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17824A1 - 봉선화 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봉선화 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17824A1
WO2016117824A1 PCT/KR2015/013548 KR2015013548W WO2016117824A1 WO 2016117824 A1 WO2016117824 A1 WO 2016117824A1 KR 2015013548 W KR2015013548 W KR 2015013548W WO 2016117824 A1 WO2016117824 A1 WO 201611782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lsam
extract
weight
mixing
impatiens balsami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354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지언
Original Assignee
주)워킹싸이언스
한방약초힐링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워킹싸이언스, 한방약초힐링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워킹싸이언스
Publication of WO201611782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17824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le face wash comprising a balsam extra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le face wash using a balsam extract for preparing a male face wash using a balsam extract having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functions.
  • a face wash mainly refers to a water-soluble alkali metal salt of a higher fatty acid, and is made by saponifying a raw material holding with alkali hydroxide or neutralizing a fatty acid obtained by a suitable method with alkali.
  • Alkaline soap is mainly consumed in terms of sodium salt, soda soap or hard soap, and potassium salt is called potassium soap or soft soap.
  • Alkali soap is generally insoluble in organic solvents other than ethanol in anhydrous state, but water-soluble soap is soluble in benzine, cresol, etc., and absorbs moisture and dries depending on moisture content, relative humidity of air, temperature and so on. This property is remarkab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kind of constituent fatty acid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naturally-friendly male face wash harmless to the human body without chemical additives using balsam obtained in nature.
  • Men's face wash production method using the balsam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irst step of cutting the leaves and stems of the balsam; A second step of drying the fine balsam for 72 to 80 hours by a dry drying method; A third step of preparing a balsam mixture by mixing distilled water with the dried balsam; A fourth step of heating the balsam mixture in which the distilled water is mixed for 6 to 8 hours; A fifth step of extracting the heated balsam mixture to obtain an extract; A sixth step of preparing balsam extract by mixing 30% alcohol in the extract for three months to immerse it; And a seventh step of preparing a natural cleansing agent by mixing a natural surfactant, palm oil, and functional additives with the balsam extract.
  • the male face wash comprising the balsam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without a separate chemical additives in a simple process, when applied to the skin can provide a male face wash having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function It work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male-tooth cleanser including a balsam extract to prepare a male-tooth-wash using a balsam extract containing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functions.
  • Balsam is a year-old herbaceous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of Balsam, native to India, Malaysia, and China, and is now known as balsam as a horticultural plant widely cultivated all over the world. In the private sector, balsam has the effects of blood, pain, and swelling, and it is used as a therapeutic agent for habitual joint pain, dysmenorrhea, lymphadenitis, and social issues.
  • Balsam leaves are rich in antioxidants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so when mosquitoes or worms bite, they can be quickly cured when the leaves or stems are juiced.
  • balsam flowers, leaves, stems, roots, seeds are all used as herbs and natural cosmetics. If you bathe the balsam in water, you can see the moisturizing and whitening effect.
  • the first step is to cut the leaves and stems of balsam. Specifically, balsam leaves and stems containing the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components of the balsam are prepared by cutting.
  • the balsam leaves and stems are preferably cut into 3 to 5 cm.
  • the balsam leaves and stems are cut to less than 3cm, there is an inconvenience when storing after the drying process is severe, and when the cut is more than 5cm, the surface area is relatively narrow, so it may be difficult to extract the above proposed range It is desirable to cut to size.
  • the fine balsam leaves and stems are dried by a dry drying method. Specifically, it is dried in the sun to remove moisture of the fine balsam leaves and stems.
  • the dry drying method used to dry the balsam is also known as natural drying method is the method of drying using the sun and wind as the simplest used manufacturing method. Rain or dew can make it hard to get a good dry balsam, so it is better to dry it when it is expected to continue on a clear day. It is a sterilization effect due to sun when drying by the dual drying method.
  • the drying time is preferably 72 to 80 hours. When the drying time is less than 72 hours, sufficient sterilization effect and drying is not completed, and if it exceeds 80 hours, drying is completed, which may impair work efficiency.
