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99120A1 - 고분자 - Google Patents

고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99120A1
WO2016099120A1 PCT/KR2015/013738 KR2015013738W WO2016099120A1 WO 2016099120 A1 WO2016099120 A1 WO 2016099120A1 KR 2015013738 W KR2015013738 W KR 2015013738W WO 2016099120 A1 WO2016099120 A1 WO 201609912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lymer
monomer
group
cal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373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수정
윤정애
윤성수
김경섭
최기환
채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580045731.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604942B/zh
Priority to EP15870287.8A priority patent/EP3176188B1/en
Priority to JP2017508509A priority patent/JP2017524792A/ja
Priority to US15/503,915 priority patent/US10023664B2/en
Publication of WO201609912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99120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6C6-(meth)acrylate, e.g. (cyclo)hexyl (meth)acrylate or phenyl (meth)acry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1C10or C11-(Meth)acrylate, e.g. isodecyl (meth)acrylate, isobornyl (meth)acrylate or 2-naph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Definitions

  •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polymer and a film former containing the polymer.
  • Functional polymers may be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cosmetics or pharmaceuticals.
  • cosmetics or medicines applied to cosmetics such as mascara or other skins may require a polymer having resistance to solvent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such as sweat, tears, and sebum.
  • Patent documents 1 and 2 describe polymers applied to the manufacture of cosmetics.
  •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119140
  • 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3-055136
  •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polymer and a film former containing the polymer.
  • the present application exhibits low solubility in both polar and non-polar solvents, and is applied to articles used in the human body, such as cosmetics or medical articles such as mascara, so that it is resistant to sweat and sebum, and has a film forming ability suitable for the application. It is one of the main objectives to provide a polymer and its use.
  • nonpolar solvent means a solvent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at 25 ° C in the range of about 1 to 3, about 1.5 to 2.5, or about 1.5 to 2, and the term polar solvent at 25 ° C. It means a solvent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of in the range of about 75 to 85 or about 75 to 80.
  • nonpolar solvents include hexane (dielectric constant (25 ° C.): about 1.89), and representative examples of polar solven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water (dielectric constant (25 ° C.): about 78.54). Dielectric constants are known for each solvent in chemistry.
  • the polymer may have a solubility in the polar solvent of 10 or less or 5 or less. In one example, the polymer may have a solubility in the nonpolar solvent of 10 or less or 5 or less.
  • the lower limit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ecause the lower the solubility, the higher the value means that the polymer is more resistant to the solvent.
  • the solubility in the polar and nonpolar solvents may be at least about 0.001, at least about 0.01, at least about 0.1, or at least about 1. Solubility in a particular solvent in the present application means the number of grams (g) of the polymer that can be dissolved to the maximum with respect to 100 g of the solvent.
  • solubility in the present application means the solubility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 ambient temperature in this application is a naturally occurring temperature that is warmed or undecreased, for example, in the range of about 10 ° C. to 30 ° C., about 15 ° C. to 30 ° C., or about 20 ° C. to 30 ° C. It may be a degree of temperature.
  • the property is a property at room temperature unless otherwise specified.
  • the polymer may exhibit solubility for a solvent in the intermediate stage of the polar and nonpolar solvents.
  • the polymer may have a solubility in a solvent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at 25 ° C. in the range of 4 to 15, 5 to 15, 5 to 10, 5 to 8, or 5 to 6.5, at least 15 or about It may be in the range of 15 to 50.
  • a solvent ethyl acetate (dielectric constant (25 ° C.): about 6.02) may be exemplif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lymer may be manufactured, for example, by controlling the type and ratio of monomers forming the polymer.
  • the polymer may be a polymer unit of a first monomer having a solubility parameter of less than 10 (cal / cm 3 ) 1/2 of a single polymer and a second having a solubility parameter of at least 10 (cal / cm 3 ) 1/2 of a single polymer. And polymerized units of monomers.
  • the solubility parameter in the present application means a solubility parameter of a single polymer (homopolymer) prepared by polymerizing the monomer, through which the degree of hydrophilicity and hydrophobicity of the monomer can be determined.
  • the manner of obtaining the solubility paramet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in accordance with methods known in the art.
  • the parameter may be calculated or obtained according to a method known in the art as a so-called Hansen solubility parameter (HSP).
  • the solubility parameter of the single polymer of the first monomer is, in another example, 5 (cal / cm 3 ) 1/2 to 9.5 (cal / cm 3 ) 1/2 or 7 (cal / cm 3 ) 1/2 to 9 (cal / cm 3 ) may be in the range of about 1/2 .
  • the solubility parameter of the second monomer in the above is 10 (cal / cm 3 ) 1/2 to 15 (cal / cm 3 ) 1/2 or 10 (cal / cm 3 ) 1/2 to 13 (cal / cm 3 ) may be in the range of 1/2 . It is possible to form a polymer exhibiting the above-described properties by appropriately applying a monomer having a solubility parameter in this range.
  • the polymerization unit of a certain monomer or compound in this application means the form in which the monomer or compound is contained as a monomer unit in a polymer through a polymerization reaction.
  • alkyl (meth) acrylate or aromatic (meth) acrylate can be illustrated.
  • the term (meth) acrylate may mean acrylate or methacrylate.
  • alkyl group contained in the said alkyl (meth) acrylate a C1-C20, C4-C20, C8-C20 or C10-C20 linear, branched or cyclic alkyl group can be illustrated,
  • the said The alkyl group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by one or more substituents.
  • aryl (meth) acrylate or arylalkyl (meth) acrylate can be illustrated.
  • the aryl group of aryl or arylalkyl may be, for example, an aryl group having 6 to 24 carbon atoms, 6 to 18 carbon atoms, or 6 to 12 carbon atoms.
  • the alkyl group of the arylalkyl may be, for example,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1 to 16 carbon atoms, 1 to 12 carbon atoms, 1 to 8 carbon atoms, or 1 to 4 carbon atoms.
  • the alkyl group may be linear, branched or cyclic, and the alkyl group or aryl group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 aryl group or arylalkyl group examp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henyl group, phenylethyl group, phenylpropyl group or naphthyl group.
  • the first monomer for example,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can be exemplified.
  • Q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 B may be a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yl group having 4 or more carbon atoms or an alicyclic hydrocarbon group, or an aromatic substituent such as the aryl group or the arylalkyl group.
  • Examples of the alkyl group present in Q in Formula 1 may include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1 to 16 carbon atoms, 1 to 12 carbon atoms, 1 to 8 carbon atoms, or 1 to 4 carbon atoms.
  • the alkyl group may be linear, branched or cyclic.
  • the alkyl group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 B may be a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yl group having 4 or more carbon atoms, 6 or more carbon atoms, or 8 or more carbon atoms.
  • Such compounds containing relatively long alkyl groups are known as hydrophobic compounds.
  • the upper limit of the carbon number of the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alkyl group may be an alkyl group having 20 or less carbon atoms.
  • B may be, in another example, an alicyclic hydrocarbon group, for example, an alicyclic hydrocarbon group having 3 to 20 carbon atoms, 3 to 16 carbon atoms, or 6 to 12 carbon atoms, and examples of such hydrocarbon group include cyclohexyl group or iso And an alicyclic alkyl group having 3 to 20 carbon atoms, 3 to 16 carbon atoms, or 6 to 12 carbon atoms, such as a bornyl group, and the like.
  • the compound which has alicyclic hydrocarbon group is also known as a relatively hydrophobic compound.
  • substituents that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with the alkyl group, the alkylene group, or the aromatic substituent in the general formula (1) or the general formula (2) or 3 described later include halogen, glycidyl group, epoxyalkyl group, glyco, such as chlorine or fluorine.
  • Epoxy groups such as a cydoxyalkyl group or an alicyclic epoxy group, acryloyl group, methacryloyl group, an isocyanate group, a thiol group, an alkyl group, an alkenyl group, an alkynyl group, or an aryl group etc. can be illustrat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 An appropriate kind may be selected and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desired polymer among the monomers as described above.
