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14500A1 - 모발 관리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 관리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14500A1
WO2016114500A1 PCT/KR2015/013453 KR2015013453W WO2016114500A1 WO 2016114500 A1 WO2016114500 A1 WO 2016114500A1 KR 2015013453 W KR2015013453 W KR 2015013453W WO 2016114500 A1 WO2016114500 A1 WO 201611450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lcohol
acid
hair
integer
car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345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홍용덕
안지연
강병하
박준성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7430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60087337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7431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0018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7430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60087336A/ko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ublication of WO201611450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14500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ir care compos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ir care composition that can be used in conditioning products, rinses, shampoos and the like.
  • Hair is an important part of a person's appearance beauty as much as a face, and it is obvious that hair is a decisive means of expressing a person's vitality and image.
  • basic cleaning functions such as shampoos, as well as conditioning compositions capable of maintaining shiny and elastic hair.
  • At the heart of these studies is to provide consumers with the best hair conditions by subdividing them during cleaning, after a slight wet condition (before using the dryer), after drying, and the time to maintain the moisturizing condition of the hair after drying. It is done. New ingredients and compositions are developed to achieve this goal and added to shampoos, rinses, conditioning products and the like.
  • Korean Patent No. 1,351,473 discloses a novel ammonium salt compound and adds it with a cationic surfactant to improve the overall feeling of massage, rinsing touch, softness in wet state and softness in dry state.
  • the effect did not improve as expected, and the nature of the quaternary ammonium salts did not significantly reduce scalp irritation.
  • the bubble force degree to generate bubbles
  • silicon such as dimethicone.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ducted various studie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ve produced a polymer in which a polar polymer and an unsaturated fatty acid are chemically combined, and when the polymer is used as an additive with a cationic surfactant and a higher fatty alcohol, Minimized the frictional force of give a softness, confirming that the bubble power is improved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ir care composition
  • a hair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tionic surfactant, a higher fatty alcohol, and a polymer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 the hair car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oftness and moisturizing of the hair by minimizing the frictional force of the hair while maintaining the foaming force.
  • the hair car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mer in which the polar polymer and the unsaturated fatty acid are chemically bonded together with the cationic surfactant and the higher fatty alcohol as an additive.
  • a polyalkylene glycol-based polymer may be used as the polar polymer.
  • the additive combined with the polar polymer and the unsaturated fatty acid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1-3.
  • R 1 , R 3 , and R 5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re C3 to C22 dehydroxylated unsaturated fatty acids,
  • R 2 , R 4 , and R 6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H or C3 to C22 dehydroxylated unsaturated fatty acids,
  • n is an integer from 3 to 27,
  • n is an integer from 5 to 54
  • x is an integer from 3 to 27,
  • y is an integer from 15 to 67
  • z is an integer from 2 to 130)
  • R 1 , R 3 , and R 5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re C7 to C22 dehydroxylated unsaturated fatty acids, R 2 , R 4 , and R 6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H or C7 to C22 is a dehydroxylated unsaturated fatty acid, m is an integer from 10 to 27, n is an integer from 10 to 45, x is an integer from 5 to 25, y is an integer from 20 to 60, z is from 10 to 100 Is an integer.
  • the unsaturated fatty acid may be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linolenic acid, undecylenic acid, palmitoleic acid, arachidonic acid, arucic acid, erucic acid. acid), caproleic acid, lauroleic acid, myristoleic acid, elideic acid, vaccenic acid, and gadoleic acid It includes.
  • R 2 , R 4 , R 6 is not H, it may be the dehydroxylated unsaturated fatty acid.
  • R 1 to R 6 of Formulas 1 to 3 may be illustrated as Table 1,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unsaturated fatty acids also include different geometric isomeric forms of cis-trans.
  • the polymer of Formula 1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he range of 200 to 1600, more preferably 300 to 1500.
  • polymers of Formulas 1 to 3 may be purchased by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or can be used directly manufactured.
  • the polymers of Chemical Formulas 1 to 3 are prepared by reacting polar polymers (polyethylene glycol, polypropylene glycol, poloxamer) with unsaturated fatty acids to hydrolyze the OH groups and the COOH groups of unsaturated fatty acids. .
  • the unsaturated fatty acids include soybean oil, camellia oil, green tea oil, ginseng oil, olive oil, camellia oil, avocado, almond, sesame, safflower, cannula, peach kernel, palm kernel, castor, sunflower seed, cotton seed, coconut, peach seed It can be obtained by decomposing vegetable oils such as apricot seeds, wintering, and removing and distilling saturated fatty acids.
