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90481A1 - 파낙사디올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암보조제 - Google Patents

파낙사디올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암보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90481A1
WO2016190481A1 PCT/KR2015/006832 KR2015006832W WO2016190481A1 WO 2016190481 A1 WO2016190481 A1 WO 2016190481A1 KR 2015006832 W KR2015006832 W KR 2015006832W WO 2016190481 A1 WO2016190481 A1 WO 201619048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nticancer
cancer
ppd
doxorubicin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683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철희
김은수
최경선
류승욱
하지강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Priority to US15/575,78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525064B2/en
Priority to JP2017560772A priority patent/JP6615912B2/ja
Publication of WO201619048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904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cancer adjuvant comprising a panaxanadiol ginsenoside compound, an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PD (protopanaxadiol) or a compound-K, which is a kind of panaxanadiol ginsenoside compound, as an active ingredient. It relates to an anticancer adjuvant, the anticancer adjuvant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diseases, including an anticancer agent exhibiting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and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cancer disease, including the anticancer adjuvant.
  • PPD protopanaxadiol
  • compound-K which is a kind of panaxanadiol ginsenoside compound
  • Korean Patent No. 553266 includes the use of quercetin in combination with doxorubicin, which not only prevents the side effects of 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 of doxorubicin but also enhances the inhibition of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
  • An anticancer composition and its use are disclosed.
  • Korean Patent No. 633452 discloses an anticancer agent comprising a cocoa extract that can compensate for the side effects of doxorubicin by restoring inhibition of 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 through gap binding, which is a side effect of doxorubicin. Is disclosed.
  • the above technique has the disadvantage of only suppressing the side effects of doxorubicin itself and not eliminating the side effects caused by the administration of excess doxorubicin. Since most of the side effects of anticancer drugs are known to be caused by excessive treatment to improve the treatment effect,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a method that shows the same therapeutic effect even when a small amount of anticancer drugs are treated.
  • PPD or compound-K which is a kind of PPD (protopanaxadiol) ginsenoside compound assists the anticancer activity of doxorubicin
  • CK compound-K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cancer adjuvant comprising a PPD ginsenoside compound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disease, comprising the anticancer adjuvant and an anticancer agent exhibiting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cancer disease improvement comprising the anticancer aid.
  • Anticancer adjuvant comprising PPD or Compound-K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can damage mitochondria in cancer cells, thereby aiding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thus safer cancer using an anticancer agent showing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It may be widely used to treat or ameliorate a disease.
  • FIG. 1 shows the survival rate of MCF-7 cells in which PPD-type ginsenoside compounds (F2, Rh2, CK or PPD) at various concentrations (0, 5, 10, 20, 50, 100 or 200 ⁇ g / ml) are breast cancer cell lines. It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comparing the effect.
  • PPD-type ginsenoside compounds F2, Rh2, CK or PPD
  • Figure 2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ffects of PPD ginsenoside compounds on the anticancer activity of cancer cells.
  • Figure 2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survival rate of breast cancer cells co-treated with CK or PPD and various concentrations of doxorubicin, ( ⁇ ) represents a negative control, ( ⁇ ) represents a positive control, ( ⁇ )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CK is indicated, and ( ⁇ ) represents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PPD.
  • Figure 3a is a Western blot analysis picture showing the result of comparing the expression level of apoptosis-related protein in breast cancer cells treated with C-K or PPD and doxorubicin simultaneously.
  • Figure 3b is a Western blot analysis picture showing the result of comparing the expression level of apoptosis-related protein with treatment time in breast cancer cells treated with PPD and doxorubicin at the same time.
  • Figure 3c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ffect of PARP or caspase-9 activity inhibitors on the anticancer effect by the simultaneous treatment of C-K or PPD and doxorubicin.
  • 4A is an immunofluorescence staining photo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level of cytochrome-C released from mitochondria by simultaneous treatment of C-K or PPD with doxorubicin.
  • Figure 4b is a graph showing the number of cytochrome-C released from the mitochondria by the simultaneous treatment time of C-K or PPD and doxorubicin.
  • Figure 5a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 of fluorescence staining of mitochondria contained in MCF-7 cells treated with C-K or PPD.
  • Figure 5b shows the expression level of proteins involved in mitochondrial cleavage (Drp1, Fis1 or OPA-3) expressed in CK or PPD treated MCF-7 cells and proteins involved in mitochondrial fusion (Mfn1. Mfn2 or OPA1). This picture shows the results of Western blot analysis.
  • Figure 6a is a Western blot analysis picture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of the protein by siRNA that inhibits the expression of proteins (Mfn1 or Mfn2) involved in mitochondrial fusion.
  • Figure 6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anticancer activity of doxorubicin and tamoxifen against the cells induced mitochondrial division.
  •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nticancer activity mechanism of the anticancer agen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nticancer agent showing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 the present inventors came to pay attention to PPD (protopanaxadiol) class ginsenoside compounds while conducting various studies to develop a method that can carry out safer chemotherapy.
  • the PPD ginsenoside compound is a kind of ginsenoside compound included in ginseng or red ginseng, and may exhibit anticancer activity by itself, but it may also support various auxiliary anticancer activities such as immunity enhancem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ther than direct anticancer activity. Since it is known that the present invention, the PPD ginsenoside compound was to determine whether it can assist the anticancer activity of other anticancer drugs.
  • PPD protopanaxadiol
  • compound-K compound-K, C-K
  • the cancer cell mitochondrial damage-inducing effect of PPD or CK may assist the anticancer activity of the anticancer agent showing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among various anticancer agents, but may not affect the anticancer activity of the anticancer agent showing anticancer activity by other mechanisms.
  • PPD or C-K can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an anticancer adjuvant that assists the anticancer activity of an anticancer agent that exhibits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 the effects of PPD or C-K are not known at all, and were first identified by the present inventor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cancer adjuvant comprising, as an embodiment, PPD, Compound-K, or a combina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PPD protopanaxadiol
  • the PPD can be used as an anticancer adjuvant capable of assisting the anticancer activity of an anticancer agent showing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and the concentration at which the PPD can be used as an anticancer adjuvant does not show anticancer activity by itself.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assist the anticancer activity of the anticancer agent showing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but as an example, the treatment concentration may be 10 ⁇ g / ml or less, and as another example, 0.1 to 10 ⁇ g / The treatment concentration may be in ml, and as another example, the treatment concentration may be in the range of 5 to 10 ⁇ g / ml.
  • compound-K (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esent in ginseng itself, but saponins such as ginsenosides Rb1, Rb2, Rc, and Rd present in ginseng or red ginseng are intestinal, such as bifidus bacteria.
  • the CK can be used as an anticancer adjuvant capable of assisting the anticancer activity of an anticancer agent showing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and the concentration at which the CK can be used as an anticancer adjuvant does not show anticancer activity by itself.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assist the anticancer activity of the anticancer agent showing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but as an example, the treatment concentration may be 10 ⁇ g / ml or less, and as another example, 0.1 to 10 ⁇ g / The treatment concentration may be in ml, and as another example, the treatment concentration may be in the range of 5 to 10 ⁇ g / ml.
  • PPD protopanaxadiol
  • the PPD ginsenoside compound may be interpreted as a compound that damages intracellular mitochondria and plays a role of assisting the anticancer activity of an anticancer agent that exhibits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 the PPD ginsenoside compounds may be those extracted from ginseng, red ginseng, or the like, or may be chemically synthesized.
  • anticancer adjuva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 agent that can improve, improve or enhance the anticancer effect of an anticancer agent.
  • an agent capable of improving, improving or enhancing the anticancer effect of the anticancer agent may be used as an anticancer adjuvant.
  • a concentration-dependent anticancer agent may be used as an anticancer adjuvant that can improve, enhance or enhance the anticancer effect of the anticancer agent when used with an anticancer agent at a level that does not exhibit anticancer activity by itself.
  • the anticancer adjuvant may be used as an anticancer agent or anticancer adjuvant according to the treatment concentration, and may be used as an anticancer adjuvant in the treatment concentration range which does not show anticancer activity by itself.
  • PPD ginsenoside compounds (PPD or CK) were used as anticancer agents that can assist the anticancer activity of an anticancer agent (doxorubicin) that exhibits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treatment concentrations of PPD class ginsenoside compounds (PPD or CK) which can be used as 5 and 10 ⁇ g / ml.
  • the anticancer adjuvant may be interpreted as an agent that damages the intracellular mitochondria and plays a role in promoting the release of cytochrome-C from the mitochondria, wherein the anticancer adjuvant exhibits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It shows the effect of improving, improving or increasing the anticancer activity of the anticancer agent.
