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37126A1 -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삼투압 조절제로서 함유하는 생체투여 또는 미용성형용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삼투압 조절제로서 함유하는 생체투여 또는 미용성형용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37126A1
WO2016137126A1 PCT/KR2016/000861 KR2016000861W WO2016137126A1 WO 2016137126 A1 WO2016137126 A1 WO 2016137126A1 KR 2016000861 W KR2016000861 W KR 2016000861W WO 2016137126 A1 WO2016137126 A1 WO 201613712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smotic pressure
hyaluronic acid
sterilization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086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한지원
권민정
박원석
고현주
아영창
김혁
조성연
홍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Publication of WO201613712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3712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ntaining sodium 2-mercaptoethane sulfonate as an osmotic pressure regulator, and more particularly, by containing sodium 2-mercaptoethane sulfonate as an osmotic pressure control agent, the osmotic pressure is easily controlled while further steriliza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for bioadministration comprising a composition, in particular, hyaluronic acid or a derivative of hyaluronic acid, which maintains constant physical properties before and after.
  • Hyaluronic acid is one of complex polysaccharides composed of amino acids and uronic acids, and is a high molecular compoun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200,000 to 400,000 in which N-acetylglucosamine and glucuronic acid are alternately bonded in a chain form.
  • Hyaluronic acid is a component that exists in animal vitreous, joint fluid, cartilage, and skin. It is combined with a large amount of water and becomes a gel state. It is involved in lubrication of joints and flexibility of the skin. It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skin penetration.
  • the hyaluronic acid is a component naturally present in all living organisms, and more than 50% of hyaluronic acid in the mammal's body has been reported to be distributed in the intercellular spaces of the skin, especially the epidermis and the connective tissues of the dermis. Is known to be synthesized mainly by keratinocytes and fibroblasts.
  • Hyaluronic acid makes the skin elastic and reduces damage to the lower part of the skin during skin damage. And important collagen facilitates the movement between cells, and acts as a lubricant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bones and joints.
  • Hyaluronic acid also plays a role in preventing diseases such as skin infections by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substances such as bacteria from the outside.
  • Representative methods include surgical methods of implanting implants, non-surgical methods of injecting substances such as fat grafts, and fillers.
  • the filler is simple and the treatment period does not need a separate recovery period is attracting attention.
  • hyaluronic acid As a filler material, hyaluronic acid is particularly popular. Since hyaluronic acid is a substance present in the body, it is safe because there are no adverse reactions because it is injected into the body, and it is safe because there are few side effects. It moisturizes the skin itself, making it effective for moisturizing the skin.
  • the filler using hyaluronic acid is a substance that can be directly injected into the body, and thus, osmotic pressure is required to be suitable for in vivo administration.
  • the composition for bioadministration must be sterilized in preparatio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heology of the composition may be changed in this process, resulting in denaturation of the composition. There has never been a satisfactory method as an approach to all of these problems.
  • the present inventors have tried to find a means for easily adjusting the osmotic pressure in a composition comprising hyaluronic acid that can be directly administered into the body, and surprisingly, when the sodium 2-mercaptoethane sulfonate is mixed, the osmotic pressure is effectively controlled.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can be stably maintained before and after sterilization,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bioadministration using sodium 2-mercaptoethane sulfonate as an osmotic pressure regulato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for bioadministration, containing sodium 2-mercaptoethane sulfonate as an osmotic pressure regulato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for bioadministration comprising hyaluron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containing sodium 2-mercaptoethane sulfonate as an osmotic pressure modifier, thereby improving sterilization stability.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aining sodium 2-mercaptoethane sulfonate as an osmotic pressure regulator, the osmotic pressure in the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for bioadministration can be easily adjusted to an appropriate range, in particular a composition comprising hyaluron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 a composition comprising hyaluron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In the case of using the hyaluronic acid product of the conventional formul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naturation of the composition by sterilization treatment with easy control of the osmotic pressure, and thus to keep the action effect of hyaluronic acid or its derivatives in the skin stably. It can provide enhanced efficacy as compared to.
  • Figure 1 shows the rheology measured values before and after sterilization of a composition comprising hyaluronic acid and MESNA, NaCl or mannitol, in consideration of the osmotic pressure range suitable for bioadministration, so that the osmotic pressure of the final composition is 300mOsm to MESNA, NaCl or mannitol Added.