  • soybean oil (per 100 g) contains 16 g of saturated fatty acids, 23 g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s and 58 g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 Saturated fatty acids are 4% stearic acid, 10% palmitic aci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are present in alpha-linolenic acid 7-10%, linoleic acid 51% and oleic acid 23%.
  • Camellia oil contains 1.4% stearic acid, 8.8% palmitic acid, 8.4% linoleic acid and 80.4% oleic acid.
  • Green tea oil contains 3.0% stearic acid, 17.8% palmitic acid, 18.0% linoleic acid and 59.9% oleic acid.
  • Ginseng oil contains 81.09% oleic acid and 15.77% linoleic acid.
  • Undecylenic acid can be obtained by pyrolysis of castor oil, and erucic acid can be obtained from seed oils such as grapes and mustard.
  • the polymer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s 1 to 3 is included at 0.01 to 9% by weight in the total composition.
  • the cationic surfactant contained in the hair car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singly or mixed with quaternary ammonium and tertiary amidoamine.
  • the quaternary ammonium is behen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Behen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cet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Cet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stear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Stear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distearyl dimethylammonium chloride, di Cetyldimethyldimethylammonium chloride,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tertiary amidoamine is Cocadodo dimethylamine (Cocamidopropyl dimethylamine), stearamidopropyl dimethylamine (Stearamidopropyl dimethylamine), behenylamidopropyl dimethylamine (Behenylamidopropyl dimethylamine), oleamidopropyl dimethylamine ), Isostearamidopropyl dimethylamine,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tertiary amidoamine is preferably used by neutralizing with an acid.
  • the cationic surfactan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n acid for neutralization.
  • Neutralizing acids include L-glutamic acid, lactic acid, hydrochlo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 citric acid, EDTA-2Na, EDTA-3Na, EDTA-4Na, and mixtures thereof, preferably lactic acid, citric acid, L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n acid such as glutamic acid.
  • the higher fatty alcohols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 16 -C 22 fatty alcohols, which may be linear or branched, and may be in saturated or unsaturated form.
  • the higher fatty alcohol is cetyl alcohol, stearyl alcohol, stearyl alcohol, cetostearyl alcohol, behenyl alcohol, decyl alcohol, decyl alcohol, lauryl Lauryl alcohol, Tridecyl alcohol, Myristyl alcohol, Pentadecyl alcohol, Heptadecyl alcohol, Palmitoleyl alcohol, Oleyl alcohol Linoleyl alcohol, linoleyl alcohol, arachidonyl alcohol, arachidonyl alcohol, cetoyl alcohol, ceruyl alcohol, erucyl alcohol, arachidyl alcohol, and the like, One or more of these may be selected and used, and is contained at a level of 1 to 15% by weight.
  • the content of the higher fatty alcohol is low, the softness of the hair is insufficient, the applicability is significantly worse, on the contrary, if the content is excessively high, the dryness gives a sticky feeling and heavy feeling to the hair, resulting in a bad volume.
  • the hair car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a silicone polymer.
  • the silicone polymer is cyclomethicone, dimethicone, phenyltrimethicone, amodimethicone, polydimethylsiloxane, phenyl siloxane, phenyl siloxane, alkylmethyl siloxane, dimethicone copolyol ).
  • preservative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ingredients, preservatives, thickeners, viscosity adjusting agents, pH adjusting agents, fragrances, and the like, which are widely known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conventional optional ingredients for maintaining basic physical properties and quality, may further contain a solvent.
  • a solvent Deionized water, an organic solvent, and the like may be contained.
  • the organic solvent is n-butyl alcohol, t-butyl alcohol, benzyl alcohol, phenethyl alcohol, hexyl alcohol, isopropyl alcohol, methyl alcohol, oleyl alcohol, propyl alcohol, cyclohexane dimethanol, phenoxyethanol, butoxy Ethanol, deoxyethanol, methoxyethanol, methoxydiglycol, 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pentylene glycol, hexylene glycol, benzyl glycol, dieth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1,2-butanediol, 1,4- Butanediol, 2,3-butanediol, propanediol, 1,5-pentanediol, isopentyldiol, ethylhexanediol, 1,2-hexanediol, 1,2,6-henic acid triol, 1,10-decanediol,
  • Preservatives include a mixture of methyl paraoxybenzoate, methylparaben, butylparaben, ethylparaben, propylparaben, benzyl alcohol, phenoxyethanol, phenoxyisopropanol, phenylpropanol, methylchloroisothiazolinone and methylisothiazolinone.
