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365A -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모듈 - Google Patents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365A
KR20190069365A KR1020190067450A KR20190067450A KR20190069365A KR 20190069365 A KR20190069365 A KR 20190069365A KR 1020190067450 A KR1020190067450 A KR 1020190067450A KR 20190067450 A KR20190067450 A KR 20190067450A KR 20190069365 A KR20190069365 A KR 20190069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agnetic body
wireless power
sheet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9780B1 (ko
Inventor
장길재
이동훈
김기철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1447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093029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190067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7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9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5Magnetic shield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01F27/36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Regulation Of General Use Transformers (AREA)

Abstract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폐함과 아울러 소요의 방향으로 집속시키는 자기장 차폐시트;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에 관통형성되는 자성체 수용부; 상기 자성체 수용부에 배치되고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로부터 상기 자성체 수용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분리된 절개편으로 형성된 자성체; 및 서로 대면하는 자성체의 측면 및 자성체 수용부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모듈{Shielding unit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등의 무선충전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구자석이 채용된 무선전력 전송방식에 적용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모듈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에는 내장된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기능이 구비되고 있는데, 이러한 무선 충전은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과,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무선 충전은 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진 방식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자기 유도 방식은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대한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접근을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PMA 방식과 Qi 방식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중, PMA 무선충전 방식은 영구자석과 홀 센서를 이용하여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접근을 감지함으로써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개념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선전력 송신모듈(10)에는 영구자석(14)과 홀 센서(12)가 설치되어 있고, 무선전력 수신모듈(20)에는 차폐시트(24)의 대략 중앙부에 자성체(22)가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무선전력 송신모듈(10)에 대한 무선전력 수신모듈(20)의 접근시 영구자석(14)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력선의 경로가 상기 자성체(22)에 의해 바뀌면서 홀센서(12)에서의 전압값에 차이가 발생되고, 이 전압값의 차이가 일정 이상이 되면 무선전력 수신모듈(20)이 접근한 것으로 인지하여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이 동작함으로써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자성체(22)는 차폐시트(24)의 일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영구자석에서 발생된 자기력선이 상기 자성체(22)로 유도된 후 차폐시트(24)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통과하지 못하고 차폐시트(24)를 따라 흐르게 된다(도 1 화살표 참조).
이에 따라, 무선전력 송신모듈과 무선전력 수신모듈이 서로 근접한 경우 자기장 차폐시트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일부 또는 전체가 상기 직류 자기장에 의한 자화가 발생하여 차폐시트로서의 성능을 떨어지거나 차폐시트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체와 근접한 자기장 차폐시트의 영역(A)은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직류 자기장에 의한 자화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직류 자기장에 의해 자화된 영역(A)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안테나의 경우 성능이 떨어지거나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하여 전송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Qi 방식 중 무선전력 송신모듈과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정렬을 위하여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영구자석을 채용하는 방식이 있다. 즉,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영구자석을 설치하고 무선전력 수신모듈에는 차폐시트의 대략 중앙부에 자성체가 부착된다. 이를 통해, 무선전력 송신모듈 측에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근접시키게 되면 상기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직류자기장을 통하여 영구자석과 자성체가 서로 정렬됨으로써 무선전력 송신모듈과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정렬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에서도 상술한 PMA 방식과 마찬가지로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직류자기장에 의해 차폐시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자화됨으로써 차폐시트로서의 성능을 떨어지거나 차폐시트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상기 직류 자기장에 의해 자화된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안테나의 경우 성능이 떨어지거나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하여 전송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KR 10-1188808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직류자기장을 유도하기 위한 자성체가 자기장 차폐시트와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되거나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직류자기장이 자기장 차폐시트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경감시켜 안테나의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성체의 일부 또는 전체두께가 자기장 차폐시트에 수용됨으로써 무선충전 방식에서 요구되는 조건 및 특성을 안정적으로 만족 또는 구현하면서도 박형화를 구현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폐함과 아울러 소요의 방향으로 집속시키는 자기장 차폐시트;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에 관통형성되는 자성체 수용부; 상기 자성체 수용부에 배치되고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로부터 상기 자성체 수용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분리된 절개편으로 형성된 자성체; 및 서로 대면하는 자성체의 측면 및 자성체 수용부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일면에는 판상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지지부재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방열시트이거나 적어도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접착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박판의 