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78594A1 -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78594A1
WO2015178594A1 PCT/KR2015/004280 KR2015004280W WO2015178594A1 WO 2015178594 A1 WO2015178594 A1 WO 2015178594A1 KR 2015004280 W KR2015004280 W KR 2015004280W WO 2015178594 A1 WO2015178594 A1 WO 201517859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seawater
fresh water
membrane distillation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428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찬규
조은영
박승민
김환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시험원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ublication of WO201517859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7859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6Energy reco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36Pervaporation; Membrane distillation; Liquid perme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brane distill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waste heat of marine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the waste heat of exhaust gas of a marine vessel engine, by obtaining thermal energy necessary for the membrane evaporation method, the marine vessel waste heat which desalination of seawater is used.
  • Membrane distill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by using the waste heat of exhaust gas of a marine vessel engine, by obtaining thermal energy necessary for the membrane evaporation method, the marine vessel waste heat which desalination of seawater is used.
  • reverse osmosis type In general, the reverse osmosis type (Reverse Osmosis type) is used in seawater desalination.
  • the desalination method of evaporating heated cooling water at low temperature through a low pressure evaporator is cooled by cooling engines of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FIG. 1 shows a conventional low pressure evaporative desalination apparatus using cooling water of an engine.
  • the low pressure evaporative desalin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includes fresh water producing means 10 for producing fresh water by evaporating seawater by a low pressure evaporative water conditioner, and sea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seawater to the fresh water producing means 10 ( 20) and the high temperature coolant supply means 30 for supplying the coolant as a heat source to the low pressure evaporative water conditioner of the fresh water production means 10 and the coolant of the high temperature coolant supply means 30 for the fresh water production means 10. It consists of a thermal circulation means 40 for circulating with.
  • the fresh water producing means 10 is provided with a low pressure evaporative water type generator 11 to produce a fresh water by using a cooling water that is a remaining heat source of the engine for the generator by lowering the boiling temperature, that is, boiling point of the sea water by making a vacuum therein. do.
  • Cooling water is supplied to the low pressure evaporative water conditioner 11 by the high temperature cooling water supply means 30 from a heat exchanger of a generator engine,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the low pressure evaporative water conditioner 11 is low.
  • the cooling water is provided with an electric pressurized heater 12 for heating the cooling water to the temperature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low pressure evaporative water conditioner 11, while storing fresh water produced from the low pressure evaporative water conditioner 11
  • the tank 13 and the fresh water transfer pump 14 for transferring the stored fresh water is further provided.
  • the high-temperature cooling supply means 30 for supplying the cooling water as a heat source to the low-pressure evaporator 11 of the fresh water production means 10 is a generator engine 31 for producing and supplying its own power to the vessel or structure Is provided, the generator engine 31 is provided with a heat exchanger 32 for cooling the high heat generated when driving the generator engine 31, respectively.
  • the cooling water heated while circulating the heat exchanger 32 is supplied to the low pressure evaporative water conditioner 11 of the fresh water producing means 10 by the thermal circulation means 40, wherein the generator engin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supplied is low because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driving condition or load fluctuation of 31) is not constant, the cooling water is cooled to the temperature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low pressure evaporative water conditioner 11 by the electric pressurized heater 12. By heating, the low pressure evaporator 11 is a desalin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fresh water.
  • the low pressure evaporation desalination device requires a narrower space than reverse osmosis type and has the advantage of utilizing waste heat of the engine, but for additional heat supply and pressure control for supplementing insufficient heat energy. It is undeniable that an energy supply is needed.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30044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salination of high temperature seawater made by using the waste heat of the exhaust gas of the engine through membrane distillation, in the low pressure evaporation method It is to provide a membrane distill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waste heat of marine ship which can efficiently desalination by reducing energy used for pressure change.
  • sea water storage unit 200 is stored sea water;
  • An exhaust gas supply unit 110 for supplying exhaust gas;
  • a heat exchanger (100) for exchanging the seawater introduced from the seawater storage unit (200) with the exhaust gas supplied from the exhaust gas supply unit (110) to produce high temperature seawater;
  • Fresh water storage unit 400 for storing fresh water; It comprises a desalination unit 300 receives the high temperature seawater from the heat exchange unit 100, receives fresh water from the fresh water storage unit 400 to change the seawater into fresh water using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It features.
  • the seawater storage unit 200 is stored seawater;
  • An exhaust gas supply unit 110 for supplying exhaust gas;
  • a heat exchanger (100) for exchanging the seawater introduced from the seawater storage unit (200) with the exhaust gas supplied from the exhaust gas supply unit (110) to produce high temperature seawater;
  • a desalination unit 300 that receives the high temperature seawater from the heat exchanger 100 and converts the seawater into fresh water using vacuum membrane distillation; and the desalination unit 300 is absorbed by the vacuum pump 340.
  • Cooling unit 350 for condensing the water vapor, and the fresh water storage unit 400 for storing the fresh water generated in the cooling unit 35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 the desalination unit 300, the evaporation unit 310 and the fresh water storage unit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in which the high temperature seawater introduced from the heat exchange unit 100 passes and is recovered to the heat exchange unit 100, Condensation unit 320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that the fresh water introduced from 400 is passed to the fresh water storage unit 400, and the membrane 330 partitioning the evaporator 310 and the condensation unit 32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the desalination unit 300, the evaporation unit 310 and the vacuum pump 340 having a circulation structure in which the high temperature seawater introduced from the heat exchange unit 100 is passed through and recovered to the heat exchange unit 100,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densation unit 320 to maintain a vacuum state through the action of), and the membrane 330 partitioning the evaporator 310 and the condensation unit 320.
  • the membrane 330 is made of a hydrophobic polymer membrane that is permeable to water vapor generated through the evaporation of seawater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310, and the condenser 320 is permeated by the membrane 33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vapor is made fresh water through a predetermined condensation process and sent to the fresh water storage unit 400.
  • the heat exchange unit 100, the second sea water discharge unit 101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seawater with increased salt through the desalination reaction of the desalination unit 300 to the outside of the ship, and the heat exchange unit 100
  • the heat exchange unit 1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 the seawater storage unit 200 includes a first seawater inlet 211 and a first seawater outlet 212, and the first seawater inlet 211 and the first seawater outlet 212.
  •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220 is provided for sterilizing seawater.
  • the fresh water storage unit 400 a fresh water tank 410 for storing fresh water
  • the fresh water tank 410 is a fresh water inlet 411 for fresh water inlet and a fresh water discharge unit for fresh water discharge ( It has a 412,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port unit 420 for sending the fresh water stored in the fresh water tank 410 to the sea water storage unit 200.
  • the membrane distill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using the waste heat of the marine vessel includes a tank 500 for heat exchange with seawater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310, and the seawater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310 is After the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provided in the tank 500 is characterized in that returned to the heat exchange unit (100).
  • seawater storage unit 2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llast 210 for storing water in order to adjust the draft and trim of the vessel.
  • the heat exchange unit 100, the first control unit 130 for adjusting the flow rate flowing from the seawater storage unit 200, the evaporator 310 is a high temperature seawater flow rate and flow rate flowing from the heat exchanger
  • the second control unit 311 for adjusting the, and the condensation unit 3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control unit 321 for adjusting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fresh water flowing from the fresh water storage unit 400.