  • Thickeners or viscosity modifiers include fatty alcohols, fatty acids,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hydroxymethylcellulose, sodium chloride, ammonium chloride, propylene glycol, hexylene glycol.
  • pH adjusters include acetic acid, adipic acid, aminoethyl propanediol, aminomethyl propanediol, aminomethyl propanol, aminopropanediol, ascorbic acid, azelaic acid, benzoic acid, butyl diethanol amine, butylethanol Amine, citric acid, dibutyl ethanolamine, diethanolamine, diisopropylamine, diisopropanolamine, dimethyl isopropanolamine, decylethanolamine, fumaric acid, galacturonic acid, glutaric acid ), Glycolic acid, isopropanolamine, isopropylamine, maleic acid, maleic acid, malic acid, malonic acid and methylethanolamine.
  • the hair car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ir shampoo, hair conditioner, hair conditioner, hair cream, hair lotion, scalp pack, hair tonic, hair nourishing longevity, hair treatment, ampoule, hair serum, hair mousse, hair wax, hair spray It can be applied in all formulations that can be used for hair, such as styling gel or scalp treatment.
  • Examples 1 to 9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ere prepared in the amounts of the raw materials shown in Tables 2 and 3 below.
  • Raw Material 2 was added to Raw Material 1 and heated to 75 ° C. to prepare a mixture.
  • the raw materials 3-7 were mixed and the mixture obtained by heating at 75 degreeC was added, and the emulsification process was performed.
  • the raw material 8 was mixed uniformly and cooled to 30 degreeC, and the composition was manufactured.
  • Tables 2 and 3 show the contents of the other compositions in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deionized water.
  • Example 1 Example 2 Example 3 Example 4 Example 5 Example 6 Example 7 Example 8 Example 9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Volume of bubble (mL) 3.6 3.7 5.0 3.9 4.0 4.6 4.2 4.4 5.2 3.2 3.0
  • the volume of the bubbles is larger than that of the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nd the foaming ability is excellent. It can be seen.
  • Example 1 Example 2 Example 3 Example 4 Example 5 Example 6 Example 7 Example 8 Example 9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Friction force (N) 0.105 0.100 0.087 0.108 0.103 0.092 0.101 0.098 0.084 0.109 0.109
  • the frictional force is low so that the user softens the hair after use compared to the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Can be secured.
  • the hair car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novel additive having a new physical property by chemically combining the polar polymer and the unsaturated fatty acid previously contained in a simple mix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관리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극성 폴리머와 불포화 지방산이 화학적으로 결합된 신규 첨가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고급 지방 알코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모발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부드러움을 주면서 기포력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모발 관리용 조성물
본 발명은 모발 관리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디셔닝(Conditioning) 제품, 린스, 샴푸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5년 1월 13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5-0006005호, 제10-2015-0006006호, 및 제10-2015-0006007호와 2015년 12월 8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5-0174301호, 제10-2015-0174305호, 및 제10-2015-0174316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한다.
모발은 사람의 외관 미(美)에 있어서 얼굴만큼 중요한 부분으로써, 사람의 생기(生氣)와 이미지를 표현하는 결정적 수단임이 자명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샴푸 등의 기본 세정 기능뿐만 아니라, 윤기 있고 탄력 있는 모발을 유지할 수 있는 컨디셔닝(Conditioning)의 기능성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다. 이들 연구의 중심에는 세정 중, 세정 후 약간의 젖은 상태(건조기 사용 전), 건조 후의 상태 및 건조 후 모발의 보습 상태를 지속할 수 있는 시간 등으로 세분화하여 최상의 모발 상태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신규 성분 및 조성을 개발하여, 샴푸, 린스, 컨디셔닝 제품 등에 첨가한다.
