로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직입식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세척수가 별도 저장되는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 구비되는 양변기는 일정량의 물이 담긴 수조가 변기 본체(bowl) 후방에 구비되어, 용변 후 레버 작동을 통해 수조에 담긴 세척수를 이용하여 용변을 세척하는 사이펀(siphon) 방식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사이펀 방식은 양변기의 유로 구조가 단순하고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이펀 방식의 일반 양변기는 용변을 세척할 때 사이펀 효과에 따른 강한 방출력을 얻기 위하여, 수조에 담긴 세척수를 전부 배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양의 물을 낭비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물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서, 수조 내부에 벽돌이나 무겁고 큰 부피의 물건 등을 넣어둠으로써 용변의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를 절약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벽돌 등을 넣어 둘 경우, 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나, 사이펀 방식의 방출력은 저장된 물의 양에 비례하기 때문에 세척수의 방출력이 감소됨에 따라 예상치 못하게 양변기의 배관이 막히거나, 용변이 한 번에 세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양변기의 수조에 벽돌 등을 넣게 되면,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해 변기 본체의 분사공이 막히거나, 수조 내의 물의 오염으로 인한 이끼 발생 등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양변기에서 사용되는 물을 절약하기 위하여, 사이펀 방식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직입식 양변기의 설치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인 사이펀 타입의 양변기의 배관 구조가 오물 배출구와, 변기 본체 사이의 배관이 "∩"자형으로 이루어져 세척수가 사이펀 효과를 통해 배출되면서 용변의 세척이 이루어지는데 반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3481호(등록일자 2002.07.1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2040호(2010.02.04.),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85474(공개일자 2009.08.07.) 등에서 공개되어 있는 직입식 양변기는, 변기 본체와 오물 배출구 사이의 배관이 하향 직선 타입으로 이루어지면서, 레버 작동을 통해 오물 배출구를 직접 개폐하여 최소한의 물만으로 강한 세척력을 확보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런 상기 기술들과 같은 종래의 직입식 양변기는 양변기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수조에 물을 저장하여 세척수로 사용하는 바, 적은 양으로 세척이 가능한 직입식 양변기의 특징에도 불구하고 결국 사용되는 물의 양은 수조의 용량에 따라 비례하여 물 절약 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직입식 양변기는 변기 본체의 크기에 따라 일체로 형성된 수조의 크기, 즉 저장되는 물의 용량이 달라지는데, 직입식 양변기의 특징을 활용하기 위해 수조의 용량을 작게 하면 변기 본체와 수조의 크기와 맞지 않아 사용이 불편하고, 이에 따라 수조를 일반 사이펀 방식의 양변기와 유사한 용량을 갖도록 제작하면 직입식 양변기 특유의 물 절약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에 제안된 직입식 양변기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직입식 양변기의 가장 큰 특징인 강한 세척력과 물의 절약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세척에 사용되는 물이 직입식 양변기의 수조가 아닌, 수조 내부에 장착되는 작은 용량의 별도의 내부 하우징에 저장되는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직입식 양변기의 사양(크기, 수조의 용량 등)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물 내림 장치를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세척수를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물 내림 장치의 부품 및 결합 구조를 간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 가능하며, 제품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은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변기에 용변이 아닌 오수를 버릴 때마다 세척수를 배출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오수만이 오물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물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는
수조와 연결된 배수구, 상기 배수구와 변기 본체를 연결하는 림측 배관, 상기 변기 본체와 오물 배출구를 연결하는 관로 및 상기 오물 배출구와 상기 배수구를 연결하는 승강로를 구비한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배수구에 결합되며 상기 저장부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상기 림측 배관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출부를 구비한 내부 하우징;
물 내림 와이어의 당겨짐 또는 상기 저장부의 세척수 수위 하강에 따라, 상기 승강로 상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오물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상승 시 승강부를 지지하도록 걸림 작동하여 승강부의 하강을 제한하는 지지 레버와, 상기 지지 레버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의 세척수 수위 하강 시 상기 지지 레버의 걸림 작동을 해제하여 승강부가 하강하도록 하는 상부 부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부재는
하측 개구부를 갖는 외부 관체와,
상기 외부 관체의 내주면과 이격부를 갖도록 상기 외부 관체의 하측 개구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이격부와 연통된 오수 배출홀을 구비한 내부 몸체와,
상기 내부 몸체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오물 배출구에 접촉하며, 중앙에 상기 오수 배출홀과 연통된 중공부를 갖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세척수가 상기 이격부에 차올라 배출로와 오물 배출구 사이를 폐쇄시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변기 본체에 오수를 버릴 경우, 배출로와 개폐부재의 이격부에 채워진 세척수가 오수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작동 없이, 오수가, 상기 이격부와 상기 오수 배출홀을 통해 상기 오물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에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물 내림 와이어와 연결되어 물 내림 시 회동하는 작동 레버와,
상기 작동 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승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 부표의 하강에 의해 하강하는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로드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로드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1 승강홀 또는 상기 배출부의 유입공을 폐쇄하는 차폐부재와,
