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68408A1 -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68408A1
WO2016068408A1 PCT/KR2015/002881 KR2015002881W WO2016068408A1 WO 2016068408 A1 WO2016068408 A1 WO 2016068408A1 KR 2015002881 W KR2015002881 W KR 2015002881W WO 2016068408 A1 WO2016068408 A1 WO 201606840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wder
composition
bubble
detergent composition
fo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288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현나
강병하
김대경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EP15855961.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214161B1/en
Priority to CN201580056474.0A priority patent/CN107155332B/zh
Publication of WO201606840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68408A1/ko
Priority to US15/495,259 priority patent/US10201485B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11D3/124Silicon containing, e.g. silica, silex, quartz or glass beads
    • C11D3/1246Silicates, e.g. diatomaceous earth
    • C11D3/1253Layer silicates, e.g. talcum, kaolin, clay, bentonite, smectite, montmorillonite, hectorite or attapulg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1Anhydro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12By organic compoun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composition comprising a powder having a hydrophobic surf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ing composition comprising a powder in which an alkyl (Alkyl) group of a surfactant attached to the surface is oriented to the outermost surface and the surface is hydrophobically modified. It is about.
  • the main purpose of the hair cleaner is to remove scalp and hair waste, such as sebum, to keep it clean and to control the condition of the scalp.
  • scalp and hair waste such as sebum
  • an anionic surfactant a hair cleanser
  • the anionic surfactant penetrates between the waste material and the hair of the scalp, thereby weakening the adsorption power of the waste material and making it easy to clean.
  • Anionic surfactants act as a primary surfactant (Pr imary surfactant), and imparts the cleaning and foaming power that is a basic function of the shampoo.
  • Secondary surfactants (Secondary Surfactant) is used as an auxiliary surfactan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durability and stability of the bubbles and maintaining the viscosity.
  • anionic surfactants may irritate the scalp and may cause various scalp diseases by interfering with normal metabolism of the scalp due to continuous and repeated cleaning.
  • eco-friendly sugars and amino acid compounds are being developed, and amino acids, which are present in large quantities in nature, are being researched in various fields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well-being trend as raw materials.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102415 relates to a hair cleaner composition containing a sebum absorbent, and describes the use of the powder as a sebum absorbent. It is used for the effect of sebum adsorption and exfoliation of hair and is due to the oil absorption function of the powder itself.
  • the effect of bubble enhancement according to particle size or surface properties has not been realized in the product and cannot be found in the prior literature.
  • anionic surfactants tend to increase skin irritation when they remain or are exposed to the skin for a long time as one of skin irritants. Accordingly, there have been attempts to reduce the amount of anionic surfactants in recent years, but the reduction of bubble power is the biggest limitation in us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cluding a low content of anionic surfactant to 13% or less, in order to reinforce the foaming force resulting in a particle diameter of 0.01 to 10um and the surface is hydrophobically modified powder It provides a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0.1 to 5%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 the powder contained in the clea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rface modification surfactant attached to a hydroxy group (-0H), which is a hydrophilic part of the powder, wherein the alkyl group (C5-C24) of the surface modification surfactant is the outermost. Oriented to hydrophobic Is characteristic.
  • the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 hydrophobically modified powder, it is possible to prepare a detergent having excellent foaming power and detergency while minimizing irritation to the skin by lowering the content of the anionic surfactant.
  • Figure 2 shows the comparative comparison of the cleaning composition of Preparation Examples 1 to 4 immediately after shaking.
  • 4 is a graph showing data of measuring the volume of bubbl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stirring of Preparation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n image of a product tester (SITA foam tester R-2000, manufactured by SITA Messtechnik GmbH) used to measure the bubble volume of Preparation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leaning agent bubbles are emulsified in water (liquid phase) through a relatively hydrophobic air (gas phase) through a surfactant contained in the cleaning agent.
  • the pickling technique is a technique of stabilizing two different phases using powder, and is well known as a concept of pickling emulsification. Similar to the concept of pickling emulsification, it can be expected that the powder arrangement present in the interface (liquid / gas) film varies depending on the particle size and surface charge properties of the powder. Therefore, the particle size was limited from 10 nm to 50 um in consideration of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and the feeling of use (such as residual hair texture and powder particle feel), bu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 difference in surface charge properties.
  • Preparation Examples 1 to 4 were prepared for the hair cleaner containing four commercially available powders having a difference in particle size and surface properties (hydrophobicity / hydrophilicity), and Examples 1 to 4 were each prepared through a predetermined test. The foaming power, bubble holding power, antifoaming power, and hair flexibility in use were evaluated.
  • Preparation Example-Table 1 below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 powder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able 2 shows the components and contents (weight 3 ⁇ 4>) of Preparation Examples 1 to 4 of the hair cleaning agent to which the respective powders were applied. Indicated.
  • Preparation Example 1 shown in Table 2 used the trade name Aerosil R202 (manufactured by Evonik Industries) as a powder, and referring to Table 1, this was a silica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about 14 nm modified hydrophobically by arranging dimethicone (Dimethicone) on the surface. (Silica).
  • Production Example 2 used the trade name Aerosil 200 (manufacturer: Evonik Industries) as powder, and referring to Table 1, this is silica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about 12 nm having a hydrophilic surface.
  • Preparation Example 3 used the trade name Hydro dry (K) (manufactured by Advanced Chemical) as a powder, and referring to Table 1, this refers to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which the surface was hydrophobically modified by the surfactant tritrimonium chloride (Cetrimonium Chloride). It is about 7um of Kaolin. Tetrasodium Pyrophosphate (Na 4 P 2 0 7 ) was used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hydrophilic part of the kaolin powder particles in the surface modification process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surface modification.
  • Preparation Example 4 used a brand name Colloidal Kaolin-BC Grade 2457 (manufacturer: Brenntag Specialties) as powder.