금속시트일 수 있고, 상기 금속시트는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턴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슬릿 및 소정의 면적을 갖는 관통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극은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와 상기 자성체의 직접적인 접촉을 완전히 차단하여 상기 영구자석에서 발생된 직류자기장에 의해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가 자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편은 상기 자성체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한 타발 공정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로부터 분리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유기되는 무선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함과 아울러 소요의 방향으로 집속시키는 자기장 차폐시트;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에 관통형성되는 자성체 수용부; 상기 자성체 수용부에 배치되고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로부터 상기 자성체 수용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분리된 절개편으로 형성된 자성체; 및 서로 대면하는 자성체의 측면 및 자성체 수용부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테나 유닛은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 MST 안테나 및 NFC 안테나 중 적어도 2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콤보형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무선전력 전송모듈이 휴대 단말기 본체의 리어 케이스 또는 백커버에 설치되어 무선전력 수신모듈로 작동하는 무선 충전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구자석에서 발생된 직류자기장을 유도하여 외부로 방출시켜 자기장 차폐시트로 유입되는 직류자기장의 양을 경감시킴으로써 자기장 차폐시트의 자화를 방지하여 충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자성체의 일부 또는 전체 두께가 자기장 차폐시트에 수용될 수 있으므로 무선전력 전송모듈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 없이 충분한 두께의 자성체를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무선전력 전송모듈, 특히 무선전력 수신모듈이 박형으로 설계되더라도 무선충전 방식에서 요구하는 모든 조건 및 특성을 만족할 수 있어 경박단소형화 된 휴대 단말기에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영구자석이 포함된 무선충전 방식의 충전 시스템에서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직류자기장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그리고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자성체와 자기장 차폐시트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그리고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d는 도 5의 금속시트에 형성되는 다양한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모듈을 채용한 무선충전 방식 충전 시스템에서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자성체에 의해 유도되어 차폐시트의 포화가 방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모듈이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모듈(100,200)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111,112,113), 차폐유닛(120) 및 자성체(13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전송모듈(100,200)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90)에 내장되어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무선전력 송신모듈(10)로부터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전력 수신모듈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전력 전송모듈(100,200)은 상기 휴대 단말기(90) 본체의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고, 백커버(92) 또는 리어 케이스(94)의 일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백커버(92) 또는 리어 케이스(94)와 일체화될 수도 있다.
상기 안테나(111,112,113)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휴대폰, PDA, PMP, 테블릿, 멀티미디어 기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와 무선 신호를 송출하거나 수신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안테나(111,112,113)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되는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상의 평판형 코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를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이미드(PI)나 PET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회로기판(114)의 적어도 일면에 동박 등과 같은 전도체를 패터닝하거나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여 루프 형상의 금속패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안테나(111,112,113)가 상기 회로기판(114)에 루프 형상으로 패턴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안테나는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코일(Rx coil)의 역할을 수행하는 무선전력전송(Wireless Power Transfer)용 안테나(111)를 포함하며,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안테나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테나는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11) 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111) 이외에 마그네틱 보안 결제(Magnetic Secure Transmission)를 위한 MST용 안테나(112) 및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위한 NFC용 안테나(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콤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폐유닛(120)은 상기 안테나(111,112,113)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안테나(111,112,113)에 유기되는 무선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함과 아울러 소요의 방향으로 집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차폐유닛(120)은 자기장 차폐시트(122) 및 자성체 수용부(12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2)는 소정 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자기장을 차폐함과 아울러 소요의 방향으로 집속시킬 수 있도록 자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자기장 차폐시트(122)는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2)는 비정질 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리본시트, 페라이트 시트 또는 폴리머 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정질 합금은 Fe계 또는 Co계 자성 합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Mn-Zn 페라이트 또는 Ni-Zn 페라이트와 같은 소결 페라이트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2)는 플레이크 처리되어 복수 개로 분리형성될 수 있으며, 다층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2)는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111,112,113)가 구비되는 경우 해당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종의 재질로 이루어진 차폐시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종의 차폐시트는 적층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측에 수용되는 액자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자기장 차폐시트(122)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차폐시트로 사용되는 