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04959A1 -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 Google Patents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04959A1
WO2016104959A1 PCT/KR2015/012576 KR2015012576W WO2016104959A1 WO 2016104959 A1 WO2016104959 A1 WO 2016104959A1 KR 2015012576 W KR2015012576 W KR 2015012576W WO 2016104959 A1 WO2016104959 A1 WO 201610495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magnetic
attractor
pma
receiv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257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춘걸
장길재
이동훈
장민식
김기철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0253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27844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0253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74214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1007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77425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CN201580069157.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112801B/zh
Priority to US15/538,613 priority patent/US10574089B2/en
Publication of WO201610495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0495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charging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ttractor for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having the same.
  •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for wirelessly charging the built-in battery
  • the wireless charging is a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Is made by the module.
  • the wireless charging may be classified into a 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a magnetic resonance method, and may be classified into a PMA method and a Qi method according to a method of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 the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by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using a permanent magnet and a hall sensor, the concept of which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is provided with a permanent magnet 14 and a hall sensor 12,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20 has a so-called attractor 22 at its center. Magnetic material is installed.
  • the magnetic force lines are generated from the permanent magnet 14 wh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20 approaches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10. A part of these magnetic force lines is changed by the attractor 22, and thus the hall sensor ( 12) a difference occurs in the voltage value, and when the difference in the voltage value exceeds a certain level,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20 recognizes tha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operates to perform wireless charging. do.
  • the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20 embedded in the portable terminal is also becoming thinner.
  • the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20 is 0.5 mm or less, even 0.3 mm or less. I faced the problem of designing. As such, when the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is designed to be 0.5 mm or less, even 0.3 mm or less, it is difficult to thicken the thickness of the attractor 22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r more.
  • the attractor has no problem in exerting a function of changing the path of the magnetic force line of the permanent magnet 14 so that the difference in the operating voltage value in the hall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thickness or area.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such as the situation can not increase the size and thickness.
  • the attractor when configured with a thickness of 200 ⁇ m or less, this has the following problems.
  • a difference in voltage value of the hall sensor should be detected by about 50 mV (standard operating voltage value) or more.
  • the difference in voltage value at the sensor needs to be detected at least about 50 mV.
  • the attractor is configured to have a very thin thickness, for example, 150 ⁇ m
  • the difference in the voltage value at the hall sensor is changed to the standard operating voltage. Since it is much less than the value (50mV),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ireless charging is not made as it does not detect the approach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100217 proposes a technique for facilitating alignment by arranging the fixing magnet and the fixing magnetic body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the charging receiver and the charging transmitter side, respectively.
  • the Hall sensor can detect the magnetic force of the sensing magnet even when the charging receiver is mounted at a different angle on the charging transmitter side.
  • the Hall sensor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sensing magnet only when the Hall sensor is in the alignment position where the sensing magnet is located directly, and thus the charging transmitter is operated, and the Hall sensor is positioned beyo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nsing magnet. If there is a limit that the charging transmitter does not work.
  • the attractor is usually manufactured by the punching process, the side of the attractor manufactured by the punching process constitutes the punching surface.
  • the attractor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containing a metal component, the following problems occur when the product is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punching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 the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magnetic body constituting the attractor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function implementation of the attractor.
  • the attractor when the attractor is composed of a magnetic material having a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of a certain level or more, for example, 0.5 Tesla or more, for example, a very thin thickness of 150 ⁇ m or less, even if the cente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module and the center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module are misaligned
  • a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of a certain level or more for example, 0.5 Tesla or more, for example, a very thin thickness of 150 ⁇ m or les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and even if an attractor is constructed with a very thin thickness of 150 ⁇ m or less, a magnetic body having a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of a certain level or more, for example, 0.5 Tesla or more, corresponds to a permanent magnet.
  • the PMA wireless charging wireless power receiver module can detect the stable operating voltage value required by the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even in the misaligne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typ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ttractor applicable to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ttractor for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o prevent particles or fine particle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ide of the attractor exposed to the outside and to prevent the side from being oxidized.
  • an attractor for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o prevent particles or fine particle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ide of the attractor exposed to the outside and to prevent the side from being oxidiz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that can stably satisfy or implement all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required by the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while having a thickness of 0.5 mm or less, even 0.3 mm or less by providing the attractor as described abov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power receiving module.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of the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the magnetic force line generated in the permanent magne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wh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pproache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 the wireless power receiver module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module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module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module are displaced within an unaligned region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the alignment state.
  • a thin magnetic plat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having a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of 0.5 Tesla or more is included.
  • the magnetic piece of the thin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debris prevention and oxidation prevention member on the magnetic piece to prevent particles or micro debris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ide or oxidized side. have.
  • the micro debris prevention and oxidation prevention member may be a protective film.
  • micro debris prevention and oxidation prevention member may be provided as a coating layer having adhes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between the antenna unit and the magnetic shielding sheet, wh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pproache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to induce a portion of the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in the permanent magne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of the magnetic flux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including ;; the above-mentioned attractor to induce a voltage value change in the Hall sensor provid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to change the path to satisfy the operation start condi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To provide.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laminating a plurality of sheets via an adhesive layer to form a plate-shaped laminate, and attaching a carrier film to one surface of the laminate via an adhesive layer; Primary punching so that the laminate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having a first area; Attaching a plate-like film member for preventing desorption and oxidation of micro debris so as to cover all of the plurality of punched magnetic pieces; Secondary punching to separate the plate-like film member into a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having a second area larger than the first area; And a step of bringing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and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ttractor for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of the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a first carrier film via an adhesive layer on one surface of a plate-like laminate in which a plurality of sheets are laminated via an adhesive layer.
  • the laminated bod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film is punched to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having a first area, and the plate-shaped film member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carrier film is second to the first area or mor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harging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is installed in the rear case or the back cover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 the present invention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that operates wh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pproaches or contac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o supply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 a magnetic body having a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of 0.5 Tesla or more, for example, an amorphous alloy which induces a part of the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in the permanent magnet when approach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to change the magnetic flux path.
  • a magnetic sheet of a thin plate having a very thin thickness of 150 ⁇ m or less using a ribbon sheet or silicon steel including at least one of nanocrystalline alloys and thus,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even at a very thin thickness of 150 ⁇ m or less.
  • the debris prevention and oxidation prevention member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attractor exposed to the outside to prevent oxidation through contact with air and / or moisture and from the side
  • the magnetic material having a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of 0.5 Tesla or more PMA is made of a magnetic plate of a thin plate having a very thin thickness of 150 ⁇ m or less, so that even if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is designed to a thickness of 0.5 mm or less, even 0.3 mm or less, no PMA is require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that satisfies all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required by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pplied to a light and small sized portable terminal, stable and efficient.
  •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cept of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in a conventional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ttractor and a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ttractor applied to the attractor and the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a and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other type of attractor applied to the attractor and the PM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a is a protective film on the upper surface and side of the magnetic piece
  • Figure 5b is a view showing the case
  • Figure 5b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protective film is provided only on the side of the magnetic piece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other type of attractor applied to the attractor and the PM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aminated structure of a magnetic shielding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case made of only an amorphous ribbon layer, b) is a case made of an amorphous ribbon layer and a ferrite layer Shown,
  •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corresponding to FIG. 1 for explaining an approach detection concept of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in a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charging system employing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center point of a permanent magnet for explaining an alignment state and an unaligned state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in a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charging system employing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center point of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a) is a view showing the alignment state, b)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center point of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in the unaligned area of the unaligned state, c) is an unaligned state Drawing showing a state where the center point of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is out of the unaligned region,
  •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is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flow chart showing a manufacturing method when the at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film on the magnetic piece of the thin plate, and
  • FIG. 12 to 14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manufacturing method when the at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film on the magnetic piece of the thin plate
  • Figure 12 is a process of punching the plate-like laminate with a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unching a plate-like film member into a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 FIG. 14 shows a final lamination of a magnetic piece and a protective film separately separated through the processes of FIGS. 12 and 1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attraction.
  • the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charging system 1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and a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100.
  •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is embedded in a portable terminal 90 such as a smartphon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attery.
  •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10 is a separate case not shown. It is provided with a built-in back.
  •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operates wh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approaches and wirelessly supplies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charges the built-in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90 with the power supplied as described above.
  • reference numerals 12 and 14 denote hall sensors and permanent magnets that constitute an apparatus for sensing the approach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 reference numeral 16 denotes a wireless charging antenna pattern for transmission.
  • the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includes an antenna unit 110, shielding sheet 120 and attractors (130, 230, 330) do.
  • the antenna unit 110 includes at least one antenna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 PMP, a tablet, a multimedia device, or the like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 PMP, a tablet, a multimedia device, or the like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 the antenna may be composed only of a circular, oval or square flat coil wound around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ure 2 polyimide (PI) or PET
  • PI polyimide
  • PET PET
  • a conductor such as copper foil may be patterned in a loop form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flexible circuit board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or may be formed in a loop shape on the circuit board using conductive ink.
  • the metal pattern when the antenna is formed of a metal pattern on the circuit board, the metal pattern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or on both surfaces.
  • the drawing shows that the metal patter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etal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or bot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 the antenna unit 110 transmits power using an inductive coupling method based on electromagnetic induction through the received wireless power signal, and serves as a receiving coil (Rx coil)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 Rx coil receiving coil
  • 114a and other antennas described below may be configured together.
  • the antenna may be a plurality of flat coils that perform different roles, such as wireless power charging, short-range communication, magnetic security payment, etc., a wireless power antenna pattern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12 ( 114a)
  • At least two antenna patterns among the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antenna pattern 114b and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pattern 114c may be provided in a patterned combo type.
  • the NFC antenna pattern 114c since the NFC antenna pattern 114c has a higher frequency band than the antenna pattern 114a for wireless charging, the NFC antenna pattern 114c is formed as a conductive pattern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fine line width along the periphery of the substrate 112, and the antenna pattern for wireless charging ( Since 114a) requires power transmission and uses a lower frequency band than NFC, it may be formed with a line width wider than that of the NFC antenna pattern 114c inside the NFC antenna pattern 114c.