  • this is kaolin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0-20 ⁇ m with hydrophilic surface.
  • 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Guar Hydr oxypr opy 11 r imoni urn Chloride) as a cationic polymer in Table 2 is a brand name Guarquat L80KC (manufacturer: KCI), Sodium Laureth (2E0) Sulfate anionic surfactant SLES is the trade name Micolin ES270 (manufactured by Miwon Chemical), and the nonionic surfactant Cocamide Methyl MEA uses the trade name Micopol C ⁇ (manufactured by Miwon Chemical). .
  • the bubble force is 5% by weight of each of the total detergent compositions corresponding to Examples 1 to 4, and then distilled into a 100 mL aqueous solution at 25 ° C., and then the artificial sebum lg is added to a stirrer (Magnet St). After mixing for 1 minute by minimizing bubble generation at 300rpm using i rrer), 10mL of this is placed in a 60mL glass vial of 30 ⁇ diameter and shaken 20 times in a shaking machine rotating 180 degrees per second. It is defined as the height ( ⁇ ), and in this specification, the bubble holding force is defined as the height (mm) of the bubble after the shaking is stopped and left for 10 minutes.
  • hair flexibility during rinsing was selected by using 10 professional panel cleaners prepared in Examples 1 to 4, at least 1 It is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arithmetic average by sensory evaluation on hair flexibility when rinsing up to 9 points. According to Table 3, the foaming force and bubble holding force of Example 3 were measured to be the highest as compared to Examples 1, 2 and 4 at 95 mm and 91 mm, and thus the defoaming force was the smallest as 4 ⁇ . In addition, the hair flexibility during rinsing was also the highest evaluation result of Example 3 was 6.
  • the detergent composition including Kaolin (Kaol in)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about 1 to 7 ⁇ m with a hydrophobically modified surface as a powder of Preparation Example 3 was evaluated as the most preferable. It became. Hydrophilic without any processing in the powder of Table 1
  • hydrophobic kaolin (Preparation Example 3) in which the alkyl group is surface-oriented through surface modification with Kaolin (Preparation Example 4) the difference in bubble and bubble holding power occurs in Examples 3 and 4 of Table 3, even though the particle size is in a similar range
  •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data measured the volume of the bubble according to the stirring number (set) of Preparation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5 mass 3 ⁇ 4 of the detergent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Preparation Example 3 and the detergent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of Table 4 were then diluted with 250 mL of an aqueous solution at 25 0 C, as shown in FIG. 5.
  • the volume of the foam generated for each set was measured in a process of performing a total of five sets with a product tester (SITA Foam Tester R-2000, manufactured by SITA Messtechnik GmbH) for 20 seconds at 800 rpm for one set. It is set as Example 5 which performed this test with the detergent of the said manufacture example 3.
  • Example 4 can be used to estimate the foaming speed and bubble stability of the cleaning agent.
  • the volume of the initially generated bubbles Example 5 is about 620 mL
  • Comparative Example 1 is about 280 mL
  • Example 5 is about 2.2 times higher than Comparative Example 1
  • the initial slope also has a larger value. Therefore, Example 5 is superior to the foaming rat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 it can be seen that the initial generated bubbles of Example 5 is increased stably the number of sets (set), even if the time is maintained stable.
  • the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ophobically modified kaolin powder was shown to affect not only the initial bubble power of the cleaning agent, but also bubble stability.
  • FIG. 6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surface modification principle of the powder used in the clea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oxy group (-0H) which is a hydrophilic part of the Karlin powder in the cleaning composition of Preparation Example 3 to a phosphate group (-0P0 2 By replacing with H 2 )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the efficiency of surface modification is improved, and the content of the outermost surface is hydrophobically modified through an alkyl group at the end.
  • the main compositions and propertie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clean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owder whose surface is hydrophobically modified for the purpose of reinforcing the foaming force and the foam retaining force due to the reduced anionic surfactant.
  • the total detergent compos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0.1 to 5% by weight of the total detergent composition. If it contains less than 0.1% by weight, the bubble stabilization effect of the powder is insufficient, and foaming and bubble retention cannot be expected to be improved, and when it contains more than 5% by weight, the feeling of use due to stiffness is impaired.
  • the evaluation value applying the brand name Hydro dry (K) manufactured by Sunjin Chemical Co., Ltd. corresponding to Example 3 is the foaming force, foam holding force, defoaming force and hair during rinsing It has been shown to be most suitable as a hair cleaner in the flexible part.
  •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13% by weight or less of anionic surfacta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anionic surfactant to relieve irritation of the scalp or hair.
  • Anionic surfactants in excess of 13 weight> are irritating to the skin.
  • Anionic surfactants have excellent detergency, permeability, dispersibility, and emulsification.
  • the hydrophilic part becomes ionized by dissolving in water.
  • carboxylic acid (-C00H), sulfate ester (-0S0 3 H), sulfonic acid (_S0 3 H) are three species, and most of them are used as soluble salts.
  • Applicable anionic surfactants are known to use Alkyl sulfate type, ethoxylated alkyl sulfate type, alkyl ethoxycarboxylate type, alkyl glyceryl ether sulfonate type, ethoxy ether sulfonate type, methyl acyl taurate type, alkyl sulfosuccinate type, alkyl Ethoxy sulfosuccinate, Alpha-sulfonated fatty acid, Alkyl phosphate ester, Ethoxylated alkyl phosphate ester,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Paraffin sulfonate, Alpha-lepin sulfonate, Alkoxyalkoxy Sulfate-based and combinations thereof may be used, and in particular, sodium laureth sulphate is preferably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nonionic surfactant of 8% by weight or less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for the purpose of reinforcing the scalp or hair cleansing caused by the reduced anionic surfactant but minimizing the content of the total surfactant.