특히, 보습력, 광택, 매끄러운 촉감, 헹굼시 부드러움 등을 사용자가 오감(五感)으로 느낄 수 있도록, 새로운 양이온 계면활성제, 고급 알코올, 고급 천연 오일 등에 대한 조성을 개발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351,473호는 사용시 마사지 감, 헹굼 시 촉감, 젖은 상태의 부드러움, 마른 상태의 부드러움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신규 암모늄염 화합물을 개발하여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함께 첨가하고 있다. 그러나 그 효과는 기대만큼 향상되지 않았으며, 4급 암모늄염의 특성상 두피 자극성을 현격히 줄이지는 못하였다. 또한, 디메치콘과 같은 실리콘을 첨가함에 따라 기포력(기포가 발생되는 정도)이 떨어지는 문제 등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극성 폴리머와 불포화 지방산이 화학적으로 결합된 폴리머를 제조하였고, 이 폴리머를 첨가제로서 양이온 계면활성제, 고급 지방 알코올과 함께 사용할 경우 모발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부드러움을 주고, 기포력이 향상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효과를 갖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이온 계면활성제, 고급 지방 알코올, 및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KR2015013453-appb-C000001
Figure PCTKR2015013453-appb-C000002
Figure PCTKR2015013453-appb-C000003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R1, R2, R3, R4, R5, R6, m, n, x, y 및 z는 명세서 내 설명한 바를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기포력을 유지하면서도 모발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모발의 부드러움과 보습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로 기술되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고급 지방 알코올과 함께 극성 폴리머와 불포화 지방산이 화학적으로 결합된 폴리머를 첨가제로서 포함한다.
이때, 상기 극성 폴리머로는 폴리알킬렌글리콜계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극성 폴리머와 불포화 지방산이 결합된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현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5013453-appb-I000001
[화학식 2]
Figure PCTKR2015013453-appb-I000002
[화학식 3]
Figure PCTKR2015013453-appb-I000003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R1, R3, 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C3 내지 C22의 탈수산화된 불포화 지방산이고,
R2, R4, 및 R6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H 또는 C3 내지 C22의 탈수산화된 불포화 지방산이고,
m은 3 내지 27의 정수이고,
n은 5 내지 54의 정수이고,
x는 3 내지 27의 정수이고,
y는 15 내지 67의 정수이고,
z는 2 내지 130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R1, R3, 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C7 내지 C22의 탈수산화된 불포화 지방산이고, R2, R4, 및 R6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H 또는 C7 내지 C22의 탈수산화된 불포화 지방산이고, m은 10 내지 27의 정수이고, n은 10 내지 45의 정수이고, x는 5 내지 25의 정수이고, y는 20 내지 60의 정수이고, z는 10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불포화 지방산은 올레산(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리놀렌산(Linolenic acid), 운데실렌산(Undecylenic acid),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아라치돈산(Arachidonic acid), 에루크산(Erucic acid), 카프롤레산(Caproleic acid), 라우롤레산(Lauroleic acid), 미리스트올레산(Myristoleic acid), 엘라이드산(Elaidic acid), 박센산(Vaccenic acid), 및 가돌레산(Gadoleic acid)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R2, R4, R6는 H가 아닐 때, 상기 탈수산화된 불포화 지방산이 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내지 3의 R1 내지 R6는 표 1과 같이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불포화 지방산 R1, R3, R5 R2, R4, R6
1 올레산 CH3(CH2)7CH=CH(CH2)7CO- H, CH3(CH2)7CH=CH(CH2)7CO-
2 리놀레산 CH3(CH2)4CH=CHCH2CH=CH(CH2)7CO- H, CH3(CH2)4CH=CH2CH=CH(CH2)7CO-
3 리놀렌산 CH3CH2CH=CHCH2CH=CHCH2CH=CH(CH2)7CO- H, CH3CH2CH=CHCH2CH=CHCH2CH=CH(CH2)7CO-
4 운데실레닉산 CH2=CH(CH2)8CO- H, CH2=CH(CH2)8CO-
5 팔미톨레산 CH3(CH2)5CH=CH(CH2)7CO- H, CH3(CH2)5CH=CH(CH2)7CO-
6 아라치돈산 CH3(CH2)4(CH=CHCH2)4CH2CH2CO- H, CH3(CH2)4(CH=CHCH2)4CH2CH2CO-
7 에루스산 CH3(CH2)7CH=CH(CH2)11CO- H, CH3(CH2)7CH=CH(CH2)11CO-
8 카프롤레산 CH2=CH(CH2)7CO- H, CH2=CH(CH2)7CO-
9 라우롤레산 CH3CH2CH=CH(CH2)7CO- H, CH3CH2CH=CH(CH2)7CO-
10 미리스트올레산 CH3(CH2)2CH=CH(CH2)7CO- H, CH3(CH2)2CH=CH(CH2)7CO-
11 엘라이드산 CH3(CH2)CH=CH(CH2)7CO- H, CH3(CH2)CH=CH(CH2)7CO-
12 박센산 CH3(CH2)5H=CH(CH2)9CO- H, CH3(CH2)5H=CH(CH2)9CO-
13 가돌레산 CH3(CH2)9H=CH(CH2)7CO- H, CH3(CH2)9H=CH(CH2)7CO-
상기 불포화 지방산은 시스-트랜스(Cis-trans)의 서로 다른 기하 이성질체 형태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화학식 1의 폴리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내지 1600, 더욱 바람직하기로 300 내지 1500의 범위를 갖는다.