  • the positions of the NFC antenna pattern 114c and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pattern 114a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 the substrate 112 is a substrate that is formed of at least one antenna pattern (114a, 114b, 114c) and the circuit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is a material having heat resistance, pressure resistance, and flexible.
  • a polyimide film which is a thermosetting polymer film, may be employed as the substrate 112.
  • the shielding sheet 120 is formed of a plate-lik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shielding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ra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antenna unit 110 to prevent external leakage and to focus in the direction of the required Play a role.
  • Such a shielding sheet 12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magnetic sheets of thin plates are provided in a multilayered manner.
  • the magnetic sheet of the thin plate may be a ribbon sheet 121a and a ferrite sheet 121b of a thin plate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morphous alloy and a nanocrystalline alloy.
  • the shielding sheet 120 may be a shielding sheet 120 ′ composed of only a thin ribbon sheet 121a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morphous alloy and a nanocrystalline alloy, as shown in FIG. 7A, and FIG. 7B.
  • a shielding sheet 120 ′′ in which one ferrite sheet 121b and two thin ribbon sheets 121a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morphous alloy and a nanocrystalline alloy are stacked may be stacked.
  • the amorphous alloy may be a Fe-based or Co-based magnetic alloy
  • the ferrite sheet 121b may be made of a sintered ferrite sheet such as Mn-Zn ferrite or Ni-Zn ferrite.
  • the magnetic sheet of the thin sheet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kind,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materials having magnetic properties may be used.
  • the shielding sheet 120 may fix the antenna unit 110 disposed on one surface thereof through an adhesive layer.
  • the adhesive layer may be a bond, PVC, rubber or double-sided tape and the like having adhesive properties, and may include a component having conductivity.
  • the antenna unit may include a separate substrate such as PI or PET, and the substrate and the shielding sheet may be attached.
  • one surface of the shielding sheet 120 induces a part of the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in the permanent magne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wh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approache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 Attractors 130, 230, and 330 are provided to change the path of the magnetic flux so as to induce a voltage value change of the hall sensor 12 that satisfies the operation start condi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 the attractors 130, 230, and 330 are disposed to be position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space of the antenna unit 110, and include magnetic sheets 131 of a thin plate such as a sheet or a film member.
  • the magnetic strip 131 of the thin plate is the same as the size of the central space portion of the antenna pattern 114a so as to secure the maximum area in the size of the allowabl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to obtain high efficiency. It can be formed in size.
  • the attractor (130,230,330)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hielding sheet 120 may be provided as a shielding unit integrated with the shielding sheet 120, the antenna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antenna unit 110 It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is integrated with the unit 110.
  • the attractor 130 is integrated with the shielding sheet 120 or the antenna unit 110 and constitutes a single component, thereby simplifying the coupling of the shielding sheet 120 and the antenna unit 110. Since the receiving module 100 can be manufacture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y simplifying the assembly process.
  • the attractor 130 has a condition in which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is 0.5 mm or less, even 0.3 mm or less, and a change in voltage value in the hall sensor
  • the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B may be formed of a thin plate magnetic piece 131 made of a magnetic material of 0.5 Tesla or more.
  • the magnetic piece 131 of the thin plate may be provided to have a magnetic permeability in the range of 100 ⁇ 1000, preferably 900.
  • the magnetic material may be a magnetic sheet of a thin plate made of silicon steel (FeSi), or a thin ribbon sheet 131a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morphous alloy and a nanocrystalline alloy.
  • the amorphous alloy may be a Fe-based or Co-based magnetic alloy.
  • the magnetic piece 131 of the thin plate is made of a ribbon sheet 131a of a thin plate containing one or more of the amorphous alloy and nano-crystalline alloy
  • the magnetic piece 131 of the thin plate is amorphous alloy and nano-crystalline alloy
  • the thin ribbon sheet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 sheet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 a plurality of ribbon sheets of thin sheet containing at least one of an amorphous alloy and a nano-crystalline alloy may be provided in multiple layers.
  • the magnetic strip 131 of the thin plate may be a ribbon sheet of a thin plate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morphous alloy and a nano-crystalline alloy may be formed of a multilayer of three or more layers.
  • the ribbon sheet may be composed of a multi-layer of five or seven layers.
  • the magnetic sheet 131 of the thin plate is a ribbon sheet of a thin plate containing at least one of an amorphous alloy and a nano-crystalline alloy is made of a multi-layer ribbon by the bonding member 131b is interposed between each ribbon sheet.
  • the sheet 131a is integrated.
  • the bonding member 131b may include a non-conductive component, and the bonding member 131b may be provided as an adhesive or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n adhesive is applied to one or both sides of a substrate provided in a film form. It may be.
  • the magnetic strip 131 of the thin plate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fine pieces by flake processing to increase the overall resistance to reduce the generation of eddy current, the plurality of fine pieces are entirely insulated between the adjacent fine pieces Or may be provided to be partially insulated, and each of the fine pieces may be randomly formed in an irregular shape.
  • the magnetic piece 131 of the thin plate is composed of a thin ribbon sheet 131a containing at least one of an amorphous alloy and a nano-crystalline alloy
  • the ribbon sheet 131a may be flake-treated after heat treatment and thus a plurality of ribbon pieces.
  • the fine pieces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the plurality of fine pieces may be provided to be insulated entirely or partially insulated from neighboring fine pieces.
  • each of the fine pieces may be provided with a size of 1 ⁇ m ⁇ 3mm, each of the pieces may be randomly formed in an irregular shape.
  • each ribbon sheet 131a is formed in the bonding member. It may be integrated into a multi-layer via 131b.
  • the bonding member 131b may include a non-conductive component. As a result, at least a portion of the bonding member 131b penetrates into the gaps of the plurality of fine pieces constituting each ribbon sheet 131a to completely or partially insulate neighboring fine pieces.
  • the type of the magnetic material constituting the magnetic strip 131 of the thin plate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is 0.5 Tesla or more, any material having magnetic properties such as ferrite, polymer, or permalloy may be used.
  • the thickness and permeability of the magnetic pieces of the thin plate constituting the attractor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and it may be found that they may be provided to have various thicknesses and permeability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 the attractor (130, 230, 330) may be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132 that can be remov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in magnetic plate 131.
  • the release film 132 may be attached to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131 via an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may include a non-conductive component.
  • the magnetic piece 131 of the thin plate may have a thickness of 50 to 200 ⁇ m.
  • the magnetic piece 131 of the thin plate may have a thickness of 100 ⁇ m to 150 ⁇ m.
  • the hall sensor 12 provided o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10 side.
  • the voltage value must be changed to a certain size or more, for example, 50 mV or more.
  •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when the voltage value is changed to 50 mV or more in the hall sensor 12,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operates by recognizing that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100 approache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As such, when the change of the voltage value in the hall sensor satisfies the operation start condi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is operated so that a wireles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It is deliver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side from the charge is made.
  • the center point (O 2) of the center point (O 1)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even if not exactly the same, it is necessary the wireless charging come within the predetermined area.
  •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10 needs to be operated to perform wireless charging. This is because the user always be difficult for the center point (O 2) of the center point (O 1)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an exact match.
  • the center point O 2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is located in the unaligned area S of a predetermined area.
  • the voltage value at the hall sensor may be changed to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for example, 50 mV or more, thereby recognizing tha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has approached to operat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10.
  •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attractors 130, 230, 330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induction rate of the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from the permanent magnets 14, or by expanding the total area of the attractors 130, 230, 330.
  • the induction rate of the magnetic field lines generated from the permanent magnet 14 should be increased.
  • the area of the attractors 130, 230, 330 may be limited because the overall siz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is determined.
  • the total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may be limited to meet the needs of light and small size miniaturiz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ecause of this, the attractor that changes the path of the magnetic flux generated in the permanent magnet is also limited to the overall thickness used.
  • the total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is limited to 0.5mm or less, even 0.3mm or less, even when using the attractor (130,230,330) having a thin thickness in the range of 50 ⁇ m ⁇ 200 ⁇ m
  •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is close by causing a change in the voltage value of the hall sensor 12 to 50 mV or more.
  • the magnetic force line induced to the attractor (130, 230, 330) side of the magnetic force line generated in the permanent magnet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attractors (130, 230, 330) it is possible to use a thin thickness of 50 ⁇ m ⁇ 200 ⁇ m.
  • the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greater than 0.5 Tesla configure the magnetic piece 131 is the center point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s (100) (O 2) and the center poin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O 1 ) the center point (O 2) a close-up, including the center point (O 1)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in the area, in other words non-aligned area of the matching alignment, as well as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 Even if it is located at S), the voltage value at the hall sensor 12 can be changed to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for example, 50 mV or more.
  • the alignment state of the center point (O 1 ) of the permanent magnet 14, the center point (O 2 ) of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131 constituting the attractor 130 is provid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It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see Fig. 9a), the unaligned state of the permanent magnet 14, the center point (O 2 ) of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131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in the unaligned region (S) center a state that are not located on the same diameter of the upper portion (O 1) (see Fig. 9b and 9c).
  • the unaligned area S may be an internal area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ermanent magnet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ermanent magnet provid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That is, the unaligned region S may be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center point O 2 of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131 constituting the attractor 130 is locat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ermanent magnet. It may be an area including the remaining area except the upper portion locat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center point.
  • the unaligned area S may be an area corresponding to an area within a radius of 8 mm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ermanent magnet 14.
  • the non-aligned region S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the diameter o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ermanent magnet 14 is increased, the unaligned region S may also be larger or wider in proportion to it.
  • the magnetic strip 131 of the thin plate constituting the attractors 130, 230, and 330 is 150 ⁇ m, which is very thin, and the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is 0.5 tsler.
  • the voltage at the Hall sensor 12 is changed to about 220 mV to provide wireless charging.
  •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is operated by satisfying a condition of a voltage change value of 50 mV or more in the hall sensor which is an operation start condi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is 0.5 mm or less, even 0.3 mm or less, a stable operating voltage value required by the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can be detected by the hall sensor (see FIG. 9A).
  • the magnetic pieces 131 of the thin plate constituting the attractors 130, 230, and 330 have a very thin thickness of 150 ⁇ m and a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of 0.5 Tesla or more.