  • the nonionic surfactant has a hydrophilic part through hydrogen bonding with water by a hydroxy group ( ⁇ 0H) or ethylene oxide (-0CH 2 CH 2 ) group, instead of having a ionic hydrophilic group, and an emulsifier, an antistatic agent, It is a surfactant used in penetrants. It has a lot of liquid phase and is neutral in water.
  • nonionic surfactants are generally used as creamy emulsifiers, such as treatments, because of their strong emulsification of water and oil. It is relatively stable to the skin and is used in most cosmetics. Applicable nonionic surfactants are satisfied by using known ones, and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coholic ethoxylates, amide ethoxylates, amine oxides, alkylglucosides, and combinations thereof. It may be used, and preferably, cocamide methyl MEA may be used.
  • Preparation Examples 1 to 4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urfactant in the overall detergent composition applied a nonionic surfactant to assist the function of the anionic surfactant, but additional combinations (such as cationic surfactant or amphoteric surfactant) also It is possible.
  • Cationic surfactants are quaternary ammonium and tertiary amidoamines and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 quaternary ammonium such as behen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cet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stear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distear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and diset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 tertiary amidoamines such as cocaamidopropyldimethylamine, stearamidopropyldimethylamine, beheniramidopropyldimethylamine, eureamidopropyldimethylamine and isostearamidopropyldimethylamine. It is possible.
  • Amphoteric surfactants include alkylbetaine, amidebetaine, sulfobetaine, hydroxysulfobetaine, amidosulfobetaine, phosphobetaine, imidazoliniumbetaine, aminopropionic acid and amino acid.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powder has a surface modification surfactant attached to a hydroxy group (-0H), which is a hydrophilic part of the powder, on the surface of which the alkyl (Alkyl) group of the attached surfactant is the outermost.
  • a surface modification surfactant attached to a hydroxy group (-0H), which is a hydrophilic part of the powder, on the surface of which the alkyl (Alkyl) group of the attached surfactant is the outermost.
  • the surface is hydrophobic.
  • the powder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kaolin (Kaol in), the particle size of which is most preferably 0.1 to 10um. Particle sizes below O. lum are insignificant in bubble stabilization effects, and particle sizes above lOum have a negative effect on usability as the powder remains on the scalp and hair.
  • Kaol in is commonly called Kaolin, Porcelain Cl ay, and Feldspar is decomposed by weathering. It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earth's crust.
  • the composition will vary greatly from deposit to deposit, but depending on the degree of feldspar weathering and geological history, kaolin is a secondary mineral in addition to the main minerals kaolinite and halosite, which is silica, mica and other clay minerals, especially un weathered.
  • the surface-modifying surfactant of the powder is given hydrophobicity by an alkyl group, and C5 to C24 are suitable, and it is preferable to react with the hydrophilic group of the powder.
  •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trimonium Chloride (CTAC), Cetrimonium Bromide, Stetrimonium Chloride, and Behentrimonium Chloride. , More preferably, in Chemical Formula 1 Corresponding Cetrimonium Chloride (CTAC) is used.
  • the deterg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powder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foaming power of the low content anionic surfactant.
  • the powder contained in the detergent for bubble stabiliz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ydrophobically modified kaol in the surface, and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0.01 to 5 weight 3 ⁇ 4>,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 the defoaming force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aming force and the bubble holding force, becomes 4 mm, and the larger the value of the foaming force and the bubble holding force is, the smaller the value of the foaming force is to generate and maintain abundant bubbles.
  • the result of Example 3 was the most excellent in the evaluation of hair flexibility sensory when rinsing 6 Appeared.
  •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professional panel is considered to be preferable as a cleaning agent when the foaming force is 85 kPa or more, the foam holding force is 80mm or more, the defoaming force is 6mm or less, and the hair flexibility when rinsing is 5 or more.
  • Example 5 corresponding to Preparation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1 containing no powder
  • the volume of the bubbles in one set of stirring was about 620mL in Example 5
  • Comparative Example 1 was about 280mL
