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5924A - 봉선화 착즙물 함유 비누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봉선화 착즙물 함유 비누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5924A
KR20050005924A KR1020030045833A KR20030045833A KR20050005924A KR 20050005924 A KR20050005924 A KR 20050005924A KR 1020030045833 A KR1020030045833 A KR 1020030045833A KR 20030045833 A KR20030045833 A KR 20030045833A KR 20050005924 A KR20050005924 A KR 20050005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sam
soap
juice
garden balsam
flow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희
Original Assignee
(주) 새팍 바이오젠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새팍 바이오젠시 filed Critical (주) 새팍 바이오젠시
Priority to KR1020030045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5924A/ko
Publication of KR20050005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92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선화 잎 및 꽃을 분쇄하여 착즙한 봉선화 착즙물을 비누 원료 혼합물과 함께 배합 성형하여 비누를 제조하기 위한 봉선화 착즙물 함유 비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봉선화의 잎 및 꽃으로부터 착즙한 봉선화 착즙물과 비누 소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비누 소지에 상기 봉선화 착즙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여 성형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선화 착즙물 함유 비누의 제조 방법과 그에 따라 제조된 비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봉선화 착즙물 함유 비누 및 그의 제조 방법{Soap Having Sap of Garden Balsam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봉선화 착즙물 함유 비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봉선화 잎 및 꽃을 분쇄하여 착즙한 봉선화 착즙물을 비누 원료 혼합물과 함께 배합 성형하여 비누를 제조하기 위한 봉선화 착즙물 함유 비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선화는 우리 국토 어느 곳에서도 재배가 가능하고 재배가 매우 쉬울 뿐만 아니라 재배단가도 매우 적다.
봉선화는 오래 전부터 민간요법으로 여러 가지 임상효능이 알려져 왔다. 예로는 봉선화는 변비, 난산, 식체, 어육 중독, 활혈, 소염 진통 및 관절염, 생리 불순, 타박상, 뱀독제거 등에 사용되어 왔다. 또한 항균작용 및 병원성 진균의 억제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의 중약대사전을 보면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봉선화의 학명은Impatiens balsaminaL.이고, 일년생 직립성 초본식물로서 높이는 약 60cm이다. 줄기는 굵고 육질이다. 잎은 어긋나며 피침형이고 길이는 10 센티미터 정도이며 끝이 길고 뾰족하고, 가장 자리에 깊은 톱니가 있고 기부는 쐐기모양이다. 꽃은 양성이고 액생하며 분홍색, 홍색, 자색, 백색 또는 잡색이고 낱잎 혹은 겹잎이다. 개화기는 6∼8월이고 결실기는 9월이다. 중국의 대부분 지역에 분포하며 정원에 많이 심어 관상용으로 한다. 본 식물의 줄기, 뿌리, 꽃, 종자 등이 약용으로 이용된다.
성분 분석에 의하면 꽃에는 각종 anthocyanins를 함유하는데 이로부터 cyanidin, delphinidin, pelarginidin, malvidin이 분리되었고, 또한 kaempferol, quercetin 및 naphthoquinone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종자에는 balsaminasterol, parinarinic acid, quercetin과 kaempferol 유도체, 뿌리에는 scopoletin이 함유되어 있다.
잎은 맛이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며, 꽃은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약리 작용은 풍을 제거하고 혈을 잘 순환하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통증을 완화한다. 관절 풍습통, 타박상, 나력옹저, 정창, 산후어혈부진, 옹저를 치료한다.
봉선화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 용혈성 연쇄상구균, 녹농간균, 이질균 등에 항균작용이 있으며, 여러 가지 병원성 진균에 대한 항진균 작용이 있다.
구체적인 처방 예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관절 풍습통의 치료: 봉선을 달여 술로 복용한다.
2) 타박상의 치료: 봉선을 찧어 술에 풀어 복용한다.