  • Figure 2 shows the rheological measurements before and after sterilization of a composition comprising hyaluronic acid and MESNA, NaCl or mannitol, MESNA, NaCl and mannitol were all used in the same amount in each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smotic pressure regulator suitable for use in a composition comprising hyaluron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which can be administered or infused into a living body, preferably a cosmetically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the osmotic pressure regulator, More preferably, it relates to a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for biological tissue repair.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an osmotic pressure suitable for bioadministration or infusion, while at the same time having excellent formulation stability before and after sterilization.
  • biodegradable polymer refers to a substance that can be degraded in the body when inserted into a living body,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natural polymers such as hyaluronic acid, collagen, albumin, chitosan, polyglycolide, polylactide, and polyhydroxy. Polyester-based synthetic polymers such as varate.
  • the type of derivative of hyaluronic aci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hyaluronic acid-collagen complex, hyaluronic acid-polycarboxylic acid-containing natural polymer complex, hyaluronic acid-chitosan complex, hyaluronic acid-based blend (eg For example, polyvinyl alcohol or blend of polyacrylic acid and hyaluronic acid), graft hyaluronic acid copolymer (see Misook Kim et al., Biomaterials application of hyaluronic acid derivatives, see Biomaterials Research (2008) 12 (3): 83-95) It includes.
  • hyaluronic acid-collagen complex e.g, polyvinyl alcohol or blend of polyacrylic acid and hyaluronic acid
  • graft hyaluronic acid copolymer see Misook Kim et al., Biomaterials application of hyaluronic acid derivatives, see Biomaterials Research (2008) 12 (3): 83-95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2-mercaptoethane sulfonate and salts thereof as the osmotic agent, preferably metal salts of 2-mercaptoethane sulfonate, to provide osmotic control suitable for bioadministration and / or bioinjection.
  • the metal ions forming the metal sal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n kind, but include sodium, potassium, lithium, calcium, magnesium, and the like, and sodium cation is particularly preferably used.
  • the composition comprising hyalur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wherein the 2-mercaptoethane sulfonate is used as an osmotic pressure control agent, sinc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before and after sterilization are kept constant, the product may be sterilized without additional process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Stability can be secured.
  • 2-mercaptoethane sulfonate and salts thereof may be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osmotic regulators, in an amount that maintains the osmotic pressure of the composition at an osmotic pressure suitable for in vivo administration.
  • Other osmotic pressure regulators may be used as well known in the art as osmotic pressure regulators for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preferably NaCl, mannitol.
  • 2-mercaptoethane sulfonate and salts thereof may serve as pH adjuster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such that the composition has a pH suitable for in vivo administration.
  • 2-mercaptoethane sulfonate and salts thereof may be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pH adjusting agents, in an amount that maintains the pH of the composition at a pH suitable for bioadministration.
  • Other pH adjusting agents may be those well known in the art as pH adjusting agents for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such as, but not limited to, HCl (to make the composition acidic), NaOH (to make the composition basic). ).
  • the pH of the fin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preferably maintained in a range suitable for bioadministration, that is, in the range of pH 6.5-7.5, preferably in the range of pH 6.7-7.3, most preferably pH 7.
  • Sodium 2-mercaptoethane sulfona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and is referred to as 2-mercaptoethane sulfonate Na (2-mercaptoethane sulfonate Na) or MESNA (hereinafter, “MESNA”). ).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MESNA in an amount of 0.0001 to 20% by weight, preferably 0.0005 to 15% by weight, more preferably 0.001 to 10% by weight, even more preferably 0.005 to 2% by weight, even more Preferably it is contained in the amount of 0.01-1.5 weight%. If it is less than 0.0001% by weight, the desired efficacy cannot be obtained, and it is not appropriate to exceed 20% by weight in consideration of irritation to the skin and combination with other ingredients.
  • the osmotic pressure of the final product is in a range suitable for bioadministration, that is, 250 to 350 mOsm, preferably equal to the osmotic pressure inside the human body. It is recommended to include MESNA in the range of 300-350mOsm. In view of this osmotic range, MESNA may be included in a liquid parenteral dosage amount in an amount of 0.0001 to 100 mg, preferably 0.001 to 20 mg, more preferably 0.001 to 15 mg per 1 ml of composition volume. .
