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47862A1 - 휴대 기기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과 차량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과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47862A1
WO2016047862A1 PCT/KR2014/011859 KR2014011859W WO2016047862A1 WO 2016047862 A1 WO2016047862 A1 WO 2016047862A1 KR 2014011859 W KR2014011859 W KR 2014011859W WO 2016047862 A1 WO2016047862 A1 WO 201604786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storage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18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지준동
채원영
오명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17329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60036452A/ko
Publication of WO201604786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478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Definition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obile device storage apparatus, a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nd a vehicle.
  • Patent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2-0005886 (2012.08.21)
  • 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58826 (2013.06.05)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 vehicl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device, a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nd a vehicle.
  • a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includes a portable device storage unit provided in a vehicle and having a space in which the mobile device is stored;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device, wherein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is started,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the seat position of the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device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 the steering wheel position of the vehicle, the audio device of the vehicle,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the air blowing device of the vehicle, the air cleaning device of the vehicle, the lighting device of the vehicle, the directional device of the vehicle, the side mirror of the vehicle, the It is provided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navigation of the vehicle and the call connection of the vehicle.
  •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measure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with the portable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may release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or set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may transmit a door lock release request signal to a door switch of the vehicle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becomes stronger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become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signal strength.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may transmit a door lock setting request signal to a door switch of the vehicle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becomes weaker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becomes less than a second preset signal strength.
  •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search for a nearby registered mobile device and measure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with the previously registered portable device.
  •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easures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with the portable device
  •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blower, an air purifier, and a fragrance provided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It may be provided to control whether one operation.
  • the blower, the air cleaner, and the fragrance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means separate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a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when the portable device is accommodat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unit, and receive a response signal includ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device.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may cause the vehicle to be started according to a user authentication result using th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device.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user authentication unit configured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by comparing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device with pre-stored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may transmit a vehicle start request signal to the start controller of the vehicle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acquir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may adjust the seat position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may transmit the user'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at adjuster of the vehicle to adjust the seat position of the vehicle seat, and the seat adjuster of the vehicle may store sea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seat set for each user. have.
  •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stores seat position information of a vehicle seat set for each user, identifies a user of the portable device through th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n stores sea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vehicle seat of the user. Can be transferred to the seat adjuster.
  •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acquir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may adjust the position of the vehicle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acquir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may adjust at least one of a radio frequency and a volume of the vehicle audio according to th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acquir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may adjust at least one of brightness and color temperature of the vehicle lighting according to th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btains user'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is configured to blow air strength and blowing dir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or the blower provided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 least one of them can be adjusted.
  •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btains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allows at least one candidate destination address to be displayed on the naviga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didate destination addresses may be entered.
  •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btains user'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and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adjusts at least one of a kind of aroma and an intensity of the fragrance of the fragran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user'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You can do that.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portable device is stored, and when the portable device is stored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the door of the vehicle may not be opened.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detect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portable device is accommodated, and when the portable device is stored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sound and lighting. I can tell you one.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irroring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mirroring data from the portable device and to transmit the mirroring data to another display device in the vicinity.
  • a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including a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unit provided in a vehicle and having a space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is accommodated; A wireless charging unit configured to wirelessly charge a portable device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storage unit;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device.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may include whether the vehicle is door locked,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the seat position of the vehicle, the steering wheel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of the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device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 An audio device, an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a blower of the vehicle, an air purifier of the vehicle, a lighting device of the vehicle, a directional device of the vehicle, a side mirror of the vehicle, a navigation of the vehicle, and a call connection unit of the vehicle It may be provided to control at least one of.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unit that blocks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unit from going out.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ighting unit which displays whether the portable device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opening / closing the door of the vehicle or starting operation of the vehicle.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fixing unit configured to press and fix the portable device when the portable device is stored.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may be rotatably provided at an in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part to open and close the inlet, guide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when the portable device is inserted, and provide a scratch-resistant coating layer. It may further include an inlet cover.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is provided inside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unit, and generates an ultraviolet ray irradiating unit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portable unit, an ion generator for generating ions into the housing unit, and ozone in the housing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sterilization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ozone generator.
  •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on member provided on at least on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storage unit.
  • a vehicle control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detecting whether a portable device, which is provided in a vehicle, is already registered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hecking, by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whether the found portable device approaches the vehicle; And when the found portable device approaches the vehicle, transmitting the door lock release request signal to the vehicle.
  • the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approaching may include: increasing, by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with the portable device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r the first signal strength with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is preset; It may include a step of checking whether or not.
  • the portable device After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oor lock release request signal, when the portable device is accommodated in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a response signal includ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device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And transmitting, by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a vehicle start request signal to the vehicle.
  •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stor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After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oor lock release request signal, when the start of the vehicle is turned off, by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portable device is accommodated; And setting the door lock on the door of the vehicle when the portable device is accommodated.
  • the mobile device After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oor lock release request signal,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checking whether the mobile device is away from the vehicle; And when the portable device is far from the vehicle, transmitting the door lock setting request signal to the vehicle by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 the determining of whether the vehicle is far from the vehicle may include: storing, by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with the portable device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gradually weakened, or the wireless signal strength is preset; It may include checking whether or not less than.
  • a vehicle control method comprising: searching whether a mobile device storage device provided in a vehicle includes a pre-registered mobile device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hecking, by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whether the found portable device approaches the vehicle; Acquiring, by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device approaching the vehicle; And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the seat position of the vehicle, the steering wheel position of the vehicle, the audio device of the vehicle,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and the air blowing of the vehicle using the obtain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device, an air purifier of the vehicle, a lighting device of the vehicle, a directional device of the vehicle, a side mirror of the vehicle, a navigation of the vehicle, and a call connection of the vehicle.
  •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may execute a welcome operation after transmitting a door lock release request signal to the door opener of the vehicle.
  • the welcome operation may be at least one of a sound greeting and a graphic signal.
  •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may receive at least one of location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device.
  •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may send a signal to the vehicle to control the audio device using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weather information.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may calculate a spe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may send a signal to the vehicle to adjust the seat belt tightening force of the vehicle when the spe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may send a signal to the vehicle such that vibration occurs on the seat of the vehicle.
  •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can send an incoming signal informing the vehicle of the fact when a telephone call is made to the stored portable device.
  •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may detect a phone ring sound or vibration of the mobile device, and transmit the incoming call signal to the vehicle when the phone bell or the vibration is detected.
  • the portable device storage unit may be a mounting type or a pocket type.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unit may be mounted on at least one of a door, a center console, a center fascia, a seat, a room mirror, and a rear armrest console of the vehicle.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harging unit mounted o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unit to wirelessly charge the stored portable device.
  •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may include a casing forming the portable device housing; A vibration detector mounted on a bottom of the casing to detect vib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A sound transmission unit mounted on one sidewall of the casing to transfer sound to the portable device; A touch unit mounted on the sidewall of the casing and touching a display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And a sound acquisition unit mounted on the one side wall of the casing to acquire sound of the portable device.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may transmit an incoming signal to the call connection unit when detecting the vib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ed in the vibration detecting unit.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may transmit an incoming signal to the call connection unit.
  • the sound transmission unit may voicely transmit a voice signal of the user of the vehicle, which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call connection unit, to the sound input unit of the portable device.
  • the sound acquisition unit may acquire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mobile device stored therein and transmit the sound to the speaker of the call connection unit.
  •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includ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device, so that the vehicle door lock can be automatically released or set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portable device.
  • user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by acquir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device, and the vehicle may be automatically started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 the seat position of the vehicle seat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ortable device.
  • by providing a wireless charging unit it is possible to wirelessly charge the portable device while storing the portable device.
  • by notifying the user of the state of charge and incoming state of the mobile devic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lighting unit and the notification unit it is easy to receive the incoming signal, receive text, etc. of the mobile device even when the mobile device is stored in the mobile device storage groove. You can check it.
  • sterilizing the portable device through an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it is possible to remove bacteria or contaminants on the portable device.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obile device accommo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osition fixing unit in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accommo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obi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ase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is mounted in the center tunnel in the vehicle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includes a housing 102, a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an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106, an inlet cover 108, a position fixing unit 110,
  • the protection member 112 may include a wireless charging unit 114, an illumination unit 116, a notification unit 118, and a wired connection unit 120.
  • the portable device 50 may be, for example,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 MP3, a tablet PC,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a vehicle internal structure, such as a center console, a center fascia, a glove box, an armrest, a front door, a rear door, a seat seat cushion bottom, a front seat seat back, a dashboard, and the like.
  •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be mounted on an indoor structure such as a table, a dining table, a table, a desk, or the like.
  • the housing 102 serves as a case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into which the portable device 50 is inserted.
  • the housing unit 102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bile device 5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housing unit 10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at can accommodate the mobile device 50.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has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50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may be inserted to accommodate all or a por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 the storage sp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may serve as a ringing container.
  • the storage sp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may have a size sufficient to increase the sound pressure generated in the portable device 50.
  • the storage spa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may be formed at least twice as large as the size of the portable device 50. Accordingly, a user convenience may be provided by amplifying a sound such as a call reception notification sound and a text reception notification sound while the mobile device 50 is stored in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may be made of, for example, wood or plastic. Meanwhile,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or the housing 102) of the vehicle. Accordingly, the user can see a part of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50 even when the mobile device 50 is inserted into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An inlet cover 108 may be formed at an inlet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into which the portable device 50 is inserted. The inlet cover 108 may be opened or closed upon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portable device 50.
  • a protection member 11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to protect the portable device 50.
  • At least on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 this case, it is used to mean that the elastic member protrudes from at least on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 at least on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cotton, rubber, silicon, a spring, or a spring. Accordingly, even when the vehicle is shaken or suddenly stopped, shock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pplied to the mobile device 50 stored in the mobile device storage groove 104, and the mobile device 50 can be safely stored and charged. have. That is, on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serves as a cushion.
  •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106 sterilizes the portable device 50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into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 At least on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106 may be form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the ultraviolet irradiator 106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ultraviolet LED or an ultraviolet lamp.
  •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106 may operate together with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4. In this case,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sterilized whil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50 is being charg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106 may operate separately from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4.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photocatalyst unit (not shown) for generating a sterilizing material in response to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by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106.
  • the photocatalyst portion may be formed by coating a photocatalyst (eg, titanium dioxide, zinc oxide, cadmium sulfide, tungsten oxide, etc.) material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 a photocatalyst eg, titanium dioxide, zinc oxide, cadmium sulfide, tungsten oxide, etc.
  • the photocatalytic material reacts with the ultraviolet rays to generate hydroxy radicals and super oxides having strong oxidizing power. Hydroxy radicals and super oxides oxidize and decompose contaminants in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to sterilize the portable device 50.