  • An anticancer agent that exhibits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that can be enhanced by the anticancer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but may be doxorubicin as an example, and a cancer disease that may be treated by the anticancer agent is particularly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it may be a solid cancer that can be treated by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and as another example, breast cancer, ovarian cancer, colon cancer, liver cancer, thyroid cancer, gallbladder cancer, biliary cancer, pancreatic cancer, prostate Cancer, esophageal cancer, cervical cancer, colon cancer, bladder cancer, central nerve tumor, brain tumor, and the like, and may be breast cancer as another example.
  • PPD ginsenoside compounds may exhibit concentration-dependent anticancer activity against breast cancer cells (FIG. 1), but some compounds (CK or PPD) when treated at a dose that does not exhibit anticancer activity ) Can assist the anticancer activity of doxorubicin (Figs. 2a, 2b, 3a and 3b). Since doxorubicin is known to exhibit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compound (CK or PPD) on the mitochondria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level of cytochrome-C released from the mitochondria of breast cancer cells by doxorubicin treatment. (FIGS. 4A and 4B),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also damage the mitochondria of breast cancer cells (FIGS. 5A and 5B). Thus, by inducing mitochondrial cleavage damage to the mitochondria, and treated with doxorubicin, it was confirmed that the anticancer activity of doxorubicin is increased (Fig. 6b).
  • PPD or C-K belonging to the PPD ginsenoside compounds showed an effect of assisting the anticancer activity of an anticancer agent showing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 the anticancer adjuva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an anticancer agent or an anticancer adjuvant that exhibits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to enhance the anticancer effect of the anticancer agent.
  • the anticancer adjuva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anticancer agents such as doxorubicin, etoposide, daunorubicin, Mitoxantrone (mitosantron), etc., together with the anticancer adjuva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ticancer agents such as doxorubicin, etoposide, daunorubicin, Mitoxantrone (mitosantron), etc.
  •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anticancer adjuvant may be administered through any general route as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 the anticancer adjuva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subcutaneous administration, intradermal administration, oral administration, intranasal administration, intrapulmonary administration, rectal administr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Does not.
  • the anticancer adjuvant may be administered by any device that allows the active substance to migrate to the target cel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disease, comprising the anticancer adjuvant and an anticancer agent exhibiting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 PPD or compound-K which i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anticancer adjuvan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damages the mitochondria in cancer cells and plays a role of promoting the release of cytochrome-C from the mitochondria.
  • the anticancer activity of the anticancer agent may be improved, improved or increased, and thus, anticancer treatment may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 the anticancer adjuvant may improve, improve or increase the anticancer activity of the anticancer agent, and when the anticancer adjuvant is used together with the anticancer agent, the dosage of the anticancer agent used to exhibit the same anticancer activity may be reduced, As such, reducing the dose of the anticancer agent can reduce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and the level of side effects that can be caused by the administration of the anticancer agent, thereby enabling safer chemotherapy.
  • the anticancer adjuvant may be formulated as a more effective and safe formulation with an anticancer agent exhibiting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 cancer diseases that can be treated or improved by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further comprising a sui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oral dosage form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nd aerosols, respectively,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Can be.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and such solid preparations include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It is prepared by mixing sucrose or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yrate and talc are also used.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use may include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etc., in addition to water and liquid paraffin, which are simple diluents commonly used in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and syrups. have.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 and suspending ag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As the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content of the PPD or CK contain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001 to 10% by weight, other examples 0.01 to 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nal composition as an example. And, the content of doxorubicin contained therein may be included in the known cont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Sufficient amount means an effective dose level means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activity of the drug, the age, weight, health, sex, sensitivity of the patient to the drug, the time of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used,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rate of excretion treatment Period of time, factors including drugs used in combination or coincidental with the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used,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art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known cancer therapeutic agents. In consideration of all the above factors,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an amount that can obtain the maximum effect in a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 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use, the degree of addiction of the disease, the age, weight, sex, history, or type of substanc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pati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t about 0.1 ng to about 100 mg / kg, preferably 1 ng to about 10 mg / kg, per adult, and the frequency of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Although not limited, it can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several times in divided doses.
  • the dosag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aspe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cancer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a subject having a cancer disease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the term "individu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without limitation, mammals, farmed fish, and the like, including rats, livestock, humans, and the like, which are likely to develop or develop cancer diseases.
  •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disea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through any general route as long as the target tissue can be reach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is, but as desired, routes of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subcutaneous administration, intradermal administration, oral administration, intranasal administration, pulmonary administration, rectal administration, etc. It can be administered through.
  • oral administration may denature the PPD or C-K by gastric acid
  • oral compositions should be formulated to coat the active agent or protect it from degradation in the stomach.
  • the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by any device in which the active substance may migrate to the target cel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cancer disease improvement comprising PPD or C-K.
  • PPD or CK an active ingredient of the anticancer adjuvant
  • the anticancer adjuvant may be included in the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cancer disease in that it can amplify the anticancer effect of doxorubicin even when doxorubicin is administered at a low dose.
  • the content of the PPD or C-K included in the fo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included in 0.001 to 10% by weight, more preferably 0.1 to 1%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 the food When the food is a beverage, it may be included in a ratio of 1 to 10 g, preferably 2 to 7 g based on 100 ml.
  • the composition may include additional ingredients that are commonly used in food compositions to improve the smell, taste, time and the like. For example, it may include vitamins A, C, D, E, B1, B2, B6, B12, niacin, biotin, folate, panthotenic acid, and the like.
  • minerals such as zinc (Zn), iron (Fe), calcium (Ca), chromium (Cr), magnesium (Mg), manganese (Mn), copper (Cu). It may also contain amino acids such as lysine, tryptophan, cysteine, valine and the like.
  • preservatives potassium sorbate, sodium benzoate, salicylic acid, sodium dehydroacetate, etc.
  • fungicides bleaching powder and highly bleaching powder, sodium hypochlorite, etc.
  • antioxidants butylhydroxyanisol (BHA), butylhydroxytoluene ( BHT), etc.
  • colorants such as tar pigments
  • colorants such as sodium nitrite, sodium nitrite
  • bleach sodium sulfite
  • seasonings such as MSG glutamate
  • sweeteners ducin, cyclate, saccharin, sodium, etc.
  • Food additives such as flavors (vanillin, lactones, etc.), swelling agents (alum, potassium D-tartrate, etc.), reinforcing agents, emulsifiers, thickeners (pigments), coatings, gum herbicides, foam inhibitors, solvents, improvers, etc.
  • the additiv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and used in an appropriate amount
  • the food composition for cancer disease improvement comprising the PPD or C-K can be prepared for health functional food for cancer disease improvement.
  • the food composition may be used to produce a processed food that can improve cancer disease, for example, confectionery, beverages, 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foods, canned food, milk processed foods, meat processed foods or noodles processed foods It can be prepar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in the form.
  • the confectionery includes biscuits, pies, cakes, breads, candy, jelly, gum, cereals (including meal substitutes such as grain flakes) and the like.
  • Beverages include drinking water, carbonated beverages, functional ion beverages, juices (eg, apples, pears, grapes, aloes, citrus fruits, peaches, carrots, tomato juices, and the like), sikhye, and the like.
  • Alcoholic beverages include sake, whiskey, shochu, beer, liquor, fruit wine, and the like.
  • Fermented foods include soy sauce, miso, and red pepper paste.
  • Canned food includes canned seafood (eg, canned tuna, mackerel, saury, canned seashells, etc.), canned livestock (eg beef, pork, chicken, turkey canned, etc.), canned produce (corn, peaches, canned apples, etc.).
  • Milk processed foods include cheese, butter, yogurt, and the like.
  • Processed meat products include pork cutlet, beef cutlet, chicken cutlet and sausage. Includes sweet and sour pork, nuggets, breadfruits and more. Noodles, such as sealed packaging fresh noodles, are included.
  • the composition may be used in retort food, soups and the like.
  • the term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term as a 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the medicine, medical effect processed to appear efficiently in addition to nutritional control function It means a high food, the food may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such as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 pill to obtain a useful effect in the improvement of cancer diseases.
  • FOSHU special health use
  •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MCF-7 cells were inoculated in DMEM medium containing 10% FBS and 1% penicillin / streptomycin, and cultured at 37 ° C. and 5% CO 2 conditions. Subcultured at 5 to 5 day intervals.
  • PPD ginsenoside compounds F2, Rh2, CK or PPD
  • F2, Rh2, CK or PPD PPD ginsenoside compounds at various concentrations (0, 5, 10, 20, 50, 100 or 200 ⁇ g / ml) were cultured in the cultured MCF-7 cells for 24 hours. And the survival rate of these cells was determined by performing WST-1 analysis on the cells (FIG. 1). At this time, the WST-1 assay inoculated each cell into a medium containing 10% EZ-Cytox and reacted at 37 ° C. for 1.5 hours, and then absorbed (450 nm) the level of the water-soluble formazan dye produced by the viable cells. ) was measured and analyzed to calculate cell viability.