상기 승강로드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로드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오물 배출구를 개폐하는 상기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에서
상기 개폐부재는 하중 증가를 위하여 링 형상의 중량부재를 이중 사출방식으로 상기 패킹부재 내부에 내삽된 중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에서
상기 승강로드는,
길이 방향을 따라 조절공이 형성되고, 하단에 후크부를 구비하며, 작동 레버에 의해 힘을 받아 승강로드가 상승하도록 하는 받침부와, 하단 후방측에 하향으로 경사져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걸림 작동되거나, 걸림 작동이 해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제1 승강체와,
양측 외주면에 나사부가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 사이로 끼워져 조절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승강체의 하단과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개폐부재와 연결되는 제2 승강체 및
상기 제1 승강체와 상기 제2 승강체 사이에 체결되어 제2 승강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후크부 외측에 끼워져 후크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2 승강체를 고정함과 아울러, 내주면에 상기 나사부와 대응하는 대응 나사부가 구비되어 제1 승강체 하부로 노출되는 제2 승강체의 길이를 조절하고, 하단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차폐부재가 상승되도록 하는 단턱이 구비되어 있는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는 수조 내부에 세척수 저장부를 갖는 별도의 내부 하우징을 마련하여, 상기 내부 하우징에 저장되는 물을 세척수로 활용함으로써, 직입식 양변기와 일체화되어 있는 수조의 용량에 상관없이 사용되는 세척수의 양을 정량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는 물 내림 시 내부 하우징으로 물이 역류하거나, 세척수의 수압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간단한 구조 설계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직입식 양변기의 사양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제품의 작동 안정성을 보장함으로써, 범용성 및 효용성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는 용변이 아닌 오수를 직입식 양변기로 버릴 때 물 내림을 작동을 통해 세척수를 사용할 필요 없이, 오수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직입식 양변기 특유의 물 절약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를 작동 상태별로 도시한 단면도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 : 내부 하우징 S : 저장부
100 : 승강부 110 : 작동레버
120 : 승강로드 130 : 차폐부재
140 : 개폐부재
200 : 제어부 210 : 지지레버
220 : 제어몸체 230 : 부표 지지대
240 : 상부 부표 300 : 배출부
310 : 외통 320 : 오버플로우관
340 : 내통 400 : 케이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 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2에서 바라보는 방향을 정면으로 하고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전후 및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직입식 양변기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용변을 보는 변기 본체(30)가 전방에 마련되고, 변기 본체(30)의 후방에 수조(33)가 구비되고, 수조(33)의 배수구(32)와 변기 본체(30)의 세척수 배수공(미도시)들은 림측 배관(34)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에 오물 배출구(31)가 구비되어 상기 변기 본체(30)와 상기 오물 배출구(31)는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배출로(35)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오물 배출구(31)와 배수구(32)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연통된 승강로(36)가 구비되는 것으로, 수조(33)에 구비된 작동 스위치(37)에 의해 상기 승강로(36) 상에 배치된 승강부(100)가 승하강함에 따라 오물 배출구(31)가 개폐되어 오물의 배출 및 변기 본체(30)로의 세척수 유입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의 직입식 양변기에 설치되는 물 내림 장치(10)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내부 하우징(H), 승강부(100),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 하우징(H)은 상기 수조(33) 내부에 장착,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구된 세척수 저장부(S)와, 상기 배수구(32)에 결합되며 상기 저장부(S)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상기 림측 배관(34)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출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하우징(H)의 저장부(S)에는 일반적인 양변기에 설치되는 공지된 방식의 물 공급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으며, 수도와 연결된 물 공급수단을 통해 저장부(S)에 물이 저장되어 용변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로 사용된다.
상기 승강부(100)는 물 내림 와이어(20)의 당겨짐 또는 상기 저장부(S)의 세척수 수위 하강에 따라, 상기 승강로(36) 상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오물 배출구(31)를 개폐한다.
상기 물 내림 와이어(20)는 변기의 수조(33)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 스위치(37)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작동 스위치(37)를 작동하면(내리거나 누르면) 물 내림 와이어(20)가 당겨진다.
이때 승강부(100)는 오물 배출구(31)를 개방시킴으로써 변기(30)에 있는 용변을 세척수와 함께 배출시킨다.
이후 저장부(S)의 세척수 수위가 하강하여 상기 물 공급수단을 통해 저장부(S)에 세척수가 보충되는 과정에서, 승강부(100)가 하강하여 오물 배출구(31)를 폐쇄시킨다.
이러한 기능의 승강부(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작동레버(110), 승강로드(120), 차폐부재(130), 개폐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레버(110)는 물 내림 와이어(20)에 연결되는 것으로, 제어 몸체(220)의 힌지공(221)에 힌지 결합되어 물 내림 와이어(20)가 당겨질 경우 회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37)를 내릴 때 물 내림 와이어(20)가 당겨짐에 따라 작동레버(110)가 회동하게 되며, 회동하는 작동레버(110)는 승강로드(120)를 밀어 올림으로써 개폐부재(140)가 상승하여, 오물 배출구(31)가 개방된다.
승강로드(120)는 작동레버(110)에 의해 밀어 올려 지면서 상승하거나 또는 자중에 의해 하강된다.
이러한 승강로드(120)는 레버관통홀(122), 받침부(123), 스토퍼(124)가 형성된 제1 승강체(120A)와, 상단이 상기 제1 승강체(120A) 하단과 결합되며 하단이 개폐부재(140)와 연결되는 제2 승강체(120B) 및 상기 1, 제2 승강체(120A)(120B) 사이에 체결되어 제2 승강체(120B)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외측면에 단턱(121)이 구비되어 있는 조절볼트로(120C)로 이루어진다.
