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130A -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130A
KR20160001130A KR1020140078992A KR20140078992A KR20160001130A KR 20160001130 A KR20160001130 A KR 20160001130A KR 1020140078992 A KR1020140078992 A KR 1020140078992A KR 20140078992 A KR20140078992 A KR 20140078992A KR 20160001130 A KR20160001130 A KR 20160001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beverage
fixing
outer receptac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8624B1 (ko
Inventor
김윤우
Original Assignee
김윤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우 filed Critical 김윤우
Priority to KR1020140078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624B1/ko
Priority to PCT/KR2015/006321 priority patent/WO2015199398A1/ko
Publication of KR2016000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에는 연결부가 수용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연결부 내에는 인입구가 형성된 형성된 수용본체와,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추출원료와, 배출구에 설치되어 추출원료가 배출구를 통하여 수용본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연결부의 단부에는 인입구를 폐쇄하는 밀폐막이 형성된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CARTRIDGE FOR INFUSING BEVERAGE AND DEVICE FOR BOTH INFUSING BEVERA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추출원료로부터 음료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음료추출 카트리지와, 상기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고, 음료를 보관 및 음용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음료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음용되고 있는 음료 중 커피, 홍차, 녹차 등 다양한 종류의 음료는 커피원두나 찻잎을 가공하여 온수 또는 냉수에 의해 유효성분이 추출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음료는 원재료로부터 음용하기에 적당한 농도의 유효성분이 온수 또는 냉수에 포함되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 단계의 가공을 거쳐야 하므로, 음료가 완성되기까지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술한 종류의 음료는 대부분 추출원료에 온수 또는 냉수를 가하기만 하면 유효성분이 추출될 수 있도록 가공된 상태로 유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커피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21553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추출원료가 수용된 캡슐 내에 수증기를 압입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커피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는, 홍차 및 녹차는 추출원료를 수용시킨 티백(tea bag)을 용기에 넣은 후 온수 또는 냉수를 가하는 방법 등으로 유효성분이 침출되도록 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즉, 현재 추출원료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음용하는 음료는, 음료 제조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다양한 도구 및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 및 개발도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215531호(발명의 명칭: 캡슐 음료추출 유니트 및 그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료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음료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고, 음료의 보관 및 음용에도 사용될 수 있는 음료추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에는 연결부가 상기 수용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내에는 인입구가 형성된 수용본체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추출원료와,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추출원료가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수용본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는 상기 인입구를 폐쇄하는 밀폐막이 형성된 음료추출 카트리지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 둘레에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며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캡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통공을 커버하며 상기 배출구의 단부 및 상기 캡의 내측면에 개재될 수 있다.
상술한 음료추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인입구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음료추출 카트리지는,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배출구 방향 및 상기 인입구 방향으로 분할하는 형상으로 상기 수용본체 내에 설치되고 분할된 상기 수용공간 중 상기 배출구 방향의 것에 상기 추출원료가 배치되도록 상기 추출원료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연결부가 형성된 수용본체 및 상기 수용본체 내에 수용된 추출원료를 포함하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추출 장치로서, 내부에 외측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내측 저면에 상기 외측수용공간을 향하여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의 외측수용체와, 내부에 내측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하측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유출구가 관통 형성된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의 내측수용체와, 중간 부분에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며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외측수용체의 상단부 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멈춤리브 및 상기 내측수용체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며 상기 내측수용체의 상단부에 체결되도록 일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가 각각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수용체는 상기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부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내측수용체의 상단부가 상기 외측수용체의 상단부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내측수용체 및 상기 외측수용체가 분리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가 상기 외측수용공간의 반대 방향을 향하며 상기 멈춤리브가 상기 외측수용체의 상단부에 안착되어 상기 외측수용체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며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일측은 상기 배출구가 상기 삽입공을 향하도록 상기 음료추출 카트리지의 일측이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수용체는 상기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부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내측수용체의 외주면 및 상기 외측수용체의 내주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평판 형상이거나 타방향으로 돌출된 반구 또는 원뿔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멈춤리브의 타면에는 상기 외측수용체의 상단부에 상응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추출 카트리지가 온수 또는 냉수가 수용된 용기를 단순히 결합시키는 것으로 온수 또는 냉수가 추출원료를 통과하여 유효성분이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도록 하고, 음료 추출 후에는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음료 추출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의 구성요소가 음료의 보관이나 음용, 음료추출 카트리지에 급수 및 추출음료의 수집 등의 용도에 따라 분해 및 재조립 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100)에는 외측수용체(110), 내측수용체(130) 및 커버(150)가 포함된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외측수용체(110)는 내부에 외측수용공간(111)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용기로, 그 외형은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외측수용체(110)의 내측 저면(112)에는 외측수용공간(111)을 향하여 상측으로 고정돌기(113)가 돌출 형성된다.
