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99398A1 -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99398A1
WO2015199398A1 PCT/KR2015/006321 KR2015006321W WO2015199398A1 WO 2015199398 A1 WO2015199398 A1 WO 2015199398A1 KR 2015006321 W KR2015006321 W KR 2015006321W WO 2015199398 A1 WO2015199398 A1 WO 20151993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everage extraction
receptor
beverage
fixing
extraction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632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윤우
Original Assignee
김윤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우 filed Critical 김윤우
Publication of WO20151993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993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extracting cartridge and a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 beverage extracting cartridge which can easily extract a beverage from an extract raw material, a beverage can be extracted using the beverage extracting cartridge, the beverage is stored and It relates to a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that can be used for drinking.
  • Various kinds of beverages such as coffee, black tea, green tea, etc., which are widely consumed at present, are manufactured by processing coffee beans or tea leaves to extract active ingredients by hot or cold water.
  • this type of beverage is required to go through several steps to ensure that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concentration suitable for drinking from the raw material in the hot or cold water, it takes a lot of effort and time until the beverage is completed.
  • the above-mentioned beverages are mostly distributed in a processed state so that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extracted simply by adding hot water or cold water to the extracted raw materials.
  • the coffee can be easily extracted by using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that can inject water vapor into the capsule containing the extraction material as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15531.
  • black tea and green tea have been used, such as allowing the active ingredient to leach by putting a tea bag containing an extract raw material into a container and then adding hot or cold water.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Offic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15531 (Name of the invention: capsule beverage extracting unit and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that can be easily extracted beverage.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extracted by using a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can also be used for storage and drinking of beverages.
  •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discharge port is protru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in the receiving body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and the inlet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 an extraction material and a filter installed at the discharge port to prevent the extraction material from flowing out of the receiving body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a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having a sealing membrane formed to close the inlet is provided.
  • the fastening portion may be formed around the outlet.
  • the cap may further include a cap that closes the outlet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art, wherein the cap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and the filter covers the through hole and may be disposed at an end of the outlet and an inner surface of the cap. have.
  • the female screw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 the above-described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body in a shape that divides the receiving space in the discharge direction and the inlet direction, the extraction so that the extraction raw material is disposed in the discharge port direction of the divided receiving spaces; It may further comprise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raw material.
  • a beverage extracting a beverage using a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comprising an accommodation space
  • the outlet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connection body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the extraction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body Extraction apparatus
  • the outer receiving space is formed inside
  • the upper side is ope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or truncated cone-shaped outer receptor protruding toward the outer receiving space toward the outer receiving space
  • the inner receiv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upper side is open
  • a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using a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may include a stop rib and a cover formed to cover an open upper side of the inner receptor, and a coupling part protruding in one direction to be fastened to an upper end of the inner receptor.
  • the inner receptor is formed such th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receptor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receptor when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fixing portion is fastened, the cover is the fixing portion when the inner receptor and the outer receptor is separated
  • the stop rib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uter receiving space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outer receptor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open upper side of the outer receptor is seated, one side of the cover is the discharge port facing the insertion hole
  • the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connecting portion.
  • the inner receptor may have a gap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receptor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receptor when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fixing portion are fastened.
  • the portion except the edge portion of the cover may have a flat plate shape or a hemisphere or truncated cone shape protruding in the other direction.
  • a seat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receptor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top rib.
  • the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simply combines a container containing hot or cold water so that the hot or cold water passes through the extraction raw material to discharge the beverage from which the active ingredient is extracted, and is easily discarded after the beverage is extracted.
  • the components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using the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so that it can be disassembled and reassembled according to the use of storage, drinking, collection of water and extract beverages in the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etc.
  •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 FIG. 1 is a side view of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using a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 FIG. 4 is an exploded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 inner receiving space 132 inner receiving space
  •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210 receiving body
  • accommodation space 220 outlet
  • fastening portion 222 thread
  • Figure 1 is a side view of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using a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100 using a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includes an outer receptor 110, the inner receptor 130 and the cover 150.
  • FIG. 2 show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1
  • FIG. 3 shows an exploded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1.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 the outer receptor 110 is a container in which an outer accommodating space 111 is formed therein and the upper side is opened, and its outer shape has a cylindrical or truncated cone shape.
  • a fixing protrusion 113 protrudes upwar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112 of the outer receptor 110 toward the outer accommodation space 111.
  • the inner accommodating body 130 is a container in which an inner accommodating space 131 is formed and the upper side is opened, and its outer shape has a cylindrical or truncated conical shape.
  • a fixing part 134 is formed below the inner receptor 130, and the fixing part 134 is formed to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fixing protrusion 113, and the inner receiving space 131 is fixed to the fixing part 134.