  • a balsam mixture is prepared by mixing distilled water with the dried balsam leaves and stems. Specifically, by mixing the distilled water in the dried balsam leaves and stems by the drying method to produce a balsam mixture which is the raw material of the balsam extract.
  • the mixing ratio of the distilled water mixed with the balsam leaves and the stem is preferably mixed 20 parts by weight of distilled water with respect to 1 part by weight of the balsam leaves and the stem. If the distilled water is less than 20 parts by weight, the viscosity of the balsam extract is too high, so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when preparing the face wash. If the distilled water is more than 20 parts by weight, the concentration of the balsam extract is too light, so that the pharmacological components and efficacy of the balsam are removed. You may have problems with not delivering it enough.
  • the prepared balsam mixture is heated. Specifically, the balsam mixture in which distilled water is mixed with the balsam leaves and stems is heated at 45 to 55 ° C.
  • the 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45 to 55 ° C. If the heating temperature is less than 45 °C medicinal ingredients in the leaves and stems of the balsam is not extracted enough, or the extraction time is long, which may impair the efficiency of the work, if the temperature exceeds 55 °C may be destroyed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leaves and stems It is preferable to heat to a heating temperature within the above proposed range as possible.
  • the heating time when heating the balsam mixture mixed with the distilled water is characterized in that 6 to 8 hours. If the heating time is less than 6 hours, the medicinal ingredients in the leaves and stems may not be sufficiently extracted, and if the time exceeds 8 hours, the medicinal ingredients in the leaves and stems may be destroyed or the work efficiency may be impaired. It is preferable to heat for a time within the range.
  • the heated balsam mixture is extracted. Specifically, extract the heated balsam mixture to prepare an extract.
  • the extract and alcohol are mixed and then immersed to complete the balsam extract. Specifically, after mixing the extracted balsam extract and alcohol to immerse for 3 months to complete the balsam extract which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face wash.
  • a component that is insoluble in water among the pharmacological components of the balsam can be dissolved in alcohol and included in the face wash.
  • the mixing ratio of the balsam extract and the alcohol is preferably 3 parts by weight of the balsam extract with respect to 1 part by weight of 30% alcohol. If the balsam extract is mixed with less than 3 parts by weight of alcohol, it is difficult to deliver the pharmacological components of balsam to the face wash, and if it exceeds 3 parts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dissolve the pharmacological components in the balsam extract. It is desirable to.
  • the dipping period is preferably soaked for 3 months so that the pharmacological components of the balsam in the alcohol is sufficiently dissolved.
  • a natural cleanser is prepared by mixing the balsam extract with a natural surfactant, palm oil and a functional additive. Specifically, 23 to 27 parts by weight of the natural surfactant, 0.15 to 0.2 parts by weight of palm oil, and 0.05 to 0.1 parts by weight of functional additives are mixed with 1 part by weight of the balsam extract.
  • the natural surfactant is mixed at less than 23 parts by weight based on 1 part by weight of the balsam extract in the mixing ratio, the mixing of the aqueous phase and the oil phase included in the palm oil and functional additives is not sufficient Occurs. On the contrary, when the amount of the natural surfactant exceeds 27 parts by weight, the dense foam generated in the palm oil may not be sufficiently generated. Therefore, the natural surfactant is preferably mixed at the mixing ratio.
  • the natural surfactant preferably comprises at least one of cocobetaine, lecithin, solubilizer, xanthan gum, beeswax, olive emulsified wax, and apple wash.
  • Cocobetaine is a component made by combining glycine betaine and cocamide derived from coconut oil and is considered the most effective and excellent surfactant because it is less irritating, soft and safe on the skin.
  • Zwitterion Zwitterion
  • Zwitterion not only has antibacterial activity, but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and the pH is 5.0 ⁇ 7.0 level, which naturally adjusts to weak acidity, which is ideal for skin.
  • the lecithin is a complex lipid present in egg yolk, soybean oil, liver, brain, etc., and forms a film or a lipoprotein of a fatty part.