또한, 화학식 1 내지 3의 폴리머는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직접 제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직접 제조할 경우 극성 폴리머(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록사머)와 불포화 지방산을 반응시켜, 상기 극성 폴리머의 OH기와 불포화 지방산의 COOH기의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화학식 1 내지 3의 폴리머를 제조한다.
상기 불포화 지방산은 콩 오일, 동백 오일, 녹차 오일, 인삼 오일, 올리브유, 동백나무유, 아보카도, 아몬드, 참깨, 홍화, 카눌라, 피치커넬, 팜 커넬, 피마자, 해바라기씨, 목화씨, 코코넛, 복숭아씨, 살구씨 등의 식물유를 분해하여 윈터링(Wintering)하고, 포화 지방산을 제거 및 증류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콩 오일(100g 당)의 경우, 포화 지방산이 16g, 단일 불포화 지방산이 23g,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58g을 함유한다. 포화 지방산은 스테아릭산이 4%, 팔미트산이 10%이고, 불포화 지방산은 알파-리놀렌산이 7∼10%, 리놀레산이 51%, 올레산이 23%로 존재한다.
동백 오일은 스테아릭산 1.4%, 팔미트산 8.8%, 리놀레산 8.4%, 올레산 80.4%를 함유한다. 녹차 오일은 스테아릭산 3.0%, 팔미트산 17.8%, 리놀레산 18.0%, 올레산 59.9%를 함유한다. 인삼 오일은 올레산 81.09%, 리놀레산 15.77%를 함유한다. 다만, 이러한 함유량은 콩, 동백, 녹차, 인삼 등의 원료 선택이나, 유지 추출 방법에 따라 획득될 수 있는 지방산의 함유량은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운데실레산은 피마자유의 열분해에 의하여 획득할 수 있고, 에루크산은 포도, 겨자 등의 종자유에서 획득할 수 있다.
기포력과 모발에 부드러움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현되는 폴리머가 전체 조성물 중에 0.01∼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4급 암모늄과 3급 아미도아민으로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4급 암모늄은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Behen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Cet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Stear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Distearyl dimethylammonium chloride), 디세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Dicetyl dimethylammonium chlorid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상기 3급 아미도아민은 코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Cocamidopropyl dimethylamine),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Stearamidopropyl dimethylamine), 베헤닐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Behenylamidopropyl dimethylamine), 올레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Oleamidopropyl dimethylamine), 이소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Isostearamidopropyl dimethylami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이때 상기 3급 아미도아민은 산으로 중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중화용 산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화용 산으로는 L-글루탐산, 락트산, 염산, 말산, 숙신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EDTA, EDTA-2Na, EDTA-3Na, EDTA-4Na 등과 그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락트산, 시트르산, L-글루탐산과 같은 산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고급 지방 알코올은 C16-C22 의 지방 알코올로써, 직쇄상 또는 분지상일 수 있으며, 포화 또는 불포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급 지방 알코올은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세토스테아릴알코올(Cetostearyl alcohol),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 데실알콜(Decyl alcohol), 라우릴알콜(Lauryl alcohol), 트리데실알콜(Tridecyl alcohol), 미리스틸알콜(Myristyl alcohol), 펜타데실알콜(Pentadecyl alcohol), 헵타데실알콜(Heptadecyl alcohol), 팔미티올레일알콜, 올레일알콜(Oleyl alcohol), 리노실알콜, 리놀레일알콜(Linoleyl alcohol), 아라치도닐알콜(Arachidonyl alcohol), 세토일알콜(Cetoyl alcohol), 에루실알콜(Erucyl alcohol), 아라치딜알콜(Arachidyl alcohol) 등을 포함하고, 이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1 내지 15 중량%의 수준으로 함유된다. 만약 상기 고급 지방 알코올의 함량이 적으면 모발의 부드러움이 부족하고, 발림성이 현저하게 나빠지게 되며, 이와 반대로 지나치게 함량이 많으면 건조시 모발에 끈적한 느낌과 무거운 느낌을 주어 볼륨감이 나빠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모발 관리 조성물은 실리콘 폴리머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폴리머는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아모디메치콘,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페닐실록산(phenyl siloxane), 알킬메틸실록산(Alkylmethyl siloxane), 디메치콘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성분 이외에 기본적인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임의 성분으로서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사용되는 방부제, 점증제, 점도조절제, pH조절제, 향료 등이 추가로 함유될 수 있으며, 용제로서 탈이온수, 유기용제 등이 함유될 수 있다.