내측수용체(130)는 내부에 내측수용공간(131)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용기로, 그 외형은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내측수용체(130)의 하측에는 고정부(134)가 형성되는데, 고정부(134)는 고정돌기(113)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형성되며, 고정부(134)에는 내측수용공간(131) 및 내측수용체(130)의 외부가 상통될 수 있도록 유출구(133)가 관통 형성된다.
고정부(134) 및 고정돌기(113)가 서로 체결되기 위해서는 고정부(134)가 고정돌기(113)와 접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수용체(130)는 외측수용체(100) 내의 외측수용공간(111)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내측수용체(130)의 외경은 외측수용체(110)의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달리 외측수용체(110)의 내측수용체(130)의 형상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내측수용체(130)가 외측수용체(110) 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부(134) 및 고정돌기(113)의 분리 가능한 결합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3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36) 및 고정돌기(113)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14)를 상응하도록 형성하여, 나사산(136)이 암나사(114)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내측수용체(130)는, 고정돌기(113) 및 고정부(134)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체결되었을 경우, 그 상단부가 외측수용체(110)의 상단부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고정돌기(113) 및 고정부(134)가 서로 체결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수용체(110) 및 내측수용체(130)를 서로 분리하고자 할 경우, 양 손으로 외측수용체(110) 및 내측수용체(130)를 각각 파지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내측수용체(130)의 상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파지하고 회전력을 가하기 용이할 정도의 폭을 갖는 파지부(137)가 형성될 수 있다.
만곡부(132)는 내측수용체(130)의 외주면의 직경이 상방향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증가되는 형상을 갖는데, 이는 고정돌기(113) 및 고정부(134)가 체결된 상태일 때 외측수용체(110)의 상측으로 돌출된 파지부(137)가 외측수용체(110)의 외주면과 연속적인 외곽선을 갖도록 하여 심미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만곡부(1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수용체(110)의 내주면과 내측수용체(130)의 외주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될 경우, 외부로부터 이물질 등이 외측수용공간(111)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외측수용체(110)의 상단부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측수용체(130)의 상단부 내측, 즉 파지부(137)의 내주면에는 암나사(138)가 형성될 수 있다. 암나사(138)에 대해서는 커버(150)와 함께 설명한다.
커버(150)는 내측수용체(130)의 상측을 커버하며 내측수용체(130)의 상단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커버(15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결합부(152)가 돌출 형성되고, 결합부(152)에는 나사산(153)이 형성된다. 나사산(153)은 상술한 암나사(138)와 상응하게 형성되어, 결합부(152)가 내측수용체(130)의 상측 내로 삽입되면서 이들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커버(15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반경방향, 즉 외주연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멈춤리브(151)가 돌출 형성된다.
멈춤리브(1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50)가 내측수용체(130)의 상측에 결합되었을 때 내측수용체(130)의 상단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멈춤리브(151)는 외측수용체(110)의 상단부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커버(15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타방향, 즉 결합부(152)가 돌출된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반구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15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은 타방향을 향하여 원뿔대 등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평판 형상을 가져서 타방향으로는 돌출되지 않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커버(15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이 타방향으로 반구형 또는 원뿔대 형상 등으로 돌출되었을 때, 이 돌출된 부분은 외측수용체(110)의 개방된 상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커버(150)의 중간 부분에는 삽입공(154)이 관통 형성된다. 삽입공(154)에는 암나사(155)가 형성될 수 있는데, 암나사(155)는 아래에서 설명할 캡슐(도 4의 200)의 배출구(도 4의 220)에 형성된 나사산(222)과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 암나사(155)는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10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113) 및 고정부(134)가 체결되어 내측수용체(130)가 외측수용체(110) 내에 삽입된 상태일 때 내측수용공간(131)에 음료를 보관하거나 음용하는 용기로 활용될 수 있다.
즉, 내측수용공간(131)에 음료를 수용시킨 후 커버(150)를 내측수용체(130) 상측에 체결시켜 음료를 보관할 수 있고, 체결공(154)에 도시되지 않은 빨대를 삽입하여 내측수용체(130)에 수용된 음료를 용이하게 음용할 수도 있다.