  •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has a peripheral area where the center point of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131 does not coincide with the center point of the permanent magnet 14, that is, an unaligned area S.
  • the user may perform wireless charging in the unaligned region S having a predetermined area even if the center point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does not exactly match the center poin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10 during wireless charging. By doing so, the ease of use can be increased.
  • the voltage at the hall sensor 12 is changed to about 220 mV, so that a voltage of 50 mV or more at the hall sensor which is an operation start condi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10 for wireless charging. By satisfying the condition of the change value to operat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 the magnetic sheet of the thin sheet is composed of a ribbon sheet containing at least one of an amorphous alloy and a nano-crystalline alloy having a higher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than that of the silicon steel
  • the magnetic sheet of the thin sheet is composed of the silicon steel.
  • the wireless power is satisfied by satisfying a condition of a voltage change value of 50 mV or more in the hall sensor, which is an operation start condi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in an alignment region as well as an unaligned region.
  • the transmission module 10 can be operated. Through this, the thickness of the attractor can be configured to be thinner, thereby further reducing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module.
  • the ribbon sheet comprising at least one of amorphous alloy and nanocrystalline alloy is heat treated and flake-processed to form a magnetic sheet 131 of the thin sheet of ribbon sheet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fine pieces
  • the overall resistance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eddy current.
  • the total thickness (t)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may be a stacking height of the antenna unit 110, the attractor 130 and the shielding sheet 120, and the graphi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hielding sheet 120 When the same heat dissipation sheet 122 is provided, it may be a thickness including the heat dissipation sheet 122.
  • the attractors 230 and 330 prevent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of the thin plat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o prevent the side from being oxidized and to prevent particles or micro debri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ide. It may include a micro debris-preventing and anti-oxidation member (134,234)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magnetic piece 131 of the thin plate to be able to.
  • the magnetic piece 131 of the thin plate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containing a metal component, such as a ribbon sheet including at least one of permallo or amorphous alloys and nanocrystalline alloys
  •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may be an attractor. It becomes the punching surface form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ccordingly, when the micro debris or particles such as ribbon pieces are separated from the punching surface, the separated micro debris or particles generate a short in the electronic circuit.
  • the micro debris prevention and oxidation prevention members 134 and 234 are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corresponding to the punching surface. It is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side of the magnetic piece 131, the foot surface.
  • the magnetic pieces 131 of the thin plates constituting the attractors 230 and 330 ar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containing a metal component, the micro debris or particles ar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ide of the punching surface, and the air and / or By preventing oxidation through contact with moistu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to prevent the short circuit from occurring in the electronic circuit due to the detached micro debris or particles.
  • the fine desorption prevention and oxidation prevention members 134 and 234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tective film covering the side of the magnetic piece 131, as shown in Figure 5 and 6,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It may be formed as a coating layer to be applied.
  • the micro debris prevention and oxidation prevention member 134 is attached to the magnetic piece 131 through an adhesive layer as shown in FIGS. 5A and 5B, so that at least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is externally provided. Avoid exposure.
  • the adhesive layer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anti-microbial desorption prevention and oxidation preventing member 134 may include a non-conductive component so that the fine pieces separated from the side of the magnetic piece 131 may remain attached to the punching surface. It may be provided with an adhesive containing.
  • the protective film is a fluorine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polypropylene (PP) film, polyterephthalate (PTFE) A resin film or the like may be used.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P polypropylene
  • PTFE polyterephthalate
  • the micro debris preventing and oxidation preventing member 134 may be provided to cover only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see FIG. 5B), or the second portion covering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 134b) and a first portion 134a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may be provided (see FIG. 5A).
  • the part covering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of the micro debris preventing and oxidation preventing member 134 may cover the entire thickness of the magnetic piece 131 so as to completely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which is an exposed surface. It may be provided to have a width of 1 to 3 times, preferably, may be provided to have a width of 1 to 2.5 times than the total thickness of the magnetic piece 131.
  • the second part 134 b may be provided to have a width of 150 ⁇ m to 450 ⁇ m, and preferably, the second part 134 b may be 150. It may be provided to have a width of ⁇ 375 ⁇ m.
  • the second portion 134b This is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mass production by allowing the second portion 134b to completely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even if an error occurs in a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a punching process. If the width of the second portion 134b has a width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piece 131,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may not be completely covered, and the width of the second portion 134b may occur. In the case of having a width three times or more than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piece 131, there is a problem of dropping the adhesive force in the attachment process of the shielding sheet 120 and / or antenna unit 110 and the attractor 230.
  • the micro debris prevention and anti-oxidation member 234 may be provided as a coating layer applied to the side of the magnetic piece 131 of the thin plate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a part of the coating layer may penetrate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 the coating layer may be provided with an adhesive containing a non-conductive component so that the micro debris or particles can be kept in the adhered state on the punching surface
  • the coating layer is wax, epoxy resin, melanin resin, silicone resin, acrylic resin It may be a polymer resin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ethylene propylene rubber resin (EPDM) and polyvinyl alcohol resin (PVA).
  • EPDM ethylene propylene rubber resin
  • PVA polyvinyl alcohol resin
  • the wax may be used as an additive of another polymer resin.
  • the coating layer may be coated by the coating material by exposing the magnetic strip 131 of the thin plate to a water tank containing the coating material or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onto the magnetic strip 131 of the thin plate by spraying.
  • the magnetic piece 131 of the thin plate is formed by coating the side with a coating material to form a coating layer and then contact the sponge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hin magnetic plate 131 to form a burr aggregated by the surface tension in the corner portion
  • the removal process can be performed.
  • the attraction of the attractor 330 may be a natural drying method made at room temperature, or may be dried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through heating. In addition, the drying process may be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 the micro debris prevention and oxidation prevention member 134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film, but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provided on the side and / or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61,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unching surface or the exposed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of the thin plate is the upper surface and / or the lower surface
  • the micro debris prevention and oxidation prevention member on the upper and / or lower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corresponding to the punching surface or the exposed surface Note that may be provided.
  • the coating layer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provided on the side of the attractor 23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ating layer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attractor. That is, the coating layer 234 is found to be applied to all exposed surfaces of the attractor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attractor 234 to the product.
  • Such a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rear case or the back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90 as shown in FIG.
  • the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PMA includ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etc. It may be applied to the wireless charging type charging system 1.
  • the plurality of sheets 131a may be a thin ribbon sheet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morphous alloy and a nanocrystalline alloy having a high permeability.
  • the plurality of ribbon sheets may be used at least three, preferably seven may be used.
  • the plurality of ribbon sheets 131a and 130b are sequentially stacked to form a laminate A made of a multilayer.
  • the bonding member 131b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ribbon sheets 131a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laminate is integrated through the bonding member 131b.
  • the laminate is passed through a flake device (not shown)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eddy currents so that each ribbon sheet constituting the laminate A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fine pieces.
  • the separated plurality of fine pieces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lease films 139a and 139b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aminate.
  • the neighboring fine pieces of the plurality of micro-pieces constituting each ribbon sheet is completely insulated or partially insulated by the adhesive layer 130h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ribbon sheets to each other.
  • the flake device may be composed of a metal roller having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a rubber roll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etal roller, the unevenness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laminated body between the metal roller and the rubber roller It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 the plurality of fine pieces may be passed through the stack a plurality of times to have a size of 1 ⁇ m ⁇ 3mm, each piece may be made atypical.
  • the laminate A in which the plurality of ribbon sheets are stacked may perform a hot pressing process for planarization and slimming. Through this, the laminate (A) can reduce the overall thickness and maintain a constant thickness.
  • the carrier film 170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laminate A via the adhesive layer 174 (FIGS. 11A and 11B). Reference). Thereafter, the plate-shaped laminate A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carrier film 170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through a punching process (see FIG. 11C), and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are removed. The remaining portion A ′ is removed from the carrier film 170 (see FIG. 11D).
  • a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separated into a predetermined siz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area S1') on one surface of the carrier film 170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 the magnetic pieces 131 are maintained in the state, and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are maintained in the aligned state by maintaining the state attached to the carrier film 170 through the adhesive layer 174.
  • the pun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after removing the release film.
  • the pun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while the release film is attached.
  • the plate-like film member B is attached to cover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separated from each other (see FIG. 11E).
  • the film member B is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through the adhesive layer 175 applied to one surface, and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through the punching process, the magnetic surface being the punched surface.
  • covering the side of the piece 131 serves to prevent desorption of micro debris or particles and to prevent oxidation.
  • the film member B is a predetermined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area S2') in a state in which the film member B is attached to cover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at the same tim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rotective film 134 separated into a predetermined size having a, and removes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 134 from the carrier film 170 (see FIG. 11F).
  •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include the first portion 134a and the second portion 134b described above, and the first area S1 corresponds to the area of the first portion 134a.
  • the second area S2 corresponds to the sum of the first portion 134a and the second portion 134b.
  •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 134 is punch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That is, the second area S2 is provid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area S1, and a portion of the second area exceeding the first area is 1 to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piece 131. It may be provided to have a width of three times, preferably may be provided to have a width of 1 to 2.5 times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piece 131.
  • the portion exceeding the first area of the second area (S2) can completely surround the side of the magnetic piece 131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yield To increase.
  • the film member B may be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a polypropylene (PP) film, a fluorine resin film such as polyterephthalate (PTFE).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P polypropylene
  • PTFE fluorine resin film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P polypropylene
  • PTFE fluorine resin film
  • a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ar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carrier film 170, and a carrier film 170 in a state in which protective films 134 are attached to upp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respectively.
  • each protective film 134 is pressed by the pressing force to surround the side of the magnetic piece 131, the portion of the protective film 134 exceeds the first area
  • the final attractor 130 is complet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through the adhesive layer 175 (see FIG. 11G).
  • the magnetic piece 131 prevents the exposed surface from being oxidized by preventing the exposed sid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prevents particles such as ribbon pieces from falling off from the punched surface.
  • the escaped particles prevent short circuits in the electronic circuit.
  • FIGS. 12 to 14 Anoth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ttractor 230 for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FIGS. 12 to 14.