예컨대, 유기용제는 n-부틸알콜, t-부틸알콜, 벤질알콜, 페네틸알콜, 헥실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메틸알콜, 올레일알콜, 프로필알콜,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페녹시에탄올, 부톡시에탄올, 데톡시에탄올, 메톡시에탄올, 메톡시디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벤질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2-부탄디올,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프로판디올, 1,5-펜탄디올, 이소펜틸디올, 에틸헥산디올, 1,2-헥산디올, 1,2,6-헨산트리올, 1,10-데칸디올, 3-메톡시부탄올, 메톡시이소프로판올, 메톡시메틸부탄올,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방부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 에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벤질알코올, 페녹시에탄올, 페녹시이소프로판올, 페닐프로판올,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및 메틸이소티아졸리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점증제 또는 점도조절제는 지방산 알코올, 지방산,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을 포함한다.
pH조절제는 아세트산, 아디프산(Adipic acid), 아미노에틸 프로판디올,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아미노프로판디올, 아스코르브산, 아제라산(Azelaic acid), 벤조산, 부틸 디에탄올 아민, 부틸에탄올아민, 시트르산, 디부틸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디메틸 이소프로판올아민, 데틸에탄올아민, 푸마르산(Fumaric acid), 갈락투론산(Galacturonic acid),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이소프로판올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말레산(Maleic acid), 말산(Malic acid), 말론산(Malonic acid) 및 메틸에탄올아민(Methylethanolamin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크림, 헤어로션, 두피 팩,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트리트먼트, 앰플, 헤어세럼, 헤어무스, 헤어왁스, 헤어스프레이, 스타일링젤 또는 두피 트리트먼트 등 모발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제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 실시예 1~9 및 비교예 1~2>
실시예 1 내지 9와 비교예 1 및 2를 아래 표 2 및 3과 같은 원료들의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원료 1에 원료 2를 넣고 75℃로 가열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원료 3∼7을 혼합하고 75℃로 가열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첨가하여 유화 공정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유화물을 40℃까지 냉각한 후 원료 8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30℃까지 냉각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 및 표 3은 탈이온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다른 조성들의 함량을 중량부로 나타내었다.
원료명(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1. 탈이온수 100 100 100 100 100 100
2.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2.0 2.0 2.0 2.0 2.0 2.0
3. 폴리에틸렌글리콜(12)-디올레산 0.2 0.6 1.0 - - -
폴리프로필렌글리콜(30)-디올레산 - - - 0.2 0.6 1.0
폴록사머(407)-디올레산 - - - - - -
4. 올레산 0.6 0.6 0.6 0.6 0.6 0.6
5. 프로필렌글리콜 10 10 10 10 10 10
6. 세틸 알코올 2.0 2.0 2.0 2.0 2.0 2.0
7. 스테아릴 알코올 4.0 4.0 4.0 4.0 4.0 4.0
8.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원료명(중량부)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비교예 1 비교예 2
1. 탈이온수 100 100 100 100 100
2.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2.0 2.0 2.0 2.0 2.0
3. 폴리에틸렌글리콜(12)-디올레산 - - - - -
폴리프로필렌글리콜(30)-디올레산 - - - - -
폴록사머(407)-디올레산 0.2 0.6 1.0 - -
4. 올레산 0.6 0.6 0.6 0.6 0.6
5. 프로필렌글리콜 10 10 10 10 10
6. 세틸 알코올 2.0 2.0 2.0 2.0 2.0
7. 스테아릴 알코올 4.0 4.0 4.0 4.0 4.0
8.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 실험예 1 - 기포력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각각의 기포력(기포가 발생되는 정도)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고,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조성물 250ml를 취하여 폼 테스터(SITA foam tester R-2000, 제조사: SITA Messtechnik GmbH)의 로터(Roter)를 이용하여 800rpm으로 20초간 기포를 발생시키고(2 세트) 로터를 멈춘 후 발생된 기포의 부피(mL)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1 비교예 2
기포의 부피(mL) 3.6 3.7 5.0 3.9 4.0 4.6 4.2 4.4 5.2 3.2 3.0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내지 3의 폴리머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9의 조성물의 경우 기포의 부피가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에 비해 큰 수치를 나타내, 기포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 모발 부드러움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모발 부드러움을 확인하기 위해 모발 표면의 마찰력을 측정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측정 방법은 슬라이드 글라스에 각각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조성물들을 0.1g씩 올려 마찰력 테스터(Friction tester)로 마찰력을 측정하였다. 이때 마찰력 측정값이 0에 가까울수록 모발 표면의 마찰력이 작아지며, 이는 모발의 부드러움은 높아짐을 의미한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1 비교예 2