  • the second monomer a monomer selected from monomers known to have the solubility parameter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 Q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 U is an alkylene group
  • Z is a hydrogen or alkyl group
  • m is any number:
  • Q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 a and U are each independently an alkylene group
  • X is a hydroxy group or a cyano group
  • n is any number.
  • Examples of the alkylene group in Chemical Formulas 2 and 3 include alkylene groups having 1 to 20 carbon atoms, 1 to 16 carbon atoms, 1 to 12 carbon atoms, 1 to 8 carbon atoms, or 1 to 4 carbon atoms.
  • the alkylene group may be linear, branched or cyclic.
  • the alkyl groupene group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 alkyl groups present in Q and Z in the formulas (2) and (3)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1 to 16 carbon atoms, 1 to 12 carbon atoms, 1 to 8 carbon atoms, or 1 to 4 carbon atoms may be exemplified.
  • the alkyl group may be linear, branched or cyclic.
  • the alkyl group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 M and n in the formulas (2) and (3) are any number, for example, independently 1 to 100, 1 to 90, 1 to 80, 1 to 70, 1 to 60, 1 to 50, 1 to 40, 1 It may be a number in the range of 30 to 1, 20, 1 to 16 or 1 to 12.
  • Q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 U i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 Z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 m Silver may use a compound of about 1 to 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lymer may be prepared by polymerizing the first and second monomers at an appropriate ratio.
  • the polymer may include 50 to 99.9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monomer polymerization unit and 0.1 to 20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 monomer polymerization unit.
  • the first monomer polymerization unit may be present in another example of 60 to 99.9 parts by weight, 70 to 99.9 parts by weight, or 80 to 99.9 parts by weight.
  • the second monomer polymerization unit may be included in 5 to 20 parts by weight or 7 to 20 parts by weight. Unit parts by weight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refer to the ratio of the weight between each component unless otherwise specified.
  • the weight ratio of the monomer polymerization unit in the above may mean the weight ratio of the monomer applied when the polymer is prepared.
  • the weight of the first monomer and the second monomer is 50 to 99.9: 0.1 to 20.
  • the monomer mixture including the ratio (first monomer: second monomer) may be polymerized to form the polymer.
  • the weight ratio of the second monomer in the polymer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or if the weight ratio of the first monomer is more than 99.9 parts by weight, resistance to oily solvents or sebum resistance may not be sufficient, and the weight ratio of the second monomer may be If it exceeds 20 parts by weight, or if the weight ratio of the first monomer is less than 50 parts by weight, the polymer may not be formed by phase separation or the like, or may not be sufficiently resistant to a polar solvent or to sweat or tear.
  • the polymer may include at least 50%, at least 55%, at least 60%, at least 65%, at least 70%, at least 75%, or at least 80% of the polymerized units of the first monomer by weight.
  • the proportion of the first monomer polymerized unit is 99% or less, 98% or less, 97% or less, 96% or less, 95% or less, 94% or less, 93% or less, 92% or less, 91% or less or 90 based on the weight. It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 the polymer may include 40 parts by weight, 35 parts by weight, 30 parts by weight, 25 parts by weight, 25 parts by weight, 2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ed unit of the second monome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ed unit of the first monomer. Or less, 15 parts by weight or less, 10 parts by weight or less, or about 8 parts by weight or less.
  • the polymerization unit of the second monomer may be included in a ratio of about 0.1 parts by weight, 0.15 parts by weight, 0.2 parts by weight or 5 parts by weight or mor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tion units of the first monomer. While the resistance to oily solvents or sebum resistance at the above ratio is secured, resistance to polar solvents, or resistance to sweat or tears can be effectively ensured.
  • the polymer may include additional monomers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first and second monomers to impart other functions, for example, to control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the polymer may be prepared by a known polymerization method using the first and second monomers.
  • the polymer may be prepared by a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using a solvent, for example, an organic solvent, for example, radical solution polymerization.
  • a solvent for example, an organic solvent, for example, radical solution polymerization.
  • the solvent in the polymerization process may be used by selecting a solvent friendly to the human body.
  • isododecane, isoparaffin, isohexadecane and the like can be exemplif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lymer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in a range of 10,000 to 500,000.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ay be, for example, a conversion value with respect to standard polystyrene measured using a gel permeation chromatograph (GPC),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term molecular weight may refer to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have.
  •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
  • Mw weight
  • Such molecular weight (Mw) may be useful, for example, when the polymer is applied as a film former. Using the polymer in the molecular weight (Mw) range can be formed efficiently without agglomeration phenomenon.
  • the polymer may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0 ° C. or more.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ay be 15 ° C. or more, 20 ° C. or more, 25 ° C. or more, or 30 ° C. or more.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olymer may be about 110 ° C. or less, about 100 ° C. or less, 90 ° C. or less, 80 ° C. or less, 70 ° C., 60 ° C. or less, or 55 ° C. or less.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a theoretical value obtained through the so-called Fox equation from the monomer composition of the polymer.
  • Suc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ay be useful, for example, when the polymer is applied as a film former. Using the polymer in the range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t may be possible to form the film efficiently without stickiness or breakage.
  • the present application also relates to a film former, a cosmetic composition or a cosmetic comprising the polymer.
  • a film former By using the above-described polymer, it is possible to form a uniform film (coating) by application or the like, and exhibit high stability even when applied to the skin, and exhibit resistance to both polar and non-polar solvents, such as sweat, tear or sebum. It can show good resistance to a variety of such solvents.
  • the polymer may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variety of cosmetics, including cosmetic packs, makeup such as mascara applied to the mouth or eyes, nail polish, lipstick, eye shadow, hair styling agent or eyeliner, etc. It can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film formers or cosmetic compositions.
  • the polymer or the film-forming agent may be applied to the pharmaceutical use by the above characteristics, and as a medicinal use, a band-aid or a transdermal absorption preparation may be exemplified.
  • the ratio of the polymer in the film former,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cosmetic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pplication.
  •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in the composition may be in the range of 1% to 20% by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lm former,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cosmetic may further include other active ingredients depending on the use.
  • active ingredients cosmetic ingredients such as whitening or sun protection, as well as medicinal ingredients,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or pharmac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and the like can be exemplified.
  • an active ingredient a local anesthetic component (lidocaine, dibucaine hydrochloride, dibucaine, ethyl aminobenzoate, etc.), an analgesic component (salicylic acid derivatives such as methyl salicylate, indomethacin, pyricampam, ketoprofen, pervinac, etc.
  • anti-inflammatory components glyciric acid, glycyrrhizin acid salts such as glycyrrhizin acid, glycyrrhetinic acid, glycyrrhetinic acid, stearyl glycerin, bepexamark, nicotinic acid benzyl, hydrocortisone, butyric acid hydrocortisone, Acetic hydrocortisone, acetic acid prednisone, acetic acid prezonizone, presonizone, dexamethasone, dexamethasone acetate, dimethyl isopropyl azulene yvpropenepicononor, alnica extract, golden extract, toad Isaac extract, chamomile extract Min, licorice ekis, guai azulene, gardenia extract, gentian extract, black tea extract, tocopherol, tocopherol acetate, root root extract, Early extract,
  • the film former,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cosmetic may include other solvents, solvents, or additives depending on the use.
  • alcohols eg, polyethylene glycol, etc.
  • ethers such as diethyl ether
  • glycol ethers eg, methyl cellosolve, etc.
  • Cellosolves dialkylene glycol alkyl ethers such as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etc.), nitrile (acetonitrile, etc.), ketones (acetone, etc.) or esters (such as carboxylic acid alkyl esters such as ethyl acetate) And the like can be exemplified.
  • additives include plasticizers, wetting agents, defoamers, colorants, preservatives, fragrances, flavors, pigments, thickeners, and the like, as well as conventional ingredients used in quasi-drugs, pharmaceuticals, or cosmetics, such as powdered bases or carriers ( Binders, disintegrants, excipients or glidants, etc.), oily bases or carriers (animal oils, waxes, petrolatum, paraffin oils, silicone oils, higher fatty acid esters or higher fatty acids, etc.), aqueous bases or carriers (gel bases such as xanthan gum) Preservatives, chelating agents, antioxidants, coolants, stabilizers, glidants, emulsifiers, thickeners, buffers, dispersants, adsorbents, moisturizers, wetting agents, desiccants, antistatic agents or other resins (polyamide-based resin hydrogenation) Olefin resins such as polybutene);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manner of preparing the film former, the cosmetic composition, the cosmetic, and the like using the above components or, if necessary, additional other known component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known methods may be applied.