고정돌기(113) 및 고정부(134)가 체결되어 있을 때 고정부(134)의 선단부(135)는 저면(112)에 접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저면(112) 중 선단부(135)에 접하는 부분에는 밀폐부재가 결합되어, 체결된 고정돌기(113) 및 고정부(134)를 통하여 내측수용공간(131)에 수용된 음료가 외측수용공간(111)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외측수용체(110)의 내주면과 내측수용체(130)의 외주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면 내측수용공간(131)에 매우 높은 온도의 내용물이 수용되었을 때 내용물의 열이 외측수용체(110)의 외주면까지 전달되는 것이 상당량 차단되므로 외측수용체(11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수용공간(131)에 매우 낮은 온도의 내용물이 수용되었을 때에도 열전달이 상당량 차단되어 외측수용체(110)의 외주면에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외측수용체(110)를 파지할 때 불쾌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측수용체(110)의 내주면과 내측수용체(13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에 의한 열전달의 저하로 내용물의 높거나 낮은 온도가 장시간 유지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100)는 음료를 추출하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는데, 이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100)로 음료를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수용체(110), 내측수용체(130) 및 커버(150)를 각각 분리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수용체(110)의 개방된 상측이 커버되도록 커버(150)의 상하를 반전시켜 안착시킨다. 즉, 커버(150)의 상면이 외측수용체(110)를 향하도록 뒤집은 후 커버(150)를 외측수용체(110)의 상측에 안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멈춤리브(151)가 외측수용체(110)의 상단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커버(150)의 타측이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지라도 이 부분이 외측수용체(110)의 상측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커버(150)는 외측수용체(110)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150)가 외측수용체(110) 상에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멈춤리브(151)의 타면, 즉 멈춤리브(151) 중 외측수용체(110)의 상단부에 접하는 부분에는 함입된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안착홈(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커버(150)가 도시된 바와 달리 평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더라도 외측수용체(110)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외측수용체(110) 상에 안착된 커버(150)의 일측으로 돌출된 결합부(152)는 상방향을 향하게 되므로, 상하가 반전된 커버(150)는 상방향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배치된다.
커버(150) 내에는 음료추출 카트리지(200)가 안착된다.
여기서 음료추출 카트리지(200)는 내부에 수용공간(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220)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인입구(230)를 갖는 연결부가 형성된 수용본체(210)를 갖는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용본체(210) 내의 수용공간에는 추출원료가 수용된다. 이러한 음료추출 카트리지(2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커버(150)의 타측에는 음료추출 카트리지(200)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220)가 삽입공(154)을 향하도록 안착된다. 이때, 배출구(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부(221)는 삽입공(154)에 형성된 암나사(155)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커버(150) 및 음료추출 카트리지(2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150)의 타측 중간부분의 형상이 음료추출 카트리지(200)의 일측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암나사(155)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도 음료추출 카트리지(200)의 배출구(220)가 형성된 일측 부분이 커버(15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커버(150)에 안착된 음료추출 카트리지(200)의 타측에는 내측수용체(130)가 안착된다. 이때 유출구(133)가 형성된 고정부(134)가 인입구(230) 내로 삽입되면서 결합되거나, 고정부(13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36)이 인입구(230) 내에 형성된 암나사(도시되지 않음)와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후, 내측수용체(130)의 개방된 상측으로 온수나 냉수, 다른 음료, 주류 등의 액체를 가하면, 이 액체가 유출구(133)를 통하여 인입구(230) 내로 유입되어 수용본체(210) 내의 추출원료를 통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추출원료 내의 유효성분이 액체에 의해 추출되고, 액체에 유효성분이 포함되어 완성된 음료가 배출구(220) 및 삽입공(154)을 통과하여 외측수용체(110) 내의 외측수용공간(111)에 수집된다.
이와 같이 음료추출 카트리지(200)가 개재된 상태로 재조합된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100)는 음료를 추출하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 카트리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음료추출 카트리지(200)에는 수용본체(210), 필터(260) 및 추출원료(270)가 포함된다.
수용본체(210)는 내부에 수용공간(211)이 형성되고, 추출원료(270)는 수용공간(211) 내에 수용된다.
수용본체(210)의 일측에는 배출구(220)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에는 연결부(231)가 수용공간(21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연결부(231) 내에는 인입구(230)가 형성되며, 연결부(231)의 단부에는 인입구(230)를 폐쇄하는 밀폐막(240)이 형성된다.