  • FIG. 1 shows the survival rate of MCF-7 cells in which PPD-type ginsenoside compounds (F2, Rh2, CK or PPD) at various concentrations (0, 5, 10, 20, 50, 100 or 200 ⁇ g / ml) are breast cancer cell lines. It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comparing the effect. As shown in Figure 1, the PPD ginsenoside compound was confirmed to exhibit anti-cancer activity against breast cancer cel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each compound, when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20 ⁇ g / ml or more began to show anti-cancer activity, when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200 ⁇ g / ml or more shows the effect of killing all breast cancer cells Confirmed.
  • PPD-type ginsenoside compounds F2, Rh2, CK or PPD
  • PPD ginsenoside compounds exhibit anticancer activity against breast cancer cel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 PPD ginsenoside compounds The effects of PPD ginsenoside compounds on the anticancer activity of doxorubicin, a type of anticancer agent known to exhibit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were studied.
  • PPD ginsenoside compounds a type of anticancer agent known to exhibit anticancer activity.
  • PPD ginsenoside compound F2, Rh2, CK or PPD
  • 10 ⁇ g / ml of PPD ginsenoside compound F2, Rh2, CK or PPD
  • 10 ⁇ g / ml of PPD ginsenoside compound F2, Rh2, CK or PPD
  • 20 ⁇ M tamoxifen or 5 ⁇ g / ml of doxorubicin The cells were incubated for 24 hours, and after the incubation was completed, survival rates of MCF-7 cells were compared by WST-1 analysis (FIG. 2A).
  • Figure 2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ffects of PPD ginsenoside compounds on the anticancer activity of cancer cells.
  • FIG. 2A breast cancer cells were treated with PPD-type ginsenoside compounds having no anticancer activity through Example 1 and treated with anticancer agents.
  • CK or PPD in PPD-type ginsenoside compounds was observed. It was confirmed that the anticancer activity by doxorubicin can be improved.
  • tamoxifen was treated, it was confirmed that no PPD ginsenoside compound improved the anticancer activity of tamoxifen.
  • CK or PPD affects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f doxorubicin
  • 10 ⁇ g / ml of PPD ginsenoside compound (CK or PPD) was added thereto, followed by incubation for 12 hours, and then various concentrations (0, 0.1, 0.5, 1, 2, 5, 10, 50 [mu] g / ml) of doxorubicin was incubated for 24 hours, and after the incubation was completed, the survival rate of MCF-7 cells was calculated from the WST-1 analysis. LC50 values were compared (FIG. 2B).
  • the experimental group was not treated with ginsenoside as a negative control,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F2, a PPD ginsenoside compound confirmed to have no effect on doxorubicin as a positive control.
  • Figure 2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survival rate of breast cancer cells co-treated with CK or PPD and various concentrations of doxorubicin, ( ⁇ ) represents a negative control, ( ⁇ ) represents a positive control, ( ⁇ )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CK is indicated, and ( ⁇ ) represents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PPD. As shown in Figure 2b, when simultaneously treated with C-K or PPD and doxorubicin, it was confirmed that the anticancer activity is increased than when doxorubicin alone.
  • Example 2-2 Apoptosis ( apoptosis Effect on the expression level of related proteins
  • Figure 3a is a Western blot analysis picture showing the result of comparing the expression level of apoptosis-related protein in breast cancer cells treated with C-K or PPD and doxorubicin simultaneously. As shown in FIG. 3A, levels of phosphorylated-JNK, cleaved-PARP and cleaved-caspase-9 were increased in all cells treated with doxorubicin.
  • the levels of phosphorylated-JNK and cleaved-PARP in the increased phosphorylated-JNK, cleaved-PARP and cleaved-caspase-9 were not affected by treatment of CK or PPD, but cleaved-caspase -9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CK or PPD was treated, especially when the PPD was treated significantly increased.
  • medium containing 10 ⁇ g / ml of PPD was added to MCF-7 cells and cultured for 12 hours, followed by replacement with medium containing 10 ⁇ g / ml of PPD and 5 ⁇ g / ml of doxorubicin, followed by 0, 0.5. Incubated for 1, 2, 4 or 6 hours.
  • the same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ultured cells (FIG. 3B).
  • the comparison group instead of the medium containing PPD and doxorubicin, the comparison group used cells incubated with a medium containing doxorubicin alone.
  • Figure 3b is a Western blot analysis picture showing the result of comparing the expression level of apoptosis-related protein with treatment time in breast cancer cells treated with PPD and doxorubicin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3b, it was confirmed that cleaved-PARP and cleaved-caspase-9 were formed faster in breast cancer cells treated with PPD and doxorubicin simultaneously than breast cancer cells treated with doxorubicin alone.
  • a medium containing 10 ⁇ g / ml of CK or PPD was added to MCF-7 cells pretreated with Z-LEHD-FMK, an inhibitor of caspase-9, or 3-AB, an inhibitor of PARP, and cultured for 12 hours.
  • the cells were replaced with a medium containing 10 ⁇ g / ml of CK or PPD and 0 or 5 ⁇ g / ml of doxorubicin and incubated for 24 hours.
  • the same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ultured cells (FIG. 3C).
  • the experimental group was not treated with ginsenoside as a negative control,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F2, a PPD ginsenoside compound confirmed to have no effect on doxorubicin as a positive control.
  • Figure 3c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ffect of PARP or caspase-9 activity inhibitors on the anticancer effect by the simultaneous treatment of C-K or PPD and doxorubicin. As shown in Figure 3c, it was confirmed that the anticancer effect of doxorubicin is suppressed when treated with PARP or caspase-9 activity inhibitor in all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However, when treated with PARP activity inhibitors, anti-cancer activity was slightly recovered when C-K or PPD and doxorubicin were co-treated, which was analyzed by the caspase-9 activity upstream of PARP.
  • Example 2 From the results of Example 2, it was confirmed that the CK or PPD belonging to the PPD ginsenoside compound can promote the anticancer activity of doxorubicin, a kind of anticancer agent known to exhibit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so that the CK or PPD To determine if it affects the mitochondria.
  • doxorubicin a kind of anticancer agent known to exhibit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 Example 3-1 Effects on Release of Cytochrome-C Induced by Mitochondria
  • FIG. 4A is an immunofluorescence staining photo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level of cytochrome-C released from mitochondria by simultaneous treatment of C-K or PPD with doxorubicin.
  • Figure 4a when treated with doxorubicin, the release level of cytochrome-C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case of not treated with doxorubicin, even if treated with doxorubicin alone CK or PPD and doxorubicin than treated with doxorubicin alone When treated together, it was confirmed that the emission level of cytochrome-C was increase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release level of cytochrome-C was changed by the treatment time of doxorubicin. That is, a medium containing 10 ⁇ g / ml of CK or PPD was added to MCF-7 cells, incubated for 24 hours, and then replaced with a medium containing 5 ⁇ g / ml of doxorubicin, followed by 0, 0.5, 1, 2, 4 Or immunofluorescence staining was performed by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above except using cells cultured for 6 hours, and the number of cytochrome-C released cells from the mitochondria into the cytoplasm was measured (FIG. 4B). ). At this time, the experimental group was not treated with ginsenoside as a control group.
  • Figure 4b is a graph showing the number of cytochrome-C released from the mitochondria by the simultaneous treatment time of C-K or PPD and doxorubicin. As shown in FIG. 4B, after 6 hours, cytochrome-C was released in 7% of all cells in the control group treated with doxorubicin alone, but in 20% of all cells in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CK and doxorubicin. -C was released, 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PPD and doxorubicin, it was confirmed that cytochrome-C was released in 43% of total cells.
  • C-K or PPD has an effect of promoting the release of cytochrome-c in mitochondria by doxorubicin.
  • Example 3-1 it was confirmed that C-K or PPD can promote the release of cytochrome-c in the mitochondria by doxorubicin.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confirm whether the C-K or PPD could damage the mitochondria.
  • a medium containing 10 ⁇ g / ml of C-K or PPD was added to MCF-7 cells and cultured for 24 hours.
  • 4% paraformaldehyde was added to the cells, and the cells were pierced with 0.5% Triton X-100 solution, followed by staining with mitochondria using Tom-20. After staining was completed, the cells were washed with PBS, photographed by confocal microscopy, and the color fluorescence level was measured (FIG. 5A).