  • One side has a lipophilic fatty acid group and the other has a hydrophilic phosphoric acid and choline moiety and is widely used as an emulsifier to stabilize a mixture of water and fats and oils.
  • the xanthan gum is used instead of gluten to increase the viscosity of gum or bread. It is used as a thickener to improve the viscosity and texture of cosmetics.
  • the beeswax is a substance secreted by honeybees to make honeycomb, and has been used as a softener, an emulsifier, and a solid agent in various medicines and cosmetics. As a surfactant and moisturizer, it provides rich nutrition and moisture to the skin.
  • the olive emulsion wax is excellent in viscosity stability than other emulsifiers and is composed of a structure similar to the skin liquid crystals and has excellent absorption and moisturizing properties.
  • the apple wash is a natural surfactant extracted from the apple juice to soften the density of the foam and helps to foam.
  • the palm oil is a component extracted from palm trees
  • the palm oil-containing soap is characterized by a lot of hard and dense foam. It contains oleic acid, which helps to moisturize and feel a gentle and soft texture.
  • the functional additive is preferably prepared by mixing 2 parts by weight of propolis extract and 0.5 parts by weight of napri with respect to 1 part by weight of niacinamide.
  • the niacin amide is a component contained in grains and greenish yellow vegetables and contains a whitening component, and when used in cosmetics, the reaction to heat or light is also stable. In particular, the sebum secretion of male skin is suppressed sebum and effective for oily troubles.
  • the propolis extract is an extract obtained by removing the wax from the propolis produced by bees and contains various flavonoids to protect the skin from harmful oxygen. In addition, it contains various organic materials and minerals, and has an effect of calming sensitive skin. In particular, it protects and calms acne-prone male skin.
  • the napres are water-soluble, antimicrobial and antibacterial ingredients extracted from the herbaceous acid, Baekduhong, and moss by ultrasonic extraction. They show strong activity against both yeast and mold. Most widely used among vegetable natural preserva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선화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세안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 항염 기능을 포함하는 봉선화추출물을 이용하여 남성세안제를 제조하는 봉선화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봉선화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은 봉선화의 잎과 줄기를 세절하는 제 1단계; 상기 세절한 봉선화를 양건법으로 72 내지 80시간 동안 건조하는 제 2단계; 상기 건조한 봉선화에 증류수를 혼합하여 봉선화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증류수를 혼합한 봉선화혼합물을 6 내지 8시간 가열하는 제 4단계; 상기 가열한 봉선화혼합물을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 5단계; 상기 추출물에 30% 알콜을 혼합하여 3개월 간 침지하여 봉선화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6단계; 상기 봉선화추출물에 천연계면활성제, 팜유, 기능성첨가물을 혼합하여 천연세안제를 제조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봉선화 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본 발명은 봉선화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세안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 항염 기능을 포함하는 봉선화추출물을 이용하여 남성세안제를 제조하는 봉선화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안제란 주로 고급지방산의 수용성 알칼리 금속염을 총칭하는 것으로, 원료유지를 수산화 알칼리로 비누화하든가, 적당한 방법으로 얻은 지방산을 알칼리로 중화시켜 만든다. 