3) 나력, 부스럼의 치료: 신선한 봉선초를 찧어서 붙인다. 또는 봉선을 달여 여과한 즙을 농축하여 고약을 만들어 상처에 붙인다.
4) 옹저의 치료: 달여 복용한다.
5) 손톱의 염증으로 인한 부종과 동통의 치료: 봉선엽을 찧어서 붙인다.
6) 오래된 궤양의 치료: 가루 내어 말려서 부은 곳에 바른다.
7) 습으로 발등이 붓는 증상의 치료: 봉선을 찧은 후 그 즙에 백당을 섞어서 붙인다.
8) 뱀에 물린 상처의 치료: 신선한 봉선을 찧어서 그 즙을 짜서 복용한다. 찌꺼기는 환부에 붙인다.
9) 요협인통의 치료: 봉선화를 갈아 말린 후 가루 내어 공복에 복용한다.
10) 백일해, 토혈, 각혈의 치료: 신선한 봉선화를 달여 복용한다.
11) 백대하의 치료: 봉선화와 묵어를 달여 매일 1첩씩 복용한다.
이상의 중약대사전에서 상세히 기록된 바와 같이 봉선화는 상당한 약리효과가 있으며, 거풍, 지통, 류마티스성 관절염, 타박상, 종창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자는 봉선화 추출물이 여러 가지 피부질환의 원인균의 생육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도면 참고).
그러나, 종래의 사용법은 달여서 복용하거나, 가루를 내어 쓰거나, 찧어서 즙을 붙이거나 달여서 씻는 것은 상당한 불편이 따른다.
또한, 달여서 복용하는 것도 쓴맛이 있고 이취감 등으로 거부감이 뒤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봉선화의 약효 성분을 이용하여 피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비누를 제조하기 위한 봉선화 착즙물 함유 비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봉선화 추출물이 족부백선(무좀)의 원인진균류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기 위한 사진. (A)는 봉선화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SDA(Sabouraud Dextrose Agar)에서 균을 증식한 결과이며, (B)는 봉선화 추출물이 10% 함유된 SDA배지에서 균을 배양시킨 결과로써, 1 :Trichophyton ruburum; 2 :Trichophyton mentagrophytes; 3 :Epidermophyton floccosum
도 2는 봉선화 추출물이 염증질환을 유발하는 원인균류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기 사진. MHA(Mueller Hinton Agar) 배지에 일정 직경의 배지를 제거하고, 봉선화추출물을 가하여 균을 배양시킨 결과로써, (A)는Staphylococcus aureus, (B)는 Methicillin resistantStaphylococcus aureus(MRSA), (C)는Staphylococcus epidermidis, (D)는Streptococcus pyogenes의 배양 결과이다. 1 : 대조구로 봉선화추출물 대신 20% DMSO(dimethyl sulfoxide) 40 ㎕ 함유; 2 : 10% 봉선화 추출물 40 ㎕ 함유; 3 : 20% 봉선화 추출물 40 ㎕ 함유
도 3은 봉선화 추출물이 여드름질환을 유발하는 원인균인Propionibacterium acnes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기 위한 사진. Mueller Hinton Agar배지에 일정 직경의 배지를 제거하고, 봉선화추출물을 가하여 균을 배양시킨 결과로써, 1 :대조구로 봉선화추출물 대신 20% DMSO(dimethyl sulfoxide) 40 ㎕ 함유; 2 : 20% 봉선화 추출물 40 ㎕ 함유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봉선화 성분을 함유한 비누 제조 방법에 있어서, 봉선화의 잎 및 꽃으로부터 착즙한 봉선화 착즙물과 비누 소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비누 소지에 상기 봉선화 착즙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여 성형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선화 착즙물 함유 비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봉선화 착즙물은 0.5∼1.5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누 소지(4∼6Kg을 기준으로), 색소 2∼3g, 향 40∼50g,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의 나트륨염 20∼30g, 세탄올 40∼50g, 소듐라우릴설페이트 40∼120g이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봉선화는Impatiens balsaminaL. 속의 봉선화의 꽃과 잎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봉선화의 잎과 꽃에 대한 착즙은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천연물 소재로부터 기능성 식품을 만들기 위하여 그 즙을 내어 사용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봉선화는 과육이 부드러워 착즙이 잘되고 착즙율도 높다.