  • anoth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ttractor for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is a punching process and a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for forming a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unlike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above
  • the punching process for constituting the (134) is carried out separately,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and the protective film 134 is completed in the manner of laminating each other.
  •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laminate A to be the raw material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process will be omitted.
  • the first carrier film 171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laminate A via the adhesive layer 174 (see FIGS. 12A and 12B).
  • the plate-shaped laminate A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film 171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through a punching process (see FIG. 12C), and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The remaining portion A ′ except for) is removed from the first carrier film 171 (see FIG. 12D).
  • a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separated into a predetermined siz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area S1')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film 17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magnetic pieces 131 remain in the arranged state, and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are maintained in the aligned state by maintaining the state attached to the first carrier film 171 through the adhesive layer 174.
  • the pun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after removing the release film.
  • the pun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while the release film is attached.
  • the film member B may be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a polypropylene (PP) film, a fluorine resin film such as polyterephthalate (PTFE).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P polypropylene
  • PTFE fluorine resin film
  • the plate-like film member B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prepared, and then the second carrier film 172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film member B via the adhesive layer 175 (see FIGS. 13A and 13B).
  • the adhesive layer 175 may be a double-sided tape coated with an adhesive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 the plate-shaped film member B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carrier film 172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through a punching process (see FIG. 13C), and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The remaining portion B ′ except for) is removed from the second carrier film 172 (see FIG. 13D).
  • one surface of the second carrier film 172 is left with a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separated into a predetermined size having a second area S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plurality of protections.
  • the film 134 maintains the aligned state by maintaining the state attached to the second carrier film 172 through the adhesive layer 175.
  •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 134 is punch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That is, the second area S2 is provid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area S1, and the portion of the second area S2 that exceeds the first area S1 is the magnetic piece 131. It may be provided to have a width of 1 to 3 times the thickness of), preferably may be provided to have a width of 1 to 2.5 times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piece 131.
  •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are simultaneously covered with a third carrier film 173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176 on one surface thereof (see FIGS. 13E and 13F).
  • the second carrier film 172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ird carrier film 173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is removed (see FIG. 13G).
  • the adhesive layer 175 may be maintained without being removed.
  • the first carrier film 171 and the third carrier film 173 are disposed so that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and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face each other (see FIG. 14A)
  • the first The one carrier film 171 and the third carrier film 173 are laminated with each other (see FIG. 14B).
  • the adhesive layer 175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134,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and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are attached to each other via the adhesive layer 175.
  • the third carrier film 173 is removed so that the protective film 134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is exposed to the outside (see FIG. 14C).
  • a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ar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film 171, and a carrier film having a protective film 134 attached to upp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respectively.
  • each protective film 134 is pressed by the pressing force to wrap the side of the magnetic piece 131, the first area (S1) of the protective film 134 Since the portion exceeding is completely adhered to the side of the magnetic piece 131 through the adhesive layer 175, the final attractor 230 is completed (see FIG. 14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수신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무선전력 송신모듈이 일치된 정렬상태와, 상기 정렬상태를 포함하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비정렬 영역 내에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무선전력 송신모듈이 어긋난 비정렬된 상태에서도 홀센서에서의 전압값의 변화가 일정크기 이상으로 검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포화자속밀도가 0.5테슬러 이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박판 자성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등의 무선충전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내장된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무선충전 기능이 구비되고 있는데, 이러한 무선충전은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과,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무선충전은 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진 방식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대한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접근을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PMA 방식과 Qi 방식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상기 PMA 무선충전 방식은 영구자석과 홀 센서를 이용하여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접근을 감지함으로써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개념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선전력 송신모듈(10)에는 영구자석(14)과 홀 센서(12)가 설치되어 있고, 무선전력 수신모듈(20)에는 그 대략 중앙부에 소위 어트랙터(22)라는 자성체가 설치되어 있다.
무선전력 송신모듈(10)에 대한 무선전력 수신모듈(20)의 접근시 영구자석(14)으로부터 자기력선이 발생하는데, 이들 자기력선의 일부가 상기 어트랙터(22)에 의해 그 경로가 바뀌면서 홀센서(12)에서의 전압값에 차이가 발생되고, 이 전압값의 차이가 일정 이상이 되면 무선전력 수신모듈(20)이 접근한 것으로 인지하여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이 동작함으로써 무선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최근 휴대 단말기가 경박단소형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20)의 두께도 얇아지고 있으며, 예컨대 무선전력 수신모듈(20)의 두께를 0.5mm 이하, 심지어 0.3mm 이하로 설계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했다. 이와 같이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두께를 0.5mm 이하, 심지어 0.3mm 이하로 설계하는 경우, 어트랙터(22)의 두께를 일정 두께 이상으로 두껍게 하는 것이 어렵다.
부연하면, 상기 어트랙터는 그 두께 또는 면적이 클수록 영구자석(14)의 자기력선의 경로를 변경하여 홀센서에서의 동작 전압값의 차이를 일정 이상으로 검출되게 하는 기능을 발휘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상기와 같은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구조 및 형상의 제한으로 인해 그 크기 및 두께를 증가시킬 수 없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200㎛ 이하의 두께로 어트랙터를 구성하는 경우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PMA 무선충전 방식에 있어서,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홀센서에서의 전압값의 차이가 대략 50mV(표준 동작 전압값) 정도 이상 검출되어야 한다. 더불어, 무선전력 송신모듈과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중심을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무선전력 송신모듈과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중심이 비정렬된 경우에도 소정의 미스 얼라인(misalign) 영역 내에서 홀센서에서의 전압값의 차이가 대략 50mV 정도 이상 검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어트랙터가 매우 얇은 두께, 예를 들어 150㎛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무선전력 송신모듈과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중심이 비정렬된 상태에서는 상기 홀센서에서의 전압값의 차이가 상기 표준 동작 전압값(50mV)에 훨씬 못 미치기 때문에,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접근을 감지하지 못함에 따라 무선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0217호에서는 서로 대응되는 고정용자석과 고정용자성체를 충전 수신기 및 충전발신기 측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더불어, 충전수신기 측에 고정용자성체와 더불어 복수 개의 감지용 자석을 배치함으로써 충전수신기가 충전발신기 측에 다른 각도로 장착되더라도 홀센서에서 감지용 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복수 개의 감지용 자석을 통해 충전수신기가 충전발신기 측에 다른 각도로 장착된다 하더라도 충전수신기 및 충전발신기의 장착각도가 변경될 뿐 홀센서가 항상 감지용 자석의 직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달리 말하면, 홀센서가 감지용 자석이 직상부에 위치하는 정렬 상태에서만 홀센서가 감지용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충전발신기의 작동이 이루어질 뿐 홀센서가 감지용 자석의 직상부를 벗어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충전발신기가 작동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한편, 어트랙터는 통상적으로 타발공정에 의해 제조되는데, 타발공정에 의해 제조된 어트랙터의 측면은 타발면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어트랙터가 금속성분을 포함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경우, 타발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제품에 사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외부로 노출된 타발면으로부터 미세 조각이나 분말상의 입자와 같은 파티클이 분리되는 경우, 타발면으로부터 분리된 파티클 역시 도전성을 갖는 금속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분리된 파티클들이 주변에 위치하는 전자회로와 접촉하게 되면 금속성분에 의해 상기 전자회로를 쇼트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더불어, 어트랙터의 신뢰성을 테스트 하기 위한 염수 분무 테스트 과정에서노출면인 타발면에 수분 등과의 접촉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수분 등과의 접촉을 통해 상기 타발면에 수분 등의 침투가 이루어지게 되면 노출면이 산화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 및 실험을 반복한 결과, 어트랙터를 구성하는 자성체의 포화자속밀도가 어트랙터의 기능 구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포화자속밀도가 일정 이상, 예컨데 0.5테슬러 이상인 자성체를 매우 얇은 예컨대, 150㎛ 이하의 두께로 어트랙터를 구성하는 경우,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중심과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중심이 비정렬되더라도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구비되는 영구자석과 대응되는 영역 내에 어트랙터의 중심점이 위치하게 되면 PMA 무선충전 방식에서 요구하는 동작 전압값을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을 반복적인 연구 및 실험을 통하여 지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150㎛ 이하의 매우 얇은 두께로 어트랙터를 구성하더라도 포화자속밀도가 일정 이상, 예컨데 0.5테슬러 이상인 자성체를 사용하게 되면 영구자석과 대응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미스 얼라인 영역에서도 PMA 무선충전 방식에서 요구하는 안정적인 동작 전압값을 검출할 수 있음으로써 PMA 무선충전 방식의 무선전력 수신모듈, 구체적으로 0.5mm 이하, 심지어 0.3mm 이하의 두께로 설계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적용 가능한 어트랙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 노출되는 어트랙터의 측면으로부터 파티클이나 미세 파편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측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어트랙터를 구비함으로써 0.5mm 이하, 심지어 0.3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면서도 PMA 무선충전 방식에서 요구되는 모든 조건 및 특성을 안정적으로 만족 또는 구현할 수 있는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PMA 무선충전 방식의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이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접근할 때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의 일부를 유도하여 자속의 경로를 변경시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동작 개시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구비되는 홀센서에서의 전압값의 변화를 유도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무선전력 송신모듈이 일치된 정렬상태와, 상기 정렬상태를 포함하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비정렬 영역 내에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무선전력 송신모듈이 어긋난 비정렬된 상태에서도 상기 홀센서에서의 전압값의 변화가 일정크기 이상으로 검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포화자속밀도가 0.5테슬러 이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박판 자성편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박판의 자성편은 측면으로부터 파티클이나 미세파편이 탈리되거나 측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자성편에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는 보호필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는 접착성을 갖는 코팅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안테나 유닛과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 사이에 위치하여, 무선전력 수신모듈이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접근할 때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의 일부를 유도하여 자속의 경로를 변경시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동작 개시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구비되는 홀센서에서의 전압값 변화를 유도하는 상술한 어트랙터;를 포함하는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시트를 접착층을 매개로 적층하여 판상의 적층체를 형성하고, 상기 적층체의 일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캐리어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적층체가 제1면적을 갖는 복수 개의 자성편으로 분리되도록 1차 타발하는 단계; 타발된 복수 개의 자성편을 모두 덮도록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를 위한 판상의 필름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판상의 필름부재가 상기 제1면적보다 더 넓은 제2면적을 갖는 복수 개의 보호필름으로 분리되도록 2차 타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 및 복수 개의 자성편을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PMA 무선 충전 방식의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의 제조방법은 접착층을 매개로 복수 개의 시트가 적층된 판상의 적층체의 일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제1캐리어 필름을 부착하고,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를 위한 판상의 필름부재의 일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제2캐리어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캐리어 필름의 일면에 부착된 적층체를 제1면적을 갖는 복수 개의 자성편으로 분리되도록 타발하고, 상기 제2캐리어 필름의 일면에 부착된 판상의 필름부재를 상기 제1면적 이상의 제2면적을 갖는 복수 개의 보호필름으로 분리되도록 각각 타발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이 복수 개의 자성편의 일면을 개별적으로 덮도록 