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86512A1 -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86512A1
WO2018186512A1 PCT/KR2017/003801 KR2017003801W WO2018186512A1 WO 2018186512 A1 WO2018186512 A1 WO 2018186512A1 KR 2017003801 W KR2017003801 W KR 2017003801W WO 2018186512 A1 WO2018186512 A1 WO 201818651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control
smartphone
nf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380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채석병
이원표
박정용
Original Assignee
(주)세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노텍 filed Critical (주)세노텍
Publication of WO201818651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865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a smartphone,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that can cope with the fender with a smartphone, and can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door of the vehicle through security-enhanced wireless communication; Provide a method.
  • Telematics is a compound word of Telecommunication and Informatics that combines automobile and wireless communication to provide services such as real-time vehicle location tracking, internet access, remote vehicle diagnosis, accident detection, and traffic information.
  • Automotive telematics has recently been advanced to the concept of connect cars or smart cars in conjun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IoT / M2M.
  • Smart key service which is one of the functions of a smart car,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a separate fonter.
  • the conventional smart key system has a weak security disadvantages.
  • the smart key system has a structure in which when the car and the smart key are located very close to each other, the low-powe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ar is received by the smart key, but Professor Srdjan Capkun uses an antenna that acts as a repeater. After the signal was picked up and amplified, the car opened the door and started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smart key and the car was far apart.
  • the antenna used here should be located very close to each of the cars and smart keys, but consumer anxiety is escalating because there is a good chance that thieves will team up to commit a crim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by using a smart phone, to enhance the communication security, and to protect the vehicle in the event of hacking due to separation from the vehicle contro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a smartphone that can effectively cope with the discharge of the smartphone, and can be charged when the battery of the vehicle discharged.
  • It provides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phone comprising a terminal security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door lock control signal including a beam and NFC tag ID information and the MAC information of the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third authentication unit for performing location-based authentication for activating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an initial control unit for initial vehicle registration and NFC tag input, and a vehicle discri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itially stored through NFC communication. It features.
  • the terminal security communication unit performs Bluetooth communication, and generates and provides a signal including command information, NFC tag ID information, and MAC code information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fficulty of omitting the driving of the first and second authentication unit based on the location or time.
  • the door lock control device controls the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the NFC tag unit in which the vehicle information is stored,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a door lock control signa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ehicle door by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terminal device, and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It includes a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nput for controlling the solenoid of the door lock to the door lock area.
  •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checks the door lock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through the pairing, characterized in that whether the information and the encryption code match or not.
  •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of the vehicle,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control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 the door lock contro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hack prevention unit that deactivates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when there is a hacking attempt for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and activates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when an authentication signal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is input.
  • a hack prevention unit that deactivates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when there is a hacking attempt for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and activates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when an authentication signal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is input.
  • the hacking prevention unit includes a vibration sensor, when the vibration pattern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and the pre-stored vibration pattern is matched to activate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 the hacking prevention unit includes an optical sensor and the light pattern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and the pre-stored light pattern matches,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is activated,
  • the anti-hacking unit includes a vibration sensor and an optical sensor, and activates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when the vibration pattern and the light pattern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match the previously stored vibration pattern and the light pattern.
  • the vehicle external battery may be charged with the vehicle internal battery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or the vehicle internal battery may be charg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an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and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a transformer for changing a high voltage of a vehicle battery unit to a voltage suitable for a smart terminal device, a portion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a portion for converting wirelessly input power into DC, and a DC voltag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former portion for transforming the voltage for starting the vehicle.
  • the battery unit inside the vehicle battery unit for charging the external devic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by the wireless charging receiving device to charge, and the power supply to each device in the vehicle and the power supply to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device to charge the external device
  • a relay unit positioned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auxiliary battery, and the vehicle battery unit to control power application.
  • the wireless terminal transmits authentication and control signals, and has a smart terminal device having a security function, and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to supply power to each of the vehicle, and to supply or transmit power to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charging unit.
  • the battery unit inside the vehicle battery unit for charging the external devic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by the wireless charging receiving device to charge, and the power supply to each device in the vehicle and the power supply to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device to charge the external device
  • a relay unit positioned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auxiliary battery, and the vehicle battery unit to control power application.
  • the smart terminal device includes an NFC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NFC tag unit attached to a vehicle, an application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n application for starting a vehicle, a first authentication unit for activating an application control unit using an NFC communication result, and A second authentication unit performing fingerprint authentication for activating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a door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signal for vehicle door lock control through the activated application, signal information and NFC tag ID generated by the door control module And a terminal security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oor lock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information and the MAC information of the smart terminal to the vehicle.
  • a door lock control device mounted on a door lock area of the vehicle to perform authentication control and door lock contro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door lock control device communicating with an NFC tag unit storing vehicle information and a smart terminal device
  •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receives a door lock control signa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 the NFC and the charging antenna unit that can perform NFC communication and charging at the same time, the vehicle application manager for performing control on the vehicle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through NFC communication, the user's command signal And a phon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part of the smartphone according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a touch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s command signal, a phone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nd powering the smartphone.
  • Smartphone and the vehicle to control the vehicle by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through the phone power supply for applying the NFC and charging antenna unit for performing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d each part including the vehicle NFC and charging antenna unit in accordance with an external signal
  • a vehicle starting unit for activating the main control unit, a main control unit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provided through NFC communication, and a main agent
  • a haptic switch unit activated according to a negative control signal and starting a vehicle by a user's operation, a wireless cradle charging through a smartphone, an alarm unit operating according to an alarm signal of a main control unit and a vehicle NFC and a charging antenna unit;
  • a vehicle using a smartphone comprising a vehicle configured to charge a smartphon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controller and an electric device inside the vehicle, and operat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smartphone.
  • the phone NFC and the charging antenna un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to perform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NFC, the antenna to receive power, or the antenna for performing the NFC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the antenna for receiving power.
  • the vehicle application manager may control an NFC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NFC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for identifying a vehicle and a user by checking a registered vehicle and inputting a user ID and password, and controlling wireless charging through an antenna unit. Relays additional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charging module, a vehicle registration module that performs initial vehicle registration and user registration, a vehicle motion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opening, starting, and operation of an internal electronic device of the vehicle, and an electronic device in the vehic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ata relay module.
  • the vehicle starting unit includes a start detecting unit detecting a vehicle starting input by a user, a starting signal generating unit generating a signal for starting the vehicle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and an acoustic sensing sensor detecting a voice signal by the starting detecting unit, and a pressure. And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 the main control unit may include a wireless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NFC and charging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vehicle NFC and a charging antenna unit, a devic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internal dev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user provided according to communication with a smartphone, and authentication of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thentication control unit for performing.
  • the haptic switch unit may include a haptic sensor activated by the device control unit of the main control unit, a vibration motor informing haptic driving, and an LED unit displaying an operation performing step.
  • a smart terminal device for vehicle control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the smart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power to the smart terminal device through the vehicle glass Provided is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include a wireless charging unit for wirelessly charging the smart terminal devic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of the vehicle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n opera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each unit.
  • the wireless charging unit includes a charging antenna positioned on the vehicle front glass, and the charging antenna is manufactured using a flexible magnetic sheet or is manufactured in a sheet type.
  • the operation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ging is performed for the smart terminal device for which NFC communication is authenticated, and the smart terminal device that cannot be authenticated by discharge is charged only within a range of 3 to 30 minutes.
  • the step of registering each other in the smart phone and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f the discharged by checking the discharge of the smart phone, the charging is performed by placing the smart phone on the NFC and the charging antenna located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 the step of connecting the smart phone to the vehicle NFC and charging antenna unit, the smart phon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vehicle through NFC communication
  • the step of the application for the vehicle control of the smartphone is carried out, the user
  • the smartphon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vehicle matches the stored information, opening the door of the vehicle or opening the door of the vehicle through authentication through the smartphon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starts up, Depending on the setting, the moment the haptic switch is pressed, the vehicle starts or the vehicle is started through authentication with a smartphone.
  • step, but the user and determine whether the internal control unit of a vehicle there is provided a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the smart phone comprising the step undergo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the internal control unit in accordance with user settings.
  • the step of registering each other in the smartphone and the veh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smartphone by contacting the smartphone with the NFC and the charging antenna of the vehicle, the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is provided to the vehicle.
  • a smart terminal device having a security function and transmitting authentication and control signal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oor lock control device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vehicle main control unit, and a vehicle And a vehicle main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vehicle door lock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and communication resul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door lock control device that charges the smart terminal device located outside the vehicle using a power sourc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is a smartphone.
  • the smart terminal device in close proximity to the vehicle, driving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through NFC communication, performing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to activate the application, the vehicle door control upon successful fingerprint authentication Transmitting a command signal for door control using a screen for controlling the vehicle; and the vehicle door lock control apparatus receives the transmitted command signal, authenticates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information upon successful recognition. It provides a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a smartphone comprising a step.
  • the command signal may include command information, NFC tag ID information, and MAC code information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 the time or location-based authentication Before performing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to activate the application, the time or location-based authentication, if the time or location previously stor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omitting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convenience of the user by not having a separate key due to the smart key function.
  •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the communication security, and protect the vehicle in the event of hacking due to separation from the vehicle control unit.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lock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oor lock control apparatus of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10 is a block diagram of a battery inside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1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13 is a block diagram of an application manager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14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15 is a block diagram of an NFC and charging antenna uni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16 is a block diagram of a main control unit.
  • FIG. 17 is a block diagram of a haptic switch unit
  • FIG.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3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lock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4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uthentication and control signals through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respectively, a smart terminal device 100 having a security function and the vehicle
  •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door lock area of the door lock control device 200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control and door lock control through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located outside the vehicle using the vehicle power source. 300.
  •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n NFC communication unit 110 for communicating with an NFC tag unit 210 attached to a vehicle, an application control unit 120 for performing an application for starting a vehicle, and an NFC communication result.
  • the door control module 150 generates a signal for door lock control, and transmits a door lock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signa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oor control module 150, NFC tag ID information, and MAC information of the smart terminal to the vehicle.
  • Terminal security communication unit 160 is includ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authentication unit 170 that performs location-based authentication for activating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120, and an initial control unit 180 for initial vehicle registration and NFC tag input.
  • the vehicle determination unit 190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initially stored through the NFC communication may further include.
  • the smart terminal is driven by a battery, and includes a terminal wireless charging unit 101 for charging the battery.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authentication unit that performs password authentication.
  • the NFC communication unit 110 has an NFC antenna or a reader and a tag function. NFC communication unit 110 is to read the NFC tag information attached to the vehicle through the NFC communication. At this time, the NFC communication unit 110 reads the vehicle information, and reads the NFC tag ID information.
  • the first authenticator 130 uses the vehicle information to performs authentication.
  • the application controller 120 may execute the application.
  • the primary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first authentication unit 130 using the vehicle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NFC communication unit 110 for security enhancement. Then, the second authentication unit 140 may be driven for the second authentication.
  • the app controller 120 may be initially driven by the first authenticator 130 to operate the second authenticator 140.
  • the second authentication unit 140 performs fingerprint authentication, and activates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120 when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is completed so that the vehicle door lock can be controlled.
  • Fingerprint authentication performs authentication by checking whether the fingerprint is registered by the initial controller 180.
  • the fingerprint recognition is recognized by a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installed in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 the second authenticator 140 may be performed by inputting an eight-digit password or more in addition to fingerprint authentication. It is also effective that the password is also the password inputted by the initial controller 180.
  •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120 is completely activated and the door control module 150 having the screen for controlling the vehicle door lock is load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 the door control module 150 may display an open / close button for controlling a vehicle door lock on a screen.
  • an open signal for opening the vehicle door is generated
  • a close signal for closing the vehicle door is generated.
  • the door control module 150 may automatically generate a signal for opening the vehicle door when authentication of the second authentication unit 140 succeeds. This allows the user to open the vehicle door directly to a separate operation.
  • the terminal security communication unit 160 communicates with the door lock control apparatus 200 in the vehicle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different from that of the NFC communication unit 110.
  • it is effective to use security-enhanced Bluetooth communica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s may be used. ZigBee, IrDA, and Wi-Fi communications may be used for this purpose.
  • the terminal security communication unit 160 is paired with the vehicle on which the NFC communication was performed.
  • the door open signal generated by the door control module 150 is loaded on the data formatted according to the preset security code and transmitted to the vehicle as the door lock control signal.
  • the door lock control signal transmitted includes a door open signal, NFC tag information, and MAC information of the smart terminal.
  •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may not include the third authenticator 170 and may not perform an operation of one of the first authenticator 130 and the second authenticator 140. Of course, both authentication units may not work.