재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재료가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폐유닛(120)은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2)에 자성체(130)를 수용하기 위한 자성체 수용부(124)가 관통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성체(130)는 무선전력 전송모듈(100,200)이 영구자석(14)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10)에 접근할 때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의 경로를 변경시켜줌으로써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동작 개시 조건을 만족하는 홀센서(12)에서의 전압값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어트랙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자성체(130)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근접시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구비되는 영구자석과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정렬을 위한 정렬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자성체(130)는 상기 자성체 수용부(124)에 삽입배치되며 상기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선을 유도하여 자속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무선전력 송신모듈과의 정렬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구비되는 영구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자성체(130)는 상기 안테나의 중앙부 공간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2)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도 있고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2)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130)는 상기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직류자기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자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상기 자성체(130)는 실리콘 스틸(FeSi), 비정질 합금 및 나노결정립 합금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박판의 리본시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페라이트, 퍼멀로이,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자성체(130)는 단층의 비정질 리본시트로 구성될 수도 있고, 2층 이상의 비정질 리본시트가 다층으로 적층될 수도 있으며, 플레이크 처리되어 다수의 조각으로 분리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자성체 수용부(124)는 내부에 수용되는 자성체(130)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자성체(130)는 상기 자성체 수용부(1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대면하는 자성체(130)의 측면과 자성체 수용부(124)의 내면 사이에 소정의 간극(126)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대면하는 자성체(130)의 측면과 자성체 수용부(124)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26)은 상기 자성체(130)의 둘레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자성체 수용부(124)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도록 구비되는 자성체(130)는 상기 자성체 수용부(124)의 내면과 대면하는 모든 측면이 상기 자성체 수용부(124)의 내면과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자성체 수용부(124)의 내면과 대면하는 측면 중 일부는 상기 자성체 수용부(124)의 내면과 접촉되고 나머지 측면은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자성체 수용부(124)에 삽입 배치되는 자성체(130)는 상기 자성체 수용부(124)의 내면과 대면하는 전체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자성체 수용부(124)의 내면과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더불어, 서로 대면하는 자성체(130)의 측면과 자성체 수용부(124)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26)이 상기 자성체(130)의 둘레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간극(126)은 10㎛~5m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성체(130)는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2)와 물리적으로 분리됨과 아울러 자기장 차폐시트(122)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거나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되며, 상기 자성체(130)의 측면을 제외한 상부면과 하부면은 자기장 차폐시트(122)가 배치되지 않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자성체(130)가 영구자석(14)의 수직 상부 또는 수직 상부와 근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모듈(100,200)이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 측으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영구자석(14)에서 발생된 직류자기장은 자속의 경로가 자성체(130) 측으로 유도된 후 외부로 방출된다. 더불어, 상기 영구자석에서 발생된 직류자기장이 자기장 차폐시트 측으로 직접 유입되더라도 유입되는 자속의 양이 경감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자성체(130) 주위 영역의 자기장 차폐시트(122)는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직류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자성체(130)가 자기장 차폐시트(122)와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간극(126)을 통해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거나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자성체(130) 측으로 유도된 직류자기장이 자성체(130)의 횡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자기장 차폐시트(122) 측으로 직접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자성체와 근접한 일부영역이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직류자기장에 의해 자화되어 차폐시트로서의 성능이 저하되던 종래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자성체와 근접한 영역에서도 목적하는 차폐성능과 유사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성체에 근접하게 위치한 안테나의 성능저하를 방지하여 목적하는 전송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성체 수용부(124) 및 자성체(130)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4 참조). 일례로, 상기 자성체 수용부(124) 및 자성체(13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자기장 차폐시트를 자성체(130)에 해당하는 면적만큼 타발하여 상기 자성체 수용부(124)를 구성하고 타발된 부분을 자성체(130)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타발공정에 의해 타발된 부분을 자성체(130)로 사용함으로써 재료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타발공정을 통해 자성체 수용부(124) 및 자성체(130)를 동시에 형성하는 경우 상기 자성체(130) 및 자성체 수용부(124) 사이에는 타발시 사용되는 칼날 또는 금형에 의하여 상기 칼날 또는 금형의 두께에 해당하는 간극도 동시에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타발이 완료되면 별다른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상기 자성체 수용부(124)에 자성체(130)가 소정의 간극을 두고 삽입된 상태가 되므로 자성체 수용부(124)에 자성체(130)를 삽입하기 위한 추가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써, 비정질 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리본시트로 이루어진 자기장 차폐시트를 소정의 면적만큼 타발하여 자성체 수용부를 형성하고 타발된 부분을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을 유도하기 위한 자성체로 활용함으로써 자기장 차폐시트 및 자성체가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성체 수용부(124)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에 구비되는 영구자석(14)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자성체 수용부(124)는 상기 영구자석(14)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자성체(130)의 중심점이 영구자석(14)의 중심점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무선전력 전송모듈(100,200)과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영구자석(14)과 대응되는 면적의 직상부 영역에 자기장 차폐시트(122)가 배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상기 영구자석(14)의 직상부 측에는 자성체(130) 또는 자성체(130)와 자성체 수용부(124) 사이에 형성된 간극(126)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영구자석(14)에서 발생된 직류 자기장이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2)로 직접 유도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안테나의 성능저하를 방지하여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는, 하기의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즉, 비교예는 종래의 방식과 동일하게 자성체를 차폐시트의 일면에 부착한 경우의 충전효율이고, 실시예 1은 자성체 수용부(124)를 직경 19mm로 형성하고 자성체 수용부의 내면 및 자성체의 측부 사이의 간격이 1mm인 경우의 충전효율이며, 실시예 2는 자성체 수용부(124)를 직경 17mm로 형성하고 자성체 수용부의 내면 및 자성체의 측부 사이의 간격이 1mm인 경우의 충전효율이다.