  • the heat exchange unit 100, the first control unit 130 for adjusting the flow rate flowing from the seawater storage unit 200, and the evaporator 310 is a high temperature seawater flow rate flowing from the heat exchanger and And a second control unit 311 for adjusting the flow rate.
  • the membrane distill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waste heat of the marine vessel makes the seawater introduced by using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engine as a heat source, making the high temperature seawater, and the film vaporization method contained in the high temperature seawater. By desalination, the energy consumption required for desalination of seawater was minimized.
  • the sterilization unit provided in the membrane distill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waste heat of the marine vessel the first sterilization of the seawater entering and exiting the ballast is possible, and the second steriliz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heating of the heat exchange unit.
  •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resh water production apparatus.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mbrane distillation water treatment device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using the waste heat of marine vess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mbrane distillation water treatment device (vacuum membrane distillation) using the waste heat of marine vess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membrane block diagram of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and vacuum membrane distil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mbrane distill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using the marine vessel waste hea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2 is a heat exchange unit 100, exhaust gas supply unit 110, sea water storage unit 200, desalination unit 300, fresh water storage unit ( 400) and the hot water tank 500 is configured.
  • the heat exchanger 100 receives the exhaust gas serving as an energy source of the membrane distill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using waste heat of the marine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exhaust gas supply unit 110.
  • the heat exchanger 100 receives the seawater for heat exchange with the exhaust gas supplied from the exhaust gas supply unit 110 from the seawater storage unit 200.
  • the heat exchanger 100 creates high temperature seawater through heat exchange between the exhaust gas supplied from the exhaust gas supply unit 110 and the seawater supplied from the seawater storage unit 200.
  • the exhaust gas supply unit 110 is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heat exchange unit 100 and the exhaust gas supply unit 110 to supply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exhaust gas to the heat exchange unit 100.
  • a compressor may be provided at the location.
  • the exhaust gas supply unit 110 is a pump for assisting the movement of the gas so that the exhaust gas supplied to the heat exchange unit 100 is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heat exchange with the sea water introduced from the seawater storage unit 200 It may be provided.
  • the exhaust gas supply unit 110 may be provided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movement of various gases in addition to the pump, it is enough to facilitate the external exhaust of the exhaust gas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for the movement and exhaust of the exhaust gas.
  • the heat exchange part 100 is a immersion type heat exchanger, a plate heat exchanger, or a shell and tube for heat exchange between the seawater introduced from the seawater storage unit 200 and the exhaust gas supplied from the exhaust gas supply unit 110.
  • Various heat exchangers such as and tube-type heat exchangers may be used, and the heat exchange may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and thus the method is not limited.
  • the desalination unit 300 desalination of the high temperature seawater supplied from the heat exchanger 200 through membrane distillation.
  • a storage tank for preventing irregular flow of seawat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heat exchange part 100 and the desalination part 300.
  • the storage tank stores seawater introduced from the heat exchanger 100 and then moves to the desalination unit 300 to prevent irregular flow of seawater introduced into the desalination unit 300.
  • the storage tank may be an additional function to keep the seawater introduced from the heat exchange unit 100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flow into the desalination unit 300.
  • the storage tank serves to adjust the flow and temperature of the seawater transferred from the heat exchange part 100 to the desalination part 300 to a predetermined value.
  • the desalination unit 300 has various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membrane distillation method.
  • FIG. 2 shows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among various membrane distillation methods.
  • the desalination unit 300 includes an evaporator 310 for receiving high temperature seawater from the heat exchanger 100 for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and a condensation unit for receiving fresh water of low temperature from the fresh water storage unit 400. And 320.
  • the desalination unit 300 includes a membrane 330 partitioning high temperature seawater introduced from the heat exchange unit 100 and low temperature fresh water introduced from the fresh water storage unit 400.
  • the high temperature seawater introduced into the desalination unit 300 has a circulation structure that is recovered to the heat exchange unit 100 through the evaporation unit 310 configured in the desalination unit 300.
  • the fresh water of the low temperature introduced from the fresh water storage unit 400 has a circulation structure that is recovered back to the fresh water storage unit 400 through the condensation unit 320.
  • the membrane 330 partitioning the hot sea water circulating the evaporator 310 and the fresh water of the low temperature circulating the condensation unit 320 is the evaporator 310 through a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reaction.
  • the hot sea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membrane 330 to be desalted.
  • the direct contact type film distillation occurring in the desalination part 300 is generated while the hot seawater flowing into the evaporation part 31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membrane surface of the membrane 330.
  • the water vapor present in the high temperature seawater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310 i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vapor pressure between the high temperature seawater having a relatively high vapor pressure on the desalination unit 300 and the pores of the membrane 330. 330 is moved to the gap.
  • the water vapor moved into the air gap of the membrane 330 is moved back to the condensation unit 320 having a relatively low vapor pressure on the desalination unit 300.
  • the membrane 330 is made of a hydrophobic polymer membrane capable of passing water vapor.
  • the water vapor present in the high temperature seawater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310 flows into the low temperature fresh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condensation unit 320 through a plurality of pores formed in the membrane 330. .
  • the direct contact type film distillation occurring in the desalination unit 300 may include high temperature seawater on the evaporator 310 circulated by the membrane 330 and low temperature fresh water on the condensation unit 320.
  • the pressure difference is the driving force.
  • the evaporator 310 Water vapor present in the high temperature seawater circulating)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pores formed in the membrane 330 to be liquefied by entering the low temperature fresh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condensation unit 320.
  • the fresh water formed through the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in the desalination unit 300 flows into the fresh water of low temperature circulating through the condensation unit 320 to store the fresh water. Inflow to) increases the fresh water stored in the fresh water storage unit 400.
  • the fresh water storage unit 400 includes a single or a plurality of fresh water tanks 410 for storing fresh water increased through the desalination process occurring in the desalination unit 300.
  • the fresh water tank 410 is a single or a plurality of ballasts 210 for storing water to adjust the draft and trim of the vessel included in the seawater storage unit 200 for the storage of fresh water generated when the fresh water storage capacity is exceeded Use
  • the fresh water tank 4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transport unit 420 connecting the fresh water tank 410 and the ballast 210 in order to use the ballast 210 as a fresh water storage space.
  • the seawater storage unit 200 includes a first seawater inlet 211 and a first seawater discharge unit 212 configured for inflow and discharge of seawater.
  • the first seawater inlet 211 and the first seawater outlet 212 include a first sterilization unit 220 configured to sterilize seawater flowing into and out of the seawater storage unit 200.
  •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220 may be configured by various sterilization methods such as heating method, filtration method, irradiation method, gas method, and chemical solution method, but in order to efficiently sterilize seawater, ultraviolet sterilization method excellent for sterilizing viruses and bacteria is recommended. .
  • the seawater storage unit 200 includes a first control unit 130 configured to adjust the amount of seawater supplied to the heat exchange unit 100.
