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696B1 -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 - Google Patents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696B1
KR100621696B1 KR1020060069717A KR20060069717A KR100621696B1 KR 100621696 B1 KR100621696 B1 KR 100621696B1 KR 1020060069717 A KR1020060069717 A KR 1020060069717A KR 20060069717 A KR20060069717 A KR 20060069717A KR 100621696 B1 KR100621696 B1 KR 100621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auxiliary
housing
j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선
정규준
정현호
Original Assignee
조동선
정현호
정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선, 정현호, 정규준 filed Critical 조동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696B1/ko
Priority to PCT/KR2006/00413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7074967A1/en
Priority to AU2006316303A priority patent/AU200631630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E03D1/26Bowl with flushing cistern mounted on the rearwardly extending end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04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with valves with own buoyancy
    • E03D1/306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with valves with own buoyancy with articula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입식 양변기에 사용되는 적은 양의 세척수를 급수부로 유입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세척수를 토수부를 통해 양변기로 공급하도록 직입식 양변기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 수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조내부 바닥에 설치되되, 급수와 토수를 위한 급수구(11)와 토수구(12)를 각각 구비한 하우징(10)과; 상기 급수구(11)를 통하여 하우징(10)내로 세척수를 공급하고, 만수가 되면 차단하도록 하는 급수부(20)와; 상기 토수구(12)를 통하여 하우징(10)으로부터 세척수를 토수하고, 토수가 완료되면 상기 토수구(12)를 차단하도록 하는 토수부(30)와; 상기 토수부(30)와 분뇨개폐기(710)의 개폐를 조작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직입식 양변기에 사용되는 적은 양의 세척수를 급수부로 유입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세척수를 토수부를 통해 양변기로 공급하기 위해 저장되는 초절수 세척수의 용량에 맞도록 설계한 하우징을 변기수조의 바닥면에 설치하는 보조 수조장치 및 상기 보조 수조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는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를 제공하여 2.3리터의 초절수 세척수의 급수와 토수의 작동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조수조장치, 하우징, 급수부, 토수부, 제어부

Description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Auxiliary Water Tank For Toilet Bow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수조장치의 하우징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수조장치의 급수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수조장치의 토수부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수조장치의 제어부 분해도 및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수조장치의 급수부 작동예.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수조장치의 실시예.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하우징 11 : 급수구
12 : 토수구 13 : 고정구
14 : 제1지지부재 16 : 돌출부
17 : 제2지지부재 20 : 급수부
21 : 급수관 22 : 급수노즐
23 : 조절마개 24 : 급수관마개
25 : 수직축 26 : 급수개폐부재
27 : 회전핀 28 : 스크류봉
29 : 부력막 30 : 토수부
31 : 지지구 32 : 토수구개폐마개
33 : 연결부재 34 : 연결고리
37 : 부력조절부재 38 : 힌지축
40 : 제어부 41 : 버튼
42 : 써포터브라켓 43 : 푸셔
44 : 제1링크부재 45 : 제2링크부재
46 : 분뇨개폐기연결대 48 : 제3링크부재