  • the polym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and for example, when applied to cosmetics or other medicinal uses such as mascara, etc., it may exhibit resistance to various solvents such as sebum, sweat, and tears, thereby maintaining the persistence of makeup and the like. It can be used as a film forming agent, a cosmetic composition or cosmetics.
  • the solvent is volatilized by maintaining the polymer solution prepared in Examples or Comparative Examples at a temperature of about 150 ° C. for about 60 minutes.
  • 1 g of the polymer in which the solvent is volatilized is collected.
  • the collected 1 g of the polymer is added to 5 g of a solvent (hexane, ethyl acetate, acetone or water),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and then the remaining undissolved polymer is removed.
  • the clear solution from which residual polymer was removed was aliquoted and dried at 150 ° C. for 30 minutes to remove the solvent.
  • the solid content is calculated by mass comparison of the remaining polymer in the solvent-free solution.
  •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dissolved in the solvent is measured through the solid content, and the solubility is obtained by converting the measured amount into a value for 100 g of the solvent. If the solution is not clear even after removal of residual polymer, the procedure is performed after passing the solution through a filter (0.45 ⁇ m NYLON) to obtain a clear solution.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DI) were measur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using GPC, and in the preparation of the calibration curve, the measurement results were converted using standard polystyrene of Agilent system.
  •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according to the monomer composition.
  • Wn is the weight fraction of each monomer of the polymer
  • Tn i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hen the monomer forms a homopolymer
  • the right side of the formula is the weight fraction of the monomer used, the monomer forming the homopolymer.
  • composition A is prepared by dissolving at a temperature of about 90 ° C. in concentrations of%, 6% and 8% by weight.
  • Propylene carbonate and disteadimonium hectorite were then added to Composition A at concentrations of 8% and 2% by weight, respectively, and uniformly dispersed for 20 minutes to prepare Composition B.
  • iron oxide (CI 77499) was added at a concentration of 6% by weight, followed by adding an appropriate amount of preservatives, dispersing for 30 minutes, and then slowly cooling to about 28 ° C to prepare a mascara formulation. .
  • Sebum smear test using the prepared mascara formulation was divided into In-vitro test and In-vivo test, specific details are as follows.
  • the mascara formulation is applied to a slide glass (glass plate) to a thickness of 30 ⁇ m and then completely dried at room temperature. After drying, drop 0.1g of water and sebum in mascara, leave it for 20 minutes, place the cotton on it, and reciprocate 30 times with a force of 200 gf. Evaluate accordingly.
  • the image is taken and numerically analyzed by image analysis.
  • the area of bleeding was numerically expressed in units of pixels.
  • the water resistance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 Example or Comparative Example 0.1 g of the polymer solution prepared in Example or Comparative Example was taken and dissolved in 1 mL of the following NMR solvent, and 1 H-NMR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manual using the following analytical instrument, through which the components of the polymer were obtained. And the conversion rate.
  • the components of the prepared polymer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area of the peak.
  • EHMA ethylhexyl methacrylate
  • IBOMA isobornyl methacrylate
  • EOEOEA ethoxyethoxyethyl acrylate
  • the polymerization reaction proceeds while additionally dissolving an appropriate amount of thermal initiator (V-65) in isododecane as a solvent. After the reaction was performed for about 24 hours, the temperature was lowered to room temperature and terminated to obtain a polymer solution.
  • V-65 thermal initiator
  • a polymer solution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monomer type and ratio of the monomer mixture were changed as in Table 1 below.
  • a peak derived from -CH2- and -CH3 derived from the meta-position of the side chain was identified as a peak with an area value of 36 in the 2.5 ppm to 1.3 ppm region, and identified from -CH2CH- or -CH2CH2- derived from the polymer main chain.
  • a peak of 1 H was identified with an area of 55 in the range from 1.3 ppm to 0.5 ppm.
  • a peak with an area value of about 3 from -COO- adjacent -CH2- of the EHA formed of the polymer was found in the range of 2.5 ppm to 2.0 ppm, and from 2.0 ppm to 1.5 from -CH2- derived from the side chain and -CH3 derived from the meta position.
  • the peak of the area value 57 was confirmed in the ppm region.
  • the 1H area value identified from -CH2CH- or -CH2CH2- derived from the polymer backbone was about 29 at 1.5 ppm to 0.5 ppm.
  • the peak from -CH2- of the branched branch and -CH3 derived from the meta position was found to have an area value of 72 in the 2.0 ppm to 1.5 ppm region, and the area value of the 1H peak identified from -CH2CH- derived from the polymer backbone was 11 in the region of about 1.5 ppm to 0.5 ppm.
  • the polymers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exhibit low solubility in polar solvents (water, acetone) and nonpolar solvents (hexane), and excellent solubility in solvents having a medium characteristic (ethyl acetate). You can see that.
  • excellent sebum resistance was also confirmed in the sebum smear test while ensuring water resis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고분자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는, 극성 및 비극성 용매에 대하여 낮은 용해도를 나타내는 기능성 고분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고분자는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마스카라 등과 같은 화장품 또는 기타 의약 용도 등에 적용되면 피지, 땀 및 눈물 등과 같은 다양한 용매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낼 수 있어서 화장 등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필름 형성제, 화장품용 조성물 또는 화장품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분자
본 출원은 2014년 12월 15일자 제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4-0180726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대한민국 특허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출원은, 고분자 및 그 고분자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제에 대한 것이다.
화장품 또는 의약품 등의 제조에는 기능성 고분자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마스카라 등과 같은 화장품 또는 기타 피부에 적용되는 화장품이나 의약품에서는 땀, 눈물 및 피지 등과 같은 서로 속성이 상이한 용매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고분자가 요구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및 2에는 화장품의 제조에 적용되는 고분자가 기재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제2000-119140호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제2003-055136호
본 출원은, 고분자 및 그 고분자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제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극성 및 비극성 용매 모두에 대하여 낮은 용해도를 나타내어, 마스카라 등과 같은 화장품 또는 의료 용품처럼 인체에 사용되는 용품에 적용되어서 땀과 피지 등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고, 상기 용도에 적합한 필름 형성능을 가지는 기능성 고분자 및 그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 중 하나로 한다.
본 출원의 고분자는 극성 용매와 비극성 용매에 대하여 낮은 용해도를 나타낸다. 본 출원에서 용어 비극성 용매는, 25℃에서의 유전 상수(dielectric constant)가 약 1 내지 3, 약 1.5 내지 2.5 또는 약 1.5 내지 2 정도의 범위 내에 있는 용매를 의미하고, 용어 극성 용매는 25℃에서의 유전 상수(dielectric constant)가 약 75 내지 85 또는 약 75 내지 80의 범위 내에 있는 용매를 의미한다. 비극성 용매의 대표적인 예로는, 헥산(유전 상수(25℃): 약 1.89)이 있고, 극성 용매의 대표적인 예로는 물(유전 상수(25℃): 약 78.54)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 분야에서 용매별로 유전 상수가 알려져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고분자는 상기 극성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10 이하 또는 5 이하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고분자는 상기 비극성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10 이하 또는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용해도는 그 수치가 낮을수록 상기 고분자가 해당 용매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그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극성 용매 및 비극성 용매에 대한 용해도는 각각 약 0.001 이상, 약 0.01 이상, 약 0.1 이상 또는 약 1 이상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특정 용매에 대한 용해도는, 해당 용매 100 g에 대하여 최대한 녹을 수 있는 고분자의 그램수(g)를 의미한다. 또한,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본 출원에서 용해도는 상온에서 측정된 용해도를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용어 상온은 가온되거나 감온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온도이고, 예를 들면, 약 10℃ 내지 30℃, 약 15℃ 내지 30℃ 또는 약 20℃ 내지 30℃의 범위 내의 온도이거나, 약 25℃ 정도의 온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특성 중에서 상기 용해도 등과 같이 온도에 따라 그 수치가 달라지는 특성의 경우,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해당 특성은 상온에서의 특성이다.