착즙액은 점성이 높지 않아 비누 제조시에 비누 원료와 원활하게 혼합되고, 제조 후 사용 중에 비누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안정성이 좋다.
또한 상기에서 비누 원료의 조성에 사용되는 원료들로서 비누소지, 색소, 향,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의 나트륨염, 세탄올 및 소듐라우릴설페이트 등은 모두 비누를 제조하고, 판매하는 당업자들에게는 모두 공지의 것으로서 이들은상용적으로 공급되어지는 것들을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들이다.
또한 비누를 성형하는 방법 및 그에 소요되는 성형기들 역시 모두 당업자들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는 것들이 사용될 수 있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1. 실시예 - 봉선화 착즙물 함유 비누의 제조
봉선화의 잎 및 꽃을 채취하여 수세하고, 초퍼로 분쇄한 후, 이를 믹서나 콜로이드밀을 사용하여 미세하게 분쇄한 후, 배치타입(batch type)의 단순 압착기를 사용하여 착즙하여 봉선화 착즙물을 수득한다.
비누소지 5Kg, 색소 2.5g, 향 50g, 소듐라우릴설페이트 80g을 혼합하여 수득되는 비누 원료에 상기 봉선화 착즙물 50g을 배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비누 성형 방법에 따라 성형하여 봉선화 착즙물을 함유하는 비누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봉선화 착즙물을 0.5중량% 미만으로 혼합하면 항균성 등이 저하되고, 1.5중량%를 초과하면 비누의 균열도가 높아지거나 피부자극도가 높아지므로 0.5∼1.5중량% 범위 내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듐라우릴설페이트의 함량은 비누의 성형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성분은 아니고, 선택적으로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보조 세탁 성분으로서, 용도에 따라 임의량을 가하여 비누의 세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함량도 전체 비누 혼합물에 대해 중량으로 1∼2% 정도 첨가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비누에 대하여 균열도 및 피부 자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2. 균열도 실험
제조 후 24시간 이상 경과한 비누를 가로 방향으로 2㎝되는 지점에 핀을 꽂은 후, 25℃의 항온수조에 수면에서 수직으로 4시간 동안 물에 침적시킨 후 꺼내어 21∼25℃, 50∼60%의 절대 습도를 유지하는 곳에서 24∼36시간 건조시킨 후 표 1에 나타낸 평가표에 따라 균열도를 측정하였다.
균열도 평가표
비누 접합부에서의 균열
균열없음 약 1mm정도균열 약 2mm정도균열 2mm이상균열
비누표면에서의균열 균열 없음 1 2 3 4
약간의 균열 흔적이여러 곳에서 나타남 2 3 4 5
1㎜ 정도의 균열이나타남 3 4 5 6
1㎜ 이상의 균열이나타남 4 5 6 7
3. 피부 자극도 실험
자극성 시험용 반창고를 이용하여 비누 5% 수용액을 반창고의 거즈 부분에 1㎖ 흡수시킨 후 사람의 팔 윗부분에서 붙인다. 붙인 후 48시간 경과하여 반창고를 제거하고 1시간 후 피부를 관찰하였다. 평가방법은 표 2의 평가표에 의해 평가하였다.
피부자극도 평가표
등급 상태
0 피부에 대한 반응이 전혀 없다.
1 부분적으로 피부 홍반이 일어난다.
2 전반적으로 피부 홍반이 일어난다.
3 피부 홍반이 일어나며 피부가 부어오른다.
4 피부 홍반이 일어나며 피부가 심하게 갈라진다.