본 발명은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세부적으로는 직입식 양변기에 사용되는 적은 양의 세척수를 급수부로 유입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세척수를 토수부를 통해 양변기로 공급하도록 직입식 양변기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수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지된 기술로 본원발명과 동일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번호 제20-0277574호(명칭:초 절수형 양변기)에 있어서, 변기보울 일측의 배출로와 연결되는 분뇨배출관과, 상기 분뇨배출관에서 승강되는 분뇨개폐기와, 상기 변기보울의 도수로에 연결되는 토수구가 토수구개폐마개로 개폐되고, 플로우트의 승강에 의해 급수구를 차단 또는 개방하는 개폐수단을 갖는 변기수조에 있어서, 상기 변기수조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추의 회전에 의해 회전추보관부가 시소운동 하도록 변기수조 양측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추보관부 일단은 분뇨세척레버가 결합되어 변기수조 외부로 노출되며, 타단은 분뇨세척레버 작동에 의해 토수구개폐마개와 분뇨개폐기를 연동하는 연결레버부가 결합된 수조세척레버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직입식 양변기 구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변기 내부에 급수구와 플로우트 및 토수구를 구비하고, 측면에서 작동되는 수조세척레버를 이용하여 회전추보관부의 시소운동에 의해 세척수를 저장후 양변기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변기에 상기 장치들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러움과 별도의 설치비가 발생되며, 대용량을 저장하는 양변기에 소량의 세척수를 저장하게 되므로써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입식 양변기에 사용되는 적은 양의 세척수를 급수부로 유입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세척수를 토수부를 통해 양변기로 공급하기 위해서, 저장되는 초절수 세척수의 용량에 맞도록 설계한 하우징을 변기수조의 바닥면에 설치하는 보조 수조장치와, 상기 보조 수조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는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수조내부 바닥에 설치되되, 급수와 토수를 위한 급수구와 토수구를 각각 구 비한 하우징과; 상기 급수구를 통하여 하우징내로 세척수를 공급하고, 만수가 되면 차단하도록 하는 급수부와; 상기 토수구를 통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세척수를 토수하고, 토수가 완료되면 상기 토수구를 차단하도록 하는 토수부와; 상기 토수부와 분뇨개폐기의 개폐를 조작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급수부는 하우징 내부의 구획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급수구에 급수관이 삽입되고, 상기 급수관 상부내측에 형성된 탑재부에는 급수노즐과 조절마개가 차례로 탑재되어 급수관마개로 결합되고, 상기 급수관마개와 접촉하는 급수개폐부재의 일측 하부에는 급수관마개의 통공이 위치하고, 상기 급수개폐부재의 일측 상부에는 부력막을 상하 가이드해주는 수직축이 급수관마개의 회전핀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스크류봉과 양측 고정핀과 지지홀더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토수부는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되, 제1지지부재에 삽착된 지지구에 힌지결합되는 연결부재에 의해서 토수구개폐마개와 부력조절부재가 시소운동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하우징 상부에 푸셔가 탑재된 써포터브라켓이 설치되되, 상기 써포터브라켓에는 지지구와 케이스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구에는 제1,2링크부재가 체결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에 의해 승하강되는 분뇨개폐기연결대가 케이스 내부로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는 일측에 무게추와 제3링크부재가 체결되고, 상기 제2,3링크부재에는 연결선이 구비되어 토수구개폐마개의 연결고리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푸셔는 하부에 4개의 다리와 전후 한쌍의 제1누름부 및 내부에 제2누름부가 돌출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분뇨개폐기연결대 일측에는 스토퍼가 더 구비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수조장치의 하우징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수조장치의 급수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수조장치의 토수부 실시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수조장치의 제어부 분해도 및 실시예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수조장치의 급수부 작동예이고,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수조장치의 실시예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는데, 상기 보조수조장치는 하우징(10)과 급수부(20), 토수부(30) 및 제어부(4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수조내부 바닥에 별도 설치되는 것으로, 도 2의 사시도와 같이 돌출부(16)로 구획되어 일측에 급수관(21)이 삽입되는 급수구(11)를 형성하고, 타측에 토수구개폐마개(32)와 접촉되는 토수구(12)와 수조와 결합되게하는 2개의 고정구(13) 및 상기 토수구개폐마개(32)를 지지하는 지지구(31)의 돌출구(311)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5)이 형성된 제1지지부재(14)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16) 일면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홀더(462)와 연결된 분뇨개폐기연결대(46)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17)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13)로 결합되는 볼트(18)와 너트(19)에 의해 수조내부 바닥에 설치된다.