  • the outlet 133 is formed to penetrate the outside of the inner receptor 130.
  • the fixing unit 134 In order for the fixing part 134 and the fixing protrusion 113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the fixing unit 134 should be able to contact the fixing protrusion 113. Therefore, as shown, the inner receptor 13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outer receiving space 111 in the outer receptor 100.
  •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receptor 13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er receptor 110, even if the shape of the inner receptor 130 of the outer receptor 110 is formed differently, the inner receptor ( 130 is formed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outer receptor 110.
  • the detachable coupling of the fixing part 134 and the fixing protrusion 113 is a thread 136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art 134 and a female screw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113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114 may be formed correspondingly such that the thread 136 is fastened to the female thread 114.
  • the inner receptor 13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receptor 110.
  • a grip portion 137 having a width that is easy to grip by hand and to apply rotational forc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receptor 130.
  • the curved portion 132 has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receptor 130 is sharply increased toward the upper direction, which is the outer receptor 110 when the fixing protrusion 113 and the fixing portion 134 are fastened.
  • the gripping portion 137 protruding to the upper side has a continuous outline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receptor 110 to enhance the aesthetic effect.
  • the gap 132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receptor 1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receptor 130 as shown in FIG. 2, foreign substances, etc., from the outside flow into the outer accommodation space 111. It may be formed so as not to contact the upper end of the outer receptor (110).
  • a female screw 138 may be form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inner receptor 130, that i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137.
  • the female screw 138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cover 150.
  • the cover 150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inner receptor 130 and is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receptor 130.
  • the thread 153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above-described female screw 138,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152 is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receptor 130, they can be detachably fastened to each other.
  • the stop rib 151 protrudes from the edge portion of the cover 150 in the radial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ce extends.
  • the stop rib 151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inner receptor 130 when the cover 15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receptor 130 as shown. In addition, the stop rib 151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outer receptor 110, which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 the portion excluding the edge of the cover 150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hemispherical direction in the other direction, that i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part 152 protrudes, as shown.
  • portions except for the edge of the cover 150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various shapes such as a truncated cone toward the other direction, or may have a flat shape and have a shape that does not protrude in the other direction. have.
  •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open upper side of the outer receptor 110.
  • the insertion hole 154 is formed through the middle portion of the cover 150.
  • the female thread 155 may be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154, and the female thread 155 may be coupled to the thread 222 formed at the outlet (220 of FIG. 4) of the capsule (200 of FIG. 4) to be described below. It can be formed to be. However, the female screw 155 may not be formed as necessary. This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4 below.
  • the fixing protrusion 113 and the fixing portion 134 are fastened so that the inner receptor 130 is outside.
  • the receptor 110 When inserted into the receptor 110 may be used as a container for storing or drinking a beverage in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131.
  • the cover 150 may be fastened to the inner accommodating body 130, and the beverage may be stored, and the inner accommodating body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54 by inserting a straw (not shown).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drink the beverage contained in 130).
  • the tip portion 135 of the fixing portion 134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12.
  • the sealing member is coupled to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112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portion 135, and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131 through the fastened fixing protrusion 113 and the fixing portion 134 is outside. It may be prevented from leak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11.
  • a high or low temperature of the contents may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due to a decrease in heat transfer due to an interval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receptor 1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receptor 130.
  • th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100 using the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as described above may also be utilized for extracting a beverage,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FIG. 4 is an exploded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 the outer receptor 110, the inner receptor 130, and the cover 150 are separated.
  •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ver 150 are inverted and seated so that the open upper side of the outer receptor 110 is covered. That is, the top surface of the cover 150 is inverted to face the outer receptor 110, and then the cover 150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receptor 110.
  • the stop rib 151 is formed to b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outer receptor 110, and even though the other side of the cover 150 has a shape that protrudes in a hemispherical shape as shown, the outer receptor ( Since the cover 15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110, the cover 150 is stably seated on the outer receptor 110.
  • the cover 150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op rib 151, that is, the portion of the stop rib 151 that contacts the upper end of the outer receptor 110 in order to be seated more stably on the outer receptor 110.
  • a recessed groove of an embedded shape may be formed.
  • the cover 150 is formed to have a flat plate shape by the seating groove (not shown), it may be stably seated on the outer receptor 110.
  • the cover 150 inverted vertically is arranged to have a concave shape from the upward direction to the downward direction. do.
  • the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200 is seated in the cover 150.
  • the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200 has an accommodation space (not shown) is formed therein, the discharge port 220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receiving body 210 formed with a connection portion having an inlet 230 on the other side. And, although not shown, the extraction raw material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e receiving body 210.