  • the first control unit 130 supplies the amount of seawater required to the heat exchanger 100 to maintain the amount of seawater optimized for the heat exchange action that occurs in the heat exchanger 100.
  • the heat exchange part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sea water inlet 102 and the second sea water discharge unit 101 configured for the inflow and discharge of sea water.
  • the second seawater inlet 102 and the second seawater outlet 101 include a second sterilization unit 120 configured for sterilization of seawater flowing into and out of the heat exchange unit 100.
  •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120 may be configured by various sterilization methods such as heating method, filtration method, irradiation method, gas method, or chemical solution method, but in order to efficiently sterilize seawater, ultraviolet sterilization method excellent for sterilizing viruses and bacteria is recommended. .
  • the desalination unit 300 includes a second control unit 311 configur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measurement and the flow rate and the flow rate of the seawater flowing in and out of the heat exchange unit 100.
  • the desalination unit 300 is a third control unit configured to adjust the temperature measurement and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sea water flowing from the fresh water storage unit 400 circulating the condensation unit 320 configured in the desalination unit ( 321).
  • the direct contact type film distillation reaction occurring in the desalination unit 300 is a driving force for desalination by the difference in the vapor pressure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evaporation unit 310 and the condensation unit 320 circulated in the desalination unit 300. Do it.
  • the second control unit 311 determines a time point at which the high temperature seawater flows from the heat exchange unit 100 to the evaporator 31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seawater.
  • the third control unit 321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fresh water flowing from the fresh water storage unit 400 to the condensation unit 320
  • the second control unit 311 is the heat exchange unit 100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sea water flowing into the evaporator 310 at.
  • the second control unit 311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seawater flowing in the heat exchange unit 100 and the temperature of the fresh water flowing in the fresh water storage unit 400 and a direct contact type film distillation efficiently occurs, Sea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310 from the heat exchanger 100.
  • the direct contact type membrane distillation occurring in the desalination unit 300 is because the amount of desalted seawater changes according to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inflow water
  • the second control unit 311 and the third control unit 321 is the desalination unit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seawater and fresh water flowing into the 300, an efficient desalination reaction is possible.
  • the amount and quality of fresh water produced by the desalination unit 30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ore size of the membrane 330.
  • the pore size of the membrane 330 may have various values, but when the pore size exceeds 1.2 ⁇ m, the membrane 330 is wetted with water, and thus the desalination reaction is not performed.
  • the pore size of the membrane 330 is less than 0.1 ⁇ m, since the desalination flux of the membrane 330 is lowered, the pore size of the membrane 330 is preferably 0.1 ⁇ m to 1.2 ⁇ m. .
  • the membrane 33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but when the membrane 330 is wetted with water, the desalination reaction does not occur. (polyvinylidenechloride), polytetrafluoroethylene material is recommended.
  • the evaporator 310 has a high temperature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310, in addition to a circulation structure in which the hot seawater introduced from the heat exchanger 100 flows into the heat exchanger 100 via the evaporator 310. It is also possible to circulate the sea water to the heat exchange unit 100 after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provided in the tank 500 for heating the vessel.
  • the heat exchanger 100 needs to be replaced by seawater as the salinity of seawater increases through the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of the desalination unit 300.
  • the heat exchange unit 10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lurality in order to make the desalination process continuously during seawater replacement.
  • the heat exchanger 100 is preferably configured of a heat exchanger 100 of various sizes and materials in order to minimize the delay time caused by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seawater flowing into the evaporator (310).
  • the desalination unit 300 includes an evaporation unit 310 that receives high temperature seawater from the heat exchanger 100 for vacuum film distillation, and a condensation unit 320 that maintains a vacuum state.
  • the condensation unit 320 is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by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340.
  • a cooling unit 350 for cooling the water vapor introduced from the evaporation unit 310 to change into a liquid phase is provided.
  • the water vapor liquefied by the cooling unit 350 is transferred to the fresh water storage unit 400.
  • the desalination unit 300 includes the evaporator 310 receiving the high temperature seawater from the heat exchanger 100, and a membrane 330 partitioning the condensation unit 320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do.
  • the high temperature seawater introduced into the desalination unit 300 has a circulation structure that is recovered to the heat exchange unit 100 through the evaporation unit 310 configured in the desalination unit 300.
  • the condensation unit 320 is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by the vacuum pump 340.
  • the membrane 330 partitioning the high temperature seawater circulating the evaporator 310 and the condenser 320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is a high temperature circulating the evaporator 310 through a vacuum membrane distillation reaction. Seawater is desalted through the membrane 330.
  • the vacuum film distillation occurring in the desalination unit 300 is performed by using steam containing high temperature seawater flowing into the evaporation unit 310.
  • Water vapor present in the high temperature seawater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310 is moved to the condenser 320 by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pores formed in the membrane 330 made of a hydrophobic polymer membrane through which water vapor can pass, The condenser 320 is moved toward the vacuum pump 340 provided to make the condenser 320 into a vacuum.
  • Water vapor moved to the vacuum pump 340 is converted into fresh water through the condensation reaction of the cooling unit 350 existing between the vacuum pump 340 and the condensation unit 320.
  • the vacuum membrane distillation occurring in the desalination unit 300 is a difference between the high pressure seawater on the evaporator 310 circulated and circulated in the membrane 330 and the vapor pressure formed through the vacuum state of the condensation unit 320. Drive force is used.
  • the evaporator 310 since the high temperature seawater circulating the evaporator 310 has a vapor pressure higher than that of the vacuum of the condenser 320, the evaporator 310 circulates.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high temperature seawater to the vacuum pump 340 through the plurality of pores formed in the membrane 330 to make the condensation unit 320 into a vacuum, the cooling unit 350 Is liquefied through the condensation reaction.
  • the water vapor liquefied through the vacuum membrane distillation in the desalination unit 300 is introduced into and stored in the fresh water storage unit 400.
  • the vacuum membrane distillation reaction occurring in the desalination unit 300 uses the difference in vapor pressure between the evaporator 310 and the condenser 320 as a driving force for desalination.
  • the second control unit 311 adjusts the inflow time of the seawater flowing into the evaporator 310 from the heat exchanger 10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seawater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vacuum membrane distillation.
  • the second control unit 311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seawater flowing into the desalination unit 300. By controlling the excess flow rate, an efficient desalination reaction is made possible.
  • the membrane distill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using waste heat of the marine vessel includes a seawater storage unit 200 for storing seawater, and the seawater storage unit 200 inflows seawater from the first seawater inlet 211. Receive.
  • the seawater introduced into the seawater storage unit 200 supplies the seawater as necessary to the heat exchange unit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unit 130.
  • the heat exchanger 100 will be described as being defined as a 'second heat exchanger' which is auxiliary and 'first heat exchanger'.
  • the heat exchanger 100 may additionally configure a second heat exchanger having different sizes for rapid heating of the seawater supplied from the seawater storage unit 200 in addition to the existing first heat exchanger for heat exchange.
  • the second heat exchanger is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heat exchanger for rapid heating of seawater provided therein.
  • the exhaust gas supply unit 11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to heat exchange with seawater provided in the second heat exchanger for efficient heat exchange with the second heat exchanger.