  • an experimental group not treated with ginsenoside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 an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F2, a PPD ginsenoside compound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 Figure 5a i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ult of fluorescence staining of mitochondria contained in MCF-7 cells treated with C-K or PPD. As shown in Figure 5a, compared to the mitochondria of the negative control, the mitochondria of the positive control did not show a significant change, it was confirmed that the mitochondria contained in the MCF-7 cells treated with C-K or PPD.
  • Figure 5b shows the expression level of proteins involved in mitochondrial cleavage (Drp1, Fis1 or OPA-3) expressed in CK or PPD treated MCF-7 cells and proteins involved in mitochondrial fusion (Mfn1. Mfn2 or OPA1).
  • This picture shows the results of Western blot analysis.
  • OPA-3 a protein involved in mitochondrial cleavage
  • Mfn2 a protein involved in mitochondrial fusion
  • CK or PPD may cause damage to the mitochondria, so when the CK or PPD is treated with doxorubicin, the CK or PPD is treated for doxorubicin.
  • the anticancer activity of doxorubicin can be improved.
  • Example 3-2 From the results of Example 3-2, it was confirmed that CK or PPD causes damage to mitochondria, and thus inhibits expression of proteins (Mfn1 or Mfn2) involved in mitochondrial fusion, induces mitochondrial cleavage, and thus doxorubici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leavage of mitochondria and the anticancer activity of doxorubicin.
  • siRNAs targeting Mfn1 and Mfn2 were synthesized, and random siRNA was synthesized as a negative control.
  • Mfn1 5'-GUGUAGAUUCUGGUAAUGA-3'-dTdT (SEQ ID NO: 2)
  • Mfn2 5'-CGAUGCAACUCUAUCGUCA-3'-dTdT (SEQ ID NO: 3)
  • Each synthesized siRNA was introduced into MCF-7 cells and cultured for 12 hours, and the cells were re-incubated for 48 hours in a normal medium containing no siRNA, and then the proteins involved in mitochondrial fusion expressed in these cells ( Expression levels of Mfn1 or Mfn2) were confirmed by Western blot analysis (FIG. 6A).
  • Figure 6a is a Western blot analysis picture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of the protein by siRNA that inhibits the expression of proteins (Mfn1 or Mfn2) involved in mitochondrial fusion. As shown in Figure 6a,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proteins (Mfn1 or Mfn2) involved in mitochondrial fusion by the introduction of the siRNA is suppressed.
  • each of the synthesized siRNAs was introduced into MCF-7 cells and cultured for 12 hours, the cells were re-incubated for 48 hours in a normal medium containing no siRNA, and then treated with 5 ⁇ M of doxorubicin or 20 ⁇ M of tamoxifen. The cells were incubated for 24 hours, and after the incubation was completed, survival rates of MCF-7 cells were compared by WST-1 analysis (FIG. 6B). In this case, cells cultured without treatment with doxorubicin or tamoxifen were used as controls.
  • Figure 6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anticancer activity of doxorubicin and tamoxifen against the cells induced mitochondrial division.
  • the survival rate was not reduced even after induction of mitochondrial cleavage in cells not treated with doxorubicin or tamoxifen, but treatment with doxorubicin or tamoxifen showed anticancer activity, and in particular, treatment with doxorubicin compared to tamoxifen. In this case, it was confirmed that a markedly high level of anticancer activity appeared.
  • the CK or PPD belonging to the PPD ginsenoside compound inhibits the expression of Mfn2 belonging to the mitochondrial fusion protein, thereby promoting the cleavage of mitochondria
  • mitochondria are damaged, and in this state, treatment of cancer cells with an anticancer agent (doxorubicin) that exhibits mitochondrial mediated anticancer activity further damages the outer membrane of the damaged mitochondria, thereby releasing more cytochrome-C from the mitochondria into the cytoplasm.
  • the released cytochrome-C induces apoptosis through apoptosomes, which in turn kills cancer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낙사디올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의 일종인 PPD(protopanaxadiol) 또는 컴파운드-K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보조제 및 상기 항암보조제와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를 포함하는 암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PPD 또는 컴파운드-K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보조제는 암세포내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켜서,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보조할 수 있으므로,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를 이용한 보다 안전한 암질환의 치료 또는 개선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파낙사디올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암보조제
본 발명은 파낙사디올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암보조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파낙사디올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의 일종인 PPD(protopanaxadiol) 또는 컴파운드-K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보조제, 상기 항암보조제와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를 포함하는 암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상기 항암보조제를 포함하는 암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현대인의 생활환경 개선과 식생활 변화에 따른 각종 성인병 질환이 급증하고 있으며, 과다 영양섭취 또는 불균형적인 식생활로 인하여 암, 동맥경화, 뇌졸중, 당뇨병, 고혈압 등의 만성적인 성인병 질환이 크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암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주요 사망 원인으로 집계되고 있다.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약물 요법, 수술 요법 및 방사선 요법 등이 주로 시술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약물 요법은 항암제를 병소에 적정량 집적시키기 위해 약물을 다량 투여하게 되므로써 부작용이 불가피하게 발생되고 있다.
한편, 간극결합(Gap junction) 채널을 통한 세포간 신호전달의 억제가, 암 발생의 중요한 생화학적 지표로 인정되면서, 이러한 과정을 저해하는 물질을 암의 예방 및 억제효과를 갖는 물질로 인정하고 있다. 상기 세포간 신호전달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항암제로서 퀴논계 화합물의 일종인 독소루비신이 개발되었는데, 이는 유방암, 난소암, 간암 등의 고형암에 대한 항암활성을 나타내어, 다른 암의 치료에도 비교적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안전한 치료를 수행하기 위하여 투여량이 감소될 경우에는 항암치료 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효과적인 암치료를 위하여 투여량이 증가될 경우에는 세포간 신호전달을 억제시키는 부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항암제의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553266호에는 독소루비신의 세포간 신호 전달 억제 부작용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아제의 활성 억제를 증강시키는 효과는 갖는 퀘르세틴을, 독소루비신과 혼합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및 이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633452호에는 독소루비신의 부작용인 갭 결합을 통한 세포간 신호 전달의 억제를 회복시키므로써 독소루비신의 부작용을 보완할 수 있는 코코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독소루비신 자체의 부작용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뿐, 과량의 독소루비신의 투여에 의한 부작용을 해소하지는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부분의 항암제 부작용은 치료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과량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소량의 항암제를 처리하여도 동일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방법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보다 안전한 항암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PPD(protopanaxadiol)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의 일종인 PPD 또는 컴파운드-K(C-K)가 독소루비신의 항암활성을 보조하므로, PPD 또는 C-K를 독소루비신과 함께 투여할 경우, 소량의 독소루비신을 처리하여도 동일한 항암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보조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항암보조제 및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를 포함하는 암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암보조제를 포함하는 암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PPD 또는 컴파운드-K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보조제는 암세포내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켜서,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보조할 수 있으므로,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를 이용한 보다 안전한 암질환의 치료 또는 개선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농도(0, 5, 10, 20, 50, 100 또는 200 ㎍/㎖)의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F2, Rh2, C-K 또는 PPD)이 유방암 세포주인 MCF-7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a는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이 암세포의 항암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b는 C-K 또는 PPD와 다양한 농도의 독소루비신이 동시처리된 유방암 세포의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는 음성 대조군을 나타내고, (■)는 양성 대조군을 나타내며, (▲)는 C-K가 처리된 실험군을 나타내고, (▼)는 PPD가 처리된 실험군을 나타낸다.
도 3a는 C-K 또는 PPD와 독소루비신을 동시 처리한 유방암 세포에서 세포자멸 관련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웨스턴블럿 분석사진이다.
도 3b는 PPD와 독소루비신을 동시 처리한 유방암 세포에서 처리시간에 따른 세포자멸 관련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웨스턴블럿 분석사진이다.
도 3c는 C-K 또는 PPD와 독소루비신의 동시 처리에 의한 항암효과에 대한 PARP 또는 카스파제-9 활성억제제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는 C-K 또는 PPD와 독소루비신의 동시 처리에 의한 미토콘드리아로부터 방출된 시토크롬-C의 수준변화를 나타내는 면역형광염색 사진이다.
도 4b는 C-K 또는 PPD와 독소루비신의 동시 처리시간에 의한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시토크롬-C가 방출된 세포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는 C-K 또는 PPD가 처리된 MCF-7 세포에 포함된 미토콘드리아를 형광염색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b는 C-K 또는 PPD가 처리된 MCF-7 세포에서 발현되는 미토콘드리아 분열에 관여하는 단백질(Drp1, Fis1 또는 OPA-3)과 미토콘드리아 융합에 관여하는 단백질(Mfn1. Mfn2 또는 OPA1)의 발현수준을 나타내는 웨스턴블럿 분석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a는 미토콘드리아 융합에 관여하는 단백질(Mfn1 또는 Mfn2)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에 의한 상기 단백질의 발현억제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웨스턴블럿 분석사진이다.