  • the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20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the other side of the cover 150 is seated so that the outlet 220 formed on one side of the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200 toward the insertion hole (154).
  • the fastening portion 22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let 220 is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female screw 155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154, so that the cover 150 and the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200 can be separated. It can also be combined.
  • the shape of the other middle portion of the cover 15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200, even if the female screw 155 is not formed as described above One side portion formed with the outlet 220 of the cartridge 200 may be stably seated on the cover 150.
  • the inner receptor 130 On the other side of the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200 seated on the cover 150, the inner receptor 130 is seated. At this time, the fixing portion 134 having the outlet 133 is coupled into the inlet 230, or the thread 136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134 has a female screw (not shown) formed in the inlet 230. It can also be tightened.
  • the liquid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230 through the outlet 133 to extract the raw material in the receiving body 210. Will pass through. Accordingly,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extract raw material is extracted by the liquid, the liquid containing the active ingredient is passed through the outlet 220 and the insertion hole 154 collected in the outer receiving space 111 in the outer receptor 110 do.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00 using the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recombined with the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200 interposed may also be used for extracting a beverage.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 the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200 includes a receiving body 210, a filter 260 and the extraction raw material 270.
  • the accommodating body 210 has an accommodating space 211 formed therein, and the extracting material 27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211.
  • the outlet 220 is protrud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body 210, the connection portion 231 is protruded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211 on the other side.
  • An inlet 230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231, and a sealing film 240 for closing the inlet 230 is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ion part 231.
  • a female screw 233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230.
  • the female screw 233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ead 136 formed on the fixing part 134 of the inner receptor 13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which is a thread 136 in the female screw 233. ) Is fastened so that the sealing film 240 is ruptured by the front end portion 135 of the fixing part 134 so that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131 and the accommodating space 211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filter 260 is to prevent the extraction raw material 270 from flowing out of the receiving body 210 through the outlet 220, it may be installed in the outlet 220 as shown.
  • the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200 may further include a cap 290.
  • a fastening part 221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220, and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receiving body 210 or discharging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receiving body 210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220.
  • the cap 290 may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outlet 220 using the fastening part 221.
  •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cap 290, and the filter 260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through hole and be interposed between an end of the outlet 220 and an inner surface of the cap 290. have.
  • a protective film or the like covering the through hole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290 by an adhesive or the like.
  • the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20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ans 250.
  •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beverage as the extraction raw material 270 flows in the receiving space (211) Can vary.
  • the fixing means 250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body 210 in a shape of dividing the accommodating space 211 into the outlet 220 direction and the inlet direction 230, and among the divided accommodating spaces 211. By extracting the raw material 270 to be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220, the extraction raw material 270 can be fixed by the fixing means 250.
  •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200 can be easily disposed of after the beverage is produced, convenience in beverage production can be increased.
  •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100 using the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described above the convenience of beverage production can be further increa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for storage and drinking of the manufactured beverage.
  • the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200 includes a receiving body 210, a filter 260 and the extraction raw material 270.
  • the accommodating body 210 has an accommodating space 211 formed therein, and the extracting material 27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211.
  • the outlet 220 is protrud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body 210, the connection portion 231 is protruded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211 on the other side.
  • An inlet 230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231, and a sealing film 240 for closing the inlet 230 is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ion part 231.
  • a female screw 233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230.
  • the female screw 233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ead 136 formed on the fixing part 134 of the inner receptor 13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which is a thread 136 in the female screw 233. ) Is fastened so that the sealing film 240 is ruptured by the front end portion 135 of the fixing part 134 so that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131 and the accommodating space 211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filter 260 is to prevent the extraction raw material 270 from flowing out of the receiving body 210 through the outlet 220, it may be installed in the outlet 220 as shown.
  • the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200 may further include a cap 290.
  • a fastening part 221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220, and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receiving body 210 or discharging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receiving body 210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220.
  • the cap 290 may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outlet 220 using the fastening part 221.
  •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cap 290, and the filter 260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through hole and be interposed between an end of the outlet 220 and an inner surface of the cap 290. have.
  • a protective film or the like covering the through hole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290 by an adhesive or the like.
  • the beverage extraction cartridge 20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ans 250.
  •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beverage as the extraction raw material 270 flows in the receiving space (211) Can vary.