  • the second heat exchanger uses the high heat exchange of the exhaust gas supply unit 110 and reduces the size of the second heat exchanger to reduce the amount of seawater introduced from the seawater storage unit 200 than the first heat exchanger. It is possible to rapidly heat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the control unit 311.
  • the membrane distill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using the offshore ship waste heat can be rapidly driven.
  • the seawater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 part 100 that exchanges heat with the exhaust gas supplied from the exhaust gas supply part 110 continuously increases salinity through the desalination process of the desalination part 300.
  • the heat exchange part 100 needs a process of discharging seawater having a high salinity.
  • the heat exchanger 100 discharges the seawater having a higher salinity used in the desalination process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seawater discharge unit 101.
  • the heat exchanger 100 introduces new seawater through the second seawater inlet 102 or the seawater storage 200.
  •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using the marine vessel waste heat stops driving.
  • the heat exchanger 100 is divided into a first heat exchanger and a second heat exchanger in order to prevent the driving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1000 using the marine ship waste heat to be stopped.
  • the second heat exchanger supplies high temperature seawater to the desalination unit 300 to use the marine vessel waste heat.
  • the driving of the 1000 is stopped.
  • heat exchanger 101 second sea water discharge
  • first seawater inlet 212 first seawater outlet
  • fresh water storage unit 410 fresh water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선박의 폐열을 에너지원으로 하고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인 효율적인 담수화 장치이다.

Description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본 발명은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 선박 엔진의 배기가스 폐열을 이용하여, 막증발법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얻음으로써, 해수를 담수화하는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수 담수화에 있어서, 역삼투압방식(Reverse Osmosis type)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역삼투압 방식은 다단으로 형성되며 취수효율에 따라서 다수의 펌프가 설치되기 때문에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고압 펌프를 이용하는 관계로 상당한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 등에 적합하지 못하다.
상술한 문제점 및 담수화과정에 필요한 에너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선박 및 해상 구조물의 엔진을 식혀줌으로써, 가열된 냉각수를 저압 증발식 조수기를 통하여 저온에서 증발시키는 담수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도 1은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한 종래의 저압 증발식 담수화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저압 증발식 담수화 장치는 저압 증발식 조수기에 의하여 해수를 증발시켜 청수를 생산하는 청수 생산수단(10)과, 상기 청수 생산수단(10)에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 공급수단(20)과, 상기 청수 생산수단(10)의 저압 증발식 조수기에 열원인 냉각수를 공급하는 고온 냉각수공급수단(30) 및 상기 고온 냉각수공급수단(30)의 냉각수를 상기 청수 생산수단(10)으로 순환시키는 열 순환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청수 생산수단(10)은 내부에 진공을 만들어 해수의 끓는 온도 즉, 비등점을 낮춤으로써 발전기용 엔진의 남는 열원인 냉각수를 이용하여 청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저압 증발식 조수기(11)가 구비된다. 상기 저압 증발식 조수기(11)에는 발전기용 엔진의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고온 냉각수공급수단(30)에 의하여 냉각수가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저압 증발식 조수기(11)를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가 낮을 경우 이 냉각수를 상기 저압 증발식 조수기(11)의 운전에 필요한 온도까지 가열하는 전기 가압히터(12)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저압 증발식 조수기(11)로부터 생산된 청수를 저장하는 청수 저장탱크(13) 및 저장된 청수를 필요한 곳으로 이송하는 청수 이송펌프(14)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청수 생산수단(10)의 저압 증발식 조수기(11)에 열원인 냉각수를 공급하는 고온 냉각공급수단(30)은 선박이나 구조물에 자체전력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발전기용 엔진(31)이 구비되고, 상기 발전기용 엔진(31)에는 상기 발전기용 엔진(31)을 구동시 발생하는 고열을 냉각시키는 열교환기(32)가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32)를 순환하면서 뜨거워진 냉각수가 열 순환수단(40)에 의하여 상기 청수 생산수단(10)의 저압 증발식 조수기(11)에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발전기용 엔진(31)의 구동조건이나 부하변동에 따른 구동환경이 일정하지 못하여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상기 전기 가압히터(12)에 의하여 상기 저압 증발식 조수기(11)의 운전에 필요한 온도까지 냉각수를 가열함으로써, 저압 증발식 조수기(11)가 청수를 생산하는 담수화 장치이다.
상기 저압 증발식 담수화 장치는 역삼투압방식(Reverse Osmosis type)에 비하여 좁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엔진의 폐열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부족한 열에너지의 보충을 위하여 추가적인 열 공급수단 및 압력 조절을 위한 에너지 공급수단이 필요하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004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의 배기가스 폐열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고온의 해수를 막증발법(Membrane distillation)을 통하여 담수화 시킴으로써, 상기 저압 증발법에서 압력 변화를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를 감소시켜 효율적인 담수화가 가능한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인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해수가 보관되는 해수 보관부(200);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부(110); 상기 해수 보관부(200)에서 유입된 해수를 상기 배기가스 공급부(110)에서 공급받은 배기가스와 열교환시켜 고온의 해수로 만드는 열교환부(100); 청수를 보관하는 청수 보관부(400);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고온의 해수를 공급받고, 상기 청수 보관부(400)에서 청수를 공급받아 직접 접촉형 막증류를 이용하여 해수를 담수로 변화시키는 담수화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해수가 보관되는 해수 보관부(200);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부(110); 상기 해수 보관부(200)에서 유입된 해수를 상기 배기가스 공급부(110)에서 공급받은 배기가스와 열교환시켜 고온의 해수로 만드는 열교환부(100);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고온의 해수를 공급받아, 진공 막증류를 이용하여 해수를 담수로 변화시키는 담수화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담수화부(300)는, 진공펌프(340)에서 흡수된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냉각부(350), 및 상기 냉각부(350)에서 생성된 청수를 보관하는 청수 보관부(4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담수화부(300)는,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유입된 고온의 해수가 통과되어 상기 열교환부(100)로 회수되는 순환 구조를 가지는 증발부(310)와, 상기 청수 보관부(400)에서 유입된 청수가 통과되어 상기 청수 보관부(400)로 회수되는 순환 구조를 가지는 응축부(320), 및 상기 증발부(310)와 상기 응축부(320)를 구획하는 멤브레인(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담수화부(300)는,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유입된 고온의 해수가 통과되어 상기 열교환부(100)로 회수되는 순환 구조를 가지는 증발부(310)와, 상기 진공펌프(340)의 작용을 통하여 진공상태가 유지되는 응축부(320), 및 상기 증발부(310)와 상기 응축부(320)를 구획하는 멤브레인(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330)은 상기 증발부(310)에 유입된 해수의 증발 작용을 통하여 발생된 수증기가 투과 가능한 소수성 고분자 분리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응축부(320)는 상기 멤브레인(330)에서 투과된 수증기를 소정의 응축 과정을 통하여 담수로 만들어 상기 청수 보관부(400)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100)는, 상기 담수화부(300)의 담수화 반응을 통하여 염분이 증가된 해수를 선박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제2 해수 배출부(101)와, 상기 열교환부(100)로 외부 해수의 직접 유입을 위한 제2 해수 유입부(10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해수 유입부(102) 및 상기 제2 해수 배출부(101)에 해수 살균을 위하여 구비되는 제2 살균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100)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수 보관부(200)는, 제1 해수 유입부(211)와 제1 해수 배출부(2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해수 유입부(211) 및 상기 제1 해수 배출부(212)에 해수 살균을 위하여 구비되는 제1 살균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청수 보관부(400)는, 청수 보관을 위한 청수 탱크(410)가 구성되고, 상기 청수 탱크(410)는 청수 유입을 위한 청수 유입부(411) 및 청수 배출을 위한 청수 배출부(412)를 가지며, 상기 청수 탱크(410)에 저장된 청수를 상기 해수 보관부(200)로 보내기 위한 운송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1000)는, 상기 증발부(310)에서 배출된 해수와 열교환하는 탱크(500)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부(310)에서 배출된 해수가 상기 탱크(500)에 구비되는 유체와 열교환 후 열교환부(100)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수 보관부(200)는, 선박의 흘수 및 트림을 조절하기 위하여 물을 보관하는 밸러스트(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100)는, 상기 해수 보관부(200)에서 유입되는 유량 조절을 위한 제1 제어부(130), 상기 증발부(310)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유입되는 고온의 해수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는 제2 제어부(311), 및 상기 응축부(320)는 상기 청수 보관부(400)에서 유입되는 청수의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는 제3 제어부(3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100)는, 상기 해수 보관부(200)에서 유입되는 유량 조절을 위한 제1 제어부(130)와, 상기 증발부(310)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유입되는 고온의 해수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는 제2 제어부(3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는,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유입된 해수를 고온의 해수로 만들며, 상기 고온의 해수에 포함된 수증기를 막증발법을 통하여 담수화 함으로써, 해수의 담수화에 필요로 하는 에너지의 소모를 최소화하였다.