제1 승강체(120A)는 길이 방향을 따라 조절공(120a)이 마련되어 있으며, 하단에 후크부(120b)가 구비되고,
제2 승강체(120B)는 양측 외주면에 나사부(120c)가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120b) 사이로 끼워져 조절공(120a)에 삽입되고,
상기 조절볼트(120C)는 상기 후크부(120b) 외측에 끼워져 후크부(120b)를 가압하여 제2 승강체(120B)를 고정함과 아울러, 내주면에 상기 나사부(120c)와 대응하는 대응 나사부(미지칭)가 구비되어, 조절볼트(120C)를 양방향 회전시킴에 따라 제1 승강체(120A) 하부로 노출되는 제2 승강체(120B)의 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제1 승강체(120A)의 레버관통홀(122)은 작동레버(110)가 회동 시 통과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1 승강체(12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작동레버(110)의 회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작동레버(14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폭 보다 높이가 큰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승강체(120A)의 받침부(123)는 승강로드(120)의 상단 전방으로 돌출되며, 레버관통홀(122)을 통과하여 회동한 작동레버(110)에 의하여 힘을 받아 승강로드(120)가 상승되도록 한다.
상기 받침부(123)는 작동레버(110)에 의하여 쉽게 힘을 받을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도 사용이 가능하며, 다만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37)를 많이 누르지 않더라도 받침부(123)에 의해 승강로드(120)가 상승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제1 승강체(120A)의 스토퍼(124)는 레버관통홀(122)의 하단 후방측에 하향으로 경사져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며 제어부(200)에 의하여 걸림 작동되거나, 걸림 작동이 해제된다.
상기 스토퍼(124)는, 승강로드(120)가 상승하면서 제어부(200)의 지지레버(210)에 접촉할 때 지지레버(210)의 지지부(210a; 도 4 참고.)를 밀어 올려 지지레버(210)가 하향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승강로드(120)의 상승을 간섭하지 않게 되고, 승강로드(120)의 상승 완료 후 지지레버(210)의 지지부(210a)가 원위치로 상향 회전함으로써, 스토퍼(124)의 하단이 지지된다.
차폐부재(130)는 승강로드(120)(보다 엄밀하게는 제1 승강체(120A))에 끼워지며, 승강로드(120)의 승하강에 따라 제어부(200)의 제1 승강홀(223) 또는 배출부(300)의 유입공(311)을 폐쇄한다.
차폐부재(130)의 승하강 범위는 스토퍼(124) 하부에 구비된 승강로드(120)의 제1 패킹(120e)과 상기 조절볼트(120C)의 단턱(121) 사이가 되나, 승강부(100)가 내부 하우징(H)의 배출부(300)를 통과하므로, 차폐부재(130)의 실질적인 승하강 범위는 상기 제1 패킹(120e)과, 배출부(300)의 외통(310) 상단 사이가 된다.
차폐부재(130)는 하부가 개구된 실린더 형상으로, 측벽부가 배출부(300)의 외통(310)과 내통(340) 사이의 유입공(311)으로 삽입되며, 상단 외측면에 제2 패킹(130a)이 구비되어, 승하강에 따라 제1 승강홀(223)과, 제2 승강홀(331)을 폐쇄하게 된다.
즉, 승강로드(120)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제1 패킹(120e)에 의해 차폐부재(130)가 하강하여, 외통(310)과 내통(340) 사이에 형성된 유입공(311)에 제2 패킹(130a)이 밀착되고, 제1 패킹(120e)이 차폐부재(130)의 제2 승강홀(331)에 밀착되어 배출부(300)가 폐쇄되고,
승강로드(120)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단턱(121)에 의해 차폐부재(130)가 상승하여, 차폐부재(130)의 가압에 의해 제1 패킹(120e)이 제어 몸체(220)의 제1 승강홀(223)에 밀착되어 폐쇄된다.
따라서 승강로드(120)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차폐부재(130)가 배출부(300)를 폐쇄하여, 저장부(S)에 세척수의 보충 및 저장이 이루어지고,
승강로드(120)의 상승한 상태에서는, 차폐부재(130)에 의해 제1 패킹(120e)이 제1 승강홀(223)을 폐쇄하여, 배출부(300)로 배출되는 세척수가 림측 배관(34)이 아닌 제어부(20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차폐부재(130) 및 승강로드(120)의 완벽한 밀폐를 구현하여 용변에서 세척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세척수량을 절감할 수 있다.
개폐부재(140)는 승강로드(120)의 제2 승강체(120B) 하단에 연결되어 승강로드(120)의 승하강에 따라 오물 배출구(31)를 개폐한다.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37)를 내려서 승강로드(120)가 상승될 경우, 개폐부재(140)는 상승하여 오물 배출구(31)를 개방시키며, 자중에 의하여 승강로드(120)가 하강할 경우, 개폐부재(140) 역시 하강하여 오물 배출구(31)를 폐쇄시킨다.
상기 개폐부재(140)와 제2 승강체(120B)는 각각 고리부(140a)(120f)를 구비하여 서로 걸림 결합되어, 개폐부재(140)의 유동성을 확보함으로써 오물 배출구(31)의 경사 구조나 형상에 맞게 개폐부재(140)의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고리부(140a)(120f)는 각각 수직 방향으로 유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개폐부재(140)의 승하강 시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개폐부재(140)는 상기 승강로드(120)의 제2 승강체(120B)에 연결되며 하측 개구부를 갖는 외부 관체(141)와,
상기 외부 관체(141)의 내주면과 이격부(140a)를 갖도록 상기 하측 개구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이격부(140a)와 연통되는 오수 배출홀(140b)을 구비한 내부 몸체(142)와,
상기 내부 몸체(142)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오물 배출구(31)에 접촉하는 패킹부재(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패킹부재(143)의 중앙은 상기 오수 배출홀(140b)과 연통된 중공부(미지칭)가 구비된다.