  • MESNA can ensure the stability to sterilization of the composition by maintain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in particular the composition comprising hyaluronic acid before and after sterilization, while adjusting the osmotic pressure for bioadministration to an appropriate range, Therefore, the action effect of hyaluronic acid in the skin can be maintained stably.
  • the sterilization method for the bioadministration composi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general, an autoclave method is widely used.
  • an autoclave method In order to destroy endogenous spores of bacteria, it is necessary to sterilize at a high vapor pressure above 100 °C, it is effective to use a high-pressure sterilization method.
  • Autoclaving currently proceeds for about 15 minutes under conditions of 121 ° C. and 15 lb psi, which can destroy the endospores of bacteria in the composition, as well as chang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 MESNA as an osmotic pressure regulator
  • the bioadministratio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hyaluron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in an amount of 0.001 to 90% by weight, preferably 0.005 to 70% by weight, more preferably 0.01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a composition containing both hyaluron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and MESNA is formulated into a biological tissue repair product such as an injection or filler, or a parenteral bioadministration product in a liquid form such as eye drops, the preparation of these products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before and after sterilization treatment must pass through the process.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formulated as a topical skin composition, in particular as a cosmetic composition, and may be formulated containing a cosmetically or dermatologically acceptable medium or base.
  • a cosmetically or dermatologically acceptable medium or base for example emulsions, suspensions, microemulsions, microcapsules, microgranules or ionic (liposomes) and non-obtained by dispersing an oil phase in solution, gels, solids, pasty anhydrous products, aqueous phases.
  •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ionic vesicle dispersant or in the form of a cream, skin, lotion, powder, ointment, spray or cone stick. It may also be used in the form of a foam or in the form of an aerosol composition further containing a compressed propellant.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on the face, particularly around the eyes, around the mouth, cheeks, or forehead, neck, hands, feet,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particular, flexible longevity (skin lotion and milk lotion), nutrient longevity , Essence, nourishing cream, massage cream, pack, gel, essence, eye cream, eye essence,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powder, body lotion, body cream, body oil and body essence It may be prepared in one or more formulatio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compositions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in the art.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atty substance, an organic solvent, a dissolving agent, a thickening agent, a gelling agent, a softening agent, an antioxidant, a suspending agent, a stabilizer, a foaming agent, a fragrance, a surfactant, water, an ionic or nonionic.
  • a fatty substance an organic solvent, a dissolving agent, a thickening agent, a gelling agent, a softening agent, an antioxidant, a suspending agent, a stabilizer, a foaming agent, a fragrance, a surfactant, water, an ionic or nonionic.
  • adjuvants conventionally used in the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skin absorption promoting substance to increase the effect.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a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harmaceutical product, it may be formulated as a parenteral dosage form in the form of a semi-solid or liquid by adding an inorganic or organic carrier commonly used in the active ingredi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an be administered parenterally, rectally, topically, transdermally, intravenously, intramuscularly, intraperitoneally, subcutaneously, and the like.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injections, drops, ointments, lotions, sprays, suspensions, emulsions, suppositories, and the like.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formulated by carrying out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well known in the art, in which case surfactants, excipients, coloring agents, spices, preservatives, stabilizers, buffers, suspensions, etc.
  • a commercially available adjuvant can be used suitably.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formulated in the form of injections, fillers and the like, it may be formulated in a prefilled syringe, a vial and the like.
  • the dosage of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vary depending on the age, sex, weight, pathology and severity of the subject to be administered,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r the judgment of the prescriber. Determination of a suitable dose based on these factors is within the level of one of skill in the art and its daily dosage may be, for example, 0.1 mg / kg / day to 100 mg / kg / day, more specifically 5 mg / kg / day to 50 mg / kg.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 test examples and formulation examples are provided on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following examples.
  •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prepared for the sterilization stability test.
  •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composed of a liquid of the sol (sol) containing a test substance and a liquid of a gel (gel) containing a hyaluronic acid (HA), 6 sol and gel A mixture of a volume ratio of 4: 4 was used as a sample.
  •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was prescribed MESNA, NaCl, mannitol so that the osmotic pressure of the final composition is 300mOsm, respectively
  • Comparative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4 is the amount of NaCl and mannitol used in Example 1 It is prescribed to be equal to MESNA usage of. Specific compositions are shown in Table 1 below, and the hyaluronic acid material used as a gel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 lidocaine added to a concentration of 0.3%
  •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prepared in the amounts shown in Table 1 above were precisely quantified into vials.