상기 급수부(20)는 하우징(10)의 급수구(11)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3의 분해사시도 및 도 6에 나타난바와 같이 급수관(21) 상부내측에 형성된 탑재부(211)에는 급수노즐(22)과 조절마개(23)가 차례로 탑재되고, 급수관(21) 내벽에 형성된 홈(212)에 급수관마개(24)의 돌출구(241)가 삽입회전되며 결합된다. 상기 급수관마개(24)와 접촉하는 급수개폐부재(26)의 일측 하부에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급수관마개(24)에 형성된 통공(242)이 위치하여 하부로부터 물이 올라오게 한다. 상기 급수개폐부재(26)의 일측 상부는 부력막(29)을 상하이동 가이드해주는 수직축(25)이 급수관마개(24)의 회전핀(27)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급수개폐부재(26)의 타측은 스크류봉(28)과 양측 고정핀(27a)과 지지홀더(27b)에 의해 지지되고(도 1 및 도 6 참조), 상기 수직축(25) 상부에는 부력막(29)이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부력막(29) 후단에 형성된 결합구(291)에는 스크류봉(28)이 연결되는데, 상기 결합구(291) 내부에는 스크류봉(28)을 회전시켜 상기 부력막(29)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수부(30)는 하우징(10)의 토수구(12)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4(a)의 측면도와 같이 상기 도 2에 나타난 제1지지부재(14)의 가이드홈(15)으로 내부에 형성되는 돌출구(311)가 안내되어 삽입되는 지지구(31)와, 상기 지지구(31) 양측으로 돌출된 힌지축(38)에 토수구개폐마개(32)에서 연장된 연결부재(33)가 힌지연결되고, 부력조절부재(37)에서 연장된 연결부재(37a)는 힌지축(38) 상단에 위치하여 토수구개폐마개(32)와 부력조절부재(37)가 시소운동되게 한다. 그리고, 상 기 토수구개폐마개(32) 상부는 제어부(40)의 연결선(49)과 연결되는 연결고리(34)가 형성되고, 하부는 고무패킹(36)이 결합된 돌출부(35)로 구성되어 토수구(12)를 개폐하게 된다. 이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4(b)는 상기 토수구개폐마개(32)가 토수구(12)에 닫힌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c)는 상기 토수구개폐마개(32)가 토수구(12)에 열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제어부(40)는 도 5a,b 및 도 8과 도 9에 나타난 실시예와 같이, 스프링(411)으로 작동되는 버튼(41)이 수조덮개(722)에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411) 하부에는 써포터브라켓(42)에 형성되는 통공(42a)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4개의 다리(431)와, 한쌍의 케이스(423)를 관통하며 일측이 제2링크부재(45)의 상단부를 누르는 제1누름부(432)와, 상기 제1누름부(432) 내부에 위치하여 제1링크부재(44)를 1차로 누르고, 상기 제1링크부재(44)가 2차로 상기 제2링크부재(45)의 상단부를 더욱 누르는 제2누름부(433)로 형성되는 푸셔(43)가 위치하여 써포터브라켓(42)의 중앙에 삽입되고, 길이가 서로 다른 제1,2지지구(421,422)의 지지축(421a,422a)에는 삽입홈(44a,45a)이 형성된 제1,2링크부재(44,45)가 힌지결합되는데, 상기 제1링크부재(44)의 일측은 직육면체형의 제2누름부(433)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링크부재(45)의 일측은 제1누름부(432)의 일측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링크부재(44)의 타측 끝단부가 분뇨개폐기연결대(46)의 상단 내부에 삽입되어 승하강시키는데 상기 분뇨개폐연결대(46)의 하부는 케이스(47) 내부로 삽입되며 상부는 써포터브라켓(42)의 일측을 관통하여 지지되며, 상기 케이스(47) 상부에는 무게추(481)와 제3링크부재(48)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분뇨개폐기연결 대(46)와 무관하게 상하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3링크부재(45,48)에는 연결선(49)이 구비되어 토수구개폐마개(32)의 연결고리(34)에 연결되고, 상기 분뇨개폐기연결대(46)의 하부에는 스토퍼(461)와 하부에 스프링(463)으로 작동되는 홀더(462)가 구비되어 분뇨개폐기(710)가 결합된다(도 1 참조).