마찰력(N) 0.105 0.100 0.087 0.108 0.103 0.092 0.101 0.098 0.084 0.109 0.109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내지 3의 폴리머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9의 조성물의 경우 마찰력이 낮아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에 비해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 후 모발이 부드러워지는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 실험예 3 - 사용 품질 시험 결과>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제품을 대상으로 20∼30세 여성 10명으로 구성되는 품평단(panel)에 2주일 동안 사용하게 한 후, 하기 표 6의 설문 항목에 9점 척도로 답하게 하는 심플 모나딕 시험법(simple monadic test)을 통하여 사용 품질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때 평가 점수가 높을수록 모발 부드러움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평가 시점 샴푸 또는 헹굼시 모발의 부드러움 젖은 상태(건조 전)의 모발의 부드러움 건조 후, 모발의 부드러움 건조 후, 4시간 경과시 모발의 부드러움
실시예 1 4.6 4.1 4.0 4.0
실시예 2 4.7 4.3 4.0 4.1
실시예 3 5.2 4.8 4.6 4.6
실시예 4 4.2 3.9 4.1 4.0
실시예 5 4.4 4.2 4.0 4.0
실시예 6 4.8 4.2 4.6 4.4
실시예 7 4.9 4.5 4.2 4.2
실시예 8 5.0 4.5 4.3 4.3
실시예 9 5.6 4.8 5.2 5.2
비교예 1 4.1 3.5 3.5 3.5
비교예 2 4.0 3.5 3.5 3.5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내지 3의 폴리머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9의 조성물의 경우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에 비해 사용감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기존에 단순 혼합으로 함유된 극성 폴리머와 불포화 지방산을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새로운 물성을 갖는 신규 첨가제를 함유한다. 이러한, 신규 첨가제를 함유함에 따라, 기포력을 유지하면서도 모발의 마찰력을 최소화함으로써, 모발의 부드러움과 보습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양이온 계면활성제, 고급 지방 알코올, 및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5013453-appb-I000004
    [화학식 2]
    Figure PCTKR2015013453-appb-I000005
    [화학식 3]
    Figure PCTKR2015013453-appb-I000006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R1, R3, 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C3 내지 C22의 탈수산화된 불포화 지방산이고,
    R2, R4, 및 R6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H 또는 C3 내지 C22의 탈수산화된 불포화 지방산이고,
    m은 3 내지 27의 정수이고,
    n은 5 내지 54의 정수이고,
    x는 3 내지 27의 정수이고,
    y는 15 내지 67의 정수이고,
    z는 2 내지 130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R3, 및 R5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C7 내지 C22의 탈수산화된 불포화 지방산이고,
    R2, R4, 및 R6는 서로 같거나 다르며, H 또는 C7 내지 C22의 탈수산화된 불포화 지방산이고,
    m은 10 내지 27의 정수이고,
    n은 10 내지 45의 정수이고,
    x는 5 내지 25의 정수이고,
    y는 20 내지 60의 정수이고,
    z는 10 내지 100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폴리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 내지 16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지방산은 올레산(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리놀렌산(linolenic acid), 운데실레닉산(Undecylenic acid),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아라치돈산(Arachidonic acid), 에루스산(Erucic acid), 카프롤레산(Caproleic acid), 라우롤레산(Lauroleic acid), 미리스트올레산(Myristoleic acid), 엘라이드산(Elaidic acid), 박센산(Vaccenic acid), 가돌레산(Gadoleic acid)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전체 모발 관리용 조성물 내에 0.01∼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Behen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Cet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Stear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Distearyl dimethylammonium chloride), 디세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Dicetyl dimethylammonium chloride), 코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Cocamidopropyl dimethylamine),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Stearamidopropyl dimethylamine), 베헤닐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Behenylamidopropyl dimethylamine), 올레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Oleamidopropyl dimethylamine), 