알칼리비누의 주체는 소비량으로 보아 나트륨염인데, 소다비누 또는 경성비누라고 하며, 칼륨염은 칼륨비누 또는 연성비누라 한다. 알칼리비누는 무수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에탄올 이외의 유기용제에는 잘 녹지 않으나, 함수비누는 벤진, 크레졸 등에 녹는 것도 있고, 함수량, 대기의 상대습도, 온도 등에 따라 습기를 흡수하기도 하고 건조하기도 한다. 이 성질은 구성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 현저하게 다른데, 일반적으로 저급 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인 경우와 칼륨염인 경우에 습기를 흡수하기 쉽다. 비누는 수용액 속에서 농도가 낮으면 분자상태로 분산되어 있으나, 농도가 높아지면 분자와 회합하여 미셀을 형성하고 콜로이드와 같은 행동을 한다. 미셀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농도를 임계미셀 농도라고 하는데, 비누 분자의 종류, 온도, 공존물 등에 따라 약간 변동하며, 물 속에서 가수분해하며 용액의 pH는 일반적으로 9가 넘는다. 수용액에 알칼리나 알칼리염을 가하면 비누 분이 위층으로 분리되는 데 이 조작을 염석이라 하며, 경성비누의 제조공정상 중요하다. 또, 비누 분자는 친수기와 소수기를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큰 계면활성을 지닌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미용제 또는 피부용 약재를 사용중에 피부의 손상이나 부작용을 일으키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사례는 천연재료를 첨가한 미용제보다 속효성의 화학합성제가 첨가된 미용제를 사용함에 따른 부작용의 빈도가 크다 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 세안제를 제조할 때는 일반적으로 항균력을 높이기 위하여 화학성분을 첨가하는데, 이러한 화학성분을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피부를 더욱 건조하게 하거나 민감성 피부의 피부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천연에서 얻어지는 봉선화를 이용하여 화학적 첨가물 없이 인체에 무해한 자연친화적인 남성세안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봉선화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은 봉선화의 잎과 줄기를 세절하는 제 1단계; 상기 세절한 봉선화를 양건법으로 72 내지 80시간 동안 건조하는 제 2단계; 상기 건조한 봉선화에 증류수를 혼합하여 봉선화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증류수를 혼합한 봉선화혼합물을 6 내지 8시간 가열하는 제 4단계; 상기 가열한 봉선화혼합물을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 5단계; 상기 추출물에 30% 알콜을 혼합하여 3개월 간 침지하여 봉선화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6단계; 상기 봉선화추출물에 천연계면활성제, 팜유, 기능성첨가물을 혼합하여 천연세안제를 제조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봉선화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세안제는 간단한 공정으로 별도의 화학적 첨가물 없이 제조할 수 있으며, 피부에 도포했을 경우 항균, 항염기능성을 가지는 남성세안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봉선화추출액에서의 향을 이용하여 별도의 화학적 향료나 오일 없이 세안제에 봉선화추출액의 향을 함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항균 및 항염 기능을 포함하는 봉선화추출물을 이용하여 남성세안제를 제조하는 봉선화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세안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봉선화는 봉선화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식물로 인도·말레이시아·중국이 원산이며 지금은 전 세계에 널리 재배되는 원예식물로 봉숭아라고도 한다. 민간에서는 봉선화가 활혈·진통·소종의 효능이 있다고 하여 습관성 관절통, 월경통, 임파선염, 사교상 등에 치료제로 쓰기도 한다.
봉선화 잎에는 항산화 성분과 항염성분이 풍부하여 모기 또는 벌레가 물었을 때 잎이나 줄기를 즙내어 바르면 금방 아문다.
또한, 봉선화 꽃, 잎, 줄기, 뿌리, 씨는 모두 약초로 사용되며 천연 화장품으로도 사용된다. 봉선화를 물에 띄워 목욕을 할 경우 보습과 미백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봉선화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먼저, 제 1단계에서는 봉선화의 잎과 줄기를 세절한다. 구체적으로, 봉선화의 항균 및 항염 성분을 포함하는 봉선화 잎과 줄기를 세절하여 준비한다.
상기 봉선화 잎과 줄기는 3 내지 5cm로 세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봉선화 잎과 줄기가 3cm 미만으로 세절되었을 경우 건조작업을 거친 뒤 가루날림이 심하여 보관 시 불편함이 있으며, 5cm를 초과하여 세절할 경우 표면적이 비교적 좁아 추출 시 어려움이 생길 수 있으므로 상기 제안된 범위 내의 크기로 세절하는 것이 바림직하다.
다음으로, 제 2단계에서는 상기 세절한 봉선화 잎과 줄기를 양건법으로 건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절한 봉선화 잎과 줄기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햇볕에 말려 건조한다.