도 6b는 미토콘드리아 분열이 유발된 세포에 대한 독소루비신과 타목시펜의 항암활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항암보조제와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의 항암활성 기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자들은 보다 안전한 항암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PPD(protopanaxadiol)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에 주목하게 되었다. 상기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은 인삼 또는 홍삼에 포함된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의 일종으로서, 그 자체로서도 항암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나, 직접적인 항암활성 이외의 면역력 증진, 항산화 활성 등의 다양한 보조적인 항암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상기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이 다른 항암제의 항암활성을 보조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상기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의 일종인 PPD(protopanaxadiol) 또는 컴파운드-K(compound-K, C-K)가 암세포의 미토콘드리아의 분열을 유도하여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같은, PPD 또는 C-K의 암세포 미토콘드리아 손상유발 효과는 다양한 항암제 중에서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의 항암활성을 보조할 수 있으나, 다른 작용기작에 의하여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의 항암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하고, 이를 확인한 결과,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독소루비신의 항암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호르몬 수용체의 길항제로 작용하여 호르몬 매개성 암의 성장을 저해하는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타목시펜의 항암활성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PPD 또는 C-K는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의 항암활성을 보조하는 항암보조제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PPD 또는 C-K의 효과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고, 본 발명자에 의하여 최초로 규명되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양태로서 PPD, 컴파운드-K 또는 그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보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PPD(protopanaxadiol)"이란, C30H52O3의 화학식으로 표시되고, 약 460Da의 분자량을 갖으며,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PD는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의 항암활성을 보조할 수 있는 항암보조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PPD가 항암보조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농도는 그 자체로서 항암활성을 나타내지 않고,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의 항암활성을 보조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례로서, 10㎍/㎖ 이하의 처리농도가 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0.1 내지 10㎍/㎖의 처리농도가 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5 내지 10㎍/㎖의 처리농도가 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5006832-appb-I000001
본 발명의 용어 "컴파운드-K(compound-K, C-K)"란, 인삼자체에는 존재하지 않으나, 인삼 또는 홍삼에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등의 사포닌이 비피더스 균과 같은 장내 미생물 또는 토양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체내에서 흡수 가능한 형태로 전환된 형태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로서, C36H62O8의 화학식으로 표시되고, 약 622Da의 분자량을 갖으며,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K는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의 항암활성을 보조할 수 있는 항암보조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C-K가 항암보조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농도는 그 자체로서 항암활성을 나타내지 않고,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의 항암활성을 보조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례로서, 10㎍/㎖ 이하의 처리농도가 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0.1 내지 10㎍/㎖의 처리농도가 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5 내지 10㎍/㎖의 처리농도가 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5006832-appb-I000002
본 발명의 용어 "PPD(protopanaxadiol)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이란, 상기 PPD와 유사한 화학적 구조를 갖는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은 세포내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켜서,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의 항암활성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화합물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데, 일 례로서, 상기 화학식 1의 PPD, 상기 화학식 2의 C-K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은 인삼, 홍삼 등으로부터 추출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항암보조제"란, 항암제의 항암효과를 개선, 향상 또는 증대시킬 수 있는 제제를 의미한다.
일 례로서, 그 자체로는 항암활성을 나타내지 않으나, 항암제와 함께 사용될 경우, 상기 항암제의 항암효과를 개선, 향상 또는 증대시킬 수 있는 제제를 항암보조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농도의존적인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제제를 그 자체로는 항암활성을 나타내지 않은 수준으로 항암제와 함께 사용할 경우, 상기 항암제의 항암효과를 개선, 향상 또는 증대시킬 수 있는 항암보조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항암보조제는 처리농도에 따라 항암제 또는 항암보조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자체로는 항암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처리농도 범위에서 항암보조제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PPD 또는 C-K)을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독소루비신)의 항암활성을 보조할 수 있는 항암보조제로서 사용하였는데, 이때 항암보조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PPD 또는 C-K)의 처리농도는 5 및 10㎍/㎖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암보조제는 세포내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켜서,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시토크롬-C의 방출을 촉진시킬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제로 해석될 수 있는데, 상기 항암보조제는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의 항암활성을 개선, 향상 또는 증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항암보조제에 의하여 항암활성이 증진될 수 있는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례로서 독소루비신이 될 수 있고, 상기 항암보조제에 의하여 치료될 수 있는 암질환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례로서,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고형암이 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유방암, 난소암, 대장암, 간암, 갑상선암, 쓸개암, 담도암, 췌장암, 전립선암, 식도암, 자궁경부암, 결장암, 방광암, 중추신경종양, 뇌종양 등이 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유방암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은 유방암 세포에 대하여 농도의존적인 항암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나(도 1), 항암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용량으로 처리할 경우 일부 화합물(C-K 또는 PPD)이 독소루비신의 항암활성을 보조할 수 있음(도 2a, 2b, 3a 및 3b)을 확인하였다. 상기 독소루비신은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상기 화합물(C-K 또는 PPD)이 미토콘드리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독소루비신 처리에 의해 유방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방출되는 시토크롬-C의 방출수준을 증가시키고(도 4a 및 4b), 자체적으로도 유방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킬 수 있음(도 5a 및 5b)을 확인하였다. 이에, 미토콘드리아 분열을 유도하여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키고, 이에 독소루비신을 처리한 결과, 독소루비신의 항암활성이 증대됨(도 6b)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에 속하는 PPD 또는 C-K는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의 항암활성을 보조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항암보조제는 항암제의 항암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 또는 항암보조제와 병용 투여될 수 있다. 일 례로서, 본 발명의 항암보조제는 독소루비신, 에토포시드 (Etoposide), 다우노루비신 (Daunorubicin), Mitoxantrone (미토산트론) 등의 항암제와 함께 병용 투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항암보조제와 함께 독소루비신을 투여하면, 통상적인 독소루비신의 투여량보다 낮은 수준의 투여량으로 독소루비신을 투여하더라도 동등한 수준의 항암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항암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항암보조제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보조제는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 내 투여, 정맥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피 내 투여, 경구 투여, 비 내 투여, 폐 내 투여, 직장 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항암보조제는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양태로서, 상기 항암보조제 및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를 포함하는 암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항암보조제의 유효성분인 PPD 또는 컴파운드-K는 암세포내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켜서,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시토크롬-C의 방출을 촉진시킬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항암보조제를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와 함께 사용할 경우, 상기 항암제의 항암활성을 개선, 향상 또는 증대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항암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암보조제는 상기 항암제의 항암활성을 개선, 향상 또는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항암보조제를 항암제와 함께 사용할 경우, 동일한 항암활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항암제의 투여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처럼 항암제의 투여량을 감소시키면, 항암제의 투여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는 부작용의 발생확률 및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게 항암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항암보조제는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와 함께 보다 효과적이면서도 안전한 제제로서 제형화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의하여 치료 또는 개선될 수 있는 암질환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과 이의 분획물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PPD 또는 C-K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례로서 최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 중량%, 다른 예로서 0.01 내지 3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이에 포함되는 독소루비신의 함량은 공지된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공지된 암 치료용 제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사용목적, 질환의 중독도,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기왕력, 또는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물질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성인 1인당 약 0.1 ng 내지 약 100 mg/kg, 바람직하게는 1 ng 내지 약 10 mg/kg로 투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약학 조성물을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암질환이 발병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질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란 암질환이 발병될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발병된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 양식어류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암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도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 등의 경로를 통해 투여 될 수 있다. 