한편, 인입구(23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233)가 형성될 수 있다. 암나사(233)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내측수용체(130)의 고정부(134)에 형성된 나사산(136)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암나사(233)에 나사산(136)이 체결됨에 따라 고정부(134)의 선단부(135)에 의해 밀폐막(240)이 파열되어 내측수용공간(131) 및 수용공간(211)이 상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필터(260)는 추출원료(270)가 배출구(220)를 통하여 수용본체(2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220)에 설치될 수 있다.
음료추출 카트리지(200)에는 캡(29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배출구(220)의 외주면에는 체결부(221)가 형성될 수 있는데, 배출구(220)를 통하여 이물질이 수용본체(210) 내로 유입되거나, 수용본체(210) 내에 수용된 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구(220)에는 체결부(221)를 이용하여 캡(290)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캡(290)의 중간 부분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술한 필터(260)는 이 통공을 커버하며 배출구(220)의 단부 및 캡(290)의 내측면에 개재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캡(290)의 외측면에는 통공을 커버하는 보호막 등이 접착제 등의 의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도 있다.
이는 음료추출 카트리지(200)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캡(290) 전체를 개방하는 것보다 도시되지 않은 보호막을 캡(290)으로부터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음료추출 카트리지(200)에는 고정수단(2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추출원료(270)가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없는 분말 또는 겔(gel) 상태와 같을 때에는 추출원료(270)가 수용공간(211) 내에서 유동됨에 따라 음료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이 변동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용공간(211)을 배출구(220) 방향 및 인입구 방향(230)으로 분할하는 형상으로 고정수단(250)을 수용본체(210) 내에 설치하고, 분할된 수용공간(211) 중 배출구(220) 방향의 것에 추출원료(270)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추출원료(270)가 고정수단(25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료추출 카트리지(200)는 음료를 제조한 후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으므로 음료 제조 상의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아울러, 앞에서 설명한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100)를 함께 이용할 경우에는 음료 제조 상의 편의성이 더욱 증가될 수 있는 동시에, 제조한 음료의 보관 및 음용에도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110: 외측수용체 111: 외측수용공간
112: 저면 113: 고정돌기
114: 암나사 130: 내측수용체
131: 내측수용공간 132: 만곡부
133: 유출구 134: 고정부
135: 선단부 136: 나사산
137: 파지부 138: 암나사
150: 커버 151: 멈춤리브
152: 결합부 153: 나사산
154: 삽입공 155: 암나사
200: 음료추출 카트리지 210: 수용본체
211: 수용공간 220: 배출구
221: 체결부 222: 나사산
230: 인입구 231: 연결부
233: 암나사 240: 밀폐막
250: 고정수단 260: 필터
270: 추출원료 290: 캡

Claims (11)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에는 연결부가 상기 수용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내에는 인입구가 형성된 수용본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추출원료; 및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추출원료가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수용본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는 상기 인입구를 폐쇄하는 밀폐막이 형성된
    음료추출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둘레에는 체결부가 형성된 음료추출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며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음료추출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통공을 커버하며 상기 배출구의 단부 및 상기 캡의 내측면에 개재되는 음료추출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구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음료추출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배출구 방향 및 상기 인입구 방향으로 분할하는 형상으로 상기 수용본체 내에 설치되고, 분할된 상기 수용공간 중 상기 배출구 방향의 것에 상기 추출원료가 배치되도록 상기 추출원료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음료추출 카트리지.