상기 고분자는 상기 극성 및 비극성 용매의 중간 단계에 있는 용매에 대해서는 용해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분자는 25℃에서의 유전 상수(dielectric constant)가 4 내지 15, 5 내지 15, 5 내지 10, 5 내지 8 또는 5 내지 6.5의 범위 내에 있는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15 이상 또는 약 15 내지 5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용매로는 에틸아세테이트(유전 상수(25℃): 약 6.02)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분자는, 예를 들면, 상기 고분자를 형성하는 단량체의 종류와 그 비율의 조절을 통해 제조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고분자는 단일 고분자의 용해도 파라미터가 10 (cal/cm3)1/2 미만인 제 1 단량체의 중합 단위와 단일 고분자의 용해도 파라미터가 10 (cal/cm3)1/2 이상인 제 2 단량체의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해도 파라미터는 해당 단량체를 중합시켜 제조되는 단일 고분자(homopolymer)의 용해도 파라미터를 의미하고, 이를 통해 해당 단량체의 친수성 및 소수성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용해도 파라미터를 구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파라미터는 당업계에서 소위 HSP(Hansen solubility parameter)로 공지된 방식에 따라서 계산하거나 구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제 1 단량체의 단일 고분자의 용해도 파라미터는, 다른 예시에서 5 (cal/cm3)1/2 내지 9.5 (cal/cm3)1/2 또는 7 (cal/cm3)1/2 내지 9 (cal/cm3)1/2 정도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제 2 단량체의 용해도 파라미터는 다른 예시에서 10 (cal/cm3)1/2 내지 15 (cal/cm3)1/2 또는 10 (cal/cm3)1/2 내지 13 (cal/cm3)1/2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의 용해도 파라미터를 가지는 단량체를 적절하게 적용하여 전술한 특성을 나타내는 고분자의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 출원에서 어떤 단량체 또는 화합물의 중합 단위는, 그 단량체 또는 화합물이 중합 반응을 거쳐서 고분자에 단량체 단위로 포함되어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
상기 용해도 파라미터를 가져서, 제 1 단량체로서 사용할 수 있는 단량체로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방향족 (메타)아크릴레이트가 예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에 포함되는 알킬기로는,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4 내지 20, 탄소수 8 내지 20 또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 알킬기가 예시될 수 있고, 상기 알킬기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향족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아릴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가 예시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아릴 또는 아릴알킬의 아릴기는, 예를 들면, 탄소수 6 내지 24, 탄소수 6 내지 18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릴알킬의 알킬기는,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에서 알킬기는, 직쇄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고, 상기 알킬기 또는 아릴기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아릴기 또는 아릴알킬기로는, 페닐기, 페닐에틸기, 페닐프로필기 또는 나프틸기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예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5013738-appb-I000001
화학식 1에서 Q는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B는 탄소수 4 이상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기이거나, 상기 아릴기 또는 아릴알킬기 등의 방향족 치환기일 수 있다.
화학식 1에서 Q에 존재하는 알킬기로는,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가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알킬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화학식 1에서 B는 탄소수 4 이상, 탄소수 6 이상 또는 탄소수 8 이상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장쇄의 알킬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소수성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의 탄소수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알킬기는, 탄소수 20 이하의 알킬기일 수 있다.
화학식 1에서 B는 다른 예시에서 지환식 탄화수소기, 예를 들면, 탄소수 3 내지 20, 탄소수 3 내지 16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지환식 탄화수소기일 수 있고, 그러한 탄화수소기의 예로는 사이클로헥실기 또는 이소보르닐기 등과 같은 탄소수 3 내지 20, 탄소수 3 내지 16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지환식 알킬기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가지는 화합물도, 상대적으로 소수성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후술하는 화학식 2 또는 3에서의 알킬기, 알킬렌기 또는 방향족 치환기 등에 임의적으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는 치환기로는, 염소 또는 불소 등의 할로겐, 글리시딜기, 에폭시알킬기, 글리시독시알킬기 또는 지환식 에폭시기 등의 에폭시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이소시아네이트기, 티올기,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또는 아릴기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단량체 중에서 목적하는 고분자의 물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종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 2 단량체로도, 전술한 용해도 파라미터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단량체 중에서 선택된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단량체로는, 하기 화학식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5013738-appb-I000002
화학식 2에서 Q는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U는 알킬렌기이며, Z는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m은 임의의 수이다:
[화학식 3]
Figure PCTKR2015013738-appb-I000003
화학식 3에서 Q는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A 및 U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렌기이며, X는 히드록시기 또는 시아노기이고, n은 임의의 수이다.
화학식 2 및 3에서 알킬렌기로는,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가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알킬렌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렌기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화학식 2 및 3에서 Q 및 Z에 존재하는 알킬기로는,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가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알킬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기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화학식 2 및 3에서 m 및 n은 임의의 수이며, 예를 들면,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00, 1 내지 90, 1 내지 80, 1 내지 70, 1 내지 60, 1 내지 50, 1 내지 40, 1 내지 30, 1 내지 20, 1 내지 16 또는 1 내지 12의 범위 내의 수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 2 단량체로는, 상기 화학식 2에서 Q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U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이며, Z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m은 1 내지 30 정도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고분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단량체를 적정 비율로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분자는 제 1 단량체 중합 단위 50 내지 99.9 중량부 및 제 2 단량체 중합 단위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 1 단량체 중합 단위는, 다른 예시에서 60 내지 99.9 중량부, 70 내지 99.9 중량부 또는 80 내지 99.9 중량부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제 