  • the rheology of the five samples was measured prior to sterilization (AR Rheometer, TA Instruments, USA). Sterilization was used by an autoclave (Automatic Autoclave, Sterilizer; J-NAS 62, JISICO). Then, the rheology of the samples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sterilized was measured.
  • G ′′ means loss modulus (viscosity)
  • tan delta (G ′′ / G') refers to the ratio of viscosity and elasticity.
  • the polymer indicates that the elastic modulus changes with temperature. The larger the value of tan delta, the more viscous state, and the smaller the value, the more elastic state.
  • Table 2 and FIG. 1 show NaCl> MESNA> mannitol for rheology (G ') before sterilization, while MESNA> NaCl> mannitol for rheology (G') after sterilization.
  • MESNA NaCl> mannitol for rheology
  • G' rheology
  • MESNA NaCl> mannitol for rheolo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삼투압 조절제로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삼투압 조절제로서 함유함으로써 삼투압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이에 추가적으로 멸균 전후 물성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조성물, 특히 히알루론산 또는 히알루론산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생체투여용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삼투압 조절제로서 함유하는 생체투여 또는 미용성형용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본 발명은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삼투압 조절제로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삼투압 조절제로서 함유함으로써 삼투압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이에 추가적으로 멸균 전후 물성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조성물, 특히 히알루론산 또는 히알루론산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생체투여용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히알루론산은 아미노산과 우론산으로 이루어지는 복잡한 다당류의 하나로,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글루쿠론산이 교대로 사슬 모양으로 결합한 분자량이 20만∼40만 되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세포외기질의 주 구성성분으로서 수분 보유, 세포간 간격 유지, 세포성장인자 및 영양성분의 저장 및 확산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세포의 분열과 분화, 이동 등에 관여한다. 히알루론산은 동물의 유리체, 관절액, 연골, 피부 등에 많이 존재하는 성분으로 많은 양의 물과 결합하여 겔 상태가 되어 관절의 윤활작용이나 피부의 유연성 등에 관여하며 점성이 크므로 세균의 침입이나 독물의 피부 침투를 막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모든 살아있는 유기체에 자연상태로 존재하는 성분으로 포유류의 체내에 존재하는 히알루론산의 50% 이상이 피부, 특히 표피의 세포간 간격과 진피의 결체 조직에 분포한다고 보고되었고, 이러한 히알루론산은 주로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에 의해 합성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히알루론산은 피부를 탄력 있게 하고 피부 손상 시에 피부 하층부의 손상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중요한 콜라겐이 세포 사이로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여 주며, 뼈나 관절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도록 윤활유와 같은 역할을 한다. 히알루론산은 또한 외부에서의 박테리아와 같은 물질의 침투를 예방하여 주어 피부 감염과 같은 질병을 예방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최근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얼굴에 볼륨감을 부여하는 다양한 시술 방법이 등장하게 되었다. 대표적으로는 보형물을 넣는 수술적 방법, 지방 이식, 필러 등 주사로 물질을 주입하는 비수술적 방법이 있다. 이 중 필러는 시술이 간단하면서 별도의 회복 기간이 필요하지 않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필러의 소재로서 특히 히알루론산이 인기가 있는데, 이는 히알루론산이 체내에 존재하는 물질이므로, 몸에 주입해도 별 다른 이상 반응이 없어 부작용이 적기 때문에 안전하며, 또한 시술 부위를 볼륨감 있게 만들 뿐만 아니라 피부 자체를 촉촉하게 만들어 주어 피부 보습에도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필러는 체내에 직접적으로 주입될 수 있는 물질이므로, 생체투여에 적합하도록 삼투압 조절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생체투여용 조성물은 제조상 멸균 처리가 필수적으로 행해져야 하지만, 이 과정에서 조성물의 레올로지가 변하여 조성물에 변성이 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기 위한 접근법으로서 만족할 만한 방법이 기존에는 없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132503(2013.12.04 공개)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020789(2004.03.09 공개)
[비특허문헌]
1. 김미숙 외,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생체재료 응용, Biomaterials Research (2008) 12(3):83-95
본 발명자들은 신체 내로 직접 투여가 가능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삼투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찾고자 하였으며, 놀랍게도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혼합 사용하게 되면 삼투압 조절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멸균 전 후 조성물의 물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삼투압 조절제로서 사용하는 생체투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sodium 2-mercaptoethane sulfonate)를 삼투압 조절제로서 함유하는, 생체투여용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삼투압 조절제로서 함유하여 멸균 안정성이 향상된,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생체투여용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삼투압 조절제로서 함유함으로써 생체투여용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에 있어서 삼투압이 용이하게 적정 범위로 조절될 수 있으며, 특히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는 삼투압의 용이한 조절과 함께 멸균 처리에 따른 조성물의 변성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피부 내에서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작용 효과를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더불어 기존 제형의 히알루론산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증진된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히알루론산과 MESNA, NaCl 또는 만니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멸균 전 후 레올로지 측정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생체투여에 적합한 삼투압 범위를 고려하여 최종 조성물의 삼투압이 300mOsm이 되도록 MESNA, NaCl 또는 만니톨을 첨가하였다.