우선 하측 개구부를 갖는 외부 관체(141)에 내부 몸체(142)가 이격부(140a)를 갖도록 결합되면, 직입식 양변기의 세척수가 상기 이격부(140a)에 차올라 배출로(35)와 오물 배출구(31) 사이를 폐쇄시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격부(140a)와 오수 배출홀(140b) 구조를 통해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작동이 없더라도 변기 본체(30)에 버려지는 오수가 오물 배출구(31)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즉, 식당이나 휴게소와 같은 대형 화장실의 경우 청소 등을 실시하고 발생하는 오수를 변기 본체(30)에 버려서 배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변기 본체(30)에 오수를 버릴 때 마다 수조(33)의 세척수를 내려 배출하게 되면 세척수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나,
본 발명은 버려진 오수가 자연적으로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대량의 오수를 버리더라도 변기 본체(30)에 오수가 차오를 때마다 오물 배출구(31) 개방을 위해 물 내림 작동을 할 필요가 없어, 세척수의 사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개폐부재(140)의 [외부 관체(141)의 하측 개구부 - 이격부(140a) - 오수 배출홀(140b) - 중공부]의 연결구조가 일반 양변기의 "∩"자형 트랩구조를 형성하게 되어, 세척수가 용기 본체에 담수된다.
즉, 개폐부재(140)가 하강하여 오물 배출구(31)를 폐쇄하게 되면, 상기한 개폐부재(140)의 특별한 굴곡 연통 구조를 통해, 용기 본체에 저장되는 세척수 수위와, 이격부(140a)에 차오르는 세척수 수위가 동일해지면, 세척수의 배출이 멈춰 용기 본체에 세척수가 일정 수위로 담수될 수 있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특별한 구조의 개폐부재(140)를 통해 일반 양변기의 굴곡진 트랩 구조가 채용되어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 용기 본체에 오수를 버릴 경우, 개폐부재(140)의 상승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투입되는 오수로 인해 용기 본체에서 상승되는 수위만큼 사이펀의 원리에 의해 용기 본체로 투입되는 오수가 세척수와 함께 [외부 관체(141)의 하측 개구부 - 이격부(140a) - 오수 배출홀(140b) - 중공부]를 지나 자연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오수의 투입을 완료한 후, 마지막으로 한 번의 물 내림을 실시하면 오수의 배출이 완료되어, 세척수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직입식 양변기의 경우, 일반 양변기의 굴곡진 트랩 구조와 달리 하향 직선 타입의 배관이 마련되어, 개폐부재를 통해 오물 배출구가 완전 폐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용기 본체에 오수를 투입하게 되면, 오수가 용기 본체에 차오르게 되어 오수를 버릴 때 마다 세척수를 내려 배출을 해야 하므로 세척수의 낭비를 초래하는데,
본 발명은, 상기 개폐부재(140)를 통해 일반 양변기와 유사한 굴곡진 트랩 구조를 구현하여, 물 내림이 없이도 오수가 자연 배출되어 세척수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외부 관체(141)와, 내부 몸체(142)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킹부재(143)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부(100)의 상승 후 자중에 의해 다시 하강하여 개폐부재(140)가 오물 배출구(31)를 폐쇄할 때 패킹부재(143)가 오물 배출구(31)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폐쇄할 수 있도록 개폐부재(140)에는 하중 증가를 위한 중량부재(14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부재(144)는 무거운 중량의 납 또는 철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척수 접촉에 의해 녹이 스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의 중량부재를 이중 사출 방식 등을 통해 상기 패킹부재(143) 내부에 내삽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어부(200)는 승강로드(120)가 물 내림 와이어(20)에 의해 상승될 경우 승강로드(120)를 지지하여 세척수가 적절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세척수가 배출된 후 승강로드(120)를 하강시켜 저장부(S)에 물이 보충, 저장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부(200)는 크게 지지레버(210), 제어 몸체(220), 부표 지지대(230), 상부 부표(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레버(210)는 승강로드(120)가 상승할 경우 스토퍼(124)의 경사진 면에 의해 접촉부(210a)가 후방측으로 밀리면서 힌지공(222)을 축으로 하향 회전하여 승강로드(120)의 상승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며,
승강로드(120)가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스토퍼(124)와의 간섭이 해제된 경우 접촉부(210a)가 전방측으로 복귀하면서 힌지공(222)을 축으로 상향 회전하여 스토퍼(124)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걸림 작동함으로써, 승강로드(120)의 하강을 방지한다.