상기 봉선화를 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양건법은 자연건조법이라고도 하며 가장 간단하게 사용되는 제조법으로 햇볕과 바람을 이용하여 건조 시키는 방법이다. 비나 이슬을 맞으면 좋은 건조 봉선화를 얻기 어렵기 때문에 맑은 날씨가 계속될 것이 예상될 때 건조하는 것이 좋다. 양건법으로 건조 시 햇볕으로 인한 살균효과가 있다.
상기 건조시간은 72 내지 80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시간이 72시간 미만일 경우 충분한 살균효과 및 건조가 완료되지 않으며 80시간을 초과할 경우 건조가 완료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해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안된 범위 내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3단계에서는 상기 건조한 봉선화 잎과 줄기에 증류수를 혼합하여 봉선화혼합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건법으로 건조한 봉선화 잎과 줄기에 증류수를 혼합하여 봉선화추출물의 원료인 봉선화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봉선화 잎과 줄기에 혼합하는 증류수의 혼합비율은 봉선화 잎과 줄기 1 중량부에 대하여 증류수 2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류수가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 봉선화추출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 세안제로 제조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봉선화추출물의 농도가 너무 옅어져 봉선화의 약리성분과 효능을 세안제에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다음으로, 제 4단계에서는 상기 제조한 봉선화 혼합물을 가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봉선화 잎과 줄기에 증류수를 혼합한 봉선화혼합물을 45 내지 55℃에서 가열한다.
상기 증류수를 혼합한 봉선화혼합물 가열 시 가열온도는 45 내지 5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온도가 45℃ 미만일 경우 봉선화 잎과 줄기 내에 있는 약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거나, 추출시간이 길어져 작업의 효율성을 해칠 수 있으며, 55℃를 초과하는 경우 봉선화 잎과 줄기의 약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안된 범위 내의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류수를 혼합한 봉선화혼합물 가열 시 가열시간은 6 내지 8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시간이 6시간 미만일 경우 봉선화 잎과 줄기 내에 있는 약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8시간을 초과할 경우 봉선화 잎과 줄기의 약효성분이 파괴되거나 작업의 효율성을 해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안된 범위 내의 시간동안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5단계에서는 상기 가열한 봉선화혼합물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열한 봉선화혼합물을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제 6단계에서는 상기 추출물과 알콜을 혼합한 후 침지하여 봉선화추출물을 완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한 봉선화추출물과 알콜을 혼합한 뒤 3개월 동안 침지하여 세안제의 주성분이 되는 봉선화추출물을 완성한다.
상기 봉선화추출물에 알콜을 혼합함으로써 봉선화의 약리성분 중 물에는 녹지 않는 성분을 알콜로 녹여 세안제 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봉선화추출물과 알콜의 혼합비율은 30% 알콜 1 중량부에 대하여 봉선화추출물 3 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콜 1 중량부에 대하여 봉선화추출물이 3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세안제에 봉선화의 약리성분을 전달하기 어려우며,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봉선화추출물 내의 약리성분을 충분히 녹이기 어려우므로 상기 제시한 범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지 과정에서 침지 기간은 알콜에 봉선화의 약리성분이 충분히 녹을 수 있도록 3개월 동안 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7단계에서는 상기 봉선화추출물에 천연계면활성제, 팜유, 기능성첨가물을 혼합하여 천연세안제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봉선화추출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계면활성제 23 내지 27 중량부, 팜유 0.15 내지 0.2 중량부, 기능성 첨가물 0.05 내지 0.1 중량부를 혼합한다.
상기 혼합비율에서 봉선화추출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계면활성제가 23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봉선화추출물에 포함된 수상층과 상기 팜유와 기능성 첨가물에 포함된 유상층의 혼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대로 상기 천연계면활성제가 27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상기 팜유에서 발생하는 조밀한 거품이 충분히 생기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시한 혼합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계면활성제는 코코베타인, 레시틴, 솔루빌라이저, 잔탄검, 밀랍, 올리브 유화왁스, 애플워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코베타인은 코코넛 오일에서 유래된 글리신 베타인과 코카마이드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성분으로 피부에 자극이 적고 부드러우며 안전하기 때문에 가장 효과적이고 우수한 계면활성제로 간주된다. 또한, 츠비터라이언(쌍성이온, Zwitterion)으로 항균력을 가질 뿐 아니라 정전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pH가 5.0~7.0 수준으로 자연스럽게 피부에 이상적인 약산성으로 조절한다.