  • the third authenticator 170 preferably performs location-based authentication.
  • the second authenticator 140 may be omitted, or the first and second authenticators 130 and 140 may be omitted.
  • the operation of the authentication unit may vary according to an area where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is located. For example, when the location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is a home or a company, the vehicle door may be opened by driving an application without performing a fingerprint authentication.
  • the third authenticator 170 may perform time-based authentic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mit the first or second authentication for opening the vehicle door at rush hour. For example, if the app is running at 3:00 am, it is desirable to have strong authentication for fear of theft.
  • the driving of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may be easy or difficult, and communication may also be difficult or easy.
  • various devices that can be moved and carried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pad, and a notebook, may be used.
  • the door lock control apparatus 200 may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door of the vehicle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 the door lock control apparatus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NFC tag unit 210 in which vehicle information is stored,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220 receiving a door lock control signal for opening and closing a vehicle door by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and a vehicle.
  •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230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door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of th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220.
  • NFC tag unit 210 is locat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driver's seat door, it is effective that the vehicle information is stored.
  •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220 communicates with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different from NFC communication, such as the terminal security communication unit 160.
  • security-enhanced Bluetooth communication is us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s may be used. ZigBee, IrDA, and Wi-Fi communications may be used for this purpose.
  •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220 is provided with data packet information of 18 bytes.
  • the information includes the door open signal, the NFC tag information, and the MAC information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It also includes header information and CRC information.
  • the door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230 checks the door lock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220 through pairing. At this time,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in the data packet information matches the encryption code. If the result of the check is matched, a control command is sent to perform an operation matching the received information. However, if the received results do not match, it is desirable to inform the alarm or warning.
  •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230 may control the setting of the entire apparatus.
  •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2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o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the vehicle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control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That is,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switching circuit to control the opening and the glazing of the vehicle door.
  •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230 applies the corresponding power.
  • the door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230 may control the opening of the door by allowing the ground to be instantaneously applied to the do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part of the vehicle through switching.
  • various methods other than the vehicle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vehicl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this embodiment,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and the vehicle control through the applica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motion, that is, the movement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This may be performed in a state of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using various sensors attached to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 the application may be performed when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is shaken, or the vehicle door may be opened when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is inverted.
  • the application and door opening based on the operation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various sensors attached to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 the door lock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 the power supply unit receives the power of the vehicle and delivers it to each unit. Since power is supplied from the vehicle, it is desirable to enable a wide range of operation from 3.3 to 24V in preparation for the battery voltage variation of the vehicle. For this purpose, it is effective to use linear LDO. In addition, since each part consumes current even in the standby st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supply part includes a switching element for power path to operate only when an external interrupt signal is input. For this purpose, it is effective to use a FET for the power pass.
  •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300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unit 310 for wireless charging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a power supply unit 320 for supplying power of the vehicle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300, and operations of each unit.
  • An operation control unit 330 for controlling.
  • the wireless charging unit 310 has a charging antenna to charge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outside the vehicle glass.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current sensing circuit and the FOD setting circuit so that the charging is performed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harging antennas is 8 mm or more (7 to 9 mm).
  • the charging antenna that is, the wireless charging coil is preferably manufactured using a flexible magnetic sheet in consideration of the curved window of the vehicle.
  •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300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 the antenna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310 may be manufactured in a patterned form on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 the antenna is made of sheet type and attached to the glass with an adhesive sheet.
  •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310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driver's seat front region of the vehicle windshield. It is also advantageous for the arrangement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to be located below the glass.
  • the power supply unit 320 provides the wireless charging unit 310 with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330.
  • the operation controller 330 is driven by a touch sensor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external touch signal so that the power supply unit 320 operates.
  • the operation controller 330 may allow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300 to ope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That is, when the smart terminal located outside the vehicle is dischar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cessive vehicle power wasted by only charging enough to perform the application. At this time, it is effective that the predetermined time is in the range of 3 to 30 minutes.
  • the operation control unit 330 may be charged only for the predetermined time when the NFC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is not made, thereby preventing indiscriminate charging by other users in advance. Then, only registered users can be charged. Accordingly, the constant tim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3 to 5 minutes.
  •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to enable the power supply to operate at a voltage range of 3 to 40V to support a variety of vehicles.
  •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transmits authentication and control signals through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s, and is different from a smart terminal device 100 having a security function.
  •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at performs authentic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s the door lock control apparatus 200 for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vehicle main controller 400 and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located outside the vehicle using the vehicle power.
  • the vehicle main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vehicle door lock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and the communication result of the door lock control device 20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300.
  •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230 of the door lock control apparatus 200 is operated by the vehicle main control unit 400. That is,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220 authenticates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in the case of the approved information, transmits a command of the signal (information) to the vehicle main controller 400 to control the vehicle door lock.
  • the operation control unit 330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300 is located in the vehicle main control unit 400, and the touch signal is applied by the vehicle main control unit 400, the wireless charging unit 310 and the power supply unit 320 are used. ) Can also be operated.
  • the door lock control device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 the NFC tag portion may be located in the windshield area of the vehicle.
  • the antenna of the wireless charging unit of the door lock control device and the NFC tag part of the door lock control device may b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Through this,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oor lock control apparatus of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further includes a security device for preparing for hacking on the Bluetooth channel.
  • the anti-hacking unit 24 of the door lock control device 200 of the vehicl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cibly closes the Bluetooth communication channel of the vehicle when a hacking attempt for the Bluetooth channel is issued through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220. That is,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220 is deactivated.
  •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forcibly closed to prevent further hacking, thereby enhancing security.
  • the number of times is effectively less than 1 to 10 times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 the door lock control device may activate the blocked Bluetooth communication, that is,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220 by placing the hacking prevention unit 240.
  • the hacking prevention unit 240 may activate the blocked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220 only when the signal value is recognized by receiving the unique signal from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 the hacking prevention part 240 includes a vibration sensor. Accordingly,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220 may be activated when the vibration period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is a value corresponding to a pre-stored vibration period.
  •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may be equipped with a vibration eccentric motor, or may use an electromagnet vibration method. Then, the vibration period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s input to the door lock control device 200 in advance.
  • the anti-hacking unit 240 recognizes the vibration period pattern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as a signal such as a Morse code to restore the Bluetooth channel.
  • the vibration sensor is locat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vehicle doo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possible to locate the in-vehicle dashboard area.
  • the hacking prevention unit 240 is preferably installed in various positions that can recognize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surface.
  • the door lock control device is effectively located near the door of the vehicle, the door lock control device is located near the vehicle door.
  • the external micro-vibration of the vehicle can also be recognized by the dashboard side, it is also possible to be located in the dashboard area.
  • an optical sensor may be used as the hacking prevention unit 240.
  •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220 may be activated when the value corresponds to a previously stored light source pattern through a light source (ie, a camera flash)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 a light source ie, a camera flash
  • the light source pattern is input to the hacking prevention unit 240 in advance.
  • the flash channel that is, the light source pattern
  • the flash channel may be provided to the hacking prevention unit 240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to restore the Bluetooth channel.
  • a flash or front light source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may be used as the light source.
  • an optical sensor ie, a light receiving sensor of the hacking prevention unit 240 is effectively disposed in the glass region of the vehicle.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vehicl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mart terminal device through initial registration, and pairing between the terminal security communication units is performed.
  • NFC communication is performed to drive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S110).
  •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the NFC tag ID through the NFC communication, it is pass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whether the provided ID information is correct. If the tag ID is provided, the application is driven.
  • Fingerprint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o activate the application (S120).
  • the application screen for controlling the vehicle door appears.
  • the terminal security communication unit includes command information (door open signal), NFC information, and MAC information of the smart terminal.
  • the door lock control device receives the received information through the vehicle security communication unit.
  • the received information is subjected to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confirming whether the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a pre-stored smart terminal device. If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information is performed (S140). In other words, the vehicle door is opened.
  • the user may not perform authentication by NFC communication. Alternatively, fingerprint authentication may not be performed.
  • the smart terminal device may be dispos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perform wireless charging.
  • the door lock control apparatus may authenticate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provide the command information to the vehicle main controller.
  • the vibration period of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is set at the time of setting the door lock control device 200.
  • the anti-hacking unit 240 operates the pre-stored vibration cycle through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thereby securing the vehicle.
  • the communication unit 220 may be activated.
  • the vibration period may perform a role such as Morse coding to communicate with the hacking prevention unit 24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be modified to configure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for preparing for vehicle discharge.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10 is a block diagram of a battery inside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 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may charge the vehicle external device with the vehicle internal battery 500 or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400 for charging the vehicle internal battery 500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 a power source provided from the vehicle battery unit 500 and the vehicle battery unit 500 that are located inside the vehicle to supply power to each vehicle and supply power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400 or are provided. It includes a vehicle driver 600 for starting the vehicle.
  •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300 includes an antenna 340 for wireless charging.
  • the power of the vehicle internal battery unit 500 may be provided to the external charging device, or the power of the external device may be provided to the internal battery unit 600 of the discharged vehicle.
  •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300 preferably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350 and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360.
  • transmission and reception may be performed using one antenna 340 as described abov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ay be separated.
  • a plurality of antennas may have an array arrangement.
  •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300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controller 330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in this embodiment,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300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330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vehicle. have.
  •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300 is divided into a transformer for changing the high voltage of the vehicle battery unit 520 to a voltage suitable for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and a par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wirelessly. It is preferabl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ortion for converting the wirelessly input power to direct current and a boosting portion, that is, a transformer portion for boosting a low DC voltage to a high voltage for starting the vehicle.
  • the internal battery unit 500 of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the auxiliary battery unit 510 for charging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by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300, and supplies power to each device inside the vehicle and supplies power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300. And a vehicle battery unit 520 for charging an external device, and a relay unit 530 positioned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300, the auxiliary battery 510, and the vehicle battery unit 520 to control power supply. do.
  • the vehicle internal battery unit 50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tate check unit 540 and a main state check unit 550 for respectively checking the states of the auxiliary battery 510 and the vehicle battery unit 520. It may be.
  • the relay unit 530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vehicle battery unit 500 to charge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outside the vehicle, or the vehicle battery unit 500, that is, the auxiliary battery 510 may be charged. Can be. That is, when the smart terminal device 100 discharg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300 is located and charging is performed, the main state checker 550 checks the state of the vehicle battery unit 520. When the state of the vehicle battery unit 520 is charged, the power of the vehicle battery unit 520 is provided to the wireless charging uni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charge the discharged smart terminal device 100.
  •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300 is changed to the reception mode and is supplied with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o charge the auxiliary battery unit 510. Proceed.
  • the auxiliary battery unit 510 is charged, it is possible to apply power to the vehicle driver 600, thereby starting the vehicle and charging the vehicle battery unit 520 through the charging device in the vehicle.
  • the auxiliary state checker 540 checks the state of the auxiliary battery unit 510, and notifies the vehicle when the state of the auxiliary battery unit 510 becomes a state suitable for starting the vehicle (start motor driving stat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hang.
  • a separate switch is located between the auxiliary battery unit 510 and the vehicle driver 600 to operate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auxiliary state checker 540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510 can provide power to the vehicle driver 600. have.
  •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using a smart phone as a smart terminal device
  • FIG. 1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2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13 is a block diagram of an application manager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14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15 is a block diagram of an NFC and a charging antenna uni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16 is a block diagram of a main controller
  • FIG. 17 is a block diagram of a haptic switch unit.
  • the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1200 through an application for vehicle control to operate the vehicle 1200.
  • a smartphone 1100 for controlling and a vehicle 1200 for charging the smartphone 1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operating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smartphone 1100 are provided.
  • the smartphone 1100 is a phone NFC and charging antenna unit 1110 capable of performing NFC communication and charging at the same time, and the vehicle application manager 1120 to control the vehicle by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through NFC communication And a phone controller 113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unit of the smart phone 1100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signal and an external control signal, a touch input unit 1140 for receiving a user's command signal, and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Phone communication unit 1150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and the phone power supply unit 1160 for applying power to the smart phone 1100.
  • the phone NFC and charging antenna unit 1110 includes an antenna that proceeds wit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NFC, and receives power. Through this,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may be performed through NFC, a control signal and a user identification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vehicle, and a signal such as a user identification signal may be input from the vehicle. In addition, by operating as a receiving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it is possible to wirelessly charge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wireless power source provided from the vehicle.
  • the vehicle application of the vehicle application manager 1120 is automatically executed.
  • the vehicle app manager 1120 manages a vehicle app installed in the smartphone 1100 for vehicle control.
  • the vehicle application includes an NFC control module 1121 for controlling NFC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1122 for identifying a vehicle and a user through confirmation of a registered vehicle and input of a user ID and password, and a wireless unit through an antenna unit.