  • the inlet cover 108 is formed at the inlet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ie, the open front end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 the inlet cover 108 is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the inlet cover 108 may be formed at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One side of the inlet cover 108 may be coupled to the hinge 108-1 at the inlet-side housing portion 102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Accordingly, the inlet cover 108 may be rotated inwardly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while being pushed by the portable device 50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 the inlet cover 108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pulled out of the portable device storage groove 104, the inlet cover 108 is rotated toward the inlet side of the mobile device storage groove 104 to close the entrance of the mobile device storage groove 104.
  • the hinge 108-1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inlet cover 108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50 is drawn out.
  • Hinge 108-1 may be, for example, a torsion spring.
  • the mobile device 50 is accommodated in the mobi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a part of the mobile device 50 is shown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but is not limited to this, the whole of the mobile device 50
  • the portable device may be inserted into an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104.
  • the entran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may be closed by the entrance cover 108.
  • the inlet cover 108 may be made of a sunscreen or coated with a sunscreen material.
  •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106 sterilizes the portable device 50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into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 the UV blocking material of the inlet cover 108 may block ultraviolet rays inside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from entering the inlet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Thereby,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of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improved.
  • the sunscreen material can be, for example, zinc oxide, titanium dioxide, or the like.
  • the position fixing unit 110 presses and fixes the portable device 50 while the portable device 50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the position fixing unit 110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inlet cover 108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the inlet cover 108 is pushed by the portable device 50 and rotates into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 the position fixing unit 110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50 to fix the portable device 5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the position fixing unit 110 may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50 by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hinge 108-1.
  • the position fixing unit 11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eg, a rubber member or a urethane or a sponge).
  • the entrance cover 108 may function not only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but also to guide and fix the portable device 5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ccordingly, even when an external shock or tremor occurs while wirelessly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50, wireless charging of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stably performed.
  • the protection member 11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mounting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50) in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to protect the mobile device 50.
  • the protection member 112 serves to protect the portable device 50 from impact and to prevent noise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and accommodated therein.
  • the protection member 112 may serve to prevent the mobile device 50 from sliding in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the protective member 112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otective member 112 is an inner side surface or an inner upp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and the like. It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positions. That is, the protection member 112 may be formed anywhere on the inner wall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the protection member 11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ad or a she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protection member 112 or the protrusion may be detachably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 the protective member 112 or the protrusion may be made of a rubber member or a material such as urethane or silic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otection member 112 may be provided or co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4 wirelessly charges the portable device 50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4 may be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or the housing unit 102.
  •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4 may wirelessly transfer energy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50.
  •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4 includes a power transmitter (not shown) for radiating wireless power into the air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50.
  • a charging coil or a radiator may be used.
  •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4 may include a charging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power radi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 the lighting unit 116 may be formed along an entrance edg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the lighting unit 116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line along the edge of the entranc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to display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device storage groove 104 by itself.
  • the lighting unit 116 is shown as being formed in a line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forms (for example, dotted lines).
  • the lighting unit 116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along the entrance edg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the position at which the lighting unit 116 is formed is not limited thereto.
  • the lighting unit 116 may change at least one of a brightness level, a color temperature level, and a color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rtable device 50 and the incom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unit 116 may be gradually brightened or darkened according to the charging degree of the mobile device 50.
  •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lighting unit 116 is gradually warmed at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cool system (for example, 5,000 to 8,000 K) (for example, 1,000 to 4,000). It can be implemented to change to K) or gradually change from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warm system to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cool system.
  • the color of the lighting unit 116 may be sequentially changed to red, yellow, green, etc. according to the state of charge of the mobile device 50.
  • the lighting unit 116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4 or the wired connection unit 120.
  • the lighting unit 116 displays the incom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so that the portable device 50 receives the incoming signal and receives the text even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storage groove 104. It is easy to check the back.
  • the lighting unit 116 may acquire information regarding a reception state of the mobile device 50 by interworking with the antenna 13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us may operate to display the information.
  • the lighting unit 116 may display whether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or the vehicle is turned off.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storage groove 104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 or the ignition is turned off, the lighting unit 116 indicates that the portable device 50 is in the vehicle. You can let them know.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leaving the portable device 50 in the vehicle.
  • the lighting unit 116 may know whether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4. That is, the power transmitter of the wireless charger 114 transmits a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50 and determines whether the wireless charging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signal fed back from the portable device 50.
  • the lighting unit 116 may know whether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through the response signal of the portable device 50 received by the power transmitter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4.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ighting unit 116 may know whether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through a separate sensor.
  • the notification unit 118 may notify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state and the incoming state of the mobile device 50 by sound. In addition, the notification unit 118 may notify whether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or the vehicle is turned off.
  • the notification unit 118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and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the lighting unit 116. The lighting unit 116 and the notification unit 118 may simultaneously inform the user of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state and the incom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in different ways.
  • the lighting unit 116 visually informs at least one of a charging state and an incoming state of the mobile device 50, and the notification unit 118 is audibly informed of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state and the incoming state of the mobile device 50. I can tell you.
  • the wired connection unit 120 is wired to the mobile device 50 to charge the mobile device 50.
  • the wired connection unit 120 may be formed on, for example,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unit 102. However, the position at which the wired connection unit 120 is formed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wired connection unit 120 may be formed in an internal vehicle structure (not shown) near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the wired connection unit 120 may be wired to the mobile device 50 through a cable (eg, a data cable, a charging cable, a data and charging cable, etc.).
  • the mobile device 50 may be wired charged through the wired connection unit 120.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charg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50 by performing wired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charged while the portable device 50 is accommodat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is formed in the vehicle internal structure, thereby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in the vehicle.
  •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storage groove 104. Even in the state,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whether the portable device 50 receives an incoming signal, receives a text, and the like.
  •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106 may sterilize the portable device 50 to remove bacteria or contaminants on the portable device 50.
  •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arts that are added or differed from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 and 2 will be mainly described.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n air hole 122, an ion generator 124, a blowing fan 126,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 128, and an antenna 130.
  • the blowing fan 126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102, and one or more air holes 122 may be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At this time, the air hole 122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 the blowing fan 126 generates wind, and the air hole 122 discharges the wind generated by the blowing fan 126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That is, the blower fan 126 may dry the portable device 50 by discharging wind to the portable device 50 through the air hole 122. Accordingly, the foreign matter of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removed.
  • an ion generator 124 may be formed near the blowing fan 126 in the housing 102.
  • Ion generator 124 generates at least one of an anion and a cation.
  • the ion generator 124 may be located betwee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and the blowing fan 126.
  • the ions generated by the ion generator 124 are discharged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through the air hole 122.
  • Anions and cations generated by the ion generator 124 sterilize and deodorize various bacteria and fungi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to purify the air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 the negative ions and positive ions can sterilize the mobile device 50 stored in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an ozone generator (not shown) may be provided.
  • the sterilizing unit sterilizes the portable device 5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106, a photocatalytic material, an ion generator 124, and an ozone generator (not shown). Can be. That is, the sterilization unit may sterilize the portable device 50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through at least one of ultraviolet light, a photocatalytic material, ions, and ozone.
  •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unit 128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unit 102.
  • the electromagnetic shield 128 prevents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wireless charger 114 from going out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and is provid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50 in the wireless charger 114. .
  •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unit 128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4 in the housing unit 102.
  •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portions 128-1 and 128-2 may be stacked in the housing portion 102.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electromagnetic shields 128-1 and 128-2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whole or part of the housing 102 or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may be made of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 without a separate configuration called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128. That is, the housing part 102 or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itself (part or all) may be made of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
  • the housing 102 or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may be made of a resin containing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
  • the housing 102 or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may be made of a resin containing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iber or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powder.
  •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 may be included in the entire area of the housing portion 102 or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or may be included only in a partial area.
  • the antenna 130 detects an incom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or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portable device 50.
  • the antenna 130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102.
  • the antenna 130 may receive a radio wave in an 800 MHz or 1800 MHz band in the case of 2G communication, and detect an incoming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by receiving a radio wave in the 2100 MHz band in the case of 3G communica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ntenna 130 may further use a frequency band (for example, Wi-Fi (2.4 GHz), etc.) used when the mobile device 50 receives an incoming call signal, a text message, an email message, an SNS message, or the like. May be implemented to receive electromagnetic waves.
  •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osition fixing unit in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sition fixing unit 110 may be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 the position fixing part 110 may protrude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the position fixing parts 11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epth direction (ie,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of the portable device storage groove 104 on the inner wall of the portable device storage groove 104.
  • the position fixing part 11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eg, a rubber member, a silicone member, a urethane member, etc.).
  • the position fixing part 110 may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side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At this time, the end of the position fixing unit 110 is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 the position fixing unit 110 presses and fixes the portable device 50 while the portable device 50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groove 104.
  • the position fixing part 110 of the elastic material has an elastic force while the terminal is bent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by the portable device 50.
  • the portable device 50 By pressing on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50 is fixed to the portable device 50.
  • the end portion of the position fixing unit 110 presses one side of the mobile device 50 while bending downward (that is, bend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mobile device 50), the mobile device 50 does not fall out. It is fixed in the portable device receiving groove 104 without.
  • the position fixing unit 110 may be formed on both inner walls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groove 104.
  •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a user authentication unit 144, a storage detection unit 146, a mirroring module 148, a power supply unit 150, and a power switching unit. 152, and a power cutoff unit 154.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be mounted in the vehicle.
  •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device 50.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vehicle 10 by using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device 50.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control whether the vehicle 10 is a door lock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may search whether there is a mobile device 50 registered in advance.
  • the registered mobile device 50 may be a mobile device of the users of the vehicle 10.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stor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device of the users of the vehicle 10 (for example, the vehicle owner and the family of the vehicle owner).
  •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receives the door opener 10-.
  • the door lock release request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1).
  • the door opener 10-1 may release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10.
  • whether the distance from the pre-registered portable device 50 is getting closer may be determined by wheth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with the pre-registered portable device 50 is getting stronger.
  • the door lock release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when the distance from the pre-registered mobile device 50 becomes clos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may provide a distance from the pre-registered mobile device 50. Is within the preset first distance (that is,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with the pre-registered portable device 50 become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first signal strength), the door lock 10-1 is requested to release the door lock. You can also send a signal.
  • a welcome operation for example, a sound greeting may be generated through a speaker, or a greeting or avatar may be graphically displayed on the dashboard of the driver's seat.
  • a separate device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 separate device other than the door opener 10-1, or to add such a function to the start controller 10-2, for example.
  • the door opener 10-1 may set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1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may u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with the previously registered mobile device 50 when the distance from the previously registered mobile device 5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second distance. If less than the preset second signal strength), the door lock setting request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door opener (10-1).