  • the fixing means 250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body 210 in a shape of dividing the accommodating space 211 into the outlet 220 direction and the inlet direction 230, and among the divided accommodating spaces 211. By extracting the raw material 270 to be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220, the extraction raw material 270 can be fixed by the fixing means 2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에는 연결부가 수용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연결부 내에는 인입구가 형성된 형성된 수용본체와,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추출원료와, 배출구에 설치되어 추출원료가 배출구를 통하여 수용본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연결부의 단부에는 인입구를 폐쇄하는 밀폐막이 형성된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07.07.2015]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본 발명은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추출원료로부터 음료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음료추출 카트리지와, 상기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고, 음료를 보관 및 음용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음료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음용되고 있는 음료 중 커피, 홍차, 녹차 등 다양한 종류의 음료는 커피원두나 찻잎을 가공하여 온수 또는 냉수에 의해 유효성분이 추출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음료는 원재료로부터 음용하기에 적당한 농도의 유효성분이 온수 또는 냉수에 포함되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 단계의 가공을 거쳐야 하므로, 음료가 완성되기까지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술한 종류의 음료는 대부분 추출원료에 온수 또는 냉수를 가하기만 하면 유효성분이 추출될 수 있도록 가공된 상태로 유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커피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21553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추출원료가 수용된 캡슐 내에 수증기를 압입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커피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는, 홍차 및 녹차는 추출원료를 수용시킨 티백(tea bag)을 용기에 넣은 후 온수 또는 냉수를 가하는 방법 등으로 유효성분이 침출되도록 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즉, 현재 추출원료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음용하는 음료는, 음료 제조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다양한 도구 및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 및 개발도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215531호(발명의 명칭: 캡슐 음료추출 유니트 및 그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료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음료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고, 음료의 보관 및 음용에도 사용될 수 있는 음료추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에는 연결부가 상기 수용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내에는 인입구가 형성된 수용본체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추출원료와,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추출원료가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수용본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는 상기 인입구를 폐쇄하는 밀폐막이 형성된 음료추출 카트리지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 둘레에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며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캡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통공을 커버하며 상기 배출구의 단부 및 상기 캡의 내측면에 개재될 수 있다.
상술한 음료추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인입구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음료추출 카트리지는,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배출구 방향 및 상기 인입구 방향으로 분할하는 형상으로 상기 수용본체 내에 설치되고 분할된 상기 수용공간 중 상기 배출구 방향의 것에 상기 추출원료가 배치되도록 상기 추출원료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연결부가 형성된 수용본체 및 상기 수용본체 내에 수용된 추출원료를 포함하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추출 장치로서, 내부에 외측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내측 저면에 상기 외측수용공간을 향하여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의 외측수용체와, 내부에 내측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하측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유출구가 관통 형성된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의 내측수용체와, 중간 부분에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며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외측수용체의 상단부 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멈춤리브 및 상기 내측수용체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며 상기 내측수용체의 상단부에 체결되도록 일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가 각각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수용체는 상기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부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내측수용체의 상단부가 상기 외측수용체의 상단부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내측수용체 및 상기 외측수용체가 분리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가 상기 외측수용공간의 반대 방향을 향하며 상기 멈춤리브가 상기 외측수용체의 상단부에 안착되어 상기 외측수용체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며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일측은 상기 배출구가 상기 삽입공을 향하도록 상기 음료추출 카트리지의 일측이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수용체는 상기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부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내측수용체의 외주면 및 상기 외측수용체의 내주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평판 형상이거나 타방향으로 돌출된 반구 또는 원뿔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멈춤리브의 타면에는 상기 외측수용체의 상단부에 상응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추출 카트리지가 온수 또는 냉수가 수용된 용기를 단순히 결합시키는 것으로 온수 또는 냉수가 추출원료를 통과하여 유효성분이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도록 하고, 음료 추출 후에는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음료 추출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의 구성요소가 음료의 보관이나 음용, 음료추출 카트리지에 급수 및 추출음료의 수집 등의 용도에 따라 분해 및 재조립 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부호의 설명>
100: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110: 외측수용체 111: 외측수용공간
112: 저면 113: 고정돌기
114: 암나사 130: 내측수용체
131: 내측수용공간 132: 만곡부
133: 유출구 134: 고정부
135: 선단부 136: 나사산
137: 파지부 138: 암나사
150: 커버 151: 멈춤리브
152: 결합부 153: 나사산
154: 삽입공 155: 암나사
200: 음료추출 카트리지 210: 수용본체
211: 수용공간 220: 배출구
221: 체결부 222: 나사산
230: 인입구 231: 연결부
233: 암나사 240: 밀폐막
250: 고정수단 260: 필터
270: 추출원료 290: 캡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100)에는 외측수용체(110), 내측수용체(130) 및 커버(150)가 포함된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외측수용체(110)는 내부에 외측수용공간(111)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용기로, 그 외형은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외측수용체(110)의 내측 저면(112)에는 외측수용공간(111)을 향하여 상측으로 고정돌기(113)가 돌출 형성된다.