  • the foaming rate was excellent, and in the case of 5 sets of stirring, the bubble stability was also excellent by maintaining the volume of bubbles initially formed. This is an effect due to the hydrophobically modified kaolin powder, it can be seen that the Kaolin powder affects the foaming rate and bubble sta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ost preferred but not limited to the hair cleanser, but is not limited to the hair cleanser, and can be suitably used for a cleanser requiring hypoallergenicity and high stability such as a body wash, a pet cleanser, and a face wa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이 소수성인 분체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에 부착된 계면활성제의 알킬(Alkyl)기가 최외각으로 배향되어 표면이 소수성으로 개질된 분체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표면이 소수성으로 개질된 분체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적용하면,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최소화하여 피부에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세정력과 기포력이 우수한 세정제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세정제 조성물 【기술분야】
본 발명은 표면이 소수성인 분체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에 부착된 계면활성제의 알킬 (Alkyl )기가 최외각으로 배향되어 표면이 소수성으로 개질된 분체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모발용 세정제의 가장 큰 목적은 두피와 모발의 노폐물, 예컨대 피지 (皮脂)를 제거하여 청결을 유지하고 두피의 컨디션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두피에 노폐물이 흡착되면 산패 (酸敗)되어 세균이 증식하고 이로 인해 불쾌한 냄새와 가려움증이 나타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음이은 계면활성제 (Anioni c Surf actant )가 주성분인 모발용 세정제를 사용하게 된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노폐물과 두피의 모발 사이에 침투하여 노폐물의 흡착력을 약화시켜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게 한다. 모발용 세정제의 주요 구성 물질인 계면활성제는 음이은계를 가장
대체 S지 (규칙 제 26조) 많이 함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1차 계면활성제 (Pr imary Surfactant )의 역할을 하며, 샴푸의 기본적인 기능인 세정력과 기포력을 부여한다. 2차 계면활성제 (Secondary Surfactant )는 보조 계면활성제로서 기포의 지속력과 안정성 개선 및 점성의 유지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두피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세정으로 인하여 두피의 정상적인 신진대사를 방해하여 각종 두피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친환경적인 당류 및 아미노산계 화합물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천연에 대량 존재하고 있는 아미노산류는 새로운 대체자원으로서 요즘의 웰빙 트렌드에 맞춰 여러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고, 원료 업계에서도 가급적 피부에 자극을 적게 주거나 피부 친화적인 계면활성제를 만들고자 하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한편 모발용 세정제의 성분으로 분체는 사용되는 예가 극히 드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102415호는 피지흡수제를 함유하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지 흡수제로서 분체의 사용가능성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나, 이것은 모발의 피지 흡착, 각질 제거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분체 자체의 흡유 기능에 기인하는 것이며, 특정 분체의 입자 사이즈나 표면 성질에 따른 기포력 향상의 효과에 대해서는 제품에서 구현된 바가 없을뿐더러 선행 문헌에서도 발견할 수 없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적 과제】
종래의 세정제는 세정력과 기포력을 위해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약 14 - 20% 정도 포함한다. 그러나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피부 자극원의 하나로 장시간 피부에 잔여하거나 노출될 경우, 피부 자극이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따라 최근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양을 저감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어왔으나, 기포력의 감소가사용상의 가장 큰 제약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술적 해결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13% 이하로 저함량 포함하되, 이로 인한 기포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입경이 0. 1 내지 10um이며 표면이 소수성으로 개질된 분체를 전체 중량 대비 0. 1 내지 5 중량 %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분체는 분체의 친수성 부분인 하이드록시기 (-0H)에 표면개질용 계면활성제가 부착된 형태로서, 상기 표면개질용 계면활성제의 알킬기 (C5-C24)가 최외각으로 배향되어 소수성인 것이 특징이다. 이때 분체의 친수성 부분인 하이드록시기 (-0H)를 포스페이트기 (-0P02H2)로 치환하여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표면개질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추가적으로 보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여 저함량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보완할 수 있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의 표면이 소수성으로 개질된 분체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적용하면,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낮춰 피부에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기포력과 세정력이 우수한 세정제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4의 세정제 조성물을 쉐이킹 전에 비교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4의 세정제 조성물을 쉐이킹 직후에 비교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4의 세정제 조성물을 쉐이킹하고 10분간 방치한 후에 비교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예 3 및 비교예 1의 교반횟수에 따른 기포의 부피를 측정한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예 3 및 비교예 1의 기포 부피를 측정하는데 사용된 품테스터 (SITA foam tester R-2000 , 제조사: SITA Messtechnik GmbH)의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분체의 표면개질 원리에 대한 설명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표면이 소수성인 분체 (粉體)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정제에 있어서 기포 (氣泡)는 상대적으로 소수성인 공기 (기체상)가 세정제에 포함된 계면활성제를 통해 물 (액체상)에 유화되어 생성되는 것으로, 이때 분체가 계면막에 안정하게 배열되면 유화 입자인 기포를 안정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분체의 피커링 (Picker ing) 안정화 효과에서 기인되는 것이다. 피커링 기술이란, 분체를 이용하여 상이한 두개의 상을 안정화하는 기술로서, 피커링 유화의 개념으로 잘 알려져 있다. 피커링 유화의 개념과 마찬가지로, 분체의 입자 사이즈 및 표면 전하 성질에 따라 계면 (액체 /기체) 막에 존재하는 분체 배열이 달라짐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제형의 안정도 및 사용감 (분체의 모발 잔여감 및 분체 입자 감촉 등)을 고려하여 10nm 에서 50um 수준으로 입자 사이즈를 한정하되, 표면 전하 성질에 차이를 두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다음의 제조예 1 내지 4는 입자 사이즈와 표면 성질 (소수성 /친수성)에 차이가 있는 4종의 시판되는 분체를 포함하는 모발용 세정제를 제조한 것이며, 실시예 1 내지 4는 소정의 테스트를 통하여 각각의 기포력, 기포유지력, 소포력 및 사용시 모발 유연성을 평가한 것이다. - 제조예 - 하기의 표 1에는 본 발명에 적용된 4종의 분체에 관한 특성을 정리하였고, 표 2에는 각각의 분체를 적용한 모발용 세정제의 제조예 1 내지 4의 성분과 함량 (중량 ¾>)을 표시하였다.