여기서, 비교예, 실시예 1 및 실시예2의 경우 자성체 수용부의 크기 및 형성유무를 제외하고,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 및 자기장 차폐시트는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자성체 역할 전류 자성체를 차폐시트의 일면에 부착한 경우 충전효율
(비교예)
직경 19mm의 자성체 수용부에 자성체 배치한 경우의 충전효율
(실시예1)
직경 17mm의 자성체 수용부에 자성체 배치한 경우의 충전효율
(실시예2)
위치 정렬용
500mA 63.6% 67.5% 65.8%
600mA 65.6% 69.0% 67.9%
700mA 66.9% 70.2% 68.9%
800mA 67.8% 70.5% 69.3%
900mA 67.8% 71.1% 70.0%
1000mA 68.1% 71.3% 70.5%
어트랙터 500mA 53.7% 55.9% 57.7%
600mA 55.3% 57.3% 58.9%
700mA 56.3% 58.2% 60.1%
800mA 57.3% 59.1% 61.0%
900mA 58.2% 59.9% 61.9%
1000mA 58.7% 60.4% 62.5%
위의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통상적인 무선충전시 사용되는 1A의 전류를 인가하였을 때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자성체의 역할과 상관없이 무선충전방식에서 요구하는 60%이상의 충전효율을 모두 만족하고 있다. 그러나, 비교예의 경우에는 어트랙터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충전효율이 60%를 만족하지 못하며, 위치 정렬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비하여 충전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모듈(100,200)은 상기 자성체(130)가 자기장 차폐시트(122)에 관통형성되는 자성체 수용부(124)에 삽입되어 자성체(130)의 일부 또는 전체두께가 수용됨으로써 무선전력 전송모듈(100,200)에 자성체(130)가 포함되더라도 무선전력 전송모듈(100,200)을 박형화로 구현할 수 있으며, 무선전력 전송모듈(100,200)의 전체두께가 박형화되더라도 충분한 두께를 갖는 자성체(13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무선전력 전송모듈(100,200)의 전체두께가 제한되더라도 자성체 수용부(124)를 통해 자성체(130)의 전체두께 중 적어도 일부의 두께를 수용함으로써 요구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의 두께를 만족하면서도 무선충전 방식에서 요구되는 모든 조건 및 특성을 안정적으로 만족 또는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폐유닛(120)은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2)의 일면에 별도의 지지부재(140,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40,240)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성체 수용부(124)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자성체 수용부(124)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140,240)는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2)와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2)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단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성체(130)는 상기 자성체 수용부(1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면이 상기 지지부재(140,240)에 부착됨으로써 자성체 수용부(124)의 내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간극(126)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40)는 열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시트일 수 있고, 적어도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접착부재일 수도 있으며,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2)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일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부재(140)는 열전도도가 우수한 흑연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방열시트일 수 있고, 공지의 양면테이프 또는 단면테이프일 수 있으며, PET 등과 같은 불소 수지계 보호필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2)에 부착되는 박판의 금속시트일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240)가 열전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박판의 금속시트로 구현됨으로써 열원으로부터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기능과 더불어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2)를 보호하는 보호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금속시트는 열전도도가 200W/m·K 이상의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알루미늄박 또는 동박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40)가 박판의 금속시트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240)는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142,144)을 포함할 수 있다(도 7a 내지 도 7d 참조). 이와 같은 패턴(142,144)은 상기 지지부재(240)의 전체적인 저항을 높여줌으로써 무선전력을 이용한 무선충전시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하여 충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패턴(142,144)은 상기 금속시트에 전체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랜덤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패턴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슬릿(142)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관통공(144)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슬릿(142)과 관통공(144)이 혼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릿은 상기 금속시트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절개부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금속시트의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구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절개부와 관통구가 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모듈(100,2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90)의 리어 케이스(94) 또는 백커버(92)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모듈(100,2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이 채용된 무선전력 송신모듈(10) 및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무선충전 방식 충전 시스템(1)에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모듈(100,200)은 영구자석이 채용된 무선충전 방식 충전 시스템(1)에서 무선전력 수신모듈일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이 접근하면 동작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로 공급하며, 무선전력 수신모듈은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전력으로 휴대 단말기의 내장 배터리를 충전한다.