내측수용체(130)는 내부에 내측수용공간(131)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용기로, 그 외형은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내측수용체(130)의 하측에는 고정부(134)가 형성되는데, 고정부(134)는 고정돌기(113)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형성되며, 고정부(134)에는 내측수용공간(131) 및 내측수용체(130)의 외부가 상통될 수 있도록 유출구(133)가 관통 형성된다.
고정부(134) 및 고정돌기(113)가 서로 체결되기 위해서는 고정부(134)가 고정돌기(113)와 접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수용체(130)는 외측수용체(100) 내의 외측수용공간(111)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내측수용체(130)의 외경은 외측수용체(110)의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달리 외측수용체(110)의 내측수용체(130)의 형상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내측수용체(130)가 외측수용체(110) 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부(134) 및 고정돌기(113)의 분리 가능한 결합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3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36) 및 고정돌기(113)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14)를 상응하도록 형성하여, 나사산(136)이 암나사(114)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내측수용체(130)는, 고정돌기(113) 및 고정부(134)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체결되었을 경우, 그 상단부가 외측수용체(110)의 상단부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고정돌기(113) 및 고정부(134)가 서로 체결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수용체(110) 및 내측수용체(130)를 서로 분리하고자 할 경우, 양 손으로 외측수용체(110) 및 내측수용체(130)를 각각 파지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내측수용체(130)의 상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파지하고 회전력을 가하기 용이할 정도의 폭을 갖는 파지부(137)가 형성될 수 있다.
만곡부(132)는 내측수용체(130)의 외주면의 직경이 상방향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증가되는 형상을 갖는데, 이는 고정돌기(113) 및 고정부(134)가 체결된 상태일 때 외측수용체(110)의 상측으로 돌출된 파지부(137)가 외측수용체(110)의 외주면과 연속적인 외곽선을 갖도록 하여 심미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만곡부(1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수용체(110)의 내주면과 내측수용체(130)의 외주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경우, 외부로부터 이물질 등이 외측수용공간(111)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외측수용체(110)의 상단부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측수용체(130)의 상단부 내측, 즉 파지부(137)의 내주면에는 암나사(138)가 형성될 수 있다. 암나사(138)에 대해서는 커버(150)와 함께 설명한다.
커버(150)는 내측수용체(130)의 상측을 커버하며 내측수용체(130)의 상단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커버(15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결합부(152)가 돌출 형성되고, 결합부(152)에는 나사산(153)이 형성된다. 나사산(153)은 상술한 암나사(138)와 상응하게 형성되어, 결합부(152)가 내측수용체(130)의 상측 내로 삽입되면서 이들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커버(15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반경방향, 즉 외주연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멈춤리브(151)가 돌출 형성된다.
멈춤리브(1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50)가 내측수용체(130)의 상측에 결합되었을 때 내측수용체(130)의 상단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멈춤리브(151)는 외측수용체(110)의 상단부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커버(15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타방향, 즉 결합부(152)가 돌출된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반구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15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은 타방향을 향하여 원뿔대 등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평판 형상을 가져서 타방향으로는 돌출되지 않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커버(15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이 타방향으로 반구형 또는 원뿔대 형상 등으로 돌출되었을 때, 이 돌출된 부분은 외측수용체(110)의 개방된 상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커버(150)의 중간 부분에는 삽입공(154)이 관통 형성된다. 삽입공(154)에는 암나사(155)가 형성될 수 있는데, 암나사(155)는 아래에서 설명할 캡슐(도 4의 200)의 배출구(도 4의 220)에 형성된 나사산(222)과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 암나사(155)는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10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113) 및 고정부(134)가 체결되어 내측수용체(130)가 외측수용체(110) 내에 삽입된 상태일 때 내측수용공간(131)에 음료를 보관하거나 음용하는 용기로 활용될 수 있다.
즉, 내측수용공간(131)에 음료를 수용시킨 후 커버(150)를 내측수용체(130) 상측에 체결시켜 음료를 보관할 수 있고, 체결공(154)에 도시되지 않은 빨대를 삽입하여 내측수용체(130)에 수용된 음료를 용이하게 음용할 수도 있다.