상기 도 5a,b를 참고하여 상기 제어부(40)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버튼(41)을 누르게 되면 케이스(423)에 삽입된 제1누름부(432)의 ①번이 제2지지구(422)와 삽입홈(45a)이 힌지 결합된 제2링크부재(45)의 상부면 ②번을 눌러 상기 제2링크부재(45)를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동시에 푸셔(43) 내부에 구비된 짧은 길이의 직육면체형 제2누름부(433) ③번이 제1지지구(421)와 삽입홈(44a)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②번보다 상부에 위치한 제1링크부재(44)의 상부면 ④번을 눌러 제1,2링크부재(44,45)가 동시에 회전되고, 점차 깊이 누르게 되면 제1누름부(432)는 더 이상 누를 수 없게되나, 상기 제2누름부(433)에 의해 상기 제1링크부재(44)의 상부면 끝단부 ⑤번은 수평으로 위치된 제2링크부재(45)의 상부면 ⑥번을 눌러주어 제2링크부재(45)의 ②번 부분이 수직으로 되어 제2링크부재(45)의 타단부 ⑦번에 결합된 연결선(49)을 최대한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누름부(433)에 의해 제1링크부재(44)의 끝단부 ⑧번이 상승됨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44)가 삽입된 분뇨개폐기연결대(46)의 ⑨번이 상부로 이송되어져 연결선(49)이 결합된 제3링크부재(48)의 ⑩번을 올려주는 작업이 상기 ⑦번 작업과 동시에 진행된다. 따라서, 제2,3링크부재(45,48)에 연결된 연결선(49)을 들어올려 하부에 결합되는 토수부(30)의 열림과 닫힘을 확실하게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다리(431)는 가장자리에서 상하이동 가이드 역할을 한다.
도 6은 급수부(20)의 작동예로써, 하우징(10)에 저장된 세척수가 토수구(12)로 배출되면 하우징(10) 도 6(a)와 같이 부력막(29)이 하강하면서 급수개폐부재(26) 후단에 구비된 스크류봉(28)이 상기 급수개폐부재(26)를 누름으로써 전단의 회전핀(27)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급수관마개(24)의 통공(242)을 막고 있던 급수개폐부재(26)의 전단부가 개방되어 세척수가 공급되고, 필요량의 세척수 공급이 완료되면 도 6(b)와 같이 부력막(29)이 상승함과 동시에 급수개폐부재(26) 후단의 스크류봉(28)이 수압에 의해 상승하면서 급수개폐부재(26) 전단의 회전핀(27)을 축으로 회전하여 급수관마개(24)의 통공(242)을 차단하여 세척수 공급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봉(28)은 상기 부력막(29)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세척수의 공급량을 조절한다.
도 7 내지 9는 보조수조장치의 실시예로써, 도 7은 상기 도 4의 토수구(12)에 닫혀진 토수부(30)가 연결선(49)의 상승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8과 도 9는 배출로(716)와 연결되는 분뇨배출관(709)의 상부수직부분에 분뇨개폐기(710)가 위치하는 직입식 양변기에 있어, 제어부(40)의 초기상태와 동작상태시 변기수조(702) 내부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초절수 양변기용 보조 수조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10)에 저장된 세척수가 토수구(12)로 빠져나가게 되면, 급수부(20)의 부력막(29)과 스크류(28)가 서서히 하강하면서 급수관마개(24)의 통공(242)을 막고 있던 급수개폐부재(26)가 열리면서 세척수가 공급되고, 일정량(약 2.3리터)의 세척수가 급수되면서 부력막(29)과 스크류(28)가 서서히 상부로 이동하여 급수개폐부재(26)는 급수관마개(24)의 통공(242)을 막아 공급을 차단하게 되며, 이때 몸체(21) 내부에 탑재되는 급수노즐(22) 상부의 조절마개(23)는 세척수의 공급시 상부로 움직여 급수노즐(22)을 열어주고, 차단시 급수노즐(22)를 막아주게 된다.