도 8에서 참조부호 14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하는 홀센서 및 영구자석이며, 부호 16은 송신용 무선전력전송 안테나이다.
여기서, 상기 홀센서는 상기 영구자석이 채용된 무선충전 방식 충전 시스템(1)이 Qi 방식으로 작동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영구자석이 채용된 무선충전 방식 충전 시스템(1)이 Qi 방식으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자성체(130)와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무선전력 송신모듈과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정렬하기 위한 정렬용으로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모듈(100,200)은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영구자석이 채용되는 PMA 방식 및 Qi 방식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영구자석이 채용되는 형태라면 다른 무선충전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200 : 무선전력 전송모듈 111 :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
112 : MST용 안테나 113 : NFC용 안테나
114 : 회로기판 120 : 차폐유닛
122 : 자기장 차폐시트 124 : 자성체 수용부
126 : 간극 130 : 자성체
140,240 : 지지부재 142,144 : 패턴

Claims (18)

  1.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폐함과 아울러 소요의 방향으로 집속시키는 자기장 차폐시트;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에 관통형성되는 자성체 수용부;
    상기 자성체 수용부에 배치되고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로부터 상기 자성체 수용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분리된 절개편으로 형성된 자성체; 및
    서로 대면하는 자성체의 측면 및 자성체 수용부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일면에는 판상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지지부재에 직접 부착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방열시트이거나 적어도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접착부재인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박판의 금속시트인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시트는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슬릿 및 소정의 면적을 갖는 관통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와 상기 자성체의 직접적인 접촉을 완전히 차단하여 상기 영구자석에서 발생된 직류자기장에 의해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가 자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편은 상기 자성체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한 타발 공정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로부터 분리형성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9.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유기되는 무선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함과 아울러 소요의 방향으로 집속시키는 자기장 차폐시트;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에 관통형성되는 자성체 수용부;
    상기 자성체 수용부에 배치되고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로부터 상기 자성체 수용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분리된 절개편으로 형성된 자성체; 및
    서로 대면하는 자성체의 측면 및 자성체 수용부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무선전력 전송용 안테나, MST 안테나 및 NFC 안테나 중 적어도 2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콤보형인 무선전력 전송모듈.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의 일면에는 판상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지지부재에 직접 부착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방열시트이거나 상기 지지부재는 적어도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접착부재인 무선전력 전송모듈.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박판의 금속시트인 무선전력 전송모듈.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시트는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슬릿 및 소정의 면적을 갖는 관통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와 상기 자성체의 직접적인 접촉을 완전히 차단하여 상기 영구자석에서 발생된 직류자기장에 의해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가 자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1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편은 상기 자성체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한 타발 공정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로부터 분리형성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18. 청구항 제9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선전력 전송모듈이 휴대 단말기 본체의 리어 케이스 또는 백커버에 설치되는 무선 충전 가능한 휴대 단말기.