2 단량체 중합 단위는 5 내지 20 중량부 또는 7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단위 중량부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각 성분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단량체 중합 단위의 중량 비율은 상기 고분자의 제조 시에 적용된 단량체의 중량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고분자가 제 1 단량체 중합 단위 50 내지 99.9 중량부 및 제 2 단량체 중합 단위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제 1 단량체와 제 2 단량체를 50~99.9:0.1~20의 중량 비율(제 1 단량체:제 2 단량체)로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이 중합되어 상기 고분자가 형성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고분자에서 제 2 단량체의 중량 비율이 0.1 중량부 미만이거나, 제 1 단량체의 중량 비율이 99.9 중량부를 초과하면, 유성 용매에 대한 내성이나 내피지성이 충분하지 못할 수 있고, 제 2 단량체의 중량 비율이 20 중량부를 초과하거나, 제 1 단량체의 중량 비율이 50 중량부 미만이면, 상분리 등에 의해 고분자가 형성되지 못하거나, 극성 용매에 대한 내성, 또는 땀이나 눈물 등에 대한 내성이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고분자는 상기 제 1 단량체의 중합 단위를 중량을 기준으로 50% 이상, 55% 이상, 60% 이상, 65% 이상, 70% 이상, 75% 이상 또는 80%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량체 중합 단위의 비율은 중량을 기준으로 99% 이하, 98% 이하, 97% 이하, 96% 이하, 95% 이하, 94% 이하, 93% 이하, 92% 이하, 91% 이하 또는 90% 이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분자는 상기 제 2 단량체의 중합 단위를 상기 제 1 단량체의 중합 단위 100 중량부 대비 40 중량부 이하, 35 중량부 이하, 30 중량부 이하, 25 중량부 이하, 20 중량부 이하, 15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하 또는 약 8 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량체의 중합 단위는 상기 제 1 단량체의 중합 단위 100 중량부 대비 약 0.1 중량부 이상, 0.15 중량부 이상, 0.2 중량부 이상 또는 5 중량부 이상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율에서 유성 용매에 대한 내성이나 내피지성이 확보되면서, 극성 용매에 대한 내성, 또는 땀이나 눈물 등에 대한 내성도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고분자는 전술한 제 1 및 제 2 단량체 외에 다른 기능의 부여, 예를 들면, 유리전이온도의 조절 등을 위하여 추가적인 단량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고분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단량체를 사용하여 공지의 중합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고분자는 용매, 예를 들면, 유기 용매를 사용한 용액 중합 방식, 예를 들면 라디칼 용액 중합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분자가 화장품 등 인체에 접하는 용도에 적용될 경우에 상기 중합 과정에서 용매는, 인체에 친화적인 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로는, 이소도데칸(isododecane), 이소파라핀 또는 이소헥사데칸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상기 고분자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500,00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은, 예를 들면,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를 사용하여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에 대한 환산 수치일 수 있고,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용어 분자량은 중량평균분자량을 지칭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자량(Mw)은, 예를 들면, 상기 고분자가 필름 형성제로서 적용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상기 분자량(Mw) 범위에서 상기 고분자를 사용하여 뭉침 현상 등이 없이 효율적으로 피막의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고분자는, 유리전이온도가 1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다른 예시에서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또는 30℃ 이상일 수 있다.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는 약 110℃ 이하, 약 100℃ 이하, 90℃ 이하, 80℃ 이하, 70℃, 60℃ 이하 또는 55℃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유리전이온도는 고분자의 단량체 조성으로부터 소위 폭스식(Fox equation)을 통해 구해지는 이론 수치이다. 상기와 같은 유리전이온도는, 예를 들면, 상기 고분자가 필름 형성제로서 적용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의 범위에서 상기 고분자를 사용하여 끈적임이나 부서짐 현상 등이 없이 효율적으로 피막의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고분자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제, 화장품용 조성물 또는 화장품에 대한 것이다. 전술한 고분자를 사용하면, 도포 등에 의해 균일한 필름(피막)의 형성이 가능하고, 피부 등에 적용되어도 높은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극성 및 비극성 용매 모두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어, 땀, 눈물 또는 피지 등과 같은 다양한 용매에 대하여 우수한 내성을 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분자는, 미용팩, 입가나 눈가 등에 적용되는 마스카라 등의 메이크업, 손톱이나 발톱 등에 적용될 수 있는 매니큐어, 립스틱, 아이쉐도우, 모발용 스타일링제 또는 아이라이너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화장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필름 형성제나 화장품용 조성물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또는 필름 형성제 등은 상기와 같은 특성에 의해 의약 용도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의약 용도로는, 반창고나 경피 흡수 제제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필름 형성제, 화장품용 조성물 또는 화장품에서 상기 고분자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적용 용도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분자가 화장품용 조성물에 적용된다면,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고분자의 농도는 1 중량% 내지 20 중량%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필름 형성제, 화장품용 조성물 또는 화장품은, 용도에 따라 다른 유효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유효 성분으로는, 미백이나 자외선 차단 등과 같은 화장품 성분은 물론 약효 성분, 생리 활성 성분 또는 약리 활성 성분 등도 예시될 수 있다. 이러한 유효 성분으로는, 국소 마취 성분(리도카인, 염산 디부카인, 디부카인, 아미노안식향산에틸 등), 진통 성분(살리실산 메틸등의 살리실산 유도체, 인도메타신, 피록시캄, 케토 프로 펜, 페르비나크 등), 항염증 성분(그르치르리틴산, 글리시리진산 디칼륨등의 글리시리진산 염류, 글리시레틴산, 글리시레틴산 스테아릴, 브페키사마크, 니코틴 산 벤질, 하이드로코르티손, 낙산 하이드로코르티손, 초산 하이드로코르티손, 길초산초산 프레드니존, 초산 프레조니존, 프레조니존, 덱사메타손, 초산 덱사메타손, 디메틸 이소프로필 아즐렌 이브프로펜피코노르, 알 니카 엑기스, 황금 엑기스, 두꺼비이삭 엑기스, 카밀레 엑기스, 카라민, 감초 에키스, 구아이아줄렌, 치자나무 엑기스, 겐티아나 엑기스, 홍차 엑기스, 토코페롤, 초산 토코페롤, 자근 엑기스, 차조기 엑기스, 작약 엑기스, 세이지 엑기스, 쓴풀 엑기스, 상백피 엑기스, 염산 피리독신, 복숭아잎 엑기스, 수레국화 엑기스, 바위취 엑기스, 쑥 엑기스, 로마 카밀레 엑기스 등), 항 히스타민 성분(말레산 클로르페니라민, 디펜히드라민, 염산 디펜히드라민, 살리실산 디펜히드라민, 염산 ISO 펜 질 등), 국소 자극 성분(암모니아, l-멘톨 dl-캔 풀, 박하유, 니코틴 산 벤질, 노닐산와니리르아미드 등), 진양성분(크로타미톤 등), 방부 또는 살균 성분(악 리놀,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 염산 클로르헥시딘, 염화벤잘코늄, 염화 벤세트니움, 포비돈요오드, 요오드 폼, 요오드, 요오드화 칼륨, merbromin, 옥사이드르, 크레졸, 트리크로산, 페놀, 이소프로필 메틸 페놀, 티몰, 살리실산 나트륨, 운데실렌 산, 감광소, 히노키티올, 페녹시 에탄올, 클로로 부탄올, 쿠아타니움 73, 진크피리티온, 파라옥시 안식향 산에스테르류, 유칼리 엑기스, 레졸신 로즈메리 엑기스 등), 항진균 성분(크로트리마조르, 초산 크로트리마조르, 초산 미코나졸, 초산 에코나졸, 비포나조르, 초산 옥시코나졸, 초산 스르코나조르, 염산 네치코나조르, 비포나조르 및 티오코나졸, 초산 오모코나조르등의 이미다졸계 항진균 제류, 테르비나핀, 염산 테르비나핀 및 나프티핀등의 알릴 아민계 항진균 제류, 부테나핀등의 벤질 아민계 항진균 제류, 염산 아모르핀등의 알릴 아민계 항진균 제류, 트르나후테이트, 트르시크라트 등 티오카르바민 산계 항진균 제류, 피롤니트린, 에키사르미드, 사이클로피로크스오라민 등) 조직 수복 성분(알라토인, 헤파린 유사 물질, 비타민 A 팔미테이트, 비타민 D2, 초산 레티놀, 레티놀, 비타민 A유, 빵 테너 등), 수렴 성분(산화아연, 가시오가피 엑기스, 