도 2는 히알루론산과 MESNA, NaCl 또는 만니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멸균 전 후 레올로지 측정 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각각의 조성물에서 MESNA, NaCl 및 만니톨은 모두 동량으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삼투압 조절제, 및 이 삼투압 조절제를 함유하는, 생체에 투여 또는 주입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미용성형용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생체 조직 수복용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생체투여 또는 주입에 적합한 삼투압을 가지는 동시에 멸균 전 후 제형 안정성이 뛰어나다.
본원에 있어서, “생분해성 고분자”는 생체에 삽입시 체내에서 분해가 가능한 물질을 말하며, 그 예로는 히알루론산, 콜라겐, 알부민, 키토산 등과 같은 천연 고분자, 폴리글리콜리드, 폴리락티드, 폴리하이드록시발레이트 등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합성 고분자가 있다.
본원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의 유도체로는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히알루론산-콜라겐 복합체, 히알루론산-폴리카르복실산 함유 천연고분자 복합체, 히알루론산-키토산 복합체, 히알루론산 기반의 블렌드(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아크릴산과 히알루론산의 블렌드), 그라프트 히알루론산 공중합체(김미숙 외,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생체재료 응용, Biomaterials Research (2008) 12(3):83-95 참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체투여 및/또는 생체주입에 적합한 삼투압 조절을 제공하기 위해, 삼투압 조절제로서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 및 이의 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의 금속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염을 형성하는 금속 이온으로는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듐, 칼륨, 리튬, 칼슘, 마그네슘 등을 포함하며, 특히 바람직하게 소듐 양이온이 사용된다.
특히, 상기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가 삼투압 조절제로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멸균 전후 조성물의 물성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제조 공정에서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도 제품의 멸균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 및 이의 염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삼투압 조절제와 함께 조성물의 삼투압을 생체투여에 적합한 삼투압으로 유지시키는 양으로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다. 다른 삼투압 조절제로는 화장품 및 의약품용 삼투압 조절제로서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것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NaCl, 만니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 및 이의 염은 조성물이 생체투여에 적합한 pH를 갖도록 제조 과정에서 pH 조절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 및 이의 염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pH 조절제와 함께 조성물의 pH를 생체투여에 적합한 pH로 유지시키는 양으로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다. 다른 pH 조절제로는 화장품 및 의약품용 pH 조절제로서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것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HCl(조성물을 산성으로 만들고자 하는 경우), NaOH(조성물을 염기성으로 만들고자 하는 경우)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최종 조성물의 pH는 생체투여에 적합한 범위, 즉 pH 6.5~7.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pH 6.7~7.3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pH 7로 유지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로서,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 Na(2-mercaptoethane sulfonate Na) 또는 간략히 MESNA라고 지칭된다(이하, “MESNA”로 지칭함).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0861-appb-I000001
본 발명의 조성물은 MESNA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5~1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1~10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05~2중량%,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0.01~1.5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0.0001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효능을 얻을 수 없으며, 피부에 대한 자극 및 다른 성분과의 배합을 고려할 때 20중량%를 초과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주사제 또는 필러 등과 같은 액체 형태의 비경구 투여제로 제형화될 경우에는, 최종 생성물의 삼투압이 생체투여에 적합한 범위, 즉 인체 내부의 삼투압과 동일한 250~350mOsm, 바람직하게는 300~350mOsm의 범위가 되도록 MESNA를 포함시키는 것이 좋다. 이러한 삼투압 범위를 고려하면, 액체 형태의 비경구 투여제에 있어서 MESNA는 조성물 부피 1ml 당 0.0001~100mg, 바람직하게는 0.001~20mg, 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부피 1ml 당 0.001~15mg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MESNA는 생체투여용 삼투압을 적정 범위로 조절하면서 멸균 전후에 조성물, 특히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물성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조성물의 멸균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피부 내에서 히알루론산의 작용 효과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생체투여용 조성물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멸균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고압멸균(autoclave) 방법이 널리 사용된다. 