하우징(10)에 저장된 세척수는 사용자가 상부의 버튼(41)을 누르게 되면, 하부의 레버(43)가 도 7과 같이 밀어주게 되어, 앞서 설명한 제어부(40)의 작동방법과 같은 단계를 거쳐 제2,3링크부재(45,48)에 의해 연결선(49)이 상승하여 하우징(10) 바닥의 토수구(12)를 막고 있던 토수구개폐마개(32)를 개방하게 되며, 분뇨개폐기연결대(46)의 스토퍼(461)는 도 7과 같이 제3링크부재(48)의 상측에 걸리게 되고, 일정 무게를 갖는 무게추(481)와 같이 세척수가 빠져나가는 시간과 연동하여 토수구개폐마개(32)를 서서히 닫히게 시간을 지연하게 되며, 세척수가 토수구(12)로 완전히 빠져 나가게 되면 제어부(40)는 초기상태로 위치하게 되며, 급수구(11)로 새로운 세척수가 공급되어져 하우징(10) 내부에 저장되는 것을 반복적으로 실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입식 양변기에 사용되는 적은 양의 세척수를 급수부로 유입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세척수를 토수부를 통해 양변기로 공급하기 위해 저장되는 초절수 세척수의 용량에 맞도록 설계한 하우징을 변기수조의 바닥면에 설치하는 보조 수조장치 및 상기 보조 수조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는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를 제공하여 2.3리터의 초절수 세척수의 급수와 토수의 작동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배출로(716)와 연결되는 분뇨배출관(709)의 상부수직부분에 분뇨개폐기(710)가 위치하는 직입식 양변기에 있어서,
    수조내부 바닥에 설치되되, 급수와 토수를 위한 급수구(11)와 토수구(12)를 각각 구비한 하우징(10)과;
    상기 급수구(11)를 통하여 하우징(10)내로 세척수를 공급하고, 만수가 되면 차단하도록 하는 급수부(20)와;
    상기 토수구(12)를 통하여 하우징(10)으로부터 세척수를 토수하고, 토수가 완료되면 상기 토수구(12)를 차단하도록 하는 토수부(30)와;
    상기 토수부(30)와 분뇨개폐기(710)의 개폐를 조작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20)는 하우징(10) 내부의 구획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급수구(11)에 급수관(21)이 삽입되고, 상기 급수관(21) 상부내측에 형성된 탑재부(211)에는 급수노즐(22)과 조절마개(23)가 차례로 탑재되어 급수관마개(24)로 결합되고, 상기 급수관마개(24)와 접촉하는 급수개폐부재(26)의 일측 하부에는 급수관마개(24)의 통공(242)이 위치하고, 상기 급수개폐부재(26)의 일측 상부에는 부력막(29)을 상하 가이드해주는 수직축(25)이 급수관마개(24)의 회전핀(27)에 힌지결 합되고, 타측은 스크류봉(28)과 양측 고정핀(27a)과 지지홀더(27b)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수부(30)는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되되, 제1지지부재(14)에 삽착된 지지구(31)에 힌지결합되는 연결부재(33)에 의해서 토수구개폐마개(32)와 부력조절부재(37)가 시소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하우징(10) 상부에 푸셔(43)가 탑재된 써포터브라켓(42)이 설치되되, 상기 써포터브라켓(42)에는 지지구(421,422)와 케이스(423)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구(421,422)에는 제1,2링크부재(44,45)가 체결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44)에 의해 승하강되는 분뇨개폐기연결대(46)가 케이스(47) 내부로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47)는 일측에 무게추(481)와 제3링크부재(48)가 체결되고, 상기 제2,3링크부재(45,48)에는 연결선(49)이 구비되어 토수구개폐마개(32)의 연결고리(3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43)는 하부에 4개의 다리(431)와 전후 한쌍의 제1누름부(432) 및 내부에 제2누름부(433)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개폐기연결대(46) 일측에는 스토퍼(46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
KR1020060069717A 2005-12-26 2006-07-25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 KR100621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6/004138 WO2007074967A1 (en) 2005-12-26 2006-10-13 Auxiliary water tank for toilet stool
AU2006316303A AU2006316303A1 (en) 2005-12-26 2006-10-13 Auxiliary water tank device for toilet s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29870 2005-12-26
KR1020050129870 2005-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1696B1 true KR100621696B1 (ko) 2006-09-07

Family

ID=37624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717A KR100621696B1 (ko) 2005-12-26 2006-07-25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143913A1 (ko)
JP (1) JP2008223219A (ko)