승강로드(120)는 부력을 받을 수 없어, 세척수의 수위에 상관없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힘을 받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레버(210)를 통해 승강로드(120)의 상승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세척수를 필요한 만큼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37)를 내려서 승강로드(120)가 상승될 경우, 지지레버(210)는 승강로드(120)의 스토퍼(124)와 접촉하여 후방측으로 선(先) 하향 회전한 후에, 스토퍼(124)가 지지레버(210)를 지나쳐 높은 위치에 도달하면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지지레버(210)가 전방측으로 후(後) 상향 회전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여 스토퍼(124)의 하단을 받쳐서 지지하여 걸림 작동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지지레버(210)는 승강로드(120)가 통과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형태로서, 접촉부(210a)의 양측단은 제어 몸체(220)의 힌지공(222)에 힌지 결합되어 고정되고, 전단은 부표 지지대(230)의 슬릿홈(230a)에 끼워져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어 몸체(220)에 고정되는 부분 내측에 접촉부(210a)가 제어 몸체(220)의 제1 승강홀(223)방향으로 돌출되어 승강로드(120)의 스토퍼(124)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저장부(S; 보다 엄밀하게는 케이스(400) 내부)의 세척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부표 지지대(230)가 하강하게 되면, 지지레버(210)는 하향 회전하여 스토퍼(124)의 걸림 작동이 해제되어, 자중에 의해 승강로드(120)가 하강하면서, 차폐부재(130)가 유입공(311)을 폐쇄하고, 개폐부재(140)가 오물 배출구(31)를 폐쇄함으로써 세척수의 배출을 차단하고 세척수가 저장부(S)에 저장되도록 한다.
즉, 지지레버(210)가 스토퍼(124)를 계속 지지하게 된다면, 승강로드(120)는 계속 상승한 상태가 유지되어, 유입공(311) 및 오물 배출구(31)가 개방되므로, 상기한 구성을 통해 저장부(S)의 세척수가 끊임없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어 몸체(220)는 중앙에 제1 승강홀(223)이 형성되며, 작동레버(110)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공(221)이 제1 승강홀(223)의 후면 지지대 상단에 형성되고, 지지레버(210)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공(222)이 제1 승강홀(223)의 후면에 형성되며, 제1 승강홀(223)에서 승하강하는 승강로드(120)를 가이드한다.
따라서 작동레버(110)는 지지레버(210)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지레버(210)와 간섭되지 않도록 회동할 수 있으며, 승강로드(120)는 제어 몸체(220)의 중앙 부분에서 상승 또는 하강 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몸체(220)의 제1 승강홀(223)에는 승강로드(120)의 승강을 원활하게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224)이 형성되고, 승강로드(120)에는 가이드 홈(224)에 대응되도록 가이드 돌기(125)가 형성될 수 있다.
부표 지지대(230)는 상단이 상부 부표(240)의 결합홈(241)에 관통하여 케이스에 끼워지고, 하단이 제어 몸체(220)의 제1 승강홀(223)의 전면에 구비된 끼움홀(225)에 끼워지며, 후면에 지지레버(210)가 연결되는 슬릿홈(230a)을 구비하여, 지지레버(210)의 회동 또는 상부 부표(240)의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한다.
끼움 홀(225)의 깊이는 부표 지지대(230)가 최대 높이로 상승한 경우에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부표 지지대(230)의 이탈에 의해 오작동하여 세척수가 배출되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부표 지지대(230)와 결합하는 상부 부표(240)는 저장부(S)의 세척수가 배출되어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부표 지지대(230)와 함께 동반 하강하면서, 지지레버(210)를 하향 회전시켜, 스토퍼(124)의 걸림 작동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승강부(100)가 하강하여 오물 배출구(31)가 폐쇄된다.
즉 지지레버(210)의 걸림 작동을 통해 스토퍼(124)가 지지되어 승강부(100)의 상승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저장부(S)의 세척수가 배출되면, 세척수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상부 부표(240) - 부표 지지대(230)의 하강 및 지지레버(210)의 하향 회전으로 이어져서 결과적으로 승강부(100)의 승강로드(120)가 하강하여 오물 배출구(3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부표(240)는 저장부(S)의 세척수로부터 발생하는 부력에 의해 승하강하며, 제어 몸체(220) 또는 승강로드(120)에 의하여 승하강이 방해받지 않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장부(S)의 세척수에 의해 충분한 부력을 받을 수 있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부표 지지대(230)는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이 요철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 부표(240)는 부표 지지대(230)가 통과되는 결합 홈(241)의 내면에 부표 지지대(230)의 요철 형태에 맞물리도록 하는 후크(미도시)가 돌출된다.
요철과 후크의 맞물림을 통해 상부 부표(240)는 부표 지지대(230)에 대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배출되는 세척수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상부 부표(240)를 부표 지지대(230)의 상단 쪽으로 높게 결합하면 저장부(S)의 세척수 수위가 조금만 낮아지더라도 상부 부표(240)와 결합된 부표 지지대(230)가 바로 하강함에 따라 지지레버(210)를 회동시켜 승강부(100)의 하강에 따른 유입공(311)과 오물 배출구(31)의 폐쇄가 이루어져 세척수량을 줄일 수 있고,
반대로 상부 부표(240)를 부표 지지대(230)의 하단 쪽으로 낮게 결합하면 세척수 수위가 충분하게 낮아질 동안 상부 부표(240)는 부력에 의해 계속 상승한 상태가 유지되어 세척수량을 늘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필요에 맞게 배출되는 세척수량을 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물 내림 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량은 유입공(311)의 개방 시간, 즉 승강부(100)의 상승 유지 시간에 의해 결정되므로, 상부 부표(24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유입공(311)의 개방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배출되는 세척수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부표 지지대(230)의 전면에는 눈금이 표시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상부 부표(240)와, 부표 지지대(23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볼트 결합 등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배출부(300)는 저장부(S)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에 제어부(200)의 제어 몸체(220)가 결합 지지되며, 승강부(100)의 상승 시 배수되는 세척수가 림측 배관(34)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배출부(300)는 크게, 외통(310), 오버플로 관(320), 내통(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통(310)과 내통(340)은 상하부가 개구된 파이프 형상으로,
외통(310)은 수조(33)의 배수구(32)에 장착되며 저장부(S)의 바닥에서 돌출된 상단부에 복수개의 유입홀(310a)이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있고, 내부 하우징(H)의 바닥 하부로 노출된 하단부에 복수개의 림측 배수공(312; 도면에서 배수공(312)을 점선으로 도시한 이유는 배수공(312)이 내통(340)으로 인해 단면도 구조상 실제로 보이지가 않기 때문임.)이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내통(340)은 외통(310)의 내부에 서로 이격하도록 결합되어 외통(310)과 내통(340) 사이의 상단부에 상기 림측 배수공(312)과 연통된 유입공(311)을 형성한다.