또한, 상기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살균부를 통하여 밸러스트에 출입되는 해수의 1차 살균이 가능하고, 열교환부의 가열을 통하여 2차적 살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1차 및 2차 살균과정을 거쳐 밸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살균하여 배출함으로써, 해양의 오염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청수생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직접 접촉형 막증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진공 막증류)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접 접촉형 막증류 및 진공 막증류의 멤브레인 블록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10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인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1000)는 열교환부(100), 배기가스 공급부(110), 해수 보관부(200), 담수화부(300), 청수 보관부(400) 및 온수탱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부(100)는 상기 배기가스 공급부(110)에서 본 발명인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1000)의 에너지원이 되는 배기가스를 공급받는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100)는 상기 배기가스 공급부(110)에서 공급받은 배기가스와 열교환을 위한 해수를 상기 해수 보관부(200)에서 공급받는다.
상기 열교환부(100)는 상기 배기가스 공급부(110)에서 공급받은 배기가스와 상기 해수 보관부(200)에서 공급받은 해수의 열교환을 통하여 고온의 해수를 만든다.
도면 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배기가스 공급부(110)는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를 상기 열교환부(100)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부(100)와 상기 배기가스 공급부(110)의 연결부위 중 소정의 위치에 압축기(compressor)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공급부(110)는 상기 열교환부(100)에 공급된 배기가스가 상기 해수 보관부(200)에서 유입되는 해수와 열교환 후 외부로 쉽게 배출되기 위하여 기체의 이동을 돕기 위한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가스 공급부(110)는 펌프 외에도 다양한 기체의 이동을 돕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배기가스의 외부 배출이 용이할 정도면 충분하고 배기가스의 이동 및 배출을 위한 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열교환부(100)는 상기 해수 보관부(200)에서 유입된 해수와 상기 배기가스 공급부(110)에서 공급된 배기가스의 열교환을 위하여 침탐식형 열교환기, 판형 열교환기, 또는 쉘앤튜브(shell and tube)형 열교환기와 같은 다양한 열교환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열교환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담수화부(300)는 상기 열교환부(200)에서 공급된 고온의 해수를 막증류를 통하여 담수화한다.
이때, 도면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열교환부(100)와 상기 담수화부(300) 사이에는 해수의 불규칙적인 유동 방지를 위한 보존탱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존탱크는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유입된 해수를 보관 후 상기 담수화부(300)로 이동시켜 담수화부(300)로 유입되는 해수의 불규칙적인 흐름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보존탱크는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유입된 해수를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여 상기 담수화부(300)로 유입 시키는 부가적인 기능도 가능하다.
즉, 상기 보존탱크는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상기 담수화부(300)로 이송되는 해수의 흐름 및 온도를 소정의 수치로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담수화부(300)는 막증류 방법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을 가진다.
도 2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막증류 방법 중 직접 접촉형 막증류(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를 도시하였다.
상기 담수화부(300)는 직접 접촉형 막증류를 위하여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고온의 해수를 유입받는 증발부(310)와, 상기 청수 보관부(400)에서 저온의 청수가 유입되는 응축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담수화부(300)는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유입되는 고온의 해수와 상기 청수 보관부(400)에서 유입되는 저온의 청수를 구획하는 멤브레인(330)을 포함한다.
상기 담수화부(300)로 유입된 고온의 해수는 상기 담수화부(300)에 구성되는 증발부(310)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부(100)로 회수되는 순환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청수 보관부(400)에서 유입된 저온의 청수는 상기 응축부(320)를 통하여 다시 상기 청수 보관부(400)로 회수되는 순환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증발부(310)를 순환하는 고온의 해수와 상기 응축부(320)를 순환하는 저온의 청수를 구획하는 상기 멤브레인(330)은, 직접 접촉형 막증류 반응을 통하여 증발부(310)를 순환하는 고온의 해수를 멤브레인(330)을 통하여 담수화 시킨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담수화부(300)에서 일어나는 직접 접촉형 막증류는 상기 증발부(310)에 유입되는 고온의 해수가 상기 멤브레인(330)의 막 표면과 직접 접촉하면서 발생된다.
즉, 상기 증발부(310)에 유입된 고온의 해수에 존재하는 수증기는, 상기 담수화부(300)상에서 비교적 높은 증기압을 가지는 고온의 해수와 상기 멤브레인(330)의 공극 사이의 증기압 차로 인하여, 멤브레인(330)의 공극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330)의 공극으로 이동된 수증기는 상기 담수화부(300)상에서 비교적 낮은 증기압을 가지는 상기 응축부(320)로 다시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멤브레인(330)은 수증기가 통과 가능한 소수성 고분자 분리막으로 이루어지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증발부(310)에 유입된 고온의 해수에 존재하는 수증기는, 상기 멤브레인(330)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을 통과하여 상기 응축부(320)를 순환하는 저온의 청수에 유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담수화부(300)에서 일어나는 직접 접촉형 막증류는, 상기 멤브레인(330)에 구획되어 순환되는 상기 증발부(310) 상의 고온의 해수 및 상기 응축부(320) 상의 저온의 청수의 증기압 차를 구동력으로 한다.