염화 알루미늄, 황박 엑기스, 그 염, 구연산, 시라카바에키스, 체에키스, 호프 엑기스, 마로니에 엑기스 등), 각질 유연 화성분 (요소, 글리세린, 농 글리세린, 수산화 칼륨, 살리실산, 유황, 콜로이드 유황, 레졸신, 글루콜 산, 유산, 황산나트륨 등), 보습 성분(부틸렌 글리콜,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나트륨, 프로필렌 글리콜, 리보 핵산 나트륨, 명일엽 엑기스, 아스라긴산, 알라닌, 아르기닌 알긴산나트륨, 아르테아에키스, 알로에 베라 엑기스, 굴-엑기스, 가수분해 케라틴, 가수분해 콜라겐, 가수분해 안녕 키리 온, 가수분해 난각막, 가수분해 난백, 가수분해 실크, 갈조 엑기스, 모과 엑기스, 키이치고에키스, 자일리톨, 키토산, 오이 엑기스, 쿠인스시드에키스, 글리신, 글리세린, 글루코스, 케이프 알로에 엑기스, cystin, 시스테인, 제니아오이에키스, 세린, 소르비톨, 트레할룰로스, 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나트륨, 태반 추출물, 수세미 엑기스, 멀티 사용료, 만니톨, 백합 엑기스, 락토페린, 리신, 사과 엑기스, 로열 젤리 엑기스 등) 에몰리엔트 성분(아몬드유, 아보가드 기름, 올리브유, 올레산, 오렌지라피유, 카카오지, 카롯트아키스, 스쿠알렌, 세라마이드, 달맞이꽃유, 포도 종자유, 호호바유, 마카다미아 너츠 기름, 미네랄 오일, 밍크유, 유칼리유, 로즈힙 오일, 와레린 등) , 미백 성분(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알부틴, 레시노르, 에라그산, 글루타티온, 코지산, 에이지 지팡이 키스, 키위 엑기스 등), 자외선 방어 성분(파라아미노안식향산, 파라아미노안식향산의 에틸 에스테르, 파라아미노안식향산의 글리세린 에스테르, 파라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의 아밀 알코올 에스테르파라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의2-에틸헥실알코올 에스테르, t-부틸메톡시디벤조일 메탄, 옥시벤존류, 옥틸 트리아존, 살리실산 옥틸, 디이소프로필 계피산 에틸, 디이소프로필 계피산 메틸, 시노키서트, 디메톡시 계피산 옥탄 산 글리세릴, 디메톡시 벤질리덴 디옥소이미다졸리딘 프로피온산 옥틸, 체잎엑기스, 드로메트리조르, 파라메톡시케이히산이소프로필, 호모사레이트, 메톡시 계피산 옥틸 등), 생약 엑기스 성분,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또는 미네랄류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필름 형성제, 화장품용 조성물 또는 화장품은, 용도에 따라 다른 용매, 용제 또는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용매 또는 용제 성분으로서는, 조성물의 용도, 사용 형태 등에 따라, 예를 들면, 알코올(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에테르(디에틸 에테르등의 외, 글리콜 에테르류(메틸 셀로솔브등의 셀로솔브 종류;디에틸렌글리콜 물건 에틸 에테르등의 디알킬렌글리콜 알킬에테르류등) 등), 니트릴(아세토니트릴 등), 케톤(아세톤 등) 또는 에스테르(초산에틸등의 카르복실산 알킬에스테르 등)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첨가제로는, 가소제, 습윤제, 소포제, 착색제, 보존제, 방향제, 향미제, 안료 또는 증점제 등은 물론 의약부외품, 의약품 또는 화장품 등에 사용되는 관용의 성분, 예를 들면, 분말형 기제 또는 담체(결합제, 붕괴제, 부형제 또는 활택제 등), 유성 기제 또는 담체(동식물유, 왁스, 바셀린, 파라핀 오일, 실리콘 오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고급 지방산 등), 수성 기제 또는 담체(잔탄검 등의 겔 기제 등), 방부제, 킬레이트제, 항산화제, 청량화제, 안정화제, 유동화제, 유화제, 점조화제, 완충제, 분산제, 흡착제, 보습제, 습윤제, 방습제, 대전 방지제 또는 기타 수지(폴리아미드계 수지수소 첨가 폴리부텐등의 올레핀계 수지 등)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성분 또는 필요하다면 추가의 다른 공지의 성분을 사용하여 상기 필름 형성제, 화장품용 조성물 또는 화장품 등을 제조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극성 및 비극성 용매에 대하여 낮은 용해도를 나타내는 기능성 고분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고분자는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마스카라 등과 같은 화장품 또는 기타 의약 용도 등에 적용되면 피지, 땀 및 눈물 등과 같은 다양한 용매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낼 수 있어서 화장 등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필름 형성제, 화장품용 조성물 또는 화장품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출원의 고분자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상기 고분자 등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 물성은 하기의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1. 고분자의 용해도 측정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을 약 150℃의 온도에서 약 60분 동안 유지하여 용매를 휘발시킨다. 용매를 휘발시킨 고분자 1 g을 채취한다. 채취된 1 g의 고분자를 용매(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또는 물) 5 g에 넣고,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용해되지 않은 잔류 고분자를 제거한다. 잔류 고분자가 제거된 투명한 용액을 분취하고, 150℃에서 30분간 건조시켜서 용매를 제거한다. 용매가 제거된 용액에서 잔존하는 고분자의 질량 비교를 통해 고형분 함량을 계산한다. 고형분 함량을 통해 용매 내에 녹아 있는 고분자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양을 100 g의 용매에 대한 수치로 환산하여 용해도를 구한다. 잔류 고분자 제거 후에도 용액이 투명하지 않은 경우, 용액을 필터(0.45 ㎛ NYLON)에 통과시켜 투명한 용액을 얻은 후에 상기 과정을 수행한다.
<용해도 평가 기준>
A: 용해도가 15 이상인 경우
B: 용해도가 10을 초과하고, 15 미만인 경우
C: 용해도가 5를 초과하고, 10 이하인 경우
D: 용해도가 5 이하인 경우
2. 분자량 측정
중량평균분자량(Mw) 및 분자량 분포(PDI)는 GPC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하였으며, 검량선의 제작에는 Agilent system의 표준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여 측정 결과를 환산하였다.
<측정 조건>
측정기: Agilent GPC (Agilent 1200 series, U. S.)
컬럼: PL Mixed B 2개 연결
컬럼 온도: 40℃
용리액: THF(Tetrahydrofuran)
유속: 1.0 mL/min
농도: ~1 mg/mL (100 μL injection)
3. 유리전이온도의 산정
유리전이온도(Tg)는 단량체 조성에 따라 하기 수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수식>
1/Tg = ΣWn/Tn
상기 수식에서 Wn은 고분자의 각 단량체의 중량 분율이고, Tn은 단량체가 단독 중합체를 형성하였을 경우에 나타나는 유리전이온도이며, 상기 수식의 우변은 사용된 단량체의 중량 분율을 그 단량체가 단독 중합체를 형성하였을 경우에 나타내는 유리전이온도로 나눈 수치(Wn/Tn)를 단량체별로 계산한 후에 계산된 수치를 모두 합산한 결과이다.
4. 피지 번짐 테스트
용매로서 이소도데칸(isododecane)에 각 제조예에서 제조된 고분자를 약 10 중량%의 농도로 용해시키고, 세레신(ceresine), 합성 왁스(synthetic wax) 및 마이크로크리스탈 왁스(microcrystanlline wax)를 각각 7 중량%, 6 중량% 및 8 중량%의 농도로 약 90℃의 온도에서 용해시켜 조성물 A를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조성물 A에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및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를 각각 8 중량% 및 2 중량%의 농도로 추가하고, 20분 동안 균일하게 분산시켜 조성물 B를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에 산화철(iron oxide(CI 77499))을 6 중량%의 농도로 추가한 후에 보존료(preservatives)를 적량 첨가하고, 30분 동안 분산시킨 다음, 약 28℃ 정도로 서서히 냉각시켜 마스카라 제형을 제조한다.
제조된 마스카라 제형을 사용한 피지 번짐 테스트는 In-vitro 테스트와 In-vivo 테스트로 나누어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하기와 같다.
In-vitro 테스트
마스카라 제형을 슬라이드 글라스(유리판)에 30㎛ 두께로 도포한 후 실온에서 완전 건조한다. 건조 후 마스카라에 물과 피지를 각각 0.1g 떨어뜨리고, 20분 동안 방치한 후에 화장 솜을 그 위에 놓고 200 gf의 힘으로 30회 왕복 운동한 다음 화장 솜에 묻어 나온 정도를 비교하여,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한다.
<평가 기준>
화장 솜에 묻어 나온 정도에 따라 0 내지 5의 범위 내에서 척도로 비교하였을 때, 화장 솜에 마스카라가 전혀 묻어 나오지 않는 경우를 5로 하고, 하기 비교예 1의 고분자를 적용한 경우를 대조군(reference)으로 3으로 하여, 상기 대조군 대비 우수한 수준을 샘플간의 상대 비교로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수치화하였다.
In-vivo 테스트 :
제조된 마스카라 제형을 피실험자의 속눈썹에 도포한 후 6시간 이후 영상을 촬영하여 비교하고,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한다.
<평가 기준>
6시간 경과 후 영상을 촬영하여 번짐 면적을 영상 분석함으로써 수치로 나타낸다. 영상 분석 시에 번짐의 면적을 픽셀(pixel) 단위로 수치화하여 나타내었다.
5. 내수성 테스트
상기 제조된 마스카라 제형을 슬라이드 글라스(유리판)에 30 ㎛ 두께로 도포한 후 실온에서 완전 건조시키고, 건조된 샘플을 상온에서 물에 약 30분 동안 침적시킨 후에 꺼내어 질량 감소율(=100×(1-B/A), 단위: %, 상기 A는 마스카라 제형이 도포된 슬라이드 글라스 전체 질량이고, B는 상기를 물에 침적시킨 후에 꺼낸 후에 물기를 제거한 후에 측정한 슬라이드 글라스 전체 질량이다.)에 따라 하기 기준에 따라 내수성을 평가한다.