  •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for example, Bluetooth (Bluetooth), Wi-Fi (WiFi) may be used.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be provided to control electronic devices or convenience equipment in the vehicle 10 according to whether the registered portable device 50 is gradually approached. For example,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transmits a side mirror opening signal to a side mirror adjuster (not shown) to expand the side mirror of the vehicle 10 according to the progressive approach of the registered mobile device 50. Can be.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may operate a blower, an air cleaning device, a fragrance, etc. provided in the vehicle 10 according to a gradual approach of the pre-registered portable device 50.
  • the blower, the air cleaner, the aroma device, etc.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means separate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10.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is a side mirror adjuster (not shown) to fold the side mirror of the vehicle 10 as the registered mobile device 50 gradually moves away while the door of the vehicle is closed.
  • the side mirror folded signal can be transmitted.
  •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100 turns off the blower, the air cleaner, the fragrance, etc. provided in the vehicle 10. You can also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control whether the vehicle 10 is started by using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may transmit a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50.
  •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may receive a response signal including user'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device 50. That is, when th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the portable device 50 may transmit a response signal includ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perform user authentication by comparing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sponse signal with previously stored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may transmit a vehicle start request signal to the start controller 10-2. Then, the start controller 10-2 can start the vehicle.
  •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has been described as performing the user authent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ser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vehicle 10 (eg, the start controller 10-2). .
  • the user of the vehicle when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144 of the mobile device storage apparatus 100, the user of the vehicle does not have to carry the smart key or insert the smart key into the smart key holder. , Can start the vehicle.
  • the vehicle 10 may be automatically started when the user boards.
  • the distance between the mobile device 50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is less than 10 cm, so that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may include, for example, NFC ( Near Field Communication) may be used.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may use Bluetooth, Wi-Fi, or the like.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apparatus 100 may adjust the seat position of the seat of the vehicle 10 by using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may obtain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50.
  •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may obtain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device 50 in response to th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may obtain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obtained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at controller 10-3. Then, the seat adjuster 10-3 may automatically adjust the seat position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seat adjuster 10-3 includes the user-specific (eg, first user (vehicle owner), second user (vehicle owner's spouse), and third user (vehicle owner's children) of the vehicle 10. Etc.) information about the seat position of the vehicle seat may be previously stored.
  • the seat adjuster 10-3 may identify which user is the owner of the mobile device 50 (that is, the user who rides in the vehicle 10) through the user'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seat position can be adjusted.
  • the seat adjuster 10-3 sto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seat position of the vehicle seat for each use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seat position of the vehicle seat for each user in the portable device storage apparatus 100 is described. May be stored.
  •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on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sea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user to the seat adjuster 10-3. Then, the seat adjuster 10-3 may adjust the seat position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seat position information.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adjust the handle position of the vehicle 10 by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from the portable device 50.
  •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may transmit the obtained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handle adjuster 10-4.
  • the steering wheel adjuster 10-4 may adjust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10 according to the user'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corresponding user.
  • the steering wheel adjuster 10-4 includes a user by the user of the vehicle 10 (for example, a first user (vehicle owner), a second user (vehicle owner of the vehicle owner), a third user (vehicle owner child)) Etc.) information about the handle position may be previously stor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formation about a handle position of each user may be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apparatus 100.
  •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handle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user to the handle adjuster 10-4.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control the audio device of the vehicle 10 by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from the portable device 50.
  •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obtained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udio controller 10-5.
  • the audio controller 10-5 may adjust at least one of a radio frequency and an audio volume according to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radio controller 10-5 may store radio frequency information and audio volume information set by the corresponding user for each user of the vehicle 1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radio frequency information and audio volume information may be stored for each user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radio frequency information and audio volum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user to the audio controller 10-5.
  •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may obtain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device 50 and control the audio device as described above, and also may operate the vehicle from the portable device 50.
  • the audio controller 10-5 may be used for radio station selection, music selection, or the like, or the vehicle user selects or It can also be used for screening music lists that can be played.
  • other contents such as images other than music may be classified, sorted, and played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and the like.
  • the transmission speed or buffer amount of the information streamed from the external management server to the audio controller 10-5 may be adjusted by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speed information calculated therefrom.
  •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device 50 and calculate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at adjuster 10-3 so as to alert the driver by increasing the tightening force of the seat belt and reducing it as it is, or by causing the back of the seat to vibrate.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adjust the lighting device of the vehicle 10 by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from the portable device 50.
  •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may transmit the obtained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lighting controller 10-6.
  • the lighting controller 10-6 may adjust at least one of brightness and color temperature of the lighting according to th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lighting controller 10-6 may store the lighting brightness information and the color temperature information set by the corresponding user for each user of the vehicle 1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llumination brightness information and the color temperature information may be stored for each user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lighting brightness information and color temperatur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to the lighting controller 10-6.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adjust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of the vehicle 10 by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from the portable device 50.
  •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obtained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10-7.
  • th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10-7 may adjust at least one of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the cold or warm air according to th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air conditioner (10-7) may be pre-stored the blowing intensity information and the blowing direction information set by the user for each user of the vehicle 1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lowing intensity information and the blowing direc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for each user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may transmit the airflow intensity information and the airflow dir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to th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10-7.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adjusts the blowing intensity and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that is, the heater and the air conditioner) mounted in the vehicle 1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 the blowing intensity and blowing direction of the blowing apparatus may be adjusted.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adjust the navigation of the vehicle 10 by us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from the portable device 50.
  •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obtained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navigation 10-8.
  • the navigation 10-8 may display at least one candidate destination address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navigation 10-8 may store at least one candidate destination address information to which a corresponding user frequently travel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avigation 10-8 may automatically input a destination address according to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destination address may be an address of the place where the corresponding user visits most frequently.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adjust the directional device 10-9 of the vehicle 10 using th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from the portable device 50.
  •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obtained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fragrance 10-9.
  • the fragrance 10-10 may adjust at least one of the type of incense and the intensity of the incense according to the user'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fragrance 10-10 may store the type of fragrance information and the intensity of the fragrance set by the corresponding user for each user of the vehicle 1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ype of fragrance information and the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fragrance may be stored for each user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on apparatus 100.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the type information of the fragrance and the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fragrance according to the user to the fragrance 10-9.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a vehicle start request signal to the start controller 10-2 when the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sponse signal and the previously stored use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
  •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10 by wi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100 includes a door opener 10-1, a start controller 10-2, a seat adjuster 10-3, a handle adjuster 10-4, an audio adjuster 10-5, and a light adjuster. 10-6, the air conditioner 10-7, the navigation 10-8, the directional device 10-9 may be directly connected thereto,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nected to the above components through the vehicle 10. It may be.
  •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144 may be provided on the vehicle 10 side.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a response signal received by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to the vehicle 10.
  • the storage detector 146 may detect whether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100.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100, the storage detector 146 may generate a portable device storage signal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and the lighting unit 116. 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detached from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the storage detector 146 may generate a portable device detachment signal to the lighting unit 116.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detached from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100, the lighting unit 116 may be turned on until the portable device 50 is accommodated again. In this case,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even when the vehicle interior is dark, and the portable device 50 can be easily stored in the housing unit 102 again. The storage detector 146 may determine whether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through, for example, a pressure sensor or a weight sensor.
  • the storage detector 146 of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detect that the phone is in the received portable device 50.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call is coming through a phone ring or vib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 the vehicle 10 may further include an incoming call connection unit 10-10 in response thereto, and when the storage detecting unit 146 sends an incoming call signal indicating that a call is coming to the mobile device 50 stored therein. In response to this, the vehicle driver may output a sound message asking the passenger of the vehicle whether or not to make a call, or display a graphic indicator on the instrument panel.
  •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100 receives the stored mobile device 50. Touch or press the call button of the) to the mobile device 50 is in a call state, the mobile device storage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sound transmission device, such as speakers and microphones in the vehicle through the incoming call connection (10-10) The passenger may be connected to enable hands-free calling.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includes a casing 80 capable of storing the portable device 50 stored as described above, a vibration sensing unit 84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casing 80, and a casing 80.
  • Sound transmission unit 83 that can be delivered to the microphone of the portable device 50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ide wall, the portable device 50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casing 80
  • a touch unit 82 capable of touching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unit
  • a sound acquisition unit 81 mounted at an upper end of one sidewall of the casing 80 to acquire sound from a speaker of the portable device 50 housed therein.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let cover 85 that presses the stored portable device 50 against one side wall to fix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50.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a call is made to the portable device 50, a ring sound or vibration is detected by the sound acquisition unit 81 or the vibration detection unit 84, and the telephone is called. Determines that the call has been received, generates an incoming signal and delivers it to the incoming call connection (10-10) of the vehicle (10). Then, as described above, the incoming call connection unit 10-10 of the vehicle 10 may output a sound message or display a graphic indicator on the instrument panel to notify the user of the vehicle 10 that the call is coming.
  • the incoming call connection unit 10-10 transmits it to the mobile device storage device 100 and the mobile device storage device.
  • the touch unit 82 of the 100 may be operated. Then, the call of the mobile device 50 is connected, the sound of the mobile device 50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of the incoming call connection unit 10-10 through the sound acquisition unit 81, the voice of the vehicle user is the incoming call
  • the microphone 10 of the connection unit 10-10 may be transferred to the microphone of the portable device 50 through the sound transmission unit 83.
  • the mirroring module 148 transmits a screen executed in the mobile device 50 or content (such as image content or sound content) stored in the mobile device 50 to other display devices 70-1 and 70-2 in the vehicle. It serves to display.
  • the mirroring module 148 may transmit a mirroring data request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50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from a user.
  • the mirroring module 148 may receive mirroring data (ie, a screen currently executed on the mobile device 50 or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as content stored in the mobile device 50, etc.) from the mobile device 50. Can be.
  • the mirroring module 148 may transmit the mirroring data to the display apparatuses 70-1 and 70-2 located in the vehicle.
  • the display apparatus 70-1 or 70-2 may include a navigation device mounted in a vehicle or a multimedia device mounted in a vehicle (eg, a multimedia device mounted in a center fascia of a vehicle or a multimedia provided for use by a passenger in a rear seat of a vehicle).
  • the mirroring module 148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mobile device 50 and the display apparatuses 70-1 and 70-2 using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provided.
  • the mirroring module 148 scales the resolution of the mirroring data to the resolution of each display device 70-1, 70-2 (eg, upscaling or downscaling), and then displays each display device 70-1. , 70-2).
  • the mirroring module 148 may store resolution information of each display device 70-1 and 70-2 in advance.
  • the power supply unit 150 supplies power to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 the power supply unit 150 is a power supply means separate from the vehicle battery 20 mounted in the vehicle. 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150 is a self-power supply means for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receives power itself.