다만, 경구 투여 시에는 위산에 의하여 상기 PPD 또는 C-K가 변성될 수 있기 때문에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 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PPD 또는 C-K를 포함하는 암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암보조제의 유효성분인 PPD 또는 C-K는 약용 천연물인 인삼 등의 종래로부터 한약재로 사용되어 그의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물에서 유래되었으므로, 상기 PPD 또는 C-K는 상식할 수 있으면서도 암질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식품의 형태로 제조되어 섭취할 수 있다. 즉, 상기 항암보조제를 상식할 경우, 독소루비신을 저용량으로 투여하여도 독소루비신의 항암효과를 증폭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항암보조제는 암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품에 포함되는 상기 PPD 또는 C-K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식품이 음료인 경우에는 100㎖를 기준으로 1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 PPD 또는 C-K을 포함하는 암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암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암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데, 예들 들어, 과자, 음료, 주류, 발효식품, 통조림, 우유가공식품, 육류가공식품 또는 국수가공식품의 형태인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과자는 비스킷, 파이, 케익, 빵, 캔디, 젤리, 껌, 시리얼(곡물 푸레이크 등의 식사대용품류 포함) 등을 포함한다. 음료는 음용수, 탄산음료, 기능성 이온음료, 쥬스(예들 들어, 사과, 배, 포도, 알로에, 감귤, 복숭아, 당근, 토마토 쥬스 등), 식혜 등을 포함한다. 주류는 청주, 위스키, 소주, 맥주, 양주, 과실주 등을 포함한다. 발효식품은 간장, 된장, 고추장 등을 포함한다. 통조림은 수산물 통조림(예들 들어, 참치, 고등어, 꽁치, 소라 통조림 등), 축산물 통조림(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칠면조 통조림 등), 농산물 통조림(옥수수, 복숭아, 파일애플 통조림 등)을 포함한다. 우유가공식품은 치즈, 버터, 요구르트 등을 포함한다. 육류가공식품은 돈까스, 비프까스, 치킨까스, 소세지. 탕수육, 너겟류, 너비아니 등을 포함한다. 밀봉포장생면 등의 국수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상기 조성물은 레토르트식품, 스프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건강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와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하는데, 상기 식품은 암질환의 개선에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PPD(protopanaxadiol)의 세포독성
암세포에 대하여 PPD(protopanaxadiol)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이 세포독성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인간 유방암 세포주 MCF-7 세포를 10% FBS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 접종하고, 37℃ 및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으며, 배양된 MCF-7가 포화되면 3 내지 5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배양된 MCF-7 세포에 다양한 농도(0, 5, 10, 20, 50, 100 또는 200 ㎍/㎖)의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F2, Rh2, C-K 또는 PPD)를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상기 세포를 대상으로 WST-1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이들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도 1). 이때, WST-1 분석은 상기 각 세포를 10% EZ-Cytox를 포함하는 배지에 접종하고 37℃에서 1.5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생존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수용성 포르마잔 염료의 수준을 흡광도(450 nm)를 측정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세포 생존율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도 1은 다양한 농도(0, 5, 10, 20, 50, 100 또는 200 ㎍/㎖)의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F2, Rh2, C-K 또는 PPD)이 유방암 세포주인 MCF-7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은 농도의존적으로 유방암 세포에 대한 항암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각 화합물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20 ㎍/㎖ 이상의 농도로 처리할 경우 항암활성을 나타내기 시작하였고, 200 ㎍/㎖ 이상의 농도로 처리할 경우 대부분의 유방암세포를 모두 사멸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하여, 10 ㎍/㎖ 이하의 농도로 처리할 경우 항암활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중에서 C-K 또는 PPD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항암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은 농도의존적으로 유방암 세포에 대한 항암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독소루비신의 항암효과에 미치는 PPD의 영향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진 항암제의 일종인 독소루비신의 항암활성에 미치는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실시예 2-1: 독소루비신에 대한 감수성에 미치는 효과
인간 유방암 세포주 MCF-7 세포, 상기 실시예 1에서 우수한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된 C-K 또는 PPD, 호르몬 수용체의 길항제로 작용하여 호르몬 매개성 암의 성장을 저해하는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타목시펜 및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진 항암제의 일종인 독소루비신을 사용하여, 항암제에 대한 암세포의 감수성에 미치는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MCF-7 세포에 10 ㎍/㎖의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F2, Rh2, C-K 또는 PPD)을 가하고 1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20μM의 타목시펜 또는 5㎍/㎖의 독소루비신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배양이 종료된 후, WST-1 분석을 통해 MCF-7 세포의 생존율을 비교하였다(도 2a).
도 2a는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이 암세포의 항암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a에서 보듯이, 실시예 1을 통하여 항암활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는 농도의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을 유방암 세포에 처리하고, 이에 항암제를 처리한 결과,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중에서 C-K 또는 PPD가 독소루비신에 의한 항암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하여, 타목시펜을 처리한 경우에는 어떠한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도 타목시펜의 항암활성을 향상시키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C-K 또는 PPD가 독소루비신의 처리농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10 ㎍/㎖의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C-K 또는 PPD)을 가하고 1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다양한 농도(0, 0.1, 0.5, 1, 2, 5, 10, 50 ㎍/㎖)의 독소루비신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배양이 종료된 후, WST-1 분석을 통해 MCF-7 세포의 생존율과 이로부터 산출된 LC50 값을 비교하였다(도 2b). 이때, 음성 대조군으로는 진세노사이드를 처리하지 않은 실험군을 사용하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독소루비신에 대하여 별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인 F2를 처리한 실험군을 사용하였다.
도 2b는 C-K 또는 PPD와 다양한 농도의 독소루비신이 동시처리된 유방암 세포의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는 음성 대조군을 나타내고, (■)는 양성 대조군을 나타내며, (▲)는 C-K가 처리된 실험군을 나타내고, (▼)는 PPD가 처리된 실험군을 나타낸다. 도 2b에서 보듯이, C-K 또는 PPD와 독소루비신을 동시처리할 경우, 독소루비신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도 항암활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LC50 값을 비교하면, 독소루비신을 단독으로 처리하거나(음성 대조군) 또는 F2와 독소루비신을 동시에 처리한 경우(양성 대조군)에는 약 10 ㎍/㎖을 나타낸 반면, C-K와 독소루비신을 동시에 처리한 경우에는 2 ㎍/㎖를 나타내었고, PPD와 독소루비신을 동시에 처리한 경우에는 1.5 ㎍/㎖를 나타내어, C-K 또는 PPD가 독소루비신의 항암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2: 세포자멸 ( apoptosis ) 관련 단백질의 발현수준에 미치는 효과
MCF-7 세포에 10 ㎍/㎖의 C-K 또는 PPD를 포함하는 배지를 가하고 1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10 ㎍/㎖의 C-K 또는 PPD와 0 또는 5 ㎍/㎖의 독소루비신을 포함하는 배지로 교체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종료된 세포를 파쇄하고, 이를 대상으로 인산화-JNK에 대한 항체, PARP에 대한 항체, 절단된-PARP에 대한 항체, 카스파제-9에 대한 항체 또는 절단된-카스파제-9에 대한 항체를 사용한 웨스턴 블럿 분석을 수행하였다(도 3a). 이때, 음성 대조군으로는 진세노사이드를 처리하지 않은 실험군을 사용하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독소루비신에 대하여 별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인 F2를 처리한 실험군을 사용하였다.
도 3a는 C-K 또는 PPD와 독소루비신을 동시 처리한 유방암 세포에서 세포자멸 관련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웨스턴블럿 분석사진이다. 도 3a에서 보듯이, 독소루비신이 처리된 모든 세포에서 인산화-JNK, 절단된-PARP 및 절단된-카스파제-9의 수준이 증가되었다. 또한, 상기 증가된 인산화-JNK, 절단된-PARP 및 절단된-카스파제-9 중에서 인산화-JNK 및 절단된-PARP의 수준은 C-K 또는 PPD의 처리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절단된-카스파제-9은 C-K 또는 PPD가 처리된 경우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특히 PPD가 처리된 경우에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MCF-7 세포에 10 ㎍/㎖의 PPD를 포함하는 배지를 가하고 1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10 ㎍/㎖의 PPD와 5 ㎍/㎖의 독소루비신을 포함하는 배지로 교체하고 0, 0.5, 1, 2, 4 또는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세포를 이용하여 동일한 웨스턴블럿 분석을 수행하였다(도 3b). 이때, 비교군으로는 PPD와 독소루비신을 포함하는 배지 대신에, 독소루비신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배지로 배양된 세포를 사용하였다.
도 3b는 PPD와 독소루비신을 동시 처리한 유방암 세포에서 처리시간에 따른 세포자멸 관련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웨스턴블럿 분석사진이다. 도 3b에서 보듯이, PPD와 독소루비신을 동시 처리한 유방암 세포에서는 독소루비신을 단독 처리한 유방암 세포 보다도 절단된-PARP 및 절단된-카스파제-9이 빠르게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독소루비신의 항암활성에 PARP 및 카스파제-9이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으므로, 상기 PARP 및 카스파제-9의 활성을 억제할 경우, 독소루비신의 항암활성이 억제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카스파제-9의 억제제인 Z-LEHD-FMK 또는 PARP의 억제제인 3-AB를 전처리한 MCF-7 세포에 10 ㎍/㎖의 C-K 또는 PPD를 포함하는 배지를 가하고 1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10 ㎍/㎖의 C-K 또는 PPD와 0 또는 5 ㎍/㎖의 독소루비신을 포함하는 배지로 교체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세포를 이용하여 동일한 웨스턴블럿 분석을 수행하였다(도 3c). 이때, 음성 대조군으로는 진세노사이드를 처리하지 않은 실험군을 사용하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독소루비신에 대하여 별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인 F2를 처리한 실험군을 사용하였다.