  •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123 for controlling charging, the vehicle registration module 1124 for initial vehicle registration and user registration, and the vehicle motion control module 1125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opening, starting, and internal electronic devices of the vehicle
  • a data relay module 1126 for relaying further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vehicle 1200.
  • the vehicle application manager 1120 In order to control the vehicle by the vehicle application manager 1120, it may be used in various modes. That is, it is possible to differentially control the vehicle and its security level through the normal mode, the security mode, and the enhanced mode.
  • the vehicle In the general mode, the vehicle is controlled by a control system inside the vehicle by general vehicle control, and in the security mode, when the smartphone 1100 is authenticated through NFC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1100, the vehicle 1100 is controlled.
  • the enhanced mode may control the vehicle after us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app manager 1120.
  • the phone controller 1130 transmits the user's command signal input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1140 to each unit, or controls each unit through the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unit of the smart phone 1100 according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 the touch input unit 1140 may receive a command directly from the user.
  • the command is preferably transmitted through the phone control unit 1130.
  • the command may be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touch input unit to the vehicle application manager.
  • the phone communication unit 1150 may enable internet communication and phone network communication of the smartphone 1100, and may enable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other than NFC.
  • the phone power supply 1160 is effective to use a battery, and stores the power received from the phone NFC and the charging antenna unit 1110.
  • the vehicle 1200 may include a vehicle NFC and charging antenna unit 1210 for performing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d a vehicle starting unit 1220 for activating each unit including the vehicle NFC and charging antenna unit 1210 according to an external signal.
  • the main control unit 12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provided through the NFC communication, and a haptic switch unit activ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 unit 1230 and starting the vehicle by a user's operation ( 1240, the wireless cradle 1250 to charge the smartphone 1100, the alarm unit 1260 operating according to the alarm signal of the main control unit 1230 and the vehicle NFC and charging antenna unit 1210, and the main And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1270 that performs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vehicle internal electric device.
  • the vehicle NFC and charging antenna unit 1210 includes a body portion 1211 attached to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1200, an NFC driver 1212 for performing NFC communication, a wireless charging unit 1213 for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and And a charging power source 1214 that provides charging power to the wireless charging unit.
  • NFC driver 1212 and the wireless charging unit 1213 is effective to use a single antenna.
  • the NFC driver 1212 and the wireless charging unit 1213 are manufactured in a single configuration, and it is preferable to perform signal processing separately.
  • the NFC driver 1212 and the wireless charging unit 1213 preferably use the same driving circuit.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eparate antennas may be used.
  •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is disposed below the NFC antenna.
  • wireless charging of the smartphone 1100 may be performed outside of the vehicle.
  • the vehicle NFC and the charging antenna unit 1210 is activated by the vehicle starting unit 1220.
  • the wireless charging unit 1213 proceeds with the initial charging for 1 to 5 minutes, and then it is effective that the continuous charging is possible after authentication through NFC communication.
  • the smartphone 1100 is completely discharged, the charging of the smartphone 1100 is performed at an external level (ie, the power is turned on)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after the smartphone 1100 is turned on, the NFC is turned on.
  • Wireless charging may be enabled only for the smartphone 1100 authenticated through communication. Therefore, the unauthenticated smartphone 1100 may prevent the wireless charging from being performed for a long time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excessive consumption of the battery in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 the body portion 1211 has an adhesive surfac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vehicle windshield, and has a body on which the NFC driver 1212 and the wireless charging unit 1213 are mounted.
  • the vehicle starting unit 1220 is activated when the vehicle is stopped and locked. At this time, main functions other than the vehicle starting unit are activated at the minimum power. Then, when the user performs an action to use the vehicle, it detects this and switches all functions of the vehicle to the activated state.
  • the vehicle starter 1220 includes a start detector 1221 for detecting a vehicle start input by a user, and a start signal generator 1222 for generating a signal for starting a vehicle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 the start detection unit 1221 it is effective to use an acoustic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 voice signal inside the vehicle. Accordingly, when the user knocks the vehicle, the knock sound may be detected to generate a start signal for starting the vehicle.
  • the acoustic sensor When using an acoustic sensor, the acoustic sensor is effectively located near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 the start signal generator 1222 analyzes the result of the acoustic sensor and generates a start signal only when a pattern for starting the vehicle is input.
  • a start signal when the knock sound of the user is 3 to 10 times in a row. This may prevent devices inside the vehicle from being activated without the user's intention.
  • the sound of continuous knocking is detected, but the knock pattern may be detected.
  • the amplification unit and the filter unit may be provided to minimize noise of the signal, and a separate comparator may be installed to det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signal and the pre-stored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To do this, the user can save inputs such as note sounds in advanc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signal and the stored signal is 70 to 100%.
  • a pressure sensor / vibration sensor may be used as the start signal generator 1222.
  • the pressure sensor / vibration sensor is attached to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and is activated when the user taps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 the start signal generation unit 1222 may generate a start signal by sensing a pattern of pressure that is also input to the pressure sensor.
  • the sensor may be attached to the door handle of the vehicle and sensed.
  • the activation signal generator 1222 may activate the main control unit 1230 of the vehicle through the generated activation signal, and activate the vehicle NFC and the charging antenna unit 1210. Previously, the main controller 1230 performs operations on a minimum of instruments and devices with minimum power.
  • the main control unit 1230 is a wireless control unit 1231 for controlling NFC and charging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vehicle NFC and the charging antenna unit 1210, and the inside of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user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1100
  • a device control unit 1232 for controlling the device and an authentication control unit 1233 for authenticating the smartphone 1100 are provided.
  • the wireless controller 1231 may perform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1200 and the smartphone 1100 through NFC communication, and perform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1200 and the smartphone 1100 through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 the wireless controller 1231 transmits the NFC data to the device controller by using the 485 bus.
  • the NFC communication is performed to open (unlock) the initial vehicle door, and thereafter, the smartphone 110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RF, Wi-Fi, Bluetooth, etc.). Communication with).
  • the smartphone 1100 preferably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through the data relay module 1126 and the phone communication unit 1150 of the app manager 1120 to receive information and signals from each other.
  • NFC communication is preferably to use 13.56MHz.
  • the wireless controller 1231 preferably performs encrypted data communication through an encryption routine combining a vehicle number of a registered vehicle, a telephone number of a smartphone, and a password input by a user.
  • the device controller 1232 may open a door of the vehicle, perform a wireless charging, approve the start of the vehicle, or other electric device (including an acoustic device) according to a user's control signal provided through the wireless controller 1231.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controller 1232 preferably locks the door of the vehicle automatically when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1100 is lost.
  • the authentication controller 1233 checks whether a signal provided through the wireless controller 1231 is provided through the authenticated smartphone 1100. If the result of the check is not a pre-registered / authenticated smartphone, the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 unit 1230 is deactivated and a warning alarm sounds through the alarm unit. That is,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an alarm when it does not match with the authentication and pre-registered value more than three to five times.
  • the authentication control unit 1233 may change an operating condition of the main control unit 1232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setting condition (mode) of the user.
  • mode the authentication setting condition
  • the main controller is activated to operate.
  • the user sets the security mode, the user receives one of the smartphone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and activates it when it matches.
  • the enhanced mode activates the main control only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such as the smartphone information and the password has passed. To make it work.
  • the above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through NFC communication.
  • the information is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unit in the main controller 1230.
  • the haptic switch unit 1240 includes a haptic sensor 1241 activated by the device control unit 1232 of the main control unit 1230, a vibration motor 1242 indicating a haptic driving, and an LED unit displaying an operation performing step ( 1243).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start the vehicle, display the operation state through the LED unit 423, and have a built-in vibration signal so that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vehicle is started.
  • the wireless cradle 1250 is mounted on a dashboard of a vehicle, and includes a cradle body portion 1251 on which the smartphone 1100 is placed, and a wireless charging antenna 1252 positioned inside the body portion 1251.
  •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1252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vehicle NFC and the charging antenna unit 1210 described above.
  • FIG.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martphone is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that is connected to a vehicle through NFC communication for controlling a vehicle,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s vehicle operation.
  • vehicle information (vehicle name, date of manufacture, etc.) is provided to the smartphone, and information (telephone number, etc.) of the smartphone is provided to the vehicle.
  • vehicle information received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is displayed, and requires additional information input.
  • the added information includes a vehicle number and a vehicle unique number designated by the user.
  • information to be provided and stored in the vehicle is received.
  • th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vehicle includes user information and additional smartphone information.
  • the authentication and the passwor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are provided. In this case, each operation may be controlled by receiving one authentication or password according to the setting, and different authentication and passwords may be provided for each operation of the vehicle.
  • the authentication uses a pattern and an image, and the password receives a number or a letter.
  • the input password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so that the vehicle can confirm it. This is to control the vehicle even if you know only the authentication and password if you control the vehicle with another smartphone.
  • Select control mode after vehicle registration is completed.
  • the operation mode for transferring the vehicle control authority to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when the smartphon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NFC communication matches the designated smartphone information, the operation mode for transferring the vehicle control authority to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 the security mode transfers the vehicle control authority to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only after the authentication and password have been input and authenticated through the application and the smartphone information.
  •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vehicle is sequentially transferred to the smartphone at each step. That is, after the initial door opening, another authentication is required for starting, and another authentication is required for operating a device inside the vehicle with a smartphone.
  • the smartphone checks whether the smartphone is discharged, and if it is discharged, the smartphone is placed on the vehicle NFC and the charging antenna located on the vehicle front glass to perform charging. If the smartphone is not discharged and operates, the smartphon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vehicle NFC and the charging antenna unit.
  • the charging of the smart phone is preferably performed for a short time such that the smart phone can be driven as described above.
  • charging of the smartphone is performed by a wireless charging method.
  •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is provided to the vehicle through NFC communication, and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vehicle of the smartphone is activated.
  • an operation for activating the vehicle may be performed before the NFC contact (S1200).
  • all power except the minimum power is cut off in order to minimize battery consumption of the vehicle.
  • the vehicle may recognize this and activate the devices in the vehicle. This can activate the vehicle by knocking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detecting it by a detection sensor as previously signed.
  • the vehicle may be activated by contacting the door handle of the vehicle and may be activated by applying vibration or pressure.
  • the vehicle door is opened, or if the password or authentication procedure is performed on the application screen and the password and authentication input is successful, The door is opened (S1400).
  • the existing smart key image is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screen, and the user can open the vehicle door through the image. At this time, if authentication is not successful 3 to 5 times, an alarm occurs.
  • the vehicle and the smartphone continuously communicate to determine whether the smartphone is located in the vehicle.
  • the vehicle starting operation is performed at the moment the user presses the haptic switch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or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is performed to perform authentication. This may be performed (S1500, S1600).
  • the internal device control of the vehicle may be fre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or may be controlled only when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is executed and the authentication succeeds.
  • the vehicle can be divided into the alert mode, the standby mode and the driving mode according to the state.
  • alert mode only the function for detecting an external user in the locked state of the vehicle is activated.
  • the function for preventing theft of the vehicle is also preferably activated.
  • the alert mode when the knock is sensed by the external communication unit, the vehicle may be activated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 the door when the detected smart phone is fitted, the door may be opened and the standby mode may be entered. Of course, if the input is different more than 5 times, an alarm is generated. Then, an alarm is generated by forcibly opening that the door is opened in the alert mode.
  • the vehicle door In the standby mode, the vehicle door is open and power is supplied.
  •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radle is initiated with the power supply of the haptic.
  • the smartphone is not mounted on the cradle, the operation of the haptic is stopped, and when the smartphone is mounted, the haptic switch may be driven. Subsequently, when the vehicle is started through the haptic, the vehicle enters the driving mode. Of course, if the user is not through the user check, the haptic may be turned off.
  •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started.
  • the haptic starts, it starts the engine after checking that the brake is being applied and the gear is in a normal state. Subsequently, NFC communication can be turned off during the driving mode.
  • the data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vehicle may store the registered vehicle status monitor, the smartphone data reception and relay and the vehicle location as recent data, and may be associated with smartphone registration and authentication, vehicle information registration and authentication, and other vehicle operations. Information is provided to perform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과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보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와, 차량의 도어락 영역에 장착되어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제어와 도어락 제어를 수행하는 도어락 제어 장치 및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폰더를 스마트 폰으로 대처하고, 보안이 강화된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텔레매틱스(Telematics)는 Telecommunication과 Informatics의 합성어로 자동차와 무선통신을 결합하여 실시간 차량의 위치추적, 인터넷접속, 원격차량진단, 사고감지, 교통정보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차량용 텔레매틱스는 최근 IoT/M2M 등 통신기술 발전과 맞물려 커넥트 카 또는 스마트 카등의 개념으로 고도화되고 있다. 스마트 카의 기능중 하나인 스마트 키 서비스는 별도의 폰더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마트 키 시스템은 보안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스위스 연방공과대학의 Srdjan Capkun 교수는 스마트키 시스템의 보안성이 상당히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8개 제조사가 생산한 10개 모델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고, 이 실험에 사용된 모든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이 간단한 방법으로 무력화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차의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동까지 걸 수 있었다.