세균의 내생포자를 파괴하기 위해서는 100℃ 이상에서 높은 증기압으로 멸균해야 하므로, 고압멸균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현재 고압멸균은 121℃ 및 15lb psi의 조건하에서 약 15분 정도 진행되는데, 이러한 조건은 조성물 내 세균의 내생포자를 파괴함과 더불어, 조성물의 물성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삼투압 조절제로서 MESNA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에는 멸균 전후 조성물의 물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투여용 조성물은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9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7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라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 및 MESNA를 모두 함유하는 조성물을 주사제 또는 필러 등과 같은 생체 조직 수복용 제품, 또는 안약 등과 같은 액체 형태의 비경구용 생체투여 제품으로 제형화하게 되면, 이들 제품의 제조 과정에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멸균 처리 전후에 조성물의 물성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특히 화장료 조성물로서 제형화될 수 있으며,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폼(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얼굴, 특히 눈 주위, 입 주위, 뺨, 또는 이마 부위, 목, 손, 발 등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으로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및 밀크로션), 영양화장수, 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팩, 젤,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파우더, 보디 로션, 보디 크림, 보디오일 및 보디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효성분에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비경구 투여제로 제형화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으로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실시함으로써, 유효성분을 용이하게 제형화할 수 있으며, 이 때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이 주사제, 필러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경우, 프리필드 시린지(prefilled syringe), 바이알(vial)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 성분의 투여 용량은 투여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당한 용량의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1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mg/kg/일 내지 50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시험예 및 제형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시험예 및 제형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히알루론산 포함 조성물의 멸균 안정성 평가
1. 시료
멸균 안정성 시험을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시험 시료를 준비하였다. 이 때,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4는 시험 물질을 포함하는 졸(sol) 상태의 액체와 히알루론산(HA)을 포함하는 겔(gel) 상태의 액체로 구성하였으며, 졸과 겔을 6:4의 부피 비율로 혼합한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최종 조성물의 삼투압이 300mOsm이 되도록 각각 MESNA, NaCl, 만니톨을 처방한 것이며, 비교예 3 및 비교예 4는 NaCl과 만니톨의 사용량이 실시예 1의 MESNA 사용량과 동일하도록 처방한 것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으며, 겔로 사용한 히알루론산 물질에 대해서는 하기에 구체적으로 기재하였다.
표 1 (총 부피가 3mL인 경우)
구분 성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졸(1.8mL) 1)인산염 버퍼 10mM 1.8mL 1.8mL 1.8mL 1.8mL 1.8mL
2)리도카인 9mg 9mg 9mg 9mg 9mg
3)MESNA 45mg - - - -
3)NaCl - 23.7mg - 45mg -
3)만니톨 - - 144mg - 45mg
HA 겔 4)히알루론산 1.2mL 1.2mL 1.2mL 1.2mL 1.2mL
1) 인산염 버퍼 10mM
= 인산수소나트륨 탈수물(Sodium phosphate monobasic dehydrate) 0.49g
+ 인산수소이나트륨 탈수물(Sodium phosphate dibasic dehydrate) 2.45g
+ 증류수 1L
2) 리도카인: 0.3%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함
3) - MESNA: Jiangsu Hengrui Medicin.Co., 배치 번호 642130904
- NaCl: Samchun chemical, 로트 080207
- 만니톨: Sigma, 로트 31K0003
4) 히알루론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섬유(NaHA, Mw = 0.5 내지 3 MDa) 1g을 10g의 1% 수산화나트륨 용액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5시간 동안 수화되도록 두었다. 여기에 150mg의 1,4-부탄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테르를 NaHA 젤에 첨가하여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생성된 가교결합된 하이드로겔을 동몰량의 염산(HCl)으로 중화하였으며, 이를 PBS(pH 약 7) 중에서 팽창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하이드로겔을 기계적으로 균질화하고, 이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2. 시험 프로토콜
상기 표 1에 나타낸 양으로 제조한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4의 시료를 바이알에 정밀하게 정량하여 넣었다. 멸균 처리를 하기에 앞서 5가지 시료의 레올로지를 측정하였다(AR Rheometer, TA Instruments, 미국). 멸균 처리는 고압멸균기(Automatic Autoclave, Sterilizer; JISICO사 J-NAS 62 이용)를 이용하였다. 그 다음, 멸균 처리한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4의 시료의 레올로지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2 및 표 3,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 및 표 3에서 G'는 저장탄성율(탄성)을 의미하고, G”는 손실탄성율(점성)을 의미하며, tan delta(G”/G')는 점성과 탄성의 비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분자가 온도에 따라 탄성율이 달라지는 것을 나타내는데, tan delta의 값이 클수록 점성 상태이고, 값이 작을수록 탄성 상태임을 나타낸다.