도 3c는 C-K 또는 PPD와 독소루비신의 동시 처리에 의한 항암효과에 대한 PARP 또는 카스파제-9 활성억제제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c에서 보듯이, 모든 대조군 및 실험군에서 PARP 또는 카스파제-9 활성억제제를 처리한 경우, 독소루비신의 항암효과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다만, PARP 활성 억제제를 처리한 경우에는, C-K 또는 PPD와 독소루비신을 동시처리한 경우에, 항암활성이 다소 회복되었는데, 이는 PARP의 상류에 존재하는 카스파제-9의 활성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시예 3: 미토콘드리아에 미치는 PPD의 효과
상기 실시예 2의 결과로부터,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에 속하는 C-K 또는 PPD가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진 항암제의 일종인 독소루비신의 항암활성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상기 C-K 또는 PPD가 미토콘드리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3-1: 미토콘드리아에서 유발되는 시토크롬-C의 방출에 미치는 효과
MCF-7 세포에 10 ㎍/㎖의 C-K 또는 PPD를 포함하는 배지를 가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5 ㎍/㎖의 독소루비신을 포함하는 배지로 교체하고 0 또는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종료된 세포에 4% 파라포름알데히드를 가하여 고정시키고, 0.5% Triton X-100 용액을 가하여 천공한 다음, 시토크롬-C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30분 동안 면역염색하였다. 염색이 종료된 후, 상기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형광표지된 이차항체를 30분 동안 가하여 반응시켰으며, PBS로 세척한 다음, 공초점 현미경으로 촬영하고, 발색된 형광수준을 측정하였다(도 4a). 이때, 음성 대조군으로는 진세노사이드를 처리하지 않은 실험군을 사용하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독소루비신에 대하여 별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인 F2를 처리한 실험군을 사용하였다.
도 4a는 C-K 또는 PPD와 독소루비신의 동시 처리에 의한 미토콘드리아로부터 방출된 시토크롬-C의 수준변화를 나타내는 면역형광염색 사진이다. 도 4a에서 보듯이, 독소루비신을 처리한 경우에는, 독소루비신을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시토크롬-C의 방출수준이 증가하고, 독소루비신을 처리하더라도 단독으로 독소루비신을 처리한 경우 보다는, C-K 또는 PPD와 독소루비신을 함께 처리한 경우에 시토크롬-C의 방출수준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독소루비신의 처리시간에 의하여 시토크롬-C의 방출수준이 변화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MCF-7 세포에 10 ㎍/㎖의 C-K 또는 PPD를 포함하는 배지를 가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5 ㎍/㎖의 독소루비신을 포함하는 배지로 교체하고 0, 0.5, 1, 2, 4 또는 6시간 동안 배양된 세포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면역형광염색을 수행하고,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내로 방출된 시토크롬-C이 방출된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도 4b). 이때, 대조군으로는 진세노사이드를 처리하지 않은 실험군을 사용하였다.
도 4b는 C-K 또는 PPD와 독소루비신의 동시 처리시간에 의한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시토크롬-C가 방출된 세포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b에서 보듯이, 6시간이 경과된 후, 독소루비신을 단독으로 처리한 대조군에서는, 전체 세포의 7%에서 시토크롬-C가 방출되었으나, C-K와 독소루비신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전체 세포의 20%에서 시토크롬-C가 방출되었고, PPD와 독소루비신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전체세포의 43%에서 시토크롬-C가 방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C-K 또는 PPD는 독소루비신에 의한 미토콘드리아에서 시토크롬-c의 방출을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2: 미토콘드리아의 손상유도에 미치는 효과
상기 실시예 3-1의 결과로부터 C-K 또는 PPD가 독소루비신에 의한 미토콘드리아에서 시토크롬-c의 방출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상기 C-K 또는 PPD가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MCF-7 세포에 10 ㎍/㎖의 C-K 또는 PPD를 포함하는 배지를 가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종료된 세포에 4% 파라포름알데히드를 가하여 고정시키고, 0.5% Triton X-100 용액을 가하여 천공한 다음, Tom-20을 사용하여 미토콘드리아를 염색하였다. 염색이 종료된 후, 상기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공초점 현미경으로 촬영하고, 발색된 형광수준을 측정하였다(도 5a). 이때, 음성 대조군으로는 진세노사이드를 처리하지 않은 실험군을 사용하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인 F2를 처리한 실험군을 사용하였다.
도 5a는 C-K 또는 PPD가 처리된 MCF-7 세포에 포함된 미토콘드리아를 형광염색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a에서 보듯이, 음성 대조군의 미토콘드리아에 비하여, 양성 대조군의 미토콘드리아는 별다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C-K 또는 PPD가 처리된 MCF-7 세포에 포함된 미토콘드리아는 손상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배양된 각 세포를 대상으로 웨스턴블럿 분석을 수행하여, 미토콘드리아 분열에 관여하는 단백질(Drp1, Fis1 또는 OPA-3)과 미토콘드리아 융합에 관여하는 단백질(Mfn1. Mfn2 또는 OPA1)의 발현수준을 비교하였다(도 5b).
도 5b는 C-K 또는 PPD가 처리된 MCF-7 세포에서 발현되는 미토콘드리아 분열에 관여하는 단백질(Drp1, Fis1 또는 OPA-3)과 미토콘드리아 융합에 관여하는 단백질(Mfn1. Mfn2 또는 OPA1)의 발현수준을 나타내는 웨스턴블럿 분석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b에서 보듯이, C-K 또는 PPD가 처리된 MCF-7 세포에서는 미토콘드리아 분열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OPA-3의 발현수준이 증가하는 반면, 미토콘드리아 융합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Mfn2의 발현수준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3-1 및 3-2의 결과를 종합하면, C-K 또는 PPD는 미토콘드리아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C-K 또는 PPD를 독소루비신과 함께 처리한 경우에는, 상기 C-K 또는 PPD가 독소루비신의 처리에 의하여 미토콘드리아로부터 방출되는 시토크롬-C의 방출수순을 증가시켜서, 독소루비신의 항암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미토콘드리아의 분열과 독소루비신의 항암활성의 연관성 분석
상기 실시예 3-2의 결과로부터 C-K 또는 PPD는 미토콘드리아의 손상을 유발시킴을 확인하였으므로, 미토콘드리아 융합에 관여하는 단백질(Mfn1 또는 Mfn2)의 발현을 억제시켜서, 미토콘드리아의 분열을 유발하고, 이에 독소루비신을 처리하여 미토콘드리아의 분열과 독소루비신의 항암활성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Mfn1 및 Mfn2를 표적으로 하는 siRNA를 합성하고, 음성 대조군으로서 랜덤 siRNA를 합성하였다.
대조군: 5'-CCUACGCCAAUUUCGU-3'-dTdT(서열번호 1)
Mfn1: 5'-GUGUAGAUUCUGGUAAUGA-3'-dTdT(서열번호 2)
Mfn2: 5'-CGAUGCAACUCUAUCGUCA-3'-dTdT(서열번호 3)
상기 합성된 각 siRNA를 MCF-7 세포에 도입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하고, 상기 세포를 siRNA가 포함되지 않은 정상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다시 배양한 다음, 이들 세포에서 발현되는 미토콘드리아 융합에 관여하는 단백질(Mfn1 또는 Mfn2)의 발현 수준을 웨스턴블럿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도 6a).
도 6a는 미토콘드리아 융합에 관여하는 단백질(Mfn1 또는 Mfn2)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에 의한 상기 단백질의 발현억제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웨스턴블럿 분석사진이다. 도 6a에서 보듯이, 상기 siRNA의 도입에 의하여 미토콘드리아 융합에 관여하는 단백질(Mfn1 또는 Mfn2)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합성된 각 siRNA를 MCF-7 세포에 도입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하고, 상기 세포를 siRNA가 포함되지 않은 정상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다시 배양한 다음, 5μM의 독소루비신 또는 20μM의 타목시펜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배양이 종료된 후, WST-1 분석을 통해 MCF-7 세포의 생존율을 비교하였다(도 6b). 이때, 대조군으로는 독소루비신 또는 타목시펜을 처리하지 않고 배양한 세포를 사용하였다.