<표 1>
Figure imgf000009_0001
〈표 2>
Figure imgf000009_0002
표 2에 나타난 제조예 1은 분체로서 상품명 Aerosil R202(제조사: Evonik Industries)를 사용하였으며, 표 1을 참고하면 이것은 표면에 디메치콘 (Dimethicone)을 배열하여 소수성으로 개질된 평균 입자 사이즈 14nm 정도의 실리카 (Silica)이다. 또한 제조예 2는 분체로서 상품명 Aerosil 200(제조사: Evonik Industries)를 사용하였으며, 표 1을 참고하면 이것은 표면이 친수성인 평균 입자 사이즈 12nm 정도의 실리카 (Silica)이다. 또한 제조예 3은 분체로서 상품명 Hydro dry(K) (제조사: 선진화학)를 사용하였으며, 표 1을 참고하면 이것은 계면활성제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Cetrimonium Chloride)에 의해 표면이 소수성으로 개질된 평균 입자 사이즈 1 7um 정도의 카을린 (Kaolin)이다. 표면 개질 공정에서 카올린 분체 입자의 친수성 부분의 표면적을 넓혀 표면개질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피로인산사나트륨 (Tetrasodium Pyrophosphate; Na4P207)을 사용하였다. 한편 제조예 4는 분체로서 상품명 Colloidal Kaolin-BC Grade 2457(제조사: Brenntag Specialt ies)를 사용하였으며, 표 1을 참고하면 이것은 표면이 친수성인 평균 입자 사이즈 10 ~ 20um 정도의 카올린 (Kaolin)이다. 상기 표 2에서 양이온 폴리머인 구아하이드톡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Guar Hydr oxypr opy 11 r imoni urn Chloride)는 상품명 Guarquat L80KC (제조사: KCI),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Sodium Laureth(2E0) Sulfate; SLES)는 상품명 Micolin ES270(제조사: 미원화학),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메칠엠이에이 (Cocamide Methyl MEA)는 상품명 Micopol C匪 (제조사: 미원화학)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킬레이팅제로서 디소듐이디티에이 (Di sodium EDTA), 방부제로서 페 녹 시 어 1 탄 을 ( P h e n o x y e t h a n o l ) ,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Methyl chloroisothiazol inone) 및 메칠이소티아졸리논 (Methylisothiazolinone), 점증제로서 염화나트륨 (Sodium Chloride)을 사용했으며, 여기에 향성분 (Fragrance)을 추가하였으나, 임의성분으로서 이외의 물질 사용에도 제한이 없다. 상기 표 2의 제조예 1 내지 4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양을 전체 세정제 조성물의 중량 대비 8.5 중량 %로 고정함으로써 저함량 음이온 계면활성제 세정제를 달성하여 피 및 모발 자극을 최소화하고자 하였으며, 보조적으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5.5 중량 % 사용함으로써 세정력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 실시예 ᅳ
하기의 표 3에는 상기 제조예 1 내지 4에 해당하는 모발용 세정제 각각의 기포력, 기포유지력, 소포력 및 행굼시 모발 유연성에 관한 4가지 항목의 평가를 위해 소정의 테스트를 실시한 실시예 1 내지 4의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imgf000012_0001
본 명세서에서 기포력 (氣泡力)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 해당하는 각각의 전체 세정제 조성물의 5 중량 %를 취하여 25°C에서 lOOmL 수용액으로 회석한 뒤, 인공피지 lg을 넣고 교반기 (Magnet St i rrer)를 이용하여 300rpm으로 기포 발생을 최소화하여 1분간 흔합한 후, 이 중 10mL를 직경이 30讓인 60mL 유리 바이알에 넣어 초당 180도 회전하는 쉐이킹 기기에서 20회 쉐이킹한 직후에 형성된 기포의 높이 (醒)로 정의하며,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포유지력 (氣泡維持力)은 상기 쉐이킹을 멈추고 10분간 방치 후 기포의 높이 (mm)로 정의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소포력 (消包力)은 하기의 식 1)에 의해 정의된다. 식 1) 소포력 (mm) = 기포력 (mm) - 기포유지력 (mm) 또한 행굼시 모발 유연성은 전문 패널 10인을 선정하여 실시예 1 내지 4에 의해 제조된 모발용 세정제를 사용한 후, 최소 1점에서 최고 9점까지 행굼시 모발의 유연성에 관해 관능평가 (官能檢査)하여 산술평균을 산출한 결과이다. 상기 표 3에 의하면 실시예 3의 기포력과 기포유지력이 95mm와 91mm로 실시예 1, 2, 4에 비하여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소포력은 4瞧로 가장 작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굼시 모발 유연성도 실시예 3의 결과가 6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모발용 세정제로서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한 상기 네가지 테스트 결과, 제조예 3의 분체로서 표면이 소수성으로 개질된 평균 입자 사이즈 1 ~ 7um 정도의 카을린 (Kaol in)을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표 1의 분체 중에서 임의의 가공을 하지 않은 친수성 카올린 (제조예 4)과 표면 개질을 통해서 알킬기가 표면 배향된 소수성 카올린 (제조예 3)의 경우 입자 사이즈가 유사한 범위임에도 상기 표 3의 실시예 3과 4에서 기포력과 기포유지력에 차이가 발생하는 결과를 바탕으로, 알킬기에 의해 소수성이 부가된 경우 기포안정화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분체 표면에 디메치콘과 같은 실리콘기가 배열되어 소수성이 부가된 경우 (제조예 1)에는 오히려 소포효과가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표면에 소수성, 특히 알킬기가 배향된 분체의 기포안정화 효과가 가장 우수하며, 사용감이나 안정성을 고려하여 입자 사이즈가 0. 1 ~ lOum 정도의 분체가 가장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결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4의 세정제 조성물을 쉐이킹 전에, 도 2는 쉐이킹 직후에, 도 3은 쉐이킹하고 10분간 방치한 후에 비교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의 기포의 높이값은 유리 바이알의 바닥지점에서부터 내부에 기포가 생성된 최고지점까지의 수직 높이를 측정한 값이다. 하기의 표 4는 상기 소정의 테스트를 실시 결과 가장 우수한 제조예 3과 분체를 제외한 비교예 1의 조성 대비표이다: <표 4>
Figure imgf000015_0001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예 3 및 비교예 1의 교반횟수 (세트)에 따른 기포의 부피를 측정한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먼저 제조예 3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세정제와 하기 표 4의 비교예 1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세정제를 각각 5 질량 ¾를 250C에서 수용액 250mL로 회석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품 테스터 (SITA Foam Tester R-2000 , 제조사: SITA Messtechnik GmbH)에 800rpm으로 20초간 교반하는 것을 1세트로 하여 총 5세트 실시하는 과정에서 각 세트마다 생성된 거품의 부피를 측정하였다. 상기 제조예 3의 세정제로 본 테스트를 실시한 것을 실시예 5로 한다. 도 4의 그래프 기울기로 세정제의 발포속도 (發泡速度) 및 기포안정성을 가늠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그래프의 데이터에 따르면 초기 생성된 기포의 부피는 실시예 5가 약 620mL이고, 비교예 1이 약 280mL로 실시예 5가 비교예 1보다 약 2.2배 더 높으며, 초기 기울기 또한 더 큰 값을 가진다. 따라서 실시예 5가 비교예 1에 비해 발포속도가 우수하며, 실시예 5의 초기 생성된 기포는 교반 횟수 (세트)가 증가하여 시간이 홀러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표면이 소수성으로 개질된 카올린 분체는 세정제의 초기 기포력 뿐만 아니라, 기포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6은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분체의 표면개질 원리에 대한 설명도로서, 제조예 3의 세정제 조성물 중 카을린 분체의 친수성 부분인 하이드록시기 (-0H)를 포스페이트기 (― 0P02H2)로 치환하여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표면개질의 효율을 높이고 말단의 알킬기를 통하여 최외각 표면을 소수성으로 개질한 내용을 도식화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 포함 가능한 주요 조성물 및 특성에 대해 설명한다. ,
- 주요 조성물 -
( 1) 표면이 소수성으로 개질된 분체
본 발명은 감량된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인한 기포력 및 기포유지력을 보강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표면이 소수성으로 개질된 분체를 포함한다.