상기 레시틴은 난황, 콩기름, 간, 뇌 등에 다량 존재하는 복합지질로 지방부의 피막이나 지질단백질을 이룬다. 한쪽에는 친유성이 강한 지방산기를 가지고 다른 쪽에는 친수성이 강한 인산, 콜린 부분이 있어 물과 유지의 혼합물을 안정화시켜주는 유화제로서 널리 사용된다.
상기 잔탄검은 껌의 점성을 높여주거나 빵을 만들 때 글루텐 대신 사용한다. 화장품의 점도와 질감을 좋게 해주어 증점제로 사용된다.
상기 밀랍은 꿀벌이 벌집을 만들기 위해서 분비하는 물질로 각종 약제와 화장품 등에 연화제, 유화제, 고형제로 사용되어 왔다. 계면활성제, 보습제로서 피부에 풍부한 영양과 수분을 공급한다.
상기 올리브 유화왁스는 점도 안정성이 다른 유화제보다 우수하며 피부액정과 유사한 구조로 조성되어 있으며 흡수력과 보습력이 뛰어나다.
상기 애플워시는 사과쥬스에서 추출되는 천연계면활성제로 거품의 밀도를 부드럽게 하고 거품이 풍성하도록 돕는다.
또한, 상기 팜유는 팜나무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팜유를 함유한 비누는 단단하고 조밀한 거품이 많이 일어나는 특징이 있다. 올레인산을 함유하고 있어 보습에 도움이 되며 순하고 부드러운 감촉을 느끼게 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첨가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 1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폴리스추출물 2 중량부, 나프리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비로 제조할 경우, 상기 기능성첨가물의 하기와 같은 각 효능을 남성세안제에 충분히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곡물류와 녹황색채소에 들어있는 성분으로 미백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화장품으로 사용되었을 때 열이나 빛에 대한 반응도 안정적이다. 특히, 피지 분비가 많은 남성피부에 대해 피지를 억제시켜주고 지성 트러블에 효과가 좋다.
상기 프로폴리스추출물은 꿀벌에 의해 생성된 프로폴리스에서 왁스를 제거하여 얻은 추출물로 다양한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어 유해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다양한 유기물 및 무기질을 함유하여 민감한 피부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여드름이 많은 남성 피부를 보호하고 진정시키는 효능이 있다.
상기 나프리는 산초, 백두홍, 이끼에서 초음파 추출법으로 추출한 식물성 천연방부제로 수용성이며 항균, 항박테리아 성분을 가지고 있어 효모, 곰팡이에 모두 강한 활성을 보인다. 식물성 천연방부제 중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봉선화의 잎과 줄기를 세절하는 제 1단계;
    상기 세절한 봉선화를 양건법으로 72 내지 80시간 동안 건조하는 제 2단계;
    상기 건조한 봉선화에 증류수를 혼합하여 봉선화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증류수를 혼합한 봉선화혼합물을 6 내지 8시간 가열하는 제 4단계;
    상기 가열한 봉선화혼합물을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제 5단계;
    상기 추출물에 30% 알콜을 혼합하여 3개월 간 침지하여 봉선화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6단계;
    상기 봉선화추출물에 천연계면활성제, 팜유, 기능성첨가물을 혼합하여 천연세안제를 제조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선화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봉선화와 증류수의 혼합비율은 봉선화 1 중량부에 대하여 증류수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선화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봉선화혼합물의 가열온도는 45 내지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선화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에서 추출물과 알콜의 혼합비율은 알콜 1 중량부에 대하여 추출물 3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선화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7단계에서 천연계면활성제는 코코베타인, 레시틴, 솔루빌라이저, 잔탄검, 밀랍, 올리브 유화왁스, 애플워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선화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7단계에서 기능성첨가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 프로폴리스추출물, 나프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선화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7단계에서 천연세안제는 봉선화추출물 1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계면활성제 23 내지 27 중량부, 팜유 0.15 내지 0.2 중량부, 기능성 첨가물 0.05 내지 0.1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선화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PCT/KR2015/013548 2015-01-21 2015-12-10 봉선화 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WO201611782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941 2015-01-21
KR1020150009941A KR101548231B1 (ko) 2015-01-21 2015-01-21 봉선화 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17824A1 true WO2016117824A1 (ko) 2016-07-28

Family

ID=54246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3548 WO2016117824A1 (ko) 2015-01-21 2015-12-10 봉선화 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8231B1 (ko)