합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 및 복수 개의 자성편을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이 휴대 단말기 본체의 리어 케이스 또는 백커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이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접촉하면 동작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로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PMA 무선충전 방식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트랙터에 의하면, 무선전력 송신모듈과의 접근시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선의 일부를 유도하여 자속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어트랙터가 0.5테슬러 이상의 포화자속밀도를 갖는 자성체, 예컨데 비정질 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리본시트 또는 실리콘 스틸을 사용하여 150㎛ 이하의 매우 얇은 두께를 갖는 박판의 자성편으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150㎛ 이하의 매우 얇은 두께에서도 PMA 무선충전 방식에서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작동시 정렬위치는 물론 소정의 비정렬 영역 내에서 요구되는 홀센서에서의 전압값의 변화량을 만족시켜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동작 전압값의 차이를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으로써,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예컨데 0.5mm 이하, 심지어 0.3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박형으로 설계되더라도 무선전력 수신모듈에서 요구되는 모든 조건 및 특성을 만족하는 상태로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트랙터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외부로 노출되는 어트랙터의 측면에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가 구비됨으로써 공기 및/또는 수분과의 접촉을 통한 산화를 방지하고 측면으로부터 파티클이나 미세파편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파티클이나 미세파편에 의한 내부회로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의하면, 무선전력 송신모듈과의 접근시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선의 일부를 유도하여 자속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어트랙터가 0.5테슬러 이상의 포화자속밀도를 갖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150㎛ 이하의 매우 얇은 두께를 갖는 박판의 자성편으로 구비됨으로써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전체두께가 0.5mm 이하, 심지어 0.3mm 이하의 두께로 설계되는 조건에서도 다른 구조적인 변경을 가하지 않아도 PMA 무선충전 방식에서 요구하는 모든 조건 및 특성을 만족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구현이 가능하여, 경박단소형화 된 휴대 단말기에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PMA 무선충전 방식 충전 시스템에서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대한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접근 감지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트랙터 및 이를 구비하는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트랙터 및 이를 구비하는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적용되는 어트랙터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어트랙터 및 이를 구비하는 PMA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적용되는 다른 형태의 어트랙터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5a는 보호필름이 자성편의 상부면 및 측면에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보호필름이 자성편의 측면에만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트랙터 및 이를 구비하는 PMA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적용되는 또 다른 형태의 어트랙터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장 차폐시트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서, a)는 비정질리본층으로만 이루어진 경우이고, b)는 비정질리본층과 페라이트층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채용한 PMA 무선충전 방식 충전 시스템에서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대한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접근 감지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에 해당하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채용한 PMA 무선충전 방식 충전 시스템에서 무선전력 송신모듈과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정렬상태 및 비정렬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영구자석의 중심점과 박판 자성편의 중심점과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a)는 정렬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비정렬상태 중 박판 자성편의 중심점이 비정렬영역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c)는 비정렬상태 중 박판 자성편의 중심점이 비정렬영역을 벗어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이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트랙터가 박판의 자성편에 보호필름이 구비되는 경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그리고,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어트랙터가 박판의 자성편에 보호필름이 구비되는 경우의 다른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도 12는 판상의 적층체를 복수 개의 자성편으로 타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3은 판상의 필름부재를 복수 개의 보호필름으로 타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4는 도 12 및 도 13의 공정을 통해 개별적으로 분리된 자성편과 보호필름을 합지하여 최종적인 어트랙터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먼저, 도 8을 참고하면, PMA 무선충전 방식 충전 시스템(1)은 무선전력 송신모듈(10) 및 무선전력 수신모듈(10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90)에 내장되어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은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케이스 등에 내장된 상태로 비치된다.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이 접근하면 동작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로 공급한다.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은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전력으로 휴대 단말기(90)의 내장 배터리를 충전한다. 도 8에서 참조부호 12 및 14는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하는 홀센서 및 영구자석이며, 참조부호 16은 송신용 무선충전 안테나 패턴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은 안테나 유닛(110), 차폐시트(120) 및 어트랙터(130,230,330)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유닛(110)은 휴대폰, PDA, PMP, 테블릿, 멀티미디어 기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와 무선 신호를 송출하거나 수신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되는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상의 평판형 코일로만 구성될 수 있으나, 이를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이미드(PI)나 PET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연성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동박 등과 같은 전도체를 루프 형태로 패터닝하거나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여 회로기판에 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안테나가 회로기판에 금속 패턴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금속 패턴은 회로기판의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양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도면에는 상기 금속 패턴이 회로기판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회로기판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부면과 하부면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안테나 유닛(110)은 수신되는 무선전력 신호를 통해 전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코일(Rx coil)의 역할을 수행하는 안테나(114a)와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른 안테나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테나는 무선전력 충전, 근거리 통신, 마그네틱 보안 결제 등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평판형 코일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기판(112)의 일면에 무선충전용(wireless power transmission) 안테나 패턴(114a),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 패턴(114b)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no) 안테나 패턴(114c) 중 적어도 2개의 안테나 패턴이 패터닝된 콤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FC 안테나 패턴(114c)은 무선충전용용 안테나 패턴(114a) 보다 주파수 대역이 높기 때문에 기판(112)의 외곽을 따라 미세한 선폭의 직사각형 형태로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되고,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114a)은 전력 전송이 요구되며 NFC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므로 NFC 안테나 패턴(114c)의 내측에 NFC 안테나 패턴(114c)의 선폭보다 넓은 선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NFC 안테나 패턴(114c) 및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114a)의 위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조건에 따라 배치관계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기판(112)은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턴(114a,114b,114c)과 회로부가 형성되는 기재가 되는 요소로서, 내열성 및 내압성을 가지며, 가요성(flexible)을 갖는 소재이다. 이러한 소재의 물성을 고려할 때, 상기 기판(112)으로서 열경화성 고분자 필름인 폴리이미드(polyimide) 필름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차폐시트(120)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 유닛(110)에서 발생되는 무선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하여 외부 누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소요의 방향으로 집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차폐시트(120)는 박판의 자성시트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다층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박판의 자성시트는 비정질 합금 및 나노결정립 합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박판의 리본시트(121a)와 페라이트 시트(121b)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차폐시트(12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질 합금 및 나노결정립 합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박판의 리본시트(121a)만으로 구성된 차폐시트(120')일 수도 있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페라이트 시트(121b)와 비정질 합금 및 나노결정립 합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두 개의 박판의 리본시트(121a)가 적층되는 차폐시트(120")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비정질 합금은 Fe계 또는 Co계 자성 합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페라이트 시트(121b)는 Mn-Zn 페라이트 또는 Ni-Zn 페라이트와 같은 소결 페라이트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박판의 자성시트를 위에 언급한 종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자성의 성질을 갖는 물질이면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은 차폐시트(120)는 그 일면에 배치되는 상기 안테나 유닛(110)을 접착층을 매개로 고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은 접착 성질을 갖는 본드, PVC, 고무 또는 양면 테이프 등일 수 있으며, 전도성을 갖는 성분이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안테나 유닛은 PI나 PET 등과 같은 별도의 기재를 구비하고, 이 기재와 상기 차폐시트가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차폐시트(120)의 일면에는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이 무선전력 송신모듈(10)에 접근할 때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의 일부를 유도하여 자속의 경로를 변경시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동작 개시 조건을 만족하는 홀센서(12)의 전압값 변화를 유도하는 어트랙터(130,230,330)가 구비된다.
이러한 어트랙터(130,230,330)는 상기 안테나 유닛(110)의 중앙부 공간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판상의 시트 또는 필름부재 등과 같은 박판의 자성편(131)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은 허용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사이즈에서 최대한의 면적을 확보하여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상기 안테나 패턴(114a)의 중앙부 공간부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트랙터(130,230,330)는 상기 차폐시트(120)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차폐시트(120)와 일체화된 차폐유닛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안테나 유닛(110)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안테나 유닛(110)과 일체화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어트랙터(130)가 차폐시트(120) 또는 안테나 유닛(110)과 일체화되어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됨으로써 차폐시트(120)와 안테나 유닛(110)의 결합시 간소화된 공정으로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을 제조할 수 있게 되어 조립 공정의 간소화를 통한 제조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트랙터(130)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전체 두께가 0.5mm 이하, 심지어 0.3mm 이하로 설계된 조건과 상기 홀센서에서의 전압값의 변화가 일정값 이상, 일례로 50mV 이상으로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도록 포화자속밀도(B)가 0.5테슬러 이상인 자성체로 이루어진 박판 자성편(13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은 100~1000 범위의 투자율, 바람직하게는 900의 투자율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자성체는 실리콘 스틸(FeSi)로 이루어진 박판의 자성편이 사용되거나 비정질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박판의 리본시트(131a)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정질 합금은 Fe계 또는 Co계 자성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이 비정질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박판의 리본시트(131a)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은 비정질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박판의 리본시트가 단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비정질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박판의 리본시트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다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은 비정질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박판의 리본시트가 3층 이상의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리본시트는 5층 또는 7층의 다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이 비정질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박판의 리본시트가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의 리본시트 사이에는 접합부재(131b)가 개재됨으로써 다층의 리본시트(131a)를 일체화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합부재(131b)는 비전도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합부재(131b)는 접착제로 구비될 수도 있고 필름 형태로 구비되는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은 전체적인 저항을 높여 와전류의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플레이크 처리되어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미세 조각들은 그 형상이 비정형으로 랜덤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이 비정질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박판의 리본시트(131a)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리본시트(131a)는 열처리 후 플레이크 처리되어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미세 조각들은 1㎛ ~ 3mm의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조각들은 그 형상이 비정형으로 랜덤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미세조각으로 분리형성된 복수 개의 리본시트(131a)가 다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리본시트(131a)는 상기 접합부재(131b)를 매개로 다층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합부재(131b)는 비전도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접합부재(131b) 중 적어도 일부가 각각의 리본시트(131a)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의 틈새로 스며들어 서로 이웃하는 미세조각들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절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을 구성하는 자성체의 종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포화자속밀도가 0.5테슬러 이상이라면 페라이트, 폴리머 또는 퍼멀로이 등과 같이 자성을 띠는 재질이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어트랙터를 구성하는 박판의 자성편의 두께 및 투자율을 위에서 언급한 조건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한 두께 및 투자율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어트랙터(130,230,330)는 상기 박판 자성편(131)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일면에 제거가능한 릴리즈필름(13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릴리즈필름(132)은 상기 박판 자성편(131)에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층은 비전도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은 그 두께가 50 내지 200㎛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은 그 두께가 100㎛ 내지 150㎛로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PMA 무선충전 방식을 통하여 무선충전을 하기 위해서는 무선전력 송신모듈(10)측으로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접근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 측에 구비되는 홀센서(12)에서의 전압값이 일정크기 이상, 일례로 50mV 이상으로 변경이 일어나야 한다.