스마트키 시스템은 자동차와 스마트키가 아주 가까이 위치했을 때, 자동차에서 송신된 저전력 신호가 스마트키에 수신되면서 작동하는 구조를 지니고 있지만 Srdjan Capkun 교수는 리피터의 역할을 하는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자동차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잡아낸 후 이를 증폭시켜 스마트키와 자동차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더라도 자동차의 문을 열고 시동을 거는데 성공했다. 물론 여기에 사용되는 안테나가 자동차와 스마트키 각각에 아주 가까이 위치해야 하지만, 차량절도범들이팀을 이뤄 범행을 저지를 가능성도 충분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고, 통신 보안을 강화하고, 차량 제어부와 분리함으로 인해 해킹 발생시 차량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고, 폰더를 대신하는 스마트폰의 방전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차량의 배터리 방전시 충전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와 NFC 태그 ID 정보와 스마트 단말기의 MAC 정보가 포함된 도어락 제어 신호를 차량에 전송하는 단말 보안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어플 제어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위치 기반 인증을 수행하는 제 3 인증부와, 초기 차량 등록 및 NFC 태그 입력을 위한 초기 제어부와, NFC 통신을 통해 초기 저장된 차량인지 여부를 판결하는 차량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보안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되, 명령 정보, NFC 태그 ID 정보, 스마트 단말기 장치의 MAC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플 제어부는 위치 또는 시간 기반에 따라 제 1 및 제 2 인증부의 구동을 생략하는 난이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락 제어 장치는 차량 정보가 저장된 NFC 태그부와, 스마트 단말기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 도어 개폐를 위한 도어락 제어 신호를 제공받는 차량 보안 통신부와, 차량 보안 통신부의 신호에 따라 차량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 영역으로 도어락의 솔레노이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입력단일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개폐 제어부는 차량 보안 통신부가 페어링을 통해 수신한 도어락 제어 신호를 확인하되, 정보의 일치여부와 암호화 코드의 일치 여부등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개폐 제어부는 차량의 도어 자동 개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락 제어 장치는 차량 보안 통신부에 대한 해킹 시도가 있는 경우 차량 보안 통신부를 비활성화하고, 스마트 단말 장치의 인증 신호 입력시 차량 보안 통신부를 활성화 하는 해킹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킹 방지부는 진동 센서를 포함하고, 스마트 단말 장치의 진동 패턴과 기 저장된 진동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차량 보안 통신부를 활성화하거나,
해킹 방지부가 광 센서를 포함하고, 스마트 단말 장치의 광 패턴과 기 저장된 광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차량 보안 통신부를 활성화하거나,
해킹 방지부가 진동 센서 및 광 센서를 포함하고, 스마트 단말 장치의 진동 패턴 및 광 패턴과 기 저장된 진동 패턴 및 광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차량 보안 통신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내부에 위치하여 차량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무선 송수신 충전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공받는 차량 내부 배터리부와, 차량 내부 배터리부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을 시동시키는 차량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차량 내부 배터리로 차량 외부 장치를 충전하거나, 외부 전원으로부터 차량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충전을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고, 무선 충전 수신단과, 무선 충전 송신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차량용 배터리부의 높은 전압을 스마트 단말기 장치에 맞는 전압으로 변경하는 변압부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 및 수신하는 부분과,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부분과 직류 전압을 차량 시동을 위한 전압으로 변압하는 변압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내부 배터리부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 받아 충전하는 보조 배터리부와, 차량 내부 각 장치에 전원을 제공하고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전원을 제공하여 외부 장치를 충전하는 차량용 배터리부와, 무선 충전 장치와 보조 배터리 및 차량용 배터리부 사이에 위치하여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과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보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와, 차량 내부에 위치하여 차량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무선 송수신 충전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공받는 차량 내부 배터리부와, 상기 차량 내부 배터리부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을 시동시키는 차량 구동부와, 차량 내부 배터리로 스마트 단말기 장치를 충전하거나, 외부 전원으로부터 차량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차량 내부 배터리부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 받아 충전하는 보조 배터리부와, 차량 내부 각 장치에 전원을 제공하고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전원을 제공하여 외부 장치를 충전하는 차량용 배터리부와, 무선 충전 장치와 보조 배터리 및 차량용 배터리부 사이에 위치하여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 장치는 차량에 부착된 NFC 태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NFC 통신부와, 차량 시동을 위한 어플을 수행하는 어플 제어부와, NFC 통신 결과를 이용하여 어플 제어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 1 인증부와, 어플 제어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제 2 인증부와, 활성화된 어플을 통해 차량 도어락 제어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도어 제어 모듈과, 도어 제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신호 정보와 NFC 태그 ID 정보와 스마트 단말기의 MAC 정보가 포함된 도어락 제어 신호를 차량에 전송하는 단말 보안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의 도어락 영역에 장착되어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제어와 도어락 제어를 수행하는 도어락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 제어 장치는 차량 정보가 저장된 NFC 태그부와, 스마트 단말기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 도어 개폐를 위한 도어락 제어 신호를 제공받는 차량 보안 통신부와, 차량 보안 통신부의 신호에 따라 차량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NFC 통신과 충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폰 NFC 및 충전 안테나부와, NFC 통신을 통해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어플 관리부와, 사용자의 명령 신호 및 외부 제어 신호에 따라 스마트 폰의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폰 제어부와, 사용자의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입력부와,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폰 통신부와, 스마트폰에 전원을 인가하는 폰 전원부를 통해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스마트폰 및 차량은 NFC 통신 및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와, 외부 신호에 따라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를 포함한 각부를 활성화시키는 차량 기동부와, NFC 통신을 통해 제공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와, 메인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차량 시동을 거는 햅틱 스위치부와,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충전하는 무선 크래들과, 메인 제어부 및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의 경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경보부와, 메인 제어부와 차량 내부 전기기기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을 충전하고, 스마트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폰 NFC 및 충전 안테나부는 NFC의 송신과 수신을 진행하고, 전력을 수신하는 안테나를 구비하거나, NFC 송신과 수신을 수행하는 안테나와 전력을 수신하는 안테나로 분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어플 관리부는 차량과의 NFC 통신을 제어하는 NFC 제어 모듈과, 등록된 차량의 확인과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차량 및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 모듈과, 안테나부를 통한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무선 충전 모듈과, 초기 차량 등록 및 사용자 등록을 수행하는 차량 등록 모듈과, 차량의 도어 오픈, 시동 및 내부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동작 제어 모듈과, 차량 내의 전자기기와의 추가적인 통신을 중계하는 데이터 중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기동부는 사용자에 의한 차량 기동 입력을 감지하는 기동 감지부와, 감지 결과에 따라 차량 기동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기동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되, 기동 감지부로 음성 신호를 감지하는 음향 감지 센서, 압력 및 진동 감지 센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의 신호에 따라 NFC 및 충전을 제어하는 무선 제어부와, 스마트폰과 통신에 따라 제공된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 내부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와, 스마트폰의 인증을 실시하는 인증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햅틱 스위치부는 메인 제어부의 장치 제어부에 의해 활성화되는 햅틱 센서와, 햅틱 구동을 알려주는 진동 모터와, 동작 수행 단계를 표시하는 LED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를 위한 스마트 단말기 장치 및 스마트 단말기 장치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차량 유리를 통과하여 스마트 단말기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 장치에 대한 무선충전을 하는 무선 충전부와, 차량의 전원을 무선 충전 장치에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와,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충전부는 차량 전면 유리에 위치하는 충전 안테나를 구비하고, 충전 안테나는 플렉서블 자성체 시트를 이용하여 제작되거나, 시트 타입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작 제어부는 NFC 통신이 인증된 스마트 단말기 장치에 대하여 충전이 수행되도록 하고, 방전에 의해 인증이 불가한 스마트 단말기 장치는 3 내지 30분 범위 내에서만 충전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폰과 차량에 각기 서로를 등록하는 단계와, 스마트폰의 방전 여부를 확인하여 방전된 경우에는 차량 전면 유리에 위치한 NFC 및 충전 안테나부에 스마트폰을 위치시켜 충전을 수행하고, 방전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에 접속시키는 단계와, NFC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 정보가 차량에 제공되고, 스마트폰의 차량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시되는 단계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차량에 제공된 스마트폰 정보가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차량의 문을 개방하거나, 스마트폰을 통한 인증을 통해 차량의 문을 개방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시동을 거는지 판단하되, 사용자 설정에 따라 햅틱 스위치를 누르는 순간 차량 시동 동작이 수행되거나, 스마트폰을 통한 인증을 통해 차량의 시동을 거는 단계 및 사용자가 차량의 내부 기기를 제어하는지 판단하되, 사용자 설정에 따라 내부기기 제어를 위한 인증 절차를 거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폰을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에 접속시키는 단계전에 차량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폰과 차량에 각기 서로를 등록하는 단계는 스마트폰을 차량의 NFC 및 충전 안테나부에 접촉시켜 차량 정보가 스마트 폰에 제공되고, 스마트폰의 정보가 차량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과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보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차량 메인 제어부에 전송하는 도어락 제어 장치와,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 및 도어락 제어 장치의 인증 및 통신 결과에 따라 차량 도어락을 제어하고,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 장치를 차량에 근접하고, NFC 통신을 통해 스마트 단말기 장치의 어플을 구동하는 단계와, 어플 활성화를 위해 지문 인증을 실시하는 단계와, 지문 인증 성공시 차량 도어 제어를 위한 화면을 이용하여 도어 제어를 위한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차량 도어락 제어 장치는 전송된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정 성공시 명령 정보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명령 신호는 명령 정보, NFC 태그 ID 정보, 스마트 단말기 장치의 MAC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플 활성화를 위해 지문 인증을 실시하는 단계 전에, 시간 또는 위치 기반 인증을 실시하여 기 저장된 시간 또는 위치인 경우, 지문 인증 실시를 생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 키의 기능을 스마트폰으로 수행함으로 인해 별도의 키를 소지하지 않아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통신 보안을 강화하고, 차량 제어부와 분리함으로 인해 해킹 발생시 차량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폰더를 대신하는 스마트폰의 방전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 장치의 블록 개념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제어 장치의 블록 개념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블록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차량제어시스템의 도어락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블록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 배터리부의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블록도.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어플 관리부의 블록도.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블록도.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NFC 및 충전 안테나부의 블록도.
도 16은 메인 제어부의 블록도.
도 17은 햅틱 스위치부의 블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의 구성부들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 장치의 블록 개념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제어 장치의 블록 개념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블록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은 각기 서로 다른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과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보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와, 차량의 도어락 영역에 장착되어 서로 다른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제어와 도어락 제어를 수행하는 도어락 제어 장치(200)와,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는 차량에 부착된 NFC 태그부(210)와 통신을 수행하는 NFC 통신부(110)와, 차량 시동을 위한 어플을 수행하는 어플 제어부(120)와, NFC 통신 결과를 이용하여 어플 제어부(120)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 1 인증부(130)와, 어플 제어부(120)를 활성화하기 위한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제 2 인증부(140)와, 활성화된 어플을 통해 차량 도어락 제어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도어 제어 모듈(150)과, 도어 제어 모듈(150)에 의해 생성된 신호 정보와 NFC 태그 ID 정보와 스마트 단말기의 MAC 정보가 포함된 도어락 제어 신호를 차량에 전송하는 단말 보안 통신부(160)를 포함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플 제어부(120)를 활성화하기 위한 위치 기반 인증을 수행하는 제 3 인증부(170)와, 초기 차량 등록 및 NFC 태그 입력을 위한 초기 제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FC 통신을 통해 초기 저장된 차량인지 여부를 판결하는 차량 판별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는 배터리에 의해 구동하고, 이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단말 무선 충전부(101)를 포함한다. 또한, 비밀 번호 인증을 수행하는 제 4 인증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NFC 통신부(110)는 NFC 안테나 또는 리더 그리고, 태그 기능을 갖는다. NFC 통신부(110)는 NFC 통신을 통해 차량에 부착된 NFC 태그 정보를 읽어 오게 된다. 이때, NFC통신부(110)는 차량 정보를 읽어 오고, NFC 태그 ID 정보을 읽어 오게 된다.