<평가 기준>
A: 질량 감소율이 5% 이하인 경우
B: 질량 감소율이 5%를 초과하는 경우
6. NMR 평가 방법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제조된 고분자 용액을 0.1g을 채취하여 하기 NMR용 용매 1 mL에 용해시키고, 하기 분석 기기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1H-NMR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분자의 성분 및 전환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합되지 않은 단량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1H-NMR 스펙트럼에서 이중 결합 말단의 =CH2로부터 유래된 -H 피크가 약 5.7 ppm 내지 6.4 ppm 부근에서 확인되고, 각 고분자 구조에서 유래된 -H 피크의 면적을 통해 제조 고분자의 성분을 확인할 수 있다.
<측정 조건>
분석 기기: 500MHz NMR (Varian Unity Inova 500), 1H-NMR
농도: 10~20 mg/mL, 용매: CDCl3-d3
온도: 25℃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EHMA(ethylhexyl methacrylate), IBOMA(isobornyl methacrylate) 및 EOEOEA(ethoxyethoxyethyl acrylate)를 25:60:15의 중량 비율(EHMA:IBOMA:EOEOEA)로 혼합한 단량체 혼합물을 용매인 이소도데칸(Isododecane)에 단량체 전체의 농도가 약 35 중량%가 되도록 투입하고, 이어서, 교반과 함께 상온에서 약 30분간 질소로 버블링하여 용존 산소를 제거하고, 산소가 제거된 반응 혼합물을 70℃ 정도의 온도로 승온하면서 약 40분 동안 질소 버블링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해 온도가 70℃까지 올라가면 추가로 적정량의 열개시제(V-65)를 용매인 이소도데칸에 용해하여 투입하면서 중합 반응이 진행되었다. 약 24 시간 정도 반응을 진행한 후에 온도를 상온으로 낮추어 종료시키고, 고분자 용액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
단량체 혼합물의 단량체의 종류 및 비율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고분자 용액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고분자 A B C D E F G
EHA 15
LMA 20 15 12
EHMA 30
CHMA 75
IBOMA 60 74 75 66
EOEOEA 10 10 10 10
PEGMA 6 12
TMSS 100
PVP 100
Mw 34 30 20 20 - - -
Tg 39 31 38 42 40 175 -
함량 단위: gEHA: ethyl hexyl acrylate (단일 고분자 용해도 파라미터: 8.4 (cal/cm3)1/2)LMA: lauryl methacrylate (단일 고분자 용해도 파라미터: 8.2 (cal/cm3)1/2) EHMA: ethylhexyl methacrylate (단일 고분자 용해도 파라미터: 8.3 (cal/cm3)1/2)CHMA: cyclohexyl methacrylate (단일 고분자 용해도 파라미터: 7.9 (cal/cm3)1/2)IBOMA: isobornyl methacrylate (단일 고분자 용해도 파라미터: 8.1 (cal/cm3)1/2)EOEOEA: ethoxyethoxy ethylacrylate (단일 고분자 용해도 파라미터: 10.6 (cal/cm3)1/2)PEGMA: polyethyleneglycol monoethyl ether methacrylate (에틸렌옥시드 단위 부가몰수: 9몰, 단일 고분자 용해도 파라미터: 10.8 (cal/cm3)1/2)TMSS: trimethylsiloxysilicate (단일 고분자 용해도 파라미터: 7.5 (cal/cm3)1/2)(Trimethyl siloxysilicate: Dow Corning MQ-1600 Resin)PVP: polyvinyl pyrrolidone (단일 고분자 용해도 파라미터: 11 (cal/cm3)1/2, Aldrich K30)Mw: 중량평균분자량(×10000)Tg: 유리전이온도(단위: ℃)
1. NMR 평가
실시예 1의 고분자에 대한 NMR 평가 결과 단량체의 이중 결합 말단의 =CH2로부터 유래되는 1H 피크는 거의 확인되지 않았고, 이로부터 효과적인 중합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로 형성된 EHMA 및 IBOMA의 -COO-에 인접한 -CH- 피크와 EOEOEA의 -OCH2CH2O-로부터 유래된 피크가 5.0 ppm 내지 3.5 ppm 영역에서 관찰되었으며, 이 때 피크의 면적 값은 9이다. 또한 측쇄의 -CH2-와 메타 위치에서 유래된 -CH3로부터 유래된 피크가 2.5 ppm 내지 1.3 ppm 영역에서 면적 값 36의 피크로 확인되었고, 고분자 주쇄에서 유래된 -CH2CH- 또는 -CH2CH2-로부터 확인되는 1H의 피크는 1.3 ppm 내지 0.5 ppm 영역에서 55의 면적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의 고분자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NMR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이중결합 말단의 =CH2로부터 유래되는 1H 피크는 거의 확인되지 않았고, 이를 통해 중합이 효율적으로 수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분자로 형성된 EHA 및 CHMA의 -COO- 인접한 -CH- 피크와 EOEOEA의 -OCH2CH2O-로부터 유래된 피크가 4.8 ppm 내지 3.4 ppm 영역에서 면적값 10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고분자로 형성된 EHA의 -COO- 인접한 -CH2-로부터 면적 값 약 3 정도의 피크가 2.5 ppm 내지 2.0 ppm 영역에서 확인되었고, 측쇄의 -CH2-와 메타 위치에서 유래된 -CH3로부터 2.0 ppm 내지 1.5 ppm 영역에서 면적 값 57의 피크를 확인하였다. 또한, 고분자 주쇄에서 유래된 -CH2CH- 또는 -CH2CH2- 로부터 확인되는 1H 면적 값은 1.5 ppm 내지 0.5 ppm에서 약 29였다.
실시예 3의 고분자의 경우도, 이중결합 말단의 =CH2로부터 유래된 1H 피크는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고분자로 형성된 LMA 및 IBOMA의 -COO- 인접한 -CH2- 및 -CH- 피크와 PEGMA의 -OCH2CH2-O 및 -OCH3로 부터 유래된 피크가 4.7 ppm 내지 3.3 ppm 영역에서 나타났으며, 그 피크의 면적 값은 17이었다. 또한, 측쇄 가지의 -CH2-와 메타 위치에서 유래된 -CH3로부터의 피크가 2.0 ppm 내지 1.5 ppm 영역에서 면적 값 72로 확인되었고, 고분자 주쇄에서 유래된 -CH2CH-로부터 확인되는 1H 피크의 면적 값은 약 1.5 ppm 내지 0.5 ppm 영역에서 11이었다.
실시예 4의 고분자에 대한 NMR 측정 결과에서도 이중결합 말단의 =CH2 로부터 유래된 1H 피크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고분자로 형성된 LMA 및 IBOMA의 -COO- 인접한 -CH2- 및 -CH-피크와 EOEOEA의 -OCH2CH2O-로 부터 유래된 피크가 4.7 ppm 내지 3.3 ppm 영역에서 나타나며 피크의 면적 값은 9였다. 또한 측쇄의 -CH2-와 메타 위치에서 유래된 -CH3로부터 2.0 ppm 내지 1.5 ppm 영역에서 면적 값 36의 피크를 확인하였으며 고분자 주쇄에서 유래된 -CH2CH- 또는 -CH2CH2- 로부터 확인되는 1H 면적 값은 1.5 ppm 내지 0.5 ppm에서 55이었다.
한편, 비교예 3의 경우, 단량체간 중합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단량체 등이 중합 과정에서 석출되어 고분자의 합성이 불가능하였다.
2. 물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고분자에 대하여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여 기재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고분자 A B C D E F
용해도 헥산 D C D D A D
에틸아세테이트 A A A A A D
아세톤 C D D D A D
D D D D D A
피지번짐 In vitro 3.9 4.0 3.8 4.0 3.0 3.3
In vivo 3200 3100 3200 3000 4500 3800
내수성 테스트 A A A A A B
상기 결과로부터 본 출원의 요건을 만족하는 고분자의 경우, 극성 용매(물, 아세톤)와 비극성 용매(헥산)에 대해서는 낮은 용해도를 나타내고, 그 중간 특성을 가지는 용매(에틸 아세테이트)에 대해서는 우수한 용해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고분자를 적용한 경우에는 내수성이 확보되면서도, 피지 번짐 테스트에서도 우수한 피지 저항성이 확인되었다.