즉, 상기 홀센서(12)에서 50mV 이상으로 전압값의 변경이 일어나면 무선전력 송신모듈(10)측으로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이 접근한 것으로 인지함으로써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이 작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홀센서에서 전압값의 변화가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동작 개시 조건을 만족하게 되면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이 작동됨으로써 무선 신호가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로부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 측으로 전달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중심점(O1)과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중심점(O2)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소정의 영역 내에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즉,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중심이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중심 주변 영역인 비정렬 영역에 위치하더라도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이 작동되어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는, 사용자가 항상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중심점(O1)과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중심점(O2)을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중심이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더라도 일정 면적의 비정렬영역(S) 내에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중심점(O2)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홀센서에서의 전압값이 일정크기 이상, 일례로 50 mV 이상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이 접근한 것으로 인지하여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이 작동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어트랙터(130,230,330)의 전체두께를 두껍게 하여 영구자석(14)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력선의 유도율을 높이거나, 어트랙터(130,230,330)의 전체면적을 넓혀 줌으로써 어트랙터(130,230,330)에서 영구자석(14)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력선의 유도율을 높여 주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어트랙터(130,230,330)의 면적을 넓히는 것은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더불어,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은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의 경박단소형화의 요구에 맞도록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전체두께도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자속의 경로를 변경하는 어트랙터 역시 사용되는 전체두께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
특히,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총두께가 0.5mm 이하, 심지어 0.3mm 이하로 제한되는 경우 50㎛ ~ 200㎛ 범위의 얇은 두께를 갖는 어트랙터(130,230,330)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이 소정의 비정렬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홀센서(12)에서의 전압값의 변화가 50mV 이상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이 근접한 것으로 인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어트랙터(130,230,330)를 구성하는 박판의 자성편(131)으로서 포화자속밀도가 0.5테슬러 이상인 자성체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선 중 상기 어트랙터(130,230,330) 측으로 유도되는 자기력선의 수를 늘려 상기 어트랙터(130,230,330)를 50㎛ ~ 200㎛의 얇은 두께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포화자속밀도가 0.5 테슬러 이상인 자성체를 사용하여 자성편(131)을 구성하게 되면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중심점(O2)과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중심점(O1)이 일치된 정렬상태는 물론,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중심점(O2)이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중심점(O1)을 포함하는 근접영역, 달리 말하면 비정렬영역(S)에 위치하더라도 홀센서(12)에서의 전압값이 소정 크기 이상, 일례로 50mV 이상으로 변경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정렬상태는 상기 어트랙터(130)를 구성하는 박판 자성편(131)의 중심점(O2)이 무선전력 송신모듈(10)에 구비되는 영구자석(14)의 중심점(O1)의 직상부에 위치한 상태이고(도 9a 참조), 상기 비정렬상태는 상기 박판 자성편(131)의 중심점(O2)이 상기 비정렬 영역(S) 내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영구자석(14)의 중심점(O1)의 직상부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이다(도 9b 및 도 9c 참조).
이때, 상기 비정렬영역(S)은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영구자석의 단면적과 대응되는 내부영역일 수 있다. 즉, 상기 비정렬영역(S)은 어트랙터(130)를 구성하는 박판 자성편(131)의 중심점(O2)이 상기 영구자석의 단면적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면서 상기 영구자석(14)의 중심점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직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포함하는 면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비정렬영역(S)은 상기 영구자석(14)의 직경이 15.5mm인 경우 상기 영구자석(14)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반경 8mm 이내의 영역에 해당하는 면적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정렬영역(S)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영구자석(14)의 직경 또는 단면적이 커지는 경우 이에 비례하여 상기 비정렬영역(S) 역시 더 커지거나 넓어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일례로, 상기 홀센서(12)의 초기 전압이 850mV인 경우 상기 어트랙터(130,230,330)를 구성하는 박판의 자성편(131)으로서, 두께가 매우 얇은 두께인 150㎛이고 포화자속밀도가 0.5테슬러 이상인 실리콘 스틸로 형성된 박판의 자성체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과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접근 및 접촉시 상기 홀센서(12)에서의 전압이 대략 220mV 정도로 변경되어 무선충전을 위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동작 개시 조건인 홀센서에서의 50mV 이상의 전압 변경값의 조건을 만족하게 됨으로써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전체두께가 0.5mm 이하, 심지어 0.3mm 이하이면서도 PMA 무선충전 방식에서 요구하는 안정적인 동작 전압값을 홀센서에서 검출할 수 있게 된다(도 9a 참조).
더불어, 상기 홀센서(12)의 초기 전압이 850mV인 경우 상기 어트랙터(130,230,330)를 구성하는 박판의 자성편(131)으로서, 두께가 매우 얇은 두께인 150㎛이고 포화자속밀도가 0.5테슬러 이상인 실리콘 스틸로 형성된 박판의 자성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이 박판 자성편(131)의 중심점과 영구자석(14)의 중심점이 일치하지 않는 주변영역, 즉 비정렬영역(S)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홀센서(12)에서의 전압이 대략 220mV 정도로 변경되어 무선충전을 위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동작 개시 조건인 홀센서에서의 50mV 이상의 전압 변경값의 조건을 만족하게 됨으로써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을 작동시키게 된다(도 9b 참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무선 충전시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중심점을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중심점과 정확히 일치시키지 않더라도 소정의 면적을 갖는 비정렬영역(S) 내에서는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홀센서(12)의 초기 전압이 850mV인 경우 상기 어트랙터(130,230,330)를 구성하는 박판의 자성편(131)으로서, 두께가 100㎛이고 포화자속밀도가 대략 1.56테슬러인 비정질 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리본시트로 형성된 박판의 자성체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과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접근 및 접촉시 정렬 영역은 물론 비정렬 영역 내에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이 위치하게 되면 상기 홀센서(12)에서의 전압이 대략 220mV 정도로 변경되어 무선충전을 위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동작 개시 조건인 홀센서에서의 50mV 이상의 전압 변경값의 조건을 만족하게 됨으로써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을 작동시키게 된다.
즉, 포화자속밀도가 실리콘 스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비정질 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리본시트로 박판의 자성편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실리콘 스틸로 박판의 자성편을 구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100㎛의 두께를 가지더라도 정렬영역은 물론 비정렬 영역내에서도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동작 개시 조건인 홀센서에서의 50mV 이상의 전압 변경값의 조건을 만족하게 됨으로써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어트랙터의 두께를 더욱 얇게 구성할 수 있음으로써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전체두께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비정질 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리본시트를 열처리 후 플레이크 처리하여 복수 개의 미세조각으로 분리된 리본시트로 박판의 자성편(131)을 구성하는 경우 전체적인 저항을 높여 와전류의 발생을 저감시킴으로써 와전류에 의한 발열문제도 함께 해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전체두께(t)는 안테나 유닛(110), 어트랙터(130) 및 차폐시트(120)의 적층높이일 수도 있으며, 상기 차폐시트(120)의 상부면에 흑연과 같은 방열시트(122)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방열시트(122)를 포함하는 두께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어트랙터(230,330)는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측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측면으로부터 파티클이나 미세파편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23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이 퍼멀로이나 비정질 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리본시트와 같이 금속성분을 포함하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은 어트랙터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타발면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타발면에서 리본 조각과 같은 미세파편이나 파티클이 떨어져 나갈 경우 이탈된 미세파편이나 파티클은 전자회로에 쇼트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타발면에 해당하는 자성편(131)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234)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234)에 의해 미세 조각들이 타발면인 자성편(131)의 측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어트랙터(230,330)를 구성하는 박판의 자성편(131)이 금속성분을 포함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미세파편이나 파티클이 타발면인 측면으로부터 탈리되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공기 및/또는 수분과의 접촉을 통해 산화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고 탈리된 미세파편이나 파티클에 의해 전자회로에서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234)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을 덮는 보호필름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소정의 두께로 도포되는 코팅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자성편(131)에 부착됨으로써 적어도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의 일면에 도포되는 접착층은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으로부터 분리된 미세 조각들이 타발면에 접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비전도성 성분을 포함하는 접착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가 필름의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보호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폴리테레프탈레이트(PTFE)와 같은 불소 수지계 필름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는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만을 덮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도 5b 참조),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을 덮는 제2부분(134b)과 상기 자성편(131)의 상부면을 덮는 제1부분(134a)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도 5a 참조).