WO (1) WO20161178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231B1 (ko) * 2015-01-21 2015-09-10 한방약초힐링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봉선화 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KR101985541B1 (ko) * 2018-06-29 2019-06-03 장혜영 천연 향초용 미강 왁스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향초
KR102430140B1 (ko) * 2020-09-17 2022-08-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액상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430138B1 (ko) * 2020-09-17 2022-08-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924A (ko) * 2003-07-07 2005-01-15 (주) 새팍 바이오젠시 봉선화 착즙물 함유 비누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80101821A (ko) * 2008-08-27 2008-11-21 김선일 홍화 분획물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20125783A (ko) * 2011-05-09 2012-11-19 김정하 토종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과립형태의 기능성 세제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기능성 세제
KR101239630B1 (ko) * 2011-09-23 2013-03-08 대한민국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47778A (ko) * 2011-10-25 2013-05-09 (주)아모레퍼시픽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48231B1 (ko) * 2015-01-21 2015-09-10 한방약초힐링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봉선화 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924A (ko) * 2003-07-07 2005-01-15 (주) 새팍 바이오젠시 봉선화 착즙물 함유 비누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80101821A (ko) * 2008-08-27 2008-11-21 김선일 홍화 분획물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20125783A (ko) * 2011-05-09 2012-11-19 김정하 토종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과립형태의 기능성 세제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기능성 세제
KR101239630B1 (ko) * 2011-09-23 2013-03-08 대한민국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47778A (ko) * 2011-10-25 2013-05-09 (주)아모레퍼시픽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48231B1 (ko) * 2015-01-21 2015-09-10 한방약초힐링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봉선화 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231B1 (ko) 2015-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33898A (zh) 一种多重保湿双层卸妆液及其制备方法
CN104224633A (zh) 一种纯牡丹护肤精油及其制备方法
KR100928726B1 (ko) 아토피성 피부 질환 치료용 천연 특수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WO2016117824A1 (ko) 봉선화 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CN106902029A (zh) 一种卸妆啫喱及其制备方法
CN103976903A (zh) 除皱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572155B1 (ko)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천연 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5997620A (zh) 一种含中草药成分的卸妆油及其制备方法
CN105411993A (zh) 一种卸妆膏及其制备方法
KR20200090629A (ko) 금화규꽃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860427A (zh) 一种保湿滋润沐浴胶
CN105147529A (zh) 一种由多种可用于食品生产成分组成的润肤霜
WO2020171352A1 (ko) 쇠비름 추출물 및 고순도 옥타데카디엔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5559B1 (ko) 여드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6922A (ko) 천연발효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의 완화 및 피부보습용 조성물
CN110037931A (zh) 一种含抗污染组分的婴幼儿高效保湿润肤乳液
JP2008239494A (ja) 皮膚外用剤
CN110339080A (zh) 一种唇部补水精华露
CN111040896A (zh) 一种抗菌消炎美肤手工皂
CN109431877A (zh) 一种洁面棒及其制备方法
CN104434644A (zh) 一种含黄瓜提取液的洗面乳
CN105997609B (zh) 一种保湿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05060320A (ja) 皮膚ダニ駆除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0667182B1 (ko) 오소리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개선용 화장료
KR102062822B1 (ko) 탈모개선 비누 첨가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790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790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