KR (1) KR1006216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040B1 (ko) 2008-02-04 2010-02-11 신원식 직입식 양변기의 역류안내배출구조
KR100942041B1 (ko) 2009-08-24 2010-02-11 주식회사 렉스세라믹 직입식 양변기의 물내림 장치
KR101108715B1 (ko) 2010-11-17 2012-03-20 주식회사 렉스세라믹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KR101200834B1 (ko) 2012-06-01 2012-11-13 계림요업주식회사 보충수의 유출입량 차이로 작동되는 변기의 자동물내림 장치
KR101601767B1 (ko) * 2015-06-17 2016-03-10 동양프론테크(주)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36799B (zh) * 2009-12-15 2015-03-04 赵书全 座便器排污口堵塞体
CN102758474B (zh) * 2011-04-25 2014-07-23 李飞宇 一种具有防溢水功能的排水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2060A (en) * 1954-12-16 1956-09-11 Leroy B Jahn Water closet flushing mechanism
AU2108583A (en) * 1982-11-18 1984-05-24 James Hardie Industries Ltd. Selective-flush cistern
US5548850A (en) * 1995-01-24 1996-08-27 Geeham; Calvin T. Toilet with two flush modalities
US5642533A (en) * 1995-11-16 1997-07-01 Young; Andy Y. Water saving toilet
US7159251B2 (en) * 2004-07-22 2007-01-09 Philip Hennessy Water saver flush system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040B1 (ko) 2008-02-04 2010-02-11 신원식 직입식 양변기의 역류안내배출구조
KR100942041B1 (ko) 2009-08-24 2010-02-11 주식회사 렉스세라믹 직입식 양변기의 물내림 장치
WO2011025155A2 (ko) * 2009-08-24 2011-03-03 주식회사 렉스세라믹 직입식 양변기의 물내림 장치
WO2011025155A3 (ko) * 2009-08-24 2011-06-30 주식회사 렉스세라믹 직입식 양변기의 물내림 장치
KR101108715B1 (ko) 2010-11-17 2012-03-20 주식회사 렉스세라믹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KR101200834B1 (ko) 2012-06-01 2012-11-13 계림요업주식회사 보충수의 유출입량 차이로 작동되는 변기의 자동물내림 장치
KR101601767B1 (ko) * 2015-06-17 2016-03-10 동양프론테크(주)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WO2016204425A1 (ko) * 2015-06-17 2016-12-22 동양프론테크(주)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CN107750294A (zh) * 2015-06-17 2018-03-02 东阳弗朗技术有限公司 直通式坐便器的冲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43913A1 (en) 2007-06-28
JP2008223219A (ja)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1696B1 (ko) 직입식 양변기용 보조수조장치
US4032997A (en) Flush toilet accessory
JP5103943B2 (ja) 便器洗浄水タンク装置
EP1802819A1 (en) Passively discharging and water-saving toilet bowl
CN113597493B (zh) 清洗水箱装置以及具备该清洗水箱装置的水洗便器装置
KR101218592B1 (ko)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
KR100425419B1 (ko) 가변식 사이폰 관을 구비한 절수형 수세식 변기
CN104405016A (zh) 自动冲水装置
KR100530575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100022136A (ko) 절수형 양변기
KR100354527B1 (ko) 절수형 수세식 변기
CN109208720B (zh) 一种坐便器及其进水装置
CN201406727Y (zh) 采用触摸延时开关实现即时冲洗厕所大便器的水箱
JP2001323530A (ja) 水洗トイレにおける洗浄水節水装置
AU2006316303A1 (en) Auxiliary water tank device for toilet stool
KR102425348B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100664910B1 (ko) 양변기
CN113574229B (zh) 清洗水箱装置以及具备该清洗水箱装置的水洗便器装置
KR102353843B1 (ko) 선택적 절수형 양변기 부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탱크와 양변기
KR200431122Y1 (ko)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KR100544316B1 (ko) 양변기의 물내림 자동 작동장치
WO2002095147A1 (fr) Soupape de vidange pour reservoir surbaisse
CN220318692U (zh) 一种马桶上下冲机械控制阀
KR200229713Y1 (ko) 수세식 변기의 내장형 절수장치
RU2108428C1 (ru) Смывной бач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