여기서, 상기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 중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을 덮는 부분은 노출면인 자성편(131)의 측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자성편(131)의 전체두께보다 1~3배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성편(131)의 전체두께보다 1~2.5배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자성편(131)이 150㎛의 두께를 갖는 경우 상기 제2부분(134b)은 150~450㎛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부분(134b)은 150~375㎛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타발공정과 같은 제조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2부분(134b)이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을 높이고 양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만일, 상기 제2부분(134b)의 폭이 자성편(131)의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갖게 되면 자성편(131)의 측면을 완전히 덮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상기 제2부분(134b)의 폭이 자성편(131)의 두께보다 3배 이상의 폭을 갖는 경우에는 차폐시트(120) 및/또는 안테나유닛(110)과 어트랙터(230)를 부착과정에서 접착력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23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의 자성편(131)의 측면에 도포되는 코팅층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코팅층은 그 일부가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에 스며들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코팅층은 미세파편이나 파티클이 타발면에 접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비전도성 성분을 포함하는 접착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코팅층은 왁스, 에폭시 수지, 멜라닌 수지, 실리콘 수지, 아크릴 수지, 에틸렌 프로필렌고무 수지(EPDM) 및 폴리비닐 알콜 수지(PVA)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왁스는 다른 고분자 수지의 첨가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코팅층은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을 코팅재가 담긴 수조에 디핑하거나 스프레이 방식으로 코팅재를 박판의 자성편(131)에 분사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된 측면이 코팅재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은 측면을 코팅재로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후 박판 자성편(131)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스폰지를 접촉시켜 모서리부분에 표면장력에 의해 응집된 Burr를 제거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측면에 코팅층을 형성한 박판의 자성편(131)을 건조시키게 되면 자성편(131)의 측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어트랙터(330)가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어트랙터(330)의 건조는 상온에서 이루어지는 자연건조의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가열을 통한 고온의 환경에서 건조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건조과정은 복수 회에 걸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면과 설명에는 상기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가 필름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자성편(161)의 측면 및/또는 상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박판의 자성편(131)에서 타발면 또는 노출되는 면이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인 경우 타발면 또는 노출면에 해당하는 자성편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마찬가지로 상기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234)가 코팅층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코팅층이 어트랙터(234)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노출되는 면이 상부면 또는 하부면인 경우 어트랙터의 노출면에 해당하는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코팅층이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즉, 상기 코팅층(234)은 제품에 어트랙터(234)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어트랙터의 모든 노출면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90)의 리어 케이스 또는 백커버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력 송신모듈(10) 및 무선전력 수신모듈(100) 등을 포함하는 PMA 무선충전 방식 충전 시스템(1)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230)의 제조방법을 도 11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열처리를 통해 제조된 복수 개의 시트(131a)를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시트(131a)는 투자율이 높은 비정질 합금 및 나노결정립 합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박판의 리본시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리본시트는 적어도 3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개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복수 개의 리본시트(131a,130b)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다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A)를 구성한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리본시트(131a) 사이에는 접합부재(131b)가 각각 배치됨으로써 상기 접합부재(131b)를 매개로 적층체가 일체화되도록 한다.
이후,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적층체를 플레이크 장치(미도시)에 통과시켜 상기 적층체(A)를 구성하는 각각의 리본시트들이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분리된 복수 개의 미세조각들은 상기 적층체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부착된 릴리즈필름(139a,139b)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리본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접착층(130h)이 리본시트 층으로 스며들어 각각의 리본시트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미세조각들이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된다.
일례로, 상기 플레이크 장치는 외면에 복수의 요철이 형성된 금속롤러와, 상기 금속롤러의 일측에 배치되는 고무롤러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적층체가 금속롤러와 고무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요철에 의해 복수 개의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1㎛ ~ 3mm의 크기를 갖도록 적층체를 플레이크 장치에 복수 회 통과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조각들은 비정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리본시트가 적층된 적층체(A)는 평탄화 및 슬림화를 위하여 핫 프레싱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적층체(A)는 전체적인 두께가 줄고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판상의 적층체(A)를 준비한 후 상기 적층체(A)의 일면에 접착층(174)을 매개로 캐리어 필름(170)을 부착한다(도 11a 및 도 11b 참조). 이후, 상기 캐리어 필름(170)의 일면에 부착된 판상의 적층체(A)를 타발공정을 통하여 복수 개의 자성편(131)으로 분리하고(도 11c 참조),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A')을 상기 캐리어 필름(170)으로부터 제거한다(도 11d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캐리어 필름(170)의 일면에는 소정의 면적(이하, '제1면적(S1)'이라함)을 갖는 일정 크기로 분리된 복수 개의 자성편(131)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남게 되며,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은 상기 접착층(174)을 통해 상기 캐리어 필름(17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판상의 적층체(A)를 타발하기 전 상기 적층체(A)의 최상부측에 릴리즈 필름(도 5b의 132)이 부착된 경우 상기 릴리즈 필름을 제거한 후 타발공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릴리즈 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타발공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후, 서로 분리된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을 동시에 덮도록 판상의 필름부재(B)를 부착한다(도 11e 참조). 여기서, 상기 필름부재(B)는 일면에 도포된 접착층(175)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과 부착되며, 타발 공정을 통하여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으로 분리되어 타발면인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을 덮어줌으로써 미세파편이나 파티클의 탈리를 방지하고 산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을 동시에 덮도록 상기 필름부재(B)를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필름부재(B)를 소정의 면적(이하, '제2면적(S2)'이라함)을 갖는 일정 크기로 분리된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으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상기 캐리어 필름(170)으로부터 제거한다(도 11f 참조).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은 상술한 제1부분(134a) 및 제2부분(134b)을 포함하며, 상기 제1면적(S1)은 상기 제1부분(134a)의 면적에 해당하고 상기 제2면적(S2)은 상기 제1부분(134a)과 제2부분(134b)을 합한 면적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은 상기 자성편(131)의 상부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타발된다. 즉, 상기 제2면적(S2)은 상기 제1면적(S1)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면적 중 제1면적을 초과하는 부분은 상기 자성편(131)의 두께보다 1~3배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성편(131)의 두께보다 1~2.5배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타발공정과 같은 제조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2면적(S2) 중 제1면적을 초과하는 부분이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을 높이고 양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필름부재(B)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폴리테레프탈레이트(PTFE)와 같은 불소 수지계 필름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캐리어 필름(170)의 일면에 복수 개의 자성편(131)이 부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의 상부면에 보호필름(134)이 각각 부착된 상태의 캐리어 필름(170)을 롤링 공정을 통해 가압하게 되면, 각각의 보호필름(134)이 가압력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을 감싸게 되고, 상기 보호필름(134) 중 제1면적을 초과하는 부분이 상기 접착층(175)을 통해 자성편(131)의 측면에 완전히 밀착됨으로써 최종적인 어트랙터(130)가 완성된다(도 11g 참조).
이를 통해, 상기 자성편(131)은 타발면인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노출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타발면에서 리본 조각과 같은 파티클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타발면으로부터 이탈된 파티클을 통해 전자회로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사용과정에서 상기 캐리어 필름(170)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어트랙터(230)를 분리함으로써 제품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230)의 다른 제조방법이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의 다른 제조방법은 전술한 제조방법과 달리 복수 개의 자성편(131)을 형성하기 위한 타발공정과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을 구성하기 위한 타발공정을 별도로 수행한 후 타발이 완료된 복수 개의 자성편(131)과 보호필름(134)을 서로 합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의 원재료가 되는 적층체(A)를 준비하는 과정은 상술한 과정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2를 참고하여 적층체(A)를 복수 개의 자성편(131)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판상의 적층체(A)를 준비한 후 상기 적층체(A)의 일면에 접착층(174)을 매개로 제1캐리어 필름(171)을 부착한다(도 12a 및 도 12b 참조).
이후, 상기 제1캐리어 필름(171)의 일면에 부착된 판상의 적층체(A)를 타발공정을 통하여 복수 개의 자성편(131)으로 분리하고(도 12c 참조),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A')을 상기 제1캐리어 필름(171)으로부터 제거한다(도 12d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제1캐리어 필름(171)의 일면에는 소정의 면적(이하, '제1면적(S1)'이라함)을 갖는 일정 크기로 분리된 복수 개의 자성편(131)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남게 되며,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은 상기 접착층(174)을 통해 상기 제1캐리어 필름(171)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판상의 적층체(A)를 타발하기 전 상기 적층체(A)의 최상부측에 릴리즈 필름(도 5b의 132)이 부착된 경우 상기 릴리즈 필름을 제거한 후 타발공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릴리즈 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타발공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고하여 판상의 필름부재(B)를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필름부재(B)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폴리테레프탈레이트(PTFE)와 같은 불소 수지계 필름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먼저,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판상의 필름부재(B)를 준비한 후 상기 필름부재(B)의 일면에 접착층(175)을 매개로 제2캐리어 필름(172)을 부착한다(도 13a 및 도 13b 참조). 여기서, 상기 접착층(175)은 기재의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양면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캐리어 필름(172)의 일면에 부착된 판상의 필름부재(B)를 타발공정을 통하여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으로 분리하고(도 13c 참조),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B')을 상기 제2캐리어 필름(172)으로부터 제거한다(도 13d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제2캐리어 필름(172)의 일면에는 제2면적(S2)을 갖는 일정 크기로 분리된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남게 되며,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은 상기 접착층(175)을 통해 상기 제2캐리어 필름(172)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은 상기 자성편(131)의 상부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타발된다. 즉, 상기 제2면적(S2)은 상기 제1면적(S1)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면적(S2) 중 제1면적(S1)을 초과하는 부분은 상기 자성편(131)의 두께보다 1~3배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성편(131)의 두께보다 1~2.5배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후, 일정면적을 갖추고 일면에 접착층(176)이 구비된 제3캐리어 필름(173)으로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을 동시에 덮도록 부착한다(도 13e 및 도 13f 참조).
그런 다음,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을 경계로 상기 제3캐리어 필름(173)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캐리어 필름(172)을 제거한다(도 13g 참조).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의 일면에는 상기 접착층(175)이 제거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캐리어 필름(172)만을 제거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과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이 서로 마주하도록 제1캐리어 필름(171) 및 제3캐리어 필름(173)을 배치한 후(도 14a 참조), 상기 제1캐리어 필름(171) 및 제3캐리어 필름(173)을 서로 합지한다(도 14b 참조). 이때, 상기 보호필름(134)의 일면에는 접착층(175)이 부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과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은 상기 접착층(175)을 매개로 상호 부착된다.