  • the power supply unit 150 may include a photovoltaic cell (not shown) for converting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a charging unit (not shown) for storing the electrical energy converted by the photovoltaic cell.
  • the power supply unit 150 may be charged by light generated from sunlight or a light inside the vehicle.
  • the power switching unit 15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ower supply unit 150 and the vehicle battery 20 depending on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is turned on, the power switch 152 may be switch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ehicle battery 20. In this case,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receives power from the vehicle battery 20.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150 may operate in a charging mode.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the power switch 152 may be switch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150. In this case,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operates with its own power supply even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The power switching unit 152 may obtain information on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from the ECU of the vehicle 10.
  • the power cutoff unit 154 serves to prevent the vehicle battery 20 from being discharged.
  • the power switch 152 When the power switch 15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ehicle battery 20 while the vehicle is turned o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receives power from the vehicle battery 20.
  • the power cut-off unit 154 cuts off the power supply from the vehicle battery 20 so that the vehicle battery (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as illustrated in FIGS. 1 to 4. That is,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 5 includes the housing 102, the wireless charging unit 114, the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106, and the ion generator illustrated in FIGS. 1 to 4. 124, a blower fan 126,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part 128, an inlet cover 108, a position fixing part 110, and a protection member 112.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illustrated in FIGS. 1 to 5 has been described using the pocket type housing 102,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stand in which the display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is exposed is disclosed.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type of mounting type.
  •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center console, but the mounting posi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oor, the center fascia, the seat, the room mirror, the rear seat armrest console, and the glove box of the vehicle are provided. Or the like.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accommo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searches for the existence of a previously registered portable device 50 using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S 101).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portable device (eg, the wireless device) increases in strength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with the portable device 50 or wheth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with the portable device 50 become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signal strength. 50) the access can be confirmed.
  • the portable device eg, the wireless device
  • step S 103 when the mobile device 50 approaches the vehicle 10, the mobile device storage device 100 releases the door lock with the vehicle 10 (eg, the door opener 10-1).
  • the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S 105). Then, the door opener 10-1 may release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10.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checks whether the portable device 50 is accommodated in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S 107). 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S 107, when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transmits a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o the portable device 5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S 109).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receives a response signal includ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device 50 and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S 111).
  •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100 transmits a vehicle start request signal to the vehicle 10 (for example, the start controller 10-2) (S 113). Then, the start controller 10-2 can start the vehicle.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checks whether the vehicle is turned off (S 115). 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S 115,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portable device 50 is accommodated and displays the storage state of the portable device 50 (S 117).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and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may transmit the door lock setting request signal to the door opener 10-1 so as not to open the door. Alternatively,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may notify the user of the fact that the portable device 50 is stored by sound or lighting.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the portable device 50 is far from the vehicle 1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S119). In this case,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apparatus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with the portable device 50 becomes weaker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with the portable device 50 is less than the preset second signal strength.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50 is away from the vehicle 10.
  • step S 119 when the portable device 50 moves away from the vehicle 10,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100 requests the door lock setting to the vehicle 10 (eg, the door opener 10-1). The signal is transmitted (S 121). Then, the door opener 10-1 may set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 the vehicle 10 eg, the door opener 10-1.
  • the signal is transmitted (S 121). Then, the door opener 10-1 may set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accommo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ifferent points from the vehicle control method shown in FIG. 6 will be described.
  • step S 103 when the portable device 50 approaches the vehicle 10,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vehicle 10 (eg, the air conditioner 10-7 or the director).
  • the blower, the air purifier, or the fragranc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ethod 1010-9).
  • the air conditioner 10-7 or the director 10-9 may then operate the blower, air cleaner or director of the vehicle 10.
  • the portable device accommodating device 100 receives a response signal includ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device 50 and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S 111).
  • the portable device storage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vehicle 10 (for example, the seat adjuster 10-3, the steering wheel adjuster 10-4, or the audio adjuster 10-5).
  • the adjustment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S 113).
  • the seat controller 10-3, the handle controller 10-4 or the audio controller 10-5 adjusts the position of the seat, the position of the handl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re-stored user, or the frequency or tune of the audio. Can be sel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휴대 기기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과 차량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 내에 마련되고, 휴대 기기가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한 휴대 기기 수납부 및 휴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한 휴대 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락 여부, 차량의 시동 여부, 차량의 시트 위치, 차량의 핸들 위치, 차량의 오디오 장치, 차량의 공조 장치, 차량의 송풍 장치, 차량의 공기 청정 장치, 차량의 조명 장치, 차량의 방향기, 차량의 사이드 미러,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차량의 통화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휴대 기기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과 차량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과 차량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 모바일폰, PDA, MP3, PMP, 태블릿 PC 등의 휴대 기기를 소지하고 다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차량 내부에는 휴대 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 따로 제공되고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설령, 차량 내 휴대 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장비를 설치한다고 해도 단지 휴대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만을 제공할 뿐이어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5886호(2012.08.21)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8826호(2013.06.05)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과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 내에 마련되고, 휴대 기기가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한 휴대 기기 수납부; 및 휴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한 상기 휴대 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락 여부, 상기 차량의 시동 여부, 상기 차량의 시트 위치, 상기 차량의 핸들 위치, 상기 차량의 오디오 장치, 상기 차량의 공조 장치, 상기 차량의 송풍 장치, 상기 차량의 공기 청정 장치, 상기 차량의 조명 장치, 상기 차량의 방향기, 상기 차량의 사이드 미러, 상기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상기 차량의 통화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휴대 기기와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차량의 도어락을 해제하거나 상기 차량의 도어락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점점 강해지거나 상기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제1 신호 세기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기로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점점 약해지거나 상기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제2 신호 세기 미만이 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기로 도어락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인근의 기 등록된 휴대 기기를 탐색하고, 상기 기 등록된 휴대 기기와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휴대 기기와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차량에 마련되는 송풍 장치, 공기 청정 장치, 및 방향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송풍 장치, 공기 청정 장치, 및 방향기는 상기 차량의 배터리와는 별도의 전원 공급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상기 휴대 기기가 수납되는 경우, 상기 휴대 기기로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 제어기로 차량 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좌석의 시트 위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차량의 시트 조절기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 좌석의 시트 위치를 조절하도록 하며, 상기 차량의 시트 조절기는 사용자 별로 설정된 차량 좌석의 시트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사용자 별로 설정된 차량 좌석의 시트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휴대 기기의 사용자를 식별한 후, 식별된 사용자의 차량 좌석의 시트 위치 정보를 상기 차량의 시트 조절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핸들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오디오의 라디오 주파수 및 음량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조명의 밝기 및 색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의 공조 장치 또는 상기 차량에 마련된 송풍 장치의 송풍 세기 및 송풍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의 네비게이션에 적어도 하나의 후보 목적지 주소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어느 하나의 후보 목적지 주소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의 방향기의 향의 종류 및 향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여부를 감지하는 수납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시 상기 휴대 기기가 수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여부를 감지하는 수납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시 상기 휴대 기기가 수납되어 있는 경우,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사실을 소리 및 조명 중 적어도 하나로 알려줄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미러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미러링 데이터를 인근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미러링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차량 내에 마련되고, 휴대 기기가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한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수납되는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부; 및 상기 휴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한 상기 휴대 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락 여부, 상기 차량의 시동 여부, 상기 차량의 시트 위치, 상기 차량의 핸들 위치, 상기 차량의 오디오 장치, 상기 차량의 공조 장치, 상기 차량의 송풍 장치, 상기 차량의 공기 청정 장치, 상기 차량의 조명 장치, 상기 차량의 방향기, 상기 차량의 사이드 미러, 상기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상기 차량의 통화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부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전자파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 또는 상기 차량의 시동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여부를 표시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시 상기 휴대 기기를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입구를 개폐시키고,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 시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며, 스크래치 방지 코팅층이 마련되는 입구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적어도 일 내면에 마련되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차량 내에 마련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기 등록된 휴대 기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탐색된 휴대 기기가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휴대 기기가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차량으로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 기기와의 상기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점점 강해지거나 상기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제1 신호 세기 이상이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수납된 경우,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 기기로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차량으로 차량 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경우,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경우,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기기가 수납된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에 도어락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차량에서 멀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차량에서 멀어지는 경우,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차량으로 도어락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에서 멀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 기기와의 상기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점점 약해지거나 상기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제2 신호 세기 미만이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시트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차량 내에 마련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기 등록된 휴대 기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탐색된 휴대 기기가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차량으로 접근하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획득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여부, 상기 차량의 시트 위치, 상기 차량의 핸들 위치, 상기 차량의 오디오 장치, 상기 차량의 공조 장치, 상기 차량의 송풍 장치, 상기 차량의 공기 청정 장치, 상기 차량의 조명 장치, 상기 차량의 방향기, 상기 차량의 사이드 미러, 상기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상기 차량의 통화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기로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웰컴 작동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웰컴 작동은 사운드 인사말 및 그래픽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수납되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위치 정보 및 날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날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장치를 제어하도록 상기 차량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속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차량의 안전 벨트 조임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차량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속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차량의 시트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상기 차량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수납된 상기 휴대 기기에 전화가 걸려온 경우에, 상기 차량에 이 사실을 알리는 착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의 전화 벨 소리 또는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전화 벨 또는 상기 진동을 감지할 때 상기 차량에 상기 착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는 거치 타입 또는 포켓 타입일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 센터 콘솔, 센터페시아, 시트, 룸미러, 후석 암레스트 콘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장착되어, 수납된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 시키기 위한 무선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를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바닥부에 장착되어, 수납된 상기 휴대 기기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상기 케이싱의 일 측벽에 장착되어, 수납된 상기 휴대 기기에 사운드를 전달하는 사운드 전달부; 상기 케이싱의 상기 일 측벽에 장착되어, 수납된 상기 휴대 기기의 디스플레이 면을 터치하는 터치부; 및 상기 케이싱의 상기 일 측벽에 장착되어, 수납된 상기 휴대 기기의 사운드를 취득하는 사운드 취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진동 감지부가 수납된 상기 휴대 기기의 진동을 감지하면, 착신 신호를 상기 통화 연결부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사운드 취득부가 상기 휴대 기기의 벨 소리를 감지하면, 착신 신호를 상기 통화 연결부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전달부는 상기 통화 연결부의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상기 차량의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납된 상기 휴대 기기의 사운드 입력부에 음성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취득부는 수납된 상기 휴대 기기의 사운드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취득하여 상기 통화 연결부의 스피커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휴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기기와의 거리에 따라 차량 도어락을 자동으로 해제하거나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인증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라 차량 좌석의 시트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 충전부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기기를 수납하면서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부및 알림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휴대 기기의 충전 상태 및 착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휴대 기기를 휴대 기기 수납홈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휴대 기기의 착신 신호 여부, 문자 수신 여부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자외선 조사부 등을 통해 휴대 기기를 살균하여 휴대 기기에 묻은 세균 또는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서, 위치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차량 내의 센터 터널에 장착된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하우징부(102), 휴대 기기 수납홈(104), 자외선 조사부(106), 입구 커버(108), 위치 고정부(110), 보호 부재(112), 무선 충전부(114), 조명부(116), 알림부(118) 및 유선 접속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5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태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휴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내부 구조물, 예를 들어 센터 콘솔, 센터페시아, 글로브 박스, 암레스트, 앞 도어, 뒷 도어, 좌석 시트 쿠션 하부, 앞 좌석 시트 백, 및 대시보드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탁자, 식탁, 테이블, 책상 등과 같은 실내 구조물 등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부(102)는 휴대 기기(50)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의 역할을 한다. 하우징부(102)는 휴대 기기(50)와 대응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홈(104)은 휴대 기기(50)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다.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는 휴대 기기(50)의 전체 또는 일부가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수납 공간은 울림통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수납 공간은 휴대 기기(50)에서 발생하는 음압을 증대시킬 수 있을 만큼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수납 공간은 휴대 기기(50)의 크기보다 두 배 이상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된 상태에서 전화 착신 알림음, 문자 착신 알림음 등의 소리를 증폭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재질은 예를 들어, 나무, 플라스틱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휴대 기기 수납홈(104)은 상술한 차량 내부의 구조물(또는 하우징부(102)) 내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휴대 기기(50)의 화면 일부를 볼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삽입되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에는 입구 커버(108)가 형성될 수 있다. 입구 커버(108)는 휴대 기기(50)의 삽입 및 인출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바닥면에는 휴대 기기(5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112)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적어도 일 내면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여기서,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적어도 일 내면에 탄성 부재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적어도 일 내면은 솜, 고무, 실리콘, 스프링, 용수철 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이 흔들리거나 급정거하는 등의 경우에도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된 휴대 기기(50)에 충격이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휴대 기기(50)를 수납 및 충전할 수 있다. 즉,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일 내면은 쿠션 역할을 수행한다.