KR1020190067450A 2016-02-04 2019-06-07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모듈 KR102359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450A KR102359780B1 (ko) 2016-02-04 2019-06-07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470A KR20170093029A (ko) 2016-02-04 2016-02-04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모듈
KR1020190067450A KR102359780B1 (ko) 2016-02-04 2019-06-07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470A Division KR20170093029A (ko) 2016-02-04 2016-02-04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365A true KR20190069365A (ko) 2019-06-19
KR102359780B1 KR102359780B1 (ko) 2022-02-08

Family

ID=8025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450A KR102359780B1 (ko) 2016-02-04 2019-06-07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7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2976A3 (ko) * 2019-06-26 2021-02-18 주식회사 아모센스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 이를 포함하는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무선 이어폰용 충전 크래들
WO2021194259A1 (ko) * 2020-03-24 2021-09-30 주식회사 아모센스 수신 안테나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WO2022169306A1 (ko) * 2021-02-05 2022-08-11 주식회사 아모센스 안테나 모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휴대 단말용 케이스
WO2022260394A1 (ko) * 2021-06-07 2022-1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코일 안테나와 자석을 갖는 전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574B1 (ko) * 2012-03-13 2012-07-06 주식회사 나노맥 무선인식 및 무선충전 겸용 전자파흡수체와 이를 포함하는 무선인식 및 무선충전 겸용 무선안테나, 그것의 제조방법
KR101188808B1 (ko) 2011-03-03 2012-10-09 (주)엠에이피테크 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
KR20140117882A (ko) * 2013-03-27 2014-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연자성 시트,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의 무선 충전 방법
KR101559939B1 (ko) * 2015-07-07 2015-10-1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무선충전용 방열유닛
KR101574214B1 (ko) * 2015-04-28 2015-12-04 주식회사 아모센스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808B1 (ko) 2011-03-03 2012-10-09 (주)엠에이피테크 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
KR101163574B1 (ko) * 2012-03-13 2012-07-06 주식회사 나노맥 무선인식 및 무선충전 겸용 전자파흡수체와 이를 포함하는 무선인식 및 무선충전 겸용 무선안테나, 그것의 제조방법
KR20140117882A (ko) * 2013-03-27 2014-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연자성 시트,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의 무선 충전 방법
KR101574214B1 (ko) * 2015-04-28 2015-12-04 주식회사 아모센스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KR101559939B1 (ko) * 2015-07-07 2015-10-1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무선충전용 방열유닛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2976A3 (ko) * 2019-06-26 2021-02-18 주식회사 아모센스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 이를 포함하는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무선 이어폰용 충전 크래들
WO2021194259A1 (ko) * 2020-03-24 2021-09-30 주식회사 아모센스 수신 안테나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WO2022169306A1 (ko) * 2021-02-05 2022-08-11 주식회사 아모센스 안테나 모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휴대 단말용 케이스
WO2022169162A1 (ko) * 2021-02-05 2022-08-11 주식회사 아모센스 안테나 모듈
KR20220113289A (ko) * 2021-02-05 2022-08-12 주식회사 아모센스 안테나 모듈,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휴대 단말용 케이스
WO2022260394A1 (ko) * 2021-06-07 2022-12-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코일 안테나와 자석을 갖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780B1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3029A (ko)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모듈
KR102553219B1 (ko) 차량용 무선전력 송신모듈
KR101810001B1 (ko) 무선전력 수신모듈
KR20190069365A (ko) 무선전력 전송모듈용 차폐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모듈
CN107912075B (zh) 车辆用无线电力传输模块
KR101795545B1 (ko)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콤보 안테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CN107646157B (zh) 用于无线充电的屏蔽单元和包括其的无线电能传输模块
KR101827721B1 (ko) 차량용 안테나 모듈
KR102565032B1 (ko) 무선전력전송용 일체형 자기장 차폐성 방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 모듈
KR20130050633A (ko) 하이브리드형 자기장 차폐시트,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기
KR20170053142A (ko) 콤보형 안테나 모듈
KR101939663B1 (ko) 무선충전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KR20130014546A (ko) 무선 전력 전송용 자기 소자 및 전력 공급 장치
KR101577425B1 (ko) Pma 무선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차폐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수신모듈
KR20170017416A (ko) 무선충전용 안테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KR20160129927A (ko) 무선통신 안테나
KR102154258B1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KR20140117882A (ko) 연자성 시트,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의 무선 충전 방법
KR102576108B1 (ko)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KR102154257B1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