표 2
G' G'' tan delta
멸균 전 실시예 1(MESNA) 43.74 22.61 0.52
비교예 1(NaCl) 55.43 24.86 0.45
비교예 2(만니톨) 27.78 28.75 1.03
멸균 후 실시예 1(MESNA) 35.17 19.16 0.54
비교예 1(NaCl) 21.53 15.57 0.72
비교예 2(만니톨) 20.63 17.11 0.83
상기 표 2 및 도 1을 보면, 멸균 전 레올로지(G')에 대하여는 NaCl > MESNA > 만니톨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멸균 후 레올로지(G')에 대하여는 MESNA > NaCl > 만니톨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tan delta 값에 대해서는 변동 폭이 NaCl > 만니톨 > MESNA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멸균 전 후의 레올로지 및 tan delta 변동 폭을 고려하면, MESNA가 이 중 가장 우수한 멸균 안정성을 보장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3
G' G'' tan delta
멸균 전 실시예 1(MESNA) 44.33 29.79 0.67
비교예 3(NaCl) 38.04 23.96 0.63
비교예 4(만니톨) 46.98 37.00 0.79
멸균 후 실시예 1(MESNA) 41.10 26.03 0.63
비교예 3(NaCl) 20.60 13.76 0.67
비교예 4(만니톨) 33.94 20.94 0.62
상기 표 3 및 도 2를 보면, 삼투압 조절제를 동량으로 사용한 경우, 멸균 전 레올로지(G')에 대하여는 만니톨 > MESNA > NaCl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멸균 후 레올로지(G')에 대하여는 MESNA > 만니톨 > NaCl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tan delta 값에 대해서는 변동 폭이 만니톨 > NaCl = MESNA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멸균 전 후의 레올로지 및 tan delta 변동 폭을 고려하면, MESNA가 이 중 가장 우수한 멸균 안정성을 보장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는, 삼투압 조절제의 사용으로 히알루로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멸균 안정성을 조정할 수 있는데, 기존에 사용하던 NaCl 및 만니톨의 경우에는 멸균 전후 조성물의 레올로지 변화량이 커서 멸균 안정성을 보장하지 못한 반면, MESNA의 경우에는 멸균 전후 조성물의 레올로지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멸균에 대한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시사한다.

Claims (13)

  1.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sodium 2-mercaptoethane sulfonate)를 삼투압 조절제로서 함유하는, 생체투여 또는 미용성형용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삼투압 조절제와 함께 조성물의 삼투압을 생체투여에 적합한 삼투압으로 유지시키는 양으로 함유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pH 조절제와 함께 조성물의 pH를 생체투여에 적합한 pH로 유지시키는 양으로 함유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투압 조절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2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멸균 처리에 대한 증가된 안정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삼투압 조절제로서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 포함 프리필드 시린지(prefilled syringe).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린지는 멸균 처리에 대한 증가된 안정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필드 시린지.
  10.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삼투압 조절제로서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 포함 주사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제는 바이알(vial)의 형태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제는 멸균처리에 대한 증가된 안정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제.
  13. 생체투여 또는 미용성형용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sodium 2-mercaptoethane sulfonate)의 삼투압 조절제로서의 용도.