자외선 조사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50)를 살균한다. 자외선 조사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06)는 예를 들어, 자외선 LED 또는 자외선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06)는 무선 충전부(114)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 조사부(106)는 무선 충전부(114)와 별도로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자외선 조사부(106)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에 반응하여 살균 물질을 발생시키는 광 촉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촉매부는 광 촉매(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황화카드뮴, 산화텅스텐 등) 물질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 표면에 코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106)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 자외선에 의해 광촉매 물질이 반응하여 강한 산화력을 가지는 하이드록시 래디컬과 슈퍼 옥사이드가 생성된다. 하이드록시 래디컬과 슈퍼 옥사이드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의 오염 물질을 산화 분해시켜 휴대 기기(50)를 살균하게 된다.
입구 커버(108)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즉,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개방된 전단)에 형성된다. 입구 커버(108)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입구 커버(108)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입구 커버(108)의 일측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 측 하우징부(102)에서 힌지(108-1)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구 커버(108)는 휴대 기기(50)의 수납 시 휴대 기기(50)에 의해 밀리면서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서 인출되는 경우, 입구 커버(108)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 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를 닫게 된다. 여기서, 힌지(108-1)는 휴대 기기(5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입구 커버(108)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힌지(108-1)는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된 상태에서, 휴대 기기(5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50)의 전부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로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는 입구 커버(108)에 의해 닫힐 수 있다.
한편, 입구 커버(108)는 자외선 차단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자외선 차단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부(10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휴대 기기(50)를 살균한다. 이때, 입구 커버(108)의 자외선 차단 물질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부의 자외선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로 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50)의 살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자외선 차단 물질은 예를 들어,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이 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110)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휴대 기기(50)를 압박하여 고정시킨다. 위치 고정부(110)는 예를 들어, 입구 커버(108)의 면들 중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입구 커버(108)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밀리면서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위치 고정부(110)가 휴대 기기(50)의 상면을 압박하면서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위치 고정부(110)는 힌지(108-1)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상면을 압박할 수 있다. 휴대 기기(50)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 고정부(110)는 탄성 재질(예를 들어, 고무 부재 또는 우레탄 또는 스펀지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입구 커버(108)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휴대 기기(50)를 소정 위치로 가이드하여 고정시키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하는 동안 외부 충격이나 떨림이 발생하더라도 휴대 기기(50)의 무선 충전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보호 부재(11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의 바닥면(휴대 기기(50)의 안착면)에 형성되어 휴대 기기(50)를 보호할 수 있다. 보호 부재(112)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로 삽입되어 수납될 때, 충격으로부터 휴대 기기(50)를 보호하고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호 부재(11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에서 휴대 기기(5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보호 부재(112)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 부재(11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 측면 또는 내부 상면 등 그 이외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보호 부재(11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벽 어느 곳이나 형성될 수 있다.
보호 부재(112)는 패드 또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벽에 복수 개의 돌기들이 상호 이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보호 부재(112) 또는 돌기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벽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호 부재(112) 또는 돌기는 고무 부재 또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보호 부재(112)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면에 도포 또는 코팅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부(114)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된 휴대 기기(50)를 무선 충전한다. 무선 충전부(114)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또는 하우징부(102)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부(114)는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부(114)는 무선 전력을 공기 중으로 방사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전력 송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전력 송신부로는 예를 들어, 충전 코일 또는 방사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부(114)는 전력 송신부의 전력 방사를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조명부(11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116)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 라인 형태로 구성되어 그 자체로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위치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여기서는, 조명부(116)가 라인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점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조명부(116)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조명부(116)가 형성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명부(116)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및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의 변화에 따라 밝기 레벨, 색 온도 레벨,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부(114) 또는 유선 접속부(120)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충전하는 경우, 휴대 기기(50)의 충전 정도에 따라 조명부(116)의 밝기가 점점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정도에 따라 조명부(116)의 색 온도가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5,000 ~ 8,000K)에서 점차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예를 들어, 1,000 ~ 4,000K)로 변하거나 따뜻한 계통의 색 온도에서 점차 시원한 계통의 색 온도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조명부(116)의 색상이 예를 들어, 빨간색, 노란색, 녹색 등으로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명부(116)는 무선 충전부(114) 또는 유선 접속부(12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116)는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휴대 기기(50)를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휴대 기기(50)의 착신 신호 여부, 문자 수신 여부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조명부(116)는 후술할 안테나(130)와 연동하여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를 표시하도록 동작 할 수 있다.
나아가, 조명부(116)는 차량의 도어(door) 개방 또는 차량의 시동 오프(off) 시 휴대 기기(50)의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의 수납 여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거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조명부(116)는 휴대 기기(50)가 차량 내에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휴대 기기(50)를 차량 내에 놓고 내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조명부(116)는 무선 충전부(114)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수납 유무를 알 수 있다. 즉, 무선 충전부(114)의 전력 송신부는 휴대 기기(50)로 신호를 송신하고 휴대 기기(5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의 크기에 따라 무선 충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조명부(116)는 무선 충전부(114)의 전력 송신부가 수신하는 휴대 기기(50)의 응답 신호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수납 유무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116)는 별도의 센서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수납 유무를 알 수도 있다.
알림부(118)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및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소리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알림부(118)는 차량의 도어 개방 또는 차량의 시동 오프(off) 시 휴대 기기(50)의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의 수납 여부를 소리로 알려줄 수 있다. 알림부(118)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조명부(116)와 상호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조명부(116)와 알림부(118)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및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동시에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즉, 조명부(116)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및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각적으로 알려주고, 알림부(118)는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및 착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청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유선 접속부(120)는 휴대 기기(50)와 유선 접속되어 휴대 기기(50)를 충전시킨다. 유선 접속부(120)는 예를 들어, 하우징부(102)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유선 접속부(120)의 형성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선 접속부(12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인근의 차량 내부 구조물(미도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유선 접속부(120)는 케이블(예를 들어, 데이터 케이블, 충전 케이블, 데이터 및 충전 케이블 등)을 통해 휴대 기기(50)와 유선 연결될 수 있다. 휴대 기기(50)는 유선 접속부(120)를 통해 유선 충전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 동작을 함께 수행하여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휴대 기기(50)를 수납하면서 휴대 기기(5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홈(104)은 차량 내부 구조물에 형성되므로, 차량 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부(116) 및 알림부(118)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충전 상태 및 착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휴대 기기(50)를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휴대 기기(50)의 착신 신호 여부, 문자 수신 여부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자외선 조사부(106)를 통해 휴대 기기(50)를 살균하여 휴대 기기(50)에 묻은 세균 또는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여기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추가되거나 또는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에어 홀(122), 이온 발생기(124), 송풍팬(126), 전자파 차폐부(128), 및 안테나(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02) 내에 송풍팬(126)이 형성되고,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벽에 하나 이상의 에어 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에어홀(122)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여 형성된다.
송풍팬(126)은 바람을 발생시키며, 에어홀(122)은 송풍팬(126)이 발생시킨 바람을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로 배출한다. 즉, 송풍팬(126)은 에어홀(122)을 통해 휴대 기기(50)로 바람을 배출함으로써 휴대 기기(50)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기기(50)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02) 내 송풍팬(126) 근처에는 이온 발생기(1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24)는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다. 이온 발생기(124)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과 송풍팬(12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24)에서 발생된 이온은 에어 홀(122)을 통해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온 발생기(124)에서 발생시킨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의 각종 세균과 곰팡이를 살균 및 탈취하여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이때, 음이온 및 양이온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수납된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24) 이외에 오존 발생기(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살균부는 휴대 기기(50)를 살균하는 구성으로서, 상술한 자외선 조사부(106), 광 촉매 물질, 이온 발생기(124), 및 오존 발생기(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살균부는 자외선, 광 촉매 물질, 이온, 및 오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의 휴대 기기(50)를 살균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02) 내에는 전자파 차폐부(128)가 형성될 수 있다. 전자파 차폐부(128)는 무선 충전부(114)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면서 무선 충전부(114)에서 휴대 기기(50)를 충전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무선 충전부(114)의 일면 측에 휴대 기기(50)가 위치하는 경우, 전자파 차폐부(128)는 하우징부(102)에서 무선 충전부(114)의 타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102) 내에는 전자파 차폐부(128-1, 128-2)가 여러 개 적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전자파 차폐부(128-1, 128-2)는 상호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자파 차폐부(128)라는 별도의 구성 없이 하우징부(102) 또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전체 또는 일부가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하우징부(102) 또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 자체(일부 또는 전부)가 전자파 차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02) 또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은 전자파 차폐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Resin)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부(102) 또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는 전자파 차단 섬유 또는 전자파 차단 분말을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자파 차폐 물질은 하우징부(102) 또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전 영역에 포함될 수도 있고, 일부 영역에만 포함될 수도 있다.