이소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Isostearamidopropyl dimethylami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 지방 알코올은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세토스테아릴알코올(Cetostearyl alcohol),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 데실알콜(Decyl alcohol), 라우릴알콜(Lauryl alcohol), 트리데실알콜(Tridecyl alcohol), 미리스틸알콜(Myristyl alcohol), 펜타데실알콜(Pentadecyl alcohol), 헵타데실알콜(Heptadecyl alcohol), 팔미티올레일알콜, 올레일알콜(Oleyl alcohol), 리노실알콜, 리놀레일알콜(Linoleyl alcohol), 아라치도닐알콜(Arachidonyl alcohol), 세토일알콜(Cetoyl alcohol), 에루실알콜(Erucyl alcohol), 아라치딜알콜(Arachidyl alcohol),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크림, 헤어로션, 두피 팩,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트리트먼트, 앰플, 헤어세럼, 헤어무스, 헤어왁스, 헤어스프레이, 스타일링젤 또는 두피 트리트먼트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
PCT/KR2015/013453 2015-01-13 2015-12-09 모발 관리용 조성물 WO201611450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6007 2015-01-13
KR10-2015-0006006 2015-01-13
KR20150006005 2015-01-13
KR10-2015-0006005 2015-01-13
KR10-2015-0006007 2015-01-13
KR20150006006 2015-01-13
KR1020150174305A KR20160087337A (ko) 2015-01-13 2015-12-08 모발 관리용 조성물
KR1020150174316A KR102200186B1 (ko) 2015-01-13 2015-12-08 모발 관리용 조성물
KR1020150174301A KR20160087336A (ko) 2015-01-13 2015-12-08 모발 관리용 조성물
KR10-2015-0174305 2015-12-08
KR10-2015-0174301 2015-12-08
KR10-2015-0174316 2015-1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14500A1 true WO2016114500A1 (ko) 2016-07-21

Family

ID=56406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3453 WO2016114500A1 (ko) 2015-01-13 2015-12-09 모발 관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611450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086B1 (ko) * 1989-05-30 1995-04-01 유니레버 엔브이 샴푸 조성물
KR20040077206A (ko) * 2003-02-28 2004-09-04 주식회사 태평양 모발용 컨디셔너 조성물
KR20050060681A (ko) * 2003-12-17 2005-06-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용 컨디셔너 조성물
KR20060050367A (ko) * 2004-08-11 2006-05-19 로레알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아미노 실리콘 또는 비닐 실리콘,지방산 알코올, 및 추진제를 기재로 하는 미용 조성물
KR20090056393A (ko) * 2007-11-30 2009-06-03 (주)아모레퍼시픽 모발 염색용 컨디셔너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086B1 (ko) * 1989-05-30 1995-04-01 유니레버 엔브이 샴푸 조성물
KR20040077206A (ko) * 2003-02-28 2004-09-04 주식회사 태평양 모발용 컨디셔너 조성물
KR20050060681A (ko) * 2003-12-17 2005-06-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용 컨디셔너 조성물
KR20060050367A (ko) * 2004-08-11 2006-05-19 로레알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아미노 실리콘 또는 비닐 실리콘,지방산 알코올, 및 추진제를 기재로 하는 미용 조성물
KR20090056393A (ko) * 2007-11-30 2009-06-03 (주)아모레퍼시픽 모발 염색용 컨디셔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7799B2 (en) Hair care formulations
JP5978539B2 (ja) シャンプー製剤
JP4783060B2 (ja) カチオン変性トラガントガム及び該物質を含む化粧料組成物
JP4970762B2 (ja) カチオン変性サイリウムシードガム及び該物質を含む化粧料組成物
JP2008290987A (ja) Cmc修復剤、毛髪化粧料およびcmc修復方法
KR20170004873A (ko)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모발 화장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20065941A (ko) 모발 화장료
JP5725652B2 (ja) ヘアリンス組成物
JP5751808B2 (ja) 毛髪化粧料
CN109640943A (zh) 含有玫瑰果油的头发造型组合物及其用途
JP5537070B2 (ja) ヘア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JP2015117223A (ja) 毛髪化粧料
JP3522024B2 (ja) 毛髪化粧料
JP6128879B2 (ja) 毛髪化粧料
JP2014043426A (ja) 毛髪化粧料
KR102200186B1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WO2019190125A1 (ko) 모발 상태 개선용 액상 지질 복합 조성물
JP2013023471A (ja) ヘアリンス組成物
WO2016114500A1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JP2017019759A (ja) 毛髪化粧料
JP6633337B2 (ja) 毛髪化粧料
JP2013023470A (ja) ヘアリンス組成物
US20220000748A1 (en) Bis(triethoxysilylpropyl)amines in combination with a thickening agent
KR20160087336A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KR20160087337A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781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781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