  7.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연결부가 형성된 수용본체 및 상기 수용본체 내에 수용된 추출원료를 포함하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추출 장치로서,
    내부에 외측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내측 저면에 상기 외측수용공간을 향하여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의 외측수용체;
    내부에 내측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하측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유출구가 관통 형성된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의 내측수용체; 및
    중간 부분에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며,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외측수용체의 상단부 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멈춤리브 및 상기 내측수용체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며 상기 내측수용체의 상단부에 체결되도록 일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가 각각 형성된 커버;
    를 포함하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수용체는, 상기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부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내측수용체의 상단부가 상기 외측수용체의 상단부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내측수용체 및 상기 외측수용체가 분리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가 상기 외측수용공간의 반대 방향을 향하며 상기 멈춤리브가 상기 외측수용체의 상단부에 안착되어 상기 외측수용체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며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일측은 상기 배출구가 상기 삽입공을 향하도록 상기 음료추출 카트리지의 일측이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형성된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수용체는, 상기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부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내측수용체의 외주면 및 상기 외측수용체의 내주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평판 형상이거나 타방향으로 돌출된 반구 또는 원뿔대의 형상을 갖는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리브의 타면에는 상기 외측수용체의 상단부에 상응하는 안착홈이 형성된
    음료추출 카트리지를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KR1020140078992A 2014-06-26 2014-06-26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KR101648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992A KR101648624B1 (ko) 2014-06-26 2014-06-26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PCT/KR2015/006321 WO2015199398A1 (ko) 2014-06-26 2015-06-22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992A KR101648624B1 (ko) 2014-06-26 2014-06-26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528A Division KR20160100873A (ko) 2016-08-08 2016-08-08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130A true KR20160001130A (ko) 2016-01-06
KR101648624B1 KR101648624B1 (ko) 2016-08-16

Family

ID=5493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992A KR101648624B1 (ko) 2014-06-26 2014-06-26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8624B1 (ko)
WO (1) WO201519939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6158A1 (ko) * 2016-08-01 2018-02-08 김윤우 음료추출 및 음료보관용 휴대용 컵 세트
KR20180000408U (ko) * 2016-08-01 2018-02-09 김윤우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CN112278585A (zh) * 2020-10-22 2021-01-29 南通大学 一种便于省力安装的桶装水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9915B (zh) * 2016-10-25 2022-05-17 富士电机株式会社 饮料供给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8799A (ja) * 2000-02-29 2001-09-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ヒーメーカ
KR20020028943A (ko) * 2002-02-15 2002-04-17 김휘주 원주형 밀봉 용기
JP2010124952A (ja) * 2008-11-26 2010-06-10 Kataoka & Co Ltd 電子レンジ用濾過器のカートリッジ
JP2011006088A (ja) * 2009-06-24 2011-01-13 Nobuaki Yanagisawa ペットボトル用抽出容器
KR101215531B1 (ko) 2012-09-13 2012-12-26 이영식 캡슐 음료추출 유니트 및 그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8799A (ja) * 2000-02-29 2001-09-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ヒーメーカ
KR20020028943A (ko) * 2002-02-15 2002-04-17 김휘주 원주형 밀봉 용기
JP2010124952A (ja) * 2008-11-26 2010-06-10 Kataoka & Co Ltd 電子レンジ用濾過器のカートリッジ
JP2011006088A (ja) * 2009-06-24 2011-01-13 Nobuaki Yanagisawa ペットボトル用抽出容器
KR101215531B1 (ko) 2012-09-13 2012-12-26 이영식 캡슐 음료추출 유니트 및 그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6158A1 (ko) * 2016-08-01 2018-02-08 김윤우 음료추출 및 음료보관용 휴대용 컵 세트
KR20180000408U (ko) * 2016-08-01 2018-02-09 김윤우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CN112278585A (zh) * 2020-10-22 2021-01-29 南通大学 一种便于省力安装的桶装水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9398A1 (ko) 2015-12-30
KR101648624B1 (ko) 201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573507U (zh) 具有单一盖结构的液体容器
AU2013359517B2 (en) Beverage cartridge
ES2514767T3 (es) Aparato y métodos relacionados con la dispensación a partir de máquinas de bebidas
KR101648624B1 (ko) 음료추출 카트리지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추출 장치
US20120207895A1 (en) Single Serving Reusable Brewing Material Holder
US20140377413A1 (en) Beverage Filter Cartridge
KR101554665B1 (ko) 기능성 입자 보관을 위한 수용체를 구비한 음료용기
US20130032566A1 (en) Compound sports water bottle
US20140251153A1 (en) Lid structure configured for easy disassembly and cleaning
US20100031827A1 (en) Tea maker
US20130118358A1 (en) Beverage preparation and dispensing system
KR20150074521A (ko) 뚜껑이 일체로 구비된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US20130239821A1 (en) Container with Removable Bottom Tea Infuser
US9770043B2 (en)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using a hot water dispenser adapter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US20150164261A1 (en) Brewing pitcher
US20170265674A1 (en) Cup with filtering system
KR101553337B1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KR101643327B1 (ko) 일체 결합형 더치 커피 드립퍼
JP2021518794A (ja) 懸濁液から抽出物を分離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6595110B1 (en) Blending and bubble filtering container structure
CN110234256B (zh) 用于冲泡饮料的浸泡设备和方法
KR101983339B1 (ko) 카트리지용 상향 추출식 음료 메이커
KR100898405B1 (ko) 일회용 원두커피 여과기
KR20150045100A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