이와 같은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인증부(130)는 인증을 수행한다.
초기 제어부(180)에 의해 설정된 차량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인 경우 어플 제어부(120)를 통해 어플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안강화를 위해 NFC 통신부(110)에 의해 확인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인증부(130)를 통해 1차 인증을 실시한다. 그 다음 2차 인증을 위해 제 2 인증부(140)를 구동할 수 도 있다.
물론, 제 1 인증부(130)에 의해 어플 제어부(120)가 초기 구동하여 제 2 인증부(140)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제 2 인증부(140)는 지문 인증을 수행하고, 지문 인증이 완료된 경우 어플 제어부(120)를 활성화하게 하여 차량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지문 인증은 초기 제어부(180)에 의해 등록된 지문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거쳐 인증을 수행한다. 지문 인식은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에 설치된 지문 인식 모듈에 의해 인식한다.
또한, 제 2 인증부(140)는 지문 인증 이외에 8자리 이상의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비밀 번호 또한 초기 제어부(180)에 의해 입력된 비밀 번호인 것이 효과적이다.
제 2 인증부(140)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는 어플 제어부(120)가 완전하게 활성화되어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의 화면에 차량 도어락 제어를 위한 화면을 갖는 도어 제어 모듈(150)이 로딩된다.
도어 제어 모듈(150)은 화면에 차량 도어락 제어를 위한 오픈/클로우즈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 오픈 버튼을 누를 경우에는 차량 도어 오픈을 위한 오픈 신호가, 클로우즈 버튼을 누를 경우 차량 도어 클로우즈를 위한 클로우즈 신호가 생성된다.
또한, 도어 제어 모듈(150)은 제 2 인증부(140)의 인증이 성공하면 자동으로 차량 도어 오픈을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업이 바로 차량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단말 보안 통신부(160)는 NFC 통신부(110)와는 다른 통신 방식을 통해 차량 내의 도어락 제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안이 강화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그비, IrDA, 와이파이 통신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 보안 통신부(160)는 NFC 통신이 수행된 차량과 페어링이 된다.
도어 제어 모듈(150)에 의해 생성된 도어 오픈 신호를 기 설정된 보안 코드에 따라 포맷된 데이터에 실어 도어락 제어 신호로 차량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전송되는 도어락 제어 신호는 도어 오픈 신호와 NFC 태그 정보 및 스마트 단말기의 MAC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해더 정보와 CRC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과적으로는 약 4 바이트의 해더 정보와 1 바이트의 패킷 길이 정보와, 1 바이트의 명령 정보와 약 4 바이트의 태그 ID 정보와 4 바이트의 MAC 코드 정보와 1 바이트의 비트와이즈 코드 정보와 1 바이트의 CRC 정보 그리고, 맨앞과 뒤에 각기 1 바이트의 패킷 정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블루투스 모듈로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메시지 길이가 18 바이트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초과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분리되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명령 정보는 문 열림, 문 닫힘 및 성공, 실폐 및 초기 등록인 것이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는 제 3 인증부(170)를 두어 제 1 인증부(130) 또는 제 2 인증부(140) 중 하나의 인증부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물론 두 인증부 모두의 동작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제 3 인증부(170)는 위치 기반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 제어부(180)에 의해 등록된 위치인 경우에는 제 2 인증부(140)를 생략하거나, 제 1 및 제 2 인증부(130, 140)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에 따라 인증부의 동작이 달라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의 위치가 집 또는 회사일 경우에는 별도의 지문 인증 수행없이 어플을 구동시켜 차량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또는 제 3 인증부(170)는 시간 기반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출퇴근 시간에 차량 도어 오픈을 위한 제 1 또는 제 2 인증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새벽 3시에 어플이 구동되면 도난을 우려하여 강한 인증을 거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간 기반 및 위치 기반에 따른 인증을 설정하는 것을 통해 인증의 난이도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이를 초기 설정을 통해 자동 조정도 가능하다.
난이도 자동 조절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의 어플 구동이 쉽게 되거나 어렵게 될 수 있고, 통신 또한 어렵거나 쉬울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로는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및 노트북 등 이동과 휴대가 가능한 다양한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와 통신을 통해 도어락 제어 장치(200)는 차량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어락 영역으로 도어락의 솔레노이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입력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락 제어 장치(200)는 차량 정보가 저장된 NFC 태그부(210)와,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 도어 개폐를 위한 도어락 제어 신호를 제공받는 차량 보안 통신부(220)와, 차량 보안 통신부(220)의 신호에 따라 차량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개폐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NFC 태그부(210)는 차량 운전석 문 내측 영역에 위치하고, 차량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차량 보안 통신부(220)는 단말 보안 통신부(160)와 같이 NFC 통신과는 다른 통신 방식을 통해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안이 강화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그비, IrDA, 와이파이 통신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차량 보안 통신부(220)는 18바이트의 데이터 패킷 정보를 제공 받는다. 이 정보 내에는 도어 오픈 신호와 NFC 태그 정보 및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의 MAC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해더 정보와 CRC 정보를 포함한다.
도어 개폐 제어부(230)는 차량 보안 통신부(220)가 페어링을 통해 수신한 도어락 제어 신호를 확인한다. 이때, 데이터 패킷 정보 내의 정보의 일치 여부와 암호화 코드의 일치 여부등을 확인한다. 확인 결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수신된 정보에 일치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 명령을 송출한다. 하지만, 수신된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알람 또는 경고를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 개폐 제어부(230)는 전체 장치의 설정 제어도 가능하다.
도어 개폐 제어부(230)는 차량의 도어 자동 개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도어 개폐를 제어한다. 즉, 스위칭 회로를 구비하여 차량 도어의 오픈과 글로우징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도어가 오픈된다면, 도어 개폐 제어부(230)는 이에 해당하는 전원을 인가한다. 또는, 순간적인 그라운드가 도어를 오픈하는 경우 도어 개폐 제어부(230)는 스위칭을 통해 차량의 도어 자동 개폐부에 순간적으로 그라운드가 인가되도록 하여 도어의 오픈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차량에 따라 이외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예에서는 어플의 실행과 어플을 통한 차량 제어를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의 모션 즉, 움직임에 따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에 부착된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차량과 통신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를 흔들 경우 어플이 수행되거나,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를 뒤집을 경우 차량 도어를 오픈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에 부착된 다양한 센서의 동작을 기반으로 동작 기반에 따른 어플 및 도어 오픈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어락 제어 장치(200)는 전원부를 구비한다.
전원부는 차량의 전원을 입력받아 이를 각부에 전달한다.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기 때문에 차량의 배터리 전압 변동에 대비하여 3.3 내지 24V까지 넓은 범위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리니어 방식의 LDO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각부는 대기시에도 전류 소모를 하기 때문에 전원부가 전원 패스용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여 외부 인터럽트 신호가 들어올때만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전원 패스용 FET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무선 충전 장치(300)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에 대한 무선충전을 하는 무선 충전부(310)와, 차량의 전원을 무선 충전 장치(300)에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320)와,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무선 충전부(310)는 충전 안테나를 구비하여 차량 유리 밖에 있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를 충전합니다. 이를 위해 전류 센싱 회로 및 FOD설정 회로를 조절하여 충전 안테나간의 거리가 8mm 이상(7 내지 9mm)에서도 충전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충전 안테나 즉, 무선 충전 코일은 차량의 유리창이 곡선임을 감안하여 플렉서블한 자성체 시트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충전 장치(300)가 차량의 전면 유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차량의 측면 유리 영역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의 유리 면에 무선 충전부(310)의 안테나가 패터닝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물론, 안테나가 시트 타입으로 제작되어 접착 시트로 유리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 충전부(310)의 위치는 차량 전면 유리 중 운전석 전면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의 아래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의 배치에 유리하다.
전원 공급부(320)는 동작 제어부(3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무선 충전부(310)에 제공한다.
동작 제어부(330)는 터치 센서에 의해 구동하고, 외부 터치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전원 공급부(320)가 동작하도록 하낟.
이를 통해 터치 센서의 신호가 들어오기 전까지 대기 모드를 유지할 수 있어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동작 제어부(330)는 무선 충전 장치(300)가 일정 시간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차량 외부에 위치한 스마트 단말기가 방전된 경우, 어플을 실시할 수 있을 정도의 충전만이 수행되도록 하여 과도한 차량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정 시간으로는 3 내지 30분 범위 인 것이 효과적이다.
동작 제어부(330)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와 NFC 통신이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상기 일정 시간 동안만 충전이 되도록 하여, 타 사용자에 의한 무분별한 충전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등록된 사용자만이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일정시간으로는 3 내지 5분 범위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무선 충전 장치(300)는 다양한 차량의 지원을 위해 전원 공급부는 3 내지 40V 범위의 전압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후술되는 설명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설명의 기술은 앞의 실시예에 적용이 가능하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은 각기 서로 다른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과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보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와, 서로 다른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차량 메인 제어부(400)에 전송하는 도어락 제어 장치(200)와,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300)와, 도어락 제어 장치(200)의 인증 및 통신 결과에 따라 차량 도어락을 제어하고, 무선 충전 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메인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도어락 제어 장치(200)의 도어 개폐 제어부(230)는 차량 메인 제어부(400)에 의해 동작한다. 즉, 차량 보안 통신부(220)는 제공받은 정보를 인증하고, 승인된 정보의 경우, 그 신호(정보)의 명령을 차량 메인 제어부(400)에 전달하여, 차량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한다.
물론, 본 변형예에서는 차량 제어를 위한 다양한 확장이 가능하다. 즉, 도어락 제어 뿐만 아니라 차량 메인 제어부(400)가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차량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300)의 동작 제어부(330)가 차량 메인 제어부(400)에 위치하게 되고, 차량 메인 제어부(400)에 의해 터치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무선 충전부(310)와 전원 공급부(320)를 동작하게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다른 변형예로, 도어락 제어 장치와 무선 충전 장치가 일체화 제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NFC 태그부가 차량 앞 유리 영역에 위치하게될 수 도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 도어락 제어 장치의 무선 충전부의 안테나와 도어락 제어장치의 NFC 태그부가 동일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후술되는 설명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설명의 기술은 앞의 실시예에 적용이 가능하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차량제어시스템의 도어락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은 블루투스 채널에 대한 해킹에 대비하기 위한 보안 장치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시스템의 도어락 제어 장치(200)의 해킹 방지부(24)는 차량 보안 통신부(220)을 통해 블루투스 채널에 대한 해킹 시도가 발행하는 경우 차량의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강제로 폐쇄한다. 즉, 차량 보안 통신부(220)를 비 활성화 시킨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암호화된 차량 보안 통신부의 암호가 일정 횟수 틀렸을 경우에는 통신 채널을 강제로 폐쇄하여 더 이상의 해킹이 발생하지 못하도록 하여 보안을 강화한다. 이때, 상기 횟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1 내지 10회 미만인 것이 효과적이다.
이 경우, 정상적인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를 통해 통신을 하려고 하더라도 블루투스 통신 자체가 막혀 있으므로 인해 통신이 불가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 채널로 인증을 받을 수 없어 차량을 이용할 수 없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어락 제어 장치가 해킹 방지부(240)를 두어 차단된 블루투스 통신 즉, 차량 보안 통신부(220)를 활성화할 수 있다.
해킹 방지부(240)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로 부터 고유 신호를 제공 받아 인정된 신호값일 경우에만 차단된 차량 보안 통신부(220)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해킹 방지부(240)로 진동 센서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의 진동 주기가 기 저장된 진동 주기에 해당하는 값일 경우에 차량 보안 통신부(220)를 활성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는 진동 발생 장치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가 진동 편심 모터를 구비하거나, 전자석 방식의 진동 술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전에 진동 발생장치의 진동 주기를 도어락 제어 장치(200)에 입력한다. 그리고, 해킹 방지부(240)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의 진동 주기 패턴을 모스 부호와 같은 신호로 인식하여 불루투스 채널을 복원한다.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의 진동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하여 진동 센서는 차량 도어 인접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 내부 대쉬 보드 영역에 위치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는 해킹 방지부(240)가 차량 표면의 진동을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락 제어 장치가 차량의 도어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에 차량 도어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다. 물론, 차량의 외부 미세 진동을 대쉬 보드 쪽에서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대쉬 보드 영역에 위치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해킹 방지부(240)로 광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의 광원(즉, 카메라 플래쉬 등)을 통해 기 저장된 광원 패턴에 해당하는 값일 경우에 차량 보안 통신부(22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해킹 방지부(240)에 사전에 광원 패턴을 입력한다. 그리고, 외부 해킹 시도에 의해 차량 보안 통신부가 비활성화 된 경우에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의 어플을 통해 플래쉬의 깜빡임(즉, 광원 패턴)을 해킹 방지부(240)에 제공하여 블루투스 채널을 복원할 수 있다.