이러한 외통(310)과 내통(340)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유입공(311)은 외통(310)의 내주면 하단에 구비된 날개(310b)들로 형성되어, 유입홀(310a)-유입공(311)-배수공(312)이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승강부(100)의 상승에 의해 차폐부재(130)가 상승되면 유입공(311)이 개방되어, 유입홀(310a)을 통해 저장부(S)의 세척수가 유입공(311)으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되는 세척수는 림측 배수공(312)으로 배출되어, 림측 배관(34)을 통해 변기 본체(30)로 배출되어, 용변의 세척이 이루어지고,
상기한 지지레버(210)의 걸림 해제 작동을 통해 승강부(100)가 하강하여 오물 배출구(31)가 폐쇄되면, 배출되는 세척수는 변기 본체(30)에 보충, 저장되고,
이 상태에서 저장부(S)의 세척수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차폐부재(130)가 하강하면 유입공(311)이 폐쇄되어 변기 본체(30)로의 세척수 배출이 차단되어 저장부(S)에 세척수가 저장된다.
외통(310)은 수조(33)의 바닥에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방식은 볼트 결합, 리벳 결합, 등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세척수의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외통(310)의 하단에는 고무 등으로 제작한 패킹(313)이 구비될 수 있다.
또 외통(310) 내부에 연결되어 있는 내통(340)은 외통(310)과의 사이에 유입공(311)을 형성함과 아울러, 내부 공간을 통과하는 개폐부재(140)의 승하강을 가이드한다.
오버플로관(320)은 내부 하우징(H)의 바닥, 외통(310)의 일측에 형성된다.
오버플로관(320)은 저장부(S)에 보관되는 세척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일반적인 파이프 형태일 수 있고 높이는 내부 하우징(H)의 저장부(S) 부피에 따라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200) 및 승강부(100)를 덮어 보호하며 내부 하우징(H)의 저장부(S)에 고정되는 케이스(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400)는 하단이 개방된 실린더 형태일 수 있으며, 와이어홀(410)및 세척수 유도홀(420)을 포함한다.
와이어홀(410)은 케이스(400)의 상단에 형성되며 물 내림 와이어(20)가 통과되고,
세척수 유도홀(420)은 케이스(400)의 측면에 형성되며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세척수 유도홀(420)은 세척수의 충분한 유입을 위하여 방사상으로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최소한 세척수 유도홀 중 어느 하나는 부표 지지대(230) 방향에 형성되어 부표 지지대(230)의 눈금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부 부표(2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다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의 작동을 단계별로 도시한 측면도들로써,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변기 스위치(37)를 내리지 않은 상태인 경우, 승강부(100)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여 개폐부재(140)가 오물 배출구(31)를 폐쇄한 상태가 유지되고, 차폐부재(130)는 제1 패킹(120e)에 의해 하측 배출부(300)쪽으로 가압되어, 제1 패킹(120e)의 밀착으로 인해 차폐부재(130)의 제2 승강홀(331)이 폐쇄되고, 제2 패킹(130a)의 밀착으로 인해 배출부(300)의 유입공(311)이 폐쇄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변기 본체(30)에 오수를 투입하면, 배출로(35)와 개폐부재(140)의 이격부(140a)에 채워진 세척수가 오수 배출홀(140b)을 통해 배출되며, 따라서 용기 본체의 용량을 넘는 대량의 오수를 버리더라도 물 내림 작동을 할 필요 없이 오수의 배출이 가능해져, 오부 배출 후 한 번의 물 내림으로 변기 본체(30)의 세척이 가능하여 세척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용변 후 작동 스위치(37)를 내리기 시작하면, 물 내림 와이어(20)가 당겨짐에 따라 작동레버(110)가 회동하여, 작동레버(110)가 받침부(123)를 밀어 올려 승강로드(120)를 상승시키게 된다.
승강로드(120)가 상승함에 따라 개폐부재(140)가 동반 상승하면서, 오물 배출구(31)가 개방되어 변기 본체(30)의 오물이 변기 본체(30)의 세척수와 함께 배출되고,
동시에 제1 패킹(120e)이 상승하면서 차폐부재(130)의 제2 승강홀(331)이 개방되어 케이스(400)로 유입된 저장부(S)의 세척수는 제어 몸체(220)의 제1 승강홀(223)과, 차폐부재(130)의 제2 승강홀(331)을 통해 내통(340)의 내부 공간을 경유하여 배수구(32)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37)를 계속 내리게 되면, 승강로드(120)가 도 5b에서의 높이보다 상승함에 따라 단턱(121)이 차폐부재(130)를 상승시켜, 배출부(300)의 유입공(311)이 개방됨과 동시에, 상승한 제1 패킹(120e)과 차폐부재(130)의 밀착으로 인해 차폐부재(130)의 제2 승강홀(331)이 폐쇄된다.