PCT/KR2016/000861 2015-02-23 2016-01-27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삼투압 조절제로서 함유하는 생체투여 또는 미용성형용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WO201613712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145A KR102329495B1 (ko) 2015-02-23 2015-02-23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삼투압 조절제로서 함유하는 생체투여 또는 미용성형용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KR10-2015-0025145 2015-0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37126A1 true WO2016137126A1 (ko) 2016-09-01

Family

ID=5678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0861 WO2016137126A1 (ko) 2015-02-23 2016-01-27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삼투압 조절제로서 함유하는 생체투여 또는 미용성형용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9495B1 (ko)
WO (1) WO201613712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3498A1 (en) * 2005-12-13 2008-08-14 Bionumerik Pharmaceuticals, Inc. Chemoprotective methods and compositions
US20140142063A1 (en) * 2012-11-19 2014-05-22 Actamax Surgical Materials, Llc Hydrogel tissue adhesive having decreased gelation time and decreased degradation time
KR20140097122A (ko) * 2012-11-22 2014-08-06 (주)오리지날 바이오메디칼스 자유 라디칼에 의한 손상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약학 조성물
WO2015002888A1 (en) * 2013-07-01 2015-01-08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Dissolvable hydrogel compositions for wound management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545B1 (ko) 2002-09-03 2005-08-09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히알루론산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IT1404145B1 (it) 2010-12-27 2013-11-15 Altergon Sa Composizioni di acido ialuronico stabilizzate verso l'azione di degradazione del calore o degli enzimi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3498A1 (en) * 2005-12-13 2008-08-14 Bionumerik Pharmaceuticals, Inc. Chemoprotective methods and compositions
US20140142063A1 (en) * 2012-11-19 2014-05-22 Actamax Surgical Materials, Llc Hydrogel tissue adhesive having decreased gelation time and decreased degradation time
KR20140097122A (ko) * 2012-11-22 2014-08-06 (주)오리지날 바이오메디칼스 자유 라디칼에 의한 손상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약학 조성물
WO2015002888A1 (en) * 2013-07-01 2015-01-08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Dissolvable hydrogel compositions for wound management and methods of us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SHIACH, ELISHVA ET AL.: "Mesna: A Novel Renoprotective Antioxidant in Ischaemic Acute Renal Failure",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vol. 16, no. 3, 2001, pages 542 - 551, XP055174970, DOI: doi:10.1093/ndt/16.3.54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723A (ko) 2016-08-31
KR102329495B1 (ko) 202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28604A1 (en) Stabilized Glycosaminoglycan Preparations and Related Methods
US8551975B1 (en) Hyaluronic acid in soft gel form
US9782490B2 (en) Method for crosslinking hyaluronic acid; method for preparing an injectable hydrogel; hydrogel obtained; use of the obtained hydrogel
US7544671B2 (en) Stabilized hyaluronan preparations and related methods
JP7443443B2 (ja) 関節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キット
CN104394934A (zh) 包含至少一种透明质酸及至少一种蔗糖八硫酸酯水溶性盐的在水性介质中的组合物
CN108125980A (zh) 用于稳定的多糖制剂的组合物和方法
US10022394B2 (en) Antiinfective composition
WO2016137126A1 (ko)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삼투압 조절제로서 함유하는 생체투여 또는 미용성형용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WO2017027177A1 (en) Improved hyaluronan and modified-hyaluronan in biomedical applications
US8247390B2 (en) Modified hydrophilic polymers containing hydrophobic groups
JPH08163983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CN107249554B (zh) 含有2-巯基乙磺酸钠的透明质酸的分解抑制剂及包含其的组合物
US9913906B2 (en) Hyaluronic acid stabilizer
JPH11279205A (ja) ヒアルロン酸類製剤の分解抑制方法
KR102540969B1 (ko)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TR2022015493A2 (tr) Doku ve kikirdak rejenerasyonu i̇çi̇n eklem i̇çi̇ jel
US11547652B2 (en) Combination products and cosmetic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skin disorders and skin aging that affect keratinocytes and/or fibroblasts and the dermis
WO2016159684A1 (ko) 소듐 2-메르캅토에탄 설포네이트를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WO2024080954A1 (en) Intra-articular gel for tissue and cartilage regeneration
KR101578408B1 (ko) 생체수 모사 기술을 활용하여 제조된 눈물 성분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8239404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557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7557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