고정돌기(113) 및 고정부(134)가 체결되어 있을 때 고정부(134)의 선단부(135)는 저면(112)에 접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저면(112) 중 선단부(135)에 접하는 부분에는 밀폐부재가 결합되어, 체결된 고정돌기(113) 및 고정부(134)를 통하여 내측수용공간(131)에 수용된 음료가 외측수용공간(111)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외측수용체(110)의 내주면과 내측수용체(130)의 외주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면 내측수용공간(131)에 매우 높은 온도의 내용물이 수용되었을 때 내용물의 열이 외측수용체(110)의 외주면까지 전달되는 것이 상당량 차단되므로 외측수용체(11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수용공간(131)에 매우 낮은 온도의 내용물이 수용되었을 때에도 열전달이 상당량 차단되어 외측수용체(110)의 외주면에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외측수용체(110)를 파지할 때 불쾌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측수용체(110)의 내주면과 내측수용체(13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에 의한 열전달의 저하로 내용물의 높거나 낮은 온도가 장시간 유지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100)는 음료를 추출하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는데, 이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100)로 음료를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수용체(110), 내측수용체(130) 및 커버(150)를 각각 분리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수용체(110)의 개방된 상측이 커버되도록 커버(150)의 상하를 반전시켜 안착시킨다. 즉, 커버(150)의 상면이 외측수용체(110)를 향하도록 뒤집은 후 커버(150)를 외측수용체(110)의 상측에 안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멈춤리브(151)가 외측수용체(110)의 상단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커버(150)의 타측이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지라도 이 부분이 외측수용체(110)의 상측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커버(150)는 외측수용체(110)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150)가 외측수용체(110) 상에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멈춤리브(151)의 타면, 즉 멈춤리브(151) 중 외측수용체(110)의 상단부에 접하는 부분에는 함입된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안착홈(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커버(150)가 도시된 바와 달리 평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더라도 외측수용체(110)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외측수용체(110) 상에 안착된 커버(150)의 일측으로 돌출된 결합부(152)는 상방향을 향하게 되므로, 상하가 반전된 커버(150)는 상방향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배치된다.
커버(150) 내에는 음료추출 카트리지(200)가 안착된다.
여기서 음료추출 카트리지(200)는 내부에 수용공간(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220)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인입구(230)를 갖는 연결부가 형성된 수용본체(210)를 갖는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용본체(210) 내의 수용공간에는 추출원료가 수용된다. 이러한 음료추출 카트리지(2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커버(150)의 타측에는 음료추출 카트리지(200)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220)가 삽입공(154)을 향하도록 안착된다. 이때, 배출구(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부(221)는 삽입공(154)에 형성된 암나사(155)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커버(150) 및 음료추출 카트리지(2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150)의 타측 중간부분의 형상이 음료추출 카트리지(200)의 일측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암나사(155)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도 음료추출 카트리지(200)의 배출구(220)가 형성된 일측 부분이 커버(15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커버(150)에 안착된 음료추출 카트리지(200)의 타측에는 내측수용체(130)가 안착된다. 이때 유출구(133)가 형성된 고정부(134)가 인입구(230) 내로 삽입되면서 결합되거나, 고정부(13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36)이 인입구(230) 내에 형성된 암나사(도시되지 않음)와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후, 내측수용체(130)의 개방된 상측으로 온수나 냉수, 다른 음료, 주류 등의 액체를 가하면, 이 액체가 유출구(133)를 통하여 인입구(230) 내로 유입되어 수용본체(210) 내의 추출원료를 통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추출원료 내의 유효성분이 액체에 의해 추출되고, 액체에 유효성분이 포함되어 완성된 음료가 배출구(220) 및 삽입공(154)을 통과하여 외측수용체(110) 내의 외측수용공간(111)에 수집된다.
이와 같이 음료추출 카트리지(200)가 개재된 상태로 재조합된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100)는 음료를 추출하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 카트리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음료추출 카트리지(200)에는 수용본체(210), 필터(260) 및 추출원료(270)가 포함된다.
수용본체(210)는 내부에 수용공간(211)이 형성되고, 추출원료(270)는 수용공간(211) 내에 수용된다.
수용본체(210)의 일측에는 배출구(220)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에는 연결부(231)가 수용공간(21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연결부(231) 내에는 인입구(230)가 형성되며, 연결부(231)의 단부에는 인입구(230)를 폐쇄하는 밀폐막(240)이 형성된다.
한편, 인입구(23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233)가 형성될 수 있다. 암나사(233)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내측수용체(130)의 고정부(134)에 형성된 나사산(136)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암나사(233)에 나사산(136)이 체결됨에 따라 고정부(134)의 선단부(135)에 의해 밀폐막(240)이 파열되어 내측수용공간(131) 및 수용공간(211)이 상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필터(260)는 추출원료(270)가 배출구(220)를 통하여 수용본체(2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220)에 설치될 수 있다.