- - 이때 전체 세정제 조성물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 % 미만 포함시 분체의 기포안정화 효과가 미비하여 기포력 및 기포유지력 향상을 기대할 수 없으며, 5 중량 % 초과 포함시 분체 특유의 사용시 뻣뻣함으로 인한 사용감이 저해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실시예 3에 해당하는 (주)선진화학에서 제조한 상표명 Hydro dry(K)을 적용한 평가값이 기포력, 기포유지력, 소포력 및 행굼시 모발 유연성 부분에서 모발용 세정제로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음이온 계면활성제
본 발명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감량하여 두피 또는 모발의 자극을 완화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전체 세정제 조성물 중량 대비 13 중량 % 이하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13 중량 ¾>를 초과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피부에 자극을 주게 된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세정력, 침투력, 분산성, 유화가 우수하며, 물에 녹아 전리되면서 친수성 부분이 ' - '이온성이 된다. 대표적으로 카르복시산 (-C00H) , 황산에스테르 (-0S03H),술폰산 (_S03H)의 3종이며 대부분 이들을 가용성 염으로 사용하고 있다. 적용 가능한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만족되며, 알킬설페이트계, 에톡실화알킬설페이트계, 알킬에록시카르복실레이트계, 알킬글리세릴에테르설포네이트계, 에록시에테르설포네이트계, 메틸아실타우레이트계, 알킬설포숙시네이트계 , 알킬에톡시설포숙시네이트계, 알파-설포네이트화지방산계, 알킬포스페이트에스테르계, 에톡실화알킬포스페이트에스테르계, 직쇄알킬벤젠설포네이트계, 파라핀설포네이트계, 알파-을레핀설포네이트계, 알킬알콕시설페이트계 및 이들의 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Sodium Laureth Sul fat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3) 비이온 계면활성제
본 발명은 감량된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인한 두피 또는 모발의 세정력을 보강하되 전체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체 세정제 조성물 중량 대비 8 중량 % 이하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이온성에 의한 친수기를 갖는 대신 하이드록시기 (ᅳ 0H)나 에틸렌 옥사이드 (-0CH2CH2)기에 의한 물과의 수소결합을 통하여 친수성 부분을 갖고 있으며, 유화제, 정전지 방지제, 침투제에 사용되고 있는 계면활성제로 액상이 많고 물속에 녹아 중성이 된다. 이러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물과 기름을 유화시키는 힘이 강하여 트리트먼트제와 같은 크림상의 유화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피부에 비교적 안정하여 대부분의 화장품에 사용된다. 적용 가능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만족되며, 알코을에록시레이트계, 아마이드에록실레이트계, 아민옥사이드계, 알킬글루코사이드계 및 이들의 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코카마이드메틸 MEA(Cocamide Methyl MEA)를 사용할 수 있다.
(4) 양이온 계면활성제 I 양쪽성 계면활성제
상기 전체 세정제 조성물 중 계면활성제로서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4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적용하였으나, 이외의 추가적 조합 (예컨대 양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한 가능하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4급 암모늄 및 3급 아미도아민으로서, 단독 또는 흔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세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4급 암모늄; 및 코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 베헤니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을레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이소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등의 3급 아미도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베타인계, 아미드베타인계, 술포베타인계, 히드록시술포베타인계, 아미도술포베타인계, 포스포베타인계, 이미다졸리늄베타인계, 아미노프로피온산계, 아미노산계 및 이들의 흔합물이 가능하다.
- 분체의 특성 - 본 발명에 있어서 분체는 표면에 분체의 친수성 부분인 하이드록시기 (-0H)에 표면개질용 계면활성제가 부착된 형태로서, 상기 부착된 계면활성제의 알킬 (Alkyl )기가 최외각으로 배향되어 표면이 소수성인 것이 특징이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체의 친수성 부분인 하이드록시기 (-0H)를 포스페이트기 (-0P02H2)로 치환하여 표면적을 넓혀 표면개질의 효율을 높이고 말단의 알킬기를 최외각으로 배향시킴으로써 표면에 소수성올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 적용된 분체는 카을린 (Kaol in)이며, 입경이 0. 1 내지 10u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O. lum 미만의 입자사이즈는 기포안정화 효과가 미비하며, lOum 초과의 입자사이즈는 분체가 두피 및 모발에 잔여하여 사용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된다. 카올린 (Kaol in)은 통상적으로 고령토 (高嶺土) , 도자기점토 (Porcelain Cl ay)라고 불리며, 장석 (Feldspar)이 풍화작용에 의해 분해된 것으로 지각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그 조성은 광상에 따라 크게 다를 것이나, 장석 풍화의 정도와 지질학적 역사에 따라, 카올린은 주광물 카올리나이트 (Kaolinite), 할로이사이트 (Halloysite) 외에 이차 광물 성분으로 규사, 운모, 다른 점토광물 특히 비풍화된 장석을 함유한다. 카을린 광물들은 모두 화학식이 Al2Si205(0H)4(Kaolinite) 또는 A1203 · 2Si02 · 2H20(Halloysite)이지만 결정구조가 서로 다르다. 카올린에서 추출되는 무기질, 실리카, 알루미나, 마그네슴, 유기복합물질, 게르마늄, 원적외선 등은 인체에 이롭게 작용해 피부미용에 큰 효과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악취, 흡착, 탈취 등의 효과가 있어 파우더, 마스크팩 등의 화장품 원료로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흰색의 부드러운 분말로 수분과 유분올 흡수하고 커버 능력이 좋아 피부에서 분비되는 땀과 오일의 흡수 세정제로 적당하다. 상기 분체의 표면개질용 계면활성제는 알킬기에 의해 소수성이 부여되는 것으로 탄소수 C5 내지 C24가 적당하며, 분체의 친수성기와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Cetrimonium Chloride; CTAC) , 세트리모늄브로마이드 (Cetrimonium Bromide),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Steartrimonium Chloride) 및 베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Behentrimonium Chlo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가능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화학식 1에 해당하는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Cetr imonium Chlor ide ; CTAC)을 사용한다.