따라서, 도 4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증발부(310)를 순환하는 고온의 해수는 상기 응축부(320)를 순환하는 저온의 청수보다 높은 증기압을 가지므로, 상기 증발부(310)를 순환하는 고온의 해수에 존재하는 수증기는, 상기 멤브레인(330)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을 통과하여 상기 응축부(320)를 순환하는 저온의 청수로 유입되어 액화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담수화부(300)에서 직접 접촉형 막증류를 통하여 형성된 담수는 상기 응축부(320)를 순환하는 저온의 청수에 유입되어 청수가 보관되는 상기 청수 보관부(400)로 유입됨으로써, 청수 보관부(400)에 보관되는 청수를 증가시킨다.
상기 청수 보관부(400)는 상기 담수화부(300)에서 일어나는 담수화 과정을 통하여 증가되는 청수를 저장하기 위한 단수 또는 복수개의 청수 탱크(410)를 포함한다.
상기 청수 탱크(410)는 청수 저장 용량 초과 시 생성된 청수의 저장을 위하여 상기 해수 보관부(200)에 포함되는 선박의 흘수 및 트림을 조절하기 위하여 물을 보관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밸러스트(210)를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청수 탱크(410)는 상기 밸러스트(210)를 청수 저장 공간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청수 탱크(410)와 밸러스트(210)를 연결하는 운송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해수 보관부(200)는 해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하여 구성되는 제1 해수 유입부(211) 및 제1 해수 배출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해수 유입부(211) 및 제1 해수 배출부(212)는 상기 해수 보관부(200)로 유입 및 유출되는 해수의 살균을 위하여 구성되는 제1 살균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살균부(220)는 가열법, 여과법, 조사법, 가스법, 약액법과 같은 다양한 살균방법으로 구성이 가능하지만, 효율적인 해수의 살균을 위하여 바이러스 및 세균의 살균에 뛰어난 자외선 살균법을 권장한다.
상기 해수 보관부(200)는 상기 열교환부(100)로 공급하는 해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제1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어부(130)는 상기 열교환부(100)에 필요한 양만큼의 해수를 공급하여, 열교환기(100)에서 일어나는 열교환 작용에 최적화된 해수의 양을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100)는 해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하여 구성되는 제2 해수 유입부(102)와 제2 해수 배출부(1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해수 유입부(102)와 제2 해수 배출부(101)는, 상기 열교환부(100)로 유입 및 배출되는 해수의 살균을 위하여 구성되는 제2 살균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살균부(120)는 가열법, 여과법, 조사법, 가스법 또는 약액법과 같은 다양한 살균방법으로 구성이 가능하지만, 효율적인 해수의 살균을 위하여 바이러스 및 세균의 살균에 뛰어난 자외선 살균법을 권장한다.
상기 담수화부(300)는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유입 및 배출되는 해수의 온도측정과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제2 제어부(3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담수화부(300)는 상기 담수화부에 구성된 응축부(320)를 순환하는 상기 청수 보관부(400)에서 유입되는 해수의 온도측정과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제3 제어부(321)를 포함한다.
상기 담수화부(300)에서 일어나는 직접 접촉형 막증류 반응은 상기 담수화부(300)에 구성된 증발부(310) 및 응축부(320)를 순환하는 유입수의 온도차에 의한 증기압의 차를 담수화의 구동력으로 삼는다.
따라서, 상기 제2 제어부(311)는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상기 증발부(310)로 고온의 해수가 유입되는 시점을 해수의 온도에 따라 결정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3 제어부(321)는 상기 청수 보관부(400)에서 상기 응축부(320)로 유입되는 청수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 제어부(311)는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상기 증발부(310)로 유입되는 해수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제2 제어부(311)는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유입되는 해수의 온도가 상기 청수 보관부(400)에서 유입되는 청수의 온도와 직접 접촉형 막증류가 효율적으로 일어나는 소정의 차이를 이루면, 열교환부(100)에서 상기 증발부(310)로 해수를 유입시킨다.
또한, 상기 담수화부(300)에서 일어나는 직접 접촉형 막증류는 유입수의 유량 및 유속에 따라서 담수화되는 해수의 양이 변화하기 때문에 상기 제2 제어부(311) 및 제3 제어부(321)는 상기 담수화부(300)에 유입되는 해수 및 청수의 유량과 유속을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담수화 반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330)의 기공 크기에 따라 상기 담수화부(300)에서 생산되는 담수의 양과 수질이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멤브레인(330)의 기공 크기는 다양한 값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지만 기공의 크기가 1.2㎛를 초과하면 멤브레인(330)이 물에 젖는 현상이 발생되어 담수화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330)의 기공 크기가 0.1㎛ 미만으로 구성된다면 멤브레인(330)의 담수화 유량(flux)값이 떨어지기 때문에 멤브레인(330)의 기공 크기는 크기는 0.1㎛~1.2㎛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멤브레인(330)은 다양한 재질의 사용이 가능하지만 멤브레인(330)이 물에 젖을 경우 담수화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소수성을 가지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polyvinylidenechlorid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재질을 권장한다.
상기 증발부(310)는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유입된 고온의해수가 상기 증발부(310)를 거쳐 열교환부(100)로 유입되는 순환구조 외에도, 상기 증발부(31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해수를 선박의 난방을 위한 탱크(500)에 구비된 유체와 열교환 후 열교환부(100)로 순환시키는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열교환부(100)는 상기 담수화부(300)의 직접 접촉형 막증류를 통하여 해수의 염도가 증가함에 따라 해수의 교체가 필요하다.
상기 열교환부(100)는 해수 교체 시 담수화 공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100)는 상기 증발부(310)로 유입되는 해수의 온도 조절에 따라 발생하는 지연시간의 최소화를 위하여 다양한 크기 및 재질로 열교환부(10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는 다양한 막증류 방법 중 진공 막증류(Vacuum Membrane Distillation)를 도시하였다.
상기 담수화부(300)는 진공 막증류를 위하여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고온의 해수를 유입받는 증발부(310)와, 진공 상태가 유지되는 응축부(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응축부(320)는 진공펌프(340)의 가동으로 진공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상기 응축부(320)와 상기 진공펌프(340) 사이에는, 상기 증발부(310)에서 유입된 수증기를 냉각시켜 액체상으로 변화시키는 냉각부(35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진공펌프(340)로 흡수되는 수증기는 이동중에 존재하는 상기 냉각부(350)에서 액화되는 것이다.
상기 냉각부(350)에서 액화된 수증기는 청수 보관부(400)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담수화부(300)는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고온의 해수를 유입받는 상기 증발부(310)와, 진공 상태가 유지되는 상기 응축부(320)를 구획하는 멤브레인(330)을 포함한다.