따라서 배수구(32)로의 세척수 배출이 중단되면서, 외통(310) 외주면에 형성된 유입홀(310a)을 통해 저장부(S)의 세척수가 유입공(311)을 통과하여 림측 배수공(312)으로 배출되어 림측 배관(34)을 통해 변기 본체(30)의 용변을 세척한다.
다음으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37)를 끝까지 내리면, 승강로드(120)가 계속 상승하면서 경사진 형태의 스토퍼(124)로 인하여 지지레버(210)가 회전하고, 회전되는 지지레버(210)는 부표 지지대(230) 및 부표 지지대(230)와 연결된 상부 부표(240)를 하강시킨 후,
승강로드(120)가 상승함에 따라 승강로드(120)의 스토퍼(124)는 지지레버(210)보다 높은 위치에 자리하게 된다.
이때 부표 지지대(230)는 상부 부표(240)가 부력을 받음에 따라 상승하며, 부표 지지대(230)에 연결된 지지레버(210)는 상향 회전하게 되고,
상향 회전한 지지레버(210)는 승강로드(120)의 스토퍼(124)를 지지하여 걸림 작동함으로써, 승강로드(120)의 하강을 차단하여 세척수의 배출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이때 제1 패킹(120e)은 제어 몸체(220)의 제1 승강홀(223)에 밀착되어 제1 승강홀(223)을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37)를 놓게 되면, 물 내림 와이어(20)에 가해졌던 힘이 제거됨에 따라 작동레버(110)가 하향 회전하게 된다.
이때 세척수가 일정량 배출되었기 때문에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상부 부표(240)는 하강하며, 부표 지지대(230) 또한 하강함에 따라 지지레버(210)는 다시 회전하여 스토퍼(124)의 걸림 작동이 해제된다.
따라서 지지레버(210) 및 작동레버(110)에 의한 상승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승강로드(120)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기 시작하여, 승강로드(120)의 하단에 연결된 개폐부재(140)가 하강한다.
이때 차폐부재(130)는 유입공(311)을 통해 림측 배관(34)으로 배출되는 세척수의 부력에 의하여 승강로드(120)의 하강과 별개로 계속 상승된 상태가 유지되어, 저장부(S)의 세척수가 충분하게 림측 배관(34)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로드(120)가 하강하면서 세척수가 충분히 배출되면, 하강하는 제1 패킹(120e)이 차폐부재(13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차폐부재(130)가 하강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배출부(300)의 유입공(311)이 폐쇄되어 세척수는 더 이상 변기(30)의 수조(33)로부터 배출되지 않는다.
이때 개폐부재(140) 역시 하강하여 오물 투입구를 폐쇄시킨다.
따라서 저장부(S)에 세척수가 다시 보충된 경우, 상부 부표(240)는 부력을 받음으로써 상승하게 되며, 상부 부표(240)에 연결된 부표 지지대(230) 역시 상승하게 된다.
이때 부표 지지대(230)와 연결된 지지레버(210)는 상향 회전하여 이전의 상태를 회복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용변을 세척하기 위하여 작동 스위치(37)를 내리면, 본 발명은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효율적인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수조와 연결된 배수구, 상기 배수구와 변기 본체를 연결하는 림측 배관, 상기 변기 본체와 오물 배출구를 연결하는 관로 및 상기 오물 배출구와 상기 배수구를 연결하는 승강로를 구비한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배수구에 결합되며 상기 저장부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상기 림측 배관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출부를 구비한 내부 하우징;
    물 내림 와이어의 당겨짐 또는 상기 저장부의 세척수 수위 하강에 따라, 상기 승강로 상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오물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상승 시 승강부를 지지하도록 걸림 작동하여 승강부의 하강을 제한하는 지지 레버와, 상기 지지 레버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의 세척수 수위 하강 시 상기 지지 레버의 걸림 작동을 해제하여 승강부가 하강하도록 하는 상부 부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부재는
    하측 개구부를 갖는 외부 관체와,
    상기 외부 관체의 내주면과 이격부를 갖도록 상기 외부 관체의 하측 개구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이격부와 연통된 오수 배출홀을 구비한 내부 몸체와,
    상기 내부 몸체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오물 배출구에 접촉하며, 중앙에 상기 오수 배출홀과 연통된 중공부를 갖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세척수가 상기 이격부에 차올라 배출로와 오물 배출구 사이를 폐쇄시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변기 본체에 오수를 버릴 경우, 배출로와 개폐부재의 이격부에 채워진 세척수가 오수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작동 없이, 오수가, 상기 이격부와 상기 오수 배출홀을 통해 상기 오물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물 내림 와이어와 연결되어 물 내림 시 회동하는 작동 레버와,
    상기 작동 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승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 부표의 하강에 의해 하강하는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로드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로드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1 승강홀 또는 상기 배출부의 유입공을 폐쇄하는 차폐부재와,
    상기 승강로드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로드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오물 배출구를 개폐하는 상기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하중 증가를 위하여 링 형상의 중량부재를 이중 사출방식으로 상기 패킹부재 내부에 내삽된 중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드는,
    길이 방향을 따라 조절공이 형성되고, 하단에 후크부를 구비하며, 작동 레버에 의해 힘을 받아 승강로드가 상승하도록 하는 받침부와, 하단 후방측에 하향으로 경사져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걸림 작동되거나, 걸림 작동이 해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제1 승강체와,
    양측 외주면에 나사부가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 사이로 끼워져 조절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승강체의 하단과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개폐부재와 연결되는 제2 승강체 및