도 6b는 미토콘드리아 분열이 유발된 세포에 대한 독소루비신과 타목시펜의 항암활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b에서 보듯이, 독소루비신 또는 타목시펜이 처리되지 않은 세포에서는 미토콘드리아 분열이 유도된 후에도 생존율이 감소되지 않았으나, 이에 독소루비신 또는 타목시펜을 처리한 경우에는 항암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타목시펜에 비하여 독소루비신을 처리한 경우에, 현저하게 높은 수준의 항암활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미토콘드리아 분열이 유도된 경우, Mfn1의 발현이 억제된 경우 보다는 Mfn2의 발현이 억제된 경우에 독소루비신의 항암활성이 더욱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타목시펜이 처리된 경우에는 각 siRNA의 처리에 따른 항암활성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결과를 종합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PPD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에 속하는 C-K 또는 PPD는 미토콘드리아 융합단백질에 속하는Mfn2의 발현을 억제시켜서, 미토콘드리아의 분열을 촉진하고, 그 결과에 따라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독소루비신)을 암세포에 처리하면, 손상된 미토콘드리아의 외막을 더욱 손상시켜서,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세포질로 시토크롬-C가 더욱 많이 방출되며, 이처럼 방출된 시토크롬-C는 아팝토좀을 통한 세포자멸을 유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암세포를 사멸시키게 된다.
따라서, C-K 또는 PPD와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를 복합적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항암제의 투여량을 감소시켜서 보다 안전한 항암치료를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1)

  1. PPD(protopanaxadiol), 컴파운드-K(compound-K, C-K) 또는 그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보조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PD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인 항암보조제.
    [화학식 1]
    Figure PCTKR2015006832-appb-I00000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파운드-K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인 항암보조제.
    [화학식 2]
    Figure PCTKR2015006832-appb-I00000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보조제는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로 암세포에 처리할 경우,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의 항암활성을 개선, 향상 또는 증대시키는 것인 항암보조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는 0.1 내지 10㎍/㎖인 것인 항암보조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독소루비신인 것인 항암보조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세포는 유방암, 난소암, 대장암, 간암, 갑상선암, 쓸개암, 담도암, 췌장암, 전립선암, 식도암, 자궁경부암, 결장암, 방광암, 중추신경종양 및 뇌종양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암질환이 유발된 세포인 것인 항암보조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암보조제 및 미토콘드리아 매개성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항암제를 포함하는 암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독소루비신인 것인 조성물.
  11. PPD(protopanaxadiol), 컴파운드-K(compound-K, C-K) 또는 그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PCT/KR2015/006832 2015-05-22 2015-07-02 파낙사디올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암보조제 WO201619048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75,787 US10525064B2 (en) 2015-05-22 2015-07-02 Anticancer adjuvant containing panaxadiol ginsenocide compound
JP2017560772A JP6615912B2 (ja) 2015-05-22 2015-07-02 パナキサジオール類ジンセノサイド化合物を含む抗がん補助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477 2015-05-22
KR1020150071477A KR101722547B1 (ko) 2015-05-22 2015-05-22 파낙사디올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암보조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0481A1 true WO2016190481A1 (ko) 2016-12-01

Family

ID=5739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6832 WO2016190481A1 (ko) 2015-05-22 2015-07-02 파낙사디올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암보조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25064B2 (ko)
JP (1) JP6615912B2 (ko)
KR (1) KR101722547B1 (ko)
WO (1) WO201619048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78807A1 (en) * 2016-08-05 2018-02-07 Intelligent Synthetic Biology Center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cancer containing ginsenoside f2
JP2021517886A (ja) * 2018-04-17 2021-07-29 リー・シュー−ロンSheau−Long LEE 口腔癌治療用の医薬の製造ためのジンセノサイドm1の使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6419A (zh) * 2017-01-13 2019-10-22 恩进生物科技有限公司 利用人参皂苷化合物k的用于抑制细胞毒性抗癌剂副作用的组合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2638A1 (en) * 2001-09-21 2003-05-15 Dong Huang Protopanaxadiol and protopanaxatriol and their use as anti-cancer agents
WO2004056372A1 (en) * 2002-12-19 2004-07-08 Panagin Pharmaceuticals Inc. Use of aglycon protopanaxadiol in cancer therapy
WO2011142618A2 (ko) * 2010-05-14 2011-11-17 (주)지씨에이치앤피 미량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증가된 신규한 가공인삼 또는 가공인삼추출물의 제조방법
US20120252768A1 (en) * 2009-12-14 2012-10-04 Lion Corporation Composition containing protopanaxatriol and protopanaxadio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266B1 (ko) 2003-11-28 2006-02-20 이형주 독소루비신 및 퀘르세틴을 포함하는 간암 억제용 조성물
KR100633452B1 (ko) 2004-03-18 2006-10-1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독소루비신 및 코코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CN104208073A (zh) * 2013-06-01 2014-12-17 复旦大学 原人参二醇在制备肿瘤多药耐药逆转剂中的用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2638A1 (en) * 2001-09-21 2003-05-15 Dong Huang Protopanaxadiol and protopanaxatriol and their use as anti-cancer agents
WO2004056372A1 (en) * 2002-12-19 2004-07-08 Panagin Pharmaceuticals Inc. Use of aglycon protopanaxadiol in cancer therapy
US20120252768A1 (en) * 2009-12-14 2012-10-04 Lion Corporation Composition containing protopanaxatriol and protopanaxadiol
WO2011142618A2 (ko) * 2010-05-14 2011-11-17 (주)지씨에이치앤피 미량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증가된 신규한 가공인삼 또는 가공인삼추출물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IM, EUN SOO ET AL.: "Protopanaxadiols, Active Ingredients of Ginseng, Enhance Doxorubicin-induced Cytotoxicity in Human Breast Cancer Cells via Modulation of Mitochondrial Dynamics", KEYSTONE SYMPOSIA-INTEGRATING METABOLISM AND TUMOR BIOLOGY, 13 January 2015 (2015-01-13) *
LI, YANG ET AL.: "Ginsenoside Metabolite Compound K Enhances the Efficacy of Cisplatin in Lung Cancer Cells", JOURNAL OF THORACIC DISEASE, vol. 7, no. 3, March 2015 (2015-03-01), pages 400 - 406, XP055334746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78807A1 (en) * 2016-08-05 2018-02-07 Intelligent Synthetic Biology Center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cancer containing ginsenoside f2
US9943534B2 (en) 2016-08-05 2018-04-17 Intelligent Synthetic Biology Center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cancer containing ginsenoside F2
JP2021517886A (ja) * 2018-04-17 2021-07-29 リー・シュー−ロンSheau−Long LEE 口腔癌治療用の医薬の製造ためのジンセノサイドm1の使用
JP7307732B2 (ja) 2018-04-17 2023-07-12 リー・シュー-ロン 口腔癌治療用の医薬の製造ためのジンセノサイドm1の使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808A (ko) 2016-12-01
US10525064B2 (en) 2020-01-07
US20180140618A1 (en) 2018-05-24
KR101722547B1 (ko) 2017-04-04
JP6615912B2 (ja) 2019-12-04
JP2018520108A (ja)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39365A1 (ko) D-싸이코스를 이용한 지질 흡수 억제 및/또는 배출 촉진 방법
WO2017095138A1 (en) Curcumin-containing lipid nanoparticle complex comprising ginsenosides
WO2021060945A1 (ko) 암 치료를 위한 절대혐기성 인체 장내미생물 및 이의 용도
WO2020218720A1 (ko) 익모초 추출물 또는 레오누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6190481A1 (ko) 파낙사디올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암보조제
WO2016178510A2 (ko) 진세노사이드 F1 또는 Rg3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글리벡 내성 백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A2961747C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ervical cancer including gypenoside lxxv
WO2019221453A1 (ko) 관동화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투실라곤 화합물을 함유하는 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8106002A1 (ko)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및 이리도이드 유도체로 구성된 화합물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4090747A1 (ko) 칸나비디올 및 타우린을 포함하는 치주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082478A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7082479A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3068855A1 (ko) 항암 활성을 갖는 베일로넬라 파르불라 균주를 이용한 암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05998A1 (ko)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8221922A1 (ko)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4007537A1 (ko) 백부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약학 조성물
WO2021080298A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66425A1 (ko) 생강 유래 세포외 소포체 및 이의 용도
WO2019198982A1 (ko) 구꼬아민 a 및 구꼬아민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격근 위축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20004989A1 (ko) 김치를 포함하는 악액질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204242A1 (ko) 구강 세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및 구강붕해필름
WO2018105999A1 (ko) 이리도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9078381A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감퇴, 약화 및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식품첨가제
WO2022270760A1 (ko) 커큐민 유도체와 tgf-β 수용체 억제제의 병용투여를 통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 방법
WO2021040449A2 (ko) 당귀, 포부자, 및 건강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934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75787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56077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934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