상기 담수화부(300)로 유입된 고온의 해수는 상기 담수화부(300)에 구성되는 증발부(310)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부(100)로 회수되는 순환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응축부(320)는 상기 진공펌프(340)에 의하여 진공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상기 증발부(310)를 순환하는 고온의 해수와 진공상태가 유지되는 상기 응축부(320)를 구획하는 상기 멤브레인(330)은 진공 막증류 반응을 통하여 증발부(310)를 순환하는 고온의 해수를 상기 멤브레인(330)을 통하여 담수화 시킨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담수화부(300)에서 일어나는 진공 막증류는 상기 증발부(310)에 유입되는 고온의 해수가 포함하고 있는 수증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증발부(310)로 유입된 고온의 해수에 존재하는 수증기는, 수증기가 통과 가능한 소수성 고분자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상기 멤브레인(330)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을 통과하여 상기 응축부(320)로 이동되고, 상기 응축부(320)에서 상기 응축부(320)를 진공으로 만들기 위하여 구비되는 진공펌프(340)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진공펌프(340)로 이동되는 수증기는, 상기 진공펌프(340)와 상기 응축부(320)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냉각부(350)의 응축 반응을 통하여 담수로 변화된다.
상기 담수화부(300)에서 일어나는 진공 막증류는, 상기 멤브레인(330)에 구획되어 순환되는 상기 증발부(310)상의 고온의 해수 및 상기 응축부(320)의 진공 상태를 통하여 형성되는 증기압 차를 구동력으로 한다.
따라서, 도 4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증발부(310)를 순환하는 고온의 해수는 상기 응축부(320)의 진공 상태보다 높은 증기압을 가지므로, 증발부(310)를 순환하는 고온의 해수에 포함된 수증기가, 상기 멤브레인(330)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을 통과하여 상기 응축부(320)를 진공으로 만드는 상기 진공펌프(340)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냉각부(350)의 응축 반응을 통하여 액화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담수화부(300)에서 진공 막증류를 통하여 액화된 수증기는 상기 청수 보관부(400)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상기 담수화부(300)에서 일어나는 진공 막증류 반응은 상기 증발부(310) 및 응축부(320)의 증기압 차를 담수화의 구동력으로 삼는다.
따라서, 상기 제2 제어부(311)는 진공 막증류의 효율 향상을 위하여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상기 증발부(310)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입 시점을 해수의 온도에 따라 조절한다.
또한, 상기 담수화부(300)에서 일어나는 진공 막증류는 유입수의 유량 및 유속에 따라서 담수화되는 해수의 양이 변화하기 때문에 상기 제2 제어부(311)는 상기 담수화부(300)에 유입되는 해수의 유량과 유속을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담수화 반응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1000)에 구비된 열교환부(100)가 수행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작 실시예 1] 급속 가동에 따른 복수의 열교환기 동작
상기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1000)는, 해수 보관을 위한 해수 보관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 보관부(200)는 상기 제1 해수 유입부(211)로부터 해수를 유입 받는다.
상기 해수 보관부(200)로 유입된 해수는 상기 제1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열교환부(100)에 필요한 만큼의 해수를 공급한다.
이하 에서는 상기 열교환부(100)의 이해를 돕고자 상기 열교환부(100)를 기본이 되는 '제 1열교환기'와 보조적으로 구성되는 '제 2열교환기'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상기 열교환부(100)는 열교환을 위한 기존의 제 1열교환기 외에 상기 해수 보관부(200)에서 공급된 해수의 빠른 가열을 위하여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제 2열교환기를 추가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2열교환기는 내부에 구비된 해수의 빠른 가열을 위하여 상기 제 1열교환기보다 작은 소정의 크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공급부(110)는 제 2열교환기와의 효율적인 열 교환을 위하여 제 2열교환기에 구비된 해수와 열교환하는 면의 재질을 열전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하는 것을 권장한다.
상기 제 2열교환기는 상기 배기가스 공급부(110)의 열교환이 높은 재질사용과 상기 제 2열교환기의 크기 소형화를 통하여 상기 제 1열교환기보다 상기 해수 보관부(200)에서 유입된 해수를 상기 제2 제어부(311)에서 정해진 온도로 급속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 2열교환기의 효율적인 열교환을 통하여 제 2열교환기에 유입된 해수가 빠르게 가열됨에 따라서 상기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장치(1000)의 급속 구동이 가능하다.
[동작 실시예 2] 해수 교환에 따른 복수의 열교환기 동작
상기 배기가스 공급부(110)에서 공급된 배기가스와 열교환 하는 상기 열교환부(100)로 유입된 해수는 상기 담수화부(300)의 담수화 과정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염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부(100)는 염도가 높아진 해수를 배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 열교환부(100)는 담수화 과정에 사용된 염도가 높아진 해수를 상기 제2 해수 배출부(10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열교환부(100)는 상기 제2 해수 유입부(102) 또는 상기 해수 보관부(200)를 통하여 새로운 해수를 유입한다.
이때, 상기 담수화부(300)는 담수화반응에 필요한 고온의 해수를 유입받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1000)는 구동을 멈추게된다.
상기 열교환부(100)는 상기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1000)의 구동이 멈추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열교환기와 제 2열교환기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 1열교환기에서 상기 담수화부(300)로 고온의 해수 공급이 어려울 시 상기 제 2열교환기가 상기 담수화부(300)로 고온의 해수를 공급하여 상기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1000)의 구동이 멈추는 현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부호의 설명]
1000 :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100 : 열교환부 101 : 제2 해수 배출부
102 : 제2 해수 유입부
110 : 배기가스 공급부
120 : 제2 살균부
130 : 제1 제어부
200 : 해수 보관부 210 : 밸러스트
211 : 제1 해수 유입부 212 : 제1 해수 배출부
220 : 제1 살균부
300 : 담수화부 310 : 증발부
311 : 제2 제어부
320 : 응축부 321 : 제3 제어부
330 : 멤브레인 340 : 진공펌프
350 : 냉각부
400 : 청수 보관부 410 : 청수 탱크
411 : 청수 유입부 412 : 청수 배출부
420 : 운송부
500 : 온수탱크

Claims (13)

  1. 해수가 보관되는 해수 보관부(200);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부(110);
    상기 해수 보관부(200)에서 유입된 해수를 상기 배기가스 공급부(110)에서 공급받은 배기가스와 열교환시켜 고온의 해수로 만드는 열교환부(100);
    청수를 보관하는 청수 보관부(400);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고온의 해수를 공급받고, 상기 청수 보관부(400)에서 청수를 공급받아 직접 접촉형 막증류를 이용하여 해수를 담수로 변화시키는 담수화부(300)를 포함하는,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2. 해수가 보관되는 해수 보관부(200);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부(110);
    상기 해수 보관부(200)에서 유입된 해수를 상기 배기가스 공급부(110)에서 공급받은 배기가스와 열교환시켜 고온의 해수로 만드는 열교환부(100);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고온의 해수를 공급받아, 진공 막증류를 이용하여 해수를 담수로 변화시키는 담수화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담수화부(300)는, 진공펌프(340)로 흡수되는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냉각부(350), 및
    상기 냉각부(350)에서 생성된 청수를 보관하는 청수 보관부(400)를 포함하는,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화부(300)는,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유입된 고온의 해수가 통과되어 상기 열교환부(100)로 회수되는 순환 구조를 가지는 증발부(310)와,
    상기 청수 보관부(400)에서 유입된 청수가 통과되어 상기 청수 보관부(400)로 회수되는 순환 구조를 가지는 응축부(320), 및
    상기 증발부(310)와 상기 응축부(320)를 구획하는 멤브레인(330)을 포함하는,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화부(300)는, 상기 열교환부(100)에서 유입된 고온의 해수가 통과되어 상기 열교환부(100)로 회수되는 순환 구조를 가지는 증발부(310)와,
    상기 진공펌프(340)의 작용을 통하여 진공상태가 유지되는 응축부(320), 및