<화학식 1>
Me
- 분체를 포함하는 세정제 특성-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저함량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기포력을 보완하고자 분체를 함유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본 발명의 기포안정화를 위해 세정제에 함유되는 분체는 표면이 소수성으로 개질된 카올린 (Kaol in)으로서, 전체 세정제 조성물 중량 대비 0. 1 내지 5 중량 ¾>로 포함된다.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르면, 상술한 기포력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 결과, 제조예 3에 해당하는 실시예 3의 결과가 95瞧로 가장 우수했고, 또한 방치 10분 후 기포의 높이인 기포유지력 또한 실시예 3의 결과가 91mm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기포력과 기포유지력의 차이값인 소포력은 4mm가 되며, 기포력과 기포유지력은 값이 클수록, 소포력은 값이 작을수록 풍부한 거품을 발생시키고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행굼시 모발 유연성 관능 평가에서도 실시예 3의 결과가 6으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별도의 실시로서, 전문 패널의 관능 평가 결과 기포력은 85匪 이상, 기포유지력은 80mm 이상이고, 소포력은 6mm 이하 이며, 행굼시 모발 유연성은 5 이상일 때 세정제로서 바람직한 것으로 본다. 또한 제조예 3에 해당하는 실시예 5와 분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테스트 결과, 1세트 교반시 기포의 부피가 실시예 5는 약 620mL , 비교예 1은 약 280mL으로 실시예 5의 초기 발포속도가 우수하며, 또한 5세트 교반 실시의 경우 초기 형성된 기포의 부피를 유지하여 기포안정성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수성으로 개질된 카올린 분체에서 기인되는 효과로서 카을린 분체가 발포속도와 기포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부외용 세정제 중에서도 특히 모발용 세정제에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는 것이 아니며, 바디워시, 펫용 세정제, 세안료 등의 저자극성과 높은 안정성이 요구되는 세정제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분체 (粉體)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로서,
상기 분체의 표면이 소수성 (疏水性, Hydrophobi 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력이 향상된 세정제 조성물.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의 입경은 0. 1 내지 10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력이 향상된 세정제 조성물.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표면에 계면활성제가 부착된 형태를 갖는 분체이되, 상기 부착된 계면활성제의 알킬 (Alkyl )기가 최외각으로 배향되어 소수성으로 개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력이 향상된 세정제 조성물.
【청구항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카을린 (Kaol 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력이 향상된 세정제 조성물.
【청구항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의 하이드록시기 (Hydroxy 1 group; -OH)를 포스페이트기 (Phosphate group; -0P02 )로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력이 향상된 세정제 조성물.
【청구항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계면활성제는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Cetrimonium Chloride; CTAC), 세트리모늄브로마이드 (Cetrimonium Bromide),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Steartrimonium Chloride) 및 베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Behentrimonium Chlo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력이 향상된 세정제 조성물.
【청구항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전체 세정제 조성물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 % 향 된 세정제 조성물.
【청구항 8】
제 1항에 있어서,
전체 세정제 조성물 중량 대비 13 중량 % 이하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력이 향상된 세정제 조성물.
【청구항 9]
제 8항에 있어서,
전체 세정제 조성물 중량 대비 8 중량 % 이하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력이 향상된 세정제 조성물.
【청구항 10]
제 8항에 있어서,
기포력 (氣泡力)이 85画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력이 향상된 세정제 조성물.
(단, 기포력은 전체 세정제 조성물의 5 중량 %를 취하여 250C에서 lOOmL 수용액으로 희석한 뒤, 인공피지 lg을 넣고 교반기 (Magnet st i rrer)를 이용하여 300rpm으로 기포 발생을 최소화하여 1분간 흔합한 후, 이 중 10mL를 직경이 30mm인 60mL유리 바이알에 넣어 초당 180도 회전하는 쉐이킹 기기에서 20회 쉐이킹한 직후에 형성된 기포의 높이이다)
【청구항 11】
제 10항에 있어서,
기포유지력 (氣泡維持力)이 8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력이 향상된 세정제 조성물.
(단, 기포유지력은 상기 쉐이킹을 멈추고 10분간 방치 후 기포의 높이이다)
【청구항 12]
제 11항에 있어서,
소포력 (消包力 )이 6謹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력이 향상된 세정제 조성물.
(단, 소포력 (mm) = 기포력 (mm) - 기포유지력 (隱)이다)
【청구항 13]
겨 U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 5 질량 %를 25°C에서 수용액 250mL로 회석한 후, 800rpm으로 20초간 교반한 직후의 기포의 부피가 500m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력이 향상된 세정제 조성물.