이때, 광원으로는 스마트 단말 장치(100)의 플래쉬 또는 전면 광원을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위해 해킹 방지부(240)의 광센서(즉, 수광 센서)는 차량의 유리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의 광원 패턴과 진동 패턴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구조를 갖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도어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등록을 통해 스마트 단말기 장치에 차량 정보를 저장하고, 단말 보안 통신부 간의 페어링을 실시한다.
스마트 단말기 장치를 차량에 근접하면 NFC 통신이 수행되어 스마트 단말기 장치의 어플이 구동된다(S110).
이때, NFC 통신을 통해 차량 NFC 태그 ID를 제공 받고, 기 제공된 ID 정보가 맞는지 인증을 거치게 된다. 기 제공된 태그 ID인 경우에는 어플이 구동된다.
어플을 활성화를 위해 지문 인증을 수행한다(S120).
지문 인증이 성공하게 되면 차량 도어 제어를 위한 어플 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도어 오픈을 클릭하는 경우, 도어 오픈과 관련된 정보가 생성되고, 이 생성된 정보는 단말 보안 통신부를 통해 차량에 부착된 도어락 제어 장치에 전송된다(S130).
단말 보안 통신부는 명령 정보(도어 오픈 신호), NFC 정보, 스마트 단말기의 MAC 정보등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어락 제어 장치는 제공받은 정보를 차량 보안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다.
수신된 정보가 기 저장된 스마트 단말기 장치로부터 제공된 정보인지 확인하는 인증 절차를 거친다. 인증에 성공한 경우, 명령 정보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140). 즉, 차량 도어를 오픈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만일, 사용자가 위치기반 인증 또는 시간 인증을 설정한 경우, NFC 통신에 의한 인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지문 인증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 장치가 방전된 경우에는 차량의 앞유리에 위치한 무선 충전 장치를 터치한다. 이후, 무선 충전 장치 상측에 스마트 단말기 장치를 배치하여 무선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메인 제어부에 의해 도어 제어가 수행되는 경우, 도어락 제어 장치는 제공받은 정보를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 명령 정보를 차량 메인 제어부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앞선 변형예와 같이, 도어락 제어 장치(200)의 세팅시에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의 진동 주기를 설정한다.
이후, 외부 침입에 따라 블루투스 채널이 폐쇄 즉, 차량 보안 통신부(220)가 비 활성화 되는 경우, 스마트 단말 장치(100)를 통해 기 저장된 진동 주기를 해킹 방지부(240) 동작시키고, 이를 통해 차량 보안 통신부(22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진동 주기는 모스 부호화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해킹 방지부(240)와의 통신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 충전 장치를 변형하여 차량 방전에 대비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차량 배터리 충전을 위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후술되는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설명의 기술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후술되는 설명의 기술은 앞의 실시예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 배터리부의 블록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은 차량 내부 배터리(500)로 차량 외부 장치를 충전하거나, 외부 전원으로부터 차량 내부 배터리(500)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400)와, 차량 내부에 위치하여 차량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무선 충전 장치(4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공받는 차량 내부 배터리부(500)와, 차량 내부 배터리부(500)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을 시동시키는 차량 구동부(600)를 포함한다.
무선 충전 장치(300)는 무선 충전을 위한 안테나(340)를 구비한다. 차량 내부 배터리부(500)의 전원을 외부 충전 기기에 제공하거나, 외부 기기의 전원을 방전된 차량의 내부 배터리부(600)에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무선 충전 장치(300)는 무선 충전 수신단(350)과, 무선 충전 송신단(36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이 하나의 안테나(340)를 이용하여 송신과 수신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송신과 수신을 수행하는 안테나를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배터리 충전을 위해서는 단시간에 많은 전원을 인가 받아야 하므로, 복수의 안테나가 어레이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무선 충전 장치(300)는 앞서 설명에서 동작 제어부(330)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도 동작 제어부(330)의 신호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300)가 동작하여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무선 충전 장치(300)는 차량용 배터리부(520)의 높은 전압을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에 맞는 전압으로 변경하는 변압부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 및 수신하는 부분으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부분과 낮은 직류 전압을 차량 시동을 위한 높은 전압으로 승압하는 승압부분 즉, 변압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내부 배터리부(500)는 무선 충전 장치(300)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 받아 충전하는 보조 배터리부(510)와, 차량 내부 각 장치에 전원을 제공하고 무선 충전 장치(300)에 전원을 제공하여 외부 장치를 충전하는 차량용 배터리부(520)와, 무선 충전 장치(300)와 보조 배터리(510) 및 차량용 배터리부(520) 사이에 위치하여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릴레이부(530)를 포함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 내부 배터리부(500)는 보조 배터리(510)와 차량용 배터리부(520)의 상태를 각기 체크하는 보조 상태 체크부(540)와 메인 상태 체크부(5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차량 내부 배터리부(500)의 상태에 따라 릴레이부를(530) 제어하여 차량 외부의 스마트 단말 장치(100)를 충전하거나, 차량 내부 배터리부(500) 즉, 보조 배터리(510)를 충전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장치(300)에 방전된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가 위치하여 충전을 진행하는 경우, 차량용 배터리부(520)의 상태를 메인 상태 체크부(550)에서 체크를 한다. 차량용 배터리부(520)의 상태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이면, 차량용 배터리부(520)의 전원을 무선 충전장치의 무선 충전부에 제공하여 방전된 스마트 단말기 장치(100)를 충진한다.
만일, 차량용 배터리부(520)의 상태의 체크 결과 방전 즉,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무선 충전 장치(300)를 수신 모드로 변경되어 외부의 전원으로 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보조 배터리부(510)에 충전을 진행한다. 보조 배터리부(510)가 충전되면, 차량 구동부(60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시동이 걸리게 되고, 차량 내의 충전 장치를 통해 차량용 배터리부(520)가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상태 체크부(540)는 보조 배터리부(510)의 상태를 체크하고, 보조 배터리부(510)의 상태가 차량의 시동을 걸기에 적합한 상태(스타트 모터 구동 상태)가 되면 이를 알려주어 차량 시동을 걸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배터리부(510)와 차량 구동부(600) 사이에는 별도의 스위치가 위치하여 보조 상태 체크부(540)의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보조 배터리(510)가 차량 구동부(60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 장치로 스마트 폰을 사용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후술되는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에 관하여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의 기술 중 앞서 설명한 기술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기술 내용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어플 관리부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NFC 및 충전 안테나부의 블록도이고, 도 16은 메인 제어부의 블록도이고, 도 17은 햅틱 스위치부의 블록도이다.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은 무선 충전 기능을 갖고, 차량 제어를 위한 어플을 통해 차량(12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1200)을 제어하는 스마트폰(1100)과, 무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1100)을 충전하고, 스마트폰(1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차량(1200)을 구비한다.
스마트폰(1100)은 NFC 통신과 충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폰 NFC 및 충전 안테나부(1110)와, NFC 통신을 통해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어플 관리부(1120)와, 사용자의 명령 신호 및 외부 제어 신호에 따라 스마트 폰(1100)의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폰 제어부(1130)와, 사용자의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입력부(1140)와,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폰 통신부(1150)와, 스마트폰(1100)에 전원을 인가하는 폰 전원부(1160)를 포함한다.
폰 NFC 및 충전 안테나부(1110)는 NFC의 송신과 수신을 진행하고, 전력을 수신하는 안테나를 구비한다. 이를 통해 차량과 NFC를 통해 통신을 실시할 수 있고, 차량에 제어 신호 및 사용자 식별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차량으로부터 사용자 식별 신호와 같은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의 수신 안테나로 동작함으로 인해 차량에서 제공된 무선 전력원에 따라 스마트폰을 무선 충전할 수 있다.
NFC를 통해 차량과 통신을 진행하는 경우, 차량 어플 관리부(1120)의 차량 어플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어플 관리부(1120)는 차량 제어를 위해 스마트폰(1100)에 인스톨된 차량 어플을 관리한다. 차량 어플은 차량과의 NFC 통신을 제어하는 NFC 제어 모듈(1121)과, 등록된 차량의 확인과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차량 및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 모듈(1122)과, 안테나부를 통한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무선 충전 모듈(1123)과, 초기 차량 등록 및 사용자 등록을 수행하는 차량 등록 모듈(1124)과, 차량의 도어 오픈, 시동 및 내부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동작 제어 모듈(1125)과, 차량(1200) 내의 전자기기와의 추가적인 통신을 중계하는 데이터 중계 모듈(1126)을 포함한다.
차량 어플 관리부(1120)에 의해 차량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모드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즉, 일반 모드, 보안 모드 및 강화 모드를 통해 차량의 제어와 이에 따른 보안 등급을 차등하여 둘 수 있다. 일반 모드의 경우, 일반적인 차량 제어로 차량 내부의 제어 시스템으로 차량을 제어하고, 보안 모드의 경우, 스마트폰(1100)과의 NFC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1100)이 인증된 경우 차량(1100)을 제어하고, 강화 모드는 어플 관리부(1120)를 통해 사용자 인증 이후에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폰 제어부(1130)는 터치 입력부(11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 신호를 각부에 전달하거나, 이를 통해 각부를 제어하고, 외부 제어 신호에 따라 스마트 폰(1100)의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터치 입력부(1140)는 차량 어플 관리부(1120)가 실행될 경우, 사용자로 부터 직접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때 명령은 폰 제어부(1130)를 통해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터치 입력부로 부터 직접 명령이 차량 어플 관리부에 전달될 수도 있다.
폰 통신부(1150)는 스마트폰(1100)의 인터넷 통신 및 전화망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NFC 이외의 통신 방법을 통해 차량과의 통신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폰 전원부(1160)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폰 NFC 및 충전 안테나부(1110)로 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저장한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스마트폰과의 통신을 통해 내부가 제어되는 차량에 관하여 설명한다.
차량(1200)은 NFC 통신 및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1210)와, 외부 신호에 따라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1210)를 포함한 각부를 활성화시키는 차량 기동부(1220)와, NFC 통신을 통해 제공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1230)와, 메인 제어부(1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차량 시동을 거는 햅틱 스위치부(1240)와, 스마트폰(1100)을 거치하여 충전하는 무선 크래들(1250)과, 메인 제어부(1230) 및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1210)의 경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경보부(1260)와, 메인 제어부와 차량 내부 전기기기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부(1270)를 포함한다.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1210)는 차량(1200)의 앞유리에 부착되는 몸체부(1211)와, NFC 통신을 수행하는 NFC 드라이버(1212)와, 무선 충전을 실시하는 무선 충전부(1213)와, 무선 충전부에 충전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 전력원(1214)을 구비한다.
NFC 드라이버(1212)와 무선 충전부(1213)는 단일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NFC 드라이버(1212)와 무선 충전부(1213)가 단일 구성으로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고, 신호 처리를 분리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일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NFC 드라이버(1212)와 무선 충전부(1213)는 동일 구동 회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기 분리된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분리된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NFC 안테나의 하측에 무선 충전 안테나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차량의 외부에 스마트폰(1100)에 대한 무선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1210)는 차량 기동부(1220)에 의해 기동한다. 그리고, 무선 충전부(1213)는 초기 1 내지 5분간 충전을 진행하고, 이후 NFC 통신을 통한 인증 이후에 지속 충전이 가능한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1100)이 완전 방전된 경우에는 차량 외부에서 스마트폰(1100)의 동작이 가능할 정도(전원이 켜질 정도)의 충전을 진행하고, 스마트폰(1100)의 전원이 켜진 이후에는 NFC통신을 통해 인증된 스마트폰(1100)에 대하여서만 무선 충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인증 받지 아니한 스마트폰(1100)이 외부에서 장시간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의 배터리의 과도한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몸체부(1211)는 차량 전면 유리에 부착될 수 있는 접착면을 갖고, NFC 드라이버(1212)와 무선 충전부(1213)가 실장되는 몸체를 갖는다.
차량 기동부(1220)는 차량이 정차되고, 잠긴상태에 활성화된다. 이때, 차량 기동부 이외의 주요 기능은 최소 전력으로 기동된다. 이후, 사용자가 차량을 사용하기 위해 액션을 수행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차량의 모든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킨다.
차량 기동부(1220)는 사용자에 의한 차량 기동 입력을 감지하는 기동 감지부(1221)와, 감지 결과에 따라 차량 기동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기동 신호 생성부(1222)를 포함한다.