음료추출 카트리지(200)에는 캡(29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배출구(220)의 외주면에는 체결부(221)가 형성될 수 있는데, 배출구(220)를 통하여 이물질이 수용본체(210) 내로 유입되거나, 수용본체(210) 내에 수용된 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구(220)에는 체결부(221)를 이용하여 캡(290)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캡(290)의 중간 부분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술한 필터(260)는 이 통공을 커버하며 배출구(220)의 단부 및 캡(290)의 내측면에 개재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캡(290)의 외측면에는 통공을 커버하는 보호막 등이 접착제 등의 의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도 있다.
이는 음료추출 카트리지(200)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캡(290) 전체를 개방하는 것보다 도시되지 않은 보호막을 캡(290)으로부터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음료추출 카트리지(200)에는 고정수단(2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추출원료(270)가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없는 분말 또는 겔(gel) 상태와 같을 때에는 추출원료(270)가 수용공간(211) 내에서 유동됨에 따라 음료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이 변동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용공간(211)을 배출구(220) 방향 및 인입구 방향(230)으로 분할하는 형상으로 고정수단(250)을 수용본체(210) 내에 설치하고, 분할된 수용공간(211) 중 배출구(220) 방향의 것에 추출원료(270)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추출원료(270)가 고정수단(25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료추출 카트리지(200)는 음료를 제조한 후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으므로 음료 제조 상의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아울러, 앞에서 설명한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100)를 함께 이용할 경우에는 음료 제조 상의 편의성이 더욱 증가될 수 있는 동시에, 제조한 음료의 보관 및 음용에도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음료추출 카트리지(200)에는 수용본체(210), 필터(260) 및 추출원료(270)가 포함된다.
수용본체(210)는 내부에 수용공간(211)이 형성되고, 추출원료(270)는 수용공간(211) 내에 수용된다.
수용본체(210)의 일측에는 배출구(220)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에는 연결부(231)가 수용공간(21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연결부(231) 내에는 인입구(230)가 형성되며, 연결부(231)의 단부에는 인입구(230)를 폐쇄하는 밀폐막(240)이 형성된다.
한편, 인입구(23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233)가 형성될 수 있다. 암나사(233)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내측수용체(130)의 고정부(134)에 형성된 나사산(136)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암나사(233)에 나사산(136)이 체결됨에 따라 고정부(134)의 선단부(135)에 의해 밀폐막(240)이 파열되어 내측수용공간(131) 및 수용공간(211)이 상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필터(260)는 추출원료(270)가 배출구(220)를 통하여 수용본체(2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220)에 설치될 수 있다.
음료추출 카트리지(200)에는 캡(29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배출구(220)의 외주면에는 체결부(221)가 형성될 수 있는데, 배출구(220)를 통하여 이물질이 수용본체(210) 내로 유입되거나, 수용본체(210) 내에 수용된 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구(220)에는 체결부(221)를 이용하여 캡(290)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캡(290)의 중간 부분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술한 필터(260)는 이 통공을 커버하며 배출구(220)의 단부 및 캡(290)의 내측면에 개재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캡(290)의 외측면에는 통공을 커버하는 보호막 등이 접착제 등의 의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도 있다.
이는 음료추출 카트리지(200)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캡(290) 전체를 개방하는 것보다 도시되지 않은 보호막을 캡(290)으로부터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음료추출 카트리지(200)에는 고정수단(2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추출원료(270)가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없는 분말 또는 겔(gel) 상태와 같을 때에는 추출원료(270)가 수용공간(211) 내에서 유동됨에 따라 음료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이 변동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용공간(211)을 배출구(220) 방향 및 인입구 방향(230)으로 분할하는 형상으로 고정수단(250)을 수용본체(210) 내에 설치하고, 분할된 수용공간(211) 중 배출구(220) 방향의 것에 추출원료(270)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추출원료(270)가 고정수단(25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커피 및 카페 산업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에는 연결부가 상기 수용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내에는 인입구가 형성된 수용본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추출원료; 및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추출원료가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수용본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는 상기 인입구를 폐쇄하는 밀폐막이 형성된
    음료추출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둘레에는 체결부가 형성된 음료추출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며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음료추출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통공을 커버하며 상기 배출구의 단부 및 상기 캡의 내측면에 개재되는 음료추출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구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음료추출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배출구 방향 및 상기 인입구 방향으로 분할하는 형상으로 상기 수용본체 내에 설치되고, 분할된 상기 수용공간 중 상기 배출구 방향의 것에 상기 추출원료가 배치되도록 상기 추출원료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음료추출 카트리지.