안테나(130)는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감지하거나 휴대 기기(50)와 무선 통신한다. 안테나(130)는 하우징부(10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130)는 예를 들어, 2G 통신의 경우 800MHz 또는 1800MHz 대역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고, 3G 통신의 경우 2100MHz 대역의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휴대 기기(50)의 착신 상태를 감지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테나(130)는 그 이외에 휴대 기기(50)가 전화 착신 신호, 문자, 이메일, SNS 메시지 등을 수신할 때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와이파이(2.4 GHz) 등)의 전자기파를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서, 위치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위치 고정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위치 고정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측벽에서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깊이 방향(즉,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으로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위치 고정부(110)는 탄성 재질(예를 들어, 고무 부재, 실리콘 부재, 우레탄 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 고정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벽 일측에서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벽 타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위치 고정부(110)의 종단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내벽 타측에서 이격되어 마련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위치 고정부(110)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휴대 기기(50)를 압박하여 고정시킨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탄성 재질의 위치 고정부(110)는 휴대 기기(50)에 의해 종단부가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가압하여 휴대 기기(5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위치 고정부(110)의 종단부는 하부로 절곡(즉, 휴대 기기(50)의 삽입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휴대 기기(50)의 일측을 가압하기 때문에, 휴대 기기(50)가 바깥으로 빠지지 않고 휴대 기기 수납홈(104) 내에서 고정되게 된다.
한편, 여기서는, 3개의 위치 고정부(110)가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일 내측벽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위치 고정부(110)의 개수 및 형성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위치 고정부(110)는 휴대 기기 수납홈(104)의 양 내측벽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 사용자 인증부(144), 수납 감지부(146), 미러링 모듈(148), 전원 공급부(150), 전원 스위칭부(152), 및 전원 차단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는 휴대 기기(5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휴대 기기(5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를 이용하여 차량(10)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를 통해 차량(10)의 도어락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는 인근에 기 등록된 휴대 기기(50)가 있는지 여부를 탐색할 수 있다. 기 등록된 휴대 기기(50)는 해당 차량(10)의 사용자들의 휴대 기기일 수 있다. 이때,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는 해당 차량(10)의 사용자들(예를 들어, 차량 소유주 및 차량 소유주의 가족 등)의 휴대 기기의 고유 식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는 기 등록된 휴대 기기(50)와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지는 경우(즉, 휴대 기기(50)의 소지자가 해당 차량(10)에 점점 접근하는 경우), 도어 개폐기(10-1)로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도어 개폐기(10-1)는 해당 차량(10)의 도어락을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기 등록된 휴대 기기(50)와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지는지 여부는 기 등록된 휴대 기기(50)와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점점 강해지는지 여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는, 기 등록된 휴대 기기(50)와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지는 경우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는 기 등록된 휴대 기기(50)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제1 거리 이내가 되는 경우(즉, 기 등록된 휴대 기기(50)와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제1 신호 세기 이상이 되는 경우), 도어 개폐기(10-1)로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어 개폐기(10-1)는, 상술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로부터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받는 경우, 도어락을 해제한 후, 예를 들어 이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또는 차량 사용자가 운전석에 앉으면, 웰컴 작동, 예를 들어 사운드 인사말을 스피커를 통해서 생성하거나, 또는 운전석의 계기판에 인사말 또는 아바타 등을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것을 실시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웰컴 작동을 위해서, 도어 개폐기(10-1) 이외의 별도의 장치를 구성하거나, 예를 들어 시동 제어기(10-2)에 이와 같은 기능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는 기 등록된 휴대 기기(50)와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는 경우(즉, 휴대 기기(50)의 소지자가 해당 차량의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해당 차량으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경우), 도어 개폐기(10-1)로 도어락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도어 개폐기(10-1)는 해당 차량(10)의 도어락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는 기 등록된 휴대 기기(50)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제2 거리 이상이 되는 경우(즉, 기 등록된 휴대 기기(50)와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제2 신호 세기 미만이 되는 경우), 도어 개폐기(10-1)로 도어락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를 구비함으로써, 기 등록된 휴대 기기(50)와의 거리에 따라 차량 도어락을 자동으로 해제하거나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로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기 등록된 휴대 기기(50)의 점진적 접근 여부에 따라, 차량(10) 내의 전장품 또는 편의 장비 등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기 등록된 휴대 기기(50)의 점진적 접근에 따라, 차량(10)의 사이드 미러를 펼치도록 사이드 미러 조절기(미도시)로 사이드 미러 열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기 등록된 휴대 기기(50)의 점진적 접근에 따라, 차량(10) 내에 마련된 송풍 장치, 공기 청정 장치, 방향기 등이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송풍 장치, 공기 청정 장치, 방향기 등은 차량(10)의 배터리와는 별도의 전원 공급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해당 차량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기 등록된 휴대 기기(50)가 점진적으로 멀어짐에 따라 차량(10)의 사이드 미러를 접도록 사이드 미러 조절기(미도시)로 사이드 미러 접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해당 차량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기 등록된 휴대 기기(50)가 점진적으로 멀어짐에 따라 차량(10) 내에 마련된 송풍 장치, 공기 청정 장치, 방향기 등이 오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를 이용하여 차량(10)의 시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수납된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는 휴대 기기(50)로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는 휴대 기기(50)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로부터 인증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휴대 기기(50)는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시동 제어기(10-2)로 차량 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시동 제어기(10-2)는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인증은 차량(10)(예를 들어, 시동 제어기(10-2) 등)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술된 바와 같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사용자 인증부(144)를 통해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차량의 사용자가 스마트키를 휴대하지 않거나, 스마트키를 스마트키 홀더에 삽입하지 않아도,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마련된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를 통해 휴대 기기(50)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탑승 시 자동으로 차량(10)의 시동을 걸 수 있게 된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수납되는 경우, 휴대 기기(50)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와의 거리는 10cm 이내가 되므로,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로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를 이용하여 차량(10) 좌석의 시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는 휴대 기기(50)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는 상기 인증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휴대 기기(50)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와는 별도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상기 획득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시트 조절기(10-3)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시트 조절기(10-3)는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차량 좌석의 시트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시트 조절기(10-3)에는 해당 차량(10)의 사용자 별(예를 들어, 제1 사용자(차량 소유주), 제2 사용자(차량 소유주의 배우자), 제3 사용자(차량 소유주의 자녀) 등)로 차량 좌석의 시트 위치에 대한 정보가 기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시트 조절기(10-3)는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소지자(즉, 차량(10)에 탑승하는 사용자)가 어떤 사용자인지를 식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차량 좌석의 시트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시트 조절기(10-3)에 사용자별로 차량 좌석의 시트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사용자별로 차량 좌석의 시트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에 따른 차량 좌석의 시트 위치 정보를 시트 조절기(10-3)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시트 조절기(10-3)는 시트 위치 정보에 따라 차량 좌석의 시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가 휴대 기기(5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10)의 핸들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상기 획득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핸들 조절기(10-4)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핸들 조절기(10-4)는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차량(10)의 핸들을 해당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핸들 조절기(10-4)에는 해당 차량(10)의 사용자 별(예를 들어, 제1 사용자(차량 소유주), 제2 사용자(차량 소유주의 배우자), 제3 사용자(차량 소유주의 자녀) 등)로 핸들 위치에 대한 정보가 기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사용자별로 핸들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에 따른 핸들 위치 정보를 핸들 조절기(10-4)로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가 휴대 기기(5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10)의 오디오 장치를 조절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상기 획득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오디오 조절기(10-5)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오디오 조절기(10-5)는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라디오 주파수 및 오디오 음량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조절기(10-5)에는 해당 차량(10)의 사용자 별로 해당 사용자가 설정한 라디오 주파수 정보 및 오디오 음량 정보가 기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사용자별로 라디오 주파수 정보 및 오디오 음량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에 따른 라디오 주파수 정보 및 오디오 음량 정보를 오디오 조절기(10-5)로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는 상술된 바와 같이 휴대 기기(50)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오디오 장치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기기(50)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 날씨 정보 등을 전송받아, 오디오 조절기(10-5)에 전달함으로써, 오디오 조절기(10-5)가 라디오 방송국 선택, 음악 선곡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거나, 또는 차량 사용자가 선곡 또는 재생할 수 있는 음악 리스트 선별에 이용될 수도 있다. 또는, 위치 정보, 날씨 정보 등에 따라 음악 이외의 영상 등과 같은 다른 콘텐츠를 분류하고 선별, 재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차량의 위치 정보와 이로부터 계산되는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관리 서버로부터 오디오 조절기(10-5)에 스트리밍되는 정보의 전송 속도 또는 버퍼량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는 상술된 바와 같이 휴대 기기(50)로부터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차량의 속도 정보를 계산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속도 이상이 되면, 이를 시트 조절기(10-3)에 전송하여, 안전 벨트의 조임력을 증가시켰다 원래대로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또는 시트의 등받이가 진동하게 하는 등과 같은 방법 등으로,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가 휴대 기기(5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10)의 조명 장치를 조절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상기 획득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조명 조절기(10-6)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조명 조절기(10-6)는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조명의 밝기 및 색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조명 조절기(10-6)에는 해당 차량(10)의 사용자 별로 해당 사용자가 설정한 조명 밝기 정보 및 색온도 정보가 기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사용자별로 조명 밝기 정보 및 색온도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에 따른 조명 밝기 정보 및 색온도 정보를 조명 조절기(10-6)로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가 휴대 기기(5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10)의 공조 장치를 조절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상기 획득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공조 조절기(10-7)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공조 조절기(10-7)는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냉기 또는 온기의 세기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공조 조절기(10-7)에는 해당 차량(10)의 사용자 별로 해당 사용자가 설정한 송풍 세기 정보 및 송풍 방향 정보가 기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사용자별로 송풍 세기 정보 및 송풍 방향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에 따른 송풍 세기 정보 및 송풍 방향 정보를 공조 조절기(10-7)로 전달 할 수 있다.