    상기 증발부(310)와 상기 응축부(320)를 구획하는 멤브레인(330)을 포함하는,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330)은 상기 증발부(310)에 유입된 해수의 증발 작용을 통하여 발생된 수증기가 투과 가능한 소수성 고분자 분리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응축부(320)는 상기 멤브레인(330)에서 투과된 수증기를 소정의 응축 과정을 통하여 담수로 만들어 상기 청수 보관부(400)로 보내는,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100)는, 상기 담수화부(300)의 담수화 반응을 통하여 염분이 증가된 해수를 선박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제2 해수 배출부(101)와,
    상기 열교환부(100)로 외부 해수의 직접 유입을 위한 제2 해수 유입부(10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해수 유입부(102) 및 상기 제2 해수 배출부(101)에 해수 살균을 위하여 구비되는 제2 살균부(120)를 포함하는,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100)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보관부(200)는, 제1 해수 유입부(211)와 제1 해수 배출부(2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해수 유입부(211) 및 상기 제1 해수 배출부(212)에 해수 살균을 위하여 구비되는 제1 살균부(220)를 포함하는,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청수 보관부(400)는, 청수 보관을 위한 청수 탱크(410)가 구성되고,
    상기 청수 탱크(410)는 청수 유입을 위한 청수 유입부(411) 및 청수 배출을 위한 청수 배출부(412)를 가지며,
    상기 청수 탱크(410)에 저장된 청수를 상기 해수 보관부(200)로 보내기 위한 운송부(420)를 포함하는,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10.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1000)는, 상기 증발부(310)에서 배출된 해수와 열교환하는 탱크(500)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부(310)에서 배출된 해수가 상기 탱크(500)에 구비되는 유체와 열교환 후 열교환부(100)로 리턴되는,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보관부(200)는, 선박의 흘수 및 트림을 조절하기 위하여 물을 보관하는 밸러스트(210)를 포함하는,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100)는, 상기 해수 보관부(200)에서 유입되는 유량 조절을 위한 제1 제어부(130),
    상기 증발부(310)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유입되는 고온의 해수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는 제2 제어부(311), 및
    상기 응축부(320)는 상기 청수 보관부(400)에서 유입되는 청수의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는 제3 제어부(321)를 포함하는,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100)는, 상기 해수 보관부(200)에서 유입되는 유량 조절을 위한 제1 제어부(130)와,
    상기 증발부(310)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유입되는 고온의 해수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는 제2 제어부(311)를 구비하는,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PCT/KR2015/004280 2014-05-21 2015-04-29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WO201517859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914 2014-05-21
KR1020140060914A KR101459702B1 (ko) 2014-05-21 2014-05-21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78594A1 true WO2015178594A1 (ko) 2015-11-26

Family

ID=52290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4280 WO2015178594A1 (ko) 2014-05-21 2015-04-29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9702B1 (ko)
WO (1) WO201517859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27185A (zh) * 2017-12-14 2018-03-23 宫锡和 舰船用海水淡化设备
CN112919660A (zh) * 2021-01-26 2021-06-08 中国人民解放军海军特色医学中心 鼓气式舰船冷却海水淡化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417B1 (ko) 2015-05-12 2016-11-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해양선박용 담수 생산을 위한 다단형 진공막증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5779B1 (ko) * 2015-05-13 2017-01-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지능형 vmd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해수 담수화 장치
KR102533553B1 (ko) * 2016-08-26 2023-05-16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막증발 모듈 성능시험장치
CN106241961A (zh) * 2016-09-06 2016-12-21 大唐环境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电厂余热的水处理装置及方法
KR101914669B1 (ko) * 2018-05-11 2018-11-02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
KR20200036416A (ko) 2018-09-28 2020-04-07 한국과학기술원 화력발전소 폐가스 에너지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담수 생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44A (ja) * 1992-06-25 1994-01-18 Hitachi Ltd 膜蒸留装置
KR20120108227A (ko) * 2011-03-23 2012-10-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수처리 시스템
JP2014008469A (ja) * 2012-06-29 2014-01-20 Hitachi Ltd 水処理システム
KR20140026111A (ko) * 2012-08-24 2014-03-05 이봉길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44A (ja) * 1992-06-25 1994-01-18 Hitachi Ltd 膜蒸留装置
KR20120108227A (ko) * 2011-03-23 2012-10-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수처리 시스템
JP2014008469A (ja) * 2012-06-29 2014-01-20 Hitachi Ltd 水処理システム
KR20140026111A (ko) * 2012-08-24 2014-03-05 이봉길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27185A (zh) * 2017-12-14 2018-03-23 宫锡和 舰船用海水淡化设备
CN112919660A (zh) * 2021-01-26 2021-06-08 中国人民解放军海军特色医学中心 鼓气式舰船冷却海水淡化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702B1 (ko) 201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78594A1 (ko)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WO2013157776A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막여과 장치
WO2014051268A1 (ko) 삼방밸브 또는 믹싱밸브를 이용한 배열회수시스템의 급탕온도 제어구조 및 온수탱크 열교환기를 이용한 배열회수시스템의 급탕온도 제어구조
WO2020194284A1 (ko) 수소 생산가능한 담수시스템
WO2016064109A1 (ko) 정지냉각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20110030044A (ko) 청수 생산장치와 그 생산방법
WO2016080702A1 (ko) 2중 열원을 이용한 해수담수화 시스템
WO2016080707A1 (ko) 태양열과 폐열 에너지를 혼용한 분산형 해수담수화 시스템
WO2014163507A1 (en) A system of membrane distillation and use thereof
KR20130040320A (ko)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청수 생산 설비
US4813237A (en) Apparatus for making up feed water for a power station
WO2012081854A2 (ko) 선박용 폐열회수장치
US20220347595A1 (en) Self-contained photovoltaic distillation apparatus
WO2002067308A1 (fr) Systeme et procede d'exploitation de la chaleur perdue issue d'un equipement semi-conducteur et echangeur thermique utilise pour exploiter la chaleur perdue issue de l'equipement semi-conducteur
WO2012148190A2 (ko) 여과 시스템
KR101335608B1 (ko) 청수 생산 시스템
KR102300844B1 (ko) Lng 추진선박의 lng 연료 공급 시스템에 적용되는 하이브리드 글리콜 워터 가열 장치
KR101682897B1 (ko) 냉각수 폐열을 이용한 선박용 온음용수 공급 장치 및 선박용 온음용수 공급 방법
KR101914669B1 (ko)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
WO2017217611A1 (ko) 중탄산암모늄 용액의 재생 방법
JP4551028B2 (ja) 原子力発電設備
KR102444129B1 (ko) 연료전지의 통합형 수처리 시스템
JP2005052793A (ja) 熱電併給装置を有する浄化水供給装置
WO2023063669A1 (ko) 해수 담수화 설비
JP7243395B2 (ja) 縁切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7965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965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