  7.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연결부가 형성된 수용본체 및 상기 수용본체 내에 수용된 추출원료를 포함하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추출 장치로서,
    내부에 외측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내측 저면에 상기 외측수용공간을 향하여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의 외측수용체;
    내부에 내측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하측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유출구가 관통 형성된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의 내측수용체; 및
    중간 부분에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며,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외측수용체의 상단부 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멈춤리브 및 상기 내측수용체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며 상기 내측수용체의 상단부에 체결되도록 일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가 각각 형성된 커버;
    를 포함하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수용체는, 상기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부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내측수용체의 상단부가 상기 외측수용체의 상단부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내측수용체 및 상기 외측수용체가 분리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가 상기 외측수용공간의 반대 방향을 향하며 상기 멈춤리브가 상기 외측수용체의 상단부에 안착되어 상기 외측수용체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며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일측은 상기 배출구가 상기 삽입공을 향하도록 상기 음료추출 카트리지의 일측이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형성된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수용체는, 상기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부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내측수용체의 외주면 및 상기 외측수용체의 내주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평판 형상이거나 타방향으로 돌출된 반구 또는 원뿔대의 형상을 갖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리브의 타면에는 상기 외측수용체의 상단부에 상응하는 안착홈이 형성된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PCT/KR2015/006321 2014-06-26 2015-06-22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WO201519939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992A KR101648624B1 (ko) 2014-06-26 2014-06-26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KR10-2014-0078992 2014-06-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9398A1 true WO2015199398A1 (ko) 2015-12-30

Family

ID=5493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6321 WO2015199398A1 (ko) 2014-06-26 2015-06-22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8624B1 (ko)
WO (1) WO20151993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9915A (zh) * 2016-10-25 2018-05-01 富士电机株式会社 饮料供给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405U (ko) * 2016-08-01 2018-02-09 김윤우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KR20180014673A (ko) * 2016-08-01 2018-02-09 김윤우 음료추출 및 음료보관용 휴대용 컵 세트
CN112278585A (zh) * 2020-10-22 2021-01-29 南通大学 一种便于省力安装的桶装水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8799A (ja) * 2000-02-29 2001-09-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ヒーメーカ
KR20020028943A (ko) * 2002-02-15 2002-04-17 김휘주 원주형 밀봉 용기
JP2010124952A (ja) * 2008-11-26 2010-06-10 Kataoka & Co Ltd 電子レンジ用濾過器のカートリッジ
JP2011006088A (ja) * 2009-06-24 2011-01-13 Nobuaki Yanagisawa ペットボトル用抽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531B1 (ko) 2012-09-13 2012-12-26 이영식 캡슐 음료추출 유니트 및 그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8799A (ja) * 2000-02-29 2001-09-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ヒーメーカ
KR20020028943A (ko) * 2002-02-15 2002-04-17 김휘주 원주형 밀봉 용기
JP2010124952A (ja) * 2008-11-26 2010-06-10 Kataoka & Co Ltd 電子レンジ用濾過器のカートリッジ
JP2011006088A (ja) * 2009-06-24 2011-01-13 Nobuaki Yanagisawa ペットボトル用抽出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9915A (zh) * 2016-10-25 2018-05-01 富士电机株式会社 饮料供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130A (ko) 2016-01-06
KR101648624B1 (ko) 201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99398A1 (ko)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WO2010082727A2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WO2021187718A1 (ko) 이중 용기
WO2018084367A1 (ko) 내열용기마개
WO2015034165A1 (ko) 화장품 이액용기
WO2013119088A2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WO2011118886A1 (ko)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WO2014073822A1 (ko) 커피캡슐 장탈착 구조
WO2010131880A2 (ko) 분리가능한 원심분리기용 시험관
WO2017057816A1 (ko) 첨가제 투입수단이 구비된 음료용기용 캡슐형 마개
WO2011155707A2 (en) Stopper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WO2015133855A1 (ko)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WO2018143522A1 (ko) 액상 음료 제조장치
WO2017213305A1 (ko) 원심 분리기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svf 분리 방법
WO2017191989A1 (ko) 정밀한 prp 추출이 가능한 혈액분리추출용기
WO2017043804A1 (ko) 콘텍트렌즈 포장용기
WO2019240358A1 (ko) 내부마개를 갖는 수액배출장치가 구비된 수액용기 복합체
WO2021194160A1 (ko) 내용물 용기
WO2019088553A1 (ko) 멀티 음료 캡슐
WO2017039380A1 (ko) 살균 기능을 가지는 분리형 용기
WO2015072804A1 (ko) 체크밸브에 의한 밀폐구조를 갖는 화장품 튜브
WO2019117530A1 (ko) 액상 내용물 포장 용기용 마개
WO2018236091A1 (ko) 펌핑 배출식 절약형 용기
WO2023249196A1 (ko) 내용물 용기
WO2018026158A1 (ko) 음료추출 및 음료보관용 휴대용 컵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1102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1102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