여기서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가 차량(10) 내에 장착된 공조 장치(즉, 히터 및 에어컨)의 송풍 세기 및 송풍 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조 장치와는 별도로 마련되는 송풍 장치의 송풍 세기 및 송풍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가 휴대 기기(5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10)의 네비게이션을 조절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상기 획득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네비게이션(10-8)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네비게이션(10-8)은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후보 목적지 주소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네비게이션(10-8)은 사용자 별로 해당 사용자가 자주 왕래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목적지 주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비게이션(10-8)은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목적지 주소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목적지 주소는 해당 사용자가 최근에 가장 자주 방문하는 곳의 주소일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가 휴대 기기(5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10)의 방향기(10-9)를 조절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상기 획득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방향기(10-9)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방향기(10-9)는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향의 종류 및 향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방향기(10-9)에는 해당 차량(10)의 사용자 별로 해당 사용자가 설정한 향의 종류 정보 및 향의 세기 정보가 기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사용자별로 향의 종류 정보 및 향의 세기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에 따른 향의 종류 정보 및 향의 세기 정보를 방향기(10-9)로 전달 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44)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가 휴대 기기(50)로부터 인증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응답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시동 제어기(10-2)로 차량 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10)과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도어 개폐기(10-1), 시동 제어기(10-2), 시트 조절기(10-3), 핸들 조절기(10-4), 오디오 조절기(10-5), 조명 조절기(10-6), 공조 조절기(10-7), 네비게이션(10-8), 방향기(10-9)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10)을 통해 상기 구성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증부(144)는 차량(10) 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가 수신한 응답 신호를 차량(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수납 감지부(146)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휴대 기기(50)가 수납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휴대 기기(50)가 수납된 경우, 수납 감지부(146)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 및 조명부(116)로 휴대 기기 수납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서 휴대 기기(50)가 이탈된 경우, 수납 감지부(146)는 조명부(116)로 휴대 기기 이탈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서 이탈되는 경우, 조명부(116)는 휴대 기기(50)가 다시 수납될 때까지 점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차량 실내가 어두운 상태에서도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휴대 기기(50)를 다시 하우징부(102)로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수납 감지부(146)는 예를 들어, 압력 센서, 무게 센서 등을 통해 휴대 기기(50)의 수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수납 감지부(146)는 수납된 휴대 기기(50)에 전화가 온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즉, 휴대 기기(50)의 전화 벨 또는 진동을 통해서 전화가 온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10)은 이에 대응하여 착신 통화 연결부(10-1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수납 감지부(146)가 수납된 휴대 기기(50)에 전화가 온 것을 알리는 착신 신호를 보내오면, 이를 수신하여 차량 탑승자에게 통화 여부를 묻는 사운드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그래픽 인디케이터를 계기판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탑승자는 음성을 통해서, 또는 핸들에 있는 버튼을 눌러서 통화 연결을 원하는 통화 연결 신호를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제공하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수납된 휴대 기기(50)의 통화 버튼을 터치 또는 가압하여 휴대 기기(50)가 통화 상태로 되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착신 통화 연결부(10-10)를 통해서 차량 내에 있는 스피커 및 마이크 등과 같은 사운드 전달 장치에 연결되어 탑승자가 핸즈프리 통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수납된 휴대 기기(50)를 수납할 수 있는 케이싱(80), 이 케이싱(80)의 바닥부에 장착되는 진동 감지부(84), 케이싱(80)의 일 측벽의 하부에 장착되어 수납된 휴대 기기(50)의 마이크에 사운드를 전달할 수 있는 사운드 전달부(83), 케이싱(80)의 일 측벽의 하부에 장착되어 수납된 휴대 기기(50)의 디스플레이 면을 터치할 수 있는 터치부(82), 및 케이싱(80)의 일 측벽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수납된 휴대 기기(50)의 스피커로부터 사운드를 취득할 수 있는 사운드 취득부(81)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수납된 휴대 기기(50)를 일 측벽에 가압하여 휴대 기기(5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입구 커버(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의하면, 휴대 기기(50)에 전화가 걸려오면 벨 소리 또는 진동을 사운드 취득부(81) 또는 진동 감지부(84)에서 감지하여, 전화가 걸려온 것을 판단하고, 착신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10)의 착신 통화 연결부(10-10)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술된 바와 같이, 차량(10)의 착신 통화 연결부(10-10)는 사운드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또는 그래픽 인디케이터를 계기판에 표시하여 차량(10)의 사용자에게 전화가 온 것을 알릴 수 있다.
만약, 차량(10)의 사용자가 음성이나 핸들에 부착된 버튼 등을 눌러 통화 연결을 희망하면, 착신 통화 연결부(10-10)는 이를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전달하여,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터치부(82)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휴대 기기(50)의 통화가 연결되고, 사운드 취득부(81)를 통해서 휴대 기기(50)의 사운드가 착신 통화 연결부(10-10)의 스피커에 전달되며, 차량 사용자의 음성은 착신 통화 연결부(10-10)의 마이크 및 사우드 전달부(83)를 통해서 휴대 기기(50)의 마이크에 전달될 수 있다.
미러링 모듈(148)은 휴대 기기(50)에서 실행되는 화면 또는 휴대 기기(50)에 저장된 콘텐츠(영상 콘텐츠 또는 음향 콘텐츠 등)를 차량 내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70-1, 70-2)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미러링 모듈(148)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휴대 기기(50)로 미러링 데이터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미러링 모듈(148)은 휴대 기기(50)로부터 미러링 데이터(즉, 휴대 기기(50)에서 현재 실행되는 화면 또는 휴대 기기(50)에 저장된 콘텐츠로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등)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미러링 모듈(148)은 미러링 데이터를 차량 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70-1, 70-2)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70-1, 70-2)로는 차량 내에 장착되는 네비게이션 또는 차량 내에 장착되는 멀티미디어 기기(예를 들어,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장착되는 멀티미디어 기기 또는 차량 뒷좌석의 탑승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멀티미디어 기기 등) 또는 차량 내 탑승자의 다른 휴대 기기 등일 수 있다. 여기서, 미러링 모듈(148)은 휴대 기기(50) 및 디스플레이 장치(70-1, 70-2)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통신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미러링 모듈(148)은 상기 미러링 데이터의 해상도를 각 디스플레이 장치(70-1, 70-2)의 해상도에 맞게 영상 스케일링(예를 들어, 업 스케일링 또는 다운 스케일링)한 후 각 디스플레이 장치(70-1, 70-2)로 전송할 수 있다. 미러링 모듈(148)은 각 디스플레이 장치(70-1, 70-2)의 해상도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전원 공급부(150)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150)는 차량 내에 장착되는 차량 배터리(20)와는 별도의 전원 공급 수단이다. 즉, 전원 공급부(150)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가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자체 전원 공급 수단이다. 전원 공급부(150)는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광전지(미도시) 및 광전지에 의해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50)는 태양광 또는 차량 내부의 전등에서 발생되는 빛 등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칭부(152)는 차량의 시동 여부에 따라 전원 공급부(150) 및 차량 배터리(20)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스위칭부(152)는 차량의 시동이 온(ON) 된 경우, 차량 배터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 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때, 전원 공급부(150)는 충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스위칭부(152)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 된 경우, 전원 공급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 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자체 전원으로 동작하게 된다. 전원 스위칭부(152)는 차량(10)의 ECU로부터 차량의 시동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원 차단부(154)는 차량 배터리(20)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의 시동이 온(ON) 된 상태에서 전원 스위칭부(152)가 차량 배터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 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때, 전원 차단부(154)가 차량 배터리(20)의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차량 배터리(20)의 전압이 기 설정된 전압 이하가 되는 경우, 차량 배터리(20)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차량 배터리(20)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의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하우징(102), 무선 충전부(114), 자외선 조사부(106), 이온 발생기(124), 송풍팬(126), 전자파 차폐부(128), 입구 커버(108), 위치 고정부(110), 보호 부재(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포켓 타입의 하우징(102)을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휴대 기기의 디스플레이 면이 노출되는 스탠드 형태의 거치 타입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에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센터 콘솔에 장착되나, 장착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차량의 도어, 센터페시아, 시트, 룸미러, 후석 암레스트 콘솔, 글로브 박스 등에도 장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를 이용하여 인근에 기 등록된 휴대 기기(5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한다(S 101).
다음으로, 기 등록된 휴대 기기(50)가 존재하는 경우, 휴대 기기(50)가 차량(10)으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03). 이때,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휴대 기기(50)와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점점 강해지거나 휴대 기기(50)와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제1 신호 세기 이상이 되는지 여부를 통해 휴대 기기(50)의 접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 103의 확인 결과, 휴대 기기(50)가 차량(10)으로 접근하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10)(예를 들어, 도어 개폐기(10-1))으로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 105). 그러면, 도어 개폐기(10-1)는 해당 차량(10)의 도어락을 해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휴대 기기(50)가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에 수납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07). 단계 S 107의 확인 결과, 휴대 기기(50)가 수납된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를 통해 휴대 기기(50)로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 109).