    상기 제1 승강체와 상기 제2 승강체 사이에 체결되어 제2 승강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후크부 외측에 끼워져 후크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2 승강체를 고정함과 아울러, 내주면에 상기 나사부와 대응하는 대응 나사부가 구비되어 제1 승강체 하부로 노출되는 제2 승강체의 길이를 조절하고, 하단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차폐부재가 상승되도록 하는 단턱이 구비되어 있는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PCT/KR2016/005730 2015-06-17 2016-05-30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WO2016204425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35133.XA CN107750294A (zh) 2015-06-17 2016-05-30 直通式坐便器的冲水装置
US15/737,291 US20180135283A1 (en) 2015-06-17 2016-05-30 Flushing device for direct-outlet type toilet bow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196A KR101601767B1 (ko) 2015-06-17 2015-06-17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KR10-2015-0086196 2015-06-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4425A1 true WO2016204425A1 (ko) 2016-12-22

Family

ID=5553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5730 WO2016204425A1 (ko) 2015-06-17 2016-05-30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135283A1 (ko)
KR (1) KR101601767B1 (ko)
CN (1) CN107750294A (ko)
WO (1) WO201620442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660A (ja) * 2000-03-22 2001-09-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水洗便器
KR100477981B1 (ko) * 2004-09-20 2005-03-23 전영세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의 작동 메카니즘
KR100621696B1 (ko) * 2005-12-26 2006-09-07 조동선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
KR101108715B1 (ko) * 2010-11-17 2012-03-20 주식회사 렉스세라믹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KR101516697B1 (ko) * 2014-09-02 2015-05-04 (주)흰여울누리 변기의 절수기구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333A (en) * 1884-05-27 James w
US168613A (en) * 1875-10-11 Improvement in water-closets
US3036313A (en) * 1961-05-01 1962-05-29 Mark H Jenkins Water saving attachment for flush boxes
JP3630494B2 (ja) * 1996-04-15 2005-03-16 旭物産株式会社 水洗トイレ用節水具
US20060053542A1 (en) * 2002-01-18 2006-03-16 Hand Douglas P Adjustable toilet valve assembly
GB2402136B (en) * 2003-05-24 2006-05-10 Steadman William D Toilet flushing arrangement
CN100451253C (zh) * 2006-09-25 2009-01-14 王旭 泡菜坛口水封式节水坐便器
KR100942041B1 (ko) * 2009-08-24 2010-02-11 주식회사 렉스세라믹 직입식 양변기의 물내림 장치
KR101163357B1 (ko) * 2012-03-29 2012-07-05 이재모 절수형 양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660A (ja) * 2000-03-22 2001-09-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水洗便器
KR100477981B1 (ko) * 2004-09-20 2005-03-23 전영세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의 작동 메카니즘
KR100621696B1 (ko) * 2005-12-26 2006-09-07 조동선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
KR101108715B1 (ko) * 2010-11-17 2012-03-20 주식회사 렉스세라믹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KR101516697B1 (ko) * 2014-09-02 2015-05-04 (주)흰여울누리 변기의 절수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1767B1 (ko) 2016-03-10
US20180135283A1 (en) 2018-05-17
CN107750294A (zh) 2018-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13801A1 (ko) 비전기식 절수형 양변기용 세척수 공급장치
WO2010021499A2 (ko)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JP5396679B2 (ja) 洋風便器のフィルバルブの逆流止め装置
KR100735881B1 (ko) 비데로의 물공급을 안내하는 물공급장치가 구비된후레쉬밸브 직수형 변기의 자동 물내림 시스템
WO2016186368A1 (ko) 무전원 자동 물내림 일체형 양변기
DK0722020T3 (da) Skylleindretning i en WC-cisterne
KR100946391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장치가 구비된 변좌시트 및 그 제어방법
WO2016186367A1 (ko) 최저의 인체하중과 최소의 착좌스위치 동작으로 변기 물내림 기능을 극대화시킨 장진 가압돌기가 형성된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ATE112347T1 (de) Spülkasten, insbesondere für die kontrollierte und unterschiedliche spülung von klosettbecken in sanitärinstallationen und dergleichen.
TW201636479A (zh) 沖水閥配件和併入該配件的馬桶沖水系統
WO2016204425A1 (ko)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WO2017115964A1 (ko) 초절수 양변기
WO2017131408A1 (ko) 탈부착 및 방수기능을 구비한 물탱크용 무전원 자동물내림 변좌시트
WO2017131419A1 (ko) 변좌시트에 탈부착 및 방수기능을 구비한 무전원 자동물내림장치의 모듈
WO2009116826A2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 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이 구비된 변좌시트
JP2010511810A (ja) 便器用直水型自動フラッシング装置
WO2011025155A2 (ko) 직입식 양변기의 물내림 장치
WO2017030274A1 (ko) 절수형 양변기
KR101023763B1 (ko) 인체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WO2009142419A2 (ko)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2184525B1 (ko) 승하강 가능한 슬라이딩도어가 설치되는 샤워부스
WO2019078550A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90101022A (ko)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WO2012116524A1 (zh) 利用水压水流实现排水器存排水开闭功能的方法及装置
KR101032105B1 (ko) 수압을 이용한 벽 매립 버튼형 무전원 변기의 물내림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1183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37291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1183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