그런 다음, 상기 자성편(131)의 상부면을 개별적으로 덮고 있는 상기 보호필름(134)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3캐리어 필름(173)을 제거한다(도 14c 참조).
마지막으로, 상기 제1캐리어 필름(171)의 일면에 복수 개의 자성편(131)이 부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의 상부면에 보호필름(134)이 각각 부착된 상태의 캐리어 필름(171)을 롤링 공정을 통해 가압하게 되면, 각각의 보호필름(134)이 가압력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을 감싸게 되고, 상기 보호필름(134) 중 제1면적(S1)을 초과하는 부분이 상기 접착층(175)을 통해 자성편(131)의 측면에 완전히 밀착됨으로써 최종적인 어트랙터(230)가 완성된다(도 14d 참조).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23)

  1. PMA 무선충전 방식의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이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접근할 때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의 일부를 유도하여 자속의 경로를 변경시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동작 개시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구비되는 홀센서에서의 전압값의 변화를 유도하는 어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어트랙터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무선전력 송신모듈이 일치된 정렬상태와, 상기 정렬상태를 포함하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비정렬 영역 내에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무선전력 송신모듈이 어긋난 비정렬된 상태에서도 상기 홀센서에서의 전압값의 변화가 일정크기 이상으로 검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포화자속밀도가 0.5테슬러 이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박판 자성편을 포함하는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상태는 상기 박판 자성편의 중심점이 상기 영구자석의 중심점의 직상부에 위치한 상태이고, 상기 비정렬상태는 상기 박판 자성편의 중심점이 상기 비정렬 영역 내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영구자석의 중심점의 직상부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인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렬 영역은 상기 영구자석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영구자석의 단면적과 대응되는 내부영역인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렬 영역은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반경 8mm 이내의 영역인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비정질 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리본시트이거나 실리콘 스틸로 이루어지는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자성편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구비된 내측 안테나 패턴의 중앙부 공간부의 크기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는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자성편은 그 두께가 50㎛ 내지 200㎛로 형성되는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자성편은 그 두께가 100㎛ 내지 150㎛로 형성되는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자성편은 비정질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리본시트가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시트의 사이에는 비전도성 성분을 포함하는 접합부재가 개재되는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자성편은 상기 리본시트가 3층 내지 8층의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시트는 다수 개의 조각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조각 사이 틈새는 접합부재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절연되는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분리된 조각들은 비정형적인 형상을 갖는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의 자성편은 측면으로부터 파티클이나 미세파편이 탈리되거나 측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자성편에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가 구비되는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는 보호필름인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는 접착성을 갖는 코팅층으로 구비되는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17. PMA 무선 충전 방식의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시트를 접착층을 매개로 적층하여 판상의 적층체를 형성하고, 상기 적층체의 일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캐리어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적층체가 제1면적을 갖는 복수 개의 자성편으로 분리되도록 1차 타발하는 단계;
    타발된 복수 개의 자성편을 모두 덮도록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를 위한 판상의 필름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판상의 필름부재가 상기 제1면적보다 더 넓은 제2면적을 갖는 복수 개의 보호필름으로 분리되도록 2차 타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 및 복수 개의 자성편을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의 제조방법.
  18. PMA 무선 충전 방식의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접착층을 매개로 복수 개의 시트가 적층된 판상의 적층체의 일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제1캐리어 필름을 부착하고, 미세파편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를 위한 판상의 필름부재의 일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제2캐리어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캐리어 필름의 일면에 부착된 적층체를 제1면적을 갖는 복수 개의 자성편으로 분리되도록 타발하고, 상기 제2캐리어 필름의 일면에 부착된 판상의 필름부재를 상기 제1면적 이상의 제2면적을 갖는 복수 개의 보호필름으로 분리되도록 각각 타발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이 복수 개의 자성편의 일면을 개별적으로 덮도록 합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 및 복수 개의 자성편을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의 제조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의 일면을 동시에 덮도록 제3캐리어 필름을 부착한 후 상기 보호필름의 타면에 부착된 상기 제2캐리어 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이 복수 개의 자성편을 개별적으로 덮도록 상기 제1캐리어 필름 및 제3캐리어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의 제조방법.
  20.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유닛;
    상기 안테나 유닛의 무선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하는 자기장 차폐시트; 및
    상기 안테나 유닛과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 사이에 위치하여, 무선전력 수신모듈이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접근할 때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의 일부를 유도하여 자속의 경로를 변경시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동작 개시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구비되는 홀센서에서의 전압값 변화를 유도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어트랙터;를 포함하는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유닛은 무선충전용 안테나, MST 안테나 및 NFC 안테나 중 적어도 2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콤보형인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총두께가 0.2mm ~ 0.5mm인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
  23. PMA 무선충전 방식의 무선전력 수신모듈이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접근할 때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의 일부의 경로를 변경시켜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구비되는 홀 센서를 경유하는 자속밀도를 감소시켜 상기 홀센서의 홀 전압 변화를 유도하는 어트랙터로서,
    다수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된 Fe계 비정질 합금 리본시트가 복수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포화자속밀도가 0.5테슬러 이상인 박판 자성체를 포함하는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PCT/KR2015/012576 2014-12-22 2015-11-23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WO2016104959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80069157.2A CN107112801B (zh) 2014-12-22 2015-11-23 用于电源事物联盟无线充电式无线电力接收模块的吸引器及其制造方法以及具有其的无线电力接收模块
US15/538,613 US10574089B2 (en) 2014-12-22 2015-11-23 Attractor for PMA wireless charging type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471 2014-12-22
KR20140186471 2014-12-22
KR10-2015-0018233 2015-02-05
KR20150018233 2015-02-05
KR1020150102536A KR101627844B1 (ko) 2015-02-05 2015-07-20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와, 이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무선 충전 가능한 휴대 단말기
KR10-2015-0102536 2015-07-20
KR1020150102537A KR101574214B1 (ko) 2015-04-28 2015-07-20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KR10-2015-0102537 2015-07-20
KR1020150110075A KR101577425B1 (ko) 2014-12-22 2015-08-04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차폐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수신모듈
KR10-2015-0110075 2015-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4959A1 true WO2016104959A1 (ko) 2016-06-30

Family

ID=5615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2576 WO2016104959A1 (ko) 2014-12-22 2015-11-23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610495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7379A (zh) * 2017-12-20 2018-04-20 上海艾临科智能科技有限公司 无线连接的船舶岸电系统
CN112543983A (zh) * 2018-09-19 2021-03-23 阿莫先恩电子电器有限公司 磁场屏蔽片、磁场屏蔽片的制造方法及利用其的天线模块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7006B2 (ja) * 1991-04-04 1995-10-18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
KR20120100217A (ko) * 2011-03-03 2012-09-12 (주)엠에이피테크 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
KR20130076067A (ko) * 2011-12-28 2013-07-08 (주) 씨아이디티 무접점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140048722A (ko) * 2012-10-16 2014-04-24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충전 부품용 자성체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09336A (ko) * 2013-03-05 2014-09-15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장 및 전자파 차폐용 복합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KR20140143119A (ko) * 2013-06-05 2014-12-15 유종삼 ?지가 봉합된 휴대단말기용 nfc 안테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089754A (ko) * 2014-01-28 2015-08-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단말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7006B2 (ja) * 1991-04-04 1995-10-18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
KR20120100217A (ko) * 2011-03-03 2012-09-12 (주)엠에이피테크 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
KR20130076067A (ko) * 2011-12-28 2013-07-08 (주) 씨아이디티 무접점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140048722A (ko) * 2012-10-16 2014-04-24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충전 부품용 자성체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09336A (ko) * 2013-03-05 2014-09-15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장 및 전자파 차폐용 복합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KR20140143119A (ko) * 2013-06-05 2014-12-15 유종삼 ?지가 봉합된 휴대단말기용 nfc 안테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089754A (ko) * 2014-01-28 2015-08-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7379A (zh) * 2017-12-20 2018-04-20 上海艾临科智能科技有限公司 无线连接的船舶岸电系统
CN107947379B (zh) * 2017-12-20 2023-08-01 温州正泰船岸电气有限公司 无线连接的船舶岸电系统
CN112543983A (zh) * 2018-09-19 2021-03-23 阿莫先恩电子电器有限公司 磁场屏蔽片、磁场屏蔽片的制造方法及利用其的天线模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35687A1 (ko)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WO2017014430A1 (ko) 무선전력 송신모듈
WO2016190649A1 (ko) 무선전력 수신모듈
WO2017069581A1 (ko) 차량용 안테나 모듈
WO2017023080A1 (ko) 차량용 무선전력 송신모듈
WO2017074104A1 (ko) 무선전력 전송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WO2017007196A1 (ko) 방열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WO2013183913A1 (ko) 디지타이저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기
CN107112801B (zh) 用于电源事物联盟无线充电式无线电力接收模块的吸引器及其制造方法以及具有其的无线电力接收模块
WO2017078481A1 (ko) 콤보형 안테나 모듈
WO2015009072A1 (ko)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그 안테나를 구비한 스마트폰
WO2018048281A1 (ko) 자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WO2018147649A1 (ko) 자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WO2016186444A1 (ko) 무선충전용 차폐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WO2013095036A1 (ko) 무선 충전기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기용 수신장치
WO2019054747A2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WO2014137151A1 (ko) 자기장 및 전자파 차폐용 복합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WO2017014464A1 (ko) 콤보 안테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WO2017039420A1 (ko) 자기공진방식 무선전력 전송용 자기장 차폐유닛,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및 전자장치
WO2017014467A1 (ko) 콤보 안테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WO2014196830A1 (ko) 기능성 시트, 이를 이용한 방열시트 및 nfc 안테나,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WO2013032205A2 (ko) 이종 충전 방식을 가진 무선 충전 시스템
WO2017007262A1 (ko) 안테나 모듈
WO2014092492A1 (ko) 무선전력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중모드 안테나
KR20190069365A (ko)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734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38613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734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