다음으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휴대 기기(50)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 111).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10)(예를 들어, 시동 제어기(10-2))로 차량 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 113). 그러면, 시동 제어기(10-2)는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15). 단계 S 115의 확인 결과,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휴대 기기(50)의 수납 여부를 확인하여 휴대 기기(50)의 수납 상태를 표시해준다(S 117).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었는데 휴대 기기(50)가 수납되어 있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도어 개폐기(10-1)로 도어락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휴대 기기(50)가 수납된 사실을 소리 또는 조명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42)를 통해 휴대 기기(50)가 차량(10)에서 멀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19). 이때,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휴대 기기(50)와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점점 약해지거나 휴대 기기(50)와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제2 신호 세기 미만이 되는지 여부를 통해 휴대 기기(50)가 차량(10)에서 멀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 119의 확인 결과, 휴대 기기(50)가 차량(10)에서 멀어지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10)(예를 들어, 도어 개폐기(10-1))으로 도어락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 121). 그러면, 도어 개폐기(10-1)는 차량의 도어락을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6에 도시된 차량 제어 방법과 상이한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단계 S 103의 확인 결과, 휴대 기기(50)가 차량(10)으로 접근하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10)(예를 들어, 공조 조절기(10-7), 또는 방향기(10-9))로 송풍 장치, 공기 청정 장치 또는 방향기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 105). 그러면, 공조 조절기(10-7) 또는 방향기(10-9)는 차량(10)의 송풍 장치, 공기 청정 장치 또는 방향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휴대 기기(50)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 111).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휴대 기기 수납 장치(100)는 차량(10)(예를 들어, 시트 조절기(10-3), 핸들 조절기(10-4) 또는 오디오 조절기(10-5))로 차량 조절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 113). 그러면, 시트 조절기(10-3), 핸들 조절기(10-4) 또는 오디오 조절기(10-5)는 시트의 위치, 핸들의 위치를 미리 저장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절하거나 또는 오디오의 주파수 또는 곡을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부호의 설명]
100 :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02 : 하우징부
104 : 휴대 기기 수납홈
106 : 자외선 조사부
108 : 입구 커버
110 : 위치 고정부
112 : 보호 부재
114 : 무선 충전부
116 : 조명부
118 : 알림부
120 : 유선 접속부
122 : 에어 홀
124 : 이온 발생기
126 : 송풍팬
128 : 전자파 차폐부
130 : 안테나
142 : 근거리 무선 통신부
144 : 사용자 인증부
146 : 수납 감지부
148 : 미러링 모듈
150 : 전원 공급부
152 : 전원 스위칭부
154 : 전원 차단부

Claims (59)

  1. 차량 내에 마련되고, 휴대 기기가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한 휴대 기기 수납부; 및
    휴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한 상기 휴대 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락 여부, 상기 차량의 시동 여부, 상기 차량의 시트 위치, 상기 차량의 핸들 위치, 상기 차량의 오디오 장치, 상기 차량의 공조 장치, 상기 차량의 송풍 장치, 상기 차량의 공기 청정 장치, 상기 차량의 조명 장치, 상기 차량의 방향기, 상기 차량의 사이드 미러, 상기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상기 차량의 통화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휴대 기기와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차량의 도어락을 해제하거나 상기 차량의 도어락을 설정하도록 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점점 강해지거나 상기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제1 신호 세기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기로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점점 약해지거나 상기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제2 신호 세기 미만이 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기로 도어락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인근의 기 등록된 휴대 기기를 탐색하고, 상기 기 등록된 휴대 기기와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휴대 기기와의 무선 통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신호 세기에 따라 상기 차량에 마련되는 송풍 장치, 공기 청정 장치, 및 방향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송풍 장치, 공기 청정 장치, 및 방향기는 상기 차량의 배터리와는 별도의 전원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상기 휴대 기기가 수납되는 경우, 상기 휴대 기기로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리도록 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 제어기로 차량 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좌석의 시트 위치를 조절하도록 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차량의 시트 조절기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 좌석의 시트 위치를 조절하도록 하며,
    상기 차량의 시트 조절기는 사용자 별로 설정된 차량 좌석의 시트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사용자 별로 설정된 차량 좌석의 시트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휴대 기기의 사용자를 식별한 후, 식별된 사용자의 차량 좌석의 시트 위치 정보를 상기 차량의 시트 조절기로 전송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핸들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오디오의 라디오 주파수 및 음량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조명의 밝기 및 색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의 공조 장치 또는 상기 차량에 마련된 송풍 장치의 송풍 세기 및 송풍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의 네비게이션에 적어도 하나의 후보 목적지 주소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어느 하나의 후보 목적지 주소가 입력되도록 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 의 방향기의 향의 종류 및 향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도록 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여부를 감지하는 수납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시 상기 휴대 기기가 수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여부를 감지하는 수납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시 상기 휴대 기기가 수납되어 있는 경우,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사실을 소리 및 조명 중 적어도 하나로 알려주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미러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미러링 데이터를 인근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미러링 모듈을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4. 차량 내에 마련되고, 휴대 기기가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한 휴대 기기 수납부;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수납되는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부; 및
    상기 휴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한 상기 휴대 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락 여부, 상기 차량의 시동 여부, 상기 차량의 시트 위치, 상기 차량의 핸들 위치, 상기 차량의 오디오 장치, 상기 차량의 공조 장치, 상기 차량의 송풍 장치, 상기 차량의 공기 청정 장치, 상기 차량의 조명 장치, 상기 차량의 방향기, 상기 차량의 사이드 미러, 상기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상기 차량의 통화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부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전자파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 또는 상기 차량의 시동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여부를 표시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시 상기 휴대 기기를 압박하여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2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입구를 개폐시키고, 상기 휴대 기기의 삽입 시 상기 휴대 기기의 위치를 가이드하며, 스크래치 방지 코팅층이 마련되는 입구 커버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3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휴대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3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의 적어도 일 내면에 마련되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32. 차량 내에 마련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기 등록된 휴대 기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탐색된 휴대 기기가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휴대 기기가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차량으로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 기기와의 상기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점점 강해지거나 상기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제1 신호 세기 이상이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34.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에 수납된 경우,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 기기로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차량으로 차량 시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35.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경우,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36.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경우,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휴대 기기의 수납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기기가 수납된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에 도어락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37.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차량에서 멀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기기가 상기 차량에서 멀어지는 경우,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차량으로 도어락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38. 청구항 37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서 멀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 기기와의 상기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점점 약해지거나 상기 무선 통신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제2 신호 세기 미만이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39.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사용자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시트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40. 차량 내에 마련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기 등록된 휴대 기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탐색된 휴대 기기가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차량으로 접근하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상기 획득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여부, 상기 차량의 시트 위치, 상기 차량의 핸들 위치, 상기 차량의 오디오 장치, 상기 차량의 공조 장치, 상기 차량의 송풍 장치, 상기 차량의 공기 청정 장치, 상기 차량의 조명 장치, 상기 차량의 방향기, 상기 차량의 사이드 미러, 상기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상기 차량의 통화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4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휴대 기기 수납 장치가 장착되는 차량.
  42. 청구항 32 내지 청구항 4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어되는 차량.
  4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기로 도어락 해제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웰컴 작동을 실행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44. 청구항 43에 있어서,
    상기 웰컴 작동은 사운드 인사말 및 그래픽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휴대 기기 수납 장치.
  4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수납되는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위치 정보 및 날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달받을 수 있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46. 청구항 45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날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장치를 제어하도록 상기 차량에 신호를 보내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47. 청구항 45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속도를 계산할 수 있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48. 청구항 47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속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차량의 안전 벨트 조임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차량에 신호를 보내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49. 청구항 47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속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차량의 시트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상기 차량에 신호를 보내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5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수납된 상기 휴대 기기에 전화가 걸려온 경우에, 상기 차량에 이 사실을 알리는 착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51. 청구항 50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의 전화 벨 소리 또는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전화 벨 또는 상기 진동을 감지할 때 상기 차량에 상기 착신 신호를 송출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5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는 거치 타입 또는 포켓 타입인, 휴대 기기 수납 장치.
  5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 센터 콘솔, 센터페시아, 시트, 룸미러, 후석 암레스트 콘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5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에 장착되어, 수납된 상기 휴대 기기를 무선 충전 시키기 위한 무선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5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휴대 기기 수납부를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바닥부에 장착되어, 수납된 상기 휴대 기기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상기 케이싱의 일 측벽에 장착되어, 수납된 상기 휴대 기기에 사운드를 전달하는 사운드 전달부;
    상기 케이싱의 상기 일 측벽에 장착되어, 수납된 상기 휴대 기기의 디스플레이 면을 터치하는 터치부; 및
    상기 케이싱의 상기 일 측벽에 장착되어, 수납된 상기 휴대 기기의 사운드를 취득하는 사운드 취득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56.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진동 감지부가 수납된 상기 휴대 기기의 진동을 감지하면, 착신 신호를 상기 통화 연결부에 전달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57.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 수납 장치는, 상기 사운드 취득부가 상기 휴대 기기의 벨 소리를 감지하면, 착신 신호를 상기 통화 연결부에 전달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58.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전달부는 상기 통화 연결부의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상기 차량의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납된 상기 휴대 기기의 사운드 입력부에 음성적으로 전달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59.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취득부는 수납된 상기 휴대 기기의 사운드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취득하여 상기 통화 연결부의 스피커에 전달하는, 휴대 기기 수납 장치.
PCT/KR2014/011859 2014-09-25 2014-12-04 휴대 기기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과 차량 WO201604786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361 2014-09-25
KR20140128361 2014-09-25
KR10-2014-0173294 2014-12-04
KR1020140173294A KR20160036452A (ko) 2014-09-25 2014-12-04 휴대 기기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과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47862A1 true WO2016047862A1 (ko) 2016-03-31

Family

ID=55581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1859 WO2016047862A1 (ko) 2014-09-25 2014-12-04 휴대 기기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과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60478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6852A (zh) * 2021-08-30 2021-11-26 海信集团控股股份有限公司 车辆及其锁闭方法、移动终端
US11390219B2 (en) 2020-03-23 2022-07-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functional vehicle seating assembl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8275A (ko) * 2011-11-25 2013-06-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avn 웰컴 시스템
KR20130071613A (ko) * 2011-12-21 2013-07-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원격제어 방법
KR20140087564A (ko) * 2012-12-31 2014-07-0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운전자별 차량의 자동 셋팅 시스템
KR20140095938A (ko) * 2013-01-25 2014-08-04 주식회사 대창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KR20140096404A (ko) * 2013-01-11 2014-08-06 주식회사 대동 스마트 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8275A (ko) * 2011-11-25 2013-06-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avn 웰컴 시스템
KR20130071613A (ko) * 2011-12-21 2013-07-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원격제어 방법
KR20140087564A (ko) * 2012-12-31 2014-07-0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운전자별 차량의 자동 셋팅 시스템
KR20140096404A (ko) * 2013-01-11 2014-08-06 주식회사 대동 스마트 키
KR20140095938A (ko) * 2013-01-25 2014-08-04 주식회사 대창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0219B2 (en) 2020-03-23 2022-07-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functional vehicle seating assembly
CN113696852A (zh) * 2021-08-30 2021-11-26 海信集团控股股份有限公司 车辆及其锁闭方法、移动终端
CN113696852B (zh) * 2021-08-30 2022-06-03 海信集团控股股份有限公司 车辆及其锁闭方法、移动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208797A1 (ko) 헤드셋 및 그 제어 방법
WO2018151368A1 (ko) 모듈형 가정용 로봇
WO2012111873A1 (ko)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KR101588190B1 (ko) 차량, 그 제어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장치
JP6074744B2 (ja) 車載用充電装置とそれを装着した車両
WO2018038311A1 (ko) 이동 단말기
WO2011078453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thereof
WO2019216467A1 (ko) 이동 단말기
JP3360703B2 (ja) 携帯電話機
WO2020067785A1 (ko) 사물의 위치 및 방향을 기반으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8199374A1 (ko) 오디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2036323A1 (ko)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6047862A1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과 차량
WO2016186255A1 (ko) 자동차의 알림 시스템 및 제어 방법
WO2014157757A1 (ko) 이동식 입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US20090004968A1 (en) In-vehicle apparatus with radio transmission restricting function and radio transmission restricting system
WO201906652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WO2017018552A1 (ko)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95938A (ko) 차량용 휴대 기기 수납 장치
WO2018186512A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9798A (ko) 사용자 인증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
JP2013191960A (ja) 車載用携帯電話充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自動車
KR20160036452A (ko) 휴대 기기 수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과 차량
WO2019189975A1 (ko) 내부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내부프레임의 제조 방법
WO2018044011A1 (ko) 휴대용 음향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9028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9028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