기동 감지부(1221)로는 차량 내부의 음성 신호를 감지하는 음향 감지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차량을 노크하는 경우, 그 노크 소리를 감지하여 차량의 기동을 위한 기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음향 감지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음향 감지 센서는 차량의 운전석 근처에 위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기동 신호 생성부(1222)는 음향 감지 센서의 결과를 분석하여 차량 기동을 위한 패턴이 입력된 경우에만 기동 신호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노크 소리가 연속하여 3 내지 10회일 경우에 기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 의도하지 않는 상태에서 차량 내부의 장치들이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설명에서는 연속되는 노크 소리를 감지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노크 패턴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때, 증폭부와 필터부를 두어 신호의 노이즈를 최소화하고, 별도의 비교기를 두어 입력된 신호와 기 저장된 신호간의 차이를 감지하여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전에 사용자가 노트 소리와 같은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동작 여부의 결정은 입력 신호와 저장된 신호간의 차이가 70 내지 100%로 일치하는 경우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기동 신호 생성부(1222)로 압력 감지 센서/ 진동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압력 감지 센서/진동 센서는 차량의 유리창면에 부착되고, 사용자가 차량의 유리면을 두드릴 경우 동작한다. 이때, 기동 신호 생성부(1222)는 압력 감지 센서도 입력되는 압력의 패턴을 센싱하여 기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이와 같은 센서를 차량의 문 손잡이에 부착하여 센싱할 수도 있다.
기동 신호 생성부(1222)는 생성된 기동 신호를 통해 차량의 메인 제어부(1230)를 활성화시키고,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1210)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전까지는 메인 제어부(1230)는 최소 전력으로 최소한의 기구 및 장치에 대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차량 미사용시에는 전략을 절감하여 차량의 배터리를 보호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230)는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1210)의 신호에 따라 NFC 및 충전을 제어하는 무선 제어부(1231)와, 스마트폰(1100)과 통신에 따라 제공된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 내부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1232)와, 스마트폰(1100)의 인증을 실시하는 인증 제어부(1233)를 구비한다.
무선 제어부(1231)는 NFC 통신을 통해 차량(1200)과 스마트폰(1100)간의 통신을 수행하고, 다른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1200)과 스마트폰(1100)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제어부(1231)는 NFC 데이터를 485 버스를 이용하여 장치 제어부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NFC 인식 거리가 20cm 내외이기 때문에 초기 차량 문을 개방(잠금 해지)하기 위해서는 NFC 통신을 수행하고, 이후에는 차량 내부와 무선 통신(RF,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을 통해 스마트폰(1100)과의 통신을 진행한다. 이 경우, 스마트폰(1100)은 어플 관리부(1120)의 데이터 중계 모듈(1126)과 폰 통신부(1150)를 통해 차량과 통신을 진행하여 상호간의 정보와 신호를 제공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NFC 통신은 13.56MHz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제어부(1231)는 등록 차량의 차량 번호와, 스마트폰의 전화번호 및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 번호를 조합한 암호화 루틴을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 제어부(1232)는 무선 제어부(1231)를 통해 제공된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도어를 오픈하거나, 무선 충전을 실시하거나, 차량의 시동 승인을 하거나, 기타 차량 내부의 전기 장치(음향 장치 포함)의 동작을 제어한다. 장치 제어부(1232)는 스마트폰(1100)과의 통신이 끊기게 되면 자동으로 차량의 문을 잠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증 제어부(1233)는 무선 제어부(1231)를 통해 제공된 신호가 인증된 스마트폰(1100)을 통해 제공되는 것인지 확인한다. 확인 결과 사전 등록/인증된 스마트폰이 아닌 경우에는 메인 제어부(1230)의 동작을 비 활성화시키고, 경보부를 통해 경고 알람을 울리도록 한다. 즉, 3 내지 5회 이상 인증 및 기 등록 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증 제어부(1233)는 사용자의 인증 설정 조건(모드)에 따라 메인 제어부(1232)의 동작 조건을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일반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NFC 통신을 통해 제공된 스마트폰 정보와 저정된 스마트폰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메인 제어부를 활성화시켜 동작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보안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 정보와 사용자 정보 중 한가지를 입력 받아, 일치하는 경우에 활성화하고, 강화 모드는 스마트폰 정보와 비밀 번호와 같은 사용자 인증을 통과한 경우에만 메인 제어부를 활성화시켜 동작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NFC 통신을 통해 상기와 같은 정보들이 주고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는 메인 제어부(1230) 내의 별도 저장부에 저장된다.
햅틱 스위치부(1240)는 메인 제어부(1230)의 장치 제어부(1232)에 의해 활성화되는 햅틱 센서(1241)와, 햅틱 구동을 알려주는 진동 모터(1242)와, 동작 수행 단계를 표시하는 LED부(1243)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차량의 시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LED부(423)를 통해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진송 신호를 내장하고 있어 사용자가 시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무선 크래들(1250)은 차량의 데시보드에 장착되고, 스마트폰(1100)이 안치되는 크래들 몸체부(1251)와, 몸체부(1251) 내측에 위치하는 무선 충전 안테나(1252)를 구비한다.
무선 충전 안테나(1252)는 앞서 설명한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121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차량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 단계로, 스마트폰에 차량 제어를 위한 NFC 통신을 통해 차량과 연결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차량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이어서, 스마트폰에 제어를 위한 차량을 등록한다(S1100).
스마트폰의 NFC 태그를 차량의 NFC 및 충전 안테나부에 접촉시킨다. 이를 통해 차량 정보(차량명, 제조 일자 등)가 스마트 폰에 제공되고, 스마트 폰의 정보(전화 번호 등)가 차량에 제공된다. 스마트폰의 화면에 입력받은 차량 정보가 표시되고, 추가 정보 입력을 요구한다. 이때, 추가되는 정보는 차량 번호 및 사용자가 지정한 차량 고유 번호가 포함된다. 이어서, 차량에 제공하여 저장할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차량에 제공되는 정보는 사용자 정보 및 추가적인 스마트폰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차량 제어를 위한 인증 및 비밀번호를 제공받는다. 이때, 설정에 따라 하나의 인증 또는 비밀 번호를 제공받아 차량 각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차량의 동작마다 각기 다른 인증 및 비밀번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량 도어오픈과 시동 및 기타 장치 구동 각각을 구별하여 인증 및 비밀번호를 제공 받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인증은 패턴, 이미지를 사용하고, 비밀 번호는 숫자나 글자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입력된 비밀번호는 차량에도 전달되어 차량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만일 다른 스마트폰으로 차량의 제어를 할 경우, 인증 및 비밀번호만을 알더라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차량 등록이 완료된 이후에 제어 모드를 선택한다. 일반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NFC 통신을 통해 제공된 스마트폰 정보가 지정된 스마트폰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차량 제어 권한을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에 이양하는 동작 모드이다. 보안 모드는 스마트폰 정보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인증된 이후에야 차량 제어 권한을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 이양된다. 그리고, 강화 모드는 스마트폰 정보와 인증 또는 비밀번호로 인증이 완료된 이후에도 차량의 제어 권한이 각 단계마다 순차적으로 스마트폰에 이양된다. 즉, 초기 도어 오픈을 한 이후에 시동을 위해서는 다른 인증을 거쳐야 하고, 차량 내부의 기기를 스마트 폰으로 조작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인증을 거쳐야한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마트폰의 방전 여부를 확인하고, 방전된 경우에는 차량 전면 유리에 위치한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에 스마트폰을 위치시켜 충전을 진행한다. 만일, 스마트폰이 방전되지 않고, 동작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에 접촉시킨다.
여기서, 스마트폰의 충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구동이 가능할 정도의 짧은 시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충전은 무선 충전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어서, NFC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의 정보가 차량에 제공되고, 스마트폰의 차량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다.
이때, NFC 접촉 전에 차량의 활성화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200).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소한의 전력을 제외한 모든 전력을 차단한다. 이때, 차량에 활성화를 위한 동작을 사용자가 수행하게 되면 차량은 이를 인식하고, 차량 내의 기기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는 앞서 서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유리창을 일정 패턴으로 노크하고, 이를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함으로 인해 차량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차량의 문 손잡이를 접촉하여 활성화할 수도 있고, 진동 또는 압력을 가하여 차량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활성화된 이후에 NFC 접촉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300).
이어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차량에 제공된 스마트폰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문이 개방되거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비밀번호 또는 인증 절차가 진행되고, 비밀번호 및 인증 입력이 성공한 경우에 차량의 문이 개방된다(S1400). 또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기존 스마트키 이미지가 표시되고, 이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가 차량 문의 개방을 할 수 있다. 이때, 인증이 3~5회 성공하지 못할 경우에는 경보가 발생한다.
이어서, 차량 문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차량과 스마트폰이 지속적으로 통신을 실시하여 차량 내에 스마트폰이 위치하는지 아닌지를 파악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햅틱 스위치를 통해 차량 시동을 거는 경우, 사용자 설정에 따라 햅틱 스위치를 누르는 순간 차량 시동 동작이 수행되거나,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어 인증을 진행하고, 인증이 성공하게 되면 차량 시동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S1500, S1600).
이어서, 차량의 내부 기기 제어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자유롭게 제어하거나,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고 인증을 진행하여 성공하는 경우에만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그 상태에 따라 경계 모드, 대기 모드 및 주행 모드로 분리될 수 있다.
경계 모드에서는 차량의 잠금 상태에서 외부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기능만이 활성화된다. 물론, 차량 도난 방지를 위한 기능도 활성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계모드는 외부 통신부에서 노크가 감지되면 차량을 활성화 하여 무선 충전과 NFC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된 스마트폰이 맞을 경우, 도어를 개방하고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물론, 5회 이상 입력이 다를 경우에는 경보를 발생한다. 그리고, 경계 모드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강제 개방으로 경보를 발생한다.
대기 모드는 차량 도어가 개방되고, 전원이 공급된 상태이다.
대기모드에서는 햅틱의 전원 공급과 함께 무선 크래들의 동작이 개시된다. 크래들에 스마트폰이 거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햅틱의 동작이 중지되고,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경우에는 햅틱 스위치가 구동할 수 있다. 이어서, 햅택을 통해 시동을 걸게 되면 주행 모드로 진입한다. 물론, 사용자 체크를 통해 사용자가 아닐 경우에는 햅틱을 오프할 수 있다.
주행 모드는 차량의 엔진이 시동된 상태이다.