Claims (17)

  1. 단일 고분자의 용해도 파라미터가 10.0 (cal/cm3)1/2 미만인 제 1 단량체 중합 단위와 단일 고분자의 용해도 파라미터가 10.0 (cal/cm3)1/2 이상인 제 2 단량체 중합 단위를 포함하고,
    유전 상수(25℃)가 1 내지 3의 범위 내인 용매에 대한 상온 용해도가 10 이하이며,
    유전 상수(25℃)가 75 내지 85의 범위 내인 용매에 대한 상온 용해도가 10 이하인 고분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유전 상수(25℃)가 1 내지 3의 범위 내인 용매에 대한 상온에서의 용해도가 5 이하인 고분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유전 상수(25℃)가 75 내지 85의 범위 내인 용매에 대한 상온에서의 용해도가 5 이하인 고분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유전 상수(25℃)가 4 내지 15의 범위 내인 용매에 대한 상온에서의 용해도가 15 이상인 고분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량체는 단일 고분자의 용해도 파라미터가 5 (cal/cm3)1/2 내지 9.5 (cal/cm3)1/2의 범위 내에 있는 고분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량체는 단일 고분자의 용해도 파라미터가 7 (cal/cm3)1/2 내지 9 (cal/cm3)1/2의 범위 내에 있는 고분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량체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방향족 (메타)아크릴레이트인 고분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고분자:
    [화학식 1]
    Figure PCTKR2015013738-appb-I000004
    화학식 1에서 Q는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B는 탄소수 4 이상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지환식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치환기이다.
  9. 제 8 항에 있어서, 방향족 치환기가 아릴기 또는 아릴알킬기인 고분자.
  10. 제 8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에서 Q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B는 탄소수 7 이상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8의 지환식 탄화수소기인 고분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단량체는 단일 고분자의 용해도 파라미터가 10.0 (cal/cm3)1/2 내지 15.0 (cal/cm3)1/2의 범위 내에 있는 고분자.
  1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단량체는 단일 고분자의 용해도 파라미터가 10.0 (cal/cm3)1/2 내지 13.0 (cal/cm3)1/2의 범위 내에 있는 고분자.
  1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고분자:
    [화학식 2]
    Figure PCTKR2015013738-appb-I000005
    화학식 2에서 Q는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U는 알킬렌기이며, Z는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m은 임의의 수이다:
    [화학식 3]
    Figure PCTKR2015013738-appb-I000006
    화학식 3에서 Q는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A 및 U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렌기이며, X는 히드록시기 또는 시아노기이다.
  14. 제 13 항에 있어서, 화학식 2에서 Q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U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이며, Z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m은 1 내지 30의 범위 내의 수인 고분자.
  1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량체 중합 단위 50 내지 99.9 중량부 및 제 2 단량체 중합 단위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분자.
  1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량체 중합 단위 70 내지 99.9 중량부 및 제 2 단량체 중합 단위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분자.
  17. 제 1 항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제.
PCT/KR2015/013738 2014-12-15 2015-12-15 고분자 WO2016099120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80045731.0A CN106604942B (zh) 2014-12-15 2015-12-15 聚合物
EP15870287.8A EP3176188B1 (en) 2014-12-15 2015-12-15 Polymer
JP2017508509A JP2017524792A (ja) 2014-12-15 2015-12-15 高分子
US15/503,915 US10023664B2 (en) 2014-12-15 2015-12-15 Poly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80726 2014-12-15
KR10-2014-0180726 2014-1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99120A1 true WO2016099120A1 (ko) 2016-06-23

Family

ID=5612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3738 WO2016099120A1 (ko) 2014-12-15 2015-12-15 고분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23664B2 (ko)
EP (1) EP3176188B1 (ko)
JP (2) JP2017524792A (ko)
KR (1) KR101748044B1 (ko)
CN (1) CN106604942B (ko)
WO (1) WO201609912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1481A (en) * 1989-03-20 1991-10-29 Kobayashi Kose Co., Ltd.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cryl-silicone graft copolymer
JP2001181123A (ja) * 1999-12-27 2001-07-03 Lion Corp 外用剤組成物
JP2003171431A (ja) * 2001-12-10 2003-06-20 Mitsubishi Chemicals Corp 融点を有する重合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料
JP2004075755A (ja) * 2002-08-13 2004-03-11 Mitsubishi Chemicals Corp ポリシロキサン基含有重合体
WO2007123789A2 (en) * 2006-04-06 2007-11-01 Symyx Technologies, Inc. Water resistant film forming compositions incorporating hydrophilic activiti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7517A (en) * 1965-03-26 1971-05-04 Mitsubishi Rayon Co Acrylic or methacrylic acid copolymer in resinous aerosol hair preparations
US3565814A (en) * 1967-10-27 1971-02-23 American Cyanamid Co Photochromic compositions in a lauryl methacrylate polymeric binder
DE3842183A1 (de) * 1988-12-15 1990-06-21 Basf Ag Copolymerisate auf basis von tert.-butylacrylat und/oder tert.-butylmethacrylat
US5602221A (en) * 1993-11-10 1997-02-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with good low energy surface adhesion
JP3565548B2 (ja) 1997-08-29 2004-09-15 株式会社資生堂 まつ毛用化粧料
JPH11116459A (ja) * 1997-10-06 1999-04-27 Fukuda Corporation:Kk 身体用組成物
FR2827166B1 (fr) 2001-07-16 2003-12-26 Oreal Mascara comprenant des particules solides
JP2006057019A (ja) 2004-08-20 2006-03-02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水性アクリル共重合エマルジョン、再分散性アクリル共重合エマルジョン粉末、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4079189B2 (ja) * 2005-12-27 2008-04-23 東洋紡績株式会社 (メタ)アクリレート共重合体の製造方法
FR2927082B1 (fr) * 2008-02-01 2010-02-19 Oreal Dispersion de particules de polymere, composition la comprenant et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JP5887690B2 (ja) * 2010-10-29 2016-03-16 三菱化学株式会社 共重合体および化粧料用組成物
CN103189404A (zh) 2010-10-29 2013-07-03 三菱化学株式会社 共聚物及化妆品用组合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1481A (en) * 1989-03-20 1991-10-29 Kobayashi Kose Co., Ltd.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cryl-silicone graft copolymer
JP2001181123A (ja) * 1999-12-27 2001-07-03 Lion Corp 外用剤組成物
JP2003171431A (ja) * 2001-12-10 2003-06-20 Mitsubishi Chemicals Corp 融点を有する重合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料
JP2004075755A (ja) * 2002-08-13 2004-03-11 Mitsubishi Chemicals Corp ポリシロキサン基含有重合体
WO2007123789A2 (en) * 2006-04-06 2007-11-01 Symyx Technologies, Inc. Water resistant film forming compositions incorporating hydrophilic activiti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176188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326A (ko) 2016-06-24
EP3176188B1 (en) 2020-09-09
EP3176188A1 (en) 2017-06-07
US10023664B2 (en) 2018-07-17
US20170275398A1 (en) 2017-09-28
KR101748044B1 (ko) 2017-06-16
JP2017524792A (ja) 2017-08-31
EP3176188A4 (en) 2018-01-24
CN106604942A (zh) 2017-04-26
CN106604942B (zh) 2019-11-26
JP6818827B2 (ja) 2021-01-20
JP2019196502A (ja)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99121A1 (ko) 고분자
KR101773680B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6099122A1 (ko) 고분자
WO2016099120A1 (ko) 고분자
WO2016099124A1 (ko) 고분자
KR101773681B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73683B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6099131A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6999404B (zh) 皮肤外用剂组合物
WO2016099132A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73679B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73684B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73682B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702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50850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03915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8702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8702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