PCT/KR2015/002881 2014-10-30 2015-03-24 세정제 조성물 WO2016068408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855961.7A EP3214161B1 (en) 2014-10-30 2015-03-24 Cleaning-agent composition
CN201580056474.0A CN107155332B (zh) 2014-10-30 2015-03-24 清洗剂组成物
US15/495,259 US10201485B2 (en) 2014-10-30 2017-04-24 Washing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421 2014-10-30
KR1020140149421A KR102200185B1 (ko) 2014-10-30 2014-10-30 세정제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5/495,259 Continuation-In-Part US10201485B2 (en) 2014-10-30 2017-04-24 Washing com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8408A1 true WO2016068408A1 (ko) 2016-05-06

Family

ID=5585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2881 WO2016068408A1 (ko) 2014-10-30 2015-03-24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01485B2 (ko)
EP (1) EP3214161B1 (ko)
KR (1) KR102200185B1 (ko)
CN (1) CN107155332B (ko)
WO (1) WO20160684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2586A (zh) * 2018-09-11 2019-03-19 中国化学工程第六建设有限公司 食品级管道清洗工艺
KR102581350B1 (ko) * 2018-09-12 2023-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거품 안정용 카올린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25614A (ko) 2021-03-05 2022-09-14 (주)아모레퍼시픽 세정제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050A (ko) * 1998-06-15 2000-01-25 조지안느 플로 피부보호또는클리닝을위한,수화용고체발포미세분말조성물
WO2004024119A1 (en) * 2002-09-11 2004-03-25 Unilever Plc Oil-containing personal wash composition or emulsion comprising particles with a high refractive index
US20090252691A1 (en) * 2008-04-07 2009-10-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oam manipul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fine particles
KR20110059985A (ko) * 2009-11-30 2011-06-08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세정제 조성물
KR20130028062A (ko) * 2010-03-12 2013-03-18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피부외용 조성물, 화장료 및 세정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N535095A0 (en) 1995-09-12 1995-10-05 Procter & Gamble Company, The Compositions comprising hydrophilic silica particulates
AU747236B2 (en) 1997-11-07 2002-05-09 Imaginative Research Associates, Inc. Cleanisng bar with high levels of liquid and particulate silica
FR2827515B1 (fr) 2001-07-20 2005-06-03 Oreal Composition moussante a base de silice et de polymere cationique
CN100435772C (zh) 2002-11-15 2008-11-26 狮王株式会社 香波组合物
US20090022818A1 (en) * 2007-07-12 2009-01-22 Amcol International Corporation High-foaming, viscous cleanser composition with a skin care agent
US20090246529A1 (en) * 2008-03-28 2009-10-01 Conopco, Inc., D/B/A Unilever Particle with Bipolar Topospecific Characteristic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US20110318505A1 (en) 2008-12-09 2011-12-29 Akiko Yamamoto Method for forming tantalum nitride film and film-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the same
CN102575205A (zh) * 2009-09-24 2012-07-11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抗微生物粒子及其制备方法
JP5897803B2 (ja) 2011-02-10 2016-03-30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クリーム状皮膚洗浄料
KR101898645B1 (ko) 2011-10-07 2018-09-14 (주)아모레퍼시픽 피지흡수제를 함유하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CN112515987B (zh) * 2012-12-27 2023-11-07 联合利华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具有粘土和抗菌剂的加合物的口腔护理组合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050A (ko) * 1998-06-15 2000-01-25 조지안느 플로 피부보호또는클리닝을위한,수화용고체발포미세분말조성물
WO2004024119A1 (en) * 2002-09-11 2004-03-25 Unilever Plc Oil-containing personal wash composition or emulsion comprising particles with a high refractive index
US20090252691A1 (en) * 2008-04-07 2009-10-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oam manipul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fine particles
KR20110059985A (ko) * 2009-11-30 2011-06-08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세정제 조성물
KR20130028062A (ko) * 2010-03-12 2013-03-18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피부외용 조성물, 화장료 및 세정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24599A1 (en) 2017-08-10
US10201485B2 (en) 2019-02-12
EP3214161B1 (en) 2020-08-05
KR102200185B1 (ko) 2021-01-08
KR20160050693A (ko) 2016-05-11
CN107155332B (zh) 2019-08-16
EP3214161A4 (en) 2017-11-08
CN107155332A (zh) 2017-09-12
EP3214161A1 (en)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5640B2 (en) Fabric and fibre conditioning additives
KR101879886B1 (ko) 두피 두발 세정용 조성물
AU2006215824B2 (en) Liquid cleansing composition with unique sensory properties
KR101155749B1 (ko) 점토를 함유하는 구조화된 조성물
JP5512652B2 (ja) 微粒子を含有する泡操作組成物
KR101789396B1 (ko) 정발제 조성물
HU219188B (hu) Bőrnedvesítő és testtisztító készítmény
WO2016068408A1 (ko) 세정제 조성물
JP5923409B2 (ja) 皮膚洗浄剤用組成物
EP2865739B1 (de) Verwendung von Lactonen
JP2004269494A (ja) 皮膚を剥離し、かつ、にきび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
JP5878326B2 (ja) 洗浄剤組成物
CN107603789A (zh) 一种调理型固态洗发皂
DE60206612T2 (de) Zusammensetzungen zur textilpflege
TWI355942B (en) Sheet-like material for body washing
JP5923405B2 (ja) 皮膚洗浄剤用組成物
Pedro et al. Surfactants in cosmetic products
WO2008127766A2 (en) Compositions containing benefit agent composites pre-emulsified using colloidal cationic particles
JP2002241263A (ja) 水性洗浄料
JP2001328932A (ja) ゴマージュ化粧料
TWI387464B (zh) 卸妝油
JP3967017B2 (ja) 乳化型化粧料
JP5968085B2 (ja) 皮膚洗浄剤用組成物
JP6425711B2 (ja) 整髪剤組成物
JP2014009193A (ja) 皮膚洗浄剤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559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855961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