햅틱을 통한 시동이 되면 브레이크를 밟고있는지와 기어가 정상 상태인지를 확인한 이후에 엔진 시동을 걸게된다. 이어서, 주행모드 중에는 NFC 통신을 오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과 차량 사이의 데이터는 등록 차량 상태 모니터, 스마트폰 데이터 수신 및 중계와 차량 위치 등을 최근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고, 스마트폰 등록 및 인증, 차량 정보 등록 및 인증과 기타 차량 운행과 관련된 유지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정보들이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5)

  1.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과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보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
    차량의 도어락 영역에 장착되어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제어와 도어락 제어를 수행하는 도어락 제어 장치; 및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 장치는 차량에 부착된 NFC 태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NFC 통신부와, 차량 시동을 위한 어플을 수행하는 어플 제어부와, NFC 통신 결과를 이용하여 어플 제어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 1 인증부와, 어플 제어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제 2 인증부와, 활성화된 어플을 통해 차량 도어락 제어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도어 제어 모듈과, 도어 제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신호 정보와 NFC 태그 ID 정보와 스마트 단말기의 MAC 정보가 포함된 도어락 제어 신호를 차량에 전송하는 단말 보안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 제어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위치 기반 인증을 수행하는 제 3 인증부와, 초기 차량 등록 및 NFC 태그 입력을 위한 초기 제어부와, NFC 통신을 통해 초기 저장된 차량인지 여부를 판결하는 차량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보안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되,
    명령 정보, NFC 태그 ID 정보, 스마트 단말기 장치의 MAC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 제어부는 위치 또는 시간 기반에 따라 제 1 및 제 2 인증부의 구동을 생략하는 난이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제어 장치는 차량 정보가 저장된 NFC 태그부와, 스마트 단말기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 도어 개폐를 위한 도어락 제어 신호를 제공받는 차량 보안 통신부와, 차량 보안 통신부의 신호에 따라 차량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 영역으로 도어락의 솔레노이드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입력단일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제어부는 차량 보안 통신부가 페어링을 통해 수신한 도어락 제어 신호를 확인하되, 정보의 일치여부와 암호화 코드의 일치 여부등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제어부는 차량의 도어 자동 개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제어 장치는 차량 보안 통신부에 대한 해킹 시도가 있는 경우 차량 보안 통신부를 비활성화하고, 스마트 단말 장치의 인증 신호 입력시 차량 보안 통신부를 활성화하는 해킹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해킹 방지부는 진동 센서를 포함하고, 스마트 단말 장치의 진동 패턴과 기 저장된 진동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차량 보안 통신부를 활성화하거나,
    해킹 방지부가 광 센서를 포함하고, 스마트 단말 장치의 광 패턴과 기 저장된 광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차량 보안 통신부를 활성화하거나,
    해킹 방지부가 진동 센서 및 광 센서를 포함하고, 스마트 단말 장치의 진동 패턴 및 광 패턴과 기 저장된 진동 패턴 및 광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차량 보안 통신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차량 내부에 위치하여 차량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무선 송수신 충전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공받는 차량 내부 배터리부와, 차량 내부 배터리부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을 시동시키는 차량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차량 내부 배터리로 차량 외부 장치를 충전하거나, 외부 전원으로부터 차량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충전을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고, 무선 충전 수신단과, 무선 충전 송신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차량용 배터리부의 높은 전압을 스마트 단말기 장치에 맞는 전압으로 변경하는 변압부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 및 수신하는 부분과,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부분과 직류 전압을 차량 시동을 위한 전압으로 변압하는 변압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 배터리부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 받아 충전하는 보조 배터리부와, 차량 내부 각 장치에 전원을 제공하고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전원을 제공하여 외부 장치를 충전하는 차량용 배터리부와, 무선 충전 장치와 보조 배터리 및 차량용 배터리부 사이에 위치하여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15.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과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보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
    차량 내부에 위치하여 차량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무선 송수신 충전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공받는 차량 내부 배터리부;
    상기 차량 내부 배터리부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을 시동시키는 차량 구동부;
    차량 내부 배터리로 스마트 단말기 장치를 충전하거나, 외부 전원으로부터 차량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 배터리부는 무선 충전 수신 장치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 받아 충전하는 보조 배터리부와, 차량 내부 각 장치에 전원을 제공하고 무선 충전 송신 장치에 전원을 제공하여 외부 장치를 충전하는 차량용 배터리부와, 무선 충전 장치와 보조 배터리 및 차량용 배터리부 사이에 위치하여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 장치는 차량에 부착된 NFC 태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NFC 통신부와, 차량 시동을 위한 어플을 수행하는 어플 제어부와, NFC 통신 결과를 이용하여 어플 제어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 1 인증부와, 어플 제어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제 2 인증부와, 활성화된 어플을 통해 차량 도어락 제어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도어 제어 모듈과, 도어 제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신호 정보와 NFC 태그 ID 정보와 스마트 단말기의 MAC 정보가 포함된 도어락 제어 신호를 차량에 전송하는 단말 보안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차량의 도어락 영역에 장착되어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제어와 도어락 제어를 수행하는 도어락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 제어 장치는 차량 정보가 저장된 NFC 태그부와, 스마트 단말기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 도어 개폐를 위한 도어락 제어 신호를 제공받는 차량 보안 통신부와, 차량 보안 통신부의 신호에 따라 차량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19. NFC 통신과 충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폰 NFC 및 충전 안테나부와,
    NFC 통신을 통해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어플 관리부와,
    사용자의 명령 신호 및 외부 제어 신호에 따라 스마트 폰의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폰 제어부와,
    사용자의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입력부와,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폰 통신부와,
    스마트폰에 전원을 인가하는 폰 전원부를 통해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스마트폰; 및
    차량은 NFC 통신 및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와,
    외부 신호에 따라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를 포함한 각부를 활성화시키는 차량 기동부와,
    NFC 통신을 통해 제공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와,
    메인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차량 시동을 거는 햅틱 스위치부와,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충전하는 무선 크래들과,
    메인 제어부 및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의 경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경보부와,
    메인 제어부와 차량 내부 전기기기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을 충전하고, 스마트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폰 NFC 및 충전 안테나부는 NFC의 송신과 수신을 진행하고, 전력을 수신하는 안테나를 구비하거나, NFC 송신과 수신을 수행하는 안테나와 전력을 수신하는 안테나로 분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어플 관리부는 차량과의 NFC 통신을 제어하는 NFC 제어 모듈과, 등록된 차량의 확인과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차량 및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 모듈과, 안테나부를 통한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무선 충전 모듈과, 초기 차량 등록 및 사용자 등록을 수행하는 차량 등록 모듈과, 차량의 도어 오픈, 시동 및 내부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동작 제어 모듈과, 차량 내의 전자기기와의 추가적인 통신을 중계하는 데이터 중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기동부는 사용자에 의한 차량 기동 입력을 감지하는 기동 감지부와, 감지 결과에 따라 차량 기동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기동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되, 기동 감지부로 음성 신호를 감지하는 음향 감지 센서, 압력 및 진동 감지 센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의 신호에 따라 NFC 및 충전을 제어하는 무선 제어부와, 스마트폰과 통신에 따라 제공된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 내부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와, 스마트폰의 인증을 실시하는 인증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스위치부는 메인 제어부의 장치 제어부에 의해 활성화되는 햅틱 센서와, 햅틱 구동을 알려주는 진동 모터와, 동작 수행 단계를 표시하는 LED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25. 차량 제어를 위한 스마트 단말기 장치; 및
    스마트 단말기 장치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차량 유리를 통과하여 스마트 단말기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 장치에 대한 무선충전을 하는 무선 충전부와, 차량의 전원을 무선 충전 장치에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와,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부는 차량 전면 유리에 위치하는 충전 안테나를 구비하고, 충전 안테나는 플렉서블 자성체 시트를 이용하여 제작되거나, 시트 타입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28. 제26항에 있어서,
    동작 제어부는 NFC 통신이 인증된 스마트 단말기 장치에 대하여 충전이 수행되도록 하고, 방전에 의해 인증이 불가한 스마트 단말기 장치는 3 내지 30분 범위 내에서만 충전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29. 스마트 폰과 차량에 각기 서로를 등록하는 단계;
    스마트폰의 방전 여부를 확인하여 방전된 경우에는 차량 전면 유리에 위치한 NFC 및 충전 안테나부에 스마트폰을 위치시켜 충전을 수행하고, 방전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에 접속시키는 단계;
    NFC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 정보가 차량에 제공되고, 스마트폰의 차량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시되는 단계;
    사용자 설정에 따라 차량에 제공된 스마트폰 정보가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차량의 문을 개방하거나, 스마트폰을 통한 인증을 통해 차량의 문을 개방하는 단계;
    사용자가 시동을 거는지 판단하되, 사용자 설정에 따라 햅틱 스위치를 누르는 순간 차량 시동 동작이 수행되거나, 스마트폰을 통한 인증을 통해 차량의 시동을 거는 단계; 및
    사용자가 차량의 내부 기기를 제어하는지 판단하되, 사용자 설정에 따라 내부기기 제어를 위한 인증 절차를 거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을 차량 NFC 및 충전 안테나부에 접속시키는 단계전에 차량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과 차량에 각기 서로를 등록하는 단계는
    스마트폰을 차량의 NFC 및 충전 안테나부에 접촉시켜 차량 정보가 스마트 폰에 제공되고, 스마트폰의 정보가 차량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32.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과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보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차량 메인 제어부에 전송하는 도어락 제어 장치;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 스마트 단말기 장치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 및
    도어락 제어 장치의 인증 및 통신 결과에 따라 차량 도어락을 제어하고,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33. 스마트 단말기 장치를 차량에 근접하고, NFC 통신을 통해 스마트 단말기 장치의 어플을 구동하는 단계;
    어플 활성화를 위해 지문 인증을 실시하는 단계;
    지문 인증 성공시 차량 도어 제어를 위한 화면을 이용하여 도어 제어를 위한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차량 도어락 제어 장치는 전송된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정 성공시 명령 정보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신호는 명령 정보, NFC 태그 ID 정보, 스마트 단말기 장치의 MAC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 활성화를 위해 지문 인증을 실시하는 단계 전에,
    시간 또는 위치 기반 인증을 실시하여 기 저장된 시간 또는 위치인 경우, 지문 인증 실시를 생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PCT/KR2017/003801 2017-04-07 2017-04-07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818651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059 2017-04-07
KR1020170045059 2017-04-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6512A1 true WO2018186512A1 (ko) 2018-10-11

Family

ID=63712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3801 WO2018186512A1 (ko) 2017-04-07 2017-04-07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18651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4697A (zh) * 2017-06-06 2018-12-14 福特全球技术公司 车辆解锁系统设备和方法
DE102019102027A1 (de) * 2019-01-28 2020-07-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 mit einer Energiequelle für Dritte
EP3876208A1 (en) * 2020-03-06 2021-09-08 Carrier Corporation Wireless charging locking device
WO2022048456A1 (zh) * 2020-09-04 2022-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车辆的方法和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403A (ko) * 2009-10-19 2011-04-27 김현민 전기자동차용 무선충전 시스템 및 그충전방법
KR20130142317A (ko) * 2012-06-19 2013-12-30 (주) 코콤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열림 장치
JP2014080165A (ja) * 2012-10-18 2014-05-08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車載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システム
KR101625786B1 (ko) * 2015-01-28 2016-05-30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단말기 및 지문인식을 이용한 도난방지시스템
KR101667990B1 (ko) * 2015-06-10 2016-10-21 (주) 세노텍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403A (ko) * 2009-10-19 2011-04-27 김현민 전기자동차용 무선충전 시스템 및 그충전방법
KR20130142317A (ko) * 2012-06-19 2013-12-30 (주) 코콤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열림 장치
JP2014080165A (ja) * 2012-10-18 2014-05-08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車載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システム
KR101625786B1 (ko) * 2015-01-28 2016-05-30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단말기 및 지문인식을 이용한 도난방지시스템
KR101667990B1 (ko) * 2015-06-10 2016-10-21 (주) 세노텍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4697A (zh) * 2017-06-06 2018-12-14 福特全球技术公司 车辆解锁系统设备和方法
GB2564554A (en) * 2017-06-06 2019-01-16 Ford Global Tech Llc Vehicle unlock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10312721B2 (en) 2017-06-06 2019-06-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unlock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DE102019102027A1 (de) * 2019-01-28 2020-07-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 mit einer Energiequelle für Dritte
EP3876208A1 (en) * 2020-03-06 2021-09-08 Carrier Corporation Wireless charging locking device
US11942804B2 (en) 2020-03-06 2024-03-26 Carrier Corporation Wireless charging locking device
WO2022048456A1 (zh) * 2020-09-04 2022-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车辆的方法和电子设备
CN114222270A (zh) * 2020-09-04 2022-03-22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车辆的方法和电子设备
EP4199555A4 (en) * 2020-09-04 2024-01-17 Huawei Tech Co Ltd VEHICL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86512A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7039046A1 (ko)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26001A1 (ko)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의 릴레이 어택 방지 방법
WO2012111873A1 (ko)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WO2018043906A1 (ko) 주차 방지 장치,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주차 방지 시스템
WO2015142002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functions of smart key
WO2010114210A1 (ko) Nfc 칩 모듈과 외부 rf 리더기를 통한 휴대폰 단말기의 벨소리와 카메라와 통신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5009120A1 (ko) 휴대폰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 보안 가방
WO2013157709A1 (ko) 스마트키 시스템의 릴레이 어택 방지 방법
WO2015053537A1 (ko)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
WO2011021750A1 (ko) Nfc 컨트롤러를 통한 원샷 call과 원샷 sms와 원샷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갖는 휴대폰 단말기 자동전송 장치 및 방법
WO2020067785A1 (ko) 사물의 위치 및 방향을 기반으로 기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6047887A1 (ko) 이동단말기의 운용 체제 전환장치 및 방법, 차량 및 그 차량의 운용 체제 전송장치 및 방법
WO201808867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0054942A1 (ko)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18098886A1 (zh) 一种开启车门的方法、移动终端、车载终端及系统
WO2022045562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a door opening/closing device disposed to the door, and a method therefor
WO2015111794A1 (en) Smart key an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15034249A1 (ko) Nfc 태그를 이용한 리모콘의 오토페어링 장치 및 방법
WO2015152614A1 (en) Method of reconnecting master device and slave device
WO2015106503A1 (zh) 用于停车场控制系统的嵌入式主板及停车场控制系统
WO2018190637A1 (ko)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WO2016006831A1 (ko) 홍채 인식을 이용한 도어록과 그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및 사용자 인증 방법
WO2021020843A1 (ko) 공유 차량 인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9194428A1 (ko) 외부 전자 장치의 키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9046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046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