판정은 20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여 그 결과를 평균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에서 제조된 비누의 균열도 및 피부 자극도에 대한 실험결과, 균열도는 1점, 피부 자극도는 0.5점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비누는 균열도가 양호하고 피부 자극성도 없음을 알 수 있다. 즉, 비누의 안정성과 저장성이 충분하고 피부 자극성이 없이 안정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봉선화 추출물이 족부백선(무좀)의 원인균, 화농성 피부질환의 원인균 및 여드름의 원인균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저해한다는 결과를 이용하여 봉선화 추출물함유 비누를 제조하였으므로 봉선화 추출물을 함유한 비누는 기능성 비누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누는 봉선화의 약용 성분을 포함하면서도 충분한 안정성 및 저장성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봉선화 성분을 함유한 비누에 있어서,
    봉선화의 잎 및 꽃으로부터 착즙한 봉선화 착즙물이 0.5∼1.5중량%, 잔부 비누 소지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선화 착즙물 함유 비누.
  2. 봉선화 성분을 함유한 비누 제조 방법에 있어서,
    봉선화의 잎 및 꽃으로부터 착즙한 봉선화 착즙물과 비누 소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비누 소지에 상기 봉선화 착즙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여 성형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선화 착즙물 함유 비누의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봉선화 착즙물은 0.5∼1.5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선화 착즙물 함유 비누의 제조 방법.
KR1020030045833A 2003-07-07 2003-07-07 봉선화 착즙물 함유 비누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50005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833A KR20050005924A (ko) 2003-07-07 2003-07-07 봉선화 착즙물 함유 비누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833A KR20050005924A (ko) 2003-07-07 2003-07-07 봉선화 착즙물 함유 비누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924A true KR20050005924A (ko) 2005-01-15

Family

ID=37220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833A KR20050005924A (ko) 2003-07-07 2003-07-07 봉선화 착즙물 함유 비누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59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560B1 (ko) * 2006-11-30 2013-04-08 (주)아모레퍼시픽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6117824A1 (ko) * 2015-01-21 2016-07-28 주)워킹싸이언스 봉선화 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560B1 (ko) * 2006-11-30 2013-04-08 (주)아모레퍼시픽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6117824A1 (ko) * 2015-01-21 2016-07-28 주)워킹싸이언스 봉선화 추출물을 이용한 남성세안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khal et al. Hydroalcoholic extraction of Mangifera indica (leaves) by Soxhletion
Kumar et al. Recent trends in medicinal uses and health benefits of Indian traditional herbs Aegle marmelos
KR102276213B1 (ko)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5718A (ko) 쇠비름 추출물 및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여성 청결제
Parra et al. An overview on various aspects of plant Berberis Lycium Royale
KR101941753B1 (ko) 기능성 물티슈용 방부제 조성물
JPH10295325A (ja) 健康食品
KR20110024315A (ko) 천연 한방원료를 이용한 천연 항균 조성물
JPH0616530A (ja) 化粧料
CN106038334A (zh) 含有苦丁茶提取物的抑菌祛味牙膏
Tkacheva et al. Calendula (Marigolds, lat. Caléndula)
Latifian et al.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of Azerbaijan province of Iran
KR20050005924A (ko) 봉선화 착즙물 함유 비누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27533B1 (ko) 한방 식물약재를 이용한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94034B1 (ko) 덤불쑥, 알꽈리 및 동백나무잎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피부알러지, 항염증및 노인성 체취 제거용 조성물
KR101615923B1 (ko) 거북꼬리, 바디나물 및 우엉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피부알러지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CN107213175B (zh) 一种野茉莉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adhav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ointment and liniment using Moringa oleifera seed extract
CN111454793A (zh) 一种清肤除螨中药皂及其制备方法
Nikhal et al. Evaluation of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ngifera indica (leaves)
KR20150061845A (ko)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용 변기 분뇨 분해용 효소 조성물
CN107929372A (zh) 治疗甲癣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140134022A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19966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Annamalai et al. Betel v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